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398A -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398A
KR20210135398A KR1020200053518A KR20200053518A KR20210135398A KR 20210135398 A KR20210135398 A KR 20210135398A KR 1020200053518 A KR1020200053518 A KR 1020200053518A KR 20200053518 A KR20200053518 A KR 20200053518A KR 20210135398 A KR20210135398 A KR 20210135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medicine
service user
medical
service
consul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섭
Original Assignee
이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섭 filed Critical 이동섭
Priority to KR1020200053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5398A/ko
Publication of KR20210135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05Determining heart rate vari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6Evaluating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besit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모바일 기기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의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을 구축하여 활용하고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에서 센서디바이스를 통해서 전송되는 서비스이용자의 개인 생체정보와 라이프로그를 수집 및 개인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며 의료기관 단말을 통해 국내 또는 해외 의료기관이 보유하는 의료진과의 원격 화상 진료 및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모바일 기기를 통해 원격 화상 진료 및 의료상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며,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화상 진료의 접근성을 제고할 수 있으면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해외환자까지 유치할 수 있는 등 국내는 물론 해외 경쟁력까지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REMOTE MEDICAL EXAMINATION SYSTEM}
본 발명은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라우드 기반의 개방형 모바일 플랫폼을 활용한 클라우드 기반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의료서비스는 비용 절감과 접근성 및 시간적 편의성 향상이 가장 필요한 실정에 있다.
부연하여, 현재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의료 지출비용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로서 그 증가율은 OECD 평균의 3배 이상으로 나타나 의료비용의 절감을 위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으며, 정기적인 검진과 관리가 필요하나 의료시설이 낙후된 도서산간지역 등 의료 취약지나 거동의 불편함 등 의료서비스의 접근성이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만성질환자들을 위한 간소화된 진료서비스와 의료취약계층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의료서비스가 필요하고, 직장생활 및 사회활동 등 바쁜 현대인의 생활환경으로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하여 진료를 받기가 힘든 여건이므로 이를 고려한 편의성 높은 서비스 제공 등이 필요한 실정에 있다.
이에, 원격 진료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 일부에서는 발전된 전기전자기술 및 통신망을 활용하여 원격 진료를 실시하고 있기도 하나, 의료행위자와 환자 간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한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에 있으며,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 등 다수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화상 진료의 접근성을 제고하고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해외환자 유치 등 국내는 물론 해외 경쟁력까지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은, 클라우드 기반의 모바일 플랫폼으로 구축되는 것으로서, 원격 화상 진료 및 상담 서비스를 위한 통합 모바일 앱을 제공하고 앱 또는 웹을 통한 접속이 가능하며, 원격진료 화상서비스 및 상담서비스를 주관 및 매개하는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에 인터페이스 및 연동 가능하도록 원격진료 통합 모바일 앱이 탑재되고,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을 매개로 의료기관 단말 측에 연결시 연동되어 의료진과의 화상 진료 및 의료 상담이 가능하도록 화상카메라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이용자 단말;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을 매개로 연결되는 서비스이용자 단말을 통해 서비스이용자와의 화상 진료 및 의료 상담이 가능하도록 원격진료용 화상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센서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서비스이용자에 대한 생체정보를 전송받아 화상 진료에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의료기관 단말;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을 보유하는 서비스이용자에 대한 생체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기기로서, 서비스이용자로부터 획득한 생체정보를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을 통해 수집된 생체정보를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 측으로 