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351A -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의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의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351A
KR20210136351A KR1020200054469A KR20200054469A KR20210136351A KR 20210136351 A KR20210136351 A KR 20210136351A KR 1020200054469 A KR1020200054469 A KR 1020200054469A KR 20200054469 A KR20200054469 A KR 20200054469A KR 20210136351 A KR20210136351 A KR 20210136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transformer
processing unit
dcu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0136B1 (ko
Inventor
정준홍
김현옥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4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136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40Display of information, e.g. of data or contr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Abstract

실시예에 따르면, AMI운영서버로부터 계량 데이터 및 설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설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는 지도상의 DCU 실좌표에 도형을 표시하는 제1처리부; 상기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상기 도형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2처리부; 및 상기 계량 데이터 및 설비 데이터를 이용하여 DCU별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 수용가 인입선로의 역률, 변압기 이용률 및 변압기 불평형률을 계산하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도형의 색상을 조절하는 제3처리부를 포함하는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의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Visualization system and its method for transformer load monitor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의 시각화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난 10여년 전부터 전국의 한전 저압수용가를 대상으로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지능형 전력계량 인프라) 구축 공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AMI 구축에 있어 핵심 설비인 DCU(Data Concentration Unit, 데이터집중장치)는 현재 약 25만대가 수용가 인근 변대주에 설치되어 있으며, 지속적으로 그 수량이 늘어날 전망이다.
DCU는 배전용 변압기의 2차측 즉, 배전용 변압기와 수용가를 연결하는 인입선로에서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 때문에, DCU는 개별 수용가의 전력 사용정보를 수집하는 본래 기능과 더불어, 수용가측에 공급되는 인입선로의 전류, 전압, 전력량, 역률을 주기적으로 계측하여 전송하는 변압기 부하감시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 역률, 변압기 이용률, 변압기 불평형 등을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의 시각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AMI운영서버로부터 계량 데이터 및 설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설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는 지도상의 DCU(Data Concentration Unit) 실좌표에 도형을 표시하는 제1처리부; 상기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상기 도형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2처리부; 및 상기 계량 데이터 및 상기 설비 데이터를 이용하여 DCU별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 수용가 인입선로의 역률, 변압기 이용률 및 변압기 불평형률을 계산하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도형의 색상을 조절하는 제3처리부를 포함하는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계량 데이터는 변압기 감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설비 데이터는 변대주 위치정보, 변압기 용량 정보 및 전력량계 개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처리부는 상기 수용가 인입선로의 각 상별 유효전력량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특정 색을 선택하여 상기 도형의 색상을 표현하는 바, 0[kWh]는 제1 설정색으로 표현하고 유저(User)가 지정한 X[kWh]는 제2 설정색으로 표현하되 0[kWh] 내지 X[kWh] 사이의 값은 두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Gradation) 변화값에 해당하는 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제3처리부는 상기 수용가 인입선로의 각 상별 역률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특정 색을 선택하여 상기 도형의 색상을 표현하는 바, 100[%]는 제1 설정색으로 표현하고 유저가 지정한 Y[%]는 제2 설정색으로 표현하되 100[%] 내지 Y[%] 사이의 값은 두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에 해당하는 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제3처리부는 상기 변압기 각 상별 이용률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특정 색을 선택하여 상기 도형의 색상을 표현하는 바, 0[%]는 제1 설정색으로 표현하고 100[%]는 제2 설정색으로 표현하되 0[%] 내지 100[%] 사이의 값은 두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에 해당하는 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제3처리부는 상기 변압기 불평형률에 해당하는 특정 색을 선택하여 상기 도형의 색상을 표현하는 바, 0[%]는 제1 설정색으로 표현하고 유저가 지정한 Z[%]는 제2 설정색으로 표현하되 0[%] 내지 Z[%] 사이의 값은 