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409A -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409A
KR20210135409A KR1020200053530A KR20200053530A KR20210135409A KR 20210135409 A KR20210135409 A KR 20210135409A KR 1020200053530 A KR1020200053530 A KR 1020200053530A KR 20200053530 A KR20200053530 A KR 20200053530A KR 20210135409 A KR20210135409 A KR 20210135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terminal
tag
database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연
Original Assignee
박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연 filed Critical 박미연
Priority to KR1020200053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5409A/ko
Publication of KR20210135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6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social or collaborative filtering
    • G06Q5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서비스 서버가 제1차 콘텐츠를 수집하고, 제1사용자 단말이 제1차 콘텐츠에 태그를 추가한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하고 다른 제2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차 콘텐츠를 선택하면 상기 제2차 콘텐츠 생성자인 제1사용자 단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상품이나 정보와 같은 콘텐츠를 태그를 통해 쉽고 빠르게 획득 할 수 있고, 판매자(사용자)는 복잡한 절차나 전문지식, 고가의 비용이 필요없이 전자상거래 쇼핑몰을 통한 이익을 창출 할 수 있고, 콘텐츠 제작자 또는 판매자는 효율적인 마케팅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Social network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tag}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Social Network Service; SNS)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서비스 서버가 제1차 콘텐츠를 수집하고, 제1사용자 단말이 제1차 콘텐츠에 태그를 추가한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하고 다른 제2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차 콘텐츠를 선택하면 상기 제2차 콘텐츠 생성자인 제1사용자 단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는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자상거래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가 널리 사용되고,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주변으로 한정되어 있던 과거와는 달리 전세계의 상품, 뉴스기사, 글, 이미지, 미디어 등 수많은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접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넘쳐나는 콘텐츠 속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콘텐츠를 찾는 것은 바쁜 현대인들에게 상당한 스트레스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품이나 정보를 쉽고 빠르게 획득 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콘텐츠 제작자 또는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넘쳐나는 콘텐츠 속에서 과도한 마케팅 경쟁으로 광고비는 증가하는데 반해 매출은 오르지 않아 효율적인 마케팅 방법 또는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전자상거래 시장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상거래 쇼핑몰을 운영하여 이익을 창출하고자 하는 예비판매자가 폭증하고 있다. 기존에는 카페24, 메이크샵, 고도몰 과 같이 전자상거래 쇼핑몰을 임대하거나 지마켓, 옥션, 11번가 와 같은 오픈마켓 또는 위메프, 티몬, 쿠팡 과 같은 소셜커머스에 입점하여 운영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렇게 상품을 올릴 공간을 획득한다고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상품매입->모델섭외->사진촬영->웹디자인->상품등록->홍보/마케팅->고객응대->상품판매->상품포장->상품배송->대금정산] 의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하고, 이에 따라 각 전문가와 고가의 장비, 매입처정보 등이 필요하여 매우 큰 어려움이 따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품정보를 제공하고 배송을 대행해주는 B2B 서비스 업체가 있으나 획일적인 상품과 관리되지 않는 판매가 정책으로 사실상 최저가 판매처 한두곳을 제외하고는 경쟁력이 없고 또한, 상품등록, 홍보/마케팅, 고객응대, 상품판매와 같은 단계를 여전히 거쳐야 하기에 보다 획기적인 방법 또는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사용자에게 필요로 하는 상품이나 정보와 같은 콘텐츠를 태그를 통해 쉽고 빠르게 획득 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판매자(사용자)에게 복잡한 절차나 전문지식, 고가의 비용이 필요없이 전자상거래 쇼핑몰을 통한 이익을 창출 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콘텐츠 제작자 또는 판매자에게 효율적인 마케팅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A.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름, 고유ID, 비밀번호, 이메일, 연락처, 계좌번호, 주민번호, 사업자정보, 신분정보, 주소, 성별, 나이, 생체정보, 취미, 관심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제3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계정생성단계;
B.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시간, 일자, 횟수, 사용자단말 요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설정값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서버의 제1차 콘텐츠를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차 콘텐츠수집단계;
C.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쿼리를 입력 받고,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입력 받은 상기 검색쿼리에 대응하는 제1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1차 콘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1차 콘텐츠제공단계;
D.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상기 제1차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상기 제1차 콘텐츠와 연관하여 태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태그, 상기 제1차 콘텐츠, 고유ID, 사진, 이미지, 글(텍스트), 사운드, 비디오, 미디어, 링크주소, 파일, 바코드, 쿠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차 콘텐츠생성단계;
E.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태그를 입력 받고,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입력 받은 상기 태그에 대응하는 제2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2차 콘텐츠를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2차 콘텐츠제공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는, 사진, 이미지, 글(텍스트), 사운드, 비디오, 미디어, 링크주소, 파일, 바코드, 쿠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1차 콘텐츠를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여 새로 생성된 콘텐츠를 크롤링하여 저장하는 방법;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온라인서버의 콘텐츠를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콘텐츠와 참조하여 비교하고,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변경된 콘텐츠를 크롤링하여 저장 및 업데이트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D)단계에서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은
