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8757A -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8757A
KR20210138757A KR1020217034323A KR20217034323A KR20210138757A KR 20210138757 A KR20210138757 A KR 20210138757A KR 1020217034323 A KR1020217034323 A KR 1020217034323A KR 20217034323 A KR20217034323 A KR 20217034323A KR 20210138757 A KR20210138757 A KR 20210138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rol information
field
indication information
ind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4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웬핑 비
젱 유
샹 미
유보 양
싱킹 쳉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38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04L1/0004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applied to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04W72/1289
    • H04W72/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다운링크 스케줄링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 낭비라는 현재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는 제1 제어 정보를 판정하는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및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제1 지시 정보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의 상태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태는 성공적 송신, 비성공적 송신, 스케줄링 재송신, 또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재송신을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제1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송신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고, 제1 정보는 상위 계층 데이터 및/또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는 제1 제어 정보를 제2 디바이스에 발신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따르면, 네트워크 커버리지 능력이 개선될 수 있고, 방법 및 디바이스는 사물 인터넷, 예를 들어, MTC, IoT, LTE-M, 또는 M2M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이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련되고, 특히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련된다.
몇몇 서비스에 대해, 두 서비스 간에 비교적 큰 간격이 있고, 통신 데이터 패킷은 비교적 작다. 에너지를 절감하고 시그널링 오버헤드(signaling overhead)를 감소시키기 위해, LTE 릴리즈(release) 16에서, 사전정의된 리소스 상의 송신을 위한 메커니즘을 표준화하기로 정해지는데, 즉, 스케줄링을 위해 동적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가 요구되지 않는 통신이되, 이는 또한 스케줄링 면제 송신(scheduling-free transmission)으로 지칭된다. 업링크 스케줄링 면제 송신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단말 디바이스가 업링크 데이터를 발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동적 업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단말 디바이스는 사전구성된 송신 리소스 상에서 업링크 송신을 사전설정된 발신 방식으로 수행한다.
현재, 단말 디바이스가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preconfigured uplink resource, PUR) 상에서 업링크 송신을 수행한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PDCCH 상에서 ACK/NACK 정보를 피드백할 수 있는데, ACK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preconfigured-resource transmission)이 성공함을 지시하고(indicate), NACK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이 실패함을 지시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ACK/NACK 정보를 피드백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가 있는지를 특정 시간 기간 내에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고(monitor), DCI를 사용함으로써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필요가 있다. 다운링크 스케줄링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를 블라인드식으로 검출할(blindly detect)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킨다.
다운링크 스케줄링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 낭비라는 현재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는 제1 제어 정보를 판정하는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지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 및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제1 지시 정보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preconfigured-resource transmission)의 상태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태는 성공적 송신(successful transmission), 비성공적 송신(unsuccessful transmission), 스케줄링 재송신(scheduling retransmission), 또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재송신(preconfigured-resource retransmission)을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제1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송신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고, 제1 정보는 상위 계층(higher layer) 데이터 및/또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preconfigured uplink resource) 재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는 제1 제어 정보를 제2 디바이스에 발신한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의 상태를 제2 디바이스에 피드백하는(feeding back) 경우에, 제1 디바이스는 상위 계층 데이터 및/또는 PUR 재구성 정보가 송신되는지를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한다. 이 방식으로,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의 상태를 수신하는 경우에, 제2 디바이스는 상위 계층 데이터 및/또는 PUR 재구성 정보를 수신할 것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를 블라인드식으로 검출하는 현재 기술 방식과 비교하여,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데이터 및/또는 PUR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에, 제1 디바이스는 제1 제어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제2 디바이스에 통지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제2 디바이스는 상위 계층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을 수 있어서, 제2 디바이스는 블라인드 검출의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바, 이로써 제2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제어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이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정보가 제1 제어 정보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공유 채널(physical shared channel) 상에서 반송되는지(carried)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지시 정보는 제2 제어 정보를 검출할 것인지를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데, 제2 제어 정보는 제1 정보를 스케줄링하는 데에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제어 정보가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제어 정보가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 및 제3 제어 정보를 검출할 것인지를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데, 제3 제어 정보는 상위 계층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데에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제어 정보 내의 제1 필드(field)는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설계에서,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필드를 재사용함으로써 지시된다. 이 방식으로, 제어 정보 오버헤드(overhead)의 증가가 방지될 수 있는바, 이로써 스펙트럼 효율의 감소를 방지하고, 시스템 리소스 활용을 개선하고, 사용자 전력 소비의 증가를 방지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6-1A 또는 포맷 6-1B로 된 제어 정보이다. 제1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resource block assignment field)일 수 있다. 전술한 설계에서, 제2 지시 정보는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를 사용함으로써 지시되어서, 제1 제어 정보에 비트(bit)가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제어 정보 오버헤드의 증가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바, 이로써 스펙트럼 효율의 감소를 방지하고, 시스템 리소스 활용을 개선하고, 사용자 전력 소비의 증가를 방지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에, 제2 지시 정보는 제1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송신함을 지시할 수 있거나, 제1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되지는 않은 경우에, 제2 지시 정보는 제1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송신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전술한 설계에서, 제2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 내의 예약 상태(reserve state)를 재사용함으로써(즉, 모든 비트를 1로 설정함) 지시된다. 이 방식으로, 제어 정보 오버헤드의 증가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시스템 리소스 활용이 개선될 수 있고, DCI 사용 융통성이 개선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0로 된 제어 정보이다. 제1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부반송파(subcarrier) 지시 필드 또는 변조 및 코딩 방안(modulation and coding scheme) 필드일 수 있다. 전술한 설계에서, 포맷 N0로 된 제어 정보 내의 부반송파 지시 필드 또는 변조 및 코딩 방안 필드의 몇몇 예약 상태가 있다. 제2 지시 정보는 부반송파 지시 필드 또는 변조 및 코딩 방안 필드의 예약 상태를 사용함으로써 지시되어서, 제1 제어 정보에 비트가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제어 정보 오버헤드의 증가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시스템 리소스 활용이 개선될 수 있고, DCI 사용 융통성이 개선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이고 스케줄링 허여(scheduling grant)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1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변조 및 코딩 방안 필드이다. 전술한 설계에서, 스케줄링 허여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 내의 변조 및 코딩 방안 필드의 몇몇 예약 상태가 있다. 제2 지시 정보는 변조 및 코딩 방안 필드의 예약 상태를 사용함으로써 지시되어서, 제1 제어 정보에 비트가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제어 정보 오버헤드의 증가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시스템 리소스 활용이 개선될 수 있고, DCI 사용 융통성이 개선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이고 물리적 제어 채널 명령(physical control channel instruction)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1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NPRACH 반복 시작 수 필드, NPRACH 부반송파 지시 필드, 또는 예약된 필드(reserved field)일 수 있다. 전술한 설계에서, 물리적 제어 채널 명령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 내의 NPRACH 반복 시작 수 필드 또는 NPRACH 부반송파 지시 필드의 몇몇 예약 상태가 있고, 제어 정보는 다른 사용되지 않는 예약된 필드를 더 포함한다. 제2 지시 정보는 예약된 필드 또는 예약 상태를 사용함으로써 지시되어서, 제1 제어 정보에 비트가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제어 정보 오버헤드의 증가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시스템 리소스 활용이 개선될 수 있고, DCI 사용 융통성이 개선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데에 제1 제어 정보 내의 제2 필드 및 제3 필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설계에서,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2개의 필드를 재사용함으로써 지시된다. 이 방식으로, 제어 정보 오버헤드의 증가가 방지될 수 있고, 시스템 리소스 활용이 개선될 수 있고,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정확성이 또한 개선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일 수 있다. 만일 제2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데에 제3 필드가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이고 물리적 제어 채널 명령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2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NPRACH 반복 시작 수 필드, NPRACH 부반송파 지시 필드, 또는 예약된 필드일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이고 스케줄링 허여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2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변조 및 코딩 방안 필드일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0로 된 제어 정보이다. 제2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부반송파 지시 필드 또는 변조 및 코딩 방안 필드일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스크램블링 코드(scrambling code)를 사용함으로써 제1 제어 정보의 순환 잉여 체크(cyclic redundancy check, CRC) 코드가 스크램블링될 수 있는데, 제1 스크램블링 코드는 시스템 정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system information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SI-RNTI)일 수 있다.
