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032A - 휴대용 핸드 드릴을 이용한 지반조사용 시료 채취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핸드 드릴을 이용한 지반조사용 시료 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032A
KR20210141032A KR1020200058106A KR20200058106A KR20210141032A KR 20210141032 A KR20210141032 A KR 20210141032A KR 1020200058106 A KR1020200058106 A KR 1020200058106A KR 20200058106 A KR20200058106 A KR 20200058106A KR 20210141032 A KR20210141032 A KR 20210141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ground
guide member
hand dril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2348B1 (ko
Inventor
윤광현
조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이앤씨
Priority to KR1020200058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348B1/ko
Publication of KR20210141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involving an extracting tool, e.g. core b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4Sampling of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9/00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 E21B49/02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by mechanically taking samples of the soi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핸드 드릴을 이용한 지반조사용 시료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지며 일측에 가이드레일(210)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00);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가이드레일(210)을 따라 상하 이동되며 일측에 핸드 드릴(100)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드릴 고정부(320)가 형성되는 레일블럭(300); 상기 핸드 드릴(100)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커플링(400); 상기 커플링(400)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단에 가공날을 형성하는 코어드릴(500); 상기 코어드릴(500)의 공간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일체를 이루게 되는 시료 채취관(6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반 조사를 위한 토양 시료 채취 장소까지 작업자가 휴대하여 쉽고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작업 위치에서 작업자가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핸드 드릴을 이용한 지반조사용 시료 채취기{A sampler device for investigation of ground using hand drill}
본 발명은 지반조사를 위한 시료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의 기계 장비 등을 설치할 수 없는 협소 지역에서 작업자가 휴대 간편한 상태로 이동시켜 설치한 후 안전하게 토양의 불교란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핸드 드릴을 이용한 지반조사용 시료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양은 식량 생산기능, 지하수 함양기능, 홍수 조절기능, 정화기능, 생태계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갖는 토양은 개발 초기 기초공사의 시공에 필요한 자료를 획득하기 위해 지질조사를 하게 되고 지질조사를 통한 분석을 통해 적정한 용도로 개발하고 있다.
종래 토양 지질조사를 위해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초기에는 곡괭이, 삽, 모종삽 등과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토양을 적정량 채취하였으나, 이후 별도의 채취기를 이용해서 토양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이때 토양 표면의 잡초나 유기물 등 이물질을 제거한 후 채취기로 토양의 시료를 채취하여 왔었다.
상기한 기존의 지질조사에 적용되는 채취기 장비를 살펴보면, 지오프로브(geoprobe)와 같은 원동기가 부착된 토양시료 채취기를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한 예가 있으나, 이는 장비가 커서 차량이 진입할 수 없는 지역이나 협소한 지역에서는 토양시료를 채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협소 지역에서는 주로 수동 채취기가 적용되는데 이 경우 인력으로 채취봉을 지층에 삽입하여 일정 깊이의 토양을 채취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시료가 교란되기 때문에 정확한 지질조사 및 토양의 물성치를 얻기 힘든 문제점이 있어왔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특허등록 제10-1307157호 등록일 2013.09.05 KR 특허등록 제10-1994660호 등록일 2019.06.25 KR 실용신안등록 제20-0100977호 등록일 2000.05.01 KR 특허등록 제10-1667477호 등록일 2016.10.12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대형의 채취기가 접근하지 못하는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협소 지역에서도 토양 시료 채취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채취기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작업자가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작업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교란되지 않은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불교란 시료 채취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지며 일측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되며 일측에 핸드 드릴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드릴 고정부가 형성되는 레일블럭; 상기 핸드 드릴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커플링; 상기 커플링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단에 가공날을 형성하는 코어드릴; 상기 코어드릴의 공간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일체를 이루게 되는 시료 채취관을 포함하여 개시한다.
