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235A - 가변 배출 펌프 - Google Patents

가변 배출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235A
KR20210136235A KR1020200054178A KR20200054178A KR20210136235A KR 20210136235 A KR20210136235 A KR 20210136235A KR 1020200054178 A KR1020200054178 A KR 1020200054178A KR 20200054178 A KR20200054178 A KR 20200054178A KR 20210136235 A KR20210136235 A KR 20210136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cylinder
circumferential surface
discharg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to KR1020200054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6235A/ko
Publication of KR20210136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05B11/3047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B05B11/3067
    • B05B11/307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14Pumps characterised by muscle-power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배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 배출 펌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변 배출 펌프는, 내용물이 유입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실린더와, 내부공간에서 승하강 하고 내부공간과 연통될 수 있는 유입홀을 구비하는 피스톤과, 실린더의 내주면과 피스톤의 외주면에 각각 접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유입홀을 폐쇄할 수 있는 밸브와, 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고, 걸림단턱과 걸림단턱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숄더와, 숄더에 삽입되고,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어 연통되며, 걸림단턱에 걸리거나 가이드홈을 따라서 하강할 수 있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로드와, 로드 및 피스톤 중 어느 하나를 상향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로드의 둘레에 위치하고 로드의 회전에 의해서 승하강되면서 밸브와 간격이 조정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변 배출 펌프{VARIABLE DISCHAREG PUMP}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재활용이 용이하며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정할 수 있는 가변 배출 펌프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용기 등에 있어서 펌프는 화장액 등과 같은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의 상부 입구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정량씩 외부로 토출 분사하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는 액상의 내용물을 분사하기 위해서 버튼에 해당하는 노즐을 하향 가압하면, 펌프의 내부에 주입되어 있는 내용물이 가압되어 배출 통로를 따라서 상승하여 노즐을 통해서 분사된다. 그리고 노즐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배출 통로는 노즐의 상승에 의해서 기구적으로 폐쇄되고 펌프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면서 이를 보충하기 위해서 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유입된다.
이와 같은 펌프는 향수 및 화장품은 물론 샴푸, 방향제, 살충제 등과 같이 다양한 내용물을 분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한 번의 노즐 가압에 의해서 내용물을 정량 토출할 수 있고, 내용물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해서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63619호에는 스프레이 펌프의 펌프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펌프는 노즐, 노즐캡, 캡커버, 캡, 밸브, 밸브스프링, 하우징커버, 피스톤스프링, 피스톤, 가이드, 디스크, 하우징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펌프는 금속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밸브스프링 및 피스톤스프링을 포함하는데, 이는 플라스틱에 의해서 제작되는 다른 부품과는 달리 재활용을 어렵게 한다. 특히, 최근에는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재활용 및 분리 수거가 용이한 펌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종래의 펌프는 이와 같은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재활용 및 분리 수거가 용이한 가변 배출 펌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회 가압에 의해서 배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정할 수 있는 가변 배출 펌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변 배출 펌프는, 내용물이 유입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실린더와, 내부공간에서 승하강 하고 내부공간과 연통될 수 있는 유입홀을 구비하는 피스톤과, 실린더의 내주면과 피스톤의 외주면에 각각 접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유입홀을 폐쇄할 수 있는 밸브와, 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고, 걸림단턱과 걸림단턱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숄더와, 숄더에 삽입되고,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어 연통되며, 걸림단턱에 걸리거나 가이드홈을 따라서 하강할 수 있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로드와, 로드 및 피스톤 중 어느 하나를 상향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로드의 둘레에 위치하고 로드의 회전에 의해서 승하강되면서 밸브와 간격이 조정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배출 펌프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드의 외주면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동부재는 체결돌기가 결합하는 내부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밸브는 피스톤의 둘레에 배치되는 피스톤결합부와, 실린더의 내주면과 접하는 실린더결합부와, 피스톤결합부 및 실린더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이동부재는 하강해서 연결부재를 하향 가압할 수 있다.
