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329A - 산화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산화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37329A KR20210137329A KR1020200055186A KR20200055186A KR20210137329A KR 20210137329 A KR20210137329 A KR 20210137329A KR 1020200055186 A KR1020200055186 A KR 1020200055186A KR 20200055186 A KR20200055186 A KR 20200055186A KR 20210137329 A KR20210137329 A KR 202101373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zone
- oxidation
- filtrate
- wastewater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4—Diffusers or nozzles for ozon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화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산폐수, 음식물쓰레기 폐수, 하수슬러지 폐수와 같이 고농도의 유기물을 함유하는 폐수를 오존 산화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처리대상수를 고액분리하는 고액분리기와, 고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여액 중에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멤브레인필터부와, 멤브레인필터부를 통과한 여액에 오존을 접촉시켜 여액 중의 유기물을 분해시키기 위한 산화처리부와, 산화처리부를 통과한 처리수를 저장하기 위한 처리수저장탱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처리대상수를 고액분리하는 고액분리기와, 고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여액 중에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멤브레인필터부와, 멤브레인필터부를 통과한 여액에 오존을 접촉시켜 여액 중의 유기물을 분해시키기 위한 산화처리부와, 산화처리부를 통과한 처리수를 저장하기 위한 처리수저장탱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산화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산폐수, 음식물쓰레기 폐수, 하수슬러지 폐수와 같이 고농도의 유기물을 함유하는 폐수를 오존 산화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산농가에서 배출되는 축산 분뇨는 일반적으로 가축의 대사작용 중 발생하는 고체액체성 물질로 BOD 2만 ~ 3만ppm 정도의 고농도 유기물질이다. 이러한 축산 분뇨는 관리 및 활용의 정도에 따라 자연 및 인간에 득과 실이 될 수 있는 물질로서, 축산분뇨는 오수분뇨 및 축산폐수의 처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축산폐수로 규정하고 있다.
축산 폐수는 고농도의 유기물로 이루어져 있어 별도의 처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방류하게 되면 하천과 호수를 오염시키게 된다. 특히 질소와 인이 다량 함유되어 수계에 부영양화를 초래하여 음용수뿐만 아니라 농업용수 등 하천수의 이용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축산폐수와 같이 고농도의 폐수를 처리함에 있어서 처리량, 폐수의 성상, 지역적 특성 등에 의해 그 처리방법은 실로 다양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92467호에는 고농도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수에 대한 고도처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도처리 방법은 방법은, (a)생물학적 처리수에 응집제를 주입하여, 응집에 의해 형성된 플럭을 침전 또는 부상방법을 통해 고액분리하는 응집침전/부상 공정; (b)응집침전/부상 공정에 의해 처리된 처리수에 잔류하는 난분해성 COD 및 색도유발물질을 생분해성 COD 로 전환하거나 또는 산화/제거하는 오존산화 공정; (c)상기 오존산화 공정에 의하여 상기 생분해성 COD 로 전환된 유기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잔류하는 아질산성 질소 및 질산성 질소를 탈질미생물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BAF 공정; (d)상기 BAF 공정에 의해 처리된 처리수에 잔류하는 COD 와 SS를 제거하는 활성탄 흡착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고도처리방법은 단순히 오존으로 처리수를 처리하므로 오존에 의한 산화효과가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축산폐수, 음식물쓰레기 폐수, 하수슬러지 폐수와 같이 고농도의 유기물을 함유하는 폐수를 미세한 기포 형태의 오존과 접촉시켜 유기물질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축산폐수를 포함하는 처리대상수를 오존으로 산화시켜 처리하는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처리대상수를 고액분리하는 고액분리기와; 상기 고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여액 중에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멤브레인필터부와; 상기 멤브레인필터부를 통과한 여액에 오존을 접촉시켜 여액 중의 유기물을 분해시키기 위한 산화처리부와; 상기 산화처리부를 통과한 처리수를 저장하기 위한 처리수저장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산화처리부는 적어도 2개가 다단으로 직렬연결된 산화조들과, 상기 산화조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산화조 내부의 여액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는 펌프와,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해 여액이 유입되는 기포발생기와,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생성기와, 상기 오존생성기에 발생된 오존을 상기 기포발생기로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오존생성기와 상기 기포발생기를 연결하는 오존공급관과, 상기 기포발생기와 연결되어 상기 기포발생기로부터 배출되는 오존기포수를 상기 산화조로 유입시키기 위한 리턴관을 구비한다.
