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081A -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 Google Patents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081A
KR20210146081A KR1020200063111A KR20200063111A KR20210146081A KR 20210146081 A KR20210146081 A KR 20210146081A KR 1020200063111 A KR1020200063111 A KR 1020200063111A KR 20200063111 A KR20200063111 A KR 20200063111A KR 20210146081 A KR20210146081 A KR 20210146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ing
steam
sterilization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3310B1 (ko
Inventor
이명원
Original Assignee
(주)피노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노스토리 filed Critical (주)피노스토리
Priority to KR1020200063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310B1/ko
Publication of KR20210146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7Shelters for de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는,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본체; 및 본체의 일면에 이격되게 마련되어 본체를 향하여 가열된 기상(氣相)의 살균용 증기인 살균 증기 또는 액상(液相)과 기상의 혼합 상태인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사하는 살균제 분사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Specimen collection Booth using Auto steriliz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차오염 등에 의한 추가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효율적으로 본체를 살균, 소독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가열된 살균제를 분사할 수 있는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염증이 의심되는 피검사자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는 피검사자로 부터 피검체를 채취하면서 감염균에 오염될 수 있는 환경에 노출되게 되고, 이렇게 감염된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는 확진되지 않는 피검사자에게 오히려 감염증을 전파하는 오염원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는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하는 때마다 개별 살균 및 소독을 진행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인력과 시간 그리고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교차오염 등에 의한 추가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간과 비용을 과다하게 소요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본체를 살균, 소독할 수 있는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의 연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더하여 안전하면서, 신속하고, 편리하며, 저렴한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가 필요하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0133088호 (주식회사 엠아이티에스), 2017.12.0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차오염 등에 의한 추가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검체 채취시 마다 효율적으로 본체를 살균, 소독할 수 있도록, 가열된 살균제를 분사할 수 있는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안전하면서, 신속하고, 편리하며, 저렴한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검체 채취구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면에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본체를 향하여 가열된 기상(氣相)의 살균용 증기인 살균 증기 또는 액상(液相)과 기상의 혼합 상태인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사하는 살균제 분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살균제 분사유닛은,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외주면를 향하여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사하는 외주면 살균제 분사유닛과, 상기 본체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면를 향하여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사하는 내측면 살균제 분사유닛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내측에 양압을 형성하는 양압 형성유닛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음압을 형성하는 음압 형성유닛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제 분사유닛은,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판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향하여 토출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출하는 토출관 모듈; 및 상기 토출관 모듈에 연결되되 상기 토출관 모듈에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액상(液相) 살균물인 살균액을 공급하는 살균액 공급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관 모듈은, 토출관 하우징; 상기 토출관 하우징 내측에 상기 토출관 하우징의 외측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 및 상기 격벽들의 살균액 공급 유로측 말단에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배하는 분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격벽은 상기 토출관 하우징의 단면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을 따라 길이가 짧아지도록 다양한 길이를 갖는 격벽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토출관 모듈은, 상기 토출관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열하는 살균제 가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살균제 가열부는,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미리 결정된 온도인 결정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살균액 공급 유로는, 상기 토출관 모듈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 습증기를 상기 토출관 모듈에 공급하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에 연결되며 상기 살균액이 가열되어 상기 살균 