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486A - 전자담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담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486A
KR20210142486A KR1020200059379A KR20200059379A KR20210142486A KR 20210142486 A KR20210142486 A KR 20210142486A KR 1020200059379 A KR1020200059379 A KR 1020200059379A KR 20200059379 A KR20200059379 A KR 20200059379A KR 20210142486 A KR20210142486 A KR 20210142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moking
electronic cigarette
charging
cigar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2705B1 (ko
Inventor
임홍우
형재필
채희봉
홍의영
김명현
이창훈
정의효
서원태
김광호
박무원
이민혁
김준성
전현수
장인혁
이성재
김수경
송정성
최성균
김지은
고민지
임성용
김정호
최윤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59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705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80Testing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구와 작동스위치가 형성되고, 배터리와 발열소자가 내장되며, 외부에 작동스위치가 구비되는 전자담배를 시험하는 전자담배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자담배의 본체를 고정하는 클램핑유닛과 상기 작동스위치를 조작하는 스위치 조작유닛과 상기 흡입구에 결합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제공유닛과 상기 충전단자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 유닛 및 상기 스위치 조작유닛과 상기 흡입력 제공유닛 및 상기 충전유닛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담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Testing Apparatus And Testing Method For Electronic Cigarette}
본 발명은 전자담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담배는 썬 담배를 얇은 종이로 작게 말아 점화하여 흡입하는 전통적인 담배와는 달리 전기를 이용하여 피우는 담배이다.
이러한 전자담배는 일반적으로 담뱃잎 고형물을 가열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흡입하는 궐련형과 향 성분이 첨가되는 액상 에센스를 기화시켜 기존 담배연기의 대체물로서 증기를 발생시켜 흡입하는 액상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과 2는 각각 일반적인 궐련형과 액상형 전자담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궐련형 전자담배(100a)는 본체(110a)의 일측에 궐련(C)이 삽입되는 흡입구(120a)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궐련(C)에 삽입되어 배터리(130a)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가열되는 발열소자(140a)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궐련형 전자담배(100a)는 상기 본체(110a)에 상기 발열소자(140a)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스위치(150a)와 상기 배터리(130a)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160a)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궐련형 전자담배(100a)는 사용자가 상기 흡입구(120a)에 삽입된 상기 궐련(C)이 상기 발열소자(140a)에 의하여 충분히 가열되면, 상기 작동스위치(150a)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궐련(C)을 통하여 증기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액상형 전자담배(100b)는 본체(110b)의 일측에 노즐 형상의 흡입구(120b)가 형성되며 내부에 저장되는 액상 에센스(L) 내에 형성되어 배터리(130b)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가열되는 발열소자(140b)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액상형 전자담배(100b)는 상기 본체(110b)에 상기 발열소자(140b)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스위치(150b)와 상기 배터리(130b)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160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액상형 전자담배(100b)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110b)에 저장된 액상 에센스(L)가 상기 발열소자(140b)에 의하여 충분히 가열되면, 상기 작동스위치(150b)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120b)를 통하여 증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전자담배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대상에 따른 유형이나 제조사, 모델 별로 형상과 구성, 배터리 용량 등이 일부 상이함에 따라 전자담배의 내구성을 시험하기 위한 시험장치는 전용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종래에는 전자담배의 내구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전자담배의 증기를 발생시키는 대상에 따른 유형이나 제조사, 모델 등에 따라 각각 시험장치를 제작해야 함에 따라, 전자담배의 성능 시험에 비교적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시험장치에서 다양한 타입의 전자담배의 성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담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시험장치에서 다양한 타입의 전자담배의 성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담배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는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구와 작동스위치가 형성되고, 배터리와 발열소자가 내장되며, 외부에 작동스위치가 구비되는 전자담배의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담배의 본체를 고정하는 클램핑유닛과 상기 작동스위치를 조작하는 스위치 조작유닛과 상기 