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760A - 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760A
KR20210135760A KR1020200053801A KR20200053801A KR20210135760A KR 20210135760 A KR20210135760 A KR 20210135760A KR 1020200053801 A KR1020200053801 A KR 1020200053801A KR 20200053801 A KR20200053801 A KR 20200053801A KR 20210135760 A KR20210135760 A KR 20210135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point
rssi
intensity
external devic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3189B1 (ko
Inventor
신동목
최성빈
이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53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189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760A/ko
Priority to KR1020220161909A priority patent/KR20220166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2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lines or wireless commun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4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by a portabl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 관리 방법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출입 관리 장치의 출입 관리 방법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시점에 제1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2 시점에 제2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이 상기 제2 시점보다 이른 시점이고, 상기 제2 세기가 상기 제1 세기보다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값 이상의 큰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이다.

Description

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장치{ACCESS CONTROL METHOD AND ACCESS CONTROL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출입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이나 특정 지역 등에 대한 출입을 관리하는 기술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출입 관리 장치가 획득하여 도어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여 출입을 관리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종래에 카드 키 등으로 구현되었으나 최근에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관리에 있어서, 출입 관리 장치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도어 개방 여부의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데는 통신의 연결부터 데이터의 획득 후 판단까지 종래의 카드 키에 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사용자가 체감상으로 지연됨을 느끼는 불편함이 발생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미리 정해진 값에 기초하여 미리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보다 근접한 거리에서 개방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의 도어 개방 요청 시 소요되는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개선한 출입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방법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출입 관리 장치의 출입 관리 방법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시점에 제1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2 시점에 제2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이 상기 제2 시점보다 이른 시점이고, 상기 제2 세기가 상기 제1 세기보다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값 이상의 큰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방법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출입 관리 장치의 출입 관리 방법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시점에 제1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2 시점에 제2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이 상기 제2 시점보다 이른 시점이고, 상기 제2 세기와 상기 제1 세기의 차를 상기 제2 시점과 상기 제1 시점의 차로 나눈 제1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출입 관리 장치로, 통신부, 및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1 시점에 제1 세기를 가지는 RSSI 및 제2 시점에 제2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제2 시점보다 이른 시점임 -, 상기 제2 세기가 상기 제1 세기보다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값 보다 큰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출입 관리 장치로, 통신부, 및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1 시점에 제1 세기를 가지는 RSSI 및 제2 시점에 제2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제2 시점보다 이른 시점임 -, 상기 제2 세기와 상기 제1 세기의 차를 상기 제2 시점과 상기 제1 시점의 차로 나눈 제1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값 보다 큰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값에 기초하여 미리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보다 근접한 거리에서 개방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의 도어 개방 요청 시 소요되는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의 환경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의 통신 연결 유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의 환경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리더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연결 유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연결 유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의 통신 연결 유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2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3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연결 유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4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연결 유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양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도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출입 관리 장치의 출입 관리 방법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시점에 제1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2 시점에 제2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이 상기 제2 시점보다 이른 시점이고, 상기 제2 세기가 상기 제1 세기보다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값 이상의 큰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인 출입 관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에 존재하는 시점인 제3 시점에서 제3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에 존재하는 시점인 제4 시점에서 제4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이 유도되는 경우, 상기 제3 시점은 상기 제4 시점보다 이른 시점이고, 상기 제3 세기는 상기 제4 세기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세기는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한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세기는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한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획득된 RSSI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로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 방법은,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 이후, 상기 연결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에 통신이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에 통신이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방 인증 정보는 인증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은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및 BLE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획득된 RSSI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RSSI를 기초로 한 상기 외부 장치의 통신 연결 유도 여부 판단에 대한 대응 응답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는 도어 리더기 및 상기 도어 리더기의 제1 통신 방식과 상이한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서브 리더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리더기가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RSS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리더기가 상기 획득된 RSSI를 기초로 통신 연결을 유도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장치는 도어 리더기 및 상기 도어 리더기의 제1 통신 방식과 상이한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출입 관리 장치와 통신하는 서브 리더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서브 리더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RSS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획득된 RSSI를 기초로 통신 연결을 유도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출입 관리 장치의 출입 관리 방법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시점에 제1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2 시점에 제2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이 상기 제2 시점보다 이른 시점이고, 상기 제2 세기와 상기 제1 세기의 차를 상기 제2 시점과 상기 제1 시점의 차로 나눈 제1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인 출입 관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에 존재하는 시점인 제3 시점에서 제3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에 존재하는 시점인 제4 시점에서 제4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이 유도되는 경우, 상기 제3 시점은 상기 제4 시점보다 이른 시점이고, 상기 제3 세기는 상기 제4 세기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획득된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세기가 상기 제1 세기보다 미리 정해진 값인 제2 값 이상의 큰 값이 아닌 경우, 상기 통신 연결이 유도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세기는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한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세기는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한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획득된 RSSI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로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 이후, 상기 연결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에 통신이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에 통신이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방 인증 정보는 인증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은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및 BLE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획득된 RSSI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RSSI를 기초로 한 상기 외부 장치의 통신 연결 유도 여부 판단에 대한 대응 응답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는 도어 리더기 및 상기 도어 리더기의 제1 통신 방식과 상이한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서브 리더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리더기가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RSS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리더기가 상기 획득된 RSSI를 기초로 통신 연결을 유도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장치는 도어 리더기 및 상기 도어 리더기의 제1 통신 방식과 상이한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출입 관리 장치와 통신하는 서브 리더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서브 리더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RSS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획득된 RSSI를 기초로 통신 연결을 유도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출입 관리 장치로, 통신부, 및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1 시점에 제1 세기를 가지는 RSSI 및 제2 시점에 제2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제2 시점보다 이른 시점임 -, 상기 제2 세기가 상기 제1 세기보다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값 보다 큰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출입 관리 장치로, 통신부, 및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1 시점에 제1 세기를 가지는 RSSI 및 제2 시점에 제2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제2 시점보다 이른 시점임 -, 상기 제2 세기와 상기 제1 세기의 차를 상기 제2 시점과 상기 제1 시점의 차로 나눈 제1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값 보다 큰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이고, 상기 출입 관리 장치는 도어 개폐 장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장치는 도어 개폐 장치이고, 상기 출입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10000)의 환경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10000)은 사용자 단말기(1000), 도어 개폐 장치(2000) 및 인증 서버(3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0)는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0)는 도어 개폐 장치(2000)로 통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0)는 도어 개폐 장치(2000)로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도어 개폐 장치(200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0)는 도어 개폐 장치(2000)로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도어의 개방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0)는 도어 개폐 장치(2000)로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유효성을 판단 받고, 개방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도어의 개방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유효성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 개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3000)는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 및 도어 개폐 장치(2000) 모두와 연결될 수 있다.
인증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도어 개폐 장치(2000)로 도어 개방을 요청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개방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인증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 개방 인증 정보의 발급을 요청 받을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개방 인증 정보의 발급을 요청 받으면서 유효한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1000)임을 판단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 유효한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1000)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로 개방 인증 정보를 발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0)는 단말기 통신부(1010),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20), 단말기 입력부(1030), 단말기 저장부(1040) 및 단말기 제어부(10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1010)는 사용자 단말기(1000)를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기 통신부(1010)는 사용자 단말기(1000)를 도어 개폐 장치(2000) 및 인증 서버(3000) 등의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기 통신부(1010)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2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20)가 터치 스크린으로 제공되는 경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20)는 단말기 입력부(10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에 따라 별도의 단말기 입력부(1030)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며, 볼륨 조절, 전원 버튼 및 홈 버튼 등 제한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입력부(1030)가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 입력부(103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 입력부(1030)는 예를 들어 키보드, 키 패드, 버튼, 조그셔틀 및 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은 예를 들어 버튼의 누름, 터치 및 드래그 등 일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2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020)가 단말기 입력부(103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 저장부(104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 저장부(10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RAM, ROM, SSD, SD CARD 및 광학 디스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저장부(1040)는 사용자 단말기(10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050)는 사용자 단말기(1000)의 동작을 총괄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도어 통신부(2010), 도어 디스플레이부(2020), 도어 음성출력부(2030), 도어 센서부(2040), 도어 구동부(2050), 도어 구동부(2060) 및 도어 제어부(20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통신부(201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어 통신부(201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BLE(Bluetooth Low Energy) 및 알에프아이디(RFID) 등의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통신부(2010)는 저역 필터 또는 슈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 등을 통해 보정된 RSSI를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획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통신부(201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RSSI를 획득한 후, 저역 필터 또는 슈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획득된 RSSI를 보정할 수 있다.