상기 레일블럭의 일측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가이드부재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랙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기 레일블럭이 이동되도록 하는 회전레버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에 받침이 외향으로 돌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에 상기 받침이 슬라이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저면에 지중 고정을 위한 복수의 지면 고정용 쐐기가 구비되고, 표면 중심에 코어드릴을 안내하는 코어 안내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받침이 슬라이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표면에, 상단에 손잡이가 구비된 가이드봉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지반 조사를 위한 토양 시료 채취 장소까지 작업자가 휴대하여 쉽고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작업 위치에서 작업자가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말해, 작업자가 지반 조사를 위한 시료 채취시 휴대 형태로 이동시킨 후 현장에서 설치후 바로 토양의 불료간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토양 정밀조사, 토양 환경평가, 토양 정화 등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핸드 드릴을 이용한 지반조사용 시료 채취기의 설치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설치상태를 단면으로 표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로서 시료 채취기가 지면에 안전하고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플레이트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고정플레이트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핸드 드릴을 이용한 지반조사용 시료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에 의하여 전원 인가에 따라 구동축이 정역 회전되는 핸드 드릴(100)과,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부재(200)와, 상기 가이드부재(200)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핸드 드릴(100)이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레일블럭(300)과, 상기 핸드 드릴(100)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커플링(400)과, 상기 커플링(40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 회전과 함께 회전되어 지면에 구멍을 형성하게 되는 코어드릴(500)과, 상기 코어드릴(5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중 시료를 채취하게 되는 시료 채취관(6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핸드 드릴(100)은, 공지와 동일한 것으로 전원 인가시 몸체의 선단에 구비된 구동축(11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축(110)에는 상기 코어드릴(500)의 결합을 위한 커플링(400)이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지며 양측에 상기 레일블럭(300)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21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측 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랙기어(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하단에는 사용자가 발디딤 또는 지면에 하중을 통해 고정 할 수 있도록 수평한 받침(230)이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상기 받침(230)의 상면에 발을 디딤한 후 상기 레일블럭(300)을 이동시키면 상기 레일블럭(300)이 상하로 간편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200)에 형성된 랙기어(220)에는 피니언기어(340)가 치합되며, 상기 피니언기어(340)는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랙기어(22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피니언기어(340)는 회전축(342)을 통해 상기 레일블럭(300)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342)의 단부에는 상기 피니언기어(34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레버(345)가 구비된다.
이에따라, 상기 레일블럭(300)의 일측에 위치한 상기 회전레버(345)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342)이 회전되면서 피니언기어(340)를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되는 상기 피니언기어(340)는 기어 치합된 랙기어(22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레일블럭(300)은, 상기 가이드부재(200)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핸드 드릴(100)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드릴 고정부(32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200)이 통과하도록 수직안내홀(310) 및 상기 수직안내홀(310)의 양쪽 내벽에 상기 가이드레일(210)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가이드돌기(312)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200)에 상기 레일블럭(300)을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레일블럭(300)에 형성된 수직안내홀(310)의 가이드돌기(312)에 가이드부재(200)의 가이드레일(210)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200)에 대해 상기 레일블럭(30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릴 고정부(320)는, 상기 레일블럭(300)에서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측에는 걸림단이 형성되어 상기 핸드 드릴(100)이 올려지게 되면 상기 핸드 드릴(100)을 이루는 몸체가 안착되면서 안정되게 위치되고 별도의 체결구 등을 포함하는 결합수단을 통해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상기 커플링(400)은, 코어드릴(500)의 이동거리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핸드 드릴(100)의 선단 구동축과 상기 코어드릴(500)을 일체로 연결하게 된다. 즉, 상기 커플렝(400)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축과 일체를 이루며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축 고정부(4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코어드릴(500)과 일체를 이루며 회전될 수 있도록 드릴 고정부(420)가 형성된다.
상기 코어드릴(500)은, 공지 기술로 지면에 코어를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중공의 내측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단부는 상기 드릴 고정부(420)에 고정되도록 고정부((510)가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 단부에는 회전시 지면에 구멍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바이트(520)가 구비된다.
상기 시료 채취관(600)은, 금속, 목재,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코어드릴(400)의 공간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일체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코어드릴(500)의 내측에 상기 시료 채취관(600)을 삽입시 이들이 일체로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코어드릴(500)의 외측에 직교방향으로 구멍(530)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시료 채취관(600)의 일측에 직교방향으로 구멍(630)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구멍이 상호 일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결합핀(560)을 통해 고정하면 상기 코어드릴(500)에 대해 상기 시료 채취관(600)이 일체를 이루며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핸드 드릴을 이용한 지반조사용 시료 채취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반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업자가 손으로 들 수 있는 크기 즉, 핸드 드릴(100)과, 가이드부재(200), 레일블럭(300), 커플링(400), 코어드릴(500), 시료채취관(600)을 별도로 분리후 설치 장소로 이동시키면 된다.
