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721A -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721A
KR20210136721A KR1020200055380A KR20200055380A KR20210136721A KR 20210136721 A KR20210136721 A KR 20210136721A KR 1020200055380 A KR1020200055380 A KR 1020200055380A KR 20200055380 A KR20200055380 A KR 20200055380A KR 20210136721 A KR20210136721 A KR 20210136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ter
washing machine
pcb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8167B1 (ko
Inventor
홍영문
Original Assignee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5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167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2Bolts having movab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1a)와 커버(1b)를 갖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모터(3) 및 기어(5)와, 상기 모터 및 기어의 동작에 의해 일방향(순방향) 혹은 타방향(역방향)으로 전ㆍ후진으로 슬라이딩 되는 잠금돌기(13)를 구비하여 세탁기에 마련된 도어를 잠그는 잠금수단(10)과, 상기 잠금수단의 슬라이딩 정도를 감지하는 제1 접촉단자(33) 및 제2 접촉단자(35)와 접지단자(31)를 갖는 감지수단(30)이 포함된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모터(3) 및 감지수단(30) 각각과 전선없이 일체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Lid Lock PCB(Lid Lock Printed Circuit Board, 100)와; 세탁행정 중에 상기 하우징(1) 내부로 침투한 세탁수가 상기 Lid Lock PCB(100)에 침투되지 않으면서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케이스(1a) 및 커버(1b)에 구성된 물빠짐수단(200)과; 상기 모터(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잠금수단(10)의 잠금돌기(13)가 전ㆍ후진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잠금수단(10)의 하면에 형성된 하트캠(310)과, 일측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트캠(310)과 체결되고, 타측은 플레이트스프링(plate spring, 330)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탄성 결합된 가이드핀(320)과, 상기 잠금수단(10)의 슬라이딩 이동시 스프링력이 가해져 상기 잠금수단(10)의 이동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하우징 내로 인입된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일측은 상기 잠금수단(10)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1a)에 고정 설치된 리턴스프링(340)이 각각 구비된 잠금수단이동부(300)와;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Lid Lock PCB(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에 장착된 자석과의 접근에 따라 ON/OFF 동작하여 상기 Lid Lock PCB(100)로 ON/OFF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리드스위치(reed switch, 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Washer door locker with water pass through device}
본 발명은 세탁기의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 단자 및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전부를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일체로 연결시켜 구조를 단순화하고, 세탁행정 중에 하우징 내부로 침투한 세탁수 및 결로 현상으로 발생한 물방울이 전자부품에 침투하지 않으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물빠짐수단이 구비된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옷에 묻은 때나 더러운 물질을 비누나 세제의 작용과 기계적인 힘으로 때 빼기ㆍ헹구기ㆍ물기 빼기ㆍ말리기 등을 기계의 힘으로 하는 장치이다. 세탁기의 기계적 힘은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및 저장수단 등을 갖는 제어부에 사전에 설정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프로그램화된 일련의 행정을 거쳐 세탁물이 전자동으로 세탁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 세탁기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수조와, 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탈수 기능을 수행하는 천공된 회전조와, 회전조의 저부에 배치되어 정ㆍ역회전으로 제어되는 모터를 갖는 구동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의 상부에는 세탁물을 넣고 꺼낼 수 있는 투입구와, 투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한 잠금장치를 갖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그 일례로,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6951호(2013. 02. 