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3372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3372A
KR20210133372A KR1020200051828A KR20200051828A KR20210133372A KR 20210133372 A KR20210133372 A KR 20210133372A KR 1020200051828 A KR1020200051828 A KR 1020200051828A KR 20200051828 A KR20200051828 A KR 20200051828A KR 20210133372 A KR20210133372 A KR 20210133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pixel
light
layer
upper surf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하
남원희
곽동훈
유석범
아츠시 키타바야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1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3372A/ko
Priority to US17/148,433 priority patent/US11800769B2/en
Priority to EP21168566.4A priority patent/EP3905333A1/en
Priority to CN202110405880.0A priority patent/CN113571549A/zh
Publication of KR20210133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01L27/3246
    • H01L27/3216
    • H01L27/3218
    • H01L27/322
    • H01L27/32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the areas of the RGB subpixels being differ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하여,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1-1화소와 제1-2화소에 위치하는 제1-1화소전극 및 제1-2화소전극과, 상기 제1-1화소전극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1-2화소전극의 가장자리를 덮어 상기 제1-1화소전극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1노출상면과 상기 제1-2화소전극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2노출상면을 정의하되 상기 제1-2노출상면의 제1-2면적이 상기 제1-1노출상면의 제1-1면적과 상이하도록 정의하는 화소정의막과, 상기 제1-1화소전극과 상기 제1-2화소전극 상에 위치하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제1-1발광층 및 제1-2발광층과, 상기 제1-1발광층과 상기 제1-2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대향전극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영역을 가지며, 디스플레이영역 내에는 많은 화소들이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동일한 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이 구현되는 화소들에게 동일한 휘도의 광이 구현되도로고 하도록 하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더라도, 상이한 휘도의 광이 나타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1-1화소에 위치하는 제1-1화소전극과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1-2화소에 위치하는 제1-2화소전극과, 상기 제1-1화소전극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1-2화소전극의 가장자리를 덮어 상기 제1-1화소전극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1노출상면과 상기 제1-2화소전극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2노출상면을 정의하되 상기 제1-2노출상면의 제1-2면적이 상기 제1-1노출상면의 제1-1면적과 상이하도록 정의하는 화소정의막과, 상기 제1-1화소전극 상에 위치하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제1-1발광층과 상기 제1-2화소전극 상에 위치하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제1-2발광층과, 상기 제1-1발광층과 상기 제1-2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대향전극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1-3화소에 위치하는 제1-3화소전극과, 상기 제1-3화소전극 상에 위치하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제1-3발광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대향전극은 상기 제1-1발광층 내지 상기 제1-3발광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화소정의막은 상기 제1-3화소전극의 가장자리를 덮어 상기 제1-3화소전극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3노출상면이 정의하되, 상기 제1-3노출상면의 제1-3면적이 상기 제1-1면적 및 상기 제1-2면적과 상이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2면적은 상기 제1-1면적보다 좁고, 상기 제1-3면적은 상기 제1-1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파장대역과 상이한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2-1화소에 위치하는 제2-1화소전극과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2-2화소에 위치하는 제2-2화소전극과, 상기 제2-1화소전극 상에 위치하며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제2-1발광층과 상기 제2-2화소전극 상에 위치하며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제2-2발광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대향전극은 상기 제1-1발광층, 상기 제1-2발광층, 상기 제2-1발광층 및 상기 제2-2발광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화소정의막은 상기 제2-1화소전극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2-2화소전극의 가장자리를 덮어 상기 제2-1화소전극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2-1노출상면과 상기 제2-2화소전극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2-2노출상면을 정의하되, 상기 제2-2노출상면의 제2-2면적이 상기 제2-1노출상면의 제2-1면적과 상이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1면적에 대한 상기 제1-2면적의 비는 상기 제2-1면적에 대한 상기 제2-2면적의 비와 같을 수 있다.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1-3화소에 위치하는 제1-3화소전극과, 상기 제1-3화소전극 상에 위치하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제1-3발광층과,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며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2-3화소에 위치하는 제2-3화소전극과, 상기 제2-3화소전극 상에 위치하며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제2-3발광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대향전극은 상기 제1-1발광층 내지 상기 제1-3발광층 및 상기 제2-1발광층 내지 상기 제2-3발광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화소정의막은 상기 제1-3화소전극의 가장자리를 덮어 상기 제1-3화소전극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3노출상면이 정의하고 상기 제2-3화소전극의 가장자리를 덮어 상기 제2-3화소전극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2-3노출상면이 정의하되, 상기 제1-3노출상면의 제1-3면적이 상기 제1-1면적 및 상기 제1-2면적과 상이하고 상기 제2-3노출상면의 제2-3면적이 상기 제2-1면적 및 상기 제2-2면적과 상이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2면적은 상기 제1-1면적보다 좁고, 상기 제1-3면적은 상기 제1-1면적보다 넓으며, 상기 제2-2면적은 상기 제2-1면적보다 좁고, 상기 제2-3면적은 상기 제2-1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제1-1면적에 대한 상기 제1-2면적의 비는 상기 제2-1면적에 대한 상기 제2-2면적의 비와 같고, 상기 제1-3면적에 대한 상기 제1-1면적의 비는 상기 제2-3면적에 대한 상기 제2-1면적의 비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제1-2면적에서 상기 제1-1면적으로의 면적 증가율은, 상기 제1-1면적에서 상기 제1-3면적으로의 면적 증가율과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1화소전극들과, 상기 복수개의 제1화소전극들 각각의 가장자리를 덮어 상기 복수개의 제1화소전극들 각각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노출상면들을 정의하는 화소정의막과, 상기 복수개의 제1화소전극들 상에 위치하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제1발광층과, 상기 제1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대향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제1노출상면들 중 일부는 제1-1면적을 갖고, 상기 제1노출상면들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1-1면적과 상이한 제1-2면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1-1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1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1-2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노출상면들 중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제1-1면적 및 상기 제1-2면적과 상이한 제1-3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1-1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1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1-2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1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1-3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을 수 있다.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화소전극들과, 상기 복수개의 제2화소전극들 상에 위치하며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제2발광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화소정의막은 상기 복수개의 제2화소전극들 각각의 가장자리를 덮어, 상기 복수개의 제2화소전극들 각각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2노출상면들을 정의하고, 상기 대향전극은 상기 제2발광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노출상면들 중 일부는 제2-1면적을 갖고, 상기 제2노출상면들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2-1면적과 상이한 제2-2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2-1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2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2-2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노출상면들 중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제2-1면적 및 상기 제2-2면적과 상이한 제2-3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2-1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2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2-2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2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2-3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2면적은 상기 제1-1면적보다 좁고, 상기 제2-2면적은 상기 제2-1면적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제1-1면적에 대한 상기 제1-2면적의 비는 상기 제2-1면적에 대한 상기 제2-2면적의 비와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1화소와 제1-2화소와,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1-1화소에 대응하며 상기 기판 방향의 반대 방향의 상면이 제1-1면적을 갖는 제1-1칼라필터층과, 상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1-2화소에 대응하며 상기 기판 방향의 반대 방향의 상면이 상기 제1-1면적과 상이한 제1-2면적을 갖는 제1-2칼라필터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3화소와, 상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1-3화소에 대응하며 상기 기판 방향의 반대 방향의 상면이 상기 제1-1면적 및 상기 제1-2면적과 상이한 제1-3면적을 갖는 제1-3칼라필터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2면적은 상기 제1-1면적보다 좁고, 상기 제1-3면적은 상기 제1-1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2-1화소와 제2-2화소와, 상기 제1파장대역과 상이한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2-1화소에 대응하며 상기 기판 방향의 반대 방향의 상면이 제2-1면적을 갖는 제2-1칼라필터층과, 상기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2-2화소에 대응하며 상기 기판 방향의 반대 방향의 상면이 상기 제2-1면적과 상이한 제2-2면적을 갖는 제2-2칼라필터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면적에 대한 상기 제1-2면적의 비는 상기 제2-1면적에 대한 상기 제2-2면적의 비와 같을 수 있다.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3화소와 제2-3화소와, 상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1-3화소에 대응하며 상기 기판 방향의 반대 방향의 상면이 상기 제1-1면적 및 상기 제1-2면적과 상이한 제1-3면적을 갖는 제1-3칼라필터층과, 상기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2-3화소에 대응하며 상기 기판 방향의 반대 방향의 상면이 상기 제2-1면적 및 상기 제2-2면적과 상이한 제2-3면적을 갖는 제2-3칼라필터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2면적은 상기 제1-1면적보다 좁고, 상기 제1-3면적은 상기 제1-1면적보다 넓으며, 상기 제2-2면적은 상기 제2-1면적보다 좁고, 상기 제2-3면적은 상기 제2-1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제1-1면적에 대한 상기 제1-2면적의 비는 상기 제2-1면적에 대한 상기 제2-2면적의 비와 같고, 상기 제1-3면적에 대한 상기 제1-1면적의 비는 상기 제2-3면적에 대한 상기 제2-1면적의 비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제1-2면적에서 상기 제1-1면적으로의 면적 증가율은, 상기 제1-1면적에서 상기 제1-3면적으로의 면적 증가율과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1화소들과,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1화소들에 대응하는 제1칼라필터층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칼라필터층들의 상기 기판 방향의 반대 방향의 제1상면들 중 일부는 제1-1면적을 갖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1면적과 상이한 제1-2면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상면들 중 상기 제1-1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1상면들 중 상기 제1-2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상면들 중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제1-1면적 및 상기 제1-2면적과 상이한 제1-3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상면들 중 상기 제1-1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1상면들 중 상기 제1-2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1상면들 중 상기 제1-3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을 수 있다.