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117A -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117A
KR20210144117A KR1020200060961A KR20200060961A KR20210144117A KR 20210144117 A KR20210144117 A KR 20210144117A KR 1020200060961 A KR1020200060961 A KR 1020200060961A KR 20200060961 A KR20200060961 A KR 20200060961A KR 20210144117 A KR20210144117 A KR 20210144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media data
data
information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석
김현수
박광우
배형진
염동현
변광민
심재국
이상준
이승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0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4117A/ko
Priority to PCT/KR2021/006263 priority patent/WO2021235856A1/ko
Publication of KR20210144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2Monitoring of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bandwidth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9Monitoring of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bandwidth variations of a wireles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성능 정보 및 네트워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 상기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를 판단하고,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가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로 조합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과 관련된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가 병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PROVIDE MULTIMEDIA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는 외부 전자 장치(예: 미디어 서버)로부터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의 분할된 화면 영역 상에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는 외부 전자 장치(예: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가 동일한 품질(예: 해상도(resolution), 비트 전송 속도(bitrate), 프레임 전송 속도(frame rate))로 구성될 경우,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성능 및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적어도 일부의 미디어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모두 표시하고자 할 경우,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성능 및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하여,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가 일률적으로 낮은 품질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전자 장치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외부 전자 장치에 요청하고자 할 경우, 저마다 서로 다른 품질을 갖는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할 수 없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성능 및 네트워크 환경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서로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신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성능에 부합하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회로,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성능 정보 및 상기 통신 회로와 관련된 네트워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 상기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를 판단하고,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가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로 조합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과 관련된 정보에서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가 병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성능 정보 및 통신 회로와 관련된 네트워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 상기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를 판단하는 동작,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가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로 조합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과 관련된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과 관련된 정보에서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동작,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가 병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가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로 조합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 상기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과 관련된 정보에서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 선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를 병합하고, 상기 병합에 따라 생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가 서로 다른 품질로 최적화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외부 전자 장치(예: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가변형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서비스의 선택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코더 성능을 계산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에서 전자 장치의 시청 이력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에서 전자 장치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가변형 서비스의 요청을 요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해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일부의 구성요소가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내장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 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200)은 미디어 획득 장치(201), 미디어 서버(210) 및 전자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미디어 획득 장치(201)는 미디어 데이터를 획득(예: 촬영 및 녹음)할 수 있다. , 미디어 획득 장치(201)는 카메라(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를 통해 비디오 타입의 미디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미디어 획득 장치(201)는 마이크(예: 도 1의 입력 장치(150))를 통해 오디오 타입의 미디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미디어 획득 장치(201)는 네트워크(예: 도 1의 제2 네트워크(199))를 통해 미디어 서버(210)(예: 도 1의 서버(108))로 여러 타입(예: 비디오 타입, 오디오 타입)의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디어 획득 장치(201)는 네트워크(예: 도 1의 제2 네트워크(199))를 통해 미디어 서버(210)(예: 도 1의 서버(108))로 서로 다른 타입(예: 비디오 타입 및 오디오 타입)의 