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731A - Coin precessing appratus - Google Patents

Coin precessing app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731A
KR20210131731A KR1020200050196A KR20200050196A KR20210131731A KR 20210131731 A KR20210131731 A KR 20210131731A KR 1020200050196 A KR1020200050196 A KR 1020200050196A KR 20200050196 A KR20200050196 A KR 20200050196A KR 20210131731 A KR20210131731 A KR 20210131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mporary storage
storage unit
coins
co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1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2146B1 (en
Inventor
김우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Priority to KR1020200050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146B1/en
Publication of KR20210131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7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1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4Apparatus driven under control of coin-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4Hand- or motor-driven devices for counting co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n processing device comprising: an insertion part into which a coin is inserted; a distinguishing part that distinguishes the inserted coin; a plurality of storing parts that store the coin; a classification part that classifies the coin distinguished by the distinguishing part to be delivered in different paths toward the plurality of storing parts; and a temporary storage part provided between the classification part and the storing part and provided in a plurality of numbers to correspond to the storing part, wherein the temporary storage part comprises a lower plate having a fixed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end of the classification part on which the coin transferred from the classification part is supported, and a circumference part provided on the lower plate and reciprocate-moving to push the coin supported on the lower plate and to drop them into the storing p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guaranteeing speed and accuracy.

Description

동전 처리 장치{Coin precessing appratus}Coin processing apparatus {Coin processing appratus}

본 발명은 동전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n processing device.

일반적으로 지폐, 동전을 포함하는 현금이나 상품권에 대해서는, 입금 또는 출금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 기기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for cash or gift certificates including banknotes and coins, automated devices capable of implementing at least one of deposit or withdrawal are widely used.

지폐나 상품권과 같은 지류 매체를 처리하는 자동화 기기의 경우, 투입된 매체를 감별한 뒤 일시 저장하였다가, 사용자가 확인 신호를 입력하면 일시 저장된 매체가 카세트(cassette)로 전달되어 저장되면서 해당 매체의 입금이 처리되며, 출금의 경우 반대의 절차를 따라 구현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n automated device that processes paper media such as banknotes or gift certificates, the input media is identified and temporarily stored. This is processed, and in the case of withdrawal, it can be implemented by following the reverse procedure.

이러한 지류 매체용 자동화 기기는, 지류인 매체를 롤러, 벨트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구조 및 기능을 구비한 자동화 기기가 지속적으로 개발 및 출시되어 왔다.Automated devices for paper media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and released because they can easily transport paper media using rollers, belts, and the like, and have various structures and functions.

반면 동전의 경우에는, 지류와 달리 금속으로 이루어져 밀도가 크므로 자동 이송 처리가 용이하지 않고, 지류 매체 대비 비교적 큰 이송 경로가 필요하며, 동전 사용량이 급감하여 자동화 기기의 수요 자체가 매우 적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ins, unlike papers, they are made of metal and have a high density, so automatic transfer processing is not easy, and a relatively large transfer path is required compared to paper media.

따라서 동전용으로는 자동화 기기가 대중적으로 출시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다만 은행 등에 동전을 자동 분류하고 입금하는 기기가 마련되어 있긴 하나, 동전의 분류에 상당한 작동 부하가 걸리게 되어, 일정 시간 이상의 작동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the reality is that automated devices have not been released to the public for coins. However, although there is a device for automatically sorting and depositing coins in a bank, etc.,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oper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because a significant operating load is applied to sorting coins.

