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0789A -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0789A
KR20210140789A KR1020200057729A KR20200057729A KR20210140789A KR 20210140789 A KR20210140789 A KR 20210140789A KR 1020200057729 A KR1020200057729 A KR 1020200057729A KR 20200057729 A KR20200057729 A KR 20200057729A KR 20210140789 A KR20210140789 A KR 20210140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ler
server
data
information
iot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7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0789A/ko
Publication of KR2021014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0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Standardisation; Integration using relational databases for representation of network management data, e.g. managing via structured query language [SQ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5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the faulty arrangement being the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유선 통신으로 칠러의 운전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 통신으로 칠러의 운전 정보에 기초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하여 칠러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Chiller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칠러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는 장치이다. 이 공기조화기는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정화하도록 함으로써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한편, 공기조화기 중, 가정보다 큰 사업장 또는 빌딩 등에 사용되는 칠러(chiller)는, 일반적으로 옥외 옥상에 설치되는 냉각탑과, 냉매를 순환시켜 냉각탑에서 보내어진 냉각수와 열교환하는 열교환 유닛을 포함한다. 나아가 열교환 유닛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칠러는, 선행문헌(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4477호)과 같이, 냉수를 냉수 수요처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냉동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매와, 냉수 수요처와 냉동 시스템의 사이를 순환하는 냉수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져, 냉수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대용량 설비로서, 규모가 큰 건물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칠러는 대용량 설비로 유지 보수 비용 및 수리 비용이 크다. 일반적으로 칠러의 상태와 무관하게 정해진 주기에 칠러의 유지 보수를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칠러에 고장이 발생하면 수리 비용이 클 뿐만 아니라, 칠러를 가동하지 못함으로써 추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칠러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칠러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 네트워크 환경 구성 없이 실내외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칠러 관련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고 관리할 수 있는 칠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유선 통신으로 칠러의 운전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 통신으로 칠러의 운전 정보에 기초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platform)을 이용하여 칠러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은, 칠러, 및, 유선 통신으로 상기 칠러의 운전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 통신으로 상기 칠러의 운전 정보에 기초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칠러 시스템, 및,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칠러의 운전 정보에 기초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과 상기 서버는, LTE Cat.M1 기반으로 무선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상기 서버로부터 제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칠러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칠러가 동작 중이면, 제1 주기마다 상기 칠러의 운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칠러가 동작 중이지 않으면, 상기 제1 주기보다 긴 제2 주기마다 상기 칠러의 운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로 재전송하는 중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상기 중계기까지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한 후에,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인 경우에 상기 칠러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에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칠러의 운전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이 된 후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상기 칠러의 운전 정보를 상기 칠러의 운전 사이클을 기준으로 취합하여 압축하고, 압축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복수개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 상기 센싱 데이터의 획득 타이밍 정보, 상기 칠러의 장치 정보를 하나의 운전 사이클 정보로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운전 사이클 정보를 N개 묶어 압축하여 상기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전 정보는, 복수개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 상기 센싱 데이터의 획득 타이밍 정보, 상기 칠러의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장치별, 일자별로 뷴류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서버로 소정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시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칠러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칠러의 이상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모니터링 단말에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칠러의 운전 정보는, 상기 칠러의 동작 정보, 상기 칠러가 구비하거나 상기 칠러의 상태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센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칠러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감압시키는 팽창기, 상기 팽창기에서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냉매의 온도, 압력을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칠러의 운전 정보는, 상기 칠러의 상태 정보, 상기 칠러가 배치된 환경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센서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칠러는, 무선 통신으로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유선 통신으로 상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칠러는, 무선 통신으로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구비하는 복수의 센서에서 획득한 센싱 데이터와 병합하여, 유선 통신으로 병합된 센싱 데이터를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으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칠러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추가 네트워크 환경 구성 없이 실내외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칠러 관련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플랫폼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플랫폼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칠러(chiller) 시스템(10)과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칠러 시스템(10) 및 복수의 칠러 시스템(10)을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는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칠러 시스템(10)은, 칠러(11), 및, 칠러(11)와 연결되어 서버(30)와 통신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 IoT) 플랫폼(12)을 포함할 수 있다.
