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659A -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659A
KR20210136659A KR1020200055217A KR20200055217A KR20210136659A KR 20210136659 A KR20210136659 A KR 20210136659A KR 1020200055217 A KR1020200055217 A KR 1020200055217A KR 20200055217 A KR20200055217 A KR 20200055217A KR 20210136659 A KR20210136659 A KR 20210136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virtual object
processor
user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은
정종우
최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5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6659A/ko
Priority to PCT/KR2021/005475 priority patent/WO2021225333A1/ko
Publication of KR20210136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659A/ko
Priority to US17/982,997 priority patent/US2023006177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06T15/20Perspective compu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6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2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sce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04Aligning objects, relative positioning of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7Target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rchitectur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1 전자 장치는, 통신 회로와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표시되는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도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 및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각종 전자 장치들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음성 통화 서비스, 메시지 서비스, 방송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카메라 서비스, 전자 결제 서비스 또는 음악 재생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실제 공간에 가상의 정보(예: 가상 객체)를 덧붙이는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서비스에 기반하여 다양한 형태의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서비스는 모바일 장치, 프로젝터 또는 웨어러블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가 현실감이 있는 증강 현실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안경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된 웨어러블 장치는 가상의 정보(예: 가상 객체)를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보이도록 출력할 수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 장치(예: 모바일 장치)는 대중화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사용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장치)는 휴대용 통신 장치와 연계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와 연계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는, 통신 회로와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표시되는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 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과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표시되는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는, 통신 회로와 카메라 모듈과 표시 장치, 및 상기 통신 회로,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표시 장치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제 1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연동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제 1 가상 객체를 획득하고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모바일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제 1 전자 장치의 사용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를 제 1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표시하고,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함으로써,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출력 방식(또는 표현 방식)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장치)는 제 1 전자 장치(예: 모바일 장치)와의 연동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를 제 1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표시하고,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함으로써,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출력 방식(또는 표현 방식)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를 위해 연동되는 전자 장치들의 구성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 2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가상 객체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제 2 전자 장치로 가상 객체를 전송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객체가 표시되는 화면 구성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의 사용을 판단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표시 장치의 활성 여부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의 사용을 판단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의 사용을 판단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제 1 전자 장치와 관련된 가상 객체를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와 관련된 가상 객체가 표시되는 화면 구성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가상 객체의 표시 기준을 변경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객체와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구성이다.
도 15a, 도 15b 및 도 15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객체의 표시 기준을 변경하는 화면 구성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객체의 표시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일예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가상 객체를 출력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가상 객체를 표시하기위한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제 1 전자 장치와의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와의 연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와의 연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를 위해 연동되는 전자 장치들의 구성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210)는 무선 또는 유선 중 적어도 하나로 연결되어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210)는 USB(universal serial bus) 방식에 기반하여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210)는 근거리 통신 또는 셀룰러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또는 무선랜(예: WiFi direc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셀룰러 통신은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5G(또는 NR(new radio)),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0)는 무선 또는 유선 중 적어도하나로 연결된 제 2 전자 장치(210)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0)는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FOV: field of view)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0)는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를 위해 제 2 전자 장치(210)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가상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0)는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예로,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가상 객체의 형태(또는 모양), 색상, 크기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10)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착용되어,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1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무선 또는 유선 중 적어도 하나로 연결된 경우, 제 2 전자 장치(210)의 카메라(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210)는 제 1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FOV)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 보이게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21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가 실제 공간에 가상 객체가 덧붙여진 것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제 2 전자 장치(210)의 착용자의 눈으로 유입되는 빛에 가상 객체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전자 장치(210)는 안경(glass), 고글(goggles), 헬멧 또는 모자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1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독립적으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10)는 제 2 전자 장치(210)의 카메라(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를 통해 획득한 실제 공간과 관련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210)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가 시야각(FOV)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진 것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일예로, 제 1 전자 장치(2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0)는 프로세서(300), 통신 회로(310), 표시 장치(320), 센서 모듈(330) 또는 메모리(3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도 1의 프로세서(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프로세서(120)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 회로(310)는 도 1의 통신 모듈(19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통신 모듈(190)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 장치(320)는 도 1의 표시 장치(1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표시 장치(160)에 포함될 수 있다. 