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226A - 컷아웃스위치용 퓨즈 - Google Patents

컷아웃스위치용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226A
KR20210141226A KR1020200058614A KR20200058614A KR20210141226A KR 20210141226 A KR20210141226 A KR 20210141226A KR 1020200058614 A KR1020200058614 A KR 1020200058614A KR 20200058614 A KR20200058614 A KR 20200058614A KR 20210141226 A KR20210141226 A KR 20210141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screw fastening
length
coupled
fus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6167B1 (ko
Inventor
조율희
김상덕
황상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58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167B1/ko
Publication of KR20210141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컷아웃스위치용 퓨즈를 개시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퓨즈는 그 연장길이가 가변 가능하게 구성되고, 퓨즈에 구비된 걸림 링이 일 방향을 향하여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컷아웃스위치용 퓨즈{FUSE FOR CUT OUT SWITCH}
본 발명은 컷아웃스위치용 퓨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컷아웃스위치와 퓨즈가 이격되어 전류의 차단이 발생되는 경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는 구조의 컷아웃스위치용 퓨즈에 관한 것이다.
컷아웃스위치(COS, Cut Out Switch)는 고압선로에서 이상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차단하여 고압선로에 연결된 기기들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기능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컷아웃스위치는 주로 전주를 통해 배선되는 고압 또는 특고압의 배전선로와 주상변압기의 일차측(고압측 또는 특고압측이라 함) 단자 사이에 설치된다.
컷아웃스위치에 연결된 전력을 소모하는 측에서 돌발적으로 과도한 부하가 발생되는 경우, 컷아웃스위치는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켜 주상변압기를 보호함과 동시에 고압선로와 연결된 기타 장치들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전력을 소모하는 측과 연결된 선로에 대한 이상 유무를 점검하기 위하여, 전류를 차단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컷아웃스위치는 전력을 공급하는 측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단자인 제1 단자 및 전력을 소모하는 측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단자인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제1 단자와 제2 단자의 사이는 컷아웃스위치용 퓨즈에 의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상 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제1 단자와 퓨즈 사이의 접촉이 차단된다.
제2 단자에는 퓨즈에 구비된 회전축이 걸리는 걸림쇠가 구비되므로, 제1 단자와 퓨즈 사이의 접촉이 차단되는 경우 퓨즈는 자중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전류 차단 시 퓨즈의 일 측은 지면을 향하고, 타 측은 걸림쇠에 걸려있는 형태가 된다.
차단된 전류를 다시 연결하기 위해서는 퓨즈를 교체해야 한다.
퓨즈를 교체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퓨즈의 타 측에 구비된 링에 COS 조작봉의 걸림부를 삽입한 후, COS 조작봉을 들어올려 걸림쇠로부터 퓨즈를 빼낸다.
다만, 작업자는 안전을 위하여 컷아웃스위치와 4~5m의 안전 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COS 조작봉은 4m 이상의 길이를 구비한다.
따라서, 기상이 악화되거나 야간에 작업하는 경우, COS 조작봉의 걸림부를 퓨즈의 링에 삽입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어, 퓨즈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퓨즈는 퓨즈 홀더와 퓨즈 홀더 내부에 결합되는 퓨즈 링크를 포함한다.
퓨즈의 교체 시, 퓨즈 링크만을 교체하는 경우도 있지만 퓨즈 홀더의 손상으로 인해 퓨즈 홀더 자체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된다.
다만, 퓨즈 홀더의 경우 제작회사별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므로, 신속한 교체를 위해서는 퓨즈 홀더를 제작회사별로 모두 구비하고 다녀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즉, 가지고 있는 퓨즈 홀더가 현장에 있는 컷아웃스위치와 길이가 맞지 않는 경우, 적합한 퓨즈 홀더를 구하는데 시간이 소요되므로, 전력 공급의 차단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5519호(2020. 03. 02.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컷아웃스위치용 퓨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컷아웃스위치에서 전류가 차단되는 경우, 퓨즈를 교체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구조의 컷아웃스위치용 퓨즈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컷아웃스위치에서 전류가 차단되는 경우, 먼 거리에서도 COS 조작봉의 걸림부를 퓨즈에 형성된 링에 원활하게 걸 수 있는 구조의 컷아웃스위치용 퓨즈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퓨즈의 길이를 가변시켜 다양한 컷아웃스위치에 결합된 수 있는 구조의 컷아웃스위치용 퓨즈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퓨즈는, 일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관통 형성되어 양 측이 개방된 퓨즈 홀더;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의 개방된 부분에 소정 길이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급측 접촉자; 상기 퓨즈 홀더의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일 단이 상기 공급측 접촉자의 부분 중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부분과 결합되고, 타 단이 상기 퓨즈 홀더의 타 측의 개방된 부분의 외부로 인출되는 퓨즈 링크; 및 상기 퓨즈 홀더의 타 측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퓨즈 홀더의 부분 중 상기 퓨즈 홀더의 외부로 인출된 부분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요측 접촉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급측 접촉자가 상기 퓨즈 홀더에 삽입되는 길이인 상기 소정 길이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급측 접촉자는, 일 측이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길이조절부; 및 일 측이 상기 제1 길이조절부의 타 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길이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길이조절부의 부분 중,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는 부분의 길이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길이조절부의 부분 중, 상기 제1 길이조절부의 타 측에 삽입되는 부분의 길이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길이조절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벽의 부분 중, 상기 퓨즈 홀더의 개방된 일 측에 인접된 부분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사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1 나사 체결홈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길이조절부와 상기 퓨즈 홀더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1 나사 체결홈이 서로 결합된 길이는,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의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의 타 측에는 상기 제2 길이조절부를 향하여 개방되고, 내주면에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나사 구조가 형성된 제2 나사 체결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 길이조절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2 나사 체결홈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2 길이조절부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2 나사 체결홈이 서로 결합된 길이는,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의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길이조절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벽의 부분 중, 상기 퓨즈 홀더의 개방된 일 측에 인접된 부분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사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1 나사 체결홈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길이조절부와 상기 퓨즈 홀더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의 타 측에는 상기 제2 길이조절부를 향하여 개방되고, 내주면에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나사 구조가 형성된 제2 나사 체결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2 길이조절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2 나사 체결홈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2 길이조절부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1 나사 체결홈이 서로 결합된 길이인 제1 결합 길이는,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의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가변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2 나사 체결홈이 서로 결합된 길이인 제2 결합 길이는,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의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나사 체결부 및 제1 나사 체결홈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 체결부 및 제2 나사 체결홈에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서로 인접된 제1 나사산 사이의 거리인 제1 나사 피치는, 상기 일 방향으로 서로 인접된 제2 나사산 사이의 거리인 제2 나사 피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높이 표시점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높이 표시점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제1 높이 표시점 중 서로 인접된 두 개의 제1 높이 표시점 사이의 거리는, 복수 개의 상기 제2 높이 표시점 중 서로 인접된 두 개의 제2 높이 표시점 사이의 거리보다 크기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퓨즈는, 일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관통 형성되어 양 측이 개방된 퓨즈 홀더;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의 개방된 부분에 소정 길이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급측 접촉자; 상기 퓨즈 홀더의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일 단이 상기 공급측 접촉자의 부분 중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부분과 결합되고, 타 단이 상기 퓨즈 홀더의 타 측의 개방된 부분의 외부로 인출되는 퓨즈 링크; 및 상기 퓨즈 홀더의 타 측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퓨즈 홀더의 부분 중 상기 퓨즈 홀더의 외부로 인출된 부분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요측 접촉자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측 접촉자는 컷아웃스위치(Cut Out Switch, COS)의 일 단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고, 상기 수요측 접촉자는 상기 컷아웃스위치의 타 단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또한, 상기 공급측 접촉자는, 일 측이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길이조절부; 및 일 측이 상기 제1 길이조절부의 타 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길이조절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벽의 부분 중, 상기 퓨즈 홀더의 개방된 일 측에 인접된 부분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사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1 나사 체결홈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길이조절부와 상기 퓨즈 홀더가 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1 나사 체결홈이 서로 결합된 길이인 제1 결합 길이는,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의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가변된다.
