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4539A -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4539A
KR20210134539A KR1020210144580A KR20210144580A KR20210134539A KR 20210134539 A KR20210134539 A KR 20210134539A KR 1020210144580 A KR1020210144580 A KR 1020210144580A KR 20210144580 A KR20210144580 A KR 20210144580A KR 20210134539 A KR20210134539 A KR 20210134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si
group
channel state
based beam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우
정민수
강정완
김성진
송용민
이충훈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134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04B17/327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2Aspects of the step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단말이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단말이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CSI보고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CSI보고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CSI-RS 자원을 통해서 수신되는 CSI-RS에 대한 RSRP를 측정하는 단계 및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 및 CSI-RS RSRP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테이블 상의 값을 포함하는 채널상태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TRANSMITTING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APPARATUSES THEREOF}
본 개시는 채널상태정보를 송수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사업체들 및 개인들과 같은 소비자들은 매우 다양한 무선 단말기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3GPP 계열의 LTE(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5G 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LTE-Advanced 이후에 보다 많은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용하고, 보다 높은 QoS 제공을 위한 차세대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3GPP를 중심으로 가칭 5G 네트워크에 대한 개발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고주파 대역을 활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보다 많은 단말에 빠른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5G 네트워크는 아날로그 빔 포밍 기술을 적용한다. 아날로그 빔 포밍의 경우, 기지국/단말 빔 스위핑 전송과 빔 반복 전송 등을 통해 기지국과 단말 간에 최적의 빔 페어를 형성하는 빔 운영 관련 기술이 필요하다.
이 경우, 다수의 빔 형태로 전송되는 채널을 단말이 측정하고 이에 대한 측정결과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기지국이 빔의 채널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다만, 다수의 빔이 운영되는 형태에서는 빔에 대한 측정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의 증가로 시스템 오버헤드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실시예들은 단말이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단말이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CSI보고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CSI보고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CSI-RS 자원을 통해서 수신되는 CSI-RS에 대한 RSRP를 측정하는 단계 및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 및 CSI-RS RSRP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테이블 상의 값을 포함하는 채널상태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CSI보고 구성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CSI보고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이 결정되는 경우, 둘 이상의 CSI-RS RSRP 측정결과를 포함하는 채널상태정보를 수신하되, CSI-RS RSRP는 단말에 미리 설정된 테이블 상의 값으로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되고, 미리 설정된 테이블은, 하나의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과 적어도 하나의 차등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CSI보고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CSI보고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CSI-RS 자원을 통해서 수신되는 CSI-RS에 대한 RSRP를 측정하는 제어부 및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 및 CSI-RS RSRP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테이블 상의 값을 포함하는 채널상태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시스템 부하를 감소하면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NR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이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이 지원하는 대역폭 파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에서의 동기 신호 블록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에서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CORESET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CSI보고 구성정보의 정보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설정된 RSRP 테이블의 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복수의 빔에 대한 그룹 기반 빔 리포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등 RSRP 테이블의 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은 및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헤드룸 보고를 위한 MAC C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한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들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등이 된다고 기재된 경우,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가 더 "개재"되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다른 구성 요소는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들이나, 동작 방법이나 제작 방법 등과 관련한 시간적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 또는 흐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 요소에 대한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예: 레벨 등)가 언급된 경우,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는 각종 요인(예: 공정상의 요인, 내부 또는 외부 충격,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데이터 패킷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하며, 단말과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개시하는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접속 기술은 특정 접속 기술을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3GPP, 3GPP2, WiFi, Bluetooth, IEEE, ITU 등 다양한 통신 협의기구에서 제정하는 각 세대별 통신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로, IEEE 802.16e에 기반한 시스템과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제공한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evolved-UMTSterrestrial radio access)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들은 현재 개시되거나 상용화된 무선 접속 기술에 적용될 수 있고,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무선 접속 기술에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단말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LTE, NR, HSPA 및 IMT-2020(5G 또는 New Radio)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단말은 사용 형태에 따라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휴대 기기가 될 수도 있고, V2X 통신 시스템에서는 차량, 차량 내의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등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기계 형태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시스템의 경우에 기계 형태 통신이 수행되도록 통신 모듈을 탑재한 MTC 단말, M2M 단말, URLLC 단말 등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기지국 또는 셀은 네트워크 측면에서 단말과 통신하는 종단을 지칭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gNB(gNode-B), LPN(Low Power Node), 섹터(Sector), 싸이트(Site),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포인트(예를 들어, 송신포인트, 수신포인트, 송수신포인트), 릴레이 노드(Relay Node),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스몰 셀(small cell)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또한, 셀은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BWP(Bandwidth Part)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셀은 단말의 Activation BWP를 의미할 수 있다.
앞서 나열된 다양한 셀은 하나 이상의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1)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스몰 셀(small cell)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2) 무선 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1)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 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 예가 된다. 2)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 채널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기술 사상을 3GPP LTE/LTE-A/NR(New RAT) 통신 시스템을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기술적 특징이 해당 통신 시스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3GPP에서는 4G(4th-Generation) 통신 기술에 대한 연구 이후에 ITU-R의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의 요구사항에 맞추기 위한 5G(5th-Generation)통신 기술을 개발한다. 구체적으로, 3GPP는 5G 통신 기술로 LTE-Advanced 기술을 ITU-R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향상시킨 LTE-A pro와 4G 통신 기술과는 별개의 새로운 NR 통신 기술을 개발한다. LTE-A pro와 NR은 모두 5G 통신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특정 통신 기술을 특정하는 경우가 아닌 경우에 NR을 중심으로 5G 통신 기술을 설명한다.
NR에서의 운영 시나리오는 기존 4G LTE의 시나리오에서 위성, 자동차, 그리고 새로운 버티컬 등에 대한 고려를 추가하여 다양한 동작 시나리오를 정의하였으며, 서비스 측면에서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시나리오, 높은 단말 밀도를 가지되 넓은 범위에 전개되어 낮은 데이터 레이트(data rate)와 비동기식 접속이 요구되는 mMTC(Massive Machine Communication) 시나리오, 높은 응답성과 신뢰성이 요구되고 고속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는 URLLC(Ultra Reliability and Low Latency) 시나리오를 지원한다.
이러한 시나리오를 만족하기 위해서 NR은 새로운 waveform 및 프레임 구조 기술, 낮은 지연속도(Low latency) 기술, 초고주파 대역(mmWave) 지원 기술, 순방향 호환성(Forward compatible) 제공 기술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개시한다. 특히, NR 시스템에서는 순방향(Forard)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유연성 측면에서 다양한 기술적 변화를 제시하고 있다. NR의 주요 기술적 특징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R 시스템 일반>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NR 시스템에 대한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NR 시스템은 5GC(5G Core Network)와 NR-RAN파트로 구분되며, NG-RAN은 사용자 평면(SDAP/PDCP/RLC/MAC/PHY) 및 UE(User Equipment)에 대한 제어 평면(RRC)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gNB와 ng-eNB들로 구성된다. gNB 상호 또는 gNB와 ng-eNB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gNB와 ng-eNB는 각각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5GC로 연결된다. 5GC는 단말 접속 및 이동성 제어 기능 등의 제어 평면을 담당하는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와 사용자 데이터에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UPF (User Plane Function)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NR에서는 6GHz 이하 주파수 대역(FR1, Frequency Range 1)과 6GHz 이상 주파수 대역(FR2, Frequency Range 2)에 대한 지원을 모두 포함한다.
gNB는 단말로 NR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의미하고, ng-eNB는 단말로 E-UTRA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기지국은 gNB 및 ng-eNB를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필요에 따라 gNB 또는 ng-eNB를 구분하여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NR 웨이브 폼, 뉴머롤러지 및 프레임 구조>
*NR에서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서 Cyclic prefix를 사용하는 CP-OFDM 웨이브 폼을 사용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서 CP-OFDM 또는 DFT-s-OFDM을 사용한다. OFDM 기술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와 결합이 용이하며, 높은 주파수 효율과 함께 저 복잡도의 수신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NR에서는 전술한 3가지 시나리오별로 데이터 속도, 지연속도, 커버리지 등에 대한 요구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임의의 NR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각각의 시나리오별 요구사항을 효율적으로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서로 다른 복수의 뉴머롤러지(numerology) 기반의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구체적으로, NR 전송 뉴머롤러지는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과 CP(Cyclic prefix)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아래 표 1과 같이 15 kHz를 기준으로 μ 값이 2의 지수 값으로 사용되어 지수적으로 변경된다.