센서 모듈(330)은 도 1의 센서 모듈(176)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센서 모듈(176)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340)는 도 1의 메모리(1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메모리(130)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도 2의 제 2 전자 장치(210)와 무선 또는 유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이 연결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통신 회로(310)를 통해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제 2 전자 장치(210)와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 인증은, 비밀 번호 방식, 패턴 입력 방식 또는 생체 인식 방식(예: 홍채 인식, 지문 인식 또는 정맥 인식)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사용자 인증을 완료한 경우(예: 인증 성공),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증강 현실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증강 현실 모드로 전환된 경우,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프로세서(300)는 증강 현실 모드로의 전환에 기반하여 표시 장치(320)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통신 회로(310)를 통해 무선 또는 유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이 연결된 도 2의 제 2 전자 장치(210)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통신 회로(310)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실제 공간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전자 장치(210)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획득(또는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획득(또는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가상 객체의 형태(또는 모양), 색상, 크기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FOV: field of view)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위치하는 외부 객체와 관련된 정보 또는 제 1 전자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외부 객체는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검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제 1 전자 장치(200)의 추가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여부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의 추가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가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가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예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표시 장치(320)에 표시된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전자 장치(200)의 추가 사용은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가 증강 현실 서비스와 다른 별도의 기능(예: 인터넷 검색)의 실행을 위해 제 1 전자 장치(200)를 조작하는 일련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별도의 기능은 인터넷 검색 기능, 음악 콘텐트 재생 기능, 동영상 콘텐트 재생 기능 또는 결제 기능과 같이, 증간 현실 서비스와 다른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표시 장치(320)의 활성 여부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의 추가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증강 현실 모드로의 전환에 기반하여 비활성화된 표시 장치(320)가 활성화되는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가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표시 장치(320)의 비활성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가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에 포함되는 외부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의 추가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가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예로,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외부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가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외부 객체는 제 1 전자 장치(200)의 외관 구성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응하는 외부 객체, 또는 표시 장치(320)에 표시된 콘텐트와 관련된 외부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 및 제 2 전자 장치(21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의 추가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가 제 2 전자 장치(210)의 기준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가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가 제 2 전자 장치(210)의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가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 정보는 센서 모듈(330)에 기반하여 획득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210)의 위치 정보는 통신 회로(310)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제 1 전자 장치(200)를 추가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를 제 1 전자 장치(200)(예: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표시되도록 제 2 전자 장치(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제 1 전자 장치(200)를 추가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 2 전자 장치(210)로 가상 객체의 숨김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객체의 숨김과 관련된 정보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가상 객체의 출력 제한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전자 장치(210)는 제 1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가상 객체의 숨김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위치는 제 1 전자 장치(200)(예: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를 기준으로 설정된 위치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가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에 덧붙여 보여지도록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0)를 기준으로 설정된 가상 객체의 위치는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상대적인 위치로,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 변화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전자 장치(200)를 기준으로 설정된 가상 객체의 위치는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전자 장치(200)를 기준으로 설정된 가상 객체의 위치는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가상 객체의 방향 또는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는 제 1 전자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가상 객체 또는 표시 장치(320)에 표시된 콘텐트와 관련된 가상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통해 출력 중인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표시를 위한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통신 회로(310)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객체(예: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외부 객체의 움직임 정보가 메모리(340)에 저장된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제스쳐 목록에 포함된 경우,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제스쳐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제스쳐의 검출 위치와 가상 객체의 표시 위치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제스쳐를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제스쳐는 증강 현실 서비스 또는 가상 객체와 관련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제스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검출한 입력(예: 제스쳐)이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와 관련된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표시 기준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가이드 정보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기준으로 설정 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검출한 입력(예: 제스쳐)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변경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가상 객체의 변경 정보는 가상 객체의 선택, 가상 객체의 위치 이동, 가상 객체의 크기 확대, 가상 객체의 크기 축소 또는 가상 객체의 표시 각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검출한 입력(예: 제스쳐)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위치(예: 표시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변경된 위치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표시를 위한 기준을 설정(또는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변경된 위치가 기준 지점(예: 사용자 위치)를 기준으로 제 1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가상 객체의 표시를 위한 기준을 제 1 방식(예: 사용자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방식으로 설정된 가상 객체의 위치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상대적인 위치로, 사용자의 위치 변화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일예로, 제 1 구간은 기준 지점(예: 사용자 위치)부터 제 1 지점까지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변경된 위치가 기준 지점(예: 사용자 위치)를 기준으로 제 2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가상 객체의 표시를 위한 기준을 제 2 방식(예: 외부 객체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방식으로 설정된 가상 객체의 위치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되는 실제 공간에 존재하는 외부 객체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상대적인 위치로, 외부 객체의 위치 변화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일예로, 제 2 구간은 제 1 지점으로부터 제 2 지점까지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지점은 기준 지점(예: 사용자 위치)으로부터 제 1 지점보다 상대적으로 멀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변경된 위치가 기준 지점(예: 사용자 위치)를 기준으로 제 3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가상 객체의 표시를 위한 기준을 제 3 방식(예: 배경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제 3 방식으로 설정된 가상 객체의 위치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좌표 값(예: 경도, 위도 및/또는 높이)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제 3 구간은 제 2 지점으로부터 제 3 지점까지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3 지점은 기준 지점(예: 사용자 위치)으로부터 제 1 지점 및 제 2 지점보다 상대적으로 멀게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제 3 구간은 제 2 구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예로, 가상 객체의 표시를 위한 기준은 사용자, 외부 객체, 배경 또는 다른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회로(31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210)의 유선 또는 무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예로, 유선 통신은 USB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무선 통신은 근거리 통신 방식 또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장치(320)는 제 1 전자 장치(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320)는 제 1 전자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320)는 증강 현실 모드로의 전환에 기반하여 비활성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 모듈(330)은 제 1 전자 장치(210)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330)은 제 1 전자 장치(200)(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330)는 제 1 전자 장치(210)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센서(예: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340)는 제 1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300), 통신 회로(310), 표시 장치(320), 또는 센서 모듈(3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제스쳐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 2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일예로, 제 2 전자 장치(21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10)는 프로세서(400), 통신 회로(410), 카메라 모듈(420), 표시 장치(430) 또는 센서 모듈(4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도 1의 프로세서(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프로세서(120)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 회로(410)는 도 1의 통신 모듈(19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통신 모듈(19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20)은 도 1의 카메라 모듈(18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카메라 모듈(180)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 장치(430)는 도 1의 표시 장치(1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표시 장치(160)에 포함될 수 있다. 