미디어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데이터로써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미디어 획득 장치(201)는 미디어 데이터 획득의 대상이 되는 객체, 위치, 내용 등의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복수의 미디어 획득 장치(201)는 동일한 경기를 여러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미디어 획득 장치(201)는 어느 하나의 미디어 획득 장치(201)를 이용하여, 제1 뷰 포인트(viewpoint)(예: 경기장 중앙)에서 야구 경기를 촬영하고, 다른 하나의 미디어 획득 장치(201)를 이용하여, 제2 뷰 포인트(예: 1루 옆)에서 동일한 야구 경기를 촬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복수의 미디어 획득 장치(201)는 서로 같거나 다른 네트워크 통신 또는 물리적 접속(예: 데이터 송수신 케이블의 연결) 등의 연결을 통해 미디어 서버(2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미디어 획득 장치(201)는 서로 같거나 다른 장치(예: 컴퓨터)를 통해 미디어 서버(210)로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미디어 획득 장치(201)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입력 장치(150) 및 카메라 모듈(180)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의 일부 구성요소를 예시적으로 인용하였으나, 도 1에 도시된 외부의 전자 장치(104)에 대응될 수도 있다. 미디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면, 미디어 획득 장치(201)의 형태(또는 종류)에 제한이 없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미디어 서버(210)(예: 도 1의 서버(108))는 미디어 획득 장치(201)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데이터(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가공(예: 트랙 단위로 구조화)하여, 미디어 서버(210)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디어 서버(210)는 네트워크(예: 도 1의 네트워크(제2 네트워크(199))를 통해 미디어 획득 장치(201)로부터 미디어 데이터(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210)는 미디어 획득 장치(201)로부터 서로 다른 타입(예: 비디오 타입 및 오디오 타입)의 미디어 데이터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타입에 따라 미디어 데이터로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미디어 서버(210)(예: 도 1의 서버(108))는 타입(예: 비디오 타입, 오디오 타입)에 따라 분리된 미디어 데이터를 해상도(resolution), 비트 전송 속도(bitrate) 및 프레임 전송 속도(frame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로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210)는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으로써 미디어 서버(210) 내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미디어 서버(210)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 각각을 하나의 트랙으로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은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인 복수의 트랙을 포함하는 트랙 구조로 미디어 서버(21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은 예컨대,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기반하여,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210)는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예: 야구 영상, 제1 뷰 포인트 영상)에 대한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 제2 멀티미디어 데이터(예: 축구 영상, 제2 뷰 포인트 영상)에 대한 제2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미디어 서버(210)는 가공한 형태(예: 트랙 구조)로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가공(예: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하여, 전자 장치(23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디어 서버(210)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의 응답으로써 전자 장치(230)로부터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디어 서버(210)는 상기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 및 병합(예: 먹싱(muxing))한 결과물로써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자 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미디어 서버(210)는 미디어 서버(210)와 데이터(예: 멀티미디어 콘텐츠, 선택 정보 및 요청 정보)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230)의 관점에서 볼 때 외부 전자 장치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3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230)의 하드웨어 성능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 환경 정보에 따라 미디어 서버(210)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3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230)의 하드웨어 성능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 환경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또는 그 품질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30)는 하드웨어 성능 정보 중 디코더(decoder)의 가용 가능한 상태(이하, 제2 성능 데이터)(예: CPU, GPU 점유율, 사용 중인 디코더 수, 생성 가능한 디코더 타입)와 네트워크 환경 정보(예: 사용 중인 네트워크의 종류 및 네트워크 대역폭)를 연산하여, 가중치(weight)를 산출할 수 있다.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30)는 상기 가중치를 하드웨어 성능 정보 중 상기 디코더의 성능(이하, 제1 성능 데이터)(예: 디코더의 성능)과 연산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또는 그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3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230)의 작동과 관련된 전체 점유율 중 CPU에서 3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GPU에서 40%의 점유율을 차지할 경우,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는 GPU의 점유율을 전체 점유율에서 뺀 값(예: 0.6)을 제2 성능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30)는 네트워크의 처리량(throughput)(예: 1)을 네트워크 환경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30)는 생성 가능한 디코더의 수(예: 4개의 4K 디코더)에서 생성된 디코더의 수(예: 1개의 4K 디코더 및 2개의 FHD 디코더)를 뺀 값(예: 2.5)을 제1 성능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30)는 상기 결정된 제2 성능 데이터(예: 0.6) 및 네티워크의 처리량(예: 1)에 의해 산출된 가중치(예: 0.6)를 상기 결정된 제1 성능 데이터(예: 2.5)와 연산한 결과값(예: 1.5)에 기초하여, 1개의 4K 디코더에 상응하는 미디어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3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미디어 서버(210)로부터 수신할 경우, 상기 선택 정보에 응답하기 위한 요청 정보를 미디어 서버(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30)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또는 그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3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상기 요청 정보에 따라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가 미디어 서버(210)에 의해 먹싱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미디어 서버(2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30)는 미디어 서버(210)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3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230)와 