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2273A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32273A KR20210132273A KR1020200050013A KR20200050013A KR20210132273A KR 20210132273 A KR20210132273 A KR 20210132273A KR 1020200050013 A KR1020200050013 A KR 1020200050013A KR 20200050013 A KR20200050013 A KR 20200050013A KR 20210132273 A KR20210132273 A KR 202101322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e
- wireless charging
- case
- module
- electronic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영역과 마주하며 상기 제2 모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모드에서 곡률을 갖는 곡률영역 및 상기 곡률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마주하는 평면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지지 부재를 수용하고,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를 구현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차폐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개방되는 무선충전 코일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굴곡을 평탄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충전 가능한 슬라이더블(Slidable) 전자 장치 및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발전에 따라, 무선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 기술이 상용화 되고 있다. 무선 충전 기술은 무선 전력 송수신을 이용한 것으로, 전자 장치를 별도의 충전 커넥터로 연결하지 않고, 충전 패드에 올려놓기만 하면 자동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충전 기술은 코일을 이용한 자기 유도 방식(inductive charging)과, 공진을 이용하는 자기 공명(resonant inductive coupling) 또는 전기적 에너지를 마이크로파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전자기파(Micro Wave) 방식이 있다.
본 발명은 무선 충전 가능한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표시 패널 상의 굴곡 변형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전자 장치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서 외부에 노출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영역과 마주하며 상기 제2 모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모드에서 곡률을 갖는 곡률영역 및 상기 곡률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마주하는 평면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지지 부재를 수용하고,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를 구현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차폐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개방되는 무선충전 코일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영역에 중첩된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영역에 중첩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마주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금속-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 코일은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중첩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지지부에 중첩하고 상기 제2 지지부에 비중첩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 코일은 상기 금속-플레이트에 의해 차폐되면 비활성화되고, 상기 금속-플레이트로부터 개방되면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충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 모듈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무선충전 코일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무선충전 코일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무선충전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모듈은 상기 제2 모드 또는 상기 제1 모드를 감지하여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충전 모듈에 전달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슬라이딩 동작을 기초로 상기 제2 모드 또는 제1 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지지 부재가 고정 결합된 제1 케이스 및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케이스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된 제2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모드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 코일은 상기 제2 케이스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곡률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무선충전 코일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에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무선충전 코일은 상기 금속-플레이트에 의해 1차적으로 비활성화되고, 상기 무선충전 모듈에 의해 2차적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은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지지 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무선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제2 모드 또는 제1 모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2 모드와 상기 제1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스가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무선충전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무선충전 모듈에 연결된 전자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제2 모드 또는 제1 모드를 감지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2 모드 또는 상기 제1 모드를 판단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제2 모드 또는 제1 모드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인접한 외부 무선충전 장치를 인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지지 부재가 고정 결합된 제1 케이스 및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케이스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된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2 모드 또는 상기 제1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모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무선충전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충전 코일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전자 장치가 인접한 외부 무선충전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충전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 단계는 상기 전력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발열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 모듈의 굴곡을 평탄하게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무선충전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충전 코일을 차폐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무선충전 코일을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은 제2 모드에서만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강제되어, 표시 패널의 굴곡 변형을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선충전 코일을 제1 모드에서는 차폐하고 제2 모드에서는 개방하는 금속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제2 모드에서만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강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2 모드가 감지되면 무선충전을 활성화시키고, 제1 모드가 감지되면 무선충전을 비활성화 시키는 무선충전 모듈을 통해 제2 모드에서만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충전시 발생하는 발열을 이용하여 제2 모드에서 나타나는 표시 패널의 굴곡을 평탄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제2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 및 표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별 표시 모듈의 굴곡(CV) 변형의 높이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제2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 및 표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별 표시 모듈의 굴곡(CV) 변형의 높이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제2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ED)는 표시 모듈(DM) 및 표시 모듈(DM)이 수용된 케이스(CS)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케이스(CS)의 상부에 정의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케이스(CS)는 제1 케이스(CS1) 및 제2 케이스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CS1) 및 제2 케이스(CS2)는 서로 결합되어 표시 모듈(DM)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케이스(CS1)는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도록 제2 케이스(CS1)에 결합된다. 도 1에서는 전자 장치(ED)의 제1 케이스(CS1)가 이동하기 전인 제1 모드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제1 모드는 전자 장치(ED)의 닫힘 상태이고, 제2 모드는 전자 장치(ED)의 열림 상태일 수 있다.
