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856A -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856A
KR20210141856A KR1020200057680A KR20200057680A KR20210141856A KR 20210141856 A KR20210141856 A KR 20210141856A KR 1020200057680 A KR1020200057680 A KR 1020200057680A KR 20200057680 A KR20200057680 A KR 20200057680A KR 20210141856 A KR20210141856 A KR 20210141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nnitus
user
counseling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6604B1 (ko
Inventor
진인기
유제은
최순제
구민승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7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604B1/ko
Publication of KR2021014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8Audiometering evaluating tinni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rketing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nesthesi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ursing (AREA)
  • Multimedia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은 서버, 사용자 기기, 상담자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조사를 수행하고, 수행된 조사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며,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상담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서버에 사용자의 이명 상태 진단에 요구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담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며, 상기 상담자 기기는 상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업로드하며, 상기 서버에서 추출된 다수 사용자의 질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Tinnitus consultation support system}
본 발명은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용자 기기 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이명 환자에게 이명 상담 기능을 제공하여 이명의 치료 및 증상 완화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명에 대한 치료는 약물치료 등의 의학적 처치보다는 재활요법, 심리치료 등을 통하여 무감각해지도록 하거나, 벽에 걸린 시계 소리처럼 환자의 일상생활에 방해되지 않는 수준의 일반적인 소리처럼 느끼게 하는 요법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명을 치료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상담은 이명에 대한 불안감을 줄이고, 심리적인 안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명이 정신병, 치매 등 상대적으로 심각한 질병의 전조증상이라고 오해하는 환자의 경우, 상담을 통하여 이명은 귀로 소리만 들리는 증상일 뿐 다른 질병의 전조증상이 아니라는 상담을 전문가로부터 듣게 되었을 때, 환자는 심리적인 안정감을 찾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평소에는 이명이 견딜 수 있는 수준이나, 주변이 조용해지는 밤에 이명으로 인한 불면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경우에도, '볼륨을 낮춘 ASMR를 들으면서 주무세요'와 같은 대응책을 상담을 통해 얻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이명으로 인한 불편함이 완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명을 치료하는 방법 중 상담은 충분한 효과가 있으나, 병원에 자주 방문하기 어려운 노인이나 도서산간 지역 주민, 또는 군장병 들의 경우 이명에 대한 상담이 필요한 적기에 오프라인 상담을 받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병원에 방문하더라도 궁금한 점에 대한 질문을 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거나, 병원에서 상담할 때는 생각나지 않던 질문이 상담 종료 후 생길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도 그에 대응하는 적절한 조치를 받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터넷에 다양한 정보가 있기는 하나, 광고성 글과 의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은 잘못된 정보도 많아 믿을 수 있는 전문가의 정보를 전달받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다수의 이명 환자들은 간편한 방법으로 상담 및 치료를 받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이에 검증된 전문가를 통해 제공되는 이명 상담 정보를 환자들에게 간편한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상담 시스템이 요구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검증된 전문가를 통해 이명 환자들에게 어플리케이션용 상담 기능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개인화 기기를 통해 간편하게 이명 관련 상담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은 서버, 사용자 기기, 상담자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조사를 수행하고, 수행된 조사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며,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상담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서버에 사용자의 이명 상태 진단에 요구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담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며, 상기 상담자 기기는 상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업로드하며, 상기 서버에서 추출된 다수 사용자의 질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설문조사용 질문을 제공하고 질문에 대한 답변 정보를 획득하는 설문조사 수행부,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사용자의 이명 발생 시점마다 이명 발생 여부를 체크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간별 이명 빈도를 판단하는 추가 정보 획득부, 상기 설문조사 수행부에 의해 획득된 설문조사 정보와, 상기 추가 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추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이명 심각도 및 이명 만성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가 유사한 대상자들끼리 그룹화하는 진단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단 수행부는 상담 효과를 점검하기 위해, 이명 진단용 검사 점수를 산출하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상담을 시작하기 전 취득한 점수와, 상담 시행 이후 