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791A - Assembly type aerial working platform - Google Patents

Assembly type aerial working plat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791A
KR20210137791A KR1020200056078A KR20200056078A KR20210137791A KR 20210137791 A KR20210137791 A KR 20210137791A KR 1020200056078 A KR1020200056078 A KR 1020200056078A KR 20200056078 A KR20200056078 A KR 20200056078A KR 20210137791 A KR20210137791 A KR 20210137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upler
vertical
frame
fram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0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60825B1 (en
Inventor
김오동
Original Assignee
(주)위드원모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드원모터스 filed Critical (주)위드원모터스
Priority to KR1020200056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825B1/en
Publication of KR20210137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7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8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type high-rise workbench which ensures convenience of storage and portability of the workbench by minimizing an occupying area in a disassembled state, removes a connecting member between each of the components when assembling the disassembled components, improves convenience of on-site assembly by minimizing screw work, and ensures safety of a worker by providing a sufficient working area and sufficient support power when constructing the workbench while enabling disassembly and assembly of an entire component consisting the workbench. The workbench comprises: a base frame unit; a front vertical frame unit; a rear vertical frame unit; a roof frame unit ; a pair of first side frame units; a pair of second side frame units; a pair of footrest frame unit; a first footrest member; a second footrest member; a third footrest member; and a top plate member.

Description

조립식 고공 작업대{Assembly type aerial working platform}Assembly type aerial working platform

본 발명은 고공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대를 구성하는 전체적인 구성요소의 분해, 조립을 가능토록 하는 조립식 고공 작업대의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titude workben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workbench capable of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the entir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workbench.

손이 미치기 곤란한 고공에서의 작업을 안전하고 편하게 수행하기 위해 이동식 또는 정치식 작업대가 사용된다.Mobile or stationary workstations are used to safely and comfortably perform work at heights that are difficult to reach.

이러한 작업대는 각종 건축 구조물 구축공사.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천장에 설치된 별도의 시설물을 수리 및 교체, 차량의 수리, 도배 작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된다.These workbenches are used for construction of various building structures.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repair and replacement of separate facilities installed on the ceiling at home or office, repair of vehicles, and painting work.

통상 작업대는 사람이 밟고 올라서는 발판과, 발판을 지지하는 다리로 구성되는데, 사용 목적에 따라 다리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휴대를 위해 접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의 작업대들이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A workbench is usually composed of a footrest that a person steps on and a leg that supports the footrest, and workbenches with various functions are used in the field, such as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eg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r folding for portability.

작업대는 하중 지지 능력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데, 실내 도배, 천정부의 간단한 작업 등 작업자 한 명 정도의 하중만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경우엔 일반적인 휴대용 사다리와 같이 구조가 간단하고, 이에 따라, 다리 높이를 조절한다거나 휴대를 위해 접거나 분해/조립을 하기 간편하다.The workbench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its load-bearing capacity. When used as a means to support only one worker, such as indoor painting or simple ceiling work, the structure is simple like a general portable ladder, and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legs It is easy to adjust, fold, disassemble/assemble for portability.

그러나, 건축 구조물 구축공사현장, 자동차 수리 등 복수의 작업자를 동시에 지지한다거나, 작업자 외 각종 공사 및 수리 도구, 구조물 부재 등을 함께 지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엔,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각종 연결부재와 지지부재 등 작업대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현저하게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작업대의 휴대, 보관, 설치 등의 취급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뒤따른다.However, when it is used for simultaneously supporting a plurality of workers such as a building construction site, automobile repair, etc., or for supporting various construction and repair tools, structural members, etc. other than workers, various connecting members to provide sufficient support The structure becomes complicated because the number of parts constituting the workbench such as the support member and the like increases remarkably. Due to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andling efficiency of carrying, storage, installation, etc. of the workbench is remarkably deteriorated.

특히, 작업자의 현장 출장시 작업대의 부피를 축소시키지 못하게 되면 작업대가 불필요하게 점유면적을 차지하게 되고, 출장 장비의 부피증가로 인해 작업자의 이동 편의를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n particular, if it is impossible to reduce the volume of the workbench during a field trip of a worker, the workbench unnecessarily occupies an occupied area,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er's movement convenience is reduced due to an increase in the volume of the travel equipment.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도 작업대의 설치/해체를 쉽게 하고, 아울러, 작업대를 접거나 분해 조립이 가능토록 하되, 특히, 분해시 점유면적을 최소화시켜 작업대의 휴대 및 보관이 쉽도록 하는 작업대의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workbench is easy to install/disassemble while guaranteeing the safety of the workers, and it is also possible to fold or disassemble the workbench.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the technology of the workbench that allow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854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18542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작업대를 구성하는 전체적인 구성요소의 분해/조립을 가능토록 하되, 분해된 상태에서 점유면적을 최소화해 작업대의 보관 및 휴대의 용이성을 보장하고, 분해된 구성요소들간의 결합시 각각 구성요소 사이에 연결부재를 생략하고, 나사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현장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대의 구축시 충분한 작업공간 확보,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해 작업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고공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and enables disassembly/assembly of the entir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workbench, but minimizes the area occupied in the disassembled state for storage and portability of the workbench. It guarantees the ease of assembly, omits the connecting member between each component when combining the disassembled components, and improves the convenience of on-site assembly by minimizing screw work.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altitude workbench that can ensure worker safety.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면에 이동캐스터가 장착된 베이스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되는 전방수직프레임부;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에서 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와 평행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후방수직프레임부;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와 후방수직프레임부의 좌측 상부와 우측 상부를 각각 연결하도록 일단은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에, 타단은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루프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좌, 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좌, 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에 각각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좌, 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에 각각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발판프레임부; 상기 한 쌍의 발판프레임부 상부에 거치되는 제1 발판부재; 상기 제1 발판부재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에 거치되는 제2 발판부재; 상기 제2 발판부재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에 거치되는 제3 발판부재; 및 상기 제3 발판부재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전방 모서리부분은 전방수직프레임부에, 후방 모서리부분은 후방수직프레임부에 각각 거치되는 상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ase frame portion is mounted on a movable caster on the lower surface; a front vertical frame unit vertically erected and coupled to the base frame unit; a rear vertical frame portion coupled to the base frame portion in parallel with the front vertical frame portion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vertical frame portion rearwar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 pair of roof frame parts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ront vertical frame part and the other end to the rear vertical frame part so as to connect the upper left and right upper parts of the front vertical frame part and the rear vertical frame part, respectively; a pair of first side frame unit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frame unit to be supported by the rear vertical frame unit in a vertically standing state; a pair of second side frame parts coupled to each other to be supported by the pair of first side frame parts in a state of being vertically erec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frame part; a pair of footrest frame units coupled to be supported by the pair of second side frame units in a state of being vertically erec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frame unit, respectively; a first scaffold member mounted on the pair of scaffold frame parts; a second scaffold member mounted on the pair of second side frame units to be disposed above the first scaffold member; a third scaffold member mounted on the pair of first side frame units to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scaffold member; and an upper plate member mounted on a front vertical frame portion and a rear edge portion on a rear vertical frame portion so as to be disposed above the third scaffolding member.

또한,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하단이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전방수직바;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를 연결하는 복수의 전방수평바;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1 전방결합구; 상기 제1 전방결합구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2 전방결합구; 및 상기 제2 전방결합구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3 전방결합구;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후방수직바;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를 연결하는 복수의 후방수평바;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의 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1 후방결합구; 상기 제1 후방결합구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의 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2 후방결합구;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의 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3 후방결합구; 및 상기 제3 후방결합구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의 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4 후방결합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방결합구에는 상기 루프프레임부의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후방수직바의 개방된 상단으로 상기 루프프레임부의 타단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vertical frame por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 pair of front vertical bars made of a hollow shape with an open bottom; a plurality of front horizontal bars connecting the pair of front vertical bars; a first front couple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pair of front vertical bars; a second front coupler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front coupler and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pair of front vertical bars; and a third front coupler spaced downward from the second front coupler and formed outside the pair of front vertical bars, wherein the rear vertical frame par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s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A pair of rear vertical bars made of an open hollow shape; a plurality of rear horizontal bars connecting the pair of rear vertical bars; a first rear coupler formed outside the front surface of the pair of rear vertical bars; a second rear coupler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rear coupler and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air of rear vertical bars; a third rear coupler formed outside the rear surface of the pair of rear vertical bars; and a fourth rear coupler spaced downward from the third rear coupler and formed outside the rear surface of the pair of rear vertical bars, wherein one end of the roof frame part is inserted into the first front coupler, and The other end of the roof frame part is inserted into the open upper end of the rear vertical bar.

