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728A -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728A
KR20210135728A KR1020200053724A KR20200053724A KR20210135728A KR 20210135728 A KR20210135728 A KR 20210135728A KR 1020200053724 A KR1020200053724 A KR 1020200053724A KR 20200053724 A KR20200053724 A KR 20200053724A KR 20210135728 A KR20210135728 A KR 20210135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training
questionnaire
ter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2793B1 (ko
Inventor
이혁규
박윤경
한상훈
정광필
박일관
권영부
최은경
장경훈
허진만
이융
Original Assignee
청주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주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3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793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06F40/216Parsing using statistical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58Heading extraction; Automatic titling; Numb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학교서버로부터 연수대상자에 대한 기본정보를 입력받는 연수등록모듈; 복수의 상기 연수대상자에게 기 설정된 연수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모듈; 상기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을 생성하는 설문생성부 및, 상기 설문을 상기 연수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상기 연수대상자에게 제공하는 설문제공부와, 상기 연수대상자로부터 상기 설문에 대한 답안정보를 입력받는 답안입력부를 포함하는 설문수행모듈; 상기 답안정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설문분석모듈; 상기 결과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는 보고서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A System Providing Leadership Training Service For School Operation}
본 발명은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민주적인 학교 문화 형성 및 우리 사회의 민주시민 양성을 위해, 새로운 역량이 요구되는 오늘날의 교사들을 위한 민주시민교육 역량 및 학급운영방안 등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대상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과 같은 조직에 속해 있는 임직원들은 일관된 목표나 방향도 없이 오로지 기존에 배정받은 자신의 직무에만 몰입하여 이에 관련된 기업적 실적을 성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기업 또한 부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획일화되고 형식적인 직무관련 교육을 관습적인 형태로 수행하도록 하고 있어 이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부작용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임직원 개개인은 자신의 직무 목표 및 임직원 개인이 속한 공동체의 목표에 대한 사명 자체가 흐려지고 있어, 공동체의 목표의식 뿐 아니라 직무 목표 설정, 그리고 임직원 개개인을 위한 새로운 역량 개발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제공되고 있는 임직원 연수 등은 학습동기 제공 및 직무역량 강화의 효과가 높지 않으며, 이는 다양한 직무수행의 기회 약화 뿐 아니라 이와 같이 불필요하고 효과적이지 않은 연수의 경우 비용의 낭비만을 초래하여 결과적으로는 해당 임직원이 속한 집단 뿐 아니라 국가의 경쟁력에까지도 부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4-0052354호에 '역량개발지원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임직원의 역량개발지원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직무별로 성과가 우수한 직원이 가지고 있는 역량을 도출하여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피평가자의 역량평가를 위한 진단문항을 개발하여 진단문항에 답한 결과를 각 역량별로 시스템 상에서 산출해내고, 각 역량별 갭(gap)을 종합하여 제시해주고, 또한 직무별, 역량별로 수립된 연수체계를 바탕으로 역량진단결과와 연수과정을 연동하여 피평가자의 역량수준에 적합한 맞춤식 연수과정을 제공하여 줌으로써 연수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증대하고 직무역량정보에 근거한 효과적인 인재육성전략을 높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역량개발지원 시스템 및 방법의 경우 단순 업무능력 향상에 초점을 둔 역량개발지원 시스템으로서, 사기업 임직원에 대한 역량개발에 집중하였을 뿐 교직원과 같이 공공의 발전에 목표를 둔 구성원들에 대해 최적화된 연수 프로그램이 아닐뿐더러, 특히 학교를 운영하는 학교장 등을 위한 리더십 연수 프로그램에서의 적용에는 적절치 못하다는 한계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민주적인 학교 문화 형성 및 우리 사회의 민주시민 양성을 위해, 새로운 역량이 요구되는 오늘날의 교사들을 위한 민주시민교육 역량 및 학급운영방안 등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대상 리더십 연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민주적인 학교 문화 형성 및 우리 사회의 민주시민 양성을 위해, 새로운 역량이 요구되는 오늘날의 교사들을 위한 민주시민교육 역량 및 학급운영방안 등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대상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학교 운영자들을 포함한 교원들로 하여금 민주주의 학습장이자 출발점으로서의 학교공동체 운영원리를 이해하도록 하며 교원 개개인의 민주시민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연수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수에 참여한 연수대상자들로 하여금 설문조사를 진행함으로써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한 연수프로그램의 추가적인 개선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 대한 새로운 분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주관식 설문으로 제공되는 만족도 조사에 대한 새로운 키워드 분석 방법 및 이를 통한 대표키워드 산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학교서버로부터 연수대상자에 대한 기본정보를 입력받는 연수등록모듈; 복수의 상기 연수대상자에게 기 설정된 연수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모듈; 상기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을 생성하는 설문생성부 및, 상기 설문을 상기 연수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상기 연수대상자에게 제공하는 설문제공부와, 상기 연수대상자로부터 상기 설문에 대한 답안정보를 입력받는 답안입력부를 포함하는 설문수행모듈; 상기 답안정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설문분석모듈; 상기 결과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는 보고서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문생성부는, 상기 연수프로그램에 관한 복수의 객관식질문을 생성하는 객관식생성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답안입력부는, 상기 연수대상자로부터 복수개의 상기 객관식질문에 대한 답안정보인 평가값을 입력받는 