센서 모듈(440)은 도 1의 센서 모듈(176)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센서 모듈(176)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통신 회로(410)를 통해 제 1 전자 장치(200)와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420)을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4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420)을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는 증강 현실 서비스가 유지되는 경우,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통신 회로(410)를 통해 제 1 전자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일예로, 카메라 모듈(420)을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가상 객체가 덧붙여 보여지도록 표시 장치(4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제 1 전자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의 그래픽 특성(예: 형태, 크기 또는 색상)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그래픽 특성에 대응하는 가상 객체를 가상 객체의 위치에 출력하도록 표시 장치(4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가상 객체는 제 2 전자 장치(210)을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위치하는 외부 객체와 관련된 정보 또는 제 1 전자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센서 모듈(440)을 통해 검출한 사용자의 시선 정보 또는 제 2 전자 장치(210)의 움직임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 1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사용자의 시선 정보 또는 제 2 전자 장치(210)의 움직임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통신 회로(410)를 통해 제 1 전자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선 정보는 헤드 게이즈(head gaze) 또는 아이 게이즈(eye gaze)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헤드 게이즈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머리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것으로, 표시 장치(430)의 중심 또는 카메라 모듈(420)(예: 외부 카메라)을 통해 획득한 실시간 영상의 중심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아이 게이즈는 센서 모듈(440)(예: 안구 추적용 센서)을 통해 획득한 눈동자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회로(41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210)의 유선 또는 무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예로, 유선 통신은 USB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무선 통신은 근거리 통신 방식 또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420)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420)은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과 관련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 1 카메라(예: RGB(red green blue) 카메라 또는 깊이 카메라) 또는 제 2 전자 장치(210)(또는 사용자)의 주변 공간을 인식하기 위한 제 2 카메라(예: SLAM(simula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장치(430)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43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가 표시 장치(430)를 통해 실제 공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투명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43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가 실제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가상 객체가 덧붙여진 것으로 보여지도록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의 시야각은 사용자가 정면을 주시한 상태에서, 고개나 눈동자를 돌리지 않고 사물을 인식할 수 있는 각도 또는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은 표시 장치(430)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은 사용자의 눈에서 표시 장치(430)까지의 거리에 기반하여 설정되거나 조정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 모듈(440)은 제 2 전자 장치(210)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40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440)은 제 2 전자 장치(210)(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모션 센서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또는 자기장 센서(3-axis Magnetic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440)는 제 2 전자 장치(210)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센서(예: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440)은 제 2 전자 장치(210)의 사용자에 착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 센서(예: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440)은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에 포함되는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공간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1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독립적으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출력하도록 표시 장치(4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카메라 모듈(420)를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획득(또는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제 2 전자 장치(21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획득(또는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가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덧붙여 보여지도록 표시 장치(4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제 1 전자 장치(200)와의 연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의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의 연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예로, 프로세서(300)는 통신 회로(410)를 통해 제 1 전자 장치(200)와 통신을 연결한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와 연동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예로, 프로세서(300)는 통신 회로(410)를 통해 제 1 전자 장치(200)와 통신을 연결되지 않는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와 연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위치한 외부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의 연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예로, 프로세서(4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와 연동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예로, 프로세서(4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외부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와 연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제 1 전자 장치(200)와 연동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를 제 1 전자 장치(200)(예: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4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연동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표시를 제거하도록 표시 장치(4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통신 회로(410)로부터 제공받은 제 1 전자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위치는 제 1 전자 장치(200)(예: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제 1 전자 장치(200)를 기준으로 설정된 위치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를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4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표시를 위한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카메라 모듈(420)를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카메라 모듈(420)을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검출한 입력(예: 제스쳐)이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와 관련된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표시 기준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4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카메라 모듈(420)을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검출한 입력(예: 제스쳐)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위치(예: 표시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변경된 위치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표시를 위한 기준을 설정(또는 변경)할 수 있다. 일예로, 가상 객체의 표시를 위한 기준은 사용자, 제 2 전자 장치(210), 외부 객체, 배경 또는 다른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는, 통신 회로(예: 도 1의 통신 모듈(190) 또는 도 3의 통신 회로(310)),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3의 프로세서(300))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표시되는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위치한 외부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외부 객체에 대응하는 제 2 가상 객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 2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 2 가상 객체의 숨김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의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상 객체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장치(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또는 도 3의 표시 장치(3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시 장치의 활성 여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정보,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 또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에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좌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상대적인 방향 또는 상대적인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변경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 실제 공간의 좌표,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위치한 외부 객체, 상기 사용자 또는 제 3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형태, 크기, 색상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의 제 2 전자 장치(210))는, 통신 회로(예: 도 1의 통신 모듈(190) 또는 도 4의 통신 회로(410)), 카메라 모듈(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 또는 도 4의 카메라 모듈(420)), 표시 장치(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또는 도 4의 표시 장치(430)), 및 상기 통신 회로,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표시 장치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4의 프로세서(400))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제 1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연동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제 1 가상 객체를 획득하고,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위치한 외부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외부 객체에 대응하는 제 2 가상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연동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2 가상 객체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상 객체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의 통신 연결 여부,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 또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의 연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상대적인 방향 또는 상대적인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변경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 실제 공간의 좌표,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위치한 외부 객체, 상기 사용자 또는 제 3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가상 객체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500)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5의 제 1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 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통신 모듈(190), 도 3의 프로세서(300) 또는 통신 회로(310))는 동작 501에서, 제 2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2 전자 