칠러(11)는, 냉동 사이클이 형성되는 공조 유닛과, 상기 공조 유닛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탑 및 상기 공조 유닛과 열교환 되는 냉수가 순환하는 냉수 수요처를 포함할 수 있다.
냉수 수요처는 냉수를 이용하여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장치 또는 공간에 해당한다. 일례로, 냉수 수요처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혼합한 후 혼합 공기를 냉수와 열교환시켜 실내로 유입시키는 에어 핸들링 유닛(AHU, Air Handling Unit),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냉수와 열교환 시킨 후 실내로 토출하는 팬 코일 유닛(FCU, Fan Coil Unit), 실내의 바닥에 매설된 바닥 배관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이 포함될 수 있다.
공조 유닛의 주요 구성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응축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감압시키는 팽창기, 그리고 팽창기에서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는, 공기나 냉매 가스 등의 기체를 압축하기 위한 기기로써,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로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임펠러와, 임펠러에 연결된 회전축 및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기는, 압축기로부터 토출되어 응축기를 통과하는 고온 고압의 냉매와 냉각수를 열교환시켜 냉매를 냉각하도록 형성된다.
팽창기는, 액상 냉매를 증발기로 보내고, 고압의 냉매는 팽창 밸브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된다.
증발기는, 냉매가 증발하면서 냉수를 냉각시키도록 형성된다.
칠러(11)는 상기 냉매의 온도, 압력을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조 유닛의 주요 구성의 입력 측과 출력 측에 다수의 센서가 배치되어 온도, 압력 등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칠러(11)는, 다른 종류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칠러(11)는 진동 센서, 습도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칠러(11) 및, 칠러(11)가 배치된 공간에, 사물인터넷 센서가 배치되어 칠러(11)의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 센서는 센싱된 데이터를 칠러(11) 및/또는 사물인터넷 플랫폼(12)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센서는 칠러(11)가 배치된 공간의 온도, 습도를 센싱하여, 칠러(11) 및/또는 사물인터넷 플랫폼(12)으로 송신할 수 있다.
칠러 시스템(10)은, 사물인터넷 플랫폼(12) 및,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고, 서버(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다수의 센서를 통해 획득된 칠러(11) 관련 센싱 데이터를 서버(30)로 송신하고, 서버(3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칠러(1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는 칠러(11)의 제조사 또는 제조사가 서비스를 위탁한 회사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고, 일종의 클라우드(Cloud) 서버일 수 있다.
서버(30)는 원격에서 복수의 칠러(11)의 상태를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이상을 판단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칠러 시스템(10) 및 서버(30)는 하나 이상의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통신 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칠러 시스템(10) 및 서버(30)는, PC,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단말(40) 및 외부의 다른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관리자, 고객 등 사용자는 PC, 이동 단말기 등의 모니터링 단말(40)을 통하여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칠러(11)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30)는 클라우드(cloud) 서버로 구현되어, 칠러(11)에 클라우드 서버(30)가 연동되어 칠러(11)를 모니터링, 제어하고 다양한 솔루션을 원격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는, 복수의 서버로 정보, 기능이 분산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통합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서버(30)는 칠러(11)의 제어 및 현재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단말(4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칠러(11)의 제어 및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여 배포가능하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모니터링 단말(40)로서 적용되는 PC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서버(30)는 복수의 칠러 시스템(10)과 연결되어 그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서버(30)는 복수의 칠러(11)에 대한 운전 설정, 잠금 설정, 스케줄제어, 그룹제어 및 이상 검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서버(30)는 복수의 칠러 시스템(10)으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각 칠러(11)에 이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진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는, 사물인터넷 플랫폼(11), 사용자의 단말(40)을 인증하고, 데이터의 송수신 및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한 무결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30)는, 사물인터넷 플랫폼(11)으로부터 상기 칠러(11)의 운전 정보에 기초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유선 통신으로 상기 칠러(11)의 운전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 통신으로 상기 칠러(11)의 운전 정보에 기초하는 데이터를 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칠러(11)와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RS232 등 유선 시리얼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칠러(11)는 수행하는 동작에 관한 정보, 구비하는 센서들 및/또는 사물인터넷 센서가 획득한 센싱 데이터 등을 RS232 등 유선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된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버(30) 등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무선 통신으로 상기 칠러(11)의 운전 정보에 기초하는 데이터를 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상기 칠러(11) 및/또는 사물인터넷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서버(30)로 전달하거나, 수신되는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LTE 카테고리(Cat.).M1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과 상기 서버(30)는, LTE Cat.M1 기반으로 무선 통신할 수 있다.