μ 서브캐리어 간격 Cyclic prefix Supported for data Supported for synch
0 15 Normal Yes Yes
1 30 Normal Yes Yes
2 60 Normal, Extended Yes No
3 120 Normal Yes Yes
4 240 Normal No Yes
위 표 1과 같이 NR의 뉴머롤러지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5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이는 4G 통신 기술 중 하나인 LTE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15 kHz로 고정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NR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15, 30, 60, 120 kHz 이고, 동기 신호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15, 30, 12, 240 kHz 이다. 또한, 확장 CP는 60 kHz 서브캐리어 간격에만 적용된다. 한편, NR에서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는 1ms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는 10ms의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frame)이 정의된다. 하나의 프레임은 5ms의 하프 프레임으로 나뉠 수 있으며, 각 하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1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의 경우에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되고, 각 슬롯은 14개의 OFDM 심볼(symbol)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롯은 노멀 CP의 경우에 고정적으로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나, 슬롯의 시간 도메인에서 길이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지는 뉴머롤러지의 경우에 슬롯은 1ms 길이로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길이로 구성된다. 이와 달리, 30 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지는 뉴머롤러지의 경우에 슬롯은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나, 0.5ms의 길이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두 개의 슬롯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서브프레임과 프레임은 고정된 시간 길이를 가지고 정의되며, 슬롯은 심볼의 개수로 정의되어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시간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NR은 스케줄링의 기본 단위를 슬롯으로 정의하고, 무선 구간의 전송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미니 슬롯(또는 서브 슬롯 또는 non-slot based schedule)도 도입하였다. 넓은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면 하나의 슬롯의 길이가 반비례하여 짧아지기 때문에 무선 구간에서의 전송 지연을 줄일 수 있다. 미니 슬롯(또는 서브 슬롯)은 URLLC 시나리오에 대한 효율적인 지원을 위한 것으로 2, 4, 7개 심볼 단위로 스케줄링이 가능하다.
또한, NR은 LTE와 달리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자원 할당을 하나의 슬롯 내에서 심볼 레벨로 정의하였다. HARQ 지연을 줄이기 위해 전송 슬롯 내에서 바로 HARQ ACK/NACK을 송신할 수 있는 슬롯 구조가 정의되었으며, 이러한 슬롯 구조를 자기 포함(self-contained) 구조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NR에서는 총 256개의 슬롯 포맷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이중 62개의 슬롯 포맷이 3GPP Rel-15에서 사용된다. 또한, 다양한 슬롯의 조합을 통해서 FDD 또는 TDD 프레임을 구성하는 공통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슬롯의 심볼이 모두 하향링크로 설정되는 슬롯 구조와 심볼이 모두 상향링크로 설정되는 슬롯 구조 및 하향링크 심볼과 상향링크 심볼이 결합된 슬롯 구조를 지원한다. 또한, NR은 데이터 전송이 하나 이상의 슬롯에 분산되어 스케줄링됨을 지원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슬롯 포맷 지시자(SFI, Slot Format Indicator)를 이용하여 단말에 슬롯이 하향링크 슬롯인지, 상향링크 슬롯인지 또는 플렉시블 슬롯인지를 알려줄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 특정하게(UE-specific)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구성된 테이블의 인덱스를 SFI를 이용하여 지시함으로써 슬롯 포맷을 지시할 수 있으며,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통해서 동적으로 지시하거나 RRC를 통해서 정적 또는 준정적으로 지시할 수도 있다.
<NR 물리 자원 >
NR에서의 물리 자원(physical resource)과 관련하여, 안테나 포트(antenna port),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자원 블록(resource block),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등이 고려된다.
안테나 포트는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이 동일한 안테나 포트 상의 다른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도록 정의된다. 하나의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의 광범위 특성(large-scale property)이 다른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경우, 2 개의 안테나 포트는 QC/QCL(quasi co-located 혹은 quasi co-location)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광범위 특성은 지연 확산(Delay spread),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 주파수 시프트(Frequency shift), 평균 수신 파워(Average received power) 및 수신 타이밍(Received Timin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이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는 NR이 동일 캐리어에서 복수의 뉴머롤러지를 지원하기 때문에 각 뉴머롤러지에 따라 자원 그리드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자원 그리드는 안테나 포트, 서브캐리어 간격, 전송 방향에 따라 존재할 수 있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은 12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며,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만 정의된다. 또한,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는 1개의 OFDM 심볼과 1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하나의 자원 블록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NR에서는 자원 블록 그리드를 위한 공통 참조점 역할을 수행하는 "Point A"와 공통 자원 블록, 가상 자원 블록 등을 정의한다.
도 4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이 지원하는 대역폭 파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NR에서는 캐리어 대역폭이 20Mhz로 고정된 LTE와 달리 서브캐리어 간격별로 최대 캐리어 대역폭이 50Mhz에서 400Mhz로 설정된다. 따라서, 모든 단말이 이러한 캐리어 대역폭을 모두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NR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대역폭 내에서 대역폭 파트(BWP)를 지정하여 단말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역폭 파트는 하나의 뉴머롤러지와 연계되며 연속적인 공통 자원 블록의 서브 셋으로 구성되고,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단말에는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각각 최대 4개의 대역폭 파트가 구성되고, 주어진 시간에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페어드 스펙트럼(paired spectrum)의 경우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대역폭 파트가 독립적으로 설정되며, 언페어드 스펙트럼(unpaired spectrum)의 경우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동작 간에 불필요한 주파수 리튜닝(re-tunning)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의 대역폭 파트가 중심 주파수를 공유할 수 있도록 쌍을 이루어 설정된다.
<NR 초기 접속>
NR에서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셀 검색 및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다.
셀 검색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동기 신호 블록(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를 이용하여 단말이 해당 기지국의 셀에 동기를 맞추고, 물리계층 셀 ID를 획득하며,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는 절차이다.
도 5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에서의 동기 신호 블록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SB는 각각 1개 심볼 및 127개 서브캐리어를 점유하는 PSS(primary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3개의 OFDM 심볼 및 240 개의 서브캐리어에 걸쳐있는 PBCH로 구성된다.
단말은 시간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 SSB를 모니터링하여 SSB를 수신한다.
SSB는 5ms 동안 최대 64번 전송될 수 있다. 다수의 SSB는 5ms 시간 내에서 서로 다른 전송 빔으로 전송되며, 단말은 전송에 사용되는 특정 하나의 빔을 기준으로 볼 때에는 20ms의 주기마다 SSB가 전송된다고 가정하고 검출을 수행한다. 5ms 시간 내에서 SSB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빔의 개수는 주파수 대역이 높을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Hz 이하에서는 최대 4개의 SSB 빔 전송이 가능하며, 3~6GHz까지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최대 8개,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최대 64개의 서로 다른 빔을 사용하여 SSB를 전송할 수 있다.
SSB는 하나의 슬롯에 두 개가 포함되며,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아래와 같이 슬롯 내에서의 시작 심볼과 반복 횟수가 결정된다.
한편, SSB는 종래 LTE의 SS와 달리 캐리어 대역폭의 센터 주파수에서 전송되지 않는다. 즉, SSB는 시스템 대역의 중심이 아닌 곳에서도 전송될 수 있고, 광대역 운영을 지원하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복수의 SSB가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단말은 SSB를 모니터링하는 후보 주파수 위치인 동기 래스터(synchronization raster)를 이용하여 SSB를 모니터링한다. 초기 접속을 위한 채널의 중심 주파수 위치 정보인 캐리어래스터(carrier raster)와 동기 래스터는 NR에서 새롭게 정의되었으며, 동기 래스터는 캐리어래스터에 비해서, 주파수 간격이 넓게 설정되어 있어서, 단말의 빠른 SSB 검색을 지원할 수 있다.
