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346A - Catalyst module and cyclon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atalyst module and cyclon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346A
KR20210136346A KR1020200054451A KR20200054451A KR20210136346A KR 20210136346 A KR20210136346 A KR 20210136346A KR 1020200054451 A KR1020200054451 A KR 1020200054451A KR 20200054451 A KR20200054451 A KR 20200054451A KR 20210136346 A KR20210136346 A KR 20210136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talyst
inner pipe
external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4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86265B1 (en
Inventor
송창용
Original Assignee
송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창용 filed Critical 송창용
Priority to KR1020200054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265B1/en
Publication of KR20210136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3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2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81Venturi's or systems showing a venturi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21Removing nitrogen compounds
    • B01D53/8625Nitrogen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8Handling or mounting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alyst module to increase dust collection efficiency and a dust collec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alyst module comprises: an inner unit including an inner pipe having an inlet space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n internal mesh part covering the inner pipe; an outer unit including an external mesh part forming an intervening space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mesh parts; a catalyst filled in the intervening space between the inner unit and the outer unit; a venturi uni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ner unit and discharging the introduced external air; and a fixing uni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unit to fix the catalyst.

Description

촉매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CATALYST MODULE AND CYCLONE HAVING THE SAME}Catalyst module and dust collector including same {CATALYST MODULE AND CYCLO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촉매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물질 등의 제거에 사용되며, 촉매의 안정적인 고정 및 촉매를 이용한 환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촉매 모듈 및 상기 촉매모듈을 포함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alyst module and a dust collecto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talyst module and a catalyst module that are used to remove contaminants, etc. It relates to a dust collector comprising.

화석연료의 사용 등에 따라 발생되는 미세분진 또는 미세입자를 포함한 유해가스의 경우, 대기오염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집진장치를 통해 유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대기 중으로 유출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noxious gas containing fine dust or fine particles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fossil fuels, etc., in order to prevent problems such as air pollution, it may be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with harmful substances removed through the dust collector.

이에 따라, 상기 유해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집진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종래의 대부분의 집진장치의 경우, 필터가 구비된 필터식 집진장치로서, 분진만 제거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Accordingly, various dust collectors for removing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harmful gas have been developed. In the case of most conventional dust collectors, a filter-type dust collector equipped with a filter, which removes only dust, is typical.

그러나, 최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4433호에서와 같이, 나노입자 또는 가스상 물질 처리용 융합장치로서, 필터유닛과 별도의 촉매유닛이 구비되어 필터링과 환원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집진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가스나 냄새까지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However, recently, as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24433, as a fusion device for treating nanoparticles or gaseous substances, a filter unit and a separate catalyst unit are provided to sequentially perform filtering and reduction to improv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As well as improving the technology, technology that effectively removes gas and odors is being developed.