19)에는 세탁기의 본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기어와; 상기 기어의 회전시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상기 기어와 결합한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의 슬라이딩으로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된 뒤 상기 세탁기의 도어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잠금돌기와, 슬라이딩안내부를 구비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안내부와 접촉하여 상기 잠금수단의 슬라이딩 정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는‘세탁기 도어 잠금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제안된 기술은 상기 모터 및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이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 인하여 하우징 내에 전선 배선이 복잡하여 구조가 불필요하게 복잡함에 따라 조립 및 분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위치 즉, 세탁기의 수조 상방에 위치한 투입구에 설치됨에 따라 세탁행정 중에 도어 잠금장치의 내부로 세탁수가 침투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전자부품의 오동작 및 고장을 초래하고 도어 잠금장치의 수명은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내부에는 침투된 세탁수 이외에도 결로현상으로 물방울이 맺히게 되는데 도어 잠금장치의 오동작 방지 및 수명 연장을 위해서는 이러한 세탁수 및 물방울을 전자 부품에 침투시키지 않으면서 외부로 배출시킬 필요성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 중에 별다른 주의 없이도 세탁기의 도어가 진동 등에 의해 쉽게 개방되어 어린이를 포함한 예기치 못한 사용자 안전사고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최근에 개발된 수조에 저장된 세탁수를 전기히터를 통해 세탁물을 삶는 방식인 경우, 세탁이 진행 중에 도어가 갑자기 개방될 경우 뜨거운 수증기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왔는데 상기 제안된 기술은 별다른 도어의 개폐감지 수단 없이 제어부의 프로그램만으로 세탁기의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관계로, 자체결함이나 사용자취급부주의, 하절기 천둥번개를 동반한 뇌서어지(Lightning surge) 유입, 주변 자기장, 전기장 등에 의해 설정된 프로그램에 오류가 발생하여 세탁기 동작 중에 도어가 개방되거나 세탁 후 도어가 열리지 않는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 단자 및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전부를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일체로 연결시켜 구조를 단순화하고, 세탁행정 중에 하우징 내부로 침투한 세탁수 및 결로 현상으로 발생한 물방울이 전자부품에 침투하지 않으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물빠짐수단이 구비되며, 리드스위치(reed switch)를 통해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함으로써, 부품가격 및 고장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세탁기를 이용할 수 있는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케이스(1a)와 커버(1b)를 갖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모터(3) 및 기어(5)와, 상기 모터 및 기어의 동작에 의해 일방향(순방향) 혹은 타방향(역방향)으로 전ㆍ후진으로 슬라이딩 되는 잠금돌기(13)를 구비하여 세탁기에 마련된 도어를 잠그는 잠금수단(10)과, 상기 잠금수단의 슬라이딩 정도를 감지하는 제1 접촉단자(33) 및 제2 접촉단자(35)와 접지단자(31)를 갖는 감지수단(30)이 포함된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모터(3) 및 감지수단(30) 각각과 전선없이 일체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Lid Lock PCB(Lid Lock Printed Circuit Board, 100)와; 세탁행정 중에 상기 하우징(1) 내부로 침투한 세탁수가 상기 Lid Lock PCB(100)에 침투되지 않으면서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케이스(1a) 및 커버(1b)에 구성된 물빠짐수단(200)과; 상기 모터(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잠금수단(10)의 잠금돌기(13)가 전ㆍ후진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잠금수단(10)의 하면에 형성된 하트캠(310)과, 일측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트캠(310)과 체결되고, 타측은 플레이트스프링(plate spring, 330)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탄성 결합된 가이드핀(320)과, 상기 잠금수단(10)의 슬라이딩 이동시 스프링력이 가해져 상기 잠금수단(10)의 이동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하우징 내로 인입된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일측은 상기 잠금수단(10)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1a)에 고정 설치된 리턴스프링(340)이 각각 구비된 잠금수단이동부(300)와;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Lid Lock PCB(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에 장착된 자석과의 접근에 따라 ON/OFF 동작하여 상기 Lid Lock PCB(100)로 ON/OFF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리드스위치(reed switch, 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Lid Lock PCB(Lid Lock Printed Circuit Board, 100)는, 상기 세탁기에 기설치된 전원공급수단 및 제어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1)의 외부로 노출된 커넥터(connector, 11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빠짐수단(200)은, 상기 하우징(1)의 케이스(1a)에 형성된 잠금돌기인입출구(201)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침투한 세탁수가 상기 모터(3), 기어(5) 및 Lid Lock PCB(100)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하방으로 이동되게 유도하도록 상기 케이스(1a) 및 커버(1b) 각각의 내부에 형성된 물길유도턱(210)과, 상기 물길유도턱(210)을 통해 하방으로 이동된 세탁수가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1a)의 하방에 형성된 다수의 케이스배출구(220)와, 상기 물길유도턱(210)을 통해 하방으로 이동된 세탁수가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커버(1b)의 하방에 형성된 커버배출구(230)와, 침투한 세탁수 및 결로 현상으로 상기 모터(3)의 주위에 맺힌 물방울이 상기 케이스배출구(220)로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스(1a)에 