단말은 SSB의 PBCH를 통해서 MIB를 획득할 수 있다. MIB(Master Information Block)는 단말이 네트워크가 브로드캐스팅하는 나머지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수신하기 위한 최소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PBCH는 시간 도메인 상에서의 첫 번째 DM-RS 심볼의 위치에 대한 정보, SIB1을 단말이 모니터링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SIB1 뉴머롤러지 정보, SIB1 CORESET에 관련된 정보, 검색 공간 정보, PDCCH 관련 파라미터 정보 등), 공통 자원 블록과 SSB 사이의 오프셋 정보(캐리어 내에서의 절대 SSB의 위치는 SIB1을 통해서 전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IB1 뉴머롤러지 정보는 단말이 셀 검색 절차를 완료한 이후에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사용되는 일부 메시지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메시지 1 내지 4 중 적어도 하나에 SIB1의 뉴머롤러지 정보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RMSI는 SIB1(System Information Block 1)을 의미할 수 있으며, SIB1은 셀에서 주기적으로(ex, 160ms) 브로드캐스팅 된다. SIB1은 단말이 초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며, PDSCH를 통해서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단말이 SIB1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PBCH를 통해서 SIB1 전송에 사용되는 뉴머롤러지 정보, SIB1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CORESET(Control Resource Set) 정보를 수신해야 한다. 단말은 CORESET 내에서 SI-RNTI를 이용하여 SIB1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고,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SIB1을 PDSCH 상에서 획득한다. SIB1을 제외한 나머지 SIB들은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단말의 요구에 따라 전송될 수도 있다.
도 6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에서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셀 검색이 완료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한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PRACH를 통해서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특정 슬롯에서 연속된 무선 자원으로 구성되는 PRACH를 통해서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단말이 셀에 초기 접속하는 경우에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되며, 빔 실패 복구(BFR, Beam Failure Recovery)를 위해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비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가 수행된다.
단말은 전송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다. 랜덤 액세스 응답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식별자(ID), UL Grant (상향링크 무선자원), 임시 C-RNTI(Temporary Cell -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그리고 TAC(Time Alignment Command) 이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랜덤 액세스 응답에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위한 랜덤 액세스 응답 정보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식별자는 포함된 UL Grant, 임시 C-RNTI 그리고 TAC가 어느 단말에게 유효한지를 알려주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식별자는 기지국이 수신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식별자일 수 있다. TAC는 단말이 상향 링크 동기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포함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응답은 PDCCH상의 랜덤 액세스 식별자, 즉 RA-RNTI(Random Access -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의해지시될 수 있다.
유효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 단말은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된 정보를 처리하고, 기지국으로 스케줄링된 전송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TAC을 적용시키고, 임시 C-RNTI를 저장한다. 또한, UL Grant를 이용하여, 단말의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새롭게 생성된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단말은 경쟁 해소를 위한 하향링크 메시지를 수신한다.
<NR CORESET>
NR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1~3 심볼의 길이를 가지는 CORESET(Control Resource Set)에서 전송되며, 상/하향 스케줄링 정보와 SFI(Slot format Index), TPC(Transmit Power Control) 정보 등을 전송한다.
이와 같이 NR에서는 시스템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CORESET 개념을 도입하였다. CORESET(Control Resource Set)은 하향링크 제어 신호를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의미한다. 단말은 CORESET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하나 이상의 검색 공간을 사용하여 제어 채널 후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CORESET 별 QCL(Quasi CoLocation) 가정을 설정하였으며, 이는 종래 QCL에 의해서 가정되는 특성인 지연 스프레드, 도플러 스프레드, 도플러 쉬프트, 평균 지연 외에 아날로그 빔 방향에 대한 특성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도 7은 CORESET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CORESET은 하나의 슬롯 내에서 캐리어 대역폭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시간 도메인 상에서 CORESET은 최대 3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CORESET은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캐리어 대역폭까지 6개의 자원 블록의 배수로 정의된다.
첫 번째 CORESET은 네트워크로부터 추가 구성 정보 및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초기 대역폭 파트 구성의 일부로 MIB를 통해서 지시된다. 기지국과의 연결 설정 후에 단말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CORESET 정보를 수신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NR(New Radio)과 관련한 주파수, 프레임, 서브프레임, 자원, 자원블록, 영역(region), 밴드, 서브밴드, 제어채널, 데이터채널, 동기신호, 각종 참조신호, 각종 신호 또는 각종 메시지는 과거 또는 현재 사용되는 의미 또는 장래 사용되는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단말은 CSI-RS를 수신하여 기지국과의 통신 채널에 대한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CSI-RS는 채널 상태를 추정하기 위해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기준신호로 본 명세서에서는 CSI-RS를 중심으로 기재하여 설명하나 동기 신호 블럭(SSB)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는 채널 측정 방법으로 기준신호 수신파워인 RSRP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RSRQ 등의 다양한 측정 방법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말이 CSI-RS를 측정하면, 측정 결과를 채널상태정보에 포함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측정 결과 정보는 PMI, RI 등 다양한 정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은 없다. 채널상태정보는 주기적, 비주기적으로 전송되며, 상향링크 제어채널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채널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5G 통신 기술이 적용되는 NR(New-RAT)에서는 빔 포밍 기술을 도입하였다. 이는 아날로그 빔 포밍 기법을 이용하여 단말과 빔 페어링을 수행함으로써 단말 별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기지국은 다수의 빔을 스위핑하여 전송하고, 단말과 빔 페어링 절차를 수행한다.
빔 스위핑을 통해서 기지국이 다수의 빔을 전송하는 경우에 각 빔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측정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단말은 기지국이 지시하는 복수의 빔에 대한 채널상태를 측정하고, 이를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 채널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 각 빔에서의 CSI-RS 또는 SSB를 이용하며, 기지국은 단말로 측정 대상이 되는 신호에 대한 자원정보 및 측정대상을 지시해줄 수 있다.
다만, 각 빔에 대한 채널 측정 결과를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 개별 빔의 측정결과를 모두 전송하는 경우에 과도한 시스템 부하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빔에 대한 채널측정결과를 기지국으로 보고함에 있어서, 시스템 오버로드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이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CSI보고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800).
예를 들어, 단말은 CSI보고 구성정보(CSI Report configuration information)를 기지국으로부터 RRC 메시지를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CSI보고 구성정보는 단말이 측정해야 하는 대상에 대한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SI보고 구성정보는 단말이 측정하는 측정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SI보고 구성정보는 단말의 채널상태정보 전송 주기 또는 트리거 조건 또는 비주기 전송 등을 지시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CSI보고 구성정보의 정보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CSI 보고 구성정보는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지시하는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잇다. 일 예로, groupBasedBeamReporting 파라미터는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지시하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groupBasedBeamReporting 파라미터의 값이 인에이블로 설정되는 경우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이 설정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는 groupBasedBeamReporting 파라미터 값이 지정되지 않는 경우에 단말은 인에이블로 인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groupBasedBeamReporting 파라미터의 값이 디스에이블로 설정되는 경우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이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groupBasedBeamReporting 파라미터의 값이 디스에이블로 설정되면,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될 측정된 CSI-RS 자원의 개수를 지시하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groupBasedBeamReporting 파라미터의 값이 디스에이블을 지시하는 경우에 4가지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될 측정된 CSI-RS 자원의 개수를 지시하는 값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될 수 있다. 4가지 값은 1, 2, 4, 8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groupBasedBeamReporting 파라미터에 값이 2로 설정되면, 단말은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이 디스에이블 되었고, 2개의 CSI-RS 측정결과를 전송하도록 지시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즉, 단말은 1개의 CSI-RS 측정결과를 전송하는 경우는 groupBasedBeamReporting 파라미터에 값이 1로 설정되는 경우이다.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CSI보고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810).
일 예로, 단말은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가 인에이블(enable)로 설정되는 경우 또는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될 측정된 CSI-RS 자원의 개수를 지시하는 값이 1을 초과하는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그룹 기반 빔 리포팅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단말이 전송하는 채널상태정보에 복수의 CSI-RS RSRP 측정결과가 포함됨을 의미한다.
