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2665A - 수상/수중 선박 - Google Patents

수상/수중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2665A
KR20210132665A KR1020217027923A KR20217027923A KR20210132665A KR 20210132665 A KR20210132665 A KR 20210132665A KR 1020217027923 A KR1020217027923 A KR 1020217027923A KR 20217027923 A KR20217027923 A KR 20217027923A KR 20210132665 A KR20210132665 A KR 20210132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ull
underwater
vessel
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레이엄 앨런
Original Assignee
서브시 크래프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브시 크래프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서브시 크래프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32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01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8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14Control of attitude or depth
    • B63G8/22Adjustment of buoyancy by water ballasting; Emptying equipment for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5/00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14Control of attitude or depth
    • B63G8/18Control of attitude or depth by hydro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14Control of attitude or depth
    • B63G8/20Steer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Toys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수중 선박(1)으로서, ● 선체(102); ● 선체 내에 또는 선체 상에 제공된 수중 추진 수단; ● 선체 내에 또는 선체 상에 제공된 수상 추진 수단; ● 선체 내에 제공된 잠수 시 침수 가능한(floodable-on-submerging) 승무원 수용 공간(106); 및 ● 선박을 지나는 물의 흐름으로부터 승무원을 보호하기 위해 침수 가능한 승무원 수용 공간을 폐쇄하도록 배치된 캐노피(107)를 포함하고, 캐노피는 목적지에서 수중에 있는 동안 승무원이 선박으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개방 가능한, 수상/수중 선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상/수중 선박
본 발명은 수상/수중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수상/수중 선박(surface/submersible craft)"이라는 용어는 수중 및 수상에서 자율적으로 이동하는 능력을 갖는 선박을 의미하는데 사용된다. 잠수함이 이러한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본 발명은 특정 유형의 수상/수중 선박에 관한 것이다. 잠수함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선박이 잠수함보다는 수상 선박의 능력과 더 유사한 일부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대하여 사용되지 않는다.
요약서가 아래에 제시된 우리의 PCT 출원 No. PCT/GB2018/052319("우리의 잠수 가능한 다중 선체 선박 출원"이라 한다)에서, 우리는 쌍동선형(catamaran) 수상/수중 선박을 설명했다. 우리의 이전 국제 출원은 본 출원의 우선일에는 공개되지 않았다. 현재 WO 2019/034875에 공개된 이의 요약서는 다음과 같다:
"잠수 가능한 다중 선체 선박은 동일한 좌현(port) 선체와 우현(starboard) 선체를 가지며, 각각의 선체는 방수 구획과 선체 중앙부에 있는 개방된 조종석을 가진다. 선체는 4개의 관형 빔에 의해 고정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갑판은 빔 위로 선체 사이에서 연장된다. 압축 공기 저장소를 갖는 침수 가능하고 팽창 가능한 부 력 탱크가 구획과 조종실에 제공된다. 각각의 선체는 방수 인클로저 내에 조향 가능한 추력 디젤 엔진 추진 장치를 가진다. 선체는 각각 카울링과 프로펠러를 갖는 2개의 전방 추력기를 가진다. 추력기는 수상 항해를 위해 보관될 수 있으며, 수중에 있을 때 선체 내의 리세스로부터 선회될 수 있다. 이는 위아래로 추진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후방에서, 각각의 선체는 2개의 추가 후방 추력기를 가진다. 이들의 선미에서, 트림 표면(trim surface)이 스케그(skeg) 사이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개선된 수상/수중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 선체;
● 선체 내에 또는 선체 상에 제공된 수중 추진 수단;
● 선체 내에 또는 선체 상에 제공된 수상 추진 수단;
● 선체 내에 제공된 잠수 시 침수 가능한(floodable-on-submerging) 승무원 수용 공간; 및
● 선박을 지나는 물의 흐름으로부터 승무원을 보호하기 위해 침수 가능한 승무원 수용 공간을 폐쇄하는 캐노피
를 포함하고, 캐노피는 목적지에서 승무원이 선박으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개방 가능한, 수상/수중 선박이 제공된다.
선체가 다른 영구적으로 건조하거나 실제로 영구적으로 젖어있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고 고려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선체의 내부 전체는 건조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장비를 위한 보관 공간만을 남기고, 밸러스트 및 트림 탱크는 잠수 시 침수 가능하고, 선체 내로 팽창 가능하다.
다시, 밸러스트 및 트림 탱크가 둘러써는 물로부터 침수될 수 있다고 고려할 수 있다; 선체 무결성을 위해, 밸러스트 및 트림 탱크는 상기 선체 내부로부터 잠수 시 침수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선체는 수중보다 수상에서의 상당히 더 빠른 속도에 대하여 형성된다. 이것은 파도를 가르거나 활주하는(planing) 선체 형태로 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에는 수상 이동을 위한 수중익(hydrofoil)이 제공되고, 수중익은 수중 이동을 위해 퇴피 가능하다.
수상 추진 수단의 엔진은 침수 가능한 기관실(engine room) 내에 제공될 수 있고, 엔진은 바람직하게는 내연 기관이다. 대안적으로는, 수상 추진 수단의 모터는 모터를 둘러싸는 밀봉된 보관 공간에 제공된 전기 모터이다.
바람직하게는, 침수 가능한 승무원 수용 공간과 침수 가능한 기관실(제공되는 경우), 그리고 실제로 선체 전체에는, 낮은 위치의 해수 콕(sea cock)과 높은 위치의 공기 포트가 제공되고, 이에 의해, 잠수 시, 수용 공간 및 기관실은 공기 포트를 통해 공기가 위로 빠져나가면서 아래로부터 해수 콕을 통해 물로 채워질 수 있고, 부상(surfacing) 시, 수용 공간 및 기관실은 공기 포트를 통해 공기가 들어오면서 아래로부터 해수 콕을 통해 물이 배수될 수 있다.
선체의 각각의 구획에 자체 해수 콕이 제공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구획에는 벌크헤드를 통해 배수구가 제공되고, 이에 의해 필요한 해수 콕의 개수가 절약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의 좌현 및 우현 해수 콕이 승무원 수용 공간에 제공된다.