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화소들과,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2화소들에 대응하는 제2칼라필터층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칼라필터층들의 상기 기판 방향의 반대 방향의 제2상면들 중 일부는 제2-1면적을 갖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2-1면적과 상이한 제2-2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상면들 중 상기 제2-1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2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2-2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상면들 중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제2-1면적 및 상기 제2-2면적과 상이한 제2-3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상면들 중 상기 제2-1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2상면들 중 상기 제2-2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2상면들 중 상기 제2-3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2면적은 상기 제1-1면적보다 좁고, 상기 제2-2면적은 상기 제2-1면적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제1-1면적에 대한 상기 제1-2면적의 비는 상기 제2-1면적에 대한 상기 제2-2면적의 비와 같을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적색화소들만을 발광시키는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도 1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적색화소들만을 발광시키는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종래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녹색화소들만을 발광시키는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은 도 1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녹색화소들만을 발광시키는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은 도 2의 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 개의 화소들 각각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박막트랜지스터들의 구성요소들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동일한 zx 평면 내에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제1-2박막트랜지스터(212)의 제1-2게이트전극(212b), 제1-2소스전극(212c) 및 제1-2드레인전극(212d) 모두가 동일한 zx 평면 내에 위치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어느 하나의 zx 평면 내에는 제1-2게이트전극(212b)과 제1-2소스전극(212c)만이 나타나고 제1-2드레인전극(212d)이 보이지 않을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 내에 복수개의 화소들이 위치한다. 디스플레이영역 외측에 위치하는 주변영역은 각종 전자소자나 인쇄회로기판 등이 전기적으로 부착되는 영역인 패드영역을 포함한다. 이는 기판(100)이 그러한 디스플레이영역 및 주변영역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기판(100)은 글라스, 금속 또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기판(100)이 플렉서블 또는 벤더블 특성을 갖는다면, 기판(100)은 예컨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기판(100)은 각각 이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두 개의 층들과 그 층들 사이에 개재된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기판(100) 상에는 유기발광소자들이 배치된다. 물론 기판(100) 상에는 유기발광소자들 외에도, 이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들(211, 212, 213)도 위치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들이 박막트랜지스터들(211, 212, 2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유기발광소자들의 화소전극들(311, 312, 313)이 박막트랜지스터들(211, 212, 2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서는 제1-1박막트랜지스터(211)가 제1-1화소(PX1-1)에 위치하고, 제1-2박막트랜지스터(212)가 제1-2화소(PX1-2)에 위치하며, 제1-3박막트랜지스터(213)가 제1-3화소(PX1-3)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1-1화소(PX1-1)에 위치하는 제1-1화소전극(311)이 제1-1박막트랜지스터(2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2화소(PX1-2)에 위치하는 제1-2화소전극(312)이 제1-2박막트랜지스터(2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3화소(PX1-3)에 위치하는 제1-3화소전극(313)이 제1-3박막트랜지스터(2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1-1화소(PX1-1), 제1-2화소(PX1-2) 및 제1-3화소(PX1-3)는 동일한 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1화소(PX1-1), 제1-2화소(PX1-2) 및 제1-3화소(PX1-3)는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물론 이 외의 다른 화소들은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고, 또 다른 화소들은 제3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파장대역은 예컨대 적색광이 속하는 파장대역이고, 제2파장대역은 예컨대 녹색광이 속하는 파장대역이고, 제3파장대역은 예컨대 청색광이 속하는 파장대역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파장대역은 630nm에서 780nm일 수 있고, 제2파장대역은 495nm 내지 570nm일 수 있으며, 제3파장대역은 450nm 내지 495nm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파장대역, 제2파장대역 및 제3파장대역은 이와 상이한 파장대역들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1박막트랜지스터(211)에 대해 설명하며, 이는 제1-2박막트랜지스터(212)와 제1-3박막트랜지스터(213)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2박막트랜지스터(212)와 제1-3박막트랜지스터(213)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1박막트랜지스터(211)는 비정질실리콘, 다결정실리콘 또는 유기반도체물질을 포함하는 제1-1반도체층(211a), 제1-1게이트전극(211b), 제1-1소스전극(211c) 및 제1-1드레인전극(211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게이트전극(211b)은 다양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며 다양한 층상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Mo층과 Al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소스전극(211c)과 제1-1드레인전극(211d) 역시 다양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며 다양한 층상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Ti층과 Al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1반도체층(211a)과 제1-1게이트전극(211b)과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게이트절연막(121)이 제1-1반도체층(211a)과 제1-1게이트전극(211b)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아울러 제1-1게이트전극(211b)의 상부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층간절연막(13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1소스전극(211c) 및 제1-1드레인전극(211d)은 그러한 층간절연막(1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기물을 포함하는 절연막은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ALD(atomic layer deposition)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구조의 제1-1박막트랜지스터(211)와 기판(100) 사이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및 알루미늄옥사이드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버퍼층(110)이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버퍼층(110)은 기판(100)의 상면의 평활성을 높이거나 기판(100) 등으로부터의 불순물이 제1-1박막트랜지스터(211)의 제1-1반도체층(211a)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1박막트랜지스터(211) 상에는 평탄화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1박막트랜지스터(211) 상부에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될 경우, 평탄화층(140)은 제1-1박막트랜지스터(211)를 덮는 보호막 상부를 대체로 평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평탄화층(140)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BCB(Benzocyclobutene)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평탄화층(140)이 단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층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기판(100)의 디스플레이영역 내에 있어서, 평탄화층(140) 상에는 제1-1화소전극(311)과 제1-2화소전극(312)이 위치한다. 평탄화층(140) 상에 위치하는 제1-1화소전극(311)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탄화층(140) 등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제1-1소스전극(211c) 및 제1-1드레인전극(211d) 중 어느 하나와 컨택하여 제1-1박막트랜지스터(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평탄화층(140) 상에 위치하는 제1-2화소전극(312)도 마찬가지로 평탄화층(140) 등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제1-2소스전극(212c) 및 제1-2드레인전극(212d) 중 어느 하나와 컨택하여 제1-2박막트랜지스터(2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대향전극(303)을 통해 광을 외부로 방출하는 상부발광(top emission)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화소전극들(311, 312, 313)은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구조(ITO/Al/ITO), 은과 ITO의 적층구조(ITO/Ag/ITO), APC 합금, APC 합금과 ITO의 적층구조(ITO/APC/ITO)와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PC 합금은 은(Ag), 팔라듐(Pd) 및/또는 구리(Cu)의 합금이다.
화소전극들(311, 312, 313)을 통해 광을 외부로 방출하는 하부 발광(bottom)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화소전극들(311, 312, 313)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평탄화층(140) 상부에는 화소정의막(1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화소정의막(150)은 각 부화소들에 대응하는 개구를 가짐으로써, 화소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즉, 화소정의막(150)은 제1-1화소전극(311)의 가장자리와 제1-2화소전극(312)의 가장자리와 제1-3화소전극(313)의 가장자리를 덮어, 제1-1화소전극(311)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1노출상면(ETS1-1, 도 2 참조)과 제1-2화소전극(312)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2노출상면(ETS1-2, 도 2 참조)과 제1-3화소전극(313)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3노출상면(ETS1-3, 도 2 참조)을 정의한다. 이때, 화소정의막(150)은 제1-2노출상면(ETS1-2)의 제1-2면적(A1-2)이 제1-1노출상면(ETS1-1)의 제1-1면적(A1-1)과 상이하도록 정의한다.
화소정의막(150)은 제1-1화소전극(311) 등의 가장자리와 제1-1화소전극(311) 등의 상부의 대향전극(303)과의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제1-1화소전극(311) 등의 가장자리에서 아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화소정의막(150)은 예컨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1화소전극(311) 상에는 제1-1발광층(311a)이 위치하고, 제1-2화소전극(312) 상에는 제1-2발광층(312a)이 위치하며, 제1-3화소전극(313) 상에는 제1-3발광층(313a)이 위치한다. 제1-1발광층(311a), 제1-2발광층(312a) 및 제1-3발광층(313a)은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한다. 이러한 발광층들(311a, 312a, 313a)은 잉크젯 프린팅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1화소전극(311) 내지 제1-3화소전극(313) 상에는 발광층들(311a, 312a, 313a)만 위치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화소전극들(311, 312, 313)과 발광층들(311a, 312a, 313a) 사이에는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이나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이 개재될 수 있고, 발광층들(311a, 312a, 313a) 상에는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이나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위치할 수 있다. 홀 주입층, 홀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또는 전자 주입층은 복수개의 화소전극들(311, 312, 313) 상에서 일체(一體)인 층일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화소전극들(311, 312, 313) 각각에 대응하도록 패터닝된 층일 수도 있다. 홀 주입층, 홀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또는 전자 주입층은, 증착법, 스크린 인쇄법, 레이저열전사법 또는 잉크젯 프린팅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1발광층(311a), 제1-2발광층(312a) 및 제1-3발광층(313a) 상부에는 대향전극(303)이 위치한다. 이러한 대향전극(303)은 디스플레이영역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대향전극(303)은 복수개의 유기발광소자들에 있어서 일체(一體)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화소전극들(311, 312, 313)들에 대응할 수 있다.
대향전극(303)은 디스플레이영역을 덮되, 디스플레이영역 외측의 주변영역에까지 연장된다. 이에 따라, 대향전극(303)은 주변영역에 위치한 전극전원공급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부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대향전극(303)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대향전극(303)은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구조(ITO/Al/ITO), APC 합금 및 APC 합금과 ITO의 적층구조(ITO/APC/ITO)와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APC 합금은 은(Ag), 팔라듐(Pd) 및/또는 구리(Cu)의 합금이다.
유기발광소자는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산소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기에, 봉지층(미도시)이 이러한 유기발광소자를 덮어 이들을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봉지층은 디스플레이영역을 덮으며 주변영역의 적어도 일부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봉지층은 제1무기봉지층, 유기봉지층 및 제2무기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무기봉지층과 제2무기봉지층은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봉지층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1-1발광층(311a)과 제1-2발광층(312a) 등은 잉크젯 프린팅법으로 형성한다. 즉, 화소정의막(150)에 의해 노출된 제1-1화소전극(311)의 제1-1노출상면(ETS1-1)과 제1-2화소전극(312)의 제1-2노출상면(ETS1-2) 상에 잉크젯 프린팅법으로 발광층 형성용 물질을 위치시켜, 제1-1발광층(311a)과 제1-2발광층(312a)을 형성한다. 이때 복수개의 노즐들을 가진 잉크젯 프린팅 장치를 이용하여 제1-1발광층(311a)과 제1-2발광층(312a)을 동시에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하나의 화소에 하나의 노즐이 위치하여 발광층이 형성되기에, 제1-1발광층(311a)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을 토출하는 노즐과 제1-2발광층(312a)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을 토출하는 노즐이 상이하게 된다.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각 화소의 크기가 작기에, 하나의 화소에 복수개의 노즐들이 동시에 위치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제1-1발광층(311a)과 제1-2발광층(312a)을 형성할 시, 제1-1발광층(311a)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을 토출하는 노즐과 제1-2발광층(312a)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을 토출하는 노즐이 상이하게 된다. 한편, 제1-1발광층(311a)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을 토출하는 노즐의 토출량과, 제1-2발광층(312a)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을 토출하는 노즐의 토출량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적인 노즐들의 경우 동일한 사전설정된 양으로 물질을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실제 노즐들의 경우에는 토출량에 오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1-1발광층(311a)을 형성하기 위해 토출되는 물질의 양과 제1-2발광층(312a)을 형성하기 위해 토출되는 물질의 양이 상이할 수 있다. 이는 결국 제1-1발광층(311a)의 두께와 제1-2발광층(312a)의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 경우,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가 완료된 후 제1-1화소(PX1-1)와 제1-2화소(PX1-2)에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된다 하더라도, 제1-1화소(PX1-1)에서의 휘도와 제1-2화소(PX1-2)에서의 휘도는 상이하게 된다.