다른 예로, 단말은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가 디스에이블(enable)로 설정되고,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될 측정된 CSI-RS 자원의 개수를 지시하는 값이 1로 설정되는 경우에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을 사용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단말이 전송하는 채널상태정보에 하나의 CSI-RS RSRP 측정결과만이 포함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단말은 채널상태정보에 포함할 CSI-RS RSRP 측정결과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CSI-RS 자원을 통해서 수신되는 CSI-RS에 대한 RSRP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820).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CSI-RS에 기초하여 RSRP를 측정할 수 있다. RSRP는 빔 식별자 별로 측정될 수 있다. S810 단계 및 S820 단계는 순서가 상호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 및 CSI-RS RSRP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테이블 상의 값을 포함하는 채널상태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S830).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테이블은 하나의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과 적어도 하나의 차등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복수의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을 사전에 구성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테이블은 기지국으로부터 RRC 메시지를 통해서 수신할 수도 있고, 단말에 사전 저장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은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설정 여부에 따라서 채널상태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단말은 미리 설정된 테이블 중 어느 테이블에 따라 인덱스 값을 선택할지 결정할 수 있다.
먼저, 미리 설정된 테이블의 예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 내지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설정된 RSRP 테이블의 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나의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은 7비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140, -44] dBm 범위의 값이 1dB 간격으로 구분하여 설정구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하나의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은 6비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140, -44] dBm 범위의 값이 2dB 간격으로 구분하여 설정구성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하나의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은 7비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140, -44] dBm 범위의 값이 1dB 간격 또는 0.5dB로 구분하여 설정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구간에서는 1dB 간격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구간에서는 0.5dB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복수의 dB 간격으로 테이블이 구성될 수 있으며, 각 dB 간격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을 참조하면, 하나의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은 7비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140, -44] dBm 범위의 값이 1dB 간격으로 구분하여 설정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L3 SS-RSRP 테이블과 함께 지시하기 위해서 CSI-RSRP는 7비트 값의 중간 부분에 매핑되어 식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RSRP_16 내지 RSRP_113이 CSI-RS RSRP를 지시하는 식별자로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테이블은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간격, 범위 등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이 사용되지 않도록 결정되면, [-140, -44] dBm 범위의 값이 1dB 간격으로 구분되어 설정되는 미리 설정된 테이블(ex, 도 10 or 도 13)에서 하나의 CSI-RS RSRP 측정결과가 포함되는 구간에 대응되는 7비트 값을 채널상태정보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이 사용되도록 결정되는 경우에 전술한 7비트 값을 각 측정결과 별로 포함하는 경우에 채널상태정보의 데이터양이 과도해질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복수의 빔에 대한 그룹 기반 빔 리포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Q개의 빔 ID를 포함하는 빔 그룹이 L개 존재하는 경우에 각각의 빔 ID 별로 단말이 RSRP를 측정하면, 단말은 최대 L X Q 개의 RSRP 값을 각각 7비트로 포함하여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 빔 그룹 별로 차등 CSI-RS RSRP 테이블 값을 이용하여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말은 각 빔 그룹 별로 하나의 빔 ID에 대한 RSRP 값을 기준 RSRP 값으로 결정하고, 동일한 빔 그룹에 포함되는 다른 빔 ID에 대한 RSRP 값은 기준 RSRP 값과의 차이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모든 빔 ID에 대한 RSRP 값을 7비트로 포함하여 전송함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양 과부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이 사용되도록 결정되면, [-140, -44] dBm 범위의 값이 1dB 간격으로 구분되어 설정되는 미리 설정된 테이블에서, 복수의 상기 CSI-RS RSRP 측정결과 중 가장 큰 값으로 나타난 CSI-RS RSRP 측정결과가 포함되는 구간에 대응되는 7비트 값을 채널상태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복수의 CSI-RS RSRP 측정결과 중 가장 큰 값으로 나타난 CSI-RS RSRP 측정결과를 제외한 나머지 CSI-RS RSRP 측정결과는 차등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채널상태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기준 RSRP 값을 가장 큰 값으로 결정하였으나, 가장 작은 값이 될 수도 있다.
차등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은, 복수의 CSI-RS RSRP 측정결과 중 가장 큰 값으로 나타난 CSI-RS RSRP 측정결과와의 차이를 지시하는 2dB 간격으로 구분되는 16개의 구간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나머지 CSI-RS RSRP 측정결과는 4비트 값으로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차등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을 4비트로 설명하였으나, 7비트 보다 작은 값이면 이에 한정은 없다.
도 16 및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등 RSRP 테이블의 각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차등 RSRP 테이블은 4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즉, 4비트 RSRP 테이블(1600)은 1dB 간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5비트 차등 RSRP 테이블(1610)이 1dB 간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차등 RSRP 테이블은 2dB 간격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3, 4, 5, 6 비트 등 다양한 비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각 비트 별로 구간의 간격이 차등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비트의 경우에 3dB 간격으로 구성되고 4 비트의 경우 2dB 간격, 5비트의 경우 1dB 간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차등 RSRP 테이블은 4비트로 구성되고, 2dB 간격으로 설정되어 16개 구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채널상태정보는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사용이 결정되면, 복수의 CSI-RS RSRP 측정결과 중 가장 큰 값을 지시하는 하나의 7비트 값과, 가장 큰 값과의 차이를 지시하는 하나 이상의 4비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등 RSRP 측정결과의 적용은 동일 빔 그룹 내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단말은 각각 7비트로 RSRP 값을 지시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채널상태정보 데이터양의 과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전술한 본 개시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기지국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단말로부터 CSI보고 구성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800).
전술한 바와 같이, CSI 보고 구성정보는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지시하는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가 디스에이블(disable)로 설정되는 경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는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될 측정된 상기 CSI-RS 자원의 개수를 지시하는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CSI보고 구성정보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다양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CSI보고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이 결정되는 경우, 둘 이상의 CSI-RS RSRP 측정결과를 포함하는 채널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810).
이 경우, CSI-RS RSRP는 단말에 미리 설정된 테이블 상의 값으로 채널상태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테이블은, 하나의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과 적어도 하나의 차등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상태정보는 [-140, -44] dBm 범위의 값이 1dB 간격으로 구분되어 설정되는 하나의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에서, 둘 이상의 CSI-RS RSRP 측정결과 중 가장 큰 값으로 나타난 CSI-RS RSRP 측정결과가 포함되는 구간에 대응되는 7비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채널상태정보는 둘 이상의 CSI-RS RSRP 측정결과 중 가장 큰 값으로 나타난 CSI-RS RSRP 측정결과를 제외한 나머지 CSI-RS RSRP 측정결과에 대해서는, 차등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선택된 4비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차등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은, 복수의 CSI-RS RSRP 측정결과 중 가장 큰 값으로 나타난 CSI-RS RSRP 측정결과와의 차이를 지시하는 2dB 간격으로 구분되는 16개의 구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기지국은 전술한 도 8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의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을 제어하기 위한 모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단말 및 기지국 동작을 통해서, 그룹 빔 기반의 채널상태정보 전송 경우에도 과도한 데이터양의 증가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유사한 스킴을 적용하는 단말의 파워 헤드룸 보고 기술에 대해서 설명한다.
<파워 헤드룸 보고>
파워 헤드 룸보고 절차는 기지국에 단말 최대 송신 전력과 활성화된 서빙 셀당 UL-SCH 송신 또는 SRS 송신에 대한 추정 전력 간의 차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단말 최대 전력 및 SpCell 및 PUCCH SCell에서의 UL-SCH 및 PUCCH 전송에 대한 추정 된 전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파워 헤드룸 보고를 위한 주기, 딜레이 및 매핑 정보는 기지국에 의해서 지시될 수 있으며, RRC 계층은 파워 헤드룸 보고를 두 개의 타이머에 기초하여 제어한다ㅏ. 여기서, 두 개의 타이머는 dl-PathlossChange 및 prohibitPHR-Timer이다.