해수 콕에는, 잠수 시, 제공되는 경우, 수용 공간 및 기관실 내로 물을 끌어들이고 및/또는 부상 시 수용 공간 및 기관실로부터 물을 끌어내는 지향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단일 세트의 지향 수단이 제공될 수 있고, 물을 끌어들이고 끌어내도록 조정 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세트의 지향 수단이 제공될 수 있고, 한 세트는 물을 끌어들이기 위한 것이고 다른 세트는 물을 끌어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지향 수단은 사용하지 않을 때 선체를 지나는 물 흐름으로부터 퇴피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해수 콕은 사용하지 않을 때 폐쇄 가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 수중 추진 수단은 부상되어 있을 때 프로펠러가 정상 수선(normal waterline) 위에 있는 전기식 수단일 것이고;
● 선체는 수중 추진 하에서 균형 잡힌 상향 추력 및 하향 추력을 위하여 하부의 활주 선체 형태 및 유체 역학적으로 상보적인 상부 부분을 가질 것이고;
● 수상 추진 수단은 전기 또는 연료 연소식 수단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트 드라이브(jet drive)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상 추진 수단의 내연 기관은 침수 가능한 기관실에 제공된다. 엔진이 폐쇄 가능한 공기 유입구와 폐쇄 가능한 배기 장치, 또는 적어도 인클로저를 빠져나가고 폐쇄 가능한 밸브를 가진 배기 장치를 갖는 인클로저 내에서 기관실 내에 밀봉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엔진은 역시 폐쇄 가능한 공기 유입구와 폐쇄 가능한 배기 장치를 갖는 기관실의 침수 가능한 공간 내에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 선체는 선미에서 중간틀(transom) 없이 핀테일(pintail) 형태로 활주 선체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고물 끝 부분(runs aft)을 만나는 측면 갑판을 포함하고;
● 평평한 고물 끝 부분은 측면 갑판의 가장 뒤쪽 부분과 마찬가지로 위쪽을 향하여 바깥쪽으로 비스듬히 놓여 있고;
● 평평한 고물 끝 부분은 경질 차인(hard chine)에서 적어도 선체 중앙에 그 위로 있는 측면 갑판을 갖는 선체 측면을 만나고;
● 측면 갑판은 전방 갑판으로 혼합되고;
● 트림 핀(trim fin)은 측면 갑판 후방의 선미와 평평한 고물 끝 부분에 제공되고;
● 수직으로 배향된 추력기는 측면 갑판 및 평평한 고물 끝 부분에서의 구멍(aperture)에 장착되고, 구멍은 수상 항해를 위해 폐쇄 가능하고;
● 위쪽 측면은 수직 핀테일 형태로 후방으로 테이퍼지고, 바람직하게는, 방향타(rudder)가 제공되고;
● 전방에 수상 수선(surface water line) 위로 수평타(hydroplane)가 장착되고, 수평타는 바람직하게는 그 내에 장착된 수직 추력기를 포함한다.
수중 추진 수단은 일반적으로 전기 모터에 의한 것일 것이고, 이를 위해 배터리가 선체 내에 제공된다. 수상 추진 수단은 일반적으로 전기 드라이브를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구동하는 내연(internal combustion("IC")) 기관, 왕복 장치 또는 터빈을 포함할 것이다. 제트 드라이브와 같은 추진을 위해 물에 반응하는 단일 프로펠러 또는 기타 장치가, 특히 수상 추진이 전기 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간접 전기 드라이브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수중 및 수상 추진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내연 기관은 기계식 드라이브를 통해 별도의 프로펠러 등을 구동할 수 있다. 전기 모터와 IC 기관 모두가 전기 모터와 IC 기관을 위한 클러치를 갖는 기계식 드라이브를 통해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캐노피는 승무원 수용 공간 위로 폐쇄되고 상향 출구를 제공하는 클램 쉘(clam shell)에서와 같이 두 부분으로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특히, 선박이 나란히 있는 2명의 승무원에 대하여 충분히 넓은 경우에, 이는 측부 출구를 위하여 갈매기의 날개와 같이 두 부분으로 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캐노피는 부분들이 부분적으로 원통형이고 원주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승무원 수용 공간 위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아래로 개방하도록 배치된 두 부분으로 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캐노피는 단일 부품 형태일 수 있고, 개방되도록 뒤쪽으로 향하여 슬라이딩하거나 한 측부 또는 한 단부에서 피봇팅한다. 캐노피의 개방 방향으로 물의 대량의 변위를 방지하는데 있어서 원주 방향 이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이 바람직하다. 캐노피가 슬라이딩 가능한 경우에, 이는 중앙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절반은 전방으로 절반은 후방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어, 캐노피가 슬라이딩하는데 필요한 길이를 줄인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로서 그리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예 및 그 변형예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현재 No. WO 2019/034875로 공개된 우리의 PCT 출원 No. PCT/GB2018/052319("우리의 이전 국제 출원"이라 한다)의 도 1이고;
도 2는 수상에서 정지된 본 발명의 수상/수중 선박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선박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수상에서 활주 속도로 활주하는 도 2의 선박의 측면도이고;
도 5는 수중 이동하는 도 2의 선박의 유사한 측면도이고;
도 6은 캐노피가 폐쇄된 승무원 수용 공간을 통과하는 도 2의 Ⅵ-Ⅵ 선에 대한 정면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선박의 수상 추진용 내부 추진 엔진의 개략적인 부분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선박의 유사한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9는 제1 변형예의 유사한 도면이고;
도 10은 제2 변형예의 유사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선박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2의 선박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선박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선박의 선수 도면이고;
도 15는 도 12의 선박의 선미 도면이고;
도 16은 도 12의 선박의 승무원 수용 공간의 부분도이고;
도 17은 도 12의 선박 좌석의 측면도이고;
도 18은 도 12의 선박의 중앙 측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2의 선박의 밸러스트 및 트림 탱크의 평면도이고;
도 20은 밸러스트 탱크를 도시하는 승무원 수용 공간에서의 도 12의 선박의 횡단면도이고;
도 21은 밸러스트 탱크의 침수를 도시하는 도 20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22는 밸러스트 탱크의 팽창을 도시하는 도 20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23은 홈(groove) 및 종동부(follower) 스케치와 함께, 도 12의 선박의 선체 침수 및 배수 스쿱(scoop)의 부분도이고;
도 24는 배수 위치에 있는 스쿱의 유사한 부분도이고;
도 25는 침수 위치에 있는 스쿱의 다른 유사한 부분도이고;
도 26은 홈 및 종동부 스케치와 함께, 도 12의 선박의 대안적인 선체 침수 및 배수 스쿱의 도 23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27은 대안적인 스쿱의 도 24와 유사한 도면이고; 그리고
도 28은 대안적인 스쿱의 도 25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요약서가 인용된 우리의 잠수 가능한 다중 선체 선박 출원의 선박을 도시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1은 다음을 도시한다:
잠수 가능한 다중 선체 선박(1)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좌현(port) 선체(2)와 우현(starboard) 선체(3)를 가진다. 각각은 방수 선수(aft) 구획(5)과 선체 중앙부에 있는 개방된 조종석(6)을 가진다. 선체는 4개의 관형 빔(11, 12, 13, 14)에 의해 고정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갑판(19)은 빔(12, 13, 14) 위로 선체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내부 압축 공기 저장소를 갖는 침수 가능하고 팽창 가능한 부력 탱크(21, 22, 23)가 선수 구획(4) 내의 선수 탱크(21), 조종석(6) 내의 선체 중앙 탱크(22) 및 선미 구획 내의 3개의 선미 탱크(23)로서 제공되고, 이 3개는 아래에서 언급되는 엔진의 중량을 고려하여 제공된다. 조종석에는 승무원 에어 보틀 (air bottle)(24)이 제공된다. 조종석은 수상 항해를 위하여 펌프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고 수중 항해를 위하여 침수 가능하다.