데이터(예: 멀티미디어 콘텐츠, 선택 정보 및 요청 정보)를 송수신하는 미디어 서버(210)의 관점에서 볼 때 외부 전자 장치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310)(예: 도 2의 미디어 서버(210))는 개별적인 그룹 단위로 관리되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자 장치(330)(예: 도 2의 전자 장치(23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기 위해 미디어 선택부(311), 미디어 변환부(313) 및 메모리(3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디어 선택부(311) 및 미디어 변환부(313)는 하나의 프로세서(317)(예: 도 1의 프로세서(120))로써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선택부(311) 및 미디어 변환부(313)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프로세서(317)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일 예일 뿐이며, 미디어 서버(310)는 미디어 선택부(311) 및 미디어 변환부(313) 이외에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미디어 서버(31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예: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를 트랙 단위로 구조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디어 서버(310)는 해상도, 비트 전송 속도 및 프레임 전송 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데이터(예: 비디오 데이터)를 서로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310)는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로 조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G1 및 G2)으로써 트랙 단위의 미디어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G1)은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예: 야구 영상)에 대해 서로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예: 제1 내지 제3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G2)은 다른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예: 축구 영상)에 대해 서로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예: 제1 내지 제3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 포함된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는 제한이 없고,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 포함된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미디어 서버(310)(예: 도 2의 미디어 서버(210))는 트랙 단위의 미디어 데이터(M1 및 M3) 각각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속된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310)는 지정된 시간의 구간에서 야구 영상에 대한 복수의 프레임으로 제1 미디어 데이터(M1)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미디어 선택부(311)는 전자 장치(330)(예: 도 2의 전자 장치(230))로부터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G1 및 G2)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써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요청 정보에 따라 미디어 데이터를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G1 및 G2) 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선택부(311)는 전자 장치(330)로부터 수신한 요청 정보에 따라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G1)에서 제1 미디어 데이터(M1)(예: 비디오 데이터) 및 제4 미디어 데이터(M2)(예: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하고, 제2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G2)에서 제2 미디어 데이터(M3)(예: 비디오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디어 선택부(311)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G1 및 G2) 중 어느 하나의 메인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예: G1)에서 오디오 데이터(예: 제4 미디어 데이터(M2))를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미디어 선택부(311)는 전자 장치(330)(예: 도 2의 전자 장치(230))로부터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G1 및 G2)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써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요청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시점을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G1 또는 G2) 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선택부(311)는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G1)의 제1 미디어 데이터(M1)에 대해 서로 다른 시점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적어도 2개의 비디오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미디어 변환부(313)는 미디어 선택부(311)로부터 선택된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먹싱(muxing)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변환부(313)는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G1)에서 선택된 제1 미디어 데이터(M1) 및 제4 미디어 데이터(M2)를 제2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G2)에서 선택된 제2 미디어 데이터(M3)와 먹싱 처리함으로써,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313a)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디어 변환부(313)는 생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313a)를 전자 장치(330)(예: 도 2의 전자 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미디어 서버(310)(예: 도 2의 미디어 서버(210))는 전자 장치(330)(예: 도 2의 전자 장치(230))로부터 상술한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330)의 요청 정보 전송 이력을 메모리(315)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330)로부터 수신한 요청 정보 중 야구 영상에 대한 전송 이력이 메모리(315) 내에 저장된 경우, 야구 영상에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예: G1)을 선택 정보로써 전자 장치(33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30)(예: 도 2의 전자 장치(230))는 전자 장치(430)의 제1 성능 데이터(예: 디코더의 성능), 제2 성능 데이터(예: 디코더(decoder)의 가용 가능한 상태) 및 네트워크 환경 정보의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437)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또는 그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30)는 성능 확인부(431), 성능 측정부(433) 및 성능 모니터링부(43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성능 확인부(431), 성능 측정부(433) 및 성능 모니터링부(435)는 하나의 프로세서(439)로써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능 확인부(431), 성능 측정부(433) 및 성능 모니터링부(435)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프로세서(439)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성능 확인부(431), 성능 측정부(433) 및 성능 모니터링부(435) 중 적어도 하나가 병합되어 동작하거나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성능 확인부(431)는 해상도, 비트 전송 속도, 프레임 전송 속도 및 코덱 타입(codec type) 중 적어도 하나의 성능 