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316A -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316A
KR20210136316A KR1020200054371A KR20200054371A KR20210136316A KR 20210136316 A KR20210136316 A KR 20210136316A KR 1020200054371 A KR1020200054371 A KR 1020200054371A KR 20200054371 A KR20200054371 A KR 20200054371A KR 20210136316 A KR20210136316 A KR 20210136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detection filter
filter
virus
fin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3308B1 (ko
Inventor
김응삼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4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308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1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 B01L3/50215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using a float to separate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75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 B01L2400/0478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pist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의 유무에 따른 전기적 흐름의 변화로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혹은 액체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또는 고형의 미세 입자의 유무를 필터의 기계적 변형에 따른 전기적 흐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종래의 광학적 혹은 생화학적 검사법보다 빠른 시간 내에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고, 조작법이 간편하고, 휴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전문가가 아닌 사람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의 개수에 따라 하나의 검출 장치로 복수개의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 {virus or microparticle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의 유무에 따른 전기적 흐름의 변화로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바이러스와 미세 입자(초미세먼지, 미세플라스틱 등)에 의한 사람의 건강과 생태 환경을 위협하고 있다. 하지만, 바이러스나 미세 입자들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것으로, 공기, 물 또는 체액에 바이러스나 미세 입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감염성이 있는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초기에 바이러스 유무를 검출하는 것이 전염을 막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미세 입자 또한 현재 환경 기준으로는 10㎛ 이상의 입자에 대해서만 규정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그 이하의 미세 입자들에 의한 피해가 더 크다.
그러나, 이러한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들은 부피가 크고,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 조작되기 때문에 빠르고 간편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를 검출하는 장비는 하나의 장비로 단일의 바이러스나 미세 입자만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나 미세 입자를 검출하는 효율이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문가가 아닌 사람도 사용할 수 있도록 조작이 간편하고, 휴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언제 어디에서든지 용이하게 바이러스나 미세 입자의 검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빠른 시간 내에 바이러스나 미세 입자 검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검출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4262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라벨-프리 방식의 바이러스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러스 검출 방법", 2015.02.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혹은 액체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또는 고형의 미세 입자의 유무를 필터의 기계적 변형에 따른 전기적 흐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종래의 광학적 혹은 생화학적 검사법보다 빠른 시간 내에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고, 조작법이 간편하고, 휴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전문가가 아닌 사람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의 개수에 따라 하나의 검출 장치로 복수개의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는, 다각기둥 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검사 대상 유체가 유입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검사 대상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 필터;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거 필터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검사 대상 유체에 포함된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가 포착되고, 선택적으로 전기가 흐르는 검출 필터; 상기 검출 필터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검출 필터의 전기적 흐름을 제어하는 가압부; 및 상기 검출 필터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 장치는, 상기 몸체 내부에 유입된 검사 대상 유체가 상기 제거 필터와 상기 검출 필터를 통과하도록 가압하는 피스톤; 및 상기 검출 필터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 필터는, 판 형태의 검출 필터 막, 상기 검출 필터 막에 통공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검출 필터 홀, 상기 검출 필터 막의 상면에 설치되되,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전기가 통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전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 필터 막은, 아래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 필터 