KR20210147054A - Nr-u 광대역 개선 - Google Patents

Nr-u 광대역 개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054A
KR20210147054A KR1020217036153A KR20217036153A KR20210147054A KR 20210147054 A KR20210147054 A KR 20210147054A KR 1020217036153 A KR1020217036153 A KR 1020217036153A KR 20217036153 A KR20217036153 A KR 20217036153A KR 20210147054 A KR20210147054 A KR 20210147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bands
subband
broadband
lbt
c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6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페렌바흐
바리스 괵테페
코르넬리우스 헤르게
토마스 비르트
토마스 쉬를
칼레드 샤키 하산 후세인
마르틴 레이
토마스 하인
베른하르트 니만
율리안 포프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ublication of KR20210147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2/0406
    • H04W72/0413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한 장치는,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초기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고,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초기 LBT가 상기 부대역 중 하나 이상을 점유한다고 나타낸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초기에 점유된 부대역 중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하나 이상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점유된 부대역에 대해 추가 LBT를 수행하고, 상기 초기에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에 더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NR-U 광대역 개선
본 출원은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광대역 동작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엔티티들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 접근 방식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는 NR-U 광대역 개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102) 및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1, RAN2, ... RANn)을 포함하는 지상 무선 네트워크(100)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b)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 gNB1 내지 gNB5를 포함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n)의 일 예의 개략도이고, 이들 각각은 각 셀(1061 내지 1065)에 의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기지국을 둘러싸는 특정 영역을 서비스한다. 기지국은 셀 내에서 사용자에게 서비스하기 위해 제공된다. 기지국(BS)이라는 용어는 5G 네트워크에서 gNB, UMTS/LTE/LTE-A/LTE-A Pro에서 eNB, 또는 다른 이동 통신 표준에서는 단순히 BS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고정 장치 또는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또한 기지국 또는 사용자에 연결되는 모바일 또는 고정 IoT 장치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 또는 IoT 장치는 물리적 장치, 로봇 또는 자동차와 같은 지상 기반 차량, 유인 또는 무인 항공기(UAV)와 같은 항공기를 포함할 수 있고, 후자는 또한 드론, 건물 및 전자 장치, 소프트웨어, 센서, 액추에이터 등이 내장된 기타 항목 또는 장치를 말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장치가 기존 네트워크 인프라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연결성을 말한다. 도 1(b)은 5 개의 셀을 예시하고 있지만; RANn 다소간의 셀을 포함할 수 있고; RANn은 오직 하나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은 셀(1062) 내에 있으며 기지국 gNB2에 의해 서비스되는 두 사용자 UE1 및 UE2(사용자 장비(UE)라고도 함)를 도시한다. 다른 사용자 UE3는 기지국 gNB4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1064)에 표시된다. 화살표 1081, 1082 및 1083은 사용자 UE1, UE2 및 UE3에서 기지국 gNB2, gNB4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기지국 gNB2, gNB4에서 사용자 UE1, UE2, 및 UE3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다운링크 연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1(b)은 고정 또는 모바일 장치일 수 있는 셀(1064)에 있는 두 개의 IoT 장치(1101 및 1102)를 도시한다. IoT 장치(1101)는 기지국 gNB4를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하여 화살표(1121)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데이터를 수신 및 전송한다. IoT 장치(1102)는 화살표(1122)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UE3를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액세스한다. 각각의 기지국 gNB1 내지 gNB5은 예를 들어,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 1에서 "코어"를 가리키는 화살표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각각의 백홀 링크(1141 내지 1145)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102)에 연결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02)는 하나 이상의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지국 gNB1 내지 gNB5의 일부 또는 전부가 예를 들어, NR의 S1 또는 X2 인터페이스 또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gNB"를 가리키는 화살표로 도 1(b)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각각의 백홀 링크(1161 내지 1165)를 통해 서로간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을 위해 물리적 자원 그리드가 사용될 수 있다. 물리적 자원 그리드는 다양한 물리적 채널 및 물리적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 요소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채널은 사용자 특정 데이터(다운링크 및 업링크 페이로드 데이터라고도 함)를 전달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업링크 및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DSCH, PUSCH, PSSCH), 예를 들어 마스터 정보 블록(MIB) 및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전달하는 물리적 방송 채널(PBCH),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전달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업링크, 및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DCCH, PUCCH, PSSCH), 업링크 제어 정보(UCI) 및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을 포함할 수 있다. 업링크의 경우, 물리적 채널은 UE가 MIB 및 SIB를 동기화하고 획득한 후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 UE가 사용하는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또는 RACH)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리적 신호는 기준 신호 또는 심볼(RS), 동기화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그리드는 시간 영역에서 특정 기간을 갖고 주파수 영역에서 주어진 대역폭을 갖는 프레임 또는 무선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미리 정의된 길이, 예를 들어, 1ms의 특정 수의 서브 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각 서브 프레임은 주기적 프리픽스(CP) 길이에 따라 12 개 또는 14 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또한, 단축된 전송 시간 간격(sTTI) 또는 몇 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 미니 슬롯/비 슬롯 기반의 프레임 구조를 사용할 때, 더 적은 수의 OFDM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시스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 또는 CP가 있거나 없는 기타 IFFT 기반 신호(예를 들어, DFT-s-OFDM)과 같이,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는 단일 톤 또는 다중 반송파 시스템일 수 있다. 다중 액세스를 위한 비 직교 파형과 같은 기타 파형, 예를 들어, 필터-뱅크 다중 반송파(FBMC), 일반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GFDM) 또는 범용 필터링된 다중 반송파(UFMC)가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LTE-어드밴스드 프로 표준 또는 5G 또는 NR(뉴 라디오)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 또는 통신 시스템은 별개의 중첩되는 네트워크를 갖는 이종 네트워크, 예를 들어, 기지국 gNB1 내지 gNB5와 같은 매크로 기지국 및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과 같은 소형 셀 기지국 네트워크(도 1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각각의 매크로 셀을 갖는 매크로 셀 네트워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지상 무선 네트워크에 더하여, 위성과 같은 우주 송수신기 및/또는 무인 항공기 시스템과 같은 공중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비 지상 무선 통신 네트워크도 존재한다. 비 지상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은 예를 들어 LTE-어드밴스드 프로 표준 또는 5G 또는 NR(뉴 라디오) 표준에 따라,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지상 시스템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또는 5G/NR 네트워크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술된 것과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엔티티는 광대역 동작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광대역 동작에서, 예를 들어, 기지국(gNB) 및/또는 사용자 장치(UE)는 다중 부대역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부대역은 20MHz와 같이 다른 대역폭 또는 동일한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광대역 동작을 위해 gNB와 UE는, 광대역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부대역(부대역 서브세트라고도 함)이 하나 이상의 다른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 PLMN에 의해 또는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공존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IEEE 802.11 사양에 따라 작동하는 시스템에 의해 전송 또는 간섭으로 인해 사용 중이거나 점유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는 부대역별로 개별적으로 리슨비포토크(LBT, listen-before-talk)를 수행한다.
위 섹션의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선행 기술을 형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로부터 시작하여, 광대역 동작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엔티티들 간의 무선 통신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IEEE 802.11 사양에 따라 사용되는 바와 같은, 분산 조정 기능을 예시한다;
도 3은 CCA 모드에 기초한 LBT 기반 스펙트럼 공유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4는 NR-U에 대한 광대역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여기서 도 4(a)는 예를 들어, gNB에 의한 다운링크 광대역 전송을 도시하고, 도 4(b)는 예를 들어 UE에 의한 업링크에서 전송하기 위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기지국과 같은 송신기, 및 사용자 장치, UE와 같은 하나 이상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gNB와 같은 송신기가 스케줄링된 자원 세트에 대해 광대역 동작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제 1 측면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회복된 부대역이 초기에 사용된 부대역에 대한 초기 COT와 독립적인 자체의 새로운 COT를 갖는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새로 획득된 부대역이 초기 COT와 정렬되지만,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새로운 부대역의 가용성에 대한 시그널링이 상이한 초기 부대역에서 상이한 시간에 발생하는, 도 6과 유사한 상황을 도시한다;
도 9는 새로 획득된 부대역의 시작에서 예약 시그널링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 1 측면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업링크 시그널링에서 LBT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구체적으로 RRC에서의 광대역 구성 및 대응하는 DCI 시그널링 또는 표시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UE가 3개의 상이한 PUSCH 크기를 준비하고 LBT 결과에 기초하여 하나를 선택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전송의 펑처링 부분을 하나 이상의 초기에 획득한 부대역에 추가하기 위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상이한 통신 시스템들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는 단일 부대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신속하게 전송하기 위한 동작에 따른 제7 측면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접근법에 따라 설명된 방법의 단계뿐만 아니라 유닛 또는 모듈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가 동일한 참조 부호가 할당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서, 각 엔터티는, 예를 들어, UE 뿐만 아니라 gNB는 다중 부대역 상에서, 상이한 대역폭 또는 동일한 대역폭(예를 들어 20MHz)을 갖는 다중 부대역 상에서 전송할 수 있는, 광대역 동작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LBT(Listen-before-Talk)는 부대역별로 별도로 수행되어야 하며, IEEE 802.11 사양에 따라 동작하는 다른 공공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 PLMN 또는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대역에 공존하는 다른 통신 시스템의 간섭 등으로 인해 하나 이상의 부대역이 사용 중이거나 점유되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송신기, 즉 전송 gNB 또는 전송 UE 중 하나는, LBT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비어 있는 상태 또는 비점유 상태라고도 하는, 사용 중 아님으로 감지된 부대역에서만 전송이 허용된다. 그러한 경우에, 수신기, 예를 들어, UE는 획득 부대역이라고 칭할 수 있는 모든 비어 있거나 비점유인 부대역 뿐만 아니라, 이하에서 비획득 부대역으로도 할 수 있는 사용 중 또는 점유 부대역에 대해 블라인드 디코딩을 행하게 되어 에너지를 낭비할 수 있다.
또한, gNB와 같이 송신기의 LBT 동안의 채널 점유는 단지 짧은 지속시간일 수 있기 때문에, 스펙트럼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NB가 프레임의 일부와 같이 이 전송에 할당된 전송 시간의 일부만을 차지하는 LBT를 수행할 때 짧은 WiFi 전송이 있을 수 있으므로, 프레임의 대부분이 사용되지 않게 되어 스펙트럼 효율성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IEEE 802.11 사양에 따라 동작하는 시스템의 간섭으로 인해 부대역의 서브세트가 사용 중이거나 점유되는 상황을 고려한다. 도 2는 IEEE 802.11 사양에 따라 사용되는 분산 조정 기능, 보다 구체적으로, IEEE 802.11 시스템의 CSMA/CL 알고리즘에서 사용하는 프레임 간 공간, 백오프 창 및 경합 창을 도시하며,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1]https://www.cisco.com/c/en/us/td/docs/solutions/Enterprise/Mobility/emob41dg/emob41dg-wrapper/ch5_QoS.html#wp1021972,
[2]https://www.tu-ilmenau.de/fileadmin/public/iks/files/lehre/mobicom/AN-10-IEEE_802_11.pdf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EEE 802.11 규격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은 다음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구성되는, DCF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도 2에 표시된 프레임 간 공간, SIFS, PIFS 및 DIFS, 및
RF 매체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하기 위한 랜덤 백오프(경합 창) DCF.
3개의 프레임간 공간은 일반적으로 10μs의 지속시간을 갖는 짧은 프레임간 공간 SIFS, SCIFS와 일반적으로 30μs에 달하는 1x 슬롯 시간으로 구성된 포인트 조정 기능(PCF) 프레임 간 공간 PIFS, 및 SCIFS에 10μs의 슬롯 시간 2배를 더한 것으로 구성되어 일반적으로 50μs에 달하는 DCF 프레임간 공간 DIFS을 포함한다. 프레임 간 공간 SCIFS, PIFS 및 DIFS는 캐리어 감지가 채널이 비어 있다고 선언한 후 어떤 트래픽이 채널에 먼저 액세스하는지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고, 여기서 관리 프레임 및 프레임 시퀀스의 일부인 프레임과 같이 경합을 예상하지 않는 프레임은 SIFS를 사용하는 반면, 데이터 프레임은 DIFS를 사용한다. 도 2에서는 초기에 채널이 사용 중이거나 점유된 것으로 확인되어 적절한 프레임간 공간이 적용된 t1까지 액세스가 연기되는 상황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DCF를 사용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보낼 준비가 되면, 0과 최소 경쟁 창 사이의 랜덤 백오프 번호가 생성되고, 채널이 DIFS 간격 동안 비어 있으면 랜덤 백오프 번호는 채널이 비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는 모든 슬롯 시간(예: 20μs) 동안 감소하기 시작한다. 그 시간 동안 채널이 사용 중이 되면, 현재 스테이션보다 먼저 다른 스테이션의 랜덤 백오프 번호가 0이 되기 때문에, 감소가 중지되고 단계가 반복된다. 반면에 랜덤 백오프 숫자를 감소시키는 동안 숫자가 0에 도달할 때까지 채널이 비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도 2의 오른쪽과 같이 프레임이 전송된다.
참고문헌[3](https://www.etsi.org/deliver/etsi_en/301800_301899/301893/01.07.01_60/en_301893v010701p.pdf)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 장비를 포함하는 고성능 무선 접속 시스템을 설명한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무선 인프라에 연결된 장치 간에 고속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며, 장치가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애드혹 네트워킹이 설명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부하 기반 장비는 IEEE 802.1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에너지 감지를 사용하는 명확한 채널 평가 CAA 모드에 기반한 LBT 기반 스펙트럼 공유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CCA 모드에 기반한 LBT 기반 스펙트럼 공유 메커니즘을 예시한다. 채널에서 전송 또는 전송 버스트 전에, 장비는 에너지 감지를 사용하여 CCA 검사를 수행하고 장비는 적어도 20 μs 일 수 있는 CCA 관찰 시간 동안 채널을 관찰한다. 이것은 시간 t0에서 CCA 관찰 시간이 시작되는 도 3의 왼쪽 부분에 도시된다. CCA 관찰 시간의 끝은 t1이다. 도사된 예에서, 채널에서 감지된 에너지 레벨이 임계값을 초과하기 때문에 채널이 점유 중이거나 사용 중인 것으로 간주되고, 따라서 장치는 전송하지 않는다. 장치가 점유된 채널을 찾았기 때문에, 즉 이 시점에서 전송이 없기 때문에, 장치는 CCA 관찰 시간을 곱한 랜덤 요소 N의 지속 시간 동안 채널이 관찰되는 확장된 CCA를 수행한다. N은 클리어 유휴 슬롯(clear idle slots)의 수를 정의하며, 이는 전송을 시작하기 전에 관찰해야 하는 총 유휴 기간이 된다. 값 N은 CCA 슬롯이 비어 있거나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될 때마다 감소되는 카운터에 저장되고 카운터가 0에 도달하면, 장치는 도 3의 t2에 표시된 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 NR(New Radio) 기술은 비허가 스펙트럼(NR-U)에 대한 NR 기반 액세스라고 하는 기술을 통해 비허가 대역에서 작동을 지원한다. 비허가 스펙트럼은 예를 들어 5GHz 및 6GHz 대역과 같이 잠재적인 IEEE 802.11 공존을 갖는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NR-U는 예를 들어 규정 요구 사항으로 인해, 20MHz의 정수배인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20MHz 대역폭의 각 채널은 하나의 부대역로 설계되었으며, 분할은 IEE 802.11 시스템과 같이 공존하는 시스템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행되며, 이는 20MHz 채널과 같은 동일한 공칭 대역폭 채널을 사용하여 동일한 대역 중 하나 이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공존하는 시스템의 다른 예는 전술한 IEEE 802.11 시스템과 상이한 부대역 크기 및 공칭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허가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24GHz 대역 또는 60GHz 대역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예로는 산업, 과학 및 의료, ISM, 통신 이외의 산업, 과학 및 의료 목적으로 무선 주파수 에너지를 사용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예약된 무선 대역이 있다.