취득 점수를 비교하여, 상담 이전 점수 대비 상담 이후 점수가 기준치 이상의 긍정변화가 확인되지 않으면, 해당 사용자를 오프라인 상담 대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상담 지원 방법은 서버가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설문조사용 질문을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제공하고 질문에 대한 답변 정보를 획득하는 설문 조사 단계, 상기 서버가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사용자가 이명 발생 시점마다 입력하는 이명 발생을 의미하는 정보를 사용자 기기로부터 전달받고, 이를 기반으로 기간별 이명 빈도를 판단하는 추가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서버는 사용자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이명 상태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되, 사용자의 이명 심각도 및 만성 여부를 판단하며, 이명 심각도와 만성 여부에 대한 정보가 유사한 사용자들을 그룹화하는 진단 수행 단계, 상기 서버는 이명 상태에 대한 진단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이명 상태, 사용자의 검색 키워드, 질문 내용 또는 사용자의 이명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상담 정보를 사용자 기기에 리스트 형태로 제시하는 상담 정보 제공 단계 및 상담 수행 이후 기준치 이상의 긍정 변화가 확인되지 않은 사용자에게 오프라인 상담 기관의 위치, 연락처, 상담자 정보를 매칭하여 안내하는 재활 지원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검증된 전문가로부터 획득된 이명 상담 정보를 이명 환자들에게 간편한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한 방법으로 이명 상담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명 환자가 자신의 이명 빈도에 대하여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의 서버가 수행하는 이명 상담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에서 표시되는 이명 상담 설문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체크표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단 결과 제공 동작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담 정보의 제공 동작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은 이명 상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지원하는 서버 100와, 이명 상담을 요청하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 100로부터 이명 상담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기기 200 그리고 전문 상담자로부터 상담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서버 100에 상담자로부터 입력받은 상담 정보를 전송하는 상담자 기기 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 100는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조사를 수행하고, 수행된 조사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이명 정도를 판단하며, 판단된 이명 정도에 대응하는 상담 정보를 검색 및 매칭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기기 200는 사용자가 자신의 이명 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서버 100측에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상담자 기기 300는 이명 상담용 콘텐츠를 제작하고, 제작된 콘텐츠(동영상, 텍스트 등)를 서버 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 100로부터 소정의 과정을 거쳐(예, 전문가 자격증 제출 등) 전문 상담자임을 인증받은 계정으로부터 업로드된 자료는 전문가 상담 자료로 일반 사용자들로부터 업로드된 이명 정보와 구분되어 관리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100는 설문조사 수행부 110, 추가 정보 획득부 120, 진단 수행부 130, 상담정보 제공부 140 및 재활 지원부 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서버 100는 사용자 기기 200 및 상담자 기기 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문조사 수행부 110는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 200를 통해 이명 상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이명 상담을 수행 전 사용자의 현재 이명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설문 조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문조사 수행부 110는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기기 측에 설문 조사용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설문조사 수행부 110는 문항별로 사용사로부터 선택된 보기 또는 입력된 점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진단 수행부 13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도 4에서 표시되는 설문 화면에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의 기본 신상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영역과, 각 설문 문항에 대한 답변을 1~100 사이의 값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영역과, 설문 문항에 대한 답변을 제시된 보기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는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표시되는 설문 화면은 '이명 때문에 짜증난다', '이명 때문에 잘 들리지 않는 말소리가 있다', '이명 때문에 밤에 잠들기 힘들다'와 같은 본인이 겪는 이명에 대한 증상에 대한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문 화면은 각 질문 항목에 대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경우 0점을 '매우 그렇다'는 경우 100점을 입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높은 점수를 획득할수록 이명에 대한 심각도가 높게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정보 획득부 120는 상기 설문조사 수행부 110를 통해 확인하기 어려운 항목 또는 확인하는데 일정 기간이 소요되는 항목에 대한 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가 정보 획득부 120는 이명 현상이 간헐적으로 발생되는 경우, 그 빈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이명 현상의 발생 현황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가 정보 획득부 120는 일정 시간 간격(예, 6시간 간격, 24시간 간격 등)마다 사용자에게 이명 현상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추가 정보 획득부 120는 사용자 기기 200에 기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이명 현상이 발생되었는지를 묻는 질문이 표시된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명 현상 확인 주기가 24시간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추가 정보 획득부 120는 '오늘 하루동안 이명이 발생하였습니까?' 