상기 산화처리부를 통과한 처리수의 색도와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색도처리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리턴관을 통해 상기 산화조로 유입되는 오존기포수와 상기 산화조 내부에 있는 여액의 접촉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접촉향상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접촉향상유닛은 상기 산화조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리턴관과 연결되어 상기 기포발생기로부터 배출되는 오존기포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산화조의 내부에 다수가 나란하게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오존기포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회전관들과, 상기 회전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관의 내부로 유입된 오존기포수를 상기 산화조의 내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분출구와, 상기 회전관들을 동시에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래크와, 상기 회전관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래크와 치합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래크를 왕복이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축산폐수, 음식물쓰레기 폐수, 하수슬러지 폐수와 같이 고농도의 유기물을 함유하는 폐수를 고액분리한 후 미세한 오존 기포와 수회 반복하여 다단 접촉시키므로 고농도의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다.
이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산화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폐수처리장치는 축산폐수, 음식물쓰레기 폐수, 하수슬러지 폐수와 같이 고농도의 유기물을 함유하는 처리대상수를 오존 산화를 이용하여 처리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산화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는 처리대상수인 폐수를 고액분리하는 고액분리기(10)와, 고액분리기(10)에서 분리된 여액 중에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멤브레인필터부(15)와, 멤브레인필터부(15)를 통과한 여액에 오존을 접촉시켜 여액 중의 유기물을 분해시키기 위한 산화처리부와, 산화처리부를 통과하한 처리수의 색도와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색도처리부(60)와, 색도처리부(60)를 통과한 처리수를 저장하기 위한 처리수저장탱크(65)를 구비한다.
축산폐수, 음식물쓰레기 폐수, 하수슬러지 폐수와 같은 처리대상수는 고액분리기(10)로 유입된다.
고액분리기(10)는 처리대상수 중의 고형물을 제거한다. 고액분리기(10)로 통상적인 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가령, 고액분리기(10)로 원심분리기, 벨트프레스, 침전분리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고액분리기(10)에서 분리된 고형물은 퇴비 등으로 재활용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유기성 폐액인 여액은 멤브레인필터부(15)로 유입된다.
멤브레인필터부(15)는 고압펌프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여액을 멤브레인여과판이 압착하여 이물질을 걸러낸다. 멤브레인필터부(15)로 통상적인 멤브레인 필터프레스를 이용할 수 있다. 멤브레인필터부(15)에 의해 고액분리기(10)로부터 배출되는 여액 중에 잔존하는 미세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다.
멤브레인필터부(15)에서 이물질과 분리된 여액은 산화처리부로 유입된다.
산화처리부는 멤브레인필터부(15)를 통과한 여액에 오존을 접촉시켜 여액 중의 유기물을 분해시킨다.
오존은 산화력이 염소에 비해 약 7배 정도 강하고, 그 살균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페놀, 색소 등의 유기물 제거효과가 뛰어나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오존은 생물반응공정만으로 처리가 어려운 난분해성 유기물과 무기물 등과 같은 각종 오염물질을 처리함으로써 처리수의 수질을 높일 수 있다.
