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250A - Automotive headlight device with multiple light sources - Google Patents

Automotive headlight device with multiple light sour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250A
KR20210142250A KR1020200058841A KR20200058841A KR20210142250A KR 20210142250 A KR20210142250 A KR 20210142250A KR 1020200058841 A KR1020200058841 A KR 1020200058841A KR 20200058841 A KR20200058841 A KR 20200058841A KR 20210142250 A KR20210142250 A KR 20210142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source unit
vehicle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8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록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피
Priority to KR1020200058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2250A/en
Publication of KR20210142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2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Abstract

A headlight device (10) for a vehicle is provided with an upper light source unit (20), a middle light source unit (40), and a lower light source unit (60). The upper light source unit (20), the middl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lower light source unit (60) are installed on a lamp body (14), which is a back body, with a support member (15) therebetween. Light from each light source unit (20, 40, 60) is overlapped and a low 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is formed at a front of the vehicle. The middle light source unit (40) is supported to change an optical axis independently from other light source units (20, 60).

Description

복수의 광원을 가진 자동차 헤드라이트 장치{Automotive headlight device with multiple light sources}Automotive headlight device with multiple light sources

본 발명은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복수 개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중첩시켜 소정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lamp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lamp for a vehicle that forms a predetermined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overlapping lights emitted from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종래, 차량용 전조등(헤드 램프)으로서는, 할로겐 밸브나 방전 밸브를 광원으로서 이용하고, 이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리플렉터나 투영 렌즈를 이용하여 전방에 조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할로겐 밸브나 방전 밸브는 차량용으로서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는 광원이지만, 소비 전력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Conventionally, as a vehicle headlamp (headlamp), it is common to use a halogen valve or a discharge valve as a light source, and to irradiate the light emitted from this light source forward using a reflector or a projection lens. Halogen valves and discharge valves are light sources that can ensure a sufficient amount of light for vehicles, but have a problem of high power consumption.

한편,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를 차량용 전조등용의 광원으로서 채용하고자 하는 기운이 높아지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일반적으로 소형이며, 소비 전력이 작기 때문에, 자동차와 같은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에 적용함으로써, 한정된 전력의 유효 이용의 실현이 기대된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to employ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such as light emitting diodes as light sources for vehicle headlamps. Since light emitting diodes are generally small and have low power consumption, realization of effective use of limited power is expected by applying them to vehicles equipped with batteries such as automobiles.

발광 다이오드는 고휘도화가 진행되었다고 하여도 아직 할로겐 밸브나 방전 밸브에 비하면 휘도가 충분하지 않고, 단순히 할로겐 밸브나 방전 밸브를 발광 다이오드로 치환한 것만으로는 시인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광량을 전방에 조사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현시점에서는 각각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복수 개의 광원 유닛을 차량에 탑재하고, 이들의 광원 유닛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중첩시켜 원하는 배광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생각이 일반적이다.Although light emitting diodes have progressed to high luminance, the luminance is still insufficient compared to halogen valves and discharge valves. Can not. Therefore, at the present time, it is a common idea to mount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each having a light emitting diode in a vehicle, and to overlap the light emitted from these light source units to form a desired light distribution pattern.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4-095480호는 3개의 컷 오프 라인 형성용 유닛과, 5개의 핫존 형성용 유닛과, 3개의 확산 영역 형성용 유닛을 조합하여 로우빔용의 합성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전조등을 개시하고 있다.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095480 discloses a headlamp for a vehicle in which three units for forming cut-off lines, five units for forming hot zones, and three units for forming diffusion regions are combined to form a composite light distribution pattern for low beams. is starting

이 차량용 전조등에서는 모든 유닛에 있어서 광원으로서 반도체 발광 소자가 이용되고 있으며, 각각이 형성하는 배광 패턴을 중첩시킴으로써, 적절한 광량을 구비한 로우빔용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is vehicle headlamp,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is used as a light source in all units, and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for a low beam having an appropriate amount of light is formed by overlapping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s formed respectively.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41918호는 방전 밸브를 이용한 프로젝터형 광원 유닛을 이용하여 메인 배광을 형성하고,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점소등이 가능하며, 또한 좌우에 스위블 가능한 부가 광원 유닛을 이용하여 보조 배광을 메인 배광 상에 중첩시켜 합성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전조등을 개시하고 있다. 이 차량용 전조등에서는 예컨대, 차량 선회시에 부가 광원 유닛이 점등되고, 선회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부가 배광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측방 시인성, 특히 선회 방향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5-141918 discloses that a main light distribution is formed using a projector type light source unit using a discharge valve, a light is turned off using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an additional light source unit that can be swiveled left and right is used. Disclosed is a headlamp for a vehicle in which an auxiliary light distribution is superimposed on a main light distribution to form a composite light distribution pattern. In this vehicle headlamp, for example, the additional light source unit is turned on when the vehicle is turning, and the additional light distribution pattern is formed in the direction along the turning direction, so that the lateral visibility of the vehicle, particularly the visibility in the turning direction, can be improved.

그런데, 일본 특허 공개 제2004-095480호와 같이, 복수 개의 유닛을 조합하여 합성 배광 패턴을 얻고자 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의 수에 따라 어쩔 수 없이 소비 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현실적인 차량용 전조등으로서는 되도록 유닛수가 적은, 즉 반도체 발광 소자의 수가 적은 구성이 바람직하다.However, as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095480, when a composite light distribution pattern is obtain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units, power consumption is inevitab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Therefore, as a practical headlamp for a vehicle, a configuration with as few units as possible, ie, a small number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s, is preferable.

또한, 반도체 발광 소자의 수를 적게 한 경우에도, 되도록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배광 패턴을 작성할 수 있는 구성이 바람직하다.Moreover, even when the number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s is reduced, it is desirable to have a configuration that can create an appropriate light distribution pattern depending on the situation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은 상기한 내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닛 수를 되도록 삭감하여 광원의 수를 적게 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작고, 또한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배광 패턴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전조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dlamp for a vehicle which consumes less power by reducing the number of units and the number of light sources as much as possible, and capable of creating an appropriate light distribution pattern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do it with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the following configurations.

(1)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을 광축을 따라 조사하는 광학 부재를 각각 구비한 복수 개의 광원 유닛과, 상기 복수 개의 광원 유닛을 지지하는 등체를 구비하고, 각 광원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중첩시켜 차량 전방에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전조등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광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축을 다른 광원 유닛과는 독립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등체에 지지된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1)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each having a light source, an optical member for irradiating light from the light source along an optical axis, and a light body supporting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the light from each light source unit being superimposed A headlamp for a vehicle that forms a low-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in front of a vehicl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is an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supported on the body so that the optical axis can be changed independently of other light source units car headlights.

(2) 상기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은 상기 로우빔 배광 패턴에 경사진 컷 오프 라인을 구비한 집광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한 차량용 전조등.(2) The head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1), wherein the variable optical axis light source unit forms a condensing area having an inclined cut-off line in the low-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3) 상기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은 상기 광축을 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집광 영역의 위치를 차량 전방 중앙과 차량 전방 측방 사이에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한 차량용 전조등.(3) The variable optical axis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by moving the optical axis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light-converging area is changed between a vehicle front center and a vehicle front side. car headlights.

(4) 상기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은 상기 광학 부재로서 투영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투영 렌즈의 초점 근방에 상기 광원이 배치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직접광이 전방에 조사되는 직사형 광원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차량용 전조등.(4) the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is a direct light source unit having a projection lens as the optical member, the light source is disposed near the focal point of the projection lens, and direct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s irradiated forward The head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5) 상기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은 상기 광학 부재로서 투영 렌즈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투영 렌즈의 초점 근방을 향하여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구비하고, 상기 리플렉터로부터의 반사광이 전방에 조사되는 반사형 광원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차량용 전조등.(5) The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projection lens as the optical member and a reflector that reflects light from the light source toward a focal point vicinity of the projection lens, and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reflector is irradiated forward. The head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unit.

(6) 상기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은 출력하는 광량을 증감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차량용 전조등.(6) The vehicle headlamp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variable optical axis light source unit is configur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amount of light output.

본 발명의 차량용 전조등은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광을 광축을 따라 조사하는 광학 부재(투영 렌즈, 리플렉터 등)를 각각 구비한 복수 개의 광원 유닛을 구비하고, 이들 복수 개의 광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축을 다른 광원 유닛과는 독립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등체에 지지된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이다. 따라서,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의 광축을 적절하게 변화시키고, 조사 영역을 변경함으로써, 여러 가지 상황에 있어서 최적의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로우빔 배광 패턴을 변화시키는 것에 있어서,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을 여러 가지 영역에 비출 수 있기 때문에, 광원의 수를 필요 이상으로 늘리지 않고 여러 가지 배광 패턴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발광부를 구비한 광원 유닛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차량용 전조등을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발광부의 수를 종래에 비해서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A headlamp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each having a light source and an optical member (projection lens, reflector, etc.) for irradiating light from the light source along an optical axis,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includes the optical axis It is an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supported on a body so that it can be changed independently of other light source units. Accordingly,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optical axis of the variable optical axis light source unit and changing the irradiation area, it is possible to form an optimal low-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in various situations. Further, in changing the low-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since the variable optical axis light source unit can be illuminated on various areas, various light distribution patterns can be realized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light sources more than necessary. Further,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light source unit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the headlamp for a vehicle can be downsized, and the number of light emitting units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또한,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은 로우빔 배광 패턴에 경사진 컷 오프 라인을 구비한 집광 영역을 형성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은 이러한 집광 영역의 조사 위치를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필요한 개소에 집중적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고, 커브 모드, 타운 모드, 모터 웨이 모드 또는 레인 모드라는 여러 가지 상황에 따른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variable optical axis light source unit may form a condensing area having an inclined cut-off line in the low-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Since the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can appropriately change the irradiation position of such a light-converging area, it can irradiate light intensively to a necessary loc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It becomes possible to form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situation.

또한,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은 광축을 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집광 영역의 위치를 차량 전방 중앙과 차량 전방 측방 사이에서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차량 전방 중앙부에 광을 집중 시키거나 차량 전방측의 측방부에 광을 집중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축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광축 가변 광원 유닛 전체를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복잡한 기구가 필요 없고, 필요 이상으로 부품 점수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Further, the variable optical axis light source uni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light-converging area between the vehicle front center and the vehicle front side by moving the optical axis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By configuring in this way, it becomes possible to focus the light on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vehicle or the light on the side portions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s needed. In addition, in order to move the optical ax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sufficient only to rotate the entire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so a complicated mechanism is not required,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more than necessary.

또한, 광축 가변 광원 유닛으로서는 광원으로부터의 직접광이 전방에 조사되는 직사형 광원 유닛으로 할 수 있다. 직사형 광원 유닛으로서 구성함으로써, 리플렉터를 생략할 수 있고, 또한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직사형 광원 유닛으로 한 경우에는, 극히 좁은 영역에 광을 용이하게 집중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떤 좁은 영역에 핀 포인트로 광을 조사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Further, the variable optical axis light source unit may be a direct light source unit in which direct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s irradiated forward. By configuring it as a direct irradiating light source unit, the reflector can be omitted and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made small. Further, in the case of a direct light source unit, it is possible to easily concentrate light in an extremely narrow area, and thus it can be suitably used when pinpointing light to a certain narrow area.

또한, 광축 가변 광원 유닛으로서는 반사형 광원 유닛으로 할 수 있다. 반사형 광원 유닛으로서 구성하면, 리플렉터가 필요해지며, 어느 정도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지만, 리플렉터의 반사면을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용이하게 광의 제어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로 되는 영역에 적절한 광량의 광을 용이하게 집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the variable optical axis light source unit may be a reflective light source unit. When configured as a reflective light source unit, a reflector is required and it is necessary to secure a certain amount of installation space. It is possible to easily focus light of an appropriate amount of light.

또한,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은 출력하는 광량을 증감할 수 있으며, 즉 조광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광 패턴 또는 조사 영역에 따라 광량을 늘리거나 줄이거나 함으로써 전방에 조사되는 광의 양을 변화시키고, 여러 가지 배광 패턴에 따른 광량 조정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variable optical axis light source un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amount of light output, that is, to dim the light. Accordingly,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amount of light according to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or irradiation area, it becomes possible to change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to the front, and to realize light amount adjustment according to various light distribution patterns.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서도 구성된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comprised also by the following structures.

(7)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을 전방에 조사하는 투영 렌즈를 각각 구비한 복수 개의 광원 유닛과, 상기 복수 개의 광원 유닛을 지지하는 등체를 구비하고, 각 광원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중첩시켜 차량 전방에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전조등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광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축이 대략 수평면 내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등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이며, 상기 광축 가변 광원 유닛에서는 상기 투영 렌즈와 상기 광원 사이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이 회동하고, 상기 광축이 차량 전방 중앙으로 광을 조사하는 위치로부터 차량 전방 측방에 광을 조사하도록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확산 부재에 의해 광이 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7) A vehicle comprising: a light source;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each having a projection lens for irradiating light from the light source forward; A headlamp for a vehicle that forms a low-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in front,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is an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rotatably supported on the back body so that the optical axis moves along an approximately horizontal plane, the variable light axis light source In the unit, a diffusion member for diffu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provided between the projection lens and the light source, the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is rotated, and the optical axis is from a position where the light is irradiated toward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vehicle to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 headlamp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is diffused by the diffusion member when it is moved to irradiate the light.