LTE Cat.M1은, 국제 표준화 단체 3GPP에서 표준화한 기술로 기존 LTE, LTE-M과 같은 대용량 네트워크 기술보다 배터리 수명, 데이터 전송 효율 등에서 한층 더 발전된 네트워크로서, 주파수 대역은 LTE 이고, 전송 속도는 업로드 기준 200 Kbps 이하이고, 대역폭은 1.4MHz이고, 최대 출력은 20dBM이다.
LTE-M의 전송 속도는 빠르지만, 전력 효율이 낮기 때문에, LTE Cat. M1은 전력 소비 효율 측면에서 센서 정보 전송에 더 효과적이다. 또한, 로라(LoRa)는 전송 속도가 느려 소량의 데이터 전송만 가능하므로, 센서 데이터를 취합하여 운전 사이클 단위로 전송하기에 부족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일 센서 정보가 아닌, 복수의 센서 정보를 통합한 데이터 단위의 사이클 정보를 사용하므로, LTE Cat.M1 규격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존 네트워크 설치가 힘든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안으로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을 이용한다.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유선 통신으로 칠러(11)와 통신하고 무선 통신으로 다른 기기와 통신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에서 온라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플랫폼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칠러(11) 등 단말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할수 있는 장치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프로세서(110), 유선 통신 모듈(120), 무선 통신 모듈(130), 및, 내부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유선 통신 모듈(120)과 무선 통신 모듈(130)을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유선 통신 모듈(120)과 무선 통신 모듈(130)을 통하여 지정된 기기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데이터를 소정 기준에 따라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통합 데이터를 하나 이상 묶어 압축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20)은, 유선 통신 방식으로 다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120)은 상기 칠러(11)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과 상기 칠러(11)는, RS232 등 유선 시리얼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30)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다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30)은, LTE 카테고리(Cat.).M1 등 무선 통신 규격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사물인터넷 센서, 서버(30) 등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칠러(11)는 연결된 사물인터넷 플랫폼(12)과 유선으로 통신하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외부 기기와 무선으로 통신함으로써, 실내, 실외 공간상 제약을 최소화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내부 메모리(230)는, 칠러(11), 사물인터넷 센서, 서버(30)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내부 메모리(230)는, 사물인터넷 플랫폼(12)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칠러(11) 등 제품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이 필요하며, 이러한 안정된 환경이 구축되어 있지 않으면 데이터 취득 및 제품의 제어가 불가능 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네트워크 환경이 없는 공간에 추가적으로 환경을 구축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환경이 없는 공간에서 데이터 수집을 위한 대안으로 현재 가장 광범위하게 설치 되어 있는 무선 통신망을 활용 하여 사물인터넷 시스템(12)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데이터를 서버(30)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 주변 무선통신 기지국과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내부 메모리(140)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일시적인 통신장애에도 대응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전송할 데이터를 임시 저정하는 데이터 버퍼를 별도로 구비하거나 내부 메모리(140)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추가적인 네트워크 환경 구성 없이 실내, 실외 적용이 가능하며, 기존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전달받아 활용 할수 있다.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칠러(11) 정보 데이터를 검출하고 고유한 기기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무선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가능 상태일경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칠러(11) 등으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고, 서버(30)로부터 제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간 서비스 구축하기 위하여,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센서들에서 획득한 센싱 정보를 한 데이터로 통합할 수 있고, 칠러(11)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센싱 정보 데이터와 함께, 고유한 기기 식별 정보를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상기 칠러(11)의 운전 정보를 상기 칠러의 운전 사이클을 기준으로 취합하여 압축하고, 압축된 데이터를 상기 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전력 효율 및 데이터 전송 크기를 고려하여, 칠러(11)의 운전정보를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내부 메모리(140)에 운전 정보를 기반으로 센싱 데이터를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 