일반적으로 광대역 동작 동안, 예를 들어 5GHz 작동 비허가 대역에서 20MHz 이상에 걸친 전송 동안, gNB 또는 UE와 같은 송신기는 각 부대역에서 개별적으로 LBT를 수행하고, 각 부대역에 대해 LBT 결과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장치, 예를 들어 다운링크 DL의 gNB 또는 업링크 UL의 UE는 비어 있거나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부대역, 즉 획득된 부대역에서 전송하는 것만이 허용된다. 예를 들어, 5GHz 비허가 대역에서, 광대역 동작에 사용되는 20MHz 부대역의 수는 4개일 수 있으므로, 전체 대역폭이 80MHz가 되지만, 실제로 사용되는 부대역의 수는 다를 수 있다.
도 4는 전술한 바와 같이 NR-U에 대한 광대역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광대역 작업을 위해, 광대역 동작을 위한 전체 대역폭, 부대역 수, 부대역 각각의 대역폭, 시간에 따른 광대역 작업의 기간(심볼 수와 마찬가지로 COT라고도 함)을 지정하는 특정 광대역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에는 그러한 광대역 구성이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다. 다중 광대역 구성이 있는 경우, 송신기는 복수의 이용 가능한 광대역 구성 중에서 사용할 광대역 구성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a)는 예를 들어, gNB에 의한 다운링크 광대역 전송을 예시한다. 사용할 광대역 구성에 따라, 대역폭 부분(BWP)(200)이 스케줄링될 수 있으며, 즉, 이용 가능한 자원 내에서 BWP(200)는 광대역 동작에 사용될 부반송파의 수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BWP(200)는 80MHz의 전체 대역폭을 가질 수 있고, LBT 부대역(2001 내지 2004)이라고도 하는 각각의 부대역은 각각 20MHz의 대역폭을 갖는다. gNB는 다운링크에서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각 부대역(2001 내지 2004)에 대해 LBT를 수행하여 해당 부대역이 사용/점유 또는 자유/비점유 여부를 판단한다. 도 4(a)에 도시된 예에서 gNB에 의해 수행된 LBT는 부대역(2001, 2003 및 2004)이 비어 있는 반면 부대역(2002)는 사용 중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BWP(200) 내의 광대역 동작에 대해 gNB는 전송을 위해 부대역(2001, 2003 및 2004)를 획득한 반면 부대역(2002)는 획득하지 못했다. 부대역(2002)은 상술한 IEEE 802.11 시스템과 같은, 공존 시스템으로부터의 전송으로 인해 사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것은 도 4에서 LBT 실패를 나타내는 x로 표시된다. 수행된 LBT 알고리즘에 응답하여, gNB는 PDSCH#1 및 PDSCH#2에 의해 표시되는 다운링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부대역(2001, 2003 및 2004)를 선택한다.
도 4(b)는 예를 들어 UE에 의해 업링크로 전송하기 위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사용할 광대역 구성에 따라, BWP(200)는 UE의 광대역 동작, 예를 들어 4개의 LBT 부대역(2001 내지 2004)을 다시 사용하는 80MHz 광대역 동작을 위해 스케줄링된다. UE는 초기에 LBT 부대역 중에서 LBT를 수행하여 부대역(2002)이 사용 중이거나 비어 있지 않으므로, UE에 의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연속/인접 부대역에서만 업링크로 전송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가정하므로, 도 4(b)의 예에서 UE는 LBT 알고리즘에 따라 PUSCH#1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에서 전송을 위해 비어있는 부대역(2003 및 2004)를 선택한다. 부대역(2001)에서는 전송이 발생하지 않지만, 비연속적인 전송도 가능하거나 원하는 경우에는 사용 가능한 부대역(2001)에서 추가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P-150271, "TSG에 대한 상태 보고: 비허가 스펙트럼에 대한 허가 지원 액세스에 관한 연구" 3GPP RAN #67, 2015년 3월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3GPP RAN의 LBT 방식은 4가지 다른 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
● 카테고리 1, CAT-1:
LBT 없음,
● 카테고리 2, CAT-2:
랜덤 백오프가 없는 LBT(도 2 참조),
● 카테고리 3, CAT-3:
고정 크기의 경합 창을 사용하는 랜덤 백오프가 있는 LBT(도 2 참조),
● 카테고리 4, CAT-4:
다양한 크기의 경합 창을 사용하는 랜덤 백오프가 있는 LBT(도 2 참조).
도 4에서 지원되거나 구성된 BWP(200) 내에서 광대역 동작을 수행할 때, 채널 점유 시간(COT)은 예를 들어 CAT-4 LBT를 수행하여 시작된다. gNB 개시 COT 내에서(도 4(a) 참조), UE는 PUCCH 또는 PUSCH를 전송하기 위해 CAT-2 LBT 절차를 사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CAT-4 LBT를 사용하는 UE 개시 COT의 경우(도 4(b) 참조), gNB는 UE 개시 COT 내에서 PDCCH 또는 PDSCH를 전송하기 위해 CAT-2 LBT를 사용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gNB 또는 UE는 수신기가 COTgNB 또는 COTUE 내에서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서, UE와 같은 수신 장치는 gNB와 같은 송신기가 실제로 전송하고 UE와 같은 수신기와 COT를 공유하는 부대역만을 청취할 수 있다. COT 공유(FeLAA = 추가로 강화된 라이선스 스펙트럼 액세스에 대해 도입됨, LAA)는 예를 들어 ETSI-BRAN에 의해 활성화된 메커니즘이고(참조 [3] 참조), 여기서 하나의 장치는 예를 들어 CAT-4-LBT를 사용하여 COT를 획득하고, 다른 장치는 전송량이 주어진 우선순위 등급에 대한 최대 COT 제한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25μs LBT를 사용하여 이 COT를 공유한다. 이 메커니즘은 업링크에서 LAA에 대한 컨세션을 허용하며, 여기서 gNB는 UE가 업링크를 통해 전송하기 전에 그랜트를 UE에 보낼 수 있고 그랜트와 해당 UL 전송 사이의 지연은 적어도 4ms이다. 4ms의 일시 중지는 COT 기간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것은 또한 자율 업링크 AUL에 대해 사용되므로, gNB가 COT를 획득하고 전체 COT를 소진하지 않고 DL을 통해 전송하면, PDCCH를 통해 모든 UE에게 UE가 구성된 COT 기간에서 단 25μs LBT로 UL 전송을 전송할 수 있도록 추가 전송 시간이 남아 있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UE 대 gNB COT 공유도 가능하며 UE는 gNB와 자신의 COT를 공유할 수 있으며, 이는 다음에 25μs 갭 및 이 갭에서 실행되는 25μs LBT로 전송할 수 있다. gNB 전송은 2개의 OFDM 심볼로 제한될 수 있고, COT를 획득하고 AUL을 전송한 UE에 대한 AUL 전송에 대한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UE와 같은 수신기는 비획득 부대역, 즉 gNB에 의해 결정된 점유 또는 사용 중인 부대역에 대한 PDCCH 모니터링을 비활성화하므로 PDCCH 블라인드 디코딩이 송신기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부대역에 대해서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허가 대역 운용에서 다운링크의 경우, UE와 같은 수신기는 하나 이상의 부대역 상에서 gNB 또는 송신기 COT의 표시의 존재/부재를 검출하기 위해 다음 동작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1. DMRS 감지:
UE는 각각의 부대역 상에서 특정 DMRS 시퀀스를 검색할 수 있고, 특정 DMRS 시퀀스는 UE로의 전송을 위해 gNB에 의해 획득된 특정 gNB-COT를 표시한다.
2. 블라인드 디코딩:
UE는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에서 gNB-COT의 표시를 감지하기 위해 PDCCH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고, 부대역에서 PDCCH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UE는 이 부대역에 대해 gNB에 의해 획득된 COT가 없다고 가정한다.
3. 명시적 신호:
gNB는 예를 들어 그룹 공통 GC, PDCCH에서 UE에 사용되는 실제 부대역을 시그널링하고, 그런 다음 PDCCH 모니터링 경우에 대해 활성 부대역, 즉 시그널링된 부대역만을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은 광대역 동작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엔티티 간의 무선 통신의 향상 또는 개선, 예를 들어 NR-U 광대역 개선을 제공하며 이러한 광대역 동작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측면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이동 단말기 또는 IoT 장치와 같은 사용자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기지국과 같은 송신기(300), 및 사용자 장치 UE와 같은 하나 이상의 수신기(3021 내지 302n)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송신기(300) 및 수신기(302)는 라디오 링크와 같이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링크 또는 채널(304a, 304b, 304c)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송신기(30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ANTT)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 신호 처리부(300a) 및 송수신기(300b)가 결합되어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302)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ANTR)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안테나 어레이, 신호 프로세서(302a1, 302an), 및 서로 결합된 송수신기(302b1, 302bn)를 포함한다. 기지국(300) 및 UE(302)는 U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무선 링크와 같이 각각의 제 1 무선 통신 링크(304a 및 304b)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반면, UE(302)는 PC5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무선 링크와 같이 제 2 무선 통신 링크(304c)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UE가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지 않고, 기지국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RRC 연결 상태에 있지 않으며, 또는 더 일반적으로, SL 자원 할당 구성 또는 지원이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지 않는 경우, UE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시스템, 하나 이상의 UE(302) 및 기지국(300)은 여기에 설명된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기지국 또는 사용자 장치와 같은 네트워크 장치
제 1 측면 - 회복된 부대역의 시그널링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청구항 1 참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장치(UE, gNB)를 제공하고,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장치는: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초기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고,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수신(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초기 LBT가 상기 부대역 중 하나 이상을 점유한다고 나타낸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초기에 점유된 부대역 중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하나 이상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점유된 부대역에 대해 추가 LBT를 수행하고,
상기 초기에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에 더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수신(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2 참조), 상기 장치는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과 동일하거나,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보다 길거나,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보다 짧은,
전송 시간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수신(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3 참조), 상기 하나 이상의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의 상기 전송 시간은: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의 종료와 실질적으로 일치하거나;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의 종료와 일치하지 않는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4 참조), 상기 장치는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상기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에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5 참조), 상기 장치는 상기 초기에 비점유된 부대역 중 하나 이상 및/또는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상기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에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나타낸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6 참조), 제어 메시지(DCI, UCI, RRC, OTT)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에 제공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 또는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에 의한 오버더탑(OTT)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장치에 의해 제공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7 참조), 상기 제어 메시지는, 예를 들어, 상기 부대역과 연관된 상기 부대역 필드의 각 비트를 비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값 또는 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제 2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상기 부대역 중 어느 것이 이용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부대역 필드를 포함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8 참조), 상기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gNB)이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UE)에게 PDCCH에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PDCCH는 DCI를 포함하거나, 상기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장치(UE)이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기지국(gNB)에게 PUCCH에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PUCCH는 UCI를 포함하거나, 상기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장치(UE)이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UE)에게 PSCCH에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PSCCH는 SCI를 포함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9 참조), 상기 시그널링은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에 대한 주파수 및/또는 대역폭을 나타낸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10 참조),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레이트 매칭 절차를 수행하는 것과 같이,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통해 전송을 준비하기 위해서,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사용하여 전송하기 전에 특정 시간 동안 대기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11 참조), 상기 장치는 미리 구성된 타이머 또는 구성된 타이머인 타이머(T)를 더 포함하고, 그 이후 상기 장치가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타이머는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의 존재를 나타내는 표시 또는 시그널링 직후에 시작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12 참조), 상기 장치는 상기 부대역을 예약하기 위해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과 연관된 전송 시간의 시작시 예약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청구항 13 참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장치(UE, gNB)를 제공하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장치는: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상기 광대역 통신이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허용되는 비점유 부대역 및 상기 광대역 통신이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허용되지 않는 점유 부대역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리슨비포토크(LBT)를 실행하고,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수신(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는 복수의 미리 정의된 메시지를 포함하고, 각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특정 LBT 패턴과 관련되고, 상기 LBT 패턴은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비점유 및 점유 부대역을 나타내고,
상기 장치는 특정 LBT 패턴을 나타내는 상기 LBT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메시지로부터 상기 특정 LBT 패턴과 연관된 메시지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에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14 참조), 상기 LBT 패턴은: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상기 비점유 및 점유 부대역만, 또는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상기 비점유 및 점유 부대역 외에, 예를 들어, 상기 UL에서 연속적인 부대역의 사용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수신(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비점유 부대역, 또는
예를 들어, 상기 UL에서 인접한 부대역의 사용을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송수신기와 송수신(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데에 실제로 사용되는 비점유 부대역만을 나타낸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15 참조), 상기 장치는 상기 비점유 부대역들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특정 전송 시간의 시작시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16 참조), 상기 미리 정의된 메시지는 시퀀스 기반 인코딩을 갖는 짧은 PDCCH 또는 PUCCH 또는 PSCCH 형식, 예를 들어 PUCCH 형식 0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17 참조), 상기 미리 정의된 메시지는 다수의 가능한 LBT 패턴을 나타내고, 상기 동일한 상태에 있는 LBT 패턴은 예를 들어 전력 감지, 블라인드 디코딩 또는 DMRS 감지를 활용하여, 서로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18 참조),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은 4개의 부대역을 포함하며, LBT 패턴은 복수의 비트, 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의 부대역 필드의 비트를 사용하여 시그널링되고, 제 1 값을 갖는 비트는 비점유 상태를 나타내고, 제 2 값을 갖는 비트는 점유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LBT 패턴은, 2 비트를 이용할 때:
TX에 사용되는 LBT 부대역
(W -비점유 또는 획득 또는 사용중/전송중,
L - 점유 또는 손실 또는 비 사용중/비 전송중)
00 WWWW
01 WWWL / LWWW
10 LLWW / WWLL
11 LWWL
또는
TX에 사용되는 LBT 부대역
(W -비점유 또는 획득 또는 사용중/전송중,
L - 점유 또는 손실 또는 비 사용중/비 전송중)
00 WWWW
01 WWWL / LWWW
10 LLWW / WWLL / LWWL
11 WLLL / LWLL / LLWL / LLLW
또는
TX에 사용되는 LBT 부대역
(W -비점유 또는 획득 또는 사용중/전송중,
L - 점유 또는 손실 또는 비 사용중/비 전송중)
00 WWWW / WLLL / LLLW
01 WWWL / LWWW
10 LLWW / WWLL / LWWL
11 LWLL / LLWL
와 같이 시그널링되거나, 상기 LBT 패턴은, 3 비트를 이용할 때:
TX에 사용되는 LBT 부대역
(W -비점유 또는 획득 또는 사용중/전송중,
L - 점유 또는 손실 또는 비 사용중/비 전송중 )
000 WWWW
001 LWWW
010 WWWL
011 LLWW
100 WWLL
101 LWWL
110 LLWL
110 LWLL
111 WLLL / LLLW
와 같이 시그널링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청구항 19 참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장치(UE, gNB)를 제공하고,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gNB, UE)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장치는 광대역 구성 세트를 포함하고,
각 광대역 구성은 특정 리슨비포토크(LBT) 패턴과 연관되고, 상기 LBT 패턴은 상기 미리 정해진 광대역에 대해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비점유 부대역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지 않는 점유 부대역을 나타내고, 상기 LBT 패턴은 상기 송수신기(gNB, UE)가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LBT를 수행하여 획득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송수신기(gNB, UE)로부터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사용될 상기 광대역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나타내는 상기 광대역 구성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gNB, UE)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20 참조), 상기 광대역 구성의 상기 표시는 DL 할당 또는 UL 승인 또는 사이드링크 SL 승인과 함께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수신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21 참조),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RRC 또는 L1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광대역 구성 세트를 상기 송수신기(gNB, UE)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22 참조), 상기 장치는 상기 송수신기(gNB, UE)로부터 DCI 또는 UCI와 같은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메시지는 사용할 상기 광대역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청구항 23 참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장치(gNB, UE)을 제공하고,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장치는 광대역 구성 세트로 상기 송수신기를 구성하도록 적응되고,
각 광대역 구성은 특정 리슨비포토크(LBT) 패턴과 연관되고, 상기 LBT 패턴은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에 대해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비점유 부대역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지 않는 점유 부대역을 나타내고, 상기 LBT 패턴은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LBT를 수행하여 상기 장치(gNB, UE)에 의해 획득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사용될 상기 광대역 구성의 표시를 상기 송수신기(gNB, UE)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24 참조), 상기 광대역 구성의 상기 표시는 DL 할당 또는 UL 승인 또는 사이드링크 SL 승인과 함께 전송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25 참조),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RRC 또는 L1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UE, gNB)에 상기 광대역 구성 세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26 참조), 상기 장치는 DCI 또는 UCI와 같은 제어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기(UE, gNB)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사용될 상기 광대역 구성을 포함하한다.
