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243A - Sterilization system for closed space using ultraviolet ray - Google Patents

Sterilization system for closed space using ultraviolet 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243A
KR20210144243A KR1020200061316A KR20200061316A KR20210144243A KR 20210144243 A KR20210144243 A KR 20210144243A KR 1020200061316 A KR1020200061316 A KR 1020200061316A KR 20200061316 A KR20200061316 A KR 20200061316A KR 20210144243 A KR20210144243 A KR 20210144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ontroller
humidity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53503B1 (en
Inventor
남지현
Original Assignee
남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지현 filed Critical 남지현
Priority to KR1020200061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503B1/en
Publication of KR20210144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2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5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sterilizing an unventilated closed space using UV, and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enabling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infectious and contamination sources in an unventilated closed space which is public multi-use faciliti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for sterilizing an unventilated closed space using UV comprises: a UV lamp for th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an unventilated closed space; an object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motion of an object in an unventilated closed space and outputs an object detection signal when the motion of the object is detected; 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at least one among forced turn-off operations and periodic turn on/off operations of the UV lamp based on a preset operation algorithm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object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Description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STERILIZATION SYSTEM FOR CLOSED SPACE USING ULTRAVIOLET RAY}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STERILIZATION SYSTEM FOR CLOSED SPACE USING ULTRAVIOLET RAY}

본 발명의 실시예는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세계보건기구(WHO)는 바이러스에 의한 범 유행병이 되기까지의 여섯 단계의 과정으로 인간의 첫 감염과 인플루엔자의 바이러스 이동과 관련하여 구분한다.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istinguishes between the first human infection and the viral transfer of influenza as a six-step process leading to a viral pandemic.

이는 바이러스가 동물로부터 사람으로 감염된 사례가 많기 때문이며, 동물 감염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직접 확산을 통해 새로운 바이러스의 감염이 전 세계적 유행으로 종료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virus is transmitted from animals to humans, and the infection of the new virus ends as a global epidemic through the direct spread of the animal-infecting virus to humans.

국내 전염병확산과 관련한 대처를 위해 정부는 '관심-주의-경계-심각' 4단계의 '국가전염병재난단계'를 두고 있다.In order to cope with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n Korea, the government has set the 'National Epidemic Disaster Disaster Stage' with 4 stages of 'Attention-Caution-Vigilance-Severe'.

해외에서 신종 바이러스 관련 전염병 발생 또는 국내 원인불명 감염환자 발생시 '관심' 단계를 발동해 징후 감시 활동이 전개된다.In the event of an outbreak of a new virus-related infectious disease abroad or an infected patient of unknown origin in Korea, the 'interest' stage is activated to monitor signs.

해외 신종 전염병의 국내 유입이나 신종 전염병 발생시 '주의'로 격상되며 중앙방역대책본부의 설치를 통해 감시, 치료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국가지정 입원치료 병상을 가동하고 있다.When a new infectious disease from abroad is introduced into Korea or a new infectious disease occurs, it is upgraded to 'caution'.

전염병의 타 지역 확산인 경우 '경계' 단계가 되며, 대책본부 강화 및 범 정부적 협조체계를 운영해 24시간 비상방역체제 유지하고 있다.In the case of an epidemic spreading to other regions, it is at the 'warning' stage, and a 24-hour emergency quarantine system is maintained by strengthening the countermeasure headquarters and operating a pan-government cooperation system.

여러 사람이 모여 사는 공공주택에서의 감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감염관리는 공공주택에서 또한 수행되어야 한다. 특히, 공공주택의 엘리베이터는 고층 건물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승강하면서 사람이나 물건을 이송하는 장치로, 공공시설뿐 아니라 아파트나 주택 등의 주거 단지에서도 필수적인 장치가 되어있다. 그러나 다수가 이용하는 이 한정된 공간의 살균 및 환기는 쉽지 않으며, 실례로 엘리베이터 내에서의 감염으로 인하여 질병에 걸리는 경우도 종종 존재한다.As interest in infection in public housing where many people live is increasing, infection control should also be carried out in public housing. In particular, elevators in public houses are installed in high-rise buildings to vertically move people and goods, and are essential not only in public facilities but also in residential complexes such as apartments and houses. However, it is not easy to sterilize and ventilate this limited space used by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for example, there are cases in which disease occurs due to infection in an elevator.

한편, 출근이나 퇴근하는 엘리베이터 탑승객들의 경우 바깥에서 묻혀온 미세먼지 또는 바이러스가 엘리베이터 내에 집진되어 탑승객들의 건강에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levator passengers going to work or leaving work, fine dust or viruses buried outside may be collected in the elevator, causing great health problems for passengers.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1183호(공개일자: 2019년06월05일)Publication No. 10-2019-0061183 (published date: June 05, 2019) 등록특허공보 제10-2082571호(등록일자: 2020년02월21일)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82571 (Registration Date: February 21, 2020)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불특정 다수의 다중이용시설로, 밀폐공간 내 감염원과 오염원에 대한 살균 및 소독이 가능한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capable of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infectious and contaminant sources in a closed space with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multi-use faciliti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은, 밀폐공간의 살균 및 소독을 위한 UV 램프; 밀폐공간 내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객체의 움직임 감지 시 물체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물체감지센서; 및 상기 물체감지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UV 램프의 강제 턴 오프 및 주기적 턴 온/오프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V lamp fo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a closed space; an object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 motion of an object in an enclosed space and outputs an object detection signal when the motion of the object is detecte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forced turn-off and a periodic turn-on/off operation of the UV lamp based on a preset operation algorithm according to whether the object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또한, 상기 UV 램프의 양측 중 적어도 한 측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UV 램프가 오프 상태일 때 출력하는 오프신호를 수신하면 턴 온되는 동작 표시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indicator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UV lamp,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turned on when receiving an off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when the UV lamp is in an off state.