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내부 메모리(140)에 운전 사이클 단위별로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통합하여 저장하고, 압축한 후에 서버(30)에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칠러(11)의 운전 유무를 판단하여 데이터 전송 주기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상기 서버(30)로부터 제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칠러(11)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칠러(11)가 동작 중이면, 제1 주기마다 상기 칠러(11)의 운전 정보를 상기 서버(30)로 송신하고, 상기 칠러(11)가 동작 중이지 않으면, 상기 제1 주기보다 긴 제2 주기마다 상기 칠러(11)의 운전 정보를 상기 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최소화하여, 데이터 전송 효율, 전력 소비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복수개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 상기 센싱 데이터의 획득 타이밍 정보, 상기 칠러(11)의 장치 정보를 하나의 운전 사이클 정보로 내부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상기 운전 사이클 정보를 N개 묶어 압축하여 상기 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전 정보는, 복수개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 상기 센싱 데이터의 획득 타이밍 정보, 상기 칠러(11)의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칠러(11)의 운전 정보는, 상기 칠러(11)의 동작 정보, 상기 칠러(11)가 구비하거나 상기 칠러(11)의 상태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센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칠러(11) 제어 정보, ID, Time, site, date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칠러(11)의 운전 정보를 다수의 센서 정보와 타이밍 정보, 장치 정보를 하나의 운전 사이클로 저장하며, 총 5번의 사이클을 하나의 데이터로 결정하여 압축한 후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칠러(11)의 운전 정보는, 상기 칠러(11)의 상태 정보, 상기 칠러(11)가 배치된 환경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센서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칠러(11)는, 무선 통신으로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유선 통신으로 상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칠러(11)는, 무선 통신으로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구비하는 복수의 센서에서 획득한 센싱 데이터와 병합하여, 유선 통신으로 병합된 센싱 데이터를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으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30)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어 사물인터넷 플랫폼(12)으로부터 칠러(11)의 운전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운전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칠러(11)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전 데이터는 순수한 운전 데이터뿐만 아니라 설정 데이터, 속성 데이터 등의 상기 칠러(11)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30)는, 프로세서(210), 통신부(220), 메모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서버(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210)에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으로 기학습된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이 탑재되어, 칠러(11)의 이상 진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210)는 딥러닝(Deep Learning)으로 학습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BN(Deep Belief Network) 등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는, 칠러(11) 제조사가 운영하는 서버 또는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고, 일종의 클라우드(Cloud) 서버일 수 있다.
통신부(220)는, 칠러(11), 사물인터넷 플랫폼(12), 게이트웨이, 다른 전자기기 등으로부터 상태 정보, 동작 정보, 조작 정보 등 각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20)는 수신되는 각종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칠러(11), 사물인터넷 플랫폼(12), 게이트웨이, 다른 전자기기 등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20)는 인터넷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등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머신 러닝에 사용되는 데이터, 결과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서버(30)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30)는, 서버(30)에서 수행하기 위한 학습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의 일종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단계로 깊은 수준까지 내려가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딥러닝(Deep learning)은 히든 레이어들을 차례로 거치면서 복수의 데이터들로부터 핵심적인 데이터를 추출하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의 집합을 나타낼 수 있다.
딥러닝 구조는, CNN, RNN, DBN 등 심층신경망(DN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심층신경망(DNN)은 입력 레이어(Input Layer), 히든 레이어(Hiddent Layer) 및 출력 레이어(Output Laye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중의 히든 레이어(hidden layer)를 갖는 것을 DNN(Deep Neural Network)이라헐 수 있다.
