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0799A -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0799A
KR20210140799A KR1020200058151A KR20200058151A KR20210140799A KR 20210140799 A KR20210140799 A KR 20210140799A KR 1020200058151 A KR1020200058151 A KR 1020200058151A KR 20200058151 A KR20200058151 A KR 20200058151A KR 20210140799 A KR20210140799 A KR 20210140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dar
road
detection area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영
이영환
최원선
김형만
최동훈
정요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후
Priority to KR1020200058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0799A/ko
Publication of KR20210140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0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레이더를 이용하여 감지영역의 이동체를 감지하는 레이더 감지부와, 상기 감지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감지영역을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레이더 감지부에서 감지된 이동체의 종류와 빈도 정보를 분류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어 상기 감지영역 내에 다른 이동체가 있음을 각각 표시하는 제1진입정보 표시부와 제2진입정보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Roa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radar}
본 발명은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곡선 및 절곡 구간에서 이동체를 검출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선 도로나 시계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교차로, 주차장 입구 등에는 반사경이 설치되어, 시각적 사각 지대에 대한 시계를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반사경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 볼록 거울을 보통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운행하는 차량들에 의해 도로의 이물이 튀거나, 다양한 환경적인 이유에 의하여 표면이 손상되는 경우 굴절률 등에 영향을 주어 정확하게 시각적 사각지대에 대한 시계 확보를 줄 수 없는 경우가 쉽게 발생한다.
또한 흙탕물이 튄 상태로 방치되거나 다른 이물이 표면에 부착된 경우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등록특허 10-1706682호(2017년 2월 8일 등록, 시인성이 향상되는 곡선도로용 영상제공장치)에는 곡선구간을 촬영하여 곡선 구간의 진입 전 양방향을 주행하는 차량에 제공하는 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곡선 구간의 특정 차선에 대한 진입측과 진출측(반대 차선에서는 진출측과 진입측)에 각각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본체를 마련하고,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반대편 본체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곡선 구간의 반대편에서 차량이 진입하는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에 기재된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 전송하고, 표시해야 하기 때문에 성능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카메라 및 중계를 위한 장치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사용에 따라 전력의 소비가 증가하기 때문에 유지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는 주변의 밝기에 따라 상대적인 밝기로 영상을 보여주기 때문에 주변이 밝은 주간에는 운전자가 영상의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자체에서 빛을 반사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운전자의 시계 확보를 방해할 수 있으며, 이물에 의한 오염이나 파손에 대한 기존 반사경의 문제점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후적 요인 및 오염원에 의한 오염 요인에 관계없이 운전자에게 시각적 사각지대에 이동체가 있음을 경고할 수 있는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각지대를 이동하는 이동체의 속도나 종류를 분석하고, 이동체의 속도 또는 종류에 따른 안내를 수행할 수 있는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해당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나 횡단하는 사람의 수와 빈도, 주요 이용 시간 정보, 횡단하는 동물의 수와 빈도, 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도로의 제한 속도 설정, 자동차 전용 도로의 설정, 통행 시간 제한, 주차 구역의 설정 등 다양한 도로 운행 조건에 적용할 수 있는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 처리량을 최소화하여 부하를 줄이며, 영상 데이터가 아닌 정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은, 레이더를 이용하여 감지영역의 이동체를 감지하는 레이더 감지부와, 상기 감지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감지영역을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레이더 감지부에서 감지된 이동체의 종류와 빈도 정보를 분류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어 상기 감지영역 내에 다른 이동체가 있음을 각각 표시하는 제1진입정보 표시부와 제2진입정보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카메라부의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고, 관리자가 선택하는 사각지대 영역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감지영역을 설정하는 감지영역 설정부와, 상기 레이더 감지부에서 감지된 이동체 중 상기 감지영역의 내로 이동하는 이동체의 종류, 방향을 분류하는 감지대상 분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카메라부의 상기 이미지를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관리자가 선택하는 영역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감지영역을 설정하는 감지영역 설정부와, 상기 감지영역 설정부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관리자가 선택하는 영역정보를 상기 감지영역 설정부로 송신하는 관리자 단말과, 상기 레이더 감지부에서 감지된 이동체 중 상기 감지영역의 내로 이동하는 이동체의 종류, 방향을 분류하는 감지대상 분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대상 분류부를 통해 분류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진입정보 표시부와 제2진입정보 표시부의 점등과 소등 제어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대상 분류부의 분류 결과를 도로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도로관리 서버는, 상기 감지대상 분류부의 분류 결과를 수신하여, 차량 통행량, 빈도, 시간대를 고려하고, 사람 또는 동물의 이동량, 빈도, 시간대를 고려하여, 생활권 도로의 효율적인 유휴도로 