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3216A - 적층 조형 장치용 재료 유닛 - Google Patents

적층 조형 장치용 재료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3216A
KR20210133216A KR1020217024987A KR20217024987A KR20210133216A KR 20210133216 A KR20210133216 A KR 20210133216A KR 1020217024987 A KR1020217024987 A KR 1020217024987A KR 20217024987 A KR20217024987 A KR 20217024987A KR 20210133216 A KR20210133216 A KR 20210133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resin container
material unit
hold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안 슈미트
토마스 하젠짤
미하엘 슈바이거
마르쿠스 쿤레
안드레아스 리스
Original Assignee
시로나 덴탈 시스템스 게엠베하
덴츠플라이 시로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로나 덴탈 시스템스 게엠베하, 덴츠플라이 시로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시로나 덴탈 시스템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33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55Enclosures for the building material, e.g. powde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29C64/129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characterised by the energy source therefor, e.g. by global irradiation combined with a mask
    • B29C64/135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characterised by the energy source therefor, e.g. by global irradiation combined with a mask the energy source being concentrated, e.g. scanning lasers or focused light sources
    • B01F11/0017
    • B01F11/0082
    • B01F13/08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02Maintaining the aggregation state of the mixed materials
    • B01F23/023Preventing sedimentation, conglomeration or agglomeration of solid ingredients during or after mixing by maintaining mixed ingredients in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 B01F31/20Mixing the contents of independent containers, e.g. test tubes
    • B01F31/23Mixing the contents of independent containers, e.g. test tubes by pivoting the containers about a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 B01F31/44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with stirrers performing an oscillatory, vibratory or shaking movement
    • B01F31/441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with stirrers performing an oscillatory, vibratory or shaking movement performing a recti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5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 B01F33/452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using independent floating stir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27Driving means
    • B29C64/241Driving means for rotary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55Enclosures for the building material, e.g. powder containers
    • B29C64/259Interchang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07Handling of material to be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14Pr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07Handling of material to be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21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07Handling of material to be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43Me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33Y40/10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G01F23/263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f capaci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G01F23/263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f capacitors
    • G01F23/26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f capacitors mounting arrangements of prob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수지 용기(2)를 갖는, 적층 조형 장치(AM)를 위한 재료 유닛(1)으로서, 상기 수지 용기(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베이스(3)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용기(2)는 저장통(5)을 위한 홀더(4)에 접속되고, 상기 홀더(4)는 상기 홀더(4)에 의해 유지된 저장통(5)의 출구(6)로부터 나오는 수지(R)가 상기 수지 용기(2)로 흘러들게 구성되어 있는 것인 적층 조형 장치(AM)의 재료 유닛(1)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적층 조형 장치용 재료 유닛
본 발명은, 적층 조형 장치의 재료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저장통에 수용되는 인쇄 재료를 사용하도록 적층 조형 장치를 준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그와 같은 재료 유닛을 사용하여 수지를 컨디셔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 조형기(stereolithography machines)를 포함하고, 특히, 투영 유닛(예를 들면 DLP 프로젝터 또는 레이저), 높이 조절 가능한 구축 플랫폼, 및 수지 용기를 포함하는 적층 조형 장치가 알려져 있다. 수지 용기에는, 인쇄 재료로서, 광 조사에 의해 프로젝션 유닛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소재가 수용되어 있다. 경화성 재료의 층이 구축 플랫폼 상에 형성된 후, 최후에 형성된 재료 층 상에 새로운 재료 층을 형성하기 위해, 구축 플랫폼의 레이어가 컨디셔닝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될 부품은, 적층식으로 형성되어, 제조되거나 만들어진다.
종래의 광 조형기는, "탑 다운" 방식에 따라서 작동되는데, 이 방식에서는, 수지 용기 내의 경화 가능한 재료의 양이, 일반적으로는, 최대 제작량의 부품을 제조하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이런 타입의 기계는, 부품 제조 중, 즉, 진행 중인 제조 프로세스 중에 보충할 필요는 없다.