이하,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방향은 제2 방향(DR2)으로 정의된다. 제1 및 제2 방향들(DR1, 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평면 상에서 봤을 때"의 의미는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의 표시면(DS, 케이스(CS)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노출면)의 면적은 제1 케이스(CS1)의 이동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모듈(DM)은 플렉서블 표시 모듈일 수 있으며, 표시 모듈(DM) 아래에 배치된 지지 부재(이하 도 4a 및 도 4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부재는 제1 케이스(CS1)에 연결되고, 제1 케이스(CS1)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때, 지지 부재도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는 전자 장치(ED)의 제1 케이스(CS1)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 제2 모드를 도시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표시 모듈(DM)의 표시면(DS) 외에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표시 모듈(DM)의 일부분이 케이스(CS)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케이스(CS1)의 이동에 따라 표시면(DS)의 사이즈가 제1 방향(DR1)으로 증가한다. 또한, 지지 부재 상에 배치된 표시 모듈(DM)은 제1 케이스(CS1)의 이동에 따라 지지 부재와 함께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여, 표시 모듈(DM)의 표시면(DS) 역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확대된 화면을 통해 영상을 시인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듈(DM)의 표시면(DS)이 기본 사이즈로 설정된 전자 장치(ED)의 상태는 제1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듈(DM)의 표시면(DS)이 확장된 전자 장치(ED)의 상태는 제2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ED)의 제1 모드는 케이스(CS)의 제1 모드와 대응될 수 있고, 전자 장치(ED)의 제2 모드는 케이스(CS)의 제2 모드와 대응될 수 있다. 케이스(CS)는 제1 모드에서 제1 케이스(CS1)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여 표시 모듈(DM)의 표시면(DS)이 확장되면 제2 모드로 변환될 수 있다. 즉, 케이스(CS)는 전자 장치(ED)를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고, 제2 모드로부터 제1 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ED)는 표시 모듈(200), 전원공급 모듈(PM), 전자 모듈(EM), 표시 모듈(200), 전원공급 모듈(PM),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모듈(EM)은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200)은 표시 패널(210) 및 입력 감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은 실질적으로 영상(IM)을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이 생성하는 영상은 전면에 표시되고, 투과 영역을 통해 외부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된다.
입력 감지부(22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입력 감지부(220)는 윈도우에 제공되는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입력은 사용자의 입력일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펜,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한다.
전원공급 모듈(PM)은 시 장치(DD)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 모듈(PM)은 통상적인 배터리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모듈(EM)은 전자 장치(ED)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EM1)은 표시 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더보드에 직접 실장되거나 별도의 기판에 실장되어 커넥터(미도시) 등을 통해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EM1)은 제어 모듈(CM), 무선통신 모듈(TM), 영상입력 모듈(IIM), 음향입력 모듈(AIM), 메모리(MM), 무선충전 모듈(WRM) 및 외부 인터페이스(I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들 중 일부는 마더보드에 실장되지 않고,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 모듈(CM)은 전자 장치(ED)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모듈(CM)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CM)은 표시 모듈(200)을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킨다. 제어 모듈(CM)은 표시 모듈(200)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영상입력 모듈(IIM)이나 음향입력 모듈(AIM) 등의 다른 모듈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CM)은 제2 전자 모듈(EM2)로부터 신호를 받아 제1 전자 모듈(EM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CM)은 센서모듈(SSM)로부터 제2 모드 또는 제1 모드의 판단 신호를 받아 무선충전 모듈(WRM)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CM)은 무선충전 모듈(WRM)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TM)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회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TM)은 일반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TM)은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TM1)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TM2)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입력 모듈(IIM)은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 모듈(200)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음향입력 모듈(AIM)은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무선충전 모듈(WRM)은 전자 장치(ED) 무선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충전 모듈(WRM)은 외부 충전장치로부터 전원공급 