제 4 형태 - PUSCH 또는 PDSCH와 같은 전송 준비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청구항 27 참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장치(UE, gNB)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gNB, UE)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한 광대역 구성 세트를 포함하고, 각 광대역 구성은 상기 광대역 통신에 사용될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부대역의 수를 나타내고,
상기 송수신기(gNB, UE)로부터 사용될 상기 광대역 구성의 암시적 또는 명시적 표시 및 상기 송수신기로의 전송을 위한 승인을 수신한 후, 상기 장치는 복수의 전송을 준비하도록 구성되고, 각 전송은 상기 표시된 광대역 구성과 상이한 수의 부대역 및/또는 상이한 패턴의 부대역(예를 들어, 구별하는 상이한 부대역 패턴, 또한 주파수)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LBT 패턴을 획득하도록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고 - 상기 LBT 패턴은 상기 미리 정해진 광대역에 대해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비점유 부대역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지 않는 점유 부대역을 나타내고, 상기 광대역 구성은 상기 전체 광대역이거나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시그널링된 부대역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구성임 - ,
하나 이상의 특정 기준을 충족하거나 상기 LBT 패턴에 가장 잘 맞는 준비된 전송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선택된 전송을 상기 송수신기(gNB, UE)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28 참조),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RRC 또는 L1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준비할 상기 전송 세트를 상기 송수신기(gNB, UE)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29 참조), 상기 하나 이상의 특정 기준은:
미리 정의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데이터 속도,
상기 LBT 패턴에 맞는 가장 큰 전송 블럭 크기(TBS),
상기 LBT 패턴에 맞는 가장 많은 부대역 수,
미리 정의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채널 품질,
상기 연관된 부대역 구성의 우선순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30 참조), 상기 장치는:
짧은 전송 길이, 예를 들어 하나의 부대역을 갖는 전송을 준비하여, 사용가능한 경우 다른 부대역을 통한 상기 전송을 보내어 다른 부대역을 사용 중으로 유지하거나, - 상기 장치는 사용된 부대역의 수를 표시함 - ,
상이한 전송 길이, 예를 들어 상이한 수의 부대역을 갖는 다중 전송을 생성하여, 비점유된 부대역의 수에 가장 가까운 크기, 부대역의 수를 갖도록 상기 전송을 펑처링하거나 - 상기 장치는 사용된 부대역의 수를 표시함 - ,
상이한 전송 길이, 예를 들어 상이한 수의 부대역을 갖는 다중 전송을 생성하여, 비점유 부대역의 수보다 작거나 같은 최고 길이의 상기 전송을 선택하도록 - 상기 장치는 사용된 부대역의 수를 표시할 수 있음 - 구성된다.
제 5 측면 - 비 획득 부대역에 가능한 제어 채널 모니터링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청구항 31 참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장치(UE, gNB)를 제공하고,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장치는: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소정의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을 결정하기 위해 초기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고,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수신(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및 상기 초기 LBT가 상기 부대역 중 하나 이상이 점유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점유된 부대역을 모니터링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구성하도록 적응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32 참조), 상기 구성은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 또는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에 의한 오버더톱(OTT) 스그널링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청구항 33 참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장치(UE, gNB)를 제공하고,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장치는: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비점유 부대역 표시를 수신하고 - 상기 비점유 부대역은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LBT를 수행하여 상기 송수신기(gNB, UE)에 의해 획득됨 - ,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상기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점유된 부대역의 표시를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추가로 수신하고,
상기 점유된 부대역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34 참조),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 또는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에 의한 오버더톱(OTT)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부대역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제 6 측면 - 펑처링된 부분 추가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청구항 34 참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장치(UE, gNB)을 제공하고,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장치는: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 및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지 않는 점유 부대역을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초기 리슨 비포 토크(LBT)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송은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 1 부분 및 하나 이상의 점유 부대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전송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부분을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에 상기 전송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부분을 추가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36 참조), 상기 장치는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송수신기에게: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부분이 전송되는 것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부분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에 대해 알리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37 참조), 상기 장치는:
펑처링이 발생했으며 하나 이상의 펑처링된 부분의 재전송이 수행된 것을 나타내거나,
하나 이상의 펑처링된 부분의 재전송이 수행된 것을 나타내어, 펑처링이 발생한 것을 상기 송수신기에 알리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38 참조), 상기 장치는 상기 원래 전송의 시작 또는 종료에서 상기 펑처링/재전송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39 참조), 상기 전송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부분을 상기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에 추가하는 단계는:
새로운 전송 시간(COT)을 시작하는 단계, 또는
현재 전송 시간(COT)을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40 참조), 새로운 전송 시간(COT)을 시작하기 위해,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CAT-4 또는 CAT-2 LBT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초기 비점유 부대역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상기 현재 전송 시간(COT)의 종료시 추가 LBT를 수행하고,
상기 초기에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이 점유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상기 추가 LBT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부분을 추가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41 참조), 상기 현재 전송 시간(COT)을 연장하기 위해,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상기 LBT가 최대 허용되는 COT 기간을 얻기 위해 경합 창 크기(CWS)를 선택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부분 중 적어도 일부를 추가하기에 충분한 전송 시간(COT)을 획득하도록 상기 초기 LBT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42 참조), 상기 가능한 전송 시간(COT)은 예를 들어, DCI 또는 UCI를 사용하여 상기 원래 전송 내에서 시그널링된다.
제 7 측면 - LBT 없이 별도의 부반송파 간격(SCS) 빠른 제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청구항 43 참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위한 장치(UE, gNB)를 제공하고,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장치는: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에서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을 결정하기 위해 초기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부대역들 중 하나 이상은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특정 부반송파 간격으로 상기 제 1 부분에서 상기 송수신기로 전송하거나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특정 부반송파 간격과 다른 추가 부반송파 간격으로 상기 제 2 부분에서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하거나 송수신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44 참조),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특정 부반송파 간격은 전송을 위한 제 1 부반송파 간격 및 수신을 위한 제 2 부반송파 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반송파 간격 및 상기 제 2 부반송파 간격은 상이하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45 참조), 상기 추가 부반송파 간격은 상기 특정 부반송파 간격보다 크며,
상기 부대역의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송수신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며,
상기 부대역의 상기 제 2 부분은 LBT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송수신기로의, 예 들어 HARQ 피드백을 포함하는, PDCCH 또는 PUCCH 또는 PSCCH와 같은 실질적으로 즉각적인 제어 전송에 대해 사용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46 참조), 상기 부대역의 상기 제 2 부분은 바로, 또는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부분에 이어지며, 상기 간격은 상기 제 2 부분의 지속 시간보다 짧고, 갭 시간은 최대 갭 시간으로 16us일 수 있고, 상기 추가 부반송파 간격 SCS는 짧은 제어를 위해 상기 SCS에 대해 60kHz일 수 있고, 상기 제 2 부분은 최단 LBT 리스닝 창 지속기간보다 짧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47 참조), 상기 추가 부반송파 간격은 예를 들어 RRC를 사용하여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된다.
일반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청구항 48 참조), 상기 장치는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고, 상기 UE는 모바일 단말, 고정 단말, 셀룰러 IoT-UE, 차량 UE, 차량 그룹 리더(GL) UE, IoT 또는 협대역 IoT, NB-IoT 디바이스, 또는 지상 기반 차량, 공중 차량, 드론, 움직이는 기지국, 도로변 유닛, 빌딩,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센서나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연결성을 구비한 임의의 아이템이나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매크로 셀 기지국, 스몰 셀 기지국, 기지국의 중앙 유닛, 또는 기지국의 분산 유닛, 또는 도로 측 유닛, UE, 그룹 리더(GL), 릴레이, 원격 무선 헤드, AMF, SMF,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 모바일 에지 컴퓨팅 엔터티, NR 또는 5G 코어 컨텍스트에서와 같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임의의 전송/수신 포인트 TRP, 아이템 또는 장치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하는 전송/수신 지점(TRP) - 상기 아이템 또는 디아비스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연결성이 제공됨 -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시스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청구항 49 참조) 본 발명의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방법
제 1 측면 - 회복된 부대역의 시그널링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청구항 50 참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을 결정하기 위해 초기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및 상기 초기 LBT가 상기 부대역의 하나 이상이 점유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점유된 부대역에 대해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상기 초기 점유 부대역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기 위해 추가 LBT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에 비점유된 부대역에 더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 2 측면 - LBT 결과 보고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청구항 51 참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비점유 부대역과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지 않는 점유 부대역을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결정하기 위해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수신하는 단계 - 복수의 미리 정의된 메시지가 제공되고, 각각의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특정 LBT 패턴과 연관되며, 상기 LBT 패턴은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비점유 및 점유 부대역을 나타냄 - ; 및
특정 LBT 패턴을 나타내는 상기 LBT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메시지들로부터 상기 특정 LBT 패턴과 연관된 메시지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에 시그널링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 3 측면 - 광대역 동작을 위해 미리 구성된 승인/할당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청구항 52 참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gNB, UE)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광대역 구성 세트가 제공되며,
각 광대역 구성은 특정 리슨비포토크(LBT) 패턴과 연관되며, 상기 LBT 패턴은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에 대해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비점유 부대역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지 않는 점유 부대역을 나타내며, 상기 LBT 패턴은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LBT를 수행하여 송수신기(gNB, UE)에 의해 획득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송수신기(gNB, UE)로부터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사용될 상기 광대역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나타내는 상기 광대역 구성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gNB, UE)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4 측면 - PUSCH 또는 PDSCH와 같은, 전송 준비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청구항 53 참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gNB, UE)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광대역 구성 세트를 제공하는 단계 - 각 광대역 구성은 상기 광대역 통신에 사용될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의 부대역 수를 나타냄 - ,
상기 송수신기(gNB, UE)로부터 사용될 상기 광대역 구성의 묵시적 또는 명시적 표시 및 상기 송수신기로의 전송을 위한 승인을 수신한 후, 복수의 전송을 준비하는 단계 - 각각의 전송은 상기 나타낸 광대역 구성과 상이한 수의 부대역 및/또는 상이한 패턴의 부대역(예를 들어, 주파수를 구별하는 상이한 부대역 패턴)을 포함함 - ,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여 LBT 패턴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LBT 패턴은 상기 미리 정해진 부대역에 대해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비점유 부대역 및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지 않는 점유 부대역을 나타내고, 상기 광대역 구성은 전체 광대역이거나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시그널링된 부대역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음 -
하나 이상의 특정 기준을 충족하거나 상기 LBT 패턴에 가장 잘 맞는 준비된 전송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선택된 전송을 상기 송수신기(gNB, UE)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5 측면 - 비 획득된 부대역에 갸능한 제어 채널 모니터링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청구항 54 참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을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결정하기 위해 초기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초기 LBT가 상기 부대역의 하나 이상이 점유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점유된 부대역을 모니터링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청구항 55 참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비점유 부대역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비점유 부대역은 상기 송수신기(gNB, UE)에 의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LBT를 수행하여 획득됨 - ;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상기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점유된 부대역의 표시를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더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점유된 부대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6 측면 - 펑처링된 부분의 추가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청구항 56 참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지 않는 점유 부대역을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결정하기 위해서 초기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전송은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 1 부분 및 하나 이상의 점유 부대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 2 부분을 포함함 - ,
상기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전송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부분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부분을 상기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7 측면 - LBT 없이 별도의 부반송파 간격(SCS) 빠른 제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청구항 57 참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고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을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결정하기 위해서 초기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부대역의 하나 이상은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특정 부반송파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부분에서 상기 송수신기와 송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부반송파 간격과 다른 추가 부반송파 간격으로 상기 제 2 부분에서 상기 송수신기와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본 발명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제 50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제 1 측면 - 회복된 부대역의 시그널링
이 측면에 따르면, COT와 같이, 송신기에 의해 획득한 전송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광대역 통신을 위해 초기에 사용 중이거나 점유된 부대역, 즉 비획득 부대역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특정 부대역에서 다른 통신 시스템에 의한 통신이 COT 동안 종료되어 이 대역이 더 이상 점유되지 않고 광대역 통신을 위해 회복될 수 있다. 이것이 발생하는 경우, 광대역 통신을 시작한 엔티티, 예를 들어 gNB 또는 UE는 UE(들) 또는 gNB(들) 또는 임의의 다른 송수신기와 같은 각각의 통신 파트너(들)에 하나 이상의 초기에 점유된 부대역이 회복되고 이제 이러한 회복된 부대역에서도 전송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신호보낼 수 있다.
