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5561A -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5561A
KR20210145561A KR1020200062598A KR20200062598A KR20210145561A KR 20210145561 A KR20210145561 A KR 20210145561A KR 1020200062598 A KR1020200062598 A KR 1020200062598A KR 20200062598 A KR20200062598 A KR 20200062598A KR 20210145561 A KR20210145561 A KR 20210145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release
carrier
sustain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남선
Original Assignee
황남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남선 filed Critical 황남선
Priority to KR1020200062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5561A/ko
Publication of KR20210145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5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 C01B11/022Chlorine dioxide (ClO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 non-organic comp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5Sorbents inside a permeable or porous casing, e.g. inside a container, bag or memb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2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increasing por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은 이산화염소가 흡착된 담체; 및 상기 담체를 팩킹하며, 비천공 홀이 형성된 통기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은 이산화염소의 방출이 장시간 균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Description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 및 이의 제조방법{Sustained release pack of chlorine dioxi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이산화염소의 방출이 장시간 균일하게 제어되는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 보건 기구의 보고에 따르면, 결핵, 하부 호흡기 감염 및 폐 감염과 같 공기 중 및 수인성 병원균은 매년 수백만명의 사망자를 기록하는 10대 사망원인에 해당한다.
현재 공기와 물의 정화 및 살균을 위한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여과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필터 내에 포획된 미생물들이 필터 내에 성장하여 필터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고, 미생물이 정착화된 필터에 의해 여과되는 공기가 재오염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초소형 세포 및 바이러스는 필터를 투과할 수 있다는 점이 여과 기술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다양한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원생동물에 대해 강력한 살균효과를 가지고 있는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살균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이산화염소는 강한 살균력, 산화력, 및 탈취력이 있으며, 다른 염소계 소독제보다 살균소독력이 2.5배 정도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산화염소는 유기화합물과 반응하지 않아 발암성인 트리할로메탄(THMs), 할로아세틱액시드(HAAs), 할로아세토나이트릴(HANs) 등 유기할로겐계 화합물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정수장, 하수 및 폐수의 살균소독 및 탈취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인체에 무해하고 소독 부산물을 생성하지 않으며 햇빛이나 열에 의해 자연계에서 신속하게 분해되어 친환경성을 가진다.
등록특허 제10-1868446호는 아염소산염; pH 1.5~4.5를 유지하기 위한 완충용액; 및 겔화제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서방출용 겔형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2069856호는 무기-유기 쉘로 캡슐화된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를 포함하는 항균 코팅 물질을 개시하고 있으며, 살생물제로 이산화염소를 사용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2008823호는 고분자물질로 코팅된 아염소산염이 흡착된 제1흡착제; 상기 제1흡착제에 흡착된 아염소산염과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는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형 이산화염소 발생제형 및 발생팩을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68446호 한국등록특허 제10-2069856호 한국등록특허 제10-2008823호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의 방출이 장시간 균일하게 제어되는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이산화염소가 흡착된 담체; 및 상기 담체를 팩킹하며, 비천공 홀이 형성된 통기성 필름;를 포함하는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을 제공한다.
상기 담체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또는 알루미나일 수 있다.