각 레이어는 복수의 노드들을 포함하고, 각 레이어는 다음 레이어와 연관되어 있다. 노드들은 웨이트(weight)를 가지고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히든 레이어(Hidden Layer 1)에 속한 임의의 노드로부터의 출력은, 제2 히든 레이어(Hidden Layer 2)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의 입력이 된다. 이때 각 노드의 입력은 이전 레이어의 노드의 출력에 웨이트(weight)가 적용된 값일 수 있다. 웨이트(weight)는 노드간의 연결 강도를 의미할 수 있다. 딥러닝 과정은 적절한 웨이트(weight)를 찾아내는 과정으로도 볼 수 있다.
한편, 인공신경망의 학습은 주어진 입력에 대하여 원하는 출력이 나오도록 노드간 연결선의 웨이트(weight)를 조정(필요한 경우 바이어스(bias) 값도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인공신경망은 학습에 의해 웨이트(weight) 값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서버(30)는, 사물인터넷 플랫폼(12)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배치 및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화하여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이 연결된 칠러(11) 관련 각종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기지국으로 전송하게 되면, 전송된 데이터는 서버(30)에서 신호처리 된다.
사물인터넷 플랫폼(12) 및/또는 서버(30)는, 상기 칠러(11)의 제어 정보 및 Id, Time, Site, Date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를, 일자별, 시간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데이터를 일자별로 통합할 수 있다. 또한, 통합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화 될 수 있다.
사물인터넷 플랫폼(12) 및/또는 서버(30)는, 데이터에 대해 무결성 검증(칠러(11)의 운전 사이클)을 수행하고, 저장된 데이터에 이상이 없을시 압축 및/또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30)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장치별, 일자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30)는, 상기 칠러(11)의 상태 정보, 제어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 등을 모니터링 단말(40)에 전송한다. 또한, 서버(30)는, 상기 칠러(11)의 이상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모니터링 단말(40)에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단말(4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이동 단말기일 수 있고,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C 등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단말(40)은, 상기 서버(30)로 소정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시 서버(3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칠러(11)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단말(40)은, 서버(30) DB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모니터링 단말(40)을 이용하여 칠러(11)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물인터넷 플랫폼(12)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버(30)로 재전송하는 중계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이 중계기(50)를 더 포함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실시 예들의 차이점인 중계기(50) 위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칠러 시스템(10a, 10b, ... 10n), 복수의 중계기(50a, 50b, ... 50n), 서버(30), 및 모니터링 단말(5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칠러 시스템(10a, 10b, ... 10n)은 각각 칠러(11)와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칠러 시스템(10a)은 제1 칠러(11a)와 제1 사물인터넷 플랫폼(12a)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칠러 시스템(10a)이 복수개의 칠러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서는 복수의 칠러 시스템(10a, 10b, ... 10n)과 복수의 중계기(50a, 50b, ... 50n)의 숫자가 동일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하나의 중계기가 다수의 칠러 시스템에 대응하는 것도 가능하다.
칠러(11)의 운전 정보는 사물인터넷 플랫폼(12)에서 무선 신호로 전환하여 중계기(50)로 전달된다.
한편,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실내, 실외 공간에서 통신 중계기(50)와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중계기(50)로부터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며, 내부 메모리(140) 및/또는 데이터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중계기(50)로 송신할 수 있다.
중계기(50)는 통신 범위안 최소 하나 이상의 사물인터넷 플랫폼(12)에 접속된 칠러(11)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각 사물인터넷 플랫폼(12)에는 고유의 식별 정보(ID)가 있으며, 해당 ID를 기반으로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을 구분할 수 있다.
중계기(50)는 서버(30)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 대응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을 확인하고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압축된 데이터는 중계기(50)에서 서버(30)로 전송되며, 서버(30)에서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중계기(50)는 칠러(11)의 데이터를 사물인터넷 플랫폼(12)으로부터 전달받아서 서버(30)로 전달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네트워크망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중계기(50)의 위치 및 접근성에 근거하여 통신 성능이 결정되며, 통신 신호의 오류가 많으면 별도로 신호증폭기(안테나) 또는 중계기(50) 추가 설치가 필요하다.