체결돌기는 로드의 외주면에 두 개가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피스톤의 하부를 상향 가압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휘어지는 변형부를 구비하고, 변형부는 플라스틱 수지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피스톤과 접하는 결합헤드 구비하고, 변형부는 결합헤드에서 다소 경사지게 하향 연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재활용 및 분리 수거가 용이한 가변 배출 펌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회 가압에 의해서 배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정할 수 있는 가변 배출 펌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배출 펌프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숄더에 대한 로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가변 배출 펌프의 숄더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숄더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예시된 탄성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예시된 로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예시된 로드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서 로드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부재가 하강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숄더에 대한 로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로드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부재가 추가 하강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숄더에 대한 로드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배출 펌프(100)을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숄더(140)에 대한 로드(110)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에 예시된 가변 배출 펌프(100)의 숄더(140)에 대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에 예시된 탄성부재(170)의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1에 예시된 로드(110)의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배출 펌프(100)은 종래의 금속 재질에 의해 제작되는 코일 스프링을 대신해서 플라스틱에 의해서 제작되는 탄성부재(170)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부재(170)의 변형부(174)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휘면서 변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되면서 로드(110) 및 피스톤(120)을 상향 가압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70)를 가변 배출 펌프(100)의 다른 부품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재활용 및 분리 수거가 용이하게 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배출 펌프(100)는 로드(110), 피스톤(120), 밸브(130), 숄더(140), 실린더(150), 디스크(160), 탄성부재(170), 이동부재(180), 외부캡(192)을 포함하기 때문에, 종래의 펌프에 비해서 구성이 간소 해져서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로드(11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둘레에는 로드단턱(11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로드단턱(112)에는 노즐(190)의 하단부가 위치한다. 그리고 로드(110)의 둘레에서 로드단턱(112)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114)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114)는 숄더(140)의 걸림단턱(148)에 안착되는데, 이로 인해 로드(110)가 걸림단턱(148)에 걸려서 하강할 수 없게 된다.
걸림돌기(114)는 두 개가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114)는 체결돌기(116)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를 갖고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로드(110)의 상부 및 하부는 모두 개방되어 있다. 로드(110)의 상부에는 노즐(190)이 삽입되고, 하부에는 피스톤(120)이 삽입된다. 또한, 로드(11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돌기(116)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116)는 로드(110)의 하부 둘레에 배치된 이동부재(180)의 내부나사산(182)에 나사 결합한다. 이로 인해, 로드(110)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부재(180)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로드(110)와 피스톤(120) 사이의 간격(도 1의 D1 참조)이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배출 펌프(100)는 로드(110)가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된 두 개의 체결돌기(116)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체결돌기의 개수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피스톤(120)은 로드(110)에 삽입되는 피스톤바디(122)를 포함한다. 피스톤바디(122)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상단은 개방되어 로드(110)의 내부와 연통된다. 피스톤바디(122)의 둘레에는 유입홀(1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입홀(126)의 둘레에는 밸브(130)가 밀착되어 유입홀(126)이 폐쇄될 수 있다.
피스톤바디(122)의 하단에는 피스톤헤드(128)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헤드(128)는 피스톤바디(122)에 비해서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피스톤(120)이 상승할 때 밸브(130)에 걸려서 밸브(130)도 함께 상승하게 한다.
피스톤바디(122)의 외주면에는 밸브(130)가 밀착되어 있다. 밸브(130)는 피스톤결합부(132), 연결부재(136) 및 실린더결합부(134)를 구비한다.
피스톤결합부(132)는 피스톤바디(12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피스톤결합부(132)는 유입홀(126)을 폐쇄하고 있으며, 피스톤(120)이 하강할 때 피스톤(120)에 비해서 다소 지연되어 하강함으로써 유입홀(126)이 일정 시간 동안 개방될 수 있게 한다.
실린더결합부(134)는 피스톤결합부(132)에 비해서 더 큰 직경을 갖고 피스톤결합부(132)의 둘레에 배치된다. 실린더결합부(134)도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외주면은 실린더(15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린더(150) 내주면에 대한 실린더결합부(134)의 마찰력에 의해서 피스톤(120)의 하강에도 불구하고 밸브(130)의 하강이 지연된다.
피스톤결합부(132) 및 실린더결합부(134)는 연결부재(136)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다. 연결부재(136)는 피스톤결합부(132)의 외주면 중앙에서 실린더결합부(134)의 내주면까지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36)는 로드(110) 및 이동부재(180)가 하강하는 경우 이동부재(180)의 하단과 접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밸브(130)가 로드(110)와 함께 하강하게 된다.
