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188A - 전송 방법,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 - Google Patents

전송 방법,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188A
KR20210137188A KR1020217033097A KR20217033097A KR20210137188A KR 20210137188 A KR20210137188 A KR 20210137188A KR 1020217033097 A KR1020217033097 A KR 1020217033097A KR 20217033097 A KR20217033097 A KR 20217033097A KR 20210137188 A KR20210137188 A KR 20210137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it
information
monitored
pdc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3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이 우
슈에밍 판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37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1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6Code rate detection or code typ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5Transmission of coding parameters to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송 방법,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지시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이다.

Description

전송 방법,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3월 14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0193382.7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송 방법,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에 관한 것이다.
뉴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에서,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며, 통상의 경우, DCI의 비트 수는 12비트보다 크거나 같다. PDCCH에서 전송되는 비트 수가 12비트 미만인 경우, 0비트를 삽입하여 12비트를 채운 후 순환 잉여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구체적으로, CRC 비트는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함)를 추가하고, 폴라(polar) 코드의 인코딩을 수행해야 한다. 인코딩된 비트는 스크램블링 및 직교 위상 편이 변조(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를 수행하고, 변조된 부호 시퀀스를 출력하여 해당되는 제어 채널 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 자원에 맵핑시켜 송신한다.
단말이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CCE 자원 상에서 PDCCH의 부호 시퀀스에 대해 복조, 디코딩, 디스크램블링, CRC 검사를 포함한 PDCCH 수신을 수행해야 하며, CRC 검사가 통과되면 단말은 PDCCH가 검출된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PDCCH의 수신 복잡도가 높아 단말 검출을 위한 전력 소모가 크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송 방법,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을 제공하여 PDCCH의 수신 복잡도가 높아 단말 검출을 위한 전력 소모가 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제1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되는 전송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지시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이다.
제2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에 적용되는 전송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지시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임 - ;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에 대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3 양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지시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이다.
제4 양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지시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임 ;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에 대해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모듈; 을 포함한다.
제5 양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치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 측의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6 양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단말 측의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7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 측의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단말 측의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이 검출해야 하는 비트 수 및 해당되는 비트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은 복잡도가 낮은 검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검출 알고리즘의 채널 평가, 검출 및 디코딩 등 복잡한 검출 프로세스를 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PDCCH의 수신 복잡도를 줄임으로써 검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단말의 구조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용어 ‘포함하다’ 및 임의의 파생 용어는 비 배타적 포함을 의도하며,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치는 반드시 명시한 단계 또는 유닛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명시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다른 단계 또는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및/또는’을 사용하여 연결된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바, 예컨대, A 및/또는 B는 단독으로 A를 포함하거나 단독으로 B를 포함하거나 A와 B를 동시에 포함하는 세가지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유사하게,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가 단독으로 존재, B가 단독으로 존재, A 및 B가 모두 존재’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컨대’ 등 단어는 예, 예시 또는 설명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컨대’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 솔루션은 다른 실시예 또는 설계 솔루션보다 더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정확히 말하면, ‘예시적인’ 또는 ‘예컨대’와 같은 단어는 특정 방식으로 관련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송 방법,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은 5G 시스템 또는 진화된 롱 텀 에볼루션(Evolved Long Term Evolution, eLTE) 시스템 또는 후속 진화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1) 및 네트워크 장치(12)를 포함하고, 단말(11)은 사용자 단말 또는 휴대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라고 약칭함),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등 단말 측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11)의 특정 유형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상기 네트워크 장치(12)는 5G 기지국, 이후 버전의 기지국, 또는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이거나, 또는 노드 B, 진화된 노드 B,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또는 상기 분야에서의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으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룰 수만 있다면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특정 기술적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12)는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 또는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 S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5G 기지국만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네트워크 장치의 특정 유형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방법의 흐름도로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이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201: 지시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지시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매체 접근 제어-제어 요소(Medium Access Control-Control Element, MAC-CE) 및 PDCCH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시 정보의 전송을 위해 어떤 방식을 사용할 것인지는 미리 합의될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 정보, RRC 시그널링, MAC-CE 및 PDCCH 중의 하나 또는 다수의 방식을 사용하여 지시 정보의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 상기 PDCCH가 DCI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비트 수는 PDCCH에서 전체 DCI 비트 수로 이해될 수 있고, 해당 비트 수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12비트 이상이다.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수는 상기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와 관련되며, 상기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의 비트 수가 적으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수는 PDCCH에서 전체 DCI 비트 수보다 작을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PDCCH에서 전체 DCI 비트 수는 12비트이고,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수는 2비트이며, 다른 비트는 이미 알려진 비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비트 정보는 비트 수 및/또는 비트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비트 수가 프로토콜에 의해 합의된 경우, 상기 제1 지시를 통해 비트 위치에 대해 지시하면 된다. 다른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비트 위치는 프로토콜에 의해 합의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제N비트부터 시작하여 모니터링해야 하는 경우, 상기 제1 지시를 통해 비트 수에 대해 지시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지시를 통해 비트 위치 및 비트 수에 대해 지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또는 단말 그룹의 형태로 모니터링될 비트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시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은,
상기 제1 지시는 하나의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또는, 상기 제1 지시는 하나의 단말 그룹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을 포함한다.
