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572A - 차량용 조작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작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572A
KR20210135572A KR1020217032167A KR20217032167A KR20210135572A KR 20210135572 A KR20210135572 A KR 20210135572A KR 1020217032167 A KR1020217032167 A KR 1020217032167A KR 20217032167 A KR20217032167 A KR 20217032167A KR 20210135572 A KR20210135572 A KR 20210135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operating
resonant frequency
spring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테판 키르쉬
파시 켐피넨
Original Assignee
베르-헬라 테르모콘트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헬라 테르모콘트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르-헬라 테르모콘트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35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3Accessories for touch pads or touch screens, e.g. mechanical guides added to touch screens for drawing straight lines, hard keys overlaying touch screens or touch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62Touch switches with tactile or haptic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Hydraulic Control Valves For Brake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용 조작유닛은 하우징과, 하우징에 및/또는 하우징 상에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조작요소를 갖고,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조작요소는 구조에 관련된 공진 주파수를 갖는 스프링-질량 시스템을 형성한다. 조작유닛은 조작요소의 펄스-형태의 기계적인 여기를 위한 액추에이터와, 조작요소를 손으로 작동시킬 때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더 구비한다. 공진 주파수는 구조에 기인하여 햅틱 피드백 및/또는 인간의 촉각에 대한 수용기에 의해 일반적으로 계속 감지할 수 있는 최대 차단 주파수 보다 높다. 공진 주파수에서 및/또는 공진 주파수의 고조파 중 하나에서 기계적인 펄스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차단 주파수 보다 높은 출력밀도 스펙트럼은 에너지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에너지가 없다는 점에서 주파수 성분을 갖고 있지 않다.

