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4856A -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4856A
KR20210134856A KR1020200053015A KR20200053015A KR20210134856A KR 20210134856 A KR20210134856 A KR 20210134856A KR 1020200053015 A KR1020200053015 A KR 1020200053015A KR 20200053015 A KR20200053015 A KR 20200053015A KR 20210134856 A KR20210134856 A KR 20210134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cooling
mask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화
Original Assignee
이용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화 filed Critical 이용화
Priority to KR1020200053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4856A/ko
Publication of KR20210134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with carbon or graphite; with carbides; with graphit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8Closures using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30Non-wo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02Head or parts thereof
    • A61F2007/0003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6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adhesive, self-st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61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medicated
    • A61F2007/026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medicated made of a substance with therapeutic action, e.g. copper or silv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항균 및 살균기능은 물론 피부를 보호하는 보습기능과, 청량한 착용감을 주는 쿨링기능, 그리고, 착용밀폐력을 증대하는 고정기능 등을 복합적으로 병행할 수 있는 다기능 패드를 마련하고, 그와 같은 다기능 패드를 마스크에 선택적 교환구조로 탈,부착 사용가능하게 함으로써, 기능성과 효율성, 그리고, 사용안정성을 극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항미생 조성물질에 함침 처리된 패드부재 표면에 쿨링살균조성물질이 도포된 피부보호층을 형성하고. 피부보호층에 이형필름지를 적층형성하며, 재차, 패드부재 이면에 탈착부재를 결합한 다기능 패드를 형성하여 달성한다.
또한 상기 다기능 패드를 형성하는 일련의 제조방법으로, 패드원단 준비공정과, 원단소재 전처리공정과, 혼합조성물 준비공정과, 조성물 도포공정과, 이형지 부착공정과, 성형마감공정과, 다기능패드 재단공정을 행하도록 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및 그 제조방법{Cooling sterilization pad for mas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균 및 살균기능은 물론 피부를 보호하는 보습기능, 청량한 착용감을 주는 쿨링기능, 그리고, 착용밀폐력을 증대하는 고정기능 등을 복합적으로 병행하도록 한 일종의 보조적 패드구성으로, 다양한 용도별 구성의 마스크, 예컨대, 면마스크, 부직포마스크, 보건용 마스크, 방진마스크는 물론 방한용 마스크 등에 이르기까지 그들 마스크를 대상으로 종류에 구애받음 없이 사용자 선택에 따라 탈,부착 교환구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급속한 산업의 발달과 폭발적인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천혜의 자원인 물과 공기는 날로 심각한 상태로 훼손 오염되고 있는 상황이며, 이러한 자연자원의 훼손과 오염의 원인으로 인해, 우리 생활주변의 대기환경 또한 그 오염상태가 위험수위를 넘어, 이제는 우리의 신체건강에 이르기까지 위협을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경우에 있어서는, 전술한, 일반적인 대기오염의 영향뿐만 아니라, 중국, 몽골 등 아시아 대륙 중심부의 사막과 황토 지대에서 발생하여 날아오는 황사, 예컨대, 작은 모래나 황토 또는 미세먼지 등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대기환경이 날로 심각하게 악화 되고 있는 현실임을 알 수 있다.
황사로 인한 대기오염과 그로 인한 인체피해가 심각한 이유인 즉, 황사에는 흙먼지를 비롯해 카드뮴,납,알루미늄,구리 등 각종 중금속 및 발암물질뿐 아니라 세균과 곰팡이 등이 함께 혼합되어 있고, 따라서 황사에 노출될 경우, 노약자와 어린이는 물론 건강한 사람의 경우에 있어서도, 호흡기나 피부 질환, 또는 눈병 등에 쉽게 걸릴 수밖에 없는 것이 그 대표적인 이유라 하겠다.
한편, 또 다르게, 최근에 있어, 더욱 심각한 것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과 같은 병원체에 의해 발병하는 질환, 예컨대, 코로나19 등과 같은 매우 심각한 감염병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며 수 많은 사람들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고 있는 현실이다.