두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에 해당하는 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AMI운영서버로부터 계량 데이터 및 설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제1처리부가 상기 설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는 지도상에 DCU의 실좌표에 도형을 표시하는 단계; 제2처리부가 상기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상기 도형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 및 제3처리부가 상기 계량 데이터 및 설비 데이터를 이용하여 DCU별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 수용가 인입선로의 역률, 변압기 이용률 및 변압기 불평형률을 계산하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도형의 색상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도형의 색상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3처리부가 상기 수용가 인입선로의 각 상별 유효전력량의 평균값을 특정 색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0[kWh]는 제1 설정색으로 하고 유저가 지정한 X[kWh]는 제2 설정색으로 하되 0[kWh] 내지 X[kWh] 사이의 값은 두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에 해당하는 색으로 상기 도형을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도형의 색상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3처리부가 상기 수용가 인입선로의 각 상별 역률의 평균값을 특정 색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100[%]는 제1 설정색으로 하고 유저가 지정한 Y[%]는 제2 설정색으로 하되 100[%] 내지 Y[%] 사이의 값은 두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에 해당하는 색으로 상기 도형을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도형의 색상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3처리부가 상기 변압기 각 상별 이용률의 평균값을 특정 색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0[%]는 제1 설정색으로 하고 100[%]는 제2 설정색으로 하되 0[%] 내지 100[%] 사이의 값은 두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에 해당하는 색으로 상기 도형을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도형의 색상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3처리부가 상기 변압기 불평형률을 특정 색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0[%]는 제1 설정색으로 하고 유저가 지정한 Z[%]는 제2 설정색으로 하되 0[%] 내지 Z[%] 사이의 값은 두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에 해당하는 색으로 상기 도형을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의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은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 역률, 변압기 이용률, 변압기 불평형 등을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시각화 정보를 기반으로 말단 수용가까지의 전력사용 패턴을 시간대별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배전변압기의 신설이나 용량증설 등의 판단 근거로 활용하거나 이를 통해 변압기 과부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 상불평형 해소를 통해 전력 사용 효율의 재고가 가능하다.
또한, 해당 시각화 정보를 대국민에게 제공함으로써 변압기 부하감시 빅데이터를 활용한 전력 부가서비스 발굴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2는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시스템(10)은 통신부(11), 제1처리부(12), 제2처리부(13), 제3처리부(14), 표시부(15) 및 유저 인터페이스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AMI운영서버로부터 계량 데이터 및 설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1)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12)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의 원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1)는 블루투스,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 인접 자장 통신(NF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AMI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주기적으로 계량 데이터 및 설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는 지리 정보 시스템과 통신하여 지리공간적으로 참조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AMI서버는 에너지 부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에너지 소비의 절감을 위하여 에너지 공급자와 사용자간 양방향 정보교환을 위한 인프라로써, 에너지 사용정보를 측정·수집·저장·분석 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총체적인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계량 데이터는 변압기 감시 정보를 포함하며, 설비 데이터는 변대주 위치정보, 변압기 용량 정보 및 전력량계 개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처리부(12)는 설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는 지도상의 DCU 실좌표에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지리정보 시스템은 NDIS(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로 배전분야 전력설비 운영 및 유지보수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구축된 정보 시스템으로써, 지리공간적으로 참조 가능한 형태의 정보를 수집, 저장, 갱신, 조정, 분석,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지리적 자료, 인적자원의 통합체계를 의미할 수 있다.
제1처리부(12)는 다각형, 원 등의 도형을 이용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는 지도상의 실좌표에 DCU를 표시할 수 있다.