로드(110)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부재(180)가 승하강하는 경우, 이동부재(180)의 하단과 연결부재(136)와의 거리(도 1에서 D1)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리(D1) 조절에 의해서 로드(110), 피스톤(120) 및 이동부재(180)가 하강할 때, 밸브(130)가 하강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이동부재(180)의 하단과 연결부재(136)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도 8의 D2 참조), 피스톤(120)의 하강에도 불구하고 밸브(130)의 하강 시점이 상대적으로 늦기 때문에 유입홀(126)을 통한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의 유입량이 증가한다. 반대로, 이동부재(180)의 하단과 연결부재(136)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도 10의 D3 참조), 피스톤(120)의 하강시 밸브(130)의 하강 시점이 상대적으로 빠르기 때문에 유입홀(126)을 통한 내용물의 유입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된다.
숄더(140)는 실린더(150)의 개방된 상부에 삽입되는 숄더바디(142)를 구비한다. 숄더바디(142)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는 로드(110) 및 이동부재(180)가 삽입된다. 그리고 숄더바디(142)의 둘레에는 숄더둘레면(146)이 하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숄더둘레면(146)은 실린더(150)의 상부 외주면과 접하고 그 하단부는 외부캡(192)의 캡상면(196)과 접한다.
숄더(140)의 상부 내주면에는 걸림단턱(148)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단턱(148)은 숄더바디(142)의 상부 내주면에서 내향 돌출된 돌기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내주면 대부분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단턱(148)에는 로드(110)의 걸림돌기(114)가 걸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로드(110)가 하강할 수 없게 된다(도 2 참조). 그리고 로드(110)가 걸림단턱(148)에 걸려서 하강할 수 없는 경우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는다.
걸림단턱(148)에는 가이드홈(149)이 숄더바디(142)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49)은 걸림단턱(148)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서, 도 3과 같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홈(149)은 로드(110)의 걸림돌기(114)의 개수 및 배치에 대응해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14)가 가이드홈(149) 상에 위치하는 경우, 로드(110)가 가이드홈(149)을 따라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피스톤(120)도 함께 하강하면서 내용물이 피스톤(120)의 내부에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로드(110)의 회전에 의해서 걸림단턱(148)에서 걸림돌기(114)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걸림돌기(114)가 도 2와 같이 걸림단턱(148)에 위치하는 경우, 로드(110)가 하강할 수 없다. 또한. 걸림돌기(114)가 도 9 및 도 11과 같이 가이드홈(149)에 위치하는 경우, 로드(110)가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실린더(150)는 내용물이 보관되는 용기(도시하지 않음)의 상부 입구에 삽입된다. 그리고 실린더(150)는 내용물이 유입되는 내부공간(154)을 구비하고, 내부공간(154)에는 피스톤(120), 밸브(130) 및 이동부재(180)가 위치하면서 승하강 운동을 한다. 또한, 내부공간(154)에는 탄성부재(170)가 위치한다.
실린더(15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상부 및 하부는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실린더(150)의 둘레에는 실린더플랜지(152)가 외향 돌출되어 있다. 실린더플랜지(152)는 용기(도시하지 않음)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실린더(150)의 내부에는 그 직경이 축소되는 안착단턱(15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착단턱(156)에는 디스크(160)가 위치할 수 있다. 디스크(160)는 내부공간(154)과 용기의 압력 차이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으로, 그 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75847호 등에 의해 개시되어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린더(150)의 내부에서 안착단턱(156)의 상부에는 지지단턱(151)이 구비되어 있다. 지지단턱(151)에는 탄성부재(170)의 변형부(174)의 하단이 걸리게 된다.
실린더플랜지(152)의 상부에는 실린더헤드(153)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헤드(153)의 둘레에는 숄더(140)의 숄더둘레면(146)이 위치한다. 그리고 로드(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숄더(140)는 실린더헤드(153)의 상단과 접하면서 결합된다.
탄성부재(170)는 피스톤헤드(128)와 실린더플랜지(152) 사이에 위치하면서 로드(110)를 상향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부재(170)는 연질부(174)가 수축되면서 탄성 변형된다.
탄성부재(17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변형부(174)와 변형부(174)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헤드(172)를 구비한다. 결합헤드(172) 및 변형부(17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부(174)는 결합헤드(172)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된 것으로 얇은 플라스틱 스트립(strip)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변형부(174)의 하단부는 지지단턱(151)에서 결합헤드(172)까지 다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170)에 하향 가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변형부(174)는 가압력에 의해서 휘어져서 결합헤드(172)가 하강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외력에 제거되는 경우, 변형부(174)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로드(110)를 상향 가압한다.