습증기로 전이되며 상기 제1 구간으로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액 공급 유로는, 상기 제1 구간의 상기 토출관 모듈 측 말단에 마련되어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용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액 공급 유로는, 상기 제1 구간의 상기 제2 구간 측 말단에 마련되어 상기 살균액을 상기 살균액의 끓는점 온도를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범위의 온도인 제1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살균액 제1 가열부; 상기 제1 구간의 상기 토출관 모듈 측 말단에 마련되어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가열온도 보다 높은 온도인 제2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살균액 제2 가열부; 및 상기 살균액 제1 가열부 및 상기 살균액 제2 가열부 사이에 마련되어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마련되는 주름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제 분사유닛은,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판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토출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출하는 토출관 모듈; 및 상기 토출관 모듈을 내측에 구비하여 상기 토출관 모듈을 지지하는 분사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 하우징에는 상기 본체를 살균하는 UV-C 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제 분사유닛에 연결되어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업다운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살균제 분사유닛은,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판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토출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출하는 토출관 모듈; 및 상기 토출관 모듈을 내측에 구비하여 상기 토출관 모듈을 지지하는 분사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다운 구동유닛은, 상기 분사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축; 및 상기 분사 하우징의 다른 측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 하우징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업다운 구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검체를 채취하고 상기 검체의 오염을 방지하는 위한 검체 채취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타면에 마련되어 검체 채취를 위한 데이터인 검체 채취용 데이터 제공하거나, 상기 본체의 외부 정보인 외부 정보 또는 피검자의 인적정보 등을 취득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관리유닛은, 상기 본체 상에 마련되어 상기 검체 채취용 데이터를 시각 데이터로 제공하는 모니터부; 상기 모니터부에 이웃하게 마련되어 상기 검체 채취용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제공하는 음성 데이터 제공부; 및 상기 본체 상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외부 정보 취득용 카메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살균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액상(液相) 살균물인 살균액을 보관하는 살균액 보관유닛; 및 상기 살균액 보관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액을 펌핑(pumping) 하는 펌프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차오염 등에 의한 추가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검체 채취시 마다 효율적으로 본체를 살균, 소독할 수 있도록, 가열된 고온의 기상(氣相) 살균용 증기인 살균 증기 또는 액상(液相)과 기상의 혼합 상태인 살균 습증기를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안전하면서, 신속하고, 편리하며, 설치 및 운용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동시 검사의 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의 상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의 살균제 분사유닛과, 살균액 보관유닛과, 펌프유닛의 관계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의 토출관 모듈 및 살균액 공급 유로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 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의 상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검체 채취용 부스의 살균제 분사유닛과, 살균액 보관유닛과, 펌프유닛의 관계도이며, 도 4는 도 1의 검체 채취용 부스의 토출관 모듈 및 살균액 공급 유로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1)는, 본체(100)와, 살균제 분사유닛(200)과, 양압 형성유닛(300)과, 업다운(up/down) 구동유닛(500)과, 데이터 관리유닛(600)과, 살균액 보관유닛(700)과, 펌프유닛(8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에는 감염병 검사를 위해 활용되는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검체 채취구(110)가 형성된다. 검체 채취구(110)는 검체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검체의 입출시 검체의 오염을 방지하는 오염 방지부(111)가 마련된다.
살균제 분사유닛(200)은, 본체(100)의 일면에 이격되게 마련되어 본체(100)를 향하여 기상(氣相)의 살균용 증기인 살균 증기 또는 액상(液相)과 기상의 혼합 상태인 살균 습증기를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제 분사유닛(200)은, 본체(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본체(100)의 외주면을 향하여 살균 증기 또는 살균 습증기를 분사하는 외주면 살균제 분사유닛(201)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는 10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되어 고압으로 분사되므로 본체(100)를 효율적으로 살균 및 소독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살균제 분사유닛(200)이 외주면 살균제 분사유닛(201)으로 마련되면, 개방형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1)로 마련되어 검체를 제공하는 피검자가 외부에서 검체를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1)로 검체를 전달하고 이동할 수 있어 검체 채취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설치 장소의 제약이 적어지며, 동시에 야외에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1)를 마련하는 경우에 감염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살균제 분사유닛(200)은, 토출관 모듈(210)과, 살균액 공급 유로(220)와, 분사 하우징(230)을 포함한다.