막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압부에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검출 필터 막이 오므라듦에 따라 상기 전도체가 접촉하여 전기가 흐르고, 상기 가압부에 작용하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검출 필터 막이 원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전도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전기가 흐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 장치는, 상기 검출 필터가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 필터가 복수 개 구비될 경우, 각 검출 필터의 검출 필터 홀의 직경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 필터가 복수 개 구비될 경우, 각 검출 필터의 전도체가 배열되는 간격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를 이용한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여 상기 검출 필터에 전기가 흐르도록 하고, 상기 측정부가 상기 검출 필터의 전기적 흐름에 따른 제1저항 값을 측정하는 초기 저항 값 측정 단계; 상기 몸체 내부에 검사 대상 유체가 유입되는 검사 대상 유체 유입 단계; 검사 대상 유체가 상기 제거 필터를 통과하며 검사 대상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되는 이물질 제거 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검사 대상 유체가 상기 검출 필터를 통과하며 검사 대상 유체에 포함된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를 포착하는 포착 단계; 및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여 상기 검출 필터에 전기가 흐르도록 하고, 상기 측정부가 상기 포착 단계 이후의 상기 검출 필터의 전기적 흐름에 따른 제2저항 값을 측정하여 상기 포착 단계에서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가 포착되었는지 검출하는 검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제1저항 값과 상기 제2저항 값을 비교하며, 상기 제1저항 값과 제2저항 값이 유사할 경우에는, 상기 검출 필터에서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며, 상기 제1저항 값과 상기 제2저항 값을 비교했을 때, 상기 제2저항 값이 상기 제1저항 값보다 소정 값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검출 필터에서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가 검출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 방법은, 상기 검출 단계로부터 판단된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의 검출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공기 혹은 액체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또는 고형의 미세 입자의 유무를 필터의 기계적 변형에 따른 전기적 흐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종래의 광학적 혹은 생화학적 검사법보다 빠른 시간 내에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고, 조작법이 간편하고, 휴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전문가가 아닌 사람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의 개수에 따라 하나의 검출 장치로 복수개의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를 검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 장치를 이용한 검출 방법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 장치의 블록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 장치의 검출 필터 확대 평면도 및 확대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검출 장치의 정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검출 장치(10)는 다각기둥 또는 원통 형태의 몸체(100), 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검사 대상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는 제거 필터(200), 제거 필터(200)를 통과한 유체에서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검출하는 검출 필터(300), 몸체(100)의 외부에 설치되며, 검출 필터(300)가 형성되는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는 가압부(310), 검출 필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측정부(400), 몸체(100)를 지지하는 지지부(500) 및 몸체(100) 내부에 유입된 검사 대상 유체를 가압하는 피스톤(600)을 포함한다.
검출 장치(10)를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몸체(10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휴대 가능하도록 가벼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의 상부는 개방되거나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 장치가 설치되어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인 검사 대상 유체가 유입된다. 몸체(100)의 내부에는 제거 필터(200)가 형성되는데, 제거 필터(200)는 검사 대상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제거 필터(200)에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되, 바이러스나 미세 입자는 통과할 수 있고 이물질은 통과할 수 없는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 필터(200)의 하부에는 검출 필터(300)가 설치된다. 검출 필터(300)는 제거 필터(200)를 통과하며 이물질이 제거된 검사 대상 유체에 포함된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검출 필터 막(320), 검출 필터 막(320)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검출 필터 홀(330) 및 검출 필터 막(3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전도체(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검출 필터 막(320)이 아래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압부(310)는 몸체(100)의 외면에 설치되되, 검출 필터(300)의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어 검출 필터(300)의 일측 및 타측과 연결되어 설치된다. 