각각의 선체는 이의 선미 구획에 워터 제트 추력 유닛을 갖는 조향 가능한 추력 디젤 엔진 추진 시스템(25)과, 엔진을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선미 구획을 침수시키기 위한 방수 인클로저(26)를 가진다. 선수에서, 선체는 각각 전기 구동 프로펠러(35)가 저널링되는 카울링(cowling)(34)을 갖는 2개의 선수 추력기(31)를 갖는다. 추력기는 수상 항해를 위하여 보관될 수 있으며, 수중에 있을 때 선체 내의 세스로부터 선회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추진하도록 동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이는 부상 또는 잠수(diving)를 돕기 위하여 벡터화된 추력을 제공하기 위해 위 아래로 추진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선미에서, 각각의 선체는 2개의 추가 선미 추력기(41)를 가진다. 이들의 선미에서, 트림 표면(26)이 스케그 (27) 사이에 제공된다. 잠수될 때, 추력기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주행할 수 있다.
우리의 이전 출원의 선박은 우리가 개선하고자 하였던 특정 한계를 가진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상/수중 선박(101)은, 수중에 있지 않을 때 높은 속도로 선박이 이동하는 바다의 수면 또는 바다의 다른 부분 위로 젖은 표면의 대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해 상당한 유체 역학적 양력을 생성하는 활주 형태(planing form) 선체(102)로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선체는 선미에 더 평평한 형상의 바닥(105)을 경질 차인에 혼합한 V 단면 형상(103)을 가져, 활주 표면을 제공한다. 활주 선체 형태는 우리의 이전의 파도를 가르는 쌍동선형 파도 형태보다 잠재적으로 더 컴팩트하여, 정박성(airportability)에 있어서 이점을 제공한다. 활주 선체 형태는 잘 알려져 있으며, 선체의 형태에 대한 완전한 상세 내용은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선체는 일반적으로 U 형상의 단면을 갖는 승무원 수용 공간(106)을 가지며, 수용 공간 위로 폐쇄 가능한 캐노피(107)가 있다. 캐노피가 수상 이동을 위해 개방될 수 있지만, 알맞게는, 수상 이동뿐만 아니라 수중 이동을 위해 폐쇄된다. 캐노피는 고속 수상 속도보다는 실질적으로 낮은 고속 수중 속도, 통상적으로는 8 노트 및 30 노트에서, 승무원의 버피팅(buffeting)으로부터의 보호를 잠재적으로 제공한다.
승무원 수용 공간의 뒤쪽에, 내연 기관(108)이 방수 엔진 구획(109) 내에 장착된다. IC 기관은 수상 이동을 위한 것이고, 샤프트(111)를 통해 주 제트 드라이브(110)를 구동한다. 제트 드라이브는 선박이 수상에서 활주하고 있을 때에도 영구적으로 젖어 있는 선체의 더 편편한 바닥(105)에서 선박의 선미를 향하는 위치에 흡입구(112)를 가진다. 조향 가능한 제트 노즐(114)이 선미(115)에 제공되며, 이는 수중에 있을 때 항력 감소를 위해 테이퍼지거나 가늘다.
이 실시예에서, 수중 추진은 우리의 이전 국제 출원의 방식으로 선미에 장착 된 한 쌍의 전기 구동 프로펠러(116, 117)에 의해 제공된다. 그 출원의 파도를 가르는 선체는 선수에서 선미까지의 소형화를 위하여 이 선박에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8의 실시예에서, 수중 추진을 위한 전기 모터(121)가 또한 엔진 구획에 제공된다. 이는 클러치형 구동 메커니즘(122)을 통해 제트 드라이브를 기계적으로 구동한다. 이것은 IC 기관으로부터 클러치를 풀고 대신 전기 모터를 드라이브(110)에 연결한다.
도 9의 변형예에서, 전기 모터는 보조 제트 드라이브(131)를 구동하여 유입구(112)로부터 끌어들여 1차 수상 제트 노즐(114) 위에 장착된 2차 수중 제트 노즐(132)을 통해 배출한다.
도 10의 제2 변형예에서, IC 기관(108)은 발전기(141)를 구동하고, 메인 제트 드라이브(110)는 발전기에 의해 스스로 동력을 공급받는 전기 모터(142)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는다. 수중 이동을 위하여, 전기 모터(142)는 배터리(143)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IC 기관 자체는 제트 드라이브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과 관련하여 예비 용량을 가지며, 이에 의해 잠수 후에 수상 항해 동안 발전기를 통해 배터리(143)를 재충전할 수 있다.