한편, 특히 소위 테이블 머신에서는, 적은 수지 용기의 충전량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에, "오버헤드 인쇄"가 허용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보텀 업"방식의 디바이스에서는, 수지 용기는, 실제로 제조될 부품의 양만큼 경화성 재료를 채우거나, 또는 이보다 약간 많은 양으로 채울 필요가 있다. 수지 용기 내의 경화성 재료의 양이 충분치 못한 경우, 진행중인 제조 프로세스 중에 경화성 재료가 추가되게 된다. 추가의 계량은 수동으로 실행되거나, 추가로 접속된 저장통을 통해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예를 들면, 치과 용도의 경우, 다양한 제조사의 각종 적응증에 맞는 인쇄 재료를 유저가 이용할 수 있다. 적응증별로, 특정 적절한 경화성 재료를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상정할 수 있다. 실제로는, 치과 용도의 부품을 제조하려는 유저에게 있어서, 이는 용도에 따라서 광 조형기를 하루에 수회 다른 인쇄 재료로 교체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수지 용기와 인쇄 재료가 수용된 저장통의 양쪽을 취급해야 하기 때문에, 교체 작업이 복잡하다. 또, 유저는, 재이용 가능한 인쇄 재료를, 자외선 차단 및 악취 방지 형태로 보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본 명세서의 첫머리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재료 유닛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 다른 인쇄 재료로 인쇄하기 위한 적층 조형 장치의 간단하고도 신속한 교체가 가능해진다. 본 명세서의 첫머리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수지를 컨디셔닝하기 위한 방법도 적층 조형 장치에서 인쇄 준비를 단순화시킨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정의되는 재료 유닛, 청구항 20에 정의되는 방법, 및 청구항 21에 정의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 형태 및 다른 개선점들은 종속 청구항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지 용기를 갖는 적층 조형 장치용 재료 유닛이 제공되고, 수지 용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베이스(또는 저부)를 포함하고, 수지 용기는, 저장통을 위한 홀더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는 상기 저장통의 출구로부터 흘러나오는 수지가 상기 수지 용기 내로 흘러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재료 유닛은, 인쇄 재료로서 수지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수지 용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의 범주 내에서, 수지는 광 경화성 수지 재료이며, 그 화학 조성이나 응집 상태, 및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점도 등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상기 수지 용기는 재료 용기라고 이해할 수도 있다. 적층식으로 조형되는 부품을 제조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수지 용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베이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수지 용기에 수용된 수지는, 수지 용기의 베이스 아래에 배치된 방사선원(예를 들어 DLP(디지털 라이트 프로세싱) 프로젝터 또는 레이저)에 의해 국부적으로 조사되어, 그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적어도 단면이 투명한 베이스를 구비한 적층 조형 장치, 특히 광 조형기의 기본 구조는,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방사선원의 배치 및 제어에 관한 더 이상의 세부 사항 및 높이 조정 가능한 구축 플랫폼에 대해서는 여기서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수지 용기는 저장통의 홀더에 접속되어 있다. 수지 용기는, 특히 해제 가능한 또는 해제 불가능한 방법으로 저장통을 위한 홀더에 접속될 수 있다. 저장통은, 적층 조형 장치에서 제조될 부품을 조형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제작할 수지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에 의해 유지된 저장통의 출구로부터 나오는 수지가 수지 용기로 흘러들게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는 예를 들어 기계적 홀더로서 설계할 수 있고, 이 목적을 위해, 저장통을 소정 위치에 클램핑하기 위한 유지 클립 등의 클램프 장치, 또는 저장통을 삽입하기 위한 플러그 및 소켓 장치, 또는 저장통을 위한 리셉터클(예를 들어 슬라이딩 프레임 형태의 수용부)을 포함한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홀더는 자성을 띠는 또는 자화 가능한 저장통에 자력을 미치는 자기 홀더로서 설계될 수 있다. 적어도 저장통이 홀더로부터 해제 가능한 경우, 상기 홀더는, 보유된 저장통을 부분적으로만 에워싸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상기 저장통의 출구를 깨끗하게 유지하거나, 혹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상기 출구를 차폐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홀더는, 수지 용기를 저장통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그 결과, 두 부품을 하나의 유닛으로 취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하나의 유닛으로서 교체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각기 다른 인쇄 재료들(각각의 개별 재료 유닛)로 인쇄하기 위한 적층 조형 장치의 간단하고도 신속한 교체가 가능해진다. 특히, 다른 인쇄 재료를 사용하기 전에 적층 조형 장치를 세정하기 위한 노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홀더 및 저장통은 또, 수지 용기에 접속된 일체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주 내에서 사용되는 경우, "상방", "하방", "상", "하", 또는 기타 자세 및 방향을 특정하는 용어들은 재료 유닛 또는 적층 조형 장치의 사용 위치를 가리킨다. 이 사용 위치에서는, 상기 수지 용기의 두 최대 연장부 표면이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홀더는, 저장통 및 재료 유닛을 상기 수지 용기와 함께 유지하고, 상기 저장통은, 적층 조형 장치 내에 탈거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이 변형예에서, 상기 수지 용기와 상기 저장통을 포함하는 재료 유닛은, 이를 적층 조형 장치로부터 단순히 빼내어, 마찬가지로 수지 용기와 저장통을 포함하는 다른 재료 유닛으로 교체될 수 있다. 이를 행하기 위해, 특별히 다른 재료로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다른 재료 유닛이 상기 적층 조형 장치에 삽입된다. 그러나, 이로써, 상기 재료 유닛을 보관하기 위해 적층 조형 장치로부터 재료 유닛을 단순히 빼내는 것조차도, 단순화된다. 상기 홀더가 상기 저장통을 해제 가능한 방법으로, 즉 교체 가능하게 유지하게 되면, 빈 저장통은, 재료 유닛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충전된 다른 저장통(예를 들면 빈 저장통의 것과 동일한 특성을 갖는 수지가 수용된)으로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저장통에 공구 없이 접속하고 공구 없이 탈거할 수 있도록 설계하면 유리하다.
상기 홀더 및/또는 상기 저장통이 상기 수지 용기를 덮도록 설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재료 유닛은, 사용하지 않을 때 간단하고도 신속히 닫을 수 있다. 닫힌 상태에서는, 재료 유닛은, 수지가 수지 용기 및 허용 가능하다면 저장통에 수용된 채로 보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홀더 및/또는 상기 저장통은, 특히, 용기 커버와 일체로, 예를 들어 용기 커버에 통합시켜, 설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저장통은, 홀더로서 설계된 상기 용기 커버에 삽입하여 그 안에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홀더 및/또는 상기 저장통은, 선택적으로, 방취 및/또는 UV 차단 및/또는 실질적으로 액체 밀봉 방식으로 상기 수지 용기를 덮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상기 홀더 및/또는 상기 저장통은, 상기 수지 용기에 면하는 측에 시일을 구비한다.
상기 홀더 및/또는 상기 저장통을 상기 수지 용기에 대해 유용한 자세로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홀더 및/또는 상기 저장통은 움직일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수지 용기에 접속되어 있으면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홀더 및/또는 상기 저장통은, 상기 재료 유닛의 보관 상태, 즉 비사용 상태에 있어서, 사용 상태와는 다른 자세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접속은, 상기 수지 용기와 상기 홀더 및/또는 상기 저장통 사이의 피봇 조인트를 포함하면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상기 홀더 및/또는 상기 홀더에 수용된 상기 저장통은, 상기 수지 용기에 대해, 피봇되거나, 또는 전개 및 절첩 가능하다.