제2처리부(13)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도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2처리부(13)는 DCU의 설치개소를 중심축으로 하는 원을 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되어 있는 지도상의 실좌표 위치에 표시하되, 해당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 수를 기준으로 원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처리부(13)는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을수록 이에 비례하여 도형의 크기를 크게 설정하고, 전력량계의 개수가 적을수록 이에 비례하여 도형의 크기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유저는 도형의 크기를 시각적으로 관찰한 후 검침하고 있는 전력량계의 개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제3처리부(14)는 계량 데이터 및 설비 데이터를 이용하여 DCU별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 수용가 인입선로의 역률, 변압기 이용률 및 변압기 불평형률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이용하여 도형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제3처리부(14)는 수용가 인입선로의 각 상별 유효전력량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특정 색을 선택하여 도형의 색상을 표현하는 바, 0[kWh]는 제1 설정색으로 표현하고 유저(User)가 지정한 X[kWh]는 제2 설정색으로 표현하되 0[kWh] 내지 X[kWh] 사이의 값은 두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Gradation) 변화값에 해당하는 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은 수용가 인입선로의 각 상별 유효 전력량의 평균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처리부(14)는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의 최솟값을 0[kWh]로 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1 설정색은 청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3처리부(14)는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의 최댓값을 유저가 지정한 X[kWh]로 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2 설정색은 적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3처리부(14)는 수신한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의 값과 0[kWh] 내지 X[kWh]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비율을 판단하고,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 사이에서 이에 해당하는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한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의 값이 0[kWh]와 X[kWh]의 중간값이라고 한다면, 제3처리부(14)는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 사이에서 중간값의 색상으로 도형을 채울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은 HSV색공간상에서 H좌표의 연속적인 변화를 의미할 수 있다. 즉, HSV색공간은 색상(Hue), 채도(Saturation), 명도(Brightness, Value)로 구성된 3차원 공간상에서 좌표를 이용하여 색을 지정할 수 있다. HSV좌표는 (색상(H), 채도(S), 명도(V))로 표현될 수 있다.
제3처리부(14)는 이러한 HSV공간에서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을 설정하고,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 사이에서 H값을 조절함으로써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을 조절할 수 있다.
HSV공간상에서 제2 설정색인 적색의 HSV좌표는 (0,100,100)이고, 제1 설정색인 청색의 HSV좌표는 (240, 100, 100)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처리부(14)는 수신한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의 값이 0[kWh]와 X[kWh]의 중간값이라고 한다면, (120, 100, 100)의 HSV좌표값을 가지는 색으로 도형을 표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유저는 도형의 색상이 적색에 가까울수록 DCU의 설치 개소 인근의 전력 사용량이 많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으며, 부하 밀집개소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개소에 변압기 등을 신설하는 등의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3처리부(14)는 해당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제2 설정색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제2 설정색의 채도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을수록 HSV공간에서 제2 설정색의 채도 좌표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HSV좌표상에서 채도의 좌표값은 클수록 해당 색상의 채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을수록 HSV좌표상에서 채도의 좌표값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50개인 DCU의 HSV좌표값은 (0, 100, 100)으로 표시되는 반면에,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10개인 DCU의 HSV좌표값은 (0, 20, 100)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제3처리부(14)는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의 비율에 따라 HSV좌표값 중 채도 좌표값의 비율을 점진적으로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은 개소가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제2 설정색의 명도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을수록 HSV공간에서 제2 설정색의 명도 좌표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HSV좌표상에서 명도의 좌표값은 작을 수록 해당 색상의 명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을수록 HSV좌표상에서 명도의 좌표값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50개인 DCU의 HSV좌표값은 (0, 100, 0)으로 표시되는 반면에,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10개인 DCU의 HSV좌표값은 (0, 100, 80)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제3처리부(14)는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의 비율에 따라 HSV좌표값 중 명도 좌표값의 비율을 점진적으로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은 개소가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제2 설정색의 채도 및 명도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3처리부(14)는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의 비율에 따라 HSV좌표값 중 채도 및 명도 좌표값의 비율을 점진적으로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3처리부(14)는 수용가 인입선로의 각 상별 역률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특정 색을 선택하여 도형의 색상을 표현하는 바, 100[%]는 제1 설정색으로 표현하고 유저가 지정한 Y[%]는 제2 설정색으로 표현하되 100[%] 내지 Y[%] 사이의 값은 두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에 해당하는 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수용가 인입선로의 역률은 수용가 인입선로의 각 상별 역률의 평균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처리부(14)는 수용가 인입선로의 역률의 최댓값을 100[%]로 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1 설정색은 청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3처리부(14)는 수용가 인입선로의 역률의 최솟값을 유저가 지정한 Y[%]로 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2 설정색은 적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3처리부(14)는 수신한 수용가 인입선로의 역률과 100[%] 내지 Y[%]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비율을 판단하고,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 사이에서 이에 해당하는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한 수용가 인입선로의 역률이 100[%]와 Y[%]의 중간값이라고 한다면, 제3처리부(14)는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 사이에서 중간값의 색상으로 도형을 채울 수 있다.