제2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2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및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제1 지시 정보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의 상태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태는 성공적 송신, 비성공적 송신, 스케줄링 재송신, 또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재송신을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제1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송신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고, 제1 정보는 상위 계층 데이터 및/또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송신함을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함을 판정한 후에, 제2 디바이스는 제2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수신한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의 상태를 제2 디바이스에 피드백하는 경우에, 제1 디바이스는 상위 계층 데이터 및/또는 PUR 재구성 정보가 송신되는지를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한다. 이 방식으로,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의 상태를 수신하는 경우에, 제2 디바이스는 상위 계층 데이터 및/또는 PUR 재구성 정보를 수신할 것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를 블라인드식으로 검출하는 현재 기술 방식과 비교하여,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데이터 및/또는 PUR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에, 제1 디바이스는 제1 제어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제2 디바이스에 통지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제2 디바이스는 상위 계층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을 수 있어서, 제2 디바이스는 블라인드 검출의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바, 이로써 제2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제어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이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정보가 제1 제어 정보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공유 채널 상에서 반송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지시 정보는 제2 제어 정보를 검출할 것인지를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데, 제2 제어 정보는 제1 정보를 스케줄링하는 데에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제어 정보가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제어 정보가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 및 제3 제어 정보를 검출할 것인지를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데, 제3 제어 정보는 상위 계층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데에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제어 정보 내의 제1 필드는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설계에서,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필드를 재사용함으로써 지시된다. 이 방식으로, 제어 정보 오버헤드의 증가가 방지될 수 있는바, 이로써 스펙트럼 효율의 감소를 방지하고, 시스템 리소스 활용을 개선하고, 사용자 전력 소비의 증가를 방지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6-1A 또는 포맷 6-1B로 된 제어 정보이다. 제1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일 수 있다. 전술한 설계에서, 제2 지시 정보는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를 사용함으로써 지시되어서, 제1 제어 정보에 비트가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제어 정보 오버헤드의 증가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바, 이로써 스펙트럼 효율의 감소를 방지하고, 시스템 리소스 활용을 개선하고, 사용자 전력 소비의 증가를 방지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에, 제2 지시 정보는 제1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송신함을 지시할 수 있거나, 제1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되지는 않은 경우에, 제2 지시 정보는 제1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송신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전술한 설계에서, 제2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 내의 예약 상태를 재사용함으로써(즉, 모든 비트를 1로 설정함) 지시된다. 이 방식으로, 제어 정보 오버헤드의 증가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시스템 리소스 활용이 개선될 수 있고, DCI 사용 융통성이 개선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0로 된 제어 정보이다. 제1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부반송파 지시 필드 또는 변조 및 코딩 방안 필드일 수 있다. 전술한 설계에서, 포맷 N0로 된 제어 정보 내의 부반송파 지시 필드 또는 변조 및 코딩 방안 필드의 몇몇 예약 상태가 있다. 제2 지시 정보는 부반송파 지시 필드 또는 변조 및 코딩 방안 필드의 예약 상태를 사용함으로써 지시되어서, 제1 제어 정보에 비트가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제어 정보 오버헤드의 증가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시스템 리소스 활용이 개선될 수 있고, DCI 사용 융통성이 개선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이고 스케줄링 허여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1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변조 및 코딩 방안 필드이다. 전술한 설계에서, 스케줄링 허여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 내의 변조 및 코딩 방안 필드의 몇몇 예약 상태가 있다. 제2 지시 정보는 변조 및 코딩 방안 필드의 예약 상태를 사용함으로써 지시되어서, 제1 제어 정보에 비트가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제어 정보 오버헤드의 증가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시스템 리소스 활용이 개선될 수 있고, DCI 사용 융통성이 개선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이고 물리적 제어 채널 명령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1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NPRACH 반복 시작 수 필드, NPRACH 부반송파 지시 필드, 또는 예약된 필드(reserved field)일 수 있다. 전술한 설계에서, 물리적 제어 채널 명령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 내의 NPRACH 반복 시작 수 필드 또는 NPRACH 부반송파 지시 필드의 몇몇 예약 상태가 있고, 제어 정보는 다른 사용되지 않는 예약된 필드를 더 포함한다. 제2 지시 정보는 예약된 필드 또는 예약 상태를 사용함으로써 지시되어서, 제1 제어 정보에 비트가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제어 정보 오버헤드의 증가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시스템 리소스 활용이 개선될 수 있고, DCI 사용 융통성이 개선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데에 제1 제어 정보 내의 제2 필드 및 제3 필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설계에서,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2개의 필드를 재사용함으로써 지시된다. 이 방식으로, 제어 정보 오버헤드의 증가가 방지될 수 있고, 시스템 리소스 활용이 개선될 수 있고,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정확성이 또한 개선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일 수 있다. 만일 제2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데에 제3 필드가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이고 물리적 제어 채널 명령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2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NPRACH 반복 시작 수 필드, NPRACH 부반송파 지시 필드, 또는 예약된 필드일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이고 스케줄링 허여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2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변조 및 코딩 방안 필드일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0로 된 제어 정보이다. 제2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부반송파 지시 필드 또는 변조 및 코딩 방안 필드일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제1 제어 정보의 CRC가 스크램블링될 수 있는데, 제1 스크램블링 코드는 SI-RNTI일 수 있다.
제3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은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제1 디바이스, 제2 디바이스, 또는 칩일 수 있다. 장치는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서의 임의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하드웨어가 대응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와, 메모리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장치 및 다른 장치 간에 정보 및/또는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장치가 가동되는(run) 경우에,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하여, 장치로 하여금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설계 중 임의의 것, 또는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설계 중 임의의 것에 따른 통신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제5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은 시스템을 또한 제공한다. 시스템은 제1 측면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 및 제2 측면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6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또한 제공하고,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한다. 명령어가 컴퓨터 상에서 가동되는 경우에, 컴퓨터는 전술한 측면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7 측면에 따르면, 이 출원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또한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가동되는 경우에, 컴퓨터는 전술한 측면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도해이고,
도 2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의 개략도이고,
도 3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4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5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하는 또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출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한다.