또한,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의 타 측에는 상기 제2 길이조절부를 향하여 개방되고, 내주면에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나사 구조가 형성된 제2 나사 체결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2 길이조절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2 나사 체결홈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2 길이조절부가 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2 나사 체결홈이 서로 결합된 길이인 제2 결합 길이는,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의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가변된다.
또한, 상기 제1 나사 체결부 및 제1 나사 체결홈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 체결부 및 제2 나사 체결홈에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서로 인접된 제1 나사산 사이의 거리인 제1 나사 피치는, 상기 일 방향으로 서로 인접된 제2 나사산 사이의 거리인 제2 나사 피치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퓨즈는, 일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관통 형성되어 양 측이 개방된 퓨즈 홀더;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의 개방된 부분에 소정 길이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급측 접촉자; 상기 퓨즈 홀더의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일 단이 상기 공급측 접촉자의 부분 중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부분과 결합되고, 타 단이 상기 퓨즈 홀더의 타 측의 개방된 부분의 외부로 인출되는 퓨즈 링크; 및 상기 퓨즈 홀더의 타 측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퓨즈 홀더의 부분 중 상기 퓨즈 홀더의 외부로 인출된 부분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요측 접촉자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측 접촉자는 컷아웃스위치(Cut Out Switch, COS)의 일 단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고, 상기 수요측 접촉자는 상기 컷아웃스위치의 타 단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며, 상기 수요측 접촉자는 링(ring) 형태의 걸림 링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 링은,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 링은, 양 단이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링 몸체부; 및 상기 링 몸체부의 일 단과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링 몸체부의 타 단과 접촉 또는 이격되는 링 개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링 몸체부의 타 단과 상기 링 개폐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링 개폐부와 상기 링 몸체부의 서로 접촉되는 각 부분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중첩된다.
또한, 상기 링 몸체부의 타 단과 상기 링 개폐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링 개폐부과 상기 링 몸체부의 서로 접촉되는 각 부분은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링 몸체부의 타 단과 상기 링 개폐부의 단부는 서로 맞물리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링 몸체부의 일 단에는,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1 힌지가 형성되고, 상기 링 몸체부의 일 단과 결합되는 상기 링 개폐부의 단부에는 한 쌍의 상기 제1 힌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힌지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제1 힌지 및 상기 제2 힌지를 관통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부분 중 한 쌍의 상기 제1 힌지와 상기 제2 힌지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은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에 의해 감싸진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회전축을 감싸며 권취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 단에서 돌출되는 한 쌍의 가압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가압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링 개폐부의 부분 중 상기 걸림 링의 내측을 향하는 일측 면에 접촉되며, 한 쌍의 상기 가압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링 몸체부의 부분 중 상기 걸림 링의 내측을 향하는 내주면에 접촉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컷아웃스위치에서 전류의 흐름이 차단된 상태에서, 퓨즈의 링에 구비된 개폐부가 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COS 조작봉의 걸림부를 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밀어서 퓨즈의 링에 삽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COS 조작봉을 퓨즈의 링에 거는 작업을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퓨즈의 교체작업에 걸리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퓨즈에는 퓨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길이조절부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퓨즈 홀더의 길이와 컷아웃스위치의 단자 사이의 거리에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퓨즈의 길이를 증가시켜 컷아웃스위치에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컷아웃스위치의 규격을 충족시키는 다양한 종류의 퓨즈 홀더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퓨즈 교체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컷아웃스위치와 퓨즈 홀더의 규격이 서로 일치하지 않아 퓨즈 교체 작업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컷아웃스위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컷아웃스위치용 퓨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퓨즈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퓨즈의 상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퓨즈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따른 퓨즈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퓨즈의 걸림 링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걸림 링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걸림 링에 COS 조작봉이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퓨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에서 사용되는 "좌측", "우측", "상측", "하측", "전방측" 및 "후방측"이라는 용어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통전 가능한 연결"이라는 용어는, 어느 하나의 구성이 다른 하나의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의미한다. 상기 통전은 도선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2. 종래의 컷아웃스위치(Cut Out Switch, COS)(1)에 대한 설명
컷아웃스위치(1)는 고압선로에서 이상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차단하여 고압선로에 연결된 기기들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기능되는 장치이다.
컷아웃스위치(1)는 전주를 통해 배선되는 고압 또는 특고압의 배전선로와 주상변압기의 일차측(고압측 또는 특고압측이라 함) 단자 사이에 설치된다.
전주를 통해 배선되는 고압 또는 특고압의 배전선로를 "1차측"이라고 정의될 수 있고, 주상변압기의 일차측(고압측 또는 특고압측이라고 함) 단자를 통해 연결되는 선로는 "2차측"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1차측은 전력을 공급하는 측, 2차측은 전력을 소모하는 측을 가리킨다.
2차측에서 돌발적으로 과도한 부하가 발생되는 경우, 컷아웃스위치(1)는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켜 주상변압기를 보호함과 동시에 고압선로와 연결된 기타 장치들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2차과 연결된 선로에 대한 이상 유무를 점검하기 위하여, 전류를 차단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컷아웃스위치(1)는 애자(2), 공급측 단자(3) 및 수요측 단자(4)를 포함한다.