데이터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센서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센서디바이스는,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을 보유하는 서비스이용자에 대한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혈압계; 상기 서비스이용자의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혈당계; 상기 서비스이용자의 체지방, 체중, 골격근량, 기초대사량, 내장지방레벨을 비롯한 체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체성분계; 상기 서비스이용자의 심박수, 보행수, 보행거리, 보행시간, 소모칼로리를 비롯한 활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활동량계; 상기 서비스이용자의 심전도, 맥파, 심펄스를 비롯한 심박변이도를 측정하기 위한 HRV 측정계; 상기 서비스이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EKG 측정계; 상기 서비스이용자의 맥박,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기 위한 산소포화도 측정계; 상기 서비스이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한 스마트 청진기;를 포함하되, 이들 중에서 서비스이용자의 생체정보를 3종 이상 획득하도록 선택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디바이스 각각은,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과 PAN(Personal Area Network; 개인통신망) 또는 BAN(Body Area Network; 인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측정된 생체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센서디바이스 각각이 갖는 통신모듈은,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과 직렬 연결을 설정하도록 SPP(Serial Port Profile) 통신프로파일을 적용하고, 서비스이용자의 생체정보 측정데이터를 비롯한 모뎀제어신호 및 설정 명령을 전송하도록 RFCOMM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SPP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며;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통신(IrDA), 초광대역통신(UWB), 지그비(Zigbee)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에 의한 무선통신망을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의료기관 단말은,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과 연동하여 서비스이용자의 화상 진료 및 상담을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 연동서버; 협진요청 의료기관과 협진지원 의료기관 간의 서비스이용자 PHR(Personal Health Record)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PHR 서버; 상기 협진요청 의료기관과 협진지원 의료기관 간의 의료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그리드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의료기관 단말에 있어, 협진요청 의료기관은 상기 플랫폼 연동서버를 통해 HTTP 프로토콜 상에서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메시지를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에 전송하고,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에서 협진지원 의료기관에 협진서비스 호출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보안시스템부는,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 내부의 상황에 따른 유동적 보안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공개인증(Oauth) 방식을 적용하되, 리소스 서버 및 Oauth 서버를 활용하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이 갖는 리소스 웹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하고 신뢰성이 있는 사용자를 위한 Authorization Code Grant 인증방식; 공중의 사용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브라우저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인증방식을 사용하는 Implicit Grant 인증방식; 사용자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직접 접근하게 하는 Password Credentials Grant 인증방식; 접근 어플리케이션이 신뢰성이 있는 사용자일 때,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가지고 인증하게 하는 Client Credentials Grant 인증방식; 을 지원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사용자 환경에서의 연결이 가능하고, 개인의 생체정보 및 라이프로그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생체정보의 활용을 통한 원격 화상 진료를 받을 수 있고 의료진의 협진을 통한 원격 화상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상담 시스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에 있어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에 있어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에 있어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에 있어 원격진료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모바일 앱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과 서비스이용자 단말(200), 의료기관 단말(300), 및 센서디바이스(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은 클라우팅 컴퓨팅(Cloud Computing)을 활용하여 오픈 소스를 갖는 클라우드 기반의 개방형 모바일 플랫폼으로 구축되는 것으로서, 원격 화상(畵像) 진료 및 상담 서비스를 위한 통합 모바일 앱을 제공하고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한 접속이 가능하며, 원격진료 화상서비스 및 상담서비스를 주관 및 매개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인터넷상의 서버를 통하여 데이터 저장, 네트워크, 콘텐츠 사용 등 IT 관련 서비스를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으로서, 사용자의 모든 정보를 인터넷상의 서버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각종 IT 기기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다는 개념이며, 무형의 형태로 존재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자신이 필요한 만큼 빌려 쓰고 이에 대한 사용요금을 지급하는 방식의 컴퓨팅 서비스이다.