도 3은 종래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적색화소들만을 발광시키는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의 가로축과 세로축의 숫자는 디스플레이영역 내에서의 화소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숫자이다. 도 3의 경우는, 적색화소들에서 동일한 휘도의 광을 방출하도록 하기 위해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적색화소들에 인가된 경우이다. 하지만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적색 이미지에는 세로 줄무늬가 나타나게 된다.
세로 줄무늬는 일 열(column)에서의 발광층들의 두께와 인접 열(column)에서의 발광층들의 두께가 상이하기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적색 발광층을 잉크젯 프린팅법으로 형성할 시, 노즐을 기판에 대해 또는 기판을 노즐에 대해 상대적으로 (도 3에서의) 세로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동일한 노즐에 의해 형성된 일 열(column)에 위치한 적색화소들의 발광층들의 두께는 동일하지만, 일 열의 적색화소들의 발광층들의 두께와 인접 열의 적색화소들의 발광층들의 두께는 오차에 의해 상이하게 될 수 있다. 이는 각 열의 적색화소들의 발광층들은 동일한 노즐에서 토출된 물질로 형성되지만, 일 열의 적색화소들의 발광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노즐과 다른 열의 적색화소들의 발광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노즐은 상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적색화소들만을 발광시키는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인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도 3에서와 같은 줄무늬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종래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화소정의막(150)은 제1-1화소전극(311)의 가장자리와 제1-2화소전극(312)의 가장자리를 덮어, 제1-1화소전극(311)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1노출상면(ETS1-1)과 제1-2화소전극(312)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2노출상면(ETS1-2)을 정의한다. 이때, 화소정의막(150)은 제1-2노출상면(ETS1-2)의 제1-2면적(A1-2)이 제1-1노출상면(ETS1-1)의 제1-1면적(A1-1)과 상이하도록 정의한다.
제1-2노출상면(ETS1-2)의 제1-2면적(A1-2)이 제1-1노출상면(ETS1-1)의 제1-1면적(A1-1)과 상이할 경우, 동일한 양의 발광층 형성용 물질이 제1-1노출상면(ETS1-1)과 제1-2노출상면(ETS1-2)에 공급되더라도, 형성되는 제1-1발광층(311a)의 두께와 제1-2발광층(312a)의 두께가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제1-1화소(PX1-1)와 제1-2화소(PX1-2)에 인가되더라도, 제1-1화소(PX1-1)에서의 휘도와 제1-2화소(PX1-2)에서의 휘도가 상이하게 된다. 그러므로 동일한 노즐을 이용하여 동일한 열에 위치한 제1-1화소(PX1-1)의 제1-1발광층(311a)과 제1-2화소(PX1-2)의 제1-2발광층(312a)을 형성하더라도, 해당 열의 화소들에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시 화소들이 서로 살짝 상이한 휘도의 광을 방출하게 되며, 그 결과 그 열에 의해 줄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화소정의막(150)은 제1-2노출상면(ETS1-2)의 제1-2면적(A1-2)이 제1-1노출상면(ETS1-1)의 제1-1면적(A1-1)과 상이하도록 정의한다. 나아가, 화소정의막(150)은 제1-3노출상면(ETS1-3)의 제1-3면적(A1-3)이 제1-1노출상면(ETS1-1)의 제1-1면적(A1-1) 및 제1-2노출상면(ETS1-2)의 제1-2면적(A1-2)과 상이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제1-2면적(A1-2)은 제1-1면적(A1-1)보다 좁고, 제1-3면적(A1-3)은 제1-1면적(A1-1)보다 넓을 수 있다. 이렇게 제1파장대역의 광을 방출하는 세 개의 화소들(PX1-1, PX1-2, PX1-3)이 서로 상이한 면적의 노출상면들을 갖도록 함으로써, 이 세 화소들이 속하는 일 열의 화소들에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시 화소들이 서로 살짝 상이한 휘도의 광을 방출하게 하며, 그 결과 그 열에 의해 줄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제1-2면적(A1-2)은 제1-1면적(A1-1)의 97%이고, 제1-3면적(A1-3)은 제1-1면적(A1-1)의 103%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2발광층(312a)의 두께는 제1-1발광층(311a)의 두께의 95%가 되고, 제1-3발광층(313a)의 두께는 제1-1발광층(311a)의 두께의 105%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화소에 발광층을 형성할 시 상이한 노즐들을 이용하여 2회에 걸쳐 발광층 형성용 물질을 위치시킴으로써, 노즐들의 토출량 오차에 따른 줄무늬 얼룩 발생 확률을 낮추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 하나의 화소에 발광층을 형성할 시 2회에 걸쳐 잉크젯 프린팅을 해야 하기에, 제조시간이 급격하게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하나의 노즐을 이용하여 한 번에 하나의 화소에 발광층을 형성함으로써, 신속하게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그와 동시에 전술한 것과 같이 상이한 면적의 노출상면들이 랜덤하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고품질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가능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1화소, 제2-2화소 및 제2-3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들은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화소들일 수 있다. 제1파장대역은 예컨대 적색광이 속하는 파장대역이고, 제2파장대역은 예컨대 녹색광이 속하는 파장대역일 수 있다. 제2-1화소에는 제2-1화소전극(321)이 위치하고, 제2-2화소에는 제2-2화소전극(322)이 위치하며, 제2-3화소에는 제2-3화소전극(323)이 위치한다. 제2-1화소전극(321) 상부에는 제2-1발광층이 위치하고, 제2-2화소전극(322) 상부에는 제2-2발광층이 위치하며, 제2-3화소전극(323) 상부에는 제2-3발광층이 위치한다. 제2-1발광층, 제2-2발광층 및 제2-3발광층은 모두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대향전극(303)은 2-1발광층, 제2-2발광층 및 제2-3발광층 상부에 위치한다.
화소정의막(150)은 제2-1화소전극(321)의 가장자리와 제2-2화소전극(322)의 가장자리와 제2-3화소전극(323)의 가장자리를 덮어, 제2-1화소전극(321)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2-1노출상면(ETS2-1)과 제2-2화소전극(322)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2-2노출상면(ETS2-2)과 제2-3화소전극(323)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2-3노출상면(ETS2-3)을 정의한다. 이때, 제2-2노출상면(ETS2-2)의 제2-2면적(A2-2)이 제2-1노출상면(ETS2-1)의 제2-1면적(A2-1)과 상이하도록 정의한다.
제2-2노출상면(ETS2-2)의 제2-2면적(A2-2)이 제2-1노출상면(ETS2-1)의 제2-1면적(A2-1)과 상이할 경우, 동일한 양의 발광층 형성용 물질이 제2-1노출상면(ETS2-1)과 제2-2노출상면(ETS2-2)에 공급되더라도, 형성되는 제2-1발광층의 두께와 제2-2발광층의 두께가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제2-1화소와 제2-2화소에 인가되더라도, 제2-1화소에서의 휘도와 제2-2화소에서의 휘도가 상이하게 된다. 그러므로 동일한 노즐을 이용하여 동일한 열에 위치한 제2-1화소의 제2-1발광층과 제2-2화소의 제2-2발광층을 형성하더라도, 해당 열의 화소들에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시 화소들이 서로 살짝 상이한 휘도의 광을 방출하게 되며, 그 결과 그 열에 의해 줄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화소정의막(150)은 제2-2노출상면(ETS2-2)의 제2-2면적(A2-2)이 제2-1노출상면(ETS2-1)의 제2-1면적(A2-1)과 상이하도록 정의한다. 나아가, 화소정의막(150)은 제2-3노출상면(ETS2-3)의 제2-3면적(A2-3)이 제2-1노출상면(ETS2-1)의 제2-1면적(A2-1) 및 제2-2노출상면(ETS2-2)의 제2-2면적(A2-2)과 상이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2면적(A2-2)은 제2-1면적(A2-1)보다 좁고, 제2-3면적(A2-3)은 제2-1면적(A2-1)보다 넓을 수 있다. 이렇게 제2파장대역의 광을 방출하는 세 개의 화소들이 서로 상이한 면적의 노출상면들을 갖도록 함으로써, 이 세 화소들이 속하는 일 열의 화소들에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시 화소들이 서로 살짝 상이한 휘도의 광을 방출하게 하며, 그 결과 그 열에 의해 줄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종래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녹색화소들만을 발광시키는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의 가로축과 세로축의 숫자는 디스플레이영역 내에서의 화소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숫자이다. 도 5의 경우는, 녹색화소들에서 동일한 휘도의 광을 방출하도록 하기 위해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녹색화소들에 인가된 경우이다. 하지만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녹색 이미지에는 세로 줄무늬가 나타나게 된다.