장치(210))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210)의 통신 링크(또는 통신 채널)를 설립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와의 통신 링크를 설립한 경우, 통신 링크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실제 공간과 관련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가상 객체의 형태(또는 모양), 색상, 크기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가상 객체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위치하는 외부 객체와 관련된 정보 또는 제 1 전자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동작 503에서, 제 2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10))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별도의 기능(예: 음악 재생 기능)의 실행을 위해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가 추가 사용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여부, 표시 장치(320)의 활성 여부,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외부 객체의 존재 여부 또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210)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별도의 다른 기능의 실행을 위해 제 1 전자 장치(200)가 추가적으로 사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다른 별도의 기능의 실행을 위해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가 추가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예: 동작 503의 '아니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별도의 다른 기능의 실행을 위해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가 추가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예: 동작 503의 '예'), 동작 505에서,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에 기반하여 표시되는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별도의 다른 기능의 실행을 위해 제 1 전자 장치(200)를 추가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는 제 1 전자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가상 객체 또는 제 1 전자 장치(200)의 표시 장치(320)에 표시된 콘텐트와 관련된 가상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위치는 제 1 전자 장치(200)(예: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가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 중 제 1 전자 장치(200)를 기준으로 설정된 위치에 덧붙여 보여지도록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0)를 기준으로 설정된 가상 객체의 위치는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상대적인 위치로,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 변화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동작 507에서,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통신 회로(310)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제스쳐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검출한 제스쳐가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와 관련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위치(예: 표시 위치)와 제스쳐의 위치를 비교하여 제스쳐가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와 관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예: 동작 507의 '아니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입력(예: 제스쳐)을 수신한 경우(예: 동작 507의 '예'), 동작 509에서,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입력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입력(예: 제스쳐)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위치(예: 표시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변경된 위치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표시를 위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가상 객체의 표시를 위한 기준은 사용자, 외부 객체, 배경, 제 1 전자 장치(200) 또는 다른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제 2 전자 장치로 가상 객체를 전송하기 위한 흐름도(60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의 동작들은 도 5의 동작 501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5의 제 1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 일 수 있다. 일예로, 도 6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객체가 표시되는 화면 구성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통신 모듈(190), 도 3의 프로세서(300) 또는 통신 회로(310))는 동작 601에서, 제 2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2 전자 장치(210))와의 통신 링크를 설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210)의 무선 통신 링크 또는 유선 통신 링크를 설립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동작 603에서, 사용자 인증이 완료(예: 인증 성공)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와 통신이 연결된 경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와의 통신 링크가 설립된 경우,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3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표시 장치(320)에 표시된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과 메모리(340)에 저장된 기준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 인증은, 비밀 번호 방식, 패턴 입력 방식 또는 생체 인식 방식(예: 홍채 인식, 지문 인식 또는 정맥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기준 인증 정보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기 정의된 정보로 인증 비밀 번호, 인증 패턴, 기 등록된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예: 동작 603의 '예'), 동작 605에서, 제 2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사용자 인증을 완료한 경우(예: 인증 성공),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증강 현실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증강 현실 모드로 전환된 경우,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통신 회로(310)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예로,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는 증강 현실 서비스의 시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프로세서(300)는 증강 현실 모드로의 전환에 기반하여 표시 장치(320)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동작 607에서, 영상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가 획득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FOV: field of view)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위치한 외부 객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위치한 외부 객체 중 가상 객체가 매핑된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위치한 외부 객체 중 가상 객체가 매핑된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영상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가 획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위치한 외부 객체 중 가상 객체가 매핑된 외부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영상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가 획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영상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예: 동작 607의 '아니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영상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획득한 경우(예: 동작 607의 '예'), 동작 609에서, 영상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가상 객체의 형태(또는 모양), 색상, 크기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10)는 도 7a를 참조하면, 제 1 전자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700)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710)의 적어도 일부(712)에 가상 객체 1(720) 또는 가상 객체 2(722) 중 적어도 하나가 덧붙여 보여지도록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예: 인증 실패)(예: 동작 603의 '아니오'), 동작 611에서, 인증 실패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사용자 인증을 실패한 경우, 인증 실패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3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인증 실패와 관련된 정보는 재인증 요청 정보 또는 인증 실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사용자 인증을 완료한 경우(예: 동작 603의 '예'),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 전자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가상 객체를 생성하여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의 사용을 판단하기 위한 흐름도(80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의 동작들은 도 5의 동작 503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8의 제 1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 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통신 모듈(190), 도 3의 프로세서(300) 또는 통신 회로(310))는 제 2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10))와 통신을 연결한 경우(예: 도 5의 동작 501), 동작 801에서, 제 2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와의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증강 현실 모드로 전환된 경우, 통신 회로(310)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동작 803에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FOV)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 중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외부 객체는 제 1 전자 장치(200)의 외관 구성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응하는 외부 객체, 또는 표시 장치(320)에 표시된 콘텐트와 관련된 외부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예: 동작 803의 '아니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외부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가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는 경우(예: 동작 803의 '예'), 동작 805에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별도의 다른 기능의 실행을 위해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를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도 7a와 같이,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700)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적어도 일부(712)에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외부 객체(730)가 존재하는 경우,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별도의 다른 기능의 실행을 위해 제 1 전자 장치(200)가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제 1 전자 장치(200) 및 제 2 전자 장치(210)의 위치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의 추가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는 경우(예: 동작 803의 '예'), 제 1 전자 장치(200) 및 제 2 전자 장치(21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가 제 2 전자 장치(210)를 기준으로 기준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제 1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고, 제 1 전자 장치(200)가 제 2 전자 장치(210)의 기준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별도의 다른 기능의 실행을 위해 제 1 전자 장치(200)가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제 1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지 않거나, 제 1 전자 장치(200)가 제 2 전자 장치(210)의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제 1 전자 장치(200)를 이용한 별도의 기능을 실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표시 장치의 활성 여부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의 사용을 판단하기 위한 흐름도(90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의 