모듈(RM)에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무선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충전 모듈(WRM)은 무선충전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충전 코일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충전 코일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충전 모듈(WRM)은 제어 모듈(CM)로부터 신호를 받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무선충전 모듈(WRM)은 활성화되면, 주변에 있는 외부 충전장치로부터 전원공급 모듈(RM)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자 장치(ED)의 무선충전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무선충전 모듈(WRM)은 비활성화되면, 주변의 외부 충전장치와 관계없이 무선충전 모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무선충전 모듈(WRM)은 센서모듈(SSM)에서 판단된 전자 장치(ED)의 제2 모드 또는 제1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제어 모듈(CM)로부터 수신하여 무선충전 모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전원공급 모듈(PM)은 무선충전 모드가 활성화 되면 인접한 외부 무선충전 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IF)는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전자 모듈(EM2)은 음향출력 모듈(AOM), 발광 모듈(LM), 수광 모듈(LRM), 카메라 모듈(CMM) 및 센서모듈(SS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은 마더보드에 직접 실장되거나, 별도의 기판에 실장되어 커넥터(미 도시) 등을 통해 표시 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제1 전자 모듈(EM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AOM)은 무선통신 모듈(TM)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MM)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발광 모듈(LM)은 광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발광 모듈(LM)은 적외선을 출력할 수 있다. 발광 모듈(LM)은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소정 레벨 이상의 적외선이 감지된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CMO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모듈(LM)에서 생성된 적외광이 출력된 후, 외부 물체(예컨대 사용자 손가락 또는 얼굴)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된 적외광이 수광 모듈(LRM)에 입사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CMM)은 외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센서모듈(SSM)은 다양한 종류의 신호들을 감지하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SSM)은 전자 장치(ED)의 제2 모드 또는 제1 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모듈(SSM)은 전자 장치(ED)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SSM)은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해 케이스(CS, 도 1 참조)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모듈(SSM)은 케이스(CS)의 제2 모드 또는 제1 모드를 감지하여 전자 장치(ED)의 제2 모드 또는 제1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모듈(SSM)은 케이스(CS)의 슬라이딩 동작을 기초로 제2 모드 또는 제1 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모듈(SSM)은 제1 케이스(CS1, 도1 참조)의 제1 방향(DR1)으로의 열리는 슬라이딩 동작이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되면, 전자 장치(ED)를 제2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센서모듈(SSM)은 제2 모드의 제1 케이스(CS1)의 닫히는 슬라이딩 동작을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하면, 전자 장치(ED)를 제1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모듈(SSM)은 자기장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SSM)은 전자 장치(ED)와 인접한 외부 무선충전 장치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SSM)은 자기장 감지 센서를 통해 외부 무선충전 장치의 무선충전 코일과 전자 장치(ED)의 무선충전 코일간 발생하는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모듈(SSM)은 자기장을 감지하면 제어 모듈(CM)에게 전자 장치(ED)의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를 감지하도록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제어 모듈(CM)은 전자 장치(ED)의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를 판단하기 위해 센서모듈(SSM)에게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센서모듈(SSM)은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해 케이스(CS)의 제2 모드 또는 제1 모드를 기초로 전자 장치의 제2 모드 또는 제1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모듈(500)은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의 구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500)은 음향출력 모듈(AOM), 발광 모듈(LM), 수광 모듈(LRM), 카메라 모듈(CMM), 열 감지 모듈 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모듈(500)은 센싱 영역(SSA)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 피사체를 감지하거나, 센싱 영역(SSA)을 통해 음성 등의 소리 신호, 또는 적외선 광 등의 광을 외부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 및 표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모듈 및 표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표시 모듈 및 지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a에서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SP)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었으며, 도 4b는 제2 방향(DR2)에서 바라본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SP)의 측면을 도시하였다.