평가값입력파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문분석모듈은, 각각의 객관식질문에 대해 복수의 상기 연수대상자가 입력한 평가값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는 평균산출부 및, 각각의 객관식질문에 대해 복수의 상기 연수대상자가 입력한 평가값에 대한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편차산출부와, 상기 평균값 및 상기 표준편차를 기반으로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결과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설문생성부는, 상기 연수프로그램에 관한 복수의 주관식질문을 생성하는 주관식생성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답안입력부는, 상기 주관식질문에 대한 답안정보인 의견정보를 입력받는 의견입력파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문분석모듈은, 상기 의견정보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용어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대표용어를 기반으로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설문분석모듈은, 복수의 상기 의견정보에 포함된 기본용어를 파악하는 키워드파악부와 복수개의 기본용어를 필터링하여 분석용어를 생성하는 필터링수행부 및, 상기 분석용어 각각의 출현빈도를 파악하는 출현빈도파악부와, 상기 출현빈도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상기 분석용어에 대한 중요도값을 산출하는 중요도파악부 및, 상기 중요도값에 따라 복수개의 분석용어 중 적어도 하나의 대표용어를 지정하는 대표용어지정부와, 생성된 상기 대표용어를 기반으로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결과도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1) 민주적인 학교 문화 형성 및 우리 사회의 민주시민 양성을 위해, 새로운 역량이 요구되는 오늘날의 교사들을 위한 민주시민교육 역량 및 학급운영방안 등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대상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
2) 학교 운영자들을 포함한 교원들로 하여금 민주주의 학습장이자 출발점으로서의 학교공동체 운영원리를 이해하도록 하며 교원 개개인의 민주시민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연수프로그램을 제공하며,
3) 연수에 참여한 연수대상자들로 하여금 설문조사를 진행함으로써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한 연수프로그램의 추가적인 개선을 가능케 하였고,
4)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 대한 새로운 분석 방법을 제공할 뿐 아니라,
5) 퍼지 추론 방식을 통해 주관식 설문으로 제공되는 만족도 조사에 대한 새로운 키워드 분석 방법 및 이를 통한 대표키워드 산출 방법을 제공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수프로그램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객관식질문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관식질문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고서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퍼지 입력값 산출 및 퍼지 출력 변수 적용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기본적으로 연수대상자 및 메인서버로 이루어진다.
연수대상자는 본 발명의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을 통해 연수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자로서,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교직원, 특히 학교 운영을 맡는 학교장 등을 의미한다. 연수대상자는 본 발명의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을 통하여 민주적인 학교 문화 형성 및 우리 사회의 민주시민 양성을 위해, 새로운 역량이 요구되는 오늘날의 교사들을 위한 민주시민교육 역량 및 학급운영방안 등을 탐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연수대상자는 교직원임에 따라, 이름, 나이, 근무 중인 학교의 이름, 성별 등의 기본정보가 소속된 학교의 서버인 학교서버에 등록되어 있다.
본 발명의 메인서버는 본 발명의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를 통해 연수대상자에게 연수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주체로서, 연수대상자들로 하여금 민주주의 학습장이자 출발점으로서의 학교공동체 운영원리를 이해하도록 하며 교원 개개인의 민주시민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연수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메인서버는 본 발명의 시스템(10)을 구현해내기 위한 일련의 주체(중앙관제서버)로서, 서버PC 및 네트워크 통신망 등을 함께 포함한다. 더불어 메인서버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련의 구체적 구성을 '모듈' 및 '부', '파트' 등의 구성단위로써 후술할 예정이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 또는 '파트' 등 의 구성은 메인서버의 저장수단에 설치 및 저장된 상태에서 CPU 및 메모리를 매개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내지 ASIC과 같은 하드웨어의 일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모듈' 또는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은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더불어, 메인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의 일 예로서의 컴퓨팅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대해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대한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연수프로그램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객관식질문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주관식질문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보고서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기본 구성 및 추가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연수등록모듈(100), 연수관리모듈(200), 서비스제공모듈(300), 설문수행모듈(400), 설문분석모듈(500), 보고서생성모듈(6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수등록모듈(100)은 연수프로그램에 참가하고자 하는 연수대상자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은 이름, 나이, 성별, 근무 중인 학교의 이름 등을 포함하는 연수대상자에 대한 기본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연수대상자 본인이 직접 본인의 기본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연수대상자가 속한 학교의 서버인 학교서버가 해당 연수대상자의 기본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만큼 개별 학교서버로부터 연수대상자의 기본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연수관리모듈(200)은 연수프로그램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바, 오프라인을 통해 연수프로그램이 연수대상자에게 제공되는 경우 해당 연수프로그램이 시행되는 일정에 관한 정보인 일정정보와 연수프로그램이 시행되는 장소에 대한 정보인 장소정보를 입력받아 연수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모듈로서, 연수설정부(210) 및 정보제공부(220)를 포함한다.