승무원 수용 공간으로 돌아가면, 4쌍의 좌석(151)이 제공된다. 편리하게는, 가장 뒤쪽의 좌석 쌍의 각각에는 조타 지휘 제어 장치(conning control)(152) 및 계기(instrument)(153)가 제공된다. 캐노피는 선박의 거널(gunwale)(157)에서 상부 및 하부 롤러 쌍(156) 사이에 장착된 2개의 좌현 및 우현 아치형 부분 원통형 섹션(154, 155)으로 형성된다. 캐노피 섹션과 롤러는 앞뒤로 정렬되며, 섹션의 아치형 중심(158)은 선박 중앙에 있다. 추가 롤러 쌍(159)이 중심(158)에 중심을 둔 섹션의 궤적 상의 선체의 외피(160) 내부에 제공된다. 배열은 롤러에 동력을 공급함으로써 캐노피 섹션이 상승되어 좌석 위의 중간에 있는 선체의 수용 공간을 폐쇄하도록 하는 것이다. 캐노피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캐노피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래치(161)가 제공된다. 래치가 풀리면, 수용 공간의 측면(163) 및 갑판(162) 아래에서, 캐노피 섹션은 승무원 수용 공간 아래로 풀릴 수 있다. 배열은 개방된 위치에서 안전하지 않다. 선수(bow)에서, 폐쇄된 위치에서 캐노피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폐쇄 반원뿔(164)이 제공된다. 승무원 수용 공간의 뒤쪽에, 엔진 구획(109) 위의 갑판(165) 및 캐노피가 유선형을 위해 유선형으로 정형된다(faired). 편리하게는, 캐노피 섹션과 폐쇄 반원뿔은 모두 투명 아크릴 재료로 되어 있어, 이에 의해 승무원이 선박이 수중에 있을 때와 실제로 선박이 캐노피가 닫힌 상태에서 수상을 이동하고 있을 때 모두 안에서 밖으로 볼 수 있다.
승무원은 잠수용 장비를 착용하여, 캐노피의 유밀성(fluid tightness)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력 탱크, 공기 저장 탱크, 승무원 에어 보틀, 트림 표면, 연료 탱크 후방의 스케그가 우리의 이전 국제 출원에서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선박은 추력기 중 하나를 감속하거나 실제로 하나를 후진시켜 수중에 있을 때 조종될 수 있다.
이제 도 11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활주 선체 형태(202)가 평평한 고물 끝 부분(205)을 갖는 경질 차인(204)으로 혼합된 V 단면 형상(103)을 선수에 가져, 활주 표면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선박(201)이 도시된다. 승무원 수용 공간(206)의 전방에, 선체는 승무원 수용 공간과 함께 양측에서 측면 갑판(2022)으로 유선형으로 정형되는 해수 쉐딩(sea-shedding) 전방 갑판(2021)을 가진다. 이 갑판들은 평행한 외부 가장자리(2024)를 가지면서 선박의 선미까지 계속된다. 승무원 수용 공간의 후방에서, 선체의 상부 측(2025)은 좁아지고, 측면 갑판은 넓어진다. 여기에서, 이는 고물 끝 부분(205)에 대체로 평행하고, 측면 갑판은 약간 위로 향하여 바깥쪽으로 비스듬히 놓인다. 이의 후방 단부에서, 측면 갑판과 고물 끝 부분(205)은 핀테일 형태(2026)로 가늘게 되고, 이의 후방에 보통의 중간틀 없이 수중 사용을 위한 수평타를 구비한다. 핀테일 형태의 전방에서, 선체는 경질 차인(204)과 갑판 가장자리(2024) 사이에 실질적으로 수직의 측면 배밑판(strake)(2028)을 갖는다. 고물 끝 부분의 후방 단부는 수상 활주 용도로 트림 탭을 위한 리세스를 가진다. 선체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승무원 수용 공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기울어진 투명한 전방 쉴드(2061) 내에, 조종사와 항해사를 위한 장거리 이동 스프링 좌석(2063)을 갖는 승무원 수용 공간의 조타 지휘 및 항해(conning and navigation) 부분(2062)이 제공된다. 승무원 수용 공간의 주요 부분(2064)에서 이의 후방에 목적지로 이송될 잠수부를 위한 6개의 이러한 좌석(2065)이 더 있다. 좌석은 승무원의 잠수부 에어 보틀 또는 수중 호흡기(rebreather) 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20631, 20651)를 가진다. 후방에 힌지가 부착된 상부 해치(2066)가 앞쪽 좌석(2063) 위로 제공되고, 중앙에 힌지가 부착된 갈매기 날개형 해치(2067)가 다른 좌석 위로 제공된다. 측면 도어(2068)가 수용 공간을 따라 제공된다. 따라서, 승무원은 항해 동안 수면과 수중 버피팅으로부터 차단되지만, 목적지에 도착하면 수중에 있는 동안 선박을 쉽게 빠져나갈 수 있다.
승무원 수용 공간의 후방에서, 상부 측(2025)은 엔진 구획(209)에서 좁아지고 후방에 방향타(2031)를 갖는 핀테일 형태(2030)로 가늘어진다. 트림 탭(2028)들 사이에 그리고 방향타(2031)의 아래에서, 워터 제트 노즐(2101)이 배치된다. 상부 측은 워터 제트 노즐에 대해 위로 향하여 볼록하고 및 아래로 향하여 경사진 형상(2102)을 가지면서 유선형으로 정형된다.
수중 추진을 위한 2개의 전기 추력기(216)가 상부 측 핀의 양측에 장착된다. 추력기 및 다른 시스템을 위한 고전압 배터리 및 저전압 배터리(217, 218)는 후술되는 배터리 구획(219)에 보관된다.
선체는 전반적으로 활주 선체 형태(202)의 선수 부분 에서의 수중 부상(up lift)이 모두 수력 하향 힘을 제공하는 하강하는 선수 전방 갑판(2021)과 전방 쉴드(2061)에 의해 균형을 이루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추력기(216)의 상승된 위치와 측면 갑판의 하강하는 선미에 의해 증강된다. 선박은 후술되는 트림 탭(2028) 및 트림 탱크를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수중에 있을 때 균형이 잡힐 수 있다(trimmed). 수중 항해 동안의 선박의 자세는 선수가 위로 갈 수상에서의 정적인 자세 및 이의 활주 자세와는 다를 수 있다. 잠수함과 같이, 선박은 침수 가능한 밸러스트 탱크(2032), 트림 탱크(2033) 및 탱크를 팽창시키기 위한 압축 에어 보틀(2034)을 가진다. 탱크의 위치 설정은 후술되며, 에어 보틀은 승무원 좌석(206)과 나란히, 즉 승무원 수용 공간 내에 제공된다.