도어 디스플레이부(202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어 디스플레이부(202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어 디스플레이부(2020)가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도어 디스플레이부(2020)는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한 입력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도어 음성출력부(2030)는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음성출력부(2030)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 및 부져(Buzzer) 등일 수 있다.
도어 센서부(2040)는 도어의 개방 상태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도어 센서부(2040)는 도어의 상태에 대한 판단에 필요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도어 센서부(2040)는 도어 개폐 장치(2000)에 필요한 외부 환경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센서부(2040)는 사용자 및 사물 등과의 거리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어 센서부(2040)는 문짝의 위치 판단에 필요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2050)는 도어에 제공되는 문짝의 잠근 또는 잠금 해제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구동부(2050)는 도어가 자동문으로 구현되는 경우 문짝의 개방 또는 폐쇄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2060)는 도어 제어부(2070)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및 도어 제어부(2070)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어 제어부(2070)는 도어 개폐 장치(2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증 서버(3000)는 서버 통신부(3010), 서버 디스플레이부(3020), 서버 입력부(3030), 서버 저장부(3040) 및 서버 제어부(30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010)는 인증 서버(3000)와 외부 전자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서버 통신부(3010)는 외부 전자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3010)는 사용자 단말기(1000)와 필요에 따라 통신 연결을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3010)는 실시 형태에 따라 상시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0)와 연결을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3010)는 유선 통신 방식 및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서버 디스플레이부(302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스플레이부(3020)는 LCD, OLED,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서버 입력부(303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회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입력부(3030)는 키패드, 키보드, 스위치, 버튼 및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저장부(304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저장부(304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 저장부(3040)는 인증 서버(30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050)는 인증 서버(3000)의 동작을 총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증 서버(3000)가 반드시 상술한 구성을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선택에 따라 일부 구성이 제외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서버(3000)가 직접적인 시각적 정보의 제공을 하지 않는 경우 인증 서버(3000)는 서버 디스플레이부(3020)가 제외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3000)는 선택에 따라 추가적인 기능 및 동작 등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부가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의 통신 연결 유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2000)의 통신 연결 유도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수신 신호 강도)를 획득하는 단계(S110),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120),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획득하는 단계(S130),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 사용자 단말기(1000)와 도어 개폐 장치(2000)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S150), 제3 시점에서 제3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160), 제3 세기가 제2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70), 제3 시점을 제2 시점으로 치환하고 제3 세기를 제2 세기로 치환하는 단계(S180), 제3 시점을 제1 시점으로 치환하고 제3 세기를 제1 세기로 치환하는 단계(S190) 및 제2 시점과 제2 세기를 리셋하는 단계(S19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10).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20).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RSSI)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발신한 advertise 패킷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 강도를 획득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1000)가 발신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사용자 단말기(10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가 10dB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거리가 10m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신호 강도는 통신 연결 상황에 따라 상이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의 상호 통신 연결 이전에는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발신한 advertise 패킷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 강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제1 시점에서 획득한 제1 세기 RSSI와 제2 시점에서 획득한 제2 세기 RSSI에 기초하여,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30).
예를 들어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는 제1 세기에서 제2 세기를 뺀 값의 절대값일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는 둘 중 큰 값에서 작은 값을 뺀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값은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값은 10dB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획득한 RSSI인 제1 세기 및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2 시점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이 유도될 수 있다(S150).
사용자 단말기(1000)와 도어 개폐 장치(2000)의 통신 연결 유도는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에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에 개방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획득한 RSSI인 제1 세기 및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3 시점에서 제3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60).
이때 제3 시점은 제1 시점 및 제2 시점보다 늦은 시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3 세기가 제2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70).
제3 세기가 제2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획득한 RSSI를 시간에 따른 그래프로 봤을 때, 증가하는 함수일 수 있다. 이때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도어 개폐 장치(2000)에 근접하고 있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와 도어 개폐 장치(2000)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고 있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제3 세기가 제2 세기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획득한 RSSI를 시간에 따른 그래프로 봤을 때, 감소하는 함수일 수 있다. 이때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도어 개폐 장치(2000)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와 도어 개폐 장치(200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고 있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제3 세기가 제2 세기보다 작은 경우,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도어 개폐 장치(2000)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획득하지 않고 제3 시점을 기준으로 제3 세기와 제3 시점 이후의 시점의 RSSI세기와의 차이를 획득할 수 있다. 제3 시점을 제1 시점으로 하여 도 5에 따른 동작이 진행되도록, 제2 시점을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S190, S195 단계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3 세기가 제2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3 시점을 제2 시점으로 하여 도 5에 따른 동작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3 세기가 제2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3 시점을 상기 제2 시점으로, 상기 제3 세기를 상기 제2 세기로 치환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80).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3 시점을 제2 시점으로, 제3 세기를 제2 세기로 치환하여, 치환된 제2 시점 및 제2 세기와 제1 시점 및 제1 세기를 기준으로 다시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획득하는 단계(S13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치환의 의미는, 제1 값과의 비교를 통해 통신 연결 유도(S150)를 진행할 때, S140단계에서 차이를 구하는 '제1 세기' 및 '제2 세기'를 어떠한 값으로 계산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도어 개폐 장치(2000)에서의 '설정 변경'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치환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치환의 의미일 수 있다. 일 예로, S140단계에서 차이를 구하는 데에 이용되도록 저장되어 있는 '제1 시점', '제1 세기', '제2 세기점' 및 '제2 세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값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값을 삭제하고 다른 값으로 대체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시점을 b, 제2 세기를 B, 제3 시점을 c, 제3 세기를 C라고 했을 때, b를 c로, B를 C로 그 값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시점 및 제2 세기의 값을 삭제하고, 삭제된 부분에 제3 시점 및 제3 세기의 값을 입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치환 후 제3 시점 및 제3 세기는 삭제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3 시점을 제2 시점으로, 제3 세기를 제2 세기로 치환한 후,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획득(S130)하여 다시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3 세기가 제2 세기보다 작은 경우, 제3 시점을 제1 시점으로, 제3 세기를 제1 시점으로 치환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90).
상기 치환의 의미는, 제1 값과의 비교를 통해 통신 연결 유도(S150)를 진행할 때, S140단계에서 차이를 구하는 '제1 세기' 및 '제2 세기'를 어떠한 값으로 계산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도어 개폐 장치(2000)에서의 '설정 변경'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치환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치환의 의미일 수 있다. 일 예로, S140단계에서 차이를 구하는 데에 이용되도록 저장되어 있는 '제1 시점', '제1 세기', '제2 세기점' 및 '제2 세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값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값을 삭제하고 다른 값으로 대체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시점을 a, 제1 세기를 A, 제3 시점을 c, 제3 세기를 C라고 했을 때, a를 c로, A를 C로 그 값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시점 및 제1 세기의 값을 삭제하고, 삭제된 부분에 제3 시점 및 제3 세기의 값을 입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치환 후 제3 시점 및 제3 세기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2 시점 및 제2 세기를 리셋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95).