연수설정부(210)는 시스템(10) 관리자, 또는 연수프로그램의 주최자 등으로부터 연수프로그램이 연수대상자에게 제공되는 경우 해당 연수프로그램이 시행되는 일정에 관한 정보인 일정정보와 연수프로그램이 시행되는 장소에 대한 정보인 장소정보를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보제공부(220)는 입력받은 일정정보 및 장소정보를 복수의 연수대상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연수대상자가 오프라인 방식을 통해 제공되는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비스제공모듈(300)은 복수의 상기 연수대상자에게 기 설정된 연수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연수프로그램은 시스템(10) 관리자 또는 연수프로그램 주최자 등을 통해 기 설정되므로 그 형식 또는 제공 방법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온라인(사이버 강의의 형식) 또는 오프라인(현장 강의의 형식) 등을 통해 연수대상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연수프로그램은 그 구성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제한을 두지 않는데, 바람직하게는 연수대상자들 간의 희노애락 공유, 함께 읽고 책에 대한 생각 나누기, 학교의 민주성에 대한 교육, 리더십 함양 교육, 연수 결과 및 소감 나누기, 학교 민주주의 현황 및 쟁점 교육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교육 및 활동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연수프로그램의 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설문수행모듈(400)은 상기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연수대상자로부터 연수프로그램을 마친 후 해당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을 제공하고 설문에 대한 답안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설문생성부(410), 설문제공부(420), 답안입력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설문생성부(410)는 상기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설문 생성은 시스템(10)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혹은 시스템(10) 관리자나 연수프로그램 주최자가 설문에 포함된 질문 하나하나를 입력하여 설문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설문이라는 하나의 문서는 기본적으로 복수개의 객관식질문 및 주관식질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설문생성부(410)에 포함될 수 있는 객관식생성파트(411)에서 상기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복수의 객관식질문을 생성하게 되고, 설문생성부(410)에 포함될 수 있는 주관식생성파트(412)에서 상기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복수의 주관식질문을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객관식질문의 경우 일반적으로 1 내지 5 또는 1 내지 7의 수치화된 평가값으로 답안정보를 입력받게 되는 것으로서, 만족도가 낮을수록 1에 가깝고 만족도가 클수록 높은 평가값을 갖게 된다. 이 때 평가값의 범위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이러한 객관식질문의 예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주관식질문의 경우 연수프로그램의 세부 사항들에 대한 만족도를 텍스트로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주관식의 질문으로써, 주관식질문의 형태나 길이 등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연수프로그램의 다양한 면모에 대해 주관식질문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주관식질문의 예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설문제공부(420)는 복수개의 객관식질문 및 주관식질문을 포함하는 하나의 문서인 상기 설문을 상기 연수프로그램을 제공받아 연수프로그램을 수행한 연수대상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설문 제공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오프라인에서 실제 종이 서류를 제공하는 방식 등으로 설문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혹은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어플리케이션 등을 설치 및 접속하는 방식, 또는 기타 프로그램 등을 통해 설문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답안입력부(430)는 설문을 제공받은 연수대상자로부터 설문에 대한 답안정보를 입력받는데, 이 때 설문의 경우 복수개의 주관식질문 및 객관식질문을 포함한 하나의 문서라고 하였으므로 답안정보 역시 객관식답안 및 주관식답안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답안입력부(430)는 객관식질문에 대한 답안정보를 입력받는 평가값입력파트(431) 및 주관식질문에 대한 답안정보를 입력받는 의견입력파트(432)를 포함한다.
평가값입력파트(431)는 해당 객관식질문에 대한 답안정보, 다시 설명하면 만족도에 대한 개별 객관식질문에 대해 연수대상자가 입력한 수치화된 평가값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본적으로 연수대상자는 모든 객관식질문에 대해 평가값을 각각 입력해야 한다.