또, 상기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 각각은, 상,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면에 제1 상부사이드결합구와 제1 하부사이드결합구가 상, 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1 사이드수직바; 상기 제1 사이드수직바의 상단에서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3 후방결합구로 삽입되는 제1 상부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제1 상부수평바; 및 상기 제1 상부수평바의 하부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4 후방결합구로 삽입되는 제1 하부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제1 하부수평바;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 각각은, 상,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면에 제2 사이드결합구가 형성되는 제2 사이드수직바; 상기 제2 사이드수직바의 상단에서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1 상부사이드결합구로 삽입되는 제2 상부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제2 상부수평바; 및 상기 제2 상부수평바의 하부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1 하부사이드결합구로 삽입되는 제2 하부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제2 하부수평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pair of first side frame parts is formed to exten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nd the first upper side coupler and the first lower side coupl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side vertical bar. ; a first upper horizontal bar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side vertical bar toward the rear vertical frame portion, the first upper horizontal bar having a first upper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third rear coupling hole at an end thereof; and a first lower horizontal bar extending vertically toward the rear vertical frame portion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upper horizontal bar, the first lower horizontal bar having a first lower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ourth rear coupling hole at an end thereof; Including, each of the pair of second side frame portion, the second side vertical bar is formed extending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nd a second side coupling hol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a second upper horizontal bar extending vertic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second side vertical bar toward the first side frame portion and having a second upper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irst upper side coupling hole at an end thereof; and a second lower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toward the first side frame portion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upper horizontal bar, and having a second lower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irst lower side coupling hole at an end thereof.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ar;

또한, 상기 상판부재는, 최외곽 모서리에 상기 제2 전방결합구와 제1 후방결합구에 동시에 삽입되는 상판결합돌기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판프레임; 및 상기 상판프레임의 상부로 거치되는 판상의 상부판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판재의 후방 변부를 제외한 나머지 변부에서 상부를 향해 측벽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member, an upper plate frame in which the upper plate coupling protrusion which is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second front coupler and the first rear coupler at the outermost edge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and a plate-shaped upper plat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frame, wherein the side wall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remaining edges except for the rear edge of the upper plate.

또, 상기 상판부재의 하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전방 모서리부분은 전방수직프레임부에, 후방 모서리부분은 후방수직프레임부에 각각 거치되는 하판부재; 및 상단은 한 쌍의 루프프레임부 각각에, 하단은 상기 상판부재의 좌, 우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보강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stat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downward of the upper plate member, the front edge portion is a front vertical frame portion, the rear edge portion is a lower plate member mounted on the rear vertical frame portion, respectively; and a pair of side reinforcing frame units, the upp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each of the pair of roof frame units, and the lower end being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late member.

또한, 상기 하판부재는, 최외곽 모서리에 상기 제3 전방결합구와 제2 후방결합구에 동시에 삽입되는 하판결합돌기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판프레임; 및 상기 하판프레임의 상부로 거치되는 판상의 하부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plate member, a lower plate frame in which the lower plate coupling protrusion which is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third front coupler and the second rear coupler at the outermost edge protrudes downward; and a plate-shaped lower plat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late frame.

본 발명은 작업대를 구성하는 전체적인 구성요소의 분해/조립을 가능토록 하되, 분해된 상태에서 점유면적을 최소화해 작업대의 보관 및 휴대의 용이성을 보장하고, 분해된 구성요소들간의 결합시 각각 구성요소 사이에 연결부재를 생략하고, 나사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현장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대의 구축시 충분한 작업공간 확보,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해 작업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disassembly/assembly of the entir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workbench, but minimizes the area occupied in the disassembled state to ensure the ease of storage and portability of the workbench, and when combining the disassembled components, each component By omitting the connecting member in between and minimizing screw work, it improves the convenience of on-site assembly, secures sufficient working space when constructing a workbench, and provides sufficient support to ensure worker safe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개략적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베이스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전방수직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후방수직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루프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1 사이드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2 사이드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발판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상판부재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측면보강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하판부재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개략적인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작업대의 조립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6은 이동조작부가 적용된 작업대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이동조작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이동조작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exploded configuration of a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base frame portion.
5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front vertical frame portion.
6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ear vertical frame portion.
7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oof frame part.
8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first side frame part.
9 is a view showing an overall appearance of a second side frame part;
10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scaffold frame part.
11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1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side reinforcement frame portion.
13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lower plate member.
14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based on the line AA shown in FIG.
Figure 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n assembling process of the workbench exemplarily.
16 is a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workbench to which the moving operation unit is applied.
1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vement operation unit.
1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ovement control unit.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xample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members in each drawing are sometimes show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개략적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베이스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전방수직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후방수직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루프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제1 사이드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제2 사이드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발판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상판부재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측면보강프레임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하판부재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base frame part, FIG. 5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front vertical frame part, FIG. 6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ear vertical frame part, and FIG. 7 is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oof frame part. FIG. 8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first side frame part, FIG. 9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second side frame part,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scaffold frame part, and FIG. It is a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configura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side reinforcement frame part, and FIG. 13 is a diagram showing the disassembled configuration of the lower plate member.

발명의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엄밀하지 않은 방향기준을 특정하면, 도 1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y), 좌우(x), 전후(z)를 나누고 다른 도면에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f a non-strict direction reference is specifi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op and bottom (y), left and right (x), and front and rear (z) are divided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1 and the description related to other drawings direction is also specified according to this criterion.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는 크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에 이동캐스터(11)가 장착된 베이스프레임부(1),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에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되는 전방수직프레임부(2),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2)에서 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2)와 평행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에 결합되는 후방수직프레임부(3),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2)와 후방수직프레임부(3)의 좌측 상부와 우측 상부를 각각 연결하도록 일단은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2)에, 타단은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3)에 결합되는 한 쌍의 루프프레임부(4),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의 좌, 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3)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의 좌, 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에 각각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의 좌, 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에 각각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발판프레임부(300), 상기 한 쌍의 발판프레임부(300) 상부에 거치되는 제1 발판부재(5), 상기 제1 발판부재(5)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에 거치되는 제2 발판부재(6). 상기 제2 발판부재(6)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에 거치되는 제3 발판부재(7) 및 상기 제3 발판부재(7)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전방 모서리부분은 전방수직프레임부(2)에, 후방 모서리부분은 후방수직프레임부(3)에 각각 거치되는 상판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frame unit (1) having a movable caster (11) mounted on its lower surface, and a front vertical frame that is vertically erected and coupled to the base frame unit (1). Part (2), the rear vertical frame part (3) coupled to the base frame part (1) in parallel with the front vertical frame part (2)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vertical frame part (2)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rear , One end to the front vertical frame portion 2 and the other end to the rear vertical frame portion 3 so as to connect the upper left and upper right portions of the front vertical frame portion 2 and the rear vertical frame portion 3, respectively. A pair of roof frame parts 4 coupled to each other and a pair of first side frames coupled to be supported by the rear vertical frame part 3 in a state of being vertically erec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frame part 1, respectively A pair of second side frame parts ( 200), a pair of footrest frame parts 300 coupled to be respectively supported by the pair of second side frame parts 200 in a state of being vertically erec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frame part 1, the The first scaffold member 5 mounted on the pair of scaffold frame parts 300, the first scaffold member 5 mounted on the pair of second side frame parts 200 so as to be disposed above the first scaffold member 5 2 scaffold member (6). The third scaffold member 7 mounted on the pair of first side frame parts 100 so as to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scaffold member 6 and the front side to be disposed above the third scaffold member 7 . The corner part may be defined as including the upper plate member 400 mounted on the front vertical frame part 2 and the rear edge part on the rear vertical frame part 3, respectively.

작업대를 구성하는 상기 부재들은 각각 서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성을 갖춤으로써 휴대 또는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Each of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work table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from each other, thereby minimizing the volume when carrying or storing.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프레임부(1)는 작업대의 하부를 구성하며 이동캐스터(11)를 매개로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동캐스터(11)는 작업대의 이동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More specifically, the base frame part 1 constitutes the lower part of the workbench and may be supported on the ground through the movable caster 11 . The movable caster 11 is used as a means for moving the workbench.