(8) 상기 확산 부재는 광의 전파 방향을 따른 두께가 광축으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두꺼워지는 프리즘 확산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7)에 기재한 차량용 전조등.(8) The head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7), wherein the diffusion member is a prism diffusion lens whose thickness along the propagation direction of light becomes thicker as it deviates from the optical axis.

(9) 상기 확산 부재는 복수 개의 스텝이 형성된 스텝 확산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7)에 기재한 차량용 전조등.(9) The vehicle headlamp according to (7),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usion member is a step diffusion len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eps.

(10) 상기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은 상기 로우빔 배광 패턴에 경사진 컷 오프 라인을 구비한 집광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차량용 전조등.(10) The vehicle headlamp according to any one of (7) to (9), wherein the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forms a condensing area having an inclined cut-off line in the low 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본 발명의 차량용 전조등은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광을 전방에 조사하는 투영 렌즈를 각각 구비한 복수 개의 광원 유닛을 구비하고, 이들 복수 개의 광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축을 다른 광원 유닛과는 독립적으로The headlamp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each having a light source and a projection lens for irradiating light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front,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sets the optical axis independently of the other light source units.

변화시킬 수 있도록 등체에 지지된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이다. 그리고, 광축 가변 광원 유닛에는 투영 렌즈와 광원 사이에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확산 부재에는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이 회동하고, 광축이 차량 전방 중앙에 광을 조사하는 위치로부터 차량 전방 측방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이동하였을 때에 광이 입사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시에만 확산 부재에 의해 광이 확산된다.It is an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supported on a body so that it can be changed. In the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a diffusion member for diffu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provided between the projection lens and the light source. The diffusing member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light is incident when the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rotates and the optical axis moves from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front center of the vehicle to the side of the vehicle in front. light is diffused by

따라서, 명확한 컷 오프 라인이 필요로 되는 중앙 영역에 조사되었을 때에는 확산 부재가 광의 전파를 방해하지 않고, 그다지 명확한 컷 오프 라인이 필요 없는 측방 영역에 조사될 때에는 그 조사 영역을 회동 각도 이상으로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측방의 넓은 영역에 걸쳐 광을 비출 수 있는 측방 시인성이 높은 차량용 전조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확산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회동 각도를 넓히지 않고 측방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회동 각도를 얻을 수 없는 좁은 스페이스밖에 없는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도 광범한 범위로 광을 공급할 수 있다.Therefore, when irradiated to a central region requiring a clear cut-off line, the diffusion member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ropagation of light, and when irradiated to a lateral region that does not require a very clear cut-off line, it is better to widen the irradiated area beyond the rotation angle. it becomes possible Therefore, it can be set as the headlamp for a vehicle with high lateral visibility which can illuminate light over a wide area on the side. In addition, since the light can be irradiated to the side without widening the rotation angle by providing the diffusion member, it is possible to supply light in a wide range even in a vehicle headlamp having only a narrow space in which a sufficient rotation angle cannot be obtained.

확산 부재로서는 광의 전파 방향을 따른 두께가 광축으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두꺼워지는 프리즘 확산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프리즘 확산 렌즈를 사용한 경우에는 그 조사 영역을 회동 각도 이상으로 넓히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차량의 측방 시인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As the diffusing member, a prism diffusing lens whose thickness along the propagation direction of light becomes thicker as it deviates from the optical axis can be used. When a prism diffusion lens is used, since it becomes possible to widen the irradiation area more than a rotation angle, it becomes possible to improve the lateral visibility of a vehicle.

또한, 확산 부재로서는 복수 개의 스텝이 형성된 스텝 확산 렌즈를 사용할 수도 있다. 스텝 확산 렌즈를 사용한 경우에는 그 조사 영역을 좌우 쌍방에 걸쳐 넓힐 수 있기 때문에, 광범한 영역에 걸쳐 구석구석까지 광을 조사하여, 차량의 측방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Further, as the diffusion member, a step diffusion lens in which a plurality of steps are formed can also be used. When a step diffusion lens is used, since the irradiation area can be widened over both left and right, light can be irradiated to every corner over a wide area, and the lateral visibility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또한, 프리즘 확산 렌즈와 스텝 확산 렌즈는 설계자가 의도하는 확산 패턴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그 밖의 확산 패턴을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밖의 확산용 렌즈 또는 다른 종류의 확산 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prism diffusion lens and the step diffusion lens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diffusion pattern intended by the designer, and in case of obtaining other diffusion patterns, other diffusion lenses or other types of diffusion members are used. also good

또한,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은 로우빔 배광 패턴에 경사진 컷 오프 라인을 구비한 집광 영역을 형성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은 이러한 집광 영역의 조사 위치를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필요한 개소에 집중적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고, 커브 모드, 타운 모드, 모터 웨이 모드 또는 레인 모드라는 여러 가지 상황에 따른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variable optical axis light source unit may form a condensing area having an inclined cut-off line in the low-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Since the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can appropriately change the irradiation position of such a light-converging area, it can irradiate light intensively to a necessary loc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It becomes possible to form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situ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전조등의 Ⅱ-Ⅱ 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상단 광원 유닛에 설치되는 제1 서브 유닛(제2 서브 유닛)의 수직 단면도.
도 4는 중단 광원 유닛에 설치되는 제3 서브 유닛의 수직 단면도.
도 5는 제3 서브 유닛(제4 서브 유닛)의 수평 단면도.
도 6은 하단 광원 유닛의 사시도.
도 7은 하단 광원 유닛의 제5 서브 유닛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
도 8은 하단 광원 유닛의 제6 서브 유닛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
도 9는 하단 광원 유닛의 평면도.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전조등에 의해 형성된 로우빔용의 배광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전조등에 의해 형성된 하이빔용의 배광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제3 서브 유닛과 배광 패턴의 관계를 도시한 모식적 단면도.
도 13은 제3 서브 유닛과 배광 패턴의 관계를 도시한 다른 모식적 단면도.
도 14는 직사형 광원 유닛에 확산 부재를 설치한 경우의 회동과 배광 패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전조등과 그 점소등에 관련된 제어를 도시한 제어 블록도.
도 16은 점소등 컨트롤러에 의한 점소등 제어의 패턴을 나타낸 표.
도 17은 AFS에 있어서의 배광 패턴의 실현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18는 AFS에 있어서의 배광 <18> 패턴의 실현예를 도시한 모식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head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the head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sub-unit (a second sub-unit) installed in an upper light source unit;
Fig. 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sub-unit installed in the intermediate light source unit;
Fig. 5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sub-unit (fourth sub-unit);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light source unit;
7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sub-unit of the lower light source unit.
8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xth sub-unit of the lower light source unit;
9 is a plan view of the lower light source unit.
Fig. 10 is a view showing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for a low beam formed by the head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1 is a diagram showing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for a high beam formed by the head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third sub-unit and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Fig. 13 is another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third sub-unit and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rotation and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when a diffusion member is provided in a direct irradiating light source unit;
Fig. 15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the head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control related to the turn-off of the headlamp for a vehicle;
Fig. 16 is a table showing a pattern of light-off control by a light-off controller;
Fig. 1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alization of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in AFS;
Fig. 1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alization of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in AFS;

이하, 본 발명에 이러한 차량용 전조등의 실시 <74>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such a vehicle head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차량용 전조등의 Ⅱ-Ⅱ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상단 광원 유닛에 설치되는 제1 서브 유닛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중단 광원 유닛에 설치되는 제3 서브 유닛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제3 서브 유닛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6은 하단 광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하단 광원 유닛의 제5 서브 유닛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8은 하단 광원 유닛의 제6 서브 유닛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9는 하단 광원 유닛의 평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head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the headlamp for a vehicle.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sub-unit installed in the upper light source unit. 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sub-unit installed in a medium light source unit. 5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sub-unit;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light source unit; 7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sub-unit of the lower light source unit. 8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xth sub-unit of the lower light source unit. 9 is a plan view of the lower light source unit.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전조등(10)은 예컨대, 차량의 전단 부분에 장착되고, 로우빔 및 하이빔을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점소등이 가능한 전조등이다. 도 1에서는 예로서, 자동차 등의 차량 우측 전방에 장착되는 전조등 유닛(레드 램프 유닛)이 차량용 전조등(10)으로서 표시되어 있다.The headlamp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 example, a headlamp that is mounted on a front end of a vehicle and can be switched off by selectively switching a low beam and a high beam. In FIG. 1 , as an example, a headlamp unit (red lamp unit) mounted on the right front side of a vehicle such as an automobile is indicated as a vehicle headlamp 10 .

이 차량용 전조등(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투과성의 투광 커버(12)와, 램프 보디(등체)(1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투광 커버(12)와 램프 보디(14)로 둘러싸이는 등실(10a) 내에 3개의 광원 유닛[상단 광원 유닛(20), 중단 광원 유닛(40), 하부 광원 유닛(60)]이 지지 부재(15) 상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vehicle headlamp 10 includes a light transmitting cover 12 and a lamp body (light body) 14 . In addition, three light source units (upper light source unit 20, middle light source unit 40, lower light source unit 60) are supported in the lamp room 10a surrounded by the transparent cover 12 and the lamp body 14. It is fixedly arranged on (15).

또한, 3개의 광원 유닛(20, 40, 60)과 투광 커버(12) 사이에는 등기구 전방에서 보았을 때의 간극을 덮도록 익스텐션(16)이 배치되어 있다.Further, an extension 16 is disposed between the three light source units 20 , 40 , 60 and the transparent cover 12 so as to cover the gap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lamp.

지지 부재(15)는 높이가 다른 3개의 설치부(15a, 15b, 15c)를 구비하고, 각각 상단 광원 유닛(20), 중단 광원 유닛(40), 하단 광원 유닛(60)이 순서대로 고정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15)는 대략 차량 폭 방향으로 평행한 틸팅축(17a)을 사이에 두고 틸팅할 수 있는 지지 기구(17)와, 액츄에이터인 레벨링용 모터(18)의 구동축(18a)에 접속된 동력 전달축(18b)을 매개로 하여 램프 보디(14)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기구(17), 레벨링용 모터(18) 및 동력 전달축(18b)은 램프 보디(14)에 대한 지지 부재(15)의 장착 각도를 레벨링용 모터(18)의 출력에 따라 조정하는 레벨링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벨링 기구를 매개로 하여 지지 부재(15)의 장착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각 광원 유닛(20, 40, 60)의 광축 조정을 행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15 includes three installation parts 15a, 15b, and 15c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the upper light source unit 20, the middl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lower light source unit 60 are fixedly arranged in order, respectively. has been This support member 15 is connected to a support mechanism 17 capable of tilting with a tilting shaft 17a interposed therebetween, which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a drive shaft 18a of a leveling motor 18 which is an actuator. It is fixed to the lamp body 14 via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18b. The support mechanism 17 , the leveling motor 18 , and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18b are a leveling mechanism for adjusting the mounting angle of the support member 15 with respect to the lamp body 14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leveling motor 18 . constitutes In this embodiment, the optical axis adjustment of each light source unit 20, 40, 60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attachment angle of the support member 15 via a leveling mechanism.

다음에, 각 광원 유닛(20, 40, 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광원 유닛(20, 40, 60)은 각각 배광 패턴 형성시의 역할이 각각 다른 광원 유닛 이며, 각 광원 유닛(20, 40, 60)을 선택적으로 점소등함으로써, 여러 가지 배광 패턴을 실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Next, each light source unit 20, 40, 60 is demonstrated. In this embodiment, each light source unit (20, 40, 60) is a light source unit that has a different role in forming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by selectively turning on/off each light source unit (20, 40, 60), various light distribution patterns is designed to realize

이하에서는, 우선 상단 광원 유닛(2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단 광원 유닛(20)은 하이빔용의 배광을 형성하는 광원 유닛이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동일 구성인 한 쌍의 제1 및 제2 서브 유닛(20A, 20B)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들의 제1 및 제2 서브 유닛(20A, 20B)은 지지 부재(15)의 최상단 설치부(15a)에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제1 및 제2 서브 유닛(20A, 20B)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별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Hereinafter, the upper stage light source unit 20 will be described first. The upper stage light source unit 20 is a light source unit that forms light distribution for high beams, and as shown in Fig. 1 , includes a pair of first and second sub-units 20A and 20B each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These 1st and 2nd sub-units 20A, 20B are arrange|positioned and provided in the uppermost installation part 15a of the support member 15 in the width direction. In addition, these 1st and 2nd sub-units 20A, 20B may be formed in a pair, and may be formed separately.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서브 유닛(20A)[제2 서브 유닛(20B)도 동일]은 단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L자형 형상을 갖는 금속제 베이스 부재(21)와, 광원으로서의 LED(반도체 발광 소자)(22)와, 투영 렌즈(24)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first sub-unit 20A (the second sub-unit 20B is also the same) includes a metal base member 21 having a substantially L-shaped shap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and an LED (semiconductor) as a light source. light emitting element) 22 and a projection lens 24 are provided.

