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168A -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168A
KR20210135168A KR1020210142293A KR20210142293A KR20210135168A KR 20210135168 A KR20210135168 A KR 20210135168A KR 1020210142293 A KR1020210142293 A KR 1020210142293A KR 20210142293 A KR20210142293 A KR 20210142293A KR 20210135168 A KR20210135168 A KR 20210135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ght leg
reinforcing member
wedge
concrete structur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750B1 (ko
Inventor
민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음이앤씨
민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음이앤씨, 민대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음이앤씨
Priority to KR1020210142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750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강부재의 단부에 쐐기를 배치하고 쐐기의 이동거리와 보강부재에 의해 우각부에 가해지는 가압력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쐐기를 이동시킴으로써 보다 신뢰도 있게 지하 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성을 보강할 수 있는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에 설치되어 우각부에 작용하는 전단력과 부모멘트의 일부를 분산하고 전단저항 및 모멘트 저항부재로 사용됨으로써 상기 우각부를 보강하기 위한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우각부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우각부의 헌치부에 접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부재 및 상기 본체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 사이의 각은 상기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천정부(또는 바닥부)와 벽부가 이루는 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를 상기 우각부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헌치부에 설치되는 앵커 볼트와 상기 보강부재의 본체에 형성되는 체결공 및 상기 앵커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 상기 너트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우각부 보강장치를 마련하는 보강장치 마련단계; 상기 보강부재의 양단부와 상기 우각부가 맞닿는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쐐기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헌치에 형성된 앵커 볼트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를 상기 우각부에 설치하는 보강부재 설치단계; 상기 보강부재가 상기 우각부에 재하 해야 할 가압력의 크기를 기반으로 구조계산에 의해 상기 쐐기에 의해 확보되어야 할 보강부재 단부와 우각부 사이의 거리인 쐐기길이를 계산하는 계산단계; 상기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쐐기길이만큼 보강부재 단부와 우각부 사이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쐐기를 가압하여 상기 본체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보강부재의 탄성 변형을 유발하고 상기 보강부재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우각부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시공방법{Method for Reinforcing Shear Force and Negative Bending Moment in Corner Portion of Box Type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강부재의 단부에 쐐기를 배치하고 쐐기의 이동거리와 보강부재에 의해 우각부에 가해지는 가압력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쐐기를 이동시킴으로써 보다 신뢰도 있게 지하 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성을 보강할 수 있는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차도나 지하철, 수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은 상부에 성토를 하거나 상부에 작용하는 교통 하중 등에 의하여 설계하중보다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하중에 의하여 상하 방향의 측벽이나 천정과 측벽 사이의 모서리 부분인 우각부에서 전단력 및 부보멘트가 과도하게 발생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전성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를 구조적으로 보강해야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모멘트 구간에서 콘크리트는 부재의 내하력을 키우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전단력이나 부모멘트에 충분히 저항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의 전단력과 부모멘트의 일부를 보강장치가 지탱하도록 함으로써 우각부에 작용하는 전단력과 부모멘트의 일부를 분산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전술한 필요성에 의하여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앵커를 이용하여 철판 또는 수지를 함침 한 강화 섬유판을 부착하여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술이 제시되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철판이나 강화 섬유판의 강도가 떨어짐에 의해 보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가 있고, 강화 섬유판은 부식에 의해 탈락하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발명자에 의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6206호(코너 면을 갖는 우각부에 고정 설치된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력 및 부모멘트 보강 장치)가 제시되었다. 상기 등록 특허는 우각부의 양 모서리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보강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으나 설치하기가 어렵고 우각부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크기를 제어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발명자에 의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6206호(코너 면을 갖는 우각부에 고정 설치된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력 및 부모멘트 보강 장치)가 제시되었다. 