베이스프레임부(1)에는 상부를 향해 복수의 수직결합돌기(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직결합돌기(12) 각각에는 전방수직프레임부(2), 후방수직프레임부(3),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 및 발판프레임부(300)가 수직으로 직립되도록 끼움 결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vertical coupling protrusions 12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portion 1 .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coupling protrusions 12 has a front vertical frame part 2 , a rear vertical frame part 3 , a first side frame part 100 , a second side frame part 200 , and a footrest frame part 300 . ) can be fitted so that it stands upright.

전방수직프레임부(2)와 후방수직프레임부(3)는 각각 전, 후 방향으로 이격된 채로 베이스프레임부(1)에 수직으로 직립설치될 수 있다. 전방수직프레임부(2)와 후방수직프레임부(3)는 작업대의 주요 골격을 구성하며 전방수직프레임부(2)와 후방수직프레임부(3) 사이로 상판부재(400), 후술 될 하판부재(500) 등이 거치되고, 상단으로는 루프프레임부(4)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The front vertical frame part 2 and the rear vertical frame part 3 may b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part 1 while being spaced apar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respectively. The front vertical frame part 2 and the rear vertical frame part 3 constitute the main frame of the workbench, and the upper plate member 400, the lower plate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 500), etc. are mounted, and the roof frame part 4 may be connected and installed at the upper end.

다음으로, 전방수직프레임부(2)는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하단이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전방수직바(21),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21)를 연결하는 복수의 전방수평바(22),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21)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전방결합구(23), 상기 제1 전방결합구(23)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21)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전방결합구(24) 및 상기 제2 전방결합구(24)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21)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전방결합구(25)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Next, the front vertical frame part 2 is, for example, a pair of front vertical bars 21,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rmed in a hollow shape with an open bottom, as shown in FIG. 5, the pair of front A plurality of front horizontal bars 22 connecting the vertical bars 21, a pair of first front couplers 23 formed outside of the pair of front vertical bars 21, the first front couplers A pair of second front couplers 24 and the second front couplers 24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pair of front vertical bars 21, and are spaced downward from the second front couplers 24, the It may be illustrated as including a pair of third front couplers 25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pair of front vertical bars (21).

한 쌍의 전방수직바(21) 각각은 중공 각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하방으로 베이스프레임부(1)의 수직결합돌기(12)를 수용할 수 있다. 전방수직바(21)는 하단으로 수직결합돌기(12)를 수용토록 해 베이스프레임부(1)에 수직으로 직립 결합될 수 있다.Each of the pair of front vertical bars 21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llow angular pipe and may accommodate the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12 of the base frame part 1 in an open downward direction. The front vertical bar 21 may be vertically coupled to the base frame unit 1 by accommodating the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12 at the bottom.

전방수평바(22)는 한 쌍의 전방수직바(21)를 각각 연결해 전방수직바(21)와 일체화될 수 있다.The front horizontal bar 22 may be integrated with the front vertical bar 21 by connecting a pair of front vertical bars 21 , respectively.

제1 전방결합구(23), 제2 전방결합구(24) 및 제3 전방결합구(25)는 서로 상, 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채로 전방수직바(21)의 후면에 일체화될 수 있다.The first front coupler 23, the second front coupler 24, and the third front coupler 25 may be integrated in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vertical bar 21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have.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전방결합구(23), 제2 전방결합구(24) 및 제3 전방결합구(25)는 후방수직프레임부(3)를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형태룰 이루게 된다.The first front coupler 23 , the second front coupler 24 and the third front coupler 25 configured in this way form a protruding form in the direction facing the rear vertical frame part 3 .

제1 전방결합구(23)에는 루프프레임부(4)의 일단이 지지됨과 동시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전방결합구(24)에는 상판부재(400)의 전방 모서리부분이 지지됨과 동시에 삽입될 수 있고, 제3 전방결합구(25)에는 후술 될 하판부재(500)의 전방 모서리부분이 지지됨과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roof frame part 4 is supported and inserted into the first front coupler 23 at the same time, and the front edge of the upper plate member 400 is supported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front coupler 24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front edge portion of the lower plate member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upported and inserted into the third front coupler 25 at the same time.

후방수직프레임부(3)는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후방수직바(31),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31)를 연결하는 복수의 후방수평바(32),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31)의 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후방결합구(33), 상기 제1 후방결합구(33)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31)의 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후방결합구(34),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31)의 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후방결합구(35) 및 상기 제3 후방결합구(35)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31)의 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4 후방결합구(36)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The rear vertical frame part 3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an open top and bottom of a pair of rear vertical bars 31, the pair of rear vertical bars A plurality of rear horizontal bars 32 connecting the bars 31, a pair of first rear couplers 33 formed outside the front of the pair of rear vertical bars 31, the first rear couplers A pair of second rear couplers 34 that are spaced downward from 33 and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ront of the pair of rear vertical bars 31, to the outside of the rear of the pair of rear vertical bars 31 A pair of third rear couplers 35 and a pair of fourth rears spaced downward from the third rear couplers 35 ar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pair of rear vertical bars 31 . It may be illustrated as including a coupler 36 .

한 쌍의 후방수직바(31) 각각은 중공 각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하방으로 베이스프레임부(1)의 수직결합돌기(12)를 수용할 수 있고, 개방된 상방으로 루프프레임부(4)의 타단을 수용할 수 있다.Each of the pair of rear vertical bars 31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llow angular pipe and accommodate the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12 of the base frame part 1 in an open downward direction, and a roof frame part in an open upward direction. The other end of (4) can be accommodated.

후방수평바(32)는 한 쌍의 후방수직바(31)를 각각 연결해 후방수직바(31)와 일체화될 수 있다.The rear horizontal bar 32 may be integrated with the rear vertical bar 31 by connecting a pair of rear vertical bars 31 , respectively.

제1 후방결합구(33)와 제2 후방결합구(34)는 후방수직바(31)의 전면 외측으로 형성되어 전방수직프레임부(2)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3 후방결합구(35)와 제4 후방결합구(36)는 후방수직바(31)의 후면 외측으로 형성되어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후방수직바(31)에 일체화될 수 있다.The first rear coupler 33 and the second rear coupler 34 may be formed outside the front of the rear vertical bar 31 to protrude in a direction facing the front vertical frame part 2, and the third rear The coupler 35 and the fourth rear coupler 36 may be formed outside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vertical bar 31 to be integrated with the rear vertical bar 31 in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side frame part 100 . have.

제1 후방결합구(33)에는 상판부재(400)의 후방 모서리부분이 지지됨과 동시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후방결합구(34)에는 하판부재(500)의 후방 모서리부분이 지지됨과 동시에 삽입될 수 있고, 제3 후방결합구(35)와 제4 결합구에는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가 지지됨과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The rear edge por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400 is supported and inserted into the first rear coupler 33 at the same time, and the rear edge portion of the lower plate member 500 is supported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rear coupler 34 at the same time. can be, and the third rear coupler 35 and the fourth coupler can be inserted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side frame portion 100 is supported.

방수직프레임부(2)의 제2 전방결합구(24)와 후방수직프레임부(3)의 제1 후방결합구(33)는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고, 전방수직프레임부(2)의 제3 전방결합구(25)와 후방수직프레임부(3)의 제2 후방결합구(34)는 각각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상판부재(400)와 하판부재(500)를 수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The second front coupler 24 of the waterproof vertical frame part 2 and the first rear coupler 33 of the rear vertical frame part 3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and the third of the front vertical frame part 2 The front coupler 25 and the second rear coupler 34 of the rear vertical frame part 3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respectively, so that the upper plate member 400 and the lower plate member 500 can be kept horizontally. preferred in

상판부재(400)는 작업자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하판부재(500)는 각종 도구를 안착시키는 선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판부재(400)와 하판부재(500)가 소정 각도 기울어질 경우 작업자 또는 작업도구 전도에 따른 안전상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The upper plate member 400 is used as a means for supporting the operator, and the lower plate member 500 serves as a shelf for mounting various tools. When the upper plate member 400 and the lower plate member 500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operator Or, it may cause a safety problem due to overturning of the work tool.