도 6은 gNB와 같은 송신기는 스케줄링된 자원 세트, 예를 들어 특정 채널 점유 시간(COT) 동안 스케줄링된 BWP(200)를 통해 광대역 동작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제 1 측면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4와 유사한 방식으로, BWP(200)는 각각 특정 대역폭, 예를 들어 20MHz를 갖는 4개의 부대역(2001 내지 2004)에 걸쳐 있으므로, 광대역 작동은 80MHz 대역 이상이다. 초기에, gNB는 도 6의 우측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부대역(2001 내지 2002) 각각에 대해 각각의 LBT를 수행한다. 각각의 LBT는 초기에, 즉, 시간 t0에서 부대역 중에서 부대역(2002 내지 2004)만이 비어 있거나 점유되지 않고, 즉, gNB에 의한 광대역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부대역(2001)에 대해 수행된 LBT는 시간 t0에서 이 부대역이 비어 있지 않거나 점유되어, 즉 전송에 사용되지 없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gNB는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시간 t1에서 부대역(2001)이 더 이상 점유되지 않고 따라서 gNB의 광대역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도 3을 참조하여 위에서 논의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부대역(2001)에 대해 확장된 CCA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비획득 부대역(2001)에 대해 LBT를 계속 수행한다. 부대역(2001)의 가용성 감지에 응답하여, gNB는 예를 들어, 초기 자유 부대역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전송된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에 각각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광대역 동작이 지시되는 UE(들)와 같은 수신기(들)에 이것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 예에서, 초기 비어있는 부대역들(2002 내지 2004) 각각에서, PDCCH(2021 내지 2023)가 전송되어 수신기에 대한 데이터가 또한 전송되는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2001) 내의 각각의 자원들을 수신기에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이 각각의 자원을 가리키는 것을 각각의 PDCCH로부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2001)를 가리키는 각각의 화살표(2041 내지 2043)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현된다.
도 6은 송신기가 기지국 또는 gNB인 실시 예를 도시하지만, 송신기가 예를 들어, gNB로 전송하는 UE와 같은 사용자 장치인 경우에도 동일한 접근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이 경우, UE는 초기에 점유된 부대역이 현재 이용 가능하고, 데이터가 예를 들어, 각각의 부대역(2002 내지 2004)에서 도 6에 설명된 방식으로, 각각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 상에서도 데이터가 전송된다는 것을 gNB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도 6은 초기 비점유 부대역 각각에서 각각의 정보(2021 내지 2023)를 전송하는 것을 예시하지만, 이 정보는 초기에 이용 가능한 부대역의 서브세트에서만 전송될 수 있다. 더욱이, 초기에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에서,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의 자원을 표시하는 대신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메시지(2021 내지 2023)는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2001)에서 전송된 PDCCH(2024)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제어 메시지에 대해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2001)도 모니터링하도록 수신기에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gNB와 같은 송신기는 gNB COT 동안 비획득 부대역에서, 즉, 초기 LBT가 점유 중이거나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부대역에서 LBT를 계속 수행한다. 하나 이상의 신규/추가 부대역이 도 6의 부대역(2001)과 같이 gNB-COT 내에서 획득되는 경우, gNB는 이 새로 획득한 부대역에서도 전송할 수 있다. 부대역(2001)과 같은 새로운 부대역의 가용성이 결정되면, gNB는 이미 획득한 부대역(2002 내지 2004)에 추가하여 새로운 부대역에서 전송을 시작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gNB는 다음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 정렬 종료 COT:
gNB COT의 종료 시까지 또는,
● 정렬되지 않은 종료 COT:
이 부대역을 얻기 위해 수행된 LBT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COT는 원래 COT보다 길거나 짧을 수 있다.
도 6은 새로운 부대역(2001)이 원래 부대역(2002 내지 2004)의 gNB COT와 정렬되어 종료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새로운 부대역(2001)이 초기에 사용된 부대역(2002 내지 2004)에 대한 다른 gNB COT와 독립적인 자체의 새로운 gNB COT를 갖는 실시 예를 예시한다. 도 7의 실시 예에서, 새로 획득되거나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2001)의 COT는 초기 부대역의 COT보다 길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또는 원래의 gNB COT는 t0에서 t2까지 연장되는 반면, 회복되거나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2001)와 관련된 COT는 t1에서 t3까지 지속된다.
이미 사용된 COT, 예를 들어 부대역(2002 내지 2004)에 대한 COT 내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GC-PDCCH를 사용하여 광대역에서 또한 동작하는 UE와 같은 수신기에 새로운 부대역(2001)이 이제 광대역 동작을 위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이 표시/시그널링된다. 이러한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5GHz 반송파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는 20MHz의 상기 예에 부대역 크기가 고정되지 않은 경우 특정 할당 또는 부대역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각각의 PDCCH(2021 내지 2023)가 초기 획득된 부대역(2002 내지 2004)에서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송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초기에 획득된 각각의 부대역에서 모든 부대역보다 적은 양이 PDCCH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새로 획득된 부대역(2001)이 초기 gNB-COT과 정렬되지만,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새로운 부대역(2001)의 이용 가능성의 시그널링은 상이한 초기 부대역(2002 내지 2004)에서 상이한 시간에 발생하는, 도 6과 유사한 상황을 도시하는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PDCCH는 서로 다른 시간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부대역(2001)이 시간 t1에서 또한 이용가능하다고 결정되면, 제 1 PDCCH(2021)는 동일한 시간 t1에 또는 나중에 제 1 초기 자유 또는 비점유 부대역(2002)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초기에 사용된 부대역(2003 내지 2004)에서, 각각의 PDCCH(2022, 2023)는 예를 들어, 부대역(2003)에서 시간 t1'보다 늦은 시간 t1'에 및 부대역(2004)에서 및 시간 t1 및 t1'보다 긴 시간 t1''에, PDCCH(2021)의 초기 전송에 이어 서로 다른 시간에 전송될 수 있다.
전술한 도 6, 도 7 및 도 8의 실시 예에 관하여, gNB나 UE와 같은 송신기 및 UE와 gNB와 같은 수신기 사이에서 광대역 동작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설명한 것에 유의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gNB 또는 기지국과 UE와 같은 사용자 장치 간의 통신에 국한되지 않으며, 오히려, 위에서 설명된 원리는 D2D, V2V, V2X 통신과 같은 장치 대 장치 통신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통신은 각 장치 간의 사이드링크를 통해 이루어진다. 송신기는 제 1 UE이고 수신기는 제 2 UE이다.
제 1 측면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송신기로부터의 광대역 통신의 수신기는 송신기의 COT 내에서 수신기로부터 송신기로의 전송을 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gNB가 송신기인 상황을 고려할 때, 도 6 내지 도 8에 표시된 gNB COT 내에서, 수신기는 UE와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부대역 상에서 UE로부터 gNB로의 업링크 전송,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일부 피드백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제 1 측면에 따르면, 업링크처럼, 송신기로의 이 전송을 다시 보내기 위해, 광대역 동작에서 업링크을 위해 회복된 부대역 스위칭 타이머가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기는 예를 들어 레이트 매칭 절차와 같이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 상에서의 전송을 준비하기 위해 회복되거나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에서 전송하기 전에 특정 시간 동안 기다릴 수 있다.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에서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은 (사전)구성에 의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연결 설정 중에 송신기에 나타내는 수신기의 UE 능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대역 동작에서 UE가 수신기인 경우, UE는 LBT가 부대역의 가용성을 나타낸 직후에 새로 획득한 부대역(2001)에서 PUSCH와 같은 업링크 전송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UE는 미리 구성된 타이머 또는 DCI 메시지 등에 의해 구성된 타이머일 수 있는 타이머 T를 대기할 수 있고, 그 후 UE는 회복된 부대역(2001)을 통해 전송한다. 이러한 상황은 회복된 부대역(2001)에 대해, UE 또는 수신기가 새로운 부대역(2001)이, 예를 들어, 회복된 부대역(2001)에서 PDCCH(2024)의 수신으로부터 언급된 타이머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시간 T 동안 이용가능하다는 표시를 송신기로부터 획득한 후 시간 T 이후인 시간 t1'''에서 전송되는 PUSCH(2061)를 도시하는 도 6에 개략적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타이머는, 실시 예에 따라, 회복된 부대역(2001)의 존재의 표시 또는 시그널링 직후에 시작한다. 시간 T는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거나 더 긴 광대역 PUSCH를 준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즉, 도 6에 표시된 PUSCH(2061)는 초기에 이용 가능한 부대역(2002 내지 2004) 중 하나 이상에 걸쳐 있을 수도 있다.
제 1 측면의 추가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PDCCH와 같은 제어 메시지는, 예를 들어, DCI의 부대역 필드에서 대응하는 비트를 설정함으로써 더 이상 점유되지 않는 부대역(2001)과 같이 획득된 부대역을 시그널링하는 DCI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CI는 회복된 부대역을 부대역 필드에서 시그널링에 사용되는 최대 비트 수를 각 비트별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후에 표시된 표는 광대역 동작을 위한 복수의 또는 최대 수의 부대역으로부터 이용 가능한 부대역을 DCI에서 시그널링하기 위한 예를 나타낸다. 처음 세 표은 2비트 부대역 필드를 사용하여 가능한 시그널링을 나타내므로 DCI는 부대역을 2로 시그널링하기 위한 최대 비트 수를 나타낼 수 있고, 처음 세 표에 표시된 비트의 특정 조합은 광대역 통신에 사용할 수 있는 각 부대역을 나타낸다. 네 번째 표은 3비트를 사용하여 사용 가능한 부대역을 시그널링하는 예를 나타내며, 즉, DCI는 시그널링에 사용될 최대 비트 수를 3으로 시그널링하고, 표에 표시된 3 비트의 각 조합에 의해 사용 가능한/사용 불가능한 부대역이 시그널링된다.
[표 1] 예를 들어 DL 제어 정보(DCI)에 보고된 예시적인 LBT 패턴
TX에 사용되는 LBT 부대역
(W -비점유 또는 획득 또는 사용중/전송중,
L - 점유 또는 손실 또는 비 사용중/비 전송중)
00 WWWW
01 WWWL / LWWW
10 LLWW / WWLL
11 LWWL
[표 2] 예를 들어 DL 제어 정보(DCI)에 보고된 예시적인 LBT 패턴
TX에 사용되는 LBT 부대역
(W -비점유 또는 획득 또는 사용중/전송중,
L - 점유 또는 손실 또는 비 사용중/비 전송중)
00 WWWW
01 WWWL / LWWW
10 LLWW / WWLL / LWWL
11 WLLL / LWLL / LLWL / LLLW
[표 3] 예를 들어 DL 제어 정보(DCI)에 보고된 예시적인 LBT 패턴
TX에 사용되는 LBT 부대역
(W -비점유 또는 획득 또는 사용중/전송중,
L - 점유 또는 손실 또는 비 사용중/비 전송중)
00 WWWW / WLLL / LLLW
01 WWWL / LWWW
10 LLWW / WWLL / LWWL
11 LWLL / LLWL
[표 4] 예를 들어, DL 제어 정보(DCI)에 보고된 예시적인 LBT 패턴:
TX에 사용되는 LBT 부대역
(W -비점유 또는 획득 또는 사용중/전송중,
L - 점유 또는 손실 또는 비 사용중/비 전송중 )
000 WWWW
001 LWWW
010 WWWL
011 LLWW
100 WWLL
101 LWWL
110 LLWL
110 LWLL
111 WLLL / LLLW
본 발명의 제 1 측면의 추가 실시 예에 따르면, 광대역 동작을 위해 초기에 점유된 부대역을 회복한 송신기, 예를 들어 gNB 또는 UE는 부대역이 광대역 동작을 위해 예약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와 관련된 전송 시간의 시작 부분에서 예약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새롭게 획득된 부대역의 시작에서 예약 시그널링을 예시하는 본 발명의 제 1 측면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새로 획득된 부대역(2001)의 COT가 원래 사용된 부대역(2002 내지 2004)의 COT와 정렬되는 도 6과 유사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208에서 예를 들어 초기에 수케줄링될 수 있는 UE가 없는 경우에, 부대역을 예약하기 위해 새로 획득한 부대역(2001)의 COT의 맨 처음에 전송되는 gNB와 같은 송신기에 의해 전송된 예약 시그널링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상황에서, PDCCH(2021 내지 2023)에 의해, UE가 회복된 부대역(2001)의 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스케줄링은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2001)의 가용성이 식별된 시간 t1 이후의 일부 시간인 시간 t1'''' 이전에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UE를 향한 데이터 전송은 시간 t1''''에서만 시작되고 다른 것을 피하기 위해, 또한 부대역(2001)을 사용하는 공존 통신 시스템이 이 부대역에서 전송을 수행하고, gNB는 예약 시그널링을 전송하므로 t1에서 시작하여 부대역(2001)이 다른 통신 시스템에 의해 사용 중이거나 점유된 것으로 인식되므로 이 부대역에서 전송하지 않고, 이것은 본 발명의 접근 방식에 따라 gNB의 광대역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9와 관련하여, 예약 신호는 또한 위에서 설명된 다른 실시 예들, 즉 도 6, 도 7 및 도 8의 실시 예들과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제 2 측면 - LBT 결과 보고
이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송신기, 예를 들어 기지국 gNB 또는 사용자 장치 UE에 의해 개시되는 바와 같은 LBT의 결과에 대한 개선된 보고를 위한 접근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특정 COT를 사용하는 UE 개시 광대역 동작의 경우, LBT 절차는 LBT 부대역의 서브세트, 즉 점유되거나 사용 중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부대역에서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제 1 측면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그러한 실패는 수신기에 대한 각각의 제어 메시지에서 시그널링되어야 한다. UE 개시 광대역 동작을 고려할 때 수신기는 기지국이다. 이러한 UE 개시 광대역 동작에 대해 고려해야 할 문제는 PUSCCH 또는 PUSCH를 준비하는 데 약간의 준비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그널링을 준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준비 시간 동안 업링크에서 UE로부터의 전송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제한되므로, UE에 의해 새로 확보되고 공존하는 통신 시스템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는 부대역은 그러한 공존 시스템에 비어 있거나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공존 시스템은, 예를 들어, 광대역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부대역을 표시하기 위해 현재 gNB로의 시그널링을 준비하고 있는 UE에 의해 초기에 획득되었던 부대역 상에서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는 UE와 마찬가지로 요구되는 비트 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더 넓은 대역폭에 걸쳐 있는 활성 BWP 내에서 원래 구성되거나 미리 구성된 수의 부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한 가용성을 신호하기 위해 단일 비트를 포함하여, PUCCH 또는 PUSCH 전송과 같은 메시징 또는 시그널링을 준비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부대역이 구성된 경우 송신기는 각 부대역의 LBT 결과를 나타내는 4비트를 각 비트에 전송한다. 이것은 더 많은 준비 시간을 필요로 하는, 포맷 0이 아닌 다른 PUCCH 포맷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 측면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LBT 절차가 완료된 후 시그널링을 생성하기 보다는, UE와 같은 송신기는 광대역 동작을 위해 사용될 광대역의 점유 및 비점유 부대역을 나타내는 각각의 LBT 패턴과 연관된 복수의 미리 정의된 메시지를 보유한다. 따라서, LBT 절차가 완료되고 통신에 사용할 수 있는 전체 광대역에서 부대역의 수가 알려지면 UE와 같은 송신기는 미리 정의된 메시지 중 적절한 하나를 선택하여 다음과 같은 부대역을 gNB에 즉시 시그널링할 수 있다. 업링크 통신을 위해 UE에 의해 사용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광대역 구성, 즉 광대역 동작을 위한 광대역을 구성하는 부대역의 수는 시스템에서 구성되거나 미리 구성될 수 있므로, 실시 예에 따르면 미리 정의된 메시지는 점유된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부대역과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만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그 비점유 부대역만이 gNB와 같은 송수신기로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데 실제로 사용되는 메시지에서 시그널링되거나 표시된다. 실제 사용 가능하고 사용되는 부대역은 전송을 위해 연속적인 부대역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는 예를 들어 UE에서 gNB로의 업링크 전송의 경우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도 4(b) 참조).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메시지는,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이 다수의 연속적인 부대역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점유 및 점유 부대역뿐만 아니라, 실제로 전송에 사용되는 비점유 부대역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은 PUSCCH와 같은 업링크 시그널링에서 LBT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의 실시 예를 예시한다. 도 10은 광대역 동작이 UE에 의해 개시되는 상황을 가정하고, 즉 도시된 실시 예는 UE로부터 gNB로의 업링크 통신에 관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9와 유사한 방식으로, 미리 구성된 광대역 동작은 예를 들어 20MHz와 같은 동일한 대역폭의 4개의 부대역(2001 내지 2004)를 포함하는 BWP(200)를 사용하여 가정된다.