토출관 모듈(210)은, 살균 증기 또는 살균 습증기를 본체(100)의 길이방향 판면(101)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향하여 토출가능하게 마련되어 본체(100)를 향하여 토출되는 살균 증기 또는 살균 습증기가 토출관 모듈(210)을 향하여 되돌아 가는 것을 방지하여 재오염의 발생 및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관 모듈(210)은, 토출관 하우징(211)과, 토출관 하우징(211) 내측에 토출관 하우징(211) 단면의 외측 길이(d1) 보다 짧은 길이(d2)로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212)과, 격벽(212)들의 살균액 공급 유로측 말단에 이격되게 형성되어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배하는 분배부(213)와, 살균 증기 가열부(214)와, 고정각 분사부(21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분배부(213)를 마련하여 살균액 공급 유로(220)와 인접한 부분에서 살균액 공급 유로(220)를 통하여 전달되는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가 직접적으로 격벽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온도 구배에 따른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살균액 공급 유로(220)와 상대적으로 먼 곳에 위치하는 격벽에도 최대한 많은 유량의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가 동시에 도달하게 하여 고온 증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격벽(212)은 토출관 하우징(211)의 단면 길이 방향 중심축(C)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을 따라 단면의 길이가 점점 짧아지도록 다양한 길이를 갖도록 격벽(212)을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격벽(212)의 구조는,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허니콤 구조로 마련되어 효율성 및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복수의 다각형 또는 복수의 원형 등의 관로를 형성하는 격벽의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살균 증기 가열부(214)는, 토출관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가 미리 결정된 온도인 결정온도로 가열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리 결정된 온도는 200℃ 내지 300℃로 마련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온도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고정각 분사부(215)는 미리 결정된 각도로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하나가 분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각 분사부(215)는 요철이 형성된 판재에 관통구를 형성하여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하나가 분사되는 고정각을 미리 결정할 수 있으며,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하나가 본체(100)에 입사되는 입사각이 90°를 이루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하나가 본체(100)에 입사되는 입사각이 90°를 이루는 것을 방지하여, 살균 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살균액 공급 유로(220)는, 토출관 모듈(210)에 연결되되 토출관 모듈(210)에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액상(液相) 살균물인 살균액을 공급하며, 제1 구간(221)과, 제2 구간(222)과, 역류 방지용 개구부(223)와, 살균액 제1 가열부(224)와, 살균액 제2 가열부(225)와, 주름관(226)을 포함한다.
제1 구간(221)은, 토출관 모듈(210)의 말단에 연결되어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출관 모듈에 공급한다. 그리고 제2 구간(222)은, 제1 구간(221)에 연결되며 살균액이 가열되어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이되며 제1 구간으로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를 공급한다.
역류 방지용 개구부(223)는, 제1 구간(221)의 토출관 모듈(210) 측 말단에 마련되어 살균 증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용 개구부(223)를 제1 구간(221)의 토출관 모듈(210) 측 말단에 판막의 구조로 마련하여, 고온의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가 역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온의 살균 증기의 직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살균액 제1 가열부(224)는, 제1 구간(221)의 제2 구간(222) 측 말단에 마련되어 살균액을 살균액의 끓는점 온도를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범위의 온도인 제1 가열온도로 가열한다. 그리고 살균액 제2 가열부(225)는, 제1 구간(221)의 토출관 모듈(210) 측 말단에 마련되어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1 가열온도 보다 높은 온도인 제2 가열온도로 가열한다.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살균액,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를 가열하여 효율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액 제1 가열부(224)는 표준 상태에서의 물의 끓는 점 온도인 100℃를 포함하는 95℃ 내지 105℃로 가열시킬 수 있고, 살균액 제2 가열부(225)는 105℃ 내지 200℃로 가열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살균액의 종류 및 필요에 따라 그 범위를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주름관(226)은, 살균액 제1 가열부(224) 및 살균액 제2 가열부(225) 사이에 마련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유연성 향상으로 설치 공간의 활용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분사 하우징(230)에는 본체(100)를 살균하는 UV-C 램프(231)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양압 형성유닛(300)은 본체(100)의 내측에 양압을 형성한다. 양압 형성유닛(300)은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블로우 팬(320) 또는 컴프레서(compressor, 미도시)를 통해 외부 공기를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시켜 본체(100)의 내부 압력을 양압으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를 양압으로 유지시켜, 본체(100)의 외부에서 검체를 본체(100) 내부로 전달하는 피검자로부터 감염균이 본체(100)로 전달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압 형성유닛(300)은, 외장 케이스(311)와, 다층 필터부(310)와, 블로우 팬(320)을 포함함다.