클릭, 터치, 음성, 행동인식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A.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름, 고유ID, 비밀번호, 이메일, 연락처, 계좌번호, 주민번호, 사업자정보, 신분정보, 주소, 성별, 나이, 생체정보, 취미, 관심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제3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계정생성모듈;
B.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시간, 일자, 횟수, 사용자단말 요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설정값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서버의 제1차 콘텐츠를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차 콘텐츠수집모듈;
C.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쿼리를 입력 받고,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입력 받은 상기 검색쿼리에 대응하는 제1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1차 콘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쿼리를 입력 받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여 입력 받은 상기 검색쿼리에 대응하는 제1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제1차 콘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1차 콘텐츠제공모듈;
D.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상기 제1차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상기 제1차 콘텐츠와 연관하여 태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태그, 상기 제1차 콘텐츠, 고유ID, 사진, 이미지, 글(텍스트), 사운드, 비디오, 미디어, 링크주소, 파일, 바코드, 쿠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차 콘텐츠생성모듈;
E.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태그를 입력 받고,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입력 받은 상기 태그에 대응하는 제2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2차 콘텐츠를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2차 콘텐츠제공모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은,
실시간으로 변하는 특성을 가진 콘텐츠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B)단계와 상기(C)단계와 상기(D)단계를 생략하고, 상기(A)단계 후에,
B.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쿼리를 입력 받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여 입력 받은 상기 검색쿼리에 대응하는 제1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제1차 콘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1차 콘텐츠제공단계;
C.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상기 제1차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상기 제1차 콘텐츠와 연관하여 태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태그, 상기 제1차 콘텐츠, 고유ID, 사진, 이미지, 글(텍스트), 사운드, 비디오, 미디어, 링크주소, 파일, 바코드, 쿠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차 콘텐츠생성단계; 및 상기 제1차 콘텐츠를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차 콘텐츠수집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은,
F.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상기 제2차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선택정보를 제4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제4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요청내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에게 현금, 포인트, 상품권, 쿠폰, 아이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상을 지급하는 수익분배단계;
G. 상기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상기 제1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 사용자, 계정, 태그, 검색쿼리,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천해주는 빅데이터단계;
H.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설정한 값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알람을 제공하는 푸시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F.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상기 제2차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선택정보를 제4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제4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요청내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에게 현금, 포인트, 상품권, 쿠폰, 아이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상을 지급하는 수익분배모듈;
G. 상기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상기 제1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 사용자, 계정, 태그, 검색쿼리,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천해주는 빅데이터모듈;
H.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설정한 값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알람을 제공하는 푸시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드웨어인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그램.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상거래 쇼핑몰을 통해 이익을 창출하고자 하는 판매자(사용자)는 상품매입부터 상품배송까지 복잡한 단계 없이 간단한 제2차 콘텐츠생성만으로 사이트를 운영하여 수익을 창출 할 수 있고,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하거나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상품이나 정보를 태그를 통해 쉽고 빠르게 획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와 비슷한 성향의 타 사용자를 선택하여 이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능과 효과를 극대화 시킨다. 또한 콘텐츠를 홍보하고자 하는 제작자(사용자) 또는 판매자(사용자)는 낭비되는 광고비 없이 사용자 정보와 태그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맞춤형 광고로 효과적인 광고 진행과 홍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은,