Description

차량용 조작유닛
본 발명은 두 독일특허출원, 2019년3월4일자 독일특허출원 10 2019 106 441.4 및 2019년4월12일자 독일특허출원 10 2019 109 785.1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참조로 본 특허출원의 내용에 통합된다.
본 발명은 진동-없는 햅틱 피드백을 갖는 차량용 조작유닛에 관한 것이다.
햅틱 피드백용 시스템은 보통 힘을 인가하는 액추에이터와 힘이 작용하는 기계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에 따른 운동은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이 제1 장소에서 일어나도록, 기계시스템은 보통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다. 기계적인 스프링-질량 시스템은 어쩔 수 없이 공진 주파수를 갖고, 공진 주파수에 의해 시스템이 진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발생하는 정현파 진동을 느낄 수 있도록 공진 주파수 중 하나를 의도적으로 자극시키는 햅틱 피드백 접근법이 있다. 이 방법의 단점은 보통 그 느낌이 질적으로 떨어지거나 약한 것으로 설명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계시스템의 펄스형태의 코스로 이루어진 경로가 선호된다. (도 1의 다이어그램의 실선 참고)
이러한 운동의 프로파일을 달성하기 위해, 시스템의 공진 주파수에 적합하게 된 힘을 여기시킬 필요가 있고, 기본적으로 보통 도 2의 다이어그램처럼 도시된다. 두 개의 최대값들 사이의 거리는 억제되는 진동의 주파수에 정확하게 맞추어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러한 진동은 실제 펄스 이후에 추후-진동(post-oscillation)의 형태로 발생할 것이다. (도 1의 다이어그램의 점선 참조) 이러한 추후-진동은 햅틱 피드백의 질을 크게 감소시키며, 따라서 반드시 피해야하는 사항이다.
특정 시점에서 펄스의 형태로 구동부(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진동하는 햅틱 피드백 시스템을 정지상태에 이르게 하려는 시도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DE-A-10 2013 007 962, DE-A-10 2014 019 162, DE-B-10 2007 058 110 및 EP-A-2 348 384 참조).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진동-없는(oscillation-free) 햅틱 피드백을 갖는 조작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조작유닛으로서,
- 하우징과,
- 상기 하우징에 및/또는 상기 하우징 상에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조작요소를 포함하고,
- 상기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조작요소는 구조에 관련된 공진 주파수를 갖는스프링-질량 시스템을 형성하고,
- 상기 조작요소의 펄스-형태의 기계적인 여기를 위한 액추에이터와,
- 상기 조작요소를 손으로 작동시킬 때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 상기 공진 주파수는 구조에 기인하여 햅틱 피드백 및/또는 인간의 촉각에 대한 수용기에 의해 계속 감지할 수 있는 최대 차단 주파수 보다 높고,
- 공진 주파수에서 및/또는 공진 주파수의 고조파 중 하나에서 기계적인 펄스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상기 차단 주파수 보다 높은 출력밀도 스펙트럼이 에너지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에너지가 없다는 점에서 주파수 성분을 갖고 있지 않은 차량용 조작유닛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진주파수가 인간이 촉각을 감지할 수 있는 즉, 기계적인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주파수대역의 바깥에 있도록, 스프링-질량 시스템이 구성된다. 보통, 인간의 햅틱 피드백 및/또는 촉각에 대해 촉각수용기가 감지할 수 있는 차단주파수는 수백 Hz, 예를 들어, 500 Hz 또는 400 Hz 또는 그 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공진주파수 (공진 베이스 주파수) 및/또는 공진주파수의 고조파(harmonics) 중 하나에서 기계적인 펄스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주파수 성분을 갖고 있지 않다. 이것은 예를 들어, 차단주파수 이상의 출력밀도 스펙트럼은 에너지가 없다는 사실 또는 실질적으로 에너지가 거의 없다는 사실이 말해준다. 이것은 공진주파수에서는 스프링-질량 시스템의 여기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차단주파수는 300 Hz 또는 250 Hz 또는 200 Hz이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서, 아래 공식에 따른 공진주파수는 스프링-질량 시스템의 질량 및/또는 스프링 상수를 선택함으로써 정의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
m은 스프링-질량 시스템의 질량이고, k는 스프링-질량 시스템의 스프링 상수이고, f는 공진주파수를 나타낸다.
조작유닛을 일반적으로 구현하는 경우, 조작유닛은 터치패드나 터치감응표면을 갖는 터치스크린이다.
보통, 조작유닛은 작동압력, 작동력, 연속하는 작동압력 또는 연속하는 작동력에 의하여 유효한 작동인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는 텐션 막대자석, 플런저 코일 구동부 또는 압전 구동부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아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더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앞에서 이미 설명한 것과 아래에서 설명할 여러가지 다른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상술한 것처럼, 질량-스프링 시스템은 시스템이 진동하는 공진주파수를 갖고, 그에 따라 여기되면 시스템이 진동한다.
손가락 내의 촉각을 위한 촉각수용기는 약 200 Hz의 차단주파수 아래의 주파수에 대하여 지배적으로 반응한다. 기계시스템의 공진주파수가 모두 이러한 임계값, 예를 들어 200 Hz 이상이 되도록 기계시스템이 디자인될 수 있다면, 촉각적으로 잘 인지할 수 있으면서 전혀 진동할 수 없는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질량-스프링 시스템의 제1 공진주파수는 아래의 공식을 따른다.
Figure pct00002
따라서, 질량(m)의 크기와 스프링률(k)의 크기를 선택함으로써, 스펙트럼 내의 제1 공진주파수의 위치가 추정되고 능동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나아가, 공진주파수가 여기되지 않도록 하면서 그러나 손가락으로 인지할 수 있는 펄스는 계속 유발되도록, 여기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 신호를 선택한 결과로서 도 3에 도시된 커브를 참고할 수 있는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출력밀도 스펙트럼을 갖는다. 도 4의 다이어그램의 로그 눈금은 주파수가 증가하면서 (표준화된) 에너지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따라서 임계값 이상, 예를 들어 200 Hz를 넘는 꽤 큰 값에 대해 고유진동이 여기되지 않게 되어,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거동은 댐핑과 전혀 관련이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기초로 하는 원리는 오히려 "여기되지 않는 것은 억제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심지어 소위 브레이킹 펄스는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대신에, 편향(deflection)은 여기하는 힘을 직접적으로 따라간다.
본 특허출원의 새로운 내용과 장점은 여기 신호, 특히 스펙트럼 성분과 여기된 주파수 스펙트럼의 바깥에서만 진동이 일어나게 하는 기계적인 디자인을 조합한 것이다.
참고문헌
1. DE-A-10 2013 007 962
2. DE-A-10 2014 019 162
3. DE-B-10 2007 058 110
4. EP-A-2 348 384

Claims (6)