데이터(431a)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성능 데이터(예: 디코더의 성능)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능 확인부(431)는 성능 데이터(431a)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성능 데이터가 8K(7680x4320)의 해상도, 100Mbps의 비트 전송 속도 및 30fps의 프레임 전송 속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성능 확인부(431)는 8K(7680x4320)의 해상도, 100Mbps의 비트 전송 속도 및 30fps의 프레임 전송 속도의 제1 성능 데이터에서, 4개의 UHD 타입 미디어 데이터가 디스플레이(437)를 통해 표시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성능 측정부(433)는 상기 제1 성능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성능 데이터(예: CPU, GPU 점유율, 사용 중인 디코더 수, 생성 가능한 디코더 타입) 및 상기 네트워크 환경 정보(예: 사용 중인 네트워크의 종류 및 네트워크 대역폭)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능 측정부(433)는 상기 제2 성능 데이터 및 상기 네트워크 환경 정보를 연산한 가중치(weight)를 상기 제1 성능 데이터에 연산함으로써, 디스플레이(437)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또는 그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성능 측정부(433)는 상술한 연산 과정에 따라 결정된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또는 그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를 디스플레이(437)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2의 미디어 서버(210))로부터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에 응답하기 위하여, 성능 측정부(433)로부터 제공되는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또는 그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를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성능 모니터링부(435)는 전자 장치(430)의 하드웨어 성능 정보 및 네트워크 환경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하드웨어 성능 정보 및 네트워크 환경 정보가 성능 측정부(433)의 연산 과정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능 모니터링부(435)는 디스플레이(437)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예: 도 3의 멀티미디어 콘텐츠(313a)) 외에 다른 정보가 추가적으로 표시될 경우, 하드웨어 성능 정보 중 제2 성능 데이터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하고, 변화된 제2 성능 데이터를 성능 측정부(433)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성능 측정부(433)는 변화된 제2 성능 데이터를 연산 과정에 반영하여, 디스플레이(437)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또는 그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드웨어 성능 정보 및 네트워크 환경 정보는 상술한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437)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또는 그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파라미터가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서비스의 선택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30))는 가변형 서비스의 선택에 따라 전자 장치(430)의 성능(예: 하드웨어 성능 정보 및 네트워크 성능 정보)에 최적화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미디어 서버(예: 도 3의 미디어 서버(3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1 상태(500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30)는 디스플레이(437) 상에 가변형 서비스(511),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513a, 513b 및 513c), 지원 가능한 코덱 정보(515) 및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 정보(517)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30)는 디스플레이(437)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또는 그 품질 정보에 따른 개수에 기초하여, 미디어 서버(310)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가변형 서비스(511)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30)는 가변형 서비스(511)를 비활성화(예: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전환)할 경우, 지정된 품질 정보(예: 미디어 서버에서 설정된 동일한 품질)을 갖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513a, 513b 및 513c)를 미디어 서버(3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30)는 가변형 서비스(511)의 비활성화 상태에서,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513a) 및 제2 멀티미디어 데이터(513)를 선택할 경우, 미디어 서버(310)로부터 동일한 품질 정보를 갖는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513a) 및 제2 멀티미디어 데이터(513b)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원 가능한 코덱 정보(515)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예: 도 3의 멀티미디어 콘텐츠(313a))의 표시를 지원(예: 디코딩)하는 코덱(예: MPEG, H.264)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30)는 미디어 서버(310)로부터 전자 장치(430)로 전송된 멀티미디어 콘텐츠(313a)의 디코딩을 지원하는 코덱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510)를 통해 해당 코덱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 정보(517)는 전자 장치(430)의 네트워크 환경 정보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30)는 전자 장치(430)에서 사용 중인(또는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의 종류(예: Wi-Fi)를 디스플레이(5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제2 상태(500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30)는 디스플레이(437) 상에 제1 상태(500a)에서 선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513a 및 513b)에 대해 서로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513a' 및 513b') 선택을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30)는 가변형 서비스(511)를 활성화(예: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전환)할 경우, 선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513a 및 513b)에 대해 서로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513a' 및 513b')를 미디어 서버(3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30)는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513a)에 포함된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513a') 중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고, 제2 멀티미디어 데이터(513b)에 포함된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513b') 중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로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513a' 및 513b')는 상술한 선택 정보에 포함된 목록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3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513a 및 513b)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와 관련된 메타 정보를 미디어 서버(3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3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513a 