즉 기존에 현금 등을 처리하는 기기들은 주로 지류 매체를 처리하는 기기에 중점을 두고 개발이 진행되었을 뿐, 동전을 처리하는 기기에 대한 개발은 미진한 상황이다.In other words, devices that process cash and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mainly focusing on devices that process paper media, but development of devices that process coins is incomplet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전을 효율적으로 입금 및 분류,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도, 작동 시간에 제한이 없고 동전의 감별이 매우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전 처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iciently deposit, classify, and store coins, while there is no limitation in operating time and the identification of coins is very fas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in processing device to be accurately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는, 동전이 투입되는 투입부; 투입된 동전을 감별하는 감별부; 동전을 수납하는 복수 개의 수납부; 상기 감별부에서 감별된 동전이 상기 복수 개의 수납부를 향해 서로 다른 경로로 전달되도록 분류하는 분류부; 및 상기 분류부와 상기 수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부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되는 일시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시 저장부는, 상기 분류부의 하단 대비 상대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분류부로부터 전달되는 동전이 지지되는 하판; 및 상기 하판 상에 마련되며 왕복 이동하여 상기 하판에 지지된 동전을 밀어내 상기 수납부로 떨어뜨리는 둘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i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in input unit; a discrimination unit for discriminating the input coins;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units for accommodating coins; a classification unit for classifying the coins identified by the discrimination unit to be delivered in different paths toward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and a temporary storage unit provided between the classification unit and the receiving unit and provided in plurality to correspond to the receiving unit, where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has a fixed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end of the classification unit and stores coins delivered from the classification unit. Supported lower plate; And it is provided on the lower plate and reciprocally moves to push the coins supported on the low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eripheral portion for dropping into the receiving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부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일시 저장부 또는 상기 수납부로부터 동전을 전달받아 출금하는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it may further include a temporary storage unit or a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for receiving and withdrawing coins from the temporary storage unit or the receiving unit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unit.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부 및 상기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는, 상방이 서로 어긋나게 마련되며 상기 일시 저장부를 향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ceiving unit and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may be provided with upper sides shifted from each other and open toward the temporary storage unit.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부 및 상기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는, 상방이 상기 일시 저장부의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하판과 어긋나게 배치되며, 상기 일시 저장부의 상기 둘레부는, 상기 하판에 지지된 동전을 일 방향으로 밀어내 상기 수납부로 떨어뜨리거나, 상기 하판에 지지된 동전을 타 방향으로 밀어내 상기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로 떨어뜨릴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ceiving unit and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the upper side is provid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and is displaced from the lower plate, the periphery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the coin supported on the lower plate Push in one direction to drop it into the receiving unit, or push the coin supported on the lower plate in the other direction to drop it into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구체적으로, 상기 일시 저장부는, 상기 둘레부에 제공할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원을 갖고,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둘레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emporary storage unit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unit having a driving source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be provided to the peripheral portion, and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source to the peripheral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며 기어이를 갖는 구동기어; 외력을 상기 둘레부에 전달하기 위해 마련되는 수동 노브; 상기 둘레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 또는 상기 수동 노브와 맞물리는 랙; 상기 구동기어를 상기 수동 노브와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을 해제하여 상기 수동 노브에 의한 상기 둘레부의 이동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조작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a driving gear connected to the driving source and having gear teeth; a manual knob provided to transmit an external force to the periphery; a rack connected to the periphery and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or the manual knob; It may include an operation switching unit for allowing or limiting movement of the peripheral portion by the manual knob by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drive gear with the manual knob.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 전환부는, 상기 구동기어가 안착되는 기어 브라켓; 및 상기 기어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일시 저장부를 수용하는 프레임에 걸쇠로 걸림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쇠가 걸린 상태를 유지하며,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걸쇠가 상기 프레임에서 벗어나 상기 프레임 기준 상기 기어 브라켓의 수평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가 되고, 상기 레버가 외력에 의해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기어 브라켓이 수평 이동하면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수동 노브와 연결 해제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peration conversion unit may include: a gear bracket on which the driving gear is seated; and a lever rotatably provided on the gear bracket and caught by a latch on a frame accommodating the temporary storage unit, wherein the lever maintains the latched state by an elastic force, and rotates by an external force to the latch is out of the frame and becomes a state allow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gear bracket based on the frame, and when the gear bracket moves horizontally while the lever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the driving gear may be disconnected from the manual knob have.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 전환부는, 복수 개의 상기 수납부를 수용하는 수납함이 상기 프레임에 수용될 때 상기 수납함에 의해 상방으로 상승하는 락킹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 링크는, 상기 수납함이 상기 일시 저장부 대비 위치 이동하면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레버와 간섭됨에 따라 상기 레버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peration switching unit further includes a locking link that rises upward by the storage box when the storage box for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is accommodated in the frame, wherein the locking link includes the storage box where the storage box is the temporary storage unit. When the contrast position is moved, the lever is lowered by an elastic force and interferes with the lever, thereby limiting the lever from being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본 발명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는, 밀판 구조를 이용하여 동전이 투입되도록 하여, 버켓 형태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투입 과부하 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고, 감별, 분류, 수납에 있어서 신속성과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다.The coin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coins to be inserted using a push plate structure, thereby solving the input overload problem that occurs when using the bucket shape, and guaranteeing speed and accuracy in discrimination, classification, and storage. c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투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투입부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일시 저장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i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coi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coi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7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input unit of the coi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put unit of the coi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are perspective views of a temporary storage unit of the coi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artial front view of a coi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7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of a coi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ber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ber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i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coi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i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de view of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투입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투입부의 단면도이다.4 to 7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input part of the coi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put part of the coi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일시 저장부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부분 정면도이며,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9 to 11 are perspective views of a temporary storage unit of the coi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artial front view of the coi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13 to 17 are It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coi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 장치(1)는, 투입부(10), 감별부(20), 분류부(30), 일시 저장부(40), 수납부(50),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를 포함하며, 전체 형상(외관 등)을 결정하며 위 구성들의 위치를 고정하는 프레임(7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프레임(70) 기준으로 수납부(50),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유지보수 등을 위하여 프레임(70) 대비 각 구성들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1 to 17 , the coin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0 , a discrimination unit 20 , a classification unit 30 , a temporary storage unit 40 , The receiving unit 50 and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may include a frame 70 that determines the overall shape (appearance, etc.) and fixes the positions of the above components. For reference, based on the frame 70, the receiving unit 50 and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may be provided to be slide-out or retrac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for maintenance, etc., each component compared to the frame 70 is It may be provided detachably.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전후좌우 등의 방향은 각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러한 방향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가 제한 해석될 수 없음을 알려둔다.Hereinaf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irections such as front, back, left, right, etc.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ach drawing,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directions.