  1. 차량용 조작유닛으로서,
    - 하우징과,
    - 상기 하우징에 및/또는 상기 하우징 상에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조작요소를 포함하고,
    - 상기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조작요소는 구조에 관련된 공진 주파수를 갖는스프링-질량 시스템을 형성하고,
    - 상기 조작요소의 펄스-형태의 기계적인 여기를 위한 액추에이터와,
    - 상기 조작요소를 손으로 작동시킬 때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 상기 공진 주파수는 구조에 기인하여 햅틱 피드백 및/또는 인간의 촉각에 대한 수용기에 의해 계속 감지할 수 있는 최대 차단 주파수 보다 높고,
    - 공진 주파수에서 및/또는 공진 주파수의 고조파 중 하나에서 기계적인 펄스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상기 차단 주파수 보다 높은 출력밀도 스펙트럼이 에너지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에너지가 없다는 점에서 주파수 성분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주파수는 300 Hz, 250 Hz 또는 200 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스프링-질량 시스템의 질량 및/또는 스프링 상수는 아래의 공식에 따른 공진 주파수르 정의하도록 선택되고:
    Figure pct00003
    ,
    m은 상기 스프링-질량 시스템의 질량이고, k는 상기 스프링-질량 시스템의 스프링 상수이고, f는 공진주파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은 터치패드 또는 터치감응표면을 구비한 터치스크린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은 작동압력, 작동력, 연속하는 작동압력, 또는 연속하는 작동력에 기초하여 유효한 작동이라는 것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텐션 막대자석, 플런저 코일구동부, 또는 압전 구동부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KR1020217032167A 2019-03-13 2020-02-13 차량용 조작유닛 KR202101355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06441.4 2019-03-13
DE102019106441 2019-03-13
DE102019109785 2019-04-12
DE102019109785.1 2019-04-12
PCT/EP2020/053726 WO2020182405A1 (de) 2019-03-13 2020-02-13 Bedieneinheit für ein fahrze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572A true KR20210135572A (ko) 2021-11-15

Family

ID=69645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167A KR20210135572A (ko) 2019-03-13 2020-02-13 차량용 조작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888372B2 (ko)
EP (1) EP3939163B1 (ko)
JP (1) JP2022524604A (ko)
KR (1) KR20210135572A (ko)
CN (1) CN113557665A (ko)
DE (1) DE102020103951A1 (ko)
ES (1) ES2949960T3 (ko)
WO (1) WO2020182405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58110B4 (de) 2007-12-03 2010-01-21 Lisa Dräxlmaier GmbH Schalter
KR101642149B1 (ko) 2010-01-05 2016-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피드백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3161384A (ja) 2012-02-08 2013-08-19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DE102013007962B4 (de) 2013-05-10 2018-11-22 Audi Ag Verfahren zum Einwirken auf eine Bewegungs-Kraft-Charakteristik eines Betätigungselements sowie manuelle Eingabevorrichtung mit einem Betätigungselement
DE102014019162B4 (de) 2014-12-19 2018-02-08 Audi Ag Manuelle Eingabevorrichtung mit haptischer Rückmeld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Erfassen einer manuellen Eingabeaktion
WO2017069057A1 (ja) * 2015-10-22 2017-04-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WO2021222376A1 (en) * 2020-05-01 2021-11-04 Gentex Corporation Rearview assembly with piezo vibration dampe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557665A (zh) 2021-10-26
US11888372B2 (en) 2024-01-30
EP3939163A1 (de) 2022-01-19
DE102020103951A1 (de) 2020-09-17
WO2020182405A1 (de) 2020-09-17
JP2022524604A (ja) 2022-05-09
ES2949960T3 (es) 2023-10-04
US20220149712A1 (en) 2022-05-12
EP3939163B1 (de)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32440B (zh) 用于设备的操作单元
US8803670B2 (en) Operating control having specific feedback
KR101580022B1 (ko) 국부적 및 전반적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선형 진동기
US201800597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aptic feedbacks for electronic apparatuses
EP3165997B1 (en) Automotive input apparatus comprising a touch sensitive input device
US10795485B2 (en) Touch-sensitive input device with improved haptic generation
CN112119364B (zh) 具有主动触觉反馈和干扰振动抑制的输入装置
KR102608389B1 (ko) 버튼형 액추에이터, 이를 포함하는 버튼형 액추에이터 피드백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6177360A (ja) 電子機器及び振動制御方法
JP7371895B2 (ja) アクチュエーター
CN101681982B (zh) 压电驱动系统、以及用于运行这种系统的方法
JP2009243539A (ja) 制振装置
US20200363872A1 (en) Haptic feedback for touch panel device
CN110321023B (zh) 改进产生触觉的触敏输入设备
KR20210135572A (ko) 차량용 조작유닛
US20150241266A1 (en) Weig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weighing apparatus
CN108459760B (zh) 输入装置
JP6888562B2 (ja) 触覚呈示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21068259A (ja) 触覚呈示装置
CN113056719A (zh) 用于控制拉杆磁铁的方法和装置
KR101821953B1 (ko) 관성형 가진기
WO2016035707A1 (ja) 圧電振動装置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EP4198695A1 (en) Vibration generator and vibration generating method
JP2017004264A (ja) 触覚呈示装置
EP4364862A1 (en) Operation element with exciter sp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