도 10(a)는 UE가 부대역(2001 내지 2004) 각각에 대해 도시된 실시 예에서 LBT 부대역(2003 및 2004)이 사용 중이 아닌, 즉 자유 또는 비사용 중이어서 채널 점유 시간 COTUE 동안 점유되고 gNB를 향한 광대역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고 결과된 LBT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다. 다음, LBT 절차는 시간 t0에서, 즉 COTUE의 시작에서 PUCCH(210)와 같은 제어 시그널링이 시그널링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a)에 표시된 사용 가능한 부대역의 패턴에 대해, 적절한 PUCCH(210)는 복수의 미리 정의된 제어 메시지로부터 선택되고 LBT 프로세스 직후에 전송되어 업링크 전송 PUSCH에 사용되는 해당 부대역, 즉 부대역(2003 및 2004)을 gNB에 시그널링한다. 도 10(a)의 실시 예에서, 부대역(2001, 2002)는 LBT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 중 또는 점유로 결정되므로, 업링크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정 실시 예에 따르면, 업링크 통신을 위해 연속적인 부대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a)는 또한 예를 들어 LBT 부대역(2001)도 이용 가능한 것으로, 즉 비점유인 것으로 밝혀졌지만, 연속적인 부대역을 사용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해 도 10(a)에 표시된 사용 가능한 부대역 또는 비점유 부대역(2003 및 2004)만이 실제로 gNB에 대한 업링크 통신에 사용된다. 도 10(a)의 실시 예에서, UE에 의해 업링크에 사용되는 LBT 패턴에 관한 시그널링은 2개의 사용 가능한 부대역(2003 및 2004)에 걸쳐 있는 공통 메시지에서 전송된다.
도 10(b)는 업링크를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LBT 패턴의 시그널링이 사용되거나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 중 하나에서 하나의 PUCCH(210)에 의해서만 시그널링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0(a)의 것과 유사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도시된 실시 예는 부대역(2004)에서만 가능하다. 다른 실시 예에서, PUCCH(210)를 부대역(2004)에서 전송하는 것보다는, 부대역(2003)에서 전송할 수 있다.
도 10(c)는 도 10(a) 및 도 10(b)의 실시 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0(c)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업링크 통신을 위해 획득 또는 사용된 부대역 각각에서, 즉, 각 부대역(2003 및 2004)에서, PUCCH(2101 및 2102)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의된 메시지들로부터 선택된 각각의 시그널링이 전송된다.
도 10(d)는 UE에 의한 gNB로의 광대역 통신에 대해 부대역(2002)만이 이용가능하지 않다고 가정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고, 또한, 업링크의 경우에도 비연속적인 부대역이 사용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 실시 예에 따르면, 업링크 통신 PUSCH는 비점유 부대역(2001, 2003, 2004) 각각에서 수행되는 반면, 부대역(2002)은 LBT 알고리즘에 의해 점유되거나 사용 중이라고 밝혀졌다. 도 10(c)의 실시 예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PUCCH(2101 내지 2103)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PUCCH는 각 부대역에 대해 선택되고 각 부대역에서 전송된다. 도 10(d)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될 실제 LBT 부대역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각각의 시그널링 메시지는 UE가 PUCCH를 준비할 필요가 없도록 전술한 미리 정의된 복수의 메시지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오히려 전송을 위해 하나 이상의 적절한 미리 정의된 메시지를 선택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추가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부대역에서 PUCCH를 전송하는 대신에, 또한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접근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획득된 부대역의 수, 즉 비점유 또는 자유 부대역, 또는 LBT 패턴은 미리 정의된 메시지를 사용하여 시그널링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PUCCH 형식 0을 사용하는 시퀀스 기반 인코딩과 함께, 짧은 PUCCH 길이 또는 형식을 갖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시퀀스 기반 인코딩은 가능한 각 시그널링 상태가 미리 정의된 신호 시퀀스와 연관되고, 인코더가 시그널링될 상태를 기반으로 미리 정의된 신호 시퀀스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비시퀀스 기반 인코딩은 생성자 매트릭스 또는 패리티 검사 매트릭스를 제공해야 하며 코드워드, 즉 출력 시퀀스는 입력을 기반으로 계산되므로 가능한 출력 시퀀스는 그 자체로 알 수 없지만 특정 수학적 표현에 의해 계산되어야 한다. 이 프로세스는 단순히 미리 정의된 메시지를 선택하는 것보다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므로, 초기에 획득한 부대역이 시간 t0에서 전송을 수신하지 않는 위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공존 시스템에서 무료로 간주할 수 있고 이 공존 시스템에서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메시지를 사용하는 것은 이러한 상황을 피하고 UE 또는 송신기가 LBT 절차 직후 광대역 전송을 위해 획득한 부대역을 사용하기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 UE는 상술한 바와 같이, LBT를 수행한 후 일부 또는 모든 가능한 상태에 대한 신호를 미리 준비하고 적절한 시퀀스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LBT 결과가 나온 후 대기 시간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의 추가 실시 예에 따르면, LBT 보고, 즉 획득된 부대역의 시그널링 또는 LBT 절차에서 얻은 LBT 패턴의 시그널링은 여러 가능한 전송 패턴을 나타낼 수 있는 상태를 사용할 수 있다. 패턴은 예를 들어 전력 감지 또는 DMRS 감지를 활용하여 서로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공통 상태와 연관될 수 있다. 또한, 상식과 관련된 패턴은 낮은 확률의 결과와 함께 높은 확률의 결과와도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그널링될 실제 상태의 수가 감소되고, 이에 의해 더 적은 메시지, 예를 들어 적은 메지시가 적은 비트 시퀀스로 저장 및 준비되어야 하므로 UE 또는 송신기에 보고 부담을 줄이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패턴은 복수의 비트, 예를 들어 소정의 미리 정의된 LBT 패턴을 나타내는 2 또는 3 비트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아래 표는 업링크 통신을 위한 UCI 또는 다운링크 통신을 위한 DCI와 같은 제어 메시지에서 LBT 패턴을 보고하기 위한 실시 예를 예시하며, 여기서 수신 UCI/DCI는 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비트 길이의 부대역 필드를 포함하고 각각의 비트는 아래 표와 같이 설정된다. 처음 세 개의 표은 2비트 부대역 필드를 사용하여 가능한 시그널링을 나타내므로, UCI는 부대역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최대 비트 수를 2로 나타낼 수 있고, 처음 세 개의 표에 표시된 비트의 특정 조합은 광대역 통신에 사용할 수 있는 각각의 부대역을 나타낸다. 네 번째 표은 3비트를 사용하여 사용 가능한 부대역을 시그널링하는 예를 나타내며, 즉, UCI는 시그널링에 사용될 최대 비트 수를 3으로 시그널링하고, 표에 표시된 3 비트의 각각의 조합에 의해 이용가능한/이용 불가능한 부대역이 시그널링된다.
[표 1] 예를 들어 UL 제어 정보(UCI)에 보고된 예시적인 LBT 패턴
TX에 사용되는 LBT 부대역
(W -비점유 또는 획득 또는 사용중/전송중,
L - 점유 또는 손실 또는 비 사용중/비 전송중)
00 WWWW
01 WWWL / LWWW
10 LLWW / WWLL
11 LWWL
[표 2] 예를 들어 UL 제어 정보(UCI)에 보고된 예시적인 LBT 패턴
TX에 사용되는 LBT 부대역
(W -비점유 또는 획득 또는 사용중/전송중,
L - 점유 또는 손실 또는 비 사용중/비 전송중)
00 WWWW
01 WWWL / LWWW
10 LLWW / WWLL / LWWL
11 WLLL / LWLL / LLWL / LLLW
[표 3] 예를 들어 UL 제어 정보(UCI)에 보고된 예시적인 LBT 패턴
TX에 사용되는 LBT 부대역
(W -비점유 또는 획득 또는 사용중/전송중,
L - 점유 또는 손실 또는 비 사용중/비 전송중)
00 WWWW / WLLL / LLLW
01 WWWL / LWWW
10 LLWW / WWLL / LWWL
11 LWLL / LLWL
[표 4] 예를 들어, UL 제어 정보(UCI)에 보고된 예시적인 LBT 패턴:
TX에 사용되는 LBT 부대역
(W -비점유 또는 획득 또는 사용중/전송중,
L - 점유 또는 손실 또는 비 사용중/비 전송중 )
000 WWWW
001 LWWW
010 WWWL
011 LLWW
100 WWLL
101 LWWL
110 LLWL
110 LWLL
111 WLLL / LLLW
본 발명의 제 2 측면과 관련하여, 상기 실시 예들은 주로 UE와 같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gNB와 같은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통신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에 유의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업링크 통신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제 2 측면의 기초가 되는 원리는 gNB와 같은 기지국에서 UE와 같은 사용자 장치로의 다운링크 통신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측면에서와 같이, 복수의 부대역을 통한 사이드링크 광대역 통신을 사용하는 D2D, V2V, V2X 통신과 같은 사용자 장치 간의 통신에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제 3 측면 - 광대역 작동을 위해 미리 구성된 승인/할당
이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광대역 동작을 제공하고, 수신기가 복수의 미리 정의된 광대역 구성을 포함하고, 광대역 동작 동안, 광대역 동작을 위해 사용될 실제 광대역 구성의 표시를 송신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기로의 전송을 위해 표시된 광대역 구성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gNB가 시작한 광대역 동작에서, UE는 미리 구성된 광대역 동작에 기초한 광대역 승인 또는 할당을 gNB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UE는 광대역 동작이 지시되지만, 그 부대역이 비점유 부대역에서만 PDCSH 또는 PUSCH에 사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그런 다음 UE는 연속 또는 비연속 주파수 할당을 사용하여 사용되는 시그널링된 광대역 구성을 기반으로 gNB를 향해 수행될 전송을 펑처링하거나 레이트 매칭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gNB는 각각의 부대역 패턴을 포함하는 광대역 구성의 세트로 UE를 구성할 수 있고, gNB COT 내의 업링크에 대해, gNB는 업링크 승인에서 기본적으로 광대역 운용을 위해 구성된 일부 부대역이 사용 불가능한, 즉 gNB에 의해 점유된 것으로 간주되었다는 사실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될 PUSCH 구성을 명백하게 표시할 수 있다. gNB에 의해 표시된 구성은 상이한 광대역 업링크 구성의 동적 할당, 즉 상이한 광대역 부대역 크기의 사용을 허용하는 점유된 부대역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측면, 보다 구체적으로 RRC에서의 광대역 구성 및 대응하는 DCI 시그널링 또는 표시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상기 실시 예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미리 구성된 광대역을 정의하는 BWP(200)를 우측 부분에 도시한다. 물론 다른 구성도 가능한다. 도 11에 도시된 상황에서, gNB는 광대역 동작을 위해 부대역(2001, 2003 및 2004)이 사용 가능하거나 점유되지 않은 반면, 부대역(2002)는 사용 불가능, 즉 사용 중임을 나타내는 LBT 절차를 수행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부대역(2001, 2003 및 2004)은 또한 gNB에 의해 획득된 부대역이라고 하고, 부대역(2002)는 gNB에 의해 획득되지 않은 것이다.
gNB는 RRC 시그널링, 예를 들어 특정 UE 또는 UE의 특정 그룹에 대한 전용 시그널링, 또는 gNB 개시 COT 동안 UE로부터 gNB로의 업링크 전송에 사용될 가능한 광대역 구성을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트된 RRC 시그널링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RRC 시그널링은 각각의 설정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01
Wideband-PDSCH-Config-ID는 1과 최대 구성 수 사이의 정수 값이다. ID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시그널링되는 복수의 구성 또는 일련의 구성 중 특정 광대역 구성을 나타낸다. 각각의 시퀀스에 대해, 실제 ID 외에 wideband-PDSCH-Config-ID가 지시하는 바와 같이, 또한 구성된 부대역은 길이 1에서 max_subbands까지의 시퀀스인 Configured_Subbands로 표시되며, 여기서 max_subbands는 광대역 동작에 사용할 수 있는 최대 부대역 수이고, 이는 사용될 부대역 ID(1..max_nr_bands)를 표시하며, 여기서 max_nr_bands는 부대역의 총 수이다.
