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927A - 부력재를 이용한 문어.쭈꾸미.낙지 등 (두족류) 포획용 낚시채비. - Google Patents

부력재를 이용한 문어.쭈꾸미.낙지 등 (두족류) 포획용 낚시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927A
KR20210131927A KR1020210137882A KR20210137882A KR20210131927A KR 20210131927 A KR20210131927 A KR 20210131927A KR 1020210137882 A KR1020210137882 A KR 1020210137882A KR 20210137882 A KR20210137882 A KR 20210137882A KR 20210131927 A KR20210131927 A KR 20210131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topus
fishing
sign
cephalopods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훈
Original Assignee
신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훈 filed Critical 신동훈
Priority to KR1020210137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1927A/ko
Publication of KR20210131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01K85/017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with sound e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2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means for concealing or protecting hooks, e.g. to prevent entanglement with w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재(강화폼,합성수지)를 이용한 문어.쭈꾸미.낙지등(두족류)를 포획하는채비로 기존 무게추가 결합된 채비와 다르게 부력형으로 본 채비아래 무게추를 조절 할수있으며 채비를 물속으로 침강시키고 부력재(강화폼.합성수지)를 이용해 항상 서있는 형태에 채비이며 낚시 액션시 바늘과 야광구슬에 유격으로인한 집어에 필요한 소리와 회전할수있는 바늘로 상시 밑걸림에 빠져나올수있는 확률을 높였으며 바닥에눕지않고 항상 서있으므로 밑걸림방지에 특화되어있고 문어.쭈꾸미.낙지등(두족류)를 효과적으로 유인하여 조과량을 늘릴수있는 채비이다.

Description

부력재를 이용한 문어.쭈꾸미.낙지 등 (두족류) 포획용 낚시채비.{ ottogi aeja }
1. 본 발명은 문어.쭈꾸미.낙지등 (두족류) 을 포획하는것으로 기존 애자는
낚시중 채비가 넘어져 바닥 밑걸림이 많고 손실도 많다.
하지만 본 발명은 기존 애자와 달리 강화폼.합성수지을 이용해 물속에서 어떠한 경우에도 채비가 눕지않고 자체로 똑바로 서있으며 더욱 상세하게 문어.쭈꾸미 낙지등(두족류)에 입질을 파악할수있다.
2. 기존채비들은 일체형 인대비해 (무게추 변경이 번거러움) 간단하게 무게추 교환 할수으로 물속으로 침강시 빠른속도의 물살과 느린속도의 물살에서도 쉽게사용자 조절이 가능하다.
3. 축광재 와 형광재로 두족류를 유인하기위한 반사가 가능하며 부호3과 부호4에 연결부분에 유격을 만들고 부호 1과 부호4에 유격을 만들어 마찰소리로 문어.쭈꾸미.낙지등을 유인하는 효과가 있다.
4. 바늘 밑걸림에서도 기존애자와달리 부호1과 부호4에 자유로운 회전으로인한 밑걸림현상을 최소화 할수있다.
일반적으로 문어.쭈꾸미.낙지등(두족류)는 바위틈 또는 패각 내에서 서식하는 습성이 있고 채집시 인조패각 및 통발등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패각및 통발은 쉽게훼손되어 반복사용이 어럽고 과도한 패기물이 만들어진다.
낚시용 기존 애자라는 포회용 채비도 바닥걸림이 많고 한번 바닥에 걸리면 바로 바다속 패기물이 된다.
이러한 일이 지속되지않기를 최대한 연구하여 채비가 바닥을 긁지않고 똑바로 서있으며 회전바늘을 이용해 밑걸림을 최소화 한것이다.
국내특허출헌 제 10-2020-0149563 국내특허출헌 제 30-2019-0058812 국내등록특허 제 10-0923096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11895 국내등록특허 제10-1434780
기존 문어.주꾸미.낙지등(두족류) 낚시채비는 쭈꾸미나 작은문어와 흡사한 외형 구조이고 발광기능을 제공하는것외 다른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있다.
또한 물속 침강시 무게추무게가 한정되어 있으며 무게추가 채비의 상단부분이나
채비의바늘 위쪽에 있는형태여서 바늘이 눕고 바닥을 긁는 형태이다.
그러므로 밑걸림이 많으며 채비손실이 그만큼 많은게 사실이다.
이에 바다속 패기물과 오염 물질이 많아질수 밖에 없다.
이를 조금이나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이다.
기존 채비 방식과달리 강화폼.합성수지를 이용한 채비 자체의 부력으로 상시 밑걸림이적고 낚시바늘을 회전방식으로 만들어 바닦 밑걸림에서 빠져나오기 용의하게 하고 그로인해 채비손실이 적고 바다속 오염,패기물이 적어질수있도록 한다.
축광재나 형광재로 인한 문어.쭈꾸미.낙지등(두족류)의 시야성이 좋고 부호3과 부호4, 부호1과 부호4, 인한 소리집어가 가능하고 채비아래 스냅을 이용한 무게추 교환이 용의하다.
강화폼.합성수지를 이용한 채비 자체의 부력으로 상시 밑걸림이적고 낚시바늘을 회전방식으로 만들어 바닦 밑걸림에서 빠져나오기 용의하게 하고 그로인해 채비손실이 적고 문어.쭈꾸미.낙지등(두족류)를 효과적으로 유인하여 조과량을 늘릴수있는 채비이다.
Figure pat00001
최근에는 두족류 포획용의 낚시어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있다 기존의두족류포획용 낚시어구는 하단 둘레방향으로 낚시바늘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며,채비의 머리부분 이라고 할수있는 볼과 추가 고정되도록 되어있다
기존 낚시어구는 두족류를 유인할만한 특별한 수단이 없어 제대로 구족류가 포획되지못하고 포획이되더라도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단점이있다.
1) 낚시원줄과연결 줄꼬임 방지를위한 회전장치(도래)
2)문어.쭈꾸미.낙지등(두족류)를 유인하기위한 축광재 또는 야광재를 도포해 반사광과 시야확보가좋은 색이며 부상되는 물질로 만들어진 두족류 유인재.
3)문어.쭈꾸미.낙지등(두족류) 유인용 야광(축광) 구슬 바늘과구슬이 부디쳐 소리로 유인함.
4)문어.쭈꾸미.낙지등(두족류) 를 포획하는 바늘
5)무게추를 조절해서 걸수있는 고리(스냅)