기관 구획(209)에는 수상 추진을 위해 워터 제트 드라이브(2103)에 결합된 해양 환경에 맞게 개조된(marinised) 디젤 엔진(208)이 장착된다. 엔진의 해양 환경에 맞는 개조는 선박이 수중에 있을 때 엔진 구획이 침수될 수 있는 표준이다. 예를 들어, 추력기 배터리(217)와는 독립적으로 시스템 및 엔진 시동 배터리(218)를 충전하기 위한 교류 발전기 및 시동 모터는 밀봉 구획에 제공된, 모두 도시되지 않은, 원격 교류 발전기 및 원격 유압 펌프에 유압식으로 연결된 유압 메커니즘(2081, 2083)이다. (해양 환경에 맞게 개조된 디젤 엔진이기 때문에, 이는 냉각 팬이 없는 수냉식이다.) 엔진 및 크랭크케이스 브리더(crankcase breather)로의 공기 유입구에는 수중에 있는 동안 이를 폐쇄하기 위한 전동 밸브(2084)가 제공된다. 유사하게, 배기 장치는 역시 수중에 있을 때 배기 장치를 폐쇄하기 위한 전동 밸브(2085)를 갖는다. 이 밸브의 전동화는 잠수 중에/수중에 있는 동안 엔진이 차단될 수 있게 한다. 그러면, 이는 수위가 엔진의 공기 유입구에 가까워질 때까지 선박이 수면 아래로 주행될 수 있게 한다.
스쿱(2068)이 잠수 중에 선체 내로 물을 들어오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것은 아래에 추가로 설명되지만, 수용 공간의 갑판(2041) 아래에 있는 선박의 구조, 즉 선박의 바닥(sole)이 이제 먼저 설명된다. 용골(keel)(2044)의 양측에 있는 2개의 세로 축(2042, 2043)은 선체의 바닥으로부터 갑판(2041)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용골을 따라 배터리 보관 구획이 제공된다. 이것은 수중에 있을 때 배터리가 밀폐식으로 밀봉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침수되고, 배터리(217, 218)를 수용한다. 이것은 밀폐식으로 밀봉된 인클로저이다. 배터리 구획(219)의 양측에 밸러스트 탱크(2032)가 제공된다. 이것은 고물 끝 부분(205) 및 경질 카인(205), 벌크헤드(2033), 수용 공간 갑판(2041) 및 수용 공간 측면(2045)을 포함하는 선박 플레이트로부터 형성된다. 세로 뼈대(longitudinal)(2042, 2053)에는 배터리 구획(219)에 연통을 제공하는 이의 하부 바닥 가장자리에 스캘럽(scallop)(2046)이 제공되고; 그리고 수용 공간 측면에는 하부 스캘럽(2047) 및 상부 공기 배출/송풍 지점(2048)이 제공된다. 잠수 시, 스쿱은 배터리 구획 내의 배터리 위로 메시 또는 격자(2049)를 통해 배터리 구획(219) 내로 배수되는 물로 승무원 수용 공간을 채운다. 상부 공기 지점(2048)과 연통하는 공기 밸브는 변위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게 한다. 부상을 위하여, 공기 배출 밸브가 폐쇄되고 병(2034)으로부터의 공기가 다른 밸브를 통해 탱크로 공급되어(밸브들은 도시되지 않음), 물을 배터리 구획 내로 다시 불어 넣는다. 필요에 따라, 에어 보틀로부터 이를 송풍하기 위한 밸브(표시되지 않음)가 제공된다. 탱크는 메시(2049)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될 수 있다. 따라서, 선체의 외피에 밸러스트 블로잉 콕이 필요 없이 선체의 무결성이 유지된다. 잠수 시, 탱크 내의 공기가 배출되어, 선내에 퍼내어진 물이 밸러스트 탱크를 채울 수 있게 한다.
유사하게, 트림 탱크(2033)는 단일의 전방 탱크 및 한 쌍의 후방에 있는 좌현 및 우현 선미로서 제공된다. 트림 탱크는 선체의 단부에 제공되며, 전방 트림 탱크는 전방 갑판 아래에 있고 후방 트림 탱크는 후방 핀 테일 형태의 바로 앞쪽에 있다. 이들의 구조 및 작동은 밸러스트 탱크의 구조 및 작동과 유사하다.
전방 트림 탱크를 제외하고는, 승무원 수용 공간의 전방에 있는 선수 구획(bow compartment)(2050)은 적어도 배터리 구획을 통해 승무원 수용소 공간으로부터의 물 흐름에 대해 개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엔진 구획(209)은 유사하게 승무원 수용 공간과 물이 연통된다. 따라서, 선체 내의 모든 주요 공극(void)은 함께 침수되거나 함께 배수된다. 선체는 개폐 가능한 기밀 벌크헤드를 가지지 않는다.
위에서 언급된 스쿱(2068)은 승무원 수용 공간에서 전방 및 후방과 좌현 및 우현에 제공된다. 이는 본질적으로 선체 구멍(2069)으로부터 바닥 구멍(2070)으로 연장되는, 즉 선체 외부로부터 그 내로, 특히 승무원 수용 공간으로의 물 흐름과 그 반대의 물 흐름을 허용하는, 원통형 장치이다. 이는 선체와 바닥 모두에 방수 접착된 외부 고정 튜브(2071)를 가진다. 이는 밸러스트 탱크를 통과하고 이로부터 밀봉된다. 이동 가능한 내부 덕트(2072)가 고정된 튜브 내에 배치되고, 튜브보다 크고 선체 바닥의 국부적으로 비스듬히 놓이는 배치를 보완하도록 비스듬히 놓인 하부 폐쇄 플레이트(2073)를 가진다. 스쿱이 폐쇄될 때, 플레이트는 선체 구멍(2069)을 폐쇄한다. 내부 덕트는 폐쇄 플레이트 바로 위에 개방된 상부 및 그 내부의 포트(2074)를 가진다. 덕트의 초기의 축 방향 하향 이동 시, 상부 액추에이터(2075)에 의해, 포트는 후방을 향한다. 따라서, 선박이 앞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 물을 통해 이동되는 덕트의 하부 단부 뒤의 진공은 항해용 소형 보트(dinghy)의 자동 베일러(auto-bailer)의 방식으로 위로부터 덕트에 들어오는 물 및/또는 공기를 덕트 아래로 그리고 선박 밖으로 끌어낸다. 포트가 전방으로 향하면, 물은 그 내로 그리고 이의 덕트 위로 가게 되어, 외부 튜브 내의 포트(2076)를 통해 수용 공간 내로 그리고 수용 공간에 개방된 선체의 나머지 부분 내로 가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액추에이터의 추가 이동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덕트 및 튜브 중 하나 또는 다른 것은 초기 이동 직선 섹션(2077) 및 추가 이동 부분 나선형 섹션(2078)을 갖는 홈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덕트 및 튜브 중 다른 하나는 그에 고정되고 홈에 결합된 종동부(2079)를 갖는다. 종동부는 덕트의 각도를 제어한다. 따라서, 포트가 후방을 향한 상태에서의 덕트의 초기 하향 이동은, 선박의 부상 시에서와 같이 스쿱이 승무원 수용 공간으로부터 물을 빨아들이게 하고, 계속된 하향 이동은 전방을 향하도록 포트를 방향 전환시키고 잠수 시에서와 같이 덕트가 물을 승무원 수용 공간 내로 이송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홈은 외부 튜브에 있고, 종동부(2079)는 내부 덕트에 고정된다.