특히, 상기 홀더 및/또는 상기 저장통은 상기 수지 용기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인 배치와 실질적으로 수직인 하나 이상의 배치 사이의 각도 범위 내에서 피봇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지 용기는, 상기 홀더 및/또는 상기 홀더에 수용된 저장통을, 상기 수지 용기와 실질적으로 평행인 배치로 피봇시킴으로써, 닫거나 덮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 및/또는 그에 수용된 저장통이 상기 수지 용기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배치로 피봇되면, 상기 수지 용기 상방의 구축 플랫폼의 높이는, 자유로이 조정될 수 있어서, 상기 구축 플랫폼을 상기 수지 용기에 침지시키게 되면, 구축 플랫폼 상 또는 최후에 형성된 재료층 위에 새로운 재료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 및/또는 상기 저장통은 바람직하게는 0°(평행)와 적어도 90° 사이의 각도 범위에서 피봇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유동 장애물이 저장통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동 장애물은, 저장통에 수용되는 수지를 혼합하는 데 도움을 주고, 그에 의해, 수지 중의 성분들은, 상기 저장통에 수용된 되는 수지의 체적에 균등하게 분포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유동을 방해하는 것이, 수지를 컨디셔닝, 즉, 상기 저장통에 수용된 상기 수지의 실질적으로 균등한 온도 분포를 확립하는 데 도움을 준다. 상기 수지의 혼합 및 상기 컨디셔닝은, 양쪽 모두, 제조할 부품의 제조 공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따라서, 제조된 부품의 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수지의 상기 혼합 및 상기 컨디셔닝을 위해, 내부에 수용된 상기 홀더 및/또는 상기 저장통은 상기 수지 용기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더 및/또는 상기 저장통은, 상기 수지 용기에 대해 수 회 피봇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장애물은, 상기 저장통 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 예를 들어 상기 저장통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조, 바아, 또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을 상기 홀더에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수용하기 위해, 상기 홀더는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를 저장통으로서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이 유익하다. 따라서, 카트리지로서 설계된 상기 저장통은, 상기 홀더의 수용부에 삽입하였다가, 필요에 따라서 수용부로부터 꺼낼 수 있다. 카트리지를 수용부 내에 확실하고도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와 상기 카트리지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스냅 접속부 등의 고정 장치의 상호 작용 부품들을 포함한다.
목표한 대로 수지가 상기 저장통으로부터 상기 수지 용기 내로 흘러들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홀더가 상기 홀더 내에 유지된 저장통의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장치를 포함하면 유리하다. 상기 작동 장치는, 예를 들어 밸브(예를 들어 막 등의 차단 요소)에 작용하도록 구성된 밸브 태핏으로서 설계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상기 저장통으로부터 수지를 계량적으로 제거하는 작동 장치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에 수용되는 상기 수지는, 상기 작동 장치가 한계각을 초과하는 피봇 운동 중에 밸브를 작동시키는 경우, 밸브를 경유하여 특히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한계각은, 상기 수지 용기에 대한 상기 홀더 및/또는 상기 저장통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배치에 대응한다. 따라서, 수지는, 상기 수지 용기에 대해 상기 홀더 또는 그 안에 수용된 상기 저장통을 한계각만큼 피봇시킴으로써 해방될 수 있다. 한계각은 90°를 초과하여,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이다. 상기 작동 장치는, 상기 홀더 또는 그 안에 수용된 상기 저장통을 한계각보다 작은 각도, 예를 들면 최대 90°로 복귀 피봇시킴으로써, 저장통의 밸브를 다시 닫도록(즉, 밸브를 능동 폐쇄 및/또는 자체 폐쇄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를 계량 제어용 접속부에 접속하여, 상기 접속부를 경유하여 상기 홀더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저장통으로부터 상기 수지 용기로의 수지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면 특히 유익하다. 계량 제어기를 상기 접속부에 접속하면 상기 저장통으로부터의 수지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재료 유닛의 구조를 특히 간단히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접속부는 기계적 접속부로 할 수 있다. 상기 기계적 접속부는, 계량 제어와 연동하기 위해, 재료 유닛의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장소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계적 접속부는, 예를 들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으며, 기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경우, 계량 제어 장치는 기계적 접속부와 맞물려, 이를 상기 저장통으로부터의 수지의 배출을 차단하는 제1 자세와, 상기 저장통으로부터의 수지의 배출을 가능케 하는 제2 자세 사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기계적 접속부는, 예를 들어 홀더 상에 제공하거나 또는 홀더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홀더 및/또는 상기 저장통의 피봇 운동이 가능해진다.
상기 재료 유닛이 적층 조형 장치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재료 유닛은, 적층 조형 장치에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적층 조형 장치는, 상기 재료 유닛의 가이드와 상호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보적인 가이드를 포함하면 훨씬 편리하다. 상기 재료 유닛 및 상기 적층 조형 장치의 가이드는, 예를 들어, 안내 홈 및 상기 안내 홈 내에 결합하는 안내 레일 등의 형상 적합 끼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 유닛이 변위하지 못하게 하는 최종적인 고정은, 형상 적합 끼움과 억지 끼움의 양쪽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축 플랫폼에 대한 상기 재료 유닛의 정확하고 안정된 위치 결정은, 수지의 최적의 사용을 촉진시키고, 인쇄 과정에 있어서의 충돌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상기 수지 용기 내의 상기 수지의 충전 레벨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수지 용기에는 충전 레벨 센서를 장비할 수 있다. 상기 적층 조형 장치의 조작자에게 충전 레벨을 보여줄 수 있게 하기 위해, 및/또는 충전 레벨 센서에 의해 결정된 충전 레벨의 값으로부터 다른 측정값을 도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처리 유닛에 충전 레벨 센서를 무선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상기 충전 레벨 센서가 소정의 최소 충전 레벨을 나타내는 경우, 또는 충전 레벨이 최소 충전 레벨을 밑돌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저장통의 수지를 특히 상기 수지 용기 쪽에 추가할 수 있다.