외장 케이스(311)는 방수 및 발수 기능을 갖는 소재로 마련된다. 그리고 다층 필터부(310)는, 항균성능이 있는 제1 및 제2 항균필터(312, 315)와, 제1 파티클 필터(313)와, 제2 파티클 필터(314)를 포함한다.
블로우 팬(320)은, 본체(100)를 향하여 외부의 공기를 주입시켜 본체(100) 내부의 압력을 양압으로 유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업다운 구동유닛(500)은, 살균제 분사유닛(200)에 연결되어 살균제 분사유닛(200)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며, 분사 하우징(230)의 일측에 연결되어 분사 하우징(2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축(510)과, 분사 하우징(230)의 다른 측에 연결되어 분사 하우징(230)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킬 수 있도록 스피럴(spiral) 기어로 마련되는 업다운 구동축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스피럴(spiral) 기어로 마련되는 업다운 구동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렉 앤 피니언 구조, 벨트(체인), 유압 실린더 구동 구조 등으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 관리유닛(600)은, 본체(10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타측면에 마련되어 검체 채취를 위한 데이터인 검체 채취용 데이터 제공하거나, 본체(100)의 외부 정보인 외부 정보 또는 피검자의 인적정보 등을 취득하여 관리하며, 본체(100) 상에 마련되어 검체 채취용 데이터를 시각 데이터로 제공하는 모니터부(610)와, 모니터부(610)에 이웃하게 마련되어 검체 채취용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제공하는 음성 데이터 제공부(620)와, 본체(100) 상에 마련되어 외부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외부 정보 취득용 카메라부(630)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타면은 본체(100)의 살균 및 소독이 이루어지는 일면과 반대되는 본체(100)의 내측면에 마련된다. 다만, 본체(100)의 살균 및 소독이 이루어지는 일면이 내측면인 경우 이와 반대되는 본체(100)의 외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살균액 보관유닛(700)은, 본체(100)의 하방에 마련되어 살균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액상(液相) 살균물인 살균액을 보관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액 보관유닛(700)이 본체(100)의 하방에 마련되어 무게 중심을 하방으로 형성할 수 있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펌프유닛(800)은, 살균액 보관유닛(700)에 연결되어 살균액을 펌핑(pumping) 하여 살균액 공급 유로(220)로 살균액을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1)는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하는 경우마다 빠르고, 간단하게 본체(100)를 살균, 소독할 수 있어 본체(100)가 오염되어 다른 피검자에게 감염물질을 전파하는 것을 사전에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본체(100)의 외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살균제 분사유닛(200)이 업/다운 구동유닛(500)에 의하여 업/다운 왕복 구동되면서 본체(100)의 외벽을 향하여 고온, 고압의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되 효율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살균 및 소독을 위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분사 하우징(230)에는 본체(100)를 살균하는 UV-C 램프(231)가 구비되어 살균 및 소독의 효과가 증대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라 살균제 분사유닛(200)에서 분사되는 고온, 고압의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가열되므로 효율성이 증대되는 동시에, 안정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사각 부스 형태로 마련되어 효율적으로 복수의 부스를 연결하여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1')는, 각도를 조절가능하게 마련되는 노즐(215')이 토출관 모듈(210)의 본체(100) 측 말단에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하나가 분사되어 본체(100)에 입사되는 입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전술한 실시예 들과 차이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2)는, 원통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전술한 실시예 들과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원통형으로 마련되는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2)는 모서리를 최소화하여 고온, 고압의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가 원통형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2)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고 살균 및 소독 효과가 증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는, 살균제 분사유닛이 본체(100)의 내측에 마련되어 본체(100)의 내측면를 향하여 살균 증기 및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사하는 내측면 살균제 분사유닛(202)인 것이 전술한 실시예 들과 차이가 있고, 음압 형성유닛(400)이 마련되는 것이 전술한 실시예 들과 차이가 있다. 음압 형성유닛(400)은 본체(100)의 내측에 음압을 형성한다. 음압 형성유닛(400)은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본체(100)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본체(100)의 내부 압력을 음압으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를 음압으로 유지시켜, 본체(100)의 내부에서 검체를 전달하는 피검자의 감염균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압 형성유닛(400)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외장 케이스(311)와, 다층 필터부(310)와, 블로우 팬(320)을 포함함다. 다만, 블로우 팬(320)과 다층 필터부(310)의 상하가 반대로 마련된다. 다시 말해 블로우 팬(320)의 하방에 다층 필터부(310)가 마련된다.