다음으로, 한 쌍의 루프프레임부(4) 각각은 전방수직프레임부(2)와 후방수직프레임부(3)의 상단을 상호 연결시켜 전방수직프레임부(2)와 후방수직프레임부(3)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전방수직프레임부(2)와 후방수직프레임부(3)에 가해지는 비틀림 모멘트를 효율적으로 분산 지지하여 작업대의 체적 안정성 향상에 기여한다..Next, each of the pair of roof frame parts 4 inter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front vertical frame part 2 and the rear vertical frame part 3 to form the front vertical frame part 2 and the rear vertical frame part 3 I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volume stability of the workbench by improv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two and by efficiently distributing and supporting the torsional moment applied to the front vertical frame part 2 and the rear vertical frame part 3 .

또한, 루프프레임부(4)는 상판부재(400)로 올라간 작업자의 손잡이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of frame part 4 may be used as a handle for a worker who climbs to the upper plate member 400 .

루프프레임부(4)는 상기 제1 전방결합구(23)에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후방수직바(31)의 개방된 상단으로 타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roof frame part 4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front coupler 23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open upper end of the rear vertical bar 31 .

이때, 루프프레임부(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루프결합돌기(4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루프결합돌기(41) 중 루프프레임부(4)의 일단에 형성된 루프결합돌기(41)는 전방수직프레임부(2)의 제1 전방결합구(23)에, 타단에 형성된 루프결합돌기(41)는 후방수직프레임부(3)의 개방된 후방수직바(31)의 상단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 in the roof frame part 4 , a plurality of loop coupling protrusions 41 may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loop coupling protrusions 41 , the loop coupling protrusion 41 formed at one end of the roof frame part 4 is coupled to the first front coupling hole 23 of the front vertical frame part 2 , the loop coupling formed at the other end. The protrusions 41 may b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upper ends of the open rear vertical bars 31 of the rear vertical frame unit 3 .

즉, 루프프레임부(4)는 전방수직프레임부(2)와 후방수직프레임부(3)에 단순 끼움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작업대의 분해 및 조립 공정을 대폭 간소화시킬 수 있다.That is, the roof frame part 4 is coupled to the front vertical frame part 2 and the rear vertical frame part 3 by a simple fitting method, thereby greatly simplifying the disassembly and assembly process of the workbench.

다음으로,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 및 발판프레임부(300)는 작업대의 좌, 우 측면을 구성하며, 제1, 2, 3 발판부재(5,6,7)를 각각 지지한다.Next, the first side frame part 100, the second side frame part 200 and the scaffold frame part 300 constitut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orkbench,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scaffold members 5 and 6 , 7) respectively.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는 베이스프레임부(1)에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후방수직프레임부(3)에 지지되고,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는 베이스프레임부(1)에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에 지지되고, 발판프레임부(300)는 베이스프레임부(1)에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에 지지되는 연동결합관계를 갖출 수 있다.The first side frame part 100 is supported by the rear vertical frame part 3 in a state in which it is perpendicular to the base frame part 1 , and the second side frame part 200 is perpendicular to the base frame part 1 . is supported by the first side frame part 100 in an upright state, and the footrest frame part 300 is interlocked to be supported by the second side frame part 200 in a state in which it is perpendicular to the base frame part 1 . relationship can be established.

먼저,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 각각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면에 제1 상부사이드결합구(111)와 제1 하부사이드결합구(112)가 상, 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1 사이드수직바(110), 상기 제1 사이드수직바(110)의 상단에서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3)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3 후방결합구(35)로 삽입되는 제1 상부삽입돌기(121)가 형성되는 제1 상부수평바(120) 및 상기 제1 상부수평바(120)의 하부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3)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4 후방결합구(36)로 삽입되는 제1 하부삽입돌기(131)가 형성되는 제1 하부수평바(1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First, each of the pair of first side frame parts 100 is formed to exten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s shown in FIG. 8 , and a first upper side coupler 111 and a first lower side coupler 112 are formed on the rear side. )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the first side vertical bar 110, the upper end of the first side vertical bar 110 is formed extending vertically toward the rear vertical frame part 3, the end of the The first upper horizontal bar 120 on which the first upper insertion protrusion 121 inserted into the third rear coupling hole 35 is formed and the rear vertical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upper horizontal bar 120 . It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toward the frame portion 3, and to include a first lower horizontal bar 130 having a first lower insertion protrusion 131 inserted into the fourth rear coupling hole 36 at an end thereof. can be exemplified.

제1 사이드수직바(110)는 하단이 개방된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방된 하단으로 베이스프레임부(1)의 수직결합돌기(12)를 수용함으로써 베이스프레임부(1)에 수직으로 직립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side vertical bar 110 may be formed of a hollow pipe with an open lower end, and vertically to the base frame unit 1 by accommodating the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12 of the base frame unit 1 with an open lower end. Can be mounted upright.

제1 상부사이드결합구(111)와 제1 하부사이드결합구(112)는 제1 사이드수직바(110)의 후면에 형성되어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를 바라보는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가 지지 및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upper side coupler 111 and the first lower side coupler 112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side vertical bar 110 to protrude toward the direction facing the second side frame part 200 . In this case, the second side frame part 200 may be supported and inserted therein.

제1 상부수평바(120)와 제1 하부수평바(130)는 제1 사이드수직바(110)에서 후방수직바(31)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 또는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는 대략 'F'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upper horizontal bar 120 and the first lower horizontal bar 130 may be vertically bent or extended from the first side vertical bar 110 toward the rear vertical bar 31 , thereby forming the first side The frame part 100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F' shape.

이때, 제1 상부수평바(120)는 제3 후방결합구(35)의 상부로 안착될 수 있고, 동시에 제1 상부수평바(120)의 끝단에 돌출 형성된 제1 상부삽입돌기(121)가 제3 후방결합구(35)로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upper horizontal bar 120 may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rear coupling hole 35 ,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upper insertion protrusion 121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upper horizontal bar 120 is formed. It may be inserted into the third rear coupling hole (35).

이와 유사하게, 제1 하부수평바(130)는 제4 후방결합구(36)의 상부로 안착될 수 있고, 동시에 제1 하부수평바(130)의 끝단에 돌출 형성된 제1 하부삽입돌기(131)가 제4 후방결합구(36)로 삽입될 수 있다.Similarly, the first lower horizontal bar 130 may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ourth rear coupling hole 36 , and at the same time, a first lower insertion protrusion 131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lower horizontal bar 130 . ) may be inserted into the fourth rear coupling hole (36).

다음으로,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 각각은, 전술한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면에 제2 사이드결합구(211)가 형성되는 제2 사이드수직바(210), 상기 제2 사이드수직바(210)의 상단에서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1 상부사이드결합구(111)로 삽입되는 제2 상부삽입돌기(221)가 형성되는 제2 상부수평바(220) 및 상기 제2 상부수평바(220)의 하부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1 하부사이드결합구(112)로 삽입되는 제2 하부삽입돌기(231)가 형성되는 제2 하부수평바(2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Next, each of the pair of second side frame units 200 may be configured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first side frame unit 100, for examp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s shown in FIG. 9 . A second side vertical bar 210 extending and having a second side coupling hole 211 formed on the rear surface thereof,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ide vertical bar 210 vertically toward the first side frame unit 100 . The second upper horizontal bar 220 and the second upper horizontal bar 220 having a second upper insertion protrusion 221 inserted into the first upper side coupling hole 111 at an end thereof is formed to exten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upper horizontal bar 220 . Doedoe extending vertically toward the first side frame part 100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econd lower insertion protrusion 231 inserted into the first lower side coupling hole 11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It may be exemplified as including the lower horizontal bar 230 .

제2 사이드수직바(210)는 하단이 개방된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방된 하단으로 베이스프레임부(1)의 수직결합돌기(12)를 수용함으로써 베이스프레임부(1)에 수직으로 직립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side vertical bar 210 may be made of a hollow pipe with an open lower end, and vertically to the base frame unit 1 by accommodating the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12 of the base frame unit 1 with an open lower end. Can be mounted upright.

제2 사이드결합구(211)는 제2 사이드수직바(210)의 후면에 형성되어 발판프레임부(300)를 바라보는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 발판프레임부(300)가 지지 및 삽입될 수 있다.The second side coupler 211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side vertical bar 210 to protrude toward the direction facing the scaffold frame unit 300 , and the scaffold frame unit 300 is supported here. and may be inserted.