세로 줄무늬는 일 열(column)에서의 발광층들의 두께와 인접 열(column)에서의 발광층들의 두께가 상이하기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녹색 발광층을 잉크젯 프린팅법으로 형성할 시, 노즐을 기판에 대해 또는 기판을 노즐에 대해 상대적으로 (도 5에서의) 세로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동일한 노즐에 의해 형성된 일 열(column)에 위치한 녹색화소들의 발광층들의 두께는 동일하지만, 일 열의 녹색화소들의 발광층들의 두께와 인접 열의 녹색화소들의 발광층들의 두께는 오차에 의해 상이하게 될 수 있다. 이는 각 열의 녹색화소들의 발광층들은 동일한 노즐에서 토출된 물질로 형성되지만, 일 열의 녹색화소들의 발광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노즐과 다른 열의 녹색화소들의 발광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노즐은 상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술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녹색화소들만을 발광시키는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인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도 5에서와 같은 줄무늬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종래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1-1면적(A1-1)에 대한 제1-2면적(A1-2)의 비는, 제2-1면적(A2-1)에 대한 제2-2면적(A2-2)의 비와 같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 예컨대 적색광과,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 예컨대 녹색광 사이에서 색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3면적(A1-3)에 대한 제1-1면적(A1-1)의 비가 제2-3면적(A2-3)에 대한 제2-1면적(A2-1)의 비와 같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2면적(A1-2)에서 제1-1면적(A1-1)으로의 면적 증가율이, 제1-1면적(A1-1)에서 제1-3면적(A1-3)으로의 면적 증가율과 같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일 열에 속한 제1-1화소(PX1-1), 제1-2화소(PX1-2) 및 제1-3화소(PX1-3)에서의 휘도 편차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이미지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것처럼, 도 2에서 x축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열되어 동일한 파장대역에 속하는 광을 방출하는 화소들에 있어서, 화소전극들의 화소정의막(15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부분들의 면적이 상이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y축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파장대역에 속하는 광을 방출하는 화소들에 있어서도, 화소전극들의 화소정의막(15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부분들의 면적이 상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좌상단에 위치한 제1-2화소전극(312)은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2노출상면(ETS1-2)을 갖고, 그 제1-2화소전극(312)으로부터 y축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며 동일한 파장대역에 속하는 광을 방출하는 화소의 화소전극인 제1-3화소전극(313)은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3노출상면(ETS1-3)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1-2노출상면(ETS1-2)과 제1-3노출상면(ETS1-3)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러한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이미지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물론 필요하다면, y축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파장대역에 속하는 광을 방출하는 화소들에 있어서도, 화소전극들의 화소정의막(15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부분들의 면적이 상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좌상단에 위치한 제1-2화소전극(312)은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2노출상면(ETS1-2)을 갖고, 그 제1-2화소전극(312)으로부터 y축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며 상이한 파장대역에 속하는 광을 방출하는 화소의 화소전극인 제2-3화소전극(323)은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2-3노출상면(ETS2-3)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1-2노출상면(ETS1-2)과 제2-3노출상면(ETS2-3)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도 2에서 R로 표시된 열들에 위치한 적색광을 방출하는 화소들, 그리고 도 2에서 G로 표시된 열들에 위치한 녹색광을 방출하는 화소들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는 도 2에서 B로 표시된 열에 위치한 청색광을 방출하는 화소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00) 상에 위치한 복수개의 제1화소전극들(311, 312, 313), 화소정의막(150), 제1발광층들(311a, 312a, 313a) 및 대향전극(303)을 구비한다. 화소정의막(150)은 복수개의 제1화소전극들(311, 312, 313) 각각의 가장자리를 덮어, 복수개의 제1화소전극들(311, 312, 313) 각각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노출상면들(ETS1-1, ETS1-2, ETS1-3)을 정의한다. 제1발광층들(311a, 312a, 313a)은 복수개의 제1화소전극들(311, 312, 313) 상에 위치하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한다. 대향전극(303)은 제1발광층들(311a, 312a, 313a) 상에 위치한다.
이때 제1노출상면들(ETS1-1, ETS1-2, ETS1-3) 중 일부는 제1-1면적(A1-1)을 갖고, 제1노출상면들(ETS1-1, ETS1-2, ETS1-3) 중 다른 일부는 제1-1면적(A1-1)과 상이한 제1-2면적(A1-2)을 갖는다. 예컨대 제1-2면적(A1-2)은 제1-1면적(A1-1)보다 좁을 수 있다. 그리고 제1노출상면들(ETS1-1, ETS1-2, ETS1-3) 중 제1-1면적(A1-1)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제1노출상면들(ETS1-1, ETS1-2, ETS1-3) 중 제1-2면적(A1-2)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다.
제1발광층들(311a, 312a, 313a)을 형성할 시, 잉크젯 프린팅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잉크젯 프린팅법에 사용되는 노즐들 각각이 토출하는 물질의 양이 모두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적인 노즐들의 경우 동일한 사전설정된 양으로 물질을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실제 노즐들의 경우에는 토출량에 오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노즐들의 토출량이 달라지게 되면 형성되는 발광층들의 두께가 달라지게 되며, 발광층들의 두께가 달라지게 되면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된다 하더라도 발광층들에서의 휘도가 달라지게 된다.
도 3은 종래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적색화소들만을 발광시키는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의 가로축과 세로축의 숫자는 디스플레이영역 내에서의 화소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숫자이다. 도 3의 경우는, 적색화소들에서 동일한 휘도의 광을 방출하도록 하기 위해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적색화소들에 인가된 경우이다. 하지만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적색 이미지에는 세로 줄무늬가 나타나게 된다.
세로 줄무늬는 일 열(column)에서의 발광층들의 두께와 인접 열(column)에서의 발광층들의 두께가 상이하기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적색 발광층을 잉크젯 프린팅법으로 형성할 시, 노즐을 기판에 대해 또는 기판을 노즐에 대해 상대적으로 (도 3에서의) 세로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동일한 노즐에 의해 형성된 일 열(column)에 위치한 적색화소들의 발광층들의 두께는 동일하지만, 일 열의 적색화소들의 발광층들의 두께와 인접 열의 적색화소들의 발광층들의 두께는 오차에 의해 상이하게 될 수 있다. 이는 각 열의 적색화소들의 발광층들은 동일한 노즐에서 토출된 물질로 형성되지만, 일 열의 적색화소들의 발광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노즐과 다른 열의 적색화소들의 발광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노즐은 상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적색화소들만을 발광시키는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인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도 3에서와 같은 줄무늬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제1노출상면들(ETS1-1, ETS1-2, ETS1-3) 중 일부는 제1-1면적(A1-1)을 갖고, 제1노출상면들(ETS1-1, ETS1-2, ETS1-3) 중 다른 일부는 제1-1면적(A1-1)과 상이한 제1-2면적(A1-2)을 가지며, 제1노출상면들(ETS1-1, ETS1-2, ETS1-3) 중 제1-1면적(A1-1)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제1노출상면들(ETS1-1, ETS1-2, ETS1-3) 중 제1-2면적(A1-2)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기 때문이다.
동일한 열에 위치한 화소들이라 하더라도, 일부는 제1-1면적(A1-1)을 갖고, 다른 일부는 제1-1면적(A1-1)과 상이한 제1-2면적(A1-2)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노즐에 의해 발광층이 형성된 동일한 열에 위치한 화소들이라 하더라도,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더라도 그 휘도가 살짝 상이하게 된다. 특히 복수개의 열들에 있어서 제1노출상면들(ETS1-1, ETS1-2, ETS1-3) 중 제1-1면적(A1-1)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제1노출상면들(ETS1-1, ETS1-2, ETS1-3) 중 제1-2면적(A1-2)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기에, 디스플레이영역 전체에 있어서 줄무늬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면서도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노출상면들(ETS1-1, ETS1-2, ETS1-3) 중 일부는 제1-1면적(A1-1)을 갖고, 제1노출상면들(ETS1-1, ETS1-2, ETS1-3) 중 다른 일부는 제1-1면적(A1-1)과 상이한 제1-2면적(A1-2)을 가지며, 나아가 제1노출상면들(ETS1-1, ETS1-2, ETS1-3) 중 또 다른 일부는 제1-1면적(A1-1) 및 제1-2면적(A1-2)과 상이한 제1-3면적(A1-3)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제1노출상면들(ETS1-1, ETS1-2, ETS1-3) 중 제1-1면적(A1-1)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제1노출상면들(ETS1-1, ETS1-2, ETS1-3) 중 제1-2면적(A1-2)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제1노출상면들(ETS1-1, ETS1-2, ETS1-3) 중 제1-3면적(A1-3)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도록 하여, 디스플레이영역 전체에 있어서 줄무늬가 나타나지 않으면서도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00)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화소전극들(321, 322, 323)을 구비하고, 이 제2화소전극들(321, 322, 323) 상에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제2발광층들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은 예컨대 녹색광일 수 있다. 이때, 화소정의막(150)은 복수개의 제2화소전극들(321, 322, 323) 각각의 가장자리를 덮어, 복수개의 제2화소전극들(321, 322, 323) 각각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2노출상면들(ETS2-1, ETS2-2, ETS2-3)을 정의한다.
이때 제2노출상면들(ETS2-1, ETS2-2, ETS2-3) 중 일부는 제2-1면적(A2-1)을 갖고, 제2노출상면들(ETS2-1, ETS2-2, ETS2-3) 중 다른 일부는 제2-1면적(A2-1)과 상이한 제2-2면적(A2-2)을 갖는다. 예컨대 제2-2면적(A2-2)은 제2-1면적(A2-1)보다 좁을 수 있다. 그리고 제2노출상면들(ETS2-1, ETS2-2, ETS2-3) 중 제2-1면적(A2-1)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제2노출상면들(ETS2-1, ETS2-2, ETS2-3) 중 제2-2면적(A2-2)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다. 이를 통해 잉크젯 프린팅법으로 제2발광층들을 형성하더라도, 도 5와 같은 줄무늬 얼룩이 나타나는 종래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도 6에서와 같이 줄무늬 얼룩이 없는 고품질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제2노출상면들(ETS2-1, ETS2-2, ETS2-3) 중 일부는 제2-1면적(A2-1)을 갖고, 제2노출상면들(ETS2-1, ETS2-2, ETS2-3) 중 다른 일부는 제2-1면적(A2-1)과 상이한 제2-2면적(A2-2)을 가지며, 나아가 제2노출상면들(ETS2-1, ETS2-2, ETS2-3) 중 또 다른 일부는 제2-1면적(A2-1) 및 제2-2면적(A2-2)과 상이한 제2-3면적(A2-3)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제2노출상면들(ETS2-1, ETS2-2, ETS2-3) 중 제2-1면적(A2-1)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제2노출상면들(ETS2-1, ETS2-2, ETS2-3) 중 제2-2면적(A2-2)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제2노출상면들(ETS2-1, ETS2-2, ETS2-3) 중 제2-3면적(A2-3)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도록 하여, 디스플레이영역 전체에 있어서 줄무늬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면서도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1-1면적(A1-1)에 대한 제1-2면적(A1-2)의 비가 제2-1면적(A2-1)에 대한 제2-2면적(A2-2)의 비와 같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 예컨대 적색광과,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 예컨대 녹색광 사이에서 색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인 도 7과, 도 7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인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7은 도 8의 VII-V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요소들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편의상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 개의 화소들 각각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박막트랜지스터들의 구성요소들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달리, 동일한 zx 평면 내에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제1-2박막트랜지스터(212)의 제1-2게이트전극(212b), 제1-2소스전극(212c) 및 제1-2드레인전극(212d) 모두가 동일한 zx 평면 내에 위치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어느 하나의 zx 평면 내에는 제1-2게이트전극(212b)과 제1-2소스전극(212c)만이 나타나고 제1-2드레인전극(212d)이 보이지 않을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영역 내에 복수개의 화소들이 위치한다. 참고로 도 7에서는 제1-1박막트랜지스터(211)가 제1-1화소(PX1-1)에 위치하고, 제1-2박막트랜지스터(212)가 제1-2화소(PX1-2)에 위치하며, 제1-3박막트랜지스터(213)가 제1-3화소(PX1-3)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1-1화소(PX1-1)에 위치하는 제1-1화소전극(311)이 제1-1박막트랜지스터(2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2화소(PX1-2)에 위치하는 제1-2화소전극(312)이 제1-2박막트랜지스터(2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3화소(PX1-3)에 위치하는 제1-3화소전극(313)이 제1-3박막트랜지스터(2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1-1화소(PX1-1), 제1-2화소(PX1-2) 및 제1-3화소(PX1-3)는 동일한 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1화소(PX1-1), 제1-2화소(PX1-2) 및 제1-3화소(PX1-3)는 제3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는 다른 화소들도 마찬가지이다. 제3파장대역은 450nm 내지 495nm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파장대역은 이와 상이한 파장대역일 수 있다.