단말 그룹의 구체적인 그룹핑 규칙은 실제 상황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단말 그룹의 정의를 더 이상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이 검출해야 하는 비트 수 및 해당되는 비트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은 복잡도가 낮은 검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검출 알고리즘의 채널 평가, 검출 및 디코딩 등 복잡한 검출 프로세스를 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PDCCH의 수신 복잡도를 줄임으로써 검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단말이 사용하는 검출 알고리즘은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시퀀스 검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시퀀스 검출 알고리즘은 단말에서 관련 연산만 수행하면 된다.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PDCCH에서 전송되는 정보 비트가 2비트이고, 다른 비트들은 전부 알려진 비트, 예컨대 전부 0비트라고 가정하면, 실제로 전송되는 시퀀스는 4개 비트 시퀀스이고, RNTI 및 스크램블링 시퀀스가 결정된 경우, 4개 변조된 부호 시퀀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은 시퀀스 검출 방법을 사용하여 PDCCH의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수신된 부호 시퀀스에 대해 검출을 수행하고, 검출할 부호로 4개의 변조된 부호와 연관성이 가장 높은 부호를 찾고, 동시에 PDCCH 중의 2비트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를 결정한다.
진일보로, 상기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제2 지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DCI의 비트 수;
순환 잉여 검사(CRC) 비트 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인코딩된 PDCCH 비트의 스크램블링 식별자(ID);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시 정보 중의 컨텐츠는 PDCCH 검출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2 지시 중의 컨텐츠는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컨텐츠는 합의될 수 있고, 일부 컨텐츠는 제2 지시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진일보로, 상기 지시 정보는 제3 지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지시는,
상기 PDCCH의 검색 공간(search space);
모니터링되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 후보 집합(PDCCH candidate)의 수 또는 부분 집합;
모니터링되는 집합 등급;
하향링크 제어 정보 포맷(DCI format);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지시는 단말이 PDCCH의 수신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3 지시 중의 컨텐츠는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컨텐츠는 합의될 수 있고, 일부 컨텐츠는 제3 지시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상기 PDCCH 중의 제1 비트 시퀀스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되고, 상기 제1 비트 시퀀스는 상기 DCI의 비트 중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 이외의 비트를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상기 PDCCH에서 DCI의 비트 수가 12이고, 모니터링될 비트가 제1 비트 및 제2 비트인 경우, 상기 제1 비트 시퀀스는 제3 비트 내지 제12 비트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3 비트 내지 제12 비트 중의 각 비트가 모두 0인 경우, 상기 제1 비트 시퀀스는 0000000000이다.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단말은 모니터링될 비트 이외의 다른 비트가 특정된 비트 시퀀스(즉 상기 제1 비트 시퀀스)라고 가정하고, 해당 가정에 근거하여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부호 시퀀스의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모니터링될 비트 이외의 다른 비트의 비트 시퀀스(즉 상기 제1 비트 시퀀스)를 지시할 수 있고, 단말은 해당 다른 비트의 비트 시퀀스에 근거하여 해당되는 비트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해당 비트 정보에 근거하여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부호 시퀀스의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는 것을 통해, 단말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지시된 비트 정보에 따라 시퀀스 검출 방법을 이용하여 모니터링될 비트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를 획득한다.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PDCCH 전송 자원에서 집합 등급이 1, 2, 4, 8 및 16 등인 CCE 자원 집합을 사용하여 시퀀스 전송을 수행하며, 전송되는 시퀀스는 의사 난수 시퀀스, gold 시퀀스, m 시퀀스, zc 시퀀스, cgs 시퀀스, CAZAC 시퀀스 중의 하나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양자 간에 상호 변조된 시퀀스일 수 있으며, 상기 상호 변조는 적어도 두 개의 비트 시퀀스의 곱셈 또는 두 개의 부호 시퀀스 곱셈일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시퀀스에 대해 검출을 수행할 수 있고, 수신 신호와 연관성이 가장 높은 시퀀스를 검출해내는 것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결정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는,
상기 단말이 제1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의 지속시간 동안(On duration)에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 - 상기 제1 DRX의 지속시간 동안은 현재 DRX의 지속시간 동안이거나, 현재 시점 이후의 다음 M개 DRX의 지속시간 동안이며, M은 양의 정수임 - ;
상기 단말이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 전환을 수행해야 함 - 상기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는 BWP의 ID일 수 있음 - ;
상기 단말이 대상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수행해야 함 - 상기 대상은 셀 그룹 또는 반송파 그룹임 - ;
상기 단말이 미리 설정된 기간에서 PDCCH 모니터링을 정지해야 함 - 미리 설정된 기간은 다음 1개 DRX 지속시간이 시작되기 이전, 또는 다음 1개 주기의 PDCCH 검색 시간 윈도우 이전, 또는 현재의 DRX의 활성화 기간 동안으로 표현될 수 있음 - ;
상기 단말이 수신 안테나의 전환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 타임슬롯의 구성;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의 보고를 트리거해야 함;
상기 단말이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의 송신을 트리거해야 함;
상기 단말이 추적 기준 신호(Tracking Reference Signal, TRS)의 수신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의 수신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빔 관리(Beam management, BM) 측정, 무선 링크 모니터링(Radio Link Management, RLM) 측정 및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해야 함;
뉴라디오 비면허 대역(NR-U)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점유 시간(Channel Occupancy Time, COT)의 총 시간 길이, 나머지 시간 길이 및 채널 접근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
상향링크 수행을 위한 상기 단말의 물리적 채널 및/또는 물리적 신호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상기 단말이 상이한 DRX 구성 또는 검색 공간 구성을 활성화해야 함;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는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에 해당되는 DCI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될 비트가 적어도 두 개의 비트인 경우, 각 비트로 상기 내용 중의 하나를 지시할 수 있고, 상이한 비트 조합으로 해당되는 단말이 상기 지시 콘텐츠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가 적어도 두 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 중의 비트 조합은 해당되는 단말이 제1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되,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에 해당되는 동작이고, 상기 비트 조합과 단말은 일대일로 대응되거나, 또는 상기 비트 조합과 단말 그룹은 일대일로 대응된다.