제2 상부수평바(220)와 제2 하부수평바(230)는 제2 사이드수직바(210)에서 제1 사이드수직바(110)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 또는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는 대략 'F'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upper horizontal bar 220 and the second lower horizontal bar 230 may be vertically bent or extended from the second side vertical bar 210 toward the first side vertical bar 110 , and thereby The second side frame part 200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F' shape.

이때, 제2 상부수평바(220)는 제1 상부사이드결합구(111)의 상부로 안착될 수 있고, 동시에 제2 상부수평바(220)의 끝단에 돌출 형성된 제2 상부삽입돌기(221)가 제1 상부사이드결합구(111)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하부수평바(230)는 제1 하부사이드결합구(112)에 안착될 수 있고, 동시에 제2 하부수평바(230)의 끝단에 돌출 형성된 제2 하부삽입돌기(231)가 제1 하부사이드결합구(112)로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upper horizontal bar 220 may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upper side coupling hole 111 , and at the same time, a second upper insertion protrusion 221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second upper horizontal bar 220 .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upper side coupling hole 111 . And, the second lower horizontal bar 230 can be seated in the first lower side coupling hole 112,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lower insertion protrusion 231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second lower horizontal bar 230 is the first. 1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coupler 112 .

한편, 전술한 결합구들은 일정 길이로 재단된 중공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돌기의 삽입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특정 부재들이 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couplers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pipe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accordingly, the projections may be inserted and specific members may be mounted at the same time.

다음으로, 한 쌍의 발판프레임부(300) 각각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며 일단에 발판삽입돌기(310)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은 개방된 형태를 갖춘다. 발판프레임부(300)의 개방된 타단으로 베이스프레임부(1)의 수직결합돌기(12)가 수용되어 베이스프레임부(1) 상에 발판프레임부(300)가 결합될 수 있고, 아울러, 일단은 제2 사이드수직바(210)를 향해 연장되어 발판삽입돌기(310)가 인접한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의 제2 사이드결합구(211)로 삽입될 수 있다.Next, each of the pair of footrest frame units 300 is bent in an approximately 'L' shape as shown in FIG. 10 , and the footrest insertion protrusion 310 is formed to protrude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has an open form. . The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12 of the base frame part 1 is accommodated at the other open end of the scaffold frame part 300 so that the scaffold frame part 300 can be coupled to the base frame part 1, and, in addition, one end may extend toward the second side vertical bar 210 and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ide coupling hole 211 of the second side frame unit 200 adjacent to the footrest insertion protrusion 310 .

제1, 2, 3 발판부재(5,6,7)는 모두 유사 또는 동일한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제1 발판부재(5)는 좌, 우 방향으로 대칭 형성된 한 쌍의 발판프레임부(300) 상부에 안착되고, 제2 발판부재(6)는 좌, 우 방향으로 대칭 형성된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의 제2 하부수평바(230) 상부에 안착되고, 제3 발판부재(7)는 좌, 우 방향으로 대칭 형성된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의 제1 하부수평바(130) 상부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scaffolding members 5, 6, and 7 may all be made of similar or identical boards, and in this case, the first scaffolding member 5 is a pair of scaffolding frame parts symmetrically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300) is seated on the upper part, and the second scaffold member 6 is mounted on the second lower horizontal bar 230 of the second side frame part 200 symmetrically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third scaffold member 7 ) may be respectively seated on the first lower horizontal bar 130 of the pair of first side frame parts 100 symmetrically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판부재(5)는 좌, 우 양측에 플랜지(51)가 하향 절곡 형성되는 발판(52)과 상기 발판(52)을 하면에서 지지하되 서로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5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4 , the first scaffold member 5 supports the scaffold 52 and the scaffold 52 in which the flanges 51 are bent downwar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from the lower surface, bu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may be exemplified as including a pair of support frames 53 formed therein.

이때, 플랜지(51)와 지지프레임(53)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해 상기 플랜지(51)와 지지프레임(53) 사이에 발판프레임부(30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발판프레임부(300)가 개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제1 발판부재(5)가 조립되었을 때 흔들림을 방지해 조립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lange 51 and the support frame 5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footrest frame part 300 is inserted between the flange 51 and the support frame 53, and the footrest frame in the space. It is preferable in terms of being able to improve assembly rigidity by preventing shaking when the first scaffold member 5 is assembled to configure the part 300 to be interposed.

다음으로, 상판부재(400)는 제1, 2, 3 발판부재(5,6,7)를 딛고 작업자가 올라 서 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충분한 작업공간과 안정성이 요구되는 것은 물론, 고공 작업성을 보장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되야 하는 만큼 분해 및 조립의 편의성까지 요구된다.Next, the upper plate member 400 is a part in which the operator climbs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caffolding members (5, 6, 7) to perform the work. As it has to be positioned relatively at the upper part to ensure the stability, the convenience of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is also required.

이를 위해, 상판부재(400)는 골격 부분과 판재 부분을 별도 구성함으로써 안정성과 분해 및 조립의 편의성까지 보장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To this end, the upper plate member 400 has a structure that can guarantee stability and convenience of disassembly and assembly by separately configuring the skeleton part and the plate part.

이를 위해, 상판부재(4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곽 모서리에 상기 제2 전방결합구(24)와 제1 후방결합구(33)에 동시에 삽입되는 상판결합돌기(411)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판프레임(410) 및 상기 상판프레임(410)의 상부로 거치되는 판상의 상부판재(4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upper plate member 400 has an upper plate coupling protrusion 411 that is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second front coupler 24 and the first rear coupler 33 at the outermost corner as shown in FIG. It may be exemplified as including an upper plate frame 410 protruding from the upper plate and a plate-shaped upper plate 420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frame 410 .

상판프레임(410)은 대략 사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모서리에 상판결합돌기(411)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frame 41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upper plate coupling protrusions 411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at each corner.

그리고, 상판프레임(410)의 둘레 변부에는 보강결합돌기(412)가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결합돌기(412)는 후술 될 측면보강프레임부(8)의 개방된 하단으로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inforcing coupling protrusion 412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ly on the peripheral edge of the upper plate frame 410 . The reinforcing coupling protrusion 412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 lower end of the side reinforcing frame portion 8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상부판재(420)에는 상부판재(420)의 후방 변부를 제외한 나머지 변부에서 상부를 향해 측벽(421)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420 may have a side wall 421 extending upward from the remaining edges except for the rear edge of the upper plate 420 .

상기 측벽(421)을 통해 상부판재(420)에 올려 놓은 작업도구가 아래로 굴러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421)이 상부판재(420)의 후방 변부에는 제외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제3 발판부재(7)를 딛고 상판부재(400)로 올라가는 과정에서 측벽(421)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ork tool placed on the upper plate 420 through the side wall 421 from rolling down. And, the side wall 421 is excluded from the rear edge of the upper plate member 420, so that the operator steps on the third scaffold member 7 and climbs to the top plate member 400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side wall 421. ca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는 상기 상판부재(400)의 하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전방 모서리부분은 전방수직프레임부(2)에, 후방 모서리부분은 후방수직프레임부(3)에 각각 거치되는 하판부재(500) 및 상단은 한 쌍의 루프프레임부(4) 각각에, 하단은 상기 상판부재(400)의 좌, 우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보강프레임부(8)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front edge portion of the front vertical frame portion (2) and the rear edge portion on the rear vertical frame portion (3), respectively,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member (400) is spac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lower plate member 500 and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roof frame parts (4), the lower end further comprises a pair of side reinforcement frame parts (8)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late member (400) may be

먼저, 측면보강프레임부(8)는 루프프레임부(4)와 상판부재(400)를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루프프레임부(4)와 상판부재(400) 양자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조립된 상태에서의 작업대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the side reinforcement frame part 8 increase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roof frame part 4 and the top plate member 400 by interconnecting the roof frame part 4 and the top plate member 400, and the work table in the assembled state can improve the robustness of

이를 위해, 측면보강프레임부(8)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며 상, 하단이 개방된 중공 파이프 형태의 한쌍의 측면수직바(81) 및 상기 한 쌍의 측면수직바(81)를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수평바(82)로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side reinforcement frame portion 8 is parallel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12 , a pair of side vertical bars 81 and the pair of side vertical bars 81 in the form of a hollow pipe with upper and lower ends open. It may be made of a plurality of side horizontal bars 82 that connect them.