파워 헤드룸 보고는 아래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의해서 트리거된다.
- prohibitPHR-Timer가 만료되었거나, prohibitPHR-Timer가 만료되고 dl-PathlossChange 파라미터 이상 경로 손실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 dl-PathlossChange가 만료되는 경우
- 상위 계층으로부터 파워 헤드룸 보고 기능이 구성 또는 재구성되는 경우
- SCell이 활성화되거나, 추가되는 경우
- 업링크 자원이 할당되는 경우 등
도 19은 및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헤드룸 보고를 위한 MAC C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파워 헤드룸 보고는 MAC 제어요소는 LCID가 존재하는 MAC PDU 서브헤더에 으해서 식별될 수 있다.
R은 리저브 비트를 의미하며, 0으로 셋팅된다. PH는 파워 헤드룸 필드를 나타내며 파워 헤드룸 레벨에 대한 값을 포함한다. PH는 6비트로 구성되고, 파워 헤드룸 레벨은 미리 설정된 테이블에 의해서 매핑되는 값으로 결정된다.
일 예로, 파워 헤드룸 레벨을 위한 테이블은 아래 표 2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한편, 파워 헤드룸 보고 레인지는 -23 에서 +40dB 범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아래 표 3에 의해서 파워 헤드룸 레벨과 매핑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도 20을 참조하면, 단일 엔트리 파워 헤드룸 MAC CE는 LCID와 함께 MAC PDU 서브헤더에 의해서 식별될 수 있다.
여기서, R은 리저브 비트를 의미하며, 0으로 셋팅된다. PH는 파워 헤드룸 레벨을 지시하는 필드를 의미하며, 6비트로 구성된다. Pcmax,c는 앞선 PH 필드의 계산에 사용된 단말 최대 전송 전력의 값을 나타내며 6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PH 필드에 포함되는 값은 아래 표 4의 테이블이 용될 수 있으며, Pcmax,c는 표 5의 테이블이 이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본 개시에서는 기지국으로 파워 헤드룸 정보를 보고할 때 사용되는 파워 헤드룸 단계 구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4G LTE에서는 파워 헤드룸을 0 ~ 63의 -23dB ~ 40dB까지 1dB씩 64단계, 6 bits로 구분하여 보고하였다. LTE에서는 하나의 기지국이 반경 수백m에서 수km를 커버한다. 하지만 5G에서는 스몰셀을 사용하여 각 기지국이 반경 수십m에서 수백m만 커버할 가능성이 높다. 기존에 비해 줄어든 셀 크기로 인하여 파워 헤드룸 보고 수치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PH 단계를 각각 5bits 32단계, 6bits 48단계, 6bits 64단계, 7bits 128단계 등으로 구분 후 각 단계에 해당되는 측정 전력 값을 임의의 범위, 수치로 할당한 파워 헤드룸 보고 방법을 제안한다.
제 1 실시예
파워 헤드룸 정보는 5비트로 설정되고, 32개의 구간으로 구분되는 아래 표 6에 의해서 MAC CE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표 6은 하나의 실시예로 5bits, 32단계로 파워 헤드룸 단계를 구분한다. 보고되는 파워 헤드룸(PH)에 해당하는 측정 전력값은 -23 ~ 23dB 범위를 1dB 또는 2dB 단위로 간격을 서로 다르게 구분하였으며, 실제 측정 전력값은 그와 다른 임의의 범위, 수치일 수 있다.
Figure pat00005
즉, 파워 헤드룸 보고를 위한 파워 헤드름 레벨은 동일한 간격이 아닌 복수의 간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른 실시예로 6bits, 64단계로 파워 헤드룸 단계를 구분할 수도 있다. 보고되는 PH에 해당하는 측정 전력값은 -23 ~ 40dB 범위를 2dB, 0.5dB 단위로 간격을 서로 다르게 구분될 수 있으며, 실제 측정 전력값은 그와 다른 임의의 범위, 수치일 수 있다.
Figure pat00006
즉, 파워 헤드룸 레벨에 포함되는 PH 값의 간격은 복수개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가운데 값 위주로 보다 좁은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또 다른 실시예로 6bits, 64단계로 파워 헤드룸 단계를 구분될 수도 있다. 보고되는 PH에 해당하는 측정 전력값은 -10 ~ 21dB 범위를 0.5dB 단위로 균일하게 구분될 수 있으며, 실제 측정 전력값은 그와 다른 임의의 범위, 수치일 수 있다.
Figure pat00007
여기서는 균일한 0.5dB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실시예
또 다른 실시예로 6bits, 48단계로 파워 헤드룸 단계를 구분할 수 있다. 보고되는 PH에 해당하는 측정 전력값은 -17 ~ 90dB 범위를 1dB 단위로 균일하게 구분될 수 있으며, 실제 측정 전력값은 그와 다른 임의의 범위, 수치일 수 있다
Figure pat00008
제 5 실시예
*또 다른 실시예로 7bits, 128단계로 파워 헤드룸 단계를 구분할 수 있다. 보고되는 PH에 해당하는 측정 전력값은 -23 ~ 40dB 범위를 0.5dB 단위로 균일하게 구분될 수 있으며, 실제 측정 전력값은 그와 다른 임의의 범위, 수치일 수 있다.
Figure pat00009
이 외에도 전술한 파워 헤드룸 보고를 위한 테이블은 제 1 내지 제 5 실시예가 중 적어도 둘 이상 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CSI 리포팅 룰>
CSI 리포트의 경우에 다양한 요인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적 CSI 리포트와 비주기적 CSI 리포트 등이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되는 경우에 특정 룰에 의해서 CSI 리포트의 우선순위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제한된 자원을 이용하여 CSI 리포트가 원활하게 전송될 수 있다.
종래 CSI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수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10
여기서, y, k, c, s와 M_s 값은 각 CSI 보고의 타입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 값은 CSI 리포팅의 종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c=1인 경우는 CSI 리포팅을 의미하고, c=31인 경우는 빔 리포팅을 의미한다.
다만, 이러한 종래 CSI 룰에 따를 경우, c 값이 커짐에 따라 우선순위 자체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리포팅의 경우에 CSI 리포팅 대비하여 우선순위가 낮지만 c=31로 높아서 우선순위 값은 더 높게 나타난다.
또한 이러한 상황뿐만 아니라 future release에서 c, s and M_s 값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존의 priority value 방정식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아래의 다양한 우선순위 산출 수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 1 실시예
Figure pat00011
c는 0~31의 숫자이다. 따라서 앞의 계수를 16에서 32로 바꾼다면 항상 priority rules을 만족한다.
제 2 실시예
Figure pat00012
향후 c 값의 증가가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c의 값이 0~63까지 커지는 일이 발생하는 것을 대비해 계수를 64로 설정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
Figure pat00013
제1 및 제2 실시예를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위와 같이 c의 길이에 의존적으로 계수가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 4 실시예
Figure pat00014
c값이 65536보다 작고 s값이
Figure pat00015
보다 작다면 이 방정식으로 항상 priority rules을 만족한다.
제 5 실시예
Figure pat00016
종래 우선순위 방정식에서 다른 값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c와 s를 2로 나누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Figure pat00017
종래 우선순위 방정식에서 다른 값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c와 s를 4로 나누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
Figure pat00018
종래 우선순위 방정식에서 다른 값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c와 s를 2의 m 승으로 나누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m은 임의의 실수이다.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서 우선순위 값과 실제 우선순위가 다르게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c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범용될 수 있는 우선순위 방정식을 설정할 수 있다.
<SSB 및 PDCCH 파워 오프셋 설정 방법>
SSB와 PDCCH의 정해진 파워 오프셋은 단말의 Rx-AGC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에 반해 제한 없는 파워 오프셋은 단말의 불필요한 성능 저하를 야기한다. 따라서, SSB와 PDCCH의 파워 오프셋의 제한 범위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동기화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PSS, SSS 및 PBCH로 구성되는 SSB에 포함된다.