특히, 코로나19는 호흡기 감염질환의 일종으로, 이는,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확진자의 비말(침방울)이 호흡기나 눈, 코, 입 등을 통해 타인의 인체내로 침투하는 과정으로 전염되고, 이와 같이, 전염된 코로나19는 발열과 기침, 호흡곤란, 폐렴 등을 주 증상으로 발현시키며, 심한 경우, 감염자를 사망에 이르게 까지하는 무서운 전염병의 하나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대기오염 및 황사현상으로부터 안전하게 신체를 보호하고, 아울러, 각종 유해 바이러스 의한 호흡기 감염병의 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스크가 하나의 대안 책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마스크는 사용환경에 따른 용도별 구분으로, 통상 일반적인 보건용 마스크와, 특수목적의 마스크, 예컨대, 방진마스크, 방역마스크, 황사마스크 등으로 구분되어 제공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마스크는 입과 코를 가리기 위해 얼굴에 밀착 착용되는 사용 특성을 갖는 것인바, 따라서,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할 경우, 마스크 착용면의 습기발생, 통기성부족, 그리고, 접촉마찰 등을 유발하며 민감한 피부에 트러블이 발생하는 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계절적 요인에 따른 사용상의 폐단, 예컨대, 무더운 여름철 마스크를 착용할 경우 답답함과 그로 인한 호흡방해, 그리고 과다한 땀 분비 등을 유발하며 착용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고, 그와 같은, 착용불쾌감으로 인해 마스크의 사용을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우며 힘들게 하는 문제점이 상존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013953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1-004781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마스크 사용에 따른 제반적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항균 및 살균기능은 물론 피부를 보호하는 보습기능과, 청량한 착용감을 주는 쿨링기능, 그리고, 착용밀폐력을 증대하는 고정기능 등을 복합적으로 병행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패드를 마련하고, 그와 같이 마련된 다기능 패드를 통상적 구성의 용도별 마스크, 예컨대, 위생용 마스크, 보건용 마스크, 방진용 마스크, 기타 방한용 마스크 등에 구애받음 없이 사용자 필요에 따라 그들 용도별 마스크 중 어느 하나의 마스크에 선택적 교환구조로 탈,부착 사용가능하게 함으로써, 장시간 마스크 착용에 따른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무더운 여름철과 같은 계절적 요인에 구애받음 없이 쾌적하고 시원하게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마스크를 견고히 고정하는 일종의 가압클립 기능에 의해 마스크의 흘러내림 등을 방지하는 등 기능성과 효율성, 그리고, 사용안정성을 극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항미생 조성물질에 함침 처리된 패드부재 표면에 쿨링살균조성물질이 도포된 피부보호층을 형성하고. 피부보호층에 이형필름지를 적층형성하며, 재차, 패드부재 이면에 탈착부재를 결합한 다기능 패드를 형성하여 달성한다.
또한 상기 다기능 패드를 형성하는 일련의 제조방법으로, 패드원단 준비공정과, 원단소재 전처리공정과, 혼합조성물 준비공정과, 조성물 도포공정과, 이형지 부착공정과, 성형마감공정과, 다기능패드 재단공정을 행하도록 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및 그 제조방법은, 항균 및 살균기능은 물론 피부를 보호하는 보습기능, 청량한 착용감을 주는 쿨링기능, 그리고, 착용 밀폐력을 증대하는 고정기능 등을 복합적으로 병행할 수 있는 다기능 패드를 형성하고, 그러한 다기능 패드를 다양한 용도별 마스크, 예컨대, 위생용 마스크, 보건용 마스크, 방진용 마스크, 기타 방한용 마스크 등에 구애받음 없이 사용자 필요에 따라 그들 용도별 마스크 중 어느 하나의 마스크에 선택적 교환구조로 탈,부착 사용 가능하게 한 것으로, 이는, 장시간 마스크 착용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트러블을 방지하고, 무더운 여름철 마스크를 보다 쾌적하고 시원하게 착용할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소성변형고정편에 의한 일종의 가압 클립기능에 의해 마스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등 기능성과 효율성, 그리고, 사용안정성을 증대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의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의 이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제조방법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부재(1)와, 피부보호층(2)과, 이형필름지(3)와 탈착부재(4)로 이루어진 다기능패드(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다기능 패드(100)에 있어, 첫 번째 구성요소인 패드부재(1)는 비교적 열에 강한 원단, 예컨대, 폴리에틸렌 부직포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와, 폴리우레탄 부직포와, 면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부직포 원단을 필요에 따라 택일하여 이용하는 것인바, 이와 같은, 패드부재(1)는, 항미생 조성물질에 함침 처리후, 건조시킨 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