다만, 현재까지는 필터유닛과 촉매유닛은 별도의 챔버들에 서로 분리되어 위치하도록 설계됨에 따라, 설치에 따른 공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촉매유닛의 경우 더미(dummy) 형태의 촉매가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촉매의 고정이 어렵거나 촉매의 일부가 쉽게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However, until now, as the filter unit and the catalyst unit are designed to be locat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in separate chambers, there has been a problem of increased space and cost due to installation. As it has a structure disposed inside the chamber, there are problems such as difficulty in fixing the catalyst or part of the catalyst being easily damag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24433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24433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촉매의 안정적인 고정 및 촉매를 이용한 환원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설치 공간의 최적화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한 촉매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talyst module capable of stably fixing the catalyst and improving the reduction effect using the catalyst, as well as optimizing the installation space and reducing the cost.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촉매모듈을 포함하는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collector including the catalyst modul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촉매모듈은 내부유닛, 외부유닛, 촉매, 벤츄리부 및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유닛은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인입공간이 형성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파이프, 및 상기 내부 파이프를 커버하는 내부 메쉬부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유닛은 상기 내부 메쉬부와의 사이에서 개재공간을 형성하는 외부메쉬를 포함한다. 상기 촉매는 상기 내부유닛과 상기 외부유닛 사이의 상기 개재공간에 충진된다. 상기 벤츄리부는 상기 내부유닛의 일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인입된 외부공기가 유출된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내부유닛의 타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촉매를 고정시킨다. A catalys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nal unit, an external unit, a catalyst, a venturi unit and a fixed unit. The inner unit includes an inner pipe having an inlet space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n inner mesh part covering the inner pipe. The outer unit includes an outer mesh forming an intervening space between the inner mesh portion. The catalyst is filled in the intervening space between the inner unit and the outer unit. The venturi uni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ner unit, and the introduced external air flows out. The fixing un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unit to fix the catalys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파이프는, 상기 벤츄리부가 연결되는 일 끝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인입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밀폐된 여유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ner pipe,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from one end to which the venturi part is connected, may include a closed margin so that the inlet space is not form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여유부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유닛과 상기 외부유닛 사이의 개재공간에 충진되는 예비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pre-catalyst positioned in the spare portion and filled in the intervening space between the internal unit and the external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입공간은, 상기 내부 파이프의 연장 방향, 및 상기 내부 파이프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the inlet spaces may be formed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inner pipe and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ip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메쉬부는, 메쉬(mesh)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 파이프를 커버하는 내부메쉬, 및 상기 내부 파이프의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인입공간들의 사이에, 상기 외부유닛을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ner mesh portion, between the inner mesh having a mesh structure and covering the inner pipe, and the inlet spaces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ner pipe, protrudes toward the outer unit It may include a fixed frame that is.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외부유닛을 고정하여, 상기 외부유닛과 상기 내부유닛 사이에 상기 개재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xing frame may fix the external unit to form the intervening space between the external unit and the internal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내부 파이프의 타 끝단을 밀폐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상기 외부유닛을 향하여 확장되며, 외면이 상기 외부유닛의 타 끝단에 고정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xing unit may include a plate portion sealing the other end of the inner pipe,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plate portion toward the outer unit, the outer surface of which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outer unit. ha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상기 외부유닛을 향하여, 상기 내부 파이프의 연장 방향에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외부유닛의 원주방향을 향해 돌출되며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xtension portion, from the plate portion toward the outer unit,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an oblique direction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inner pipe, and the extension portion protrudes from the extension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unit and extends It may include a protrusion that becom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the extension parts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 part.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는, 유해가스가 제공되는 하부 챔버, 상기 유해가스가 상승되며 필터링되는 챔버부, 및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부챔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챔버부의 내부에는, 상기 유해가스를 필터링하는 필터유닛, 및 상기 필터유닛의 내부에 위치하는 촉매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촉매모듈은, 상기 유해가스가 인입되는 복수의 인입공간들이 형성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파이프, 및 상기 내부 파이프를 커버하는 내부 메쉬부를 포함하는 내부유닛, 상기 내부 메쉬부와의 사이에서 개재공간을 형성하는 외부메쉬를 포함하는 외부유닛, 상기 내부유닛과 상기 외부유닛 사이의 상기 개재공간에 충진되는 촉매, 상기 내부유닛의 일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인입된 유해가스가 필터링되어 유출되는 벤츄리부, 및 상기 내부유닛의 타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촉매를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한다.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chamber to which noxious gas is provided, a chamber part through which the noxious gas is raised and filtered, and an upper chamber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air to the outside. includes In this case, the inside of the chamber part includes a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harmful gas, and a catalyst module located inside the filter unit. The catalyst module is interposed between an inner unit including an inner pi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inlet spaces into which the harmful gas is introduced, and an inner mesh portion covering the inner pipe, and the inner mesh portion. An external unit including an external mesh forming a space, a catalyst filled in the intervening space between the internal unit and the external unit, a venturi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ternal unit, the introduced harmful gas is filtered out and a fixing uni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unit to fix the catalys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해가스는,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하며 유해가스 입자가 필터링되고, 상기 촉매모듈을 통과하며 상기 유해가스에 대한 환원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noxious gas passes through the filter unit to filter out noxious gas particles, and passes through the catalyst module to perform a reduction reaction on the noxious ga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집진장치에서, 필터유닛이 각각의 촉매모듈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어, 일체화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필터유닛과 촉매모듈을 별도의 챔버나 공간에 배치시킴에 따라 부피가 증가하고 설계가 복잡해지는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필터링과 환원 반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집진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ust collector, as the filter unit is provided to cover the outside of each catalyst module and is configured to be integrated, the filter unit and the catalyst module are arranged in separate chambers or spaces. It can bring about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by continuously performing the filtering and reduction reactions while minimizing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volume and complicating the design.

또한, 상기 촉매모듈은 내부유닛과 외부유닛의 사이에 개재공간에 촉매가 충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촉매를 통과한 공기가 내부 파이프를 통해 상부의 벤츄리부를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자연스러운 공기 유동이 유도되면서 촉매를 통한 환원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유해물질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atalyst modul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atalyst is filled in the intervening space between the inner unit and the outer unit, and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atalyst flows out through the upper venturi unit through the inner pipe, so that natural air flow is Reduction through the catalyst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while being induced, thereby enabling more effective removal of harmful substances.

특히, 내부 유닛에는 고정 프레임이 인입공간들 사이마다 형성되어, 촉매가 위치하는 개재공간을 형성하는 것은 물론 촉매모듈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됨에 따라, 촉매가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쏠리는 문제를 해결하여 촉매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internal unit has a fixed frame formed between the inlet spaces to form an intervening space in which the catalyst is located. The position of the catalyst can be effectively fixed.

나아가, 고정유닛은 상기 촉매모듈의 하부 끝단에 위치하며, 내부 파이프의 하부 끝단을 밀폐하여 공기의 유출을 차단하고,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확장부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이 가능하면서도 상부의 촉매가 하부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fixing unit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catalyst module, and blocks the outflow of air by sealing the lower end of the inner pipe, and allows the inflow of ai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extension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while the upper catalyst It is possible to minimize leakage to the bottom.