잠수 시, 주 엔진(208) 및 제트 드라이브(2101)로부터의 전방 추진 하에서, 스쿱이 완전히 배치된다. 이는 선체 내로 물이 들어가게 하여, 선체는 침수되기 기기 시작하여, 선박이 물에 가라앉게 한다. 바닥이 물로 덮이면, 이는 격자(2049)를 통해 배터리 구획으로 배출된다. 밸러스트 탱크의 밸브가 개방되면, 이는 물로 채워진다. 부상 시에 동일하게, 추력기(216)의 동력 하에서, 스쿱은 자신의 초기 범위로 배치된다. 이것은 구획으로부터 물을 배출하여 공기로 채우는 효과가 있다. 동일하게, 밸러스트 탱크가 팽창되고 물이 배출된다.
승무원 수용 공간은 공기가 승무원 수용 공간의 상부에 있는 통풍구(2081)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기밀 밀봉되지 않는다. 엔진 구획은 수직 슬라이드에 제공된 레이돔(radome)(2105)에서 통기되며, 이에 의해, 수상 이동을 위해, 레이돔은 사용을 위해 상승될 수 있고, 수중 이동을 위해, 이는 상부 측과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퇴피될 수 있다. 엔진 구획(209) 및 선수 섹션(2050)은 배터리 구획으로부터 침수된다.
스쿱은 바닥 레벨 바로 위까지만 선체를 배수할 수 있다. 선박은 더 이상 추력기(216)에 의해 구동될 수 없다. 그러나, 엔진 공기 유입구(2089)는 물이 잘 제거되고 주 엔진이 시동될 수 있다. 이의 냉각수 회로는 전환기(diverter)(2086)를 가지며, 이는 선체 내에서 흡입을 낮게 유도하여, 배터리 구획(219)과 연통한다. 따라서, 선체는 실질적으로 건조하게 펌핑될 수 있고, 선박은 신속하게 수평면으로 이동된다. 냉각 없이 주 엔진을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환기는 제한된 기간 후에 폐쇄되고, 보조 펌프(2088)에 의해 임의의 남아 있는 물이 펌핑된다.
수중 제어를 돕기 위해, 선박은, 선박이 부상될 때 수면 위에 있도록, 승무원 수용 공간의 앞쪽에 있고 경질 차인 위의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서 선체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수평타(2034)를 가진다. 수평타의 근원부(root)에서, 상하 추력기(2035)가 장착된다. 수평타가 활주 동안에 수면 밖에 있을 수 있지만, 이는 한 쌍의 인접한 튜브(2036) 내로 포개어 끼워져(telescopically) 퇴피되도록 배치되어, 이를 보호하고 공기 역학적 항력을 줄이기 위하여 선체를 가로지른다. 통상적인 수중 사용에서, 추력기(2035)는 노출되지 않고, 각각의 평면의 근원부에 있는 디스크(2037)가 튜브(2036)를 폐쇄한다. 추가의 상하 추력기(2038)는 측면 갑판(2022)과 선체의 바닥 사이에서 후방에 있다. 추력기는 이러한 작업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잠수 및 부상 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의 주요 목적은, 이의 선미와 함께, 물에서 상승 또는 하강을 중지하는 것이다.
자동 잠수/부상 컨트롤러의 제어 하에서,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수평면으로부터 잠수하기 위하여, 선박이 수평면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주 엔진의 추력이 변화되고,
2. 스쿱이 작동하여 물을 선체로 밀어 넣고,
3. 전방 수평타가 배치되어 잠수 각도로 설정되고,
4. 수평타가 수중에 있고 선박이 수면 아래로 잠수할 때까지 주 엔진이 감소된 회전수로 계속 작동되고,
5. 엔진이 차단되고 이의 유입구 및 배기 장치 전동 밸브가 폐쇄되고,
6. 추진력 및 감소된 부력 하에서 선박이 잠수함에 따라, 트림 탱크가 침수되고 수직 추력기에 동력기 공급되고, 잠수를 촉진하고,
7. 수면 밑 구동 추력기가 수면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잠수를 계속하기 위한 추력을 제공하고,
8. 선박이 수중에 있는 상태에서, 수직 추력기가 폐쇄한 상태로 통상의 잠수함처럼 균형이 잡힐 수 있다.
부상은 반대 절차이다. 이의 마지막 단계는 트림 탭(2029)을 사용한 선박 활주 자세의 균형 잡기(trimming)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의 세부 사항으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트 드라이브는, 특별한 이점이 있다고 고려되면, 외부 드라이브로 교체될 수 있다. 스쿱은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우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쿱은 일반적으로 선체 구멍을 폐쇄하여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선체 바닥(205)을 제공하는 게이트(2091)를 가진다. 스쿱을 개방하기 위해, 게이트는 전방 및 후방 액추에이터(2094, 2095)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 가장자리(2092, 2093)에서 선박 아래의 물 내로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스쿱은 각각 전방 또는 후방 가장자리로부터 선체 구멍의 반대쪽에 있는 가장자리까지 링크(2096, 2097)에 의해 연결된다. 이 배열은 구획에서 물을 흡입하기 위해 게이트의 후방 가장자리가 아래로 구동되게 하거나 구획으로 물을 퍼올리기 위하여 전방 가장자리가 아래로 구동되게 하며, 양 효과 모두 선박의 전방 운동을 필요로 한다.