혹은, 상기 수지 용기는,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측정을 위한 충전 레벨 센서 판독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조 장치에 마련된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센서는, 충전 레벨 센서 판독 영역 내의 수지 용기의 충전 레벨을 판독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상기 충전 레벨 센서 판독 영역은,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센서로 충전 레벨을 판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측정에 있어서는, 플레이트 커패시터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적어도 두 도전성 물체(층)를, 전기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한다.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센서로 기록된 정전 용량은, 도전체의 표면의 사이즈, 도전체 사이의 거리 및 재료의 함수이다. 수지 용기에 수용된 수지가 하나의 도전체를 형성하고,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센서의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플레이트 또는 필름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물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용기 내의 상기 수지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도전성 플레이트 또는 필름에 면하는 도전성 표면이 증가된다. 서로 마주보는 두 도전체(층)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정전 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전기 회로 또는 측정 장치는,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충전 레벨 센서 판독 영역 내의 상기 수지 용기의 벽부를 전기적으로 절연성으로 하고, 선택적으로 인접 벽부에 비해 줄어든 벽 두께를 갖게 하면 특히 유리하다. 이렇게 하면, 상기 충전 레벨 센서 상기 판독 영역 내의 상기 수지 용기의 상기 벽부는, 수지와 도전성 플레이트 또는 필름 사이에 전기 절연층(유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전성 플레이트 또는 필름은, 수지 용기의 벽부의 예를 들어 충전 레벨 센서 판독 영역에 부착된다. 벽부의 벽 두께를 인접 벽부에 비해 얇게 하면, 수지,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센서 및 벽부로 이루어지는 장치의 정전 용량을 증가시켜, 충전 레벨의 측정의 정밀도도 증가시킨다. 상기 수지 용기는, 원칙적으로, 도전성 재료(예를 들어 금속)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충전 레벨 센서 판독 영역을 전기 절연 재료로 된 벽부로, 즉 도전성 수지 용기 벽 내에 전기 절연 창을 형성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수지 용기 및/또는 상기 저장통을 전자식으로 라벨링(또는 식별)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지 용기 및/또는 상기 저장통은 특히, 식별을 위한 전자 부품 또는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저장통은, 적절한 수지 용기로 사용하기 용이하다. 전자 라벨링(또는 식별)은, 무선으로, 예를 들어 RFID(무선 주파수 식별) 기술 및/또는 NFC(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전자 라벨이 전자 메모리를 포함하는 경우, 저장통 내의 수지의 현재의 충전 레벨을 상기 메모리에 기억시킬 수 있다. 충전 레벨의 값을 최신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저장통으로부터 수지를 제거할 때마다, 메모리 내의 충전 레벨의 값을 갱신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저장통으로부터 수지를 제거하는 프로세스가 끝날 때마다, 소정량의 수지가 제거되게 하면 유익하다. 이 때 충전 레벨의 값을 갱신하려면, 기본적으로 제거 프로세스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조 프로세스 개시 전에, 적층 조형 장치의 조작자는, 저장통 내의 수지의 양이 계획된 부품의 생산에 충분한지를 미리 알 수 있게 된다.
수지 용기에 혼합 장치가 장비되어 있으면 특히 유리하다. 상기 혼합 장치는, 특히 수지 용기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장치는, 첨가된 수지, 즉, 수지 용기에 수용된 수지 내에서 균일한 온도 및 입자 분포를 보증한다. 특히, 수지의 충전제 또는 착색 안료를, 혼합 장치로 균일하게 분배시킬 수 있다.
수지 용기에 수용된 수지의 특히 효율적인 혼합을 위해, 혼합 장치는, 병진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장치는, 예를 들어 닥터 블레이드로서 설계할 수 있고, 수지 용기의 대향하는 두 벽 사이에서 용기 베이스에 평행하게 변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용기 내의 상기 혼합 장치용 드라이브를 제공할 필요가 없게 하기 위해, 상기 혼합 장치를, 외부 드라이브에 자기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혼합 장치는, 자력에 의해 수지 용기 외부에 마련된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된다. 혼합 장치용 일체형 드라이브가 없는 수지 용기는, 제조 비용이 저렴하며, 특히 튼튼하다.
혹은, 상기 혼합 장치는, 상기 재료 유닛, 예를 들면 상기 수지 용기에 통합된 드라이브에 결합될 수 있다. 통합된 드라이브는, 예를 들어 상기 혼합 장치에 접속된 변위 가능한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통합된 드라이브는, 일반적으로, 상기 혼합 장치의 특히 신뢰할 수 있는 움직임을 가능케 한다.
반복을 회피 또는 저감하기 위해, 이하의 방법의 설명의 내용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한, 상기 재료 유닛의 전술한 설명도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 재료 유닛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로, 이하의 방법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적층 조형 장치에서 저장통에 수용된 인쇄 재료를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방법에 관해, 본 개시에서는, 수지 용기가, 상기 저장통과 함께 상기 적층 조형 장치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층 조형 장치의 리셉터클에 삽입되며, 상기 수지 용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통은 수지 용기에 접속되어 재료 유닛을 형성한다. 따라서, 적층 조형 장치(또는 그 리셉터클) 및 재료 유닛은, 서로 접속되도록 설계 및 제공된다. 따라서, 하나의 동일한 적층 조형 장치는 몇몇 다른 재료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장비할 수 있다. 소정의 다양한 제조 프로세스들에 대해, 다양한 재료 유닛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재료 유닛은, 치과 분야에서의 용도, 예를 들어 치과 보철물의 제조에 적합한 인쇄 재료가 수용된 저장통을 구비할 수 있다. 소정의 인쇄 재료를 수용하거나, 또는 적어도 상기 인쇄 재료를 위해 제공되는 저장통은, 상기 수지 용기에 접속되어 재료 유닛을 형성하므로, 상기 수지 용기는 또, 소정의 인쇄 재료로 부품을 제조하는 데에도 제공된다. 또, 본 방법의 설명 중, 인쇄 재료는 광 경화성 재료, 특히, 광 조사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재료이다. 따라서, 인쇄 재료 및 수지라는 용어는, 본 개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같은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적층 조형 장치는, 저장통에 수용된 인쇄 재료로 부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인쇄 재료로부터 부품을 연속 생산하기 위해, 적층 조형 장치에는,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재료 유닛들이 구비되어 있어, 이전에 사용되었던 인쇄 재료의 재료 유닛의 부품들을 세정하는 데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아도 된다. 적층 조형 장치의 교체 과정은, 저장통과 수지 용기를 따로따로 취급하지 않아도, 상기 수지 용기와 저장통이 접속되어 하나의 재료 유닛을 형성하기 때문에, 특히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베이스를 구비한 수지 용기는, 인쇄 재료의 국부 경화를 위한 재료 유닛의 일부로서, 적층 조형 장치(또는 이 목적을 위해 제공된 리셉터클)에 삽입된다. 따라서, 인쇄 재료는, 재료 유닛 하방에 배치된 광원에 의해 광 조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재료 유닛으로 수지를 컨디셔닝하는 방법에 관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통은, 바람직하게는 정기적으로, 수지 용기에 대해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저장통을 유지하는 홀더 또는 저장통 자체는, 예를 들어 피봇 조인트를 통해 수지 용기에 움직일 수 있게 접속되어 있다.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유동 장애물을 포함하는 저장통을 사용하는 것도 유익하다. 인쇄 재료 또는 수지의 컨디셔닝은, 상기 인쇄 재료 또는 수지의 혼합을 일으키는데, 이는 수지가 장기간 저장된 후, 수지 고형물이 저장통 바닥에 침전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동안에 특히 유익하다. 수지 용기에 대한 저장통의 움직임은, 적층 조형 장치의 조작자에 의해 수동으로 실행될 수도 되고, 자동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저장통으로부터 수지 용기에 수지를 최초로 첨가하기 전에 수지 용기에 대한 저장통의 적절한 주기적인 움직임을 적어도 1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통이 피봇 축을 중심으로 수지 용기에 대해 피봇되는 경우, 이것은 특히 유익하다. 홀더 및/또는 저장통은, 특히, 수지 용기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인 배치와, 실질적으로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배치 사이의 각도 범위, 즉 0° 와 적어도 90° 사이에서 피봇될 수 있다. 피봇 운동은, 드라이브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정적인 것은 아닌 실시 형태(이하, 실시예라고도 함)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재료 유닛을 구비한, "오버헤드 인쇄"를 위한 "보텀 업" 방식의 장치로서 설계된 적층 조형 장치의 개략도다.