다만, 설치 환경과 사용 용도에 따라 전술한 양압 형성유닛(300)과 음압 형성유닛(400)을 가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양압 형성유닛(300) 및 음압 형성유닛(400)의 가변형 압력 형성유닛으로 마련하여, 설치 및 사용의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교차오염 등에 의한 추가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검체 채취시 마다 효율적으로 본체를 살균, 소독할 수 있도록, 가열된 고온의 기상(氣相) 살균용 증기인 살균 증기 또는 액상(液相)과 기상의 혼합 상태인 살균 습증기를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안전하면서, 신속하고, 편리하며, 설치 및 운용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동시 검사의 수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100 : 본체
200 : 살균제 분사유닛 300 : 양압 형성유닛
500 : 업다운(up/down) 구동유닛 600 : 데이터 관리유닛
700 : 살균액 보관유닛 800 : 펌프유닛

Claims (15)

  1.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면에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본체를 향하여 가열된 기상(氣相)의 살균용 증기인 살균 증기 또는 액상(液相)과 기상의 혼합 상태인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사하는 살균제 분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 분사유닛은,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외주면를 향하여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사하는 외주면 살균제 분사유닛과, 상기 본체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면를 향하여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사하는 내측면 살균제 분사유닛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에 양압을 형성하는 양압 형성유닛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음압을 형성하는 음압 형성유닛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 분사유닛은,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판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향하여 토출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살균 증기를 토출하는 토출관 모듈; 및
    상기 토출관 모듈에 연결되되 상기 토출관 모듈에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액상(液相) 살균물인 살균액을 공급하는 살균액 공급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 모듈은,
    토출관 하우징;
    상기 토출관 하우징 내측에 상기 토출관 하우징의 외측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 및
    상기 격벽들의 살균액 공급 유로측 말단에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배하는 분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 모듈은,
    상기 토출관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열하는 살균제 가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살균제 가열부는,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미리 결정된 온도인 결정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액 공급 유로는,
    상기 토출관 모듈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토출관 모듈에 공급하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에 연결되며 상기 살균액이 가열되어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이되며 상기 제1 구간으로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액 공급 유로는,
    상기 제1 구간의 상기 토출관 모듈 측 말단에 마련되어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용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액 공급 유로는,
    상기 제1 구간의 상기 제2 구간 측 말단에 마련되어 상기 살균액을 상기 살균액의 끓는점 온도를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범위의 온도인 제1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살균액 제1 가열부;
    상기 제1 구간의 상기 토출관 모듈 측 말단에 마련되어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가열온도 보다 높은 온도인 제2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살균액 제2 가열부; 및
    상기 살균액 제1 가열부 및 상기 살균액 제2 가열부 사이에 마련되어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마련되는 주름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 분사유닛은,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판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토출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출하는 토출관 모듈; 및
    상기 토출관 모듈을 내측에 구비하여 상기 토출관 모듈을 지지하는 분사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 하우징에는 상기 본체를 살균하는 UV-C 램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 분사유닛에 연결되어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업다운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살균제 분사유닛은,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판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토출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살균 증기를 토출하는 토출관 모듈; 및