의견입력파트(432)는 상기 주관식질문에 대한 답안정보, 다시 설명하면 만족도를 묻는 개별 주관식질문에 대한 해당 연수대상자의 의견인 의견정보를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의견정보는 기본적으로 텍스트로 이루어지며, 연수대상자는 모든 주관식질문에 대해 의견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설문분석모듈(500)은 상기 연수대상자로부터 입력받은 평가값 및 의견정보를 포함하는 답안정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설문의 분석 방식에 대한 제한은 없으므로 다양한 방식으로 해당 설문, 즉 설문에 포함된 각각의 객관식질문 및 주관식질문에 대해 연수대상자들이 입력한 평가값 및 의견정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 결과인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분석 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보고서생성모듈(600)은 생성된 상기 결과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연수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개선방안 등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보고서는 시스템(10) 차원에서 자동 생성될 수도 있으며, 혹은 시스템(10) 관리자나 연수프로그램 담당자 등에게 결과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시스템(10) 관리자 또는 연수프로그램 담당자가 보고서를 시스템(10)에 입력하도록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러한 보고서의 예는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 보고서의 경우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분석 결과 및 해당 설문을 통해 입력된 의견정보를 통한 키워드 분석 결과 등을 포함한다. 그 외에도 보고서는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민주적인 학교 문화 형성 및 우리 사회의 민주시민 양성을 위해, 새로운 역량이 요구되는 오늘날의 교사들을 위한 민주시민교육 역량 및 학급운영방안 등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학교 운영자들을 포함한 교원들로 하여금 민주주의 학습장이자 출발점으로서의 학교공동체 운영원리를 이해하도록 하며 교원 개개인의 민주시민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연수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연수에 참여한 연수대상자들로 하여금 설문조사를 진행함으로써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연수프로그램의 추가적인 개선을 가능케 하였다.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설문분석모듈(500)의 경우 객관식질문 및 주관식질문 각각에 대한 분석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객관식질문에 대한 답안정보인 평가값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설문분석모듈(500)은 평균산출부(510)와 편차산출부(520) 및 결과분석부(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평균산출부(510)는 각각의 객관식질문에 대해 복수의 상기 연수대상자로부터 입력된 수치화된 평가값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개별 객관식질문에 대해 모든 연수대상자가 입력한 평가값의 평균을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 때 평균값 산출에 있어서는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외의 평균값 산출 방식에 있어서도 제한을 두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평균 산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연수프로그램에 참가한 연수대상자들이 각각의 객관식질문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였는지, 수치화된 만족도의 평균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편차산출부(520)는 각각의 객관식질문에 대해 복수의 상기 연수대상자가 입력한 평가값에 대한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객관식질문에 대해 복수의 상기 대상자로부터 입력된 평가값에 대해 평균값 및 분산이 산출되는 경우, 이를 기반으로 표준편차를 산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수프로그램에 참가한 연수대상자들이 각각의 객관식질문에 대해 얼마나 다양한 평가값의 분포를 보이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결과분석부(530)는 상기 평균값 및 상기 표준편차를 기반으로 평가값에 대한 분석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결과정보는 평균값 및 표준편차 외에도 보다 다양한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선 제한을 두지 않는다. 따라서 결과정보는 평균값 및 표준편차를 포함할 뿐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하여 그래프를 생성하거나, 기타 시각화된 자료를 생성하여 이어질 보고서 작성에 도움이 되는 자료들을 생성해낼 수 있다.
이러한 주관식 분석 수행 구성 뿐 아니라 상술한 설문분석모듈(500)은 주관식질문에 대한 답안인 의견정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 때 주관식, 즉 텍스트로 구성된 의견정보의 경우 보다 다양한 분석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의견정보의 분석 방식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설문분석모듈(500)은, 상기 의견정보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용어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대표용어를 기반으로 의견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설문분석모듈(500)은 기본적으로 키워드파악부(540), 필터링수행부(550), 출현빈도파악부(560), 중요도산출부(570), 대표용어지정부(580), 결과도출부(5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이 때 대표용어는 설문을 구성하는 개별 주관식질문마다 각각 산출된다. 즉 본 설문분석모듈(500)을 통해 산출되는 대표용어의 개수는 적어도 주관식질문의 수보다 같거나 많다.
키워드파악부(540)는 상기 의견정보에 포함된 키워드라 할 수 있는 기본용어를 파악한다. 이러한 기본용어는 기본적으로 띄어쓰기로 분리된 개별 낱말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조사를 제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는 민주 시민이다.'의 경우 나, 민주, 시민 이라는 각각의 기본용어로 구성된 문장이다.
필터링수행부(550)는 복수개의 기본용어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여 분석이 이루어지는 대상 용어인 분석용어를 생성한다. 이는 생성된 기본용어 중 별도의 의미를 포함하지 않는 단어 또는 불용어 등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미를 포함하지 않는 단어, 불용어, 혹은 맞춤법에 맞지 않는 기본용어 등을 삭제 처리하고 필터링된 기본용어들을 분석 대상자인 분석용어로 지정하여 후술할 대표용어 산출에 이용하게 된다.
출현빈도파악부(560)는 상기 분석용어 각각이 해당 의견정보에서 출현한 빈도를 수치로 나타낸 출현빈도를 파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출현빈도의 경우 개별 연수대상자로부터 입력받은 개별 의견정보에서의 출현빈도 및, 전체 연수대상자로부터 입력받은 전체 의견정보에서의 출현빈도를 통칭할 수 있는데, 이 둘 모두를 파악하게 되며, 이를 위해 출현빈도파악부(560)는 기본빈도파악파트(561) 및 전체빈도파악파트(562)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빈도파악파트(561)는 각각의 상기 분석용어가 각각의 상기 연수대상자가 입력한 의견정보에 출현한 빈도인 기본 출현빈도를 파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령 연수대상자 a가 입력한 모든 의견정보에서 '민주'라는 분석용어가 총 6번 등장하는 경우, 기본 출현빈도는 6이 된다.