위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은 세부 사항은 블래더 연료 탱크(2039)가 선미와 밸러스트 탱크(2032) 사이에서, 선미 트림 탱크(2033)와 유사하게 배열된 구획(2040) 내에에 제공된다. 이것은 엔진의 양측에 있다. 블래더 연료 탱크의 사용은, 고정 용량 연료 탱크의 경우와 같이, 연료가 고갈된 상태에서 잠수 시 바람직하지 않은 부력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7)

  1. 수상/수중 선박으로서,
    ● 선체;
    ● 상기 선체 내에 또는 상기 선체 상에 제공된 수중 추진 수단;
    ● 상기 선체 내에 또는 상기 선체 상에 제공된 수상 추진 수단;
    ● 상기 선체 내에 제공된 잠수 시 침수 가능한(floodable-on-submerging) 승무원 수용 공간; 및
    ● 상기 선박을 지나는 물의 흐름으로부터 승무원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침수 가능한 승무원 수용 공간을 폐쇄하도록 배치된 캐노피
    를 포함하고, 상기 캐노피는 목적지에서 수중에 있는 동안 승무원이 상기 선박으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개방 가능한 것인 수상/수중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내부 전체는, 건조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장비를 위한 보관 공간만을 남기고, 밸러스트 및 트림 탱크(trim tank)는 잠수 시 침수 가능한 것인 수상/수중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및 트림 탱크는, 상기 선체 내부로부터 잠수 시 침수 가능하고, 선체 내부로 팽창 가능한 것인 수상/수중 선박.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추진 수단의 엔진은 침수 가능한 기관실(engine room) 내에 제공되고, 상기 엔진은 바람직하게는 내연 기관이고 폐쇄 가능한 공기 유입구와 폐쇄 가능한 배기 장치가 제공되고, 잠수 시 잠수를 위하여 폐쇄 가능하고, 부상(surfacing) 및 상기 기관실의 배수 시 재개될 수 있는 것인 수상/수중 선박.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추진 수단의 모터는 상기 모터를 둘러싸는 밀봉된 보관 공간에 제공된 전기 모터인 것인 수상/수중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는 낮은 위치의 해수 콕(sea cock)과 높은 위치의 공기 포트가 제공되어, 잠수 시, 상기 수용 공간 및 기관실은, 제공되는 경우, 상기 공기 포트를 통해 공기가 위로 빠져나가면서 아래로부터 상기 해수 콕을 통해 물로 채워질 수 있고, 부상 시, 상기 수용 공간 및 기관실은 상기 공기 포트를 통해 공기가 들어 오면서 상기 해수 콕을 통해 물이 배수될 수 있고, 상기 해수 콕은 바람직하게는 사용하지 않을 때 폐쇄 가능한 것인 수상/수중 선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콕에는, 잠수 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수용 공간 및 기관실 내로 물을 끌어들이고 및/또는 부상 시 상기 수용 공간 및 상기 기관실로부터 물을 끌어내는 지향 수단이 제공되는 것인 수상/수중 선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 수단은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선체를 지나는 물 흐름으로부터 퇴피 가능한(withdrawable) 것인 수상/수중 선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단일 세트의 지향 수단이 제공되어, 물을 끌어들이고 끌어내도록 조정 가능한 것인 수상/수중 선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2세트의 지향 수단이 제공되며, 한 세트는 물을 끌어들이기 위한 것이고 다른 세트는 물을 끌어내기 위한 것인 수상/수중 선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 수단은,
    ● 선체 구멍(aperture)을 정상 밀봉하기(normally seal)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랩;
    ● 상기 플랩의 뒤쪽 부분을 상기 구멍의 앞쪽에서 상기 선체에 피벗식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
    ● 상기 플랩의 앞쪽 부분을 상기 구멍의 뒤쪽에서 상기 선체에 피벗식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
    ● 상기 선체로부터 물을 끌어내기 위하여 상기 플랩의 뒤쪽에서 상기 구멍을 개방하도록 상기 플랩의 상기 뒤쪽 부분을 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및
    ● 상기 선체로 물을 끌어들이기 위하여 상기 플랩의 앞쪽에서 상기 구멍을 개방하도록 상기 플랩의 상기 앞쪽 부분을 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수상/수중 선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 수단은,
    ● 상기 선체 내부로부터 주위가 밀봉된 선체 구멍까지 아래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 상기 슬리브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 폐쇄된 하부 단부;
    ● 상기 폐쇄된 하부 단위 위의 포트; 및
    ● 개방된 상부 단부
    를 갖는 각각의 덕트;
    ● 상기 선체의 바닥 아래로 연장되도록 상기 덕트를 전진시키고, 상기 폐쇄된 하부 단부가 상기 선체 구멍을 밀봉하도록 상기 덕트를 퇴피시키는 수단; 및
    ● 상기 슬리브 및 덕트 내에 있고,
    ● 앞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선체로부터 물을 빨아들이도록 상기 덕트의 초기 전진 시 상기 포트를 뒤쪽으로 노출시키도록 상기 덕트를 안내하고;
    ● 앞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선체 내로 물을 끌어들이도록 상기 덕트의 추가 전진 시 상기 포트를 앞쪽으로 방향 전환시키도록 상기 덕트를 방향 전환시키기 위한,
    상보적 추적 및 종동부(follower)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인 수상/수중 선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추진 수단은 부상되어 있을 때 프로펠러가 정상 수선(normal waterline) 위에 있는 전기식 수단인 것인 수상/수중 선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추진 수단은 제트 드라이브(jet drive)를 포함하는 것인 수상/수중 선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는 수중에 있을 때에 비하여 수상에서의 상당한 속도에 대하여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파도를 가르거나 활주하는(planing) 선체 형태를 갖는 것인 수상/수중 선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는 수상 이동을 위한 수중익(hydrofoil)이 제공되고, 상기 수중익은 수중 이동을 위해 퇴피 가능한 것인 수상/수중 선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는 뒤쪽에서 상기 선체의 활주 선체 형태와 상보적인 측면 갑판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갑판은 바람직하게는 위쪽으로 비스듬히 놓이는 것인 수상/수중 선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갑판 및 상기 선체의 바닥은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 테일(pintail) 형태로 뒤쪽으로 테이퍼지고, 바람직하게는 조정 가능한 트림 표면(trim surface)이 제공되는 것인 수상/수중 선박.