상기 리셋의 의미에 대해서, 제2 시점 및 제2 세기의 값을 삭제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제2 시점 및 제2 세기의 값뿐만 아니라 제2 시점 및 제2 세기의 용어도 함께 삭제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시점 및 제2 세기가 리셋된 후, 다시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120)가 수행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RSSI를 수신하고, 수신한 RSSI에 기초하여 RSSI값의 차이를 구하는 과정을 '값을 치환한다' 또는 '값을 리셋한다'로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어 개폐 장치(2000)가 RSSI를 수신하고 RSSI값들의 차이를 구하는 과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계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시점, 제2 시점, 제3 시점, 제1 세기, 제2 세기, 제3 세기 등의 값을 치환 또는 리셋하지 않고 제N 시점 및 제N 세기를 획득하여 RSSI값들의 차이를 계속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상기 제1 세기 및 상기 제2 세기에 기초하여 제1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2000)의 제어부는 상기 제1 세기 및 상기 제2 세기에 기초하여 제1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값은 상기 제1 세기 및 상기 제2 세기의 차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3 시점에서 제3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상기 제3 세기와 상기 제1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세기가 상기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간의 통신 연결이 유도될 수 있다.
도5 에서는 도어 개폐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가 도어 개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에서 S110~S195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RSSI의 획득 주체와 RSSI에 기초한 판단 주체가 상이한 경우, 상기 RSSI에 기초한 판단 주체는 상기 RSSI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고, 상기 RSSI를 수신한 판단 주체는 S140 내지 S195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개폐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고, 수신된 RSSI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RSSI에 기초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획득된 RSSI에 기초하여 S140 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S140 단계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S150 내지 S195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방법은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200),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210),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획득하는 단계(S220),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에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240), 사용자 단말기(1000)가 도어 개폐 장치(2000)에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250), 사용자 단말기(1000)에 개방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260), 사용자 단말기(1000)가 도어 개폐 장치(2000)에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270),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획득된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80),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S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200)는 도 5의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110)와 동일할 수 있다.
도 6의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210)는 도 5의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120)와 동일할 수 있다.
도 6의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제1 세기 및 제2 세기에 기초하여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획득하는 단계(S130)는 도 5의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제1 세기 및 제2 세기에 기초하여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획득하는 단계(S220)와 동일할 수 있다.
도 6의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는 도 5의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에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240)가 수행될 수 있다.
연결 인증 정보는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가 통신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인증 정보는 통신 ID, 암호키 및 맥주소(mac address) 등과 같이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0)가 도어 개폐 장치(2000)에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250)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0)는 도어 개폐 장치(2000)의 연결 인증 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도어 개폐 장치(2000)로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0)가 도어 개폐 장치(2000)로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상호 통신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0)의 단말기 통신부(1010) 및 도어 개폐 장치(2000)의 도어 통신부(2010)는 서로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0)의 단말기 통신부(1010) 및 도어 개폐 장치(2000)의 도어 통신부(2010)는 BLE 통신 모듈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0) 및 도어 개폐 장치(2000)의 상호 통신 연결은 BLE 통신 연결일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와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에 개방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260)가 수행될 수 있다.
개방 인증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1000)의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할 권한이 있는 유효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인증 정보는 인증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도어 개방에 대한 권한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에게 부여된 식별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0)에 부여된 식별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 부여된 아이디, 모델명, 제조번호 및 통신 번호 등일 수 있다.
또한 패스워드는 일치 여부를 통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워드는 숫자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키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패스워드는 생체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0)가 도어 개폐 장치(2000)에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270)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0)는 도어 개폐 장치(2000)의 개방 인증 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도어 개폐 장치(2000)로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획득된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80)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한 경우,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개방 인증 정보 자체에 대한 유효 여부 판단,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의 유효 여부 판단 및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단말기(1000)의 유효 여부 판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도어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인증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식별 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식별 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패스워드가 미리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하고,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개방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개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한 결과 유효한 경우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더 고려하여 도어 개방을 제어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인증 정보가 도어를 개방할 권한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어 개방을 수행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S290)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인증 결과 유효한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인증 결과 유효하고, 도어를 개방할 권한이 있는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인증 결과 유효한 경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도어 구동부를 통하여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6 에서는 도어 개폐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가 도어 개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에서 S200~S290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RSSI의 획득 주체와 RSSI에 기초한 판단 주체가 상이한 경우, 상기 RSSI에 기초한 판단 주체는 상기 RSSI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고, 상기 RSSI를 수신한 판단 주체는 S230 내지 S290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개폐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고, 수신된 RSSI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RSSI에 기초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획득된 RSSI에 기초하여 S230 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S230 단계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S240 내지 S290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는 도어 개폐 장치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1 시점(t1)에 제1 세기(r1)의 RSSI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2 시점(t2)에 제2 세기(r2)의 RSSI를 획득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세기(r1)와 제2 세기(r2)와의 차이를 획득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세기(r1)와 제2 세기(r2)와의 차이가 제1 값(v1)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세기(r1)와 제2 세기(r2)와의 차이가 제1 값(v1)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세기(r1)와 제2 세기(r2)와의 차이가 제1 값(v1)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2 시점(t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는 도어 개폐 장치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에서와 같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시점(t1)에서 획득한 RSSI 크기인 제1 세기(r1)와 제2 시점(t2)에서 획득한 RSSI 크기인 제2 세기(r2)와의 차이가 제1 값(v1)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세기(r1)와 제2 세기(r2)와의 차이가 제1 값(v1)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2 시점(t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세기(r1)와 제2 세기(r2)와의 차이가 제1 값(v1)보다 크거나 같고, 동시에 제1 시점(t1) 이후에서부터 제2 시점(t2) 이전까지 -상기 제1 시점(t1) 및 상기 제2 시점(t2)를 포함함- 있는 모든 시점에서의 순간 기울기 값이 0이거나 양의 부호인 것을 만족하여야만 제2 시점(t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간에 통신 연결이 유도된 경우, 제1 시점(t1) 이후에서부터 제2 시점(t2) 이전까지 있는 모든 시점에서의 RSSI 값은 제1 시점(t1)에서의 RSSI 값인 제1 세기(r1)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순간 기울기 값은 시간에 따른 RSSI값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순간 기울기 값은 시간에 따른 RSSI 그래프에 대하여 특정 시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시간에 따른 RSSI값에 기초한 순간 기울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시간에 따른 RSSI 그래프에 대하여 특정 시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순간 기울기 값이 음이 되는 시점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시점을 제1 시점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점 이후에서부터 상기 제1 시점에서의 RSSI값과 제1 값 이상의 차이가 나는 RSSI를 가지는 제2 시점을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순간 기울기 값이 음이 되는 시점이 발생하는 경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가지는 단계가 다시 실행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는 도어 개폐 장치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7에서와 같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시점(t1)에서 획득한 RSSI 크기인 제1 세기(r1)와 제2 시점(t2)에서 획득한 RSSI 크기인 제2 세기(r2)와의 차이가 제1 값(v1)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세기(r1)와 제2 세기(r2)와의 차이가 제1 값(v1)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2 시점(t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세기(r1)와 제2 세기(r2)와의 차이가 제1 값(v1)보다 크거나 같고, 동시에 제3 시점(t3)과 제4 시점(t4)이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에 존재하고, 제3 시점(t3)에서의 RSSI 값인 제3 세기(r3)가 제4 시점(t4)에서의 RSSI 값인 제4 세기(r4)보다 작은 것을 만족하여야만 제2 시점(t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간에 통신 연결이 유도된 경우,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시간에 따른 RSSI 그래프는 증가함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간에 통신 연결이 유도된 경우,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에 존재하는 제3 시점(t3) 및 제4 시점(t4)이 존재할 수 있다. 제3 시점(t3)이 제4 시점(t4)보다 작은 경우, 제3 시점(t3)에서의 RSSI 값인 제3 세기(r3)는 제4 시점(t4)에서의 RSSI 값인 제4 세기(r4)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간에 통신 연결이 유도된 경우, 제1 시점(t1) 이후에서부터 제2 시점(t2) 이전까지 있는 모든 시점에서의 RSSI 값은 제1 시점(t1)에서의 RSSI 값인 제1 세기(r1)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간에 통신 연결이 유도된 경우,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시간에 따른 RSSI 그래프의 순간 기울기는 모두 양의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시간에 따른 RSSI 그래프의 순간 기울기는 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시점이 제4 시점보다 작고, 제3 시점에서의 RSSI 값인 제3 세기가 제4 시점에서의 RSSI 값인 제4 세기보다 큰 경우, 제4 시점을 제1 시점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점 이후에서부터 상기 제1 시점에서의 RSSI값과 제1 값 이상의 차이가 나는 RSSI를 가지는 제2 시점을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세기가 제4 시점에서의 RSSI 값인 제4 세기보다 큰 경우, 제4 시점이 제1 시점이 되어,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가지는 단계가 다시 실행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는 도어 개폐 장치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7에서와 같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시점(t1)에서 획득한 RSSI 크기인 제1 세기(r1)와 제2 시점(t2)에서 획득한 RSSI 크기인 제2 세기(r2)와의 차이가 제1 값(v1)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세기(r1)와 제2 세기(r2)와의 차이가 제1 값(v1)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2 시점(t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세기(r1)와 제2 세기(r2)와의 차이가 제1 값(v1)보다 크거나 같고, 동시에 제1 세기(r1)가 제1 한계값(l1)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만족하여야만 제2 시점(t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간에 통신 연결이 유도된 경우, 제1 시점(t1)의 RSSI값인 제1 세기(r1)는 제1 한계값(l1)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제1 한계값(l1)은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한계값(l1)은 -50dB일 수 있다.
