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715A -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밸브 - Google Patents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715A
KR20210135715A KR1020200053696A KR20200053696A KR20210135715A KR 20210135715 A KR20210135715 A KR 20210135715A KR 1020200053696 A KR1020200053696 A KR 1020200053696A KR 20200053696 A KR20200053696 A KR 20200053696A KR 20210135715 A KR20210135715 A KR 20210135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valve
cover
seal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주
구정석
Original Assignee
캄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캄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캄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3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5715A/ko
Publication of KR20210135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7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66Lift valves, e.g. poppet valves
    • F02M26/67Pintles; Spindles; Springs; Bearings; Sealings; Connections to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72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커버와 하우징 사이에서 기밀 기능을 향상시켜 내부에 응축수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각 부품들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환경을 제공하여 내구성과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밸브 하우징 및 볼트로 밸브 하우징에 체결되는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탄성재질의 폐곡면 형상으로 볼트들이 나사 체결되는 부위의 인접하게 배치되는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과,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 사이에 실링홈으로 채워지는 압축량이 증대될 수 있도록 완만한 곡면을 이루며 볼록하게 볼록부가 돌출성형되는 볼록부 영역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밸브 {Sealing member of vehicle valve and a comprising the valve}
본 발명은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커버와 하우징 사이에서 기밀 기능을 향상시켜 내부에 응축수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각 부품들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환경을 제공하여 내구성과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된 엔진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에서 발생되는 질소산화물(NOx)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냉각된 배기가스의 일부를 혼합기에 더하여 실린더 내로 흡입시키는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밸브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EGR밸브의 구성은 한국 등록 특허 10-1225681 에 나타나고 있다.
EGR밸브의 구성을 보면,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장치와, 밸브 장치의 왕복운동을 유발하는 구동 모터를 구비한다.
밸브 장치는 다시 배기 가스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 플레이트와, 밸브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밸브 스템, 밸브 스템 상면에 마련되는 롤러, 롤러가 이동가능하게 되는 캠 그루브를 갖는 캠과, 캠과 연결되는 샤프트 및 기어 트레인, 기어 트레인과 결합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
하우징에는 밸브 스템이 움직이는 이동통로가 마련되고, 이동통로에는 밸브 스템이 관통하며, 가스가 엑츄에이터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가스켓을 통해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가스켓의 아래에는 밸브 스템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면서, 밸브 스템을 지지하는 부싱 형태의 스템 가이드 부재가 상하로 길게 마련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은 상기한 각 부품들과 전자부품 등이 내부로 수용되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부가 트여지게 성형되며, 이 개구부는 커버에 의해 밀폐된다.
이러한 EGR 밸브에 하우징과 커버 사이에는 미세한 간극이 형성되고, 이 미세한 간극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면 밸브 스템의 동작성을 훼손시키거나, 밸브 스템을 포함한 각 부품들을 부식시킬 수 있다.
또, 내부에 순환되는 배기가스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으므로, 이를 차단하기 위해 하우징과 커버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 하우징과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는 두께와 폭이 일정한 구조로 제작, 설치되고, 주로 볼트를 통해 수곳에서 커버를 하우징에 체결하고 있다.