또한, 상기 동작 알고리즘은, 상기 물체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UV 램프를 턴 오프시키거나 상기 UV 램프의 오프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모드; 및 상기 물체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지연한 후 미리 설정된 제2 시간만큼 상기 UV 램프를 턴 온시키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UV 램프를 동작시킨 후, 미리 설정된 제3 시간 동안만큼 상기 UV 램프를 턴 오프시키는 동작 루틴을 상기 물체감지신호가 수신되기 이전까지 반복하는 제2 제어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algorithm may include, when the object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a first control mode for turning off the UV lamp or controlling to maintain an off state of the UV lamp; and if the object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the UV lamp is turned on for a preset second time after delaying for a first preset time, and after operating the UV lamp for the second time, a preset third The second control mode may include a second control mode in which an operation routine of turning off the UV lamp for a period of time is repeated until the object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또한, 밀폐공간 내 습도를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출력하는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습도 측정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습도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습도 측정 값이 상기 기준 습도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UV 램프의 동작 유지 시간을 증가시키고, 상기 습도 측정 값이 상기 기준 습도 범위 미만이면, 상기 UV 램프의 동작 유지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a humidity sensor that measures the humidity in the enclosed space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wherein the controller compares the humidity measurement value received from the humidity sensor with a preset reference humidity range to determine the humidity measurement value as the reference When the humidity range is exceeded, the operation maintenance time of the UV lamp may be increased, and if the humidity measurement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humidity range, the operation maintenance time of the UV lamp may be decreased.

또한, 인터넷 통신망에 연결되어 외부 서버로부터 습도 데이터 값을 수신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인터넷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인터넷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습도 데이터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습도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습도 데이터 값이 상기 기준 습도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UV 램프의 동작 유지 시간을 증가시키고, 상기 습도 측정 값이 상기 기준 습도 범위 미만이면, 상기 UV 램프의 동작 유지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further comprising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o receive a humidity data value from an external server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humidity data value received from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and a preset reference humidity range. In comparison, when the humidity data value exceeds the reference humidity range, the operation maintenance time of the UV lamp is increased, and when the humidity measurement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humidity range, the operation retention time of the UV lamp can be reduced .

또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와 연결되고, 관리자 통신단말로부터 상기 UV 램프의 온/오프 제어 값을 수신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인터넷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인터넷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온/오프 제어 값에 따라 상기 UV 램프의 동작 유지시간을 조절하고, 강제 턴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further comprising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an external server through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receiving an on/off control value of the UV lamp from a manag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from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received on/off control value, the operation duration of the UV lamp may be adjusted, and the forced turn on/off operation may be controlled.

또한, 출입문 측에 설치되어 밀폐공간에 대한 출입 여부를 감지하고, 출입 감지 시 출입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출입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출입감지신호의 수신 횟수를 미리 설정된 주간 시간대 내에서 카운팅하고, 시간 당 출입자 증가 수치가 미리 설정된 증가 수치를 초과하면 상기 UV 램프의 동작 유지 시간을 감소시키고, 시간 당 출입자 증가 수치가 미리 설정된 증가 수치 미만이면 상기 UV 램프의 동작 유지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door to detect whether or not to enter the enclosed space, further comprising an access detection sensor for transmitting an access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when the entrance is detected, the controller, the number of reception of the access detection signal in advance Counts within the set weekly time period, and if the number of occupants per hour exceeds the preset increment, the duration of operation of the UV lamp is reduced; time can be increased.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상기 시간 당 출입자 증가 수치에 대한 통계 수치를 산출하여 누적시키고, 누적된 상기 통계 수치를 기반으로 상기 UV 램프의 동작 유지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and accumulate a statistical value for the number of occupants per hour in a preset period unit, and adjust the operation maintenance time of the UV lamp based on the accumulated statistical value.

또한, 사용자 통신단말과 페어링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통신단말과 연결 시 단말연결완료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무선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단말연결완료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UV 램프를 강제 턴 오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connected to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pairing, and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terminal connec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when connected to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ler receives the terminal connection completion signal when the UV You can force the lamp to turn off.