상기 등록 특허는 우각부의 양 모서리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보강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으나 설치하기가 어렵고 우각부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크기를 제어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역시 본 출원의 발명자에 의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8767호가 제안되었다. 상기 등록 특허는 가압수단에 의해 보강부재를 탄성 가압한 상태에서 우각부에 설치하고 가압수단에 의해 작용하는 힘을 제거함으로써 탄성 복원력에 의해 우각부에 보강력을 전달함으로써 보강효과가 우수하고, 최초에 가압수단에 의해 보강부재에 전달된 힘이 우각부에 전달되는 구조이므로 우각부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어느 정도는 제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렇지만, 가압수단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고, 가압수단에 의한 가압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절차가 번거롭고 시공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강재로 제작되는 보강부재의 특성상 강성이 매우 커서 대략 가로세로 1m 정도의 보강부재에 10ton의 하중을 가압부재를 이용하여 재하 하는 경우 보강부재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 변화는 2mm 내외에 불과하여 보강부재가 가압된 상태에서 우각부에 설치되는 경우 양단부 사이의 거리 변화가 미미해서 그 거리 변화를 확인하는 것 역시 쉽지 않은 문제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가압부재 없이 보강부재의 양단부와 우각부 사이에 쐐기를 배치하고 쐐기를 보강부재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보강부재에 탄성 변형을 가하고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보강부재가 우각부를 가압할 수 있는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에 설치되어 우각부에 작용하는 전단력과 부모멘트의 일부를 분산하고 전단저항 및 모멘트 저항부재로 사용됨으로써 상기 우각부를 보강하기 위한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우각부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우각부의 헌치부에 접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부재 및 상기 본체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 사이의 각은 상기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천정부(또는 바닥부)와 벽부가 이루는 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를 상기 우각부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헌치부에 설치되는 앵커 볼트와 상기 보강부재의 본체에 형성되는 체결공 및 상기 앵커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 상기 너트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우각부 보강장치를 마련하는 보강장치 마련단계;
상기 보강부재의 양단부와 상기 우각부가 맞닿는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쐐기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헌치에 형성된 앵커 볼트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를 상기 우각부에 설치하는 보강부재 설치단계;
상기 보강부재가 상기 우각부에 재하 해야 할 가압력의 크기를 기반으로 구조계산에 의해 상기 쐐기에 의해 확보되어야 할 보강부재 단부와 우각부 사이의 거리인 쐐기길이를 계산하는 계산단계;
상기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쐐기길이만큼 보강부재 단부와 우각부 사이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쐐기를 가압하여 상기 본체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보강부재의 탄성 변형을 유발하고 상기 보강부재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우각부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쐐기는 상기 우각부와 접하는 면인 제1면과, 상기 보강부재에 접하는 면인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각인 사잇각(θ)은 일정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면에는 눈금이 형성되며,
상기 쐐기에 의해 보강부재의 단부와 우각부 사이의 거리를 일정간격 d만큼 이격시킬 때, 눈금의 간격은 d/sin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가압부재 없이 보강부재의 양단부와 우각부 사이에 쐐기를 배치하고 쐐기를 보강부재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보강부재에 탄성 변형을 가하고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보강부재가 우각부를 가압할 수 있는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보강부재의 단부에 쐐기를 배치한 상태로 보강부재를 우각부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쐐기의 제2면에 형성된 눈금의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쐐기의 이동에 의해 보강부재와 우각부 사이의 거리가 이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보강부재의 단면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처짐이 발생한 우각부에 쐐기를 이용하여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기로 한다.
도 1은 보강부재의 단부에 쐐기를 배치한 상태로 보강부재를 우각부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쐐기의 제2면에 형성된 눈금의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쐐기의 이동에 의해 보강부재와 우각부 사이의 거리가 이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보강부재의 단면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처짐이 발생한 우각부에 쐐기를 이용하여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시공방법은 우각부에 설치되어 우각부에 작용하는 전단력과 부모멘트의 일부를 분산하고 전단저항 및 모멘트 저항부재로 사용되는 우각부 보강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100)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중 천정부(102)와 벽부(101)가 만나는 지점이나 벽부(101)와 바닥부(미도시)가 만나는 지점 즉 모서리 부분을 의미한다. 천정부(102)와 벽부(101) 사이에는 구조적 안정성을 추가하기 위하여 내부 쪽으로 돌출된 헌치부(103)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시공방법은 보강장치 마련단계, 보강부재 설치단계, 계산단계 및 가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강장치 마련단계는 보강부재(10)와 고정수단(20)을 포함하는 보강장치를 마련하는 단계이다.