흡입구에 결합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제공유닛과 상기 충전단자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 유닛 및 상기 스위치 조작유닛과 상기 흡입력 제공유닛 및 상기 충전유닛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흡입구가 90° 틸팅되도록 형성되어 베이스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전자담배가 놓여지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양측에 베이스 리브가 형성되어 베이스에 결합되는 클램핑유닛 베이스 및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단에 클램핑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가 상기 안착부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클램핑유닛 베이스에 결합되는 스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유닛 베이스에는 상기 스핀들의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력 제공유닛은 실리콘 재질의 공기유로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하나의 시험장치에서 다양한 타입의 전자담배의 성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담배 시험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구와 작동스위치가 형성되고, 배터리와 발열소자가 내장되며, 외부에 작동스위치가 구비되는 전자담배 시험방법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흡입력을 제공하는 단위흡연단계와 기 설정된 단위흡연단계의 횟수와 실제 수행된 단위흡연 횟수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단위흡연단계의 횟수보다 실제 수행된 단위흡연 횟수가 적은 경우 상기 단위흡연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위흡연횟수 체크단계와 상기 단위흡연횟수 체크단계에서 실제 수행된 단위흡연 횟수가 기 설정된 단위흡연단계의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단계 및 기 설정된 상기 충전 횟수와 실제 수행된 충전 횟수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충전 횟수보다 실제 수행된 충전 횟수가 적은 경우 상기 단위흡연단계 및 상기 충전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전체횟수 체크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위흡연단계는 상기 작동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발열소자를 예열하는 예열단계와 상기 흡입구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연단계와 상기 흡연단계가 완료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흡입력 제공을 중단하는 흡연휴지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예열단계와 상기 흡연단계 및 상기 흡연휴지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흡연시간 체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흡연단계와 상기 단위흡연횟수 체크단계 사이에 상기 전자담배 내부에 액산 에센스를 공급하는 액상공급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위흡연단계가 2회 이상 수행되는 경우 상기 단위흡연단계 사이마다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시험장치에서 다양한 타입의 전자담배의 성능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담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사양의 전자담배 시험을 위한 시간을 단축시키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궐련형 전자담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액상형 전자담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의 사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방법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설정화면을 도시화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방법에서 디스플레이부의 결과화면을 도시화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에 적용되는 전자담배(100)는 상기한 본체(110)의 일측에 흡입구(120)가 형성되며, 내부에 배터리(13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가열되는 발열소자(1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자담배(100)는 상기 발열소자(140)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스위치(150)와 상기 배터리(13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16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흡입구(120)는 궐련형의 경우 궐련입 삽입될 수 있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며, 액상형이거나 일회용인 경우 사용자가 입으로 물 수 있도록 노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전자담배(100)는 상기 작동스위치(150)를 일정한 시간 누르고 있거나 일정 횟수 이상 연속으로 누르면 전원이 켜지며 상기 발열소자(140)의 예열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발열소자(140)에 의하여 궐련이나 액상 에센스가 충분히 가열되면 사용자는 상기 흡입구(120)를 통하여 상기 궐련이나 액상 에센스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담배(100)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작동스위치(150)를 누른 상태 또는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흡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담배(100)는 흡연이 완료되면 상기 작동스위치(150)를 일정한 시간 누르고 있거나 일정 횟수 이상 연속으로 누르면 전원이 꺼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130)는 내장형으로 상기 충전단자(160)에 충전 케이블을 결합함으로써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에 적용되는 전자담배(100)는 상기 작동스위치(150)와 상기 충전단자(160)가 생략된 일회용 전자담배(100)일 수도 있다.