베이스 부재(21)는 그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체부(21a)가 지지 부재(15)의 설치부(15a) 상에 배치되고, 설치부(15a)에 세워 설치한 기립부(21b)의 차량 전방측에 LED(22)가 고정 배치되어 있다.In the base member 21, a base portion 21a extending in the vehicle front-rear direction is disposed on the mounting portion 15a of the supporting member 15, and the standing portion 21b is erected on the mounting portion 15a. The LED 22 is fixedly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LED(22)는 한변이 1 mm인 정사각형 정도 크기의 발광부(발광칩)(22a)를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로서, 광을 출사하는 발광부(22a)가 차량 정면측을 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The LED 22 is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light emitting part (light emitting chip) 22a having a size of about a square with a side of 1 mm, and is disposed with the light emitting part 22a emitting light facing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

투영 렌즈(24)는 LED(22)의 발광부(22a)로부터 출사된 광을 차량 전방에 투영되는 볼록 렌즈형의 비구면 렌즈로서, 기체부(21a)의 차량 전방측 선단부(21c) 근방에서 베이스 부재(21)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영 렌즈(24)의 초점(P24)은 LED(22)의 발광부(22a)와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투영 렌즈(24)에는 LED(22)의 발광부(22a)로부터 출사된 광이 직접 입사되고, 입사된 광이 대략 평행한 광으로서 광축(Ax1)을 따라 전방에 투영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광원 유닛(20)의 제1 및 제2 서브 유닛(20A, 20B)은 각각 직사형의 프로젝터형 광원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The projection lens 24 is a convex lens type aspherical lens that proj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2a of the LED 22 to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is a base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front end 21c of the body 21a. It is fixed to the member 21 . In this embodiment, the focus P24 of the projection lens 24 is comprised so that it may correspond substantially with the light emitting part 22a of the LED22. According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22a of the LED 22 is directly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24, and the incident light is projected forward along the optical axis Ax1 as substantially parallel light. That i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b-units 20A and 20B of the light source unit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stitutes a direct-illuminating projector type light source unit.

다음에, 중단 광원 유닛(40)에 대해서 설명한다. 중단 광원 유닛(40)은 로우빔용 배광의 일부를 형성하는 광원유닛이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동일 구성인 한 쌍의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은 지지 부재(15)의 중단 설치부(15b)에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의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은 각각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Next, the intermediate light source unit 40 will be described. The intermediate light source unit 40 is a light source unit that forms a part of light distribution for the low beam, and as shown in FIG. 1 , includes a pair of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each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 These 3rd and 4th sub-unit 40A, 40B are arrange|positioned and provided in the middle and middle installation part 15b of the support member 15 in the width direction.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se 3rd and 4th sub-unit 40A, 40B are respectively formed separately.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서브 유닛(40A)[제4 서브 유닛(40B)도 동일]은 예컨대, 대략 L자형 형상의 베이스 부재(41)와, 광원으로서의 LED(반도체 발광 소자)(42)와, 투영 렌즈(44)와, 리플렉터(46)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4, the third sub-unit 40A (the fourth sub-unit 40B is also the same) includes, for example, a substantially L-shaped base member 41, and an L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s a light source ( 42 , a projection lens 44 , and a reflector 46 .

베이스 부재(41)는 그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체부(41a)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기체부(41a)에 기립부(41b)가 세워 설치되고, 또한, 이 기립부(41b)에서 차량 후방측으로 꺾여 구부러져 LED(42)와 리플렉터(46)를 적재 고정하는 광학 적재부(41c)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The base member 41 is provided with a base part 41a extending in the vehicl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standing part 41b is erected on this base part 41a, and also the vehicle from this standing part 41b is provided. The optical mounting part 41c which bends to the rear side, and which mounts and fixes the LED 42 and the reflector 46 is extended and provided.

LED(42)는 LED(22)와 동일하게 백색 다이오드로서, 그 발광부(42a)가 대략 수직 상측을 향한 상태에서 적재부(41c)의 적재면(41e) 상에 적재되어 있다. 또한, 발광부(42a)는 그 발광부 형상이나 전방에 조사되는 배광을 따라 다소 각도를 갖고 배치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The LED 42 is a white diode similar to the LED 22, and is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41e of the mounting part 41c with the light emitting part 42a facing substantially vertically upward.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portion 42a may be configured to be arranged at an angle slightly along the shape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or the light distribution irradiated to the front.

리플렉터(46)는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타원 형상이며, 수평 단면 형상이 타원을 베이스로 한 자유 곡면 형상을 갖는 반사면(46a)이 내측에 형성된 반사 부재이다. 리플렉터(46)는 그 제1 초점(P441)이 LED(42)의 발광부(42a) 근방이 되고, 그리고 그 제2 초점(P442)이 적재부(41c)의 적재면(41e)과 기립부(21b)의 전면(41f)이 이루는 능선(41g) 근방에 위치하도록 설계 배치되어 있다.The reflector 46 is a reflective member in which a reflective surface 46a having a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of a substantially elliptical shape and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free-form surface shape based on an ellipse is formed. As for the reflector 46, its first focal point P441 is in the vicinity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42a of the LED 42, and its second focal point P442 is the mounting surface 41e and the standing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41c. It is designed and arranged so that it may b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ridge line 41g formed by the front surface 41f of 21b.

LED(22)의 발광부(22a)로부터 출사된 광은 리플렉터(46)의 반사면(46a) 상에서 반사되고, 제2 초점(P442) 근방을 통과하여 투영 렌즈(44)에 입사된다. 또한,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에서는 적재부(41c)의 적재면(41e)과 기립부(21b)의 전면(41f)이 이루는 능선(41g)을 경계선으로 하여, 일부 광이 적재면(41e) 상에서 반사됨으로써, 광을 선택적으로 컷하여 차량 전방에 투영되는 배광 패턴에 경사진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능선(41g)은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의 명암 경계선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리플렉터(46)의 반사면(46a) 상에서 반사되고, 또한, 적재면(41e)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도 전방에 유효광으로서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재면(41e)의 차량 전방측은 투영 렌즈(44)와 리플렉터(46)의 위치관계를 고려한 적절한 반사 각도가 설정된 광학적 형상을 갖고 있다.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22a of the LED 22 is reflected on the reflective surface 46a of the reflector 46 , passes through the vicinity of the second focal point P442 , and is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44 . Further, in the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the ridge line 41g formed by the mounting surface 41e of the mounting part 41c and the front surface 41f of the standing part 21b as a boundary line, By being reflected on this mounting surface 41e, it is comprised so that the light may be selectively cut and an inclined cut-off line may be formed in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projected in front of a vehicle. That is, the ridge line 41g constitutes a light-dark boundary line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art of the light reflected on the reflective surface 46a of the reflector 46 and reflected by the mounting surface 41e is also irradiated forward as effective light.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hicle front side of the mounting surface 41e has an optical shape in which an appropriate reflection angle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ojection lens 44 and the reflector 46 .

투영 렌즈(44)는 리플렉터(46)의 반사면(46a)에서 반사된 광을 차량 전방에 투영하는 볼록 렌즈형의 비구면 렌즈로서, 기체부(41a)의 차량 전방측 선단부(41c) 근방에서 베이스 부재(41)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영 렌즈(44)의 초점은 리플렉터(46)의 제2 초점(P442)과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리플렉터(46)에서 반사되어 투영 렌즈(44)에 입사된 광은 대략 평행한 광으로서 전방에 투영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광원 유닛(40)의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은 각각 집광 컷 형성용 반사형 프로젝터형 광원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The projection lens 44 is a convex lens type aspherical lens that project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reflective surface 46a of the reflector 46 to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is a base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front end 41c of the body portion 41a. It is fixed to the member 41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cus of the projection lens 44 is configured to substantially coincide with the second focus P442 of the reflector 46 . Accordingly,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r 46 and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44 is projected forward as substantially parallel light. That is, the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of the light source unit 40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stitute a reflective projector type light source unit for forming a condensing cut, respectively.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은 회동 샤프트(50a, 50b)를 사이에 두고 지지부(15d) 및 설치부(15b)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 후술하지만, 회동 샤프트(50b)의 한쪽은 액츄에이터(19)와 접속되어 있으며,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은 액츄에이터(19)의 구동력에 의해 각각 회동 샤프트(50a, 50b)를 축으로 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좌우에 스위블하며 광축 방향으로 가변이다. 즉,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은 각각 다른 광원 유닛과는 독립적으로 광축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3rd and 4th subunit 40A, 40B is being rotatably fixed to the support part 15d and the installation part 15b, respectively, with rotation shaft 50a, 50b interposed therebetween. Although described later in detail,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50b is connected to the actuator 19 , and the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are respectively the rotation shafts 50a and 50b by the driving force of the actuator 19 . ) as the axis, each independently swivels left and right and is variabl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hat is, each of the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constitutes an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capable of changi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dependently of other light source units.

구체적으로는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은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0°방향을 향한 상태)으로부터,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의 조사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광축(Ax2)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집광 영역의 위치를 차량 전방 중앙과 차량 전방 측방 사이에서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차량 선회시 등에 선회 방향측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회동 샤프트(50a, 50b)를 축으로 하여 회동시킴으로써, 광축(Ax2)의 방향이 변화하고, 차량 전방 측방에 광이 조사된다. 이것에 의해 차량 진행 방향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change the irradiation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5B from the front (state facing the 0° direction) as shown in FIG. 5A. The optical axis Ax2 can be changed. Thereby, the position of the light-converging area can be changed between the vehicle front center and the vehicle front side. Therefore, for example, by rotating the rotation shafts 50a and 50b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turning direction side as an axis during vehicle turning,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x2 changes, and light is irradiated to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Thereby, the visibility of a vehicle traveling direction can be improv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영 렌즈(44)와 능선(41g) 사이, 즉 투영 렌즈(44)와 리플렉터(46) 사이의 영역 측방 중 적어도 한쪽 측(도면에서는 좌측)에는 확산 부재(55)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확산 부재(55)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되고, 리플렉터(46)에서 반사된 광을 측방으로 더욱 확산시키는 것이다. 이 확산 부재(55)는 한쪽측에만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양측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한쪽측에만 배치되는 경우에는 차량용 전조등(10)이 차량 전방에 배치된 측, 즉 차량 우측에 배치되었으면 우측, 차량 좌측에 배치되었으면 좌측에 확산 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iffusion member 55 is provided between the projection lens 44 and the ridge line 41g, that is, on at least one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of the region side between the projection lens 44 and the reflector 46 . has bee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ffusion member 55 further diffus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reflected by the reflector 46 laterally. The diffusion member 55 may be disposed on only one side, or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case of being disposed on only one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ffusion member be installed on the side where the vehicle headlight 1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vehicle, that is, on the right side if it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and on the left side if it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본 실시 형태의 확산 부재(55)는 차량 전후 방향, 즉 광의 전파 방향에 따른 두께가 광축(Ax2)에서 벗어남에 따라 두꺼워지는 프리즘 확산 렌즈이다. 이 확산 부재(55)에는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이 정면(0°방향을 향한 상태)에서는 광이 입사되지 않는 위치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 부재를 사이에 두고 램프 보디(14) 또는 지지 부재(15)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의 조사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광축(Ax2)을 변화시켰을 때에는 광의 일부가 확산 부재(15)에 입사되고, 광이 측방으로 확산된다. 이것에 의해, 측방에 조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키고, 측방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diffusing member 55 of this embodiment is a prism diffusing lens whose thickness along the vehicle front-rear direction, that is, the propagation direction of light, becomes thicker as it deviates from the optical axis Ax2. As shown in Fig. 5A on this diffusion member 55, a fixing member (not shown) is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light is not incident on the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from the front (a state oriented in the 0° direction). It is fixed to the lamp body 14 or the support member 15 with the interposed there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tical axis Ax2 is changed to change the irradiation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5B, a part of the light is incident on the diffusion member 15, and the light is diffused laterally.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to the side and to further improve the side visibility.

다음에, 하단 광원 유닛(60)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단 광원 유닛(60)은 로우빔용 배광의 일부를 형성하는 광원 유닛이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다른 구성인 2개의 제5 및 제6 서브 유닛(70, 80)과 하나의 실린드리컬 렌즈(65)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제5 및 제6 서브 유닛(70, 80)은 지지 부재(15)의 최하단 설치부(15c)에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Next, the lower stage light source unit 60 will be described. The lower light source unit 60 is a light source unit that forms a part of light distribution for the low beam, and as shown in FIG. 1 , two fifth and sixth sub-units 70 and 80 and one cylinder having different configurations, respectively. A curl lens 65 is provided. These 5th and 6th sub-units 70 and 80 ar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lowermost installation part 15c of the support member 15, and are provided.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및 제6 서브 유닛(70, 80)은 베이스 부재(90)를 공통의 기체로서 갖고 있다.As shown in FIG. 6, the 5th and 6th sub-units 70 and 80 have the base member 90 as a common base|substrate.

제5 서브 유닛(70)은 베이스 부재(90) 상에 LED(72)를 배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제6 서브 유닛(80)은 베이스 부재(90) 상에 LED(82) 및 리플렉터(8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5 및 제6 서브 유닛(70, 80)의 차량 전후 방향 전방측에는 하나의 실린드리컬 렌즈(65)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실린드리컬 렌즈(65)는 양쪽 서브 유닛(70, 80)에 공유되는 투영용 렌즈로서 구성되어 있다.The fifth sub-unit 70 is constituted by disposing the LED 72 on the base member 90 , and the sixth sub-unit 80 is the LED 82 and the reflector ( 86) is provided. In addition, one cylindrical lens 65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fth and sixth sub-units 70 and 80 in the vehicle front-rear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i-cylindrical lens 65 is configured as a projection lens shared by both sub-units 70 and 80 .