공급측 단자(3)는 1차측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요측 단자(4)는 2차측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공급측 단자(3) 및 수요측 단자(4)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두 단자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애자(2)가 구비된다. 애자(2)에 의해 공급측 단자(3) 및 수요측 단자(4)가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지지된다.
공급측 단자(3)에는 공급측 연결부재(5) 및 공급측 지지부재(6)가 결합되며, 수모측 단자(4)에는 수요측 연결부재(7) 및 수요측 지지부재(8)가 결합된다.
공급측 연결부재(5)는 공급측 단자(3)를 통해 1차측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공급측 지지부재(6)는 퓨즈(10)가 공급측 단자(3)에 근접하여 결합되는 과정에서, 퓨즈(10)를 가이드 하고 지지한다.
수요측 연결부재(7)는 수요측 단자(4)를 통해 2차측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요측 지지부재(8)는 후술할 퓨즈(10)를 지지한다.
퓨즈(10)가 공급측 연결부재(5)와 수요측 연결부재(7)에 각각 통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1차측과 2차측이 퓨즈(10)를 통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퓨즈(10) 내부의 퓨즈 링크(14, 도 3 참조)가 끊어지거나 퓨즈(10)가 공급측 연결부재(5)에서 이격됨에 따라 1차측과 2차측의 통전이 끊어진다.
퓨즈(10)의 하부의 좌측에 구비된 수요측 접촉자(13)에는 한 쌍의 걸림 돌부(131)가 양측면에서 각각 돌출되는데, 수요측 지지부재(8)에는 한 쌍의 걸림 돌부(13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회전 걸림부(81)가 형성된다.
한 쌍의 회전 걸림부(81)는 상측으로 개방된 홈이 형성된 후크(Hook) 형태로 형성되며, 한 쌍의 걸림 돌부(131)가 한 쌍의 회전 걸림부(81)에 걸린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상 전류가 발생되어 1차측과 2차측의 통전이 끊어지는 경우, 퓨즈(10)의 상측 단부가 공급측 연결부재(5)로부터 이격되고, 퓨즈(10)의 자중에 의해 퓨즈(10)의 상측 단부는 상측에서 우측으로, 우측에서 하측으로 회전된다. 이 때, 퓨즈(10)는 하측에 형성된 회전 걸림부(8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1차측과 2차측의 통전이 끊어짐에 따라 퓨즈(10)가 회전되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퓨즈(10)의 세부적인 구성이 도시된다.
퓨즈(10)는 공급측 연결부재(5)와 수요측 연결부재(7) 사이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 또는 차단하여 1차측과 2차측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거나 차단한다.
퓨즈(10)는 상하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 형성되고, 내부 공간(112)이 상하측으로 관통 형성된 퓨즈 홀더(11)를 구비한다.
퓨즈 홀더(11)의 개방된 상측에는 공급측 연결부재(5)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공급측 접촉자(12)가 결합되고, 퓨즈 홀더(11)의 하부의 좌측에는 수요측 연결부재(7)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수요측 접촉자(13)가 결합된다.
공급측 접촉자(12)와 수요측 접촉자(13)는 퓨즈 홀더(11)의 내부에 삽입되는 퓨즈 링크(14)에 의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퓨즈(10)가 공급측 연결부재(5) 및 수요측 연결부재(7)와 접촉되는 경우, 1차측의 전류가 공급측 접촉자(12), 퓨즈 링크(14) 및 수요측 접촉자(13)를 통해 2차측으로 흐르게 된다.
공급측 접촉자(12)는 공급측 연결부재(5)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공급측 접촉부(121) 및 공급측 접촉부(12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부 공간(112)에 삽입되는 공급측 삽입부(122)를 포함한다.
공급측 삽입부(122)의 하측면에는 퓨즈 링크(14)와의 결합을 위함 결합홈(미도시)가 함몰 형성된다.
퓨즈 링크(14)는 공급측 삽입부(122)와 결합되는 링크 결합부(141)와 링크 결합부(141)에서 연장되는 링크 인출부(142)를 포함한다.
링크 결합부(141)의 상측 단부는 공급측 삽입부(122)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링크 결합부(141)의 상측 단부와 공급측 삽입부(122)의 결합홈은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공급측 접촉자(12)와 퓨즈 링크(14)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공급측 접촉자(12)와 퓨즈 링크(14)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부 공간(112)에 삽입된다.
퓨즈 홀더(11)의 상측 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 체결부(113)가 형성되고, 나사 체결부(113)는 공급측 접촉부(121)의 하측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 체결홈(미도시)와 나사 결합된다.
공급측 접촉부(121)와 퓨즈 홀더(11)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공급측 삽입부(122) 및 링크 결합부(141)는 내부 공간(112)에 수용되며, 링크 인출부(142)가 내부 공간(11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부 공간(112)의 외부로 인출된다.
인출된 링크 인출부(142)는 수요측 접촉자(13)에 형성된 수요측 접촉부(133)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요측 접촉부(133)는 수요측 접촉자(13)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요측 접촉자(13)와 수요측 접촉부(133)의 볼트 헤드 사이에 링크 인출부(142)를 감은 후, 수요측 접촉부(133)를 회전시켜 수요측 접촉부(133)의 볼트 헤드를 수요측 접촉자(13)를 향하여 가압한다. 이를 통해, 수요측 접촉자(13)와 링크 인출부(142)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공급측 접촉자(12), 퓨즈 링크(14), 퓨즈 홀더(11) 및 수요측 접촉자(13)의 결합에 의해 퓨즈(10)가 조립된다.
결합된 퓨즈(10)는 수요측 연결부재(7)와 공급측 연결부재(5)에 결합되어 1차측과 2차측을 통전시키는데, 퓨즈(10), 수요측 연결부재(7) 및 공급측 연결부재(5)의 결합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COS 조작봉(30, 도 8 참조)의 걸림부(31, 도 8 참조)를 수요측 접촉자(13)에 형성된 걸림 링(132)에 삽입한다. 걸림부(31)가 걸림 링(132)에 삽입되면, COS 조작봉(30)을 이용해 퓨즈(10)를 들어올려 퓨즈(10)의 수요측 접촉자(13)를 수요측 지지부재(8)에 근접시킨다.
수요측 접촉자(13)가 수요측 지지부재(8)에 근접되면, 수요측 접촉자(13)에 형성된 걸림 돌부(131)를 회전 걸림부(81)에 삽입하여 맞물린다.
걸림 돌부(131)가 회전 걸림부(81)에 걸려 지지되면, COS 조작봉(30)의 걸림부(31)를 걸림링(132)에서 빼내어 퓨즈 홀더(11)의 상측에 인접하여 형성된 결합 링(111)에 삽입한다.