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은 클라우드 서비스모듈(110)과, 보안모듈(120), 사용자 지원모듈(130), 및 원격진료 통합관리모듈(14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모듈(110)은 사용자(서비스이용자나 의료진 등)가 앱(App) 또는 웹(Web)을 이용한 연결 접속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클라우드 플랫폼(111)과, 클라우드 인프라(112)로 구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111)은 오픈 소스를 통한 개방형으로 구축하기 위해 클라우드파운드(CloudFoundry) 기반으로 구축할 수 있고, 상기 클라우드 인프라(112)는 오픈 소스를 통한 개방형으로 구축하기 위해 오픈스택(OpenStack) 기반으로 구축할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111)은 PHR(Personal Health Record) 기반의 웹서비스제공을 위한 웹서버와, 다양한 언어별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 복잡한 이기종 환경에서의 원활한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미들웨어, 각종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DB), 및 모바일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인프라(112)와 연동 및 클라우드 인프라를 지원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클라우드 인프라(112)는 가상서버의 생성 및 삭제를 비롯하여 메타데이터 변경 등 가상서버를 관리하기 위한 가상서버 제어부와, 스토리지의 생성과 삭제 및 변경을 비롯하여 스토리지간 연동 등 스토리지 제어를 위한 스토리지 제어부와, 가상스위치 생성 및 관리 등 네트워크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제어부와, 스토리지와 네트워크 등을 비롯한 모든 자원을 제어하여 오케스트레이션을 수행하고 VM(Virtual Machine) 그룹별 생성 및 삭제 등 VM 그룹 및 템플릿을 관리하기 위한 오케스트레이션자동화부와, VM그룹과 메모리 및 CPU 기준 스케쥴링을 관리하기 위한 VM스케쥴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안모듈(120)은 사용자(서비스이용자나 의료진 등)에 대한 플랫폼(100) 측으로의 시스템 접근 및 인증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4가지 인증방식을 지원하는 보안시스템부(121)와, 다양한 이해관계자별 데이터 및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접근 권한을 관리 및 설정하기 위한 정보권한 설정부(12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안시스템부(121)는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 내부의 상황에 따른 유동적 보안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공개인증(Oauth) 방식을 적용하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소스 서버 및 Oauth 서버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구축할 수 있다.
즉,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이 갖는 리소스 웹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하는 방식으로서 신뢰성이 있는 사용자를 위한 Authorization Code Grant 인증방식과, 공중의 사용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브라우저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인증방식을 사용하는 Implicit Grant 인증방식과, 사용자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직접 접근하게 하는 Password Credentials Grant 인증방식과, 및 접근 어플리케이션이 신뢰성이 있는 사용자일 때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가지고 인증하게 하는 Client Credentials Grant 인증방식 등을 지원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정보권한 설정부(122)는 일 예로, 서비스이용자가 의료영상서비스와 개인 건강평가서비스 및 개인 건강기록 접속 등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의료진이 의료영상서비스와 의료영상 DB 접속 및 개인 건강평가서비스 등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관리자나 운영자가 의료영상 데이터 접속 및 관리와 개인 건강기록데이터 접속 및 관리 등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지원모듈(130)은 앱을 통한 사용자의 접근뿐만 아니라 사용자(서비스이용자나 의료진 등)의 다양한 요구사항 수용을 위한 웹 표준을 적용하고 사용자 편의를 위해 웹 콘덴츠 접근성을 제공하며 다양한 접속환경을 갖는 인터넷 사용자들을 위해 웹 호환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 멀티플랫폼환경 지원부(131)와, 다국어 변환엔진을 통해 다국어를 지원하기 위한 다국어 지원부(132)가 구비된다.