예컨대, 모니터링될 비트가 2비트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비트로 단말이 제1 타겟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하고, 다른 하나의 비트로 단말이 제2 타겟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하되, 제1 타겟 동작과 제2 타겟 동작은 상기 제1 동작 중의 서로 다른 동작이다.
다른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비트로 단말이 제1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모니터링될 비트의 시퀀스가 00인 경우, 모니터링될 비트로 번호가 0인 단말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모니터링될 비트의 시퀀스가 01인 경우, 모니터링될 비트로 번호가 1인 단말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모니터링될 비트의 시퀀스가 10인 경우, 모니터링될 비트로 번호가 2인 단말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모니터링될 비트의 시퀀스가 11인 경우, 모니터링될 비트로 번호가 3인 단말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 두 개의 서로 다른 실시 양태를 통해 PDCCH 전송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 양태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의해 모니터링될 DCI 비트 수를 2로 지시하고, UE에 의해 모니터링될 이 두 개의 비트는 DCI 비트 시퀀스 중의 제x 비트와 제y 비트임을 지시한다.
여기서, 제x 비트는 UE가 다음 1개의 DRX에서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y 비트는 UE가 CSI 피드백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는, NR 비면허 대역 시나리오에서, 이 중의 두 비트는 1ms, 2ms, 3ms 또는 4ms와 같이 UE가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획득한 채널의 나머지 시간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일 실시 양태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의해 모니터링될 DCI 비트 수를 2로 지시하고, UE에 의해 모니터링될 이 두 개의 비트는 DCI 비트 시퀀스 중의 제x 비트와 제y 비트임을 지시한다.
이 두 개의 비트가 00인 경우, UE #0이 현재 시점 이후의 다음 1개 DRX Onduration에서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UE 그룹 #0이 현재 시점 이후의 다음 1개 DRX Onduration에서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함을 지시한다.
이 두 개의 비트가 01인 경우, UE #1이 현재 시점 이후의 다음 1개 DRX Onduration에서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UE 그룹 #1이 현재 시점 이후의 다음 1개 DRX Onduration에서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함을 지시한다.
이 두 개의 비트가 10인 경우, UE #2가 현재 시점 이후의 다음 1개 DRX Onduration에서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UE 그룹 #2가 현재 시점 이후의 다음 1개 DRX Onduration에서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함을 지시한다.
이 두 개의 비트가 11인 경우, UE #3이 현재 시점 이후의 다음 1개 DRX Onduration에서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함을 지시하거나, 또는 UE 그룹 #3이 현재 시점 이후의 다음 1개 DRX Onduration에서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함을 지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전송 방법의 흐름도로서, 상기 방법은 단말에 적용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이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301: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지시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지시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이다.
단계 302: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에 대해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비트 정보는 비트 수 및/또는 비트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제2 지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DCI의 비트 수;
순환 잉여 검사(CRC) 비트 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인코딩된 PDCCH 비트의 스크램블링 ID;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제3 지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지시는,
상기 PDCCH의 검색 공간;
모니터링되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 후보 집합(PDCCH candidate)의 수 또는 부분 집합;
모니터링되는 집합 등급;
하향링크 제어 정보 포맷(DCI format);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은,
상기 제1 지시는 하나의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또는, 상기 제1 지시는 하나의 단말 그룹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PDCCH 중의 제1 비트 시퀀스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되고, 상기 제1 비트 시퀀스는 상기 DCI의 비트 중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 이외의 비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접근 제어-제어 요소(MAC-CE) 및 PDCCH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는,
상기 단말이 제1 불연속 수신(DRX)의 지속시간 동안에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 - 상기 제1 DRX의 지속시간 동안은 현재 DRX의 지속시간 동안이거나, 현재 시점 이후의 다음 M개 DRX의 지속시간 동안이며, M은 양의 정수임 - ;
상기 단말이 대역폭 부분(BWP) 전환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대상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수행해야 함 - 상기 대상은 셀 그룹 또는 반송파 그룹임 - ;
상기 단말이 미리 설정된 기간에서 PDCCH 모니터링을 정지해야 함 - 미리 설정된 기간은 다음 1개 DRX 지속시간이 시작되기 이전, 또는 다음 1개 주기의 PDCCH 검색 시간 윈도우 이전, 또는 현재의 DRX의 활성화 기간 동안으로 표현될 수 있음 - ;
상기 단말이 수신 안테나의 전환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 타임슬롯의 구성;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CSI)의 보고를 트리거해야 함;
상기 단말이 사운딩 기준 신호(SRS)의 송신을 트리거해야 함;
상기 단말이 추적 기준 신호(TRS)의 수신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기준 신호(CSI-RS)의 수신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BM 측정,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측정 및 무선 자원 관리(RRM)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해야 함;
뉴라디오 비면허 대역(NR-U)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점유 시간(COT)의 총 시간 길이, 나머지 시간 길이 및 채널 접근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
상향링크 수행을 위한 상기 단말의 물리적 채널 및/또는 물리적 신호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상기 단말이 상이한 DRX 구성 또는 검색 공간 구성을 활성화해야 함;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가 적어도 두 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 중의 비트 조합은 해당되는 단말이 제1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되,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에 해당되는 동작이고, 상기 비트 조합과 상기 단말은 일대일로 대응되거나, 또는 상기 비트 조합과 단말 그룹은 일대일로 대응된다.