동작들은 도 5의 동작 503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9의 제 1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 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3의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10))와 통신을 연결한 경우(예: 도 5의 동작 501), 동작 901에서, 제 2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10))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도 6의 동작 603과 같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제 2 전자 장치(210)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와의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증강 현실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제 2 전자 장치(210)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와의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제 2 전자 장치(210)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제 2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10))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예: 동작 901의 '아니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제 2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10))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예: 동작 901의 '예'), 동작 903에서, 표시 장치(예: 표시 장치(320))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10))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증강 현실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00)는 증강 현실 모드에 기반하여 표시 장치(320)가 비활성화되도록 표시 장치(3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동작 905에서, 비활성 상태의 표시 장치(예: 표시 장치(320))가 활성 상태로 전환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비활성 상태의 표시 장치(320)는 제 1 전자 장치(200)의 구동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제어 명령에 기반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표시 장치(예: 표시 장치(320))가 비활성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예: 동작 905의 '아니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표시 장치(예: 표시 장치(320))가 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예: 동작 905의 '예'), 동작 907에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별도의 다른 기능의 실행을 위해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를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비활성 상태의 표시 장치(320)가 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별도의 다른 기능의 실행을 위해 표시 장치(320)가 활성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300)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별도의 기능의 실행을 위해 제 1 전자 장치(200)가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제 1 전자 장치(200)의 표시 장치(320))가 활성화되는 경우(예: 도 9의 동작 905의 '예'),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제 1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제 1 전자 장치(200)가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제 1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고, 제 1 전자 장치(200)의 표시 장치(320))가 활성화되는 경우,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제 1 전자 장치(200)가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의 사용을 판단하기 위한 흐름도(100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의 동작들은 도 5의 동작 503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10의 제 1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 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3의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10))와 통신을 연결한 경우(예: 도 5의 동작 501), 동작 1001에서, 제 2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10))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와 통신이 연결된 경우,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덧붙여 보여지도록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예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위치하는 외부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동작 1003에서,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에 설치된 다수 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수 개의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표시 장치(3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표시 장치(320)에 표시된 다수 개의 아이콘 중 선택 입력이 감지된 아이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예: 동작 1003의 '아니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제 1 전자 장치(200)를 이용한 별도의 기능을 실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예: 동작 1003의 '예'), 동작 1005에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별도의 다른 기능의 실행을 위해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를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별도의 다른 기능(예: 인터넷 기능)의 실행을 위해 제 1 전자 장치(200)가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예: 도 10의 동작 1003의 '예'),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제 1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제 1 전자 장치(200)가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제 1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제 1 전자 장치(200)가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제 1 전자 장치와 관련된 가상 객체를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흐름도(110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의 동작들은 도 5의 동작 505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11의 제 1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 일 수 있다. 일예로, 도 11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도 12a, 도 12b 및 도 12c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와 관련된 가상 객체가 표시되는 화면 구성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통신 모듈(190), 도 3의 프로세서(300) 또는 통신 회로(310))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별도의 다른 기능을 위해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가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예: 도 5의 동작 503의 '예'), 동작 1101에서, 가상 객체의 숨김과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별도의 다른 기능의 실행을 위해 제 1 전자 장치(200)가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 2 전자 장치(210)로 가상 객체의 숨김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가상 객체의 숨김과 관련된 정보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가상 객체의 출력 제한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10)는 도 7a와 같이, 가상 객체 1(720) 또는 가상 객체 2(722)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700)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덧붙여 보여지도록 출력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210)는 제 1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가상 객체의 숨김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도 12a와 같이, 가상 객체 1(720) 또는 가상 객체 2(722)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제한(또는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210)는 가상 객체의 숨김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별도의 다른 기능의 실행을 위해 제 1 전자 장치(200)가 추가적으로 사용됨을 나타내기 위한 가상 객체(1212)를 출력할 수 있다. 일예로, 가상 객체(1212)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1200)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적어도 일부(1200) 내에서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외부 객체와 인접한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동작 1103에서,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는 제 1 전자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가상 객체 또는 표시 장치(320)에 표시된 콘텐트와 관련된 가상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동작 1105에서,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메모리(34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0)를 기준으로 설정된 가상 객체의 위치는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상대적인 위치로,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 변화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 통신 모듈(190), 또는 통신 회로(310))는 동작 1107에서,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를 기준으로 설정된 위치에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가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에 덧붙여 보여지도록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10)는 도 12b와 같이, 제 1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 3(1222)을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1200)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적어도 일부(1200)에 덧붙여 보이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일예로, 가상 객체 3(1222)는 제 1 전자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정보(예: 이미지 목록 표시)(1220)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별도의 다른 기능의 실행을 위해 제 1 전자 장치(200)가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에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콘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대응하는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변경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새롭게 생성된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표시 장치(320)에 표시된 콘텐트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콘텐트와 관련된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변경된 콘텐트에 기반하여 새롭게 생성된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10)는 도 12c와 같이, 제 1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 4(1232)를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1200)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적어도 일부(1200)에 덧붙여 보이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일예로, 가상 객체 4(1232)는 제 1 전자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변경된 실행 정보(예: 제 1 이미지 표시)(1230)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에서 가상 객체의 표시 기준을 변경하기 위한 흐름도(130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3의 동작들은 도 5의 동작 507 및 동작 509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13의 제 1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 일 수 있다. 일예로, 도 13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도 14a 내지 도 14c, 도 15a 내지 도 15c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객체와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구성이다. 