전체빈도파악파트(562)는 각각의 상기 분석용어가 상기 시스템(10)에 입력된 전체 의견정보에 출현한 빈도인 전체 출현빈도, 즉 해당 주관식질문에 대하여 전체 연수대상자로부터 입력받은 전체 의견정보에서 해당 분석용어가 출현한 빈도인 전체 출현빈도를 파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령 특정 주관식질문에 대해 연수대상자 a가 입력한 의견정보에서 '민주'라는 분석용어가 총 6번 등장하였고, 연수대상자 b가 입력한 의견정보에서 '민주'라는 분석용어가 3번 등장하였으며, 연수대상자 c가 입력한 의견정보에서 '민주'라는 분석용어가 1번 등장한 경우 전체 출현빈도는 이의 총 합인 10이 되는 것이다.
중요도파악부(570)는 상기 출현빈도, 즉 기본 출현빈도 및 전체 출현빈도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상기 분석용어에 각각에 대한 중요도값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중요도값이라 함은 개별 분석용어 전체 분석용어 내에서 중요도가 얼마나 높은지를 수치화된 값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 때 중요도값의 산출 방식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다양한 방식으로 중요도값이 산출될 수 있다.
대표용어지정부(580)는 산출된 중요도값의 고저에 따라 복수개의 분석용어 중 적어도 하나를 대표용어로써 지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기본적으로 중요도값이 높은 분석용어가 대표용어로써 지정되며, 대표용어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시스템(10) 관리자 또는 연수프로그램 제공자, 혹은 보고서 작성자, 혹은 시스템(10) 자체 차원에서 대표용어 지정을 위한 기준값을 설정하여 대표용어의 개수 등을 규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대표용어 지정 방식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결과도출부(590)는 생성된 상기 대표용어를 기반으로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결과정보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대표용어를 포함할 뿐 아니라 대표용어 및 이의 중요도를 시각화할 수 있도록 하는 그래프 또는 이미지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결과정보의 생성 방식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5의 예시처럼 생성된 대표용어를 특정 모양으로 배치하되, 복수개의 대표용어를 각각의 중요도값에 따라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한눈에 해당 대표용어 및 개별 대표용어의 중요도값을 비교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상술한 중요도산출부에서 중요도값 산출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하였는데,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중요도산출부는 퍼지 추론의 방식을 적용하여 본 발명의 중요도값 산출에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퍼지 입력값 산출 및 퍼지 출력 변수 적용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퍼지 추론을 이용한 중요도값 산출을 위해서는 생성된 기본 출현빈도 및 전체 출현빈도를 기반으로 하여 각각의 정규화 및 퍼지 입력값 생성, 그리고 비퍼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중요도파악부(570)는, 기본정규화파트(571), 전체정규화파트(572), 역정규화파트(573), 퍼지값산출파트(574), 수치산출파트(57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본정규화파트(571)는 상기 기본 출현빈도에 대한 정규화를 수행하여 기본 정규빈도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본 출현빈도에 대해 퍼지 추론을 위한 정규화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퍼지 입력값 생성을 위해서는 정규화된 값이 필요하므로, 그를 수행하는 과정인 것이다. 이 때 기본 정규빈도 산출은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03
의 기본 정규빈도,
Figure pat00004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05
의 기본 출현빈도,
Figure pat00006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07
의 전체 출현빈도를 의미한다. 더불어
Figure pat00008
이며,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는 양의 정수값을 갖는다.)
전체정규화파트(572)는 상기 전체 출현빈도에 대한 정규화를 수행하여 전체 정규빈도를 산출하여 퍼지 입력값 생성을 위한 정규화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 때 전체 정규빈도 산출은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11
(여기서,
Figure pat00012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13
의 전체 정규빈도,
Figure pat00014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15
의 전체 출현빈도,
Figure pat00016
은 연수대상자의 총 수를 의미한다.)
여기서 연수대상자의 총 수가 전체 정규빈도 산출에 이용되는 이유는, 연수대상자의 수가 곧 입력된 의견정보의 총 개수이기 때문에 해당 의견정보 개수 대신 연수대상자의 수를 이용하여 전체 정규빈도를 산출하는 것이다.