이때, 측면수직바(81)의 개방된 상단에는 루프프레임이 루프결합돌기(41)가 삽입되고 개방된 하단에는 상판부재(400)의 보강결합돌기(412)가 삽입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oof frame loop coupling protrusion 41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 upper end of the side vertical bar 81 , and the reinforcing coupling protrusion 412 of the upper plate member 400 may be inserted at the open lower end.

한편, 상부판재(420)의 측벽(421)에는 일정 간격마다 절개홈(422)이 절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절개홈(422)의 내부로 보강결합돌기(412)가 위치할 수 있는데 이때, 측면수직바(81)의 하단이 절개홈(422)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하단 개방된 부분으로 보강결합돌기(412)를 수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ide wall 421 of the upper plate 420, a cut-out groove 422 may be cut at regular intervals, and a reinforcing coupling protrusion 412 may be located inside the cut-out groove 422. At this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side vertical bar 81 is inserted into the cut-out groove 422 , the reinforcing coupling protrusion 412 may be accommodated as an open portion at the lower end.

이와 같이 구성되면 측면수직바(81)의 하단 내부로는 보강결합돌기(412)가 삽입되고 측면수직바(81)의 하단 외부로는 측벽(421)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어 측면보강프레임부(8)가 상판부재(400)에 보다 견고히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When configured in this way, the reinforcing coupling protrusion 412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side vertical bar 81 and is surrounded by the side wall 421 to the out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ide vertical bar 81, so that the side reinforcement frame part 8 ) has a structure that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member (400).

다음으로, 하판부재(500)는 상판부재(400)의 직하방에 위치되어 작업자의 작업도구들을 거치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다.Next, the lower plate member 500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upper plate member 400 can be used to mount the work tools of the operator.

하판부재(500)는 전술한 상판부재(4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곽 모서리에 상기 제3 전방결합구(25)와 제2 후방결합구(34)에 동시에 삽입되는 하판결합돌기(511)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판프레임(510) 및 상기 하판프레임(510)의 상부로 거치되는 판상의 하부판재(5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The lower plate member 500 may be made the same or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upper plate member 400, for example, the third front coupler 25 and the second rear coupling at the outermost corner as shown in FIG. The lower plate coupling protrusion 511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sphere 34 will be illustrated as including a lower plate frame 510 protruding downward and a plate-shaped lower plate member 520 mounted on the upper plate of the lower plate frame 510 . can

전방에 위치한 하판결합돌기(511)는 제3 전방결합구(25)에 삽입될 수 있고, 후방에 위치한 하판결합돌기(511)는 제2 후방결합구(34)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The lower plate coupling protrusion 511 located in the front may be inserted into the third front coupler 25 , and the lower plate coupling protrusion 511 located at the rear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rear coupler 34 , respectivel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의 좌, 우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 조작에 따라 지면을 딛고 작업대를 이동시키는 이동조작부(6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ork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frame part 1 as shown in FIGS. 16 to 18, and a moving operation unit ( 600) may be further included.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에는 좌, 우 방향으로 회동축(13)이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조작부(600)는 회동축(13)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se frame unit 1 may have a rotation shaft 13 cros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movement operation unit 600 may rotate using the rotation shaft 13 as a rotation shaft.

이동조작부(600)는 작업대의 위치이동이 요구될 경우 상판부재(400)에 올라 작업하는 작업자가 작업대에서 내려올 필요 없이 상판부재(400)에 올라 선 상태에서 이동조작부(600)를 조작해 작업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The moving operation unit 600 operates the moving operation unit 600 while standing on the upper panel member 400 without the need for a worker to climb on the upper plate member 400 to come down from the work bench when the position of the work table is required to be moved. It has a structure that allows it to be moved.

이를 위해, 이동조작부(600)는 회동축(13)에 장착되는 브라켓(610), 상기 브라켓(610)의 전, 후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하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지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지지바(620), 상기 한 쌍의 지지바(620) 사이에 설치되어 한 쌍의 지지바(620)를 한 쌍의 지지바(620)가 마주보는 반대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복원부재(630) 및 상기 브라켓(610)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6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moving operation unit 600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610 mounted on the rotation shaft 13, an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racket 610 are rotatably mounted, respectively, and selectively on the ground. A pair of support bars 620 in contact,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bars 620 to elastically press the pair of support bars 620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re the pair of support bars 620 face each other. It may be exemplified as including a restoration member 630 and a handle 640 exte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610 .

브라켓(610)에는 상부를 향해 형성되는 제1 장착구(611) 및 하부를 향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장착구(612)가 각각 분기 형성될 수 있다.A first mounting hole 611 formed toward the upper portion and a pair of second attachment portions 612 formed toward the lower portion may be respectively branched on the bracket 610 .

제1 장착구(611)에는 손잡이(640)가 장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2 장착구(612)각각에는 지지바(62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A handle 640 may be mounted on the first mounting sphere 611 , and a support bar 620 may be rotatably mounted on each of the pair of second mounting spheres 612 .

지지바(620)의 끝단에는 지면에 대해 마찰저항을 일으키는 논슬립부재(621)가 형성됨으로써 지면에 보다 밀착되어 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A non-slip member 621 that causes frictional resistance to the ground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ort bar 620 so that it can be stepped in closer contact with the ground.

지지바(620)는 손잡이(640)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되도록 해 작업대에 작업자가 올라가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업대를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40)를 회동 작동시키게 되면 지지바(620)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손잡이(640)의 조작에 의해 작업대를 소정 거리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춘다.The support bar 6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andle 640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640 is erected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so that the workbench can be pushed and moved even when the operator is not on the workbench, as shown in FIG. 18a When the handle 640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bar 6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the work table can be moved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640 .

복원부재(630)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지지바(620)가 지면에서 이격되는 순간 지지바(620)를 탄성가압해 회동된 지지바(620)를 원위치로 복원시킨다.The restoration member 630 is made of an elastic spring and elastically presses the support bar 620 at the moment the support bar 620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o restore the rotated support bar 620 to its original position.

손잡이(640)는 상판부재(400)에 올라선 작업자가 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높이까지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The handle 640 may be extended upward to a height that can be manipulated by hand by an operator who climbs on the upper plate member 400 .

이동조작부(600)의 작용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작업대에 작업자가 올라 선 상태에서 작업대의 이동이 요구될 경우 작업자가 손잡이(640)를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회동 작동시키면, 이와 연동하여 브라켓(610)이 회동되면서 브라켓(610)에 장착된 지지바(620)가 지면을 딛어 손잡이(640)를 회동 조작한 방향으로 작업대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어서,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40)를 후방으로 견인하게 되면 전방의 지지바(620)가 지면에 맞닿아 회동되면서 접혀지다가,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40)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된 지점에 위치되는 순간 복원부재(630)에 의해 펴지면서 지지바(620)가 원위치로 복원된다.Briefly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movement operation unit 600, when the operator is required to move the workbench while the operator is standing on the workbench, if the operator rotates the handle 640 forward as shown in FIG. 18a, in conjunction with this As the bracket 610 is rotated, the support bar 620 mounted on the bracket 610 touches the ground to move the workbench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640 is rotated. Subsequently, when the handle 640 is pulled backward as shown in FIG. 18b , the front support bar 620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folded, and as shown in FIG. 18c , the handle 640 is on the ground. The support bar 62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being unfolded by the instantaneous restoration member 630 positioned at a point perpendicular to the position.

작업자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양 측에 대칭 형성되는 이동조작부(600)를 교대로 조작하여 작업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진이동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편측의 이동조작부(600)만 조작시키게 되면 작업대 자체를 소정각도 회전이동도 가능한 구조가 실현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operator can alternately operate the moving manipulation units 600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to move the worktable forward or backward, and if necessary, only the moving manipulation unit 600 on one side is operated if necessary, the workbench itself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onal movement at a predetermined angle can be realized.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작용에서는 작업대가 조립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operatio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workbench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작업대의 조립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n assembling process of the workbench by way of example.

먼저,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부(1)에 전방수직프레임부(2)와 후방수직프레임부(3)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전방수직바(21)의 개방된 하단과 후방수직바(31)의 개방된 하단에 베이스프레임부(1)의 수직결합돌기(12)가 삽입되도록 하여 베이스프레임부(1), 전방수직프레임부(2) 및 후방수직프레임부(3)의 조립을 완료한다.First, as shown in FIG. 15A, the front vertical frame part 2 and the rear vertical frame part 3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base frame part 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is time, the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12 of the base frame part 1 is inserted into the open lower end of the front vertical bar 21 and the open lower end of the rear vertical bar 31 to insert the base frame part 1, the front vertical The assembly of the frame part 2 and the rear vertical frame part 3 is completed.

