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816A - 퍼터용 그립 가이드 - Google Patents

퍼터용 그립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816A
KR20210131816A KR1020200050399A KR20200050399A KR20210131816A KR 20210131816 A KR20210131816 A KR 20210131816A KR 1020200050399 A KR1020200050399 A KR 1020200050399A KR 20200050399 A KR20200050399 A KR 20200050399A KR 20210131816 A KR20210131816 A KR 20210131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guide
putter
fixing uni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6249B1 (ko
Inventor
유정애
Original Assignee
유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애 filed Critical 유정애
Priority to KR102020005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249B1/ko
Publication of KR20210131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7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30Markers
    • A63B57/35Markers with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30Markers
    • A63B57/353Golf ball position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0Handles with means for indicating correct hold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터의 그립 끝단에 장착되는 휴대고정유닛; 상기 휴대고정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본체; 및 상기 그립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고정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가이드본체가 상기 그립의 측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본체가 상기 그립과 상기 그립을 파지한 골퍼의 손목 간에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이드고정유닛;을 포함하도록 한 퍼터용 그립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퍼터의 그립 측면과 손목 사이의 갭을 물리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퍼팅시 손목의 구부러짐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고, 이러한 그립 자세의 가이드로 인해 퍼팅시 퍼터와 손목의 각도 변화를 줄임으로써, 타구의 방향이 일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가이드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골퍼가 타인의 도움없이 손쉽게 실력 향상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퍼터용 그립 가이드{Grip guide for putter}
본 발명은 퍼터용 그립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퍼터의 그립 측면과 손목 사이의 각도를 물리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퍼팅시 손목의 구부러짐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하고, 이러한 그립 자세의 가이드로 인해 타구의 방향이 일정하도록 하는 퍼터용 그립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코스 위에 정지하여 있는 볼을 골프클럽으로 쳐서 정해진 홀에 넣어 그때까지 소요된 타수로 우열을 겨루는 경기인데, 이때 사용되는 골프클럽은 공을 칠 때 이용하는 길이와 디자인이 다양한 도구로서, 퍼터, 아이언, 우드 등이 있다.
또한 골프는 각종 골프클럽을 사용하여 골프공을 정확하게 타격하기 위해서 골프 스윙 또는 퍼팅 자세가 정확해야 하고, 골프공을 골프클럽 헤드의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타격해야 하므로, 골퍼들은 올바른 스윙 또는 퍼팅 자세와 타격감각을 익히기 위해서 부단히 노력하게 된다.
골프 클럽 중에서 퍼터는 로프트가 없고, 주로 짧은 모양에 평평한 표면이 있는 아이언 클럽으로서, 홀을 향해 퍼팅 그린 너머로 공을 굴리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퍼터를 사용하는 퍼팅(putting)은 골프 경기에 있어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이는 골퍼가 필드에서 18홀 기준으로 72타를 쳐야 하는데, 퍼팅이 36타점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드라이버 1타나 퍼팅 1타나 스코어에 미치는 효과가 같다.
그럼에도, 골프 초보자는 도 1에서, (a)에서와 같은 바른 자세가 아닌 (b)에서와 같은 잘못된 자세로 퍼팅을 하게 됨으로써, 퍼팅시 공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 이는 퍼터의 그립과 손목의 각도 변화로 인해, 타구의 방향이 일률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종래 퍼터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642254호의 "골프 퍼터용 지지구"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퍼터의 그립에 탈착 가능한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에 결합되어 상기 클립부의 동작을 이루는 클립 개방부 및; 상기 클립부에 결합되어 상기 클립 개방부를 구속함으로써, 상기 클립부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는 클립 잠금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사용에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휴대 및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퍼터의 그립 측면과 손목 사이의 각도를 물리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퍼팅시 손목의 구부러짐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하고, 이러한 그립 자세의 가이드로 인해 퍼팅시 퍼터와 손목의 각도 변화를 줄임으로써, 타구의 방향이 일정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가이드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골퍼가 타인의 도움없이 손쉽게 실력 향상을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퍼터의 그립 끝단에 장착되는 휴대고정유닛; 상기 휴대고정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본체; 및 상기 그립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고정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가이드본체가 상기 그립의 측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본체가 상기 그립과 상기 그립을 파지한 골퍼의 손목 간에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이드고정유닛;을 포함하는, 퍼터용 그립 가이드가 제공된다.