기판(100)의 디스플레이영역 내에 있어서, 평탄화층(140) 상에는 제1-1화소전극(311)과 제1-2화소전극(312)이 위치한다. 평탄화층(140) 상에 위치하는 제1-1화소전극(311)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탄화층(140) 등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제1-1소스전극(211c) 및 제1-1드레인전극(211d) 중 어느 하나와 컨택하여 제1-1박막트랜지스터(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평탄화층(140) 상에 위치하는 제1-2화소전극(312)도 마찬가지로 평탄화층(140) 등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제1-2소스전극(212c) 및 제1-2드레인전극(212d) 중 어느 하나와 컨택하여 제1-2박막트랜지스터(2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향전극(303)을 통해 광을 외부로 방출하는 상부발광(top emission)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따라서 화소전극들(311, 312, 313)은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구조(ITO/Al/ITO), 은과 ITO의 적층구조(ITO/Ag/ITO), APC 합금, APC 합금과 ITO의 적층구조(ITO/APC/ITO)와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PC 합금은 은(Ag), 팔라듐(Pd) 및/또는 구리(Cu)의 합금이다.
평탄화층(140) 상부에는 화소정의막(1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화소정의막(150)은 각 부화소들에 대응하는 개구를 가짐으로써, 화소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즉, 화소정의막(150)은 제1-1화소전극(311)의 가장자리와 제1-2화소전극(312)의 가장자리와 제1-3화소전극(313)의 가장자리를 덮는다. 화소정의막(150)은 제1-1화소전극(311) 등의 가장자리와 제1-1화소전극(311) 등의 상부의 대향전극(303)과의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제1-1화소전극(311) 등의 가장자리에서 아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310)은 제1-1화소전극(311) 내지 제1-3화소전극(313) 상에 일체(一體)로 형성될 수 있고, 중간층(310) 상의 대향전극(303) 역시 제1-1화소전극(311) 내지 제1-3화소전극(313)에 걸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310)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310)이 저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 잉크젯 프린팅법이나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310)이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 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방법, 증착법, 잉크젯 프린팅법 또는 레이저열전사방법(LITI; Laser induced thermal imaging)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310)은 전술한 것과 같이 제1-1화소전극(311) 내지 제1-3화소전극(313)에 걸쳐서 일체인 층을 포함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제1-1화소전극(311) 내지 제1-3화소전극(313) 각각에 대응하도록 패터닝된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이든, 중간층(310)은 제3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발광층을 포함한다. 이 발광층은 제1-1화소전극(311) 내지 제1-3화소전극(313)에 걸쳐서 일체일 수도 있고, 필요하다면 제1-1화소전극(311) 내지 제1-3화소전극(313) 각각에 대응하도록 패터닝될 수도 있다.
대향전극(303)은 디스플레이영역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대향전극(303)은 복수개의 유기발광소자들에 있어서 일체(一體)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화소전극들(311, 312, 313)들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부 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이기에, 대향전극(303)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는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산소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기에, 봉지층(미도시)이 이러한 유기발광소자를 덮어 이들을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봉지층은 디스플레이영역을 덮으며 주변영역의 적어도 일부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봉지층은 제1무기봉지층, 유기봉지층 및 제2무기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기판(400)은 기판(100) 상부에 위치하여, 대향전극(303)이 상부기판(400)과 기판(100) 사이에 개재되도록 한다. 상부기판(400)은 글라스, 금속 또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부기판(400)이 플렉서블 또는 벤더블 특성을 갖는다면, 상부기판(400)은 예컨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부기판(400)은 각각 이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두 개의 층들과 그 층들 사이에 개재된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부기판(400)은 기판(100) 방향(-z 방향)의 하면(400b)에 제1-1홈 내지 제1-3홈을 갖는다. 제1-1홈 내지 제1-3홈은 제1-1화소전극(311) 내지 제1-3화소전극(313)에 대응한다. 제1-1홈 내지 제1-3홈이 제1-1화소전극(311) 내지 제1-3화소전극(313)에 대응한다는 것은, 상부기판(400)에 수직인 방향(z축 방향)에서 바라볼 시, 제1-1홈은 제1-1화소전극(311)과 중첩하고, 제1-2홈은 제1-2화소전극(312)과 중첩하며, 제1-3홈은 제1-3화소전극(313)과 중첩한다는 의미이다. 이때, 제1-1홈의 (+z 방향) 저면의 면적은 제1-2홈의 (+z 방향) 저면의 면적과 상이하다.
상부기판(400)의 제1-1홈 내지 제1-3홈 각각의 내측면은, 상부기판(400)의 하면(400b)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이때, 상부기판(400)의 하면(400b)에 평행한 가상의 평면(xy평면)에 의한 제1-1홈 내지 제1-3홈 각각의 단면의 면적은, 상부기판(400)의 하면(400b)에서 상면(400a)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제1-1홈 내지 제1-3홈 내에는 반사층(403)이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층(403)은 제1-1홈 내지 제1-3홈의 내측면 상에 위치한다. 이러한 반사층(403)은 Al 또는 Ag 등과 같은 반사성을 갖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사층(403)은 제1-1홈 내지 제1-3홈 내에만 위치하지 않고, 상부기판(400)의 기판(100) 방향의 하면(400b) 상에도 위치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층(403)은 상부기판(400)의 하면(400b) 중 제1-1홈 내지 제1-3홈 외측의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이러한 반사층(403)은 제1-1홈의 (+z 방향의) 제1-1저면, 제1-2홈의 (+z 방향의) 제1-2저면 및 제1-3홈의 (+z 방향의) 제1-3저면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덮지 않는다.
제1-1홈에는 제1-1칼라필터층(411)과 제1-1색 양자점층(411a)이 위치한다. 제1-2홈에는 제1-2칼라필터층(412)과 제1-2색 양자점층(412a)이 위치한다. 제1-3홈에는 제1-3칼라필터층(413)과 제1-3색 양자점층(413a)이 위치한다. 물론 제1-1화소(PX1-1), 제1-2화소(PX1-2) 및 제1-3화소(PX1-3) 외의 제2-1화소, 제2-2화소 및 제2-3화소에 대응하는 제2-1홈 내지 제2-3홈에는 제2-1칼라필터층 내지 제2-3칼라필터층과 제2-1색 양자점층 내지 제2-3색 양자점층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의 제3-1화소, 제3-2화소 및 제3-3화소에 대응하는 제3-1홈 내지 3-3홈에는 제3-1칼라필터층 내지 제3-3칼라필터층이 위치할 수 있다.
제1-1칼라필터층(411) 내지 제1-3칼라필터층(413)은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파장대역은 630nm 내지 780nm일 수 있다. 제2-1칼라필터층 내지 제2-3칼라필터층은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파장대역은 495nm 내지 570nm일 수 있다. 제3-1칼라필터층 내지 제3-3칼라필터층은 제3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3파장대역은 450nm 내지 495nm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파장대역, 제2파장대역 및 제3파장대역은 이와 상이한 파장대역들일 수 있다.
제1-1칼라필터층(411) 내지 제1-3칼라필터층(413), 제2-1칼라필터층 내지 제2-3칼라필터층 및 제3-1칼라필터층 내지 제3-3칼라필터층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외광반사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외광이 제1-1칼라필터층(411) 내지 제1-3칼라필터층(413)에 도달하면 상술한 것과 같은 사전설정된 파장의 광만 제1-1칼라필터층(411) 내지 제1-3칼라필터층(413)을 통과하고 그 외의 파장의 광은 제1-1칼라필터층(411) 내지 제1-3칼라필터층(413)에 흡수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사한 외광 중 상술한 것과 같은 사전설정된 파장의 광만 제1-1칼라필터층(411) 내지 제1-3칼라필터층(413)을 통과하고 또 그 일부가 그 하부의 대향전극(303) 또는 제1-1화소전극(311) 내지 제1-3화소전극(313)에서 반사되어, 다시 외부로 방출된다. 결국 제1-1화소(PX1-1), 제1-2화소(PX1-2) 및 제1-3화소(PX1-3)가 위치하는 곳에 입사하는 외광 중 일부만 외부로 반사되기에, 외광 반사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설명은 제2-1칼라필터층 내지 제2-3칼라필터층 및 제3-1칼라필터층 내지 제3-3칼라필터층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1-1색 양자점층(411a) 내지 제1-3색 양자점층(413a)은 제1-1화소전극(311) 내지 제1-3화소전극(313) 상의 중간층(310)에서 생성된 제3파장대역의 광을 제1파장대역의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1화소전극(311) 내지 제1-3화소전극(313) 상의 중간층(310)에서 450nm 내지 495nm에 속하는 파장의 광이 생성되면, 제1-1색 양자점층(411a) 내지 제1-3색 양자점층(413a)은 이 광을 630nm에서 780nm에 속하는 파장의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1화소(PX1-1) 내지 제1-3화소(PX1-3)에서는 630nm에서 780nm에 속하는 파장의 광이 상부기판(40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제2-1색 양자점층 내지 제2-3색 양자점층은 제2-1화소전극 내지 제2-3화소전극 상의 중간층(310)에서 생성된 제3파장대역의 광을 제2파장대역의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1화소전극 내지 제2-3화소전극 상의 중간층(310)에서 450nm 내지 495nm에 속하는 파장의 광이 생성되면, 제2-1색 양자점층 내지 제2-3색 양자점층은 이 광을 495nm 내지 570nm에 속하는 파장의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1화소 내지 제2-3화소(PX1-3)에서는 495nm 내지 570nm에 속하는 파장의 광이 상부기판(40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제1-1색 양자점층(411a) 내지 제1-3색 양자점층(413a) 각각, 그리고 제2-1색 양자점층 내지 제2-3색 양자점층 각각은, 각각은 수지 내에 양자점들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양자점은 카드뮴설파이드(CdS), 카드늄텔루라이드(CdTe), 징크설파이드(ZnS) 또는 인듐포스파이드(InP) 등의 반도체 물질을 포함한다. 양자점은 그 크기가 수 나노미터일 수 있으며, 양자점의 사이즈에 따라 변환 후의 광의 파장이 달라지게 된다. 제1-1색 양자점층(411a) 내지 제1-3색 양자점층(413a)과 제2-1색 양자점층 내지 제2-3색 양자점층이 포함하는 수지는 투광성 물질이라면 어떤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아크릴, BCB(Benzocyclobutene)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제1-1색 양자점층(411a) 내지 제1-3색 양자점층(413a)과 제2-1색 양자점층 내지 제2-3색 양자점층 형성용 물질로 이용할 수 있다.