도 4a 및 도 4b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의 표시면(DS)은 제1 영역(AA1) 및 제2 영역(AA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면(DS)의 제1 영역(AA1)은 기본 모드에서 도 1의 표시면(DS)에 대응하는 크기로 제공되어, 제1 모드에서의 화면의 사이즈를 결정한다. 즉, 표시면(DS)은 제1 모드에서 제1 영역(AA1)으로 정의되고, 제2 영역(AA2)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모드에서 제1 영역(AA1) 및 제2 영역(AA2)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영역(AA2)은 제1 영역(AA1)에 인접하고, 전자 장치(ED)가 제2 모드에 있는 경우, 제1 영역(AA1)뿐만 아니라 제2 영역(AA2)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제2 영역(AA2)의 적어도 일부분의 면적만큼 전자 장치(ED)의 화면의 사이즈는 증가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제2 영역(AA2)의 노출된 적어도 일부분 외에 다른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다른 일부분은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지지 부재(SP)는 표시 모듈(DM)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SP)는 표시 모듈(DM)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SP)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플레이트일 수 있다. 지지 부재(SP)는 제1 지지부(SP1), 복수개의 지지바들(SB), 및 제2 지지부(S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SP1)는 표시 모듈(DM)의 제1 영역(AA1)을 지지하고, 복수개의 지지바들(SB) 및 제2 지지부(SP2)는 표시 모듈(DM)의 제2 영역(AA2)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바들(SB)은 제1 지지부(SP1)와 제2 지지부(SP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바들(SB)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고,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바들(SB)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복수개의 지지바들(SB) 각각은 표시 모듈(DM)의 표시면(DS)을 기준으로 역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예시적으로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된 지지바들(SB)이 도시되었으나, 지지바들(SB)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지바들(SB)은 서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관절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지지부(SP1)는 제1 및 제2 방향들(DR1, 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부(SP1)는 표시 모듈(DM)의 제1 영역(AA1)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지지부(SP2)는 제2 영역(AA2)에 중첩할 수 있다. 제2 지지부(SP2)는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지지부(SP1)와 마주할 수 있다. 제2 지지부(SP2)는 금속-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서, 지지 부재(SP)는 표시 모듈(DM) 아래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SP)는 표시 모듈(DM)의 표시면(DS)의 반대면인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SP1)는 표시 모듈(DM)의 표시면(DS)과 반대하는 후면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의 제1 영역(AA1)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바들(SB) 및 제2 지지부(SP2)는 표시 모듈(DM)의 후면에 배치되어, 제2 영역(AA2)을 지지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모듈(DM)과 지지 부재(SP) 사이에 접착제가 배치되어 지지 부재(SP)를 표시 모듈(DM)의 후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접착제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접착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5a는 도 1의 I 내지 I'를 자른 절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2의 II 내지 II'를 자른 절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ED)는 표시 모듈(DM), 지지 부재(SP), 케이스(CS) 및 무선충전 코일(CL)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ED)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가진다. 전자 장치(ED)의 제2 모드와 제1 모드는 케이스(CS)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ED)의 제1 모드는 제1 케이스(CS1)와 제2 케이스(CS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끝까지 이동한 경우와 대응하고, 전자 장치(ED)의 제2 모드는 제1 케이스(CS1)와 제2 케이스(CS2)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끝까지 이동한 경우와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ED)의 제1 모드와 제2 모드는 표시 모듈(DM)의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모듈(DM)은 제1 영역(AA1) 및 제2 영역(AA2)을 포함한다. 제1 영역(AA1)은 제1 모드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영역(AA2)은 제1 영역(AA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영역(AA2)은 제1 모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드에서 제2 영역(AA2)은 곡률을 가지는 곡률영역(CA) 및 곡률영역(CA)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영역(AA1)에 마주하는 평면영역(F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b에서, 제2 영역(AA2)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모드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모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영역(AA2)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은 제1 모드에서 곡률영역(CA)에 대응할 수 있다.
지지 부재(SP)는 표시 모듈(DM)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SP)는 제1 지지부(SP1) 및 제2 지지부(SP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SP)는 금속-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SP1)는 표시 모듈(DM)의 제1 영역(AA1)을 지지하고, 제2 지지부(SP2)는 표시 모듈(DM)의 제2 영역(AA2) 중 평면영역(FA)을 지지할 수 있다. 평면영역(FA)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SP2)는 금속-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SP)는 복수 개의 지지바들(S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바들(SB)은 제2 영역(AA2) 중 곡률영역(CA)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SP)는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는 지지 부재(SP)의 후면에 배치되어 제1 지지부(SP1)를 지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서브 지지 플레이트(SSP)와 제1 바닥부(BP1) 사이에는 각종 부품들(배터리 또는 구동 소자 등)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케이스(CS)는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SP)를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CS)는 제1 케이스(CS1) 및 제2 케이스(CS2)를 포함한다. 제2 케이스(CS2)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제1 케이스(CS1)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 케이스(CS1)와 결합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SP)는 제1 케이스(CS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CS)에 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스(CS)는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전자 장치(ED)의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1 케이스(CS1)는 측벽부(OSW) 및 바닥부(B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는 측벽부(SW) 및 바닥부(BP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SP)는 제1 케이스(CS1)의 측벽부(OSW)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ED)는 회전 유닛(RU)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유닛(RU)은 제2 케이스(CS2) 내에 배치되고, 제2 케이스(CS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유닛(RU)은 제2 케이스(CS2)의 측벽부(SW)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 유닛(RU)은 측벽부(SW)에 결함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회전 유닛(RU)은 케이스(CS)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회전하며, 표시면(DS, 도 1 참조)을 확장 또는 축소 시킬 수 있다.
