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3808A -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 Google Patents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3808A
KR20210133808A KR1020200052934A KR20200052934A KR20210133808A KR 20210133808 A KR20210133808 A KR 20210133808A KR 1020200052934 A KR1020200052934 A KR 1020200052934A KR 20200052934 A KR20200052934 A KR 20200052934A KR 20210133808 A KR20210133808 A KR 20210133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mouth
nose
filter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231B1 (ko
Inventor
이동진
허혜숙
이재통
조관행
Original Assignee
(주)멋진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멋진여성 filed Critical (주)멋진여성
Priority to KR1020200052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231B1/ko
Publication of KR20210133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 마스크는 착용자의 비강으로 삽입하여 착용하고 입 마스크는 마우스피스를 입으로 무는 방식으로 착용하므로 외부공기를 완전히 차단하며, 마스크를 고정하는 끈을 생략하므로 장시간 착용 시에도 불편함이 없고 필터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고, 수면시에는 코골이 및 무호흡방지부재를 장착하여 착용자의 비강을 넓혀주므로 코골이 및 무호흡증상을 방지하며, 착용자가 입을 벌리거나 말을 할 경우 탄성주름이 늘어나 말하기가 편리할 뿡 아니라 마스크가 벗겨지지 않는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With no straps, wrapped around the face and replace filters easy to mask}
본 발명은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 마스크는 착용자의 비강으로 삽입하여 착용하고 입 마스크는 마우스피스를 입으로 무는 방식으로 착용하므로 외부공기를 완전히 차단하며, 마스크를 고정하는 끈을 생략하므로 장시간 착용 시에도 불편함이 없고 필터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고, 수면시에는 코골이 및 무호흡방지부재를 장착하여 착용자의 비강을 넓혀주므로 코골이 및 무호흡증상을 방지하며, 착용자가 입을 벌리거나 말을 할 경우 탄성주름이 늘어나 말하기가 편리할 뿡 아니라 마스크가 벗겨지지 않는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생활하는 환경대기에는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대거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미세먼지와 황사는 사람의 호흡기로 유입되어 건강을 위협하게 된다.
따라서, 미세먼지 농도가 높거나 바이러스성 세균의 감염 위험성이 있을 경우에는 되도록 외출을 삼가하고, 부득이 외출시에는 마스크의 착용을 권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들은 외부 공기가 틈새 사이로 흡입되는 문제가 있고, 공기가 흡입되지 않도록 걸림끈을 세게 조여줄 경우 얼굴과 귀를 너무 압박하여 불편함이 있었고, 장시간 사용시에는 얼굴과 귀에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코부분이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안경을 착용할 경우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격한 운동을 할 경우 크게 호흡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틈새 사이로 외부공기가 흡입되면서 온도 차이로 인해 김서림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마스크의 재질이 부직포 및 천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장을 한 여성의 경우, 화장이 지워지거나 화장이 마스크에 묻어나와 마스크가 오염되면서 마스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면시에는 코골이 및 무호흡증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방지기구를 구매하여 사용하고 개개인의 비강 크기가 다르므로 이에 대응하는 크기의 제품들이 있으며 이를 구분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과 다른 크기의 제품 구매로 인한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29132호로 마우스피스형 마스크(이하 '선행문헌 1'이라 합니다.)가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행문헌 1은 착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착용자의 호흡을 위하여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는 호흡부와, 상기 커버부를 상기 착용자의 얼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며, 상기 착용자의 입에 삽입되는 마우스피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1은 마우스피스부를 물고 있게 되면 세균이 번식하게 되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양치질을 하거나 별도로 가글액을 사용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코로 숨을 쉬기 위한 보조 호흡부재에는 보조필터부재가 장착되므로 호흡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문헌 1은 마스크 착용자가 상대방과 대화를 할 때, 마우스피스부가 입에서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마스크의 착용감이 떨어지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코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코 마스크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34255호로 착용감이 향상된 코 마스크(이하 '선행문헌 2'라 합니다.)