또한, 시간이 경과할수록 촉매가 외부로 소실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외부로 촉매가 소실되는 경우, 여유부에 구비되는 예비촉매가 하부로 이동됨으로써, 공기가 통과하는 인입공간에서 소실되는 촉매를 실질적으로 보완할 수 있어, 외부 공기에 대한 환원 효과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catalyst is lost to the outside as time elapses. It is possible to substantially supplement the catalyst to be used, so that the reducing effect on the outside air can be kept consta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촉매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벤츄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방향을 따라 관측한 저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내부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들이고, 도 6은 도 1의 외부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촉매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atalyst module of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venturi unit of FIG. 2 .
4 is a bottom view observed along the 'A' direction of FIG.
5A and 5B are side views showing the inner unit of FIG. 1 separated, and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outer unit of FIG. 1 .
FIG. 7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catalyst module of FIG. 1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ing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10)는 하부챔버(30), 인입부(40), 챔버부(20), 상부챔버(50), 인출부(60), 펄스유닛(70), 필터유닛(25) 및 촉매모듈(1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dust collector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lower chamber 30 , an inlet portion 40 , a chamber portion 20 , an upper chamber 50 , an outlet portion 60 , and a pulse unit ( 70), a filter unit 25 and a catalyst module 100.

이 경우, 도 1에 예시된 집진장치(10)는 상기 펄스유닛(70) 및 상기 필터유닛(25)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도시된 것 외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필터링하여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제공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dust collector 10 illustrated in FIG. 1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other than those shown, except for the structures of the pulse unit 70 and the filter unit 25 , and through this, By filtering the incoming harmful gas, purified air is provided to the outside.

상기 하부챔버(30)는 상기 집진장치(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챔버로, 상기 인입부(40)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나노입자, 가스상 물질 등을 포함하는 유해가스를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챔버부(20)로 제공하는 챔버이다.The lower chamber 30 is a chamber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dust collector 10 , and places harmful gas including nanoparticles and gaseous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40 at the upper portion. It is a chamber provided to the chamber unit (20).

이 경우, 상기 하부챔버(30)에는 상승기류가 형성되어 상기 유해가스는 상부의 챔버부(20)로 이동되데, 상기 유해가스에 포함되는 상대적으로 큰 입자상의 물질들은 하부로 낙하하여 1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In this case, an upward airflow is formed in the lower chamber 30 and the noxious gas is moved to the upper chamber part 20, and the relatively large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noxious gas falls to the lower side and is primarily can be removed.

상기 챔버부(20)는 내부에 챔버공간(21)을 형성하는 원통형 형상의 챔버로서, 상기 챔버공간(21)에는 상기 필터유닛(25) 및 상기 촉매모듈(100)이 위치한다. The chamber part 20 is a cylindrical chamber forming a chamber space 21 therein, and the filter unit 25 and the catalyst module 100 are located in the chamber space 21 .

이 경우, 상기 필터유닛(25)은 상기 촉매모듈(100)의 외부를 커버한다. 즉, 상기 필터유닛(25)의 내부에 상기 촉매모듈(100)이 위치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lter unit 25 covers the outside of the catalyst module 100 . That is, the catalyst module 100 may be located inside the filter unit 25 .

상기 필터유닛(25)은 소정의 필터가 적용되어, 상기 촉매모듈(100)로 상기 유해가스가 인입되기 전에, 상기 유해가스가 포함하는 입자상 물질을 필터링한다. The filter unit 25 filters particulate matter included in the noxious gas before the noxious gas is introduced into the catalyst module 100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ilter.

또한, 상기 필터유닛(25)은 상기 필터링이 필요한 입자상 물질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필터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various filters may be applied to the filter unit 25 according to the size or type of particulate matter that needs to be filtered, and the range is not limited.

이렇게 상기 필터유닛(25)을 통과하여 필터링된 유해가스는 상기 촉매모듈(100)로 인입되며, 상기 촉매모듈(100)을 통과하며 상기 유해가스에 포함되는 질소산화물 등의 유해물질에 대한 환원 반응이 수행되고, 이에 따라 상기 유해가스의 유해물질의 제거가 수행된다. The noxious ga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unit 25 is introduced into the catalyst module 100, passes through the catalyst module 100, and reduces the harmful substances such as nitrogen oxides contained in the noxious gas. This is performed, and thus the removal of harmful substances of the harmful gas is performed.

이 경우, 상기 유해가스는 상기 필터유닛(25) 및 상기 촉매모듈(100)의 측면을 통해 인입되어, 상기 촉매모듈(100)의 내부를 통과하여 환원 반응이 유도된 후, 상기 촉매모듈(100)의 상부를 통해 유출된다. In this case, the harmful gas is introduced through the side surfaces of the filter unit 25 and the catalyst module 100 ,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catalyst module 100 to induce a reduction reaction, and then the catalyst module 100 )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한편, 상기 촉매모듈(100)의 상부는 상기 상부챔버(50)로 연결되므로, 상기와 같이 상기 필터유닛(25) 및 상기 촉매모듈(100)을 통과하여 정화된 유해가스는 상기 상부챔버(50)로 제공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catalyst module 100 is connected to the upper chamber 50, the harmful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25 and the catalyst module 100 as described above is purified in the upper chamber 50 ) is provided.

