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821A -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 - Google Patents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821A
KR20210135821A KR1020200053946A KR20200053946A KR20210135821A KR 20210135821 A KR20210135821 A KR 20210135821A KR 1020200053946 A KR1020200053946 A KR 1020200053946A KR 20200053946 A KR20200053946 A KR 20200053946A KR 20210135821 A KR20210135821 A KR 20210135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sensor
oral
bacteria
coating layer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9651B1 (ko
Inventor
이채명
홍성준
송주동
장일석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3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651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9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p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2Mouth, e.g., oral cavity; tongue; Lips;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G01N33/528Atypical element structures, e.g. gloves, rods, tampons, toilet p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03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 A61B2010/0006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involving a colour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ntistry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고분자 기재; 및 상기 기재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고분자 바인더 및 지시약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pH 5.5 이하에서 색이 변화하는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ORAL COLOR SENSOR FOR BACTERIAL DETECTION}
본 발명은 편의성 및 구강 관리 효과가 우수한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에 관한 것이다.
투명 교정기, 교정유지 장치, 마우스피스, 코골이 방지장치와 같은 구강용 의료기기는 일상 생활이나 수면 중에 착용하여 구강 관련 치료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투명 교정기 및 교정유지 장치는 불규칙한 치아와 비정상적인 상하악의 맞물린 상태를 교정해주거나 교정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치료 장치이고, 마우스피스 및 코골이 방지장치는 수면 중에 구강 기반 이갈이나 코골이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치료 장치이다.
다만, 상기 구강용 의료기기는 장시간 동안 구강 내에 장착되어 기기 주변에 바이오 필름의 생성으로 인한 세균 번식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치아 우식증, 치은염과 같은 구강 또는 치아 질병감염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치아 우식증은 치아의 석회화 조직의 일부가 용해되어 파괴되는 감염성 세균 질환이다. 탈회와 치질 상실로 나타나는 우식의 활성도는 매우 다양하며 치태 내부의 박테리아가 정제된 탄수화물을 대사하여 생성된 산이 치질의 결정 구조를 용해시켜 우식 병소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치아 우식증이 발생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는 숙주요인, 병원체요인, 환경요인 및 시간요인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중 일상 생활에서 매일 섭취하는 식품의 경우는 환경요인에 해당하며, 섭취한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탄수화물, 특히, 당분은 구강 내 세균의 대사원으로 치아 우식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당분을 섭취한 후 대사산물인 산이 생성되고 이로 인해 치태의 pH가 법량질의 탈회가 시작되는 임계 pH 5.5 이하로 떨어지면 법량질의 수산화인회석과 법량질 표면을 덮고 있는 치태 내의 칼슘과 인 이온 농도의 평형이 기울게 되어 법량질의 용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세균이 생성되어 치아의 세균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pH 값을 측정함으로써, 세균의 발생 유무를 체크하여 미연에 방지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 pH 측정 방법으로는, 샘플링/스크랩핑 방법으로 치태를 문지르거나 채취하여 구강 외에서 pH 미터를 사용하여 실험실에서 측정하는 방법이고, 터치-온/마이크로터치 방법은 안티몬 또는 글래스 전극을 치태 내부에 직접 넣어 pH를 측정하는 방법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만, 종래 pH 측정 방법은 별도의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으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세균 발생 여부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어 예방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측정 장치를 구매하거나 측정 시 마다 비용을 지불해야하여 사용자가 비용적 부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pH 측정이 간단하고 편리하면서도, 일상 생활 중에서도 빠른 시간 내에 세균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구강 내의 세균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구강용 