역정규화파트(573)는 상기 전체 출현빈도의 역수, 즉 역문헌 빈도에 대한 정규화를 수행하여 역 정규빈도를 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역 정규빈도는 다음의 수학식 3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17
(여기서,
Figure pat00018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19
의 역 정규빈도,
Figure pat00020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21
의 전체 출현빈도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기본정규화파트(571), 전체정규화파트(572), 퍼지값산출파트(574)는 기본 정규화빈도, 전체 정규화빈도, 역 정규빈도를 각각 산출하여 퍼지 입력값 생성을 위한 준비를 수행하게 된다. 이 때 동일한 방식으로 모든 변수를 정규화하는 것이 아닌, 각각의 변수에 있어 관련이 있을 수 있는 다양한 변수 혹은 입력된 의견정보의 개수 등이 정규화에 반영되어 보다 표준화된 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퍼지값산출파트(574)는 상기 기본 정규화빈도, 전체 정규화빈도, 역 정규빈도를 기반으로 적어도 6개 이상의 퍼지 입력값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기본 정규화빈도, 전체 정규화빈도, 역 정규빈도 각각을 퍼지 추론에 적합한 형태로 퍼지화하고 그를 통해 퍼지 입력값을 산출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가장 바람직하게는 퍼지 입력값 산출을 위해 삼각형 형태의 그래프가 나타나도록 상술한 기본 정규화빈도, 전체 정규화빈도, 역 정규빈도 각각을 배치 처리하고 이를 입력변수로 하여 출력변수를 제어하는 퍼지 입출력변수 제어 방식을 통해 적어도 6개 이상의 퍼지 입력값을 산출하게 된다. 이 때 퍼지 입력값 산출 방식에는 서술한 방식 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도 6을 통해 그 일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수치산출파트(575)는 상기 퍼지 입력값에 대해 비퍼지화를 수행하여 각각의 상기 분석용어에 대한 중요도값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중요도값 산출 방식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퍼지 입력값들을 기 생성된 퍼지 출력변수에 따라 6개의 그룹으로 분류 처리하고. 분류된 퍼지 입력값 중에서 최대값을 취하여 총 6개의 퍼지 출력값을 구한다. 그 후 출력된 퍼지 출력값에 대해 무게중심법을 이용한 비퍼지화를 수행하여 해당 값을 중요도값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퍼지 출력변수의 생성 방식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더불어 상술한 중요도값을 기반으로 하여 대표용어를 지정하는 대표용어지정부(580) 역시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대표용어지정부(580)는 초기설정파트(581), 관련도산출파트(582), 가중치산출파트(583), 보정수행파트(584), 추가설정파트(5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기설정파트(581)는 산출된 상기 중요도값의 고저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분석용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초기대표용어로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초기대표용어는 1차적으로 대표용어로 지정된 분석용어로서, 기본적으로는 1차적으로 산출된 중요도값이 가장 높은 분석용어가 초기대표용어가 될 수 있다. 이 때 초기대표용어의 개수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관련도산출파트(582)는 지정된 상기 초기대표용어와 각각의 분석용어 사이의 수치화된 관련도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기본적으로 의견정보는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 대한 주관식 답안으로서, 연수프로그램의 만족도를 다루는 일반적이고 세부적이거나, 혹은 부분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초기 지정된 초기대표용어를 해당 의견정보의 핵심 키워드로 판단하는 경우 이와 관련이 있는 다른 분석용어들 역시 함께 등장할 확률이 높으며, 이를 기반으로 산출된 수치화된 관련도를 대표용어 산출에 반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관련도 산출 방식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수학식 4가 이용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22
(여기서,
Figure pat00023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24
와 초기대표용어
Figure pat00025
사이의 관련도,
Figure pat00026
는 보정상수,
Figure pat00027
는 지정된 초기대표용어의 개수,
Figure pat00028
는 초기대표용어
Figure pat00029
의 기본 출현빈도,
Figure pat00030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31
의 기본 출현빈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수학식 4를 통해 초기대표용어와 초기대표용어로 구분되지 않은 분석용어 사이의 관련도가 수치화되어 산출되는 것이며, 이러한 수치는 1에 가까울수록 관련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며, 0에 가까울수록 관련도가 낮은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변수에 있어 조정 상수의 경우 시스템(10)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그 수의 크기에 있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사이의 정수 값이 조정 상수의 범위로 지정될 수 있다.
가중치산출파트(583)는 상기 관련도를 기반으로 상기 분석용어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가중치 산정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상기 가중치는, 다음의 수학식 5를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5,
Figure pat00032
(여기서,
Figure pat00033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34
에 대해 산출된 가중치,
Figure pat00035
는 도 4를 통해 산출된 분석용어
Figure pat00036
와 초기대표용어
Figure pat00037
사이의 관련도,
Figure pat00038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39
의 기본 출현빈도,
Figure pat00040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41
의 전체 출현빈도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수학식 5를 통한 가중치 산정 방식은 분석용어 개별에 대한 기본 출현빈도에 해당 분석용어의 역문헌 빈도를 반영하고, 거기에 상술한 관련도를 곱하여 가중치를 산출하는 방식이 된다.
더불어 이와 같이 가중치가 산정되는 경우, 보정수행파트(584)를 통해 상기 분석용어 각각에 대한 중요도값에 상기 가중치를 반영한 보정중요값을 산출하게 되는데, 이 때 보정중요값 산출 방식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산출된 중요도값에 가중치를 곱하여 이를 보정중요값으로써 산출하게 된다.