이 출원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은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시스템,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IoT) 시스템, 또는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일 수 있거나, 5세대(5G) 통신 시스템일 수 있거나, LTE 및 5G의 하이브리드 아키텍처(hybrid architecture)일 수 있거나, 5G 신무선(new radio, NR) 시스템,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범용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및 장래의 통신 개발에서 출현할 새로운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은, 통신 시스템 내의 개체가 전송 블록(transport block)을 스케줄링하는 데에 사용되는 제어 정보를 발신하고 전송 블록을 발신하고 수신할 수 있고, 다른 개체가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는 데에 사용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전송 블록을 수신하고 발신할 수 있다면 사용될 수 있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디바이스는 사용자를 위해 음성 및/또는 데이터 연결성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예를 들어, 무선 연결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handheld) 디바이스나 차량 장착형(vehicle-mounted) 디바이스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무선 단말,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원격 스테이션(remote station),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또는 유사한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또는 "셀룰러"(cellular) 전화로 지칭됨) 및 모바일 단말을 갖는 컴퓨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휴대가능한(portable), 포켓 크기의(pocket-sized), 핸드헬드, 컴퓨터 내장식(computer built-in), 또는 차량 장착형 모바일 장치일 수 있는데, 이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개인용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전화, 무코드 전화 세트(cordless telephone set),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또는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와 같은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통의 단말 디바이스는 모바일 전화,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팜톱 컴퓨터(palmtop computer),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 MID) 및 착용가능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컨대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밴드(smart band), 또는 계보기(pedometer)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수신된 공중(over-the-air) 프레임 및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패킷을 상호 변환하고 단말 디바이스 및 액세스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 간의 라우터(router)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은 IP 네트워크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공중 인터페이스(air interface)의 속성 관리를 조정할(coordinate)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또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내의 베이스 송수신기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내의 노드B(NodeB), LTE 시스템 내의 진화된 노드B(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 신무선 제어기(new radio controller, NR controller), 5G 시스템 내의 gNodeB(gNB), 중앙형 유닛(centralized unit), 새로운 무선 베이스 스테이션, 원격 무선 유닛(remote radio unit), 마이크로 베이스 스테이션(micro base station), 릴레이(relay), 분산형 유닛(distributed unit), 송신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또는 송신포인트(transmission point, TP), 또는 임의의 다른 무선 액세스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러나, 이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셀(cell)을 커버할 수 있다.
도 1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6개의 단말 디바이스, 즉, UE1 내지 UE6를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에서, UE1 내지 UE6는 업링크 데이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발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UE1 내지 UE6에 의해 발신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추가로, 통신 서브시스템은 대안적으로 UE4 내지 UE6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정보를 UE1, UE2, UE3 및 UE5에 발신할 수 있고, UE5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evice-to-device, D2D) 기술에 기반하여 다운링크 정보를 UE4 및 UE6에 발신할 수 있다. 도 1은 단지 개략도이며, 통신 시스템의 타입,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수,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타입 및 유사한 것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기술된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 서비스 시나리오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안을 더욱 명확히 기술하도록 의도되며,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안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진화 및 새로운 서비스 시나리오의 출현과 함께,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안이 또한 유사한 기술적 문제에 적용가능함을 알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UE는 3개의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유휴 모드(idle mode), 비활성 모드(inactive mode) 및 연결 모드(connected mode). 연결 모드에서의 UE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베이스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동적 스케줄링을 통해서 베이스 스테이션과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유휴 모드에서의 UE는 베이스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동적 스케줄링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지만,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가 수행되고 RRC 연결이 수립된 후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의 메시지 3 내에 소량의 업링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비활성 모드는 그 두 모드의 중간 상태로서 간주될 수 있다. UE 및 코어 네트워크는 연결 모드에서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의 콘텍스트(context)를 보유한다(reserve). 따라서, 유휴 모드와 비교하여, UE가 더 빠른 속도로 연결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현재의 LTE 프로토콜에 따르면, UE가 RRC 연결 모드로부터 유휴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 RRC 구성 메시지가 보유되지 않으나, UE가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 RRC 메시지의 콘텍스트는 보유된다.
리소스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고, 데이터 송신 지연을 감소시키고,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서비스는 사전정의된 리소스 상에서 송신될 수 있는바, 즉, 스케줄링을 위해 동적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가 요구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상에서 신호를 송신한다. 그러한 송신은 구성 스케줄링 송신으로서 지칭되고, 또한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 사전구성된 리소스 스케줄링 면제 송신, 또는 스케줄링 면제 송신으로서 지칭된다. 특히, 사전구성된 리소스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일 수 있다. 업링크 스케줄링 면제 송신 또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송신(preconfigured uplink resource transmission, PUR)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단말 디바이스가 업링크 데이터를 발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동적 업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단말 디바이스는 사전구성된 송신 리소스 상에서 업링크 송신을 사전설정된 발신 방식으로 수행한다.
현재, 단말 디바이스가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preconfigured uplink resource, PUR) 상에서 업링크 송신을 수행한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PDCCH 상에서 ACK/NACK 정보를 피드백할 수 있는데, ACK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이 성공함을 지시하고, NACK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이 실패함을 지시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ACK/NACK 정보를 피드백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가 있는지를 특정 시간 기간 내에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고, DCI를 사용함으로써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필요가 있다. 다운링크 스케줄링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를 블라인드식으로 검출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킨다.
이를 기반으로, 다운링크 스케줄링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 낭비라는 현재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방법 및 장치는 동일한 발명적 개념에 기반한다. 방법의 문제 해결 원리가 디바이스의 것과 유사하기 때문에, 장치 및 방법의 구현을 위해, 서로를 참조하시오. 세부사항은 반복적으로 기술되지 않는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복수의"는 2개 또는 2개보다 많음을 지칭한다.
이 출원의 설명에서, "제1" 및 "제2"와 같은 단어는 구분 및 설명을 위해 사용될 뿐이며, 상대적인 중요성의 지시나 암시 또는 순서의 지시나 암시로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이 출원에 따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 내의 제2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301: 제1 디바이스는 제1 제어 정보를 판정하는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및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제1 지시 정보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의 상태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태는 성공적 송신, 비성공적 송신, 스케줄링 재송신, 또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재송신을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제1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송신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고, 제1 정보는 상위 계층 데이터 및/또는 PUR 재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상위 계층 데이터"는 또한 "다운링크 데이터", "데이터", 또는 "다운링크 상위 계층 데이터"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가 사전구성된 송신 방식으로 제1 디바이스에 정보를 성공적으로 송신한 후에,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간에는 대응하는 상호작용 정보, 예를 들어, 상위 계층 ACK가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동안에, 제1 제어 정보는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제1 제어 정보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제어 정보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제1 제어 정보는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제어 정보는 제1 지시 정보가 성공적 송신을 지시하는(즉, ACK) 경우에 상위 계층 데이터 및/또는 PUR 재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거나, 제1 지시 정보가 비성공적 송신, 스케줄링 재송신, 또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송신을 지시하는(즉, NACK) 경우에 PUR 재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preconfigured uplink resource, PUR)는 단지 예시적인 명칭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질적으로, 제1 디바이스가 동적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 또는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해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고서 제2 디바이스가 리소스 상에서 업링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리소스를 구성한다. 리소스는 대안적으로 다른 명칭, 예를 들어, 구성된 허여 리소스(configured grant resource)를 가질 수 있다. 만일 구성된 허여 리소스가 또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경우, 구성된 허여 리소스는 또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로서 이해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총괄적으로 리소스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로 지칭된다.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은 제2 디바이스가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상에서 데이터 송신을 사전설정된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수행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은 또한 "사전구성된 송신 방식", 스케줄링 면제 송신", "스케줄링 면제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 또는 유사한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은 단지 설명을 위한 예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제의 구현 동안에,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은 대안적으로 다른 명칭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명칭은 또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 방식으로 업링크 신호가 송신됨이 이해될 수 있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총괄적으로 송신 방식은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으로 지칭된다.
사전구성된 리소스 재송신은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상에서 또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의 일부 상에서 재송신이 수행됨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동적 스케줄링 정보(예를 들어, DCI)가 스케줄링을 위해 요구되지 않지만,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재송신이 수행된다. 그러나, 대응하는 사전구성된 리소스의 구성정보는 동적 스케줄링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재구성되거나 갱신될 수 있다.
스케줄링 재송신은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의 동작 스케줄링 정보(예를 들어, DCI) 내의 스케줄링 정보에 기반하여 재송신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는 다음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전력 제어 정보, 반복 횟수, 변조 및 코딩 방안(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전송 블록 크기(transport block size, TBS), 또는 유사한 것.