무선충전 코일(CL)은 케이스(CS)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충전 코일(CL)은 제2 케이스(CS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무선충전 코일(CL)은 제2 케이스(CS2)의 바닥부(BP2)에 고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 무선충전 코일(CL)은 제1 모드에서 지지 부재(SP)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충전 코일(CL)은 케이스(CS)의 제1 모드에서 제2 지지부(SP2)의 금속-플레이트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무선충전 코일(CL)은 제2 모드에서 지지 부재(SP)로부터 개방될 수 있다. 무선충전 코일(CL)은 케이스(CS)의 제2 모드에서 금속-플레이트로부터 개방될 수 있다. 무선충전 코일(CL)은 제1 모드에서 제3 방향(DR3)으로 제1 지지부(SP1) 및 제2 지지부(SP2)와 중첩할 수 있다. 무선충전 코일(CL)은 제2 모드에서 제3 방향(DR3)에서 제1 지지부(SP1)와 중첩하나, 제2 지지부(SP2)와 비중첩할 수 있다. 무선충전 코일(CL)은 제2 모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영역(AA2)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충전 코일(CL)은 무선충전 모듈(WRM, 도 3 참조)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충전 코일(CL)은 주로 제2 지지부(SP2)의 금속-플레이트에 의해서 차폐될 때 비활성화되고, 개방될 때 활성화 될 수 있다. 또한, 무선충전 코일(CL)은 무선충전 모듈(WRM)에 의해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즉, 무선충전 코일(CL)은 1차적으로 제2 지지부(SP2)의 금속-플레이트에 의해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되고, 2차적으로 무선충전 모듈(WRM)의 제어에 의해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무선충전 코일(CL)은 외부 무선충전 장치(100)의 송수신 코일(10)과 상호작용하여 전자기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ED)를 충전할 수 있다. 무선충전 코일(CL)은 외부 무선충전 장치(100)의 송수신 코일(10)과 제3 방향(DR3)으로 중첩되는 경우 자기장을 형성하고 그에 따른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ED)를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무선충전 장치(100)는 송수신 코일(10)이 무선충전 코일(CL)과 정렬되도록 제1 케이스(CS1)의 바닥부(BP1)와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a에서, 제1 모드에서 제2 지지부(SP2)의 금속-플레이트는 무선충전 코일(CL)과 송수신 코일(10)의 사이에 배치되어 무선충전 코일(CL)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도 5b에서, 제2 모드에서 금속-플레이트는 무선충전 코일(CL)과 송수신 코일(10)의 사이에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무선충전 코일(CL)은 활성화될 수 있다. 무선충전 모듈(WRM)의 동작에 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터치 감지부(TSP), 터치 감지부(TSP) 상에 배치된 윈도우(WIN), 및 터치 감지부(TSP)와 윈도우(WIN) 사이에 배치된 접착제(OCA)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습윤 표시 패널, 및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등과 같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표시 패널들이 표시 패널(DP)로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가요성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기판(SUB) 상에 배치된 화소층(PXL), 화소층(PXL)을 덮도록 기판(SUB)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투명한 기판으로서 가요성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폴리 이미드(PI: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층(PXL)은 표시 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층(PXL)은 복수 개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화소들 각각은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들과 무기층들 사이에 배치된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들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고, 수분/산소로부터 화소층(PXL)을 보호할 수 있다. 유기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화소층(PXL)을 보호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TSP)는 박막 봉지층(TF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TSP)는 외부의 입력(사용자의 손 또는 터치 펜 등)을 감지하여 소정의 입력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TSP)는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전극들은 정전용량 방식으로 외부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TSP)는 표시 모듈(DM)의 제조시, 박막 봉지층(TFE) 상에 바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감지부(TSP)는 표시 패널(DP)과는 별도의 터치 패널로 제조되고, 접착제에 의해 표시 패널(DP)에 부착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외부의 스크레치 및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 및 터치 감지부(TSP)를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접착제(OCA)에 의해 터치 감지부(TSP)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제(OCA)는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WIN)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서,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은 전자 장치의 무선충전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ED, 도 1 참조)의 센서모듈(SSM, 도 3 참조)은 전자 장치(ED)가 외부 무선충전 장치(100, 도 5a 참조)에 인접하게 되면, 무선충전 코일(CL, 도5a 참조)과 외부 무선충전 장치(100)의 송수신 코일(10)간 발생하는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단계 S10). 예를 들어, 센서모듈(SSM)은 자기장 감지 센서를 통해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모듈(SSM)은 자기장을 감지하면 전자 장치(ED)의 제2 모드 또는 제1 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모듈(SSM)은 제2 모드 또는 제1 모드를 감지한 이후, 전자 장치(ED)의 제2 모드 또는 제1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20). 예를 들어, 센서모듈(SSM)은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해 케이스(CS, 도 5a 참조)의 슬라이딩 동작을 기초로 제2 모드 또는 제1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ED)의 제2 모드가 확인되면 센서모듈(SSM)로부터 신호를 받은 제어 모듈(CM)은 무선충전 모듈(WRM, 도 3 참조)에 신호를 보내 무선충전 코일(CL, 도 5a 참조)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단계 S32).