상기 상부챔버(50)에는, 상기 필터유닛(25) 및 상기 촉매모듈(100)의 상부에 펄스를 제공하는 펄스유닛(7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펄스유닛(70)이 상기 촉매모듈(100)들의 각각에 개별적으로 펄스(pulse)를 공급함에 따라, 상기 유해가스에 대한 필터링 및 환원 반응이 가속화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펄스의 공급에 따라, 상기 필터유닛(25) 및 상기 촉매모듈(100)에 적층되는 유해입자나 유해물질을 하방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In the upper chamber 50, a pulse unit 70 for providing a pulse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filter unit 25 and the catalyst module 100 may be provided, and the pulse unit 70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catalyst module ( By supplying a pulse individually to each of 100), the filtering and reduction reaction for the harmful gas can be accelerated.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supply of the pulse, harmful particles or harmful substances stacked on the filter unit 25 and the catalyst module 100 may be removed downward.

이와 같이, 상기 상부챔버(50)로 제공되는 정화된 유해가스는 상기 인출부(60)를 통해, 외부 또는 추가적인 처리 유닛 등으로 제공된다.In this way, the purified noxious gas provided to the upper chamber 50 is provided to the outside or an additional processing unit or the like through the withdrawal unit 60 .

즉,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집진장치(10)를 통해서는, 상기 필터유닛(25)이 각각의 상기 촉매모듈(10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어, 일체화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필터유닛과 촉매모듈을 별도의 챔버나 공간에 배치시킴에 따라 부피가 증가하고 설계가 복잡해지는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필터링과 환원 반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집진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That is, through the dust collector 10 in this embodiment, the filter unit 25 is provided to cover the outside of each of the catalyst modules 100 and is configured to be integrated with the filter unit and the catalyst. By disposing the module in a separate chamber or spac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volume and minimize the problem of design complexity, while continuously performing filtering and reduction reactions to further improve dust collection efficiency.

이하에서는, 상기 촉매모듈(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atalyst modul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도 1의 촉매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벤츄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방향을 따라 관측한 저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내부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들이고, 도 6은 도 1의 외부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촉매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atalyst module of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venturi unit of FIG. 2 . 4 is a bottom view observed along the 'A' direction of FIG. 5A and 5B are side views showing the inner unit of FIG. 1 separated, and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outer unit of FIG. 1 . FIG. 7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catalyst module of FIG. 1 .

즉,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촉매모듈(100)은, 벤츄리부(200), 내부유닛(300), 고정유닛(330), 외부유닛(400), 촉매(101) 및 예비촉매(102)를 포함한다.That is, referring to FIGS. 2 to 7 , the catalyst module 100 includes a venturi unit 200 , an internal unit 300 , a fixed unit 330 , an external unit 400 , a catalyst 101 and a precatalyst. (102).

상기 내부유닛(300)은 상기 촉매모듈(100)의 내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 파이프(310) 및 내부 메쉬부(320)를 포함한다. The inner unit 300 forms the inside of the catalyst module 100 and includes an inner pipe 310 and an inner mesh portion 320 .

상기 내부 파이프(3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체적으로 중공(hollow) 구조를 가지는 파이프(pipe) 형상이다. The inner pipe 310 extends in one direction and has a pipe shape having a hollow structure as a whole.

이 경우, 상기 내부 파이프(310)의 길이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파이프(310)의 내경 역시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inner pipe 31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ways,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pipe 310 may also be designed in various ways.

상기 내부 파이프(310)는, 전체적으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내부 프레임(311)과 상기 내부 프레임(311)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인입공간들(313)을 포함한다. The inner pipe 310 includes an inner frame 311 having a pipe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s a whole and a plurality of inlet spaces 313 formed on the inner frame 311 .

이 경우, 상기 인입공간들(313)은 상기 내부 파이프(3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파이프(310)의 원주 방향, 즉 상기 내부 파이프(310)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도 복수개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plurality of the inlet spaces 313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ner pipe 310 , and may be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ipe 310 , that is, the inner pipe 310 . )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eve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공간들(313)은 상기 내부 파이프(310)의 연장방향을 따라, 4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부 파이프(3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3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5A , four of the inlet spaces 313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ner pipe 310 ,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ipe 310 is Accordingly, the three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 경우, 상기 인입공간들(313)의 개수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n this case, it is obvious that the number of the inlet spaces 313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한편, 상기 내부 파이프(310)의 일 끝단(상기 내부 파이프(310)가 도 2에서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기립된 상태라면, 상부 끝단에 해당됨)에는 별도의 인입공간(313)이 형성되지 않고 여유부(312)가 소정 길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여유부(312)의 길이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후술하겠으나, 환원 반응의 진행에 따라 소실되는 촉매의 양을 고려하여 상기 여유부(312)의 길이를 설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t one end of the inner pipe 310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when the inner pipe 310 is in a state of standing up and down as in FIG. 2 ), a separate inlet space 313 is not formed and a free space is not formed. The portion 312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pare portion 312 may be designed in various ways,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ength of the spare portion 312 may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catalyst lost as the reduction reaction proceeds.

상기 내부 메쉬부(320)는, 상기 내부 파이프(310)의 외면을 커버하는 메쉬(mesh)인 내부 메쉬(321)와, 상기 내부 메쉬(321)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 프레임(322)을 포함한다. The inner mesh unit 320 includes an inner mesh 321 that is a mesh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ipe 310 and a fixed frame 322 formed on the inner mesh 321 at regular intervals. includes

상기 내부 메쉬(321)는 후술되는 상기 촉매(101)가 유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메쉬(mesh) 구조인 것으로 충분하며, 금속 재질로 상대적으로 구조적인 안전성이 높은 재료일 수 있다. It is sufficient that the inner mesh 321 has a mesh structure having a size such that the catalyst 10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oes not flow out, and may be a metal material with relatively high structural safety.