제3-1화소, 제3-2화소 및 제3-3화소에 대응하는 제3-1홈 내지 제3-3홈에는 제3-1칼라필터층 내지 제3-3칼라필터층이 위치하지만, 양자점층들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1화소, 제3-2화소 및 제3-3화소에 대응하는 제3-1홈 내지 제3-3홈 내에는 투광성 수지로 형성된 투광층들이 위치하게 된다. 투광층은 아크릴, BCB(Benzocyclobutene)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제3-1화소, 제3-2화소 및 제3-3화소에 대응하는 홈들 내에 투광층들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1화소(PX1-1), 제1-2화소(PX1-2) 및 제1-3화소(PX1-3)에서는 제1파장대역의 광이 외부로 방출되고, 제2-1화소, 제2-2화소 및 제2-3화소에서는 제2파장대역의 광이 외부로 방출되며, 제3-1화소, 제3-2화소 및 제3-3화소에서는 제3파장대역의 광이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풀컬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1칼라필터층(411) 내지 제1-3칼라필터층(413)은 잉크젯 프린팅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부기판(400)에 형성된 제1-1홈 내지 제1-3홈 내에 잉크젯 프린팅법으로 칼라필터층 형성용 물질을 위치시켜, 제1-1칼라필터층(411) 내지 제1-3칼라필터층(413)을 형성한다. 이때 복수개의 노즐들을 가진 잉크젯 프린팅 장치를 이용하여 제1-1칼라필터층(411) 내지 제1-3칼라필터층(413)을 동시에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하나의 홈에 하나의 노즐이 위치하여 칼라필터층이 형성되기에, 제1-1칼라필터층(411)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을 토출하는 노즐과 제1-2칼라필터층(412)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을 토출하는 노즐이 상이하게 된다.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각 화소의 크기가 작기에, 하나의 화소에 대응하는 하나의 홈에 복수개의 노즐들이 동시에 위치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제1-1칼라필터층(411) 내지 제1-3칼라필터층(413)을 형성할 시, 제1-1칼라필터층(411)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을 토출하는 노즐과 제1-2칼라필터층(412)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을 토출하는 노즐이 상이하게 된다. 한편, 제1-1칼라필터층(411)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을 토출하는 노즐의 토출량과, 제1-2칼라필터층(412)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을 토출하는 노즐의 토출량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적인 노즐들의 경우 동일한 사전설정된 양으로 물질을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실제 노즐들의 경우에는 토출량에 오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1-1칼라필터층(411a)을 형성하기 위해 토출되는 물질의 양과 제1-2칼라필터층(412a)을 형성하기 위해 토출되는 물질의 양이 상이할 수 있다. 이는 결국 제1-1칼라필터층(411a)의 두께와 제1-2칼라필터층(412a)의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가 완료된 후 제1-1화소(PX1-1)와 제1-2화소(PX1-2)에서의 외광반사가 줄어드는 정도가 상이하게 된다. 또한, 제1-1화소(PX1-1)와 제1-2화소(PX1-2)에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된다 하더라도, 제1-1화소(PX1-1)에서의 휘도와 제1-2화소(PX1-2)에서의 휘도가 상이하게 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적색화소들만 동일한 휘도의 광을 방출하도록 발광시키더라도,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하는 적색 이미지에 세로 줄무늬가 나타날 수 있다.
세로 줄무늬는 일 열(column)에서의 칼라필터층들의 두께와 인접 열(column)에서의 칼라필터층들의 두께가 상이하기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적색 칼라필터층을 잉크젯 프린팅법으로 형성할 시, 노즐을 상부기판에 대해 또는 상부기판을 노즐에 대해 상대적으로 (도 3에서의) 세로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동일한 노즐에 의해 형성된 일 열(column)에 위치한 적색화소들의 칼라필터층들ㄷ의 두께는 동일하지만, 일 열의 적색화소들의 칼라필터층들의 두께와 인접 열의 적색화소들의 칼라필터층들의 두께는 오차에 의해 상이하게 될 수 있다. 이는 각 열의 적색화소들의 칼라필터층들은 동일한 노즐에서 토출된 물질로 형성되지만, 일 열의 적색화소들의 칼라필터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노즐과 다른 열의 적색화소들의 칼라필터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노즐은 상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적색화소들만을 발광시키는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인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도 3에서와 같은 줄무늬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제1-1홈의 (+z 방향) 저면의 면적은 제1-2홈의 (+z 방향) 저면의 면적과 상이하다. 이에 따라 제1-1칼라필터(411)의 기판(100) 방향의 반대 방향(+z 방향)의 상면의 면적인 제1-1면적(A1-1)은 제1-2칼라필터(412)의 기판(100) 방향의 반대 방향(+z 방향)의 상면의 면적인 제1-2면적(A1-2)과 상이하다. 제1-1면적(A1-1)이 제1-2면적(A1-2)과 상이할 경우, 동일한 양의 칼라필터층 형성용 물질이 제1-1홈과 제1-2홈에 공급되더라도, 형성되는 제1-1칼라필터층(411)의 두께와 제1-2칼라필터층(412)의 두께가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제1-1화소(PX1-1)와 제1-2화소(PX1-2)에 인가되더라도, 제1-1화소(PX1-1)에서의 휘도와 제1-2화소(PX1-2)에서의 휘도가 상이하게 된다. 그러므로 동일한 노즐을 이용하여 동일한 열에 위치한 제1-1화소(PX1-1)의 제1-1칼라필터층(411)과 제1-2화소(PX1-2)의 제1-2칼라필터층(412)을 형성하더라도, 해당 열의 화소들에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시 화소들이 서로 살짝 상이한 휘도의 광을 방출하게 되며, 그 결과 그 열에 의해 줄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1-1홈의 (+z 방향) 저면의 면적은 제1-2홈의 (+z 방향) 저면의 면적과 상이하다. 나아가, 제1-3홈의 (+z 방향) 저면의 면적이 제1-1홈의 (+z 방향) 저면의 면적 및 제1-2홈의 (+z 방향) 저면의 면적과 상이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3칼라필터(413)의 기판(100) 방향의 반대 방향(+z 방향)의 상면의 면적인 제1-3면적(A1-3)은 제1-1면적(A1-1) 및 제1-2면적(A1-2)과 상이하다. 예컨대 제1-2면적(A1-2)은 제1-1면적(A1-1)보다 좁고, 제1-3면적(A1-3)은 제1-1면적(A1-1)보다 넓을 수 있다. 이렇게 제1파장대역의 광을 방출하는 세 개의 화소들(PX1-1, PX1-2, PX1-3)에 있어서 칼라필터층들이 서로 상이한 면적을 갖도록 함으로써, 이 세 화소들이 속하는 일 열의 화소들에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시 화소들이 서로 살짝 상이한 휘도의 광을 방출하게 하며, 그 결과 그 열에 의해 줄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제1-2면적(A1-2)은 제1-1면적(A1-1)의 97%이고, 제1-3면적(A1-3)은 제1-1면적(A1-1)의 103%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2칼라필터층(412)의 두께는 제1-1칼라필터층(411)의 두께의 95%가 되고, 제1-3칼라필터층(313)의 두께는 제1-1칼라필터층(411)의 두께의 105%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화소용의 칼라필터층을 형성할 시 상이한 노즐들을 이용하여 2회에 걸쳐 칼라필터층 형성용 물질을 위치시킴으로써, 노즐들의 토출량 오차에 따른 줄무늬 얼룩 발생 확률을 낮추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 하나의 화소용 칼라필터층을 형성할 시 2회에 걸쳐 잉크젯 프린팅을 해야 하기에, 제조시간이 급격하게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하나의 노즐을 이용하여 한 번에 하나의 화소용 칼라필터층을 형성함으로써, 신속하게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그와 동시에 전술한 것과 같이 상이한 면적의 칼라필터층들이 랜덤하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고품질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1화소, 제2-2화소 및 제2-3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들은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화소들일 수 있다. 제1파장대역은 예컨대 적색광이 속하는 파장대역이고, 제2파장대역은 예컨대 녹색광이 속하는 파장대역일 수 있다. 제2-1화소에는 제2-1칼라필터층(421)과 제2-1색 양자점층이 위치하고, 제2-2화소에는 제2-2칼라필터층(422)과 제2-2색 양자점층이 위치하며, 제2-3화소에는 제2-3칼라필터층(423)과 제2-3색 양자점층이 위치한다. 제2-1색칼라필터층(421), 제2-2색칼라필터층(422) 및 제2-3색칼라필터층(423)은 모두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제2-1색 양자점층, 제2-2색 양자점층 및 제2-3색 양자점층은 제3파장대역에 속하는 광을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제2-1칼라필터층(421)의 기판(100) 방향의 반대 방향(+z 방향)의 상면은 제2-1면적(A2-1)을 갖고, 제2-2칼라필터층(422)의 기판(100) 방향의 반대 방향(+z 방향)의 상면은 제2-2면적(A2-2)을 갖는다. 이때 제2-2면적(A2-2)은 제2-1면적(A2-1)과 상이하다.