상기 멀티플랫폼환경 지원부(131)는 표준으로 사용되는 개방형 인터넷 표준 권고안(W3C)을 준수 및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을 준수하며, 특정 플랫폼에 종속되는 환경을 배제 및 모든 브라우저에 서비스 가능하도록 구축함으로써 웹표준과 웹접근성 및 웹호환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다국어 지원부(132)는 서비스이용자가 언제 어디서든지 해외 의료기관의 의료진과 진료 및 상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아랍어 등 다국어를 지원하도록 구비되며, 해외환자 유치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원격진료 통합관리모듈(140)은 상기 센서디바이스(400)로부터 측정되어 전송되는 서비스이용자의 생체정보와 더불어 서비스이용자의 개인정보와 병력정보 및 의료정보를 관리 분석하기 위한 서비스이용자 분석관리부(141)와, 상기 의료기관 단말(300)을 보유하는 의료진의 진단 지원을 위한 것으로서 의사결정지원시스템(CDSS;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을 기반으로 갖는 의료상담시스템부(142)와, 상기 플랫폼(100) 측 모니터링을 위한 서버 모니터링 및 원격진료서비스의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모니터링시스템부(143)와, 상기 플랫폼(100)의 성능과 장애 및 백업 관리를 위한 통합운영시스템부(144)와,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200)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HDP/SPP인터페이스부(145)와,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200)과 의료기관 단말(300)과의 원격 화상진료가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의료영상인터페이스부(146)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이용자 분석관리부(141)는 서비스이용자의 생체정보와 라이프로그 및 원격 화상진료에 따른 화상데이터 등의 개인건강기록(PHR) 데이터를 분석하여 서비스 및 관리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분석데이터외 생체정보와 원격화상데이터 등을 마이닝(mining)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비스이용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상기 HDP/SPP인터페이스부(145)는 상기 센서디바이스(400)의 각 디바이스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 및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 측에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은 모바일 기기의 활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요 목적을 갖는 것으로서, 모바일 앱의 확장과 탑재가 용이하도록 셀기반 하이브리드 앱을 적용할 수 있고, iOS와 Andriod 2가지의 모바일 플랫폼을 지원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 API를 구축하여 iOS와 Andriod에 모두 연결 가능하도록 하여 앱 호환성을 갖는 사용자 환경을 구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은 Window와 MacOS를 통한 웹 사용자 환경을 구축하여 모바일뿐만 아니라 PC를 통한 접속시 연동되게 함으로써 멀티플랫폼 사용자 환경을 지원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은 국내 또는 해외 의료기관, 즉 의료기관 단말(300)과의 원격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의료영상 변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으며,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 표준인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표준 프로토콜을 적용함으로써 국내는 물론 해외 의료기관과의 의료영상기반 원활한 원격진료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200)은 모바일 기기로서, 서비스이용자가 보유하는 스마트폰이라 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200)은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에 인터페이스 및 연동 가능하도록 원격진료 통합 모바일 앱이 탑재되고,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을 매개로 원격 화상 진료를 위한 의료기관 단말(300) 측에 연결시 연동되어 의료기관 단말(300)을 보유하는 의료진과의 화상(畵像) 진료 및 의료 상담이 가능하도록 화상카메라(200A)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200)로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인 스마트폰에는 화상카메라(200A)가 기본적으로 장착된다.
도 7은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200)에 탑재되는 원격진료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원격진료 통합 모바일 앱에 대한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200)은 상기 센서디바이스(400)의 각 디바이스에서 전송하는 생체정보를 안전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모듈을 구비하며,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통신(IrDA), 초광대역통신(UWB), 지그비(Zigbee)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에 의한 무선통신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200)은 상기 센서디바이스(400)의 각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생체정보를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 측과 안정되게 데이터통신할 수 있도록 전송모듈을 구비하며,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와이파이(Wi-Fi)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원격 진료를 받기 위한 서비스이용자는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을 매개로 상기 의료기관 단말(300) 측과 연결되어 국내 유수 또는 해외 유수의 의료진으로부터 원격 화상 진료 및 상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 단말(300)은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을 매개로 연결되는 서비스이용자 단말(200)을 통해 서비스이용자와의 화상 진료 및 의료 상담이 가능하도록 원격진료용 화상카메라(300A)가 구비되고, 이를 포함하는 원격화상 진료시스템이 구비된다.
상기 의료기관 단말(300)은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으로부터 센서디바이스(400)에 의해 측정된 서비스이용자에 대한 생체정보를 전송받아 화상 진료에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국내의료기관 단말과 하나 이상의 해외의료기관 단말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 단말(300)은 다수의 의료기관 단말을 통해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을 매개로 의료진 간에 화상(畵像)을 이용한 협진을 수행할 수 있으며, 협진요청 의료기관 또는 협진지원 의료기관이 될 수 있다.