제1 한계값(l1)을 정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해 트리거되는 불필요한 트리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한계값(l1)을 정함으로써, 일정 거리 이내에만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모든 순간 상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고,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모든 순간 상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의 RSSI가 제1 한계값 이상인 시점부터,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는 도어 개폐 장치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7에서와 같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시점(t1)에서 획득한 RSSI 크기인 제1 세기(r1)와 제2 시점(t2)에서 획득한 RSSI 크기인 제2 세기(r2)와의 차이가 제1 값(v1)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세기(r1)와 제2 세기(r2)와의 차이가 제1 값(v1)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2 시점(t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세기(r1)와 제2 세기(r2)와의 차이가 제1 값(v1)보다 크거나 같고, 동시에 제2 세기(r2)가 제1 한계값(l1)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만족하여야만 제2 시점(t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간에 통신 연결이 유도된 경우, 제2 시점(t2)의 RSSI값인 제2 세기(r2)는 제1 한계값(l1)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제1 한계값(l1)은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한계값(l1)은 -35dB일 수 있다.
제1 한계값(l1)을 정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해 트리거되는 불필요한 트리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한계값(l1)을 정함으로써, 일정 거리 이내에만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의 환경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20000)은 사용자 단말기(1100), 도어 개폐 장치(2100) 및 인증 서버(3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100)는 도어 리더기(2300) 및 서브 리더기(25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0)의 블록도는 전술한 도 2의 사용자 단말기(1000)의 블록도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어 개폐 장치(2100)의 블록도는 전술한 도 3의 도어 개폐 장치(2000)의 블록도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증 서버(3100)의 블록도는 전술한 도 4의 인증 서버(3000)의 블록도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100)는 도어 개폐 장치(21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00)는 도어 개폐 장치(2100)의 서브 리더기(2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0)는 도어 개폐 장치(2100)로 통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1100)는 서브 리더기(2500)로 통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0)는 도어 개폐 장치(2100)로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도어 개폐 장치(210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1100)는 서브 리더기(2500)로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도어 개폐 장치(210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0)는 도어 개폐 장치(2100)로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도어의 개방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1100)는 서브 리더기(2500)로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도어의 개방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0)는 도어 개폐 장치(2100)로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유효성을 판단 받고, 개방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도어의 개방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1100)는 서브 리더기(2500)로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유효성을 판단 받고, 개방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도어의 개방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100)는 사용자 단말기(1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2100)는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2100)는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100)는 유효성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 개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100)는 도어 리더기(2300) 및 서브 리더기(2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리더기(2300)는 도어 개폐 장치(21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도어 개폐 장치(2100)와 통신할 수 있다.
도어 리더기(2300)는 도어 개폐 장치(2000)의 도어 제어부(207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리더기(2300)는 도어 제어부(2070)를 통해 도어 센서부(2040)의 센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어 리더기(2300)는 도어 제어부(2070)를 통해 도어 구동부(20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2500)는 사용자 단말기(11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과 도어 리더기(23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이 상이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과 도어 리더기(23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 모두를 가지고 사용자 단말기(1100)와 도어 리더기(2300)의 연결을 돕는 중간 매개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2500)는 사용자 단말기(11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100)와 통신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2500)는 도어 리더기(23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도어 리더기(230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리더기(2500)는 도어 리더기(23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도어 개폐 장치(210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0)와 도어 개폐 장치(2100)의 연결은 사용자 단말기(1100)와 서브 리더기(2500)의 연결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서브 리더기(2500)는 미리 설치되어 있는 도어 개폐 장치(2100)에 제공되는 도어 리더기(23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 이외의 통신 방식을 부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서브 리더기(2500)는 도어 리더기(2300)와 연결될 수 있다.
서브 리더기(2500)는 도어 리더기(23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서버(3100)는 사용자 단말기(1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증 서버(3100)는 사용자 단말기(1100)가 도어 개폐 장치(2100)로 도어 개방을 요청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개방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0)가 서브 리더기(2500)로 도어 개방을 요청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개방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인증 서버(3100)는 사용자 단말기(1100)로 개방 인증 정보의 발급을 요청 받을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3100)는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개방 인증 정보의 발급을 요청 받으면서 유효한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1100)임을 판단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 유효한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1100)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0)로 개방 인증 정보를 발급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리더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서브 리더기(2500)는 서브 리더기 통신부(2510), 서브 리더기 디스플레이부(2530), 서브 리더기 센서부(2550), 서브 리더기 저장부(2570) 및 서브 리더기 제어부(259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 통신부(2510)는 서브 리더기 제1 통신부(2511) 및 서브 리더기 제2 통신부(2513)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 통신부(2510)는 사용자 단말기(1100) 및 도어 개폐 장치(21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리더기 통신부(2510)는 사용자 단말기(1100)와 연결 시 사용자 단말기(1100)의 단말기 통신부(10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브 리더기 통신부(2510)는 도어 개폐 장치(2100)와 연결 시 도어 개폐 장치(2100)에 포함된 도어 리더기(2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브 리더기 통신부(2510)는 도어 리더기(2300)에서 지원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 통신부(2510)는 사용자 단말기(1100)와 연결되는 서브 리더기 제1 통신부(2511) 및 도어 리더기(2300)와 연결되는 서브 리더기 제2 통신부(25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리더기 제1 통신부(2511)는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서브 리더기 제2 통신부(2513)는 도어 리더기(2300)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리더기 제1 통신부(2511)가 사용자 단말기(1100)와 연결되는 통신 방식과 서브 리더기 제2 통신부(2513)가 도어 리더기(2300)와 연결되는 통신 방식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리더기 제1 통신부(2511)는 사용자 단말기(1100)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서브 리더기 제2 통신부(2513)는 마그네틱 통신 방식으로 도어 리더기(2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리더기 제1 통신부(2511)는 서브 리더기 제2 통신부(2513)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리더기 제1 통신부(2511)는 사용자 단말기(1100)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서브 리더기 제2 통신부(2513)는 마그네틱 통신 방식으로 도어 리더기(2300)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 디스플레이부(253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 디스플레이부(253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 디스플레이부(2530)가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서브 리더기 디스플레이부(2530)는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한 입력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 센서부(2550)는 외부로부터 개방 요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리더기 센서부(2550)는 이미지 센서, 생체 신호 획득 센서 및 바코드 리더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외부 이미지에 대응되는 신호를 획득하는 센서 모듈일 수 있다.
생체 신호 획득 센서는 지문, 정맥, 홍채 및 안면 등의 생체 정보에 대한 신호를 획득하는 센서 모듈일 수 있다.