베이스 부재(9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체부(90a)가 지지 부재(15)의 설치부(15c) 상에 배치되고, 기체부(90a)로부터 기립부(90b)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기립부(90b) 상측의 일부는 절취되어 단차부(90h)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단차부(90h)의 차량 전방측에 LED(72)가 적재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LED(72)에 의해 제5 서브 유닛(70)이 구성되어 있다.As for the base member 90, as shown in FIG. 7, the base part 90a extending in the vehicle front-back direction is arrange|positioned on the installation part 15c of the support member 15, and stands up from the base part 90a. The part 90b is installed upright. A part of the upper side of the standing portion 90b is cut off to form a stepped portion 90h, and the LED 72 is mounted on the vehicle front side of the stepped portion 90h. In this embodiment, the 5th sub-unit 70 is comprised by this LED72.

LED(72)는 LED(22)와 동일하게 백색 다이오드로서, 그 발광부(72a)가 차량 전후 방향 전방측을 향한 상태에서 단차부(90h) 상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발광부(72a)는 그 발광부 형상이나 전방에 조사되는 배광을 따라 다소 각도를 갖고 배치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The LED 72 is a white diode similar to the LED 22, and is fixedly disposed on the step portion 90h with the light emitting portion 72a facing the front side in the vehicle front-rear direction.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portion 72a may be configured so as to be arranged at a slight angle along the shape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or the distribution of light irradiated to the front.

실린드리컬 렌즈(65)는 LED(72)의 발광부(72a)에서 출사된 광을 차량 전방에 투영하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렌즈로서, 기체부(90a)의 차량 전방측 선단부(90c) 근방에서 베이스 부재(90)에 고정되어 있다. 실린드리컬 렌즈(65)는 1개의 초점선(L65)을 갖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초점선(L65)이 LED(22) 발광부(22a)의 하단 근방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투영 렌즈(24)에는 LED(22)의 발광부(22a)에서 출사된 광이 직접 입사되고, 입사된 광을 대략 평행한 광으로 하여 광축(Ax1)을 따라 전방으로 초점선(L65)에 대응하여 컷 오프 라인을 구비한 배광 패턴을 투영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제5 서브 유닛(70)은 직사형 프로젝터형 광원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The cylindrical lens 65 is a lens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for proj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72a of the LED 72 to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is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front end portion 90c of the body portion 90a. is fixed to the base member 90 . The cylindrical lens 65 has one focal line L65, and as shown in FIG. 7, this focal line L65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come near the lower end of the LED 22 light emitting part 22a. According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22a of the LED 22 is directly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24, and the incident light is mad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ocal line L65 forward along the optical axis Ax1. Correspondingly,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with a cut-off line is projected. That is, the fifth sub-unit 70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stitutes a direct projector type light source unit.

베이스 부재(90)의 차량 폭 방향 한쪽측에서는 기립부(90b)의 일부가 차량 후방측으로 꺾여 구부러지고, LED(82)와 리플렉터(86)를 적재 고정하는 적재부(90c)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제6 서브 유닛(80)이 제5 서브 유닛(70)에 인접하여 일체 형성되어 있다.On one side of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90, a part of the standing portion 90b is bent toward the vehicle rear side, and the loading portion 90c for loading and fixing the LED 82 and the reflector 86 is extended and installed. , thereby forming the sixth sub-unit 80 adjacent to the fifth sub-unit 70 and integrally formed therewith.

LED(82)는 LED(22)와 동일하게 백색 다이오드로서, 그 발광부(82a)가 대략 수직 상측을 향한 상태에서 적재부(90c)의 적재면(90e) 상에 적재되어 있다. 또한, 발광부(82a)는 그 발광부 형상이나 전방에 조사되는 배광을 따라 다소 각도를 갖고 배치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The LED 82 is a white diode similar to the LED 22, and is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90e of the mounting part 90c with the light emitting part 82a facing substantially vertically upward.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part 82a may be configured so as to be arranged at an angle somewhat along the shape of the light emitting part or the distribution of light irradiated to the front.

리플렉터(86)는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타원 형상을 갖고, 수평 단면 형상이 타원을 기준으로 한 자유 곡면인 반사면(86a)이 내측에 형성된 반사 부재이다. 리플렉터(86)는 그 제1 초점(P861)이 LED(82)의 발광부(82a) 근방이 되고, 그리고 그 제2 초점이 적재부(90c)의 적재면(90e)과 기립부(90b)의 전면(90f)이 이루는 능선(90g) 근방에 위치하도록 설계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적재부(90c)의 적재면(90e)과 기립부(90b)의 전면(90f)이 이루는 능선(90g) 근방에 실린드리컬 렌즈(65)의 초점선(L65)이 배치되도록 실린드리컬 렌즈(65) 사이의 위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The reflector 86 is a reflective member having a substantially elliptical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and a reflective surface 86a having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hape that is a free-form surface based on an ellipse formed therein. As for the reflector 86, its first focal point P861 is near the light emitting portion 82a of the LED 82, and its second focal point is the mounting surface 90e and the standing portion 90b of the mounting portion 90c. It is designed and arranged so as to b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ridge line 90g formed by the front surface 90f of the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cal line L65 of the cylindrical lens 65 is arranged in the vicinity of the ridge line 90g formed between the mounting surface 90e of the mounting portion 90c and the front surface 90f of the standing portion 90b.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ylindrical lenses 65 is set as much as possible.

따라서, LED(22)의 발광부(22a)로부터 출사된 광은 리플렉터(86)의 반사면(86a) 상에서 반사되고, 초점(L65) 근방을 통과하여 실린드리컬 렌즈(65)에 입사된다. 실린드리컬 렌즈(65)에 입사된 광은 수직 방향에서는 대략 평행한 광으로서 광축(Ax4)을 따라 전방에 투영된다.According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22a of the LED 22 is reflected on the reflective surface 86a of the reflector 86 , passes through the vicinity of the focal point L65 and is incident on the cylindrical lens 65 . The light incident on the cylindrical lens 65 is projected forward along the optical axis Ax4 as substantially parallel l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제6 서브 유닛(80)에서는 적재부(90c)의 적재면(90e)과 기립부(90b)의 전면(90f)이 이루는 능선(90g)을 경계선으로 하여, 일부광이 적재면(90e) 상에서 반사됨으로써, 광을 선택적으로 컷하여 차량 전방에 투영되는 배광 패턴에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리플렉터(86)의 반사면(86a) 상에서 반사되고, 또한 적재면(90e)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도 전방으로 유효광으로서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재면(90e)의 차량 전방측은 실린드리컬 렌즈(65)와 리플렉터(86)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반사 각도가 설정된 광학적 형상을 갖고 있다.Further, in the sixth sub-unit 80 , the ridge line 90g formed between the mounting surface 90e of the mounting portion 90c and the front surface 90f of the standing portion 90b is a boundary line, and partial light is emitted from the mounting surface 90e. ) by selectively cutting the light to form a cut-off line in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projected in front of the vehicl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art of the light reflected on the reflective surface 86a of the reflector 86 and also reflected by the mounting surface 90e is irradiated forward as effective light.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hicle front side of the mounting surface 90e has an optical shape in which the reflection angle is appropriate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ylindrical lens 65 and the reflector 86 .

한편,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폭 방향에 대해서는 리플렉터(86)의 반사면(86a)에서 반사된 광은 특히 진행 방향이 변화되지 않은 채로 확산된 상태에서 실린드리컬 렌즈(65)에 입사된다. 따라서, 차량 폭 방향에 대해서는 제6 서브 유닛(8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확산광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6 서브 유닛(80)은 반사형 프로젝터형 광원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9 ,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reflective surface 86a of the reflector 86 is transmitted to the cylindrical lens 65 in a diffused state without changing the traveling direction. are entered Accordingly,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sixth sub-unit 80 becomes the diffused light. In this way, the sixth sub-unit 80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stitutes a reflective projector type light source unit.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하단 광원 유닛(60)에서는 제5 서브 유닛(70)과 제6 서브 유닛(80)이 동일한 실린드리컬 렌즈(65)를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에 렌즈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서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렌즈 홀더, 기타 장착 부재 등의 장착 스페이스도 공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5 서브 유닛(70)과 제6서브 유닛(80)을 근접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하단 광원 유닛(60) 전체가 차지하는 스페이스를 줄여 하단 광원 유닛(60)을 소형화할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lower stage light source unit 6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fth sub-unit 70 and the sixth sub-unit 80 share the same cylindrical lens 65 . Accordingly,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each lens is provided, and the mounting space for the lens holder and other mounting members can also be shared, so that the fifth sub-unit 70 and the sixth sub-unit ( 80) can be placed in close proximity. Accordingly, the lower light source unit 60 can be miniaturized by reducing the space occupied by the entire lower light source unit 60 .

다음에,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전조등(10)에 의해 형성되는 기본적인 배광 패턴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전조등(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인 배광 패턴으로서 로우빔용의 배광 패턴(LP)과 하이빔용의 배광 패턴(HP)을 형성할 수 있다.Next, a basic light distribution pattern formed by the vehicle headlamp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headlamp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form a low-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LP and a high-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HP as basic light distribution patterns.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전조등(10)에 의해 형성된 로우빔용의 배광 패턴(LP)을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low 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LP formed by the vehicle headlamp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로우빔용 배광 패턴(LP)은 중단 광원 유닛(40) 및 하단 광원 유닛(60)을 점등시킴으로써 형성된다.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LP for the low beam is formed by turning on the middl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lower light source unit 60 .

구체적으로는 중단 광원 유닛(40)의 제3, 제4 서브 유닛(40a, 40b)이 점등됨으로써, 차량 정면 전방 H-V 선의 교점 근방이 좁은 제1 영역(D1)에 광이 조사된다. 이 제1 영역(D1)은 제3, 제4 서브 유닛(40a, 40b)에 형성된 능선(41g)에 대응하여 형성된 대략 Z 형상의 컷 오프 라인(CL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컷 오프 라인(CL1)의 하측 영역은 제1 영역(D1) 중에서도 광량이 높은 핫존(Hz)으로서 설정되어 있다.Specifically, as the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of the intermediate light source unit 40 are turned on, light is irradiated to the narrow first region D1 near the intersection of the H-V lines in front of the vehicle. The first region D1 includes a substantially Z-shaped cut-off line CL1 formed to correspond to the ridge line 41g formed in the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In addition, a region below the cut-off line CL1 is set as a hot zone (Hz) having a high light intensity among the first region D1 .

또한, 하단 광원 유닛(60)의 제5, 제6 서브 유닛(70, 80)이 점등됨으로써, 각각 제1 영역(D1)의 하측에 차량 폭방향(H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D2) 및 제3 영역(D3)이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as the fifth and sixth sub-units 70 and 80 of the lower light source unit 60 are turned on, the second region ( D2) and a third region D3 are respectively formed.

제5 서브 유닛(7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영역(D2)은 제1 영역(D1)과 일부 중복되도록 제1 영역(D1)의 하측 근방에 형성된다. 이 제2 영역(D2)의 상단에는 제5 서브 유닛(70)이 형성하는 컷 오프 라인(CL2)이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region D2 formed by the fifth sub-unit 70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egion D1 so as to partially overlap the first region D1 . A cut-off line CL2 formed by the fifth sub-unit 70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region D2 .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컷 오프 라인(CL21), 제1 영역(D1)의 컷 오프 라인(CL1)과 연속하도록 전방에 투영되도록 설정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t-off line CL21 and the cut-off line CL1 of the first region D1 are set so as to be projected forward.

또한, 제6 서브 유닛(80)에 의해 형성되는 제3 영역(D3)은 제2 영역(D2)과 일부 중복되도록 제2 영역(D2)의 하측에 형성된다. 제6 서브 유닛(80)은 반사형 프로젝터 광원 유닛이기 때문에, 리플렉터(86)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직사형 프로젝터 광원 유닛인 제5 서브 유닛(70)보다도 수직 방향으로 넓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6 서브 유닛(80)에 의해 보다 근거리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근거리 확산 영역으로서의 제3 영역(D3)을 형성하고, 제5 서브 유닛(70)에 의해 원거리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원거리 확산 영역으로서의 제2 영역(D2)을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third region D3 formed by the sixth sub-unit 80 is formed below the second region D2 to partially overlap the second region D2 . Since the sixth sub-unit 80 is a reflective projector light source unit, by adjusting the shape of the reflector 86, it is possible to irradiate light in a wider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fifth sub-unit 70, which is a direct projector light source unit. easy.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region D3 as a short-range diffusion region for improving near-field visibility is formed by the sixth sub-unit 80 , and the fifth sub-unit 70 to improve the long-distance visibility by the fifth sub-unit 70 . It is comprised so that the 2nd area|region D2 as a diffusion area|region may be formed.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단 광원 유닛(40) 및 하단 광원 유닛(60)이 형성하는 제1 영역(D1), 제2 영역(D2) 및 제3 영역(D3)을 조합하여 로우빔용의 배광 패턴(LP)을 형성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egion D1, the second region D2, and the third region D3 formed by the middl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lower stage light source unit 60 are combined to distribute light for the low beam. A pattern LP is formed.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전조등(10)에 의해 형성된 하이빔용 배광 패턴(HP)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howing a high 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HP formed by the vehicle headlamp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하이빔용 배광 패턴(HP)은 중단 광원 유닛(40) 및 하단 광원 유닛(60)을 점등시키는 동시에, 상단 광원 유닛(20)을 점등시킴으로써 형성된다.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HP for the high beam is formed by turning on the middl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lower light source unit 60 , and at the same time turning on the upper light source unit 20 .