이때, 의료진 간의 협진은 국내 유수의 의료진 간에 이루어질 수 있고, 해외 유수의 의료진 간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국내 유수의 의료진과 해외 유수의 의료진 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 단말(300)은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과 연동하여 서비스이용자와의 화상 진료 및 상담을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 연동서버(310)와, 상기 협진요청 의료기관과 협진지원 의료기관 간의 서비스이용자 PHR(Personal Health Record)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PHR 서버(320), 및 상기 협진요청 의료기관과 협진지원 의료기관 간의 의료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그리드 서버(3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의료기관 단말(300)에 있어서는, 협진요청 의료기관은 상기 연동 서버를 통해 HTTP 프로토콜 상에서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메시지를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에 전송하고,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에서 협진지원 의료기관 측 단말에 협진서비스 호출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 단말(300)은 의사결정지원시스템(CDSS) 기반의 의료상담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디바이스(400)는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200)을 보유하는 서비스이용자에 대한 생체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기기로서, 서비스이용자로부터 획득한 생체정보를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200)을 통해 수집된 생체정보를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 측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센서디바이스(400)는 서비스이용자로부터 획득한 생체정보를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200)이 아닌 주변의 장치드라이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 측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병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디바이스(400)는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200)을 보유하는 서비스이용자에 대한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혈압계(141)와; 상기 서비스이용자의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혈당계(142)와, 상기 서비스이용자의 체지방, 체중, 골격근량, 기초대사량, 내장지방레벨을 비롯한 체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체성분계(143)와; 상기 서비스이용자의 심박수, 보행수, 보행거리, 보행시간, 소모칼로리를 비롯한 활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활동량계(144)와; 상기 서비스이용자의 심전도, 맥파, 심펄스를 비롯한 심박변이도를 측정하기 위한 HRV 측정계(145)와; 상기 서비스이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EKG 측정계(146)와; 상기 서비스이용자의 맥박,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기 위한 산소포화도 측정계(147)와; 상기 서비스이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한 스마트 청진기(148)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서디바이스(400)는 상기 나열된 센서디바이스들 중에서 서비스이용자의 생체정보를 3종 이상 획득하도록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디바이스(400)는, 각각의 센서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200)과 PAN(Personal Area Network; 개인통신망) 또는 BAN(Body Area Network; 인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측정된 생체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모듈(400A)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센서디바이스(400) 각각이 갖는 통신모듈(400A)은 데이터 전송에 따른 보안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도록 HDP(Health Device Profile) 통신프로파일을 적용하고, 통신 연결 및 데이터 교환 제어를 위해 LTP(Local Transport Protocol)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센서디바이스(400) 각각은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200)과 인터페이스되어 연결시 생체정보 측정데이터를 상기 LTP 명령에 의해 HDP 데이터로 변환하여 서비스이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HDP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센서디바이스(400) 각각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통신(IrDA), 초광대역통신(UWB), 지그비(Zigbee)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에 의한 무선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디바이스(400) 각각이 갖는 통신모듈(400A)은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200)과 직렬 연결을 설정하도록 SPP(Serial Port Profile) 통신프로파일을 적용하고, 서비스이용자의 생체정보 측정데이터를 비롯한 모뎀제어신호 및 설정 명령을 전송하도록 RFCOMM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SPP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도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통신(IrDA), 초광대역통신(UWB), 지그비(Zigbee)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에 의한 무선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진료 시스템에 의한 원격 화상 진료 및 상담 서비스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이용자와 의료기관(국내와 해외)은 각각 서비스이용자 단말(200)과 의료기관 단말(300)을 통해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 측에 접속되고, 사전에 서비스이용자의 개인정보와 의료기관이 보유하는 의료진의 기본정보 등이 입력되어 DB에 저장된다.
이때, 서비스이용자와 의료진 등은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에서 셀기반 하이브리드 앱을 적용하고 iOS와 Andriod 2가지의 모바일 플랫폼을 지원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 API를 구축함에 의해 iOS나 Andriod 환경에서 각각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 측에 접속할 수 있으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에서는 Window와 MacOS를 통한 웹 사용자 환경을 구축하고 있어 모바일뿐만 아니라 PC를 통해서도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이용자나 의료진 등은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 측에 접속시 보안모듈(120)을 통한 보안 인증 및 정보권한 설정에 의해 시스템 접근이 제한된다.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에서는 서비스이용자 단말(200)과의 연동을 통해 서비스이용자에 대한 혈압이나 혈당 및 활동량 등의 생체정보를 전송받아 DB에 저장하며, 각 서비스이용자에 대해 PHR(Personal Health Record)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 및 라이프로그(lifelog) 처리한다.
이때, 서비스이용자 단말(200)은 센서디바이스(400)의 각각으로부터 서비스이용자에 대한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연동되는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 측으로 송신하며, 각 서비스이용자에 대해 PHR(Personal Health Record)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 및 라이프로그(lifelog) 처리한다.