회전 걸림부(81)가 걸림 돌부(131)에 걸린 상태에서, 퓨즈 홀더(11)의 상측, 즉 공급측 접촉자(12)는 지면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COS 조작봉(30)을 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올리면, 퓨즈 홀더(11)는 회전 걸림부(81)를 회전축으로 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공급측 접촉자(12)가 공급측 연결부재(5)에 접촉되고, 그 결과 퓨즈(10)가 공급측 연결부재(5)와 수요측 연결부재(7)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퓨즈(10)가 공급측 연결부재(5)와 수요측 연결부재(7) 사이에 정확하게 결합되기 위해서는, 퓨즈(10)의 규격과 공급측 연결부재(5) 및 수요측 연결부재(7) 사이의 거리가 대응되야 한다.
다만, 퓨즈(10)의 교체 시 퓨즈 홀더(11)의 손상으로 인해 퓨즈 홀더(11) 자체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는데,
퓨즈 홀더(11)의 경우 제작회사별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므로, 신속한 교체를 위해서는 퓨즈 홀더(11)를 제작회사별로 모두 구비하고 다녀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즉, 가지고 있는 퓨즈 홀더(11)가 현장에 있는 컷아웃스위치(1)와 규격과 맞지 않는 경우, 적합한 퓨즈 홀더(11)를 구하는데 시간이 소요되므로, 전력 공급의 차단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컷아웃스위치용 퓨즈(20)를 제공한다.
아래에서는, 도 1,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퓨즈(20)에 대해 설명한다.
3.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퓨즈(20)에 대한 설명
종래의 컷아웃스위치용 퓨즈(10)와 비교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퓨즈(20)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퓨즈(20)는 연장 방향 길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현장에서 공급측 연결부재(5)와 수요측 연결부재(7) 사이의 거리와 퓨즈(20)의 길이가 맞지 않는 경우, 공급측 연결부재(5)와 수요측 연결부재(7) 사이의 거리와 대응되도록 퓨즈(20)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퓨즈(20)에서는 퓨즈 홀더(21)의 상측 부분과 공급측 접촉자(22)의 형상이 변경된다.
(1) 퓨즈 홀더(21)에 대한 설명
퓨즈 홀더(21)는 상하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퓨즈 홀더(21)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212)이 관통 형성된다.
이에 따라, 퓨즈 홀더(21)의 상측 단부에는 상측을 향하여 개방된 공급측 개방공(212a)이 형성된다.
내부 공간(212)을 형성하는 퓨즈 홀더(21)의 내벽의 부분 중, 공급측 개방공(212a) 인접된 상측 부분에는 상하측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사 체결홈(213)이 형성된다.
(2) 공급측 접촉자(22)에 대한 설명
공급측 개방공(212a)에는 공급측 접촉자(22)가 삽입되고, 공급측 접촉자(22)의 부분 중 공급측 개방공(212a)을 통해 삽입된 부분은 제1 나사 체결홈(213)과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은 나사 결합일 수 있다.
공급측 접촉자(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 결합부와 제1 나사 체결홈(213)이 서로 나사 결합되며, 공급측 접촉자(22)의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공급측 접촉자(22)와 제1 나사 체결홈(213)의 상하방향 결합 길이가 가변된다.
일 실시 예에서, 공급측 접촉자(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공급측 접촉자(22)와 제1 나사 체결홈(213)의 결합 길이가 증가되어 퓨즈(20)의 연장 방향 길이가 단축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공급측 접촉자(22)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공급측 접촉자(22)와 제1 나사 체결홈(213)의 결합 길이가 짧아져 퓨즈(20)의 연장 방향 길이가 증가된다.
공급측 접촉자(22)는 하측이 퓨즈 홀더(21)의 공급측 개방공(212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길이조절부(23) 및 하측이 제1 길이조절부(23)의 상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길이조절부(24)를 포함한다.
제1 길이조절부(23)의 부분 중, 퓨즈 홀더(21)의 공급측 개방공(212a)을 통해 삽입되는 부분의 길이는, 상하 방향을 따라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길이조절부(24)의 부분 중, 제1 길이조절부(23)의 상측에 삽입되는 부분의 길이는, 상하 방향을 따라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퓨즈(20)는 제1 길이조절부(23) 및 제2 길이조절부(24)에 의해 연장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제1 길이조절부(23)는 제1 회전 파지부(231) 및 제1 삽입부(232)를 포함한다.
제1 회전 파지부(231)는 제1 길이 조절부(23)를 시계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회전 파지부(231)의 외주면은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회전 파지부(231)의 외주면은 너트의 외주면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 파지부(231)의 상측 면에는 후술할 제2 길이조절부(24)와 결합되는 제2 나사 체결홈(233)이 함몰 형성된다.
제1 회전 파지부(231)의 하측으로는 제1 삽입부(232)가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삽입부(232)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부(232)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사 체결부(2321)가 형성된다.
제1 나사 체결부(2321)가 제1 나사 체결홈(213)과 나사 결합됨에 따라 제1 길이조절부(23)가 퓨즈 홀더(21)에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길이 조절부(2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나사 체결부(2321) 와 제1 나사 체결홈(213)의 결합 길이가 증가되어 퓨즈(20)의 연장 방향 길이가 단축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제1 길이 조절부(23)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나사 체결부(2321)와 제1 나사 체결홈(213)의 결합 길이가 짧아져 퓨즈(20)의 연장 방향 길이가 증가된다.
제1 나사 체결부(2321) 및 제1 나사 체결홈(213)에는 동일한 규격의 제1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나사 체결부(2321)와 제1 나사 체결홈(213)이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나사 체결부(2321)에 형성된 제1 나사산의 높이 및 인접된 제1 나사산 사이의 거리인 나사 피치는, 제1 나사 체결홈(213)에 형성된 제1 나사산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길이조절부(24)는 공급측 접촉부(241) 및 제2 삽입부(242)를 포함한다.
공급측 접촉부(241)는 공급측 연결부재(5)와 접촉되는 부분이며, 제2 길이 조절부(24)를 시계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이다.
일 실시 예에서, 공급측 접촉부(241)의 외주면은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급측 접촉부(241)의 외주면은 너트의 외주면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급측 접촉부(241)의 상측부는 반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측 접촉부(241)의 하측으로는 제2 삽입부(242)가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삽입부(242)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부(242)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 나사 체결부(2421)가 형성된다.