바코드 리더기는 1차원 바코드 및 2차원 바코드 등의 코드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모듈일 수 있다.
1차원 바코드는 선형 바코드일 수 있다. 또한 2차원 바코드는 QR 코드, Aztec, MaxiCode 및 Data Matrix 등의 2차원 형태의 바코드일 수 있다.
서브 리더기 저장부(2570)는 서브 리더기 제어부(2590)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및 서브 리더기 제어부(2590)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 제어부(2590)는 서브 리더기(2500)에 포함된 몇몇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리더기 제어부(2590)는 서브 리더기(2500)에 포함된 몇몇 구성으로부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연결 유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연결 유도 방법은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310),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320), 서브 리더기(2500)가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획득하는 단계(S330),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0),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도어 리더기(2300)에 통신 연결 유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310).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320).
서브 리더기(2500)는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RSSI)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리더기(2500)는 사용자 단말기(1100)가 발신한 advertise 패킷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 강도를 획득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2500)는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1100)가 발신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사용자 단말기(11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리더기(2500)는 사용자 단말기(11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100)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리더기(2500)는 사용자 단말기(11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가 10dB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0)와의 거리가 10m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신호 강도는 통신 연결 상황에 따라 상이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일 예로 서브 리더기(2500)와 사용자 단말기(1100)의 상호 통신 연결 이전에는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발신한 advertise 패킷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 강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리더기(2500)에 의해, 제1 시점에서 획득한 제1 세기 RSSI와 제2 시점에서 획득한 제2 세기 RSSI에 기초하여,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는 제1 세기에서 제2 세기를 뺀 값의 절대값일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는 둘 중 큰 값에서 작은 값을 뺀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리더기(2500)에 의해,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3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값은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값은 10dB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리더기(2500)는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획득한 RSSI인 제1 세기 및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도어 리더기(2300)에 통신 연결 유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350).
서브 리더기(2500)가 도어 리더기(2300)에 통신 연결 유도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도어 리더기(2300)가 서브 리더기(25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0)에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0)와 도어 리더기(2300)가 서브 리더기(2500)를 통해 연결 인증 정보를 주고 받은 후, 도어 리더기(2300)는 서브 리더기(25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0)에 개방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0)와 도어 리더기(2300)가 서브 리더기(2500)를 통해 연결 인증 정보를 주고 받은 후, 도어 리더기(2300)는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어 리더기(2300)가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할 경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0)와 도어 개폐 장치(2000)의 통신 연결 유도는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에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에 개방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4는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RSSI를 판단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가 서브 리더기(250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RSSI를 판단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또는 서브 리더기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S340의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RSSI의 수신 주체와 RSSI의 판단 주체가 상이한 경우, RSSI를 수신한 판단 주체는 상기 RSSI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고, 상기 RRSI를 수신한 판단 주체는 S340 내지 S350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브 리더기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고, 수신된 RSSI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RSSI에 기초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획득된 RSSI에 기초하여 S340 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S340 단계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S35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연결 유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연결 유도 방법은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410),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420), 서브 리더기(2500)가 획득한 제1 세기와 제2 세기를 도어 리더기(2300)로 전송하는 단계(S430), 도어 리더기(2300)가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획득하는 단계(S440), 도어 리더기(2300)가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의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410)는 도 14의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310)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5의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420)는 도 14의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320)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리더기(2500)는 획득한 RSSI인 제1 세기 및 제2 세기를 도어 리더기(2300)로 전송할 수 있다(S430).
서브 리더기(2500)는 도어 리더기(23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에 의해 도어 리더기(2300)로 제1 세기 및 제2 세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리더기(2500)는 도어 리더기(23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서브 리더기 제2 통신부(2513)에 의해 도어 리더기(2300)로 제1 세기 및 제2 세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리더기(2300)는 수신한 RSSI인 제1 세기 및 제2 세기에 기초하여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획득할 수 있다(S4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리더기(2300)는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5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값은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값은 10dB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리더기(2300)는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2 시점에서 사용자 단말기(11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기 위한 신호를 서브 리더기(25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어 리더기(2300)가 사용자 단말기(11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기 위한 신호를 서브 리더기(2500)로 전송함으로써, 도어 리더기(2300)가 서브 리더기(25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0)에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0)와 도어 리더기(2300)가 서브 리더기(2500)를 통해 연결 인증 정보를 주고 받은 후, 도어 리더기(2300)는 서브 리더기(25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0)에 개방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0)와 도어 리더기(2300)가 서브 리더기(2500)를 통해 연결 인증 정보를 주고 받은 후, 도어 리더기(2300)는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어 리더기(2300)가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할 경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0)와 도어 개폐 장치(2000)의 통신 연결 유도는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에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에 개방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5는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RSSI를 판단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가 서브 리더기(250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RSSI를 판단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또는 서브 리더기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S440의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RSSI의 수신 주체와 RSSI의 판단 주체가 상이한 경우, RSSI를 수신한 판단 주체는 상기 RSSI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고, 상기 RRSI를 수신한 판단 주체는 S440 내지 S450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브 리더기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고, 수신된 RSSI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RSSI에 기초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획득된 RSSI에 기초하여 S440 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S440 단계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S45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의 통신 연결 유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2000)의 통신 연결 유도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수신 신호 강도)를 획득하는 단계(S510),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520), 제1 시점의 RSSI와 제2 시점의 RSSI에 기초하여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를 획득하는 단계(S530),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40), 사용자 단말기(1000)와 도어 개폐 장치(2000)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S550), 제3 시점에서 제3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560), 제3 세기가 제2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70), 제3 시점을 제2 시점으로 치환하고 제3 세기를 제2 세기로 치환하는 단계(S580), 제3 시점을 제1 시점으로 치환하고 제3 세기를 제1 세기로 치환하는 단계(S590) 및 제2 시점과 제2 세기를 리셋하는 단계(S59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510).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520).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RSSI)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발신한 advertise 패킷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 강도를 획득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1000)가 발신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사용자 단말기(10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가 10dB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거리가 10m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신호 강도는 통신 연결 상황에 따라 상이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의 상호 통신 연결 이전에는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발신한 advertise 패킷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 강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시점에서 획득한 제1 세기 RSSI와 제2 시점에서 획득한 제2 세기 RSSI에 기초하여,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530).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는 제2 세기와 제1 세기의 차를 제2 시점과 제1 시점의 차로 나눈 변화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는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제1 시점과 제2 시점의 차이로 나눈 값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는 제1 세기에서 제2 세기를 뺀 값을 제1 시점에서 제2 시점을 뺀 값으로 나눈 값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는 제1 세기에서 제2 세기를 뺀 값을 제1 시점에서 제2 시점을 뺀 값으로 나눈 값의 절대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5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값은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값은 100 또는 100[dB/sec]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2 시점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이 유도될 수 있다(S550).
사용자 단말기(1000)와 도어 개폐 장치(2000)의 통신 연결 유도는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에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에 개방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획득한 RSSI인 제1 세기 및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3 시점에서 제3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560).
이때 제3 시점은 제1 시점 및 제2 시점보다 늦은 시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3 세기가 제2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70).