여기에서, 혈압계나 혈당계, 활동량계 등의 센서디바이스(400) 각각은 서비스이용자 단말(200)과 인터페이스되어 연결시 HDP(Health Device Profile)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경우, 생체정보 측정데이터를 LTP(Local Transport Protocol) 명령에 의해 HDP 데이터로 변환하여 서비스이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혈압계나 혈당계, 활동량계 등의 센서디바이스(400) 각각은 서비스이용자 단말(200)과 인터페이스되어 연결시 SPP(Serial Port Profile)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경우, 서비스이용자의 생체정보 측정데이터를 서비스이용자 단말(200)로 전송함과 더불어 모뎀제어신호 및 설정 명령을 함께 전송한다.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에서는 이렇게 전송되어 DB에 저장되는 서비스이용자의 PHR(Personal Health Record) 기반 생체정보 및 라이프로그(lifelog) 등의 데이터를 의료기관 단말(300)을 통한 의료진과의 원격 화상(畵像) 진료시 제공하여 의료 상담 및 화상 진료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PHR(Personal Health Record)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이용자에 대한 건강상태를 분석하여 서비스 및 관리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수행된 상태 또는 실시간 진행되는 상태에서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에 인터페이스된 서비스이용자가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 측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해 제공하게 되는 국내 의료기관 또는 해외 의료기관과 의료진을 선택하여 화상 진료 및 상담을 요청하면,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에서 해당 의료기관 단말(300)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개한다.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의 중개를 통해 서로 인터페이스되는 서비스이용자 단말(200)과 의료기관 단말(300)은 의료영상인터페이스부(146)에 의해 화상카메라의 연동을 수행 및 원격 화상 진료와 의료 상담을 수행할 수 있게 지원한다.
이때,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에서는 해당 의료기관 단말(300)을 통해 의료진에게 접속된 해당 서비스이용자에 대한 생체정보와 라이프로그 데이터 등을 전달하여 진료 및 의료 상담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지원하며, 서비스이용자와 의료진 간의 원격 화상 진료에 따른 의료영상데이터를 DB에 저장 및 관리한다.
여기에서,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에서는 서비스이용자가 해외 의료기관과 의료진을 선택한 경우 다국어지원부(132)를 통해 해당 언어를 지원한다.
한편,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에서의 지원을 통해 서비스이용자와 의료진 간에 원격 화상 진료 및 의료 상담을 진행할 시, 해당 의료진은 다른 의료기관의 의료진에 협진을 요청하고 협진을 지원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의료기관 단말(300)이 갖는 PHR 서버(320)를 통해 협진요청 의료기관과 협진지원 의료기관 간의 서비스이용자 PHR(Personal Health Record)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그리드 서버(330)를 통해 협진요청 의료기관과 협진지원 의료기관 간의 의료영상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이때, 협진요청 의료기관은 의료기관 단말(300) 각각이 보유하는 플랫폼 연동서버(310)를 통해 HTTP 프로토콜 상에서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메시지를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 측에 전송하고,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에서 협진지원 의료기관의 의료기관 단말(300)을 통해 협진서비스 호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협진으로 서비스이용자에 대한 원격 화상 진료 및 의료 상담을 실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여기에서,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100)에서는 의료영상 변환 인터페이스를 통해 국내 또는 해외 의료기관과의 원격진료를 지원하며, 국내는 물론 해외 의료기관과의 의료영상기반으로 원활한 원격진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클라우드 기반의 개방형 모바일 플랫폼을 구축하고 모바일 기기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클라우드 기반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화상 진료의 접근성을 제고하고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해외환자 유치 등 국내는 물론 해외 경쟁력까지 확보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팅부, 제 1 트랜스퍼 및 제 2 트랜스퍼, 콤바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팅부는 데이터를 분할하여 복수 개의 조각들을 생성하고, 조각들의 각각에 어드레스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조각들의 어드레스는 복수 개의 문자 및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팅부는 각각의 어드레스를 고려하여 조합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조합 규칙은 복수 개의 데이터 조각들을 각각의 어드레스를 바탕으로 하여 분할되기 이전의 데이터로 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을 의미한다.