제2 나사 체결부(2421)가 제2 나사 체결홈(233)과 나사 결합됨에 따라 제2 길이조절부(24)가 제1 길이조절부(23)에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길이 조절부(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2 나사 체결부(2421) 와 제2 나사 체결홈(233)의 결합 길이가 증가되어 퓨즈(20)의 연장 방향 길이가 단축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제2 길이 조절부(24)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2 나사 체결부(2421)와 제2 나사 체결홈(233)의 결합 길이가 짧아져 퓨즈(20)의 연장 방향 길이가 증가된다.
제2 나사 체결부(2421) 및 제2 나사 체결홈(233)에는 동일한 규격의 제2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나사 체결부(2421)와 제2 나사 체결홈(233)이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나사 체결부(2421)에 형성된 제2 나사산의 높이 및 인접된 제2 나사산 사이의 거리인 나사 피치는, 제2 나사 체결홈(233)에 형성된 제2 나사산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퓨즈(20)는 2단으로 연장방향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하 방향으로 제1 나사 체결부(2321)와 제1 나사 체결홈(213)이 서로 결합된 길이인 제1 결합 길이는, 제1 나사 체결부(2321)의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가변된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 나사 체결부(2421)와 제2 나사 체결홈(233)이 서로 결합된 길이인 제2 결합 길이는 제2 나사 체결부(2421)의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가변된다.
또한, 제2 길이조절부(24)는 제1 길이조절부(23)에 비해 퓨즈(20)의 연장 방향 길이를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나사 체결부(2321)와 제1 나사 체결홈(213)에 형성된 제1 나사산 중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된 제1 나사산 사이는 제1 나사 피치로 이격되고, 제2 나사 체결부(2421)와 제2 나사 체결홈(233)에 형성된 제2 나사산 중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된 제2 나사산 사이는 제2 나사 피치로 이격된다.
제1 나사 피치는 제2 나사 피치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 길이조절부(23)의 1바퀴 회전에 의해 가변되는 퓨즈(20)의 길이 값이 제2 길이조절부(24)의 1바퀴 회전에 의해 가변되는 퓨즈(20)의 길이 값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길이 조절부(23)를 회전시켜 전체적인 길이를 조정한 후, 제2 길이 조절부(24)의 회전에 의해 미세한 길이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변되는 길이를 표시하기 위하여, 제1 나사 체결부(2321)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높이 표시점(2321a)이 형성된다.
또한, 제2 나사 체결부(2421)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높이 표시점(2421a)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제1 높이 표시점(2321a) 중 서로 인접된 두 개의 제1 높이 표시점(2321a) 사이의 거리는, 복수 개의 제2 높이 표시점(2421a) 중 서로 인접된 두 개의 제2 높이 표시점 (2421a)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 길이조절부(23)의 하측면에는 링크 결합홈(2322)이 함몰 형성되며, 링크 결합홈(2322)에는 퓨즈 링크(25)의 링크 결합부(251)에 형성된 링크 결합돌부(2511)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에 의해, 제1 길이조절부(23)와 퓨즈 링크(25)가 서로 결합된다.
링크 결합홈(2322)과 링크 결합돌부(2511)은 나사 체결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링크 결합부(251)의 하측으로는 링크 인출부(252)가 연장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퓨즈 링크(25)의 구조 및 기능은 종래의 퓨즈 링크(14)와 동일하므로, 퓨즈 링크(25)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퓨즈(20)의 길이조절은, 퓨즈(20)의 교체를 위하여 퓨즈(20)를 컷아웃스위치(1)에서 분리한 후에 수행되는 과정이다.
퓨즈(20)의 길이조절에 앞서 퓨즈(20)를 컷아웃스위치(1)에서 분리하여 지상 또는 작업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이 선행된다.
퓨즈(20)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작업자는 퓨즈(20)의 수요측 접촉자(26)에 구비된 걸림 링(29)에 COS 조작봉(30)의 걸림부(31)를 삽입한 후, COS 조작봉(30)을 들어올려 걸림부(81)로부터 퓨즈(20)를 빼내야 한다.
다만, 작업자는 안전을 위하여 컷아웃스위치(1)와 4~5m의 안전 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COS 조작봉(30)은 적어도 4m 이상의 길이를 구비한다.
따라서, 기상이 악화되거나 야간에 작업하는 경우, COS 조작봉(30)의 걸림부(31)를 퓨즈(20)의 걸림 링(29)에 삽입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어, 퓨즈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퓨즈(20)에 구비된 걸림 링(29)은 일 방향을 따라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걸림부(31)의 걸림 링(29)으로의 삽입이 보다 수월해질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걸림 링(29)이 형성된 수요측 접촉자(26)에 대해 설명한다.
(3) 수요측 접촉자(26)에 대한 설명
본 실시 예에 따른 수요측 접촉자(26)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걸림 링(29)을 포함한다.
1차측과 2차측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됨에 따라, 퓨즈(20)는 수요측 지지부재(8)에 걸린 상태로 지면을 향하여 회전된다.
이 경우, 걸림 링(29)의 부분 중 상측 부분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데, 본 실시 예에 따른 걸림 링(29)은 상측 부분이 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COS 조작봉(30)의 걸림부(31)를 걸림 링(29)의 상측 부분에 대고 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걸림부(31)가 걸림 링(29)에 수월하게 삽입될 수 있다. 걸림부(31)가 걸림 링(29)에 삽입되는 과정은 도 9에 상세하게 도시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수요측 접촉자(26)는 퓨즈 홀더(21)의 하부 좌측에 결합된 접촉자 몸체(27)를 구비한다.
접촉자 몸체(27)의 좌측에는 수요측 연결부재(7)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요측 접촉부(28)가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요측 접촉부(28)에는 퓨즈 홀더(21)의 하측에 형성된 수요측 개방공(212b)을 통해 인출된 링크 인출부(252)가 결합된다. 링크 인출부(252)의 결합 과정은 종래의 링크 인출부(142)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접촉자 몸체(27)의 전후방측에는 걸림 돌부(271)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걸림 돌부(271)는 회전 걸림부(81)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부분으로서, 본 실시 예에 따른 걸림 돌부(271)는 종래의 걸림 돌부(131)와 구조 및 기능에 있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접촉자 몸체(27)의 상측에는 걸림 링(29)이 형성된다.
걸림 링(29)은 퓨즈 홀더(21)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퓨즈 홀더(21)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은, 1차측과 2차측의 통전이 차단된 상태에서, 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가리킨다.
걸림 링(29)는 좌우측으로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각 단부가 서로를 향하여 굽어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링 몸체부(291, 292)를 포함한다.
제1 링 몸체부(291)는 접촉자 몸체(27)의 좌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그 단부가 우측을 향하여 굽어지도록 형성된다.
제2 링 몸체부(292)는 접촉자 몸체(27)의 우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그 단부가 좌측을 향하여 굽어지도록 형성된다.