A.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름, 고유ID, 비밀번호, 이메일, 연락처, 계좌번호, 주민번호, 사업자정보, 신분정보, 주소, 성별, 나이, 생체정보, 취미, 관심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제3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계정생성단계;
B.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시간, 일자, 횟수, 사용자단말 요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설정값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서버의 제1차 콘텐츠를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차 콘텐츠수집단계;
C.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쿼리를 입력 받고,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입력 받은 상기 검색쿼리에 대응하는 제1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1차 콘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1차 콘텐츠제공단계;
D.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상기 제1차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상기 제1차 콘텐츠와 연관하여 태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태그, 상기 제1차 콘텐츠, 고유ID, 사진, 이미지, 글(텍스트), 사운드, 비디오, 미디어, 링크주소, 파일, 바코드, 쿠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차 콘텐츠생성단계;
E.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태그를 입력 받고,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입력 받은 상기 태그에 대응하는 제2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2차 콘텐츠를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2차 콘텐츠제공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는, 사진, 이미지, 글(텍스트), 사운드, 비디오, 미디어, 링크주소, 파일, 바코드, 쿠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1차 콘텐츠를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여 새로 생성된 콘텐츠를 크롤링하여 저장하는 방법;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온라인서버의 콘텐츠를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콘텐츠와 참조하여 비교하고,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변경된 콘텐츠를 크롤링하여 저장 및 업데이트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D)단계에서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은
클릭, 터치, 음성, 행동인식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A.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름, 고유ID, 비밀번호, 이메일, 연락처, 계좌번호, 주민번호, 사업자정보, 신분정보, 주소, 성별, 나이, 생체정보, 취미, 관심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제3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계정생성모듈;
B.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시간, 일자, 횟수, 사용자단말 요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설정값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서버의 제1차 콘텐츠를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차 콘텐츠수집모듈;
C.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쿼리를 입력 받고,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입력 받은 상기 검색쿼리에 대응하는 제1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1차 콘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쿼리를 입력 받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여 입력 받은 상기 검색쿼리에 대응하는 제1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제1차 콘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1차 콘텐츠제공모듈;
D.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상기 제1차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상기 제1차 콘텐츠와 연관하여 태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태그, 상기 제1차 콘텐츠, 고유ID, 사진, 이미지, 글(텍스트), 사운드, 비디오, 미디어, 링크주소, 파일, 바코드, 쿠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차 콘텐츠생성모듈;
E.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태그를 입력 받고,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입력 받은 상기 태그에 대응하는 제2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2차 콘텐츠를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2차 콘텐츠제공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은,
실시간으로 변하는 특성을 가진 콘텐츠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B)단계와 상기(C)단계와 상기(D)단계를 생략하고, 상기(A)단계 후에,
B.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쿼리를 입력 받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여 입력 받은 상기 검색쿼리에 대응하는 제1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제1차 콘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1차 콘텐츠제공단계;
C.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상기 제1차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상기 제1차 콘텐츠와 연관하여 태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태그, 상기 제1차 콘텐츠, 고유ID, 사진, 이미지, 글(텍스트), 사운드, 비디오, 미디어, 링크주소, 파일, 바코드, 쿠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차 콘텐츠생성단계; 및 상기 제1차 콘텐츠를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차 콘텐츠수집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은,
F.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상기 제2차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선택정보를 제4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제4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요청내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에게 현금, 포인트, 상품권, 쿠폰, 아이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상을 지급하는 수익분배단계;
G. 상기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상기 제1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 사용자, 계정, 태그, 검색쿼리,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천해주는 빅데이터단계;