제3 세기가 제2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획득한 RSSI를 시간에 따른 그래프로 봤을 때, 증가하는 함수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000)가 도어 개폐 장치(2000)에 근접하고 있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0)와 도어 개폐 장치(2000)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고 있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제3 세기가 제2 세기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획득한 RSSI를 시간에 따른 그래프로 봤을 때, 감소하는 함수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000)가 도어 개폐 장치(2000)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0)와 도어 개폐 장치(200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고 있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제3 세기가 제2 세기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0)가 도어 개폐 장치(2000)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획득하지 않고 제3 시점을 기준으로 제3 세기와 제3 시점 이후의 시점의 RSSI세기와의 차이를 획득할 수 있다. 제3 시점을 제1 시점으로 하여 도 16에 따른 동작이 진행되도록, 제2 시점을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S590, S595 단계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세기가 제2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3 시점을 제2 시점으로 하여 도 16에 따른 동작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3 세기가 제2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3 시점을 상기 제2 시점으로, 상기 제3 세기를 상기 제2 세기로 치환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580).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3 시점을 제2 시점으로, 제3 세기를 제2 세기로 치환하여, 치환된 제2 시점 및 제2 세기와 제1 시점 및 제1 세기를 기준으로 다시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획득하는 단계(S53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치환의 의미는, 제1 값과의 비교를 통해 통신 연결 유도(S550)를 진행할 때, S540단계에서 기울기를 구하는 '제1 세기' 및 '제2 세기'를 어떠한 값으로 계산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도어 개폐 장치(2000)에서의 '설정 변경'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치환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치환의 의미일 수 있다. 일 예로, S540단계에서 기울기를 구하는 데에 이용되도록 저장되어 있는 '제1 시점', '제1 세기', '제2 세기점' 및 '제2 세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값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값을 삭제하고 다른 값으로 대체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시점을 b, 제2 세기를 B, 제3 시점을 c, 제3 세기를 C라고 했을 때, b를 c로, B를 C로 그 값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시점 및 제2 세기의 값을 삭제하고, 삭제된 부분에 제3 시점 및 제3 세기의 값을 입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치환 후 제3 시점 및 제3 세기는 삭제될 수 있다.
제3 시점을 제2 시점으로, 제3 세기를 제2 세기로 치환한 후,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획득(S530)하여 다시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40)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세기가 제2 세기보다 작은 경우,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3 시점을 제1 시점으로, 제3 세기를 제1 시점으로 치환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590).
상기 치환의 의미는, 제1 값과의 비교를 통해 통신 연결 유도(S550)를 진행할 때, S540단계에서 기울기를 구하는 '제1 세기' 및 '제2 세기'를 어떠한 값으로 계산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도어 개폐 장치(2000)에서의 '설정 변경'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치환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치환의 의미일 수 있다. 일 예로, S540단계에서 기울기를 구하는 데에 이용되도록 저장되어 있는 '제1 시점', '제1 세기', '제2 세기점' 및 '제2 세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값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값을 삭제하고 다른 값으로 대체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시점을 a, 제1 세기를 A, 제3 시점을 c, 제3 세기를 C라고 했을 때, a를 c로, A를 C로 그 값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시점 및 제1 세기의 값을 삭제하고, 삭제된 부분에 제3 시점 및 제3 세기의 값을 입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치환 후 제3 시점 및 제3 세기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제2 시점 및 제2 세기를 리셋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595).
상기 리셋의 의미에 대해서, 제2 시점 및 제2 세기의 값을 삭제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제2 시점 및 제2 세기의 값뿐만 아니라 제2 시점 및 제2 세기의 용어도 함께 삭제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시점 및 제2 세기가 리셋된 후, 다시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520)가 수행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RSSI를 수신하고, 수신한 RSSI에 기초하여 RSSI값의 차이를 구하는 과정을 '값을 치환한다' 또는 '값을 리셋한다'로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어 개폐 장치(2000)가 RSSI를 수신하고 RSSI값들의 차이를 구하는 과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계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시점, 제2 시점, 제3 시점, 제1 세기, 제2 세기, 제3 세기 등의 값을 치환 또는 리셋하지 않고 제N 시점 및 제N 세기를 획득하여 RSSI값들의 차이를 계속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도16 에서는 도어 개폐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가 도어 개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에서 S510~S595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RSSI의 획득 주체와 RSSI에 기초한 판단 주체가 상이한 경우, 상기 RSSI에 기초한 판단 주체는 상기 RSSI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고, 상기 RSSI를 수신한 판단 주체는 S540 내지 S595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개폐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고, 수신된 RSSI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RSSI에 기초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획득된 RSSI에 기초하여 S540 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S540 단계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S550 내지 S595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방법은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600),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610),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를 획득하는 단계(S620),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30), 사용자 단말기(1000)에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640), 사용자 단말기(1000)가 도어 개폐 장치(2000)에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650), 사용자 단말기(1000)에 개방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660), 사용자 단말기(1000)가 도어 개폐 장치(2000)에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670),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획득된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80),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S6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의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600)는 도 16의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510)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7의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610)는 도 16의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520)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7의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제1 세기 및 제2 세기에 기초하여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획득하는 단계(S630)는 도 16의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제1 세기 및 제2 세기에 기초하여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획득하는 단계(S520)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7의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40)는 도 16의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30)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에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640)가 수행될 수 있다.
연결 인증 정보는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가 통신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인증 정보는 통신 ID, 암호키 및 맥주소(mac address) 등과 같이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0)가 도어 개폐 장치(2000)에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650)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0)는 도어 개폐 장치(2000)의 연결 인증 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도어 개폐 장치(2000)로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0)가 도어 개폐 장치(2000)로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상호 통신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0)의 단말기 통신부(1010) 및 도어 개폐 장치(2000)의 도어 통신부(2010)는 서로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0)의 단말기 통신부(1010) 및 도어 개폐 장치(2000)의 도어 통신부(2010)는 BLE 통신 모듈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0) 및 도어 개폐 장치(2000)의 상호 통신 연결은 BLE 통신 연결일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와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에 개방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660)가 수행될 수 있다.
개방 인증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1000)의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할 권한이 있는 유효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인증 정보는 인증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도어 개방에 대한 권한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에게 부여된 식별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0)에 부여된 식별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 부여된 아이디, 모델명, 제조번호 및 통신 번호 등일 수 있다.
또한 패스워드는 일치 여부를 통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워드는 숫자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키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패스워드는 생체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0)가 도어 개폐 장치(2000)에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670)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0)는 도어 개폐 장치(2000)의 개방 인증 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도어 개폐 장치(2000)로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획득된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80)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한 경우,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개방 인증 정보 자체에 대한 유효 여부 판단,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의 유효 여부 판단 및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단말기(1000)의 유효 여부 판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도어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인증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식별 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식별 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패스워드가 미리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하고,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개방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개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한 결과 유효한 경우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더 고려하여 도어 개방을 제어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인증 정보가 도어를 개방할 권한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어 개방을 수행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S690)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인증 결과 유효한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인증 결과 유효하고, 도어를 개방할 권한이 있는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인증 결과 유효한 경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도어 구동부를 통하여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17 에서는 도어 개폐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가 도어 개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에서 S600~S690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RSSI의 획득 주체와 RSSI에 기초한 판단 주체가 상이한 경우, 상기 RSSI에 기초한 판단 주체는 상기 RSSI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고, 상기 RSSI를 수신한 판단 주체는 S630 내지 S690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개폐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고, 수신된 RSSI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RSSI에 기초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획득된 RSSI에 기초하여 S630 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S630 단계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S640 내지 S690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는 도어 개폐 장치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일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1 시점(t1)에 제1 세기(r1)의 RSSI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2 시점(t2)에 제2 세기(r2)의 RSSI를 획득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울기(s1)를 획득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울기(s1)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울기(s1)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2 시점(t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의 통신 연결이 유도된 경우,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차이는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차이는 0.1 또는 0.1[sec]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큰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1000)와 통신 연결을 유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2 세기(r2)가 제1 세기(r1)보다 미리 정해진 값인 제2 값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1000)와 통신 연결을 유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는 도어 개폐 장치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일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도 17에서와 같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울기(s1)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울기(s1)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2 시점(t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울기(s1)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고, 동시에 제1 시점(t1) 이후에서부터 제2 시점(t2) 이전까지 -상기 제1 시점(t1) 및 상기 제2 시점(t2)를 포함함- 있는 모든 시점에서의 순간 기울기 값이 0이거나 양의 부호인 것을 만족하여야만 제2 시점(t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간에 통신 연결이 유도된 경우, 제1 시점(t1) 이후에서부터 제2 시점(t2) 이전까지 있는 모든 시점에서의 RSSI 값은 제1 시점(t1)에서의 RSSI 값인 제1 세기(r1)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순간 기울기 값은 시간에 따른 RSSI값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순간 기울기 값은 시간에 따른 RSSI 그래프에 대하여 특정 시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시간에 따른 RSSI값에 기초한 순간 기울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시간에 따른 RSSI 그래프에 대하여 특정 시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순간 기울기 값이 음이 되는 시점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시점을 제1 시점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점 이후에서부터 상기 제1 시점에서의 RSSI값과 제1 값 이상의 차이가 나는 RSSI를 가지는 제2 시점을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순간 기울기 값이 음이 되는 시점이 발생하는 경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가지는 단계가 다시 실행될 수 있다.