실제 광대역 구성 동안, gNB는 예를 들어, PDSCH에서 DCI를 전송함으로써, 계층 1(L1) 시그널링을 사용하는 업링크 자원의 할당 또는 승인을 UE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PDSCH가 발생하는 슬롯 타이밍, 즉 gNB에서 UE로의 다운링크 전송이 발생하는 슬롯 타이밍을 나타내어 광대역 PDSCH 할당을 스케줄링하는 것 외에, DCI는 또한 UE에서 gNB로의 업링크에 사용될 광대역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 뿐만 아니라 변조 및 코딩 방식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도 11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gNB가 광대역 통신에 사용 가능한 부대역 중 3개를 획득하고, DCI는 UE를 향하여 시그널링되고, 그중에서도 UE에게 부대역(2001, 2003 및 2004)이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대로 gNB를 향한 업링크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광대역 구성 1을 나타내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 3 측면에 대한 실시 예는 주로 gNB가 광대역 동작을 개시하는 상황으로 설명되었지만, 원칙은 UE가 시작한 광대역 동작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에 유의하고, 그러한 경우에, gNB는 UE 개시 COT 동안 다운링크 전송을 위한 여러 광대역 구성을 포함하고, 다운링크에 사용될 실제 광대역 구성은 UCI에서 시그널링된다. 또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기지국과 사용자 장치 사이의 U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통신에 제한되지 않으며, 오히려 원칙은 D2D, V2V, V2X 통신과 같은 사이드링크 통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UE는 초기에 복수의 이용 가능한 광대역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실제 광대역 동작 동안, 전송 UE는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SCI를 사용하여 이용 가능한 또는 비어 있는 부대역에 의존하여 사용될 실제 광대역 구성을 수신 UE에 신호보낸다.
제 4 측면 - PUSCH 또는 PDSCH와 같은 전송 준비
이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광대역 동작에서 수신기가 사용될 복수의 광대역 구성을 저장하고 적용될 실제 광대역 구성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수신기에서 송신기로의 전송에 대한 승인을 송신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따른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수신기는 복수의 전송을 준비하고, 각각의 전송은 상이한 수의 부대역 또는 상이한 패턴의 부대역을 포함한다. 전체 광대역 구성에서 가용/비 가용 또는 점유/비 점유 부대역을 산출하는 LBT에 응답하여, 적절한 전송은 준비된 전송,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특정 기준을 충족하거나 LBT 패턴과 가장 일치하는 전송에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PUSCH 승인으로 DCI를 수신한 UE를 고려할 때(예를 들어, 도 11 참조), UE는 광대역 구성 또는 광대역 구성 세트에서 고정된 수의 미리 정의된 부대역 서브세트에 대해 여러 PUSCH 전송을 준비할 수 있다. UE에 의해 수행된 LBT 결과에 기초하여, UE는:
사전 정의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데이터 속도 제공하고/하거나,
LBT 패턴에 맞는 가장 큰 전송 블록 크기를 제공하고/하거나,
LBT 패턴에 맞는 가장 많은 수의 부대역을 제공하고/하거나,
미리 정의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채널 품질을 제공하고/하거나,
사용 가능한 또는 관련 부대역 구성과 관련하여 특정 우선 순위를 갖는
PUSCH 전송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2는 UE가 3개의 상이한 PUSCH 크기를 준비하고 LBT 결과에 기초하여 하나를 선택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2(a)에서, 광대역 동작에 대해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광대역 구성이 표시되며, 이는 예시된 예에서 3개의 부대역(2001 내지 2003)에 걸쳐 있는 BWP(200)에 대한 광대역 구성이다. UE는 gNB와 UE 사이에서 광대역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광대역 구성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이라는 표시를 gNB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UE는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PUSCH 전송, 도시된 예에서 3개의 PUSCH 전송( 2061~2063)을 생성하는데, 그 중 제 1 PUSCH(2061)는 모든 부대역(2001 내지 2003)을 사용하고, 제 2 PUSCH(2062)는 부대역(2002 및 2003)만을 사용하지만 부대역(2001)은 사용하지 않고, PUSCH(2063)은 부대역(2001, 2002)를 사용하지만 부대역(2003)은 사용하지 않는다. LBT를 수행하는 UE에 대한 응답으로, 도 12(b)와 도 12(c) 사이에 표시된 바와 같이, UE는 전송(2061에서 2063) 중에서, 예를 들어 LBT 알고리즘의 결과와 가장 잘 일치하는 것을 선택한다. UE의 PHY 계층은 예를 들어 전송 블록 크기 또는 선택된 PUSCH-ID를 보고함으로써, 동일한 UE의 MAC 계층에게 어느 PUSCH가 선택되어었는지를 보고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LBT는 원래 광대역 구성(200)(도 12(a))의 이용 가능한 부대역(2001 내지 2003) 중에서 부대역(2002 및 2003)만이 이용 가능하므로, UE가 gNB로의 실제 업링크 전송을 위해,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준비된 전송(2062)을 선택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2(a)에 표시된 광대역 구성에 대해, UE는 예를 들어, 하나의 부대역을 사용하여 제 1 PUSCH, 2개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제 2 PUSCH 및 3개의 부대역, 즉 최대 부대역 수를 사용하여 제 3 PUSCH를 준비할 수 있고, UE는 LBT 결과에 응답하여 LBT 결과에 가장 잘 맞는 실제 전송을 위해 PUSCH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대역 구성은 gNB가 UE에게 시그널링하는 광대역 구성일 수 있거나, UE는 상이한 크기의 상이한 수의 부대역을 갖는 복수의 이용 가능한 광대역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고, gNB로부터 UE에 미리 저장된 광대역 구성들 중 어느 것이 광대역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지 표시를 수신한다. UE에 대한 광대역 구성의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 즉 광대역 동작이 적용되는 UE(들)에 대한 전용 시그널링 또는 gNB에 의해 커버리지 내의 모든 UE에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RRC 시그널링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ct00002
부대역의 수, 시퀀스는 길이가 1에서 max_subbands인 시퀀스인 Configured_Subbands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 있으며, 여기서 max_subbands는 광대역 동작에 사용할 수 있는 최대 부대역 수이고, 이는 사용할 부대역 ID(1..max_nr_bands)를 나타내고 여기서 max_nr_bands는 총 부대역 수이다.
다른 RRC 시그널링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ct00003
부대역의 수, 시퀀스는 1과 max_subbands 사이의 숫자인 Configured_Subbands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 있으며, 여기서 max_subbands는 광대역 동작에 사용되도록 허용되거나 (사전) 구성된 최대 부대역 수이다.
제 4 측면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르면, UE는 UE에서 이용 가능한 광대역 구성에 표시된 부대역들 중 하나 이상에서 LBT-실패를 처리하기 위해 PUSCH 전송을 상이하게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 따르면, UE는 가장 짧은 PUSCH 길이, 예를 들어 하나의 부대역만을 준비하고, 가능한 경우 다른 부대역에서 반복되는 가장 작은 크기만을 보내어, 예를 들어 도 10(c) 및 도 10(d)와 같은 방식으로 새로운 필수 LBT를 피하기 위해 대역을 사용 중으로 유지한다. UE는 업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실제 부대역을 나타내기 위해 UCI에서 각각의 비트 또는 비트 조합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UL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사용된 부대역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측면을 참조하여 위에서 나타낸 표에 표시된 비트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UE는 또한 PUCCH에서 PUSCH가 반복됨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UE는 다수의 가능한 부대역 크기를 생성하고 이용 가능한 부대역의 수에 가장 가까운 크기를 펑처링함으로써, 펑처링에 의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대역 구성에 4개의 부대역이 있고 이 중 2개만 비점유되고 준비된 가장 가까운 전송은 3개의 부대역을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전송은 하나의 점유된 부대역을 전송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펑처링될 수 있다. UE는 PUCCH를 사용한 펑처링 뿐만 아니라 제 3 측면을 참조하여 위에 도시된 표에 표시된 비트 조합을 사용하여 사용된 부대역의 수를 표시할 수 있다.
제 4 측면에 대한 실시 예는 광대역 동작을 개시하는 gNB에 대해 주로 설명되었다지만, 원칙은 UE 개시 광대역 동작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기지국과 사용자 장치 사이의 U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통신에 제한되지 않으며, 오히려 원칙은 D2D, V2V, V2X 통신과 같은 사이드링크 통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 5 측면 - 비 획득 부대역에 대한 가능한 제어 채널 모니터링
이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UE 또는 gNB가 비획득 부대역, 즉 LBT 절차에 의해 사용 중이거나 점유된 것으로 표시되는 부대역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예를 들어, UE가 구성된 BWP와 같은 구성된 광대역 구성 내에서 gNB-COT가 감지되거나 시그널링되지 않는 부대역으로 PDCCH 모니터링을 전환하는 경우, UE는 이러한 부대역, 즉 LBT에 의해 사용 중이라고 판단되는 부대역도 모니터링하도록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 측면은 예를 들어 연결 설정 동안 gNB에 표시되는 UE 능력일 수 있다. 이 측면의 장점은 이러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UE가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제 1 측면에 따르면, 새로운 부대역을 명시적으로 인지할 필요 없이 부대역이 회복된 직후에 gNB로부터 전송을 수신하는 상황에 있다는 것이다. UE는 이미 회복된 부대역에서 전송을 처리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그렇게 하기 위해 gNB로부터 어떠한 표시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측면의 실시 예들 외에, 부대역이 회복되었다는 시그널링은 필요하지 않다. 이 접근 방식은 회복된 부대역의 COT의 시작도 광대역 동작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5 측면에 대한 실시 예들은 주로 gNB와 UE 간의 통신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기지국과 사용자 장치 사이의 U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통신에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이 원리는 D2D, V2V, V2X 통신과 같은 사이드링크 통신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제 6 측면 - 펑처링된 부분의 추가
이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초기에 부대역과 연관된 데이터의 전송을 허용하지만, 부대역은 다른 시스템에 의해 점유되었기 때문에 광대역 동작에 사용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광대역 구성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예를 들어 도 12(a) 참조), 광대역 전송의 부대역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 즉 광대역 동작에 사용할 수 없는 경우, UE 또는 gNB일 수 있는 송신기는 비 획득 부대역에서 전송될 전송의 부분을 펑처링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수신기에서 전송의 디코딩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열화를 무효화하기 위해, 제6 측면의 실시 예에 따르면, UE 또는 gNB와 같은 송신기는 LBT 프로세스에 응답하여 전송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즉, 비점유 또는 비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광대역 구성으로부터 부대역의 하나 이상에 전송의 전송되지 않은 부분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3은 전송의 펑처링된 부분을 추가하기 위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3(a)는 LBT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새로운 COT를 개시함으로써 전송의 초기에 전송되지 않은 부분이 추가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3(a)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적용할 때, 예를 들어, gNB 또는 다른 UE를 향한 UE 개시 광대역 통신을 위해 3개의 부대역(2001 내지 2003)를 사용하는 광대역 구성을 나타낸다. UE에서 수행된 LBT 프로세스는 부대역들 중에서 부대역(2001)이 다른 시스템에 의해 점유되고, 즉 부대역(2002 및 2003)이 비어 있거나 점유되지 않은 동안 전송에 사용할 수 없다고 결과된다. 따라서 LBT 프로세스에 따라, 원래 전송이 펑처링되고, 즉, 점유된 부대역(2001)과 관련된 전송의 일부가 제거되고, 이용 가능한 부대역(2002, 2003)과 연관된 전송의 일부, 즉 PUSCH(206)만이 초기 전송 COTUE에서 전송된다. 펑처링을 수행한 UE는, PUSCH(206) 동안, PUCCH(210)를 전송하여 수신기, 즉 기지국 또는 다른 UE에게 전송(206)이 전송의 일부, 즉 펑처링되었고 부대역(2003)을 통한 후속 전송에서 원래 전송의 나머지 또는 펑처링된 부분(206')은 다음 전송 시간 COTUE 동안 전송된 것이라고 알린다. 도 13(a)의 예에서, 원래 전송의 펑처링된 부분(206')을 추가하기 위해, 초기에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부대역 중 하나에서 추가 LBT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COT가 시작된다. 도 13(a)의 예에서, 추가 LBT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CAT-4 또는 CAT-2 LBT를 사용하여 부대역(2003)에서 수행되고, 부대역(2003)이 여전히 사용 가능한, 즉 사용 중이 아니거나 점유된 경우, UE와 같은 송신기는 손실된 부분(206')을 수신기로 전송한다. 부대역(2003)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즉 다른 시스템에 의해 사용 중인 경우, 손실된 부분이 삭제될 수 있다.
도 13(b)는 새로운 COT가 생성될 필요가 없는, 즉 더 이상 수행될 LBT가 없고, 오히려 초기 COT가 연장되는, 이 측면의 추가 실시 예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UE 또는 gNB는 전송 자체에 대한 채널 액세스 중에 이미 COT를 연장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으며, 최대 허용 COT 기간이 원래 전송의 일부를 추가하기에 충분하도록 LBT에 대해 CWS를 선택할 수 있다. 송신기가 초기에 광대역 전송을 위한 모든 부대역을 획득하는 경우, 즉, 사용할 광대역 구성에 점유된 부대역이 없는 경우, 최대 COT 시간은 사용되지 않고 실제로 전송(206)을 전송하는 시간만 사용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이 손실된 경우, UE/gNB는 LBT 프로세스에 의해 펑처링된 부분(206')의 전송을 위해 비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부대역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추가 COT 기간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3(b)에서, UE는 초기 LBT 프로세스에서 최대 COT를 적용하지만, 원래 전송(206)에 대해 최대 COT의 첫 번째 부분만 필요하므로, 부대역(2001)이 이용가능하지 않은 도 13(a)와 함께 상술된 바와 같은 상황에서, 이 부대역과 관련된 전송은 COT의 두 번째 부분에서 사용 가능한 부대역(2002 또는 2003)에 추가될 수 있다. 제 6 측면에 대한 실시 예는 광대역 동작을 개시하는 UE에 대해 주로 설명되었지만, 원칙은 gNB 개시된 광대역 동작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기지국과 사용자 장치 사이의 U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통신에 제한되지 않으며, 오히려 이 원리는 D2D, V2V, V2X 통신과 같은 사이드링크 통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 7 측면 - LBT 없이 별도의 부반송파 간격(SCS) 빠른 제어
이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피드백 정보 등과 같은 추가적인 LBT를 적용하지 않고 실제 전송 직후에 특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제 7 측면의 실시 예는 광대역 동작 및 비 광대역 동작 모두에, 즉, 하나 이상의 부대역이 전송에 사용 가능한지 또는 다른 공존 시스템에 의한 점유로 인해 사용할 수 없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LBT를 수행하는 전송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상이한 통신 시스템들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는 단일 부대역(2001)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동작에 따른 제7 측면의 실시 예를 예시한다.