산화처리부는 적어도 2개가 다단으로 직렬연결된 산화조들(20)(30)(40)과, 산화조 각각에 설치되어 산화조 내부의 여액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21)과, 배출관(21)에 설치되는 펌프(23)와, 배출관(21)과 연결되어 배출관(21)을 통해 여액이 유입되는 기포발생기(25)와,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생성기(50)와, 오존생성기(50)에 발생된 오존을 기포발생기(25)로 주입할 수 있도록 오존생성기(50)와 기포발생기(25)를 연결하는 오존공급관(55)과, 기포발생기(25)와 연결되어 기포발생기(25)로부터 배출되는 오존기포수를 산화조로 유입시키기 위한 리턴관(27)을 구비한다.
산화조(20)(30)(40)는 2개 이상이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산화조가 설치되어 있다. 3개의 산화조는 다단으로 직렬연결된다. 따라서 멤브레인필터부(15)로부터 배출되는 여액은 3개의 산화조(20)(30)(4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설명의 편의상 여액이 통과하는 순서대로 1차산화조(20), 2차산화조(30), 3차산화조(40)로 구분할 수 있다.
멤브레인필터부(15)에서 배출되는 여액은 1차산화조(20)로 유입되어 오존에 의해 1차 산화처리되고, 1차산화조(20)를 통과한 여액은 2차산화조(30)로 유입되어 오존에 의해 2차 산화처리되고, 2차산화조(30)를 통과한 여액은 3차산화조(40)로 유입되어 오존에 의해 3차 산화처리된다.
배출관(21)은 산화조 각각에 설치된다. 배출관(21)을 통해 산화조 내부의 여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관(21)은 산화조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펌프(23)는 배출관(21)에 설치된다. 펌프(23)를 통해 산화조 내부의 여액은 배출관(21)을 따라 이송된다.
기포발생기(25)는 배출관(21)과 연결된다. 배출관(21)을 따라 흐르는 여액은 기포발생기(25)로 유입된다.
기포발생기(25)는 여액 중에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나노미터 또는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기포발생기(25)로 통상적인 미세기포발생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기포발생기(25)의 출구는 리턴관(27)과 연결된다. 리턴관(27)은 산화조로 연장된다. 리턴관(27)을 통해 기포발생기(25)에서 배출되는 오존기포수는 산화조로 유입된다.
오존생성기(50)는 기포발생기(25)로 주입할 오존을 생성한다. 오존공급관(55)은 오존생성기(50)와 기포발생기(25)를 연결한다. 오존공급관(55)을 통해 오존생성기(50)에서 생성된 오존은 기포발생기(25)로 주입된다. 기포발생기(25)로 주입된 오존은 기포발생기(25)를 통과하는 여액 중으로 혼입되면서 오존기포수가 형성된다.
기포발생기(25)에서 형성된 오존기포수는 산화조로 유입되어 산화조 내부에 저장된 여액 중의 유기물질을 분해시킨다. 특히, 미세한 기포 형태로 여액과 접촉되므로 분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맴브레인필터부(15)를 통과한 여액은 1차산화조(20)로 유입되고, 1차산화조(20)의 여액은 일정량씩 계속적으로 기포발생기(25)를 경유하여 다시 1차산화조(20)로 유입되는 순환방식으로 운영된다. 이와 함께 맴브레인필터부(15)에서 1차산화조(20)로 유입되는 여액의 양만큼 1차산화조(20)에서 2차산화조(30)로 여액이 배출된다.
2차산화조(30)로 유입된 여액은 일정량씩 계속적으로 기포발생기(35)를 경유하여 다시 2차산화조(30)로 유입되는 순환방식으로 운영된다. 이와 함께 1차산화조(20)에서 2차산화조(30)로 유입되는 여액의 양만큼 2차산화조(30)에서 3차산화조(40)로 여액이 배출된다.