상기 고정 프레임(322)은 상기 내부 메쉬(321)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프레임(311)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frame 322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mesh 321 and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311 .

상기 고정 프레임(322)은, 상기 내부 프레임(311)에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인입공간들(313)의 사이마다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프레임(311)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ixing frame 322 may be formed between the inlet spaces 313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inner frame 311 , and may have a protrusion shape protruding from the inner frame 311 . .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322)이 돌기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고정 프레임(322)의 돌출되는 길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프레임(322)이 돌출되는 길이에 따라 상기 내부유닛(300)과 상기 외부유닛(400) 사이의 간격이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xing frame 322 has a protrusion shape,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ixing frame 322 may be variously changed, and the inner unit 300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fixing frame 322 protruding. )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xternal unit 400 may be set.

즉, 상기 고정 프레임(322)이 상기 내부 메쉬부(3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내부 유닛(300)과 상기 외부유닛(400) 사이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이격되는 사이에 개재공간(325)이 형성된다. That is, as the fixing frame 32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mesh portion 320, the inner unit 300 and the outer unit 4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intervening space ( 325) is formed.

상기 벤츄리부(200)는 상기 내부유닛(300)의 일 끝단, 즉 상부 끝단인 상기 여유부(312)의 끝단에 연결되며, 벤츄리(venturi) 형태로 형성되어,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게 된다. The venturi unit 20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ner unit 300, that is, the end of the free portion 312, which is the upper end, and is formed in a venturi shape to control the flow of air passing therethrough. do.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공기는 상기 인입공간(313)을 통해 인입되어 상기 내부 파이프(310)의 중공인 내부를 통과하며 상측의 상기 벤츄리부(20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Thus, in this embodiment, outsid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space 313 , passes through the hollow inside of the inner pipe 310 , and flows out through the venturi unit 200 on the upper side.

상기 외부유닛(400)은 상기 내부 메쉬부(320)의 외부를 커버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 프레임(322)에 의해 상기 내부 메쉬부(320)와 소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내부 메쉬부(320)의 외부를 커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외부유닛(400)과 상기 내부 메쉬부(320) 사이에는 개재공간(325)이 형성된다. The external unit 400 covers the outside of the internal mesh part 320 , is spaced apart from the internal mesh part 3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fixing frame 322 , and is outside the internal mesh part 320 . and, accordingly, an intervening space 325 is formed between the external unit 400 and the internal mesh part 320 .

상기 외부유닛(400)은 외부메쉬(410)와 외부 프레임(420)을 포함한다.The outer unit 400 includes an outer mesh 410 and an outer frame 420 .

상기 외부메쉬(410)는 메쉬 구조로, 상기 내부 메쉬(321)와 유사하게 상기 촉매(101)가 유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메쉬(mesh) 구조인 것으로 충분하며, 금속 재질로 상대적으로 구조적인 안전성이 높은 재료일 수 있다. The outer mesh 410 is a mesh structure, similar to the inner mesh 321, it is sufficient to have a mesh structure having a size such that the catalyst 101 does not flow out, and it is relatively structured with a metal material. It may be a material with a high level of safety.

상기 외부 프레임(420)은, 상기 외부메쉬(41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메쉬(410)의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프레임(420)은 나선형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부메쉬(410)를 고정할 수 있다. The outer frame 420 may exten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mesh 410 to stably maintain the structure of the outer mesh 410 .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manufacturing convenience and improve structural safety, as shown in FIG. 6 , the outer frame 420 may extend in a spiral shape and fix the outer mesh 410 .

상기 고정유닛(330)은 상기 내부유닛(300) 및 상기 외부유닛(400)의 타 끝단(상기 촉매모듈(100)이 상하방향으로 기립하여 위치하는 경우, 하부 끝단)에 고정된다. The fixing unit 330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unit 300 and the outer unit 400 (the lower end when the catalyst module 100 is positioned upr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고정유닛(330)은 플레이트부(331), 연결부(332) 및 확장부(335)를 포함한다. The fixing unit 330 includes a plate part 331 , a connection part 332 , and an extension part 335 .

상기 플레이트부(331)는 상기 고정유닛(330)의 중앙에 원형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파이프(310)의 타 끝단, 즉 하부 끝단을 밀폐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플레이트부(331)의 직경은 상기 내부 파이프(310)의 중공인 내부를 밀폐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late part 33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late at the center of the fixing unit 330 , and seals the other end,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inner pipe 310 . To this end, the diameter of the plate part 331 may be large enough to seal the hollow inside of the inner pipe 310 .

그리하여, 상기 내부 파이프(310)로 인입된 공기는, 상기 플레이트부(331)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되며, 상부의 벤츄리부(200)를 통해 유출되게 된다. Thu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pipe 310 is blocked from flowing downward by the plate part 331 , and flows out through the upper venturi part 200 .

상기 연결부(332)는, 상기 플레이트부(331)의 중앙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촉매모듈(100)이 기립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 구조에 해당된다. The connection part 33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plate part 331 , and although not shown, corresponds to a connection structure for fixing the catalyst module 100 to stand up.