H.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설정한 값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알람을 제공하는 푸시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F.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상기 제2차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선택정보를 제4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제4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요청내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에게 현금, 포인트, 상품권, 쿠폰, 아이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상을 지급하는 수익분배모듈;
G. 상기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상기 제1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 사용자, 계정, 태그, 검색쿼리,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천해주는 빅데이터모듈;
H.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설정한 값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알람을 제공하는 푸시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드웨어인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그램; 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온라인 서버(200), 네트워크(300), 서비스 서버(400), 데이터베이스(41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포함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로서 이는 포괄적인 개념의 스마트기기들이다. 즉 컴퓨터, 핸드폰, 무선단말, 웨어러블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와 같은 스마트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인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제1사용자 단말(110)과 제2사용자 단말(120)은 서로의 역할을 함께 병행 할 수 있으며 무수히 많은 사용자 단말(100)이 존재 할 수 있으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사용자 단말(110)과 제2사용자 단말(120)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온라인 서버(2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사이트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포털사이트, 뉴스, 전자상거래 쇼핑몰, 온라인 카페, 블로그, 커뮤니티와 같은 사이트를 포함 할 수 있다. 온라인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콘텐츠 보호를 위하여 서비스 서버(400)와 사전에 협의된 범위로 수집을 제한 할 수도 있다.
상기 콘텐츠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할 수 있는 사진, 이미지, 글(텍스트), 사운드, 비디오, 미디어, 링크주소, 파일, 바코드, 쿠폰과 같은 것을 말한다.
서비스 서버(400)와 데이터베이스(410)는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400)를 포함하고, 데이터베이스(410), 모듈(420), 송수신부(43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410)는, 제1차 콘텐츠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제1데이터베이스(411), 제2차 콘텐츠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제2데이터베이스(412), 사용자 계정정보를 담당하는 제3데이터베이스(413), 수익배분을 위해 사용자 단말의 선택여부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제4데이터베이스(414)를 포함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규모에 따라 추가 또는 통합이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모듈(420)은,
A.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름, 고유ID, 비밀번호, 이메일, 연락처, 계좌번호, 주민번호, 사업자정보, 신분정보, 주소, 성별, 나이, 생체정보, 취미, 관심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제3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계정생성모듈(421);
B.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시간, 일자, 횟수, 사용자단말 요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설정값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서버의 제1차 콘텐츠를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차 콘텐츠수집모듈(422);
C.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쿼리를 입력 받고,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입력 받은 상기 검색쿼리에 대응하는 제1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1차 콘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쿼리를 입력 받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여 입력 받은 상기 검색쿼리에 대응하는 제1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제1차 콘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1차 콘텐츠제공모듈(423);
D.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상기 제1차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상기 제1차 콘텐츠와 연관하여 태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태그, 상기 제1차 콘텐츠, 고유ID, 사진, 이미지, 글(텍스트), 사운드, 비디오, 미디어, 링크주소, 파일, 바코드, 쿠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차 콘텐츠생성모듈(424);
E.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태그를 입력 받고,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입력 받은 상기 태그에 대응하는 제2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2차 콘텐츠를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2차 콘텐츠제공모듈(42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판매자(사용자)에게 복잡한 절차나 전문지식, 고가의 비용이 필요없이 전자상거래 쇼핑몰을 통한 이익을 창출 할 수 있고, 콘텐츠 제작자 또는 판매자에게 효율적인 마케팅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F.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상기 제2차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선택정보를 제4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제4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요청내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에게 현금, 포인트, 상품권, 쿠폰, 아이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상을 지급하는 수익분배모듈(426);
G. 상기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상기 제1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 사용자, 계정, 태그, 검색쿼리,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천해주는 빅데이터모듈(427);
H.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설정한 값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알람을 제공하는 푸시모듈(428);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이때, 빅데이터모듈(427)과 푸시모듈(428)을 활용하면 사용자와 비슷한 성향의 타 사용자를 선택하여 이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능과 효과를 극대화 시킨다.