가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행문헌 2는 정면 및 측면에 다수 개의 유입 슬릿이 형성되고 내부에 필터가 수용될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후면에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속이 빈 한 쌍의 흡입 튜브;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필터 챔버; 및 상기 흡입 튜브의 위쪽에 형성되는 신축성 소재을 가진 연질의 소재로 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 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2는 코 마스크를 사용자의 비강에 삽입하여 사용하므로 격한 운동을 하거나 코로 호흡을 크게 할 경우 비강으로부터 코 마스크가 빠져 바닥에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뿐 아니라 코 마스크에 흙이나 기타 오염물질이 묻어 코 마스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흡입 튜브 내부에 필터 챔버가 장착된 상태에서 필터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만 숨을 쉬어야 하므로 호흡이 어려워 불편함을 호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29132호(2019.09.30. 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34255호(2014.08.20. 등록)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외부공기를 100% 차단하고 장시간 사용 시에도 불편함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세먼지가 많은 곳에서는 코 마스크의 내부에 필터부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수면시에는 코골이 및 무호흡 방지부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면시, 코 마스크 내측에 코골이 및 무호흡방지부를 장착하여 사용하므로 비강을 넓혀 코골이 및 무호흡 증상을 방지할 뿐 아니라 비강확장부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한 개의 제품으로 개개인의 비강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 마스크 내부에 상,하로 분리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마우스피스를 입에 삽입하여 착용하므로 이물감을 느끼지 않고 입 마스크 커버에 형성된 탄성주름으로 인해 말하기가 쉬운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 마스크 커버의 전면에 마스크 필터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 마스크는 비강 내부에 삽입하면서 코를 덮으면서 착용하고 입 마스크는 마우스피스를 입에 무는 방식으로 착용하므로 안경 착용시 입김으로 인한 김서림을 방지할 뿐 아니라 격한 운동 중에도 쉽게 벗겨지지 않아 안정감있게 착용할 수 있는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커버 부분이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화장을 한 여성이 착용할 경우 화장이 지워지지 않는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살균액 저장통의 압착으로 구강에 살균액을 투입하여 구강을 살균할 수 있는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인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착용자의 코와 코 주위에 밀착되는 코 마스크; 상기 코 마스크 커버의 삽입부에 장착되어 유해성 바이러스 및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필터부; 착용자의 입술을 감싸서 입술에 밀착되면서 마우스피스가 입에 삽입되어 끈없이 착용하며 전면에 마스크 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입 마스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인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와 코 주위에 밀착되는 코 마스크; 수면시, 착용자의 비강으로 삽입되는 비강확장부재에 의해 비강을 넓혀 편안한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코골이 및 무호흡을 방지하는 깊이조절이 가능한 코골이 및 무호흡 방지부; 착용자의 입술과 입술 주위에 밀착되면서 마우스피스가 입에 삽입되어 끈없이 착용하며 전면에 마스크 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입 마스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공기를 100% 차단하고 장시간 사용 시에도 불편함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세먼지가 많은 곳에서는 코 마스크의 내부에 필터부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수면시에는 코골이 및 무호흡 방지부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면시, 코 마스크 내측에 코골이 및 무호흡방지부를 장착하여 사용하므로 비강을 넓혀 코골이 및 무호흡증상을 방지할 뿐 아니라 비강확장부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한 개의 제품으로 개개인의 비강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입 마스크 내부에 상,하로 분리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마우스피스를 입에 삽입하여 착용하므로 이물감을 느끼지 않고 입 마스크 커버에 형성된 탄성주름으로 인해 쉽게 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강으로 삽입되는 필터부재 및 입 마스크의 전면에 끼워지는 마스크 필터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코 마스크는 비강 내부에 삽입하면서 코를 덮으면서 착용하고 입 마스크는 마우스피스를 입에 무는 방식으로 착용하므로 안경 착용시 입김으로 인한 김서림을 방지할 뿐 아니라 격한 운동 중에도 쉽게 벗겨지지 않아 안정감있게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커버 부분이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화장을 한 여성이 착용할 경우 화장이 지워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살균액 저장통의 압착으로 구강에 살균액을 투입하여 구강을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코 마스크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입 마스크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착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인 코골이 및 무호흡방지부재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코 마스크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마스크 필터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코 마스크와 입 마스크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태의 배면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인 마우스피스가 상,하로 분리된 상태의 배면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인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는, 코 마스크(100), 필터부(200), 입 마스크(400)로 구성된다.