운영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치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감시 영역을 선택하고, 해당 감시 영역에서의 물체를 감지함으로써, 처리 데이터를 최소화하여 장치의 부하를 줄임과 아울러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적 처리가 아닌 레이저를 이용함으로써, 기후적 요인 및 오염 요인에 무관하게 안전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 횡단하는 사람, 동물을 구분하여 인식하고, 이 정보를 도로 관리 서버로 제공함으로써, 도로의 활용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설치 상태 다른 실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이용한 곡선 도로의 정보 검출 예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감지영역 설정을 위한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각각 교차로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를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설정시 설치 위치에서 도로 및 그 주변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20)와, 설정된 감지 영역에 대한 레이더 감지를 수행하는 레이더 감지부(10)와, 상기 카메라부(20)에서 촬영한 이미지에서 관리자가 선택한 영역을 상기 감지 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레이더 감지부(10)를 제어하여, 감지된 대상을 분류하는 제어기(30)와, 상기 제어기(30)의 제어에 따라 서로 반대 방향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에 주의 경고를 표시하는 제1진입정보 표시부(40) 및 제2진입정보 표시부(50)와, 상기 레이더 감지부(10), 카메라부(20), 제1 및 제2진입정보 표시부(40, 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30)는 상기 카메라부(2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하고, 관리자의 설정입력을 수신하여 감지 영역을 설정하는 감지영역 설정부(31)와, 상기 레이더 감지부(10)에서 감지된 물체의 종류를 분류하는 감지대상 분류부(32)와, 상기 감지대상 분류부(32)에 의해 감지된 물체 정보를 통신부(34)를 통해 도로관리 서버(70)로 전송함과 아울러 제1진입정보 표시부(40) 및 제2진입정보 표시부(50)를 점등 또는 소등 제어하는 제어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곡선도로, 시계 확보가 어려운 교차로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설치대(100)를 이용하여 도로변에 단독으로 설치되거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설치된 반사경(200)과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로 설치 상태의 예시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곡선도로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5에서 A 지점이나 B 지점에도 설치될 수 있으나,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도 5와 같이 과장된 곡선 도로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도 5의 설치위치에서 본 발명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1)은 곡선도로(2)의 가장자리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치대(100)에 의해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반사경(200)과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도 5의 설치상태에서 최초 설정시 카메라부(2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도 6의 이미지(5)일 수 있다.
카메라부(20)는 광각 렌즈를 이용하여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20)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감지영역 설정부(31)에 표시되어 설정시 관리자가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지영역 설정부(31)는 바람직하게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이미지(5)에서 관리자가 터치하는 영역을 감지하여 감지영역(6)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감지영역 설정부(31)는 관리자의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 기기인 관리자 단말(도면 미도시)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관리자 단말에서 관리자가 선택한 영역을 감지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즉, 감지영역 설정부(31)는 관리자의 스마트폰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카메라부(20)에서 촬영된 이미지(5)를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그 스마트폰에서 관리자가 선택한 영역 정보를 수신하여, 이미지(5)의 특정 영역을 감지영역(6)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감지영역(6)은 이미지(5)의 특정 픽셀 정보를 기준으로 하거나, 이미지 크기의 비율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감지영역의 정보는 제어부(33) 및 감지대상 분류부(32)로 제공될 수 있으며, 레이더 감지부(10)에서 감지된 결과물 중 설정된 감지영역(6)에서 검출되는 이동체에 대해서만 분류를 수행하여, 데이터의 처리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 과정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요소를 제거하게 된다.
레이더 감지부(10)는 이동체의 이동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형태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레이더 감지부(10)는 송신신호의 반사파를 이용하여 물체를 감지하게 되며, 감지대상 분류부(32)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레이더 감지부(10)의 감지결과에서 이동체를 감지하고, 이동체의 이동 방향, 형태 정보와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체가 차량, 보행자, 동물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감지대상 분류부(32)의 분류 기법은 매우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분류 기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동체가 차량, 보행자, 동물 중 하나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낙석이나 화물 등으로 분류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레이더 감지부(10)는 기상이나 오염 요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강한 특징이 있어서 환경 요인에 따른 검출 제한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감지대상 분류부(32)의 분류 결과는 메모리(도면 미도시) 등의 저장 수단에 저장됨과 아울러 제어부(33)에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33)는 주어진 프로그램에 따라 제1진입정보 표시부(40)와 제2진입정보 표시부(50)를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다시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면상 우측차선을 주행하는 차량(3)이 감지영역(6) 내에 진입하면 이는 레이더 감지부(10)에서 감지되고, 감지 대상 분류부(32)에서는 도 6의 감지영역(6)의 우측에서 차량(3)이 진입함을 인지하게 된다.