제 1 트랜스퍼는 복수 개의 데이터 조각들을 임의의 순서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데이터 조각들은 각각 부여된 어드레스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제 2 트랜스퍼는 제 1 트랜스퍼에 의해 전송된 복수 개의 데이터 조각들에 대응되는 조합 규칙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트랜스퍼는 제 1 트랜스퍼에 의한 복수 개의 데이터 조각들의 전송에 대하여 시차를 두고 조합 규칙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 또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

Claims (7)

  1. 클라우드 기반의 모바일 플랫폼으로 구축되는 것으로서, 원격 화상 진료 및 상담 서비스를 위한 통합 모바일 앱을 제공하고 앱 또는 웹을 통한 접속이 가능하며, 원격진료 화상서비스 및 상담서비스를 주관 및 매개하는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에 인터페이스 및 연동 가능하도록 원격진료 통합 모바일 앱이 탑재되고,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을 매개로 의료기관 단말 측에 연결시 연동되어 의료진과의 화상 진료 및 의료 상담이 가능하도록 화상카메라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이용자 단말;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을 매개로 연결되는 서비스이용자 단말을 통해 서비스이용자와의 화상 진료 및 의료 상담이 가능하도록 원격진료용 화상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으로부터 센서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서비스이용자에 대한 생체정보를 전송받아 화상 진료에 활용하는 하나 이상의 의료기관 단말;
    상기 단말들 사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보안화한 후에 분산 전송받아 저장하는 분산 보안 서버; 및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을 보유하는 서비스이용자에 대한 생체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기기로서, 서비스이용자로부터 획득한 생체정보를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을 통해 수집된 생체정보를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 측으로 데이터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센서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디바이스는,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을 보유하는 서비스이용자에 대한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혈압계;
    상기 서비스이용자의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혈당계;
    상기 서비스이용자의 체지방, 체중, 골격근량, 기초대사량, 내장지방레벨을 비롯한 체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체성분계;
    상기 서비스이용자의 심박수, 보행수, 보행거리, 보행시간, 소모칼로리를 비롯한 활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활동량계;
    상기 서비스이용자의 심전도, 맥파, 심펄스를 비롯한 심박변이도를 측정하기 위한 HRV 측정계;
    상기 서비스이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한 스마트 청진기; 를 포함하되, 이들 중에서 서비스이용자의 생체정보를 3종 이상 획득하도록 선택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디바이스 각각은,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과 PAN(Personal Area Network; 개인통신망) 또는 BAN(Body Area Network; 인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측정된 생체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디바이스 각각이 갖는 통신모듈은,
    데이터 전송에 따른 보안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도록 HDP(Health Device Profile) 통신프로파일을 적용하고, 통신 연결 및 데이터 교환 제어를 위해 LTP(Local Transport Protocol)를 사용하며;
    상기 센서디바이스 각각은,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과 인터페이스되어 연결시 생체정보 측정데이터를 상기 LTP 명령에 의해 HDP 데이터로 변환하여 서비스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HDP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디바이스 각각이 갖는 통신모듈은,
    상기 서비스이용자 단말과 직렬 연결을 설정하도록 SPP(Serial Port Profile) 통신프로파일을 적용하고, 서비스이용자의 생체정보 측정데이터를 비롯한 모뎀제어신호 및 설정 명령을 전송하도록 RFCOMM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SPP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며;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통신(IrDA), 초광대역통신(UWB), 지그비(Zigbee)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에 의한 무선통신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단말은,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과 연동하여 서비스이용자와의 화상 진료 및 상담을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 연동서버;
    상기 협진요청 의료기관과 협진지원 의료기관 간의 의료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그리드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관 단말에 있어,
    협진요청 의료기관은 상기 플랫폼 연동서버를 통해 HTTP 프로토콜 상에서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메시지를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에 전송하고,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에서 협진지원 의료기관에 협진서비스 호출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진료 모바일 플랫폼은,