변형부(172)의 개수 및 배치 간격은 가변 배출 펌프(100)가 결합하는 용기의 크기 및 배출량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변형부(172)의 두께는 결합헤드(172)로 갈수록 다소 얇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변형부(172)의 변형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결합헤드(172)는 원형 또는 링 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피스톤헤드(128)의 하부에 형성된 홈(도면부호 없음)에 삽입된다. 결합헤드(172)와 피스톤헤드(128)는 상호 결합되어 일체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배출 펌프(100)는 탄성부재(170)가 실린더(15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피스톤(120)의 하단과 접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탄성부재(170)의 위치 및 구조 등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배출 펌프는 탄성부재가 실린더(150)의 외부에 위치하면서 로드(110)와 접촉해서 탄성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동부재(18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고 그 내주면에는 내부나사산(182)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재(180)는 로드(110)의 하부 둘레에 위치하고, 내부나사산(182)은 체결돌기(116)와 결합된다. 로드(110)의 회전에 의해서 체결돌기(116)가 회전하면, 내부나사산(182)에 의해서 이동부재(180)가 하강 또는 상승한다. 이때, 로드(110)는 그 걸림돌기(114)가 걸림단턱(148)에 위치하는 경우 하강하지 않기 때문에, 로드(110)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부재(180)만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동부재(180)의 하단과 밸브(130)의 연결부재(136) 사이의 간격에 의해서 밸브(130)의 하강 시점이 결정되고, 밸브(130)의 하강 시점에 따라서 피스톤(120)이 하강하는 경우 유입홀(126)을 통한 내용물의 유입량이 결정된다.
이동부재(180)는 로드(110) 및 피스톤(120)과 같이 승하강 한다.
로드(110)의 상부에는 노즐(190)이 결합된다. 노즐(190)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으로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홀(도면부호 없음)을 갖는다.
실린더(150)의 실린더플랜지(152) 상에는 외부캡(192)이 위치한다. 외부캡(192)은 실린더(150)에 비해서 더 큰 직경을 갖고 용기(도시하지 않음)의 상부에 나사 결합하는 캡나사산(194)을 구비한다. 그리고 외부캡(192)은 캡상면(196)을 갖는데, 이는 실린더플랜지(152) 상에 위치하고 그 상면은 숄더둘레면(146)의 하단과 접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 그리고 도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배출 펌프(100)의 내용물 배출량 조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1에서 로드(110)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부재(180)가 하강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숄더(140)에 대한 로드(110)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8에서 로드(110)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부재(180)가 추가로 하강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숄더(140)에 대한 로드(110)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로드(110)의 걸림돌기(114)는 가이드홈(149) 상에 있지 않고 걸림단턱(148)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걸림돌기(114)는 걸림단턱(148)에 의해서 걸려서, 로드(110) 및 피스톤(120)이 하강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로드(110) 및 피스톤(120)이 하강할 수 없는 경우 내용물이 배출될 수 없는 잠금(lock) 상태에 있게 된다.
내용물이 배출될 수 없는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 이동부재(180)와 밸브(130)의 연결부재(136) 사이의 거리(D1)가 최대로 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재(180)의 상단부는 걸림단턱(148)과 접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상태에서 로드(110)를 60도 회전시키면, 도 8 및 도 9와 같이 걸림돌기(114)가 가이드홈(149)의 입구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로드(110)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부재(180)도 하강해서 그 하단부와 연결부재(136) 사이의 간격(D2)은 D1에 비해서 축소된다. 이 상태에서 로드(110)를 하향 가압하면, 로드(110)와 피스톤(120)이 D2만큼 하강할 때 밸브(130)는 실린더(150) 내주면과의 마찰력에 의해서 하강하지 않거나 하강이 지연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130)가 하강하지 않거나 하강 지연에 의해서, 하강하는 피스톤(120)의 유입홀(126)이 개방된다. 또한, 피스톤(120)의 하강에 의해서 내부공간(154)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면서 내용물이 유입홀(126)을 통해서 피스톤(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로드(110)의 하강에 의해서 이동부재(180)가 D2만큼 하강한 후 연결부재(136)를 하향 가압해서 밸브(130)도 함께 하강하게 한다.