추가설정파트(585)는 상기 보정중요값의 고저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분석용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가대표용어로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는 보정중요값이 높은 분석용어 중 일부를 추가대표용어로써 지정하는 것이며 이 때 추가대표용어의 지정 개수 및 추가대표용어로 지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보정중요값의 기준값 등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시스템(10) 관리자 등을 통해 추가대표용어의 개수 또는 추가대표용어 지정을 위한 보정중요값의 고저 기준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시스템 100 : 연수등록모듈
200 : 연수관리모듈 210 : 연수설정부
220 : 정보제공부 300 : 서비스제공모듈
400 : 설문수행모듈 410 : 설문생성부
411 : 객관식생성파트 412 : 주관식생성파트
420 : 설문제공부 430 : 답안입력부
431 : 평가값입력파트 432 : 의견입력파트
500 : 설문분석모듈 510 : 평균산출부
520 : 편차산출부 530 : 결과분석부
540 : 키워드파악부 550 : 필터링수행부
560 : 출현빈도파악부 561 : 기본빈도파악파트
562 : 전체빈도파악파트 570 : 중요도파악부
571 : 기본정규화파트 572 : 전체정규화파트
573 : 역정규화파트 574 : 퍼지값산출파트
575 : 수치산출파트 580 : 대표용어지정부
581 : 초기설정파트 582 : 관련도산출파트
583 : 가중치산출파트 584 : 보정수행파트
585 : 추가설정파트 590 : 결과도출부
600 : 보고서생성모듈

Claims (8)

  1.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학교서버로부터 연수대상자에 대한 기본정보를 입력받는 연수등록모듈;
    복수의 상기 연수대상자에게 기 설정된 연수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모듈;
    상기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을 생성하는 설문생성부 및, 상기 설문을 상기 연수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상기 연수대상자에게 제공하는 설문제공부와, 상기 연수대상자로부터 상기 설문에 대한 답안정보를 입력받는 답안입력부를 포함하는 설문수행모듈;
    상기 답안정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설문분석모듈;
    상기 결과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보고서를 생성하는 보고서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생성부는,
    상기 연수프로그램에 관한 복수의 객관식질문을 생성하는 객관식생성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답안입력부는,
    상기 연수대상자로부터 복수개의 상기 객관식질문에 대한 답안정보인 평가값을 입력받는 평가값입력파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문분석모듈은,
    각각의 객관식질문에 대해 복수의 상기 연수대상자가 입력한 평가값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는 평균산출부 및,
    각각의 객관식질문에 대해 복수의 상기 연수대상자가 입력한 평가값에 대한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편차산출부와,
    상기 평균값 및 상기 표준편차를 기반으로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결과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생성부는,
    상기 연수프로그램에 관한 복수의 주관식질문을 생성하는 주관식생성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답안입력부는,
    상기 주관식질문에 대한 답안정보인 의견정보를 입력받는 의견입력파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문분석모듈은,
    상기 의견정보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용어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대표용어를 기반으로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분석모듈은,
    복수의 상기 의견정보에 포함된 기본용어를 파악하는 키워드파악부,
    복수개의 기본용어를 필터링하여 분석용어를 생성하는 필터링수행부 및,
    상기 분석용어 각각의 출현빈도를 파악하는 출현빈도파악부와,
    상기 출현빈도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상기 분석용어에 대한 중요도값을 산출하는 중요도파악부 및,
    상기 중요도값에 따라 복수개의 분석용어 중 적어도 하나의 대표용어를 지정하는 대표용어지정부와,
    생성된 상기 대표용어를 기반으로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결과도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출현빈도파악부는,
    각각의 상기 분석용어가 각각의 상기 연수대상자가 입력한 의견정보에 출현한 빈도인 기본 출현빈도를 파악하는 기본빈도파악파트와,
    각각의 상기 분석용어가 상기 시스템에 입력된 전체 의견정보에 출현한 빈도인 전체 출현빈도를 파악하는 전체빈도파악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요도파악부는,
    상기 기본 출현빈도에 대한 정규화를 수행하여 기본 정규빈도를 산출하는 기본정규화파트와,
    상기 전체 출현빈도에 대한 정규화를 수행하여 전체 정규빈도를 산출하는 전체정규화파트 및,
    상기 전체 출현빈도의 역수에 대한 정규화를 수행하여 역 정규빈도를 산출하는 역정규화파트 및,
    상기 기본 정규화빈도, 전체 정규화빈도, 역 정규빈도를 기반으로 적어도 6개 이상의 퍼지 입력값을 생성하는 퍼지값산출파트와,
    상기 퍼지 입력값에 대해 비퍼지화를 수행하여 각각의 상기 분석용어에 대한 중요도값을 산출하는 수치산출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정규빈도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되고,
    상기 전체 정규빈도는,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되며,
    상기 역 정규빈도는,
    다음의 수학식 3을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pat00042

    수학식 2,
    Figure pat00043

    수학식 3,
    Figure pat00044

    (여기서,
    Figure pat00045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46
    의 기본 정규빈도,
    Figure pat00047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48
    의 전체 정규빈도,
    Figure pat00049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50
    의 역 정규빈도,
    Figure pat00051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52
    의 기본 출현빈도,
    Figure pat00053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54
    의 전체 출현빈도,
    Figure pat00055
    은 연수대상자의 총 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용어지정부는,
    산출된 상기 중요도값의 고저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분석용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초기대표용어로 지정하는 초기설정파트 및,
    상기 초기대표용어와 상기 분석용어 간의 수치화된 관련도를 산출하는 관련도산출파트 및,
    상기 관련도를 기반으로 상기 분석용어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산출하는 가중치산출파트 및,
    상기 분석용어 각각에 대한 중요도값에 상기 가중치를 반영한 보정중요값을 산출하는 보정수행파트 및,
    상기 보정중요값의 고저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분석용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가대표용어로 지정하는 추가설정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도는,