상기 코 마스크(100)는 착용자의 코와 코 주위에 밀착되며 삽입부(130)에 필터부(200)가 장착되어 비강으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착용하므로 호흡을 쉽게 하면서 유해성 바이러스나 미세먼지의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끈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코 마스크(100)는 코 마스크 커버(110), 숨구멍(120), 삽입부(130), 밀착부(140)로 이루어진다.
코 마스크 커버(11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코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착용자의 콧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숨구멍(120)이 관통형성되되, 외부의 입자가 큰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1.5mm 이하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 마스크 커버(110)의 내측에는 필터부(200)가 장착되도록 삽입부(130)가 형성되어 숨구멍(120)과 연통되며, 상기 밀착부(140)는 삽입부(130)의 외측면에 볼록하게 돌출형성된다.
상기 필터부(200)는 유해성 세균을 살균하는 살균부재(220)와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여과필터(2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살균부재(220)와 여과필터(230)는 필터 케이스(210)에 끼워져 삽입부(130)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입 마스크(400)는 착용자의 입과 입 주위를 감싸도록 밀착되며 착용자의 입에 마우스피스(430)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장착되므로 끈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입 마스크(400)는 입 마스크 커버(410), 마우스피스(420), 살균액 투입부(430), 마스크 필터(440)로 구성된다.
상기 입 마스크 커버(41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착용자의 입에 해당하는 중앙부에 숨을 쉬기 위한 통공(4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 마스크 커버(410)의 전면에는 마스크 필터(440)가 끼워지도록 끼움홈(4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 마우스 커버(410)는 2mm 이하의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입 주변은 착용자가 말하기 위해 입을 벌렸을 때 쉽게 늘어날 수 있도록 이보다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 마스크 커버(410)의 내측에는 착용자의 입에 삽입되어 물 수 있도록 마우스피스(420)가 형성된다.
상기 마우스피스(420)는 입 마우스 커버(410)와 동일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말하기가 용이하도록 상,하부로 각각 분리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살균액 투입부(430)는 마우스피스(420) 양측의 내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마우스피스(420)에 형성된 삽입홈(432)으로 일정액의 살균액이 저장된 실리콘 재질의 살균액 저장통(431)이 끼워지고, 상기 삽입홈(432)의 선단부에는 살균액이 구강 내로 분사되는 분사공(4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 마스크 커버(410)의 전면에 형성된 끼움홈(412)에는 마스크 필터(440)가 끼워지며, 오염시에는 끼움홈(412)으로부터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스크 필터(4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에 다수의 결합홀(441)이 관통형성되며, 입 마스크 커버(410)의 전면에는 결합홀(441)과 대응하는 수의 결합돌기부(413)가 형성되며, 상기 마스크 필터(440)의 결합홀(441)을 결합돌기부(413)에 끼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마스크 필터(440)는 활성화된 숯, HEPA,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비롯하여 사스(SARS), 메르스(MERS), 코로나바이러스(C0VID-19)와 같은 바이러스성 세균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입 마스크 커버(410)에 형성된 통공(411)의 양측에는 탄성주름(450)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탄성주름(450)은 착용자가 말을 하기 위해 입을 벌릴 경우 쉽게 늘어나므로 말을 할 때 입이 아프지 않고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 마스크(100)와 입 마스크(400)는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코 마스크(100)와 입 마스크(40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우스피스(4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하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우스피스(420)에는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460)이 관통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관통공(360)은 마우스피스(420)를 착용자의 입에서 분리할 때, 관통공(460)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마우스피스(420)가 착용자의 입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착용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 마스크(400)의 전면에 마스크 필터(440)를 끼워 입 마스크 커버(410)의 통공(411)을 폐쇄시킨다.
이 상태에서 코 마스크 커버(110)의 내측에 장착된 필터부(200)를 착용자의 비강으로 삽입하고, 코 마스크 커버(110)의 내측면을 착용자의 코와 코 주위에 밀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코 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입 마스크 커버(410)의 내측에 형성된 마우스피스(420)를 입술과 잇몸 사이에 삽입하여 물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입 마스크 커버(410)의 내측면을 착용자의 입과 입 주위에 밀착시키게 되면 착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마스크 착용 후, 착용자가 코로 숨을 들이 마시게 되면, 외부공기는 다수의 숨구멍(120)을 통과한 후 여과필터(230), 살균부재(220), 여과필터(230)를 차례로 통과하여 착용자의 비강으로 유입된다.