송수신부(430)는 서비스서버(400)가 네트워크(300)를 통해 송신 및 수신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은
네트워크(300)에 연결된 서비스 서버(400)가 계정생성모듈(421)을 이용하여 네트워크(300)에 연결된 제1사용자 단말(110), 제2사용자 단말(120)을 포함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이름, 고유ID, 비밀번호, 이메일, 연락처, 계좌번호, 주민번호, 사업자정보, 신분정보, 주소, 성별, 나이, 생체정보, 취미, 관심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받아 제3데이터베이스(413)에 저장한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대응하는 식별자가 부여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서버(400)가 상기 서비스 서버(400)에 저장된 시간, 일자, 횟수, 사용자단말 요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설정값에 따라 제1차 콘텐츠수집모듈(422)를 활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서버(200)에 접속하고, 제1차 콘텐츠를 제1데이터베이스(411)에 저장한다.
이후, 서비스 서버(400)는 제1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검색쿼리를 입력 받고, 제1차 콘텐츠제공모듈(423)을 활용하여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411)를 참조하여 입력 받은 상기 검색쿼리에 대응하는 제1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1차 콘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상기 제1사용자 단말(110)은 제2차 콘텐츠생성모듈(424)을 이용하여 제공받은 상기 제1차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상기 제1차 콘텐츠와 연관하여 태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태그, 상기 제1차 콘텐츠, 고유ID, 사진, 이미지, 글(텍스트), 사운드, 비디오, 미디어, 링크주소, 파일, 바코드, 쿠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412)에 저장한다.
상기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은 클릭, 터치, 음성, 행동인식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기능이 발달함에 따라 추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차 콘텐츠를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411)에 저장하는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400)가 상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온라인 서버(200)에 접속하여 새로 생성된 콘텐츠를 크롤링하여 저장하는 방법;
상기 서비스 서버(400)가 상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온라인 서버(200)에 접속하고, 상기 온라인서버(200)의 콘텐츠를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411)에 저장된 콘텐츠와 참조하여 비교하고,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변경된 콘텐츠를 크롤링하여 저장 및 업데이트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 할 수 있다.
특히 전자상거래 쇼핑몰의 경매상품의 가격 또는 특가상품의 재고와 같이 실시간으로 변하는 특성을 가진 콘텐츠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411)에 제1차 콘텐츠를 저장하고 제1사용자 단말(110)로 제1차 콘텐츠를 제공하고 제2데이터베이스(413)에 저장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400)가 제1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검색쿼리를 입력 받고, 제1차 콘텐츠수집모듈(422)과 제1차 콘텐츠제공모듈(423)을 활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서버(200)에 접속하여 입력 받은 상기 검색쿼리에 대응하는 제1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제1차 콘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1차 콘텐츠제공단계; 를 우선 시행하고, 상기 제1사용자 단말(110)이 제2차 콘텐츠생성모듈(424)을 이용하여 제공받은 상기 제1차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상기 제1차 콘텐츠와 연관하여 태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태그, 상기 제1차 콘텐츠, 고유ID, 사진, 이미지, 글(텍스트), 사운드, 비디오, 미디어, 링크주소, 파일, 바코드, 쿠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412)에 저장하는 제2차 콘텐츠생성단계; 및 상기 제1차 콘텐츠를 제1데이터베이스(411)에 저장하는 제1차 콘텐츠수집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서비스 서버(400)가 접속하는 온라인 서버(200)는 동시에 다수로 구성 될 수 있으며, 제1사용자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온라인 서버(200)로 제한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400)가 제2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태그를 입력 받고, 제2차 콘텐츠제공모듈(425)을 통해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412)를 참조하여 입력 받은 상기 태그에 대응하는 제2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2차 콘텐츠를 상기 제2사용자 단말(120)로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사용자 단말(120)이 제공받은 상기 제2차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400)가 상기 선택정보를 제4데이터베이스(414)에 저장하고, 제2사용자 단말(120)에 제1차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제4데이터베이스(414)에 저장된 상기 요청내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한 상기 제1사용자 단말(110)에게 수익분배모듈(426)을 활용하여 현금, 포인트, 상품권, 쿠폰, 아이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모듈(427)을 활용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사용자, 계정, 태그, 검색쿼리,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천해주는 빅데이터단계; 또는 푸시모듈(428)을 활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400)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설정한 값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알람을 제공하는 푸시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포함하여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콘텐츠 제작자나 판매자에게 효율적인 마케팅 방법을 제공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사용자 단말
110 : 제1사용자 단말
120 : 제2사용자 단말
200 : 온라인 서버
300 : 네트워크