이때의 감지정보는 제어부(33)로 제공되며, 제어부(33)는 제1진입정보 표시부(40)를 점등시키고, 제2진입정보 표시부(50)를 소등시켜 도 6의 좌측편에서 확인이 가능한 제1진입정보 표시부(40)를 이용하여 주의 운행을 하도록 경고할 수 있다.
반대로 도 6에서 감지영역(6)의 좌측에서 차량(4)이 진입함을 감지한 경우, 제2진입정보 표시부(50)를 점등하고, 제1진입정보 표시부(40)를 소등하여, 도 6의 우측면에서 진입하는 차량(3)에서 주의 운행 경고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양방향에서 진입한 차량(3, 4)이 있는 경우, 제1진입정보 표시부(40)와 제2진입정보 표시부(50)를 모두 점등한다.
위의 예에서는 차량(3)이 진입하여, 주의 운행을 하도록 경고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감지된 이동체가 사람이나 동물, 또는 낙석인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주의 운행을 경고할 수 있다.
특히, 사람이나 동물의 횡단이 검출되거나 또는 낙석이 감지영역(6)에 떨어진 경우, 진입 방향과 관계 없이 감지영역(6)을 지나는 모든 차량이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부(33)는 제1진입정보 표시부(40)와 제2진입정보 표시부(50)를 모두 점등할 수 있다.
상기 제1진입정보 표시부(40)와 제2진입정보 표시부(50)는 모두 소정의 색상으로 주의문구가 점등 또는 소등되는 고휘도의 LED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진입정보 표시부(40)와 제2진입정보 표시부(50)를 점등 또는 소등 제어할 수 있는 고휘도 LED를 사용함으로써, 주간에도 용이하게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진입정보 표시부(40), 제2진입정보 표시부(50), 카메라부(20), 제어기(30), 레이더 감지부(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0)는 태양광 또는 풍력을 이용한 발명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30)의 제어부(33)는 상기 감지대상 분류부(32)의 분류 결과를 통신부(34)를 통해 도로관리 서버(7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의 송신은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로관리 서버(70)로 송신되는 정보는 각 방향으로 차량의 통행 시간 및 수를 포함하며, 빈도를 포함할 수 있다.
도로관리 서버(70)는 특정 도로의 차량 통행량, 주요 통행시간, 통행 빈도를 확인하여 해당 도로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도로에 차량의 통행량이 설정된 통행량에 미치지 못하면 도로의 일부를 임시 주차장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특정 시간대에만 차량이 통행하고 그 시간대 이외에는 차량 통행이 없는 경우이면 통행 가능 시간과 불가능 시간을 정하고, 통행 불가능 시간에는 차없는 거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사람들이나 동물들의 횡단 횟수, 빈도, 시간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횡단이 설정된 기준보다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 해당 도로의 속도제한을 낮추는 처리를 할 수 있다. 반대로 사람이나 동물들의 횡단이 없다면 도로의 속도 제한을 높일 수 있다.
동물들의 횡단 횟수가 많은 도로라면 별도의 동물 이동로를 만들어 로드킬 발생을 줄이도록 도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레이더 감지부(10)를 이용하여 감지영역(6) 내에서 이동하는 이동체의 종류를 분류하고, 그 이동체의 종류와 이동 빈도 및 시간대를 이용하여 도로 이용 계획을 수립 및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도 7과 도 8은 각각 본 발명이 설치된 교차로의 예시도이다.
도 7에는 L자형 도로의 코너에 본 발명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1)이 설치되어, 감지영역에 진입한 차량(3)이 감지되면 반대편에서 진입하는 차량(4)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진입정보 표시부 중 하나를 점등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차량(3)의 진입 외에 보행자(8)가 감지되어도 반대편에서 확인할 수 있는 진입정보 표시부 중 하나를 점등하는 것으로 한다.
도 8에는 T자형과 십자형 교차로에 적용되는 본 발명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1)의 예시도이다.