여기서, 상기 패드부재(1)가 함침 처리되는 항미생 조성물질은, 정전기 예방과 항균작용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하는 보조적 기능의 물질성분으로, 이러한, 항미생 조성물질은, 전자기적 성질이 우수하여 각종 가전제품 및 산업기기에 전자파 차폐수단으로 널리 이용되는 물질특성의 구리분말과, 중량이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고 고온에서 변형율이 적으며 유해전자파를 차단하는 물질특성의 그래핀분말을 천연 점토광물성분의 용액, 예컨대, 항균, 제습, 탈취는 물론, 정화작용과 제독작용 등에 있어, 매우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진 카올린 용액에 혼합 조성한 물질성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다기능 패드(100)에 있어, 두 번째 구성인 피부보호층(2)은 항균 및 살균기능, 피부를 보호하는 보습기능, 청량한 착용감을 주는 쿨링기능 등을 행하도록 한 물질성분, 예컨대, 쿨링살균조성물질을 도포처리하여 형성되는 구성인바, 이와 같이, 피부보호층(2)을 형성하는 쿨링살균조성물질은 하이드로겔과, 피부보습제와, 피부보호제와, 쿨링에이전트와, 정제수와, 활성과초산을 혼합하여 조성한 물질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피부보호층(2)을 형성하는 쿨링살균조성물질에 있어, 상기 하이드로겔은 다량의 물을 흡수하고 보유할 수 있는 가교 결합된 폴리머, 예컨대, 수용성 고분자가 물리적 또는 화학적(공유결합) 결합에 의해 3차원 가교를 형성하고, 접착제가 필요없는 자기치료 물질 등으로 다양하게 개발 사용되는 주지의 물질 성분인바,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천연자원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 중합체를 활용한 하이드로겔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보호층(2)을 형성하는 쿨링살균조성물질에 있어, 상기 피부보습제는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주지의 화장품 성분으로,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강하고보습효과가 뛰어난 글리세린, 상온에서 액체보습제로 작용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사용감이 우수하고 방부효과가 있는 부틸렌글리콜, 인체에 안정성이 높은 솔비톨 등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주지의 피부보습제 중 어느 하나의 보습제를 선택적으로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보호층(2)을 형성하는 쿨링살균조성물질에 있어, 상기 피부보호제는, 공기중의 수분과 산소는 당겨주고 땀과 이산화탄소는 배출하는 주지된 성분의 기능성 화장품을 의미하는 것인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피부보호제는 고중합메칠폴리실록산, 고추틴크, 코코아버터, 또는 미생물(할로모나스 엘롱카타)에서 추출한 엑토인 성분의 피부보호제를 선택적으로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보호층(2)을 형성하는 쿨링살균조성물질에 있어, 상기 쿨링에이전트는, 청량제의 일종으로 피부에 시원함의 효과를 전달해 주는 주지 물질성분인바, 이러한, 쿨링에이전트는 화장품 제조원료 등으로 널리 이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알로에, 선인장, 자작나무 수액, 대나무 수액 등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활용한 무색 무취의 쿨링에이전트를 선택적으로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보호층(2)을 형성하는 쿨링살균조성물질에 있어, 상기 정제수는 초순수상태의 물, 예컨대, 물에 함유되어있는 이온이나 고체입자, 미생물, 유기물, 용해된 기체류 등을 완벽하게 제거한 용액으로, 각종 실험이나 연구, 또는 식품이나 화장품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주지의 물질 특성을 갖는다.
또한, 피부보호층(2)을 형성하는 쿨링살균조성물질에 있어, 상기 활성과초산은 과산화수소 및 초산을 반응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유효성분으로 과산화초산, 과산화수소 및 초산을 함유하는 것 또는 과산화수소, 초산 및 카프릴산을 반응하여 얻어지는 인체에 안전한 주지의 친환경 성분으로, 살균력이 우수한 물질특성을 갖는다.