이 때, 제3처리부(14)는 HSV공간에서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을 설정하고,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 사이에서 H값을 조절함으로써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을 조절할 수 있다.
HSV공간상에서 제2 설정색인 적색의 HSV좌표는 (0,100,100)이고, 제1 설정색인 청색의 HSV좌표는 (240, 100, 100)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처리부(14)는 수신한 수용가 인입선로의 역률이 100[%]와 Y[%]의 중간값이라고 한다면, (120, 100, 100)의 HSV좌표값을 가지는 색으로 도형을 표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유저는 적색에 가까울수록 DCU 설치개소 인근의 역률이 저조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개소에 역률개선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제3처리부(14)는 해당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제2 설정색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3처리부(14)는 해당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제2 설정색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제2 설정색의 채도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을수록 HSV공간에서 제2 설정색의 채도 좌표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HSV좌표상에서 채도의 좌표값은 클수록 해당 색상의 채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을수록 HSV좌표상에서 채도의 좌표값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50개인 DCU의 HSV좌표값은 (0, 100, 100)으로 표시되는 반면에,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10개인 DCU의 HSV좌표값은 (0, 20, 100)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제3처리부(14)는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의 비율에 따라 HSV좌표값 중 채도 좌표값의 비율을 점진적으로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은 개소가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제2 설정색의 명도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을수록 HSV공간에서 제2 설정색의 명도 좌표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HSV좌표상에서 명도의 좌표값은 작을 수록 해당 색상의 명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을수록 HSV좌표상에서 명도의 좌표값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50개인 DCU의 HSV좌표값은 (0, 100, 0)으로 표시되는 반면에,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10개인 DCU의 HSV좌표값은 (0, 100, 80)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제3처리부(14)는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의 비율에 따라 HSV좌표값 중 명도 좌표값의 비율을 점진적으로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은 개소가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제2 설정색의 채도 및 명도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3처리부(14)는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의 비율에 따라 HSV좌표값 중 채도 및 명도 좌표값의 비율을 점진적으로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3처리부(14)는 변압기 각 상별 이용률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특정 색을 선택하여 도형의 색상을 표현하는 바, 0[%]는 제1 설정색으로 표현하고 100[%]는 제2 설정색으로 표현하되 0[%] 내지 100[%] 사이의 값은 두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에 해당하는 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변압기 이용률은 변압기 각 상별 이용률의 평균값을 의미할 수있으며, 하기 수학식 1과 수학식 2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수학식 1에서
Figure pat00003
는 변압기 각 상별 이용률의 평균값이고,
Figure pat00004
는 i상의 변압기 이용률이며, 수학식 2에서
Figure pat00005
는 i상의 평균전압,
Figure pat00006
는 i상의 평균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여기서, i=A, B, C).
예를 들어, 제3처리부(14)는 변압기 이용률의 최솟값을 0[%]로 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1 설정색은 청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3처리부(14)는 변압기 이용률의 최댓값을 100[%]로 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2 설정색은 적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3처리부(14)는 수신한 변압기 이용률과 0[%] 내지 100[%]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비율을 판단하고,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 사이에서 이에 해당하는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한 변압기 이용률이 50[%]라고 한다면, 제3처리부(14)는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 사이에서 중간값의 색상으로 도형을 채울 수 있다.