형성된 모터고정턱(202)의 하방 일부에 개방되어 형성된 모터배출로(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빠짐수단(200)은, 침투한 세탁수 및 결로 현상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맺힌 물방울이 상기 Lid Lock PCB(100)로 침투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1a) 및 커버(1b) 각각의 내부에 형성되고, 물방울이 상기 Lid Lock PCB(100)로 침투되지 않으면서 하우징의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경사부(251)가 형성된 PCB물막이턱(2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배출구(220)는, 상기 PCB물막이턱(250)의 경사부(251)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하방으로 이동된 물방울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PCB물막이턱(250)의 하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빠짐수단(200)은, 상기 하우징(1)의 잠금돌기인입출구(201) 이외의 다른 부분으로 세탁수가 침투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1a) 및 커버(1b) 각각의 테두리에 형성된 침투방지턱(2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첫째 모터, 단자 및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전부를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일체로 연결시켜 구조를 단순화 함으로써, 전선으로 각 전자부품을 연결한 종래의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보다 소형화 시켜 부품가격을 줄일 수 있고, 쉽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 세탁행정 중에 하우징 내부로 침투한 세탁수 및 결로 현상으로 발생한 물방울이 전자부품에 침투하지 않으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물빠짐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전자부품의 오동작 및 고장발생을 줄여 도어 잠금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리드스위치(reed switch)를 통해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함으로써, 도어 개폐여부의 감지에 따라 세탁기의 자체결함이나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에 하절기 뇌서어지(Lightning surge) 유입이나 주변 자기장, 전기장에 의한 프로그램 오류 발생으로부터 세탁기의 도어를 안정적으로 개폐감지가 가능하여, 세탁기 동작 중에 도어가 개방되거나 세탁 후 도어가 열리지 않는 등의 세탁 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연계한 종래 기술의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전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연계한 종래 기술의 감지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연계한 종래 기술의 잠금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의 내부가 보이도록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실시예 중 하우징의 케이스에 결합된 구성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실시예 중 Lid Lock PCB에 일체로 연결된 모터, 감지수단 및 리드스위치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도 5의 실시예 중 물빠짐수단의 각 세부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실시예 중 케이스배출구가 보이도록 하우징의 케이스를 나타낸 사진
도 9는 도 7의 실시예 중 커버배출구가 보이도록 하우징의 커버를 나타낸 사진
도 10은 도 5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잠금수단이동부의 각 세부구성이 보이도록 하우징으로부터 잠금수단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진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잠금수단에 구비된 잠금돌기의 언락(Unlock), 오버트래블(Overtravel) 및 락(Lock) 각각의 위치에 따른 하트캠 및 가이드핀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전술한 배경기술에서 언급된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공고 된 바 있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에 포함된 기술적 구성의 일부가 포함된다는 점을 사전에 밝혀 둔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는 하우징(1)과, 모터(3)와, 기어(5)와, 잠금수단(10)과, 감지수단(30)을 포함한다.
하우징(1)은 세탁기의 본체에 설치되며, 내부에 모터(3)와 기어(5)와 잠금수단(10)과 감지수단(30)을 수용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케이스(1a)와 커버(1b)가 구비된다. 모터(3)는 하우징(1)에 설치되어 작동되고, 기어(5)는 모터(3)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1)에 설치됨에 따라 모터(3)가 동작하면 기어(5)도 회전을 한다. 이때, 상기 모터(3)의 출력축에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5)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베벨기어 방식의 출력기어(4)가 결합된다.