  19. 제17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갑판에 있는 구멍에 장착된 수직으로 배향된 추력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멍은 바람직하게는 수상 항해를 위해 폐쇄 가능한 것인 수상/수중 선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방향타(rudder)가 제공된, 수직 핀 테일 형태로 뒤쪽에서 테이퍼지는 상부 측을 포함하는 것인 수상/수중 선박.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에 수상 수선(surface water line) 위로 장착된 수평타(hydroplane)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타는 바람직하게는 그 안에 장착된 수직 추력기를 포함하는 것인 수상/수중 선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타는 세장형이고, 상기 선체의 측 방향으로 배열된 하우징들 내로 포개어 끼워져(telescopically) 퇴피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하우징이 상기 선체의 양측에 고정될 수 있게 하도록 앞뒤로 배치되는 것인 수상/수중 선박.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는 상기 승무원 수용 공간 위로 폐쇄되고 상향 출구를 제공하는 두 부분으로 된 클램 쉘(clam shell)인 것인 수상/수중 선박.
  24.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는 측부 출구를 위한 두 부분으로 된 갈매기 날개 형태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날개의 멀리 있는 가장자리 아래에서 측부 도어와 조합되는 것인 수상/수중 선박.
  25.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는 두 부분으로 된 형태이고, 부분들은 부분적으로 원통형이고, 원주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승무원 수용 공간 위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아래로 개방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수상/수중 선박.
  26. 제23항, 제24 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는 한 쌍의 앞쪽 승무원 좌석 위로 후방 힌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수상/수중 선박.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수부 수중 호흡기(rebreather) 또는 에어 보틀 팩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등받이를 갖는 승무원 좌석을 포함하는 수상/수중 선박.
KR1020217027923A 2019-02-08 2020-02-07 수상/수중 선박 KR202101326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901786.2 2019-02-08
GBGB1901786.2A GB201901786D0 (en) 2019-02-08 2019-02-08 Surface/submersible craft
PCT/IB2020/050986 WO2020161677A1 (en) 2019-02-08 2020-02-07 Surface/submersible craf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665A true KR20210132665A (ko) 2021-11-04

Family

ID=65997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923A KR20210132665A (ko) 2019-02-08 2020-02-07 수상/수중 선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20220106016A1 (ko)
EP (1) EP3921228B1 (ko)
JP (1) JP7497893B2 (ko)
KR (1) KR20210132665A (ko)
AU (1) AU2020219945A1 (ko)
DK (1) DK3921228T3 (ko)
ES (1) ES2945422T3 (ko)
FI (1) FI3921228T3 (ko)
GB (1) GB201901786D0 (ko)
HR (1) HRP20230402T1 (ko)
IL (1) IL284975B1 (ko)
LT (1) LT3921228T (ko)
MX (1) MX2021009460A (ko)
PL (1) PL3921228T3 (ko)
PT (1) PT3921228T (ko)
SA (1) SA521422684B1 (ko)
SI (1) SI3921228T1 (ko)
WO (1) WO202016167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6521C (de) * 1927-01-28 Rudolf Wagner Dr Ganz oder teilweise den Schraubenstrom einhuellender Leitmantel
US3598074A (en) * 1969-02-11 1971-08-10 James M Schubert Submersible vehicle
DE2640077A1 (de) * 1976-09-06 1978-03-16 Ruediger Staege Saugverdraenger (schiffstyp)
JP3767726B2 (ja) 1999-09-07 2006-04-19 株式会社石垣 潜水艇
SE526748C2 (sv) * 2003-10-03 2005-11-01 Defence Consulting Europ Ab Dykfarkost
US7246566B2 (en) * 2003-11-26 2007-07-24 Marion Hyper-Submersible Powerboat Design Llc Combination surface and submersible watercraft
WO2009002520A2 (en) * 2007-06-26 2008-12-31 Talmor Amnon G Shallow water wet-dry vehicle and a littoral fighting vehicle
ZA200808670B (en) * 2007-07-10 2009-11-25 Univ Witwatersrand Johannesburg A submersible
JP5582761B2 (ja) * 2009-11-09 2014-09-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推進装置
EP2943400B1 (en) * 2013-01-10 2018-02-28 Julien Montousse Underwater personal submersible
JP2014192038A (ja) 2013-03-27 2014-10-06 Sumitomo Heavy Ind Ltd 2次電池の充放電検査装置
GB201713261D0 (en) 2017-08-18 2017-10-04 Subsea Craft Ltd Submar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RP20230402T1 (hr) 2023-07-07
SA521422684B1 (ar) 2023-07-05
EP3921228B1 (en) 2023-04-12
PT3921228T (pt) 2023-05-25
JP7497893B2 (ja) 2024-06-11
AU2020219945A1 (en) 2021-06-24
SI3921228T1 (sl) 2023-06-30
IL284975A (en) 2021-09-30
EP3921228A1 (en) 2021-12-15
MX2021009460A (es) 2021-09-10
ES2945422T3 (es) 2023-07-03
JP2022521374A (ja) 2022-04-07
FI3921228T3 (fi) 2023-05-04
US20220106016A1 (en) 2022-04-07
GB201901786D0 (en) 2019-03-27
WO2020161677A1 (en) 2020-08-13
LT3921228T (lt) 2023-05-25
PL3921228T3 (pl) 2023-05-29
DK3921228T3 (da) 2023-05-08
IL284975B1 (en) 202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5054B1 (en) Cache boat
AU20132073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underwater observation
US4411213A (en) Twin-hull watercraft
US20140090590A1 (en) Towable pressurized dry personal submersible using surface air replenishment
US4615292A (en) Submersible twin-hull watercraft
US3677212A (en) Submersible watercraft
EP0716012B1 (en) Submersible boat
GB2554045A (en) Boat auxiliary propulsion unit
US3698339A (en) Method and means for the water transport of liquids
JP7497893B2 (ja) 水上/潜水用舟艇
US5377613A (en) Submersible boat
RU2191135C2 (ru) Подводно-надвод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проницаемого типа
US3335684A (en) Submersible watercraft
US6571725B1 (en) Watercraft with anticavitation control
EP3668782A1 (en) Submersible multi-hull craft
RU2149120C1 (ru) Надводно-подвод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удно
US11679841B2 (en) Marine vessel with aft extension
ZA200808670B (en) A submersible
RU2175619C1 (ru) Аэрокатер
GB2618343A (en) Buoyant Stern Structure
CN116767416A (zh) 船舶
JPWO2020161677A5 (ko)
KR20170036982A (ko) 잠수선박
WO2017063202A1 (zh) 一种航行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