상기 보강부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각부(100)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체(11), 제1부재(12) 및 제2부재(13)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1)와 제1부재(12) 및 제2부재(13)의 결합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0)를 본체(11), 제1부재(12), 제2부재(13)로 구분한 것은 우각부(100) 중 어느 부분과 접하는가를 기준으로 구분한 것인데, 상기 본체(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각부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헌치부(103)에 접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1부재(12)는 상기 본체(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구성이고, 상기 제2부재(13)는 상기 본체(11)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각부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제1부재(12)는 천정부(102)에 상기 제2부재(13)는 벽부(101)에 접하게 된다.
상기 제1부재(12)와 제2부재(13)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들 사이의 각은 천정부(102)와 벽부(101)가 이루는 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제작된다.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의미는 제작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부재(12)와 제2부재(13)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들 사이의 각은 천정부(102)와 벽부(101)가 이루는 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제작하기 위해서는 보강부재(10)가 설치될 부분에서 천정부(102)와 벽부(101) 사이의 각을 실측하고 이 실측된 값을 근거로 보강부재(10)를 제작한다. 일반적으로 천정부(102)와 벽부(101)가 이루는 각은 90°로 설계되지만 실제 시공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실측치를 근거로 보강부재(10)를 제작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부재(10)는 도 4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와 전단 보강부재(150)로 구분할 수도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우각부(100)와 접하는 판상의 구성이며, 전단 보강부재(150)는 플레이트의 양면 중 우각부(100)와 접하는 반대쪽의 면 다시 말해 우각부(100)와 닿지 않는 넓은 면에 마련되어 보강부재(10)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지탱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의 제1전단 보강부재(151)와 리브 형태의 제2전단 보강부재(152)로 구성된다. 전단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는 것은 플레이트에 수직인 형태의 판이므로 전술한 웹(web) 형태의 판을 배치하게 되며, 필요한 경우 리브 형태의 제2전단 보강부재(152)를 추가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제1전단 보강부재(151) 또는 제2전단 보강부재(152) 형태 중 하나의 형태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수단(20)은 상기 보강부재(10)를 상기 우각부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헌치부(103)에 매립되는 앵커 볼트(21), 상기 본체(11)에 형성되는 체결공(22), 상기 앵커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23)와 와셔(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강부재 설치단계는 상기 고정수단(20)에 의해 상기 보강부재(10)를 우각부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10)의 양단부와 우각부가 맞닿는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쐐기(30)를 배치한 상태에서 보강부재(10)를 설치하게 되는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보강부재(10)의 양단부 모두에 쐐기(30)가 배치된다.
상기 고정수단(20)에 의해 상기 보강부재(1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헌치(103)에 매립된 앵커 볼트(21)가 상기 체결공(22)을 관통한 상태에서 와셔(24)를 설치하고 너트(23)를 앵커 볼트(21)에 체결한다.
상기 쐐기(30)는 상기 우각부에 접하는 면인 제1면(31)과 상기 보강부재(10)와 접하는 면인 제2면(32)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면(31)과 제2면(32) 사이의 사잇각(θ)은 일정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면(32)에는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눈금이 형성된다. 눈금의 간격은 보강부재(10)의 단부와 우각부 사이의 거리(도 3의 (b)에 표시된 D)와 관계가 있다. 현장의 상황에 따라 D가 변하게 되는데 1mm가 될 수도 있고, 2mm가 될 수도 있으며, 3mm가 될 수도 있다. dmm 단위로 작업을 한다고 가정한다면 제2면(32)에 형성되는 눈금 사이의 간격은 d/sinθ로 설정하고, 작업자가 1눈금만큼 쐐기(30) 본체부(11)쪽으로 이동시킨다면 보강부재(10)의 단부와 우각부 사이의 거리가 dmm만큼 늘어나게 된다.