이러한 일회용 전자담배(100)는 상기 흡입구(120)에 흡입압이 가해지면 상기 발열소자(140)가 발열하여 액상 에센스를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3과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화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는 클램핑유닛(300)과 스위치 조작유닛(400)과 흡입력 제공유닛(500)과 충전유닛(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유닛(300)은 시험의 대상이 되는 전자담배(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본체(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담배(100)는 액상형인 경우 종류에 따라 상기 흡입구(120)가 지속적으로 하측을 향할 때, 상기 흡입구(120)를 통하여 액상 에센스(L)가 흘러나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상기 흡입구(120)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클램핑유닛(30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램핑유닛(300)은 상기 흡입구(120)의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틸팅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 조작유닛(400)은 상기 작동스위치(150)를 누르거나 해제하는 수단으로서 솔레노이드 밸브를 적용하여 공압식으로 누름 및 해제 동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조작유닛(400)은 로터리 모터나 리니어 모터 등을 이용하여 기계식으로 상기 작동스위치(150)를 누름 및 해제 동작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흡입력 제공유닛(500)은 상기 흡입구(120)에 결합되는 공기유로(510)를 통하여 상기 전자담배(100)의 흡입력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유로(510)는 일단이 흡입모터 등으로 구성되는 상기 흡입력 제공유닛(5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전자담배(100)의 상기 흡입구(120)에 결합된다.
일례로 상기 전자담배(100)가 궐련형인 경우 상기 흡입구(120)에는 궐련을 대신하여 상기 공기유로(51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전자담배(100)가 액상형이거나 일회용인 경우 노즐 타입으로 형성되는 상기 흡입구(120)에 상기 공기유로(5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입력 제공유닛(500)이 작동되면 상기 전자담배(100)는 사용자가 흡연을 위하여 상기 흡입구(120)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것과 동일한 흡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유닛(600)은 상기 충전단자(160)에 결합되는 충전케이블(610)을 포함하여 상기 배터리(130)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유닛(600)은 상기 충전단자(160)의 종류에 따라 상기 충전케이블(61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스위치 조작유닛(400)과 상기 흡입력 제공유닛(500) 및 상기 충전유닛(600)의 작동을 설정하고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전원버튼과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710) 및 상기 스위치 조작유닛(400)과 상기 흡입력 제공유닛(500) 및 상기 충전유닛(600)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PCB(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710)는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710)를 통하여 상기 스위치 조작 유닛(400)과 상기 흡입력 제공유닛(500) 및 충전 유닛(600) 각각의 작동 시간, 간격 등을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700)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 조작유닛(400)과 상기 흡입력 제공유닛(500) 및 상기 충전유닛(600)이 작동된다.
한편, 상기 전자담배(100)가 액상형이며, 상기 발열소자(140)가 코일로 형성되는 경우 액상 에센스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발열소자(140)가 가열되면, 코일의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자담배(100) 내부로 액상 에센스(L)를 공급하는 액상 공급유닛(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상 공급유닛(800)은 액상유로(810)를 통하여 상기 전자담배(100) 내부로 액상 에센스(L)를 공급하며, 상기 제어부(700)를 통하여 상기 액상 에센스(L)의 공급량, 공급 주기 등이 설정 및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액상유로(810)의 일단은 상기 액상 공급유닛(8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전자담배(100) 내부에 형성되는 액상 에센스 저장공간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액상 공급유닛(800)에 의하여 상기 전자담배(100)로 공급되는 액상 에센스(L)는 사용자의 실제 흡연을 위한 것이 아니라 코일로 형성되는 상기 발열소자(14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니코틴이나 향료 등이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액상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5와 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에 궐련형 전자담배를 장착한 경우의 요부를 도시한 상면도와 정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에 액상형 전자담배를 장착한 경우의 요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의 사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는 플레이트 또는 캐비닛 등으로 형성되는 베이스(2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유닛(300)은 상기 베이스(200)에 설치되는 클램핑유닛 베이스(310)와 일단에 손잡이(321)가 형성되며 타단에 클램핑 플레이트(322)가 형성되는 스핀들(32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램핑유닛 베이스(310)는 시험 대상이 되는 전자담배(100)가 놓여지는 안착부(311)와 상기 안착부(311)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리브(3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핀들(320)은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322)가 상기 안착부(311)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클램핑유닛 베이스(310)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322)와 상기 안착부(311) 사이에는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322)가 상기 안착부(3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가이드 