예를 들어, 제1 제어 정보는 LTE eMTC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 NR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이는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이하는 제1 제어 정보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인 예를 사용한다.
구체적인 구현 동안에,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정보가 제1 제어 정보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상에서 반송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제어 정보가 제1 정보를 스케줄링함", "제1 제어 정보가 PDSCH를 스케줄링함", "제1 정보가 제1 제어 정보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 내에서 반송됨" 및 "제1 정보가 있음"은 모두 제1 제어 정보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가 제1 정보를 포함한다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대안적으로, 제2 지시 정보는 제2 제어 정보를 검출할 것인지를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2 제어 정보는 제1 정보를 스케줄링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2 디바이스가 제2 제어 정보를 검출함" 및 "제2 디바이스가 제1 탐색 공간(search space)을 모니터링하되, 제1 탐색 공간은 제2 제어 정보를 반송하거나 송신하기 위한 탐색 공간임"은 양자 모두 제2 디바이스가 제2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도록 요구된다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대안적으로,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제어 정보가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지시 정보는 제2 디바이스가 제1 제어 정보 내에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 및 제3 제어 정보를 검출할 것인지를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3 제어 정보는 상위 계층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2 디바이스가 제3 제어 정보를 검출함" 및 "제2 디바이스가 제2 탐색 공간을 모니터링하되, 제2 탐색 공간은 제3 제어 정보를 반송하거나 송신하기 위한 탐색 공간임"은 양자 모두 제2 디바이스가 제3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도록 요구된다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1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제2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제1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디바이스는 발신 능력을 갖는 디바이스일 수 있고, 제2 디바이스는 수신 능력을 갖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S302: 제1 디바이스는 제1 제어 정보를 제2 디바이스에 발신한다. 상응하여, 제2 디바이스는 제1 정보를 수신할 것인지를 제2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판정한다.
구체적인 구현 동안에, 제1 제어 정보는 1개 이상의 제어 정보일 수 있다. 만일 제1 제어 정보가 1개의 제어 정보인 경우, 제어 정보는 2개의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제1 지시 정보 및 제2 지시 정보. 만일 제1 제어 정보가 복수 개의 제어 정보인 경우, 1개의 제어 정보는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다른 1개의 제어 정보는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제어 정보는 함께 발신될 수 있어서, 제2 디바이스는 추가적인 검출을 수행하지 않고서 복수 개의 제어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S303: 제1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송신함을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함을 판정한 후에, 제2 디바이스는 제2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수신한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의 상태를 제2 디바이스에 피드백하는 경우에, 제1 디바이스는 상위 계층 데이터 및/또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가 송신되는지를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한다. 이 방식으로,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의 상태를 수신하는 경우에, 제2 디바이스는 상위 계층 데이터 및/또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수신할 것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를 블라인드식으로 검출하는 현재 기술 방식과 비교하여,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데이터 및/또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에, 제1 디바이스는 제1 제어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제2 디바이스에 통지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제2 디바이스는 상위 계층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을 수 있어서, 제2 디바이스는 블라인드 검출의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바, 이로써 제2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제어 정보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가 제1 정보를 반송함", "PDSCH가 제1 제어 정보에 의해 스케줄링됨", "제1 제어 정보는 제2 제어 정보를 검출할 것을 지시함" 및 "제1 제어 정보는 제1 탐색 공간을 모니터링할 것을 지시함"은 총괄적으로 "제1 정보를 스케줄링함"으로서 지칭되고, "제1 제어 정보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가 상위 계층 데이터를 반송함", "제1 제어 정보는 제3 제어 정보를 검출할 것을 지시함", "제1 제어 정보는 제2 탐색 공간을 모니터링할 것을 지시함", "제1 제어 정보는 상위 계층 데이터를 반송함" 및 유사한 것은 모두 "상위 계층 데이터가 있음"으로서 지칭되고, "제1 제어 정보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가 PUR 재구성 정보를 반송함", "제1 제어 정보는 PUR 재구성 정보를 포함함" 및 유사한 것은 모두 "PUR 재구성 정보를 포함함"으로서 지칭된다.
구체적인 구현 동안에, 제1 디바이스는 다음의 두 방식으로,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서, 제1 제어 정보 내에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방식 1: 제1 제어 정보는 필드를 사용함으로써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데에 제1 필드가 사용된다. 또한, 제1 필드가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경우에,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이 성공함이 간주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필드는 성공적인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 및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설명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format) 6-1A 또는 포맷 6-1B로 된 제어 정보일 수 있다. 제1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리소스 블록 할당(resource block assignment) 필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에, 제2 지시 정보는 제1 디바이스가 PDSCH를 스케줄링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고, 또한 성공적 송신을 지시할 수 있거나; 제1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되지는 않은 경우에, 제2 지시 정보는 제1 디바이스가 PDSCH를 스케줄링함을 지시할 수 있고, 또한 성공적 송신(또는 성공적 수신)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보는 상위 계층 데이터를 포함한다. 표 1을 참조하시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성공적 송신"은 또한 "성공적 수신"으로 지칭될 수 있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은 단지 설명을 위한 예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1 필드의 상태, 지시 내용, 상태 및 지시 내용 간의 대응관계 및 유사한 것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제1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에, 제2 지시 정보는 제1 디바이스가 PDSCH를 스케줄링함을 지시할 수 있고, 또한 성공적 송신을 지시할 수 있거나; 제1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되지는 않은 경우에, 제2 지시 정보는 제1 디바이스가 PDSCH를 스케줄링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고, 또한 성공적 송신을 지시할 수 있다.다른 예시적인 설명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0로 된 제어 정보이다. 제1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부반송파 지시(subcarrier indication) 필드 또는 변조 및 코딩 방안(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필드일 수 있다. 부반송파 지시 필드 및 MCS 필드의 예약 상태에 대해, 표 2를 참조하시오. 예를 들어, 부반송파 간격이 3.75 kHz인 경우에, 만일 부반송파 지시 필드가 48부터 63까지의 범위인 값으로 설정되면, 그것은 성공적 수신을, 그리고 어떤 PDSCH 스케줄링도 없음을 지시한다. 다른 예를 들면, 부반송파 간격이 15 kHz인 경우에, 만일 부반송파 지시 필드가 19부터 63까지의 범위인 값으로 설정되면, 그것은 성공적 수신을, 그리고 어떤 PDSCH 스케줄링도 없음을 지시한다. 다른 예를 들면, 단일 톤(single-tone)에 대해, 만일 MCS 필드가 11부터 15까지의 범위인 값으로 설정되면, 그것은 성공적 수신을, 그리고 어떤 PDSCH 스케줄링도 없음을 지시한다. 다른 예를 들면, 다중 톤(multi-tone)에 대해, 만일 MCS 필드가 14 또는 15로 설정되면, 그것은 성공적 수신을, 그리고 어떤 PDSCH 스케줄링도 없음을 지시한다.
[표 2]
Figure pct00002
또 다른 예시적인 설명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이고 스케줄링 허여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1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MCS 필드일 수 있다. MCS 필드의 예약 상태에 대해, 표 3을 참조하시오. 예를 들어, 만일 MCS 필드가 14 또는 15로 설정되면, 그것은 성공적 수신을, 그리고 어떤 PDSCH 스케줄링도 없음을 지시한다.