도 8 및 도 9의 상태에서 로드(110)를 다시 60도 회전시키면, 도 10 및 도 11과 같이 걸림돌기(114)가 다른 가이드홈(149)의 입구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로드(110)의 추가적인 회전에 의해서 이동부재(180)도 더 하강해서 그 하단부와 연결부재(136) 사이의 간격(D3)은 D2에 비해서 축소된다. 이 상태에서 로드(110)를 하향 가압하면, 로드(110)와 피스톤(120)이 D3만큼 하강할 때 밸브(130)는 실린더(150) 내주면과의 마찰력에 의해서 하강하지 않거나 하강이 지연될 수 있다. 그리고 간격 D3가 간격 D2(도 8 및 도 9 참조)에 비해서 작기 때문에 밸브(130)의 하강 지연과 로드(110) 및 피스톤(120)의 하강 시간이 D2에 비해서 축소된다. 이로 인해, 유입홀(126)의 개방 정도가 도 8에 비해서 축소되어 피스톤(120)에 유입되는 내용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배출 펌프(100)은 로드(110)의 회전에 의해서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게 하거나(도 1 및 도2와 같은 잠금 상태), 내용물이 상대적으로 많이 배출되게 하거나(예를 들면, 도 8 및 도 9의 상태인 경우 1회 가압에 의해서 5cc의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음), 내용물이 상대적으로 적게 배출되게 할 수 있다(예를 들면, 도 10 및 도 11의 상태인 경우 1회 가압에 의해서 3cc의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음).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펌프
110: 로드
120: 피스톤
130: 밸브
140: 숄더
150: 실린더
160: 디스크
170: 탄성부재
180: 이동부재
190: 노즐

Claims (7)

  1. 내용물이 유입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실린더;
    상기 내부공간에서 승하강 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될 수 있는 유입홀을 구비하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각각 접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유입홀을 폐쇄할 수 있는 밸브;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고, 걸림단턱과 상기 걸림단턱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숄더;
    상기 숄더에 삽입되고,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어 연통되며, 상기 걸림단턱에 걸리거나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하강할 수 있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로드;
    상기 로드 및 피스톤 중 어느 하나를 상향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로드의 둘레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의 회전에 의해서 승하강되면서 상기 밸브와 간격이 조정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가변 배출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체결돌기가 결합하는 내부나사산을 구비하는 가변 배출 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피스톤의 둘레에 배치되는 피스톤결합부와,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과 접하는 실린더결합부와, 상기 피스톤결합부 및 실린더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하강해서 상기 연결부재를 하향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배출 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두 개가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배출 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피스톤의 하부를 상향 가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배출 펌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휘어지는 변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형부는 플라스틱 수지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배출 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피스톤과 접하는 결합헤드 구비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결합헤드에서 다소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변 배출 펌프.
KR1020200054178A 2020-05-07 2020-05-07 가변 배출 펌프 KR20210136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178A KR20210136235A (ko) 2020-05-07 2020-05-07 가변 배출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178A KR20210136235A (ko) 2020-05-07 2020-05-07 가변 배출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235A true KR20210136235A (ko) 2021-11-17

Family

ID=7870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178A KR20210136235A (ko) 2020-05-07 2020-05-07 가변 배출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62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1567B2 (en) Dispenser assembly for a fluid dispensing receptacl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RE38067E1 (en) Device for separately storing at least two substances, for mixing them together, and for dispensing the mixture obtained thereby, and a method of manufacture
US6648244B2 (en) Atomizer with a bellows-shaped container body
US7857174B2 (en) Fluid dispenser
US8448822B2 (en) Device for packaging a product
US2707968A (en) Protected dispensing valve assembly
EP3476243B1 (en) Case for liquid state cosmetics
JP2004508175A (ja) 液体分配器
US7997451B2 (en) Fluid product dispensing member and a dispenser provided therewith
US6932246B2 (en) Assembly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product, especially in the form of a sample
US20210187530A1 (en) Spray pump
US20070256748A1 (en) Fluid dispenser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alve member
KR20210136235A (ko) 가변 배출 펌프
KR102305802B1 (ko) 펌프캡
KR102462958B1 (ko) 액체 분사 펌프
KR102226969B1 (ko) 펌프
KR20210124741A (ko) 펌프캡
US2963265A (en) Dispensing mechanism
KR20210124871A (ko) 화장품 용기
JP4743389B2 (ja) 少量吐出容器
KR102385639B1 (ko) 화장품 용기
KR20210117847A (ko) 펌프캡
KR102427023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펌프
KR102427032B1 (ko) 펌프
KR100495527B1 (ko) 최소 크기의 예압식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