와 같은 질문이 표시된 팝업창을 사용자 기기 200에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팝업창은 사용자로부터 이명의 발생 여부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 내지 입력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추가 정보 획득부 120는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사용자 기기 200에 표시되는 이명 발생 현황 확인용 팝업창을 통해 입력되는 이명 발생일자, 빈도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추가 정보 획득부 1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이명 발생 일자 정보를 기반으로 월별 이명 발생 빈도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추가 정보 획득부 120는 사용자가 자신에게 이명이 발생된 날짜 정보를 등록하면, 이를 기반으로 이명 일자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디자인된 이명 체크표를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명 체크표는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달력에 이명이 발생된 날짜를 구분하여 표시한 것과 같은 모습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추가 정보 획득부 120는 이명이 발생된 날짜뿐 아니라, 이명이 발생된 시간대 정보, 이명이 발생되는 장소 정보와 같은 추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이명이 발생될 때마다 사용자로부터 이명 발생 정보를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추가 정보 획득부 120는 사용자 기기의 화면 상에 이명이 발생될 때마다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이명 발생 버튼을 포함하는 창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입력하는 시점을 이명 현상이 발생한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 정보 획득부 120는 사용자가 상기 이명 발생 버튼을 입력한 경우, 버튼 입력 시점에서의 위치 정보를 GPS 등의 위치 확인 모듈을 기반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추가 정보 획득부 120는 스마트 폰 외에,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액세서리 등의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추가 이명 정보(예, 이명 발생 일자, 이명 발생 시점, 이명 발생 시간대 등)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 정보 획득부 120는 사용자에게 직접 1차로 획득된 이명 발생 정보를 기반으로 2차 정보(발생 빈도 등)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정보 획득부 120는 앞서 언급된 사항들 외에, 이명 상담 진행에 요구되는 추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가 정보 획득부 120는 사용자의 선호 상담 유형, 거주 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획득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추후 상담가 매칭 또는 오프라인 상담소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상기 설문조사 수행부 110에 의해 획득된 설문조사 정보와, 상기 추가 정보 획득부 120를 통해 획득된 추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구체적으로 이명의 심각도를 AI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분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경도, 중도, 고도, 심도와 같이 심각도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초기 이명(3개월 이하 지속)과 만성 이명(12개월 이상 지속)으로 구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설문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일상 생활 중 삶의 질이 저하되는 영역(수면, 집중력, 청각, 감정 등)이 어떠한 영역인지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삶의 영역별 삶의 질 저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추후 상담정보 제공부 140가 영역별 삶의 질 저하 정도에 대응하는 상담 전문가의 상담 정보(예, 동영상, 텍스트)를 검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설문 결과를 100점 만점 기준으로 환산한 점수를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설문 결과, 추가 정보 획득 결과에 따라 항목별로 소정의 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체 항목에 대한 점수를 집계한 후 이를 100점 기준으로 환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환산 점수가 30점 미만인 사용자에 대하여 이명의 영향이 거의 없는 정도로 평가하고, 30점 내지 70점인 사용자에 대하여 삶의 질 저하가 발견되나 상담 등의 기본 정보 제공이 도움이 되는 단계로 평가하며, 70점 이상인 사용자에 대하여 삶의 질 저하가 매우 심각하며, 앱의 도움이 크지 않을 경우 오프라인 상담 센터 방문이 요구되는 단계로 평가할 수 있다.
참고로, 설문 결과에 대한 점수 환산 방식은 100점 척도 스케일 문항의 점수를 평균하는 방식으로 구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도 4에서와 같이 제공된 스케일 바에서 문항별 점수를 선택하거나 도 5에서와 같이 문항별 점수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점수 환산은 예컨대, 이명 상담 설문지에서 질문이 3개라고 가정하고,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가 80, 60, 50점에 해당하는 보기를 선택하거나 점수를 입력한 경우, (80+60+50)/3= 63.3점으로 평균을 내 사용자의 설문 결과를 100점 기준의 점수로 환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산출된 점수인 63.3점이 속하는 이명 단계로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수 범위에 따른 이명 심각도가 0~30점은 영향없음/ 30~40점은 경도 이명/ 40~60점은 중도 이명/ 60~80점 고도 이명/ 80점 이상은 심도 이명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할 때, 사용자가 취득한 점수인 63.3점은 60점 내지 80점 범위에 속하므로,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63.3점을 획득한 사용자의 상태를 고도 이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사용자의 초기 상태를 진단할 뿐 아니라, 이명 상담을 진행중인 사용자에 대하여도 중간 점검을 위한 진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설문조사 수행부 110 및 추가 정보 획득부 120 또한 사용자의 초기 어플리케이션 사용 단계에서 사용자의 이명 상태 진단을 수행하고, 이후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상담 동작이 진행되면, 상담 동작이 개시됨에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추가의 진단을 위한 설문 조사 및 추가 정보 획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상기 획득된 설문 조사 및 추가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게 된다.