제2-2면적(A2-2)이 제2-1면적(A2-1)과 상이할 경우, 동일한 양의 칼라필터층 형성용 물질이 공급되더라도, 형성되는 제2-1칼라필터층(421)의 두께와 제2-2칼라필터층(422)의 두께가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제2-1화소와 제2-2화소에 인가되더라도, 제2-1화소에서의 휘도와 제2-2화소에서의 휘도가 상이하게 된다. 그러므로 동일한 노즐을 이용하여 동일한 열에 위치한 제2-1화소의 제2-1칼라필터층(421)과 제2-2화소의 제2-2칼라필터층(422)을 형성하더라도, 해당 열의 화소들에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시 화소들이 서로 살짝 상이한 휘도의 광을 방출하게 되며, 그 결과 그 열에 의해 줄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3화소에 대응하는 제2-3칼라필터(423)의 기판(100) 방향의 반대 방향(+z 방향)의 상면이, 제2-1면적(A2-1) 및 제2-2면적(A2-2)과 상이한 제2-3면적(A2-3)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2-2면적(A2-2)은 제2-1면적(A2-1)보다 좁고, 제2-3면적(A2-3)은 제2-1면적(A2-1)보다 넓을 수 있다. 이렇게 제2파장대역의 광을 방출하는 세 개의 화소들이 서로 상이한 면적의 칼라필터층들을 갖도록 함으로써, 이 세 화소들이 속하는 일 열의 화소들에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시 화소들이 서로 살짝 상이한 휘도의 광을 방출하게 하며, 그 결과 그 열에 의해 줄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1면적(A1-1)에 대한 제1-2면적(A1-2)의 비는, 제2-1면적(A2-1)에 대한 제2-2면적(A2-2)의 비와 같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 예컨대 적색광과,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 예컨대 녹색광 사이에서 색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3면적(A1-3)에 대한 제1-1면적(A1-1)의 비가 제2-3면적(A2-3)에 대한 제2-1면적(A2-1)의 비와 같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2면적(A1-2)에서 제1-1면적(A1-1)으로의 면적 증가율이, 제1-1면적(A1-1)에서 제1-3면적(A1-3)으로의 면적 증가율과 같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일 열에 속한 제1-1화소(PX1-1), 제1-2화소(PX1-2) 및 제1-3화소(PX1-3)에서의 휘도 편차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이미지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것처럼, 도 8에서 x축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열되어 동일한 파장대역에 속하는 광을 방출하는 화소들에 있어서, 칼라필터층들의 기판(100) 방향의 반대 방향(+z 방향)의 상면들의 면적들이 상이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y축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파장대역에 속하는 광을 방출하는 화소들에 있어서도, 칼라필터층들의 기판(100) 방향의 반대 방향(+z 방향)의 상면들의 면적들이 상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예시적으로, 좌상단에 위치한 제1-2화소의 제1-2칼라필터층(412)은 제1-2면적(A1-2)을 갖고, 그 제1-2화소로부터 y축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며 동일한 파장대역에 속하는 광을 방출하는 화소의 칼라필터층인 제1-3칼라필터층(413)은 제1-3면적(A1-3)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러한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이미지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물론 필요하다면, y축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파장대역에 속하는 광을 방출하는 화소들에 있어서도, 칼라필터층들의 면적이 상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에서는 예시적으로, 좌상단에 위치한 제1-2화소의 제1-2칼라필터층(412)은 제1-2면적(A1-2)을 갖고, 제1-2화소로부터 y축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며 상이한 파장대역에 속하는 광을 방출하는 화소의 칼라필터층인 제2-3칼라필터층(423)은 제2-3면적(A2-3)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1-2면적(A1-2)과 제2-3면적(A2-3)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도 8에서 R로 표시된 열들에 위치한 적색광을 방출하는 화소들, 그리고 도 8에서 G로 표시된 열들에 위치한 녹색광을 방출하는 화소들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는 도 8에서 B로 표시된 열에 위치한 청색광을 방출하는 화소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도 7 및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00) 상에 위치한 복수개의 제1화소들(PX1-1, PX1-2, PX1-3)과, 제1칼라필터층들(411, 412, 413)을 구비한다. 제1칼라필터층들(411, 412, 413)은 제1화소들(PX1-1, PX1-2, PX1-3)에 대응하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킨다. 이때, 제1칼라필터층들(411, 412, 413)의 기판(100) 방향의 반대 방향의 제1상면들 중 일부는 제1-1면적(A1-1)을 갖고, 다른 일부는 제1-1면적(A1-1)과 상이한 제1-2면적(A1-2)을 갖는다. 예컨대 제1-2면적(A1-2)은 제1-1면적(A1-1)보다 좁을 수 있다. 그리고 제1칼라필터층들(411, 412, 413) 중 제1-1면적(A1-1)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제1칼라필터층들(411, 412, 413) 중 제1-2면적(A1-2)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다.
제1칼라필터층들(411, 412, 413)을 형성할 시, 잉크젯 프린팅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잉크젯 프린팅법에 사용되는 노즐들 각각이 토출하는 물질의 양이 모두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적인 노즐들의 경우 동일한 사전설정된 양으로 물질을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실제 노즐들의 경우에는 토출량에 오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노즐들의 토출량이 달라지게 되면 형성되는 칼라필터층들의 두께가 달라지게 되며, 칼라필터층들의 두께가 달라지게 되면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된다 하더라도 화소들에서의 휘도가 달라질 수 있다.
도 3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적색화소들만을 발광시키는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의 가로축과 세로축의 숫자는 디스플레이영역 내에서의 화소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숫자이다. 도 3의 경우는, 적색화소들에서 동일한 휘도의 광을 방출하도록 하기 위해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적색화소들에 인가된 경우이다. 하지만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적색 이미지에는 세로 줄무늬가 나타나게 된다.
세로 줄무늬는 일 열(column)에서의 칼라필터층들의 두께와 인접 열(column)에서의 칼라필터층들의 두께가 상이하기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적색화소들만을 발광시키는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인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도 3에서와 같은 줄무늬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제1칼라필터층들(411, 412, 413)의 기판(100) 방향의 반대 방향의 제1상면들 중 일부는 제1-1면적(A1-1)을 갖고, 다른 일부는 제1-1면적(A1-1)과 상이한 제1-2면적(A1-2)을 가지며, 제1칼라필터층들(411, 412, 413) 중 제1-1면적(A1-1)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제1칼라필터층들(411, 412, 413) 중 제1-2면적(A1-2)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영역 전체에 있어서 줄무늬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면서도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칼라필터층들(411, 412, 413)의 기판(100) 방향의 반대 방향의 제1상면들 중 일부는 제1-1면적(A1-1)을 갖고, 다른 일부는 제1-1면적(A1-1)과 상이한 제1-2면적(A1-2)을 갖는다. 나아가 제1칼라필터층들(411, 412, 413)의 기판(100) 방향의 반대 방향의 제1상면들 중 또 다른 일부는 제1-3면적(A1-3)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제1칼라필터층들(411, 412, 413) 중 제1-1면적(A1-1)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제1칼라필터층들(411, 412, 413) 중 제1-2면적(A1-2)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제1칼라필터층들(411, 412, 413) 중 제1-3면적(A1-3)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도록 하여, 디스플레이영역 전체에 있어서 줄무늬가 나타나지 않으면서도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00)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화소들과,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화소들에 대응하는 제2칼라필터들(421, 422, 423)을 구비할 수 있다.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은 예컨대 녹색광일 수 있다. 이때 제2칼라필터층들(421, 422, 423)의 기판(100) 방향의 반대 방향의 제2상면들 중 일부는 제2-1면적(A2-1)을 갖고, 다른 일부는 제2-1면적(A2-1)과 상이한 제2-2면적(A2-2)을 갖는다. 예컨대 제2-2면적(A2-2)은 제2-1면적(A2-1)보다 좁을 수 있다. 그리고 제2칼라필터층들(421, 422, 423) 중 제2-1면적(A2-1)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제2칼라필터층들(421, 422, 423) 중 제2-2면적(A2-2)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다. 이를 통해 잉크젯 프린팅법으로 제2칼라필터층들을 형성하더라도, 도 5와 같은 줄무늬 얼룩이 나타나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도 6에서와 같이 줄무늬 얼룩이 없는 고품질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제2칼라필터층들(421, 422, 423)의 기판(100) 방향의 반대 방향의 제2상면들 중 일부는 제2-1면적(A2-1)을 갖고, 다른 일부는 제2-1면적(A2-1)과 상이한 제2-2면적(A2-2)을 갖는다. 나아가 제2칼라필터층들(421, 422, 423)의 기판(100) 방향의 반대 방향의 제2상면들 중 또 다른 일부는 제2-3면적(A2-3)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제2칼라필터층들(421, 422, 423) 중 제2-1면적(A2-1)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제2칼라필터층들(421, 422, 423) 중 제2-2면적(A2-2)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제2칼라필터층들(421, 422, 423) 중 제2-3면적(A2-3)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도록 하여, 디스플레이영역 전체에 있어서 줄무늬가 나타나지 않으면서도 고품질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1-1면적(A1-1)에 대한 제1-2면적(A1-2)의 비가 제2-1면적(A2-1)에 대한 제2-2면적(A2-2)의 비와 같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 예컨대 적색광과,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 예컨대 녹색광 사이에서 색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칼라필터층들의 면적과 관련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3파장대역에 속하는 광을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광으로 변환시키는 제1-1양자점층(411a), 제1-2양자점층(412a) 및 제1-3양자점층(413a)의 경우에도 잉크젯 프린팅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1양자점층(411a)의 기판(100) 방향의 반대 방향(+z 방향)의 면의 면적이, 제1-2양자점층(412a)의 기판(100) 방향의 반대 방향(+z 방향)의 면의 면적과 상이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3양자점층(413a)의 기판(100) 방향의 반대 방향(+z 방향)의 면의 면적이, 제1-1양자점층(411a)의 기판(100) 방향의 반대 방향(+z 방향)의 면의 면적 및 제1-2양자점층(412a)의 기판(100) 방향의 반대 방향(+z 방향)의 면의 면적과 상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칼라필터층들에 대한 전술한 내용은 양자점층들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PX1-1: 제1-1화소 ETS1-1: 제1-1노출상면
A1-1: 제1-1면적 PX2-1: 제2-1화소
ETS2-1: 제2-1노출상면 A2-1: 제2-1면적
PX3-1: 제3-1화소 ETS3-1: 제3-1노출상면
A3-1: 제3-1면적 100: 기판
110: 버퍼층 121: 게이트절연막
131: 층간절연막 140: 평탄화층
150: 화소정의막 303: 대향전극
311: 제1-1화소전극 311a: 제1-1발광층
312: 제1-2화소전극 312a: 제1-2발광층
313: 제1-3화소전극 313a: 제1-3발광층

Claims (38)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1-1화소에 위치하는 제1-1화소전극과,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1-2화소에 위치하는 제1-2화소전극;
    상기 제1-1화소전극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1-2화소전극의 가장자리를 덮어 상기 제1-1화소전극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1노출상면과 상기 제1-2화소전극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2노출상면을 정의하되, 상기 제1-2노출상면의 제1-2면적이 상기 제1-1노출상면의 제1-1면적과 상이하도록 정의하는, 화소정의막;
    상기 제1-1화소전극 상에 위치하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제1-1발광층과, 상기 제1-2화소전극 상에 위치하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제1-2발광층; 및
    상기 제1-1발광층과 상기 제1-2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대향전극;
    을 구비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1-3화소에 위치하는 제1-3화소전극; 및
    상기 제1-3화소전극 상에 위치하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제1-3발광층;
    을 더 구비하고,
    상기 대향전극은 상기 제1-1발광층 내지 상기 제1-3발광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화소정의막은 상기 제1-3화소전극의 가장자리를 덮어 상기 제1-3화소전극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3노출상면이 정의하되, 상기 제1-3노출상면의 제1-3면적이 상기 제1-1면적 및 상기 제1-2면적과 상이하도록 정의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면적은 상기 제1-1면적보다 좁고, 상기 제1-3면적은 상기 제1-1면적보다 넓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파장대역과 상이한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2-1화소에 위치하는 제2-1화소전극과,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2-2화소에 위치하는 제2-2화소전극; 및
    상기 제2-1화소전극 상에 위치하며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제2-1발광층과, 상기 제2-2화소전극 상에 위치하며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제2-2발광층;
    을 더 구비하고,
    상기 대향전극은 상기 제1-1발광층, 상기 제1-2발광층, 상기 제2-1발광층 및 상기 제2-2발광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화소정의막은 상기 제2-1화소전극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2-2화소전극의 가장자리를 덮어 상기 제2-1화소전극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2-1노출상면과 상기 제2-2화소전극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2-2노출상면을 정의하되, 상기 제2-2노출상면의 제2-2면적이 상기 제2-1노출상면의 제2-1면적과 상이하도록 정의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1면적에 대한 상기 제1-2면적의 비는 상기 제2-1면적에 대한 상기 제2-2면적의 비와 같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1-3화소에 위치하는 제1-3화소전극;
    상기 제1-3화소전극 상에 위치하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제1-3발광층;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며,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2-3화소에 위치하는 제2-3화소전극;
    상기 제2-3화소전극 상에 위치하며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제2-3발광층;