[표 3]
Figure pct00003
또 다른 예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이고 물리적 제어 채널 명령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1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NPRACH 반복 시작 번호 필드, NPRACH 부반송파 지시 필드, 또는 예약된 필드일 수 있다. MCS 필드의 예약 상태에 대해, 표 4을 참조하시오. 예를 들어, 만일 NPRACH 부반송파 지시 필드가 48부터 63까지의 범위인 값으로 설정되면, 그것은 성공적 수신을, 그리고 어떤 PDSCH 스케줄링도 없음을 지시한다.
[표 4]
Figure pct00004
방식 2: 제1 제어 정보는 2개의 필드를 사용함으로써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데에 제2 필드 및 제3 필드가 사용된다. 또한, 제1 제어 정보가 제2 필드 및 제3 필드를 사용함으로써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경우에, PUR이 성공함이 간주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필드는 성공적인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 및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한다.예시적인 설명에서, 제2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일 수 있다. 만일 제2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데에 제3 필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제3 필드는 제1 정보가 송신되는지를, 2개의 값 상태를 사용함으로써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필드의 하나의 상태는 PDSCH 스케줄링을 지시하고, 또한 성공적 송신을 지시할 수 있으며; 제3 필드의 다른 상태는 어떤 PDSCH 스케줄링도 없음을 지시하고, 또한 성공적 송신을 지시할 수 있다. 표 5-1을 참조하시오.
[표 5-1]
Figure pct00005
예를 들어, 제3 필드는 반복 횟수 필드이고, 제1 정보는 상위 계층 데이터를 포함한다. 반복 횟수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에, 그것은 성공적 송신을, 그리고 어떤 PDSCH 스케줄링도 없음을 지시할 수 있다. 표 5-2를 참조하시오.
[표 5-2]
Figure pct00006
표 5-2는 단지 설명을 위한 예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3 필드의 타입, 제3 필드의 상태, 제3 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내용, 상태 및 지시 내용 간의 대응관계 및 유사한 것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다른 예를 들면, 제3 필드의 하나의 상태는 제1 제어 정보가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함을 지시하고, 또한 성공적 송신을 지시할 수 있고; 제3 필드의 다른 상태는 제1 제어 정보가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하지 않음을 지시하고, 또한 성공적 송신을 지시할 수 있다. 표 5-3을 참조하시오.
[표 5-3]
Figure pct00007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가 포함됨"은 제1 제어 정보가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함을 의미할 수 있거나, 제1 제어 정보에 의해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데이터가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함을 의미할 수 있다.또 다른 예를 들면, 제3 필드의 하나의 상태는 어떤 상위 계층 데이터도 없음 및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가 포함되지 않음을 지시하고, 또한 성공적 송신을 지시할 수 있고; 제3 필드의 다른 상태는 상위 계층 데이터가 있음 및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가 포함됨을 지시하고, 또한 성공적 송신을 지시할 수 있다. 표 5-4를 참조하시오.
[표 5-4]
Figure pct00008
대안적으로, 제3 필드는 제1 정보가 송신되는지를, 4개의 값 상태를 사용함으로써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태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가 포함되고 상위 계층 데이터가 있음을 지시하고, 또한 성공적 송신을 지시할 수 있으며; 제2 상태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가 포함되지 않고 상위 계층 데이터가 있음을 지시하고, 또한 성공적 송신을 지시할 수 있으며; 제3 상태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가 포함되고 어떤 상위 계층 데이터도 없음을 지시하고, 또한 성공적 송신을 지시할 수 있으며; 제4 상태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가 포함되지 않고 어떤 상위 계층 데이터도 없음을 지시하고, 또한 성공적 송신을 지시할 수 있다. 표 6을 참조하시오.
[표 6]
Figure pct00009
다른 예시적인 설명에서, 제2 필드는 상위 계층 데이터가 있는지를, 상태 1 및 상태 2를 사용함으로써 별개로 지시할 수 있고, 제3 필드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가 포함되는지를, 상태 3 및 상태 4를 사용함으로써 별개로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제2 필드가 상태 1에 있고 제3 필드가 상태 3에 있는 경우, 그것은 어떤 상위 계층 데이터도 없고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가 포함되지 않음을 지시하거나; 만일 제2 필드가 상태 1에 있고 제3 필드가 상태 4에 있는 경우, 그것은 어떤 상위 계층 데이터도 없고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가 포함됨을 지시하거나; 만일 제2 필드가 상태 2에 있고 제3 필드가 상태 3에 있는 경우, 그것은 상위 계층 데이터가 있고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가 포함되지 않음을 지시하거나; 만일 제2 필드가 상태 2에 있고 제3 필드가 상태 4에 있는 경우, 그것은 상위 계층 데이터가 있고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가 포함됨을 지시한다. 표 7-1를 참조하시오.
[표 7-1]
Figure pct00010
이하는 제2 필드가 리소스 블록 할당인 예를 사용하며, 제3 필드는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new data indicator, NDI)이다. 만일 리소스 블록 할당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 그것은 어떤 상위 계층 데이터도 없음을 지시하거나; 만일 리소스 블록 할당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되지는 않은 경우, 그것은 상위 계층 데이터가 있음을 지시한다. 만일 NDI가 제5 상태에 있는 경우, 그것은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가 포함됨을 지시하거나; 만일 NDI가 제6 상태에 있는 경우, 그것은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가 포함되지 않음을 지시한다. 표 7-2 또는 표 8을 참조하시오.
[표 7-2]
Figure pct00011
[표 8]
Figure pct00012
표 7 및 표 8은 단지 설명을 위한 예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2 필드의 타입, 제2 필드의 상태, 제3 필드의 타입, 제3 필드의 상태, 지시 내용, 상태 및 지시 내용 간의 대응관계 및 유사한 것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가능한 구현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0로 된 제어 정보이다. 제2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부반송파 지시 필드 또는 MCS 필드일 수 있다. 제3 필드는 제2 필드가 아닌 필드일 수 있다. 이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이고 스케줄링 허여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2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MCS 필드일 수 있다. 제3 필드는 제2 필드가 아닌 필드일 수 있다. 이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이고 물리적 제어 채널 명령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2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NPRACH 반복 시작 수 필드, NPRACH 부반송파 지시 필드, 또는 예약된 필드일 수 있다. 제3 필드는 제2 필드가 아닌 필드일 수 있다. 이는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는 다음의 두 방식 중 임의의 것으로,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서, 제1 제어 정보 내에 제1 지시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방식 1: 업링크/다운링크 구분을 위한 제1 제어 정보의 플래그(flag), 예를 들어, 포맷 6-0A/포맷 6-1A 구분을 위한 플래그 또는 포맷 N0/포맷 N1 구분을 위한 플래그가 사용될 수 있다.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을 위해 동적 DCI가 요구되지 않는다.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이 성공하는 경우에, ACK, 다운링크 상위 계층 데이터 및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통상적으로 피드백된다. 따라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가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이 실패하는 경우에, NACK 및/또는 재송신 스케줄링 정보가 피드백된다. 따라서, 업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가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서의 구분을 위한 플래그가 ACK/NACK의 지시로서 재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래그가 0인 경우에, 그것은 NACK를 지시하거나, 플래그가 1인 경우에, 그것은 ACK를 지시한다. 이 방식으로, DCI 오버헤드가 감소될 수 있고, DCI 사용 융통성이 개선될 수 있다. 포맷 6-0A/포맷 6-1A 구분을 위한 플래그가 예로서 사용된다. 업링크/다운링크 구분을 위한 플래그가 제1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방식은 표 9에 도시될 수 있다.