잠금수단(10)은 기어(5)의 회전시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기어(5)와 결합되고, 슬라이딩을 하여 하우징(1)에서 돌출되면 세탁기의 도어를 잠그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잠금수단(10)은 랙기어(11)와, 잠금돌기(13)와, 슬라이딩안내부(15)를 구비한다. 랙기어(11)는 기어(5)의 회전시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기어(5)와 맞물림 결합을 하여 기어(5)의 정역 회전에 따라 잠금수단(10)은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을 한다. 잠금돌기(13)는 랙기어(11)의 슬라이딩으로 하우징(1)에서 돌출(혹은 인출)된 뒤 세탁기 도어에 삽입되어 도어를 잠근다. 즉 기어(5)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잠금돌기(13)가 후진하면 잠금돌기(13)는 하우징(1)의 내부에 수용(혹은 인입)되고 이때에는 세탁기의 도어를 열 수 있다. 그러나 기어(5)가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잠금돌기(13)가 전진하면 잠금돌기(13)는 하우징(1)의 외부로 돌출되어 세탁기 도어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에는 세탁기의 도어를 열 수 없다. 물론 이 경우 세탁기 도어에는 잠금돌기(13)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슬라이딩안내부(15)는 잠금수단(10)의 슬라이딩 정도의 정보를 감지수단(3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슬라이딩안내부(15)는 제1 돌기(17)와 제2 돌기(19)를 구비한다. 제1 돌기(17)는 잠금수단(10)이 슬라이딩을 하는 방향으로 돌기되어 있고 전방에 제1 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홈(18)은 잠금돌기(13)가 하우징(1)에 삽입된 정보를 감지수단(3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돌기(19)는 제1 돌기(17)와 나란하도록 돌기되어 있고 후방에 제2 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홈(20)은 잠금돌기(13)가 하우징(1)에서 돌출된 정보를 감지수단(3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4, 5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안내부(15) 및 감지수단(30)을 통하여 상기 잠금돌기(13)의 언락(Unlock), 오버트래블(Overtravel) 및 락(Lock) 상태를 각각 감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안내부(15)의 제1 돌기(17), 제2 돌기(19), 제1 홈(18) 및 제2 홈(20) 각각의 형성 위치가 도 3에 도시된 위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상기 하우징(1)의 소형화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안내부(15)는 잠금수단(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감지수단(30)은 모터(3)를 제어하기 위하여 잠금수단(10)의 슬라이딩 정도를 감지한다. 이를 위하여 감지수단(30)은 접지단자(31)와, 제1 접촉단자(33)와, 제2 접촉단자(35)를 구비한다. 접지단자(31)는 슬라이딩안내부(15)의 상단에 위치한다. 제1 접촉단자(33)는 잠금돌기(13)가 하우징(1)의 내부에 삽입된 것을 감지한다. 이를 위하여 제1 접촉단자(33)는 제1 감지돌기(32)가 형성되어 제1 감지돌기(32)가 제1 홈(18)을 지날 때만 제1 접촉단자(33)가 접지단자(31)와 접촉하도록 제1 접촉단자(33)는 제1 돌기(17)의 상단에 위치한다. 즉 제1 접촉단자(33)에는 제1 감지돌기(32)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돌기(17)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때 잠금돌기(13)가 하우징(1)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면 제1 감지돌기(32)가 제1 홈(18)에 삽입되어 제1 접촉단자(33)는 접지단자(31)와 접촉한다. 그러나 모터(3)에 의하여 기어(5)가 회전하여 잠금돌기(13)가 하우징(1)에서 돌출되면 슬라이딩안내부(15)의 제1 돌기(17)가 슬라이딩을 하여 제1 감지돌기(32)가 제1 돌기(17)의 상부에 위치한다. 그러면 제1 접촉단자(33)는 접지단자(31)와 떨어지게 된다. 제2 접촉단자(35)는 잠금돌기(13)가 하우징(1)에서 돌출되어 세탁기의 도어에 삽입된 것을 감지한다. 이를 위하여 제2 접촉단자(35)는 제2 감지돌기(34)가 형성되어 제2 감지돌기(34)가 제2 홈(20)을 지날 때만 제2 접촉단자(35)가 접지단자(31)와 접촉하도록 제2 접촉단자(35)는 제2돌기(18)의 상단에 위치한다. 즉 제2 접촉단자(33)에는 제2 감지돌기(34)가 형성되어 있고 제2 돌기(18)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때 잠금돌기(13)가 하우징(1)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면 제2 감지돌기(32)가 제2 돌기(19)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제2 접촉단자(35)는 접지단자(31)와 떨어져 있다. 그러나 모터(3)에 의하여 기어(5)가 회전하여 잠금돌기(13)가 세탁기 도어에 삽입되면 슬라이딩안내부(15)의 제2 돌기(18)가 슬라이딩을 하여 제2 홈(20)의 내부에 제2 감지돌기(34)가 삽입된다. 그러면 제2 접촉단자(35)는 접지단자(32)와 접촉을 한다. 제2 접촉단자(35)와 접지단자(32)의 접촉에 의하여 잠금돌기(13)가 세탁기 도어에 삽입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4, 5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수단(30)은 상기 슬라이딩안내부(15)의 제1 돌기(17), 제2 돌기(19), 제1 홈(18) 및 제2 홈(20) 각각의 형성 위치가 잠금수단(10)의 측면에 형성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딩안내부(15)를 향하도록 측방으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잠금돌기(13)의 언락(Unlock), 오버트래블(Overtravel) 및 락(Lock) 상태를 각각 감지시 감지신호의 차이를 위하여 언락(Unlock)인 경우 제1 접촉단자(33)가 접지단자(31)와 접촉하고, 오버트래블(Overtravel)인 경우 제2 접촉단자(35)가 접지단자(31)와 접촉하며, 락(Lock)인 경우 제1 접촉단자(33) 및 제2 접촉단자(35) 각각이 접지단자(31)와 접촉되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는 배경기술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 및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이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 인하여 하우징 내에 전선 배선이 복잡하여 구조가 불필요하게 복잡함에 따라 조립 및 분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위치 즉, 세탁기의 수조 상방에 위치한 투입구에 설치됨에 따라 세탁행정 중에 도어 잠금장치의 내부로 세탁수가 침투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전자부품의 오동작 및 고장을 초래하고 도어 잠금장치의 수명은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 잠금장치의 내부에는 침투된 세탁수 이외에도 결로현상으로 물방울이 맺히게 되는데 도어 잠금장치의 오동작 방지 및 수명 연장을 위해서는 이러한 세탁수 및 물방울을 전자 부품에 침투시키지 않으면서 외부로 배출시킬 필요성이 있다.