투입부(10)는, 동전이 투입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동전은 일반적으로 통칭되는 동전 외에도, 카지노 칩 등과 같은 물품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In the input unit 10, coins are inserted.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coins may include all items such as casino chips, in addition to coins commonly referred to as coins.

투입부(10)는 사용자가 동전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데, 투입구는 감별부(20)를 향해 개방되는 구성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투입구에 직접 사용자가 동전을 투입하는 방식이 아니라, 투입부(10)에 마련된 그루브(11)에 사용자가 동전을 올려놓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0 has an inlet (not shown) so that a user can insert a coin, and the inlet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toward the discrimination unit 20 .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in which a user places a coin in the groove 11 provided in the input unit 10 may be used instead of a method in which the user directly inserts a coin into the inlet.

이를 위해 투입구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가려져 있을 수 있고, 그루브(11)에 안착된 동전이 후술할 밀판(12)에 의해 밀려 올라가야만 투입구로 인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inlet may be hidden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coin seated in the groove 11 may be pushed up by the push plate 12 to be described l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투입부(10)는 그루브(11)와 밀판(12), 동력 전달부(13)를 갖는다. 그루브(11)는 일단이 감별부(20)를 향하는 투입구의 일측에 마련되며, 길이 방향이 투입 방향과 나란한 골 형태를 갖는다. 그루브(11)는 단면이 U자 또는 V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동전이 편리하게 안착되기 위한 다양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The input unit 10 has a groove 11 , a push plate 12 ,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13 . The groove 1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let with one end facing the discrimination unit 20, and has a trough shape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arallel to the input direction. The groove 11 may be provided in a U-shape or V-shape in cross-section, and may have various cross-sections for a coin to be conveniently seated.

그루브(11)는, 투입구에 인접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마련된다. 즉 그루브(11)는 기울어지게 마련되며, 투입구에 인접한 일단은 상단, 반대편은 하단으로 지칭될 수 있다.The groove 11 is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one end adjacent to the inlet to the other end. That is, the groove 11 is provided to be inclined, and one end adjacent to the inlet may be referred to as an upper end, and the opposite end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end.