가압부(310)에 외력을 가하면 검출 필터 막(320)이 휘어짐에 따라 상면에 설치된 전도체(340)가 접촉하며 전기가 통하게 되고, 측정부(400)가 이때의 저항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는 저항을 측정한다고 기재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함이며 전도체(340)의 전류 또는 전압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때, 검출 필터(30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탄성체가 구비되어 가압부(310)에 가한 외력을 제거하면 가압부(31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 전도체(340) 또한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전기가 통하지 않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검출 장치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를 검출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 장치를 이용한 검출 방법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의 검출 장치(10)를 준비하고, 가압부(310)를 가압하여 검출 필터(300)에 전기가 흐르도록 한 후 측정부(400)가 초기 상태의 저항 값을 측정하여 별도의 저장부에 초기 저항 값을 저장한다. 이후, 몸체(100) 내부에 검사 대상 유체를 주입하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600)을 몸체(100)의 상부에 삽입하여 몸체(100)에 수용된 검사 대상 유체를 가압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대상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은 제거 필터(200)를 통과하지 못하고, 제거 필터(200)를 통과한 검사 대상 유체에 포함된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는 검출 필터(300)의 검출 필터 홀(330)을 통과하지 못하고 전도체(340)에 부착되거나 전도체(340) 사이에 들어가게 된다. 이후에,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310)를 가압하게 되면 전도체(340)와 접촉하는 측정부(400)에서는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에 의해 초기 저항 값과 다른 저항 값이 측정된다. 따라서, 초기 저항 값과 유사한 저항 값이 측정되면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며, 초기 저항 값보다 큰 저항 값이 측정되면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가 검출되었다고 판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 필터(300)와 측정부(4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측정부(400)와 출력 장치(7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출력 장치(700)는 사용자의 휴대 전화, PC, 스마트 워치, 프린터 등으로 사용자에게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검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한정하지 않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 저항 값과 검출 저항 값이 동일하거나 유사할 경우에는 바이러스나 미세 입자가 검출되지 않았다는 결과가 출력되며, 검출 저항 값이 초기 저항 값보다 클 경우에는 바이러스나 미세 입자가 검출되었다는 결과를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검출 장치(10)를 휴대하기 간편하기 때문에 시간이나 장소를 가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간편하게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여 전염을 예방하고 치료시기를 앞당길 수 있고, 검사 대상 유체에 미세 입자의 포함 여부 또한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검출 필터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 장치의 검출 필터 확대 평면도 및 확대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설명하기에 앞서, 도 4는 초기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가 전도체(340)에 부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의 검출 필터 막(320)에 복수 개의 검출 필터 홀(330)이 형성되어 있으며 검출 필터 홀(330)의 직경은 검출하고자 하는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출 필터 막(32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전도체(340)가 격자 배열되도록 설치되며, 전도체(340)가 배열되는 형태는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되, 검출 필터 홀(330)은 간섭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는 전도체(340)가 최초 배열된 형태를 유지하나, 가압부(310)에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는 검출 필터 막(320)이 오므라들고, 검출 필터 막(320)이 오므라듦에 따라 검출 필터 막(320)의 상면에 설치된 전도체(340)끼리 접촉하면서 전기가 통하게 된다. 이때, 전기적 흐름에 따른 저항 값은 측정부(400)로부터 측정된다.
그러나, 바이러스 또는 미세입자가 전도체(340)에 부착된 경우에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도체인 바이러스 또는 미세입자가 전도체(340)의 상부에 위치하거나 전도체(34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310)에 외력이 가해지면 검출 필터 막(320)이 오므라들고 전도체(340)끼리 접촉하게 되지만, 바이러스 또는 미세입자에 의해 접촉되지 않는 전도체(340)에 의해 전기적 흐름에 변화가 생기고, 변화된 전기적 흐름에 따른 저항 값은 측정부(400)로부터 측정된다. 이때, 검출 필터(300)에서 바이러스 또는 미세입자가 검출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은 초기 저항 값보다 저항 값이 클 경우에 검출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사한 값이 측정될 수도 있기 때문에 초기 저항 값에 비하여 소정 값 이상 클 때 바이러스 또는 미세입자고 검출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검출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10)는 검출 필터(300)가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복수개의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장치로 복수개의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를 검출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검출 시간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제거 필터(200)의 하부에 제1검출 필터(300a), 제2검출 필터(300b) 순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제1검출 필터(300a)와 제2검출 필터(300b)는 측정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검출 필터(30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측정부와 제2검출 필터(30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측정부가 각각 설치될 수도 있고 하나의 측정부가 제1검출 필터(300a)와 제2검출 필터(300b)와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검출 필터(300a)의 제1전도체(340)는 제2검출 필터(300b)의 제2전도체(340b)보다 넓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1검출 필터 홀(330a)의 직경은 제2검출 필터 홀(330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검출 필터(300a)의 제1전도체(340a)는 사이 간격이 넓고, 제2검출 필터(300b)의 제2전도체(340b)는 사이 간격이 제1전도체(340a) 사이 간격에 비해서 좁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검출 장치(10)를 이용하여 검출해야 하는 바이러스 또는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검출 대상물을 제1검출 대상물, 제2검출 대상물이라고 하고, 제1검출 대상물의 크기가 제2검출 대상물의 크기보다 더 크다고 가정한다. 