중계기(50)와 칠러(11)는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고, 칠러(11)의 위치를 중계기(50) 기반으로 추론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중계기(50)까지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한 후에,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인 경우에 상기 칠러(11)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에 내부 메모리(140)에 저장된 상기 칠러(11)의 운전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이 된 후에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중계기(50) 또는 서버(30)까지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가능 여부를 확인하여(S510), 다음 동작으로 넘어 가게 된다.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내부 메모리(140) 용량크기만큼 데이터를 내부에 저장하고, 향후 통신이 가능해지면 한번에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정상이면(S510), 칠러(11)의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S520), 칠러(11)의 동작 여부에 따라 데이터 전송 주기가 제1,2 주기로 구분 된다. 예를 들어, 동작 중일 때의 전송 주기는 1분으로, 정지 중일 때의 전송 주기는 1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칠러(11)가 동작 중이면(S530), 제1 주기(1분)마다 데이터가 서버(30)로 송신된다(S551). 칠러(11)가 정지 중이면(S530), 제2 주기(10분)마다 데이터가 서버(30)로 송신된다(S552).
데이터는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의 데이터 버퍼에 1차 저장(S541, S542) 후 서버(30)로 송신될 수 있다(S551, S552). 데이터 버퍼는 전송을 위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이다. 중계기(50)가 있다면, 데이터는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의 데이터 버퍼에 1차 저장(S541, S542) 후 중계기(50)로 송신되고, 중계기(50)에서 서버(30)로 송신된다(S551, S552).
한편, 서버(30)는, 수신된 데이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6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플랫폼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610). 중계기(50)가 있는 경우에는,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상기 중계기(50)까지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네트워크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에(S610), 내부 메모리(140)에 저장된 상기 칠러(11)의 운전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이 된 후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인 경우에(S610), 상기 칠러(11)의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20).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상기 칠러(11)의 동작 여부에 따라(S620), 데이터 전송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다(S631, S632).
상기 칠러(11)가 동작 중이면(S620), 제1 주기로 전송 타이밍이 설정될 수 있다(S631).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상기 제1 주기마다, 센싱 데이터 등 상기 칠러(11)의 운전 정보를 운전 사이클 단위로 압축한 후에(S641), 압축된 데이터를 상기 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S651).
상기 칠러(11)가 동작 중이 아니면, 칠러(11)가 동작 중일 때보다 실시간 진단 필요성이 적으므로 전송 주기를 더 길게 가져가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따라서, 상기 칠러(11)가 동작 중이 아니라면(S620), 상기 제1 주기보다 긴 제2 주기로 전송 타이밍이 설정될 수 있다(S632).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상기 제2 주기마다, 센싱 데이터 등 상기 칠러(11)의 운전 정보를 운전 사이클 단위로 압축한 후에(S642), 압축된 데이터를 상기 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S652).
실시 예에 따라서, 서버(30)는 데이터 수신에 따른 응답 신호를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이 직절한 응담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다시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S610)하여, 네 트워크 상태에 따라 재전송 여부 및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30)는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이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710). 중계기(50)가 있는 경우에,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이 송신한 데이터는 중계기(50)를 경유하여 서버(30)에 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서버(30)는, 데이터 수신에 따른 응답 신호를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으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30)는 수신된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할 수 있다(S720). 실시 예에 따라서, 서버(30)는, 압축 해제 전 또는 후에 데이터의 무결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는, 압축 해제된 데이터를, 운전 사이클 단위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압축 해제된 데이터를, 일자별, 시간별로 분류하고(S730), 분류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S740).
한편, 서버(30)는, 모니터링 단말(30)을 통하여 소정 서비스를 요청받을 수 있고(S750), 요청받은 서비스에 응답할 수 있다(S760).
예를 들어, 모니터링 단말(30)을 통하여 서버(30)에 칠러(11)의 상태 정보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S750), 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의 칠러(11)의 최신 상태 정보 또는 요청 대상 시점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모니터링 단말(30) 측에 응답할 수 있다(S760).