    을 더 구비하고,
    상기 대향전극은 상기 제1-1발광층 내지 상기 제1-3발광층 및 상기 제2-1발광층 내지 상기 제2-3발광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화소정의막은 상기 제1-3화소전극의 가장자리를 덮어 상기 제1-3화소전극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3노출상면이 정의하고 상기 제2-3화소전극의 가장자리를 덮어 상기 제2-3화소전극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2-3노출상면이 정의하되, 상기 제1-3노출상면의 제1-3면적이 상기 제1-1면적 및 상기 제1-2면적과 상이하고 상기 제2-3노출상면의 제2-3면적이 상기 제2-1면적 및 상기 제2-2면적과 상이하도록 정의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면적은 상기 제1-1면적보다 좁고, 상기 제1-3면적은 상기 제1-1면적보다 넓으며,
    상기 제2-2면적은 상기 제2-1면적보다 좁고, 상기 제2-3면적은 상기 제2-1면적보다 넓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1면적에 대한 상기 제1-2면적의 비는 상기 제2-1면적에 대한 상기 제2-2면적의 비와 같고, 상기 제1-3면적에 대한 상기 제1-1면적의 비는 상기 제2-3면적에 대한 상기 제2-1면적의 비와 같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면적에서 상기 제1-1면적으로의 면적 증가율은, 상기 제1-1면적에서 상기 제1-3면적으로의 면적 증가율과 같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0.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1화소전극들;
    상기 복수개의 제1화소전극들 각각의 가장자리를 덮어, 상기 복수개의 제1화소전극들 각각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1노출상면들을 정의하는, 화소정의막;
    상기 복수개의 제1화소전극들 상에 위치하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제1발광층; 및
    상기 제1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대향전극;
    을 구비하며,
    상기 제1노출상면들 중 일부는 제1-1면적을 갖고, 상기 제1노출상면들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1-1면적과 상이한 제1-2면적을 갖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1-1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1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1-2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출상면들 중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제1-1면적 및 상기 제1-2면적과 상이한 제1-3면적을 갖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1-1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1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1-2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1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1-3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화소전극들; 및
    상기 복수개의 제2화소전극들 상에 위치하며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생성하는 제2발광층;
    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화소정의막은 상기 복수개의 제2화소전극들 각각의 가장자리를 덮어, 상기 복수개의 제2화소전극들 각각의 중앙 상면을 포함한 제2노출상면들을 정의하고, 상기 대향전극은 상기 제2발광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노출상면들 중 일부는 제2-1면적을 갖고, 상기 제2노출상면들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2-1면적과 상이한 제2-2면적을 갖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2-1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2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2-2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출상면들 중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제2-1면적 및 상기 제2-2면적과 상이한 제2-3면적을 갖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2-1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2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2-2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2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2-3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면적은 상기 제1-1면적보다 좁고, 상기 제2-2면적은 상기 제2-1면적보다 좁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1면적에 대한 상기 제1-2면적의 비는 상기 제2-1면적에 대한 상기 제2-2면적의 비와 같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20.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1화소와 제1-2화소; 및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1-1화소에 대응하며 상기 기판 방향의 반대 방향의 상면이 제1-1면적을 갖는 제1-1칼라필터층과, 상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1-2화소에 대응하며 상기 기판 방향의 반대 방향의 상면이 상기 제1-1면적과 상이한 제1-2면적을 갖는 제1-2칼라필터층;
    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3화소; 및
    상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1-3화소에 대응하며 상기 기판 방향의 반대 방향의 상면이 상기 제1-1면적 및 상기 제1-2면적과 상이한 제1-3면적을 갖는 제1-3칼라필터층;
    을 더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면적은 상기 제1-1면적보다 좁고, 상기 제1-3면적은 상기 제1-1면적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2-1화소와 제2-2화소; 및
    상기 제1파장대역과 상이한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2-1화소에 대응하며 상기 기판 방향의 반대 방향의 상면이 제2-1면적을 갖는 제2-1칼라필터층과, 상기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2-2화소에 대응하며 상기 기판 방향의 반대 방향의 상면이 상기 제2-1면적과 상이한 제2-2면적을 갖는 제2-2칼라필터층;
    을 더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1면적에 대한 상기 제1-2면적의 비는 상기 제2-1면적에 대한 상기 제2-2면적의 비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3화소와 제2-3화소;
    상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1-3화소에 대응하며 상기 기판 방향의 반대 방향의 상면이 상기 제1-1면적 및 상기 제1-2면적과 상이한 제1-3면적을 갖는 제1-3칼라필터층; 및
    상기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2-3화소에 대응하며 상기 기판 방향의 반대 방향의 상면이 상기 제2-1면적 및 상기 제2-2면적과 상이한 제2-3면적을 갖는 제2-3칼라필터층;
    을 더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면적은 상기 제1-1면적보다 좁고, 상기 제1-3면적은 상기 제1-1면적보다 넓으며,
    상기 제2-2면적은 상기 제2-1면적보다 좁고, 상기 제2-3면적은 상기 제2-1면적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1면적에 대한 상기 제1-2면적의 비는 상기 제2-1면적에 대한 상기 제2-2면적의 비와 같고, 상기 제1-3면적에 대한 상기 제1-1면적의 비는 상기 제2-3면적에 대한 상기 제2-1면적의 비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면적에서 상기 제1-1면적으로의 면적 증가율은, 상기 제1-1면적에서 상기 제1-3면적으로의 면적 증가율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29.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1화소들; 및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1화소들에 대응하는 제1칼라필터층들;
    을 구비하며,
    상기 제1칼라필터층들의 상기 기판 방향의 반대 방향의 제1상면들 중 일부는 제1-1면적을 갖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1면적과 상이한 제1-2면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면들 중 상기 제1-1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1상면들 중 상기 제1-2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면들 중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제1-1면적 및 상기 제1-2면적과 상이한 제1-3면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면들 중 상기 제1-1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1상면들 중 상기 제1-2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1상면들 중 상기 제1-3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33. 제2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화소들; 및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2화소들에 대응하는 제2칼라필터층들;
    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칼라필터층들의 상기 기판 방향의 반대 방향의 제2상면들 중 일부는 제2-1면적을 갖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2-1면적과 상이한 제2-2면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면들 중 상기 제2-1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2노출상면들 중 상기 제2-2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면들 중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제2-1면적 및 상기 제2-2면적과 상이한 제2-3면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면들 중 상기 제2-1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2상면들 중 상기 제2-2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와 상기 제2상면들 중 상기 제2-3면적을 갖는 것들의 위치가 랜덤(random)하게 섞여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면적은 상기 제1-1면적보다 좁고, 상기 제2-2면적은 상기 제2-1면적보다 좁은, 디스플레이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1면적에 대한 상기 제1-2면적의 비는 상기 제2-1면적에 대한 상기 제2-2면적의 비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051828A 2020-04-28 2020-04-28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33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828A KR20210133372A (ko) 2020-04-28 2020-04-28 디스플레이 장치
US17/148,433 US11800769B2 (en) 2020-04-28 2021-01-13 Display apparatus
EP21168566.4A EP3905333A1 (en) 2020-04-28 2021-04-15 Display apparatus
CN202110405880.0A CN113571549A (zh) 2020-04-28 2021-04-15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828A KR20210133372A (ko) 2020-04-28 2020-04-28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372A true KR20210133372A (ko) 2021-11-08

Family

ID=7553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828A KR20210133372A (ko) 2020-04-28 2020-04-28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00769B2 (ko)
EP (1) EP3905333A1 (ko)
KR (1) KR20210133372A (ko)
CN (1) CN1135715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23904B (zh) * 2021-10-29 2023-06-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9048U (ja) 1983-11-07 1985-06-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潤滑油戻り部構造
JPS612064U (ja) 1984-06-07 1986-01-08 政雄 赤木 釣り仕掛け投入具
JPS6142324U (ja) 1984-08-23 1986-03-18 ダイキヨ−・ベバスト株式会社 サンル−フの締切り装置
JP2010080423A (ja) 2008-08-29 2010-04-08 Fujifilm Corp カラー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37953B1 (ko) 2009-11-24 2016-07-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잉크젯 헤드의 잉크 토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082732B2 (en) 2011-12-28 2015-07-14 Joled Inc. Organic EL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6102064B2 (ja) 2012-03-05 2017-03-29 住友化学株式会社 表示装置
JP6079048B2 (ja) 2012-08-23 2017-02-15 凸版印刷株式会社 印刷用凸版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KR101999560B1 (ko) 2012-11-28 2019-07-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614191B2 (en) 2013-01-17 2017-04-04 Kateeva, Inc. High resolutio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evices, displays, and related methods
CN105720074B (zh) 2014-12-03 2018-12-04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像素结构、金属掩模板及oled显示屏
CN105632394A (zh) 2016-01-15 2016-06-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其制作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10041673A (ko) * 2019-10-07 2021-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35905A1 (en) 2021-10-28
EP3905333A1 (en) 2021-11-03
CN113571549A (zh) 2021-10-29
US11800769B2 (en) 202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426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48132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280423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EP3321985B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443703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10336224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1034381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04990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78031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70082174A (ko) 대면적 미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651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18141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13337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34175A (ko) 표시 장치
JP2021089868A (ja) 自発光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0179034A1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593332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15207067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18006936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220255033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20240244889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2082454B2 (en) Display apparatus
US2022033653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KR20230165983A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20167836A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