400 : 서비스 서버
410 : 데이터베이스
411 : 제1데이터베이스
412 : 제2데이터베이스
413: 제3데이터베이스
414 : 제4데이터베이스
420 : 모듈
421 : 계정생성모듈
422 : 제1차 콘텐츠수집모듈
423 : 제1차 콘텐츠제공모듈
424 : 제2차 콘텐츠생성모듈
425 : 제2차 콘텐츠제공모듈
426 : 수익분배모듈
427 : 빅데이터모듈
428 : 푸시모듈
430 : 송수신부

Claims (6)

  1.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름, 고유ID, 비밀번호, 이메일, 연락처, 계좌번호, 주민번호, 사업자정보, 신분정보, 주소, 성별, 나이, 생체정보, 취미, 관심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제3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계정생성단계;
    B.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시간, 일자, 횟수, 사용자단말 요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설정값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서버의 제1차 콘텐츠를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차 콘텐츠수집단계;
    C.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쿼리를 입력 받고,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입력 받은 상기 검색쿼리에 대응하는 제1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1차 콘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1차 콘텐츠제공단계;
    D.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상기 제1차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상기 제1차 콘텐츠와 연관하여 태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태그, 상기 제1차 콘텐츠, 고유ID, 사진, 이미지, 글(텍스트), 사운드, 비디오, 미디어, 링크주소, 파일, 바코드, 쿠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차 콘텐츠생성단계;
    E.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태그를 입력 받고,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입력 받은 상기 태그에 대응하는 제2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2차 콘텐츠를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2차 콘텐츠제공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는, 사진, 이미지, 글(텍스트), 사운드, 비디오, 미디어, 링크주소, 파일, 바코드, 쿠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1차 콘텐츠를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여 새로 생성된 콘텐츠를 크롤링하여 저장하는 방법;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설정값에 따라 상기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온라인서버의 콘텐츠를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콘텐츠와 참조하여 비교하고,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변경된 콘텐츠를 크롤링하여 저장 및 업데이트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D)단계에서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은
    클릭, 터치, 음성, 행동인식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변하는 특성을 가진 콘텐츠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B)단계와 상기(C)단계와 상기(D)단계를 생략하고, 상기(A)단계 후에,
    B.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쿼리를 입력 받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여 입력 받은 상기 검색쿼리에 대응하는 제1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제1차 콘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1차 콘텐츠제공단계;
    C.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상기 제1차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상기 제1차 콘텐츠와 연관하여 태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태그, 상기 제1차 콘텐츠, 고유ID, 사진, 이미지, 글(텍스트), 사운드, 비디오, 미디어, 링크주소, 파일, 바코드, 쿠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차 콘텐츠생성단계; 및 상기 제1차 콘텐츠를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차 콘텐츠수집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3. 제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상기(E)단계 후에
    F.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상기 제2차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선택정보를 제4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제4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요청내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에게 현금, 포인트, 상품권, 쿠폰, 아이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상을 지급하는 수익분배단계;
    G. 상기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상기 제1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 사용자, 계정, 태그, 검색쿼리,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천해주는 빅데이터단계;
    H.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설정한 값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알람을 제공하는 푸시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4.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A.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름, 고유ID, 비밀번호, 이메일, 연락처, 계좌번호, 주민번호, 사업자정보, 신분정보, 주소, 성별, 나이, 생체정보, 취미, 관심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제3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계정생성모듈;
    B.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시간, 일자, 횟수, 사용자단말 요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설정값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서버의 제1차 콘텐츠를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차 콘텐츠수집모듈;