도 2는, 저장통용 홀더에 접속된 수지 용기를 갖고, 재료 유닛과는 분리된 저장통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재료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다.
도 3은, 홀더가 저장통을 유지한 상태의, 도 2의 재료 유닛의 사시도다.
도 4는, 도 3의 재료 유닛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두 반대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다.
도 5는, 도 3의 재료 유닛의 저장소가 사용 상태에 있어서 밀봉 자세 및 수지 배출 허용 자세로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두 단면도다.
도 6a 내지 도 6d는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측정용으로 구성된 수지 용기의 개략도로서, 도 6a는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센서를 구비한 수지 용기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센서의 상세도이고, 도 6c는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센서로 기록할 수 있는 정전 용량의 예시적인 프로파일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6d는 벽부의 벽 두께가 줄어든 충전 레벨 센서 판독 영역 상의 수지 용기의 측면도다.
도 1은, 재료 유닛(1)을 구비한 적층 조형 장치(AM)를 개략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적층 조형 장치(AM)는 "오버헤드 인쇄"를 위한 "보텀 업" 방식의 장치로서 설계되고, 특히, 예를 들어 재료 유닛(1) 하방에 있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프로젝터 등의 광원(S)을 구비하고 있다. 투명 플레이트(T), 예를 들면 유리판(G)은, 광원(S)의 상방, 바람직하게는 재료 유닛(1)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어서, 재료 유닛(1)은, 투명 플레이트(T)의 상에 배치된다. 재료 유닛(1)은, 수지 용기(2)를 포함하고, 수지 용기(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베이스(3)(즉, 용기 저부를 형성하는)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 베이스(3)는, 예를 들면 투명 폴리프로필렌 필름 혹은 테플론 필름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지 용기(2)는 저장통(5)용 홀더(4)에 접속되어 있다. 홀더(4)는 상기 홀더(4)에 유지된 저장통(5)의 배출구(6)로부터 나온 수지(R)가 수지 용기(2)로 흘러들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지(R)는, 예를 들어, 중력에 의해 저장소(5)에서 흘러나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용기(2)에 있어서, 도 1은, (Z 방향으로) 높이 조절 가능한 구축 플랫폼(P) 상에 선택적 조사에 의해 층층이 형성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된 부품(C)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재료 유닛(1)이, 적층 조형 장치(AM)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탈거되거나, 또는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수지 용기(2) 및 저장통(5)용의 접속된 홀더(4)는 명확히 식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저장통(5)은 홀더(4)에 삽입되어 있지 않다. 도 2에 도시한 예에서, 홀더(4)는,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5a)를 저장통(5)으로서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7)를 구비한다.
대조적으로, 도 3은, 저장통(5)이 홀더(4)에 삽입된 상태, 즉 홀더(4)가 저장통(5)을 유지한 상태의 재료 유닛(1)을 도시하고 있다. 수지 용기(2) 및 저장통(5)을 구비한 재료 유닛(1)은 상기 적층 조형 장치(AM) 내에서 탈거 가능한 변위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홀더(4) 및/또는 저장통(5)은 상기 수지 용기(2)를 덮도록 되어 있음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홀더(4) 및/또는 저장통(5)이 용기 커버를 형성하거나, 또는 홀더(4) 및/또는 저장통(5)이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기존 용기 커버와 일체로 설계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홀더(4) 및/또는 저장통(5)이 움직일 수 있는 방식으로 수지 용기(2)에 접속되어 있음도 알 수 있다. 수지 용기와 홀더(4) 및/또는 저장통(5) 사이의 접속부는, 피봇 조인트(18)를 구비한다. 따라서, 저장통(5)은, 피봇 축(18a)을 중심으로 수지 용기(2)에 대해 피봇할 수 있다. 재료 유닛(1)은, 적층 조형 장치(AM) 내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8)는, 적층 조형 장치(AM)의 돌기가 걸림 결합하는, 예를 들어 안내 레일 형태 또는 리세스(8a) 형태의 형상 맞춤 인터페이스로서 설계될 수 있다. 수지 용기(4) 및/또는 저장통(5)은 또, 전자 부품(9), 예를 들어 RFID칩(9a)에 의해 전자식으로 식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폐쇄 상태, 즉 수지 용기(2), 홀더(4) 및 저장통(5)이 서로 절첩된 휴지 상태 또는 보관 상태에 있는 재료 유닛(1)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전개 상태, 즉 사용 상태의 재료 유닛(1) 둘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부터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보관 상태와 비교하면, 홀더(4) 및/또는 저장통(5)이 수지 용기(2)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인 배치와 실질적으로 수직인 하나 이상의 배치 사이의 각도 범위(α) 내에서 피봇 축(18b)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각도 범위(α)는 바람직하게는, 0°와 적어도 90°사이이다.