제1 링 몸체부(291)의 단부와 제2 링 몸체부(292)의 단부는 좌우측으로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며, 제1 링 몸체부(291)의 단부와 제2 링 몸체부(292)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해 걸림 링(29)이 상측을 향하여 개방된다.
또한, 걸림 링(29)은 제1 링 몸체부(291)의 단부와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링 몸체부(292)의 단부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링 개폐부(293)를 포함한다.
링 개폐부(293)가 제2 링 몸체부(292)의 단부와 접촉됨에 따라 걸림 링(29)이 폐쇄되고, 링 개폐부(293)가 제2 링 몸체부(292)의 단부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걸림 링(29)이 개방된다.
링 개폐부(293)의 우측 단부는 제2 링 몸체부(292)의 단부에 하측에 배치된다. 즉, 제2 링 몸체부(292)의 단부와 링 개폐부(293)의 우측 단부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링 개폐부(293)의 우측 단부와 제2 링 몸체부(292)가 서로 접촉되는 각 부분은 상하 방향을 따라 중첩된다.
구체적으로, 제2 링 몸체부(292)의 단부와 링 개폐부(293)의 우측 단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링 개폐부(293)와 제2 링 몸체부(292)가 서로 접촉되는 각 부분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링 개폐부(293)가 걸림 링(29)의 내부를 향해서만 회전될 수 있다. 즉, 링 개폐부(293)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다.
제2 링 몸체부(292)의 단부와 링 개폐부(293)의 우측 단부는 서로 맞물리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링 몸체부(292)의 단부(2921)의 두께보다 상기 단부(2921)와 인접된 부분(2922)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링 개폐부(293)의 우측 단부(2932)의 두께보다 상기 우측 단부(2932)와 인접된 부분(2933)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 몸체부(291)의 단부에는 전후방 측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1 힌지(2911)가 형성되고, 제1 링 몸체부(291)의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 개폐부(293)의 좌측 단부에는 제2 힌지(2931)가 형성된다. 제2 힌지(2931)는 한 쌍의 제1 힌지(2911) 사이에 배치된다.
한 쌍의 제1 힌지(2911)와 제2 힌지(2931)가 전후방측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나열되면, 한 쌍의 제1 힌지(2911) 및 제2 힌지(2931)는 회전축(294)에 의해 관통된다. 이에 따라, 제1 링 몸체부(291)와 링 개폐부(29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축(294)의 부분 중 한 쌍의 제1 힌지(2911)와 제2 힌지(2931)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은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295)에 의해 감싸진다.
토션 스프링(295) 회전축(294)을 감싸며 권취되는 몸체부(2951) 및 몸체부(2951)의 양 단에서 돌출되는 한 쌍의 가압부(2952)를 포함한다.
한 쌍의 가압부(2952) 중 어느 하나는 링 개폐부(293)의 부분 중 걸림 링(29)의 내측을 향하는 일측 면에 접촉되고, 한 쌍의 가압부(2952) 중 다른 하나는 제1 링 몸체부(291)의 부분 중 걸림 링(29)의 내측을 향하는 내주면에 접촉된다.
링 개폐부(293)가 걸림 링(29)의 내측을 향하여 회전되어 걸림 링(29)이 개방되는 경우, 토션 스프링(295)의 가압부(2952)는 걸림 링(29)을 폐쇄되는 방향으로 링 개폐부(293)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COS 조작봉(30)의 걸림부(31)가 링 개폐부(293)를 밀어 걸림 링(29)에 내측으로 삽입되면, 링 개폐부(293)는 토션 스프링(295)에 의해 가압되어 걸림 링(29)을 폐쇄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컷아웃스위치(Cut Out Switch, COS)
2: 애자
3: 공급측 단자
4: 수요측 단자
5: 공급측 연결부재
6: 공급측 지지부재
7: 수요측 연결부재
8: 수요측 지지부재
81: 회전 걸림부
10: 퓨즈
11: 퓨즈 홀더
111: 결합 링
112: 내부 공간
113: 나사 체결부
12: 공급측 접촉자
121: 공급측 접촉부
122: 공급측 삽입부
13: 수요측 접촉자
132: 걸림 링
131: 걸림 돌부
133: 수요측 접촉부
14: 퓨즈 링크
141: 링크 결합부
142: 링크 인출부
20: 퓨즈
21: 퓨즈 홀더
211: 결합 링
212: 내부 공간
212a: 공급측 개방공
212b: 수요측 개방공
22: 공급측 접촉자
23: 제1 길이조절부
231: 제1 회전파지부
232: 제1 삽입부
2321: 제1 나사체결부
2321a: 제1 높이 표시점
2322: 링크 결합홈
233: 제2 나사 체결홈
24: 제2 길이조절부
241: 공급측 접촉부
242: 제2 삽입부
2421: 제2 나사 체결부
2421a: 제2 높이 표시점
25: 퓨즈 링크
251: 링크 결합부
2511: 링크 결합돌부
252: 링크 인출부
26: 수요측 접촉자
27: 접촉자 몸체
271: 걸림 돌부
28: 수요측 접촉부
29: 걸림 링
291: 제1 링 몸체부
2911: 제1 힌지
292: 제2 링 몸체부
2921: 제1 부분
2922: 제2 부분
293: 제1 링 개페부
2931: 제2 힌지
2932: 제1 부분
2933: 제2 부분
294: 힌지 결합축
295: 토션 스프링
2951: 스프링 몸체부
2952: 스프링 가압부
30: COS 조작봉
31: 걸림부

Claims (34)

  1. 일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관통 형성되어 양 측이 개방된 퓨즈 홀더;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의 개방된 부분에 소정 길이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급측 접촉자;
    상기 퓨즈 홀더의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일 단이 상기 공급측 접촉자의 부분 중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부분과 결합되고, 타 단이 상기 퓨즈 홀더의 타 측의 개방된 부분의 외부로 인출되는 퓨즈 링크; 및
    상기 퓨즈 홀더의 타 측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퓨즈 홀더의 부분 중 상기 퓨즈 홀더의 외부로 인출된 부분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요측 접촉자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측 접촉자가 상기 퓨즈 홀더에 삽입되는 길이인 상기 소정 길이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퓨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측 접촉자는,
    일 측이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길이조절부; 및
    일 측이 상기 제1 길이조절부의 타 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퓨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조절부의 부분 중,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는 부분의 길이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길이조절부의 부분 중, 상기 제1 길이조절부의 타 측에 삽입되는 부분의 길이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퓨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조절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벽의 부분 중, 상기 퓨즈 홀더의 개방된 일 측에 인접된 부분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사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1 나사 체결홈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길이조절부와 상기 퓨즈 홀더가 서로 결합되는,
    퓨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1 나사 체결홈이 서로 결합된 길이는,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의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가변되는,
    퓨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의 타 측에는 상기 제2 길이조절부를 향하여 개방되고, 내주면에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나사 구조가 형성된 제2 나사 체결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 길이조절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2 나사 체결홈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2 길이조절부가 서로 결합되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2 나사 체결홈이 서로 결합된 길이는,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의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가변되는,
    퓨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조절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벽의 부분 중, 상기 퓨즈 홀더의 개방된 일 측에 인접된 부분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사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1 나사 체결홈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길이조절부와 상기 퓨즈 홀더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의 타 측에는 상기 제2 길이조절부를 향하여 개방되고, 내주면에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나사 구조가 형성된 제2 나사 체결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2 길이조절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2 나사 체결홈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2 길이조절부가 서로 결합되는,
    퓨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1 나사 체결홈이 서로 결합된 길이인 제1 결합 길이는,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의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가변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2 나사 체결홈이 서로 결합된 길이인 제2 결합 길이는,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의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가변되는,
    퓨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 체결부 및 제1 나사 체결홈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 체결부 및 제2 나사 체결홈에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서로 인접된 제1 나사산 사이의 거리인 제1 나사 피치는,
    상기 일 방향으로 서로 인접된 제2 나사산 사이의 거리인 제2 나사 피치보다 크게 형성되는,
    퓨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높이 표시점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높이 표시점이 형성되는,
    퓨즈.