도 15a, 도 15b 및 도 15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객체의 표시 기준을 변경하는 화면 구성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객체의 표시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일예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통신 모듈(190), 도 3의 프로세서(300) 또는 통신 회로(310))는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한 경우(예: 도 5의 동작 505), 동작 1301에서, 제 2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예로, 영상 정보는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통신 회로(310)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영상 정보를 수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동작 1303에서,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입력이 검출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통신 회로(310)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을 분석하여 외부 객체(예: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외부 객체의 움직임 정보와 메모리(340)에 저장된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제스쳐 목록을 비교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제스쳐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제스쳐가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와 관련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위치(예: 표시 위치)와 제스쳐의 위치(예: 검출 위치)를 비교하여 제스쳐가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와 관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입력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예: 동작 1303의 '아니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입력을 검출한 경우(예: 동작 1303의 '예'), 동작 1305에서, 가상 객체의 표시 기준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예로, 가이드 정보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기준으로 설정 가능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10)는 도 14a와 같이,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 4(1422)을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1200)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1410)에 덧붙여 보이도록 출력할 수 있다. 제 2 전자 장치(210)는 제 1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가이드 정보에 기반하여 격자(grid)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210)는 격자 모드로의 전환에 기반하여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1400)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1410)에 숨김 표시한 가상 객체 1(1412) 또는 가상 객체 2(1414)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210)는 격자 모드로의 전환에 기반하여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1400)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1410)에 격자의 가이드 정보(1426)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가이드 정보(1426)는 가상 객체 4(1422)가 가상 객체 1(1412)을 기준으로 표시 가능함을 나타내는 제 1 가이드 영역(1430) 또는 가상 객체 2(1414)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표시 가능함을 나태내는 제 2 가이드 영역(143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동작 1307에서,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입력에 기반하여 변경된 가상 객체의 위치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의 표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도 14b와 같이,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제스쳐(1425)(예: 이동 제스쳐)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 4(1422)가 표시 기준의 설정 가능한 제 2 가이드 영역(1432)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표시 기준으로의 설정 가능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1434)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가이드 영역(1432)으로 이동은 가상 객체 4(1422)의 위치가 제 2 가이드 영역(1432)을 기준으로 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이동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도 14c와 같이,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제스쳐(1440)(예: 이동 제스쳐)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 4(1422)가 표시 기준의 설정 가능한 제 2 가이드 영역(1432)을 벗어난 경우(예: 가상 객체 2(1414)와 중첩), 표시 기준의 설정 오류와 관련된 가이드 정보(1442)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제스쳐에 기반하여 변경된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위치(예: 기준 지점으로부터의 거리)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표시를 위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도 16을 참조하면,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변경된 위치가 기준 지점(예: 사용자 위치)(1600)를 기준으로 제 1 구간(1602)에 포함되는 경우, 가상 객체의 표시를 위한 기준을 제 1 방식(예: 사용자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방식으로 설정된 가상 객체의 위치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상대적인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구간(1602)은 기준 지점(1600)부터 제 1 지점(1610)까지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변경된 위치가 기준 지점(예: 사용자 위치)(1600)를 기준으로 제 2 구간(1612)에 포함되는 경우, 가상 객체의 표시를 위한 기준을 제 3 방식(예: 배경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제 3 방식으로 설정된 가상 객체의 위치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좌표 값(예: 경도, 위도 및/또는 높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일예로, 제 2 구간(1612)은 기준 지점(1600)을 기준으로 제 1 구간(160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변경된 위치가 기준 지점(예: 사용자 위치)(1600)를 기준으로 제 3 구간(1622)에 포함되는 경우, 가상 객체의 표시를 위한 기준을 제 2 방식(예: 외부 객체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방식으로 설정된 가상 객체의 위치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되는 실제 공간에 존재하는 외부 객체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상대적인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3 구간(1622)은 제 1 지점(1610)부터 제 2 지점(1620)까지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지점(1620)은 기준 지점(1600)으로부터 제 1 지점(1610)보다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변경된 위치가 기준 지점(예: 사용자 위치)(1600)를 기준으로 제 4 구간(1624)에 포함되는 경우, 가상 객체의 표시를 위한 기준을 제 3 방식(예: 배경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제 4 구간(1624)은 제 2 구간(1612)에서 제 3 구간(162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위치(예: 표시 위치)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입력이 종료된 시점의 가상 객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동작 1309에서, 가상 객체의 표시 기준을 기준으로 설정된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가상 객체의 변경된 표시 기준을 기준으로 설정된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메모리(34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객체의 위치는 제 1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1400)의 위치 변화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객체의 위치는 제 2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 표시 기준으로 설정된 외부 객체의 위치 변화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객체의 위치는 제 3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 실제 공간의 좌표 값(예: 경도, 위도 및/또는 높이)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300))는 가상 객체의 형태(예: 평면 또는 입체)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의 표시 기준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 5(1510) 또는 가상 객체 6(1540)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5a 또는 도 15b와 같이, 평면(예: 2차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도 15a와 같이, 제스쳐(1512)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 5(1520)가 벽면에 배치될 수 있는 기준 거리(예: 15cm) 이내로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 표시 기준으로의 설정 가능한 가이드 영역(1522)과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 5(1520)를 잡은 형태의 제스쳐(1512)가 해제된 경우, 가이드 영역(152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상 객체 5(1520)가 덧붙여 보여지도록 가상 객체 5(1520)와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전자 장치(210)는 제 1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가상 객체 5(1520)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1500)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1510)내에서 벽면에 세워진 형태(1524)로 가상 객체 5(152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도 15b와 같이, 제스쳐(1532)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 6(1540)가 바닥에 배치될 수 있는 기준 거리(예: 15cm) 이내로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 표시 기준으로의 설정 가능한 가이드 영역(1542)과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 6(1540)를 잡은 형태의 제스쳐(1532)가 해제된 경우, 가이드 영역(154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상 객체 6(1530)이 덧붙여 보여지도록 가상 객체 6(1530)과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전자 장치(210)는 제 1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가상 객체 6(1530)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1500)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1510)내에서 바닥에 눕혀진 형태(1534)로 가상 객체 6(1530)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 7(1560)은 도 15c와 같이, 입체(예: 3차원)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도 15c와 같이, 제스쳐(1552)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 7(1520)가 바닥에 배치될 수 있는 기준 거리(예: 15cm) 이내로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 표시 기준으로의 설정 가능한 가이드 영역(1562)과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가상 객체 7(1520)은 바닥에 배치될 수 있는 기준 거리(예: 15cm) 이내로 이동된 경우, 평면(예 2차원)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평면 형태의 가상 객체 7(1520)은 입체 형태의 가상 객체 7(1520)의 섬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제 2 전자 장치(21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 7(1540)을 잡은 형태의 제스쳐(1552)가 해제(release)된 경우, 가이드 영역(1562)에 대응하는 위치(예: 바닥의 일부 영역)에 입체 형태의 가상 객체 7(1560)이 덧붙여 보여지도록 가상 객체 7(1560)과 관련된 정보를 제 2 전자 장치(21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전자 장치(210)는 제 1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가상 객체 7(1560)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1500)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1510)내에서 바닥에 세워진 형태(1564)로 가상 객체 7(1560)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가상 객체를 출력하기 위한 흐름도(1700)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17의 제 2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의 제 2 전자 장치(210) 일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통신 모듈(190), 도 4의 프로세서(400) 또는 통신 회로(410))는 동작 1701에서,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210)의 통신 링크(또는 