상기 확장부(335)는 상기 플레이트부(331)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부유닛(400)을 향하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으로, 연장부(333) 및 돌출부(334)를 포함한다. The extension part 335 extend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 part 331 toward the external unit 400 and includes an extension part 333 and a protrusion part 334 .

즉, 상기 연장부(333)는 상기 플레이트부(331)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부유닛(4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That is, the extension part 333 extend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 part 331 toward the external unit 400 .

이 경우, 상기 외부유닛(400)의 타 끝단, 즉 하부 끝단은 상기 내부유닛(300)의 타 끝단보다 소정길이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즉 상기 외부유닛(400)의 길이가 상기 내부유닛(300)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장부(333)는 상기 내부유닛(300)의 타 끝단으로부터 상기 외부유닛(400)의 타 끝단으로 연장되므로, 결국, 상기 연장부(333)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부(331)로부터 사선방향으로 상기 외부유닛(400)의 타 끝단을 향하여 연장된다. In this case, the other end of the external unit 400, that is, the lower end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more than the other end of the internal unit 300, that is, the length of the external unit 400 is the internal unit ( 300) is formed larger than the length. On the other hand, since the extension part 333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the inner unit 300 to the other end of the external unit 400, as a result, the extension part 333 is It extends from the plate part 331 in an oblique direction toward the other end of the external unit 400 .

상기 연장부(333)는 상기 플레이트부(331)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333)의 개수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extension parts 333 may exten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 part 331 , and the number of the extension parts 333 may be variously selected.

상기 돌출부(334)는 상기 연장부(333)로부터 상기 외부유닛(400)의 원주방향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돌출부(334)의 형성에 따라 상기 확장부(335)가 상기 외부유닛(400)의 타 끝단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The protrusion 334 protrudes from the extension part 33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xternal unit 400 , and the extension part 335 is formed of the external unit 400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the protrusion part 334 .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is increased.

그리하여, 상기 고정유닛(330)이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외부유닛(400)에 고정되게 되며, 상기 촉매(101)의 유출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촉매(101)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Thus, the fixing unit 330 is more stably fixed to the external unit 400 , and it is possible to stably fix the catalyst 101 while minimizing the outflow of the catalyst 101 .

상기 촉매(101)는 상기 개재공간(325) 상에 충진되는 것으로, 상기 촉매모듈(100)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인입공간들(313)로 공기가 인입되는 경우, 필수적으로 상기 개재공간(325)에 충진된 상기 촉매(101)를 통과하게 된다. The catalyst 101 is filled on the intervening space 325 , and w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spaces 313 from the side of the catalyst module 100 , it is essentially in the intervening space 325 . It passes through the filled catalyst 101 .

상기 촉매(101)는, 상기 외부 공기, 즉 유해가스가 포함하는 질소산화물과 같은 유해물질의 환원 작용을 가속화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상기 유해물질의 제거가 촉진될 수 있다. The catalyst 101 accelerates the reduction action of harmful substances such as nitrogen oxides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that is, the harmful gas, and through this, the removal of the harmful substances can be promoted.

한편, 상기 촉매(101)는 상기 촉매모듈(100)이 기립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환원 작용의 수행에 따라 일부가 하부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촉매(101)의 손실로 인해 외부공기에 대한 균일한 촉매 작용이 제한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촉매의 유출은, 상기 인입공간들(313)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talyst 101, the catalyst module 100 is positioned in a standing state, and a part of the catalyst 101 may flow out from the bottom or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reduction action. Uniform catalysis may be limited. In particular, the outflow of the catalyst may occur in the portion where the inlet spaces 313 are formed.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예비촉매(102)를 상기 인입공간들(313)이 형성되지 않은 여유부(312) 상에 충진시킴으로써, 상기 촉매(101)가 상기 개재공간(325)으로부터 손실되는 경우,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기 예비촉매(102)가 낙하하여 상기 손실된 부분의 촉매를 보충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in this embodiment, the catalyst 101 is lost from the intervening space 325 by filling the pre-catalyst 102 on the free portion 312 in which the inlet spaces 313 are not formed. In such a case, the precatalyst 102 naturally falls by gravity to replenish the lost portion of the catalyst.

그리하여, 상기 환원 작용의 가속화를 통한 상기 유해물질의 제거를 일정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us, it is possible to consistently and effectively remove the harmful substances through the acceleration of the reduction ac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집진장치에서, 필터유닛이 각각의 촉매모듈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어, 일체화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필터유닛과 촉매모듈을 별도의 챔버나 공간에 배치시킴에 따라 부피가 증가하고 설계가 복잡해지는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필터링과 환원 반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집진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ust collector, as the filter unit is provided to cover the outside of each catalyst module and is configured to be integrated, the filter unit and the catalyst module are arranged in separate chambers or spaces. It can bring about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by continuously performing the filtering and reduction reactions while minimizing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volume and complicating the design.

또한, 상기 촉매모듈은 내부유닛과 외부유닛의 사이에 개재공간에 촉매가 충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촉매를 통과한 공기가 내부 파이프를 통해 상부의 벤츄리부를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자연스러운 공기 유동이 유도되면서 촉매를 통한 환원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유해물질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atalyst modul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atalyst is filled in the intervening space between the inner unit and the outer unit, and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atalyst flows out through the upper venturi unit through the inner pipe, so that natural air flow is Reduction through the catalyst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while being induced, thereby enabling more effective removal of harmful substances.