상기 진단 수행부 130가 일 사용자에 대한 중간 점검(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상담동작의 효과를 판단하기 위한 점검)을 수행할 경우, 동일 사용자의 초기 진단 검사 결과를 불러와 현재 상태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상담을 시작하기 전 사용자의 상태를 비교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상담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상담 효과를 점검하기 위해 중간 점검을 실시할 경우, 이명 검사 점수를 산출하되,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상담을 시작하기 전 취득 점수와 현재 상태의 취득 점수를 비교하여 상담 이전 점수 대비 상담 수행 이후 기준치 이상의 긍정 변화(예, 취득 점수 20점 이상 감소) 또는 부정 변화(예, 취득 점수 20점 이상 증가)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기준이 이하의 변화값(예, 취득 점수 변화 20점 미만)이 산출된 경우 변화 없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유의미한 변화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치는 설문 문항의 종류 내지 사용자 특성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사용자의 중간 점검 결과, 부정 변화 또는 변화 없음으로 판단된 경우(기준치 이상의 긍정변화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 해당 사용자를 오프라인 상담 대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오프라인 상담 대상으로 분류된 사용자는 재활 지원부 150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담 과정 대신 오프라인 상담 센터를 소개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초기 검사결과와 비교하여 진전 여부를 해석하고, 해석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어떠한 영역에서 개선이 이루어졌는지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이명 때문에 짜증난다'라는 질문에 대하여 최초 70점이었으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상담 기간 중 2번째 측정 시점(예, 상담 시작일로부터 1개월 경과)에, 50점이 되었다면 상담의 효과로 20점이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고, 측정된 점수가 40~60점 사이에 해당하므로 중도 이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만약 동일 문항에 대한 사용자의 취득 점수 변화가 50점에서 20점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유의미한 긍정 변화가 있다고 판단함과 동시에, 중도 이명에서 이명으로 인한 삶의 영향이 없는 수준으로 변화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긍정 효과가 기준치 이상(예, 30% 이상 변화 또는 평균 점수 30점 이상 감소)인 경우, 해당 사용자들이 주로 검색하거나 청취한 동영상 정보를 취합하여 상담정보 제공부 140 측에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추후 상담 정보 제공부 140는 긍정 효과가 기준치 이상인 사용자들의 주요 열람 및 시청 자료를 타 사용자의 상담 실행 화면 일측에 추천 자료로 표시하거나, 대표적인 질문 항목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이명 설문조사 대상자들을 이명 심각도, 만성 여부에 따라 그룹화하고 그룹별 주요 검색어 내지 주요 열람 자료(동영상 및 텍스트)를 추출하여 그룹별 주요 확인 자료로 목록화할 수 있다. 대상자 그룹별 주요 검색어 내지 주요 실행된 상담자료는 추후 동일 그룹에 속하는 타 사용자의 상담 수행 시 추천 목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진단 수행부 130는 다수의 경도 만성 이명 대상자들이 주로 검색한 검색어가 '음악', '귀뚜라미'이고, 해당 검색 이후 수행된 상담으로 기준치 이상의 긍정 효과가 발생됨을 확인한 경우, 경도 만성 이명 대상자의 주요 확인 자료를 '음악, 귀뚜라미 연관 동영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후 상담정보 제공부 140는 추후 경도 만성 이명으로 판단된 타 사용자의 상담 진행 시, 상기 '음악, 귀뚜라미 연관 동영상'을 추천자료로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담정보 제공부 140는 기 연계된 상담자 기기 300로부터 전문 상담자에 의해 생성된 상담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상기 사용자 기기 200측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담정보 제공부 140는 상담자 측으로부터 제공된 다양한 종류의 상담 정보를 Q&A 형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담정보 제공부 140는 상담 정보를 구성하는 각각의 Q&A 항목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 기반 식별값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담 정보는 질문의 유사성별로 분류되어 관리될 수 있고, 텍스트, 동영상 등의 형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담정보 제공부 14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검색어, 사용자가 입력하는 질문 내용 등에 대응하는 상담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담 정보 제공부 140는 사용자가 속한 대상자 그룹과 동일한 그룹의 타 사용자들이 주로 확인한 상담정보를 추천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담정보 제공부 140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담자 계정의 검증 동작을 수행하고, 상담자 검증 여부 내지 검증 단계에 따라 상담자 기기 300로부터 수신되는 상담 정보를 가공 및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상담정보 제공부 140는 서버 100로 등록된 상담 정보에 대하여 검증된 상담자에 의해 등록된 내용과 그렇지 않은 내용을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시, 검증된 상담자로부터 등록된 상담 정보를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담 정보 제공부 140는 검증된 상담 전문가가 아니라 하더라도, 이명을 앓고 있었으나 완치된 사용자 등으로부터 경험담, 이명 완화를 위한 요법 등과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담 정보 제공부 140는 비전문가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긍정 평가를 받은 경우, 공식 검증 대상용 정보로 분류하고, 추후 전문가 집단에 의한 실험 및 검증 절차를 밟도록 기 등록된 상담자 계정에 제안할 수 있다. 다수(예, 3명)의 기 등록된 상담자 계정으로부터 검증을 완료한 경우, 해당 정보(비전문가로부터 획득된 정보)는 공식 상담 정보 목록에서 관리될 수 있다.