이때, 볼트에 가까운 위치에서는 조임력이 강하고, 볼트와 볼트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는 조임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되므로, 주로 볼트를 통한 조임역역들 사이 중간부분에서 실링부재 주위에 미세한 틈새가 발생되어 기밀이 누설되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기밀성 약화로 인해 EGR 밸브의 내구성과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 10-2018-0127486에서는 실링부재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실링성능을 높이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이 경우, 커버의 일부분을 변형하여야 하므로 종래의 커버를 사용할 수 없을 뿐더러, 가압 반력으로 인하여 살이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 사이이에서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 특허공보 제10-1952253호(등록일자 2019년02월20일) 한국 등록 특허공보 제10-1896338호(등록일자 2018년09월03일) 한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18-0127486 (공개일자 2018년 11월 28일)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커버 사이 틈새를 차단하기 위한 실링부재의 전 영역에서 우수한 기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하우징 내부로 응축수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밸브 스템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응축수에 의한 습동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의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기밀성 향상으로 내구성과 상품성이 우수한 밸브의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밸브 하우징 및 볼트로 밸브 하우징에 체결되는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탄성재질의 폐곡면 형상으로 볼트들이 나사 체결되는 부위의 인접하게 배치되는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과,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 사이에 실링홈으로 채워지는 압축량이 증대될 수 있도록 완만한 곡면을 이루며 볼록하게 볼록부가 돌출성형되는 볼록부 영역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볼록부는 일측 방향을 향해 돌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의 둘레에는 커버에 파여지는 실링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홈의 측벽에 밀착되는 돌기들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돌기들은 실링부재의 내측면과 외측면 양쪽에 모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커버의 위치 결정홈에 끼워질 수 있는 위치 결정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들이 수용될 수 있는 개구부 및 개구부 둘레에 형성된 나사 구멍을 포함하는 밸브 하우징과, 밸브 하우징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도록 폐곡면으로 실링홈이 파여지고, 나사구멍에 대응되는 위치로 볼트가 관통되도록 홀들이 형성되는 커버와;상기 실링홈에 기밀 유지를 위해 설치되는 실링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상기 실링부재는 탄성재질의 폐곡면 형상으로 볼트들이 나사 체결되는 부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과,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 사이에 실링홈으로 채워지는 압축량이 증대될 수 있도록 완만한 곡면을 이루며 볼록하게 볼록부가 돌출성형되는 볼록부 영역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볼록부는 커버에 파여지는 실링홈의 외측방향을 향해 돌출 성형되어 하밸브 하우징의 테두리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의 둘레에는 커버에 파여지는 실링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홈의 측벽에 밀착되는 돌기들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들은 실링부재의 내측면과 외측면 양쪽에 모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에는 실링홈에 연결되도록 어느 일측 외부를 향해 위치결정홈을 마련하고, 상기 실링부재에는 위치결정홈에 대응되는 위치로 위치결정돌기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볼트의 조임 위치로부터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위치에서 특히 실링부재의 압축율 및 충진율을 향상시켜 기밀 기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하우징과 커버 사이 틈새를 차단하기 위한 실링부재의 전 영역에서 우수한 기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하우징 내부로 응축수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밸브 스템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응축수에 의한 습동부의 부식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밀성 향상으로 EGR밸브의 내구성과 상품성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밸브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보인 측면도이다.
도3은 밸브 하우징에 볼트가 체결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4는 밸브 하우징과 커버 사이로 실링부재가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커버에 마련된 실링홈에 실링부재가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6은 밸브 하우징과 커버 사이로 실링부재가 설치되는 위치관계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7은 도2의 절단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8은 도7의 밸브 하우징과 커버가 밀착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9는 밸브 하우징과 커버가 밀착되어 실링부재가 압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0은 실링부재의 볼록부 영역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11은 도10의 평면도이다.
도12는 도10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밸브는 그 몸체를 구성하는 밸브 하우징(10)과, 밸브 하우징(10)의 전방을 덮는 하우징 커버(20)가 외관을 형성한다.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10) 내부에는 구동 모터(미도시)와, 구동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미도시)와,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며 복층 기어로 구성되는 수개의 기어들과 전자 부품 등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밸브 하우징(10) 전방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출력축(미도시)이 마련되고, 출력축의 단부에는 캠과 캠 그루브 및 롤러가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롤러 축이 밸브 스템(미도시)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에 의해 밸브 스템이 개폐 동작을 수행하여 배기가스의 일부를 혼합기에 더하여 실린더 내로 흡입시키는 밸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각 부품들을 수용하고 있는 밸브 하우징(10)은 일측으로 개구부(11)가 트여지게 된다.
밸브 하우징(10)의 개구부(11)는 커버(20)를 통해 밀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밸브 하우징(10)과 커버(20)의 밀착면에는 틈새를 차단하기 위해 실링부재(30)를 마련하게 된다.
실링부재(30)의 설치를 위해 커버(20)에는 폐곡면 구조로 된 실링홈(21)이 오목하게 일정한 깊이로 파여지게 된다.
커버(20)에는 실링홈(21)이 오목하게 파여지는 반면에 밸브 하우징(10)의 밀착면은 도3 및 도7에서와 같이 개구부(11)의 둘레로 편평하다.