밀판(12)은 이하에서 설명 하겠으나, 그루브(11)의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동전의 투입을 기다릴 수 있다. 이후 동전이 투입되고 사용자 등에 의해 동전 입금 신호가 입력되면, 밀판(12)은 그루브(11)의 하단에서 상단을 향해 이동하면서 동전을 밀어올려서, 그루브(11)에 안착되어 있던 동전을 투입구로 떨어뜨릴 수 있다.Although the push plate 12 will be described below, it can wait for the coin to be inserted in a stat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groove 11 . After a coin is inserted and a coin deposit signal is input by a user, etc., the push plate 12 moves from the lower end of the groove 11 toward the upper end and pushes the coin up, and drops the coin seated in the groove 11 into the slot. can open

그루브(11)는 서로 다른 타입의 동전의 안착을 위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복수 개의 그루브(11)는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그루브(11)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 plurality of grooves 11 may be provided for seating different types of coin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grooves 11 may be provided in parall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he arrangement of the groove 11 may be variously changed.

대한민국 동전을 기준으로, 일측의 그루브(11)는 100원과 500원짜리 동전의 투입을 위해 마련되고, 타측의 그루브(11)는 10원과 50원짜리 동전의 투입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Based on Korean coins, the groove 11 on one side may be provided for inserting 100 won and 500 won coins, and the groove 11 on the other side may be provided for inserting 10 won and 50 won coins.

이 경우 복수 개의 그루브(11)는 서로 다른 제원으로 구비될 수 있고, 또는 투입되는 동전을 표시하기 위한 식별인자가 그루브(11)에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투입 동전의 종류를 직관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grooves 11 may be provided with different specifications, or an identification factor for displaying the input coins may be provided in the groove 11 to intuitively guide the user to the type of the input coins.

밀판(12)은, 그루브(11)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밀판(12)은 그루브(11)에 안착된 동전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동력 전달부(13)에 의하여 그루브(11)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The push plate 12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groove 11 . The push plate 12 may support one side of the coin seated in the groove 11 , and may move on the groove 11 by a power transmission unit 13 to be described later.

밀판(12)은 복수 개의 그루브(11)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그루브(11)가 서로 다른 제원을 갖는다면 밀판(12) 역시 서로 다른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ush plate 12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grooves 11 , and of course, if the plurality of grooves 11 have different dimensions, the push plate 12 may also be provided in different shapes.

밀판(12)은 그루브(11)에 안착된 동전을 지지한 채로, 그루브(11)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투입구를 향해 이동하면서 동전을 밀어서, 동전이 투입구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push plate 12 can push the coin while supporting the coin seated in the groove 11 while moving toward the slo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groove 11 so that the coin falls into the slot.

구체적으로 밀판(12)은 투입구를 향해 이동하여 동전을 밀어 올려서, 동전이 그루브(11)의 일단을 넘어가면서 투입구에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밀판(12)은, 감별부(20)의 제원을 고려하여 동전들이 적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ush plate 12 moves toward the inlet and pushes up the coin, so that the coin may fall to the inlet while crossing one end of the groove 11 . At this time, the push plate 12 may move so that coins fall at an appropriate interval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ations of the discrimination unit 20 .

즉 밀판(12)에 의해 동전들이 밀어 올려지면, 두께 방향으로 겹쳐져 그루브(11)에 안착되어 있던 동전들은 투입구로 하나씩 투입될 수 있고, 후술할 감별부(20)에 의해 감별되어 분류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ins are pushed up by the push plate 12, the coins overlapp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seated in the groove 11 can be put into the slot one by one, and can be discriminated and classified by the discrimination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

밀판(12)은, 하단이 그루브(11)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전이 밀판(12) 하측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밀판(1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push plate 12 may have a lower end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groove 11 . Through this, the coin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push plate 12 without escaping to the lower side of the push plate 12 .