T형 교차로에서 본 발명은 하나만 설치되어 사각지대에 진입한 차량(3)이 있으면 그 진입 방향을 포함하여 주의 운전을 할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생략되었으나 보행자가 있는 경우, 또는 동물이 감지된 경우에도 동일한 표시를 할 수 있다.
십자형 교차로에는 적어도 두 개의 본 발명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본 발명은 제1진입정보 표시부와 제2진입정보 표시부를 모두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진입정보 표시부만을 사용하여 사각지대에 진입하는 차량(4)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레이더 감지부 20:카메라부
30:제어기 40:제1진입정보 표시부
50:제2진입정보 표시부 60:전원공급부
70:도로관리 서버

Claims (6)

  1. 레이더를 이용하여 감지영역의 이동체를 감지하는 레이더 감지부;
    상기 감지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의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감지영역을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레이더 감지부에서 감지된 이동체의 종류와 빈도 정보를 분류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어 상기 감지영역 내에 다른 이동체가 있음을 각각 표시하는 제1진입정보 표시부와 제2진입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카메라부의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고, 관리자가 선택하는 사각지대 영역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감지영역을 설정하는 감지영역 설정부; 및
    상기 레이더 감지부에서 감지된 이동체 중 상기 감지영역의 내로 이동하는 이동체의 종류, 방향을 분류하는 감지대상 분류부를 포함하는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카메라부의 상기 이미지를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관리자가 선택하는 영역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감지영역을 설정하는 감지영역 설정부;
    상기 감지영역 설정부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관리자가 선택하는 영역정보를 상기 감지영역 설정부로 송신하는 관리자 단말; 및
    상기 레이더 감지부에서 감지된 이동체 중 상기 감지영역의 내로 이동하는 이동체의 종류, 방향을 분류하는 감지대상 분류부를 포함하는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대상 분류부를 통해 분류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진입정보 표시부와 제2진입정보 표시부의 점등과 소등 제어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대상 분류부의 분류 결과를 도로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관리 서버는,
    상기 감지대상 분류부의 분류 결과를 수신하여, 차량 통행량, 빈도, 시간대를 고려하고,
    보행자 또는 동물의 이동량, 빈도, 시간대를 고려하여,
    생활권 도로의 효율적인 유휴도로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200058151A 2020-05-15 2020-05-15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10140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151A KR20210140799A (ko) 2020-05-15 2020-05-15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151A KR20210140799A (ko) 2020-05-15 2020-05-15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799A true KR20210140799A (ko) 2021-11-23

Family

ID=78695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151A KR20210140799A (ko) 2020-05-15 2020-05-15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07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569B1 (ko) 다기능 스마트 객체인식 사고방지 표지 안내판 및 그것을 이용한 사고방지방법
US11355014B1 (en) System for warning about intersection danger based on situation prediction
US7696903B2 (en) Imaging system for detecting vehicle and human movement
US64113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ffic incident detection
CN201594319U (zh) 高清抓拍多功能电子警察系统
CN113284366A (zh) 车辆盲区预警方法、预警装置、mec平台和存储介质
CN113345267B (zh) 一种基于广义v2x的路口近信号区域预警方法和系统
US11914041B2 (en)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system
CN109208995B (zh) 智能交通杆及智能道路系统
US201602251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support
KR101143521B1 (ko) 교차로 통행위반 차량 단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차로 통행위반 차량 단속방법
KR102362304B1 (ko) 사고 감지 및 2차 사고 방지를 위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
KR101210615B1 (ko) 불법유턴 차량 단속 시스템
WO2014162681A1 (ja) 道路照明装置
KR20230052444A (ko) 스마트 반사경 장치
CN210983756U (zh) 新型智慧斑马线系统
CN105046223A (zh) 一种隧道入口“黑洞效应”严重程度的检测装置及方法
KR20210140799A (ko) 레이더를 이용한 도로 사각지대 정보 제공 시스템
CN110599762A (zh) 道路状况感测系统及方法
KR102617647B1 (ko) 삼거리의 교통 상황 알림 장치
CN116403423A (zh) Led智慧灯杆的智能显示控制方法、装置及智慧灯杆
KR102054219B1 (ko) 횡단보도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52443A (ko) 스마트 반사경 장치
KR100482303B1 (ko) 스쿨존의 무인교통감시장치
JP2007042042A (ja) 道路交通情報取得方法、道路交通情報表示装置及びledの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