설치시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이드부재(200)에 레일블럭(300)을 설치하고, 레일블럭(300)에 핸드드릴(100)을 설치한 다음, 핸드드릴(100)에 커플링(400)을 결합시키고 상기 커플링(400)에 코어드릴(500)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코어드릴(500)에 시료채취관(600)을 설치하면 된다.
작업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이드부재(200)를 설치장소에 위치시킨 후 작업자의 발을 받침(230)에 디딤되도록 한 후 회전레버(345)를 회전시키면 된다. 그러면 회전레버(345)가 회전되면서 피니언기어(340)를 회전시키고 피니언기어(340)는 랙기어(220)를 따라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레일블럭(300)에 설치된 핸드드릴(100)이 전원 인가에 따른 구동력으로 커플링(400)과 코어드릴(500)을 회전시켜 지면에 코어를 형성하게 된다. 이후 적정 깊이까지 투입되면 구동을 멈추고 코어드릴(500)로부터 시료 채취관(600)을 분리시키면 채취가 완료된다.
여기서, 작업 진행중 깊이가 필요한 경우 커플링(400)을 분리시킨 후 해당 길이에 맞는 커플링(400)으로 교체하여 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다른 예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면에 대해 상기 가이드부재(200)가 안정되게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플레이트(700)를 구비함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고정플레이트(700)는, 저면에 지중 고정을 위한 복수의 지면 고정용 쐐기(710)가 구비되고, 표면 중심에 코어 안내홀(720)이 관통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하단 받침(230)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홈(732)이 형성된 고정부재(730)가 구비된 것을 적용하면 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하단 받침(230)을 상기 슬라이드홈(732)에 끼워서 고정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홈(732)은 상기 고정플레이트(700)의 표면에 형성된 코어 안내홀(72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 원주면상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700)의 상면에는 상단에 손잡이가 구비된 가이드봉(740)의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750) 고정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잡고 눌러서 고정플레이트(7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핸드 드릴
110: 구동축
200: 가이드부재
210: 가이드레일 220: 랙기어
230: 받침
300: 레일블럭
310: 수직안내홀 312: 가이드돌기
320: 드릴 고정부
340: 피니언기어 342: 회전축
400: 커플링
410: 구동축 고정부 420: 드릴 고정부
500: 코어드릴
510: 고정부 520: 바이트
530: 구멍 560: 결합핀
600: 시료 채취관
630: 구멍
700: 고정플레이트
710: 쐐기 720: 코어 안내홀
730: 고정부재 732: 슬라이드홈
740: 가이드봉 750: 힌지

Claims (4)

  1.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지며 일측에 가이드레일(210)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00);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가이드레일(210)을 따라 상하 이동되며 일측에 핸드 드릴(100)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드릴 고정부(320)가 형성되는 레일블럭(300);
    상기 핸드 드릴(100)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커플링(400);
    상기 커플링(400)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단에 가공날을 형성하는 코어드릴(500);
    상기 코어드릴(500)의 공간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일체를 이루게 되는 시료 채취관(600)을 포함하는 휴대용 핸드 드릴을 이용한 지반조사용 시료 채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랙기어(220)와,
    상기 레일블럭(300)의 일측에 상기 랙기어(220)에 치합되며 회전축(34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기어(340) 및,
    상기 회전축(342)의 단부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피니언기어(340)를 회전시키게 되는 회전레버(345)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핸드 드릴을 이용한 지반조사용 시료 채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하단에 발디딤을 위한 받침(230)이 외향으로 돌출 구비되는 휴대용 핸드 드릴을 이용한 지반조사용 시료 채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하단에 상기 받침(230)이 슬라이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플레이트(70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700)는,
    저면에 지중 고정을 위한 복수의 지면 고정용 쐐기(710)가 구비되고, 표면 중심에 코어드릴(500)을 안내하는 코어 안내홀(720)이 관통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받침(230)이 슬라이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홈(732)이 형성된 고정부재(730) 및 상기 상단에 손잡이가 구비된 가이드봉(740)의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750) 결합되는 휴대용 핸드 드릴을 이용한 지반조사용 시료 채취기.