만약, 전자 장치(ED)의 제1 모드가 확인되면 무선충전 모듈(WRM)은 비활성화되고, 무선충전 코일(CL)도 비활성화될 수 있다(단계 S34).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8a는 전자 장치(ED)가 인접한 외부 무선충전 장치(1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충전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무선충전 단계에서 표시 모듈(DM)과 지지 부재(SP)가 평탄화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충전 코일(CL)이 활성화되면 무선충전이 시작되고 전자 장치(ED)는 외부 무선충전 장치(1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충전 코일(CL)은 무선충전 과정에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무선충전 코일(CL)에서 발생하는 열은 인접한 표시 모듈(DM) 에 존재하는 굴곡(CV)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여기에서, 표시 모듈(DM) 에 존재하는 굴곡(CV)은 전자 장치(ED)의 제1 모드에서 곡률영역(CA, 도 5a 참조)에 중첩한 표시 모듈(DM)의 제2 영역의 일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다. 굴곡(CV)은 제3 방향에서 무선충전 코일(CL)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곡선 형태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굴곡(CV)은 표시 모듈(DM)의 아래에 배치된 지지 부재(SP)에도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충전 과정에서 무선충전 코일(CL)로부터 발생하는 열은 지지 부재(SP)의 굴곡(CV)도 평탄화 시킬 수 있다. 지지 부재(SP)의 굴곡(CV)은 제1 모드에서 곡률영역(CA, 도 5a 참조)에 중첩한 표시 모듈(DM)의 제2 영역의 일부분에 중첩하도록 표시 모듈(DM)의 후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지지바들(SB)에서 발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별 표시 모듈의 굴곡 변형의 높이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온인 25도에서 표시 모듈(DM)에 발생한 굴곡(CV, 도 8a 참조)의 돌출된 높이(이하, 변형 높이)는 약 188.7um이다. 반면에, 60도의 고온에서 표시 모듈(DM)에 변형된 굴곡(CV)의 변형 높이는 약 118.9이다. 여기에서, 상온은 전자 장치(ED)가 제2 모드에서 일반적으로 방치된 상태에 해당하고, 고온인 60도는 전자 장치(ED)가 제2 모드에서 무선충전 중인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도 9에서, 전자 장치(ED)는 무선충전에 따른 발열을 이용하여 표시 모듈(DM) 및 지지 부재(SP)의 굴곡 변형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ED)의 굴곡 변형이 드러나는 제2 모드에서 무선충전이 활성화되도록 강제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 장치의 굴곡 변형에 따른 불량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ED: 전자 장치
DM: 표시 모듈
AA1: 제1 영역
AA2: 제2 영역
SP: 지지 부재
SP1: 제1 지지부
SP2: 제2 지지부
CL: 무선충전 코일
CS: 케이스
DM: 표시 모듈
AA1: 제1 영역
AA2: 제2 영역
SP: 지지 부재
SP1: 제1 지지부
SP2: 제2 지지부
CL: 무선충전 코일
CS: 케이스
Claims (20)
-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서 외부에 노출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영역과 마주하며 상기 제2 모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모드에서 곡률을 갖는 곡률영역 및 상기 곡률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마주하는 평면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지지 부재를 수용하고,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모드를 구현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차폐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개방되는 무선충전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영역에 중첩된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영역에 중첩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지지부와 마주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금속-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 코일은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중첩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지지부에 중첩하고 상기 제2 지지부에 비중첩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 코일은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차폐되면 비활성화되고,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개방되면 활성화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충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 모듈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무선충전 코일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무선충전 코일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무선충전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모듈은 상기 제2 모드 또는 상기 제1 모드를 감지하여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충전 모듈에 전달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슬라이딩 동작을 기초로 상기 제2 모드 또는 상기 제1 모드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지지 부재가 고정 결합된 제1 케이스 및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케이스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된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모드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모드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 코일은 상기 제2 케이스에 고정 결합된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곡률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무선충전 코일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에 중첩하는 전자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무선충전 코일은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1차적으로 비활성화되고, 상기 무선충전 모듈에 의해 2차적으로 비활성화되는 전자 장치.