또한, 착용자가 코로 숨을 내쉬게 되면, 여과필터(230), 살균부재(220), 여과필터(230)를 차례로 통과한 후 다수의 숨구멍(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착용자가 입으로 숨을 들이 마시게 되면, 외부의 공기는 마스크 필터(440)를 통해 유해성 바이러스와 미세먼지 등의 여과되면서 입 마스크 커버(410)의 통공(411)을 통해 입으로 유입되고, 숨을 내쉬게 되면 통공(411)과 마스크 필터(4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입을 벌리거나 말을 할 경우, 입 마스크 커버(410)의 입 주변이 얇은 두께로 형성되므로 쉽게 늘어나 입을 벌리거나 말하기가 쉽다.
또한, 입 마스크 커버(410)의 통공(411) 양측에 탄성주름(45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착용자가 입을 벌리거나 말을 할 경우 쉽게 늘어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우스피스(420)를 착용자의 입에서 분리할 경우, 마우스피스(420)에 관통공(460)이 형성되어 있어 관통공(46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므로 잇몸에 흡착된 상태의 마우스피스(4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인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 마스크(100), 코골이 및 무호흡방지부재(300), 입 마스크(400)로 구성된다.
상기 코 마스크(100)와 입 마스크(400)는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코 마스크(100)및 입 마스크(40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중복기재를 방지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코골이 및 무호흡방지부(300)는 장착부재(310), 나사체결봉(320), 비강확장부재(330)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재(310)는 방사상으로 통기공(311)이 형성되어 장착공간(320)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부재(310)의 중앙에는 나사체결봉(320)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체결봉(320)에는 착용자의 비강으로 삽입되어 비강을 넓혀주는 비강확장부재(330)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비강확장부재(330)는 비강으로 삽입되는 부분이 곡선으로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살대가 형성되어 살대의 사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비강확장부재(330)의 단부가 곡선으로 형성되므로 착용자의 비강에 삽입되어도 이질감 및 통증을 느끼지 않게 되며, 나사체결봉(320)을 중심으로 비강확장부재(3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착용자의 비강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개개인의 비강 크기에 맞게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착용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마스크를 외부에서 사용하지 않고 수면시 사용할 경우, 삽입부(130)에 코골이 및 무호흡 방지부(300)를 장착하여 코골이 및 무호흡증상을 방지할 수 있다.
먼저, 입 마스크(400)의 전면에 마스크 필터(440)를 끼워 입 마스크 커버(410)의 통공(411)을 폐쇄시킨다.
이 상태에서 코 마스크 커버(110)의 삽입부(130)에 장착된 코골이 및 무호흡 방지부(300)를 착용자의 비강으로 삽입하고, 코 마스크 커버(110)의 내측면을 착용자의 코와 코 주위에 밀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코 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입 마스크 커버(410)의 내측에 형성된 마우스피스(420)를 입술과 잇몸 사이에 삽입하여 물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입 마스크 커버(410)의 내측면을 착용자의 입과 입 주위에 밀착시키게 되면 착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마스크 착용 후, 착용자가 코로 숨을 들이 마시게 되면, 외부공기는 다수의 숨구멍(120)을 통과한 후 여과필터(230), 살균부재(220), 여과필터(2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착용자의 비강으로 유입된다.
상기 코골이 및 무호흡 방지부(300)를 장착하는 방법은, 먼저, 장착부재(310)를 삽입부(130)에 삽입하여 장착한 후, 나사체결봉(320)에 비강확장부재(330)를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되 착용자의 비강에 알맞게 깊이를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비강확장부재(330)가 착용자의 비강으로 삽입되면, 좁아져 있던 착용자의 비강을 확장시켜 주게 되므로 충분한 숨쉬기를 해줘서 코골이 및 무호흡증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착용자가 입으로 숨을 들이 마시게 되면, 외부의 공기는 마스크 필터(440)를 통해 유해성 바이러스와 미세먼지 등의 여과되면서 입 마스크 커버(410)의 통공(411)을 통해 입으로 유입되고, 숨을 내쉬게 되면 통공(411)과 마스크 필터(4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입을 벌리거나 말을 할 경우, 입 마스크 커버(410)의 입 주변이 얇은 두께로 형성되므로 쉽게 늘어나 입을 벌리거나 말하기가 쉽다.