세균감지 센서에 대한 연구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료기기 착용 중에도 간편하게 세균발생 여부를 단시간 내 감지하여 편의성이 우수하면서도 재사용이 가능한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고분자 기재; 및 상기 기재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고분자 바인더 및 지시약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pH 5.5 이하에서 색이 변화하는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기재는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바인더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키토산, 키토산, 폴리아크릴산, 알지네이트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시약은 리트머스, 브롬티몰블루(BTB), 메틸오렌지, 메틸렌블루,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시약은 상기 고분자 바인더에 대하여 0.5~10%(w/v)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0.1~0.7㎛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균감지 컬러센서는 1회 이상 세척 및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기재는 투명 교정기, 교정유지 장치, 마우스피스, 코골이 방지장치 또는 기타 구강용 의료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는 고분자 기재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고분자 바인더 및 지시약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구강 의료기기를 착용 중 세균이 발생하면 코팅층의 색 변화가 발생하여 단시간 내 세균발생을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강 내 세균 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색 변화된 코팅층은 세척에 의해 가역성이 존재하여 소정의 횟수 동안 재사용이 가능하여 장치 관리 및 사용이 간편하고 구강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세균감지 컬러센서의 메커니즘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세균감지 컬러센서 코팅층의 물성 평가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세균감지 컬러센서의 가역성 평가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세균감지 컬러센서의 흡광도 측정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고분자 기재; 및 상기 기재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고분자 바인더 및 지시약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pH 5.5 이하에서 색이 변화하는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를 제공한다.
구강용 의료기기는 사용자가 일상 생활 중이나 수면 중에 장시간 착용한 상태로 유지하므로 기기 주변에 바이오 필름 생성 등 구경 오염이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세균 감염이 우려된다. 세균 발생 여부는 pH 농도를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당분 섭취 시 세균이 당을 분해하며 산이 분비되는 대사 과정으로 인한 것이다. 따라서, 세균 감염 여부는 pH를 측정하여 세균 생성 및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종래 pH 측정은 별도의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측정을 진행해야 하므로, 장소와 시간의 제약이 동반되어 세균 생성확인이 지연될 수 있어 구강 및 치아 질환이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는 구강 의료기기를 구성하는 고분자 기재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고분자 바인더 및 지시약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하고, 치아의 법량질이 탈회되는 시점인 pH 5.5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가 착용 시 구강 내에서 세균의 대사로 인한 산의 발생으로 pH 5.5이하의 환경이 조성되면, 상기 코팅층의 색이 변화함으로써 세균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는 별도의 측정기기 없이 구강 의료기기에 형성된 코팅층의 색 변화로 인해 세균 발생을 감지할 수 있어 간편하고 장소와 시간의 제약없이 세균감지 후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구강 및 치아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의 메커니즘을 도식화한 것이다. 지시약은 리트머스 용액을 포함했을 경우로, 지시약의 종류를 달리하면 pH 값에 따른 색상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리트머스 용액은 pH 값이 중성일 경우 보라색, 염기성일 경우 파란색이고, 산성일 경우 붉은색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도 1(a)는 고분자 기재 표면의 일부에 고분자 바인더 및 지시약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1(a)는 pH 값이 중성 환경이므로 코팅층의 색상은 보라색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b)는 코팅층 상에 바이오 필름 등의 세균 번식이 발생한 것으로 세균의 대사로 인한 산의 형성으로 구강 환경이 pH 5.5 이하의 산성화가 진행됨으로써 세균 번식 부위가 붉은색으로 변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c)는 오염된 부위를 세척하여 도1 (a)의 중성 환경으로 돌아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역성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기재는 구강 의료기기의 소재로 적합한 것일 수 있고, 그 예시로,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분자 바인더는 코팅층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 