및 513b)에서 야구 영상의 미디어 데이터가 선택될 경우, 그 야구 영상과 관련된 정보(예: 선수 및 스코어 등의 경기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437)를 통해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3 상태(500c)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30)는 제2 상태(500b)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437) 상에 서로 다른 타입(예: UHD 타입, QHD 타입 또는 FHD 타입)의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519a) 및 제2 멀티미디어 데이터(519b)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30)는 제2 상태(500b)에서 선택된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513a)의 미디어 데이터 개수에 따라 디스플레이(437)를 통해 표시 가능한 제2 멀티미디어 데이터(513b)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30)는 디스플레이(437)에 상에 UHD 타입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최대 2개 표시할 수 있고, QHD 타입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최대 10개 표시할 수 있으며, FHD 타입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최대 20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430)는 1개의 제1 멀티미디어 데이터(519a)가 UHD 타입으로 결정될 경우, 5개의 제2 멀티미디어 데이터(519b)가 QHD 타입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6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전자 장치(및/또는 미디어 서버)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230, 330 또는 43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30))는 전자 장치(230)의 성능(예: 하드웨어 성능 정보 및 네트워크 성능 정보)에 최적화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미디어 서버(예: 도 2의 미디어 서버(210))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동작 610 내지 동작 690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610 내지 동작 690은 전자 장치(23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6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30)는 전자 장치(230)의 하드웨어 성능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 환경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437))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또는 그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30)는 하드웨어 성능 정보 중 디코더(decoder)의 가용 가능한 상태(예: 제2 성능 데이터)(예: CPU, GPU 점유율, 사용 중인 디코더 수, 생성 가능한 디코더 타입)과 네트워크 환경 정보(예: 사용 중인 네트워크의 종류 및 네트워크 대역폭)를 연산하여, 가중치(weight)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30)는 상기 가중치를 하드웨어 성능 정보 중 상기 디코더의 성능(예: 제1 성능 데이터)(예: 디코더의 성능)과 연산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또는 그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63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30)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미디어 서버(2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은 예컨대,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로 각기 조합된 복수의 서로 다른 그룹일 수 있다. 일례로,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은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품질 정보로 구성된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5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30)는 상기 선택 정보에 응답하기 위한 요청 정보를 미디어 서버(2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30)는 디스플레이(437)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또는 그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67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30)는 상기 요청 정보에 따라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가 미디어 서버(210)에 의해 먹싱 처리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미디어 서버(2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동작 69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30)는 미디어 서버(210)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437)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코더 성능을 계산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230, 330 또는 43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30))는 전자 장치(430)의 하드웨어 성능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 환경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437))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또는 그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를 결정하기 위해 동작 701 내지 동작 707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610 내지 동작 690은 전자 장치(23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70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30)는 전자 장치(430)의 하드웨어 성능 정보 중 디코더의 성능과 관련된 제1 성능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30)는 디코더의 해상도, 비트 전송 속도 및 프레임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제1 성능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동작 701은 도 4의 성능 확인부(431)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동작 70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30)는 미디어 서버(예: 도 3의 미디어 서버(310))로부터 품질 정보(예: 해상도, 비트 전송 속도 및 프레임 전송 속도)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30)는 미디어 서버(310)로부터 수신한 품질 정보 중 어느 하나(예: 해상도와 관련된 제1 품질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437)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703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30)는 미디어 서버(310)로부터 수신한 품질 정보(예: 해상도, 비트 전송 속도 및 프레임 전송 속도) 중 다른 하나(예: 비트 전송 속도와 관련된 제2 품질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437)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30)는 동작 702 및 동작 703을 순차적으로 실행하거나 적어도 일부 시간이 중첩되어 동일 또는 유사한 시간 선상에서 동작 702 및 동작 703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동작 70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30)는 동작 동작 702에서 결정된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 및 동작 동작 703에서 결정된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 중 작은 값을 최종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30)는 미디어 서버(310)로부터 다른 품질 정보(예: 해상도, 비트 전송 속도 및 프레임 전송 속도)를 수신하여, 동작 702 내지 동작 704의 반복적인 과정에 따라 동작 705를 반복할 수 있다.