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해당되는 단말의 실시 양태로서, 그 구체적인 실시 양태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이룰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400)은,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401)을 포함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지시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비트 정보는 비트 수 및/또는 비트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제2 지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DCI의 비트 수;
순환 잉여 검사(CRC) 비트 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인코딩된 PDCCH 비트의 스크램블링 ID;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제3 지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지시는,
상기 PDCCH의 검색 공간;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 후보 집합(PDCCH candidate)의 수 또는 부분 집합;
집합 등급;
하향링크 제어 정보 포맷(DCI format);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은,
상기 제1 지시는 하나의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또는, 상기 제1 지시는 하나의 단말 그룹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PDCCH 중의 제1 비트 시퀀스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되고, 상기 제1 비트 시퀀스는 상기 DCI의 비트 중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 이외의 비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접근 제어-제어 요소(MAC-CE) 및 PDCCH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는,
상기 단말이 제1 불연속 수신(DRX)의 지속시간 동안에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 - 상기 제1 DRX의 지속시간 동안은 현재 DRX의 지속시간 동안이거나, 현재 시점 이후의 다음 M개 DRX의 지속시간 동안이며, M은 양의 정수임 - ;
상기 단말이 대역폭 부분(BWP) 전환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대상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수행해야 함 - 상기 대상은 셀 그룹 또는 반송파 그룹임 - ;
상기 단말이 미리 설정된 기간에서 PDCCH 모니터링을 정지해야 함 - 미리 설정된 기간은 다음 1개 DRX 지속시간이 시작되기 이전, 또는 다음 1개 주기의 PDCCH 검색 시간 윈도우 이전, 또는 현재의 DRX의 활성화 기간 동안으로 표현될 수 있음 - ;
상기 단말이 수신 안테나의 전환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 타임슬롯의 구성;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CSI)의 보고를 트리거해야 함;
상기 단말이 사운딩 기준 신호(SRS)의 송신을 트리거해야 함;
상기 단말이 추적 기준 신호(TRS)의 수신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기준 신호(CSI-RS)의 수신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BM 측정,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측정 및 무선 자원 관리(RRM)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해야 함;
뉴라디오 비면허 대역(NR-U)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점유 시간(COT)의 총 시간 길이, 나머지 시간 길이 및 채널 접근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
상향링크 수행을 위한 상기 단말의 물리적 채널 및/또는 물리적 신호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상기 단말이 상이한 DRX 구성 또는 검색 공간 구성을 활성화해야 함;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가 적어도 두 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 중의 비트 조합은 해당되는 단말이 제1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되,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에 해당되는 동작이고, 상기 비트 조합과 상기 단말은 일대일로 대응되거나, 또는 상기 비트 조합과 단말 그룹은 일대일로 대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도2 의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각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내용이 중복되는 것을 피면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500)은,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501)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지시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임 - ;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에 대해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모듈(502);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비트 정보는 비트 수 및/또는 비트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제2 지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DCI의 비트 수;
순환 잉여 검사(CRC) 비트 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인코딩된 PDCCH 비트의 스크램블링 ID;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제3 지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지시는,
상기 PDCCH의 검색 공간;
모니터링되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 후보 집합(PDCCH candidate)의 수 또는 부분 집합;
모니터링되는 집합 등급;
하향링크 제어 정보 포맷(DCI format);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은,
상기 제1 지시는 하나의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또는, 상기 제1 지시는 하나의 단말 그룹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PDCCH 중의 제1 비트 시퀀스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되고, 상기 제1 비트 시퀀스는 상기 DCI의 비트 중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 이외의 비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접근 제어-제어 요소(MAC-CE) 및 PDCCH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는,
상기 단말이 제1 불연속 수신(DRX)의 지속시간 동안에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 - 상기 제1 DRX의 지속시간 동안은 현재 DRX의 지속시간 동안이거나, 현재 시점 이후의 다음 M개 DRX의 지속시간 동안이며, M은 양의 정수임 - ;
상기 단말이 대역폭 부분(BWP) 전환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대상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수행해야 함 - 상기 대상은 셀 그룹 또는 반송파 그룹임 - ;
상기 단말이 미리 설정된 기간에서 PDCCH 모니터링을 정지해야 함 - 미리 설정된 기간은 다음 1개 DRX 지속시간이 시작되기 이전, 또는 다음 1개 주기의 PDCCH 검색 시간 윈도우 이전, 또는 현재의 DRX의 활성화 기간 동안으로 표현될 수 있음 - ;
상기 단말이 수신 안테나의 전환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 타임슬롯의 구성;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CSI)의 보고를 트리거해야 함;
상기 단말이 사운딩 기준 신호(SRS)의 송신을 트리거해야 함;
상기 단말이 추적 기준 신호(TRS)의 수신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기준 신호(CSI-RS)의 수신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BM 측정,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측정 및 무선 자원 관리(RRM)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해야 함;