본 발명에 따르면, 불특정 다수의 다중이용시설로, 밀폐공간 내 감염원과 오염원에 대한 살균 및 소독이 가능한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capable of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infectious and contamination sources in a closed space with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multi-use faciliti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좌측 단부를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의 물체감지센서를 이용한 기본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서 측정된 습도 측정 값에 기초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의 UV 램프 온/오프 시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서 수신된 습도 데이터 값에 기초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의 UV 램프 온/오프 시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부에서 카운팅되는 출입자 수에 기초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의 UV 램프 온/오프 시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left end of FIG. 1 .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asic operation configuration using an object detection sensor of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V lamp on/off time control method of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based on a humidity measurement value measured in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V lamp on/off time control method of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based on a humidity data value received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V lamp on/off time control method of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based on the number of entrants counted in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좌측 단부를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의 물체감지센서를 이용한 기본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서 측정된 습도 측정 값에 기초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의 UV 램프 온/오프 시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서 수신된 습도 데이터 값에 기초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의 UV 램프 온/오프 시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부에서 카운팅되는 출입자 수에 기초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의 UV 램프 온/오프 시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left end of FIG. 1 ,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chart showing a basic operation configuration using an object detection sensor of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according to an example, and FIG. 6 is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based on a humidity measurement value measured in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chart shown to explain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UV lamp on/off time of It is a flowchart shown to explain, and FIG. 8 is a flowchart shown to explain a UV lamp on/off time control method of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based on the number of entrants counted in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1000)은 UV 램프(100), 물체감지센서(200), 컨트롤러(300), 동작 표시등(400), 습도센서(500), 인터넷 통신모듈(600), 출입감지센서(700), 무선통신모듈(800) 및 전원부(9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 the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1000 using U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V lamp 100 , an object detection sensor 200 , a controller 300 , and an operation indicator 400 . ), a humidity sensor 500 ,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600 , an access detection sensor 700 ,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800 , and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unit 900 .

상기 UV 램프(100)는, 공공주택 또는 건물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등과 같은 밀폐공간에 살균 및 소독을 실시하기 위한 수단이다. 일반적인 자외선 파장 범위는 100㎚∼400㎚로 구성되며, 100㎚~280㎚를 UV-C (단파), 280㎚∼315㎚를 UV-B(중파), 315㎚∼400㎚를 UV-A(장파)로 분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UV 램프(100)자외선 인공파장의 생성 수단으로 UV-C(단파)의 자외선 중 가장 살균력이 강한 253.7㎚ 자외선을 이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자외선에 의한 살균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대부분의 세균에 대해 효과적이며, 살균램프의 점등으로 살균이 가능하여 사용방법이 간단하고 설치비와 유지비가 경제적이다. UV 램프(100)와 같은 살균 램프의 활용은 실내의 공기살균뿐만 아니라 식품, 의료, 화장품, 전자공업 등 고도의 살균방법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The UV lamp 100 is a means for performing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in a closed space such as an elevator installed in a public house or building. A typical UV wavelength range consists of 100nm to 400nm, 100nm to 280nm for UV-C (short wave), 280nm to 315nm for UV-B (medium wave), and 315nm to 400nm for UV-A (short wave). long wave). As a means for generating the artificial wavelength of the UV lam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ppropriate to use 253.7 nm UV light, which has the strongest sterilization power among UV-C (short wave) UV rays. Sterilization by ultraviolet rays is effective against most bacteria, such as bacteria, viruses, and mold, and it is possible to sterilize by turning on the sterilization lamp, so the method of use is simple and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are economical. Utilization of a sterilization lamp such as the UV lamp 100 is utilized in fields requiring a high-level sterilization method such as food, medical care, cosmetics, and the electronics industry as well as indoor air sterilization.

상기 UV 램프(100)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 가능한 하우징(1)의 하부(또는 상부)에 가로로 설치되어 밀폐된 실내 공간으로 살균 소독을 위한 자외선을 고르게 조사할 수 있다.The UV lamp 10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but as shown in FIGS. 1 and 2 , it is mad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lower part (or upper part) of the housing 1 that can be installed on a wall or ceiling. UV rays fo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can be evenly irradiated into an enclosed indoor space.

상기 물체감지센서(200)는, 하우징(1)의 전방에 설치되어 밀폐된 실내공간 내에 객체(사람,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해당 객체의 움직임 감지 시 물체감지신호를 컨트롤러(300)로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물체감지센서(200)는 일반적으로 적외선 인체감지센서(PIR: Passive Infrared Ray)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체감지센서는 인체의 체온에서 방출하는 복사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온도의 변화를 일으키고 그 변화량에 비례하여 전하가 유기되며 이를 증폭하여 출력신호로 이용하도록 이루어진다.The object detection sensor 20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housing 1 to detect the movement of an object (human, animal) in an enclosed indoor space, and sends an object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300 when the movement of the object is detected. can be printed out. The object detection sensor 200 of this embodiment can generally apply an infrared human body detection sensor (PIR: Passive Infrared Ray), and this human body detection sensor detects a change in temperature when the movement of radiant heat emitted from the body temperature is detected. The charge is induc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change and amplified to use it as an output signal.

상기 컨트롤러(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되며 물체감지센서(200)로부터 물체감지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UV 램프(100)의 강제 턴 오프 및 주기적 턴 온/오프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 as shown in FIG. 2 and based on a preset operation algorithm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n object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bject detection sensor 200, the UV lamp 100 ) may control at least one of a forced turn-off operation and a periodic turn-on/off operation.

좀 더 구체적으로 동작 알고리즘의 기본 제어모드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모드(Control Mode 1)와 제2 제어모드(Control Mode 2)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basic control mode of the operation algorithm may include a first control mode (Control Mode 1) and a second control mode (Control Mode 2) as shown in FIG. 5 .