특히, 내부 유닛에는 고정 프레임이 인입공간들 사이마다 형성되어, 촉매가 위치하는 개재공간을 형성하는 것은 물론 촉매모듈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됨에 따라, 촉매가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쏠리는 문제를 해결하여 촉매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internal unit has a fixed frame formed between the inlet spaces to form an intervening space in which the catalyst is located. The position of the catalyst can be effectively fixed.

나아가, 고정유닛은 상기 촉매모듈의 하부 끝단에 위치하며, 내부 파이프의 하부 끝단을 밀폐하여 공기의 유출을 차단하고,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확장부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이 가능하면서도 상부의 촉매가 하부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fixing unit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catalyst module, and blocks the outflow of air by sealing the lower end of the inner pipe, and allows the inflow of ai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extension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while the upper catalyst It is possible to minimize leakage to the bottom.

또한, 시간이 경과할수록 촉매가 외부로 소실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외부로 촉매가 소실되는 경우, 여유부에 구비되는 예비촉매가 하부로 이동됨으로써, 공기가 통과하는 인입공간에서 소실되는 촉매를 실질적으로 보완할 수 있어, 외부 공기에 대한 환원 효과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time elapses,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catalyst is lost to the outside. In this way, when the catalyst is lost to the outside, the precatalyst provided in the spare part is moved to the lower part, so that it is lost in the inlet space through which air passes. It is possible to substantially supplement the catalyst to be used, so that the reducing effect on the outside air can be kept constan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 : 집진장치 25 : 필터유닛
100 : 촉매모듈 101 : 촉매
102 : 예비촉매 200 : 벤츄리부
300 : 내부유닛 310 : 내부 파이프
320 : 내부 메쉬부 330 : 고정유닛
400 : 외부유닛 410 : 외부메쉬
10: dust collector 25: filter unit
100: catalyst module 101: catalyst
102: precatalyst 200: venturi unit
300: inner unit 310: inner pipe
320: internal mesh portion 330: fixed unit
400: external unit 410: external mesh

Claims (11)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인입공간이 형성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파이프, 및 상기 내부 파이프를 커버하는 내부 메쉬부를 포함하는 내부유닛;
상기 내부 메쉬부와의 사이에서 개재공간을 형성하는 외부메쉬를 포함하는 외부유닛;
상기 내부유닛과 상기 외부유닛 사이의 상기 개재공간에 충진되는 촉매;
상기 내부유닛의 일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인입된 외부공기가 유출되는 벤츄리부; 및
상기 내부유닛의 타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촉매를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촉매모듈.
an inner unit including an inner pipe having an inlet space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n inner mesh part covering the inner pipe;
an external unit including an external mesh forming an intervening space between the internal mesh part;
a catalyst filled in the intervening space between the inner unit and the outer unit;
a venturi uni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ner unit and from which the introduced external air flows out; and
and a fixing uni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unit to fix the cataly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파이프는,
상기 벤츄리부가 연결되는 일 끝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인입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밀폐된 여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모듈.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pipe,
The catalyst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nturi unit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end to which the venturi unit is connected, and includes an airtight margin so that the inlet space is not form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유부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유닛과 상기 외부유닛 사이의 개재공간에 충진되는 예비촉매를 더 포함하는 촉매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atalyst module further comprising a pre-catalyst positioned in the spare portion and filled in an intervening space between the internal unit and the externa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공간은,
상기 내부 파이프의 연장 방향, 및 상기 내부 파이프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모듈.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let space,
Catalyst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is form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inner pipe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ip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메쉬부는,
메쉬(mesh)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부 파이프를 커버하는 내부메쉬; 및
상기 내부 파이프의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인입공간들의 사이에, 상기 외부유닛을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모듈.
According to claim 4, The inner mesh portion,
an inner mesh having a mesh structure and covering the inner pipe; and
and a fixed frame protruding toward the outer unit between the inlet spaces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inner pip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외부유닛을 고정하여, 상기 외부유닛과 상기 내부유닛 사이에 상기 개재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모듈.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xed frame fixes the external unit, and the interven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external unit and the interna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내부 파이프의 타 끝단을 밀폐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상기 외부유닛을 향하여 확장되며, 외면이 상기 외부유닛의 타 끝단에 고정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모듈.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unit,
a plate portion sealing the other end of the inner pipe;
and an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plate part toward the external unit and having an outer surface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external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상기 외부유닛을 향하여, 상기 내부 파이프의 연장 방향에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외부유닛의 원주방향을 향해 돌출되며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모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xtension portio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plate portion toward the outer unit in an oblique direction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inner pipe; and
and a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extension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unit and extend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모듈.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xtension portion,
Catalyst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plate port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유해가스가 제공되는 하부 챔버, 상기 유해가스가 상승되며 필터링되는 챔버부, 및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부챔버를 포함하는 집진장치에서,
상기 챔버부의 내부에는, 상기 유해가스를 필터링하는 필터유닛, 및 상기 필터유닛의 내부에 위치하는 촉매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촉매모듈은,
상기 유해가스가 인입되는 복수의 인입공간들이 형성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파이프, 및 상기 내부 파이프를 커버하는 내부 메쉬부를 포함하는 내부유닛;
상기 내부 메쉬부와의 사이에서 개재공간을 형성하는 외부메쉬를 포함하는 외부유닛;
상기 내부유닛과 상기 외부유닛 사이의 상기 개재공간에 충진되는 촉매;
상기 내부유닛의 일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인입된 유해가스가 필터링되어 유출되는 벤츄리부; 및
상기 내부유닛의 타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촉매를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In a dust collector comprising a lower chamber to which noxious gas is provided, a chamber in which the noxious gas is raised and filtered, and an upper chamber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air to the outside,
A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harmful gas, and a catalyst module located inside the filter unit, are included in the chamber part,
The catalyst module is
an inner unit including an inner pipe in which a plurality of inlet spaces into which the harmful gas is introduced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n inner mesh part covering the inner pipe;
an external unit including an external mesh forming an intervening space between the internal mesh part;
a catalyst filled in the intervening space between the inner unit and the outer unit;
a venturi uni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ner unit,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harmful gas is filtered and discharged; and
and a fixing uni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unit to fix the catalys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가스는,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하며 유해가스 입자가 필터링되고,
상기 촉매모듈을 통과하며 상기 유해가스에 대한 환원 반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harmful gas,
The harmful gas particles are filtered through the filter unit,
A dust collector, passing through the catalyst module, and performing a reduction reaction for the harmful gas.
KR1020200054451A 2020-05-07 2020-05-07 Catalyst module and cyclone having the same KR1023862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451A KR102386265B1 (en) 2020-05-07 2020-05-07 Catalyst module and cyclon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451A KR102386265B1 (en) 2020-05-07 2020-05-07 Catalyst module and cyclon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346A true KR20210136346A (en) 2021-11-17
KR102386265B1 KR102386265B1 (en) 2022-04-13