[표 9]
Figure pct00013
표 9는 단지 설명을 위한 예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필드의 타입, 필드의 상태, 상태 및 지시 내용 간의 대응관계 및 유사한 것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또한, 만일 제1 지시 정보가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이 실패함을 지시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는 또한 제1 제어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제3 정보를 지시할 수 있는데, 제3 정보는 다음 행위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것은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랜덤 액세스 개시, 조기 데이터 송신(early data transmission, EDT), NACK, 스케줄링 재송신, 사전구성된 리소스 재송신, 또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재송신 및 구성 갱신. 예를 들어, 표 10을 참조하시오. 스케줄링 재송신은 동적 DCI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되는 스케줄링 재송신일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사전구성된 리소스 재송신, 사전구성된 리소스 재구성, 또는 유사한 것을 폴백(fallback)(즉, 랜덤 액세스 개시 또는 EDT를 수행할 것을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함)하거나 수행할 것을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에 제1 제어 정보 내의 잉여 비트 정보(redundant bit information)가 또한 사용될 수 있어서, 송신 성공 확률이 증가될 수 있고, DCI 사용 융통성이 개선될 수 있다.
[표 10]
Figure pct00014
표 10은 단지 설명을 위한 예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1 필드의 타입, 제1 필드의 상태, 제2 필드의 타입, 제2 필드의 상태, 지시 내용, 상태 및 지시 내용 간의 대응관계 및 유사한 것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방식 2: 만일 제1 제어 정보가 커버리지 향상(coverage enhancement) 모드 A, 커버리지 향상 레벨 0, 또는 커버리지 향상 레벨 1에서 사용자를 위한 (예를 들어, 포맷 6-1A 또는 포맷 6-0A로 된) 제어 정보인 경우, 제1 지시 정보는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를 사용함으로써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포맷 6-1A로 된) DCI 내의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성공적 송신을 지시할 수 있거나; 업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포맷 6-0A로 된) DCI 내의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되어, 비성공적 송신을 지시할 수 있다.
만일 제1 제어 정보가 커버리지 향상 모드 B, 커버리지 향상 레벨 2, 또는 커버리지 향상 레벨 3에서 사용자를 위한 (예를 들어, 포맷 6-1B 또는 포맷 6-0B로 된) 제어 정보인 경우, 성공적 송신을 지시하기 위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포맷 6-1B로 된) DCI 내의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될 수 있거나; 비성공적 송신을 지시하기 위해, 업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포맷 6-0A로 된) DCI 내의 MCS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될 수 있다. 표 11을 참조하시오.
[표 11]
Figure pct00015
표 11은 단지 설명을 위한 예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필드의 타입, 필드의 상태, 상태 및 지시 내용 간의 대응관계 및 유사한 것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전술한 방식 2에서, 정확한 송신이 보장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해 DCI 내의 예약 상태가 사용되어서, DCI 오버헤드가 감소될 수 있고, DCI 사용 융통성이 개선될 수 있다.
방식 3: 만일 제1 제어 정보가 커버리지 향상 모드 A, 커버리지 향상 레벨 0, 또는 커버리지 향상 레벨 1에서 사용자를 위한 (예를 들어, 포맷 6-1A 또는 포맷 6-0A로 된) 제어 정보인 경우, 제1 지시 정보는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를 사용함으로써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업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 내의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 그것은 성공적 수신을 지시하거나; 만일 업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 내의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되지는 않은 경우, 그것은 비성공적 수신을 지시한다. 만일 제1 제어 정보가 커버리지 향상 모드 B, 커버리지 향상 레벨 2, 또는 커버리지 향상 레벨 3에서 사용자를 위한 (예를 들어, 포맷 6-1B 또는 포맷 6-0B로 된) 제어 정보인 경우, 제1 지시 정보는 MCS 필드를 사용함으로써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업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 내의 MCS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 그것은 성공적 수신을 지시하거나; 만일 업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 내의 MCS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되지는 않은 경우, 그것은 비성공적 수신을 지시한다. 표 12를 참조하시오. 이 구현은 업링크 DCI를 사용함으로써 ACK/NACK가 피드백되는 경우에 적용가능하다. 이 방식으로, 정확한 송신이 보장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해 DCI 내의 예약 상태가 사용되어서, DCI 오버헤드가 감소될 수 있고, DCI 사용 융통성이 개선될 수 있다.
[표 12]
Figure pct00016
표 12는 단지 설명을 위한 예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필드의 타입, 필드의 상태, 상태 및 지시 내용 간의 대응관계 및 유사한 것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방식 4: 제1 지시 정보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하나의 비트를 사용함으로써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공적 송신을 지시하는 데에 1이 사용될 수 있고, 비성공적 송신을 지시하는 데에 0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성공적 송신을 지시하는 데에 대안적으로 0이 사용될 수 있고, 비성공적 송신을 지시하는 데에 대안적으로 1이 사용될 수 있다. 표 13을 참조하시오. 그 비트는 제1 제어 정보에 새로 추가되는 비트일 수 있거나, 제1 제어 정보 내의 원래의 비트일 수 있다.
[표 13]
Figure pct00017
방식 5: 제1 지시 정보는 2개의 필드를 사용함으로써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제1 제어 정보가 커버리지 향상 모드 A, 커버리지 향상 레벨 0, 또는 커버리지 향상 레벨 1에서 사용자를 위한 (예를 들어, 포맷 6-1A 또는 포맷 6-0A로 된) 제어 정보인 경우, 제1 필드는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또는 NDI 필드)일 수 있고, 제2 필드는 MCS 필드 내의 하나의 비트일 수 있어서, 제1 지시 정보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만일 업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 내의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되고, MCS 필드 내의 비트가 1인 경우, 그것은 성공적 송신을 지시한다(ACK). 만일 업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 내의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되고, MCS 필드 내의 비트가 0인 경우, 그것은 비성공적 송신을 지시하고 오직 NACK이어서, 제2 디바이스로 하여금 폴백 또는 PUR 재송신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한다(trigger). 만일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가 다른 상태에 있는 경우, 그것은 비성공적 송신 및 스케줄링 재송신을 지시할 수 있다. 만일 제1 제어 정보가 커버리지 향상 모드 B, 커버리지 향상 레벨 2, 또는 커버리지 향상 레벨 3에서 사용자를 위한 (예를 들어, 포맷 6-1B 또는 포맷 6-0B로 된) 제어 정보인 경우, 제1 필드는 MCS 필드(또는 NDI 필드)일 수 있고, 제2 필드는 반복 횟수(repetition number) 필드 내의 하나의 비트일 수 있어서, 제1 지시 정보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만일 업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 내의 MCS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되고, 반복 횟수 필드 내의 비트가 1인 경우, 그것은 성공적 송신을 지시한다(ACK). 만일 업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 내의 MCS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되고, 반복 횟수 필드 내의 비트가 0인 경우, 그것은 비성공적 송신을 지시하고 오직 NACK이어서, 제2 디바이스로 하여금 폴백 또는 PUR 재송신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한다. 만일 MCS 필드가 다른 상태에 있는 경우, 그것은 비성공적 송신 및 스케줄링 재송신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구현은 업링크 DCI를 사용함으로써 ACK/NACK가 피드백되는 경우에만 적용가능하다. 이 방식으로, 정확한 송신이 보장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해 DCI 내의 예약 상태가 사용되어서, DCI 오버헤드가 감소될 수 있고, DCI 사용 융통성이 개선될 수 있다. 표 14를 참조하시오.
[표 14]
Figure pct00018
표 14는 단지 설명을 위한 예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1 필드의 타입, 제1 필드의 상태, 제2 필드의 타입, 제2 필드의 상태, 지시 내용, 상태 및 지시 내용 간의 대응관계 및 유사한 것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구체적인 구현 동안에, 제2 필드는 또한 복수의 비트로 확장될 수 있고, 랜덤 액세스 개시, EDT, ACK, 사전구성된 리소스 재송신, 또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재송신 및 구성 갱신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표 15을 참조하시오.