상기 다기능 패드(100)에 있어, 세 번째 구성인 이형필름지(3)는, 전술한 피부보호층(2)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인바, 이와 같은, 이형필름지(3)는 다기능 패드(100) 사용시 박리시켜 폐기하는 주지의 이형필름지를 그대로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상기 다기능 패드(100)에 있어, 네 번째 구성인 탈착부재(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패드(100)를 통상의 마스크에 결합하기 위해 마련된 일종의 탈,부착 고정수단인바, 이와 같은, 탈착부재(3)는 양면 접착테이프와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의 접착수단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는, 일반적인 통상의 용도별 마스크(200), 예컨대, 면마스크, 부직포마스크, 보건용 마스크, 방진마스크, 방한용 마스크 등에 구애받음 없이 사용자 선택에 따라 그들 용도별 마스크 중 어느 하나의 마스크(200)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사용한다.
예컨대, 통상의 용도별 마스크중 어느 하나의 마스크(200)를 대상으로하여, 그 마스크(200의 크기 보다 작은 다양한 형상과 모양의 도형구조, 예컨대, 마스크 착용자의 입이나 코 등에 간섭을 주지않고 단지 마스크(200)가 착용된 얼굴피부에만 접촉될수 있는 패치형태로 다기능 패드(100)를 재단하여, 그 재단된 다기능 패드(100)를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내측면에 탈착부재(4)를 이용한 접착방식으로 결합시켜 사용하고, 이후, 다기능 패드(100)의 사용수명이 종료 되거나 혹은, 사용중 심한 오염이 발생한 경우, 탈착부재(3)에 의한 탈,부착 구조로 다기능 패드(100)를 교환 사용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의 이실시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이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 구성에 있어, 피부보호층(2)과 이형필름지(3)가 형성된 패드부재(1) 이면에 얇은 박막형태의 금속재, 예컨대, 알루미늄판 또는 동판과 같이 외력작용에 의해 쉽게 소성변형되는 소성변형고정편(5)을 인체에 무해한 천연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소정변형고정편(5) 저면에 양면 접착테이프와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의 접착수단으로 이루어진 탈착부재(4)를 결합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소정변형고정편(5)이 형성된 다기능 패드(100)를 마스크의 내측 중앙 상부면, 예컨대, 착용자의 콧등과 접촉되는 부위에 부착시켜, 착용자의 손을 이용한 외력작용에 의해 소정변형고정편(5)을 착용자의 콧등 굴곡에 맞추어 절곡시키고, 그 절곡되는 소정변형고정편(5)의 가압작용에 의해 마스크를 착용자 콧등에 클립형태로 견고히 고정하는 기능으로 사용한다.
또 다르게, 전술한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는, 다기능 패드(100)를 형성하기 위하여, 또 다른 차별화된 형태의 방법, 예컨대,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제조방법을 구현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방법적 특징으로서의 본 발명은,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원단 준비공정(S1)과, 원단소재 전처리공정(S2)과, 혼합조성물 준비공정(S3)과, 조성물 도포공정(S4)과, 이형지 부착공정(S5)과, 성형마감공정(S6)과, 패드부재 재단성형공정(S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먼저, 상기 패드원단 준비공정(S1)은, 다양한 소재와 종류로 양산되는 통상의 부직포에 있어, 상대적으로 열에 강한 부직포, 예컨대, 폴리에틸렌 부직포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와, 폴리우레탄 부직포와, 면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의 부직포 원단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소재로 마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단소재 전처리공정(S2)은, 전술한, 패드원단 준비공정(S1)을 통해 마련된 어느 하나의 부직포 원단을 구리분말과, 그래핀분말과, 카올린 용액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예컨대, 항미생 조성물질에 100~120분간의 시간범위로 함침처리하고, 상기 함침 처리된 원단을 통상의 산업용 저온건조기(도시생략)에 투입하여 40~50℃ 온도 범위로 저온 건조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원단소재 전처리공정(S2)에 있어, 상기 항미생 조성물질의 혼합비율은 나노입자크기의 구리분말을 20~30%의 중량비율, 나노입자크기의 그래핀 분말을 20~30%의 중량비율, 그리고, 카올린 용액을 40~50% 중량비율로 혼합 형성한다.