간의 바인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그 종류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키토산, 키토산, 폴리아크릴산, 알지네이트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고분자 바인더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00~4,000,00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500,000 이상, 600,000 이상, 700,000 이상, 800,000 이상, 900,000 이상, 1,000,000 이상, 1,300,000 이상 또는 1,500,000 이상이고, 4,000,000 이하, 3,700,000 이하, 3,300,000 이하, 3,000,000 이하, 2,700,000 이하, 2,300,000 이하 또는 2,000,000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시약은 리트머스, 브롬티몰블루(BTB), 메틸오렌지, 메틸렌블루,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 pH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화합물 또한 상기 지시약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시약은 상기 고분자 바인더와 함께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고, 구강 내 pH 값이 5.5 이하로 내려가면 30초~1분 내로 상기 코팅층의 색 변화를 유도하여 세균발생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리트머스는 이끼류에서 추출된 색소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리트머스 종이는 리트머스 알코올 용액에 각각 염산과 암모니아수를 넣은 용액을 종이에 묻혀 말린 것이다. 상기 리트머스 지시약은 중성에서는 보라색, 염기성에서는 파란색이고, 산성에서는 붉은색을 띤다. 상기 브롬티몰블루(BTB)는 중성에서는 녹색, 염기성에서는 파란색이고, 산성에서는 노란색을 띤다. 상기 메틸오렌지는 중성 및 염기성에서는 노란색, 산성에서는 붉은색을 띤다. 상기 메틸렌블루는 산화 환원 지시약으로 산화 시 파란색을 띠고, 환원 시 무색을 띠며, 상기 메틸렌블루 자체는 염기성 화합물로 산성물질과 반응하면 파란색을 띠게 된다. 상기 지시약은 구강 내의 세균 감지를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강 내 세균 감지를 판단할 수 있는 변색 범위를 가진 지시약일 수 있고, 그 종류는 전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지시약은 상기 고분자 바인더에 대하여 0.5~10%(w/v)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0.5% 이상, 0.6% 이상, 0.7% 이상, 0.8% 이상, 0.9% 이상, 1.0% 이상, 2.0% 이상, 3.0% 이상, 4.0% 이상 또는 5.0% 이상이고, 10% 이하, 9.5% 이하, 9.0% 이하, 8.5% 이하, 8.0% 이하, 7.5% 이하, 7.0% 이하, 6.5% 이하 또는, 6.0%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시약이 상기 고분자 바인더에 대하여 0.5%(w/v) 미만이면 세균 감지 측정에 대한 정확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w/v) 초과이면 지시약의 함량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 치아 변색 등의 사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0.1~0.7㎛일 수 있고, 예를 들어, 0.1㎛, 0.2㎛, 0.3㎛, 0.4㎛, 0.5㎛, 0.6㎛ 또는 0.7㎛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0.1㎛ 미만이면 세균 감지 측정에 대한 정확성이 저하되거나 코팅층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0.7㎛ 초과이면 필요 이상으로 코팅층이 두꺼워져 사용감이 저하되고 코팅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거나 색상 변화 측정이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상기 세균감지 컬러센서는 1회 이상, 2회 이상, 3회 이상, 4회 이상, 5회 이상, 6회 이상, 7회 이상, 8회 이상, 9회 이상 또는 10회 이상 세척 및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세균감지 컬러센서는 사용자가 착용 중에 바이오 필름 등의 발생으로 인한 구강 오염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코팅층의 색 변화가 발생하여 세균 발생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 즉시 세척할 수 있어 구강 및 치아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세균감지 컬러센서는 세척 후 세균을 제거하여 본래의 색으로 돌아가는 가역성이 존재하여, 사용자가 세척 후 재착용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균감지 컬러센서는 1~11회, 즉,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10회 또는 11회 세척 및 재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분자 기재는 투명 교정기, 교정유지 장치, 마우스피스, 코골이 방지장치 또는 기타 구강용 의료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는 다양한 구강용 의료기기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간단하게 세균 증식을 감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투명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시트 상에 중량평균분자량(Mw) 1,000,000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에 대해 5%(w/v)의 메틸오렌지 용액을 첨가한 조성물을 0.1~0.7㎛의 두께로 코팅하여 엷은 노란색을 띄는 코팅층이 형성된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투명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시트 상에 중량평균분자량(Mw) 1,000,000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에 대해 5%(w/v)의 리트머스 용액을 첨가한 조성물을 0.1~0.7㎛의 두께로 코팅하여 엷은 보라색을 띄는 코팅층이 