상기 휴대고정유닛은, 상기 그립의 끝단에 수직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본체가 끼워지기 위한 끼움부가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끼움부에 상방으로 개방되는 제 1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개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제 1 장착홈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본체를 자력으로 고정시키도록 하고, 고정볼트가 하방으로 관통하여 상기 장착부재를 통해서 상기 고정핀의 상단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장착부재에 상기 고정핀과 함께 고정되도록 하는 제 1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본체는, 상기 휴대고정유닛에 끼워지기 위한 끼움홈이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끼움홈에 하방으로 개방되는 제 2 장착홈이 형성되는 고정몸체; 상기 제 2 장착홈에 고정볼트로 고정되도록 장착되어, 상기휴대고정유닛을 자력으로 고정시키는 제 2 자석; 상기 고정몸체의 상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수나사부; 및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몸체로부터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방으로 개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가동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본체는, 상기 가동몸체 상방으로 개방되는 제 2 장착홈에 장착되고, 관통하는 고정볼트가 상기 가동몸체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고정되는 제 3 자석; 및 상기 제 3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가동몸체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볼마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고정유닛은, 상기 퍼터의 그립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팽창에 대한 복원력을 가지는 주름링; 및 상기 가이드본체가 끼움홈에 의해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상기 주름링의 측부에 마련되는 끼움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퍼터용 그립 가이드에 의하면, 퍼터의 그립 측면과 손목 사이의 각도를 물리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퍼팅시 손목의 구부러짐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고, 이러한 그립 자세의 가이드로 인해 퍼팅시 퍼터와 손목의 각도 변화를 줄임으로써, 타구의 방향이 일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가이드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골퍼가 타인의 도움없이 손쉽게 실력 향상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퍼팅 동작에서 올바른 동작(a)과 잘못된 동작(b)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퍼터용 그립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퍼터용 그립 가이드에서 휴대고정유닛과 가이드본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퍼터용 그립 가이드에서 가이드본체를 휴대고정유닛에 장착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퍼터용 그립 가이드에서 가이드본체를 휴대고정유닛으로부터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퍼터용 그립 가이드에서 가이드본체를 가이드전환유닛에 장착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퍼터용 그립 가이드에서 가이드본체를 가이드전환유닛으로부터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퍼터용 그립 가이드에서 가이드본체를 가이드전환유닛에 장착하되, 길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퍼터용 그립 가이드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퍼터용 그립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퍼터용 그립 가이드(100)는 휴대고정유닛(110), 가이드몸체(120) 및 가이드고정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휴대고정유닛(110)은 퍼터의 그립(1) 끝단에 장착된다. 휴대고정유닛(110)은 사용하지 않는 가이드본체(120)의 고정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본체(120)의 휴대를 편리하도록 한다.
휴대고정유닛(110)은 그립(1)의 끝단에 수직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핀(111)과, 고정핀(111)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고, 가이드본체(120)가 끼워지기 위한 끼움부(112a)가 상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끼움부(112a)에 상방으로 개방되는 제 1 장착홈(112b)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핀(111)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개방되는 삽입홈(112c)이 형성되는 장착부재(112)와, 제 1 장착홈(112b)에 장착되어 가이드본체(120)를 자력으로 고정시키도록 하고, 고정볼트(113a)가 하방으로 관통하여 장착부재(112)를 통해서 고정핀(111)의 상단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장착부재(112)에 고정핀(111)과 함께 고정되도록 하는 제 1 자석(11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111)은 고정볼트(113a)의 나사 체결을 위하여, 상단에 체결홈(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자석(113)은 고정볼트(113a)의 관통을 위하여, 링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중심부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몸체(120)를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가이드몸체(120)에 마련되는 자석이나 철부재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본체(120)는 휴대고정유닛(1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가이드역할을 하지 않을 경우, 휴대고정유닛(110)을 매개로 퍼터의 그립(1) 끝단에 장착되도록 한다.