또한, 상기 혼합조성물 준비공정(S3)은, 피부보호층(2) 형성을 위한 조성물질, 예컨대, 쿨링살균조성물질을 마련하기 위한 과정인바, 이와 같은, 혼합조성물 준비공정(S3)은, 하이드로겔을 60~70%의 중량비율, 피부보습제를 5~15% 중량비율, 피부보호제를 5~15의 중량비율, 쿨링에이전트를 3~5%의 중량비율, 정제수를 3~5%의 중량비율, 활성과초산을 0.1~0.3%의 중량비율로 산업용 믹싱기(도시생략)에 투입하여 혼합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 도포공정(S4)은, 전술한 원단소재 전처리공정(S2)을 행한 부직포 원단을 자동 컨베이어 흐름방식에 의해 이동시키고, 그 이동되는 부직포 원단 표면에 전술한 혼합조성물 준비공정(S3)을 통해 마련된 쿨링살균조성물질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처리하여 피부호층(2)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형지 부착공정(5)은, 전술한 조성물 도포공정(S4)을 통해 쿨링살균조성물질이 도포된 피부보호층(2) 상부면에 이형필름지(3)를 적층 결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형마감공정(S6)은, 전술한 조성물 도포공정(S4)과 이형지 부착공정(S5)을 통해 피부보호층(2)과 이형필름지(3)를 결합 형성한 부직포 원단 이면에 양면접착테이프와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의 접착수단으로 이루어진 탈착부재(4)를 결합시켜 다기능 패드(100)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상기 다기능 패드 재단공정(S7)은, 상기 성형마감공정(S6)을 통해 형성된 다기능 패드(100)를 사용에 필요한 규격과 형상, 예컨대, 마스크에 부착사용시, 마스크 착용자의 입이나 코 등에 간섭을 주지않고 단지 마스크가 착용된 얼굴피부에만 접촉될수 있는 패치형태로 다기능 패드(100)를 재단 가공하여 포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같은, 일련의 제조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제조방법을 구현한다.
이때, 전술한, 일련의 제조과정에 있어, 상기 성형마감공정(S6)은, 조성물 도포공정(S4)과 이형지 부착공정(S5)을 통해 피부보호층(2)과 이형필름지(3)를 결합 형성한 부직포 원단 이면에 얇은 박막형태의 금속재, 예컨대, 알루미늄판 또는 동판 이루어진 소성변형고정편(5)을 천연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고, 이후, 상기 소정변형고정편(5) 저면에 탈착부재(4)를 결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소성변형고정편(5)을 결합과정을 통해 전술한 이실시예로서의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를 형성할 수 있다.
1 : 패드부재 2 : 피부보호층
3 : 이형필름지 4 : 탈착부재
5 : 소정고정편 100 : 다기능 패드
S1 : 패드원단 준비공정 S2 : 원단소재 전처리공정
S3 : 혼합조성물 준비공정 S4 : 조성물 도포공정
S5 : 이형지 부착공정 S6 : 성형마감공정
S7 : 다기능패드 재단공정

Claims (5)

  1. 항미생 조성물질에 함침 처리된 패드부재(1) 표면에 쿨링살균조성물질이 도포된 피부보호층(2)을 형성하고. 피부보호층(2) 상부면에 이형필름지(3)를 적층형성하며, 패드부재(1) 이면에 양면접착테이프와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의 접착수단으로 이루어진 탈착부재(4)를 결합한 다기능패드(100)를 형성하되;
    상기 패드부재(1) 표면으로 도포되는 쿨링살균조성물질은, 하이드로겔과, 피부보습제와, 피부호호제와, 쿨링에이전트와, 정제수와, 활성과초산이 혼합된 조성물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살균조성물질은, 하이드로겔 60~70%의 중량비율, 피부보습제 5~15% 중량비율, 피부보호제 5~15의 중량비율, 쿨링에이전트3~5%의 중량비율, 정제수 3~5%의 중량비율, 활성과초산 0.1~0.3%의 중량비율로 혼합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패드(100)는, 피부보호층(2)과 이형필름지(3)가 형성된 패드부재(1) 이면에 소성변형고정편(5)이 결합되고, 소정변형고정편(5) 저면에 양면 접착테이프와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의 접착수단으로 이루어진 탈착부재(4)가 결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4. 폴리에틸렌 부직포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와, 폴리우레탄 부직포와, 면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의 부직포 원단을 마련하는 패드원단 준비공정(S1)을 포함하며;
    상기 패드원단 준비공정(S1)을 통해 마련된 어느 하나의 부직포 원단을 구리분말과 그래핀분말, 그리고, 카올린 용액 혼합물로 이루어진 항미생 조성물질에 100~120분간 시간범위로 함침처리하고, 함침 처리된 원단을 산업용 저온건조기에 투입하여 40~50℃ 온도 범위로 저온 건조처리하는 원단소재 전처리공정(S2)과;