상기 컨트롤러(300)는, 도 5를 참조하면 물체감지센서(200)로부터 물체감지신호가 수신되면(S51), UV 램프(100)를 턴 오프시키거나(S52) UV 램프(100)의 오프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모드(Control Mode 1)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300)는 UV 램프(100)를 오프시킬 경우 동작 표시등(400)을 턴 온시킬 수 있다(S53).5, when an object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bject detection sensor 200 (S51), the controller 300 turns off the UV lamp 100 (S52) or turns off the UV lamp 100 (S52). may be operated in a first control mode (Control Mode 1) for controlling to be maintained. As such, the controller 300 may turn on the operation indicator 400 when the UV lamp 100 is turned off (S53).

즉, 상기 컨트롤러(300)는, 밀폐된 실내 공간 내에 움직이는 객체가 있음이 감지되면 그 직전에 UV 램프(100)가 동작하고 있었다면 그 동작을 강제로 멈추게 하며, UV 램프(100)가 오프상태였다면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if the controller 300 detects that there is a moving object in the enclosed indoor space, if the UV lamp 100 was operating immediately before that, it forcibly stops the operation, and if the UV lamp 100 is off You can control it to keep it that way.

상기 컨트롤러(300)는, 도 5를 참조하면 물체감지센서(200)로부터 물체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S51),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지연한 후(S54) 미리 설정된 제2 시간만큼 UV 램프(100)를 턴 온시키고(S55), 제2 시간 동안 UV 램프(100)를 동작시킨 후(S56), 미리 설정된 제3 시간 동안만큼 UV 램프(100)를 턴 오프(S57, S58)시키는 동작 루틴을 물체감지신호가 수신되기 이전까지 반복하는 제2 제어모드(Control Mode 2)로 동작할 수 있다. 5 , when an object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object detection sensor 200 (S51), the controller 300 delays for a first preset time (S54) and then sets the UV lamp for a preset second time period (S54). Turning on (S55) and operating the UV lamp 100 for a second time (S56), and then turning off the UV lamp 100 for a third preset time (S57, S58) The routine may be operated in a second control mode (Control Mode 2) that repeats until an object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300)는, 밀폐된 실내 공간 내에 움직이는 객체가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대략 1 내지 300초 가량 UV 램프(100)의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UV 램프(100)의 동작을 지연시킨 후, UV 램프(100)가 턴온되도록 제어하고, 이러한 동작 상태를 대략 1 내지 100분 정도 유지한 후 UV 램프(57)를 오프시키되 대략 10 내지 600분 가량을 오프시킬 수 있으며, 해당 시간이 끝난 후에 다시 UV 램프(100)을 대략 1 내지 100분 가량 살균 소독을 위해 작동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re is no moving object in the enclosed indoor space, the controller 300 delays the operation of the UV lamp 100 to maintain the off state of the UV lamp 100 for about 1 to 300 seconds. After this, the UV lamp 100 is controlled to be turned on, and after maintaining this operating state for about 1 to 100 minutes, the UV lamp 57 is turned off, but it can be turned off for about 10 to 600 minutes, and the time is After completion, the UV lamp 100 may be operated again for sterilization for about 1 to 100 minutes.

상기 컨트롤러(300)는, 도 6을 참조하면 습도센서(500)로부터 수신되는 습도 측정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습도 범위를 비교하여 습도 측정 값이 기준 습도 범위를 초과하면, UV 램프(100)의 동작 유지 시간을 증가시키고, 습도 측정 값이 기준 습도 범위 미만이면, UV 램프(100)의 동작 유지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밀폐공간의 고습도 환경에서 바이러스 및 세균 번식을 신속히 차단하여 보다 능동적인 살균 소독을 수행할 수 있다.6, the controller 300 compares the humidity measurement value received from the humidity sensor 500 with a preset reference humidity range, and when the humidity measurement value exceeds the reference humidity range, the operation of the UV lamp 100 The holding time is increased, and when the humidity measurement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humidity rang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perating holding time of the UV lamp 100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erform more activ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by quickly blocking the propagation of viruses and bacteria in a high-humidity environment in a closed space.

상기 컨트롤러(300)는, 도 7을 참조하면 인터넷 통신모듈(600)로부터 수신되는 습도 데이터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습도 범위를 비교하여 습도 데이터 값이 기준 습도 범위를 초과하면(S71), UV 램프의 동작 유지 시간을 증가시키고(S72), 습도 측정 값이 기 기준 습도 범위 미만이면(S73), UV 램프(100)의 동작 유지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S74), 그렇지 않은 경우 UV 램프(100)의 온/오프 동작유지시간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밀폐공간의 고습도 환경에서 바이러스 및 세균 번식을 신속히 차단하여 보다 능동적인 살균 소독을 수행할 수 있다.7, the controller 300 compares the humidity data value received from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600 with a preset reference humidity range, and when the humidity data value exceeds the reference humidity range (S71), the UV lamp Increase the operation holding time (S72), if the humidity measurement value is less than the base reference humidity range (S73),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peration holding time of the UV lamp 100 (S74), otherwise the UV lamp (100) It can maintain the on/off operation holding time of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erform more activ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by quickly blocking the propagation of viruses and bacteria in a high-humidity environment in a closed space.