뉴라디오 비면허 대역(NR-U)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점유 시간(COT)의 총 시간 길이, 나머지 시간 길이 및 채널 접근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
상향링크 수행을 위한 상기 단말의 물리적 채널 및/또는 물리적 신호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상기 단말이 상이한 DRX 구성 또는 검색 공간 구성을 활성화해야 함;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가 적어도 두 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 중의 비트 조합은 해당되는 단말이 제1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되,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에 해당되는 동작이고, 상기 비트 조합과 상기 단말은 일대일로 대응되거나, 또는 상기 비트 조합과 단말 그룹은 일대일로 대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도 3의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이 구현하는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장치(600)은 프로세서(601), 송수신기(602), 메모리(603)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송수신기(602)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지시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비트 정보는 비트 수 및/또는 비트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제2 지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DCI의 비트 수;
순환 잉여 검사(CRC) 비트 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인코딩된 PDCCH 비트의 스크램블링 ID;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제3 지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지시는,
상기 PDCCH의 검색 공간;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 후보 집합(PDCCH candidate)의 수 또는 부분 집합;
집합 등급;
하향링크 제어 정보 포맷(DCI format);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PDCCH 중의 제1 비트 시퀀스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되고, 상기 제1 비트 시퀀스는 상기 DCI의 비트 중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 이외의 비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은,
상기 제1 지시는 하나의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또는, 상기 제1 지시는 하나의 단말 그룹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접근 제어-제어 요소(MAC-CE) 및 PDCCH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는,
상기 단말이 제1 불연속 수신(DRX)의 지속시간 동안에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 - 상기 제1 DRX의 지속시간 동안은 현재 DRX의 지속시간 동안이거나, 현재 시점 이후의 다음 M개 DRX의 지속시간 동안이며, M은 양의 정수임 - ;
상기 단말이 대역폭 부분(BWP) 전환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대상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수행해야 함 - 상기 대상은 셀 그룹 또는 반송파 그룹임 - ;
상기 단말이 미리 설정된 기간에서 PDCCH 모니터링을 정지해야 함 - 미리 설정된 기간은 다음 1개 DRX 지속시간이 시작되기 이전, 또는 다음 1개 주기의 PDCCH 검색 시간 윈도우 이전, 또는 현재의 DRX의 활성화 기간 동안으로 표현될 수 있음 - ;
상기 단말이 수신 안테나의 전환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 타임슬롯의 구성;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CSI)의 보고를 트리거해야 함;
상기 단말이 사운딩 기준 신호(SRS)의 송신을 트리거해야 함;
상기 단말이 추적 기준 신호(TRS)의 수신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기준 신호(CSI-RS)의 수신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BM 측정,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측정 및 무선 자원 관리(RRM)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해야 함;
뉴라디오 비면허 대역(NR-U)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점유 시간(COT)의 총 시간 길이, 나머지 시간 길이 및 채널 접근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
상향링크 수행을 위한 상기 단말의 물리적 채널 및/또는 물리적 신호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상기 단말이 상이한 DRX 구성 또는 검색 공간 구성을 활성화해야 함;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가 적어도 두 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 중의 비트 조합은 해당되는 단말이 제1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되,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에 해당되는 동작이고, 상기 비트 조합과 상기 단말은 일대일로 대응되거나, 또는 상기 비트 조합과 단말 그룹은 일대일로 대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이 검출해야 하는 비트 수 및 해당되는 비트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은 복잡도가 낮은 검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검출 알고리즘의 채널 평가, 검출 및 디코딩 등 복잡한 검출 프로세스를 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PDCCH의 수신 복잡도를 줄임으로써 검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6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01)를 핵심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603)를 핵심으로 하는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 조정기,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용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추가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602)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구성 요소일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사용자 장비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604)는 필요한 장비를 외부 및 내부에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으며, 연결되는 장치에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601)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603)에는 프로세서(601)에 의해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프로세서(601), 메모리(603), 메모리(603)에 저장되고 프로세서(601)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프로그램이 프로세서(6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송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는 단말의 구조 개략도이다.
해당 단말(700)에는 무선 주파수 장치(701), 네트워크 모듈(702), 오디오 출력 장치(703), 입력 장치(704), 센서(705), 디스플레이 장치(706), 사용자 입력 장치(707), 인터페이스 장치(708), 메모리(709), 프로세서(710) 및 전원(711) 등 부품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본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도 7에 도시된 단말의 구조가 단말에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에 도시된 구성 요소의 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일부 구성 요소의 조합이나 배치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단말기 및 계보계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무선 주파수 장치(701)는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지시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이다.