또한, 랙 및 피니언 기어(Rack and Pinion Gear) 방식으로 상기 잠금돌기가 인입출 동작함으로 인하여 상기 모터의 양방향 회전(혹은 정역회전)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므로 모터의 사양 및 프로그램의 설치로 불필요하게 전력을 소모시키고, 부품가격의 상승을 초래하며, 복잡한 양방향 회전 제어로 오작동으로 인한 고장 및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의 개폐 여부와 상관없이 사용자가 명령을 전달하는 터치패드 혹은 동작버튼과 세탁기 제어부(혹은 제어기판)의 프로그램에 의해서만 세탁기의 도어를 개폐할 수가 있어, 세탁기의 자체결함이나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에 하절기 뇌서어지(Lightning surge)의 유입이나 주변 자기장, 전기장에 의해 프로그램 오류가 발생하여 세탁기 동작 중에 도어가 개방되거나 세탁 후 도어가 열리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위에서 언급된 기술적 구성수단에 모터, 단자 및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전부를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일체로 연결시켜 구조를 단순화하고, 세탁행정 중에 하우징 내부로 침투한 세탁수 및 결로 현상으로 발생한 물방울이 전자부품에 침투하지 않으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물빠짐수단이 구비되며, 리드스위치(reed switch)를 통해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함으로써, 부품가격 및 고장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세탁기를 이용할 수 있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에 대한 핵심 기술적 구성은, 도 4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기술적 구성 외에 Lid Lock PCB(Lid Lock Printed Circuit Board, 100), 물빠짐수단(200), 잠금수단이동부(300) 및 리드스위치(reed switch, 400)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모터(3)는 종래의 양방향 회전되는 모터의 제어방식과 달리 후술할 Lid Lock PCB(Lid Lock Printed Circuit Board, 100) 및 세탁기에 기설치된 제어판의 제어에 따라 일방향으로만 회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는 후술할 잠금수단이동부(300)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Lid Lock PCB(Lid Lock Printed Circuit Board, 100)는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3) 및 감지수단(30) 각각과 노출되는 전선없이 일체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세탁기에 기설치된 전원공급수단 및 제어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1)의 외부로 노출된 커넥터(connector, 11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Lid Lock PCB(Lid Lock Printed Circuit Board, 100)는 상기 제어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수단(30)의 감지값과 후술할 리드스위치의 ON/OFF 동작신호를 상기 제어기판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기판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면서 상기 모터의 회전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모터의 회전 제어는 후술할 잠금수단이동부(300)의 하트캠(310) 방식에 의하여 일방향으로의 회전 제어만으로 상기 잠금수단의 전ㆍ후진으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 잠금장치에 적용된 모터 양방향 제어방식에 비해 제어 프로그램을 간소화시켜 전력소모, 부품가격 및 고장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상기 Lid Lock PCB(Lid Lock Printed Circuit Board, 100)는 모터, 감지수단의 단자,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전부를 전선없이 일체로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구조를 단순화 함으로써, 전선으로 각 전자부품을 연결한 종래의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보다 크기 및 부품수를 소형화 시켜 부품가격을 줄일 수 있고, 쉽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즉, 종래의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는 모터(3) 및 감지수단(30) 각각을 노출된 전선을 통해 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한 제어부(혹은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 인하여 하우징 내에 모터(3) 및 감지수단(30), PCB를 각각 고정시킬 공간이 성형되어야 하고, 전선 배선을 위한 공간 역시 성형되어야 하므로 하우징의 성형비용을 상승시키고 소형화를 하는데 애로사항이 있고, 조립 및 분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상기 Lid Lock PCB(Lid Lock Printed Circuit Board, 100)에 전자부품 전부를 전선없이 일체로 연결시켜 모듈화한 것으로써, 하우징 내에 고정시킬 공간을 불필요하게 구획할 필요가 없어 크기 및 부품수를 소형화 시킬 수 있어 부품가격을 줄이고, 전자부품이 모듈화됨에 따라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물빠짐수단(200)은 도 4, 5 및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행정 중에 상기 하우징(1) 내부로 침투한 세탁수가 상기 Lid Lock PCB(100)에 침투되지 않으면서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케이스(1a) 및 커버(1b)에 각각 구성되고, 이를 위해 물길유도턱(210), 케이스배출구(220), 커버배출구(230), 모터배출로(240), PCB물막이턱(250) 및 침투방지턱(260)을 포함하고, 세탁수 이외에도 하우징 내외부 온도차 및 습기차에 의한 결로 현상으로 인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물방울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물빠짐수단(200)을 구성시킨 이유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위치 즉, 세탁기의 수조 상방에 위치한 투입구에 설치됨에 따라 세탁행정 중에 도어 잠금장치의 내부로 세탁수가 침투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전자부품의 오동작 및 고장을 초래하고 도어 잠금장치의 수명은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침투된 세탁수 이외에도 결로현상으로 물방울이 맺히게 되는데 도어 잠금장치의 오동작 방지 및 수명 연장을 위해서는 이러한 세탁수 및 물방울을 전자 부품에 침투시키지 않으면서 외부로 배출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길유도턱(210)은 상기 하우징(1)의 케이스(1a)에 형성된 잠금돌기인입출구(201)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침투한 세탁수가 상기 모터(3), 기어(5) 및 Lid Lock PCB(100)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하방으로 이동되게 유도하도록 상기 케이스(1a) 및 커버(1b) 각각의 내부에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이 세탁기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잠금동작하도록 상기 투입구에 설치되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돌기인입출구(201)가 측면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상기 잠금돌기인입출구(201)를 통해 침투한 세탁수가 전자부품이 설치된 