동작 70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30)는 미디어 서버(310)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개수가 지정된 개수(예: 미디어 서버(310)에서 보유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개수)에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30)는 미디어 서버(310)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개수가 미디어 서버(310)에서 보유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개수보다 작은 경우, 동작 702 내지 동작 704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30)는 미디어 서버(310)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개수가 미디어 서버(310)에서 보유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개수보다 큰 경우, 동작 706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70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30)는 디스플레이(437)를 통해 표시 가능한 가중치(weight)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30)는 하드웨어 성능 정보 중 가용 가능한 디코더의 상태(예: CPU(및/또는 GPU) 점유율, 사용 중인 디코더 수, 생성 가능한 디코더 타입)와 관련된 제2 성능 데이터 및 네트워크 환경 정보(예: 사용 중인 네트워크의 종류 및 네트워크 대역)를 연산하여, 가중치(weight)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가중치(weight)는 1의 값을 초과할 수 없다. 이러한 동작 706은 도 4의 성능 측정부(433)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동작 70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30)는 동작 704의 수행 결과에 따른 최종 값 및 동작 706의 수행 결과에 따른 가중치(weight)를 연산하여, 디스플레이(437)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또는 그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707은 도 4의 성능 측정부(433)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미디어 서버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미디어 서버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예: 도 3의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30))의 요청에 상응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해 동작 801 내지 동작 807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80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310)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로써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자 장치(430)로 전송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은 예컨대,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품질 정보(예: 해상도, 비트 전송 속도 및 프레임 전송 속도)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로 조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그룹으로써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동작 80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요청을 위한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 전송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이 포함된 요청 정보를 전자 장치(4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동작 80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부터 수신한 요청 정보 내에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과 관련된 선택 정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310)는 상기 요청 정보 내에 기본(default) 미디어 데이터가 포함될 경우, 전자 장치(430)가 선택 정보에 응답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부터 수신한 요청 정보 내에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과 관련된 선택 정보가 존재할 경우, 동작 804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부터 수신한 요청 정보 내에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과 관련된 선택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동작 805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80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부터 수신한 요청 정보 내에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과 관련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310)는 상기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 및 먹싱 처리한 결과물로써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80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부터 미디어 서버(310)로 전송된 요청 정보 전송 이력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30))로부터 미디어 서버(310)로 전송된 요청 정보의 전송 이력이 존재할 경우, 동작 806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부터 미디어 서버(310)로 전송된 요청 정보의 전송 이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동작 807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80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부터 미디어 서버(310)로 전송된 요청 정보의 전송 이력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310)는 전송 이력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에 대응되는 품질 정보로 미디어 데이터를 조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80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310)는 복수의 품질 정보(예: 해상도, 비트 전송 속도, 프레임 전송 속도) 중 기본으로 설정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에서 전자 장치의 시청 이력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미디어 서버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미디어 서버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예: 도 3의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30))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의 전송 이력에 따라 서로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해 동작 901 내지 동작 903을 수행할 수 잇다. 일 실시 예에서, 동작 901은 도 8의 동작 805 이후 수행될 수 있다.
동작 90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요청을 위해 전송된 요청 정보의 패턴 정보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부터 요청 정보가 적어도 2번 이상 전송된 이력이 있을 경우, 요청 정보의 패턴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부터 전송된 요청 정보의 패턴 정보가 존재할 경우, 동작 902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부터 전송된 요청 정보의 패턴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동작 903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90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부터 전송된 요청 정보의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부터 전송된 요청 정보에 야구 영상과 관련된 미디어 데이터가 포함될 경우, 패턴 정보에 포함된 야구 영상과 관련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90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310)는 복수의 품질 정보(예: 해상도, 비트 전송 속도, 프레임 전송 속도) 중 기본으로 설정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에서 전자 장치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가변형 서비스의 요청을 요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미디어 서버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미디어 서버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와의 네트워크 상태에 기초하여, 변경된 품질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자 장치(430)로 제공하기 위해 동작 1001 내지 동작 1007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00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와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 전송한 응답 요청(예: packet)에 대해 전자 장치(430)로부터 미디어 서버(310)로 전송되는 응답 신호(예: ACK)의 전송 주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응답 요청 및 응답 신호 간의 전송 주기는 데이터 왕복 시간(round trip time, rtt)에 기초하여 측정될 수 있다.