프로세서(710)는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에 대해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비트 정보는 비트 수 및/또는 비트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제2 지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DCI의 비트 수;
순환 잉여 검사(CRC) 비트 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인코딩된 PDCCH 비트의 스크램블링 ID;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제3 지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지시는,
상기 PDCCH의 검색 공간;
모니터링되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 후보 집합(PDCCH candidate)의 수 또는 부분 집합;
모니터링되는 집합 등급;
하향링크 제어 정보 포맷(DCI format);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은,
상기 제1 지시는 하나의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또는, 상기 제1 지시는 하나의 단말 그룹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PDCCH 중의 제1 비트 시퀀스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되고, 상기 제1 비트 시퀀스는 상기 DCI의 비트 중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 이외의 비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접근 제어-제어 요소(MAC-CE) 및 PDCCH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는,
상기 단말이 제1 불연속 수신(DRX)의 지속시간 동안에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 - 상기 제1 DRX의 지속시간 동안은 현재 DRX의 지속시간 동안이거나, 현재 시점 이후의 다음 M개 DRX의 지속시간 동안이며, M은 양의 정수임 - ;
상기 단말이 대역폭 부분(BWP) 전환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대상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수행해야 함 - 상기 대상은 셀 그룹 또는 반송파 그룹임 - ;
상기 단말이 미리 설정된 기간에서 PDCCH 모니터링을 정지해야 함 - 미리 설정된 기간은 다음 1개 DRX 지속시간이 시작되기 이전, 또는 다음 1개 주기의 PDCCH 검색 시간 윈도우 이전, 또는 현재의 DRX의 활성화 기간 동안으로 표현될 수 있음 - ;
상기 단말이 수신 안테나의 전환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 타임슬롯의 구성;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CSI)의 보고를 트리거해야 함;
상기 단말이 사운딩 기준 신호(SRS)의 송신을 트리거해야 함;
상기 단말이 추적 기준 신호(TRS)의 수신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기준 신호(CSI-RS)의 수신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BM 측정,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측정 및 무선 자원 관리(RRM)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해야 함;
뉴라디오 비면허 대역(NR-U)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점유 시간(COT)의 총 시간 길이, 나머지 시간 길이 및 채널 접근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
상향링크 수행을 위한 상기 단말의 물리적 채널 및/또는 물리적 신호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상기 단말이 상이한 DRX 구성 또는 검색 공간 구성을 활성화해야 함;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가 적어도 두 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 중의 비트 조합은 해당되는 단말이 제1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되,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에 해당되는 동작이고, 상기 비트 조합과 상기 단말은 일대일로 대응되거나, 또는 상기 비트 조합과 단말 그룹은 일대일로 대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이 검출해야 하는 비트 수 및 해당되는 비트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은 복잡도가 낮은 검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검출 알고리즘의 채널 평가, 검출 및 디코딩 등 복잡한 검출 프로세스를 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PDCCH의 수신 복잡도를 줄임으로써 검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701)는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통화 과정에 신호를 송수신하며, 구체적으로, 기지국의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710)에서 처리하고; 또한, 상향 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701)에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연결기, 저소음 증폭기, 이중화기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701)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702)을 통해 사용자를 위해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탐색, 스트리밍 미디어 액세스 등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오디오 출력 장치(703)는 무선 주파수 장치(701) 또는 네트워크 모듈(702)이 수신하거나 메모리(7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703)는 단말(700)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컨대 호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703)에는 스피커, 버저, 수화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
입력 장치(704)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입력 장치(704)에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7041)와 마이크로폰(7042)이 포함될 수 있고, 그래픽 처리 장치(70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컨대 카메라)가 획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706)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7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7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하거나 무선 주파수 장치(701) 또는 네트워크 모듈(702)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7042)은 소리를 수신하고 그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701)를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7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705)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광학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가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 센서에는 주변 조도 센서 및 근접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그중, 주변 조도 센서는 주변 조도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7061)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단말(700)이 귀 가까이 이동할 때 근접 센서가 디스플레이 패널(7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가속도계 센서는 동작 센서의 일종으로 모든 방향(보통 3축)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이 정지 상태일 때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의 자세 인식(예: 세로와 가로 사이의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보정), 진동 인식 관련 기능(보행계 및 두드리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705)에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자이로미터,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706)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706)는 디스플레이 패널(7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706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707)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주요 신호 입력을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707)에는 터치 패널(7071)과 기타 입력 장치(7072)가 포함된다. 터치 패널(7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말하며, 사용자가 그 위에서 또는 근처에서 진행하는 터치 동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등 임의의 적절한 물체 또는 부속품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7071) 위에서 또는 터치 패널(7071) 근처에서 진행하는 동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7071)에는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제어 장치 두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그중,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감지하고 터치 동작에 의한 신호를 감지하고, 이 신호를 터치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터치 제어 장치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터치 정보를 터치 포인트 좌표로 변환한 후 다시 프로세서(710)에 전송하고 프로세서(710)에서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식, 적외선 또는 표면 음파 등 다양한 형태로 터치 패널(7071)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707)는 터치 패널(7071) 외에도 기타 입력 장치(7072)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장치(7072)에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버튼(예를 들어 볼륨 조절 버튼, 전원 켜기/끄기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조이스틱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하며, 여기서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터치 패널(7071)은 디스플레이 패널(7061)의 위에 장착되어 터치 패널(7071)이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한 후 프로세서(710)로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 유형을 확정한다. 그런 다음, 프로세서(710)는 터치 이벤트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7061)에 해당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7에서 터치 패널(7071)과 디스플레이 패널(7061)은 두 개의 독립 부품으로 단말 장치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7071)과 디스플레이 패널(7061)을 통합하여 단말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바,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장치(708)는 외부 장치와 단말(700)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에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폰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포트, 식별 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708)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는 입력(예: 데이터 정보 또는 전력 등)을 수신하여 단말(700) 내부에 있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요소에 수신한 입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거나, 단말(700)과 외부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7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709)에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컨대 오디오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709)는 고속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드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710)는 단말의 제어 센터이며,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회로를 사용하여 단말의 모든 구성 요소에 연결된다. 