이 때, 제3처리부(14)는 HSV공간에서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을 설정하고,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 사이에서 H값을 조절함으로써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을 조절할 수 있다.
HSV공간상에서 제2 설정색인 적색의 HSV좌표는 (0,100,100)이고, 제1 설정색인 청색의 HSV좌표는 (240, 100, 100)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처리부(14)는 수신한 변압기 이용률이 50[%]라고 한다면, (120, 100, 100)의 HSV좌표값을 가지는 색으로 도형을 표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유저는 적색에 가까울수록 해당 개소에 설치된 변압기가 과부하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고, 변압기 용량을 증설하거나 신설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제3처리부(14)는 해당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제2 설정색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3처리부(14)는 해당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제2 설정색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제2 설정색의 채도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을수록 HSV공간에서 제2 설정색의 채도 좌표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HSV좌표상에서 채도의 좌표값은 클수록 해당 색상의 채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을수록 HSV좌표상에서 채도의 좌표값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50개인 DCU의 HSV좌표값은 (0, 100, 100)으로 표시되는 반면에,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10개인 DCU의 HSV좌표값은 (0, 20, 100)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제3처리부(14)는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의 비율에 따라 HSV좌표값 중 채도 좌표값의 비율을 점진적으로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은 개소가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제2 설정색의 명도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을수록 HSV공간에서 제2 설정색의 명도 좌표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HSV좌표상에서 명도의 좌표값은 작을 수록 해당 색상의 명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을수록 HSV좌표상에서 명도의 좌표값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50개인 DCU의 HSV좌표값은 (0, 100, 0)으로 표시되는 반면에,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10개인 DCU의 HSV좌표값은 (0, 100, 80)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제3처리부(14)는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의 비율에 따라 HSV좌표값 중 명도 좌표값의 비율을 점진적으로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은 개소가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제2 설정색의 채도 및 명도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3처리부(14)는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의 비율에 따라 HSV좌표값 중 채도 및 명도 좌표값의 비율을 점진적으로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3처리부(14)는 변압기 불평형률에 해당하는 특정 색을 선택하여 도형의 색상을 표현하는 바, 0[%]는 제1 설정색으로 표현하고 유저가 지정한 Z[%]는 제2 설정색으로 표현하되 0[%] 내지 Z[%] 사이의 값은 두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에 해당하는 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변압기 불평형률은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수학식 3에서, σ는 변압기 불평형률이고,
Figure pat00008
는 변압기 각 상별 이용률의 평균,
Figure pat00009
는 i상의 변압기 이용률이다.
예를 들어, 제3처리부(14)는 변압기 불평형률의 최솟값을 0[%]로 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1 설정색은 청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3처리부(14)는 변압기 불평형률의 최댓값을 유저가 지정한 Z[%]로 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2 설정색은 적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3처리부(14)는 수신한 변압기 불평형률과 0[%] 내지 Z[%]사이에서의 상대적인 비율을 판단하고,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 사이에서 이에 해당하는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한 변압기 불평형률이 0[%]와 Z[%]의 중간값이라고 한다면, 제3처리부(14)는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 사이에서 중간값의 색상으로 도형을 채울 수 있다.
이 때, 제3처리부(14)는 HSV공간에서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을 설정하고,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 사이에서 H값을 조절함으로써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을 조절할 수 있다.