도 4의 오른쪽 도면에서는, 홀더(4)가 도시되지 않은 계량 제어기를 위한 접속부(10)에 접속되어, 홀더(4)에 의해 유지된 저장통(5)으로부터 수지 용기(2)로의 수지(R)의 유동이 접속부(10)를 통해 제어될 수 있음도 알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접속부(10)는 회전 가능한 기계적 접속부(10a)이다. 계량 제어기는 접속부(10)에 걸림 결합하여 접속부(10)를 작동, 예를 들어 접속부(10)에 결합하여 회전하여 홀더(4)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평소에는 닫혀 있던 저장통(5)의 출구(6)를 개방시켜, 그 결과, 수지(R)는, 수직으로 배치된 저장통(5)으로부터 흘러나와 수지 용기(2)로 흐르게 한다. 수지(R)는 중력에 의해 액체 상태로 출구(6)로부터 흘러나오게 된다.
도 5는, 사용 상태의 재료 유닛(1)을 도시한 것이다. 왼쪽 도면은, 저장통(5)을 구비한 홀더(4)가 수지 용기(2)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 즉 90°각도(α)이다. 재료 유닛(1)의 이 상태에서는, 저장통(5)의 출구(6)는 닫혀 있다. 오른쪽 도면은, 저장통(5)을 구비한 홀더(4)가 수지 용기(2)에 대해 90°를 넘는 한계각(β), 예를 들어 95°로 배치되어 있다. 재료 유닛(1)의 이 상태에서는, 저장통(5)의 출구(6)가 개방되어, 수지(R)의 배출이 가능해진다. 수지(R)를 배출하기 위해, 홀더(4)는, 홀더(4) 내에 수용된 저장통(5)의 밸브(12)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 장치(11), 예를 들면 밸브 태핏(11a)을 포함한다. 작동 장치(11)는, 홀더(4) 또는 저장통(5)이 한계각(β)까지 피봇 운동을 하는 중에 밸브(12)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한계각(β)은, 홀더(4) 및/또는 저장통(5)이 수지 용기(2)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배치, 예를 들어 95°의 배치에 대응한다. 저장통(5)의 출구(6)는 밸브(12)를 작동시킴으로써 개방된다.
도 5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 장애물(13)이 저장통(5) 내부에 배치되어 있음도 알 수 있다. 유동 장애물(13)은, 돌기로서 설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 회에 걸쳐 홀더(4)를 저장통(5)과 함께 피봇, 예를 들어 본질적으로 진탕시키게 되면 저장통(5) 내에 수용된 수지(R)를 혼합 및 컨디셔닝하는 데 도움을 준다. 피봇 운동을 위해, 계량 제어 장치를 도 4에 도시된 접속부(10)에 걸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5는 또, 수지 용기(2)가 장비되어 있는 충전 레벨 센서(14)도 도시한다. 따라서, 수지 용기(2)에는 부품의 제조에 필요한 양의 액체 수지(R)만을 계량해 넣을 필요가 있다.
도 5는 또, 수지 용기(2)에, 빌트-인된 혼합 장치(15), 예를 들면 닥터 블레이드(15a)가 장비된 것도 도시하고 있다. 혼합 장치(15)는 수지 용기(2)에 수용된 수지(R) 내에 균일한 온도 및 입자 분포 형성에 도움을 준다. 혼합 장치(15)는, 바람직하게는, 병진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혼합 장치(15)는, 특히 수지 용기(2)의 베이스(3) 상에서 병진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혼합 장치(15)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혼합 장치는 외부 구동 장치(16)에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그 예가 도 5의 좌측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외부 구동 장치(16) 및 혼합 장치(15)는, 자성을 띠는 것으로, 또는 자화 가능하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혹은, 혼합 장치(15)는, 재료 유닛(1)에 통합된 드라이브(17)에 결합될 수 있고, 그 드라이브 로드 형태의 부품이, 도 5의 오른쪽 도면에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측정용으로 설계된 수지 용기(2)에 관한 개략도이다.
특히, 도 6a는,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측정을 위한 충전 레벨 센서 판독 영역(19)을 포함하는 수지 용기(2)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충전 레벨 센서 판독 영역(19)은, 수지 용기(2)의 우측 벽에 마련되어 있다. 충전 레벨 센서 판독 영역(19) 내의 수지 용기(2)의 벽부(20)는, 전기 절연성이며, 바람직하게는 인접 벽부(21)에 비해 줄어든 두께의 벽을 포함한다(도 6d 참조).
도 6a에서 추가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센서(22)는, 수지 용기(2)의 우측벽 외부에 배치되어, 측정 장치(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어서 수지 용기(2) 내에 수용된 수지(R)에 (필요에 따라서는 공통의 소정의 참조 전위를 통하여)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수지 용기(2)에 접속된 수지(R)는, 수지 용기(2) 내면 상의 도전층을 형성한다.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센서(22)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도전층인,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 또는 필름(24)이 그 위에 제공된 회로 기판을 구비한다. 수지 용기(2)의 충전 레벨 센서 판독 영역(19) 내의 벽 두께가 얇은 벽부(20)는, 유전체로서, 또는 수지(R)와 플레이트 또는 필름(24) 사이의 절연층으로서 기능한다.
도 6b는,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센서(22)의 상세도이다. 도시한 예에서,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센서(22)는, 서로 포개져서 배치되고 각각 측정 장치(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세 플레이트 또는 필름(24)을 구비한다. 수지 용기(2) 내의 수지(R)의 높이(X)가 증가함에 따라,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센서(22)에 면하는 도전성 표면, 및 그와 함께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센서(22) 및 측정 장치(23)에 의해 기록된 정전 용량도 역시 증가된다.