LTE에서 PSS 시퀀스는 셀의 각 그룹 내에서 물리 계층 식별자를 지시하는 3개의 시퀀스가 사용되었다. PSS는 길이 63의 주파수 도메인 ZC 시퀀스로 구성된다. DC 중심을 중심으로 72 개의 부반송파에있는 각 무선 프레임의 슬롯 0과 슬롯 10의 여섯 번째 심볼로 전된다.
SSS 시퀀스의 경우, LTE에서 SSC1과 SSC2는 단일 길이-31 M 시퀀스의 두 가지 상이한 순환 시프트인 두개의 코드이다. 각각의 SSS 시퀀스는 주파수 영역에서 2 개의 길이-31 BPSK 변조된 제 2 동기 코드를 인터리빙함으로써 구성된다. 두 개의 코드는 각 무선 프레임에서 첫 번째 및 두 번째 SSS 전송 사이에서 번갈아 표시된다. 이는 단말이 SSS의 단일 관찰로부터 10ms 무선 프레임 타이밍을 결정할 수있게한다. DC 중심을 중심으로 72 개의 부반송파에있는 각 무선 프레임의 슬롯 0과 슬롯 10의 다섯 번째 심볼로 전송된다.
동기화 신호를 통해서 획득되는 물리 계층 셀 식별자는 1008개로 구분되며, 아래 수식에 의해서 결정된다.
Figure pat00019
여기서,
Figure pat00020
이다.
한편, SSB와 PDCCH 간에 파워 오프셋이 특정 수준으로 제한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서 수신 AGC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를 위해서, 단말은 SSB와 PDCCH간의 파워 오프셋 지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해당 지시 정보는 시스템 정보 또는 RRC 정보를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3dB 이내에서 동적인 range를 가지는 값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3dB 이내에서 복수의 값을 가지는 지시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단말은 0 또는 3 dB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지시하는 지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파워 오프셋 값은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워 오프셋은 3dB로 고정되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파워 오프셋 값은 0에서 3dB 이내의 임의의 값으로 고정되어 사전에 설정될 수도 있다.
<PDCCH 검색 공간 설정 방법>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의 검색 공간(search space)를 맵핑하는 과정에서 드롭(drop)되는 후보들(candidates)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PDCCH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스케줄링 정보, 파워 컨트롤 커맨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포트 포맷, HARQ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PDCCH 수신을 위해서,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단말은 PDCCH 수신을 위한 검색공간을 모니터링한다.
PDCCH의 자원 할당은 CCE (제어 채널 요소)의 관점에서 발생한다. 하나의 CCE는 9 개의 REG (자원 요소 그룹)로 구성되고, 하나의 REG는 4 개의 RE (자원 요소)로 구성된다. 즉, 단일 CCE는 36 RE로 구성된다. 하나의 PDCCH는 다수의 연속적인 CCE에 의해 운반된다. PDCCH에 대한 CCE의 수는 PDCCH의 포맷에 의존한다. PDCCH 포맷과 PDCCH를 운반하는데 필요한 CCE의 수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PDCCH Format 0 : Requires 1 CCE = Aggregation Level 1 (2^PDCCH Format = 2^0 = 1)
- PDCCH Format 1 : Requires 2 CCE = Aggregation Level 2 (2^PDCCH Format = 2^1 = 2)
- PDCCH Format 2 : Requires 4 CCE = Aggregation Level 4 (2^PDCCH Format = 2^2 = 4)
- PDCCH Format 3 : Requires 8 CCE = Aggregation Level 8 (2^PDCCH Format = 2^3 = 8)
하나의 PDCCH를 운반하기 위해 요구되는 연속적인 CCE의 수를 "집합 레벨 (Aggregation Level)"이라고 부른다. 표 11은 전술한 PDCCH 포맷, CCE 개수, REG 개수 및 PDCCH 비트 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21
단말은 PDCCH 자원 상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다수의 공간을 서칭한다. PDCCH가 전송되는 가능한 위치는 PDCCH가 단말 특정인지 또는 공통인지에 따라 다르며, 어떤 집합 레벨이 사용되는지에 의존한다. PDCCH에 대한 모든 가능한 위치를 '검색 공간'이라고하며 가능한 각 위치를 'PDCCH 후보'라고한다.
검색 공간은 단말이 자신의 PDCCH를 찾을 수있는 CCE 위치들의 세트를 나타낸다. 각 PDCCH는 하나의 DCI를 전달하며 RNTI에 의해 식별된다. RNTI는 DCI의 CRC 첨부에서 암시적으로 인코딩된다.
검색 공간에는 공통 검색 공간과 단말 특정 검색 공간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단말은 공통 및 단말 특정 검색 공간 모두를 모니터링 할 필요가있다. 단말에 대한 공통 및 단말 특정 검색 공간간에는 중첩이있을 수 있다.
- 공통 검색 공간은 모든 단말에 공통적인 DCI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SI-RNTI 사용), 페이징 (P-RNTI), PRACH 응답 (RA-RNTI) 또는 UL TPC 명령 (TPC-PUCCH / PUSCH-RNTI)이 전달된다. 단말 집합 레벨 4 및 8을 사용하여 공통 검색 공간을 모니터링한다. 공통 검색 공간에 존재하는 CCE의 최대 수는 16이다.
- 단말 특정 검색 공간은 단말에 할당된 C-RNTI, 반영구적 스케줄링 (SPS C-RNTI), 또는 초기 할당 (임시 C-RNTI)을 사용하여, 단말 특정한 DCI를 전달할 수있다. 단말은 모든 집합 레벨 (1, 2, 4 및 8)에서 단말 특정 검색 공간을 모니터링한다.
아래 표 12는 검색 공간과 PDCCH 후보 모니터링 관계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22
이러한 상황에서 기지국은 단말로 PDCCH를 전송하기 위해서 PDCCH 후보 매핑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 단말 관점에서는 PDCCH 후보 드롭 규칙으로 인지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과 기지국 모두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PDCCH 후보 매핑 규칙 또는 드롭 규칙을 인지하기 위해서, PDCCH 후보 우선순위 규칙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CSS(공통 검색 공간)는 USS(단말 특정 검색공간)보다 우선 순위가 높으며, PDCCH 후보는 USS보다 먼저 CSS에 매핑된다. 블라인드 디코딩 및 CCE 제한으로 USS와 함께 슬롯에서 CSS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USS보다 먼저 CSS를 모니터링한다. 즉, 단말은 CSS 이전에 USS에 PDCCH 후보들을 드롭한다. 또한, 검색 공간 세트 / 타입 내의 PDCCH 후보 우선 순위 룰도 결정할 필요가 있다.
단말은 PDCCH 후보 우선 순위 룰에 기초하여, 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PDCCH 후보들에 대해 블라인드 디코딩을 먼저 수행 할 수 있다. 블라인드 디코딩의 수 또는 겹쳐지지 않은 CCE의 수가 초과하면, 단말은 나머지 PDCCH 후보를 드롭한다.
이와 같이, 5G NR에서는 UE 수가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PDCCH를 전송해야 한다. 따라서 PDCCH를 위해 할당되는 CCE 또한 커지게 되고 이를 mapping하는데 있어서 candidates를 걸러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와 같은 경우 candidates를 드랍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아래에서는 해당 PDCCH 후보 드롭 방식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1. 공통 검색 공간(CSS)보다 단말-특정 검색 공간(USS)을 우선적으로 drop.
Common search space에는 모든 단말에 대한 공통적인 DCI가 실린다. 이에 반해 User specific search space에는 각각의 단말에 대한 DCI가 실리게 된다. 따라서 공통의 DCI정보를 담고있는 Common search space를 우선적으로 전달한다.
2. 낮은 집합 레벨(Lower aggregation level)을 우선적으로 drop.
High aggregation level은 많은 CCE를 할당 받는다. 따라서 High aggregation level을 드랍하게 되면 한번에 많은 양의 CCE를 후보로써 지정할 수 없게 된다. 이는 너무 많은 CCE를 드랍하게 될 수 있으므로 lower aggregation level을 우선적으로 드랍한다.
3. 높은 검색 공간 인덱스(Higher SS index)를 우선적으로 drop하기보다는 균일하게 drop.