방향으로 향하지 않고 상기 케이스배출구(220) 및 커버배출구(230)가 형성된 하우징의 하방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물길유도턱(210)을 형성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배출구(220)는 상기 물길유도턱(210)을 통해 하방으로 이동된 세탁수가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1a)의 하방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배출구(230)는 상기 물길유도턱(210)을 통해 하방으로 이동된 세탁수가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커버(1b)의 하방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배출구(220) 및 커버배출구(230)를 통한 세탁수 및 물방울의 배출은 중력에 의해 자연히 배출되거나, 세탁기의 탈수과정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중력과 함께 진동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배출로(240)는 침투한 세탁수 및 결로 현상으로 상기 모터(3)의 주위에 맺힌 물방울이 상기 케이스배출구(220)로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스(1a)에 형성된 모터고정턱(202)의 하방 일부에 개방되어 형성된다. 즉, 금속재질의 모터표면은 결로 현상으로 물방울이 맺히기 쉽기 때문에 발생한 물방울이 상기 케이스배출구(220)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배출로(240)을 형성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PCB물막이턱(250)은 침투한 세탁수 및 결로 현상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맺힌 물방울이 상기 Lid Lock PCB(100)로 침투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1a) 및 커버(1b) 각각의 내부에 형성되고, 물방울이 상기 Lid Lock PCB(100)로 침투되지 않으면서 하우징의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경사부(251)가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부(251)는 돌출된 턱의 가장자리에 물길이 형성되도록 내측으로 경사진 것이다. 이때, 상기 경사부(251)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하방으로 이동된 물방울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상기 케이스배출구(22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PCB물막이턱(250)의 하방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침투방지턱(260)은 상기 하우징(1)의 잠금돌기인입출구(201) 이외의 다른 부분으로 세탁수가 침투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1a) 및 커버(1b) 각각의 테두리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1a) 및 커버(1b) 각각에 형성되어 이중턱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침투방지턱(260)이 형성된 부분으로는 세탁수가 침투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잠금수단이동부(300)는 도 3, 4,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잠금수단(10)의 잠금돌기(13)가 전ㆍ후진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잠금수단(10)의 하면에 형성된 하트캠(310)과, 일측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트캠(310)과 체결되고, 타측은 플레이트스프링(plate spring, 330)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탄성 결합된 가이드핀(320)과, 상기 잠금수단(10)의 슬라이딩 이동시 스프링력이 가해져 상기 잠금수단(10)의 이동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하우징 내로 인입된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일측은 상기 잠금수단(10)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1a)에 고정 설치된 리턴스프링(340)이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하트캠(310)은 상기 잠금수단(10)의 하면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핀(3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잠금돌기(13)가 전ㆍ후진으로 왕복하여 이동하도록 중앙에 하트 형상의 캠돌기(311)가 형성되고, 상기 캠돌기(311)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가이드핀(320)의 일측이 이동하는 가이드홈(312)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312)의 후방에는 가이드돌기(313)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12)은 상기 모터(3)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핀(320)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동방향으로 복수의 층으로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핀(320)은 상기 플레이트스프링에 의해 타측이 탄성 결합함에 따라 타측을 회전축으로 좌우방향으로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하방향으로 스프링력이 작용되므로 일측이 상기 하트캠(310)의 캠돌기(311), 가이드홈(312) 및 가이드돌기(313)로 스프링력이 작용한 상태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캠돌기(311)는 상기 잠금수단(10)의 잠금돌기(13)가 락(Lock)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가이드홈(312) 및 가이드돌기(313)는 상기 잠금수단(10)의 잠금돌기(13)가 언락(Unlock) 위치, 오버트래블(Overtravel) 위치 및 락(Lock) 위치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모터(3)를 일방향 즉, 상기 잠금돌기(13)의 인출 방향으로 일정시간 동안 회전 제어만으로 상기 잠금수단(10)의 잠금돌기(13)가 출력기어(4), 기어(5) 및 랙기어(11)에 의해 인출되다가 상기 하트캠(310) 및 가이드핀(320) 간의 결합관계와 상기 리턴스프링(340)을 통해서 스프링력이 작용하면서 상기 잠금돌기(13)가 언락(Unlock), 오버트래블(Overtravel) 또는 락(Lock) 위치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돌기(13)의 언락(Unlock) 위치는 상기 하우징(1)에 인입된 상태이고, 락(Lock) 위치는 상기 하우징(1)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도어에 마련된 걸림홈에 잠금 동작되는 상태이며, 오버트래블(Overtravel)은 언락(Unlock) 위치 및 락(Lock) 위치 간에 위치 변경이 발생할 경우 일시적인 중간 위치로서 상기 락(Lock) 위치보다 더 인출된 다음 언락(Unlock) 또는 락(Lock)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다. 즉, 세탁기 도어가 정상적으로 닫히지 않았을 경우 잠금돌기(13)가 락(Lock) 구간을 벗어나서 필요 이상의 전진 시의 구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리턴스프링(200)을 구성시킨 이유는 상기 잠금수단(10)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잠금수단(10)에 탄성복원력을 작용시켜 상기 잠금돌기(13)가 상기 하트캠(310) 및 가이드핀(320) 간의 결합관계에 따라 언락(Unlock), 오버트래블(Overtravel) 또는 락(Lock) 위치에 각각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으로, 락(Lock) 위치보다 더 인출된 오버트래블(Overtravel) 위치에서 언락(Unlock) 또는 락(Lock) 위치로 스프링력으로 용이하게 변경시키기 위함이다.