도 20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는 도어 개폐 장치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일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17에서와 같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울기(s1)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울기(s1)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2 시점(t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울기(s1)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고, 동시에 제3 시점(t3)과 제4 시점(t4)이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에 존재하고, 제3 시점(t3)에서의 RSSI 값인 제3 세기(r3)가 제4 시점(t4)에서의 RSSI 값인 제4 세기(r4)보다 작은 것을 만족하여야만 제2 시점(t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간에 통신 연결이 유도된 경우,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시간에 따른 RSSI 그래프는 증가함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간에 통신 연결이 유도된 경우,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에 존재하는 제3 시점(t3) 및 제4 시점(t4)이 존재할 수 있다. 제3 시점(t3)이 제4 시점(t4)보다 작은 경우, 제3 시점(t3)에서의 RSSI 값인 제3 세기(r3)는 제4 시점(t4)에서의 RSSI 값인 제4 세기(r4)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간에 통신 연결이 유도된 경우, 제1 시점(t1) 이후에서부터 제2 시점(t2) 이전까지 있는 모든 시점에서의 RSSI 값은 제1 시점(t1)에서의 RSSI 값인 제1 세기(r1)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간에 통신 연결이 유도된 경우,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시간에 따른 RSSI 그래프의 순간 기울기는 모두 양의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시간에 따른 RSSI 그래프의 순간 기울기는 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시점이 제4 시점보다 작고, 제3 시점에서의 RSSI 값인 제3 세기가 제4 시점에서의 RSSI 값인 제4 세기보다 큰 경우, 제4 시점을 제1 시점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점 이후에서부터 상기 제1 시점에서의 RSSI값과 제1 값 이상의 차이가 나는 RSSI를 가지는 제2 시점을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세기가 제4 시점에서의 RSSI 값인 제4 세기보다 큰 경우, 제4 시점이 제1 시점이 되어,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가지는 단계가 다시 실행될 수 있다.
도 21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는 도어 개폐 장치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일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도 17에서와 같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울기(s1)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울기(s1)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2 시점(t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울기(s1)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고, 동시에 제1 세기(r1)가 제1 한계값(l1)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만족하여야만 제2 시점(t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간에 통신 연결이 유도된 경우, 제1 시점(t1)의 RSSI값인 제1 세기(r1)는 제1 한계값(l1)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제1 한계값(l1)은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한계값(l1)은 -50dB일 수 있다.
제1 한계값(l1)을 정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해 트리거되는 불필요한 트리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한계값(l1)을 정함으로써, 일정 거리 이내에만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모든 순간 상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고,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모든 순간 상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의 RSSI가 제1 한계값 이상인 시점부터,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는 도어 개폐 장치로부터 획득된 신호의 RSSI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일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도 17에서와 같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울기(s1)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울기(s1)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2 시점(t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의 기울기(s1)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고, 동시에 제2 세기(r2)가 제1 한계값(l1)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만족하여야만 제2 시점(t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2000)와 사용자 단말기(1000)간에 통신 연결이 유도된 경우, 제2 시점(t2)의 RSSI값인 제2 세기(r2)는 제1 한계값(l1)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제1 한계값(l1)은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한계값(l1)은 -35dB일 수 있다.
제1 한계값(l1)을 정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해 트리거되는 불필요한 트리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한계값(l1)을 정함으로써, 일정 거리 이내에만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도 2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연결 유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연결 유도 방법은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710),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720), 서브 리더기(2500)가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를 획득하는 단계(S730),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40),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도어 리더기(2300)에 통신 연결 유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7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710).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720).
서브 리더기(2500)는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RSSI)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리더기(2500)는 사용자 단말기(1100)가 발신한 advertise 패킷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 강도를 획득할 수 있다.
서브 리더기(2500)는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1100)가 발신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사용자 단말기(11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리더기(2500)는 사용자 단말기(11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100)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리더기(2500)는 사용자 단말기(11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가 10dB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0)와의 거리가 10m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신호 강도는 통신 연결 상황에 따라 상이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일 예로 서브 리더기(2500)와 사용자 단말기(1100)의 상호 통신 연결 이전에는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1000)가 발신한 advertise 패킷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 강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리더기(2500)에 의해, 제1 시점에서 획득한 제1 세기 RSSI와 제2 시점에서 획득한 제2 세기 RSSI에 기초하여,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730).
예를 들어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는 제1 세기와 제2 세기의 차이를 제1 시점과 제2 시점의 차이로 나눈 값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는 제1 세기에서 제2 세기를 뺀 값을 제1 시점에서 제2 시점을 뺀 값으로 나눈 값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는 제1 세기에서 제2 세기를 뺀 값을 제1 시점에서 제2 시점을 뺀 값으로 나눈 값의 절대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리더기(2500)에 의해,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7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값은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값은 100 또는 100[dB/sec]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리더기(2500)는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획득한 RSSI에 기초하여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도어 리더기(2300)에 통신 연결 유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750).
서브 리더기(2500)가 도어 리더기(2300)에 통신 연결 유도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도어 리더기(2300)가 서브 리더기(25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0)에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0)와 도어 리더기(2300)가 서브 리더기(2500)를 통해 연결 인증 정보를 주고 받은 후, 도어 리더기(2300)는 서브 리더기(25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0)에 개방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0)와 도어 리더기(2300)가 서브 리더기(2500)를 통해 연결 인증 정보를 주고 받은 후, 도어 리더기(2300)는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어 리더기(2300)가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할 경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0)와 도어 개폐 장치(2000)의 통신 연결 유도는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에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에 개방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3은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RSSI를 판단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가 서브 리더기(250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RSSI를 판단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또는 서브 리더기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S740의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RSSI의 수신 주체와 RSSI의 판단 주체가 상이한 경우, RSSI를 수신한 판단 주체는 상기 RSSI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고, 상기 RRSI를 수신한 판단 주체는 S740 내지 S750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브 리더기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고, 수신된 RSSI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RSSI에 기초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획득된 RSSI에 기초하여 S740 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S740 단계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S75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연결 유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연결 유도 방법은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810),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11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820), 서브 리더기(2500)가 획득한 제1 세기와 제2 세기를 도어 리더기(2300)로 전송하는 단계(S830), 도어 리더기(2300)가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를 획득하는 단계(S840), 도어 리더기(2300)가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8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4의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810)는 도 23의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1 시점에서 제1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710)와 동일할 수 있다.
도 24의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820)는 도 23의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제2 시점에서 제2 세기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S720)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리더기(2500)는 획득한 RSSI인 제1 세기 및 제2 세기를 도어 리더기(2300)로 전송할 수 있다(S830).