Search space의 index 와 상관없이 균일한 분포를 취하게 후보를 드랍한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드롭될 수 있다.
① #SS ≠n (mod 4) 이라면 전부 drop. (n = 0~3)
② #SS ≠n (mod 8) 이라면 전부 drop. (n = 0~7)
③ #SS ≠n (mod 16) 이라면 전부 drop. (n = 0~15)
4. 1번과 3번을 둘 다 고려.
CSS의 후보들을 되도록 살리되 균일하게 분포하게 한다. 예를 들어 CSS에서는 2의 배수 단위로 candidate를 선택하고, USS에서는 16의 배수 단위로 candidate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이 후보가 선택될 수 있다.
① Common search space에서는 2의 배수만을 후보로 선택하고 User specific search space에서는 8의 배수만을 후보로 선택.
② Common search space에서는 2의 배수만을 후보로 선택하고 User specific search space에서는 16의 배수만을 후보로 선택.
이 외에도, 전술한 1 내지 4의 룰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룰이 상호 결합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DCCH 후보에 대한 우선순위는 전술한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전술한 각 실시예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단말과 기지국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재 설명한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단말(2100)은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CSI보고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130)와 CSI보고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CSI-RS 자원을 통해서 수신되는 CSI-RS에 대한 RSRP를 측정하는 제어부(2110) 및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 및 CSI-RS RSRP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테이블 상의 값을 포함하는 채널상태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2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10)는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가 인에이블(enable)로 설정되는 경우 또는,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될 측정된 상기 CSI-RS 자원의 개수를 지시하는 값이 1을 초과하는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송신부(2120)는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이 사용되지 않도록 결정되면, [-140, -44] dBm 범위의 값이 1dB 간격으로 구분되어 설정되는 미리 설정된 테이블에서 하나의 CSI-RS RSRP 측정결과가 포함되는 구간에 대응되는 7비트 값을 채널상태정보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송신부(2120)는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이 사용되도록 결정되면, [-140, -44] dBm 범위의 값이 1dB 간격으로 구분되어 설정되는 미리 설정된 테이블에서, 복수의 CSI-RS RSRP 측정결과 중 가장 큰 값으로 나타난 CSI-RS RSRP 측정결과가 포함되는 구간에 대응되는 7비트 값을 채널상태정보에 포함한다. 또한, 송신부(2120)는 복수의 CSI-RS RSRP 측정결과 중 가장 큰 값으로 나타난 CSI-RS RSRP 측정결과를 제외한 나머지 CSI-RS RSRP 측정결과는 차등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채널상태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차등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은, 복수의 CSI-RS RSRP 측정결과 중 가장 큰 값으로 나타난 CSI-RS RSRP 측정결과와의 차이를 지시하는 2dB 간격으로 구분되는 16개의 구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나머지 CSI-RS RSRP 측정결과는 4비트 값으로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CSI 보고 구성정보는,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지시하는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가 디스에이블(disable)로 설정되는 경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는 상기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될 측정된 상기 CSI-RS 자원의 개수를 지시하는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어부(2110)는 전술한 본 개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에 따른 채널상태정보 전송 동작에 따른 전반적인 사용자 단말(2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100)는 전술한 파워 헤드룸 보고, 채널상태정보 전송 우선순위 설정, SSB와 PDCCH의 파워 오프셋 설정 및 PDCCH 검색 공간 설정에 대한 본 개시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전반적인 단말(210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송신부(2120)와 수신부(2130)는 전술한 본 개시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기지국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기지국(2200)은 단말로부터 CSI보고 구성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2220) 및 CSI보고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이 결정되는 경우, 둘 이상의 CSI-RS RSRP 측정결과를 포함하는 채널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230)를 포함할 수 있다.
CSI-RS RSRP는 단말에 미리 설정된 테이블 상의 값으로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되고, 미리 설정된 테이블은, 하나의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과 적어도 하나의 차등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230)는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이 사용되지 않도록 결정되면, [-140, -44] dBm 범위의 값이 1dB 간격으로 구분되어 설정되는 미리 설정된 테이블에서 하나의 CSI-RS RSRP 측정결과가 포함되는 구간에 대응되는 7비트 값을 채널상태정보에 포함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수신부(2230)는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이 사용되도록 결정되면, [-140, -44] dBm 범위의 값이 1dB 간격으로 구분되어 설정되는 미리 설정된 테이블에서, 복수의 CSI-RS RSRP 측정결과 중 가장 큰 값으로 나타난 CSI-RS RSRP 측정결과가 포함되는 구간에 대응되는 7비트 값을 채널상태정보에 포함하여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2230)는 복수의 CSI-RS RSRP 측정결과 중 가장 큰 값으로 나타난 CSI-RS RSRP 측정결과를 제외한 나머지 CSI-RS RSRP 측정결과는 차등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채널상태정보에 포함하여 수신한다.
차등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은, 복수의 CSI-RS RSRP 측정결과 중 가장 큰 값으로 나타난 CSI-RS RSRP 측정결과와의 차이를 지시하는 2dB 간격으로 구분되는 16개의 구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나머지 CSI-RS RSRP 측정결과는 4비트 값으로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CSI 보고 구성정보는,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지시하는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가 디스에이블(disable)로 설정되는 경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는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될 측정된 상기 CSI-RS 자원의 개수를 지시하는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어부(2210)는 전술한 본 개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에 따른 채널상태정보 수신 동작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2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210)는 전술한 파워 헤드룸 보고, 채널상태정보 전송 우선순위 설정, SSB와 PDCCH의 파워 오프셋 설정 및 PDCCH 검색 공간 설정에 대한 본 개시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전반적인 기지국(220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송신부(2220)와 수신부(2230)는 전술한 본 개시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3GPP 및 3GPP2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들 중 본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 구성, 부분들은 전술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위에서 개시한 표준 문서들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장치,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시스템", "프로세서", "컨트롤러", "컴포넌트", "모듈", "인터페이스", "모델", 또는 "유닛" 등의 용어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구성요소는 프로세서에 의해서 구동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컨트롤러, 제어 프로세서, 개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가 모두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있을 수 있으며,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장치(예: 시스템, 컴퓨팅 디바이스 등)에 위치하거나 둘 이상의 장치에 분산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기술 사상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단말이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CSI보고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자원을 통해서 수신되는 CSI-RS에 대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 및 상기 CSI-RS RSRP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테이블 상의 값을 포함하는 채널상태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SI 보고 구성정보는,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지시하는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 및 상기 CSI-RS 자원의 개수를 지시하는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 값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결정하되,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가 디스에이블(disable)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될 측정된 상기 CSI-RS 자원의 개수를 지시하는 값이 1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가 인에이블(enable)로 설정되는 경우에 그룹 기반 빔 리포팅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가 디스에이블(enable)로 설정되면,
    상기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될 측정된 상기 CSI-RS 자원의 개수를 지시하는 값이 1로 설정되는 경우에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을 사용하지 않도록 결정하고,
    상기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될 측정된 상기 CSI-RS 자원의 개수를 지시하는 값이 1을 초과하는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을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테이블은,
    하나의 상기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과 적어도 하나의 차등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은,
    상기 CSI-RS RSRP 측정결과에 대해서는 [-140, -44] dBm 범위의 값이 1dB 간격으로 구분하여 설정구성되고, L3 SS-RSRP 측정 결과 및 상기 CSI-RS RSRP 측정결과를 동시에 지시하도록 인덱스 값이 설정되며,
    상기 CSI-RS RSRP 측정결과에 대한 [-140, -44] dBm 범위의 값은,
    상기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의 인덱스 값 중 17에서 112 사이에 설정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이 사용되지 않도록 결정되면, 상기 [-140, -44] dBm 범위의 값이 1dB 간격으로 구분되어 설정되는 상기 미리 설정된 테이블에서 하나의 상기 CSI-RS RSRP 측정결과가 포함되는 구간에 대응되는 7비트 값을 상기 채널상태정보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이 사용되도록 결정되면,
    상기 [-140, -44] dBm 범위의 값이 1dB 간격으로 구분되어 설정되는 상기 미리 설정된 테이블에서, 복수의 상기 CSI-RS RSRP 측정결과 중 가장 큰 값으로 나타난 CSI-RS RSRP 측정결과가 포함되는 구간에 대응되는 7비트 값을 상기 채널상태정보에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CSI-RS RSRP 측정결과 중 상기 가장 큰 값으로 나타난 CSI-RS RSRP 측정결과를 제외한 나머지 CSI-RS RSRP 측정결과는 차등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상태정보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등 CSI-RS RSRP 측정결과를 지시하기 위한 테이블은,
    상기 복수의 CSI-RS RSRP 측정결과 중 가장 큰 값으로 나타난 CSI-RS RSRP 측정결과와의 차이를 지시하는 2dB 간격으로 구분되는 16개의 구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나머지 CSI-RS RSRP 측정결과는,
    4비트 값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정보는,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사용이 결정되면,
    복수의 CSI-RS RSRP 측정결과 중 가장 큰 값을 지시하는 하나의 7비트 값과, 상기 가장 큰 값과의 차이를 지시하는 하나 이상의 4비트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CSI(Channel State Information)보고 구성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CSI보고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이 결정되는 경우, 둘 이상의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측정결과를 포함하는 채널상태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CSI-RS RSRP 측정결과는 상기 CSI-RS RSRP 측정결과에 매핑되는 상기 단말에 미리 설정된 테이블 상의 값으로 상기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되고,