만약 모니터링 단말(30)을 통하여 서버(30)에 칠러(11)의 제어 요청이 수신되면(S750), 서버(30)는 요청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사물인터넷 플랫폼(12)측으로 송신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수신한 제어 신호를 유선 통신으로 칠러(11)에 전달하고, 칠러(11)는 수신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칠러(11)는 수행한 동작에 관한 응답을 사물인터넷 플랫폼(12)으로 송신하고,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서버(30)에 칠러(11)의 응답을 전달할 수 있다.
서버(30)는 칠러(11)의 응답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단말(30) 측에 제어 결과 정보를 응답할 수 있다(S76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이 중계기(50)와 연동될 수 있다(S801). 사물인터넷 플랫폼(12)과 중계기(50)의 연동은 식별 정보를 상호 확인하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와 모니터링 단말(40)의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S803).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상기 칠러(11)의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810). 상기 칠러(11)의 동작 여부 판단(S810)은,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의 요청에 대한 상기 칠러(11)의 응답으로 판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칠러(11)가 동작 중이면, 일정 주기마다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으로 자신이 동작중임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칠러(11)에서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으로 센싱 데이터 등 운전 정보가 소정 주기로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판별될 수도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상기 칠러(11)의 동작 여부에 따라(S810), 데이터 전송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칠러(11)의 동작 여부에 따라(S810), 상기 칠러(11)가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전송 타이밍이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상기 칠러(11)로 센싱 데이터 등 운전 정보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S815). 상기 칠러(11)는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으로 운전 정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S820). 실시 예에 따라서,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의 요청없이도, 상기 칠러(11)가 소정 주기 또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으로 운전 정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S820).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내부 메모리(140)에 수신한 운전 정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825).
상기 칠러(11)의 동작 여부에 따라 설정된 주기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S830).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상기 칠러(11)가 동작 중이면(S620), 제1 주기로 전송 타이밍이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칠러(11)가 동작 중이 아니면, 상기 제1 주기보다 긴 제2 주기로 전송 타이밍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설정된 주기마다, 센싱 데이터 등 상기 칠러(11)의 운전 정보를 운전 사이클 단위로 압축한 후에, 압축된 데이터를 상기 송신할 수 있다(S830).
한편, 중계기(50)가 있는 경우에, 압축된 데이터는 중계기(50)에서 수신되고(S830), 중계기(50)는 압축된 데이터를 상기 서버(30)로 전달할 수 있다(S835).
서버(30)는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이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830, S835). 중계기(50)가 있는 경우에,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이 송신한 데이터는 중계기(50)를 경유하여 서버(30)에 도달할 수 있다.
서버(30)는 수신된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는, 압축 해제된 데이터를, 운전 사이클 단위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압축 해제된 데이터를, 일자별, 시간별로 분류하고(S840), 분류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S845).
한편, 서버(30)는, 모니터링 단말(30)을 통하여 칠러(11) 모니터링 서비스를 요청받을 수 있다(S850).
예를 들어, 모니터링 단말(30)을 통하여 서버(30)에 칠러(11)의 상태 정보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S750), 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의 칠러(11)의 최신 상태 정보 또는 요청 대상 시점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S860), 모니터링 단말(30) 측에 응답할 수 있다(S870).
한편, 서버(30)는, 모니터링 단말(30)을 통하여 칠러(11) 제어 서비스를 요청받을 수 있다(S850).