동작 100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310))는 동작 1001에서 확인된 전자 장치(430)와의 네트워크 상태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430)로 전송 중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지연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디어 서버(310)는 전송 중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지연될 경우, 동작 1003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디어 서버(310)는 전송 중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지연되지 않을 경우, 동작 1004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00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 전송 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가변형 서비스 요청을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 전송 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내에 포함된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품질 정보의 변경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가변형 서비스의 요청을 제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헤더(header) 값에 가변형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동작 100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 전송 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가변형 서비스 요청을 제안하는 것에 상응하여, 전자 장치(430)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310)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서로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정보를 전자 장치(43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00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부터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품질 정보를 갖도록 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430)는 전자 장치(430)의 디스플레이(437)를 통해 표시 가능한 품질 정보 및/또는 그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에 기초하여, 미디어 서버(310)로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00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310)는 전자 장치(430)로부터 전송된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310)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품질 정보의 미디어 데이터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른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조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잇다.
동작 100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310)는 동작 1006에서 재생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자 장치(4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디어 서버(310)는 동작 1002에서 전자 장치(430)로 전송 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대체하여, 재생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자 장치(4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회로,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성능 정보 및 상기 통신 회로와 관련된 네트워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 상기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를 판단하고,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가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로 조합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과 관련된 정보에서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가 병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드웨어 성능 정보는, 디코더의 성능과 관련된 제1 성능 데이터 및 상기 디코더의 가용 가능한 상태와 관련된 제2 성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환경 정보는, 상기 통신 회로에서 사용 중인 네트워크의 종류 및 네트워크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품질 정보는, 해상도(resolution), 비트 전송 속도(bitrate) 및 프레임 전송 속도(frame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시점을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가 병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안 상기 네트워크 환경 정보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미디어 데이터로 대체되어 병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성능 정보 및 통신 회로와 관련된 네트워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 상기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를 판단하는 동작,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가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로 조합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과 관련된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과 관련된 정보에서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동작,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가 병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드웨어 성능 정보는, 디코더의 성능과 관련된 제1 성능 데이터 및 상기 디코더의 가용 가능한 상태와 관련된 제2 성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환경 정보는, 상기 통신 회로에서 사용 중인 네트워크의 종류 및 네트워크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품질 정보는, 해상도(resolution), 비트 전송 속도(bitrate) 및 프레임 전송 속도(frame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시점을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가 병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안 상기 네트워크 환경 정보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미디어 데이터로 대체되어 병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가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로 조합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 상기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과 관련된 정보에서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 선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를 병합하고, 상기 병합에 따라 생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품질 정보는, 해상도(resolution), 비트 전송 속도(bitrate) 및 프레임 전송 속도(frame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개별적인 트랙(track) 단위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 중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시점으로 동기화하여, 병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시점을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병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한 이후 상기 네트워크 환경 정보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미디어 데이터로 대체하여, 병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드웨어 성능 정보는, 디코더의 성능과 관련된 제1 성능 데이터 및 상기 디코더의 가용 가능한 상태와 관련된 제2 성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환경 정보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사용 중인 네트워크의 종류 및 네트워크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도 1의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도 1의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예: 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메모리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또는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회로;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성능 정보 및 상기 통신 회로와 관련된 네트워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 상기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를 판단하고,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가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로 조합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과 관련된 정보에서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가 병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하드웨어 성능 정보는, 디코더의 성능과 관련된 제1 성능 데이터 및 상기 디코더의 가용 가능한 상태와 관련된 제2 성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서,
    상기 네트워크 환경 정보는, 상기 통신 회로에서 사용 중인 네트워크의 종류 및 네트워크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서,