따라서, 밸브하우징(10)의 편평한 밀착면을 통해 실링홈(21)의 위치로 끼워진 실링부재(30)를 가압하면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나사로 하여금 밸브 하우징(10)과 커버(20)를 결합시키는 한편, 실링부재(30)를 가압하기 위한 수단으로 밸브 하우징(10)에는 개구부(11) 외측 둘레에 나사구멍(12)들이 복수개(도면에서 4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로 커버(20)에는 볼트(1)의 나사부분이 통과되도록 홀(22)이 형성된다.
커버(20)에 마련되는 실링홈(21)의 두께는 실링부재(30)의 두께에 비하여 넓다.
또, 실링홈(21)의 깊이에 대하여 실링부재(30)의 폭은 더 넓다.
그러므로, 커버(20)의 실링홈(21)에 실링부재(30)가 끼워진 상태에서 실링부재(30)의 일부분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볼트(1)를 통해 강하게 조여서 밀착시킬 때 탄성재질로 된 실링부재(30)가 압축 변형되면서 실링홈(21) 내부로 일부분 충진되어 밸브 하우징(10)과 커버(2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2는 밸브 하우징(10)과 커버(20)의 밀착면 사이로 실링부재(30)가 개재되어 밀착면의 틈새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일부 절결하여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3은 밸브 하우징(10)의 일측으로 개구부(11)가 트여지고, 이 개구부(11)의 외측 둘레로 나사구멍(12)들이 형성되어 볼트(1)가 나사 체결되는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4는 밸브 하우징(10)과 커버(20)의 사이로 실링부재(30)가 개재되어 실링홈(21)으로 조립되는 상태를 분해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5는 커버(20)에 폐곡면 형상으로 파여진 실링홈(21)의 위치로 실링부재(30)가 설치되는 상태를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6은 커버(20)의 실링홈(21) 위치로 실링부재(30)가 설치된 상태에서 밀착면 외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되는 상태를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10에서와 같이 커버(20)의 실링홈(21) 위치로 실링부재(30)가 끼워진 자연 상태에서 실링부재(30)의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A)이 밀착면 보다 돌출되어 있게 된다.
또, 볼록부 영역(B)은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A)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더 돌출되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링부재(30)는 도4 및 도10에서와 같이 탄성재질의 폐곡면 형상으로 커버(20)에 마련된 실링홈(21)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 실링부재(30)는 전체적으로 실링홈(21)의 깊이보다 폭부분 길이가 더 길게 성형되어 밸브 하우징(10)과 조립되기 전에는 실링부재(30)의 일측으로 볼록부 영역(B)와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A)이 모두 커버(20)의 밀착면보다 외부를 향해 일부 돌출된다.(도6)
그리고, 본 발명의 실링부재(30)는 볼트(1)들이 나사구멍(12)을 통해 나사 체결되는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A)에서부터 그 사이에 위치되는 볼록부 영역(B)로 구분되는 데, 볼록부 영역(B)은 완만한 곡선으로 중앙부분을 향해 폭방향으로 볼록하게 볼록부(31)가 일체로 연장 성형된다.
따라서,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A)에 대하여 그 사이에 위치되는 볼록부 영역(B) 부분에서 폭방향으로 볼록하게 볼록부(31)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볼트(1)들을 통해 밸브 하우징(10)과 커버(20)를 체결할 때 실링홈(21)으로 채워져 압착되는 실링부재(30)의 살부분 탄성 변형 압축률이 더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볼록부(31)의 방향은 커버(20)에 파여지는 실링홈(21)의 외측방향, 즉 실링부재가 대면하는 밸브 하우징(10)의 테두리면을 향해 돌출 성형되된다.
따라서, 실링부재(30)의 볼록부(31)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 부분은 일직선 상태로 성형되어 커버(20)의 실링홈(21) 끝면과 일정하게 밀착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A)과 볼록부 영역(B) 부분은 밸브 하우징(10)이 볼트(1)를 통해 체결될 때 밸브 하우징(10)의 테두리면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실링홈(21)내부에 압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 밸브 하우징(10)의 밀착면과도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링부재(30)의 둘레에는 커버(20)에 파여지는 실링홈(21)에 가조립 상태로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이나 조립 과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32)들이 여러 장소에서 돌출 성형된다.