  12. 제1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제1 높이 표시점 중 서로 인접된 두 개의 제1 높이 표시점 사이의 거리는,
    복수 개의 상기 제2 높이 표시점 중 서로 인접된 두 개의 제2 높이 표시점 사이의 거리보다 크기 형성되는,
    퓨즈.
  13. 일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관통 형성되어 양 측이 개방된 퓨즈 홀더;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의 개방된 부분에 소정 길이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급측 접촉자;
    상기 퓨즈 홀더의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일 단이 상기 공급측 접촉자의 부분 중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부분과 결합되고, 타 단이 상기 퓨즈 홀더의 타 측의 개방된 부분의 외부로 인출되는 퓨즈 링크; 및
    상기 퓨즈 홀더의 타 측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퓨즈 홀더의 부분 중 상기 퓨즈 홀더의 외부로 인출된 부분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요측 접촉자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측 접촉자는 컷아웃스위치(Cut Out Switch, COS)의 일 단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고, 상기 수요측 접촉자는 상기 컷아웃스위치의 타 단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며,
    상기 공급측 접촉자는,
    일 측이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길이조절부; 및
    일 측이 상기 제1 길이조절부의 타 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길이조절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벽의 부분 중, 상기 퓨즈 홀더의 개방된 일 측에 인접된 부분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사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1 나사 체결홈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길이조절부와 상기 퓨즈 홀더가 서로 결합되는,
    퓨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1 나사 체결홈이 서로 결합된 길이인 제1 결합 길이는,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의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가변되는,
    퓨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의 타 측에는 상기 제2 길이조절부를 향하여 개방되고, 내주면에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나사 구조가 형성된 제2 나사 체결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2 길이조절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2 나사 체결홈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2 길이조절부가 서로 결합되는,
    퓨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2 나사 체결홈이 서로 결합된 길이인 제2 결합 길이는,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의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가변되는,
    퓨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 체결부 및 제1 나사 체결홈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 체결부 및 제2 나사 체결홈에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서로 인접된 제1 나사산 사이의 거리인 제1 나사 피치는,
    상기 일 방향으로 서로 인접된 제2 나사산 사이의 거리인 제2 나사 피치보다 크게 형성되는,
    퓨즈.
  18. 일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관통 형성되어 양 측이 개방된 퓨즈 홀더;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의 개방된 부분에 소정 길이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급측 접촉자;
    상기 퓨즈 홀더의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일 단이 상기 공급측 접촉자의 부분 중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부분과 결합되고, 타 단이 상기 퓨즈 홀더의 타 측의 개방된 부분의 외부로 인출되는 퓨즈 링크; 및
    상기 퓨즈 홀더의 타 측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퓨즈 홀더의 부분 중 상기 퓨즈 홀더의 외부로 인출된 부분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요측 접촉자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측 접촉자는 컷아웃스위치(Cut Out Switch, COS)의 일 단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고, 상기 수요측 접촉자는 상기 컷아웃스위치의 타 단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며,
    상기 수요측 접촉자는 링(ring) 형태의 걸림 링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 링은,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퓨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링은,
    양 단이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링 몸체부; 및
    상기 링 몸체부의 일 단과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링 몸체부의 타 단과 접촉 또는 이격되는 링 개폐부를 포함하는,
    퓨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링 몸체부의 타 단과 상기 링 개폐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링 개폐부와 상기 링 몸체부의 서로 접촉되는 각 부분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중첩되는,
    퓨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링 몸체부의 타 단과 상기 링 개폐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링 개폐부과 상기 링 몸체부의 서로 접촉되는 각 부분은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퓨즈.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링 몸체부의 타 단과 상기 링 개폐부의 단부는 서로 맞물리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퓨즈.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링 몸체부의 일 단에는,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1 힌지가 형성되고,
    상기 링 몸체부의 일 단과 결합되는 상기 링 개폐부의 단부에는 한 쌍의 상기 제1 힌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힌지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제1 힌지 및 상기 제2 힌지를 관통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퓨즈.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부분 중 한 쌍의 상기 제1 힌지와 상기 제2 힌지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은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에 의해 감싸지는,
    퓨즈.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회전축을 감싸며 권취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 단에서 돌출되는 한 쌍의 가압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가압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링 개폐부의 부분 중 상기 걸림 링의 내측을 향하는 일측 면에 접촉되며,
    한 쌍의 상기 가압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링 몸체부의 부분 중 상기 걸림 링의 내측을 향하는 내주면에 접촉되는,
    퓨즈.