도 14(a)는 UE에서 gNB로의 업링크 전송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다. 초기에 LBT는 UE에 의해 수행되어 부대역(2001)이 비어 있는지 또는 비 점유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부대역(2001)이 비어 있는 상태인 경우, UE는 예를 들어 15KHz의 부반송파 간격을 사용하여 시간 t0 내지 시간 t1에서 LBT 프로세스에 이어 업링크 전송 PUSCH(206)를 수행한다. 업링크 통신 후 및 시간 t1에서 시간 t2 까지의 일정한 간격 후, 시간 t2부터 시작하여, UE는 60KHz의 부반송파 간격으로 gNB로부터 제어 메시지 PDCCH(202)를 추가로 수신한다.
도 14(b)는 시간 t0 내지 t1 동안 gNB에서 UE로의 다운링크 통신 및 시간 t2에서 시작하여 UE에서 gNB로의 업링크 전송에 대하여, 도 14(a)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시나리오를 보여준다.
동일한 구성이 사용자 장치 간의 사이드링크 통신에 동일한 사용되어 전송 UE가 초기에 제 1 부반송파 간격으로 전송하고 수신 UE로부터 더 높은 제 2 부반송파 간격을 사용하여 확인 등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실제 전송 후에 피드백의 직접적인 전송이 활성화되므로 추가 LBT의 필요 없이, 단일 부대역 통신 또는 광대역 통신을 사용하는 NR-U 환경에서도, 예를 들어, IEEE 802.11에서의 것과 유사한 HARQ 피드백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IEEE 802.11에서는 HARQ 전송 자체가 초기 전송 직후에 수행되고 매우 짧기 때문에 작동한다. NR-U에 따라 이러한 접근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부대역(2001)의 COT 동안의 전송 지속 시간이 미리 구성되므로 UE가 상이한 부반송파 간격을 갖는 신호의 수신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작은 스위칭 갭이 선택적으로 제공되면, 별도의 부반송파 간격이 존재하며, 하나는 전송용이고 다른 하나는 즉시 제어 전송용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UE에서 gNB로 또는 gNB에서 UE로 또는 COT 내에서 여전히 실제 전송의 끝에서 UE 사이에서 HARQ 피드백을 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새로운 LBT를 수행할 필요를 피할 수 있다. 상위 SCS의 OFDM 심볼은 시간적으로 더 짧기 때문에 제어 데이터의 전송도 더 빠르다.
제7 측면에 대한 실시 예들은 주로 gNB와 UE 사이의 통신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기지국과 사용자 장치 사이의 U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통신에 제한되지 않으며, 오히려 이 원리는 D2D, V2V, V2X 통신과 같은 사이드링크 통신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일반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의 전술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gNB나 UE와 같은 송신기와 UE와 gNB와 같은 수신기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설명된 것에 유의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통신에 제한되지 않으며, 오히려, 위에서 설명된 원리는 D2D, V2V, V2X 통신과 같은 장치 대 장치 통신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통신은 각 장치 간의 사이드링크를 통해 이루어진다. 송신기는 제 1 UE이고 수신기는 사이드링크 자원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제 2 UE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동일한 대역폭의 4개의 부대역을 갖는 특정 BWP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설명하였음에 유의한다. 당연히, 본 발명은 그러한 BWP에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동일한 대역폭 또는 상이한 대역폭의 더 많거나 더 적은 부대역을 포함하는 더 좁거나 더 넓은 BWP가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각각의 실시 예 및 측면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실시 예 또는 측면이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PC5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참조하여 위에서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PC5 인터페이스의 사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UE 간의 직접 통신을 허용하는 임의의 다른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IEEE 802.11p 표준, IEEE 802.15.4 표준(Zigbee) 등에 따른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지상 네트워크, 비 지상 네트워크, 또는 수신기로서 항공 차량 또는 우주 차량,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기는 모바일 또는 고정 터미널, IoT 장치, 지상 기반 차량, 항공 차량, 드론, 건물 또는 아이템/장치가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연결성이 제공되는 기타 아이템 또는 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기는 하나 이상의 매크로 셀 기지국, 소형 셀 기지국, 위성 또는 스페이스와 같은 우주 비행체, 또는 무인 항공기 시스템(UAS)과 같은 공중 차량, 예를 들어 테더링된 UAS, 공기 UAS 보다 가벼운 UAS(LTA), 공기보다 무거운 UAS(HTA) 및 높은 고도의 UAS 플랫폼(HAP), 또는 네트워크 연결성이 제공되는 아이템 또는 장치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전송/수신 지점(TRP)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된 개념의 일부 측면이 장치의 맥락에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측면은 블록 또는 장치가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대응하는 해당 방법의 설명을 나타내는 것임이 분명하다. 유사하게, 방법 단계의 맥락에서 설명된 측면은 또한 대응하는 장치의 대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특징의 설명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양한 요소 및 특징은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를 사용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에 의한 명령 실행을 통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다른 처리 시스템의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5는 컴퓨터 시스템(500)의 예를 도시한다. 유닛들 또는 모듈들뿐만 아니라 이들 유닛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들의 단계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들(50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500)은 특수 목적 또는 범용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0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502)는 버스 또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인프라(504)에 연결된다. 컴퓨터 시스템(500)은 주 메모리(506),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보조 메모리(508),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또는 이동식 저장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보조 메모리(508)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다른 명령이 컴퓨터 시스템(500)에 로드되도록 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500)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가 컴퓨터 시스템(500)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은 전자, 전자기, 광학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기타 신호에서 발생할 수 있다. 통신은 유선 또는 케이블, 광섬유, 전화선, 휴대폰 링크, RF 링크 및 기타 통신 채널(512)을 사용할 수 있다.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일반적으로 이동식 저장 장치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와 같은 유형의 저장 매체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시스템(500)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컴퓨터 제어 로직이라고도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주 메모리(506) 및/또는 보조 메모리(508)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51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시 컴퓨터 시스템(500)이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시 프로세서(502)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방법과 같은 본 발명의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500)의 컨트롤러를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저장되고 착탈식 저장 드라이브, 즉 통신 인터페이스(510)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컴퓨터 시스템(500)에 로드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의 구현은, 각각의 방법이 수행되도록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과 협력하는 (또는 협력할 수 있는) 전자적으로 판독 가능한 제어 신호가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저장 매체,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토리지, 플로피 디스크, DVD, Blue-Ray, CD, ROM, PROM, EPROM, EEPROM 또는 FLASH 저장소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 예는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과 협력할 수 있는 전자적으로 판독 가능한 제어 신호를 갖는 데이터 캐리어를 포함하므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가 수행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작동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예를 들어 기계 판독 가능 캐리어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는 기계 판독 가능 캐리어에 저장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 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의 추가 실시 예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데이터 캐리어(또는 디지털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의 추가 실시 예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 시퀀스이다.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 시퀀스는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 연결을 통해,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 예는 여기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적응된 처리 수단, 예를 들어 컴퓨터,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 장치를 포함한다. 추가 실시 예는 여기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협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전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한 예시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배열 및 세부 사항의 수정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의 설명에 의해 제시되는 특정 세부 사항이 아니라 계류중인 특허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이다.
축약어 및 기호
BS 기지국
CBR 채널 사용 비율
D2D 장치 대 장치
EN 긴급 알림
eNB 전개된 노드 B(기지국)
FDM 주파수 분할 다중화
LTE 장기적 진화
PC5 D2D 통신을 위한 사이드링크 채널을 사용한 인터페이스
PPPP 패킷 우선순위당 ProSe
PRB 물리적 자원 블록
ProSe 근접 서비스
RA 자원 할당
SCI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SL 사이드링크
sTTI 짧은 전송 시간 간격
TDM 시분할 다중화
TDMA 시분할 다중 접속
TPC 전력 제어 전송/전력 명령 전송
UE 사용자 엔티티(사용자 단말)
URLLC 매우 안정적인 저지연 통신
V2V 차량 대 차량
V2I 차량-인프라
V2P 차량 대 보행자
V2N 차량 대 네트워크
V2X 차량 대 사물, 즉 V2V, V2I, V2P, V2N V2V

Claims (58)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장치(UE, gNB)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장치는: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초기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고,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초기 LBT가 상기 부대역 중 하나 이상을 점유한다고 나타낸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초기에 점유된 부대역 중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하나 이상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점유된 부대역에 대해 추가 LBT를 수행하고,
    상기 초기에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에 더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과 동일하거나,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보다 길거나,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보다 짧은,
    전송 시간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의 상기 전송 시간은,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의 종료와 실질적으로 일치하거나;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의 종료와 일치하지 않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상기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에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초기에 비점유된 부대역 중 하나 이상 및/또는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상기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에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나타내는,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제어 메시지(DCI, UCI, RRC, OTT)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에 제공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 또는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에 의한 오버더탑(OTT)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예를 들어, 상기 부대역과 연관된 상기 부대역 필드의 각 비트를 비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값 또는 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제 2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상기 부대역 중 어느 것이 이용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부대역 필드를 포함하는, 장치.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gNB)이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UE)에게 PDCCH에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PDCCH는 DCI를 포함하거나,
    상기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장치(UE)이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기지국(gNB)에게 PUCCH에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PUCCH는 UCI를 포함하거나,
    상기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장치(UE)이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UE)에게 PSCCH에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PSCCH는 SCI를 포함하는, 장치.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에 대한 주파수 및/또는 대역폭을 나타내는, 장치.
  10.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레이트 매칭 절차를 수행하는 것과 같이,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통해 전송을 준비하기 위해서,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사용하여 전송하기 전에 특정 시간 동안 대기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미리 구성된 타이머 또는 구성된 타이머인 타이머(T)를 더 포함하고, 그 이후 상기 장치가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타이머는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의 존재를 나타내는 표시 또는 시그널링 직후에 시작하는, 장치.
  12.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부대역을 예약하기 위해 상기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과 연관된 전송 시간의 시작시 예약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장치(UE, gNB)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장치는: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상기 광대역 통신이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허용되는 비점유 부대역 및 상기 광대역 통신이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허용되지 않는 점유 부대역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리슨비포토크(LBT)를 실행하고,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는 복수의 미리 정의된 메시지를 포함하고, 각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특정 LBT 패턴과 관련되고, 상기 LBT 패턴은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비점유 및 점유 부대역을 나타내고,
    상기 장치는 특정 LBT 패턴을 나타내는 상기 LBT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메시지로부터 상기 특정 LBT 패턴과 연관된 메시지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에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LBT 패턴은,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상기 비점유 및 점유 부대역만, 또는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상기 비점유 및 점유 부대역 외에, 예를 들어, 상기 UL에서 연속적인 부대역의 사용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비점유 부대역, 또는
    예를 들어, 상기 UL에서 인접한 부대역의 사용을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송수신기와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데에 실제로 사용되는 비점유만
    을 나타내는,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비점유 부대역들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특정 전송 시간의 시작시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메시지는 시퀀스 기반 인코딩을 갖는 짧은 PDCCH 또는 PUCCH 또는 PSCCH 형식, 예를 들어 PUCCH 형식 0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메시지는 다수의 가능한 LBT 패턴을 나타내고, 상기 동일한 상태에 있는 LBT 패턴은 예를 들어 전력 감지, 블라인드 디코딩 또는 DMRS 감지를 활용하여, 서로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선택되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은 4개의 부대역을 포함하며, LBT 패턴은 복수의 비트, 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의 부대역 필드의 비트를 사용하여 시그널링되고, 제 1 값을 갖는 비트는 비점유 상태를 나타내고, 제 2 값을 갖는 비트는 점유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LBT 패턴은, 2 비트를 이용할 때:
    Figure pct00004

    또는
    Figure pct00005

    또는
    Figure pct00006

    와 같이 시그널링되거나, 상기 LBT 패턴은, 3 비트를 이용할 때:
    Figure pct00007

    와 같이 시그널링되는, 장치.
  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장치(UE, gNB)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gNB, UE)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장치는 광대역 구성 세트를 포함하고,
    각 광대역 구성은 특정 리슨비포토크(LBT) 패턴과 연관되고, 상기 LBT 패턴은 상기 미리 정해진 광대역에 대해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비점유 부대역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지 않는 점유 부대역을 나타내고, 상기 LBT 패턴은 상기 송수신기(gNB, UE)가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LBT를 수행하여 획득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송수신기(gNB, UE)로부터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사용될 상기 광대역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나타내는 상기 광대역 구성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gNB, UE)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구성의 상기 표시는 DL 할당 또는 UL 승인 또는 사이드링크 SL 승인과 함께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장치.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RRC 또는 L1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광대역 구성 세트를 상기 송수신기(gNB, UE)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송수신기(gNB, UE)로부터 DCI 또는 UCI와 같은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메시지는 사용할 상기 광대역 구성을 포함하는, 장치.
  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장치(gNB, UE)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장치는 광대역 구성 세트로 상기 송수신기를 구성하도록 적응되고,
    각 광대역 구성은 특정 리슨비포토크(LBT) 패턴과 연관되고, 상기 LBT 패턴은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에 대해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비점유 부대역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지 않는 점유 부대역을 나타내고, 상기 LBT 패턴은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LBT를 수행하여 상기 장치(gNB, UE)에 의해 획득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사용될 상기 광대역 구성의 표시를 상기 송수신기(gNB, UE)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구성의 상기 표시는 DL 할당 또는 UL 승인 또는 사이드링크 SL 승인과 함께 전송되는, 장치.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RRC 또는 L1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UE, gNB)에 상기 광대역 구성 세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6. 제 23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DCI 또는 UCI와 같은 제어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기(UE, gNB)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사용될 상기 광대역 구성을 포함하는, 장치.
  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장치(UE, gNB)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gNB, UE)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한 광대역 구성 세트를 포함하고, 각 광대역 구성은 상기 광대역 통신에 사용될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부대역의 수를 나타내고,
    상기 송수신기(gNB, UE)로부터 사용될 상기 광대역 구성의 암시적 또는 명시적 표시 및 상기 송수신기로의 전송을 위한 승인을 수신한 후, 상기 장치는 복수의 전송을 준비하도록 구성되고, 각 전송은 상기 표시된 광대역 구성과 상이한 수의 부대역 및/또는 상이한 패턴의 부대역(예를 들어, 구별하는 상이한 부대역 패턴, 또한 주파수)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LBT 패턴을 획득하도록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고 - 상기 LBT 패턴은 상기 미리 정해진 광대역에 대해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비점유 부대역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지 않는 점유 부대역을 나타내고, 상기 광대역 구성은 상기 전체 광대역이거나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시그널링된 부대역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구성임 - ,
    하나 이상의 특정 기준을 충족하거나 상기 LBT 패턴에 가장 잘 맞는 준비된 전송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선택된 전송을 상기 송수신기(gNB, UE)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RRC 또는 L1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준비할 상기 전송 세트를 상기 송수신기(gNB, UE)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9.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특정 기준은,
    미리 정의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데이터 속도,
    상기 LBT 패턴에 맞는 가장 큰 전송 블럭 크기(TBS),
    상기 LBT 패턴에 맞는 가장 많은 부대역 수,
    미리 정의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채널 품질,
    상기 연관된 부대역 구성의 우선순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
  30.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짧은 전송 길이, 예를 들어 하나의 부대역을 갖는 전송을 준비하여, 사용가능한 경우 다른 부대역을 통한 상기 전송을 보내어 다른 부대역을 사용 중으로 유지하거나, - 상기 장치는 사용된 부대역의 수를 표시함 - ,
    상이한 전송 길이, 예를 들어 상이한 수의 부대역을 갖는 다중 전송을 생성하여, 비점유된 부대역의 수에 가장 가까운 크기, 부대역의 수를 갖도록 상기 전송을 펑처링하거나 - 상기 장치는 사용된 부대역의 수를 표시함 - ,
    상이한 전송 길이, 예를 들어 상이한 수의 부대역을 갖는 다중 전송을 생성하여, 비점유 부대역의 수보다 작거나 같은 최고 길이의 상기 전송을 선택하도록 - 상기 장치는 사용된 부대역의 수를 표시할 수 있음 -
    구성되는, 장치.