상기 통기성 필름은 담체가 팩킹된 내부를 기준으로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또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이 적층되고, 상기 비천공홀은 상기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관통하고, 상기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또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는 관통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천공 홀은 IR 또는 UV 레이저에 의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이산화염소를 담체에 흡착하는 단계; 필름에 비천공 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천공 홀이 형성된 통기성 필름에 상기 이산화염소가 흡착된 담체를 패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은 이산화염소의 방출이 장시간 균일하게 제어되어 지속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산화염소가 고체 형태인 담체에 흡착되어 사용되어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방출팩이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파손되는 경우에도 담체만 수거하여 정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비천공 홀을 통하여 이산화염소 가스가 서서히 배출되어 상온에서 사용하더라도 장시간 이산화염소 가스 배출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비천공 홀에 의하여 액체가 통기성 필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물의 흡착에 의한 담체의 이산화염소 방출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은 살균, 항균, 및 소취가 필요한 곳에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농수산물의 신선도 유지제, 부식방지용 기계장치의 포장재, 기저귀, 생리대, 일회용 의류와 시트, 의료용 드레이프의 포장재에 사용될 수 있고, 공간 제균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담체에 이산화염소를 주입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관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이산화염소가 주입 실리카 겔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기성 필름의 비천공 홀을 촬영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의 효과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으로 콩나물의 상태변화를 관찰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의 효과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으로 상추의 상태변화를 관찰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의 효과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으로 브로콜리의 상태변화를 관찰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이하, ‘방출팩’이라고도 함)은 이산화염소가 흡착된 담체; 및 상기 담체를 팩킹하며, 비천공 홀이 형성된 통기성 필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출팩은 이산화염소의 방출량이 장시간 균일하게 제어되어 지속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은 이산화염소가 흡착된 담체(120); 및 상기 담체를 팩킹하며, 비천공 홀(111)이 형성된 통기성 필름(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120)에는 이산화염소가 흡착되어 있으며, 이산화염소는 다양한 방법으로 담체에 흡착될 수 있다. 이산화염소의 구체적인 흡착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담체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또는 알루미나일 수 있다. 실리카겔은 튼튼한 그물조직의 입자로 표면적이 매우 넓고, 물 또는 기체를 흡착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담체는 실리카겔 일 수 있다. 건조된 형태의 실리카겔에 이산화염소를 흡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120)는 통기성 필름(110)으로 팩킹되는데, 팩킹되는 담체(120)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용도 및 사용시간에 따라 그 양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산화염소가 고체 형태인 담체에 흡착되어 사용되어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방출팩이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파손되는 경우에도 담체만 수거하여 정리할 수 있다.
상기 통기성 필름(100)에는 비천공 홀(1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비천공 홀(111)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비천공 홀(111)은 1개의 라인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천공 홀(111)은 통기성 필름(110)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고, 통기성 필름(110)의 일부 두께만을 관통하여 형성된 비천공 형태의 기공이다. 상기 비천공 홀(111)을 통하여 공기 등의 기체는 통기성 필름(110)을 투과할 수 있으나 액체는 투과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통기성 필름 내외부간의 기체의 유동은 허용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담체에 흡착된 이산화염소가 기화하는 경우 통기성 필름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산화염소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비천공 홀의 형성 위치 및 개수에 이산화염소 가스의 배출량이 따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천공 홀은 관통 홀 형태가 아니므로 이산화염소 가스가 서서히 배출되어 장시간 이산화염소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산화염소는 약11℃에서 기화되어 장시간 이산화염소의 살균 및 소취 효과를 위해서 저온 사용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온에서 사용하더라도 장시간 이산화염소 가스 배출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천공 홀(111)에 의하여 액체가 통기성 필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담체(120), 특히 실리카 겔은 물을 흡착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난데, 외부에서 물이 유입되어 담체에 물이 흡착되는 경우 담체의 이산화염소배출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기성 필름의 비천공 홀(111)은 액체의 유입을 막아 담체의 이산화염소 방출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아 방출팩의 이산화염소 배출 기능이 장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기성 필름(110)은 단층 또는 다층의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상기 통기성 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CPP(casting polypropylene), OPP(oriented polypropylene),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통기성 필름(110)은 담체가 팩킹된 내부를 기준으로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또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가 최저층에 위치할 수 있다.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또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는 이산화염소 기체의 투과성이 높아 비천공 홀의 형성시 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통기성 필름(110)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또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상에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CPP(casting polypropylene), 및 OPP(oriented polypropylene)로 된 필름층이 하나 이상 적층될 수 있다. 이때 비천공 홀(111)은 최고층에 위치하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CPP(casting polypropylene), 및 OPP(oriented polypropylene) 필름층 중 하나 이상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CPP(casting polypropylene), 및 OPP(oriented polypropylene) 필름층은 일부 영역만 천공되므로 방출팩의 구조를 유지하는게 기여하여 방출팩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은 이산화염소를 담체에 흡착하여 사용하고, 비천공 홀을 통하여 이산화염소를 서서히 방출하되 외부로부터 액체의 유입을 막아 이산화염소의 방출량을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산화염소에 의한 항균, 소취효과 및 포름알데히드 제거 효과를 장시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은 살균, 항균, 및 소취가 필요한 곳에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농수산물의 신선도 유지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농수산물의 저장 안정성과 유통 중 미생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부식방지용 기계장치의 포장재, 기저귀, 생리대, 일회용 의류와 시트, 의료용 드레이프의 포장재에 사용될 수 있고, 공간 제균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의 제조방법은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이산화염소를 담체에 흡착하는 단계; 필름에 비천공 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에 상기 이산화염소가 흡착된 담체를 패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이산화염소는 액체 또는 가스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산화염소는 다양한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는데, 클로레이트(ClO3 -)의 환원 또는 클로라이트(ClO2 -)의 산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발생된 이산화염소를 담체에 흡착할 수 있다. 이산화염소의 생성과 동시에 담체 흡착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담체(120a)에 이산화염소(ClO2)를 주입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관념도이다.