  26. 일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관통 형성되어 양 측이 개방된 퓨즈 홀더;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의 개방된 부분에 소정 길이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급측 접촉자;
    상기 퓨즈 홀더의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일 단이 상기 공급측 접촉자의 부분 중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부분과 결합되고, 타 단이 상기 퓨즈 홀더의 타 측의 개방된 부분의 외부로 인출되는 퓨즈 링크; 및
    상기 퓨즈 홀더의 타 측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퓨즈 홀더의 부분 중 상기 퓨즈 홀더의 외부로 인출된 부분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요측 접촉자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측 접촉자는 컷아웃스위치(Cut Out Switch, COS)의 일 단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고, 상기 수요측 접촉자는 상기 컷아웃스위치의 타 단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며,
    상기 공급측 접촉자는,
    일 측이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길이조절부; 및
    일 측이 상기 제1 길이조절부의 타 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길이조절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벽의 부분 중, 상기 퓨즈 홀더의 개방된 일 측에 인접된 부분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사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1 나사 체결홈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길이조절부와 상기 퓨즈 홀더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수요측 접촉자는 링(ring) 형태의 걸림 링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 링은,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에서 타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퓨즈.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링은,
    양 단이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퓨즈 홀더의 일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링 몸체부; 및
    상기 링 몸체부의 일 단과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링 몸체부의 타 단과 접촉 또는 이격되는 링 개폐부를 포함하는,
    퓨즈.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링 몸체부의 타 단과 상기 링 개폐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링 개폐부와 상기 링 몸체부의 서로 접촉되는 각 부분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중첩되는,
    퓨즈.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링 몸체부의 일 단에는,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1 힌지가 형성되고,
    상기 링 몸체부의 일 단과 결합되는 상기 링 개폐부의 단부에는 한 쌍의 상기 제1 힌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힌지가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제1 힌지 및 상기 제2 힌지를 관통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퓨즈.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부분 중 한 쌍의 상기 제1 힌지와 상기 제2 힌지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은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에 의해 감싸지고,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회전축을 감싸며 권취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 단에서 돌출되는 한 쌍의 가압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가압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링 개폐부의 부분 중 상기 걸림 링의 내측을 향하는 일측 면에 접촉되며,
    한 쌍의 상기 가압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링 몸체부의 부분 중 상기 걸림 링의 내측을 향하는 내주면에 접촉되는,
    퓨즈.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1 나사 체결홈이 서로 결합된 길이인 제1 결합 길이는,
    상기 제1 나사 체결부의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가변되는,
    퓨즈.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의 타 측에는 상기 제2 길이조절부를 향하여 개방되고, 내주면에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나사 구조가 형성된 제2 나사 체결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2 길이조절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 나사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2 나사 체결홈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2 길이조절부가 서로 결합되는,
    퓨즈.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와 상기 제2 나사 체결홈이 서로 결합된 길이인 제2 결합 길이는,
    상기 제2 나사 체결부의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가변되는,
    퓨즈.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 체결부 및 제1 나사 체결홈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 체결부 및 제2 나사 체결홈에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서로 인접된 제1 나사산 사이의 거리인 제1 나사 피치는,
    상기 일 방향으로 서로 인접된 제2 나사산 사이의 거리인 제2 나사 피치보다 크게 형성되는,
    퓨즈.
KR1020200058614A 2020-05-15 2020-05-15 컷아웃스위치용 퓨즈 KR102356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614A KR102356167B1 (ko) 2020-05-15 2020-05-15 컷아웃스위치용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614A KR102356167B1 (ko) 2020-05-15 2020-05-15 컷아웃스위치용 퓨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226A true KR20210141226A (ko) 2021-11-23
KR102356167B1 KR102356167B1 (ko) 2022-01-28

Family

ID=78695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614A KR102356167B1 (ko) 2020-05-15 2020-05-15 컷아웃스위치용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1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1016A (ko) * 2022-07-18 2024-01-25 한국전력공사 컷아웃스위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972B1 (ko) * 2005-04-20 2006-09-20 김종수 측정제품의 지지 및 지지점의 상대높이측정 지그
KR101019744B1 (ko) * 2010-06-30 2011-03-08 한국전력공사 컷아웃 스위치의 퓨즈홀더 교체 장치
KR20120006152U (ko) * 2011-02-24 2012-09-03 한국전력공사 후크형 특고압 컷아웃 스위치 퓨즈홀더
KR20130077533A (ko) * 2011-12-29 2013-07-09 한국전력공사 접속재 고정장치
KR20140062775A (ko) * 2012-11-15 2014-05-26 한국전력공사 컷아웃 스위치
KR102085519B1 (ko) 2018-11-08 2020-03-06 한국전력공사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 미개방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972B1 (ko) * 2005-04-20 2006-09-20 김종수 측정제품의 지지 및 지지점의 상대높이측정 지그
KR101019744B1 (ko) * 2010-06-30 2011-03-08 한국전력공사 컷아웃 스위치의 퓨즈홀더 교체 장치
KR20120006152U (ko) * 2011-02-24 2012-09-03 한국전력공사 후크형 특고압 컷아웃 스위치 퓨즈홀더
KR20130077533A (ko) * 2011-12-29 2013-07-09 한국전력공사 접속재 고정장치
KR20140062775A (ko) * 2012-11-15 2014-05-26 한국전력공사 컷아웃 스위치
KR102085519B1 (ko) 2018-11-08 2020-03-06 한국전력공사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 미개방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1016A (ko) * 2022-07-18 2024-01-25 한국전력공사 컷아웃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167B1 (ko)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3083B2 (en) Fusible switching disconnect modules and devices with in-line current detection
EP2426687A2 (en) Modular fuse holder
US20190066959A1 (en) Fusible switching disconnect modules and devices with tripping coil
US11217413B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fusible switching disconnect modules and devices
BRPI0806602B1 (pt) dispositivos de desconexão de comutador do fusível
US20080158788A1 (en) Panelboard for fusible switching disconnect devices
KR101689727B1 (ko) 고전압용 커넥터
KR20130005229A (ko) 비틀림 제한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기 퓨즈
US7498528B2 (en) Conductor connection
US11355299B2 (en) Fusible switching disconnect modules and devices with in-line current detection
CN113811972A (zh) 合规的危险环境电路保护装置、系统和方法
KR102356167B1 (ko) 컷아웃스위치용 퓨즈
US20230015826A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fusible switching disconnect modules and devices
US20110079494A1 (en) Battery for hybrid vehicles with a safety device for interrupting a high-voltage circuit
US10026580B2 (en) Compact modular fuse block with integrated fuse clearance
KR20160047888A (ko) 초고압 차단기의 투입 저항 지지 구조
EP3413329A1 (en) Wiring-improved structure for rotary double-breakpoint switch contact system
CN101599399B (zh) 熔丝保持器
KR101019744B1 (ko) 컷아웃 스위치의 퓨즈홀더 교체 장치
US9170293B2 (en) Power line indicator accessory for fusible circuit protection device array
KR20070082622A (ko) 컷아웃 스위치용 연결로드
KR100855637B1 (ko) 고전압 차단기용 탭접속기
EP4283790A1 (en) Screw contact power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such a connector
KR200415987Y1 (ko) 컷아웃 스위치용 연결로드
US11508538B1 (en) Insulation device and load break fuse cutout assembly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