이와 같이 컨트롤러(300)는 습도 측정 값 및 습도 데이터 값 중 하나를 이용하여 UV 램프(100)의 온/오프 동작유지시간을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3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공간 살균 시스템(1000)의 기본 세팅에 따라 습도센서(500)를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인터넷 통신모듈(600)을 활성화시켜 습도 측정 값 또는 습도 데이터 값을 받아 UV 램프(100)의 온/오프 동작유지시간을 조절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습도센서(500)와 인터넷 통신모듈(600) 모두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컨트롤러(300)에 우선적으로 입력되는 값을 반영하여 UV 램프(100)의 온/오프 동작유지시간을 조절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s such, the controller 300 may actively adjust the on/off operation holding time of the UV lamp 100 by using one of the humidity measurement value and the humidity data value. That is, the controller 300 activates the humidity sensor 500 or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600 according to the basic setting of the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obtain a humidity measurement value or a humidity data value.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operation of adjusting the on/off operation holding time of the UV lamp 100 by receiving . However, both the humidity sensor 500 and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600 can be activated, and in this case, the on/off operation maintenance time of the UV lamp 100 is reduced by reflecting the value preferentially input to the controller 300 . control action can be performed.

상기 컨트롤러(300)는, 인터넷 통신모듈(600)로부터 수신되는 온/오프 제어 값에 따라 UV 램프(100)의 동작 유지시간을 조절하고, 강제 턴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의 밀폐공간 살균 시스템(1000)이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 통신단말(20)(또는 관리자 통신단말)로부터 UV 램프(100)의 온 상태 유지 시간과 오프 상태 유지 시간을 원격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UV 램프(100)의 온/오프 또한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0 may adjust the operation holding time of the UV lamp 100 according to the on/off control value received from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600 and control the forced turn on/off operation. Through this, the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1000 of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on-state maintenance time and the off-state maintenance time of the UV lamp 100 from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20 (or the manager communication terminal) are remotely controlled. It can be freely adjusted, and if necessary, the on/off of the UV lamp 100 can also be controlled remotely.

상기 컨트롤러(300)는, 출입감지센서(700)로부터 수신되는 출입감지신호의 수신 횟수를 미리 설정된 주간 시간대 내에서 카운팅하고, 시간 당 출입자 증가 수치가 미리 설정된 증가 수치를 초과하면 UV 램프(100)의 동작 유지 시간을 감소시키고, 시간 당 출입자 증가 수치가 미리 설정된 증가 수치 미만이면 UV 램프(100)의 동작 유지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300 counts the number of times of reception of the access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access detection sensor 700 within a preset weekly time zone, and when the number of occupants per hour exceeds the preset increment, the UV lamp 10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peration maintenance time of the UV lamp 100 , and to increase the operation maintenance time of the UV lamp 100 when the number of occupants per hour is less than a preset increase value.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새벽 7시부터 저녁 7시까지 대를 주간 시간대로 설정될 수 있으며, 해당 주간 시간대에 해당 엘리베이터로 들어오고 나가는 사람들을 감지하면, 컨트롤러(300)가 이들의 수를 카운팅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1 내지 2 시간마다 카운팅된 총 인원 수가 기본 출입 인원 수 보다 얼마나 많이 증가했는지 산출하고, 그 산출된 값을 미리 설정된 출입자 증가 수치와 비교하여 초과하는 경우(S81) 인원 유동 수가 많음에 따라 UV 램프(100)의 동작 유지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S82), 산출 값이 미리 설정된 출입자 증가 수치 미만이면(S83) 인원 유동 수가 적음에 따라 UV 램프(100)의 동작 유지 시간을 증가시켜(S84) 유동 인원 수가 적은 시간대에 좀 더 많은 살균 소독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UV 램프(100)의 온/오프 동작유지시간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S85).For example, the period from 7:00 a.m. to 7:00 p.m., which uses the elevator the most, may be set as the daytime time zone. counts, calculates how much the total number of people counted every 1 to 2 hours has increased more than the basic number of people, as shown in FIG. 8, and compares the calculated value with a preset number of people to enter (S81) The operation maintenance time of the UV lamp 100 can be reduced as the number of people flow is large (S82), and if the calculated value is less than a preset increase in occupants (S83), the UV lamp 100 as the number of people flow is small (S83) ) by increasing the operation maintenance time (S84) to perform mor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perations in a time zone with a small number of moving people, otherwise the on/off operation maintenance time of the UV lamp 100 can be maintained as it is ( S85).