통신 채널)를 설립하도록 통신 회로(4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400), 통신 모듈(190) 또는 통신 회로(410))는 동작 1703에서, 제 2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카메라 모듈(420)을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 또는 주변 공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 1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카메라 모듈(420)을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 또는 주변 공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주기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제 1 전자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400), 통신 모듈(190) 또는 통신 회로(410))는 동작 1705에서,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로부터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가상 객체의 형태(또는 모야), 색상, 크기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400))는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로부터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경우(예: 동작 1705의 '예'), 동작 1707에서,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어 보여지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제 1 전자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의 그래픽 특성(예: 형태, 크기 또는 색상)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 중 가상 객체의 위치에 가상 객체가 중첩되게 보여지도록 그래픽 특성에 대응하는 가상 객체를 출력하도록 표시 장치(4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400))는 동작 1709에서, 증강 현실 서비스가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증강 현실 서비스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통신 회로(410)를 통해 제 1 전자 장치(200)로부터 증강 현실 서비스의 종료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증강 현실 서비스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400))는 증강 현실 서비스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예: 동작 1707의 '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400))는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로부터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되지 않거나(예: 동작 1705의 '아니오'), 증강 현실 서비스가 유지되는 경우(예: 동작 1707의 '아니오'), 동작 1703에서, 제 2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 2 전자 장치(210)는 독립적으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21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별도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가상 객체를 표시하기위한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1800)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18의 제 2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의 제 2 전자 장치(210) 일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4의 프로세서(400))는 동작 1801에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카메라 모듈(420)을 통해 획득한 실제공간과 관련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가 덧붙여진 보여지도록 표시 장치(4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가상 객체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위치하는 외부 객체와 관련된 정보 또는 제 2 전자 장치(21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400))는 동작 1803에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와 연동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의 통신 연결 여부,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외부 객체의 존재 여부 또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210)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의 연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400))는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와 연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예: 동작 1803의 '아니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400))는 증강 현실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400))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와 연동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예: 동작 1803의 '예'), 동작 1805에서,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제 1 전자 장치(200)와 연동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태 정보와 관련된 요청 신호를 제 1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 회로(4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통신 회로(410)를 통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전자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는 제 1 전자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연동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증강 현실 서비스와 관련된 가상 객체를 숨기도록 표시 장치(4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400))는 동작 1807에서,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와 관련된 가상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제 1 전자 장치(200)(예: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표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 중 가상 객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에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가 중첩되게 보여지도록 표시 장치(4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자 장치(200)를 기준으로 설정된 가상 객체의 위치는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상대적인 위치로, 제 1 전자 장치(200)의 위치 변화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400))는 동작 1809에서,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카메라 모듈(420)을 통해 획득한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과 관련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제스쳐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카메라 모듈(420)을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검출한 제스쳐가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와 관련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위치(예: 표시 위치)와 제스쳐의 검출 위치를 비교하여 제스쳐가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와 관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400))는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예: 동작 1809의 '아니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400))는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예: 동작 1809의 '예'), 동작 1811에서, 가상 객체에 대응하는 입력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도 13의 동작 1301 내지 동작 1309와 같이, 사용자 입력(예: 제스쳐)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위치(예: 표시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변경된 위치(또는 이동 거리)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가상 객체의 표시를 위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가상 객체의 표시를 위한 기준은 사용자, 제 2 전자 장치(210), 외부 객체, 배경, 제 1 전자 장치(200) 또는 다른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제 1 전자 장치와의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와의 연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흐름도(190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9의 동작들은 도 18의 동작 1803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19의 제 2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의 제 2 전자 장치(210) 일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통신 모듈(190), 도 4의 프로세서(400) 또는 통신 회로(410))는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예: 도 18의 동작 1801), 동작 1901에서,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이 연결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통신 회로(410)를 통해 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210)의 통신 링크(또는 통신 채널)를 설립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400))는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와 통신이 연결된 경우(예: 동작 1901의 '예'), 동작 1903에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와 연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400))는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와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예: 동작 1901의 '아니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와 연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에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전자 장치와의 연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흐름도(200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0의 동작들은 도 18의 동작 1803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20의 제 2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의 제 2 전자 장치(210) 일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20), 통신 모듈(190), 도 4의 프로세서(400) 또는 통신 회로(410))는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예: 도 18의 동작 1801), 동작 2001에서,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와의 통신 링크를 설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210)의 무선 통신 링크 또는 유선 통신 링크를 설립하도록 통신 회로(4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400))는 동작 2003에서, 제 2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카메라 모듈(420)을 통해 주기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400))는 동작 2005에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카메라 모듈(420)을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FOV)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객체 중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외부 객체는 제 1 전자 장치(200)의 외관 구성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응하는 외부 객체, 또는 제 1 전자 장치(200)의 표시 장치(320)에 표시된 콘텐트와 관련된 외부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400))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예: 동작 2005의 '아니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외부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제 1 전자 장치(200)와 연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예: 프로세서(120 또는 400))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는 경우(예: 동작 2005의 '예'), 동작 2007에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제 1 전자 장치(예: 제 1 전자 장치(200))와 연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도 7a와 같이, 제 2 전자 장치(210)를 착용한 사용자(700)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적어도 일부(712)에 제 1 전자 장치(200)와 관련된 외부 객체(730)가 존재하는 경우,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중 제 1 전자 장치(200)와 연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제 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과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표시되는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2 전자 장치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위치한 외부 객체를 검출하는 동작과 상기 외부 객체에 대응하는 제 2 가상 객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의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인증의 성공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2 가상 객체의 숨김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상 객체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의 활성 여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정보,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 또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에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좌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상대적인 방향 또는 상대적인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준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준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변경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 실제 공간의 좌표,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위치한 외부 객체, 상기 사용자 또는 제 3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형태, 크기, 색상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4)