가이드본체(120)는 휴대고정유닛(110)에 끼워지기 위한 끼움홈(121a)이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끼움홈(121a)에 하방으로 개방되는 제 2 장착홈(121b)이 형성되는 고정몸체(121)와, 제 2 장착홈(121b)에 고정볼트(122a)로 고정되도록 장착되어, 휴대고정유닛(110)을 자력으로 고정시키는 제 2 자석(122)과, 고정몸체(121)의 상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수나사부(123)와, 수나사부(123)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회전 조작에 의해 고정몸체(121)로부터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방으로 개방되는 암나사부(124a)가 형성되는 가동몸체(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자석(122)은 고정볼트(122a)의 관통을 위하여, 링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중심부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휴대고정유닛(110)이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휴대고정유닛(110)에 마련되는 자석이나 철부재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본체(120)는 가동몸체(124) 상방으로 개방되는 제 2 장착홈(124b)에 장착될 수 있고, 관통하는 고정볼트(125a)가 가동몸체(124)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고정되는 제 3 자석(125)과, 제 3 자석(125)의 자력에 의해 가동몸체(124)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볼마커(ball maker; 126)를 포함할 수 있다.
볼마커(126)는 제 3 자석(125)에 의해 부착되기 위한 철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이드본체(120)의 상단, 즉 가동몸체(124)의 상단에 면접촉되기 위한 부착면을 가질 수 있다.
도 2,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고정유닛(130)은 퍼터의 그립(1)에 설치되고, 휴대고정유닛(110)으로부터 분리된 가이드본체(120)가 퍼터의 그립(1) 측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가이드본체(120)가 그립(1)과 그립(1)을 파지한 골퍼의 손목 간에 각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고정유닛(130)은 퍼터의 그립(1)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팽창에 대한 복원력을 가지는 주름링(131)과, 가이드본체(120)가 끼움홈(121a)에 의해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주름링(131)의 측부에 마련되는 끼움고정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주름링(131)은 신축에 대한 복원력을 가지도록 고무 또는 그 밖의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끼움고정부(132)는 주름링(131)과 일체를 이루거나, 주름링(131)과는 별개로서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주름링(131)의 측부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일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부가 끼워져서 고정되거나, 이에 한하지 않고, 주름링(131)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끼움고정부(132)는 단순히 가이드본체(120)의 끼움홈(121a)에 끼움 구조에 의해 까이드본체(120)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철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끼움구조 뿐만 아니라, 제 2 자석(122)의 자력을 함께 이용하여 가이드본체(120)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퍼터용 그립 가이드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가이드본체(12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그립(1)의 고정홈에 끼워진 휴대고정유닛(110)의 끼움부(112a)에 가이드본체(120)의 끼움홈(121a)을 끼우고서, 제 1 및 제 2 자석(113,122)의 자력에 의해 가이드본체(120)가 휴대고정유닛(110)에 고정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가이드본체(12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고정유닛(110; 도 4 및 도 5에 도시)으로부터 분리된 가이드본체(120)가 끼움홈(121a)을 통해서 그립(1)에 미리 장착된 가이드고정유닛(130)의 끼움고정부(132)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9에서와 같이, 가이드본체(120)가 그립(1)과 골퍼의 손목 사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그립(1)의 측면과 손목 사이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가이드하여, 퍼팅시 손목의 구부러짐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동몸체(124)가 회전 조작에 의해 수나사부(123)로부터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몸체(121)로부터의 가동몸체(124)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여, 도 6에서와 같은 그립(1)의 측면과 손목이 이르는 각도(θ1)에 비하여, 도 7에서와 같이, 그립(1)의 측면과 손목이 이르는 각도(θ2)가 더 커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가이드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퍼터용 그립 가이드에 따르면, 퍼터의 그립 측면과 손목 사이의 각도를 물리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퍼팅시 손목의 구부러짐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고, 이러한 그립 자세의 가이드로 인해 퍼팅시 퍼터와 손목의 각도 변화를 줄임으로써, 타구의 방향이 일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가이드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골퍼가 타인의 도움없이 손쉽게 실력 향상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퍼터의) 그립 110 : 휴대고정유닛
111 : 고정핀 111a : 체결홈
112 : 장착부재 112a : 끼움부
112b : 제 1 장착홈 112c : 삽입홈
113 : 제 1 자석 113a : 고정볼트
120 : 가이드본체 121 : 고정몸체
121a : 끼움홈 121b : 제 2 장착홈
122 : 제 2 자석 122a : 고정볼트
123 : 수나사부 124 : 가동몸체
124a : 암나사부 124b : 제 2 장착홈
125 : 제 3 자석 125a : 고정볼트
126 : 볼마커 130 : 가이드고정유닛
131 : 주름링 132 : 끼움고정부

Claims (5)

  1. 퍼터의 그립 끝단에 장착되는 휴대고정유닛;