-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지지 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무선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제2 모드 또는 제1 모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2 모드와 상기 제1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스가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무선충전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무선충전 모듈에 연결된 전자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제2 모드 또는 제1 모드를 감지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2 모드 또는 상기 제1 모드를 판단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제2 모드 또는 제1 모드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인접한 외부 무선충전 장치를 인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지지 부재가 고정 결합된 제1 케이스 및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케이스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된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2 모드 또는 상기 제1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모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무선충전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충전 코일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무선충전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전자 장치가 인접한 외부 무선충전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충전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 단계는 상기 전력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발열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 모듈의 굴곡을 평탄하게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무선충전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충전 코일을 차폐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무선충전 코일을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0013A KR20210132273A (ko) | 2020-04-24 | 2020-04-24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 |
US17/141,573 US11581749B2 (en) | 2020-04-24 | 2021-01-05 |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
CN202110381952.2A CN113555919A (zh) | 2020-04-24 | 2021-04-09 | 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充电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0013A KR20210132273A (ko) | 2020-04-24 | 2020-04-24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2273A true KR20210132273A (ko) | 2021-11-04 |
Family
ID=7810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0013A KR20210132273A (ko) | 2020-04-24 | 2020-04-24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581749B2 (ko) |
KR (1) | KR20210132273A (ko) |
CN (1) | CN113555919A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7146B1 (ko) | 2016-07-07 | 2023-06-2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493528B1 (ko) | 2016-08-11 | 2023-02-0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슬라이딩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458690B1 (ko) | 2018-04-04 | 2022-10-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충전 모듈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102499112B1 (ko) | 2018-04-09 | 2023-02-1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
WO2022108125A1 (ko) * | 2020-11-17 | 2022-05-2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
2020
- 2020-04-24 KR KR1020200050013A patent/KR20210132273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
- 2021-01-05 US US17/141,573 patent/US11581749B2/en active Active
- 2021-04-09 CN CN202110381952.2A patent/CN113555919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581749B2 (en) | 2023-02-14 |
US20210336456A1 (en) | 2021-10-28 |
CN113555919A (zh) | 2021-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7690B1 (ko) | 언더-스크린 생체 특징 인식 장치, 생체 특징 인식 어셈블리 및 단말 장치 | |
US11134577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including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display module | |
CN111599268B (zh) | 柔性显示盖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 |
US11508175B2 (en) | Electronic device | |
US20190172875A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light blocking member with micro-hole | |
CN107257396A (zh) | 移动终端 | |
KR102623203B1 (ko) | 디스플레이 패널과 초음파 센서 사이에 광흡수 부재가 배치된 전자 장치 | |
US11579664B2 (en) | Electronic apparatus | |
KR102500131B1 (ko) |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배치된 센서 및 탄성 부재 사이의 높이 차를 보상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10020568A (ko) |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11547008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agnetic structure | |
US11552264B2 (en) | Electronic apparatus | |
KR20210012316A (ko) | 광학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CN114303114A (zh) | 包括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 | |
CN111462642A (zh) | 显示装置 | |
KR102547540B1 (ko) | 윈도우 글래스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 |
US11989064B2 (en) | Electronic device | |
KR20220037007A (ko) | 전자 장치 | |
KR20210132273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충전 방법 | |
KR20200002048A (ko) | 전자 장치 | |
US11048467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panel speaker | |
KR20220042023A (ko) | 인쇄용 패드,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전자장치의 제조방법 | |
KR20200142157A (ko) | 전자 장치 | |
KR20210060734A (ko) | 광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EP4365880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module and method for detecting damage to flexible display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