HSV공간상에서 제2 설정색인 적색의 HSV좌표는 (0,100,100)이고, 제1 설정색인 청색의 HSV좌표는 (240, 100, 100)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처리부(14)는 수신한 변압기 불평형률이 0[%]와 Z[%]의 중간값이라고 한다면, (120, 100, 100)의 HSV좌표값을 가지는 색으로 도형을 표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유저는 적색에 가까울수록 해당 개소 변압기 간의 부하배분이 불평등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인입선로 이설공사 등의 조치를 통해 상 불평형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제3처리부(14)는 해당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제2 설정색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3처리부(14)는 해당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제2 설정색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제2 설정색의 채도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을수록 HSV공간에서 제2 설정색의 채도 좌표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HSV좌표상에서 채도의 좌표값은 클수록 해당 색상의 채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을수록 HSV좌표상에서 채도의 좌표값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50개인 DCU의 HSV좌표값은 (0, 100, 100)으로 표시되는 반면에,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10개인 DCU의 HSV좌표값은 (0, 20, 100)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제3처리부(14)는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의 비율에 따라 HSV좌표값 중 채도 좌표값의 비율을 점진적으로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은 개소가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제2 설정색의 명도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을수록 HSV공간에서 제2 설정색의 명도 좌표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HSV좌표상에서 명도의 좌표값은 작을 수록 해당 색상의 명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을수록 HSV좌표상에서 명도의 좌표값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50개인 DCU의 HSV좌표값은 (0, 100, 0)으로 표시되는 반면에,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10개인 DCU의 HSV좌표값은 (0, 100, 80)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제3처리부(14)는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의 비율에 따라 HSV좌표값 중 명도 좌표값의 비율을 점진적으로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가 많은 개소가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3처리부(14)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제2 설정색의 채도 및 명도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3처리부(14)는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의 비율에 따라 HSV좌표값 중 채도 및 명도 좌표값의 비율을 점진적으로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3처리부(14)는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 수용가 인입선로의 역률, 변압기 이용률 및 변압기 불평형률에서 선택된 복수개의 파라미터를 조합하여 도형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제3처리부(14)는 각각의 파라미터 값에 따른 도형 내 색상을 산출하고, 각각 산출된 색상을 혼합하여 혼합된 색상으로 도형 내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과 변압기 이용률을 동시에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3처리부(14)는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에 따라 산출된 제1색상과 변압기 이용률에 따라 산출된 제2색상을 혼합한 제3색상으로 DCU를 표현하는 도형 내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표시부(15)는 지리 정보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는 지도상에 제1처리부(12), 제2처리부(13) 및 제3처리부(14)를 통하여 가공 처리된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5)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5)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6)는 시스템(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6)는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5)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표시부(15)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6)는 시스템(10)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바, 제3처리부의 도형의 색상을 조절하기 위한 유저 지정값인 X, Y, Z 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2는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통신부는 AMI운영서버로부터 계량 데이터 및 설비 데이터를 수신한다(S201).
다음으로, 제1처리부는 설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는 지도상의 DCU 실좌표에 도형을 표시한다(S202).
다음으로, 제2처리부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도형의 크기를 조절한다(S203).
다음으로, 제3처리부는 계량 데이터 및 설비 데이터를 이용하여 DCU별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 수용가 인입선로의 역률, 변압기 이용률 및 변압기 불평형률을 계산하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도형의 색상을 조절한다(S204).