    C.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쿼리를 입력 받고,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입력 받은 상기 검색쿼리에 대응하는 제1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1차 콘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쿼리를 입력 받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여 입력 받은 상기 검색쿼리에 대응하는 제1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제1차 콘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1차 콘텐츠제공모듈;
    D.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상기 제1차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선택한 상기 제1차 콘텐츠와 연관하여 태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태그, 상기 제1차 콘텐츠, 고유ID, 사진, 이미지, 글(텍스트), 사운드, 비디오, 미디어, 링크주소, 파일, 바코드, 쿠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차 콘텐츠생성모듈;
    E.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태그를 입력 받고,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입력 받은 상기 태그에 대응하는 제2차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2차 콘텐츠를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2차 콘텐츠제공모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F.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상기 제2차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선택정보를 제4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제4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요청내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차 콘텐츠를 생성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에게 현금, 포인트, 상품권, 쿠폰, 아이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상을 지급하는 수익분배모듈;
    G. 상기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상기 제1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에 사용자, 계정, 태그, 검색쿼리,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천해주는 빅데이터모듈;
    H.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설정한 값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알람을 제공하는 푸시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6. 하드웨어인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그램.
KR1020200053530A 2020-05-05 2020-05-05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35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530A KR20210135409A (ko) 2020-05-05 2020-05-05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530A KR20210135409A (ko) 2020-05-05 2020-05-05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409A true KR20210135409A (ko) 2021-11-15

Family

ID=78502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530A KR20210135409A (ko) 2020-05-05 2020-05-05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54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iñeiro-Otero et al. Understanding digital marketing—basics and actions
US10354337B2 (en) Product content social marketplace catalog
US10769702B2 (en) Recommendations based upon explicit user similarity
CN101647041B (zh) 数字内容对象的存在点分发机制
US20070043583A1 (en) Reward driven online system utilizing user-generated tags as a bridge to suggested links
US20080270248A1 (en) System and device for social shopping on-line
US20070118394A1 (en) Value synthesis infrastructure and ontological analysis system
KR101664377B1 (ko) 기업과 유명인 간 협력사업 매칭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9126941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portable universal profile (hereinafter "pup")
CN104765758B (zh) 用于搜索结果定向的系统和方法
KR20180120571A (ko)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마케팅 시스템
US20130204701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marketing targeted products to users of social media
US20220261848A1 (en) Micro influencer hyperlinking
US20220366469A1 (en) Smart link for outside network input/output
US2014018083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opulating content on a web page
Kao et al. A Real-Time Bidding Gamification Service of Retailer Digital Transformation
KR20180073534A (ko) 큐레이션 콘텐츠 마케팅을 통한 리셀링 플랫폼 시스템
Yao et al. Cultural Considerations in social commerce: the differences and potential opportunities in China
KR20200097544A (ko) 리셀러들을 위한 콘텐츠 큐레이션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Hu et al. Chinese digital and mobile platforms
KR102218238B1 (ko) Sns를 통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이용하는 광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107835A (ko) 멀티채널 쇼핑몰 시스템
KR20080030202A (ko) 블로그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 홍보 방법 및 상품 판매 시스템
KR102216855B1 (ko) 선정된 대상자에게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135409A (ko) 태그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