    다음의 수학식 4를 통해 산출되고,
    상기 가중치는,
    다음의 수학식 5를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수학식 4,
    Figure pat00056

    수학식 5,
    Figure pat00057

    (여기서,
    Figure pat00058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59
    와 초기대표용어
    Figure pat00060
    사이의 관련도,
    Figure pat00061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62
    에 대해 산출된 가중치,
    Figure pat00063
    는 보정상수,
    Figure pat00064
    는 지정된 초기대표용어의 개수,
    Figure pat00065
    는 초기대표용어
    Figure pat00066
    의 기본 출현빈도,
    Figure pat00067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68
    의 기본 출현빈도,
    Figure pat00069
    는 분석용어
    Figure pat00070
    의 전체 출현빈도)
KR1020200053724A 2020-05-06 2020-05-06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92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724A KR102392793B1 (ko) 2020-05-06 2020-05-06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724A KR102392793B1 (ko) 2020-05-06 2020-05-06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728A true KR20210135728A (ko) 2021-11-16
KR102392793B1 KR102392793B1 (ko) 2022-04-28

Family

ID=78716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724A KR102392793B1 (ko) 2020-05-06 2020-05-06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7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1813A (ja) * 2012-07-20 2014-02-03 Azbil Corp 研修支援装置および方法
KR20150002149A (ko) * 2013-06-28 2015-01-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설문에 대한 피설문자 응답을 게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지원하는 설문 서비스 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1813A (ja) * 2012-07-20 2014-02-03 Azbil Corp 研修支援装置および方法
KR20150002149A (ko) * 2013-06-28 2015-01-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설문에 대한 피설문자 응답을 게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지원하는 설문 서비스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793B1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kins Previous work experienc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 longitudinal examination
Collis et al. Feedback for web‐based assignments
Berndtsson et al. Planning and Implementing your Final Year Project—with Success!: A Guide for Students in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Systems
Rodrigues da Fonseca et al. Continuous-Learning Work Environment: A Study with Developers in Software Development Organizations.
Jampel et al. EVALUATION OF LEARNING PROGRAMS AND COMPUTER CERTIFICATION AT COURSE INSTITUTE IN BALI USING CSE-UCLA BASED ON SAW SIMULATION MODEL.
Reza Citizenship Behavior
Brata et al. Impact analysis of social influence factor on using free blogs as learning media for driving teaching motivational factor
Gkontzis et al. Measuring engagement to assess performance of students in distance learning
Sleptsova Formation of Students’ Social Competence in a Virtual Educational Environment
Bakanova et al. The method of employee competencies management based on the ontological approach
Carreras et al. Teaching problem structuring methods: Improving understanding through meaningful learning
KR102392793B1 (ko) 학교 운영을 위한 교원 리더십 연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
Lu et al. A student engagement typology and its relationship to Ability development in Chinese universities
Calleja et al. Individual predictors of tactical planning performance in junior military officers
Cai et al. On the role of multilevel item response models in multisite evaluation studies for serious games
Gródek-Szostak et al. EPSS–method and tools for improving the competence in the XXI century
Muslim et al. ENHANCING AN ORGANIZATIONAL CHANGE: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CHANGES IN SCHOOL ORGANIZATIONS
Ezeora et al. The effect of cognitive knowledge acquired from industrial training on computer science degree project
Wendt et al. Changing Trends in the Role of South African Math Teachers’ Qualification for Student Achievement: Findings from TIMSS 2003, 2011, 2015
Melnyk et al. Automation of employee evaluation in educational institution
Hickman et al. The performance of large language models on quantitative and verbal ability tests: Initial evidence and implications for unproctored high‐stakes testing
Setiawan et al. A Young Entrepreneur Triumph: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БАЧІЄВА ANALYSIS OF THE FOREIGN PRACTICE OF MODELLING RESEARCH ACTIVITIES OF PEDAGOGICAL EDUCATION SPECIALISTS
Lintilä Using the learning by developing action model: case study in project-based computer science studie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akrar et al. Educational data mining: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