상기 흡착 과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밀폐된 공간에서 이산화염소(ClO2) 가스를 생성하고 담체(120a)와 1 내지 2시간 동안 반응시켜 이산화염소가 흡착된 담체를 형성될 수 있다. 담체(120a)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또는 알루미나일 수 있는데, 이들은 표면적이 매우 넓어 기체를 흡착하는 능력이 매우 우수하므로 이산화염소의 흡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필름에 비천공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또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을 최저층으로 하고, 이에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이 적층되고, 다음으로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이 적층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레이저를 사용하여 비천공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레이저는 IR 또는 UV레이저를 사용할 수 있고, 펨토초 또는 나노초, 또는 CW 레이저(continuous wave laser)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비천공 홀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은 관통하되,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또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층은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비천공 홀의 길이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펨토초 또는 나노초 레이저를 통하여 비천공 홀을 형성하는 경우 가공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비천공 홀 형성시 열이 발생하지 않아 필름의 열 변형을 막을 수 있고, 비천공 기공의 형상과 크기를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의 출력, 펄스를 조절하여 비천공 홀의 수, 비천공 홀 간의 간격, 기공의 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비천공 홀이 형성된 통기성 필름에 상기 이산화염소가 흡착된 담체를 패킹할 수 있다. 팩킹되는 담체(120)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용도 및 사용시간에 따라 그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러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이산화염소 발생제를 사용하여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시키고, 이산화염소 발생 공간에 실리카 겔을 준비하여 실리카 겔에 이산화염소를 흡착시켰다. 실리카겔은 알갱이 형태의 것을 사용하였다. 도 4는 이산화염소가 흡착된 상태의 실리카 겔을 촬영한 사진이다. 흰색의 실리카겔이 노란색으로 변하여 이산화염소가 흡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부로부터 PET-PP-PE-LDPE의 구조를 가지는 필름(필름 1)과 PET-PE-PP-LLDPE의 구조를 가지는 필름(필름 2)에 레이저로 비천공 홀을 형성하였다. 도 5는 필름 1에 비천공 홀을 형성한 후 촬영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5를 보면 균일한 간격으로 비천공 홀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필름 1과 필름 2에 실리카 겔을 팩킹하고 밀봉하여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을 제조하였다.
평가
농산물의 신선도유지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제조된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필름 1)을 사용하였다. 상기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을 사용하여 콩나물, 상추, 브로콜리를 상온(25±5℃), 습도 50±10%에서 보관한 후 신선도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으로 비천공 홀이 형성되지 않은 필름에 이산화염소가 담지된 실리카 겔을 팩킹하여 사용하였다.