서브 리더기(2500)는 도어 리더기(23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에 의해 도어 리더기(2300)로 제1 세기 및 제2 세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리더기(2500)는 도어 리더기(23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서브 리더기 제2 통신부(2513)에 의해 도어 리더기(2300)로 제1 세기 및 제2 세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리더기(2300)는 수신한 RSSI인 제1 세기 및 제2 세기에 기초하여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를 획득할 수 있다(84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리더기(2300)는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5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값은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값은 100 또는 100[dB/sec]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리더기(2300)는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기울기가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2 시점에서 사용자 단말기(11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기 위한 신호를 서브 리더기(25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어 리더기(2300)가 사용자 단말기(1100)와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기 위한 신호를 서브 리더기(2500)로 전송함으로써, 도어 리더기(2300)가 서브 리더기(25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0)에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0)와 도어 리더기(2300)가 서브 리더기(2500)를 통해 연결 인증 정보를 주고 받은 후, 도어 리더기(2300)는 서브 리더기(25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0)에 개방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0)와 도어 리더기(2300)가 서브 리더기(2500)를 통해 연결 인증 정보를 주고 받은 후, 도어 리더기(2300)는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어 리더기(2300)가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할 경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0)와 도어 개폐 장치(2000)의 통신 연결 유도는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에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도어 개폐 장치(2000)가 사용자 단말기(1000)에 개방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4는 서브 리더기(2500)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RSSI를 판단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가 서브 리더기(2500)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RSSI를 판단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또는 서브 리더기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S830의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RSSI의 수신 주체와 RSSI의 판단 주체가 상이한 경우, RSSI를 수신한 판단 주체는 상기 RSSI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고, 상기 RRSI를 수신한 판단 주체는 S830 내지 S850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브 리더기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고, 수신된 RSSI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RSSI에 기초한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획득된 RSSI에 기초하여 S840 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S840 단계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S85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00 : 출입 관리 시스템
20000 : 출입 관리 시스템
1000 : 사용자 단말기
2000 : 도어 개폐 장치
3000 : 인증 서버
1100 : 사용자 단말기
2100 : 도어 개폐 장치
2300 : 도어 리더기
2500 : 서브 리더기
3100 : 인증 서버

Claims (31)

  1.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출입 관리 장치의 출입 관리 방법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시점에 제1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2 시점에 제2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이 상기 제2 시점보다 이른 시점이고, 상기 제2 세기가 상기 제1 세기보다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값 이상의 큰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인
    출입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에 존재하는 시점인 제3 시점에서 제3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에 존재하는 시점인 제4 시점에서 제4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이 유도되는 경우, 상기 제3 시점은 상기 제4 시점보다 이른 시점이고, 상기 제3 세기는 상기 제4 세기보다 작은
    출입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기는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한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출입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기는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한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출입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획득된 RSSI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로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 방법은,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 이후,
    상기 연결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에 통신이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에 통신이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도어의 개방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인증 정보는 인증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은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및 BLE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인
    출입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획득된 RSSI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RSSI를 기초로 한 상기 외부 장치의 통신 연결 유도 여부 판단에 대한 대응 응답으로 수행되는
    출입 관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는 도어 리더기 및 상기 도어 리더기의 제1 통신 방식과 상이한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서브 리더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리더기가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RSS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리더기가 상기 획득된 RSSI를 기초로 통신 연결을 유도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도어 리더기 및 상기 도어 리더기의 제1 통신 방식과 상이한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출입 관리 장치와 통신하는 서브 리더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서브 리더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RSS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획득된 RSSI를 기초로 통신 연결을 유도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
  15.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출입 관리 장치의 출입 관리 방법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시점에 제1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2 시점에 제2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이 상기 제2 시점보다 이른 시점이고, 상기 제2 세기와 상기 제1 세기의 차를 상기 제2 시점과 상기 제1 시점의 차로 나눈 제1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인
    출입 관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에 존재하는 시점인 제3 시점에서 제3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에 존재하는 시점인 제4 시점에서 제4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이 유도되는 경우, 상기 제3 시점은 상기 제4 시점보다 이른 시점이고, 상기 제3 세기는 상기 제4 세기보다 작은
    출입 관리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세기가 상기 제1 세기보다 미리 정해진 값인 제2 값 이상의 큰 값이 아닌 경우, 상기 통신 연결이 유도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기는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한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출입 관리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기는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한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출입 관리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획득된 RSSI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로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 이후,
    상기 연결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에 통신이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에 통신이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인증 정보는 인증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은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및 BLE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인
    출입 관리 방법.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획득된 RSSI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RSSI를 기초로 한 상기 외부 장치의 통신 연결 유도 여부 판단에 대한 대응 응답으로 수행되는
    출입 관리 방법.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는 도어 리더기 및 상기 도어 리더기의 제1 통신 방식과 상이한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서브 리더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리더기가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RSS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리더기가 상기 획득된 RSSI를 기초로 통신 연결을 유도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
  2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도어 리더기 및 상기 도어 리더기의 제1 통신 방식과 상이한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출입 관리 장치와 통신하는 서브 리더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서브 리더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RSSI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획득된 RSSI를 기초로 통신 연결을 유도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
  30.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출입 관리 장치로,
    통신부; 및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1 시점에 제1 세기를 가지는 RSSI 및 제2 시점에 제2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제2 시점보다 이른 시점임 -,
    상기 제2 세기가 상기 제1 세기보다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값 보다 큰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출입 관리 장치.
  31.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RSSI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출입 관리 장치로,
    통신부; 및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1 시점에 제1 세기를 가지는 RSSI 및 제2 시점에 제2 세기를 가지는 RSSI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제2 시점보다 이른 시점임 -,
    상기 제2 세기와 상기 제1 세기의 차를 상기 제2 시점과 상기 제1 시점의 차로 나눈 제1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값인 제1 값 보다 큰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간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장치.
KR1020200053801A 2020-05-06 2020-05-06 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장치 KR102473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801A KR102473189B1 (ko) 2020-05-06 2020-05-06 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장치
KR1020220161909A KR20220166240A (ko) 2020-05-06 2022-11-28 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801A KR102473189B1 (ko) 2020-05-06 2020-05-06 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1909A Division KR20220166240A (ko) 2020-05-06 2022-11-28 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760A true KR20210135760A (ko) 2021-11-16
KR102473189B1 KR102473189B1 (ko) 2022-12-02

Family

ID=787169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801A KR102473189B1 (ko) 2020-05-06 2020-05-06 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장치
KR1020220161909A KR20220166240A (ko) 2020-05-06 2022-11-28 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1909A KR20220166240A (ko) 2020-05-06 2022-11-28 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31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9800A (ko) * 2011-03-17 2014-02-17 아싸 아브로이 에이비 Rfid 리더기를 현장에서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KR20190044375A (ko) * 2017-10-20 2019-04-3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비콘 기반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5954B1 (ko) * 2018-11-02 2019-08-05 주식회사 블루앤 공동 현관문의 원격 개방 시스템
KR102097755B1 (ko) * 2019-05-22 2020-04-06 정의석 실시간 이동형 서비스를 이용한 무선통신방식 엘리베이터 자동호출 연동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9800A (ko) * 2011-03-17 2014-02-17 아싸 아브로이 에이비 Rfid 리더기를 현장에서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KR20190044375A (ko) * 2017-10-20 2019-04-3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비콘 기반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5954B1 (ko) * 2018-11-02 2019-08-05 주식회사 블루앤 공동 현관문의 원격 개방 시스템
KR102097755B1 (ko) * 2019-05-22 2020-04-06 정의석 실시간 이동형 서비스를 이용한 무선통신방식 엘리베이터 자동호출 연동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189B1 (ko) 2022-12-02
KR20220166240A (ko)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002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102151843B1 (ko) 서브 리더기 및 서브 리더기 제어 방법
US11887417B2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1698679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출입 제어 장치 및 방법
CN204833296U (zh) 利用虹膜识别的门锁和系统、移动通信终端和网关
US11727741B2 (en) Read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ader
US11626118B2 (en) Vehicle authentication device and vehicle control system
KR20190085204A (ko) 일회용 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락 잠금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KR20180062692A (ko) 출입문 개폐 통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도어락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KR102015642B1 (ko) Rssi 기준값 변경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 제어 방법 및 도어락 제어 시스템
KR20210135760A (ko) 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장치
KR102108346B1 (ko) 시간제한 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락 잠금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US11854323B2 (en) Access control method based on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KR101536595B1 (ko) 음파 데이터 통신과 otp를 이용한 출입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자 인증 시스템
KR102469412B1 (ko) 서브 리더기 및 서브 리더기 제어 방법
CN209842637U (zh) 一种人脸识别控制器
JP2019031833A (ja) 電気錠制御システム、電気錠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