KR1020200058106A 2020-05-15 2020-05-15 휴대용 핸드 드릴을 이용한 지반조사용 시료 채취기 KR102392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106A KR102392348B1 (ko) 2020-05-15 2020-05-15 휴대용 핸드 드릴을 이용한 지반조사용 시료 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106A KR102392348B1 (ko) 2020-05-15 2020-05-15 휴대용 핸드 드릴을 이용한 지반조사용 시료 채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032A true KR20210141032A (ko) 2021-11-23
KR102392348B1 KR102392348B1 (ko) 2022-04-29

Family

ID=78695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106A KR102392348B1 (ko) 2020-05-15 2020-05-15 휴대용 핸드 드릴을 이용한 지반조사용 시료 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3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902A (ko) * 2020-12-24 2022-07-01 한국광해관리공단 토양 시료 채취기
CN114855752A (zh) * 2022-05-25 2022-08-05 安庆市磐石岩土有限公司 一种软土地质勘察装置及其勘察方法
CN114923732A (zh) * 2022-06-28 2022-08-19 山东蓝一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土壤采样的取样设备
CN117145465A (zh) * 2023-10-30 2023-12-01 广州华夏职业学院 一种岩土工程勘察取样钻孔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5135A (ja) * 1997-05-27 1998-12-08 Kanden Kogyo Kk 軟岩試料採取器と軟岩の簡易試料採取装置
JP2012031680A (ja) * 2010-08-02 2012-02-16 System Keisoku Kk 基礎施工用装置
KR101307157B1 (ko) 2012-03-05 2013-09-11 한국석유관리원 토양 시료 채취기
KR101667477B1 (ko) 2015-03-06 2016-10-18 김휘중 파지용 손잡이를 구비한 수중 토양시료 채취 장치
KR101994660B1 (ko) 2019-01-07 2019-07-01 주식회사 셀파코퍼레이션 연약지반 조사를 위한 회전식 시료채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5135A (ja) * 1997-05-27 1998-12-08 Kanden Kogyo Kk 軟岩試料採取器と軟岩の簡易試料採取装置
JP2012031680A (ja) * 2010-08-02 2012-02-16 System Keisoku Kk 基礎施工用装置
KR101307157B1 (ko) 2012-03-05 2013-09-11 한국석유관리원 토양 시료 채취기
KR101667477B1 (ko) 2015-03-06 2016-10-18 김휘중 파지용 손잡이를 구비한 수중 토양시료 채취 장치
KR101994660B1 (ko) 2019-01-07 2019-07-01 주식회사 셀파코퍼레이션 연약지반 조사를 위한 회전식 시료채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902A (ko) * 2020-12-24 2022-07-01 한국광해관리공단 토양 시료 채취기
CN114855752A (zh) * 2022-05-25 2022-08-05 安庆市磐石岩土有限公司 一种软土地质勘察装置及其勘察方法
CN114923732A (zh) * 2022-06-28 2022-08-19 山东蓝一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土壤采样的取样设备
CN117145465A (zh) * 2023-10-30 2023-12-01 广州华夏职业学院 一种岩土工程勘察取样钻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348B1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2348B1 (ko) 휴대용 핸드 드릴을 이용한 지반조사용 시료 채취기
JP2008240494A (ja) 土質試験用円筒試料採取装置
CN110658017B (zh) 一种土壤采样装置
CN112985891B (zh) 一种地质勘查用的取土装置
CN211262798U (zh) 一种地质勘查取土装置
CN111442946A (zh) 一种土木工程用岩层取土器
CN109682639B (zh) 一种淤泥软土采样器
CN206311363U (zh) 一种用于勘探开发中的地层样本采集器
CN210198746U (zh) 一种勘察钻探取样装置
CN117365269A (zh) 一种分层取样式岩土钻探勘察装置
CN210774812U (zh) 一种便携式采矿勘查用地表取样分析装置
JP2011246923A (ja) 土壌採取管装置
CN209802713U (zh) 一种淤泥软土采样器
CN215804359U (zh) 一种工程地质勘查钻探设备
CN216955234U (zh) 一种地质勘查的岩土类试样钻取装置
CN217819425U (zh) 一种土壤环境质量调查用采样装置
CN113405837B (zh) 一种自动土壤取样机
CN211717827U (zh) 一种岩土工程勘探用钻孔取样装置
CN213516391U (zh) 一种岩土工程探测用取样装置
CN211179054U (zh) 一种工程钻探用土壤取样装置
CN109184679B (zh) 一种勘探用钻机及使用该钻机的勘探方法
CN217505272U (zh) 一种用于土壤检测的取样装置
CN217033083U (zh) 一种岩土分层取样装置
CN220039857U (zh) 一种地质测量用取样装置
CN221199014U (zh) 一种地质勘察用取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