따라서, 실링홈(21)의 두께보다 얇게 성형되는 실링부재(30)가 조립된 상태에서 이 돌기(32)들이 실링홈(21)의 내측벽에 밀착되어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서도 실링부재(30)의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 돌기(32)들은 실링부재(30)의 내측면과 외측면 양쪽에 모두 마련되는 것이 실링홈(21)에서의 완전한 이탈 방지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20)에는 실링홈(21)에 연결되도록 어느 일측 외부를 향해 위치결정홈(23)을 마련하고, 상기 실링부재(30)에는 위치결정홈(23)에 대응되는 위치로 위치결정돌기(33)가 일체로 성형된다.
실링부재(30)를 조립할 때 위치결정돌기(33)를 위치결정홈(23)의 위치로 끼우는 것에 의해 조립과정에서 정확한 조립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7은 도2의 절단부분을 분해하여 커버(20)의 실링홈(21)에 조립된 실링부재(30)를 향해 밸브 하우징(10)이 가압되는 과정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8은 밸브 하우징(10)의 밀착면이 실링부재(30)에 접촉되어 커버(20)와 밀착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커버(20)의 밀착면 외측으로 돌출된 실링부재(30)의 살부분 이 밸브 하우징(10)이 완전히 밀착되는 것에 의해 실링홈(21)의 내부로 탄성 변형되는 압축량에 해당된다.
도9는 밸브 하우징(10)과 커버(20)가 볼트(1)들을 통해 완전히 밀착되어 실링부재(30)가 압착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실링부재(30)는 모든 살부분이 실링홈(21) 내부로 압착 이동되면서 압축량에 해당되는 면적만큼 실링홈(21) 내부 공간을 거의 충진하게 되는 것이다.
도10은 실링부재(30)의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A)과 그 사이로 마련되는 볼록부 영역(B) 위치를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10 내지 도12에서와 같이 EGR 밸브를 구성하는 밸브 하우징(10)과 커버(20)는 수개의 볼트(1)들로 체결되는데, 이 볼트(1)들이 나사구멍(12)에 나사 체결되는 주변 영역, 즉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A)에 대하여 그 사이에 위치되는 볼록부 영역(B)에서은 폭 방향으로 완만한 곡면을 이루면서 볼록하게 성형된다.
따라서,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A)에 비하여 볼록부 영역(B)은 커버(20)의 실링홈(21)에 실링부재(30)가 끼워 장착된 상태에서 밸브 하우징(10)을 향하여 볼록부(31)의 크기 만큼 더 돌출되어 있으므로, 압축량이 증대된다.
여기서, 상기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A)에서의 실링부재(30)가 실링홈(21)의 내부 공간으로 압축되는 압축율은 변형전 전체 단면적에 대해 16~20%이고, 볼록부 영역(B)의 정상위치에서 볼록부(31)의 압축율은 변형전 전체 단면적에 대해 28~32%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 비율은 조정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A)에서의 실링부재(30)가 실링홈(21)의 내부 공간으로 충진되는 충진율은 실링홈(21)의 면적에 대해 28~32%이고, 볼록부 영역(B)에서의 정상위치 볼록부(31)의 충진율은 실링홈(21) 면적에 대해 97~99%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다만. 이 비율도 조정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볼트(1)들에 의한 조임 위치 주변의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조임력이 떨어지는 위치, 즉 볼록부 영역(B)에서 실링부재(30)의 압축율과 충진율이 모두 향상되는 것에 의해 실링부재(30)의 전 길이 영역에서 우수한 기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 볼트
10 - 밸브 하우징
11 - 개구부
12 - 나사구멍
20 - 커버
21 - 실링홈
22 - 홀
30 - 실링부재
31 - 볼록부
A -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
B - 볼록부 영역

Claims (10)

  1. 밸브 하우징 및 볼트로 밸브 하우징에 체결되는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탄성재질의 폐곡면 형상으로 볼트들이 나사 체결되는 부위의 인접하게 배치되는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과,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 사이에 실링홈으로 채워지는 압축량이 증대될 수 있도록 완만한 곡면을 이루며 볼록하게 볼록부가 돌출성형되는 볼록부 영역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일측 방향을 향해 돌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둘레에는 커버에 파여지는 실링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홈의 측벽에 밀착되는 돌기들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실링부재의 내측면과 외측면 양쪽에 모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커버의 위치 결정홈에 끼워질 수 있는 위치 결정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
  6. 부품들이 수용될 수 있는 개구부 및 개구부 둘레에 형성된 나사 구멍을 포함하는 밸브 하우징과,