3차산화조(40)로 유입된 여액은 일정량씩 계속적으로 기포발생기(45)를 경유하여 다시 3차산화조(40)로 유입되는 순환방식으로 운영된다. 이와 함께 2차산화조(30)에서 3차산화조(40)로 유입되는 여액의 양만큼 3차산화조(40)에서 여액이 배출된다. 3차산화조(40)에서 배출되는 여액은 산화처리가 완료된 것이므로 처리수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산화조(20)(30)(40)를 직렬연결하여 오존에 의해 처리대상수를 다단으로 반복하여 처리함으로써 산화처리를 크게 높일 수 있다.
3차산화조(40)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는 처리수저장탱크(65)로 바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으나, 색도처리를 위해 색도처리부(60)를 경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도처리부(60)는 3차산화조(40)에서 배출되는 처리수 중의 색도 유발물질을 제거한다. 이와 함께 처리수 중의 악취물질까지 제거할 수 있다.
색도처리부(60)는 내부에 활성탄이 충진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활성탄은 처리수 중의 각종 색도 유발물질, 악취원인 물질을 흡착시켜 제거한다. 색도처리부(60)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수처리된 처리수는 처리수저장탱크(65)에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예로 접촉향상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접촉향상유닛은 리턴관을 통해 산화조로 유입되는 오존기포수와 산화조 내부에 있는 여액의 접촉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접촉향상유닛은 1차산화조, 2차산화조, 3차산화조 모두에 설치된다. 각 산화조에 설치된 접촉향상유닛은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접촉향상유닛이 1차산화조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접촉향상유닛은 1차산화조(20)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리턴관(27)과 연결되어 기포발생기(25)로부터 배출되는 오존기포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하우징(70)과, 1차산화조(20)의 내부에 다수가 나란하게 설치되며 일측이 하우징(7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하우징(70)의 오존기포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회전관(80)과, 회전관(80)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되어 회전관(80)의 내부로 유입된 오존기포수를 1차산화조(20)의 내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분출구(83)와, 회전관(80)을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90)를 구비한다.
하우징(70)은 1차산화조(20)의 외측에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하우징(70)은 1차산화조(20)의 외측 하부에 설치된다. 하우징(70)은 내부에 여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통 구조를 갖는다.
하우징(70)의 일측에는 리턴관(27)이 연결된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는 리턴관(27)을 통해 기포발생기(25)에서 배출되는 오존기포수는 하우징(70)으로 유입된다.
회전관(80)은 1차산화조(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회전관(80)은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구조를 갖는다. 회전관(80)은 다수가 나란하게 설치된다. 회전관(80)의 일측은 하우징(70)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회전관(80)의 타측은 1차산화조(20)의 내측에 지지된다. 하우징(7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회전관(80)의 일측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1차산화조(20)의 내측에 지지되는 회전관(80)의 타측은 막혀있다.
각 회전관(80)에는 다수의 분출구(83)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회전관(8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회전관(80) 내부로 유입된 오존기포수는 분출구(83)를 통해 1차산화조(20) 내부로 분출된다.
회전구동부(90)는 다수의 회전관(80)을 동시에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시킨다. 가령, 회전관(80)을 시계방향으로 60 내지 120°범위 내에서 회전시킨 후 다시 반대방향으로 60 내지 120°범위 내에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구동부(90)는 회전관(80)을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시킨다.
회전구동부(90)의 일 예로 하우징(70)의 내부에 설치되는 래크(91)와, 각 회전관(80)에 설치되어 래크(91)와 치합하는 피니언기어(93)와, 하우징(70)의 외부에 설치되어 래크(91)를 왕복이동시키는 모터(97)로 이루어진다.
래크(91)는 하우징(7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래크(91)의 일측은 하우징(70)의 외부로 돌출된다. 래크(91)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하기 위해 하우징(70)의 내부 바닥에 가이드레일(95)이 설치된다. 가이드레일(95) 내측에 형성된 홈에 래크(91)의 하부가 삽입된다. 래크(91)는 가이드레일(95)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모터(97)에는 래크(91)와 치합하는 구동기어(99)가 설치된다. 모터(97)는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 래크(91)는 전후로 왕복이동하고, 래크(91)와 치합된 피니언기어(93)는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관(80)을 회전시킨다.