형성된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투명한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시트 상에 중량평균분자량(Mw) 1,000,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에 대해 5%(w/v)의 BTB 용액을 첨가한 조성물을 0.1~0.7㎛의 두께로 코팅하여 엷은 녹색을 띄는 코팅층이 형성된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투명한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시트 상에 중량평균분자량(Mw) 1,000,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에 대해 5%(w/v)의 메틸렌블루 용액을 첨가한 조성물을 0.1~0.7㎛의 두께로 코팅하여 무색을 띄는 코팅층이 형성된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투명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 상에 중량평균분자량(Mw) 1,000,000인 키토산에 대해 5%(w/v)의 BTB 용액을 첨가한 조성물을 0.1~0.7㎛의 두께로 코팅하여 엷은 녹색을 띄는 코팅층이 형성된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코팅층의 두께를 0.01~0.05㎛로 코팅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를 제조하였으나 오렌지필 현상이 관찰되어 외관이 다소 불량하였다.
비교예 2
코팅층의 두께를 0.8~1.0㎛로 코팅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를 제조하였으나 코팅층의 두께가 불균일하고 균열이 발생하여 사용할 수 없었다.
실험예 1: 세균감지 물성 평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의 세균감지 물성 평가를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진행 방법으로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세균감지 컬러센서를 가로 20㎝, 세로 10㎝으로 커팅하여 시편을 제조하였고, 시편 상에 증류수(A-1) 및 뮤탄스균이 배양된 증류수(B-1)를 각각 떨어뜨려 그 색 변화를 관찰하였고, 정확도를 위해 기재의 다른 부위에 증류수(A-2) 및 뮤탄스균이 배양된 증류수(B-2)를 떨어뜨려 역시 색 변화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고하면, 실시예 1의 시편은 지시약으로 메틸오렌지를 포함하여, 증류수를 떨어뜨린 부위(A-1, A-2)는 엷은 노란색을 띄어 그 색 변화가 없었고, 뮤탄스균이 배양된 용액을 떨어뜨린 부위(B-1, B-2)는 떨어뜨린 직후부터 30초 후 붉은색으로 변하였다. 이에 따라 실시예의 코팅층이 고르게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고, 세균발생의 감지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가역성 평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의 가역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플라스틱 UV 큐벳(UV QUARTZ UVETTE)의 표면을 실시예 1의 코팅층을 이루는 조성물을 코팅한 후 뮤탄스균 배양 용액 첨가 및 세척을 반복 수행하여 가역성 평가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및 도 4를 참고하면, UV 큐벳의 코팅층이 뮤탄스균 배양에 의해 색 변화가 발생하는 것과 세척을 반복 수행함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래 투명에 가까웠던 코팅층을 포함하는 UV 큐벳이 뮤탄스균 발생에 따라 코팅층의 색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흡광도가 상승하였으며 세척에 따라 본래의 색으로 돌아오면서 흡광도가 낮아짐을 반복함을 확인할 수 있고, 도 3에 따르면 가역 횟수는 최대 11회로 나타내어 재사용 횟수가 최대 11회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고하면, 세척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가역성이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의 시편은 1회 세척 후 코팅층의 색 변화가 극히 미미하여 재사용이 불가능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고분자 기재; 및
    상기 기재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고분자 바인더 및 지시약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pH 5.5 이하에서 색이 변화하는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기재는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바인더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키토산, 키토산, 폴리아크릴산, 알지네이트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약은 리트머스, 브롬티몰블루(BTB), 메틸오렌지, 메틸렌블루,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약은 상기 고분자 바인더에 대하여 0.5~10%(w/v) 포함되는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0.1~0.7㎛인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감지 컬러센서는 1회 이상 세척 및 재사용이 가능한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기재는 투명 교정기, 교정유지 장치, 마우스피스, 코골이 방지장치 또는 기타 구강용 의료기기인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
KR1020200053946A 2020-05-06 2020-05-06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 KR102369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946A KR102369651B1 (ko) 2020-05-06 2020-05-06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946A KR102369651B1 (ko) 2020-05-06 2020-05-06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821A true KR20210135821A (ko) 2021-11-16
KR102369651B1 KR102369651B1 (ko) 2022-03-04

Family