Claims (5)

  1. 수중으로 침강되어 문어.쭈꾸미.낙지(두족류)를 포획하는 채비로 기존에 없는 강화폼 과 플라스틱,합성수지 원형.타원형.원뿔형 사다리꼴형등 이용하여 수중에서 똑바로 서있는 부력형 채비.
  2. 부호1과 부호4에 의한 회전으로 밑걸림 최소화와 밑걸림에도 빠져나오는효과.
  3. 부호5로 인한쉬운 무게추 교환방식.
  4. 부호3과 부호4, 부호1과 부호4 에 의한 소리 (소리나는 채비방식이 없음)
  5. 채비2개를 이용한 부호5와 부호1의 결합으로 부상형이중 채비
KR1020210137882A 2021-10-15 2021-10-15 부력재를 이용한 문어.쭈꾸미.낙지 등 (두족류) 포획용 낚시채비. KR20210131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882A KR20210131927A (ko) 2021-10-15 2021-10-15 부력재를 이용한 문어.쭈꾸미.낙지 등 (두족류) 포획용 낚시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882A KR20210131927A (ko) 2021-10-15 2021-10-15 부력재를 이용한 문어.쭈꾸미.낙지 등 (두족류) 포획용 낚시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927A true KR20210131927A (ko) 2021-11-03

Family

ID=7850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882A KR20210131927A (ko) 2021-10-15 2021-10-15 부력재를 이용한 문어.쭈꾸미.낙지 등 (두족류) 포획용 낚시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19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755B1 (ko) * 2022-11-10 2023-04-13 권봉엽 두족류 낚시용 인조미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96B1 (ko) 2008-08-26 2009-10-22 최성률 두족류 포획을 위한 낚시어구
KR20120011895A (ko) 2012-01-18 2012-02-08 성민진 두족류 포획용 낚시도구
KR101434780B1 (ko) 2013-02-19 2014-08-26 윤창선 두족류 포획용 낚시어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96B1 (ko) 2008-08-26 2009-10-22 최성률 두족류 포획을 위한 낚시어구
KR20120011895A (ko) 2012-01-18 2012-02-08 성민진 두족류 포획용 낚시도구
KR101434780B1 (ko) 2013-02-19 2014-08-26 윤창선 두족류 포획용 낚시어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755B1 (ko) * 2022-11-10 2023-04-13 권봉엽 두족류 낚시용 인조미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046B1 (ko) 낚시용 인조미끼
KR100936233B1 (ko) 저층 및 중층에 모두 사용가능한 트롤 및 그 방법
KR20210131927A (ko) 부력재를 이용한 문어.쭈꾸미.낙지 등 (두족류) 포획용 낚시채비.
Serra-Llinares et al. Post-escape dispersal of juvenile Atlantic cod Gadus morhua from Norwegian fish farms and their potential for recapture
CN108401997B (zh) 全自动钓鱼器
US20100313463A1 (en) Stinger Spinner Jig
CN207284842U (zh) 一种渔业诱捕装置
AU2013385712A1 (en) Fishing lure
KR20220028589A (ko) 수직에기
CN214015605U (zh) 一种具有摇摆功能的假鱼饵
KR102261100B1 (ko) 낚시용 루어
JP2008212129A (ja) イカ釣り用疑似餌
CN220384046U (zh) 一种集成主动诱鱼光源的高效率多水层钓组
CN212260212U (zh) 一种夜间发光引诱假饵
KR102602077B1 (ko) 낚시용 인조 미끼
KR102487693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미끼
KR200496858Y1 (ko)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
CN220422833U (zh) 一种钓具的倒钓组
CN220343309U (zh) 一种具有双背鳍隐藏钩防挂可拆卸闪光假饵
CN209449504U (zh) 一种多功能渔具
KR102470661B1 (ko) 두족류 낚시채비
CN210671759U (zh) 一种黑鱼钓饵
KR102088433B1 (ko) 낚시
US20220053747A1 (en) Fishing line float
Clarke Searching for deep sea sq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