밀판(12)의 상측은, 함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밀판(12)은 밀판(12)에 의해 지지되는 동전을 손가락에 의한 파지가 가능하도록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밀판(12)의 상측이 함몰되지 않은 형태일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과 밀판(12)의 간섭을 피하고자 동전을 밀판(12) 위에서 그루브(11)에 떨어뜨리거나, 그루브(11)에서 밀판(12)보다 상방의 일정 지점에 동전을 안착시키게 되므로, 그루브(11)에 동전이 적절히 안착되지 못할 수 있다.The upper side of the push plate 12 may be provided in a depressed form. Therefore, the push plate 12 may partially expose the coins supported by the push plate 12 to be gripped by the fingers. If the upper side of the push plate 12 is not recessed, the user drops a coin into the groove 11 on the push plate 12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finger and the push plate 12, or from the groove 11 to the push plate ( Since the coin is seated at a certain point above 12), the coin may not be properly seated in the groove 11 .

반면 본 실시예의 밀판(12)은 상측을 함몰 형태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한 가장 하측의 동전이 밀판(12)에 직접 맞닿되도록 동전의 안착이 가능하므로, 그루브(11)에 동전을 안착시키는 동작이 매우 편리하다.On the other hand, the push plate 12 of this embodiment has an upper side in a recessed shape, so that the coin can be seated so that the lowermost coin held by the user with a finger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push plate 12, so that the coin is placed in the groove 11 The mounting operation is very convenient.

복수 개의 그루브(11)에 마련되는 밀판(12)들은, 개별적으로 가동할 수 있고 또는 동시에 가동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를 위해 복수 개의 밀판(12)은, 그루브(11)의 하방에 마련되는 이동 브라켓(121)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The push plates 12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grooves 11 may be individually movable or may be movable simultaneously. For the latter case, the plurality of push plates 12 may be integrally connected by a moving bracket 121 provided below the groove 11 .

이동 브라켓(121)이 동력 전달부(13)에 의하여 이동하게 되면서, 밀판(12)들은 한꺼번에 그루브(11)에 안착된 동전들을 밀어 올릴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동전이 안착되지 않은 그루브(11) 내의 밀판(12)도 이동할 수 있다.As the moving bracket 121 is moved by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3 , the push plates 12 may push up the coins seated in the groove 11 at once. Of course, in this case, the push plate 12 in the groove 11 on which the coin is not seated may also be moved.

동력 전달부(13)는, 밀판(12)에 동력을 전달하여 밀판(12)을 그루브(11) 상에서 이동시킨다. 동력 전달부(13)는 밀판(12)에 제공할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원(131)을 가지며, 구동원(131)은 모터 등일 수 있다.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3 transmits power to the push plate 12 to move the push plate 12 on the groove 11 .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3 has a driving source 131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be provided to the push plate 12 , and the driving source 131 may be a motor or the like.

동력 전달부(13)는, 구동원(131)의 구동력을 밀판(12)에 전달하는데, 이를 위해 구동기어(132), 고무롤러(133), 벨트(134) 등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기어(132)는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지만,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편의상 별도의 번호로 구분하지 않고 설명한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13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source 131 to the push plate 12 , and for this purpose,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driving gear 132 , a rubber roller 133 , a belt 134 , and the like. The driving gear 132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s shown in FIG. 8 and the like, but may be provided in one or more, and will be described without separate numbers for convenience.

동력 전달부(13)의 구동원(131)이 회전하면, 구동원(131)에 연결되며 기어이를 갖는 구동기어(132)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구동기어(132)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흐름 상에서 고무롤러(133)와 맞닿을 수 있다.When the drive source 131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3 rotates, the drive gear 132 connected to the drive source 131 and having gear teeth rotates. At this time, the driving gear 132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rubber roller 133 on the flow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고무롤러(133)는 구동기어(132)의 기어이와 맞닿아 구동기어(132)에 의해 회전하는 구성으로, 기어이가 없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동력 전달부(13)는, 기어이의 맞물림 만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기어이가 없는 고무롤러(133)를 배치함으로써 고무롤러(133)의 외면과 구동기어(132)의 기어이 간의 마찰력을 통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rubber roller 133 is configured to rotate by the driving gear 132 in contact with the gear teeth of the driving gear 132 ,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without gear teeth. That i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3 does not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nly through the meshing of the gear teeth, but by disposing the rubber roller 133 without gear teeth, through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rubber roller 133 and the gear teeth of the driving gear 132 . It can transmit rotational force.