하우징(70)의 내부로 유입된 오존기포수는 회전관(8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회전관(80)의 내부로 유입되어 분출구(83)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회전관(80)은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하므로 오존기포수의 분출위치는 계속적으로 바뀐다. 이에 따라 오존기포수와 1차산화조(20)의 여액과의 접촉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회전관(82)의 외주면에는 와류를 유도할 수 있는 와류유도깃이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와류유도깃은 회전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와류유도깃은 회전관의 외주면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와류유도깃은 분출구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된다. 와류유도깃은 다수가 회전관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90°간격 또는 120°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관이 회전할 경우 회전관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와류유도깃에 의해 회전관의 주위에 와류가 형성되고, 분출구를 통해 분출되는 오존기포수는 와류에 의해 주위의 여액과 접촉효율이 더욱 향상되므로 수처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고액분리기 15: 멤브레인필터부
20: 1차산화조 21: 배출관
25: 기포발생기 27: 리턴관
30: 2차산화조 40: 3차산화조
50: 오존생성기 60: 색도처리부
65: 처리수저장탱크
20: 1차산화조 21: 배출관
25: 기포발생기 27: 리턴관
30: 2차산화조 40: 3차산화조
50: 오존생성기 60: 색도처리부
65: 처리수저장탱크
Claims (4)
- 축산폐수를 포함하는 처리대상수를 오존으로 산화시켜 처리하는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처리대상수를 고액분리하는 고액분리기와;
상기 고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여액 중에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멤브레인필터부와;
상기 멤브레인필터부를 통과한 여액에 오존을 접촉시켜 여액 중의 유기물을 분해시키기 위한 산화처리부와;
상기 산화처리부를 통과한 처리수를 저장하기 위한 처리수저장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산화처리부는 적어도 2개가 다단으로 직렬연결된 산화조들과, 상기 산화조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산화조 내부의 여액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는 펌프와,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해 여액이 유입되는 기포발생기와,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생성기와, 상기 오존생성기에 발생된 오존을 상기 기포발생기로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오존생성기와 상기 기포발생기를 연결하는 오존공급관과, 상기 기포발생기와 연결되어 상기 기포발생기로부터 배출되는 오존기포수를 상기 산화조로 유입시키기 위한 리턴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처리부를 통과한 처리수의 색도와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색도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관을 통해 상기 산화조로 유입되는 오존기포수와 상기 산화조 내부에 있는 여액의 접촉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접촉향상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향상유닛은 상기 산화조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리턴관과 연결되어 상기 기포발생기로부터 배출되는 오존기포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산화조의 내부에 다수가 나란하게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오존기포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회전관들과, 상기 회전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관의 내부로 유입된 오존기포수를 상기 산화조의 내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분출구와, 상기 회전관들을 동시에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래크와, 상기 회전관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래크와 치합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래크를 왕복이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5186A KR102435417B1 (ko) | 2020-05-08 | 2020-05-08 | 산화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5186A KR102435417B1 (ko) | 2020-05-08 | 2020-05-08 | 산화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7329A true KR20210137329A (ko) | 2021-11-17 |
KR102435417B1 KR102435417B1 (ko) | 2022-08-24 |
Family