다음으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5a에 도시된 상태의 작업대에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 및 발판프레임부(300)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킨다.Next, as shown in FIG. 15B, the first side frame part 100, the second side frame part 200 and the footrest frame part 300 are sequentially coupled to the workbench of the state shown in FIG. 15A.

이때,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는 제1 사이드수직바(110)의 개방된 하단으로 수직결합돌기(12)를 삽입시키고, 제1 상부삽입돌기(121)를 제3 후방결합구(35)에 삽입시키고, 제1 하부삽입돌기(131)를 제4 후방결합구(36)에 삽입시켜 조립을 완료하고,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는 제2 사이드수직바(210)의 개방된 하단으로 수직결합돌기(12)를 삽입시키고, 제2 상부삽입돌기(221)를 제1 상부사이드결합구(111)에 삽입시키고, 제2 하부삽입돌기(231)를 제1 하부사이드결합구(112)에 삽입시켜 조립을 완료하고, 발판프레임부(300)는 개방된 타단으로 베이스프레임부(1)의 수직결합돌기(12)가 수용되도록 하고 발판삽입돌기(310)가 제2 사이드결합구(211)로 삽입되도록 하여 조립을 완료한다.At this time, the first side frame part 100 inserts the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12 into the open lower end of the first side vertical bar 110 , and inserts the first upper insertion protrusion 121 into the third rear coupling hole 35 . ), and inserting the first lower insertion protrusion 131 into the fourth rear coupling hole 36 to complete the assembly, and the second side frame part 200 is the open part of the second side vertical bar 210 . Insert the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12 into the lower end, insert the second upper insertion protrusion 221 into the first upper side coupling hole 111, and insert the second lower insertion protrusion 231 into the first lower side coupling hole ( 112) to complete the assembly, and the footrest frame unit 300 has the open other end to accommodate the vertical coupling protrusion 12 of the base frame unit 1, and the footrest insertion protrusion 310 is the second side coupling hole. (211) to be inserted to complete the assembly.

다음으로,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재(400)와 하판부재(500)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판부재(400)는 상판프레임(410)의 상판결합돌기(411)가 각각 제2 전방결합구(24)와 제1 후방결합구(33)에 삽입되도록 해 상판부재(400)의 조립을 완료하고, 하판부재(500)는 하판프레임(510)의 하판결합돌기(511)가 제3 전방결합구(25)와 제2 후방결합구(34)에 각각 삽입되도록 해 하판부재(500)의 조립을 완료한다.Next, as shown in FIG. 15C , the upper plate member 400 and the lower plate member 500 are coupled. At this time, the upper plate member 400 is assembled so that the upper plate coupling protrusion 411 of the upper plate frame 41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ront coupler 24 and the first rear coupler 33, respectively, so that the upper plate member 400 is assembled. To complete, the lower plate member 500 is such that the lower plate coupling protrusion 511 of the lower plate frame 510 is inserted into the third front coupler 25 and the second rear coupler 34, respectively, the lower plate member 500 complete the assembly of

다음으로,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3 발판부재(5,6,7), 측면보강프레임부(8) 및 루프프레임부(4)를 결합시킨다.Next, as shown in FIG. 15D , the first, second, and third footrest members 5, 6, 7, the side reinforcement frame part 8 and the roof frame part 4 are coupled.

이때, 측면보강프레임부(8)는 측면수직바(81)를 측벽(421)의 절개홈(422)으로 삽입시켜 개방된 하단으로 보강결합돌기(412)가 삽입되도록 해 상판부재(400) 상에 수직으로 직립시키고, 이 상태에서 루프프레임부(4)를 결합시킬 때 루프프레임부(4)의 일단에 형성된 루프결합돌기(41)는 전방수직바(21)의 제1 전방결합구(23)에, 타단에 형성된 루프결합돌기(41)는 후방수직바(31)의 개방된 상단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나머지 루프결합돌기(41)가 측면수직바(81)의 개방된 상단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루프프레임부(4)의 조립을 완료한다.At this time, the side reinforcement frame part 8 inserts the side vertical bar 81 into the cut-out groove 422 of the side wall 421 so that the reinforcement coupling protrusion 412 is inserted into the open lower end on the top plate member 400 . The loop coupling protrusion 41 formed on one end of the roof frame part 4 when the roof frame part 4 is coupled in this state is the first front coupling hole 23 of the front vertical bar 21 . ), the loop coupling protrusion 41 formed at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open top of the rear vertical bar 31, and the remaining loop coupling protrusions 41 are moved to the open top of the side vertical bar 81 as needed. The assembly of the roof frame part 4 is completed so that it can be inserted.

제1 발판부재(5)는 좌, 우 방향으로 대칭 형성된 한 쌍의 발판프레임부(300) 상부에 안착시키고, 제2 발판부재(6)는 좌, 우 방향으로 대칭 형성된 제2 사이드프레임부(200)의 제2 하부수평바(230) 상부에 안착시키고, 제3 발판부재(7)는 좌, 우 방향으로 대칭 형성된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100)의 제1 하부수평바(130) 상부에 각각 안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조립을 완료한다.The first scaffold member 5 is seated on a pair of scaffold frame parts 300 symmetrically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second scaffold member 6 is a second side frame part symmetrically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200), the first lower horizontal bar 130 of the pair of first side frame parts 100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lower horizontal bar 230, and the third scaffold member 7 is symmetrically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o complete the assembly of the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ating each on the upper part.

정리하면, 본 발명은 작업대를 구성하는 전체적인 구성요소의 분해/조립을 가능토록 하되, 분해된 상태에서 점유면적을 최소화해 작업대의 보관 및 휴대의 용이성을 보장하고, 분해된 구성요소들간의 결합시 각각 구성요소 사이에 연결부재를 생략하고, 나사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현장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작업대의 구축시 충분한 작업공간 확보,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해 작업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summar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disassembly/assembly of the entir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workbench, but minimizes the area occupied in the disassembled state to ensure the ease of storage and portability of the workbench, and when combining the disassembled components By omitting the connecting member between each component and minimizing screw work, it improves the convenience of on-site assembly, secures sufficient work space when constructing a workbench, and provides sufficient support to ensure worker safety.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mention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Moreo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베이스프레임부 2: 전방수직프레임부
3: 후방수직프레임부 4: 루프프레임부
5: 제1 발판부재 6: 제2 발판부재
7: 제3 발판부재 8: 측면보강프레임부
100: 제1 사이드프레임부 200: 제2 사이드프레임부
300: 발판프레임부 400: 상판부재
500: 하판부재
1: Base frame part 2: Front vertical frame part
3: rear vertical frame part 4: roof frame part
5: first scaffolding member 6: second scaffolding member
7: third scaffold member 8: side reinforcement frame part
100: first side frame portion 200: second side frame portion
300: scaffold frame part 400: top plate member
500: lower plate member

Claims (5)