    밸브 하우징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도록 폐곡면으로 실링홈이 파여지고, 나사구멍에 대응되는 위치로 볼트가 관통되도록 홀들이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실링홈에 기밀 유지를 위해 설치되는 실링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탄성재질의 폐곡면 형상으로 볼트들이 나사 체결되는 부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과,
    볼트 체결 부위 인접 영역 사이에 실링홈으로 채워지는 압축량이 증대될 수 있도록 완만한 곡면을 이루며 볼록하게 볼록부가 돌출성형되는 볼록부 영역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커버에 파여지는 실링홈의 외측방향을 향해 돌출 성형되어 하밸브 하우징의 테두리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밸브.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둘레에는 커버에 파여지는 실링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홈의 측벽에 밀착되는 돌기들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은 실링부재의 내측면과 외측면 양쪽에 모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밸브.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실링홈에 연결되도록 어느 일측 외부를 향해 위치결정홈을 마련하고, 상기 실링부재에는 위치결정홈에 대응되는 위치로 위치결정돌기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밸브.


KR1020200053696A 2020-05-06 2020-05-06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밸브 KR20210135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96A KR20210135715A (ko) 2020-05-06 2020-05-06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96A KR20210135715A (ko) 2020-05-06 2020-05-06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715A true KR20210135715A (ko) 2021-11-16

Family

ID=7871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696A KR20210135715A (ko) 2020-05-06 2020-05-06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571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338B1 (ko) 2017-01-02 2018-09-07 캄텍주식회사 Egr 밸브
KR20180127486A (ko) 2016-05-24 2018-11-28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밸브장치
KR101952253B1 (ko) 2017-05-10 2019-05-17 캄텍주식회사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차량용 egr밸브 및 밸브용 실링부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486A (ko) 2016-05-24 2018-11-28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밸브장치
KR101896338B1 (ko) 2017-01-02 2018-09-07 캄텍주식회사 Egr 밸브
KR101952253B1 (ko) 2017-05-10 2019-05-17 캄텍주식회사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차량용 egr밸브 및 밸브용 실링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02519A1 (en) Sealing Structure And Gasket
US4995795A (en) Noise reducing wear shield for piston face
US5544901A (en) Metal gasket for chain case-carrying engines
KR850004528A (ko) 볼 밸브 및 이 볼 밸브와 작동기 조립체
KR20210135715A (ko)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밸브
KR100421965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실린더 조립체
WO2001055579A1 (fr) Dispositif de soupape de recirculation des gaz d'echappement
WO2002059472A1 (fr) Injecteur de carburant de moteur
KR102378201B1 (ko) 차량용 egr 밸브
GB2408079A (en) A cylinder head and gaske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2380286B1 (ko) 차량용 egr 밸브
KR100338838B1 (ko) 실린더 헤드 로커카바의 시일 장착 구조
KR102378197B1 (ko) 차량용 밸브의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egr 밸브
JP2005536688A (ja) ステム又はシャフトシール構造
WO2022230799A1 (ja) 内燃機関のベルトカバーのシール構造
KR102171311B1 (ko) 모터의 고정 플레이트 및 그 고정 플레이트를 갖는 차량용 밸브
JP2011190698A (ja) スロットル弁装置
EP4116550B1 (en) A valve for preventing backflow
TW200600709A (en) Vacuum closure with linear drive unit
KR100351352B1 (ko) 자동차용 엔진의 블로바이가스 강제환기밸브
KR970002679Y1 (ko) 언로딩 에어 컴프레서의 헤드구조
JPH0615200Y2 (ja) リード弁取付構造
US20190291541A1 (en) Expansion valve device
JP4333418B2 (ja) 吸気装置
KR20120108288A (ko) 밸브시트를 겸하는 공기압축펌프의 실린더헤드용 멀티 가스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