상기 상담정보 제공부 140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에 해당하는 상담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담정보 제공부 140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화면 내 검색창에 입력한 질문 정보에 대응하는 상담 정보를 기 저장된 상담 정보 리스트 중에서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담정보 제공부 140는 사용자가 이명 진단을 수행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명 진단을 수행한 사용자인 경우, 이명 진단 결과(예, 이명 심각도, 설문 조사 점수)를 고려하여 사용자 질문에 대응하는 상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담 정보 제공부 140는 사용자가 이명 진단을 수행하기 이전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명 진단을 위한 설문 조사를 먼저 수행하도록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담정보 제공부 140는 사용자가 키워드(예, 우울증, 집중력, 청력, 수면, 귀뚜라미소리)를 입력하면, 해당 키워드 관련 Q&A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제공된 Q&A 리스트 중 일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상담 동영상을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담정보 제공부 140는 상기 진단 수행부 130로부터 제공된 일 사용자의 영역별 삶의 질 저하 정도에 대응하는 상담 전문가의 상담 정보(예, 동영상, 텍스트)를 검색하고 이를 사용자 측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재활 지원부 150는 사용자에게 오프라인 상담 기관을 안내하고, 적합 상담 기관을 매칭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재활 지원부 15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온라인 상담의 효과가 기준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사용자(진단 수행부 130에서 오프라인 상담 대상으로 분류된 사용자)에게 오프라인 상담 기관의 위치 정보, 연락처, 상담자 정보 등을 매칭하여 안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승인에 따라 매칭된 상담 기관측에 사용자의 이명 진단 결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재활 지원부 15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주변의 근접한 상담 센터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며, 사용자가 일 상담 센터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상담 센터의 예약 페이지로 연결하여 예약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 100는 사용자 기기 200 및 상담자 기기 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 기기와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망 또는 서로 다른 IP 망을 통합한 올 아이피(All IP) 망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LTE advanced(LTE-A), 5G(Five Generation)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 하나 이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미도시)는 사용자 기기 200로부터 사용자의 이명 상태 진단에 요구되는 답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미도시)는 사용자 기기 200에 상담 정보를 전송하고, 상담 정보를 시청한 사용자의 평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담자 기기 300로부터 전문 상담자가 온라인 이명 상담을 수행하기 위한 동영상 정보 등(상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추후 서버에서 취합된 다수 사용자들의 공통된 질문 사항에 대한 정보를 상담자 기기 300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통신부는 다양한 종류의 상담 정보 내지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기기 200 및 상담자 기기 300와 주고받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미도시)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미도시)는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요구되는 설문 정보 및 설문 답변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이명 심각도, 만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담자 기기 300로부터 수신된 이명 상담 정보(Q&A 형식으로 정리된 동영상, 텍스트) 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보다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 설문 문항을 변경하는 데 요구되는 알고리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라인 상담을 수행하는 것이 유의미한 긍정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의 서버가 수행하는 이명 상담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서버 100는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먼저 이명 관련 설문을 수행하는 30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 100는 상기 설문 조사로부터 획득된 설문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해석하는 31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버 100는 설문 정보 외에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이명 관련 추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100는 사용자의 이명 상태에 대한 결과값이 산출되면, 사용자의 이명 상태에 대응하는 상담을 수행하는 31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315동작은 사용자의 이명 상태에 대응하는 상담 정보를 기 등록된 상담 정보 항목들 중에서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315동작은 기 등록된 상담자 기기와 매칭하여 온라인 상담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 100는 사용자에게 이루어진 상담의 효과를 측정하는 32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 100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담을 수행한 이력 정보와, 사용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판단된 이명 심각도의 변경 정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따라 상담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서버 100는 측정된 효과 수치가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325동작을 수행하고, 325동작 결과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추후 상담 수행을 지속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 100는 측정된 효과 수치가 사용자에게 상담 효과가 유효함을 의미하는 수치로 판단되면(예, 기준값 이상) 해당 사용자에게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담 동작(315동작)을 추후 재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서버 100는 해당 사용자의 효과 수치가 기준값 미만(상담 효과가 미미함을 의미하는 수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상담 대신 연계 재활기관 정보를 제공하는 33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에서 표시되는 이명 상담 설문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서버 100는 도 4와 같은 설문 화면을 사용자 기기 200측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 4에서 표시되는 설문 화면에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의 기본 신상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영역과, 각 설문 문항에 대한 답변을 1~100 사이의 값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영역과, 설문 문항에 대한 답변을 제시된 보기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는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서버 100는 사용자 기기 200에 제공하는 설문 화면은 도 5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문 화면은 다수개의 설문 문항마다 사용자가 직접 0~100 사이의 점수를 직접 입력하도록 하는 입력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설문 내용은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명 때문에 짜증난다', '이명 때문에 잘 들리지 않는 말소리가 있다', '이명 때문에 밤에 잠들기 힘들다'와 같은 본인이 겪는 이명에 대한 증상에 대한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문 화면은 각 질문 항목에 대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경우 0점을 '매우 그렇다'는 경우 100점을 입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높은 점수를 획득할수록 이명에 대한 심각도가 높게 산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 5에서 도시되는 설문 항목은 변경 또는 추가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버 100는 사용자가 상담자에게 질문하는 내용 중에서 그 빈도가 기준치 이상인 질문을 추출하고, 상담자의 승인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질문을 설문 항목에 추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체크표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에게 발생된 이명의 빈도를 정확히 기억해내기 어려울 경우를 대비하여, 이명이 발생된 즉시 달력 형태의 체크표에 도 2와 같이 체크할 수 있다.