  1. 제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제 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표시되는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하는 제 1 전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위치한 외부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외부 객체에 대응하는 제 2 가상 객체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 2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 1 전자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 2 가상 객체의 숨김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 1 전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의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제 1 전자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제 1 전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시 장치의 활성 여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정보,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 또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전자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에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좌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전자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상대적인 방향 또는 상대적인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전자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 2 전자 장치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하는 제 1 전자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변경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하는 제 1 전자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 실제 공간의 좌표,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위치한 외부 객체, 상기 사용자 또는 제 3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전자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형태, 크기, 색상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전자 장치.
  13. 제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 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는 동작,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표시되는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 장치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위치한 외부 객체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외부 객체에 대응하는 제 2 가상 객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의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인증의 성공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2 가상 객체의 숨김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의 활성 여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정보,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 또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에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좌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상대적인 방향 또는 상대적인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변경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3.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 실제 공간의 좌표,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위치한 외부 객체, 상기 사용자 또는 제 3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형태, 크기, 색상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 2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회로;
    카메라 모듈;
    표시 장치; 및
    상기 통신 회로,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표시 장치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제 1 전자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연동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제 1 가상 객체를 획득하고,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하는 제 2 전자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위치한 외부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외부 객체에 대응하는 제 2 가상 객체를 출력하는 제 2 전자 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연동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2 가상 객체의 출력을 제한하는 제 2 전자 장치.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제 2 전자 장치.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의 통신 연결 여부,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 또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의 연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전자 장치.
  30.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출력하는 제 2 전자 장치.
  31.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상대적인 방향 또는 상대적인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출력하는 제 2 전자 장치.
  32.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하는 제 2 전자 장치.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가상 객체와 관련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 1 가상 객체의 변경된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을 변경하는 제 2 전자 장치.
  34.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기준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 실제 공간의 좌표,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위치한 외부 객체, 상기 사용자 또는 제 3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2 전자 장치.
KR1020200055217A 2020-05-08 2020-05-08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13665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217A KR20210136659A (ko) 2020-05-08 2020-05-08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CT/KR2021/005475 WO2021225333A1 (ko) 2020-05-08 2021-04-29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7/982,997 US20230061776A1 (en) 2020-05-08 2022-11-08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217A KR20210136659A (ko) 2020-05-08 2020-05-08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659A true KR20210136659A (ko) 2021-11-17

Family

ID=7846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217A KR20210136659A (ko) 2020-05-08 2020-05-08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61776A1 (ko)
KR (1) KR20210136659A (ko)
WO (1) WO202122533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124B1 (ko) * 2013-01-04 2019-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9834B1 (ko) * 2013-06-18 2020-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동작방법
JP2019105678A (ja) * 2017-12-11 2019-06-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KR102068215B1 (ko) * 2018-04-30 2020-01-20 주식회사 북트랩스 증강현실/가상현실을 적용한 스토리 기반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647656B1 (ko) * 2018-09-04 2024-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 현실 영상에 부가 객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25333A1 (ko) 2021-11-11
US20230061776A1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2477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674881A1 (en)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sharing method using same
US10950205B2 (en) Electronic device, augmented reality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N109426478B (zh) 用于使用多个控制器控制电子设备的显示器的方法和设备
KR102583682B1 (ko) 전자 장치 및 증강 현실 기반의 공유 정보 표시 방법
KR102630452B1 (ko) 디바이스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
US11217031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second content for first content displayed on display according to movement of external object,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90102715A (ko) 컨트롤러와 접촉된 신체 부위에 따라 그래픽 객체를 다르게 표시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22134632A1 (zh) 作品处理方法及装置
KR20200028771A (ko) 사용자 의도 기반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장치
US20230074380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70100332A (ko) 화상 통화 방법 및 장치
KR20210029526A (ko) 이미지를 합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105388A (ko) 전자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KR102462678B1 (ko) 주변 조도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콘텐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CN112381729B (zh) 图像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2262364A (zh) 用于生成对象的电子装置和系统
KR20200072727A (ko) 웹 콘텐츠를 ar모드에서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262845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ibration
CN110213205B (zh) 验证方法、装置及设备
KR20210085696A (ko)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20200066962A (ko)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90697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bot
US11889181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lurality of lenses where the device changes a visual object corresponding to a recommended lens
KR20210136659A (ko)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