    하이드로겔을 60~70%의 중량비율, 피부보습제를 5~15% 중량비율, 피부보호제를 5~15의 중량비율, 쿨링에이전트를 3~5%의 중량비율, 정제수를 3~5%의 중량비율, 활성과초산을 0.1~0.3%의 중량비율로 산업용 믹싱기에 투입, 혼합처리하여 쿨링살균조성물질을 형성하는 혼합조성물 준비공정(S3)과;
    상기 원단소재 전처리공정(S2)을 행한 부직포 원단 표면에 상기 혼합조성물 준비공정(S3)을 통해 마련된 쿨링살균조성물질을 도포처리하여 피부호층(2)을 형성하는 조성물 도포공정(S4)과;
    상기 쿨링살균조성물질이 도포된 피부보호층(2) 상부면에 이형필름지(3)를 적층 결합하는 이형지 부착공정(S5)과;
    상기 조성물 도포공정(S4)과 이형지 부착공정(S5)을 통해 피부보호층(2)과 이형필름지(3)를 결합 형성한 부직포 원단 이면에 양면접착테이프와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의 접착수단으로 이루어진 탈착부재(4)를 결합하여 다기능패드(100)를 형성하는 성형마감공정(S6)과,
    상기 성형마감공정(S6)을 통해 형성된 다기능 패드(100)를 사용에 필요한 규격과 형상으로 재단하여 포장하는 다기능패드 재단공정(S7)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마감공정(S6)은, 조성물 도포공정(S4)과 이형지 부착공정(S5)을 통해 피부보호층(2)과 이형필름지를 결합 형성한 부직포 원단 이면에 금속재로 이루어진 소성변형고정편(5)을 결합하고, 상기 소정변형고정편(5) 저면에 탈착부재를 결합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제조방법.
KR1020200053015A 2020-05-01 2020-05-01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34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015A KR20210134856A (ko) 2020-05-01 2020-05-01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015A KR20210134856A (ko) 2020-05-01 2020-05-01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856A true KR20210134856A (ko) 2021-11-11

Family

ID=78516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015A KR20210134856A (ko) 2020-05-01 2020-05-01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485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813A (ko) 2009-10-30 2011-05-09 손세화 교체 가능한 필터를 갖는 자외선 및 황사 차단 마스크
KR102013953B1 (ko) 2018-10-04 2019-08-23 박영준 김서림 방지 패드와 이를 구비한 마스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813A (ko) 2009-10-30 2011-05-09 손세화 교체 가능한 필터를 갖는 자외선 및 황사 차단 마스크
KR102013953B1 (ko) 2018-10-04 2019-08-23 박영준 김서림 방지 패드와 이를 구비한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876B1 (ko) 복합감각적 개인 위생용 클렌저
WO2006006656A1 (ja) 発熱体
CN217660440U (zh) 一种自发热弹力凝胶贴
US20040163649A1 (en) Disposable face mask with skin-care face-contacting layer
CN208891751U (zh) 一种纳米负离子粉环保口罩
KR20210134856A (ko) 마스크용 쿨링 살균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10101770A (ko) 수 접착 안정성을 갖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KR101660501B1 (ko)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마스크
CN201055617Y (zh) 生化杀菌母子袋口罩
JPH02311408A (ja) 皮膚用ゲル状組成物
CN212814419U (zh) 一种中药抗菌口罩贴
JP7071824B2 (ja) 発熱具
CN203842012U (zh) 多用途防疫温灸固定带
KR20140119428A (ko) 미용용 온열 페이스 마스크팩 시트
CN105534830A (zh) 一种绷带式体膜和身体皮肤的保养方法
KR102413394B1 (ko) 멍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재
CN218790707U (zh) 一种防护口罩
CN212816784U (zh) 一种不过敏卫生巾
CN213881887U (zh) 一种香型防尘抗菌口罩夹片
CN216022740U (zh) 一种一次性多功能口罩独立贴片
CN110251316B (zh) 一种欧苦艾组合物芯片和含有该芯片的卫生巾
CH718107B1 (it) Maschera facciale ad azione germicida e dermoprotettiva.
CN214710592U (zh) 一种实验室专用立体口罩
US20220030967A1 (en) Mask Scenting Systems and Methods
CN107261469A (zh) 一种收汗防暑抑菌的头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