상기 컨트롤러(30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시간 당 출입자 증가 수치에 대한 통계 수치를 산출하여 누적시키고, 누적된 통계 수치를 기반으로 UV 램프(100)의 동작 유지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0 may calculate and accumulate statistical values for the number of occupants per hour in a preset period unit, and adjust the operation maintenance time of the UV lamp 100 based on the accumulated statistical values.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일일 출입자 횟수 카운팅 값을 대략 일주일 정도 누적시켜 시간대 별 평균 값을 산출하고, 시간 대 별로 산출된 평균 값을 출입자 증가 수치와 비교하고(S86), UV 램프(100)의 온/오프시간을 각각 증가시킬지 또는 감소시킬지 결정하여 조절할 수 있다(S87)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 an average value for each time period is calculated by accumulating the daily number of visitors counting values for about a week, and the average value calculated for each time period is compared with the increase number of visitors (S86), and the UV lamp (100 ) can be adjusted by determining whether to increase or decrease the on/off time, respectively (S87)

상기 컨트롤러(300)는, 무선 통신모듈(800)로부터 사용자 통신단말(20)과의 근거리무선통신연결 시 발생되는 단말연결완료신호를 수신하면 UV 램프(100)를 강제 턴 오프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300 may forcibly turn off the UV lamp 100 upon receiving a terminal connection completion signal generated dur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20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800 .

예를 들어, 사용자 통신단말(20)과 무선 통신모듈(800) 간의 페어링을 통한 연결 시 해당 무선 통신단말(800)은 컨트롤러(300)로 단말연결완료신호를 송출하고, 컨트롤러(300)는 이에 UV 램프(100)를 강제 턴 오프시키거나 오프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는, 엘리베이터로 입장할 때 발생되는 물체감지에 의해 UV 램프(100)가 오프되는 것이 아니라, 엘리베이터로 약 10m 내로 접근하는 탑승객을 미리 인지하여 물체감지센서(200)가 감지하기 이전에 UV 램프(100)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For example, when connecting through pairing between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800, the correspond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800 transmits a terminal connec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300, and the controller 300 responds to this. The UV lamp 100 may be forcibly turned off or maintained in an off state. This is not because the UV lamp 100 is turned off by object detection generated when entering the elevator, but rather by recognizing a passenger approaching within about 10 m into the elevator in advance, the UV lamp ( 100) is configured to turn off.

상기 동작 표시등(4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 램프(100)의 양측 중 적어도 한 측에 설치되고, 컨트롤러(300)와 연결되어 컨트롤러(300)로부터 UV 램프(100)가 오프 상태일 때 출력하는 오프신호를 수신하면 턴 온될 수 있다. 즉, 동작 표시등(400)은 UV 램프(100)가 오프되면 컨트롤러(300)에 의해 턴 온되어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그 외관은 확산 커버(410)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동작 표시등(400)의 상태를 좀 더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operation indicator 400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UV lamp 100 as shown in FIGS. 1 to 3 ,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0 , and the UV lamp 100 from the controller 300 ) may be turned on when receiving an off signal output when it is in an off state. That is, when the UV lamp 100 is turned off, the operation indicator 400 is turned on by the controller 300 to display an operation state, and the appearance of the operation indicator light from the outside is that the diffusion cover 410 is installed. (400) to be more clearly identified.

상기 습도센서(500)는 밀폐된 공간 내 습도를 측정하여 컨트롤러(300)로 출력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습도센서(5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과 형태의 습도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The humidity sensor 500 can measure the humidity in the enclosed space and output it to the controller 300 , and in this embodiment,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humidity sensor 500 is not limited, and various methods and types of humidity sensors are available. can be applied.

상기 인터넷 통신모듈(600)은, 인터넷 통신망에 연결되어 외부 서버(10)로부터 습도 데이터 값을 수신하여 컨트롤러(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 통신모듈(600)은 복수개의 입출력 단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와이파이 모뎀, 마이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넷 통신모듈(6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과 형태의 인터넷 통신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60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o receive the humidity data value from the external server 10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300 .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6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put/output terminals, a Wi-Fi mod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microcomputer, and the like, and in this embodiment,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600 is not limited, and various methods and forms are not limited thereto. of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can be applied.

한편 외부 서버는,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server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typical web server in terms of hardware, and in terms of software, it is implemented through various types of languages such as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etc. and is a program module that performs various functions. may include. In addition, it can be implemented using web server programs that are provid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operating systems such as DOS, Windows, Linux, Unix, and Macintosh on general server hardware. have.

또한, 외부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통신단말(20)과 연결되며,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external server is connected to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20 through a network, and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RF,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Network,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Bluetooth) ) network, NFC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사용자 통신단말(20)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휴대통신기기 뿐만 아니라, 일반 PC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웹 사이트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B2B 거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smartphone, smart pad, tablet PC (Tablet PC) as well a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general PC may be included, a website or a dedic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to use the global B2B transac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출입감지센서(700)는, 출입문 측에 설치되어 밀폐공간에 대한 출입 여부를 감지하고, 출입 감지 시 출입감지신호를 컨트롤러(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출입감지센서(700)는 밀폐된 공간으로 들어오는 방향의 객체만 개별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 수를 컨트롤러(300)로 전달할 수 있다.The access detection sensor 700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door to detect whether or not to enter the enclosed space, and may transmit an access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300 when the entrance is detected. The entrance sensor 700 may individually recognize only the objects in the direction entering the enclosed space, and transmit the number of recognized objects to the controller 300 .

상기 무선통신모듈(800)은, 사용자 통신단말(20)과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연결되고, 사용자 통신단말(20)과 연결 시 단말연결완료신호를 컨트롤러(300)로 전달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80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20 through Bluetooth pairing, and may transmit a terminal connec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300 when connected to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20 .