또한, 입 마스크 커버(410)의 통공(411) 양측에 탄성주름(45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착용자가 입을 벌리거나 말을 할 경우 쉽게 늘어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우스피스(420)를 착용자의 입에서 분리할 경우, 마우스피스(420)에 관통공(360)이 형성되어 있어 관통공(46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므로 잇몸에 흡착된 상태의 마우스피스(4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코 마스크
110: 코 마스크 커버
120: 숨구멍
130: 삽입부
140: 밀착부
200: 필터부
210: 필터 케이스
220: 살균부재
230: 여과필터
300: 코골이 및 무호흡 방지부
310: 장착부재
320: 체결봉
330: 비강확장부재
400: 입 마스크
410: 입 마스크 커버
420: 마우스피스
430: 살균액 투입부
440: 마스크 필터
450: 탄성주름
460: 관통공

Claims (10)

  1. 착용자의 코와 코 주위에 밀착되는 코 마스크(100);
    상기 코 마스크 커버(110)의 삽입부(112)에 장착되어 유해성 바이러스 및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필터부(200);
    착용자의 입술을 감싸서 입술에 밀착되면서 마우스피스(430)가 입에 삽입되어 끈없이 착용하며 전면에 마스크 필터(44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입 마스크(4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2. 착용자의 코와 코 주위에 밀착되는 코 마스크(100);
    수면시, 착용자의 비강으로 삽입되는 비강확장부재(330)에 의해 비강을 넓혀 편안한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코골이 및 무호흡을 방지하는 깊이조절이 가능한 코골이 및 무호흡 방지부(300);
    착용자의 입술과 입술 주위에 밀착되면서 마우스피스(430)가 입에 삽입되어 끈없이 착용하며 전면에 마스크 필터(44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입 마스크(4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코 마스크(100)는,
    착용자의 코에 밀착되는 마스크 커버(110);
    착용자의 콧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의 숨구멍(120);
    상기 필터부(200)가 장착되어 착용자의 비강으로 삽입되며 숨구멍(120)과 연통되는 삽입부(130);
    상기 삽입부(130)의 외측면에 볼록하게 형성되어 비강 내부에 밀착되는 밀착부(1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필터부(200)는,
    상기 코 마스크(100)의 삽입부(130)에 장착되는 필터 케이스(210);
    상기 필터 케이스(210) 내부 중앙부에 장착되는 살균부재(220);
    상기 살균부재(122)의 상,하부에 각각 장착되어 여과필터(2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코골이 및 무호흡 방지부(300)는,
    상기 코 마스크(100)의 삽입부(130)에 장착되며 방사상으로 통기공(311)이 형성되어 숨구멍(120)과 연통되는 장착부재(310);
    상기 장착부재(3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체결봉(320);
    상기 나사체결봉(320)에 나사체결되어 삽입깊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며 비강 삽입시 이질감 및 통증을 방지하도록 비강 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이 곡선으로 형성되는 비강확장부재(3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입 마스크(400)는,
    호흡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통공(411)이 관통되는 입 마스크 커버(410);
    상기 입 마스크 커버(4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입술을 감싸서 입술에 밀착하여 삽입되는 마우스피스(420);
    상기 마우스피스(420) 양측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필요시 살균액이 저장된 살균액 저장통(431)을 압착하면 구강으로 살균액이 분사되어 구강 안을 살균하는 살균액 투입부(430);
    상기 입 마스크 커버(410)의 전면에 형성되는 끼움홈(412)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유해성 바이러스 및 미세먼지를 여과하며 오염시에는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마스크 필터(4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420)는 입 마스크 커버(410)의 내측에 상,하부로 분리형성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통공(411)의 양측에 형성되어 착용자가 입을 벌리거나 말하기 용이하도록 플랙시블한 주름형으로 형성되는 탄성주름(4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420)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형성되면서 밀착면적을 줄여 착용자의 입에서 입 마스크 커버(410)를 분리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관통공(4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살균액 투입부(430)는,
    일정 용량의 살균액이 저장되는 실리콘 재질의 살균액 저장통(431);
    상기 마우스피스(420)에 형성되어 살균액 저장통(231)이 삽입되는 삽입홈(432);