[표 15]
Figure pct00019
가능한 구현에서, 전술한 몇 개의 예시적인 설명에서, 제1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제1 제어 정보의 순환 잉여 체크(cyclic redundancy check, CRC) 코드가 스크램블링될 수 있는데, 제1 스크램블링 코드는 시스템 정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system information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SI-RNTI)일 수 있다.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제어 정보는 HARQ-ACK(또는 PUCCH)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정보는 다음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간-주파수 리소스 정보(여기서 시간-주파수 리소스는 2 레벨 구성 또는 상위 계층 구성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음), 피드백 시간(즉, 지연), 전력 제어 정보, 반복 횟수, 또는 유사한 것. 시간-주파수 리소스 정보는 구체적 리소스 구성 정보, 리소스 인덱스(resource index),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방법 실시예와 동일한 발명적 개념에 기반하여, 이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통신 장치의 구조가 도 4에 도시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처리 유닛(401) 및 송수신기 유닛(402)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장치는 구체적으로 도 3에서의 실시예에서의 제1 디바이스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는 제1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칩, 칩셋, 또는 칩의 일부일 수 있는데, 칩 및 칩셋은 제1 디바이스 내에 있고, 칩의 일부는 관련된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처리 유닛(401)은 제1 제어 정보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및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제1 지시 정보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의 상태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태는 성공적 송신, 비성공적 송신, 스케줄링 재송신, 또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재송신을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제1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송신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고, 제1 정보는 상위 계층 데이터 및/또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송수신기 유닛(402)은 처리 유닛(401)에 의해 판정된 제1 제어 정보를 제2 디바이스에 발신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구체적인 구현에서, 장치는 구체적으로 도 3에서의 실시예에서의 제2 디바이스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는 제2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칩, 칩셋, 또는 칩의 일부일 수 있는데, 칩 및 칩셋은 제2 디바이스 내에 있고, 칩의 일부는 관련된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송수신기 유닛(402)은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401)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기 유닛(420)을 제어하고(제1 제어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및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제1 지시 정보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의 상태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태는 성공적 송신, 비성공적 송신, 스케줄링 재송신, 또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재송신을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제1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송신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고, 제1 정보는 상위 계층 데이터 및/또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함), 제1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송신함을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함을 판정한 후에, 제2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기 유닛(402)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두 구체적 구현을 참조하면,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정보가 제1 제어 정보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공유 채널 상에서 반송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지시 정보는 제2 제어 정보를 검출할 것인지를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2 제어 정보는 제1 정보를 스케줄링하는 데에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2 지시 정보는 제1 제어 정보가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지시 정보는 제2 디바이스가 제1 제어 정보 내에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 및 제3 제어 정보를 검출할 것인지를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3 제어 정보는 상위 계층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정보 내의 제1 필드는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설명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6-1A 또는 포맷 6-1B로 된 제어 정보이다. 제1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설명에서, 제1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에, 제2 지시 정보는 제1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송신함을 지시할 수 있거나; 제1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되지는 않은 경우에, 제2 지시 정보는 제1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송신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설명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0로 된 제어 정보이다. 제1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부반송파 지시 필드 또는 변조 및 코딩 방안 필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설명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이고 스케줄링 허여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1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변조 및 코딩 방안 필드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설명에서,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이고 물리적 제어 채널 명령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1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NPRACH 반복 시작 수 필드, NPRACH 부반송파 지시 필드, 또는 예약된 필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데에 제1 제어 정보 내의 제2 필드 및 제3 필드가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설명에서, 제2 필드는 제1 제어 정보 내의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일 수 있다. 만일 제2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데에 제3 필드가 사용된다.
구현에서, SI-RNTI를 사용함으로써 제1 제어 정보의 CRC가 스크램블링될 수 있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모듈로의 구분은 예이며, 논리적 기능 구분일 뿐이다. 실제의 구현 동안에,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추가로,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기능적 모듈은 하나의 프로세서 내에 통합될 수 있거나, 모듈 각각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둘 이상의 모듈이 하나의 모듈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통합된 모듈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합된 모듈이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경우에, 통신 장치는 도 5에 도시될 수 있고, 처리 유닛(401)은 프로세서(502)일 수 있다. 프로세서(502)는 CPU, 디지털 처리 모듈,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송수신기 유닛(402)은 통신 인터페이스(501)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01)는 송수신기일 수 있거나, 송수신기 회로와 같은 인터페이스 회로일 수 있거나, 송수신기 칩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502)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503)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503)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HDD 또는 SSD일 수 있거나, 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RAM일 수 있다. 메모리(503)는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바라는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하거나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이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502)는 메모리(503)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구체적으로 처리 유닛(401)의 행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세부사항은 이 출원에서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501), 프로세서(502) 및 메모리(503) 간의 구체적인 연결 매체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에서, 메모리(503), 프로세서(502) 및 통신 인터페이스(501)는 도 5에서 버스(505)를 사용함으로써 연결된다. 버스는 도 5에서 굵은 선을 사용함으로써 표현된다. 이상은 단지 설명을 위한 예이다. 다른 컴포넌트의 연결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버스는 주소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및 유사한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현의 용이함을 위해, 오직 하나의 굵은 선이 도 5에서 버스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되나, 이것은 오직 하나의 버스 또는 오직 하나의 타입의 버스가 있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당업자는 이 출원의 실시예가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출원은 하드웨어뿐인 실시예, 소프트웨어뿐인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을 가진 실시예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이 출원은 컴퓨터 사용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디스크 메모리, CD-ROM, 광학 메모리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사용가능 저장 매체 상에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출원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내의 각각의 절차 및/또는 각각의 블록, 그리고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내의 절차 및/또는 블록의 조합을 구현하는 데에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머신(machine)을 생성하기 위해 일반 목적 컴퓨터(general-purpose computer), 전용 컴퓨터(dedicated computer), 임베디드 프로세서(embedded processor),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가 흐름도 내의 하나 이상의 절차에서 및/또는 블록도 내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서 특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대안적으로 특정 방식으로 작동할 것을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에 지시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어는 명령 장치를 포함하는 가공품을 생성한다. 명령 장치는 흐름도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서 및/또는 블록도 내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대안적으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 상으로 로딩될(loaded) 수 있어서, 일련의 동작 및 단계가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디바이스 상에서 수행되는바, 이로써 컴퓨터 구현된 처리(computer-implemented processing)를 생성한다. 따라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명령어는 흐름도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서 및/또는 블록도 내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단계를 제공한다.