콩나물의 경우 1일부터 67일차까지 신선도를 관찰하였다. 도 6 및 도 7은 콩나물의 상태변화를 관찰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을 사용한 경우(a)는 대조군(b)과 비교하여 신선도가 67일까지 유지되었다. 도 6은 보관 10일차에 콩나물을 관찰한 사진으로 도 6(a)콩나물의 경우 풀 냄새가 유지되었으나, 도 6(b)콩나물은 악취가 발생하였으며, 육안으로도 신서도가 현저히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7은 보관 67일차의 콩나물의 상태를 촬영한 것으로 도 6(a)콩나물은 신선도가 유지되었으나, 도 6(b)콩나물은 신선도가 현저히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추의 경우 1일부터 71일차까지 신선도를 관찰하였다. 도 8은 상추의 상태변화를 관찰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을 사용한 경우(a)는 대조군(b)과 비교하여 71일까지 신선도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브로콜리의 경우 1일부터 6일차까지 신선도를 관찰하였다. 도 9는 브로콜리의 상태변화를 관찰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을 사용한 경우(a)는 대조군(b)과 비교하여 6일까지 신선도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이산화염소가 흡착된 담체; 및
    상기 담체를 팩킹하며, 비천공 홀이 형성된 통기성 필름;를 포함하는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또는 알루미나인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필름은 담체가 팩킹된 내부를 기준으로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또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이 적층되고, 상기 비천공홀은 상기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관통하고, 상기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또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는 관통하지 않은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천공 홀은 IR 또는 UV 레이저에 의하여 형성된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
  5.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이산화염소를 담체에 흡착하는 단계;
    필름에 비천공 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천공 홀이 형성된 통기성 필름에 상기 이산화염소가 흡착된 담체를 패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의 제조방법.
KR1020200062598A 2020-05-25 2020-05-25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455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598A KR20210145561A (ko) 2020-05-25 2020-05-25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598A KR20210145561A (ko) 2020-05-25 2020-05-25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561A true KR20210145561A (ko) 2021-12-02

Family

ID=7886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598A KR20210145561A (ko) 2020-05-25 2020-05-25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556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446B1 (ko) 2015-12-04 2018-07-18 김홍길 이산화염소 서방출용 겔형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8823B1 (ko) 2018-01-08 2019-08-08 곽일환 서방형 이산화염소 발생제형 및 이를 이용한 서방형 이산화염소 발생팩
KR102069856B1 (ko) 2014-09-19 2020-01-23 더 홍콩 유니버시티 오브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러지 표면의 장기 살균을 위한 항균 코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856B1 (ko) 2014-09-19 2020-01-23 더 홍콩 유니버시티 오브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러지 표면의 장기 살균을 위한 항균 코팅
KR101868446B1 (ko) 2015-12-04 2018-07-18 김홍길 이산화염소 서방출용 겔형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8823B1 (ko) 2018-01-08 2019-08-08 곽일환 서방형 이산화염소 발생제형 및 이를 이용한 서방형 이산화염소 발생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01789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on-demand release of ci02 gas from uv-activated chlorite ion
DE69636006T2 (de) Transparente biozide zusammensetzungen mit verzögerter freigabe
TWI243014B (en) Compositions for sustained release of a gas
KR102008823B1 (ko) 서방형 이산화염소 발생제형 및 이를 이용한 서방형 이산화염소 발생팩
EP1542556B1 (en) Antimicrobial body covering articles
DE69732913T2 (de) Puder für die kontrollierte freisetzung eines gases
JP6014140B2 (ja) 土壌燻蒸用光触媒フィルム
NO324038B1 (no) Preparat, pulver og komposittmateriale og anvendelse av disse, fremgangsmate for fremstilling av pulveret, og fremgangsmate for energikontrollert frigjoring av gass
US9382116B2 (en) Mixtures for producing chlorine dioxide gas in enclos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4670288A (en) Chemically-active composition containing divalent iron ions
CN111670911A (zh) 二氧化氯缓释粉剂的制备工艺
US20140311094A1 (en) Methods of Increasing the Generation of a Gas Within a Package
KR20210145561A (ko) 서방형 이산화염소 방출팩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306024A (ja) 熱接着用多層テープ及び包装体
JP6443625B2 (ja) 二酸化塩素ガス発生剤、及び消臭除菌剤
WO2014189833A1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a gas within a package
KR101447643B1 (ko) 농축수산물 포장용 살균성 포장재의 제조방법
JP4598659B2 (ja) 塩素徐放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消毒方法
KR102300013B1 (ko) 코로나 바이러스를 사멸하는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제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11957805B2 (en) Light-activated chlorine dioxide-releasing powder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220012774A (ko)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용 고체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탈취제
KR102296335B1 (ko)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흡착제
CN111298177A (zh) 一种二氧化氯缓释袋
JPH032235A (ja) イソチオシアン酸エステルを含有する高分子成形品
JP3171472U (ja) 除菌消臭剤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