  3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장치(UE, gNB)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장치는: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소정의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을 결정하기 위해 초기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고,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및 상기 초기 LBT가 상기 부대역 중 하나 이상이 점유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점유된 부대역을 모니터링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구성하도록 적응되는,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은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 또는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에 의한 오버더톱(OTT) 스그널링을 사용하는, 장치.
  3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장치(UE, gNB)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장치는: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비점유 부대역 표시를 수신하고 - 상기 비점유 부대역은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LBT를 수행하여 상기 송수신기(gNB, UE)에 의해 획득됨 - ,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상기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점유된 부대역의 표시를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추가로 수신하고,
    상기 점유된 부대역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 또는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에 의한 오버더톱(OTT)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부대역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장치(UE, gNB)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장치는: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 및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지 않는 점유 부대역을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초기 리슨 비포 토크(LBT)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송은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 1 부분 및 하나 이상의 점유 부대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전송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부분을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에 상기 전송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부분을 추가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송수신기에게: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부분이 전송되는 것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부분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에 대해
    알리도록 구성되는, 장치.
  37. 제 35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펑처링이 발생했으며 하나 이상의 펑처링된 부분의 재전송이 수행된 것을 나타내거나,
    하나 이상의 펑처링된 부분의 재전송이 수행된 것을 나타내어, 펑처링이 발생한 것을 상기 송수신기에 알리도록
    구성되는, 장치.
  38. 제 36 항 또는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원래 전송의 시작 또는 종료에서 상기 펑처링/재전송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9. 제 35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부분을 상기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에 추가하는 단계는:
    새로운 전송 시간(COT)을 시작하는 단계, 또는
    현재 전송 시간(COT)을 연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새로운 전송 시간(COT)을 시작하기 위해,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CAT-4 또는 CAT-2 LBT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초기 비점유 부대역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상기 현재 전송 시간(COT)의 종료시 추가 LBT를 수행하고,
    상기 초기에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이 점유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상기 추가 LBT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부분을 추가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전송 시간(COT)을 연장하기 위해,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상기 LBT가 최대 허용되는 COT 기간을 얻기 위해 경합 창 크기(CWS)를 선택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부분 중 적어도 일부를 추가하기에 충분한 전송 시간(COT)을 획득하도록 상기 초기 LBT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능한 전송 시간(COT)은 예를 들어, DCI 또는 UCI를 사용하여 상기 원래 전송 내에서 시그널링되는, 장치.
  4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위한 장치(UE, gNB)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장치는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에서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을 결정하기 위해 초기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부대역들 중 하나 이상은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특정 부반송파 간격으로 상기 제 1 부분에서 상기 송수신기로 전송하거나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특정 부반송파 간격과 다른 추가 부반송파 간격으로 상기 제 2 부분에서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하거나 송수신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특정 부반송파 간격은 전송을 위한 제 1 부반송파 간격 및 수신을 위한 제 2 부반송파 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반송파 간격 및 상기 제 2 부반송파 간격은 상이한, 장치.
  45. 제 43 항 또는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부반송파 간격은 상기 특정 부반송파 간격보다 크며,
    상기 부대역의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송수신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며,
    상기 부대역의 상기 제 2 부분은 LBT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송수신기로의, 예 들어 HARQ 피드백을 포함하는, PDCCH 또는 PUCCH 또는 PSCCH와 같은 실질적으로 즉각적인 제어 전송에 대해 사용되는, 장치.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부대역의 상기 제 2 부분은 바로, 또는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부분에 이어지며, 상기 간격은 상기 제 2 부분의 지속 시간보다 짧고, 갭 시간은 최대 갭 시간으로 16us일 수 있고, 상기 추가 부반송파 간격 SCS는 짧은 제어를 위해 상기 SCS에 대해 60kHz일 수 있고, 상기 제 2 부분은 최단 LBT 리스닝 창 지속기간보다 짧은, 장치.
  47. 제 42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부반송파 간격은 예를 들어 RRC를 사용하여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되는, 장치.
  48.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 장치(UE)를 포함하고, 상기 UE는 모바일 단말, 고정 단말, 셀룰러 IoT-UE, 차량 UE, 차량 그룹 리더(GL) UE, IoT 또는 협대역 IoT, NB-IoT 디바이스, 또는 지상 기반 차량, 공중 차량, 드론, 움직이는 기지국, 도로변 유닛, 빌딩,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센서나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연결성을 구비한 임의의 아이템이나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매크로 셀 기지국, 스몰 셀 기지국, 기지국의 중앙 유닛, 또는 기지국의 분산 유닛, 또는 도로 측 유닛, UE, 그룹 리더(GL), 릴레이, 원격 무선 헤드, AMF, SMF,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 모바일 에지 컴퓨팅 엔터티, NR 또는 5G 코어 컨텍스트에서와 같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임의의 전송/수신 포인트 TRP, 아이템 또는 장치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하는 전송/수신 지점(TRP) - 상기 아이템 또는 디아비스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연결성이 제공됨 -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장치.
  49.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의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을 결정하기 위해 초기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및 상기 초기 LBT가 상기 부대역의 하나 이상이 점유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점유된 부대역에 대해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상기 초기 점유 부대역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기 위해 추가 LBT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에 비점유된 부대역에 더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더 이상 점유되지 않은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비점유 부대역과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지 않는 점유 부대역을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결정하기 위해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수신하는 단계 - 복수의 미리 정의된 메시지가 제공되고, 각각의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특정 LBT 패턴과 연관되며, 상기 LBT 패턴은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비점유 및 점유 부대역을 나타냄 - ; 및
    특정 LBT 패턴을 나타내는 상기 LBT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미리 정의된 메시지들로부터 상기 특정 LBT 패턴과 연관된 메시지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에 시그널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gNB, UE)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광대역 구성 세트가 제공되며,
    각 광대역 구성은 특정 리슨비포토크(LBT) 패턴과 연관되며, 상기 LBT 패턴은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에 대해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비점유 부대역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지 않는 점유 부대역을 나타내며, 상기 LBT 패턴은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LBT를 수행하여 송수신기(gNB, UE)에 의해 획득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송수신기(gNB, UE)로부터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사용될 상기 광대역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나타내는 상기 광대역 구성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gNB, UE)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gNB, UE)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광대역 구성 세트를 제공하는 단계 - 각 광대역 구성은 상기 광대역 통신에 사용될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의 부대역 수를 나타냄 - ,
    상기 송수신기(gNB, UE)로부터 사용될 상기 광대역 구성의 묵시적 또는 명시적 표시 및 상기 송수신기로의 전송을 위한 승인을 수신한 후, 복수의 전송을 준비하는 단계 - 각각의 전송은 상기 나타낸 광대역 구성과 상이한 수의 부대역 및/또는 상이한 패턴의 부대역(예를 들어, 주파수를 구별하는 상이한 부대역 패턴)을 포함함 - ,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여 LBT 패턴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LBT 패턴은 상기 미리 정해진 부대역에 대해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비점유 부대역 및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지 않는 점유 부대역을 나타내고, 상기 광대역 구성은 전체 광대역이거나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시그널링된 부대역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음 -
    하나 이상의 특정 기준을 충족하거나 상기 LBT 패턴에 가장 잘 맞는 준비된 전송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선택된 전송을 상기 송수신기(gNB, UE)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을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결정하기 위해 초기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와 송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초기 LBT가 상기 부대역의 하나 이상이 점유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점유된 부대역을 모니터링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비점유 부대역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비점유 부대역은 상기 송수신기(gNB, UE)에 의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LBT를 수행하여 획득됨 - ;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상기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송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점유된 부대역의 표시를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더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점유된 부대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광대역 통신을 위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 및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지 않는 점유 부대역을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결정하기 위해서 초기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전송은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 1 부분 및 하나 이상의 점유 부대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 2 부분을 포함함 - ,
    상기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을 사용하여 상기 전송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부분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부분을 상기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에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광대역 통신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사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UE, gNB)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의 각 부대역에 대해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광대역 통신이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비점유 부대역을 상기 미리 정의된 광대역으로부터 결정하기 위해서 초기 리슨비포토크(LBT)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전송 시간(COT) 동안 상기 부대역의 하나 이상은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특정 부반송파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부분에서 상기 송수신기와 송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부반송파 간격과 다른 추가 부반송파 간격으로 상기 제 2 부분에서 상기 송수신기와 송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8.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제 50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17036153A 2019-04-05 2020-04-03 Nr-u 광대역 개선 KR202101470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67704 2019-04-05
EP19167704.6 2019-04-05
EP19170688.6 2019-04-23
EP19170688 2019-04-23
PCT/EP2020/059523 WO2020201490A1 (en) 2019-04-05 2020-04-03 Nr-u wideband enhancem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054A true KR20210147054A (ko) 2021-12-06

Family

ID=70050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153A KR20210147054A (ko) 2019-04-05 2020-04-03 Nr-u 광대역 개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61090A1 (ko)
EP (1) EP3949596B1 (ko)
JP (2) JP7404388B2 (ko)
KR (1) KR20210147054A (ko)
CN (1) CN113924811A (ko)
WO (1) WO20202014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594A1 (ko) * 2022-06-30 2024-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Sl-u에서 단말의 cot 생성을 위해 기지국이 단말에 보조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5539B2 (en) * 2019-08-16 2022-06-28 Qualcomm Incorporated Listen-before-talk for uplink transmissions using multiple subbands
US20220053491A1 (en) * 2020-08-17 2022-02-17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spectrum utilization coordination between wireline backhaul and wireless systems
US11582055B2 (en) 2020-08-18 2023-02-14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device attachment in a managed network architecture
US11563593B2 (en) 2020-08-19 2023-01-24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ordination between wireline backhaul and wireless systems
US11844057B2 (en) * 2020-09-09 2023-12-12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data traffic management in wireline backhaul systems
WO2022073186A1 (en) * 2020-10-09 2022-04-14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feedback channel resource mapping in unlicensed spectrum
US11582798B2 (en) 2020-11-06 2023-02-14 Qualcomm Incorporated Listen-before-talk reporting for sidelink channels
US11778655B2 (en) * 2020-11-16 2023-10-0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nfiguring multiple frequency domain opportunities for sidelink feedback
US11570820B2 (en) * 2020-12-18 2023-01-31 Qualcomm Incorporated Listen-before-talk failure reporting for sidelink channels
US11510245B2 (en) 2021-04-23 2022-11-22 Apple Inc. Thread boost mode for carrier-sense multiple access/carrier aggregation (CSMA/CA)
US20220417988A1 (en) * 2021-06-29 2022-12-29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channel occupancy time-sharing information (cot-si) reserving a cot for sidelink communications in unlicensed bands
WO2023173281A1 (en) * 2022-03-15 2023-09-21 Mediatek Inc. A method of sidelink transmission over unlicensed bands
WO2023211218A1 (ko) * 2022-04-27 2023-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58742B (zh) * 2015-11-03 2020-07-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调度及传输的方法、装置及系统
US11240842B2 (en) * 2016-01-08 2022-02-01 Acer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transmission/reception for serving cell
US10652889B2 (en) 2016-11-02 2020-05-1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wideband ENB and narrowband UE
JP7085868B2 (ja) * 2018-03-15 2022-06-17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7181307B2 (ja) * 2018-04-03 2022-11-30 アイディーエーシ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チャネルアクセス管理のための方法
CN115767763A (zh) * 2018-04-04 2023-03-07 艾普拉控股有限公司 利用新无线电非许可小区进行随机接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594A1 (ko) * 2022-06-30 2024-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Sl-u에서 단말의 cot 생성을 위해 기지국이 단말에 보조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24811A (zh) 2022-01-11
JP2024023659A (ja) 2024-02-21
WO2020201490A1 (en) 2020-10-08
EP3949596C0 (en) 2024-04-03
EP3949596B1 (en) 2024-04-03
JP2022527559A (ja) 2022-06-02
JP7404388B2 (ja) 2023-12-25
EP3949596A1 (en) 2022-02-09
US20220061090A1 (en)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4388B2 (ja) Nr-u広帯域強化
KR102233105B1 (ko) 상향링크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883586B1 (ko) U-lte 및 wi-fi의 공존을 위한 채널을 확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93228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via a first and a second communication channel in a shared frequency band
KR20220070295A (ko) 비면허 스펙트럼의 cot 공유 방법 및 장치
CN112771806A (zh) 用于在非授权频谱中进行配置授权传输的资源分配
US20220150968A1 (en) Configured grants within a transmitter cot
US11297645B2 (en) Handling conflicts between dynamic scheduling and random access resources
RU2763959C1 (ru) Способ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US11589388B2 (en) Sharing channel occupancy time of a node in an integrated access backhaul network
US20220232580A1 (en) User Device and Method with Beam Management Enhancements
CN116889062A (zh) 经由用于侧行链路的缓冲区状态报告(bsr)的子信道选择和信道状态信息(csi)指示
CN112567877A (zh) 网络辅助的空闲信道评估带宽自适应机制
CN112805947B (zh) Urllc dai和lti
KR20220033056A (ko) 코어셋 그룹화
WO2024093685A1 (zh) 通信方法及装置
US11800491B2 (en) Resource pool-based communications for sidelink
WO2023208227A1 (en) Method related to sidelink operation in unlicensed bands,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20230422242A1 (en) Multiplexing Of Configured Grant-UCI (CG-UCI) And 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In Shared Frequency Bands
WO2023208912A1 (en) Sl unlicensed frame strucutre
KR20240055024A (ko) 사이드링크(sl) 인터레이싱 구성들
WO2024068823A1 (en) Time gap adjustment for channel access procedure by user devices for a sidelink communication in an unlicensed spectrum
KR2023013380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피드백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