예를 들어 d=1mm이고, θ가30°라면 제2면(32)에 형성되는 눈금의 간격은 2mm가 되는 것이고, 작업자가 제2면(32)의 눈금 한 단위만큼 쐐기를 이동시키면 D가 1mm만큼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계산단계는 상기 우각부에 재하해야할 가압력의 크기를 기반으로 구조계산에 의해 상기 보강부재(10)가 상기 쐐기에 의해 확보되어야 할 보강부재 단부와 우각부 사이의 거리인 쐐기거리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가압력의 크기가 정해지면 보강부재를 변형해야할 거리가 계산되고 계산된 거리를 이용하여 쐐기거리를 구한다. 통상의 경우 보강부재를 변행해야할 거리는 수 밀리미터 정도이다.
상기 가압단계는 쐐기를 이동시켜 보강부재(10)의 단부와 우각부 사이의 거리(D)를 쐐기거리만큼 확보함으로써 보강부재(10)에 탄성변형을 유발하고, 유발된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우각부에 가압력을 재하하는 단계이다.
가압단계에서 쐐기(30)의 제2면(32)에 형성된 눈금이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만약 앞서 예를 든 바와 같이 d=1mm이고 쐐기 거리가 2mm라면 쐐기(30)를 제2면(32)에 형성된 눈금 두 개만큼 본체부(11)쪽으로 가압하면 원하는 쐐기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보다 정밀한 시공을 위해서는 d를 0.5mm 설정해서 보다 좁은 간격의 눈금을 제2면(32)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현상 상황이나 구조계산 결과 등을 이용하여 눈금의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보강부재(10)를 설치하고 쐐기(30)에 의해 적절한 가압을 한 후 장기간이 지나 relaxation 등의 영향에 의해 보강부재(10)에 의한 가압력이 줄어든 경우에 쐐기(30)를 추가적으로 이동시켜 가압력을 더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5에는 우각부가 처짐이 발생한 경우에 쐐기를 이용하여 보강부재(10)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지하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거푸집을 이용하여 천정부 콘크리트 타설을 하게 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에는 콘크리트의 자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물을 설치하지만 작업자의 이동동선 확보 등을 이유로 지지구조물은 어느 정도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밖에 없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부가 곡선형태로 시공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도면은 실제 시공현장에 비하여 과장되게 도시하였다.) 이렇게 천정부가 곡선형태인 경우 기존과 같이 별도의 가압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정확한 가압력을 제공하기 어려운데, 쐐기(30)를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보다 쉽고 정확하게 보강부재(10)에 의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런 경우 보강부재(10)와 천정부가 접하는 부분이 보강부재(10)에 의한 가압력의 작용점이 되는데, 작용점이 본체부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작용점의 도면상 오른쪽 구성은 가압과 관련하여 아무런 역할을 못하게 되는데, 쐐기(30)를 이용하여 이 작용점을 보강부재(10)의 단부로 옮길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10 : 보강부재 11 : 본체
12 : 제1부재 13 : 제2부재
20 : 고정수단 21 : 앵커 볼트
22 : 체결공 23 : 너트
24 : 와셔 30 : 쐐기
31 : 제1면 32 : 제2면

Claims (3)

  1.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에 설치되어 우각부에 작용하는 전단력과 부모멘트의 일부를 분산하고 전단저항 및 모멘트 저항부재로 사용됨으로써 상기 우각부를 보강하기 위한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우각부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우각부의 헌치부에 접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부재 및 상기 본체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 사이의 각은 상기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천정부(또는 바닥부)와 벽부가 이루는 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를 상기 우각부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헌치부에 설치되는 앵커 볼트와 상기 보강부재의 본체에 형성되는 체결공 및 상기 앵커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 상기 너트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우각부 보강장치를 마련하는 보강장치 마련단계;
    상기 보강부재의 양단부와 상기 우각부가 맞닿는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쐐기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헌치에 형성된 앵커 볼트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를 상기 우각부에 설치하는 보강부재 설치단계;
    상기 보강부재가 상기 우각부에 재하해야할 가압력의 크기를 기반으로 구조계산에 의해 상기 쐐기에 의해 확보되어야 할 보강부재 단부와 우각부 사이의 거리인 쐐기길이를 계산하는 계산단계;
    상기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쐐기길이만큼 보강부재 단부와 우각부 사이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쐐기를 가압하여 상기 본체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보강부재의 탄성변형을 유발하고 상기 보강부재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우각부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의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상기 우각부와 접하는 면인 제1면과, 상기 보강부재에 접하는 면인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각인 사잇각(θ)은 일정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의 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에는 눈금이 형성되며,
    상기 쐐기를 이동시켜 보강부재의 단부와 우각부 사이의 거리를 일정간격 d만큼씩 이격시킨다고 가정할 때, 눈금의 간격은 d/sin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의 시공방법.