Family

ID=78702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451A KR102386265B1 (en) 2020-05-07 2020-05-07 Catalyst module and cyclon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26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255Y1 (en) * 2000-06-17 2000-12-15 김종학 Retainer of bag filter a dust collector
JP2003103125A (en) * 2001-09-28 2003-04-08 Nippon Spindle Mfg Co Ltd Filter cloth for high-temperature dust collector
KR101731485B1 (en) * 2016-01-13 2017-05-02 주식회사와이티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gaseous pollutants
KR101924433B1 (en) 2016-05-03 2019-02-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Complex filtering apparatus for nano particles or gaseous material
CN109833683A (en) * 2018-10-31 2019-06-04 (株)永友绿色技术 Utilize the filter collector filter of catalys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255Y1 (en) * 2000-06-17 2000-12-15 김종학 Retainer of bag filter a dust collector
JP2003103125A (en) * 2001-09-28 2003-04-08 Nippon Spindle Mfg Co Ltd Filter cloth for high-temperature dust collector
KR101731485B1 (en) * 2016-01-13 2017-05-02 주식회사와이티 Filtering apparatus for removing gaseous pollutants
KR101924433B1 (en) 2016-05-03 2019-02-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Complex filtering apparatus for nano particles or gaseous material
CN109833683A (en) * 2018-10-31 2019-06-04 (株)永友绿色技术 Utilize the filter collector filter of cataly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265B1 (en)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198B1 (en) Integrated removal apparatus for removing fine particulate and nitrogen oxide
US9162234B2 (en) Nozzle arrangements and method for cleaning filter elements
KR101688467B1 (en) Cyclone Bag-filter Dust Collecter with Diffuser
US4755198A (en) Column for treating gases
KR102274819B1 (en) Wet Scrubber Tower With Separation
KR102074185B1 (en) Fine dust and white smoke reducing apparatus for scrubber type
KR101638803B1 (en) Exhaust gas clean-up apparatus
KR20130137582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exhaust gases
KR20040090182A (en) Baghouse for simultaneously removing fine particle and nitric oxides to preliminary reduction of dust loading
KR102386265B1 (en) Catalyst module and cyclone having the same
KR101546227B1 (en) Scrubber
KR101309829B1 (en) cleaning apparatus of bag filter unit
KR20180055343A (en) Gas Scrubber
KR102148218B1 (en) Dust collecting deodorizer equipped with in-pipe pre-treatment cleaning apparatus and vortex-type moisture removal apparatus
KR102204348B1 (en) Dust collector having washing flow guide for filter cleaning
KR200425748Y1 (en) Water layer generating structure of impinjet scrubber
KR200490847Y1 (en) Rectangular-pillar-type scrubber for purifying exhaust gas of a vessel
KR102483976B1 (en) Dry scrubber type biogas treatment system with removable/attachable
KR101591568B1 (en) high efficiency dust collector
KR20160107848A (en) Exhaust gas clean-up device for the exhaust gas of ship engines
RU48812U1 (en) DEVICE FOR SORPTION GAS NEUTRALIZATION
KR101485002B1 (en) Apparatus for filtering exhaust gas of dust collector with ability of mercury removal
JP3965748B2 (en)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ower
KR101366975B1 (en) Apparatus for filtering particle
JPH07294398A (en) Impi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