메모리(7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운영 또는 실행하고 메모리(7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단말에 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프로세서(710)에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프로세서(710)에 통합할 수 있고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7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단말(700)에는 모든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711)(예컨대 배터리)이 포함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전원(7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710)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700)에는 표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단말은 프로세서(710), 메모리(709), 메모리(709)에 저장되고 프로세서(7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프로그램이 프로세서(7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송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측의 전송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거나, 또는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측 전송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갖는다’ 또는 다른 파생 용어는 비배타적 포함을 의도하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을 포함하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면,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의 본질적 부분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 방안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고, 단말 장치(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기지국 등)에 의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명령을 포함시켜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저장 매체(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시디롬)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의 구현에 있어서, 각 모듈, 유닛, 서브 유닛 또는 서브 모듈 등은 하나 또는 다수의 전용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장치(DSP Device, DSPD), 프로그래머블 로직 장치(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범용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그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구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능의 모듈(예컨대 과정, 함수 등)을 실행하는 것을 통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특정 실시예는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적일 뿐이며, 당업자는 본 발명의 목적 및 청구 범위에 따른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기반하여 다양한 변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23)

  1.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되는 전송 방법에 있어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지시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정보는 비트 수 및/또는 비트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또한 제2 지시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DCI의 비트 수;
    순환 잉여 검사(CRC) 비트 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인코딩된 PDCCH 비트의 스크램블링 식별자(ID);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또한 제3 지시를 포함하되, 상기 제3 지시는,
    상기 PDCCH의 검색 공간;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 후보 집합(PDCCH candidate)의 수 또는 부분 집합;
    집합 등급;
    하향링크 제어 정보 포맷(DCI format);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은,
    상기 제1 지시는 하나의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또는, 상기 제1 지시는 하나의 단말 그룹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DCCH 중의 제1 비트 시퀀스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되고, 상기 제1 비트 시퀀스는 상기 DCI의 비트 중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 이외의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접근 제어-제어 요소(MAC-CE) 및 PDCCH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는,
    상기 단말이 제1 불연속 수신(DRX)의 지속시간 동안에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 - 상기 제1 DRX의 지속시간 동안은 현재 DRX의 지속시간 동안이거나, 현재 시점 이후의 다음 M개 DRX의 지속시간 동안이며, M은 양의 정수임 - ;
    상기 단말이 대역폭 부분(BWP) 전환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대상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수행해야 함 - 상기 대상은 셀 그룹 또는 반송파 그룹임 - ;
    상기 단말이 미리 설정된 기간에서 PDCCH 모니터링을 정지해야 함;
    상기 단말이 수신 안테나의 전환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 그룹 타임슬롯의 구성;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CSI)의 보고를 트리거해야 함;
    상기 단말이 사운딩 기준 신호(SRS)의 송신을 트리거해야 함;
    상기 단말이 추적 기준 신호(TRS)의 수신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기준 신호(CSI-RS)의 수신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빔 관리(BM) 측정,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측정 및 무선 자원 관리(RRM)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해야 함;
    뉴라디오 비면허 대역(NR-U)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점유 시간(COT)의 총 시간 길이, 나머지 시간 길이 및 채널 접근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
    상향링크 수행을 위한 상기 단말의 물리적 채널 및/또는 물리적 신호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상기 단말이 상이한 DRX 구성 또는 검색 공간 구성을 활성화해야 함;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가 적어도 두 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 중의 비트 조합은 해당되는 단말이 제1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되,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에 해당되는 동작이고, 상기 비트 조합과 단말은 일대일로 대응되거나, 또는 상기 비트 조합과 단말 그룹은 일대일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0. 단말에 적용되는 전송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지시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임 - ;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에 대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정보는 비트 수 및/또는 비트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또한 제2 지시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DCI의 비트 수;
    순환 잉여 검사(CRC) 비트 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인코딩된 PDCCH 비트의 스크램블링 ID;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또한 제3 지시를 포함하되, 상기 제3 지시는,
    상기 PDCCH의 검색 공간;
    모니터링되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 후보 집합(PDCCH candidate)의 수 또는 부분 집합;
    모니터링되는 집합 등급;
    하향링크 제어 정보 포맷(DCI format);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은,
    상기 제1 지시는 하나의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또는, 상기 제1 지시는 하나의 단말 그룹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PDCCH 중의 제1 비트 시퀀스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되고, 상기 제1 비트 시퀀스는 상기 DCI의 비트 중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 이외의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시스템 정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매체 접근 제어-제어 요소(MAC-CE) 및 PDCCH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는,
    상기 단말이 제1 불연속 수신(DRX)의 지속시간 동안에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 - 상기 제1 DRX의 지속시간 동안은 현재 DRX의 지속시간 동안이거나, 현재 시점 이후의 다음 M개 DRX의 지속시간 동안이며, M은 양의 정수임 - ;
    상기 단말이 대역폭 부분(BWP) 전환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대상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수행해야 함 - 상기 대상은 셀 그룹 또는 반송파 그룹임 - ;
    상기 단말이 미리 설정된 기간에서 PDCCH 모니터링을 정지해야 함;
    상기 단말이 수신 안테나의 전환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 타임슬롯의 구성;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CSI)의 보고를 트리거해야 함;
    상기 단말이 사운딩 기준 신호(SRS)의 송신을 트리거해야 함;
    상기 단말이 추적 기준 신호(TRS)의 수신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기준 신호(CSI-RS)의 수신을 수행해야 함;
    상기 단말이 빔 관리(BM) 측정,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측정 및 무선 자원 관리(RRM) 측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해야 함;
    뉴라디오 비면허 대역(NR-U)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점유 시간(COT)의 총 시간 길이, 나머지 시간 길이 및 채널 접근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
    상향링크 수행을 위한 상기 단말의 물리적 채널 및/또는 물리적 신호의 송신 전력 제어 파라미터;
    상기 단말이 상이한 DRX 구성 또는 검색 공간 구성을 활성화해야 함;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가 적어도 두 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 중의 비트 조합은 해당되는 단말이 제1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되,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PDCCH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에 해당되는 동작이고, 상기 비트 조합과 단말은 일대일로 대응되거나, 또는 상기 비트 조합과 단말 그룹은 일대일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방법.