    상기 토출관 모듈을 내측에 구비하여 상기 토출관 모듈을 지지하는 분사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 구동유닛은,
    상기 분사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축; 및
    상기 분사 하우징의 다른 측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 하우징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업다운 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용 부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검체를 채취하고 상기 검체의 오염을 방지하는 위한 검체 채취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타면에 마련되어 검체 채취를 위한 데이터인 검체 채취용 데이터 제공하거나 상기 본체의 외부 정보인 외부 정보를 취득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유닛은,
    상기 본체 상에 마련되어 상기 검체 채취용 데이터를 시각 데이터로 제공하는 모니터부;
    상기 모니터부에 이웃하게 마련되어 상기 검체 채취용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제공하는 음성 데이터 제공부; 및
    상기 본체 상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외부 정보 취득용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살균 증기 및 상기 살균 습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액상(液相) 살균물인 살균액을 보관하는 살균액 보관유닛; 및
    상기 살균액 보관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액을 펌핑(pumping) 하는 펌프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KR1020200063111A 2020-05-26 2020-05-26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KR102393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111A KR102393310B1 (ko) 2020-05-26 2020-05-26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111A KR102393310B1 (ko) 2020-05-26 2020-05-26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081A true KR20210146081A (ko) 2021-12-03
KR102393310B1 KR102393310B1 (ko) 2022-05-02

Family

ID=7886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111A KR102393310B1 (ko) 2020-05-26 2020-05-26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3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545Y1 (ko) * 2001-03-14 2001-10-08 황현배 오존발생기용 오존용기
KR20060103569A (ko) * 2005-03-28 2006-10-04 김두원 건축물 또는 선박의 외벽 페인팅용 페인트 자동분사장치
KR20120025580A (ko) * 2009-06-04 2012-03-15 유니바사루 바이오 리사치 가부시키가이샤 검체 검사장치 및 그 방법
KR20170133088A (ko) 2016-05-25 2017-12-05 주식회사 엠아이티에스 호흡기 감염증 환자의 검체채취용 부스
KR102101612B1 (ko) * 2019-01-31 2020-04-17 주식회사 우정바이오 개별 공간 멸균 제어 및 재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격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545Y1 (ko) * 2001-03-14 2001-10-08 황현배 오존발생기용 오존용기
KR20060103569A (ko) * 2005-03-28 2006-10-04 김두원 건축물 또는 선박의 외벽 페인팅용 페인트 자동분사장치
KR20120025580A (ko) * 2009-06-04 2012-03-15 유니바사루 바이오 리사치 가부시키가이샤 검체 검사장치 및 그 방법
KR20170133088A (ko) 2016-05-25 2017-12-05 주식회사 엠아이티에스 호흡기 감염증 환자의 검체채취용 부스
KR102101612B1 (ko) * 2019-01-31 2020-04-17 주식회사 우정바이오 개별 공간 멸균 제어 및 재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격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310B1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306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эндоскопов секционного типа
US9005530B2 (en) Compressor with an internal disinfecting UV light source
WO2007042787A2 (en) Endoscope reprocessing apparatus
US5409511A (en) Centralized laser plume evacuation system through articulating arms
US20210325109A1 (en) Medical Implement Drying Apparatus
CN108578721B (zh) 一种用于医疗器械的消毒、杀菌一体机
KR102393310B1 (ko) 자동 살균 장치를 이용한 검체 채취용 부스
US9919067B2 (en) Compressor with an internal disinfecting UV light source
KR100771395B1 (ko) 재처리기용 유체 오버플로우/메이크업 공기 조립체
CN206183688U (zh) 医疗用消毒柜
CN108838114B (zh) 一种用于医疗的多功能器械清洗装置
CN1829540A (zh) 用于再处理器的过滤配件
CN210304810U (zh) 检验科设备清洁消毒装置
CN113719227A (zh) 一种内镜传递窗系统
US6589478B1 (en) Disinfecting flat surfaces which form rooms, using water vapor
CN115025265A (zh) 一种内分泌科用仪器消毒设备
CN115531585B (zh) 一种医用煮沸消毒机
KR20210055757A (ko) 소독 방법 및 소독 장치
CN219700584U (zh) 一种医疗器械消毒装置
CN111569973A (zh) 一种传染病治疗实验用操作台
CN216714249U (zh) 一种内镜传递窗系统
KR20200062966A (ko) 이동형 덕트 살균기
CN219022423U (zh) 一种可快速消毒的喷洒装置
CN217409349U (zh) 一种用于药厂不同洁净环境间传输消毒剂的传输装置
US20220354977A1 (en) Fluid System With Integrated Disinfecting Op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