하면에 이동캐스터가 장착된 베이스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되는 전방수직프레임부;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에서 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와 평행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후방수직프레임부;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와 후방수직프레임부의 좌측 상부와 우측 상부를 각각 연결하도록 일단은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에, 타단은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루프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좌, 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좌, 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에 각각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의 좌, 우측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에 각각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발판프레임부;
상기 한 쌍의 발판프레임부 상부에 거치되는 제1 발판부재;
상기 제1 발판부재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에 거치되는 제2 발판부재;
상기 제2 발판부재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에 거치되는 제3 발판부재; 및
상기 제3 발판부재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전방 모서리부분은 전방수직프레임부에, 후방 모서리부분은 후방수직프레임부에 각각 거치되는 상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공 작업대.
a base frame unit having a movable caster on its lower surface;
a front vertical frame unit vertically erected and coupled to the base frame unit;
a rear vertical frame portion coupled to the base frame portion in parallel with the front vertical frame portion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vertical frame portion rearwar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 pair of roof frame units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ront vertical frame portion and the other end to the rear vertical frame portion so as to connect the upper left and right upper portions of the front vertical frame portion and the rear vertical frame portion, respectively;
a pair of first side frame unit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frame unit to be supported by the rear vertical frame unit in a vertically standing state;
a pair of second side frame parts coupled to each other to be supported by the pair of first side frame parts in a state of being vertically erec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frame part;
a pair of footrest frame units coupled to be supported by the pair of second side frame units in a state of being vertically erec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frame unit, respectively;
a first scaffold member mounted on the pair of scaffold frame parts;
a second scaffold member mounted on the pair of second side frame units to be disposed above the first scaffold member;
a third scaffold member mounted on the pair of first side frame units to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scaffold member; and
The prefabricated high-altitude workbench comprising: a front edge portion of a front vertical frame portion and a rear edge portion of an upper plate member mounted on a rear vertical frame portion so as to be disposed above the third scaffolding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수직프레임부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하단이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전방수직바;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를 연결하는 복수의 전방수평바;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1 전방결합구;
상기 제1 전방결합구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2 전방결합구; 및
상기 제2 전방결합구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전방수직바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3 전방결합구;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후방수직바;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를 연결하는 복수의 후방수평바;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의 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1 후방결합구;
상기 제1 후방결합구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의 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2 후방결합구;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의 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3 후방결합구; 및
상기 제3 후방결합구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후방수직바의 후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제4 후방결합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방결합구에는 상기 루프프레임부의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후방수직바의 개방된 상단으로 상기 루프프레임부의 타단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공 작업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vertical frame portion,
A pair of front vertical b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rmed in a hollow shape with an open bottom;
a plurality of front horizontal bars connecting the pair of front vertical bars;
a first front couple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pair of front vertical bars;
a second front coupler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front coupler and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pair of front vertical bars; and
and a third front coupler spaced downward from the second front coupler and formed outside of the pair of front vertical bars.
The rear vertical frame portion,
A pair of rear vertical b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rmed of a hollow top and bottom open;
a plurality of rear horizontal bars connecting the pair of rear vertical bars;
a first rear coupler formed outside the front surface of the pair of rear vertical bars;
a second rear coupler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rear coupler and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air of rear vertical bars;
a third rear coupler formed outside the rear surface of the pair of rear vertical bars; and
and a fourth rear coupler spaced downward from the third rear coupler and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pair of rear vertical bars.
One end of the roof frame part is inserted into the first front coupler, and the other end of the roof frame part is inserted into the open upper end of the rear vertical ba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부 각각은,
상,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면에 제1 상부사이드결합구와 제1 하부사이드결합구가 상, 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1 사이드수직바;
상기 제1 사이드수직바의 상단에서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3 후방결합구로 삽입되는 제1 상부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제1 상부수평바; 및
상기 제1 상부수평바의 하부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수직프레임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4 후방결합구로 삽입되는 제1 하부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제1 하부수평바;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부 각각은,
상,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면에 제2 사이드결합구가 형성되는 제2 사이드수직바;
상기 제2 사이드수직바의 상단에서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1 상부사이드결합구로 삽입되는 제2 상부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제2 상부수평바; 및
상기 제2 상부수평바의 하부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끝단에 상기 제1 하부사이드결합구로 삽입되는 제2 하부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제2 하부수평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공 작업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Each of the pair of first side frame parts,
a first vertical bar extending in up and down directions and having a first upper side coupling hole and a first lower side coupling ho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on the rear surface;
a first upper horizontal bar extending vertic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side vertical bar toward the rear vertical frame portion, the first upper horizontal bar having a first upper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third rear coupling hole at an end thereof; and
A first lower horizontal bar extending vertically toward the rear vertical frame portion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upper horizontal bar, the first lower horizontal bar having a first lower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ourth rear coupling hole at an end thereof; includes,
Each of the pair of second side frame parts,
a second vertical bar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and having a second side coupling hole formed on a rear surface thereof;
a second upper horizontal bar extending vertic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second side vertical bar toward the first side frame portion and having a second upper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irst upper side coupling hole at an end thereof; and
A second lower horizontal bar extending vertically toward the first side frame portion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upper horizontal bar, the second lower horizontal bar having a second lower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irst lower side coupling hole at the end ; Prefabricated high-altitude workbench comprising a.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재는,
최외곽 모서리에 상기 제2 전방결합구와 제1 후방결합구에 동시에 삽입되는 상판결합돌기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판프레임; 및
상기 상판프레임의 상부로 거치되는 판상의 상부판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판재의 후방 변부를 제외한 나머지 변부에서 상부를 향해 측벽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공 작업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upper plate member,
an upper plate frame in which an upper plate coupling protrusion which is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second front coupler and the first rear coupler at the outermost edge protrudes downward; and
Including; a plate-shaped upper plat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frame;
Prefabricated high altitude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wall is extended toward the top from the remaining edges except for the rear edge of the upper pla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재의 하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전방 모서리부분은 전방수직프레임부에, 후방 모서리부분은 후방수직프레임부에 각각 거치되는 하판부재; 및
상단은 한 쌍의 루프프레임부 각각에, 하단은 상기 상판부재의 좌, 우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보강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공 작업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lower plate member mounted to a front vertical frame portion at a front edge portion and a rear edge portion on a rear vertical frame portion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downward of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roof frame portions, the lower end of the upper plate member is a pair of side reinforcement frame portion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prefabricated high workbench further comprising a.
KR1020200056078A 2020-05-11 2020-05-11 Assembly type aerial working platform KR1023608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078A KR102360825B1 (en) 2020-05-11 2020-05-11 Assembly type aerial working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078A KR102360825B1 (en) 2020-05-11 2020-05-11 Assembly type aerial working platfo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791A true KR20210137791A (en) 2021-11-18
KR102360825B1 KR102360825B1 (en) 2022-02-09

Family

ID=7871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078A KR102360825B1 (en) 2020-05-11 2020-05-11 Assembly type aerial working plat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82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188Y1 (en) * 2006-07-20 2006-10-11 주식회사 신영 Stepping board for architectural scaffold
JP2007332727A (en) * 2006-06-19 2007-12-27 Daiwa Lease Co Ltd High-place work bench
KR20120018542A (en) 2010-08-23 2012-03-05 안용범 Cleaning worktable
KR20120002681U (en) * 2010-10-11 2012-04-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Movable worktable capable of adjusting height
KR20130005814A (en) * 2011-07-07 2013-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Working platform for installation of shaft system
KR20130139064A (en) * 2012-06-12 2013-12-20 (주)엔담 Movable safety stai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2727A (en) * 2006-06-19 2007-12-27 Daiwa Lease Co Ltd High-place work bench
KR200428188Y1 (en) * 2006-07-20 2006-10-11 주식회사 신영 Stepping board for architectural scaffold
KR20120018542A (en) 2010-08-23 2012-03-05 안용범 Cleaning worktable
KR20120002681U (en) * 2010-10-11 2012-04-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Movable worktable capable of adjusting height
KR20130005814A (en) * 2011-07-07 2013-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Working platform for installation of shaft system
KR20130139064A (en) * 2012-06-12 2013-12-20 (주)엔담 Movable safety st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825B1 (en)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85258A1 (en) System for assembling a load-bearing support structure, and structure assembled with such a system
WO1987003634A1 (en) Construction system
JP2019097622A (en) Unit furniture
JP3135198U (en) Building scaffolding
KR102360825B1 (en) Assembly type aerial working platform
KR102360830B1 (en) Aerial working platform capable of move control
KR20130092165A (en) Folding type staging hinged toe plate
JPS5939024B2 (en) Assembly tools for self-supporting structures
JP3438763B2 (en) Assembling temporary scaffold
JP5407726B2 (en) Scaffolding support platform, scaffolding, scaffold installation method
US9290954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an adjustable scaffold shelf
JP4663929B2 (en) Simple suspension scaffold device
US4700513A (en) Mobile unit for facilitating wood frame construction
JP2007321521A (en) Continuously connectable and movable built-up scaffolding
JP3354471B2 (en) Scaffolding equipment
KR102312867B1 (en) Cross insider Ladder
JPH10245976A (en) Working table
JPH0616600U (en) Temporary scaffolding for construction
JPH052736Y2 (en)
CN213774380U (en) Strutting arrangement is used in building engineering construction
JP5182014B2 (en) Scaffolding with handrail
JPH08429Y2 (en) Sliding brace handrail frame for temporary scaffolding
JP2500350Y2 (en) Building frame holder for handrail frame for temporary scaffolding
JP5305432B2 (en) Moving scaffold
JPH08114026A (en) Moving frame having sprung-out scaff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