    상기 CSI 보고 구성정보는,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지시하는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 및 상기 CSI-RS 자원의 개수를 지시하는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 값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결정하되,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가 디스에이블(disable)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될 측정된 상기 CSI-RS 자원의 개수를 지시하는 값이 1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10.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CSI보고 구성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CSI-RS 자원을 통해서 수신되는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에 대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측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 및 상기 CSI-RS RSRP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테이블 상의 값을 포함하는 채널상태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CSI 보고 구성정보는,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지시하는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 및 상기 CSI-RS 자원의 개수를 지시하는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 값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결정하되,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가 디스에이블(disable)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될 측정된 상기 CSI-RS 자원의 개수를 지시하는 값이 1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여부를 결정하는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가 인에이블(enable)로 설정되는 경우에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파라미터가 디스에이블(enable)로 설정되면,
    상기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될 측정된 상기 CSI-RS 자원의 개수를 지시하는 값이 1로 설정되는 경우에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을 사용하지 않도록 결정하고,
    상기 채널상태정보에 포함될 측정된 상기 CSI-RS 자원의 개수를 지시하는 값이 1을 초과하는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을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단말.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정보는,
    상기 그룹 기반 빔 리포팅 사용이 결정되면,
    복수의 CSI-RS RSRP 측정결과 중 가장 큰 값을 지시하는 하나의 7비트 값과, 상기 가장 큰 값과의 차이를 지시하는 하나 이상의 4비트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210144580A 2018-05-17 2021-10-27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345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56371 2018-05-17
KR20180056370 2018-05-17
KR20180056366 2018-05-17
KR1020180056363 2018-05-17
KR20180056363 2018-05-17
KR1020180056366 2018-05-17
KR1020180056360 2018-05-17
KR1020180056371 2018-05-17
KR20180056360 2018-05-17
KR1020180056370 2018-05-17
KR1020190057396A KR102322038B1 (ko) 2018-05-17 2019-05-16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396A Division KR102322038B1 (ko) 2018-05-17 2019-05-16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539A true KR20210134539A (ko) 2021-11-10

Family

ID=687302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396A KR102322038B1 (ko) 2018-05-17 2019-05-16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10144580A KR20210134539A (ko) 2018-05-17 2021-10-27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396A KR102322038B1 (ko) 2018-05-17 2019-05-16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46034B2 (ko)
KR (2) KR102322038B1 (ko)
CN (1) CN1121666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5420B2 (en) * 2019-12-10 2023-02-07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ounding techniques with analog beamforming
US20210306994A1 (en) * 2020-03-30 2021-09-30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timing associated with uplink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tci) state
CN115380500B (zh) * 2020-04-27 2024-05-14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具有大子载波间隔的系统的控制信道重叠处理
US11800488B2 (en) * 2020-12-09 2023-10-24 Qualcomm Incorporated Paging transmission on sidelink
CN115150036B (zh) * 2021-03-29 2023-09-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csi报告的映射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US11889335B2 (en) * 2021-04-30 2024-01-30 Nokia Technologies Oy Downlink channel quality report for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user equipment
CN115550987A (zh) * 2021-06-29 2022-12-30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报告的优先级确定方法与装置、相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285B1 (ko) * 2010-04-01 201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35545A (ko) * 2012-06-24 201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US9698887B2 (en) * 2013-03-08 2017-07-0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MIMO operation
US9866303B2 (en) * 2013-03-11 2018-01-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163842A1 (ko) * 2015-04-10 2016-10-13 엘지전자 (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148332B2 (en) * 2015-05-28 2018-12-0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level beamformed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s
EP3734896B1 (en) * 2015-06-17 2022-06-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hannel state report using aperiodic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and apparatus therefor
US10374839B2 (en) * 2015-08-13 2019-08-06 Lg Electronics Inc. Operation method of user equipment in relation to CSI-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same
WO2017039166A1 (ko) * 2015-09-01 201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209505A1 (ko) * 2016-05-31 2017-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m 보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EP3471311B1 (en) * 2016-06-23 2022-10-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EP3276851A1 (en) * 2016-07-29 2018-01-31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 for beam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030841A1 (ko) * 2016-08-11 2018-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참조 신호 측정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0484064B2 (en) * 2016-09-01 2019-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ink and uplink CSI acquisition
US10425139B2 (en) * 2016-09-21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anagement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3535864A1 (en) * 2016-11-02 2019-09-11 IDAC Holdings, Inc. Group-based beam management
CN107980209B (zh) * 2017-02-16 2021-06-25 香港应用科技研究院有限公司 大规模mimo通信系统中报告信道状态信息(csi)的方法和装置
KR102385358B1 (ko) * 2017-04-28 2022-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121754B2 (en) * 2017-05-14 2021-09-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easuring and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CN109152054A (zh) * 2017-06-16 2019-01-04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用于非授权频谱的波束管理的方法和设备
US10547368B2 (en) * 2017-08-30 2020-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debook subset restriction for CSI reporting in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050478B2 (en) * 2017-12-19 2021-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reporting in next generation wireless systems
US10567145B2 (en) * 2018-01-05 2020-02-18 Ofinno, Llc Beam reports with multiple cells
US10681648B2 (en) * 2018-01-10 2020-06-0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ower control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JP7151115B2 (ja) * 2018-03-23 2022-10-12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通信端末、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46034B2 (en) 2023-01-03
US20210258057A1 (en) 2021-08-19
CN112166637A (zh) 2021-01-01
KR20190132258A (ko) 2019-11-27
CN112166637B (zh) 2024-04-02
KR102322038B1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2038B1 (ko) 채널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297101B1 (ko) 비면허 대역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65329B1 (ko) 비면허 대역에서의 채널 접속 실패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26031B1 (ko) 비면허 대역에서 harq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92079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포지셔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98009B1 (ko)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32313B1 (ko) 비면허 대역의 무선 통신을 위한 LBT(Listen Before Talk)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0850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EP4188016A1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2391597B1 (ko) 비면허 대역에서의 페이징 방법 및 장치
EP39445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hannel
KR20210090549A (ko)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24243A (ko)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20007516A (ko) 제한된 대역폭에서 초기 접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03457A (ko) 주파수 호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39894A (ko) 변조 및 부호화 형태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200087084A (ko)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17777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주파수 영역 PRS muting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200051096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그룹 기반 사이드 링크 cqi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434660B1 (ko) 비면허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92454B1 (ko)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14813A (ko) 상향링크 송수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55753A (ko) 기지국 송신전력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240066711A (ko) 주기적 전송을 위한 보조 정보 전달 방법 및 장치
KR20210157320A (ko) 전력 절감을 위한 탐색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