홈 등의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전자담배(100)를 상기 안착부(311)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321)를 회전시키면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322)가 상기 베이스 리브(312)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전자담배(100)의 양측을 파지함에 따라 상기 전자담배(100)는 상기 클램핑유닛(3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클램핑유닛 베이스(310)에는 상기 전자담배(100)의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스핀들(32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잠금부(314)는 버튼 방식으로 상기 스핀들(320)에 접촉되어 상기 전자담배(100)의 성능 시험 중 발생하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스핀들(32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클램핑유닛(300)은 상기 전자담배(100)의 본체(110)와 접촉되는 부분에 스폰지 또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전자담배(100)를 고정할 때 상기 본체(110)에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담배(100)가 궐련형인 경우 도 5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20)가 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클램핑유닛(300)에 고정될 수 있으나 액상형인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20)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클램핑유닛(30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클램핑유닛(300)은 90°로 틸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2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 조작유닛(400)은 상기 작동스위치(150)에 대향되도록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클램핑유닛 베이스(310) 또는 상기 베이스(200)에 결합되는 스위치 조작유닛 브라켓(410)에 의하여 결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치 조작유닛(4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를 적용한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 모터를 적용한 기계식 실린더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작동스위치(150)를 누르거나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 조작유닛(400)의 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 등은 상기 제어부(700)에 내장되거나 상기 베이스(200)에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전자담배(100)는 상기 흡입구(120)가 형성되는 면과 상기 작동스위치(150)가 형성되는 면이 수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스위치 조작유닛(400)은 상기 클램핑유닛(300)이 90°로 틸팅되는 경우 상기 클램핑유닛(300)과 함께 90°로 틸팅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흡입력 제공유닛(500)은 상기 베이스(200)에 흡입력 제공유닛 브라켓(520)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기유로(510)는 실리콘 재질의 관으로 상기 흡입구(120)의 크기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력 제공유닛(500)은 상기 제어부(700)에 의하여 흡입압 설정, 흡입 시간 및 간격 등의 설정 및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담배(100)가 궐련형이 경우 상기 흡입구(120)에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궐련을 대신하여 상기 공기유로(510)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충전유닛(600)은 상기 전자담배(100)의 충전단자(160)를 통하여 상기 배터리(130)를 충전한다.
이때, 상기 충전유닛(600)은 상기 제어부(700)에 내장되거나 상기 베이스(200)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전유닛(600)이 상기 제어부(700)에 내장되는 경우 일단이 상기 제어부(7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충전단자(160)에 결합되는 충전케이블(610)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130)를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캐비닛 등과 같이 다단으로 형성되는 베이스(200)에 복수 개의 전자담배를 동시에 시험 가능하도록 상기 클램핑유닛(300), 스위치 조작유닛(400), 흡입력 제공유닛(500) 및 충전유닛(600)은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유닛은 하나의 제어부(700)와 연결되어 각각 제어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유닛(300), 스위치 조작유닛(400), 흡입력 제공유닛(500) 및 충전유닛(600)은 각각 6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10과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방법에서 디스플레이부의 설정화면과 결과화면을 도시화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를 이용한 전자담배의 시험방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방법을 수행하기 전에 시험의 대상이 되는 전자담배(100)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에 장착시키는 셋팅단계는 하기와 같다.
상기 본체(110)는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클램핑유닛(30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120)는 상기 공기유로(510)에 의하여 상기 흡입력 제공유닛(500)과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 조작유닛(400)은 상기 작동스위치(150)를 누르거나 해제가 가능하도록 정렬되고, 상기 충전단자(160)는 상기 충전케이블(610)에 의하여 상기 충전유닛(600)과 연결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700)를 통하여 상기 스위치 조작유닛(400)과 상기 흡입력 제공유닛(500) 및 상기 충전유닛(600)의 작동 조건을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710)를 통하여 전자담배(100)의 타입, 흡연시간, 흡연간격시간, 예열 동작, 종료 동작, 충전시간, 충전전류, 시험횟수 등을 설정한다.
일례로,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궐련형인 전자담배(100)를 시험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담배(100)의 타입을 궐련형으로 설정하고 운영(RUN)여부와 예열 및 종료 동작 여부와 시, 분, 초단위로 충전시간을 선택한다.