추후 상기 서버 100는 사용자가 체크한 날짜를 확인하여 기준 기간(예, 1주일 또는 1개월) 동안 발생된 이명 횟수를 측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이명 심각도에 대한 판단 시 참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단 결과 제공 동작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서버 100는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별 사용자의 이명 진단을 수행한 결과(예, 설문 결과 점수, 이명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산출된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상담을 즉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도 7에서 도시되는 '상담하러 가기' 버튼을 선택할 경우, 상기 서버 100는 사용자와 설문 결과 점수 및 이명 심각도가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동일 그룹 사용자들이 주로 질문한 질문 내역, 주요 검색어, 해당 그룹 사용자들이 주로 청취한 상담 동영상 정보를 추천 목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 100는 해당 사용자의 상담 진행 회차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재생할 전문가 상담 동영상을 재생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서버 100는 직접 자신이 Q&A 형태로 나열된 상담 정보 목록들 중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해당 동영상을 플레이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담 정보의 제공 동작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은 Q&A 형태로 관리되는 상담 정보 중 '이명은 난청과 관련이 있나요?'라는 질문에 해당하는 상담 동영상이 재생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담 정보가 제공되는 화면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즉시 질문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질문 입력창이 포함될 수 있다. 입력된 질문에 대한 답변 정보(동영상)는 해당 동영상의 시청이 완료된 이후 자동으로 이어서 재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담은 Q&A 형식 이외에도 사용자와 상담자 간 1:1 영상 통화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담자의 모습이 제공되는 화면 일측에 사용자가 질문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창에 질문을 입력하면 해당 질문은 상담자의 발언이 중단되면 상담자 기기 300측 화면에 표시되어 상담자가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상담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사용자의 삶의 질 저하 영역(예, 수면, 집중력, 청각, 감정 등이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음)별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의 이명 상태 진단 결과, 삶의 질이 수면 영역에서 심각한 저하를 겪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버 100는 수면 영역에서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도 9에서와 같이 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 100는 수면을 이루지 못하는 이명 환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인 음악 듣기를 추천할 수 있으며, 이 때 도움이 되는 음악의 리스트 또는 음악 재생 화면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서버 100는 사용자의 이명으로 듣는 소리의 특징을 고려하여 추천음악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명 소리가 귀뚜라미 소리와 같이 자연 소리 범주에 포함되는 경우, 동일 범주에 해당하는 파도소리 또는 빗소리와 같은 자연의 소리로 구성된 ASMR을 추천 및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서버 100는 사용자의 이명 소리가 고주파의 '삐' 소리에 해당하는 경우, 고주파의 악기 소리가 포함된 클래식 음악을 추천 음악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서버 100(상담 정보 제공부 140)는 사용자의 이명 소리 종류별로 다른 추천 음악을 제시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은 서버, 사용자 기기, 상담자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조사를 수행하고, 수행된 조사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며,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상담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서버에 사용자의 이명 상태 진단에 요구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담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며, 상기 상담자 기기는 상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업로드하며, 상기 서버에서 추출된 다수 사용자의 질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설문조사용 질문을 제공하고 질문에 대한 답변 정보를 획득하는 설문조사 수행부,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사용자의 이명 발생 시점마다 이명 발생 여부를 체크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간별 이명 빈도를 판단하는 추가 정보 획득부, 상기 설문조사 수행부에 의해 획득된 설문조사 정보와, 상기 추가 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추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이명 심각도 및 이명 만성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가 유사한 대상자들끼리 그룹화하는 진단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진단 수행부는 상담 효과를 점검하기 위해, 이명 진단용 검사 점수를 산출하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상담을 시작하기 전 취득한 점수와, 상담 시행 이후 취득 점수를 비교하여, 상담 이전 점수 대비 상담 이후 점수가 기준치 이상의 긍정변화가 확인되지 않으면, 해당 사용자를 오프라인 상담 대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상담 지원 방법은 서버가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설문조사용 질문을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제공하고 질문에 대한 답변 정보를 획득하는 설문 조사 단계, 상기 서버가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사용자가 이명 발생 시점마다 입력하는 이명 발생을 의미하는 정보를 사용자 기기로부터 전달받고, 이를 기반으로 기간별 이명 빈도를 판단하는 추가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서버는 사용자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이명 상태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되, 사용자의 이명 심각도 및 만성 여부를 판단하며, 이명 심각도와 만성 여부에 대한 정보가 유사한 사용자들을 그룹화하는 진단 수행 단계, 상기 서버는 이명 상태에 대한 진단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이명 상태, 사용자의 검색 키워드, 질문 내용 또는 사용자의 이명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상담 정보를 사용자 기기에 리스트 형태로 제시하는 상담 정보 제공 단계 및 상담 수행 이후 기준치 이상의 긍정 변화가 확인되지 않은 사용자에게 오프라인 상담 기관의 위치, 연락처, 상담자 정보를 매칭하여 안내하는 재활 지원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서버