더하여, 도 11은 상기 잠금수단에 구비된 잠금돌기의 언락(Unlock), 오버트래블(Overtravel) 및 락(Lock) 각각의 위치에 따른 하트캠 및 가이드핀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리드스위치(reed switch, 400)는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Lid Lock PCB(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에 장착된 자석과의 접근에 따라 ON/OFF 동작하여 상기 Lid Lock PCB(100)로 ON/OFF 동작신호를 송신한다.
리드스위치(reed switch)란 리드센서(reed senor)라고도 불리며, 유리관 속에 밀봉된 2개의 자성 리드 조각이 보통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가 자석을 접근시키면 2개의 리드 조각을 통하여 자기회로가 되어 2개의 리드가 끌어당겨져 접점을 닫게된다. 반대로 자석을 멀리하면 다시 탄성으로 인해서 원래의 개방 상태로 돌아가는 스위칭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세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도록 잠금장치에 리드스위치가 설치되고, 자석은 도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리드스위치(400)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도어가 정상적으로 닫혀 ON 동작할 경우 상기 Lid Lock PCB(100) 및 제어기판으로 ON 동작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Lid Lock PCB(100) 및 제어기판의 제어에 따라 세탁행정 프로그램이 수행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거나 비정상적으로 닫혀 OFF 동작할 경우 상기 Lid Lock PCB(100) 및 제어기판으로 OFF 동작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Lid Lock PCB(100) 및 제어기판의 제어에 따라 세탁행정 프로그램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첫째 모터, 단자 및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전부를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일체로 연결시켜 구조를 단순화 함으로써, 전선으로 각 전자부품을 연결한 종래의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보다 소형화 시켜 부품가격을 줄일 수 있고, 쉽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 세탁행정 중에 하우징 내부로 침투한 세탁수 및 결로 현상으로 발생한 물방울이 전자부품에 침투하지 않으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물빠짐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전자부품의 오동작 및 고장발생을 줄여 도어 잠금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리드스위치(reed switch)를 통해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함으로써, 도어 개폐여부의 감지에 따라 세탁기의 자체결함이나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에 하절기 뇌서어지(Lightning surge) 유입이나 주변 자기장, 전기장에 의한 프로그램 오류 발생으로부터 세탁기의 도어를 안정적으로 개폐감지가 가능하여, 세탁기 동작 중에 도어가 개방되거나 세탁 후 도어가 열리지 않는 등의 세탁 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하우징 3 : 모터
5 : 기어 10 : 잠금수단
13 : 잠금돌기 30 : 감지수단
33 : 제1 접촉단자 35 : 제2 접촉단자
100 : Lid Lock PCB(Lid Lock Printed Circuit Board)
110 : 커넥터 200 : 물빠짐수단
210 : 물길유도턱 220 : 케이스배출구
230 : 커버배출구 240 : 모터배출로
250 : PCB물막이턱 260 : 침투방지턱
300 : 잠금수단이동부 310 : 하트캠
320 : 가이드핀 330 : 플레이트스프링
340 : 리턴스프링 400 : 리드스위치

Claims (5)

  1. 케이스(1a)와 커버(1b)를 갖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모터(3) 및 기어(5)와, 상기 모터 및 기어의 동작에 의해 일방향(순방향) 혹은 타방향(역방향)으로 전ㆍ후진으로 슬라이딩 되는 잠금돌기(13)를 구비하여 세탁기에 마련된 도어를 잠그는 잠금수단(10)과, 상기 잠금수단의 슬라이딩 정도를 감지하는 제1 접촉단자(33) 및 제2 접촉단자(35)와 접지단자(31)를 갖는 감지수단(30)이 포함된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모터(3) 및 감지수단(30) 각각과 전선없이 일체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Lid Lock PCB(Lid Lock Printed Circuit Board, 100)와;
    세탁행정 중에 상기 하우징(1) 내부로 침투한 세탁수가 상기 Lid Lock PCB(100)에 침투되지 않으면서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케이스(1a) 및 커버(1b)에 구성된 물빠짐수단(200)과;
    상기 모터(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잠금수단(10)의 잠금돌기(13)가 전ㆍ후진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잠금수단(10)의 하면에 형성된 하트캠(310)과, 일측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트캠(310)과 체결되고, 타측은 플레이트스프링(plate spring, 330)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탄성 결합된 가이드핀(320)과, 상기 잠금수단(10)의 슬라이딩 이동시 스프링력이 가해져 상기 잠금수단(10)의 이동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하우징 내로 인입된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일측은 상기 잠금수단(10)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1a)에 고정 설치된 리턴스프링(340)이 각각 구비된 잠금수단이동부(300)와;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Lid Lock PCB(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에 장착된 자석과의 접근에 따라 ON/OFF 동작하여 상기 Lid Lock PCB(100)로 ON/OFF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리드스위치(reed switch, 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id Lock PCB(Lid Lock Printed Circuit Board, 100)는,
    상기 세탁기에 기설치된 전원공급수단 및 제어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1)의 외부로 노출된 커넥터(connector, 11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빠짐수단(200)은,