이때, 상기 운영여부는 시험을 진행할지 여부를 나타내며, 상기 예열동작은 상기 전자담배(100)의 발열소자(140)에 의하여 궐련에서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충분히 가열될 수 있는 시간 동안 상기 발열소자(140)를 가열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이러한 예열동작은 상기 스위치 조작유닛(400)에 의하여 상기 작동스위치(150)를 일정 시간 누르거나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누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료 동작은 상기 전자담배(100)에 삽입된 1개의 궐련이 모두 사용되었다는 가정하에 상기 발열소자(140)의 전원을 차단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이러한 종료 동작은 상기 스위치 조작유닛(400)에 의하여 상기 작동스위치(150)를 일정 시간 누르거나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누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700)를 통하여 설정이 완료된 후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방법은 단위흡연단계(S100)와 단위흡연횟수 체크단계(S200)와 충전단계(S300) 및 전체횟수 체크단계(S4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흡연단계(S100)는 예열단계(S110)와 흡연단계(S120)와 흡연휴지단계(S130)와 흡연시간 체크단계(S140) 및 종료단계(S150)를 포함한다.
상기 예열단계(S11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예열 동작에 따라 전자담배의 슬립모드가 해제되며 발열소자의 예열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이후, 상기 흡입력 제공유닛(500)에 의하여 흡연단계(S120)가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연단계(S120)는 사용자가 전자담배를 1회 빨아들이는 것을 가정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흡입력 제공유닛(500)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120)에 연결된 공기유로(510)를 통하여 흡입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자담배(100)의 모델에 따라 상기 스위치 조작유닛(400)이 상기 작동 스위치를 누르는 상태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3초로 설정되면, 상기 흡입력 제공유닛(500)이 3초간 작동되어 전자담배에 흡입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흡연휴지단계(S130)는 사용자가 전자담배를 물고 증기를 흡입 후 숨을 뱉기 위하여 전자담배를 입에서 이탈시키는 것을 가정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전자담배에 흡입력을 제공하지 않는 것이다.
일례로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5초로 설정되면, 상기 흡입력 제공유닛(500)은 5초간 작동을 멈춘다.
또한, 흡연시간 체크단계(S140)는 상기 흡연단계(S120)와 상기 흡연휴지단계(S130)를 반복하여 단위흡연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때, 단위흡연이란 사용자가 전자담배를 통하여 일정 시간 동안 연속하여 흡연을 완료한 상태를 의미한다.
즉, 상기 단위흡연은 궐련형 전자담배의 경우 1개의 궐련을 모두 흡연한 상태일 수 있다.
일례로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위흡연에 대한 전체시간이 180초로 설정되면, 180초 동안 상기 흡연단계(S120)와 상기 흡연휴지단계(S130)가 반복되어 진행되고, 180초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종료단계(S150)가 수행된다.
상기 종료단계(S1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발열소자(140)의 전원을 차단하는 동작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담배(100)의 전원을 종료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료단계(S150)는 상기 스위치 조작유닛(400)에 의하여 상기 작동스위치(150)를 일정 시간 누르거나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누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단위흡연단계(S100)가 완료되면, 기 설정된 단위흡연 횟수만큼 상기 단위흡연단계(S100)가 반복된다.
일례로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복횟수 즉, 단위흡연 반복 횟수가 1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단위흡연단계(S100)가 1회 이루어지면 상기 단위흡연횟수 체크단계(S200)에서 이를 판단하여 상기 충전단계(S300)가 수행된다.
또 다른 예로 단위흡연 반복 횟수가 5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단위흡연단계(S100)가 1회 이루어지면 상기 단위흡연횟수 체크단계(S200)가 수행되어 다시 상기 단위흡연단계(S100)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단위흡연단계(S100) 간에 대기 시간을 별도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충전단계(S300)는 상기 단위흡연횟수 체크단계(S200)에서 기 설정된 단위흡연 반복 횟수만큼 상기 단위흡연단계(S100)이 이루어지면, 상기 충전유닛(600)에 의하여 전자담배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전단계(S300)에서 충전 전류는 초 단위로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충전시간이 5분으로 설정되면, 5분 동안 상기 충전유닛(600)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130)의 충전이 이루어진 후 상기 전체횟수 체크단계(S400)가 수행된다.