    상기 마우스피스(420)에 형성되며 삽입홈(432)과 연통되어 살균액 저장통(431)에 저장된 살균액이 구강 내로 분사되는 분사공(43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KR1020200052934A 2020-04-29 2020-04-29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KR102334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934A KR102334231B1 (ko) 2020-04-29 2020-04-29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934A KR102334231B1 (ko) 2020-04-29 2020-04-29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808A true KR20210133808A (ko) 2021-11-08
KR102334231B1 KR102334231B1 (ko) 2021-12-02

Family

ID=7849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934A KR102334231B1 (ko) 2020-04-29 2020-04-29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23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8566U (ja) * 1991-03-06 1992-09-18 日本酸素株式会社 水中呼吸装置用マウスピース
KR200204721Y1 (ko) * 2000-06-15 2000-12-01 문만근 코마스크
KR20110032725A (ko) * 2009-09-24 2011-03-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콧구멍에 삽입되는 비강 마스크
KR101434255B1 (ko) 2012-09-20 2014-08-27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착용감이 향상된 코 마스크
KR20150115154A (ko) * 2014-04-02 2015-10-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
KR101969677B1 (ko) * 2018-07-23 2019-04-17 정진구 비강확장기를 갖는 코마스크
KR102029132B1 (ko) 2017-06-09 2019-10-10 (주)도움라이프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KR102021523B1 (ko) * 2019-04-19 2019-11-04 구양희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8566U (ja) * 1991-03-06 1992-09-18 日本酸素株式会社 水中呼吸装置用マウスピース
KR200204721Y1 (ko) * 2000-06-15 2000-12-01 문만근 코마스크
KR20110032725A (ko) * 2009-09-24 2011-03-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콧구멍에 삽입되는 비강 마스크
KR101434255B1 (ko) 2012-09-20 2014-08-27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착용감이 향상된 코 마스크
KR20150115154A (ko) * 2014-04-02 2015-10-1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
KR102029132B1 (ko) 2017-06-09 2019-10-10 (주)도움라이프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KR101969677B1 (ko) * 2018-07-23 2019-04-17 정진구 비강확장기를 갖는 코마스크
KR102021523B1 (ko) * 2019-04-19 2019-11-04 구양희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231B1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2149B2 (en) Nasal mask with replaceable filter
KR102177023B1 (ko) 끈이 없고 입을 감싸면서 코에 삽입하여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KR101785801B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20110007565A (ko) 코, 입 분리형 마스크
US20040211425A1 (en) Nasal mask
KR100897161B1 (ko) 비강내 삽입형 호흡정화 마스크
KR101856620B1 (ko) 기능성 황사 마스크
CA3076215C (en) Neck collar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KR101969677B1 (ko) 비강확장기를 갖는 코마스크
KR102406693B1 (ko) 끈이 없고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KR100610155B1 (ko)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KR102334231B1 (ko) 끈이 없고 코와 입을 감싸서 착용하며 필터 교체가 용이한 마스크
KR20190030427A (ko) 마우스피스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KR102487694B1 (ko)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KR20160135568A (ko) 코마개 탈착형 마스크
US20210346632A1 (en) Nose respirator device
WO2004110541A1 (en) A fragrant mask
US20220168535A1 (en) Breathing guide apparatus and mask system including the same
CN215775710U (zh) 一种防止异味的口罩
KR102380977B1 (ko) 비강용 마스크 장치
CN213406550U (zh) 一种用于口腔治疗可拆卸式防护面罩
KR102284420B1 (ko) 코골이 및 비염 증상을 예방 및 치료하여 숙면을 유도하는 마스크
TR202008734A2 (tr) Tek kullanimlik medi̇kal maskeler i̇çi̇n konfor arttirici bi̇r aparat
KR20220142009A (ko) 호흡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시스템
KR20000011194U (ko) 위생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