만약 모니터링 단말(30)을 통하여 서버(30)에 칠러(11)의 제어 요청이 수신되면(S910), 서버(30)는 요청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사물인터넷 플랫폼(12)측으로 송신할 수 있다(S920, S930). 서버(30)는 요청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중계기(50)로 송신하고(S920), 중계기(50)는, 수신한 제어 신호를 사물인터넷 플랫폼(12)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S930).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수신한 제어 신호를 유선 통신으로 칠러(11)에 전달하고(S940), 칠러(11)는 수신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칠러(11)는 수행한 동작에 관한 응답을 사물인터넷 플랫폼(12)으로 송신하고, 사물인터넷 플랫폼(12)은 중계기(50)를 경유하여, 서버(30)에 칠러(11)의 응답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칠러: 11
사물인터넷 플랫폼: 12
서버: 30
모니터링 단말 : 40

Claims (16)

  1. 칠러, 및, 유선 통신으로 상기 칠러의 운전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 통신으로 상기 칠러의 운전 정보에 기초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칠러 시스템; 및,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칠러의 운전 정보에 기초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과 상기 서버는, LTE Cat.M1 기반으로 무선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상기 서버로부터 제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칠러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칠러가 동작 중이면, 제1 주기마다 상기 칠러의 운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칠러가 동작 중이지 않으면, 상기 제1 주기보다 긴 제2 주기마다 상기 칠러의 운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로 재전송하는 중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상기 중계기까지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한 후에,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인 경우에 상기 칠러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에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칠러의 운전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이 된 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상기 칠러의 운전 정보를 상기 칠러의 운전 사이클을 기준으로 취합하여 압축하고, 압축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복수개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 상기 센싱 데이터의 획득 타이밍 정보, 상기 칠러의 장치 정보를 하나의 운전 사이클 정보로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운전 사이클 정보를 N개 묶어 압축하여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정보는, 복수개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 상기 센싱 데이터의 획득 타이밍 정보, 상기 칠러의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장치별, 일자별로 뷴류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 소정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시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칠러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모니터링 단말;을 더 포함하는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칠러의 이상 상태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모니터링 단말에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칠러의 운전 정보는, 상기 칠러의 동작 정보, 상기 칠러가 구비하거나 상기 칠러의 상태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칠러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감압시키는 팽창기, 상기 팽창기에서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냉매의 온도, 압력을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칠러의 운전 정보는, 상기 칠러의 상태 정보, 상기 칠러가 배치된 환경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센서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칠러는,
    무선 통신으로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유선 통신으로 상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칠러는,
    무선 통신으로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구비하는 복수의 센서에서 획득한 센싱 데이터와 병합하여, 유선 통신으로 병합된 센싱 데이터를 상기 사물인터넷 플랫폼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200057729A 2020-05-14 2020-05-14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KR20210140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729A KR20210140789A (ko) 2020-05-14 2020-05-14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729A KR20210140789A (ko) 2020-05-14 2020-05-14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789A true KR20210140789A (ko) 2021-11-23

Family

ID=7869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729A KR20210140789A (ko) 2020-05-14 2020-05-14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07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2172B2 (en) Asynchronous wireless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asynchronously transmitting samples of a measured variable by a wireless sensor
US8589111B2 (en) Remote testing of HVAC systems
US10317101B2 (en) HVAC device controller with network integration capabilities
CN107525207B (zh) 空气调节器及其通信方法
KR2010012348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473949A (zh) 空调机的诊断系统、空调机以及移动通信终端
WO2013040855A1 (zh) 基于云计算的绿色建筑设施设备管理控制系统及方法
CN107062564A (zh) 空调器的控制方法、空调器及存储介质
JP3498036B2 (ja) 空気調和機システム及び室外機
JP6733704B2 (ja) 空調管理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装置
WO2013040850A1 (zh) 基于云计算的空气处理设备管理控制系统及方法
KR101170743B1 (ko)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통한 냉동기 최적 운전 시스템 및 방법
JPH0979654A (ja) Lan接続空気調和機システム
KR20210140789A (ko)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JP4300069B2 (ja)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2748890B (zh) 一种水冷冷水机组系统
US20230235904A1 (en) Self-learning wireless thermostat that minimizes battery drain
CN112393381A (zh) 空调监测系统
WO2013040854A1 (zh) 基于云计算的冷水机管理控制系统及方法
JP6773078B2 (ja) 空調管理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装置
CN115095953B (zh) 一种故障诊断模型的训练方法及装置
KR20220093728A (ko) 칠러 네트워크 시스템
KR20220009052A (ko) 칠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5264756A (zh) 一种空调系统的应急处理方法及装置
CN114484770A (zh) 空调控制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