예를 들면, 제3처리부는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의 최솟값을 제1 설정색으로 하고,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의 최댓값을 제2 설정색으로 하여,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으로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을 도형에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처리부는 수용가 인입선로의 역률의 최댓값을 제1 설정색으로 하고, 수용가 인입선로의 역률의 최솟값을 제2 설정색으로 하여,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으로 수용가 인입선로의 역률을 도형에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처리부는 변압기 이용률의 최솟값을 제1 설정색으로 하고, 변압기 이용률의 최댓값을 제2 설정색으로 하여,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으로 변압기 이용률을 도형에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처리부는 변압기 불평형률의 최솟값을 제1 설정색으로 하고, 변압기 불평형률의 최댓값을 제2 설정색으로 하여, 제1 설정색과 제2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으로 변압기 불평형을 도형에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제3처리부는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제2 설정색의 채도 및 명도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시스템
11: 통신부
12: 제1처리부
13: 제2처리부
14: 제3처리부
15: 표시부
16: 유저 인터페이스부

Claims (12)

  1. AMI운영서버로부터 계량 데이터 및 설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설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는 지도상의 DCU(Data Concentration Unit) 실좌표에 도형을 표시하는 제1처리부;
    상기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상기 도형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2처리부; 및
    상기 계량 데이터 및 상기 설비 데이터를 이용하여 DCU별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 수용가 인입선로의 역률, 변압기 이용률 및 변압기 불평형률을 계산하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도형의 색상을 조절하는 제3처리부를 포함하는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데이터는 변압기 감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설비 데이터는 변대주 위치정보, 변압기 용량 정보 및 전력량계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처리부는 상기 수용가 인입선로의 각 상별 유효전력량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특정 색을 선택하여 상기 도형의 색상을 표현하되, 0[kWh]는 제1 설정색으로 표현하고 유저(User)가 지정한 X[kWh]는 제2 설정색으로 표현하며 0[kWh] 내지 X[kWh] 사이의 값은 두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Gradation) 변화값에 해당하는 색으로 표현하는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처리부는 상기 수용가 인입선로의 각 상별 역률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특정 색을 선택하여 상기 도형의 색상을 표현하되, 100[%]는 제1 설정색으로 표현하고 유저가 지정한 Y[%]는 제2 설정색으로 표현하며 100[%] 내지 Y[%] 사이의 값은 두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에 해당하는 색으로 표현하는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처리부는 상기 변압기 각 상별 이용률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특정 색을 선택하여 상기 도형의 색상을 표현하되, 0[%]는 제1 설정색으로 표현하고 100[%]는 제2 설정색으로 표현하며 0[%] 내지 100[%] 사이의 값은 두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에 해당하는 색으로 표현하는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처리부는 상기 변압기 불평형률에 해당하는 특정 색을 선택하여 상기 도형의 색상을 표현하되, 0[%]는 제1 설정색으로 표현하고 유저가 지정한 Z[%]는 제2 설정색으로 표현하며 0[%] 내지 Z[%] 사이의 값은 두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에 해당하는 색으로 표현하는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시스템
  7. 통신부가 AMI운영서버로부터 계량 데이터 및 설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1처리부가 상기 설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는 지도상의 DCU 실좌표에 도형을 표시하는 단계;
    제2처리부가 상기 DCU에서 검침하는 전력량계의 개수에 따라 상기 도형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 및
    제3처리부가 상기 계량 데이터 및 설비 데이터를 이용하여 DCU별 수용가 인입선로의 전력 사용량, 수용가 인입선로의 역률, 변압기 이용률 및 변압기 불평형률을 계산하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도형의 색상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의 색상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3처리부가 상기 수용가 인입선로의 각 상별 유효전력량의 평균값을 특정 색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0[kWh]는 제1 설정색으로 하고, 유저가 지정한 X[kWh]는 제2 설정색으로 하되, 0[kWh] 내지 X[kWh] 사이의 값은 두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에 해당하는 색으로 상기 전력 사용량을 상기 도형에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의 색상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3처리부가 상기 수용가 인입선로의 각 상별 역률의 평균값을 특정 색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100[%]는 제1 설정색으로 하고, 유저가 지정한 Y[%]는 제2 설정색으로 하되, 100[%] 내지 Y[%] 사이의 값은 두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에 해당하는 색으로 상기 역률을 상기 도형에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의 색상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3처리부가 상기 변압기 각 상별 이용률의 평균값을 특정 색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0[%]는 제1 설정색으로 하고, 100[%]는 제2 설정색으로 하되, 0[%] 내지 100[%] 사이의 값은 두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에 해당하는 색으로 상기 변압기 이용률을 상기 도형에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의 색상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3처리부가 상기 변압기 불평형률을 특정 색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0[%]는 제1 설정색으로 하고 유저가 지정한 Z[%]는 제2 설정색으로 하되 0[%] 내지 Z[%] 사이의 값은 두 설정색 사이의 그라디에이션 변화값에 해당하는 색으로 상기 변압기 불평형률을 상기 도형에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방법.