ID=78703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5186A KR102435417B1 (ko) | 2020-05-08 | 2020-05-08 | 산화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5417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2580A (ja) * | 2000-02-04 | 2001-08-07 | Ataka Construction & Engineering Co Ltd | 有機塩素化合物含有汚水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
KR100403850B1 (ko) * | 2002-08-28 | 2003-11-05 | 김학로 | 액상부식법에 있어서 축산폐수 또는 분뇨 고도처리의 질소및 인 제거방법과 이에 따르는 슬러지 감량화 시스템 |
KR20050092467A (ko) | 2004-03-16 | 2005-09-22 | 주식회사 부강테크 | 고농도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수에 대한 고도처리 방법 |
JP2010069385A (ja) * | 2008-09-17 | 2010-04-02 | Toshiba Corp | 水処理装置 |
KR101935966B1 (ko) * | 2017-11-01 | 2019-01-07 | 비케이환경종합건설 주식회사 | 축사용 악취 저감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축사용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 |
KR101945471B1 (ko) * | 2017-09-27 | 2019-02-0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씨 체스트 그리드 |
-
2020
- 2020-05-08 KR KR1020200055186A patent/KR1024354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2580A (ja) * | 2000-02-04 | 2001-08-07 | Ataka Construction & Engineering Co Ltd | 有機塩素化合物含有汚水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
KR100403850B1 (ko) * | 2002-08-28 | 2003-11-05 | 김학로 | 액상부식법에 있어서 축산폐수 또는 분뇨 고도처리의 질소및 인 제거방법과 이에 따르는 슬러지 감량화 시스템 |
KR20050092467A (ko) | 2004-03-16 | 2005-09-22 | 주식회사 부강테크 | 고농도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수에 대한 고도처리 방법 |
JP2010069385A (ja) * | 2008-09-17 | 2010-04-02 | Toshiba Corp | 水処理装置 |
KR101945471B1 (ko) * | 2017-09-27 | 2019-02-0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씨 체스트 그리드 |
KR101935966B1 (ko) * | 2017-11-01 | 2019-01-07 | 비케이환경종합건설 주식회사 | 축사용 악취 저감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축사용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5417B1 (ko) | 2022-08-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242163B (zh) | 一种垃圾渗滤液膜法浓缩液的处理方法 | |
US5178755A (en) | UV-enhanced ozon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
JP6198029B2 (ja) | 排水処理システム及び排水処理方法 | |
MX2011008591A (es) | Metodo y dispositivo para depurar efluentes. | |
DE9218559U1 (de) | Vorrichtung zur biologischen Reinigung von mit biologisch schwer oder nicht abbaubaren Inhaltsstoffen organisch belasteten Abwässern | |
JP6750930B2 (ja) | 汚排水浄化システム | |
KR101220539B1 (ko) | 수처리장치 | |
CN104649491A (zh) | 工业废水催化氧化工艺及设备 | |
KR101858028B1 (ko) | 고속 복합 수처리 장치 | |
CN203653393U (zh) | 一种垃圾渗滤液处理装置 | |
KR20100089637A (ko) |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 | |
KR102315900B1 (ko) | A2o 및 sbr 하이브리드형 폐수처리 시스템 | |
KR102435417B1 (ko) | 산화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 |
CN1931750B (zh) | 石油化工污水回用处理工艺 | |
KR101957444B1 (ko) | 마이크로버블과 oh라디칼을 이용한 oh라디칼 부상분리식 수질정화시스템 | |
KR101208683B1 (ko) | 생활용수와 염수의 재활용 장치 및 방법 | |
KR100528184B1 (ko) | 고농도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수에 대한 고도처리 방법 | |
KR20010044325A (ko) | 자외선과 오존을 이용한 고도산화처리에 의한 수처리장치 | |
KR100711259B1 (ko) | 정화처리 장치 | |
CN103951141A (zh) | 一种垃圾渗滤液处理工艺及处理装置 | |
WO2016174562A2 (en) | Dissolved ozone floatation effluent treatment system | |
RU2736050C1 (ru) |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дренажных и надшламовых вод промышленных объектов и объектов размещения отходов производства и потребления | |
KR100526175B1 (ko) | 합병정화장치 및 그 정화처리방법 | |
KR20190066321A (ko) | 분리막생물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 |
KR100709983B1 (ko) |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선택적 난분해성 염색폐수 정화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