    상기 품질 정보는, 해상도(resolution), 비트 전송 속도(bitrate) 및 프레임 전송 속도(frame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시점을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가 병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안 상기 네트워크 환경 정보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미디어 데이터로 대체되어 병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성능 정보 및 통신 회로와 관련된 네트워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 상기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를 판단하는 동작;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가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로 조합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과 관련된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과 관련된 정보에서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동작;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가 병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서,
    상기 하드웨어 성능 정보는, 디코더의 성능과 관련된 제1 성능 데이터 및 상기 디코더의 가용 가능한 상태와 관련된 제2 성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7에서,
    상기 네트워크 환경 정보는, 상기 통신 회로에서 사용 중인 네트워크의 종류 및 네트워크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7에서,
    상기 품질 정보는, 해상도(resolution), 비트 전송 속도(bitrate) 및 프레임 전송 속도(frame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7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시점을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가 병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
  12. 청구항 7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안 상기 네트워크 환경 정보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미디어 데이터로 대체되어 병합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
  13.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회로;
    메모리; 및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어느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가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로 조합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품질 정보 및 상기 품질 정보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과 관련된 정보에서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 선택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를 병합하고,
    상기 병합에 따라 생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4. 청구항 13에서,
    상기 품질 정보는, 해상도(resolution), 비트 전송 속도(bitrate) 및 프레임 전송 속도(frame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13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개별적인 트랙(track) 단위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6. 청구항 13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 중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시점으로 동기화하여, 병합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7. 청구항 13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시점을 갖는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병합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8. 청구항 7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한 이후 상기 네트워크 환경 정보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그룹에서 선택된 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품질 정보를 갖는 미디어 데이터로 대체하여, 병합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9. 청구항 7에서,
    상기 하드웨어 성능 정보는, 디코더의 성능과 관련된 제1 성능 데이터 및 상기 디코더의 가용 가능한 상태와 관련된 제2 성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청구항 7에서,
    상기 네트워크 환경 정보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사용 중인 네트워크의 종류 및 네트워크 대역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00060961A 2020-05-21 2020-05-2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10144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961A KR20210144117A (ko) 2020-05-21 2020-05-2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CT/KR2021/006263 WO2021235856A1 (ko) 2020-05-21 2021-05-20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961A KR20210144117A (ko) 2020-05-21 2020-05-2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117A true KR20210144117A (ko) 2021-11-30

Family

ID=7870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961A KR20210144117A (ko) 2020-05-21 2020-05-2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44117A (ko)
WO (1) WO20212358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6570A1 (ko) * 2022-01-17 2023-07-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9293B (zh) * 2013-04-19 2019-03-26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超文本协议的动态自适应流媒体中的媒体质量信息指示
KR102106103B1 (ko) * 2015-07-03 2020-05-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고 해상도 영상에서의 영상 추출 장치 및 방법
CN106612426B (zh) * 2015-10-26 2018-03-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视点视频传输方法及装置
KR102460538B1 (ko) * 2018-05-28 2022-10-2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영상 품질 조정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및 중계 서버
KR102501233B1 (ko) * 2018-10-22 2023-02-2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화상 회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6570A1 (ko) * 2022-01-17 2023-07-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5856A1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26177B2 (ja) 携帯用通信装置による実行方法及びその装置
US11487558B2 (en)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sharing method using same
KR20200067567A (ko)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20190166428A1 (en) Electronic device operating in associated state with external audio device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and method therefor
CN111295871B (zh) 根据外部附件的连接控制麦克风的设备和方法
KR20210092571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 갱신 방법
KR20200098068A (ko) 단어 추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231842B2 (en) Method for changing the size of the content displayed on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210053094A (ko)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024266B2 (en) Method for maintaining performance of an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6574847B (zh) 用于获取传感器数据的方法及其电子设备
US11900168B2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virtual mobile environment enabling user to select computing resources and performing application with selected computing resources
KR20210144117A (ko)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50341827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data flow
KR102648510B1 (ko) 단말기의 통신 요금제를 변경하기 위한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EP370293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content information based on connected external device
US11825235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imag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200061210A (ko)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 정보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다른 전자 장치
KR20210037188A (ko) 외부 전자 장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200079081A (ko) 콘텐트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10110097A (ko) 영상 스트리밍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220191403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lurality of len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210122541A (ko) 데이터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10096921A (ko) 스트리밍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10051423A (ko) 사용자의 액티비티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