ID=7871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946A KR102369651B1 (ko) 2020-05-06 2020-05-06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6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351B1 (ko) 2022-03-02 2023-02-23 주식회사 엠테이크 세균감지소자, 세균감지센서,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균감지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085B1 (ko) 2017-05-01 2017-10-12 김도훈 치아별 산도 및 구강 내 세균 검사장치
WO2019239427A1 (en) * 2018-06-11 2019-12-19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Delhi A biosensor for detecting multi analyte in oral flui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085B1 (ko) 2017-05-01 2017-10-12 김도훈 치아별 산도 및 구강 내 세균 검사장치
WO2019239427A1 (en) * 2018-06-11 2019-12-19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Delhi A biosensor for detecting multi analyte in oral flu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351B1 (ko) 2022-03-02 2023-02-23 주식회사 엠테이크 세균감지소자, 세균감지센서,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균감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651B1 (ko)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542B1 (ko) 우식 조직 검출을 위한 치과용 조성물, 검출 방법
Naik et al. A study of factors contributing to denture stomatitis in a north Indian community
US200601414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ubstances related to oral health
KR102369651B1 (ko) 구강용 세균감지 컬러센서
Nissan et al. Dual wavelength spectrophotometry as a diagnostic test of the pulp chamber contents
Kara et al. Effect of oral hygiene instruction and scaling on oral malodour in a population of Turkish children with gingival inflammation
Wan Bakar et al. Susceptibility of selected tooth‐coloured dental materials to damage by common erosive acids
Al-Khabbaz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periodontal disease severity.
KR101785085B1 (ko) 치아별 산도 및 구강 내 세균 검사장치
Babiker et al. Dimensional accuracy of alginate impressions using different methods of disinfection with varying concentrations
US200602257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oral health
Duruturk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DIAGNOdent in detection of occlusal caries in newly erupted noncavitated first permanent molars in caries-active children
Xu et al. Non-invasive biomedical sensors for early detection and monitoring of bacterial biofilm growth at the point of care
Raszewski et al. The effect of chlorhexidine disinfectant gels with anti-discoloration systems on color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MMA resin for dental applications
Bruzda-Zwiech et al. Caries Experience and Distribution by Tooth Surfaces in Primary Molars in the Pre-school Child Population of Lodz, Poland.
Hosoya et al. Influence of tooth-polishing pastes and sealants on DIAGNOdent values.
Jones et al. Influenza A virus polymerase acidic protein E23G/K substitutions weaken key baloxavir drug-binding contacts with minimal impact on replication and transmission
Lussi et al. Influence of professional cleaning and drying of occlusal surfaces on laser fluorescence in vivo
Trautmann et al. Hydrogen peroxide versus sodium hypochlorite: all a matter of pH?
CN107586822A (zh) 一种检测电子烟气溶胶水提物细胞毒性的方法
CN205538799U (zh) 一种新型余氯水质检测仪
JP4141048B2 (ja) 唾液検査用具
Zollinger et al. Effects of endodontic irrigants on blood and blood-stained dentin
Singh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cytotoxic effects of MTAD and sodium hypochlorite using lactate dehydrogenase and trypan blue assays: An: in vitro: study
Wang et al. A colourimetric evaluation of the effect of bacterial contamination on teeth stained with blood in vitro: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two different bleaching regi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