KR1020210142293A 2021-10-25 2021-10-25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시공방법 KR102507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293A KR102507750B1 (ko) 2021-10-25 2021-10-25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293A KR102507750B1 (ko) 2021-10-25 2021-10-25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168A true KR20210135168A (ko) 2021-11-12
KR102507750B1 KR102507750B1 (ko) 2023-03-08

Family

ID=78497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293A KR102507750B1 (ko) 2021-10-25 2021-10-25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75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038B1 (ko) * 2013-05-31 2014-01-06 에프알앤디건설(주) 섬유보강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JP2015044645A (ja) * 2013-08-27 2015-03-12 株式会社Ihiインフラ建設 楔形ジャッキ装置
KR200481789Y1 (ko) * 2015-11-18 2016-11-10 (주)스마텍엔지니어링 지지축과 받침대를 구비하여 h형강의 좌굴과 변형을 방지하게 되는 t형 보강장치
KR101858177B1 (ko) * 2017-10-24 2018-05-18 (주)대우건설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용 장치
KR20180094336A (ko) *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다음이앤씨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방법
KR101934337B1 (ko) * 2018-01-31 2019-01-02 황재곤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보강 구조체
KR101989769B1 (ko) * 2019-03-04 2019-06-14 주식회사 다음이앤씨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038B1 (ko) * 2013-05-31 2014-01-06 에프알앤디건설(주) 섬유보강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JP2015044645A (ja) * 2013-08-27 2015-03-12 株式会社Ihiインフラ建設 楔形ジャッキ装置
KR200481789Y1 (ko) * 2015-11-18 2016-11-10 (주)스마텍엔지니어링 지지축과 받침대를 구비하여 h형강의 좌굴과 변형을 방지하게 되는 t형 보강장치
KR20180094336A (ko) *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다음이앤씨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방법
KR101858177B1 (ko) * 2017-10-24 2018-05-18 (주)대우건설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용 장치
KR101934337B1 (ko) * 2018-01-31 2019-01-02 황재곤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보강 구조체
KR101989769B1 (ko) * 2019-03-04 2019-06-14 주식회사 다음이앤씨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750B1 (ko) 202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1443Y2 (ko)
KR101636669B1 (ko)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시공방법
KR101338767B1 (ko)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KR100882464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FI92949B (fi) Yhdistetty kantava elementti
KR20130081173A (ko) 보강된 연속 단부와 하중 분배 구조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20210135168A (ko)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시공방법
KR20160148416A (ko) 거치식 벽체-강합성 거더 연결구조를 갖는 강합성 라멘교
KR102498920B1 (ko)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장치 시공방법
KR101400449B1 (ko) 보 구조물 보강장치
KR20120018570A (ko)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JP2750556B2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桁の製造方法
KR20180094336A (ko)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방법
KR101191545B1 (ko)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US3755980A (en) Bracing for structural steel building frames
JP4056540B2 (ja) 橋桁の架設方法
KR20200139927A (ko) 변단춤 합성보 및 그 시공방법
KR102205685B1 (ko) 박스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KR101626010B1 (ko) 합성보의 접합 구조
WO2018061075A1 (ja) 型枠
JP3066432B2 (ja) 床版支持用グラウト漏止養生材
KR101858177B1 (ko)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용 장치
JP6943776B2 (ja) 固定金具及び床版の固定構造
JP7032051B2 (ja) 床構造施工方法および床構造再利用方法
CN111139959A (zh) 一种钢筋桁架楼承板的装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