구체적으로는 상단 광원 유닛(20)을 점등함으로써, 중단 광원 유닛(40) 및 하단 광원 유닛(6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영역(D1), 제2 영역(D2) 및 제3 영역(D3) 상에 제4 영역(D4)을 겹쳐 조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 영역(D4)은 H-V 선의 교점 근방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좌우로 넓어지는 배광 패턴이다. 하이빔용 배광 패턴(HP)에서는 제4 영역(D4)을 형성함으로써 전체의 광량을 업시켜 원방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있다.Specifically, by turning on the upper light source unit 20 , the first area D1 , the second area D2 , and the third area D3 formed by the middl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lower light source unit 60 ) It is comprised so that the 4th area|region D4 may be overlapped and irradiated on it. The fourth region D4 is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that expands verticall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vicinity of the intersection of the H-V lines. In the high 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HP, by forming the fourth region D4, the total amount of light is increased to improve far-field visibility.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이빔용 배광 패턴(HP) 형성시에는 중단 광원 유닛(40) 의 중단 서브 광원 유닛(40a, 40b)을 회동시키고, 광축(Ax2)을 각각 약간(05∼5°) 우측 방향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핫존(Hz)을 수평 방향 0°근방에 배치시킴으로써, 또한, 원방 시인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forming the high 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HP, the middle and middle sub light source units 40a and 40b of the middle and middle light source unit 40 are rotated, and the optical axis Ax2 is slightly (05 to 5°) to the right. By shifting in the direction, the hot zone (Hz)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0 degree vicinity, and it is comprised so that far visibility may be improved.

다음에,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중단 광원 유닛(40)의 제3, 제4 서브 유닛(40a, 40b)의 회동과, 배광 패턴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ion of the 3rd, 4th sub-unit 40a, 40b of the intermediate|middle light source unit 40 in this embodiment, and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12 and FIG.13.

도 12는 제3 서브 유닛(40a)와 배광 패턴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2a는 제3 서브 유닛(40a)[제4 서브 유닛(40b)의 경우도 동일]에 있어서 확산 부재(55)를 배치하지 않는 구성의 경우에 15°좌측 방향으로 회동시킨 경우의 모식적 수평 단면도로서, 도 12b는 그 배광 패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12c는 제3 서브 유닛(40a)에 있어서, 확산 부재(55)를 배치한 구성의 경우에 15°좌측 방향으로 회동시킨 경우의 모식적 수평 단면도로서, 도 12d는 그 배광 패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에서는 확산 부재(55)로서, 프리즘 확산 렌즈를 이용하고 있다.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rd sub-unit 40a and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Specifically, Fig. 12A is a schematic diagram when the third sub-unit 40a (the same is the case with the fourth sub-unit 40b) is rotated to the left by 15° in the cas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iffusion member 55 is not disposed. As a red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Fig. 12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thereof. 12C is a schematic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ird sub-unit 40a when the diffusion member 55 is rotated to the left by 15° in the case of the arrangement, and FIG. 12D shows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In Fig. 12, as the diffusion member 55, a prism diffusion lens is used.

도 12a와 도 12c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확산 부재(55)가 배치되어 있으면, 제3 서브 유닛(40a)이 회동한 상태에서는 광의 일부가 투영 렌즈(44)에 입사되기 직전에 확산 부재(55)에 입사되고, 광의 진행 방향이 회동측으로 구부러진다. 따라서, 투영 렌즈(44)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확산 부재(55)를 배치한 편이 보다 측방으로 확산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comparison of FIGS. 12A and 12C , when the diffusion member 55 is disposed, a part of the light is diffused immediately before being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44 when the third sub-unit 40a is rotated. It is incident on the member 55, an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ght is bent toward the rotation side. According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projection lens 44 is diffused laterally when the diffusion member 55 is disposed.

구체적인 배광 패턴을 비교하면, 도 12b에 도시하는 배광 패턴(D11)에서는 컷 오프 라인의 수직 상승 위치가 회동 각도와 동일하게 15°기울어져 있는 것에 대하여, 도 12d에 도시하는 배광 패턴(D12)에서는 컷 오프 라인의 수직 상승 위치가 회동 각도보다도 5°큰 20°기울어져 있다. 이것은 확산 부재(55)에 의해 광이 측방으로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결과로서, 배광 패턴 전체가 차량 폭 방향으로 확산되어 연장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Comparing the specific light distribution pattern, in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D11 shown in Fig. 12B, the vertical rising position of the cut-off line is inclined by 15 degrees equal to the rotation angle, whereas in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D12 shown in Fig. 12D, in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D12 shown in Fig. 12D. The vertical rising position of the cut-off line is inclined by 20°, which is 5° larger than the rotation angle. This is because the light is laterally diffused by the diffusion member 55 .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entire light distribution pattern is diffused and extend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도 13은 제3 서브 유닛(40a)과 배광 패턴의 관계를 나타내는 별도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3a는 제3 서브 유닛(40a)에 있어서 확산 부재(55)를 배치하지 않는 구성의 경우에 20°좌측 방향으로 회동시킨 경우의 모식적 수평 단면도로서, 도 13b는 그 배광 패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13c는 제3 서브 유닛(40a)에 있어서 확산 부재(55)를 배치한 구성의 경우에 20°좌측 방향으로 회동시킨 경우의 모식적 수평 단면도로서, 도 13d는 그 배광 패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에서는 확산 부재(55)로서, 리플렉터측에 복수 개의 실린드리컬 스텝(55a)이 형성된 스텝 확산 렌즈를 이용하고 있다.Fig. 13 is another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rd sub-unit 40a and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Specifically, Fig. 13A is a schematic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third sub-unit 40a is rotated to the left by 20° in the case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diffusion member 55 is not disposed, and Fig. 13B is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thereof.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13C is a schematic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diffusion member 55 is rotated to the left by 20° in the case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diffusion member 55 is disposed in the third sub-unit 40a, and FIG. 13D is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thereof It is a schematic diagram In Fig. 13, as the diffusion member 55, a step diffusion lens having a plurality of cylindrical steps 55a formed on the reflector side is used.

도 13a와 도 13c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확산 부재(55)가 배치되어 있으면, 제3 서브 유닛(40a)이 회동한 상태에서는 광의 일부가 투영 렌즈(44)에 입사되기 직전에 확산 부재(55)에 입사되고, 광의 진행 방향이 회동측으로 구부려진다. 따라서, 투영 렌즈(44)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확산 부재(55)를 배치한 편이 보다 측방으로 확산된다. 또한, 스텝 확산 렌즈를 확산 부재(55)로서 이용한 경우에는, 일부 광은 회동측과 역 방향으로도 구부려지고, 결과로서 좌우 쌍방으로 광이 확산된다.13A and 13C, when the diffusion member 55 is disposed, a part of the light is diffused immediately before being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44 when the third sub-unit 40a is rotated. It is incident on the member 55, an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ight is bent toward the rotation side. According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projection lens 44 is diffused laterally when the diffusion member 55 is disposed. In addition, when a step diffusion lens is used as the diffusion member 55, some light is also bent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side, and as a result, light is diffused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구체적인 배광 패턴을 비교하면, 도 13b에 도시하는 배광 패턴(D13)에서는 컷 오프 라인의 수직 상승 위치가 회동 각도와 동일하게 20°기울어져 있는 것에 대하여, 도 13d에 도시하는 배광 패턴(D14)에서는 컷 오프 라인의 수직 상승 위치가 회동 각도보다도 5°작은 15°기울어져 있다. 또한, 도 1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광 패턴(D14)은 좌측 35°정도에까지 크게 영역이 연장되어 있다. 이것은 확산 부재(55)에 의해 광이 좌우 쌍방으로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결과로서, 배광 패턴 전체가 차량 폭 방향으로 확산되어 연장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Comparing the specific light distribution pattern, in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D13 shown in Fig. 13B, the vertical rising position of the cut-off line is inclined by 20° equal to the rotation angle, whereas in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D14 shown in Fig. 13D, in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D14 shown in Fig. 13D. The vertical rising position of the cut-off line is inclined by 15°, which is 5° smaller than the rotation angle. Moreover, as shown in FIG. 13D, the area|region of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D14 largely extends to about 35 degrees to the left. This is because light is diffus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by the diffusion member 55 .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entire light distribution pattern is diffused and extend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이와 같이, 확산 부재(55)를 배치하면 광이 확산되기 때문에, 회동 각도 이상으로 배광 패턴을 측방으로 어긋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확산 부재(55)는 제3, 제4 서브 유닛(40a, 40b)의 회동량에 제한이 있는 배치라도 회동각 이상으로 광을 측방으로 확산 조사할 수 있다. 반대로, 배광 패턴의 변이량에 비하여 회동량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회동용 스페이스를 작게 하여 광원 유닛 전체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회동량이 작기 때문에, 제3, 제4 서브 유닛(40a, 40b)을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를 소형화할 수도 있다.In this way, when the diffusion member 55 is arranged, the light is diffused, so that it becomes possible to shift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laterally by more than the rotation angle. Therefore, the diffusion member 55 can diffuse and irradiate the light laterally at a rotation angle or more even if the rotation amount of the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is limited. Conversely, since the amount of rotation can be made small compared to the amount of variation of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the space for rotation can be made small and the entire light source unit can be made compact. Moreover, since the amount of rotation is small, the actuator which drives the 3rd, 4th subunit 40a, 40b can also be reduced in size.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확산 부재(55)를 반사형 제3, 제4 서브 유닛(40a, 40b)에 장착하는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제4 서브 유닛(40a, 40b)을 각각 직사형 광원 유닛(40c)으로 각각 치환하여 중단 광원 유닛(40)을 구성하여도 좋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diffusion member 55 is attached to the reflective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is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shown in FIG. 14, the third and third The intermediate light source unit 40 may be configured by replacing the four sub-units 40a and 40b with the direct light source unit 40c, respectively.

도 14는 직사형 광원 유닛에 확산 부재를 설치한 경우의 회동과 배광 패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4a, 14b는 각각 회동각이 0°인 경우의 광원 유닛과 배광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4c, 14d는 각각 회동각이 10°인 경우의 광원 유닛과 배광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4e, 14f는 각각 회동각이 20°인 경우의 광원 유닛과 배광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4g, 14h는 각각 회동각이 30°인 경우의 광원 유닛과 배광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4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otation a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when a diffusion member is provided in a direct-illumination light source unit, and FIGS. 14A and 14B are diagrams showing the light source unit and light distribution pattern when the rotation angle is 0°, respectively. 14C and 14D are views each showing a light source unit and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when the rotation angle is 10°, and FIGS. 14E and 14F are views each showing a light source unit and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when the rotation angle is 20°. 14G and 14H are views each showing a light source unit and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when the rotation angle is 30°.

직사형 광원 유닛(40c)은 도 7에 도시하는 제5 서브 유닛(7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투영 렌즈(44c)의 초점 근방에 LED의 발광부(42c)가 배치된 구성이다. 이 구성이라도 도 14c, 1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전체를 10°기울이면, 배광 패턴 전체가 좌측 10°측방으로 어긋나는 동시에 배광 패턴의 차량 폭 방향(수평 방향) 길이가 길어진다. 이 경향은 도 14e, 14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전체를 20°기울인 경우에는 더욱 커지며, 그리고 도 14g, 14h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0°정도가 되고, 확산 부재(55)가 광축(Ax)을 가로지를 때까지 연장되면, 좌측뿐만 아니라, 우측에도 배광 패턴이 연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The direct irradiating light source unit 40c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fth sub-unit 70 shown in FIG. 7 , in which the light emitting part 42c of the LED is arranged near the focal point of the projection lens 44c. Even in this configuration, if the entire unit is tilted by 10° as shown in FIGS. 14C and 14D, the entire light distribution pattern shifts to the left by 10°, and the length of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becomes longer. As shown in Figs. 14E and 14F, this tendency becomes larger when the entire unit is tilted by 20°, and becomes about 30° as shown in Figs. 14G and 14H, and the diffusion member 55 moves the optical axis Ax.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extends not only to the left but also to the right when it is extended until it crosses.

이와 같이, 직사형 광원 유닛에 있어서도 확산 부재(55)를 배치하면 광이 확산되기 때문에, 회동 각도 이상으로 배광 패턴을 측방으로 어긋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확산 부재(55)는 광원 유닛의 회동량에 제한이 있는 배치로서 회동각 이상으로 광을 측방으로 확산 조사할 수 있다. 반대로, 배광 패턴의 변이량에 비해서 회동량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회동용 스페이스를 작게 하여, 광원 유닛 전체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회동량이 작기 때문에, 광원 유닛을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In this way, even in the direct type light source unit, when the diffusion member 55 is disposed, the light is diffused, so that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can be shifted laterally by a rotation angle or more. Accordingly, the diffusion member 55 is an arrangement in which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is limited, and can diffuse and irradiate light laterally at a rotation angle or more. Conversely, since the amount of rotation can be made small compared to the amount of variation of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the space for rotation can be made small and the entire light source unit can be made compact. Further, since the amount of rotation is small, the actuator for driving the light source unit can be downsized.

다음에, 도 15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전조등(10)의 점소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5 , the dimming light of the vehicle headlamp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5는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전조등(10)과 그 점소등에 관련된 제어를 도시하는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전조등(10)의 점소등 제어는 점소등 컨트롤러(100)와, 이 점소등 컨트롤러(100)에 각종 신호를 출력하는 타각 센서(110), 차속 센서(120), 하이 로우 전환 스위치(130), 명암 센서(140), 레인 센서(150) 및 차고 센서(160)에 의해 행해진다. 이들은 전부 차량용 전조등(10)이 탑재된 차량에 동일하게 탑재되어 있다.Fig. 15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the headlamp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control related to the turn-off of the headlamp 10 for a vehicle. The turn-off control of the headlamp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urn-off controller 100, a steering angle sensor 110 that outputs various signals to the turn-off controller 100, a vehicle speed sensor 120, and high-low switching. This is done by the switch 130 , the contrast sensor 140 , the rain sensor 150 and the height sensor 160 . All of these are equally mounted in the vehicle on which the vehicle headlight 10 is mounted.