  19.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지시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0. 단말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에 의해 모니터링될 비트의 비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지시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의 적어도 하나의 비트임 - ;
    상기 모니터링될 비트에 대해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1.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전송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2. 단말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전송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3.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전송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거나, 또는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전송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
KR1020217033097A 2019-03-14 2020-03-10 전송 방법,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 KR202101371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193382.7 2019-03-14
CN201910193382.7A CN111262672B (zh) 2019-03-14 2019-03-14 传输方法、网络设备和终端
PCT/CN2020/078614 WO2020182124A1 (zh) 2019-03-14 2020-03-10 传输方法、网络设备和终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188A true KR20210137188A (ko) 2021-11-17

Family

ID=7095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3097A KR20210137188A (ko) 2019-03-14 2020-03-10 전송 방법,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985526B2 (ko)
EP (1) EP3940983A4 (ko)
JP (1) JP7278404B2 (ko)
KR (1) KR20210137188A (ko)
CN (1) CN111262672B (ko)
BR (1) BR112021018101A2 (ko)
SG (1) SG11202110107XA (ko)
WO (1) WO20201821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9728A (zh) * 2020-06-24 2021-12-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Dci检测方法、发送方法及相关设备
CN114501489A (zh) * 2020-11-12 2022-05-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节能指示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4696970A (zh) * 2020-12-25 2022-07-01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指示物理下行共享信道监听方法及装置、介质
US20240049249A1 (en) * 2022-08-02 2024-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port for a decoding outcome of a dci forma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269A (ko) 2008-01-29 2009-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dcch 검색 방법
CN111030792B (zh) 2012-03-19 2022-04-08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配置下行控制信道的搜索空间的方法及设备
US10021677B2 (en) 2014-10-31 2018-07-10 Qualcomm Incorporated Two-stage PDCCH with DCI flag and DCI format size indicator
KR102628203B1 (ko) 2016-01-07 2024-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향링크 송신에 대한 하향링크 응답을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722239A (zh) * 2016-02-05 2016-06-2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调度指令的检测方法和终端
US10231228B2 (en) 2016-09-23 2019-03-12 Mediatek Inc. Methods of two-stage scheduling in downlink control channel
CN107872883B (zh) * 2016-09-26 2020-02-1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指示、确定下行控制信息格式的方法及装置
CN106792792B (zh) * 2016-09-30 2019-01-2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基站、用户终端及其下行数据控制方法及装置
CN108632961B (zh) * 2017-03-24 2022-08-1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寻呼信息的接收方法及装置
CN109286966B (zh) * 2017-07-21 2020-08-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寻呼方法、终端、网络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392133B (zh) * 2017-08-11 2022-12-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方法及装置
CN109392136B (zh) * 2017-08-11 2022-04-0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时域资源的确定、配置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US10638507B2 (en) * 2017-11-16 2020-04-28 Sharp Kabushiki Kaisha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1018101A2 (pt) 2021-11-23
EP3940983A4 (en) 2022-05-18
SG11202110107XA (en) 2021-10-28
EP3940983A1 (en) 2022-01-19
CN111262672B (zh) 2021-11-02
US11985526B2 (en) 2024-05-14
JP7278404B2 (ja) 2023-05-19
US20220022070A1 (en) 2022-01-20
WO2020182124A1 (zh) 2020-09-17
JP2022524875A (ja) 2022-05-10
CN111262672A (zh)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67091B (zh) 下行信道的接收方法、发送方法、终端和基站
CN110474724B (zh) 一种tci状态指示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0351850B (zh) 信道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EP3927002A1 (en) Measurement processing method, parameter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KR20210137188A (ko) 전송 방법, 네트워크 장치 및 단말
CN110035505B (zh) 半静态srs资源指示、处理方法、网络侧设备、用户终端
EP3952408A1 (en) Radio link monitoring method, terminal, base station and storage medium
US11452081B2 (en) Spatial relationship determinat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KR20210146379A (ko) Ssb 전송 지시 방법, 장치, 단말, 장비 및 매체
CN110035506B (zh) 一种通信方法及相关设备
WO2019095917A1 (zh) 时隙格式指示检测方法、配置方法及装置
CN110034872B (zh) 资源与qcl的关联关系指示方法、确定方法及相关设备
CN110011766B (zh) 波束失败检测方法、终端及网络设备
US11736327B2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CN110149185B (zh) Csi资源类型的确定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110035500B (zh) 通信方法及相关设备
KR20210114500A (ko) Pucch의 송신 방법, 수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장치
JP7325539B2 (ja) 情報決定方法及びユーザ機器
CN110381584B (zh) 随机接入资源的配置方法、获取方法、网络侧设备及终端
CN110740024A (zh) 一种csi上报方法、终端及网络设备
KR102674035B1 (ko) Srs 자원 구성 방법, bwp 전환 처리 방법 및 관련 장비
US20240196347A1 (en) Measurement processing method, parameter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CN111065149A (zh) 系统消息获取方法、装置、用户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