이와 같이 고무롤러(133)를 배치하는 것은, 밀판(12)이 동전 혹은 외력에 의해 하강/상승할 때 구동기어(132)나 구동원(131)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고무롤러(133)와 기어이 간의 마찰력을 넘어서는 힘이 밀판(12)에 가해질 때, 고무롤러(133)가 구동기어(132) 대비 다소 헛돌게 되면서 구동원(131)에 외력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The arrangement of the rubber roller 133 in this way is to prevent the drive gear 132 or the drive source 131 from being overloaded when the push plate 12 is lowered/raised by a coin or external force. That is, when a force exceed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ubber roller 133 and the gear teeth is applied to the push plate 12, the rubber roller 133 rotates slightly compared to the driving gear 132, and the external force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driving source 131. .

여기서 고무롤러(133)는 그 재질이 명칭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기어이와 충분한 마찰력으로 접하기 위해 외면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모두 포괄할 수 있다.Here, the material of the rubber roller 133 is not limited by the name, and may cover all cases in which the outer surface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 order to contact the gear teeth with sufficient frictional force.

도 8에 따르면 구동원(131), 하나 이상의 구동기어(132), 고무롤러(133), 그리고 하나 이상의 구동기어(132) 등을 거쳐 회전력이 벨트(134)에 전달될 수 있으며, 벨트(134)는 일측이 이동 브라켓(121)과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FIG. 8 , rotational force may be transmitted to the belt 134 through a driving source 131 , one or more driving gears 132 , a rubber roller 133 , and one or more driving gears 132 , and the belt 134 . One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movable bracket 121 .

따라서 벨트(134)의 회전 시 이동 브라켓(121)은 그루브(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그루브(11) 상에 안착된 밀판(12)이 그루브(11)의 하단과 상단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즉 동력 전달부(13)는 위와 같은 구동기어(132), 고무롤러(133) 등의 조합을 통해, 이동 브라켓(121)을 경사 슬라이딩 이동시켜 밀판(12)이 그루브(11)에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belt 134 rotates, the moving bracket 121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11 , so that the push plate 12 seated on the groove 11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groove 11 . You can travel round-trip. That is,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3 moves the moving bracket 121 obliquely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driving gear 132 and the rubber roller 133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push plate 12 moves in the groove 11 . can

투입부(10)는 이동 브라켓(121)을 가이드하기 위해 브라켓 가이드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부(14)는 그루브(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이동 브라켓(121)의 양단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0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guide unit 14 to guide the moving bracket 121 . The bracket guide part 14 may b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11 to guide both ends of the movable bracket 121 .

브라켓 가이드부(14)는 벨트(134)와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동 브라켓(121)에 의해 밀판(12)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밀판(12)의 흔들림을 잡아주고, 밀판(12)이 그루브(11)의 상단 또는 하단을 넘어서지 않도록 구동원(13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bracket guide part 14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belt 134 , and catches the shaking of the push plate 12 while the push plate 12 is moved by the moving bracket 121 , and the push plate 12 moves The driving of the driving source 131 may be controlled so as not to exceed the upper end or lower end of the groove 11 .

이를 위해 브라켓 가이드부(14)는 하단 및 상단에 위치 검지센서(141)를 구비할 수 있다. 위치 검지센서(141)는 브라켓 가이드부(14)의 하단 및 상단에 마련되며 이동 브라켓(121)의 일단을 검지하여 밀판(12)이 동전 투입을 위한 위치(하단)에 있는지 또는 밀판(12)이 동전 투입을 완료한 위치(상단)에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bracket guide unit 14 may include a position detection sensor 141 at the lower end and upper end.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4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and upper end of the bracket guide unit 14 and detects one end of the moving bracket 121 to determine whether the push plate 12 is at a position (lower end) for coin insertion or the push plate 12. You can check whether you are at the position (top) where you have finished inserting this coin.