만약 전체반복횟수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000회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단위흡연단계(S100)와 상기 단위흡연횟수 체크단계(S200) 및 상기 충전단계(S300)가 순차적으로 1000회 반복된다.
이때, 상기 단위흡연단계(S100)와 상기 단위흡연횟수 체크단계(S200) 및 상기 충전단계(S300)가 반복 수행되는 경우 대기 시간을 별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흡연단계(S100)와 상기 단위흡연횟수 체크단계(S200) 및 상기 충전단계(S300)가 순차적으로 1000회 반복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방법에 의한 시험이 종료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방법을 통하여 하나의 장치에서 다양한 타입의 전자담배의 내구성 및 성능을 시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방법에서 시험 대상이 일회용 전자담배인 경우 상기 예열단계(S110)와 상기 충전단계(S300) 및 상기 전체횟수 체크단계(S400)는 생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방법에서 시험 대상이 액상형 전자담배인 경우 상기 단위흡연단계(S100)와 상기 단위흡연횟수 체크단계(S200) 사이에는 상기 액상 공급유닛(800)에 의하여 액상 에센스(L)가 공급되는 액상공급단계를 추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담배 시험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710)를 통하여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전자담배 시험방법 수행 중에 강제 종료(STOP)시키거나 초기화(CLR)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L. 액상 에센스
100. 전자담배
110. 본체
120. 흡입구
130. 배터리
140. 발열소자
150. 작동스위치
160. 충전단자
200. 베이스
300. 클램핑유닛
310. 클램핑유닛 베이스
311. 안착부
312. 베이스 리브
313. 잠금부
320. 스핀들
321. 손잡이
322. 클램핑 플레이트
400. 스위치 조작유닛
410. 스위치 조작유닛 브라켓
500. 흡입력 제공유닛
510. 공기유로
520. 흡입력 제공유닛 브라켓
600. 충전유닛
610. 충전케이블
700. 제어부
710. 디스플레이부
800. 액상 공급유닛
810. 액상유로
S100. 단위흡연단계
S110. 예열단계
S120. 흡연단계
S130. 흡연휴지단계
S140. 흡연시간 체크단계
S150. 종료단계
S200. 단위흡연횟수 체크단계
S300. 충전단계
S400. 전체횟수 체크단계

Claims (10)

  1.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구와 작동스위치가 형성되고, 배터리와 발열소자가 내장되며, 외부에 작동스위치가 구비되는 전자담배의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담배의 본체를 고정하는 클램핑유닛;
    상기 작동스위치를 조작하는 스위치 조작유닛;
    상기 흡입구에 결합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제공유닛;
    상기 충전단자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 유닛; 및
    상기 스위치 조작유닛과 상기 흡입력 제공유닛 및 상기 충전유닛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담배 시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흡입구가 90° 틸팅되도록 형성되어 베이스에 결합되는 전자담배 시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전자담배가 놓여지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양측에 베이스 리브가 형성되어 베이스에 결합되는 클램핑유닛 베이스; 및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단에 클램핑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가 상기 안착부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클램핑유닛 베이스에 결합되는 스핀들;을 포함하는 전자담배 시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유닛 베이스에는 상기 스핀들의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담배 시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담배 내부에 액상 에센스를 공급하는 액상 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전자담배 시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력 제공유닛은 실리콘 재질의 공기유로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에 결합되는 전자담배 시험장치.