110 : 설문조사 수행부
120 : 추가정보 획득부
130 : 진단 수행부
140 : 상담정보 제공부
150 : 재활 지원부
200 : 사용자 기기
300 : 상담자 기기

Claims (9)

  1. 서버, 사용자 기기, 상담자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조사를 수행하고, 수행된 조사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며,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상담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서버에 사용자의 이명 상태 진단에 요구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담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며,
    상기 상담자 기기는
    상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업로드하며, 상기 서버에서 추출된 다수 사용자의 질문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설문조사용 질문을 제공하고 질문에 대한 답변 정보를 획득하는 설문조사 수행부;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사용자의 이명 발생 시점마다 이명 발생 여부를 체크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간별 이명 빈도를 판단하는 추가 정보 획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설문조사 수행부에 의해 획득된 설문조사 정보와, 상기 추가 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추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이명 심각도 및 이명 만성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가 유사한 대상자들끼리 그룹화하는 진단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수행부는
    상담 효과를 점검하기 위해, 이명 진단용 검사 점수를 산출하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상담을 시작하기 전 취득한 점수와, 상담 시행 이후 취득 점수를 비교하여, 상담 이전 점수 대비 상담 이후 점수가 기준치 이상의 긍정변화가 확인되지 않으면, 해당 사용자를 오프라인 상담 대상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자 기기로부터 Q&A 형식의 상담 정보를 수신하면, 상담 정보를 질문의 유사성에 따라 분류하고, 사용자의 검색 키워드, 질문 내용 또는 사용자의 이명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상담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제시하는 상담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상담 대상으로 분류된 사용자에게 오프라인 상담 기관의 위치, 연락처, 상담자 정보를 매칭하여 안내하는 재활 지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
  7. 서버, 사용자 기기, 상담자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설문조사용 질문을 제공하고 질문에 대한 답변 정보를 획득하는 설문조사 수행부;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사용자의 이명 발생 시점마다 이명 발생 여부를 체크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간별 이명 빈도를 판단하는 추가 정보 획득부;
    상기 설문조사 수행부에 의해 획득된 설문조사 정보와, 상기 추가 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추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이명 심각도 및 이명 만성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가 유사한 대상자들끼리 그룹화하는 진단 수행부; 및
    상기 상담자 기기로부터 Q&A 형식의 상담 정보를 수신하면, 상담 정보를 질문의 유사성에 따라 분류하고, 사용자의 검색 키워드, 질문 내용 또는 사용자의 이명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상담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제시하는 상담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
  8. 서버는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조사를 수행하는 사용자 조사 단계;
    상기 서버는 사용자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이명 상태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되, 사용자의 이명 심각도 및 만성 여부를 판단하며, 이명 심각도와 만성 여부에 대한 정보가 유사한 사용자들을 그룹화하는 진단 수행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이명 상태에 대한 진단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이명 상태, 사용자의 검색 키워드, 질문 내용 또는 사용자의 이명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상담 정보를 사용자 기기에 리스트 형태로 제시하는 상담 정보 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상담 지원 방법.
  9. 서버가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설문조사용 질문을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제공하고 질문에 대한 답변 정보를 획득하는 설문 조사 단계;
    상기 서버가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사용자가 이명 발생 시점마다 입력하는 이명 발생을 의미하는 정보를 사용자 기기로부터 전달받고, 이를 기반으로 기간별 이명 빈도를 판단하는 추가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서버는 사용자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이명 상태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되, 사용자의 이명 심각도 및 만성 여부를 판단하며, 이명 심각도와 만성 여부에 대한 정보가 유사한 사용자들을 그룹화하는 진단 수행 단계;
    상기 서버는 이명 상태에 대한 진단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이명 상태, 사용자의 검색 키워드, 질문 내용 또는 사용자의 이명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상담 정보를 사용자 기기에 리스트 형태로 제시하는 상담 정보 제공 단계; 및
    상담 수행 이후 기준치 이상의 긍정 변화가 확인되지 않은 사용자에게 오프라인 상담 기관의 위치, 연락처, 상담자 정보를 매칭하여 안내하는 재활 지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상담 지원 방법.