상기 전원부(900)는 엘리베이터와 같은 밀폐된 공간 내 전력공급장치와 연결되어 밀폐공간 살균 시스템(1000)에 전반적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여 외부의 전력공급 없이도 장시간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 잔여용량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 통신모듈(600)을 통해 관리자 등이 소지한 사용자 통신단말(2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900 is a means for supplying overall power to the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1000 by being connected to a power supply device in an enclosed space such as an elevator, and has a separate battery to operate for a long time without external power supply. can In this case,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of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20 possessed by an administrator or the like through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600 or a text messag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UV-using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as claimed in the claims below,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aid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1000: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의 살균 시스템
100: UV 램프
200: 물체감지센서
300: 컨트롤러
400: 동작 표시등
410: 확산커버
500: 습도센서
600: 인터넷 통신모듈
700: 출입감지센서
800: 무선 통신모듈
900: 전원부
1: 하우징
10: 외부 서버
20: 사용자 통신단말
1000: UV sterilization system for confined spaces
100: UV lamp
200: object detection sensor
300: controller
400: motion indicator
410: diffusion cover
500: humidity sensor
600: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700: entrance detection sensor
80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00: power supply
1: housing
10: External Server
20: user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9)

출입문이 구비된 밀폐 공간에 설치되는 UV 살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밀폐공간의 살균 및 소독을 위한 UV 램프;
밀폐공간 내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객체의 움직임 감지 시 물체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물체감지센서; 및
상기 물체감지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UV 램프의 강제 턴 오프 및 주기적 턴 온/오프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
It relates to a UV sterilization system installed in a closed space equipped with an entrance door,
UV lamps fo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confined spaces;
an object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 motion of an object in an enclosed space and outputs an object detection signal when the motion of the object is detected; and
Sealing using UV,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forced turn-off and periodic turn-on/off operation of the UV lamp based on a preset operation algorithm according to whether the object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UV 램프의 양측 중 적어도 한 측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UV 램프가 오프 상태일 때 출력하는 오프신호를 수신하면 턴 온되는 동작 표시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UV lamp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UV lamp,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indicator that is turned on when receiving an off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when the UV lamp is in an off state Confin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알고리즘은,
상기 물체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UV 램프를 턴 오프시키거나 상기 UV 램프의 오프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모드; 및
상기 물체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지연한 후 미리 설정된 제2 시간만큼 상기 UV 램프를 턴 온시키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UV 램프를 동작시킨 후, 미리 설정된 제3 시간 동안만큼 상기 UV 램프를 턴 오프시키는 동작 루틴을 상기 물체감지신호가 수신되기 이전까지 반복하는 제2 제어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algorithm is
a first control mode for turning off the UV lamp or maintaining an off state of the UV lamp when the object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and
If the object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the UV lamp is turned on for a preset second time after delaying for a first preset time, and after operating the UV lamp for the second time, a third preset time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control mode that repeats an operation routine of turning off the UV lamp for a period of time until the object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제1 항에 있어서,
밀폐공간 내 습도를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출력하는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습도 측정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습도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습도 측정 값이 상기 기준 습도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UV 램프의 동작 유지 시간을 증가시키고, 상기 습도 측정 값이 상기 기준 습도 범위 미만이면, 상기 UV 램프의 동작 유지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umidity sensor that measures the humidity in the enclosed space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is
When the humidity measurement value exceeds the reference humidity range by comparing the humidity measurement value received from the humidity sensor with a preset reference humidity range, the operation holding time of the UV lamp is increased, and the humidity measurement value is the reference humidity If it is less than the range,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characterized in that it reduces the operation holding time of the UV lamp.
제1 항에 있어서,
인터넷 통신망에 연결되어 외부 서버로부터 습도 데이터 값을 수신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인터넷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인터넷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습도 데이터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습도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습도 데이터 값이 상기 기준 습도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UV 램프의 동작 유지 시간을 증가시키고, 상기 습도 측정 값이 상기 기준 습도 범위 미만이면, 상기 UV 램프의 동작 유지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o receive the humidity data value from an external server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is
When the humidity data value exceeds the reference humidity range by comparing the humidity data value received from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with a preset reference humidity range, the operation holding time of the UV lamp is increased, and the humidity measurement value is the reference humidity range. If the humidity is less than the range,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characterized in that it reduces the operation holding time of the UV lamp.
제1 항에 있어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와 연결되고, 관리자 통신단말로부터 상기 UV 램프의 온/오프 제어 값을 수신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인터넷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인터넷 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온/오프 제어 값에 따라 상기 UV 램프의 동작 유지시간을 조절하고, 강제 턴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an external server through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receiving an on/off control value of the UV lamp from a manag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is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holding time of the UV lamp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n/off control value received from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forced turn on/off operation is controlled.
제1 항에 있어서,
출입문 측에 설치되어 밀폐공간에 대한 출입 여부를 감지하고, 출입 감지 시 출입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출입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출입감지신호의 수신 횟수를 미리 설정된 주간 시간대 내에서 카운팅하고, 시간 당 출입자 증가 수치가 미리 설정된 증가 수치를 초과하면 상기 UV 램프의 동작 유지 시간을 감소시키고, 시간 당 출입자 증가 수치가 미리 설정된 증가 수치 미만이면 상기 UV 램프의 동작 유지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door to detect whether or not to enter the enclosed space, further comprising an entrance detection sensor that transmits an entranc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when the entrance is detected,
The controller is
Counts the number of times of reception of the access detection signal within a preset weekly time zone, and when the number of occupants per hour exceeds a preset increment, the operation holding time of the UV lamp is reduced, and the increment of occupants per hour is a preset increase If the value is less than the value, the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characterized in that increasing the operation holding time of the UV lamp.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상기 시간 당 출입자 증가 수치에 대한 통계 수치를 산출하여 누적시키고, 누적된 상기 통계 수치를 기반으로 상기 UV 램프의 동작 유지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ler is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characterized in that by calculating and accumulating statistical values for the number of occupants per hour in a preset period unit, and adjusting the operation maintenance time of the UV lamp based on the accumulated statistical values .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 통신단말과 페어링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통신단말과 연결 시 단말연결완료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무선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단말연결완료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UV 램프를 강제 턴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UV를 이용한 밀폐 공간 살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pairing, and transmitting a terminal connec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when connected to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ler is a closed space sterilization system using UV, characterized in that forcibly turning off the UV lamp when receiving the terminal connection completion signal.
KR1020200061316A 2020-05-22 2020-05-22 Sterilization system for closed space using ultraviolet ray KR1023535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316A KR102353503B1 (en) 2020-05-22 2020-05-22 Sterilization system for closed space using ultraviolet 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316A KR102353503B1 (en) 2020-05-22 2020-05-22 Sterilization system for closed space using ultraviolet r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243A true KR20210144243A (en) 2021-11-30
KR102353503B1 KR102353503B1 (en) 2022-01-20