검사 대상 유체는 제거 필터(200)를 통과한 후, 제1검출 필터(300a)를 통과한다. 이때, 제1검출 대상물은 제1검출 필터(300a)를 통과할 수 없고, 제1검출 대상물보다 크기가 작은 제2검출 대상물은 제1검출 필터(300a)를 통과한다. 제1검출 필터(300a)를 통과한 검사 대상 유체에 포함된 제2검출 대상물은 제2전도체(340b) 간 간격이 좁게 배치되고 제2검출 필터 홀(330b)의 직경이 제1검출 필터 홀(330a)의 직경보다 제2검출 필터(300b)를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1검출 필터(300a)의 전기적 흐름에 따른 저항 값과 제2검출 필터(300b)의 전기적 흐름에 따른 저항 값을 동시에 측정하여 제1검출 대상물과 제2검출 대상물의 검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검출 필터(300a)와 제2검출 필터(300b)의 저항 값이 초기 저항 값보다 클 경우에는 검사 대상 유체에 제1검출 대상물과 제2검출 대상물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제1검출 필터(300a)의 저항 값은 초기 저항 값과 유사하고, 제2검출 필터(300b)의 저항 값만 초기 저항 값보다 클 경우에는 검사 대상물에 제1검출 대상물은 없고, 제2검출 대상물만 포함한다는 것을 간단한 조작만으로 검출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검출 필터(300)가 2개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는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검출 필터(300)의 설치 개수는 한정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라면 통상의 기술자가 작업 환경을 고려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검출 장치
100 몸체
200 제거 필터
300 검출 필터
310 가압부
320 검출 필터 막
330 검출 필터 홀
340 전도체
400 측정부
500 지지부
600 피스톤

Claims (11)

  1. 다각기둥 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검사 대상 유체가 유입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검사 대상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 필터;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거 필터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검사 대상 유체에 포함된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가 포착되고, 선택적으로 전기가 흐르는 검출 필터;
    상기 검출 필터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검출 필터의 전기적 흐름을 제어하는 가압부; 및
    상기 검출 필터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측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상기 몸체 내부에 유입된 검사 대상 유체가 상기 제거 필터와 상기 검출 필터를 통과하도록 가압하는 피스톤; 및
    상기 검출 필터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필터는,
    판 형태의 검출 필터 막,
    상기 검출 필터 막에 통공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검출 필터 홀,
    상기 검출 필터 막의 상면에 설치되되,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전기가 통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전도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필터 막은,
    아래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필터 막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압부에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검출 필터 막이 오므라듦에 따라 상기 전도체가 접촉하여 전기가 흐르고,
    상기 가압부에 작용하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검출 필터 막이 원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전도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전기가 흐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상기 검출 필터가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필터가 복수 개 구비될 경우, 각 검출 필터의 검출 필터 홀의 직경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필터가 복수 개 구비될 경우, 각 검출 필터의 전도체가 배열되는 간격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
  9. 제1항의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를 이용한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여 상기 검출 필터에 전기가 흐르도록 하고, 상기 측정부가 상기 검출 필터의 전기적 흐름에 따른 제1저항 값을 측정하는 초기 저항 값 측정 단계;
    상기 몸체 내부에 검사 대상 유체가 유입되는 검사 대상 유체 유입 단계;
    검사 대상 유체가 상기 제거 필터를 통과하며 검사 대상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되는 이물질 제거 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검사 대상 유체가 상기 검출 필터를 통과하며 검사 대상 유체에 포함된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를 포착하는 포착 단계; 및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여 상기 검출 필터에 전기가 흐르도록 하고, 상기 측정부가 상기 포착 단계 이후의 상기 검출 필터의 전기적 흐름에 따른 제2저항 값을 측정하여 상기 포착 단계에서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가 포착되었는지 검출하는 검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를 이용한 검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제1저항 값과 상기 제2저항 값을 비교하며,
    상기 제1저항 값과 제2저항 값이 유사할 경우에는, 상기 검출 필터에서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며,
    상기 제1저항 값과 상기 제2저항 값을 비교했을 때, 상기 제2저항 값이 상기 제1저항 값보다 소정 값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검출 필터에서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가 검출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를 이용한 검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방법은,
    상기 검출 단계로부터 판단된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의 검출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를 이용한 검출 방법.