    상기 하우징(1)의 케이스(1a)에 형성된 잠금돌기인입출구(201)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침투한 세탁수가 상기 모터(3), 기어(5) 및 Lid Lock PCB(100)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하방으로 이동되게 유도하도록 상기 케이스(1a) 및 커버(1b) 각각의 내부에 형성된 물길유도턱(210)과,
    상기 물길유도턱(210)을 통해 하방으로 이동된 세탁수가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1a)의 하방에 형성된 다수의 케이스배출구(220)와,
    상기 물길유도턱(210)을 통해 하방으로 이동된 세탁수가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커버(1b)의 하방에 형성된 커버배출구(230)와,
    침투한 세탁수 및 결로 현상으로 상기 모터(3)의 주위에 맺힌 물방울이 상기 케이스배출구(220)로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스(1a)에 형성된 모터고정턱(202)의 하방 일부에 개방되어 형성된 모터배출로(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빠짐수단(200)은,
    침투한 세탁수 및 결로 현상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맺힌 물방울이 상기 Lid Lock PCB(100)로 침투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1a) 및 커버(1b) 각각의 내부에 형성되고, 물방울이 상기 Lid Lock PCB(100)로 침투되지 않으면서 하우징의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경사부(251)가 형성된 PCB물막이턱(2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배출구(220)는,
    상기 PCB물막이턱(250)의 경사부(251)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하방으로 이동된 물방울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PCB물막이턱(250)의 하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빠짐수단(200)은,
    상기 하우징(1)의 잠금돌기인입출구(201) 이외의 다른 부분으로 세탁수가 침투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1a) 및 커버(1b) 각각의 테두리에 형성된 침투방지턱(2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KR1020200055380A 2020-05-08 2020-05-08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KR102358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380A KR102358167B1 (ko) 2020-05-08 2020-05-08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380A KR102358167B1 (ko) 2020-05-08 2020-05-08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721A true KR20210136721A (ko) 2021-11-17
KR102358167B1 KR102358167B1 (ko) 2022-02-04

Family

ID=7870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380A KR102358167B1 (ko) 2020-05-08 2020-05-08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1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331B1 (ko) * 2012-04-02 2013-10-14 주식회사 에스 씨디 세탁기용 도어 잠금 장치
KR200474622Y1 (ko) * 2013-05-03 2014-10-06 주식회사 삼코 전자동 세탁기의 도어 잠금장치
KR101855470B1 (ko) * 2017-09-08 2018-07-05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하트캠 방식의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331B1 (ko) * 2012-04-02 2013-10-14 주식회사 에스 씨디 세탁기용 도어 잠금 장치
KR200474622Y1 (ko) * 2013-05-03 2014-10-06 주식회사 삼코 전자동 세탁기의 도어 잠금장치
KR101855470B1 (ko) * 2017-09-08 2018-07-05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하트캠 방식의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167B1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725B1 (ko) 세탁기의 리드 로커
RU2453262C2 (ru) Бытовой прибор, оборудованный устройством диагностики положения запорного элемента двери
CN102041661B (zh) 洗衣机的门锁控制设备和方法
US11629528B2 (en) Door lock for a domestic electrical appliance with a movably arranged locking member
WO2013181289A9 (en) Electromagnetic door-lock
US9085845B2 (en) Apparatus to detect opening and closing of door in washing machine
US9528298B2 (en) Appliance latch with uni-directional actuator
CN108888223B (zh) 门体锁止组件及洗碗机
CN104662219A (zh) 具有门存在感测的设备闩锁
KR101855470B1 (ko) 하트캠 방식의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CN110621820B (zh) 洗衣机和控制洗衣机的方法
KR102358167B1 (ko) 물빠짐수단을 갖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CN108070990A (zh) 一种门锁装置
CN102121187B (zh) 盖锁定装置以及包括盖锁定装置的电动洗衣机
KR101282948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컨트롤 장치
US20210115702A1 (en) Door locking device
KR101860539B1 (ko) 리드스위치부를 갖는 세탁기 도어 이중 잠금장치
EP0518147B1 (en) Door interlock device for clothes washing and/or drying machines
CN107546043B (zh) 门开关组件和家用电器
JP2004344294A (ja) 洗濯機
KR102359968B1 (ko) 세탁기 도어락 장치
CN220815267U (zh) 一种具有开门感应的门锁装置
US3569646A (en) Lid latch and switch operating mechanism
CN216788054U (zh) 一种用于电器的门锁机构及具有该门锁机构的清洗机
CN219410247U (zh) 洗衣机的洗涤剂投放组件及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