Family

ID=7872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316A KR102353503B1 (en) 2020-05-22 2020-05-22 Sterilization system for closed space using ultraviolet 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503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938B1 (en) * 2004-08-25 2007-01-19 윤일식 UV Sterilizing System of Elevator
KR20120086766A (en) * 2011-01-27 2012-08-06 (주)코원티엔에스 Sterilizing system
KR20170124845A (en) * 2016-05-03 2017-11-13 주식회사 세스코 Ultraviolet air sterilizer and ulraviolet air sterilizing system
KR20190061183A (en) 2017-11-27 2019-06-05 유한회사 실버엘리베이터코리아 Elevator smart air sterilizer having UV Sterilizer ceiling
KR102099202B1 (en) * 2019-05-29 2020-04-09 경여수 L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having illumina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 in accordance with human body detection function
KR102082571B1 (en) 2018-08-14 2020-04-23 황성수 Air Circulation Type Eleva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938B1 (en) * 2004-08-25 2007-01-19 윤일식 UV Sterilizing System of Elevator
KR20120086766A (en) * 2011-01-27 2012-08-06 (주)코원티엔에스 Sterilizing system
KR20170124845A (en) * 2016-05-03 2017-11-13 주식회사 세스코 Ultraviolet air sterilizer and ulraviolet air sterilizing system
KR20190061183A (en) 2017-11-27 2019-06-05 유한회사 실버엘리베이터코리아 Elevator smart air sterilizer having UV Sterilizer ceiling
KR102082571B1 (en) 2018-08-14 2020-04-23 황성수 Air Circulation Type Elevator
KR102099202B1 (en) * 2019-05-29 2020-04-09 경여수 LED illumin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having illumina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 in accordance with human body detectio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503B1 (en)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596B1 (en) Elevator with air sterilizer using ultraviolet rays and plasma
US11364313B2 (en) Fixed position hybrid germicidal irradi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20210052758A1 (en) Room decontamination system, method and controller
US10556025B2 (en) Fixed position hybrid germicidal irradi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CN109641075A (en) Optimizing Control System and space subdivision is exposed to the predetermined threshold intensity in predetermined spectral region light method
US20110174992A1 (en) Irradiation system for door handle
CN105060038B (en) Intelligent elevator and intelligence control system
CN111150862A (en) Intelligent sterilization device based on ultraviolet rays and steriliz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88053A (en) Disinfecting Apartus for Human Body
Nosirov et al. Design of a model for disinfection robot system
KR102514375B1 (en) Intelligent Anti-Virus Elevator
US20230248862A1 (en) Light disinfection system control systems
KR10199084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ir Contamination by Using Ultraviolet Air Sterilizer
KR102353503B1 (en) Sterilization system for closed space using ultraviolet ray
KR20210132516A (en) IOT sterilization smart toilet system
US11738110B2 (en) Magnetically attachable UV LED sanitizer system
KR20200091235A (en) Devices for managing smart home
Akshat et al. AT89S52-Microcontroller Based Elevator with UV-C disinfection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COVID-19
KR102577495B1 (en) Anti-virus sensor lighting module
US20240009339A1 (en) A system for determining a condition of a sensor of a lighting device
KR20210120801A (en) Sterilizer
CN216136386U (en) Medical intelligent ultraviolet sterilizing lamp
KR20200094596A (en) System for controlling ultraviolet led lamp
CN213822765U (en) Air sterilizer with distance measuring function
Singh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oT enabled ultraviolet C (UVC) irradiation-based sanitizer system for public transport with remote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