점소등 컨트롤러(100)는 전술한 각종 센서 및 스위치로부터의 출력을 기초로 차량용 전조등(10)의 각 광원 유닛(20, 40, 60) 각각의 점소등, 증광 및 감광을 제어하는 동시에, 중단 광원 유닛(40)에 대해서는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 각각의 회동각을 제어하고, 또한 레벨링용 모터(18)를 제어함으로써, 레벨링 조정을 행하는 제어 중추부이다. 점소등 컨트롤러(100)는 각 센서 및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주행 상황에 적응한 배광을 자동적으로 만들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용 전조등(10)을 이용하여, AFS(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 가변 전방 배광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다.The turn-off controller 100 controls turning off, increasing, and dimming of each light source unit 20 , 40 , 60 of the vehicle headlight 10 based on the outputs from the various sensors and switches described above, and at the same time, the interrupted light source About the unit 40, it is a control central part which controls the rotation angle of each of 3rd and 4th sub-unit 40a, 40b, and also controls the motor 18 for leveling, and performs leveling adjustment. The light-off controller 100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generate a light distribution adapted to the driving situation based on signals from each sensor and switch.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vehicle headlamp 10 is used to realize an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 (AFS).

다음에, 센서 및 스위치류로부터 설명한다. 타각 센서(110)는 차량의 선회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며, 예컨대 스티어링 조작을 검출하는 스티어링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타각 센서(110)의 검출 신호에 의해, 차량이 직진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Next, it demonstrates from sensors and switches. The steering angle sensor 110 is a sensor that detects a turning angle of the vehicle, and for example, a steering sensor that detects a steering operation may be used.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110,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is moving straight.

차속 센서(120)는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이 차속 센서(120)의 검출 신호에 의해, 차량의 속도를 판단하고, 차량이 일반 도로를 주행하고 있는지 또는 자동차 전용 도로 등의 고속 도로를 주행하고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The vehicle speed sensor 120 is a sensor that detects the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vehicle speed sensor 120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traveling on a general road or a highway such as an automobile-only road.

하이 로우 전환 스위치(130)는 하이빔과 로우빔을 전환하는 스위치로서, 차량을 운전하는 드라이버의 조작에 따라 전환된다.The high-low changeover switch 130 is a switch for switching between a high beam and a low beam, and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driver driving the vehicle.

명암 센서(140)는 차량 주위의 밝기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예컨대, 이 명암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차량이 어두운 시골 도로 등을 주행하고 있는지 또는 상대적으로 밝은 시가지를 주행하고 있는지 등을 판별할 수 있다.The contrast sensor 140 is a sensor that detects the brightness around the vehicle. For example, by using this contrast senso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traveling on a dark country road or the like or a relatively bright city area.

레인 센서(150)는 비가 내리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이 센서의 검출 신호에 의해, 차량이 우천 주행을 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The rain sensor 150 is a sensor that detects whether it is raining.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is sensor, it can be discriminated whether the vehicle is traveling in rain.

차고 센서(160)는 차량의 피치각 검출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고 센서(160)가 출력하는 출력 신호를 기초로, 점소등 컨트롤러(100)가 레벨링용 모터(18)를 제어하고, 오토 레벨링을 행한다.The vehicle height sensor 160 constitutes a part of the vehicle pitch angle detection means. In this embodiment, based on the output signal output by the vehicle height sensor 160, the light-off controller 100 controls the motor 18 for leveling, and performs auto-leveling.

본 실시 형태의 점소등 컨트롤러(100)는 이들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기초로 하이빔용의 배광을 형성하는 상단 광원 유닛(20)[제1 서브 유닛(20a) 및 제2 서브 유닛(20b)]과, 로우빔용의 집광 컷을 형성하는 중단 광원 유닛(40)[제3 서브 유닛(40a, 40b)]과, 원거리 확산광을 형성하는 하단 광원 유닛(60)의 제5 서브 유닛(70)과, 근거리 확산광을 형성하는 하단 광원 유닛(60)의 제6 서브 유닛(80)을 각각 독립적으로 점소등 제어하여, 상황에 따른 배광을 형성한다.The turn-off controller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upper stage light source unit 20 (first sub-unit 20a and second sub-unit 20b) that forms light distribution for high beams based on outputs from these sensors; , a middle light source unit 40 (third sub-units 40a, 40b) forming a condensing cut for a low beam, and a fifth sub-unit 70 of the lower end light source unit 60 forming a distant diffused light; Each of the sixth sub-units 80 of the lower light source unit 60 that forms the short-distance diffused light is controlled to turn on and off independently, thereby forming a light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도 16은 점소등 컨트롤러(100)에 의한 점소등 제어의 패턴을 나타내는 표이다.FIG. 16 is a table showing a pattern of turning on and off control by the turning on and off controller 100 .

우선, 점소등 컨트롤러(100)는 하이 로우 전환 스위치(130)가 로우로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단 광원 유닛(20)을 비점등으로 하고, 그 밖의 광원 유닛(40, 70, 80)을 점등함으로써, 도 10에 도시하는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한다.First, when the high-low switching switch 130 is selected as low, the turn-off controller 100 turns the upper light source unit 20 off and turns on the other light source units 40 , 70 , and 80 . , the low-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shown in FIG. 10 is formed.

또한, 점소등 컨트롤러(100)는 하이 로우 전환 스위치(130)가 하이로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더욱 상단 광원 유닛(20)을 점등함으로써, 로우빔 배광 패턴 상에 상단 광원 유닛(20)이 형성하는 배광 패턴을 중첩시킴으로써, 하이빔 배광을 형성한다. 이 때에는 또한, 중단 광원 유닛(40)의 제3 서브 유닛(40a)과 제4 서브 유닛(40b)을 우측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단 광원 유닛(4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영역(D1)을 H-V 선의 교점 부근에서 어긋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때, 또한, 점소등 컨트롤러(100)는 중단 광원 유닛(40)에의 공급 전력을 상승시키고, 각 서브 유닛(40a, 40b) 발광부(42a)의 발광량을 늘려 전방의 광량을 증광시키도록하여도 좋다.In addition, when the high-low changeover switch 130 is selected as high, the turn-off controller 100 further turns on the upper light source unit 20, so that the upper light source unit 20 is formed on the low 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overlapping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s, a high beam light distribution is formed. At this time, also, the third sub-unit 40a and the fourth sub-unit 40b of the intermediate light source unit 40 are rotated to the right, and as shown in FIG. 11 , formed by the intermediate light source unit 40 The first region D1 may be shifted near the intersection of the HV lines. In addition, at this time, also, the turn-off controller 100 increases the power supplied to the intermediate light source unit 40 and increases the amount of light emitted by the light-emitting unit 42a of each sub-unit 40a, 40b to increase the amount of light in front. It may also be listed.

다음에, 도 17, 18을 참조하면서, 로우빔 배광에 있어서 실현되는 가변 전방 배광 시스템(AFS)에 있어서의 각종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은 각각 AFS에 있어서의 배광 패턴의 실현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Next, various modes in the variable front light distribution system (AFS) realized in the low beam light distribu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and 18 . 17 and 18 are schematic diagrams each showing an example of realization of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in AFS.

우선, 커브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점소등 컨트롤러(100)가 로우빔 점등중에 있어서 타각 센서(110) 및 차속센서(12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예컨대 차량이 소정의 속도로 타각이 소정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차량이 커브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에는 점소등 컨트롤러(100)는 커브 모드에 기초하는 배광 패턴을 실현한다.First, the curve mode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signals from the steering angle sensor 110 and the vehicle speed sensor 120 while the turn-off controller 100 is turning on the low beam,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has a steering angl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peed at a predetermined speed, the vehicle moves to a curve. judged to have been reached. In this case, the light-off controller 100 realizes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based on the curve mode.

구체적으로는 커브 모드에서는 점소등 컨트롤러(100)는 기본이 되는 로우빔 배광과 동일하게 상단 광원 유닛(20)은 비점등의 상태로 하고, 그 밖의 광원 유닛(40, 70, 80)을 점등한다. 이 때, 점소등 컨트롤러(100)는 중단 광원 유닛(40)의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을 각각 좌우 역방향으로 약 20°회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1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에 조사되어 있었던 제1 영역(D1)이 2개로 나뉘어 각각 좌우 방향에 조사된다. 이것에 의해, 커브시의 좌우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커브 모드에 있어서는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을 동일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타각 센서(110) 및 차속 센서(12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의 회동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Specifically, in the curve mode, the light source unit 20 is turned off and the other light source units 40, 70, 80 are turned on in the same way as the basic low-beam light distribution. . At this time, the turn-off controller 100 rotates the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of the intermediate light source unit 40 in the left and right reverse directions by about 20°, respectively. Thereby, as shown in FIG. 17A, the 1st area|region D1 irradiated at the center is divided into two, and is irradiated to the left-right direction, respectively. Thereby, the left-right visibility at the time of a curve improves. Further, in the curve mode, the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may be configured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may be configured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 to signals from the steering angle sensor 110 and the vehicle speed sensor 120 . You may comprise so that the rotation angle of 4 subunit 40a, 40b may be changed.

다음에, 타운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점소등 컨트롤러(100)가 로우빔 점등중에 있어서 차속 센서(120) 및 명암 센서(14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예컨대 소정의 밝기 영역을 소정의 속도 이하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차량이 시가지를 주행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에는 점소등 컨트롤러(100)는 타운 모드에 기초하는 배광 패턴을 실현한다. 여기서, 타운 모드란, 보행자가 보도 등을 걷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시가지에서의 주행에 적합한 배광 패턴을 의미한다.Next, the town mode will be described. When the light-off controller 100 is driving in a predetermined brightness area at a predetermined speed or less based on signals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120 and the light/dark sensor 140 while the low beam is on, for example, the vehicle moves through the city. Assume you are driving In this case, the light-off controller 100 realizes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based on the town mode. Here, the town mode means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suitable for driving in an urban area where a pedestrian is likely to be walking on a sidewalk or the like.

구체적으로는 타운 모드에서는 점소등 컨트롤러(100)는 기본이 되는 로우빔 배광과 동일하게 상단 광원 유닛(20)은 비점등인 상태로 하고, 그 밖의 광원 유닛(40, 70, 80)을 점등한다. 이 때, 점소등 컨트롤러(100)는 중단 광원 유닛(40)의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을 각각 좌우 역방향으로 약 45°회동시켜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에 조사되어 있던 제1 영역(D1)이 2개로 나뉘어 각각 좌우 측방에 조사된다. 이것에 의해, 노변 등에 광이 적극적으로 조사되고, 예컨대 노변을 보행하고 있는 보행자의 시인성이 향상된다.Specifically, in the town mode, the turn-off controller 100 sets the upper light source unit 20 in a non-illuminating state as in the basic low-beam light distribution, and turns on the other light source units 40 , 70 , 80 . . At this time, the light-off controller 100 rotates the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of the intermediate light source unit 40 in the left and right reverse directions by about 45° to fix them. Thereby, as shown in FIG. 17B, the 1st area|region D1 irradiated in the center is divided into two, and is irradiated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Thereby, light is actively irradiated to a roadside etc., and the visibility of a pedestrian walking along a roadside improves, for example.

또한, 타운 모드에서는 별도의 배광 패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도 1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좌측으로 만 20°이상 중단 광원 유닛(40)의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을 각각 회동시키고, 확산 부재(55)에 의해 광을 노변측으로 확산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노변 등에 광이 적극적으로 조사되며, 예컨대 노변을 보행하고 있는 보행자의 시인성이 향상된다.In the town mode, as shown in FIG. 17C a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parate light distribution pattern, for example, the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of the light source unit 40 are respectively rotated to the left by 20° or more to the left. and the light may be diffused toward the roadside by the diffusion member 55 . Even in this case, light is actively irradiated to the roadside or the like, and, for example, the visibility of pedestrians walking along the roadside is improved.

다음에, 모터 웨이(motorway)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점소등 컨트롤러(100)가 로우빔 점등중에 있어서 차속센서(12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예컨대 차량이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동차 전용 도로를 주행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에는 점소등 컨트롤러(100)는 모터 웨이 모드에 기초하는 배광 패턴을 실현한다. 여기서, 모터 웨이 모드란, 보행자가 없는 자동차 전용 도로에서의 주행에 적합한 배광 패턴을 의미한다.Next, a motorway mode will be described.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t a predetermined speed or higher based on a signal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120 while the low-beam is turned on, the light-off 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traveling on a dedicated vehicle road. In this case, the light-off controller 100 realizes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based on the motor way mode. Here, the motor way mode means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suitable for driving on an exclusive road for vehicles without pedestrians.