도 6c는,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센서(22)에 의해 기록된 정전 용량(C)와 수지 용기(2) 내의 수지(R)의 높이(X) 사이의 예시적인 상관 관계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의 정전 용량(C)은 수지(R)의 높이(X)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데, X1은 최하부 플레이트(24)의 상단을 나타내고, X2는 중간 플레이트(24)의 상단, X3은 상부 플레이트(24)의 상단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설계예에서는, 세 플레이트 또는 필름(24) 대신에, 단일 플레이트 또는 필름(24)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d는 도 6a에 도시된 수지 용기(2)의 우측면도다. 인접하는 벽부(21)에 비해 줄어든 벽 두께를 갖는 벽부(20)를 구비하는 충전 레벨 센서 판독 영역(19)이 확실히 보인다. 벽부(20)는, 예를 들어 수지 용기(2)의 벽의 리세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치과 용도의 범위에서는, 조작자는, 제조되는 부품에 따라서 하루에 수 회씩 다른 인쇄 재료를 사용하기 위해 적층 조형 장치, 예를 들어 광 조형기를 교체할 필요가 있다는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잘 알려진 광 조형기는, 교체를 위해 수지 용기와 저장통의 쌍방을 모두 교체할 필요가 있다. 조작자는 또 재이용 가능한 인쇄 재료의 UV 차단 및 방취 보관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보텀 업"방식의 장치에서 다른 인쇄 재료(수지)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특히
- 수지 용기를 탈거해야 하고,
- 잔류 수지가 들어 있는 용기를 UV 차단 방법으로 보관해야 하고,
- 저장통을 탈거하여 보관해야 하고
- 저장통으로부터 수지 용기로의 보급 라인을 청소해야 하고,
- 새로운 재료용으로 별도의 수지 용기를 삽입해야 하고
- 침전된 수지 성분을 다시 혼합하기 위해 저장통을 원하는 다른 재료와 함께 흔들어줄 필요가 있을 수 있고,
- 원하는 다른 재료가 들어 있는 저장통을 삽입할 필요가 있고,
- 새로운 수지 용기를 충전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적절한 온도로 해줄 필요가 있고,
- 새로운 수지 용기 내의 수지를, 혼합하기 위해 교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광 조형기에서는, 수지 용기와 저장통은 따로따로 취급할 필요가 있는 두 장치이며, 조작자는, 특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고, 궁극적으로는 교체 시에 상당한 노력을 요한다.
대조적으로, 상기 재료 유닛은, 적층 조형 장치의 다른 인쇄 재료로의 간단한 교체, 그리고 재이용 가능한 잔류 재료의 단순한 UV 차단 및 방취 보관을 가능케 한다. 조작자는, 재료를 변경하기 위해 하나의 유닛인 재료 유닛(1)을 처리하기만 하면 된다. 재료의 컨디셔닝(즉, 저장통(5) 내의 수지(R)을 혼합하여 적절한 온도로 하는 것)은, 재료 유닛(1)에서 행해진다. 이 스텝에서, 조작자가 더 이상 해야 할 취급 수순은 없다. 제조 프로세스 중의 수지(R)의 추가의 계량은, 조작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독립형 유닛으로서, 재료 유닛(1)은, 봉입된 인쇄 재료(수지(R))를 보관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재료 유닛(1)은, 다른 인쇄 재료로의 교체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 수지의 컨디셔닝 및 계량의 자동화를 가능케 한다.

Claims (22)

  1. 수지 용기(2)를 갖는, 적층 조형 장치(AM)를 위한 재료 유닛(1)으로서,
    상기 수지 용기(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베이스(3)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용기(2)는 저장통(5)을 위한 홀더(4)에 접속되고, 상기 홀더(4)는 상기 홀더(4)에 의해 유지된 저장통(5)의 출구(6, 12)로부터 나오는 수지(R)가 상기 수지 용기(2)로 흘러들게 구성되어 있는 것인 재료 유닛(1)에 있어서,
    상기 홀더(4)는, 그 안에 수용된 저장통(5)의 밸브(12)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장치(11)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장치(11)는 밸브(12)를 그 한계각(β)까지 피봇 운동시키고, 상기 한계각(β)은 상기 수지 용기(2)에 대한 홀더(4) 및/또는 저장통(5)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배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는, 상기 저장통(5)과 상기 재료 유닛(1)을 상기 수지 용기(2)와 함께 유지하고, 상기 저장통(5)은 적층 조형 장치(AM) 내에 탈거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 및/또는 상기 저장통(5)은, 상기 수지 용기(2)를 덮도록 설계되는 것인 재료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 및/또는 상기 저장통(5)은, 움직일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수지 용기(2)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용기(2)와 상기 홀더(4) 및/또는 상기 저장통(5) 사이의 접속부는 피봇 조인트(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 및/또는 상기 저장통(5)은, 상기 수지 용기(2)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인 배치와 실질적으로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배치 사이의 각도 범위(α) 내에서 피봇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유닛.
  7. 제2항, 그리고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동 장애물(13)이 상기 저장통(5)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유닛.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는, 변위 가능한 카트리지(5a)를 저장통(5)으로서 수용하는 수용부(shaft)(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유닛.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는, 계량 제어를 위한 접속부(10)에 접속되어 있어서, 상기 홀더(4)에 의해 유지된 저장통(5)으로부터 수지 용기(2) 내로의 수지(R)의 유동은 상기 접속부(1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10)는, 기계적 접속부(1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유닛.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유닛(1)은, 적층 조형 장치(AM) 내에서 위치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유닛.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용기(2)에는 충전 레벨 센서(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유닛.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용기(2)는, 정전 용량식 충전 레벨 측정을 위한 충전 레벨 센서 판독 영역(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용기(2)의 벽부(20)는, 충전 레벨 센서 판독 영역(19)에 있어서 전기 절연성이며, 바람직하게는 인접 벽부(21)에 비해 줄어든 벽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유닛.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용기(2) 및/또는 상기 저장통(5)은, 전자식으로 라벨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유닛.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용기(2)에는 혼합 장치(1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장치(15)는, 병진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유닛.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장치(15)는, 외부 장치(16)에 자기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유닛.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장치(15)는, 상기 재료 유닛(1)에 내장된 구동 장치(17)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유닛.