  7.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구와 작동스위치가 형성되고, 배터리와 발열소자가 내장되며, 외부에 작동스위치가 구비되는 전자담배 시험방법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흡입력을 제공하는 단위흡연단계;
    기 설정된 단위흡연단계의 횟수와 실제 수행된 단위흡연 횟수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단위흡연단계의 횟수보다 실제 수행된 단위흡연 횟수가 적은 경우 상기 단위흡연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위흡연횟수 체크단계;
    상기 단위흡연횟수 체크단계에서 실제 수행된 단위흡연 횟수가 기 설정된 단위흡연단계의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단계; 및
    기 설정된 상기 충전 횟수와 실제 수행된 충전 횟수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충전 횟수보다 실제 수행된 충전 횟수가 적은 경우 상기 단위흡연단계 및 상기 충전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전체횟수 체크단계;를 포함하는 전자담배 시험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흡연단계는
    상기 작동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발열소자를 예열하는 예열단계;
    상기 흡입구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연단계;
    상기 흡연단계가 완료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흡입력 제공을 중단하는 흡연휴지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예열단계와 상기 흡연단계 및 상기 흡연휴지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흡연시간 체크단계;를 포함하는 전자담배 시험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흡연단계와 상기 단위흡연횟수 체크단계 사이에 상기 전자담배 내부에 액산 에센스를 공급하는 액상공급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담배 시험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흡연단계가 2회 이상 수행되는 경우 상기 단위흡연단계 사이마다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담배 시험방법.
KR1020200059379A 2020-05-18 2020-05-18 전자담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KR102372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379A KR102372705B1 (ko) 2020-05-18 2020-05-18 전자담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379A KR102372705B1 (ko) 2020-05-18 2020-05-18 전자담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486A true KR20210142486A (ko) 2021-11-25
KR102372705B1 KR102372705B1 (ko) 2022-03-11

Family

ID=78745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379A KR102372705B1 (ko) 2020-05-18 2020-05-18 전자담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7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00480A1 (en) * 2013-04-03 2014-10-09 Zhiyong Xiang Tester and test method for smoke amount of electronic cigarette
KR101708264B1 (ko) * 2015-10-14 2017-02-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담배 연기의 자동채취장치 및 방법
US20190373958A1 (en) * 2017-05-12 2019-12-12 Japan Tobacco Inc. Battery unit inspection device and battery unit inspec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00480A1 (en) * 2013-04-03 2014-10-09 Zhiyong Xiang Tester and test method for smoke amount of electronic cigarette
KR101708264B1 (ko) * 2015-10-14 2017-02-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담배 연기의 자동채취장치 및 방법
US20190373958A1 (en) * 2017-05-12 2019-12-12 Japan Tobacco Inc. Battery unit inspection device and battery unit insp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705B1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58414B2 (ja) 携帯型エアロゾル発生装置用の電源システム
KR10244736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06572708B (zh) 气溶胶生成装置及系统
KR20200044047A (ko) 배출 기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배출 방법 및 연기 생성 기기
US9872520B1 (en) Vaporizer with means to power and recharge electrical devices
WO2014066730A1 (en) Electronic cigarette
JP7007482B2 (ja) 蒸気供給システム
WO2019175102A1 (en) Cleaning tool for heating element using suction effect
CN116807063A (zh) 烟弹及电子烟
KR102372705B1 (ko) 전자담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KR20190143725A (ko) 미세 입자 발생 장치의 액상 카트리지 결합 구조
KR20190143726A (ko) 궐련 배출 구조를 구비하는 전자 담배 장치
JP7148032B2 (ja) 蒸気供給システム
KR102306667B1 (ko) 증발식 흡연장치
CN111685372A (zh) 用于电子烟的电池装置及电子烟
CN111685373A (zh) 烟弹及电子烟
CN116322390A (zh) 用于气溶胶产生装置的加热腔室
CN212678354U (zh) 一种抽烟装置
CN108354229A (zh) 电子烟具及其加热方法
KR20200005079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08175128A (zh) 一种烤烟器、烤烟型电子烟以及烤烟烟支拔出方法
CN108241040B (zh) 自动按压系统
KR2024003305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3025616A1 (en) Portable device with casing access depending on the detection of a user's hand
EP3787428A1 (en) Smoking substitute device having a flexible seal between battery and consum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