구체적으로는 모터 웨이 모드에서는 점소등 컨트롤러(100)는 기본이 되는 로우빔 배광과 동일하게 상단 광원 유닛(20)은 비점등인 상태로 하고, 그 밖의 광원 유닛(40, 70, 80)을 점등한다. 이 때, 점소등 컨트롤러(100)는 레벨링용 모터(18)를 동작시키고, 예컨대 지지 부재(15)마다 모든 광원 유닛(20, 40, 60)을 상향으로 각도 변위(예로서 034°, 01°∼05°정도의 범위)시킨다[도 17d 참조] 이것에 의해, H선 부근의 광이 강해지며 원방 시인성이 향상된다.Specifically, in the motor way mode, the light-off controller 100 sets the upper light source unit 20 in a non-lighting state as in the basic low-beam light distribution, and turns on the other light source units 40 , 70 , 80 . do. At this time, the turn-off controller 100 operates the leveling motor 18, for example, for each support member 15, all light source units 20, 40, 60 upward angular displacement (eg 034°, 01°) ~05°) (see Fig. 17D), the light in the vicinity of the H-line becomes stronger and the far-field visibility is improved.

또한, 모터 웨이 모드에서는 또한, 점소등 컨트롤러(100)는 중단 광원 유닛(40) 및 원거리 확산용 제5 서브 유닛(70)에의 공급 전력을 상승시키고, 각 유닛(40, 70)으로부터의 발광량을 늘려, 전방의 광량을 증광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때에는 또한, 근거리 확산용 제6 서브 유닛(80)에의 공급 전력을 저하시키고, 제6 서브 유닛으로부터의 발광량을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차량 전방에 조사되는 광량이 저하하고, H선 근방에 조사되는 광이 상대적으로 강조되며, 또한 원거리 시인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in the motor way mode, the turn-off controller 100 increases the power supplied to the intermediat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fifth sub-unit 70 for long-distance diffusion, and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each unit 40 and 70 is reduced. It may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amount of light in the front. In this case, it is also preferable to reduce the power supplied to the sixth sub-unit 80 for short-range diffusion and reduce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sixth sub-unit. Thereby,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to the front of the vehicle decreases, the light irradiated near the H-line is relatively emphasized, and long-distance visibility is improved.

다음에, 레인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점소등 컨트롤러(100)가 로우빔 점등중에 있어서, 예컨대 차속 센서(120) 및 레인 센서(15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예컨대 소정의 속도로 주행 중에 비가 내린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점소등 컨트롤러(100)는 레인 모드에 기초하는 배광 패턴을 실현한다. 여기서, 레인 모드란, 우천시에 있어서의 시인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 배광 패턴을 의미한다.Next, the lane mode will be described. When the light-off 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it is raining while driving at a predetermined speed, for example, based on signals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120 and the rain sensor 150 while the low beam is on, the light-off controller 100 realizes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based on the lane mode. Here, the rain mode means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visibility in rainy weather.

구체적으로 레인 모드에서는 점소등 컨트롤러(100)는 기본이 되는 로우빔 배광과 동일하게, 상단 광원 유닛(20)은 비점등인 상태로 하고, 그 밖의 광원 유닛(40, 70, 80)을 점등한다. 이 때, 점소등 컨트롤러(100)는 레벨링용 모터(18)를 동작시키고, 예컨대 지지 부재(15)마다 모든 광원 유닛(20, 40, 60)을 상향으로 각도 변위(예로서 034°, 01°∼05°정도의 범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H선 부근의 광이 강해지며, 원방 시인성이 향상된다.Specifically, in the rain mode, the light-off controller 100 sets the upper light source unit 20 to a non-lighting state and turns on the other light source units 40 , 70 , 80 in the same manner as the basic low-beam light distribution. . At this time, the turn-off controller 100 operates the leveling motor 18, for example, for each support member 15, all light source units 20, 40, 60 upward angular displacement (eg 034°, 01°) ~05° range). Thereby, the light of H-line vicinity becomes strong, and far-field visibility improves.

또한, 레인 모드에서는 또한, 점소등 컨트롤러(100)는 중단 광원 유닛(40) 및 원거리 확산용 제5 서브 유닛(70)에의 공급 전력을 상승시키고, 각 유닛(40, 70)으로부터의 발광량을 늘려 전방의 광량을 증광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때에는 또한, 근거리 확산용 제6 서브 유닛(80)에의 공급 전력을 저하시키고, 제6 서브 유닛으로부터의 발광량을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차량 바로 전측에 조사되는 광량이 저하하고, H선 근방에 조사되는 광이 상대적으로 강조되며, 또한 원거리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우천시에는 차량 바로 전측(12)에 조사된 광이 노면 상에서 난반사되어 시인성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지만, 이와 같이 광량을 저하시킴으로써, 난반사되는 광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옵션으로서, 도 1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6 서브 유닛(80)을 비점등으로 하여 제3 영역(D3)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난반사를 억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e lane mode, the turn-off controller 100 increases the power supplied to the intermediat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fifth sub-unit 70 for long-distance diffusion, and increases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each unit 40 , 70 , The amount of light in the front may be increased. In this case, it is also preferable to reduce the power supplied to the sixth sub-unit 80 for short-range diffusion and reduce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sixth sub-unit. Thereby,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to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is reduced, the light irradiated in the vicinity of the H-line is relatively emphasized, and long-distance visibility is improv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rain, light irradiated to the front side 12 of the vehicle may be diffusely reflected on the road surface to deteriorate visibility. Further, as an option, as shown in Fig. 18A, the sixth sub-unit 80 may not be lit so that the third region D3 is not formed, and diffuse reflection may be more actively suppressed.

또한, 레인 모드에서는 또한, 전소등 컨트롤러(100)는 제3 서브 유닛(40a)과 제4 서브 유닛(40b) 중 차량 진행방향 우측에 위치하는 광원 유닛에의 전력 공급을 증가시켜 광량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좌측 방향으로 8∼15°회동시키고, 그리고 제3 서브 유닛(40a)과 제4 서브 유닛(40b) 중 차량 진행 방향 좌측에 위치하는 광원 유닛은 증광만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영역(D1)의 영역이 좌측방으로 어긋나 측방의 시인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ain mode, the all-light controller 100 increases the amount of light by increasing the power supply to the light source unit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among the third sub-unit 40a and the fourth sub-unit 40b. At the same time, it may be rotated by 8 to 15° in the left direction, and the light source unit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third sub-unit 40a and the fourth sub-unit 40b in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may be configured to only increase light.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8B, the area|region of the 1st area|region D1 shifts leftward, and the visibility of the side can be improved simultaneously.

또한, 레인 모드에서는 도 18b와 같이 구성하는 대신에, 제3 서브 유닛(40a)과 제4 서브 유닛(40b) 중 차량 진행 방향 우측에 위치하는 광원 유닛에의 전력 공급을 증가시켜 광량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좌측 방향으로 20°이상 회동시켜 확산 부재(55)에 의해 적극적으로 좌측 방향으로 광을 확산시키고, 그리고 제3 서브 유닛(40a)과 제4 서브 유닛(40b) 중 차량 진행 방향 좌측에 위치하는 광원 유닛은 증광만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경우, 도 1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영역(D1)의 영역이 좌측방으로 확산된 상태에서 더욱 어긋나 측방의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ain mode, instead of configuring as shown in FIG. 18B , the light quantity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power supply to the light source unit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among the third sub-unit 40a and the fourth sub-unit 40b. At the same time, the light is actively diffused in the left direction by the diffusion member 55 by rotating it by 20° or more in the left direction, and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third sub-unit 40a and the fourth sub-unit 40b in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The light source unit may be configured to only increase light.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8C , in the state in which the region of the first region D1 is diffused to the left, it is further shifted, and the lateral visi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전조등(10)은 광원으로서의 발광부와, 발광부로부터 광을 광축을 따라 조사하는 투영 렌즈, 리플렉터 등의 광학부재를 각각 구비한 복수 개의 광원 유닛으로서 상단 광원 유닛(20), 중단 광원 유닛(40), 하단 광원 유닛(60)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상단 광원 유닛(20), 중단 광원 유닛(40), 하단 광원 유닛(60)은 지지 부재(15)를 사이에 두고 등체인 램프 보디(14)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 광원 유닛(20, 40, 60)으로부터의 광이 중첩되어 차량 전방에 로우빔 배광 패턴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들 복수 개의 광원 유닛(20, 40, 60) 중 적어도 하나인 중단 광원 유닛(40)은 상기 광축을 다른 광원 유닛(20, 60)과는 독립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램프 보디(14)에 지지된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이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headlamp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each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as a light source, and an optical member such as a projection lens and a reflector that irradiates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long an optical axis along an optical axis. The unit 20, the middl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lower end light source unit 60 are provided. The upper light source unit 20, the middle light source unit 40, and the lower light source unit 60 are installed in the lamp body 14 which is a lamp body 14 with the support member 15 interposed therebetween, and each light source unit 20, 40, 60) overlapped to form a low-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in front of the vehicle. Here, the intermediate light source unit 40, which i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20, 40, 60, is attached to the lamp body 14 so as to change the optical axis independently of the other light source units 20, 60. It is a supported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따라서, 중단 광원 유닛(40)의 광축을 적절하게 변화시키고, 조사 영역을 변경함으로써, 여러 가지 상황에 있어서, 최적의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로우빔 배광 패턴을 변화시키는데 있어서, 최대로 겨우 4개의 발광부를 제어할 뿐이기 때문에, 광원의 수를 필요 이상으로 늘리지 않고 여러 가지 배광 패턴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발광부를 구비한 광원 유닛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차량용 전조등을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발광부의 수를 종래에 비해서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ly,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optical axis of the interrupted light source unit 40 and changing the irradiation area, it is possible to form an optimal low-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in various situations. Further, in changing the low-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since only four light emitting units are controlled at the maximum, various light distribution patterns can be realized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light sources more than necessary. Further,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light source unit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the headlamp for a vehicle can be downsized, and the number of light emitting units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인 중단 광원 유닛(40)은 로우빔 배광 패턴에 경사진 컷 오프 라인을 구비한 집광 영역을 형성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집광 영역의 조사 위치를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필요한 개소에 집중적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커브 모드, 타운모드, 모터 웨이 모드 또는 레인 모드라는 여러 가지 상황에 따른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a specific configuration, the intermediate light source unit 40, which is a variable optical axis light source unit, may form a condensing area having an inclined cut-off line in the low-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irradiation position of such a light-converging area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light can be intensively irradiated to a necessary location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various situations such as a curve mode, a town mode, a motor way mode, or a lane mode It becomes possible to form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according to

또한,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인 중단 광원 유닛(40)은 광축을 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집광 영역의 위치를 차량 전방 중앙과 차량 전방 측방 사이에서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차량 전방 중앙부에 광을 집중시키거나, 차량 전방측의 측방부에 광을 집중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축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광원 유닛(40)[실시 형태에서는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을 전체로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복잡한 기구가 필요 없고, 필요 이상으로 부품 개수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Further, the intermediate light source unit 40, which is an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light-converging area between the vehicle front center and the vehicle front side by moving the optical axis in an approximately horizontal direction. By configuring in this way, it becomes possible to focus the light on the vehicle front center portion or on the side portions on the vehicle front side as needed. In addition, in order to move the optical ax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sufficient only to rotate the light source unit 40 (the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in the embodiment) as a whole. This can suppres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또한,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인 중단 광원 유닛(40)은 2개의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으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light source unit 40, which is an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is composed of two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학 부재로서 투영 렌즈(44c)를 각각 구비하고, 투영 렌즈(44c)의 초점 근방에 광원으로서 발광부(42c)가 배치되며, 발광부(42c)로부터의 직접광이 전방에 조사되는 직사형 광원 유닛으로 할 수 있다. 직사형 광원 유닛으로서 구성함으로써, 리플렉터를 생략할 수 있고, 또한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직사형 광원 유닛으로 한 경우에는 극히 좁은 영역에 광을 용이하게 집중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떤 좁은 영역에 핀 포인트로 광을 조사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3rd and 4th sub-units 40a, 40b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the projection lens 44c as an optical member, and the light emitting part 42c as a light source in the focus vicinity of the projection lens 44c. is disposed, and the direct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42c can be irradiated to the front. By configuring it as a direct irradiating light source unit, the reflector can be omitted and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made small.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easily concentrate light in an extremely narrow area in the case of a direct-illumination light source unit, it can be suitably used in the case of pinpoint irradiating light to a certain narrow area.

또한,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은 도 4, 5, 12,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학 부재로서 투영 렌즈(44)와 발광부(42a)로부터의 광을 투영 렌즈(44)의 초점 근방을 향해서 반사하는 리플렉터(46)를 구비하고, 리플렉터(46)로부터의 반사광이 전방에 조사되는 반사형 광원 유닛으로 할 수 있다. 반사형 광원 유닛으로서 구성하면, 리플렉터가 필요해지며, 어느 정도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지만, 리플렉터(46)의 반사면(46a)을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용이하게 광의 제어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로 되는 영역에 적절한 광량의 광을 용이하게 집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 5, 12, and 13, the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transmit the light from the projection lens 44 and the light emitting unit 42a as optical members to the projection lens ( It can be set as a reflection type light source unit which is provided with the reflector 46 which reflects toward the focus vicinity of 44, and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reflector 46 is irradiated to the front. When configured as a reflective light source unit, a reflector is required and it is necessary to secure a certain amount of installation space. , it is possible to easily focus light of an appropriate amount of light on a required area.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인 중단 광원 유닛(40)의 제3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에는 투영 렌즈(44)와 발광부(42a) 사이에 발광부(42a)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 부재(5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확산 부재(55)에는 제3 및 제4 서브 유닛(40a, 40b)이 회동하고, 광축이 차량 전방 중앙에 광을 조사 하는 위치로부터 차량 전방 측방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이동하였을 때에 광이 입사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시에만 확산 부재(55)에 의해 광이 확산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of the intermediate light source unit 40, which are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s, are provided between the projection lens 44 and the light-emitting unit 42a from the light-emitting unit 42a. Diffusion members 55 for diffusing the emitted light are provided respectively. The light is incident on the diffusion member 55 when the third and fourth sub-units 40a and 40b rotate and the optical axis moves from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front center of the vehicle to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Since it is provided in a position, the light is diffused by the diffusion member 55 only when it is rotated.