명백히, 당업자는 이 출원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이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행할 수 있다. 이 출원은 이 출원의 실시예의 이들 수정 및 변형을, 그것이 이하의 청구항 및 이의 균등한 기술에 의해 정의되는 보호의 범위에 속한다면 망라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5)

  1. 통신 방법으로서,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제어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지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 및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preconfigured-resource transmission)의 상태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상태는 성공적 송신, 비성공적 송신, 스케줄링 재송신, 또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재송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송신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위 계층(higher layer) 데이터 및/또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preconfigured uplink resource) 재구성 정보를 포함함 - 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제2 디바이스에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통신 방법으로서,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및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의 상태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상태는 성공적 송신, 비성공적 송신, 스케줄링 재송신, 또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재송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송신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위 계층 데이터 및/또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함 - 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함을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함을 판정한 후에,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공유 채널(physical shared channel) 상에서 반송되는지(carried)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제2 제어 정보를 검출할 것인지를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 - 상기 제2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정보를 스케줄링하는 데에 사용됨 - 하거나,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상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제어 정보 내에 상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와, 제3 제어 정보를 검출할 것인지를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 - 상기 제3 제어 정보는 상기 상위 계층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데에 사용됨 -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데에 상기 제1 제어 정보 내의 제1 필드(field)가 사용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6-1A 또는 포맷 6-1B로 된 제어 정보이고,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1 제어 정보 내의 리소스 블록 할당(resource block assignment) 필드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함을 지시하거나,
    상기 제1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되지는 않은 경우에,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0로 된 제어 정보이고,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1 제어 정보 내의 부반송파 지시(subcarrier indication) 필드 또는 변조 및 코딩 방안(modulation and coding scheme) 필드인,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이고 스케줄링 허여(scheduling grant)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1 제어 정보 내의 변조 및 코딩 방안 필드인,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이고 물리적 제어 채널 명령(physical control channel instruction)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1 제어 정보 내의 NPRACH 반복 시작 수(starting number of NPRACH repetitions) 필드, NPRACH 부반송파 지시(subcarrier indication of NPRACH) 필드, 또는 예약된 필드(reserved field)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데에 상기 제1 제어 정보 내의 제2 필드 및 제3 필드가 사용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드는 상기 제1 제어 정보 내의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이고,
    상기 제2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데에 상기 제3 필드가 사용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스템 정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system information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SI-RNTI)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1 제어 정보의 순환 잉여 체크 코드(cyclic redundancy check code)(CRC)가 스크램블링되는(scrambled),
    방법.
  13. 통신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제1 디바이스에서 사용되고,
    제1 제어 정보를 판정 -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및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의 상태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상태는 성공적 송신, 비성공적 송신, 스케줄링 재송신, 또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재송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송신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위 계층 데이터 및/또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함 - 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과,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판정된 상기 제1 제어 정보를 제2 디바이스에 발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14. 통신 장치로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유닛과,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발신된 제1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 유닛을 제어 -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및 제2 지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송신의 상태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상태는 성공적 송신, 비성공적 송신, 스케줄링 재송신, 또는 사전구성된 리소스 재송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송신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위 계층 데이터 및/또는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함 - 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함을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지시함을 판정한 후에,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제1 제어 정보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적 공유 채널 상에서 반송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제2 제어 정보를 검출할 것인지를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 - 상기 제2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정보를 스케줄링하는 데에 사용됨 하거나,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제어 정보가 상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제어 정보 내에 상기 사전구성된 업링크 리소스 재구성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와, 제3 제어 정보를 검출할 것인지를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지시 정보 - 상기 제3 제어 정보는 상기 상위 계층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데에 사용됨 - 를 포함하는,
    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데에 상기 제1 제어 정보 내의 제1 필드가 사용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6-1A 또는 포맷 6-1B로 된 제어 정보이고,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1 제어 정보 내의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인,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함을 지시하거나,
    상기 제1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되지는 않은 경우에,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0로 된 제어 정보이고,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1 제어 정보 내의 부반송파 지시 필드 또는 변조 및 코딩 방안 필드인,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이고 스케줄링 허여를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1 제어 정보 내의 변조 및 코딩 방안 필드인,
    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포맷 N1으로 된 제어 정보이고 물리적 제어 채널 명령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1 제어 정보 내의 NPRACH 반복 시작 수 필드, NPRACH 부반송파 지시 필드, 또는 예약된 필드인,
    장치.
  22.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데에 상기 제1 제어 정보 내의 제2 필드 및 제3 필드가 사용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드는 상기 제1 제어 정보 내의 리소스 블록 할당 필드이고,
    상기 제2 필드 내의 모든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지시하는 데에 상기 제3 필드가 사용되는,
    장치.
  24. 제13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스템 정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SI-RNTI)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1 제어 정보의 순환 잉여 체크 코드(CRC)가 스크램블링되는,
    장치.
  25.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34323A 2019-03-29 2019-03-29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101387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080656 WO2020199032A1 (zh) 2019-03-29 2019-03-29 一种通信方法及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757A true KR20210138757A (ko) 2021-11-19

Family

ID=7266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323A KR20210138757A (ko) 2019-03-29 2019-03-29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022217A1 (ko)
EP (1) EP3937561A4 (ko)
JP (1) JP7487226B2 (ko)
KR (1) KR20210138757A (ko)
CN (1) CN113615276A (ko)
BR (1) BR112021019326A2 (ko)
WO (1) WO20201990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0491B2 (en) 2020-07-27 2024-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onfiguration and deactivation or cancellation of new radio preconfigured uplink resourc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573B1 (ko) * 2008-08-08 2015-12-17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서빙 고속 다운링크 공유 채널 셀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1742652B (zh) * 2008-11-07 2014-08-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资源配置方法和装置
CN103686934A (zh) * 2012-09-06 2014-03-26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接收方法、发送方法及设备
US10903943B2 (en) * 2014-06-13 2021-01-26 Apple Inc. Enhanced LTE UL HARQ feedback indication for power saving and range improvement
CN106470467B (zh) * 2015-08-14 2021-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监听控制方法、终端、基站和系统
CN108886457B (zh) * 2016-04-01 2021-11-30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srs切换、发送和增强的系统与方法
US10285172B2 (en) * 2016-11-06 2019-05-07 Qualcomm Incorporated Search space design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SPS) in enhanced machine-type communications
CN108633041B (zh) * 2017-03-24 2021-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接收信息的方法及其装置和发送信息的方法及其装置
US11399364B2 (en) * 2017-03-24 2022-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and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203627A1 (ko) * 2017-05-02 2018-11-08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9392005B (zh) * 2017-08-11 2021-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强度测量的方法、相关装置以及系统
US11646831B2 (en) * 2018-06-01 2023-05-09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Hybrid automatic repeat feedback method and device
DE112019003526T5 (de) * 2018-08-09 2021-05-06 Lg Electronics Inc. Verfahren zum Senden und Empfangen von Uplink-Daten unter Verwendung von PUR in einem Drahtloskommunikationssystem und Vorrichtung dafür
WO2020166017A1 (ja) * 2019-02-14 2020-08-20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通信方法
WO2020164136A1 (zh) * 2019-02-15 2020-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发送方法及装置
EP3925140A1 (en) * 2019-02-15 2021-12-22 Nokia Technologies Oy Preconfigured uplink resource control signaling enhancements
US11503607B2 (en) * 2019-03-27 2022-11-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preconfigured downlink resource based on the uplink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1019326A2 (pt) 2021-12-07
CN113615276A (zh) 2021-11-05
US20220022217A1 (en) 2022-01-20
EP3937561A1 (en) 2022-01-12
JP7487226B2 (ja) 2024-05-20
WO2020199032A1 (zh) 2020-10-08
EP3937561A4 (en) 2022-04-06
JP2022528381A (ja)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6139B2 (en)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N110831185A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US11405977B2 (e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US10873430B2 (en) Signal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5503869A (ja) アップリンクでの制御信号に関する通信リソース割当
US20180234992A1 (en) 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atency Reduction and Communications System
US20210391959A1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CN113708899A (zh) 多载波调度方法、装置及设备
WO2018233552A1 (zh) 用于传输数据的方法和设备
WO2021012997A1 (zh) 一种信息传输方法、装置及通信设备
US10764958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of status indic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220022217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15865295A (zh) 信息处理方法及设备
CN110612684B (zh) 一种应答反馈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5835345A (zh) Harq进程的分配方法、装置、基站及存储介质
WO2019062834A1 (zh) 信息的传输方法和装置
US20220022021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EP3127389A1 (en) Methods and node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s
US20200374885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13748723B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WO2019095339A1 (zh) 一种反馈方法及装置
WO2016145636A1 (zh) 一种网络设备、终端及下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