KR1020200057680A 2020-05-14 2020-05-14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 KR102386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680A KR102386604B1 (ko) 2020-05-14 2020-05-14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680A KR102386604B1 (ko) 2020-05-14 2020-05-14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856A true KR20210141856A (ko) 2021-11-23
KR102386604B1 KR102386604B1 (ko) 2022-04-13

Family

ID=7869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680A KR102386604B1 (ko) 2020-05-14 2020-05-14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6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1600A (ko) * 2022-03-07 2023-09-14 주식회사 뉴라이브 이명 환자의 진단 방법과 분류 방법 및 이명 환자에 대한 맞춤형 치료 프로토콜 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4065A (ko) * 2007-04-23 201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의료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0708A (ko) * 2012-01-05 2013-07-1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명 치료 시스템
KR20160078329A (ko) * 2013-10-31 2016-07-04 쟈앙수 베터라이프 메디컬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KR20190076381A (ko) * 2017-12-22 2019-07-02 (주)블루와이즈 빅 데이터를 활용한 건강정보 콘텐츠 추천 서비스 시스템
KR20200049256A (ko) * 2018-10-31 2020-05-08 박해유 인공지능 챗봇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의료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4065A (ko) * 2007-04-23 201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의료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0708A (ko) * 2012-01-05 2013-07-1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명 치료 시스템
KR20160078329A (ko) * 2013-10-31 2016-07-04 쟈앙수 베터라이프 메디컬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이동통신 플랫폼 기반의 양방향 청력 진단 및 치료 시스템
KR20190076381A (ko) * 2017-12-22 2019-07-02 (주)블루와이즈 빅 데이터를 활용한 건강정보 콘텐츠 추천 서비스 시스템
KR20200049256A (ko) * 2018-10-31 2020-05-08 박해유 인공지능 챗봇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의료서비스 제공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호기 외, "이명 재훈련 치료에서의 지도 상담의 효과", Korean J Otolaryngol, 47:217-221. (200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1600A (ko) * 2022-03-07 2023-09-14 주식회사 뉴라이브 이명 환자의 진단 방법과 분류 방법 및 이명 환자에 대한 맞춤형 치료 프로토콜 제공 방법
WO2023171994A1 (ko) * 2022-03-07 2023-09-14 주식회사 뉴라이브 이명 환자의 진단 방법과 분류 방법 및 이명 환자에 대한 맞춤형 치료 프로토콜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604B1 (ko)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zuki et al. Intentional binding without intentional action
Thompson et al. Accuracy of a tablet audiometer for measuring behavioral hearing thresholds in a clinical population
US8696566B2 (en) Method for analyzing stress based on multi-measured bio-signals
Preminger et al. Perceptions of adults with hearing impairment regarding the promotion of trust in hearing healthcare service delivery
Eadie et al. Auditory-perceptual speech outcomes and quality of life after total laryngectomy
Gingras et al. Beyond intensity: Spectral features effectively predict music-induced subjective arousal
Thompson et al. Media coverage, forecaste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sychological responses before and after an approaching hurricane
US201301235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digital media preferences to generate a personality profile
De Graaff et al. Assessment of speech recognition abilities in quiet and in noise: A comparison between self-administered home testing and testing in the clinic for adult cochlear implant users
CN111933291A (zh) 医疗信息推荐装置、方法、系统、设备及可读存储介质
Hancock et al. Influence of listener characteristics on perceptions of sex and gender
CN112164451A (zh) 智能导诊和挂号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Maclachlan et al.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patient education and empowerment to improve patient–provider interactions in antiretroviral therapy clinics in Namibia
Adams et al. Geographic variation in use of vestibular testing among Medicare beneficiaries
Young et al. Voice and stroboscopic characteristics in transgender patients seeking gender‐affirming voice care
Kaskutas et al. Consistency between beliefs and behavior regarding use of substances in recovery
Eadie et al. Effect of experience on judgments of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Elliott et al. A randomized experiment investigating the suitability of speech-enabled IVR and Web modes for publicly reported surveys of patients’ experience of hospital care
Convery et al. Perception of a self-fitting hearing aid among urban-dwelling hearing-impaired adults in a developed country
KR102386604B1 (ko) 이명 상담 지원 시스템
Shilo et al. Telemedicine for patients with unilateral sudden hearing loss in the COVID-19 era
Myles The clinical use of Arthur Boothroyd (AB) word lists in Australia: exploring evidence-based practice
Li et al. Physical activity patterns and cognitive health among older adults in the United States
Panacek Survey-based research: general principles
Ekberg et al. Identifying clients’ readiness for hearing rehabilitation within initial audiology appointments: A pilot intervention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