따라서, 명확한 컷 오프 라인이 필요로 되는 중앙 영역에 조사될 때에는 확산 부재(55)가 광의 전파를 방해하지 않고, 그다지 명확한 컷 오프 라인이 필요 없는 측방 영역에 조사될 때에는 그 조사 영역을 회동 각도 이상으로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측방의 넓은 영역에 걸쳐 광을 비출 수 있는 측방 시인성이 높은 차량용 전조등으로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irradiated to a central region requiring a clear cut-off line, the diffusion member 55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ropagation of light, and when irradiated to a lateral region that does not require a very clear cut-off line, the irradiated area is rotated at a rotation angle or more. It is possible to widen the Therefore, it can be set as the headlamp for a vehicle with high lateral visibility which can illuminate light over a wide area on the side.

확산 부재(55)로서는 광의 전파 방향에 따른 두께가 광축으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두꺼워지는 프리즘 확산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프리즘 확산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그 조사 영역을 회동 각도 이상으로 넓히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차량의 측방 시인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As the diffusion member 55, a prism diffusion lens whose thickness along the propagation direction of light becomes thicker as it deviates from the optical axis may be used. By using the prism diffusion lens, it becomes possible to widen the irradiation area beyond the rotation angle, so that it becomes possible to increase the lateral visibility of the vehicl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확산 부재(55)로서는 복수 개의 스텝이 형성된 스텝 확산 렌즈를 사용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as the diffusion member 55, a step diffusion lens in which a plurality of steps are formed can also be used.

스텝 확산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그 조사 영역을 좌우 쌍방에 걸쳐 넓힐 수 있기 때문에, 광범한 영역에 걸쳐서 구석구석까지 광을 조사하여 차량의 측방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프리즘 확산 렌즈와 스텝 확산 렌즈는 설계자가 의도하는 확산 패턴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그 밖의 확산 패턴을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밖의 확산용 렌즈, 또는 다른 종류의 확산 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By using the step diffusion lens, the irradiation area can be widen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so that light can be irradiated to every corner over a wide area to increase the lateral visibility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prism diffusion lens and the step diffusion lens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diffusion pattern intended by the designer, and when it is desired to obtain other diffusion patterns, other diffusion lenses or other types of diffusion members are used. may do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 개의 광원 유닛(20, 40, 60) 중 광원 유닛(6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초점선을 갖는 실린드리컬 렌즈(65)와, 실린드리컬 렌즈(65)에 광을 입사하는 제5 서브 유닛(제1 서브 유닛)(70)과, 제6 서브 유닛(제2 서브 유닛)(8)을 구비하고 있다. 제5 서브 유닛(70)은 실린드리컬 렌즈(65)의 초점선 근방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발광부(72a)(제1 발광 소자)를 갖고, 실린드리컬 렌즈(65)를 통해 광을 전방에 조사하는 직사형 서브 유닛이다. 그리고, 제6 서브 유닛(80)은 광을 출사하는 발광부(제2 발광 소자)(82a)와, 발광부(82a)로부터의 광을 실린드리컬 렌즈(65)의 초점선 근방을 향하여 반사하는 리플렉터(86)를 갖고, 실린드리컬 렌즈(65)를 통해 광을 전방에 조사하는 반사형 서브 유닛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source unit 60 among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20 , 40 , 60 includes a cylindrical lens 65 having a focal lin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ylindrical lens 65 . The 5th sub-unit (1st sub-unit) 70 which injects light and the 6th sub-unit (2nd sub-unit) 8 are provided. The fifth sub unit 70 has a light emitting portion 72a (first light emitting element) that emits light toward the vicinity of the focal line of the cylindrical lens 65 , and emits light through the cylindrical lens 65 . It is a direct-rayed sub-unit that irradiates forward. Then, the sixth sub-unit 80 reflects the light emitting unit (second light emitting element) 82a that emits light and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82a toward the vicinity of the focal line of the cylindrical lens 65 . It is a reflective sub-unit that has a reflector 86 that irradiates light forward through a cylindrical lens 65.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5 서브 유닛(70)과 제6 서브 유닛(80)이 하나의 실린드리컬 렌즈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에 다른 렌즈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서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렌즈 홀더, 기타 장착 부재 등의 장착 스페이스도 공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5 서브 유닛(70)과 제6 서브 유닛(80)을 근접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하단 광원 유닛(60) 전체가 차지하는 스페이스를 줄여 하단 광원 유닛(60)을 소형화 할 수 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ifth sub-unit 70 and the sixth sub-unit 80 share one cylindrical lens,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different lenses are provided in each. At the same time, since the mounting space for the lens holder and other mounting members can also be shared, it becomes possible to arrange the fifth sub-unit 70 and the sixth sub-unit 80 close to each oth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pace occupied by the entire lower light source unit 60 to reduce the size of the lower light source unit 60 .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린드리컬 렌즈(65)를 통해 제6 서브 유닛(80) 으로부터 전방에 투영되는 배광 영역(D3)은 실린드리컬 렌즈(65)를 통해 제5 서브 유닛(70)으로부터 전방에 투영되는 배광 영역(D2)보다도 수직 방향의 확산이 크다. 이것은 주로 직사형과 반사형의 차이에 의한 것이며, 하나의 실린드리컬 렌즈를 이용한 경우에도 여러 가지 배광 패턴을 실현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distribution area D3 projected forward from the sixth sub-unit 80 through the cylindrical lens 65 is transmitted from the fifth sub-unit 70 through the cylindrical lens 65 . The diffu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light distribution area D2 projected forward. This is mainly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rect type and the reflection type, and even when a single cylindrical lens is used, various light distribution patterns can be realiz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발광부(72a, 82a)는 동일한 베이스 부재(기판)(90) 상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부착시에는 하나의 베이스 부재(90)에 2개의 발광부(72a, 82a)를 위치 결정하여 다른 부재와 조합하면 좋기 때문에, 부착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2개의 발광부의 위치 정밀도를 1개의 베이스 부재(90)를 기준으로 하여 높일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two light-emitting parts 72a, 82a are arrange|positioned on the same base member (substrate) 90. As shown in FIG. Therefore, at the time of attachment, it is sufficient to position the two light emitting parts 72a and 82a on one base member 90 and combine them with another member. It may be raised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90 of the dog.

또한, 발광부(72a)는 실린드리컬 렌즈(65)의 초점선 근방으로서, 초점선보다도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실린드리컬 렌즈(65)를 통해 전방에 투영된 광은 컷 오프 라인을 구비할 수 있고, 예컨대 명확한 명암 경계가 필요로 되는 H선 근방의 수평 라인의 일부를 구성하는 확산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part 72a is near the focal line of the cylindrical lens 65, and is arrange|positioned above the focal line. Thus, the light projected forward through the cylindrical lens 65 may have a cut-off line, forming a diffusion region constituting a part of a horizontal line near the H line, for example, where a clear contrast boundary is required. thing becomes possible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차량용 전조등(10)은 하이빔 및 로우빔을 겸용할 수 있는 차량용 전조등으로서 설명을 행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상단 광원 유닛(20)을 없애고, 중단 광원 유닛(40)과 하단 광원 유닛(60)만을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로우빔 전용의 차량용 전조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주된 작용 효과는 하이빔 및 로우빔을 겸용할 수 있는 경우와 동일하다.Further,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vehicle headlamp 10 has been described as a vehicle headlamp capable of both high and low beam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upper light source unit 20 is eliminated and the intermediate light source unit 40 ) and the lower stage light source unit 60,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low-beam dedicated vehicle headlight. Even in this case, the main operational effects are the same as in the case where both the high beam and the low beam can be used.

10 : 차량용 전조등
10a : 등실
12 : 투광 커버
14 : 램프 보디(등체)
15 : 지지 부재
17 : 지지 기구
18 : 레벨링용 모터
16 : 익스텐션
20 : 상단 광원 유닛
20A, 20B : 제1 및 제2 서브 유닛
40 : 중단 광원 유닛
40A, 40B : 제3 및 제4 서브 유닛
55 : 확산 부재
60 : 하단 광원 유닛
70, 80 : 제5 및 제6 서브 유닛
10: headlights for vehicles
10a: lighthouse
12: flood cover
14: lamp body (back body)
15: support member
17: support mechanism
18: motor for leveling
16: extension
20: upper light source unit
20A, 20B: first and second sub-units
40: Interrupted light source unit
40A, 40B: the third and fourth sub-units
55: no diffusion
60: lower light source unit
70, 80: fifth and sixth sub-units

Claims (8)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을 광축을 따라 조사하는 광학 부재를 각각 구비한 복수 개의 광원 유닛과,
상기 복수 개의 광원 유닛을 지지하는 등체를 구비하고, 각 광원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중첩시켜 차량 전방에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전조등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광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축을 다른 광원 유닛과는 독립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등체에 지지된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이며,
상기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은 상기 광학 부재로서 투영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은, 상기 광축이 수평면 내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등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광축 가변 광원 유닛에서는 상기 투영 렌즈와 상기 광원 사이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 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이 회동하고, 상기 광축이 차량 전방 중앙으로 광을 조사하는 위치로부터 차량 전방 측방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확산 부재에 의해 광이 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each having a light source and an optical member for irradiating light from the light source along an optical axis;
A headlamp for a vehicle having a light body supporting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and superimposing light from each light source unit to form a low-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in front of the vehicl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is an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supported on the body so that the optical axis can be changed independently of other light source units,
The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projection lens as the optical member,
The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body so that the optical axis moves along a horizontal plane,
In the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a diffusion member for diffu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provided between the projection lens and the light source,
The vehicle head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is diffused by the diffusion member when the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rotates and the optical axis moves from a position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front center of the vehicle to irradiating light to the side in front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은 상기 로우빔 배광 패턴에 경사진 컷 오프 라인을 구비한 집광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The head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forms a condensing area having an inclined cut-off line in the low-beam light distribution patter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은 상기 광축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집광 영역의 위치를 차량 전방 중앙과 차량 전방 측방 사이에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The vehicle headlamp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light collecting area between a vehicle front center and a vehicle front side by moving the optical axis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렌즈의 초점 근방에 상기 광원이 배치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직접광이 전방에 조사되는 직사형 광원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The head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source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a focal point of the projection lens, and is a direct light source unit irradiated forward with direct light from the light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은 상기 광학 부재로서 상기 투영 렌즈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투영 렌즈의 초점 근방을 향해서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구비하고, 상기 리플렉터로부터의 반사광이 전방에 조사되는 반사형의 광원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The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s the optical member, a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light from the projection lens and the light source toward a focal point vicinity of the projection lens, and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reflector is irradiated forward. A headlamp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reflective light sourc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 가변 광원 유닛은 출력하는 광량을 증감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The head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tical axis variable light source unit is configur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amount of output l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부재는 광의 전파 방향을 따른 두께가 광축으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두꺼워지는 프리즘 확산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The head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ffusion member is a prism diffusion lens whose thickness along the propagation direction of light becomes thicker as it deviates from the optical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부재는 복수 개의 스텝이 형성된 스텝 확산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The head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ffusion member is a step diffusion len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eps.
KR1020200058841A 2020-05-18 2020-05-18 Automotive headlight device with multiple light sources KR202101422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841A KR20210142250A (en) 2020-05-18 2020-05-18 Automotive headlight device with multiple light sour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841A KR20210142250A (en) 2020-05-18 2020-05-18 Automotive headlight device with multiple light sour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250A true KR20210142250A (en) 2021-11-25

Family

ID=78745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841A KR20210142250A (en) 2020-05-18 2020-05-18 Automotive headlight device with multiple light sour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225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720B1 (en) Vehicle headlamp
JP4536017B2 (en) Vehicle headlamp
JP2007213877A (en) Vehicular headlamp
US10895357B2 (en) Vehicle lamp
JP4535965B2 (en) Vehicle lighting
JP5869223B2 (en) Vehicle headlamp
JP4392786B2 (en) Vehicle headlamp
JP5816031B2 (en) Vehicle headlamp device
US7758218B2 (en) Vehicular headlamp
CN102109137B (en) Vehicle headlamp
JP4428223B2 (en) Vehicle lamp and vehicle headlamp device
JP4953922B2 (en) Vehicle headlamp
WO2013031210A1 (en) Automotive headlamp apparatus
CN103574461B (en) Headlight for automobile
US7287887B2 (en) Vehicle headlamp
JP2000195312A (en) Headlight device for vehicle for generating light flux having various characteristics
US20020167817A1 (en) Vehicular headlamp for controlling light distribution of vehicular headlamp having improved synthesized light distribution pattern
JP2010000957A (en) Headlight device for vehicle
JP2005353596A (en) Multifunctional lightening device
CN103244885A (en) Vehicle headlamp and vehicle headlamp device
JP5271571B2 (en) Vehicle headlamp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213878A (en) Vehicular headlamp
KR20210142250A (en) Automotive headlight device with multiple light sources
JP2007080816A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
JP2003317510A (en) Light fixture for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