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 시각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00054469A 2020-05-07 2020-05-07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의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380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469A KR102380136B1 (ko) 2020-05-07 2020-05-07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의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469A KR102380136B1 (ko) 2020-05-07 2020-05-07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의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351A true KR20210136351A (ko) 2021-11-17
KR102380136B1 KR102380136B1 (ko) 2022-03-29

Family

ID=78702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469A KR102380136B1 (ko) 2020-05-07 2020-05-07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의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1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0043A (ko) 2022-01-14 2023-07-21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Ai를 이용한 ami 설비 이상 탐지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136A (ko) * 2005-01-22 2006-07-26 김영일 수배전반의 정보시각화를 위한 퍼지알고리즘 기법의 전력파라미터 산출방법
KR20110127033A (ko) * 2010-05-18 2011-11-24 주식회사 효성 실시간 전력정보를 이용한 전력계통의 운영방법
KR20200019284A (ko) * 2018-08-08 2020-02-24 허길수 에너지 빅데이터 수집에 기반한 에너지 분석 및 솔루션 제시 플랫폼을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136A (ko) * 2005-01-22 2006-07-26 김영일 수배전반의 정보시각화를 위한 퍼지알고리즘 기법의 전력파라미터 산출방법
KR20110127033A (ko) * 2010-05-18 2011-11-24 주식회사 효성 실시간 전력정보를 이용한 전력계통의 운영방법
KR20200019284A (ko) * 2018-08-08 2020-02-24 허길수 에너지 빅데이터 수집에 기반한 에너지 분석 및 솔루션 제시 플랫폼을 위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0043A (ko) 2022-01-14 2023-07-21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Ai를 이용한 ami 설비 이상 탐지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136B1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1010C (en)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 improvement for plug-in electric vehicles
KR101776641B1 (ko)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전력수요처의 실시간 사용전력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lark et al. Wireless networks for the smart energy grid: application aware networks
US10122171B2 (en) Wireless power control and metrics
Aalamifar et al. Cost-efficient data aggregation point placement for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Batista et al. Layered smart grid architecture approach and field tests by ZigBee technology
AU2012201828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of phase identification using a smart meter
CA2773789A1 (en) System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KR102380136B1 (ko) 변압기 부하감시 정보의 시각화 시스템 및 방법
US20130131880A1 (en)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Nama et al. Real-time monitoring system of electrical quantities on ICT Centre building University of Lampung based on Embedded Single Board Computer BCM2835
CN105023414A (zh) 一种移动终端与电能表互联系统及智能电能表
CN106455004A (zh) 一种用于提供无线接入点的方法与设备
US853312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ase identification in a three-phase power distribution network
CN102891449A (zh) 一种电网运行数据展示分析系统
US20130286920A1 (en) Wireless relay device, wireless lan system, wireless relay method and program
CN105023415A (zh) 利用移动终端通信的电能表系统及多通信通道电能表系统
CN109242722A (zh) 台区线损在线监测方法、系统及终端设备
US92559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ase identification in a three-phase power distribution network using servers
Strbac et al. Strategies for reducing losses in distribution networks
JP6782330B2 (ja) マルチチャンネル電力統合管理システム
Arboleya et al. Flexibility management in the low-voltage distribution grid as a tool in the process of decarbonization through electrification
Kulatunga et al. Hardware development for Smart Meter based innovations
Huang et al. Optimal smart grid tariffs
Palate et al. Aggregator units allocation in low voltage distribution networks with penetration of photovoltaic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