    모바일 앱의 확장과 탑재가 용이하도록 셀기반 하이브리드 앱을 적용하고, iOS와 Andriod 2가지의 모바일 플랫폼을 지원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 API를 구축하여 iOS와 Andriod 환경 각각에 연결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앱 호환성을 갖는 사용자 환경을 구축하며;
    Window와 MacOS를 통한 웹 사용자 환경을 구축하여 모바일뿐만 아니라 PC에서도 연동되는 멀티플랫폼 사용자 환경을 지원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
KR1020200053518A 2020-05-05 2020-05-05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 KR20210135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518A KR20210135398A (ko) 2020-05-05 2020-05-05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518A KR20210135398A (ko) 2020-05-05 2020-05-05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398A true KR20210135398A (ko) 2021-11-15

Family

ID=7850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518A KR20210135398A (ko) 2020-05-05 2020-05-05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539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183B1 (ko) 2022-03-16 2022-08-04 (주)코레시옹비탈레 의사의 선택적 진료 수락을 통한 의사-환자 비대면 진료 시스템
KR102429181B1 (ko) 2022-03-07 2022-08-04 (주)코레시옹비탈레 선택적 채널 형성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KR102429182B1 (ko) 2022-03-16 2022-08-04 (주)코레시옹비탈레 환자의 증상 정보에 따른 선택적 의사 매칭이 가능한 비대면 진료 시스템
KR102451457B1 (ko) 2022-03-18 2022-10-07 (주)코레시옹비탈레 의사-환자의 선택적 매칭을 통한 비대면 진료 상담 결제 시스템
KR102466587B1 (ko) 2022-04-01 2022-11-14 (주)코레시옹비탈레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181B1 (ko) 2022-03-07 2022-08-04 (주)코레시옹비탈레 선택적 채널 형성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KR102429183B1 (ko) 2022-03-16 2022-08-04 (주)코레시옹비탈레 의사의 선택적 진료 수락을 통한 의사-환자 비대면 진료 시스템
KR102429182B1 (ko) 2022-03-16 2022-08-04 (주)코레시옹비탈레 환자의 증상 정보에 따른 선택적 의사 매칭이 가능한 비대면 진료 시스템
KR102451457B1 (ko) 2022-03-18 2022-10-07 (주)코레시옹비탈레 의사-환자의 선택적 매칭을 통한 비대면 진료 상담 결제 시스템
KR102466587B1 (ko) 2022-04-01 2022-11-14 (주)코레시옹비탈레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5398A (ko)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
Maia et al. A web platform for interconnecting body sensors and improving health care
KR20180136357A (ko) 원격 진료시스템
US20170098051A1 (en) Advanced Telemedicine System with Virtual Doctor
Doukas et al. Managing wearable sensor data through cloud computing
US10848534B2 (en) Media stream transfer based on authentication using identifiers
WO2014042329A1 (ko) 개인건강기록을 위한 실시간 심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hung et al. RETRACTED ARTICLE: Cloud based u-healthcare network with QoS guarantee for mobile health service
Jiménez-Fernández et al. Usability and interoperabilit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patient telemonitoring in chronic disease management
Chung et al. PHR open platform based smart health service using distributed object group framework
Ungurean et al. An internet of things framework for remote monitoring of the healthcare parameters
Sonune et al. Issues in IoT healthcare platforms: A critical study and review
Su et al. A novel framework for a remote patient monitoring (RPM) system with abnormality detection
Lo'Ai et al. An integrated cloud based healthcare system
Dimauro et al. Personal Health E-Record—Toward an enabling Ambient Assisted Living Technology fo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between patients and care providers
CN110867257A (zh) 一种远程会诊系统
Zhang et al. Healthcare-based on cloud electrocardiogram system: a medical center experience in middle Taiwan
Thelen et al. A multifunctional telemedicine system for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reão et al. Raspcare: A telemedicine platform for the treatment and monitoring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WO2023179438A1 (zh) 内窥镜影像的同步传输方法和同步传输系统
Korres et al. A low-cost IoT-based health monitoring platform enriched with social networking facilities
Lomotey et al. Efficient mobile services consumption in mHealth
Lee et al. Improving chronic disease management with mobile health platform
KR101674618B1 (ko) 가상화 기반 원격 화상 진료 제공 시스템
US11478655B2 (en) Smart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