  20. 저장통(5)에 수용된 인쇄 재료(R)를 사용하도록 적층 조형 장치(AM)를 준비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지 용기(2)가, 상기 저장통(5)과 함께 적층 조형 장치(AM)에 도입되고, 상기 수지 용기(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베이스(3)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통(5)은 상기 수지 용기(2)에 접속되어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재료 유닛(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재료 유닛(1)으로 수지(R)를 컨디셔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5)을 수지 용기(2)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주기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5)은 상기 수지 용기(2)에 대해 피봇 축(18a)을 중심으로 피봇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17024987A 2019-02-28 2020-02-25 적층 조형 장치용 재료 유닛 KR202101332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60125.1 2019-02-28
EP19160125.1A EP3702131B1 (en) 2019-02-28 2019-02-28 Material unit for an additive manufacturing device
PCT/EP2020/054890 WO2020173931A1 (en) 2019-02-28 2020-02-25 Material unit for an additive manufactur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216A true KR20210133216A (ko) 2021-11-05

Family

ID=6565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987A KR20210133216A (ko) 2019-02-28 2020-02-25 적층 조형 장치용 재료 유닛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884017B2 (ko)
EP (1) EP3702131B1 (ko)
JP (1) JP7494184B2 (ko)
KR (1) KR20210133216A (ko)
CN (1) CN113226709A (ko)
AU (1) AU2020229990A1 (ko)
BR (1) BR112021009585A2 (ko)
CA (1) CA3119560A1 (ko)
WO (1) WO20201739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5028B1 (en) * 2020-04-24 2021-10-26 Sprintra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hree-dimensional printi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1849C1 (de) * 1997-01-21 1998-04-16 Blanco Gmbh & Co Kg Gießanlage für die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aus einer fließfähigen, aushärtbaren Gießharzmasse
US20070075461A1 (en) 2005-09-30 2007-04-05 3D Systems, Inc. Rapid prototyping and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US7690909B2 (en) * 2005-09-30 2010-04-06 3D Systems, Inc. Rapid prototyping and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US7931460B2 (en) * 2006-05-03 2011-04-26 3D Systems, Inc. Material delivery system for use in solid imaging
EP2759879A1 (en) 2011-09-26 2014-07-30 3D Systems, Inc. Components of three-dimensional imaging systems
ITVI20120188A1 (it) * 2012-07-30 2014-01-31 Dws Srl Confezione di resina stereolitografica e metodo di mescolamento di una resina stereolitografica contenuta in tale confezione
ITVI20130197A1 (it) * 2013-07-30 2015-01-31 Ettore Maurizio Costabeber Cartuccia perfezionata per l¿alimentazione di una macchina stereolitografica, macchina stereolitografica comprendente tale cartuccia e metodo di stereolitografia impiegante tale macchina
ITVI20130302A1 (it) * 2013-12-19 2015-06-20 Ettore Maurizio Costabeber Cartuccia perfezionata per macchina stereolitografica, macchina stereolitografica adatta ad accogliere tale cartuccia perfezionata e metodo di impiego di tale cartuccia perfezionata
TWI508771B (zh) * 2014-03-25 2015-11-21 三緯國際立體列印科技股份有限公司 攪拌機構及三維印表機
JP2017538038A (ja) * 2014-11-21 2017-12-21 レニショウ パブリック リミテッド カンパニーRenishaw Public Limited Company 付加製造装置および方法
GB2569054B (en) * 2015-07-03 2020-04-15 Barclay Burt Maximilian A three 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a material dispensing unit therefor and a method
CN108698323B (zh) * 2016-05-12 2020-11-2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出口结构
EP3330062B1 (de) * 2016-11-30 2022-02-09 Ivoclar Vivadent AG Materialbereitstellungsvorrichtung für ein stereolithographiegerät
IT201700015055A1 (it) 2017-02-10 2018-08-10 Dws Srl Cartuccia perfezionata per l’alimentazione di una macchina stereolitografica e macchina stereolitografica impiegante tale cartuccia
CN206983271U (zh) * 2017-06-26 2018-02-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3d打印装置
CN109249618A (zh) 2017-07-14 2019-01-22 三纬国际立体列印科技股份有限公司 立体打印装置与液面感测方法
CN108688152B (zh) * 2018-05-22 2020-09-25 泰州市扬帆车件有限公司 一种光固化3d打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84017B2 (en) 2024-01-30
CA3119560A1 (en) 2020-09-03
CN113226709A (zh) 2021-08-06
US20220134658A1 (en) 2022-05-05
AU2020229990A1 (en) 2021-06-03
JP2022522093A (ja) 2022-04-14
BR112021009585A2 (pt) 2021-08-17
EP3702131A1 (en) 2020-09-02
WO2020173931A1 (en) 2020-09-03
EP3702131B1 (en) 2022-11-23
JP7494184B2 (ja) 202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5240B2 (ja) 光造形機用カートリッジ、光造形機用カートリッジを備える光造形機および光造形機用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EP3027388B1 (en) Improved cartridge for feeding a stereolithography machine, stereolithography machine comprising said cartridge and stereolithography method employing said machine
US11738372B2 (en) System for washing a 3D-printed object
JP6913191B2 (ja) 光造形装置
CN108407286B (zh) 用于进给立体光刻机的改进的盒和采用该盒的立体光刻机
KR20210133216A (ko) 적층 조형 장치용 재료 유닛
CN112041164A (zh) 自动增材制造装置和方法
KR102499663B1 (ko) 계측 장치
US11225021B2 (en) Stereolithography apparatus material provision device
RU2800276C2 (ru) Блок материала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аддитивн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US11433600B2 (en) Material provision device for a stereolithography apparatus
JPWO2020173931A5 (ko)
FI20185585A1 (en) Stereolithography equipment provided with resin capsule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equipment
FI20185584A1 (en) A stereolithography apparatus comprising a resin collection mechanism and a method of operating said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