KR1020200054371A 2020-05-07 2020-05-07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 KR102333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371A KR102333308B1 (ko) 2020-05-07 2020-05-07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371A KR102333308B1 (ko) 2020-05-07 2020-05-07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316A true KR20210136316A (ko) 2021-11-17
KR102333308B1 KR102333308B1 (ko) 2021-12-01

Family

ID=78703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371A KR102333308B1 (ko) 2020-05-07 2020-05-07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020A1 (ko) * 2022-01-26 2023-08-03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4916A (ja) * 1997-01-15 2002-05-21 ニュー ホライズンズ ダイアグノスティ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汚染物質の検出方法
KR20090090672A (ko) * 2008-02-21 2009-08-2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Dma를 이용한 입자측정기 및 dma의 내부 압력을측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기록매체
KR101494262B1 (ko) 2014-04-25 2015-02-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라벨-프리 방식의 바이러스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러스 검출방법
KR101794277B1 (ko) * 2016-07-27 2017-11-06 한국기계연구원 나노 입자 검출 장치
JP2018500535A (ja) * 2014-12-31 2018-01-11 同方威視技術股▲フン▼有限公司 検出デバイス及び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4916A (ja) * 1997-01-15 2002-05-21 ニュー ホライズンズ ダイアグノスティ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汚染物質の検出方法
KR20090090672A (ko) * 2008-02-21 2009-08-2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Dma를 이용한 입자측정기 및 dma의 내부 압력을측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기록매체
KR101494262B1 (ko) 2014-04-25 2015-02-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라벨-프리 방식의 바이러스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러스 검출방법
JP2018500535A (ja) * 2014-12-31 2018-01-11 同方威視技術股▲フン▼有限公司 検出デバイス及び検出方法
KR101794277B1 (ko) * 2016-07-27 2017-11-06 한국기계연구원 나노 입자 검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020A1 (ko) * 2022-01-26 2023-08-03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미세물질 포집용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308B1 (ko)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21985B (zh) 过采样数据的选择性抽取和分析
US9903781B2 (en) Material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WO19950324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the integrity of porous elements
KR102333308B1 (ko) 바이러스 또는 미세 입자 검출 장치
WO2007123713A3 (en) Integrated screening and confirmation device
WO2005005996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mechanical testing and validation of probe cards
EP4187240A3 (en) Gas sensor interrogation
ATE535799T1 (de) Andockstation für eine sensorkartusche
ATE295233T1 (de) Vorrichtung zur feststellung und/oder überwachung eines vorbestimmten füllstandes in einem behälter
CA21488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the integrity of porous elements
KR20140108968A (ko) 전자기기의 접촉부 균열 검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성능 검사 시스템
US9389160B2 (en) Cavitation sensor
CN104422561B (zh) 用于压力传感器的检测设备、检测系统以及检测方法
CN111373257B (zh) 测试气体传感器的方法和测试装置以及由气体传感器和测试装置构成的系统
DE10146879A1 (de) Verfahren zum Nachweis und zur Lokalisierung von Rissen in Silizium-Solarzellen und Silizium-Scheiben
KR101262950B1 (ko) 전자기기의 접촉부 균열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372586B1 (ko) 차단기 어셈블리 모선 접촉부 성능 시험장치
FR2932881A1 (fr) Procede de detection de defaillance d'un capteur analogique et dispositif de detection pour mettre en oeuvre ledit procede
JP6515677B2 (ja) コンタクト構造体、及び該コンタクト構造体を用いた生体試料用電気的測定装置
JP4206498B2 (ja) 液体貯蔵タンクの漏洩検出システム
US20220187152A1 (en) Optical Hydrocarbon Leak Detection Sensor
CN211927788U (zh) 一种悬浮式阵列涡流检测装置
JP2017198576A (ja) 地下タンクの漏洩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7474023B2 (ja) 押込み試験装置
CN108872371A (zh) 一种电化学与涡流集成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