    상기 휴대고정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본체; 및
    상기 그립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고정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가이드본체가 상기 그립의 측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본체가 상기 그립과 상기 그립을 파지한 골퍼의 손목 간에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이드고정유닛;
    을 포함하는, 퍼터용 그립 가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고정유닛은,
    상기 그립의 끝단에 수직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본체가 끼워지기 위한 끼움부가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끼움부에 상방으로 개방되는 제 1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개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제 1 장착홈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본체를 자력으로 고정시키도록 하고, 고정볼트가 하방으로 관통하여 상기 장착부재를 통해서 상기 고정핀의 상단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장착부재에 상기 고정핀과 함께 고정되도록 하는 제 1 자석;
    을 포함하는, 퍼터용 그립 가이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는,
    상기 휴대고정유닛에 끼워지기 위한 끼움홈이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끼움홈에 하방으로 개방되는 제 2 장착홈이 형성되는 고정몸체;
    상기 제 2 장착홈에 고정볼트로 고정되도록 장착되어, 상기휴대고정유닛을 자력으로 고정시키는 제 2 자석;
    상기 고정몸체의 상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수나사부; 및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몸체로부터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방으로 개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가동몸체;
    를 포함하는, 퍼터용 그립 가이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는,
    상기 가동몸체 상방으로 개방되는 제 2 장착홈에 장착되고, 관통하는 고정볼트가 상기 가동몸체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고정되는 제 3 자석; 및
    상기 제 3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가동몸체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볼마커;
    를 더 포함하는, 퍼터용 그립 가이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고정유닛은,
    상기 퍼터의 그립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팽창에 대한 복원력을 가지는 주름링; 및
    상기 가이드본체가 끼움홈에 의해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상기 주름링의 측부에 마련되는 끼움고정부;
    를 포함하는, 퍼터용 그립 가이드.
KR1020200050399A 2020-04-24 2020-04-24 퍼터용 그립 가이드 KR102356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399A KR102356249B1 (ko) 2020-04-24 2020-04-24 퍼터용 그립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399A KR102356249B1 (ko) 2020-04-24 2020-04-24 퍼터용 그립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816A true KR20210131816A (ko) 2021-11-03
KR102356249B1 KR102356249B1 (ko) 2022-01-26

Family

ID=78505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399A KR102356249B1 (ko) 2020-04-24 2020-04-24 퍼터용 그립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2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1682A (ko) * 2005-07-21 2007-01-25 피진호 퍼팅용 골프채 및 그 퍼팅교정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1682A (ko) * 2005-07-21 2007-01-25 피진호 퍼팅용 골프채 및 그 퍼팅교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249B1 (ko) 202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4956B1 (en) Free standing putter
USRE47332E1 (en) Golf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20080096686A1 (en) Putter insert
US7794332B2 (en) Visual and tactile confirmation golf grip and system
KR20100065481A (ko) 숏퍼팅과 미들 및 롱퍼팅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퍼터
US4880240A (en) Putting practice device
US8088018B2 (en) Golf aid
US6071199A (en) Method of correction of golf swing
US5665007A (en) Golf putting training device
US7217198B2 (en) Golf putting practice aid
US7544134B1 (en) Accessory for transforming a golf putter into a belly putter
US7556569B1 (en) Detachable guide assembly for a golf putter and its associated method of use
KR102356249B1 (ko) 퍼터용 그립 가이드
US7001284B2 (en) Putter fitting template
US20090017932A1 (en) Golf club alignment device
US7731599B1 (en) Guide assembly for a golf putter and its associated method of use
KR20210002939U (ko) 탈부착용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
KR200397928Y1 (ko) 퍼팅용 골프채 및 그 퍼팅교정구
KR200299155Y1 (ko) 강선을 갖는 골프 퍼터
US5941780A (en)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KR20070011682A (ko) 퍼팅용 골프채 및 그 퍼팅교정구
KR101725028B1 (ko) 퍼팅 연습용 골프채
US11103758B2 (en) Golf swing training aid
KR20240014951A (ko) 에이밍 링
KR20230012939A (ko) 골프 그립 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