위치 검지센서(141)가 확인한 센싱값은 구동원(131)에 전달되며, 구동원(131)은 밀판(12)이 그루브(11)의 상단을 넘어가지 않으며 또한 그루브(11)의 하단보다 더 하강하려는 힘이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sensed value confirmed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41 is transmitted to the drive source 131 , and the drive source 131 does not allow the push plate 12 to go beyond the upper end of the groove 11 and to descend furt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groove 11 . I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force is not transmitted.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다시 참고하여 투입부(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again.

먼저 밀판(12)은 도 4,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루브(11)의 하단에 위치한 투입 준비 상태에 놓여 있을 수 있으며, 밀판(12)이 그루브(11)의 상단에 위치한 경우 일정 시간동안 별다른 신호가 없으면 밀판(12)은 그루브(11)의 하단으로 복귀할 수 있다. 물론 밀판(12)이 동전을 투입하는 경우에 밀판(12)은 상단으로 이동한 뒤 즉시 하단으로 복귀하도록 움직일 수 있으므로, 이동하지 않는 상태의 밀판(12)은 그루브(11)의 하단에 놓여있을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push plate 12 may be placed in an input preparation stat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groove 11 , and when the push plate 12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groove 11 , there is no signa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f there is no push plate 12 can return to the lower end of the groove (11). Of course, when the push plate 12 inserts a coin, the push plate 12 moves to the top and then immediately moves to return to the bottom. can

이러한 상태에서 브라켓 가이드부(14)는, 위치 검지센서(141)를 통해 이동 브라켓(121)을 감지하여 밀판(12)이 그루브(11)의 하단에 위치해 있음을 체크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전 입금이 가능한 대기 상태라는 안내가 사용자에게 다양한 방법(소리나 조명, 영상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bracket guide unit 14 detects the moving bracket 121 through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41 to check that the push plate 12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groove 11 . In this case, a notice that a coin deposit is possible in a waiting stat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in various ways (sound, light, video, etc.).

사용자가 동전을 그루브(11)에 안착시키고 입금 신호가 본 실시예(입력부, 제어부 등과 같은 구성)에 전달되면, 구동원(131)이 회전하면서 구동기어(132), 고무롤러(133), 벨트(134)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고, 이동 브라켓(121)이 브라켓 가이드부(14)를 타고 이동하게 된다. 이때 브라켓 가이드부(14)의 하단에 위치한 위치 검지센서(141)가, 이동 브라켓(121)이 움직인 것을 체크할 수 있다.When a user places a coin in the groove 11 and a deposit signal is transmitted to this embodiment (such as an input unit, a control unit, etc.), the driving source 131 rotates while the driving gear 132, the rubber roller 133, the belt (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134 , and the moving bracket 121 moves on the bracket guide part 14 . At this time,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141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bracket guide unit 14 may check that the moving bracket 121 has moved.

이동 브라켓(121)의 이동에 의해 밀판(12)은 그루브(11)에 안착된 동전들을 밀어 올리게 되며, 이동 브라켓(121)은 브라켓 가이드부(14)의 상단 위치 검지센서(141)에 맞닿는 도 6의 상태가 될 때까지 이송된다.By the movement of the moving bracket 121, the push plate 12 pushes up the coins seated in the groove 11, and the moving bracket 121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osition detection sensor 141 of the bracket guide unit 14. It is transferred until the state of 6 is reached.

이동 브라켓(121)이 브라켓 가이드부(14)의 상단에 마련된 위치 검지센서(141)에 의해 감지되면, 밀판(12)에 의해 동전 투입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고 밀판(12)은 원위치로 복귀하여 대기할 수 있다.When the moving bracket 121 is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41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guide unit 14, it is considered that the coin input is completed by the push plate 12, and the push plate 12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waits. can do.

추가로 그루브(11)는 중앙이 이격되고 금속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경사판이나 곡판을 통해 U자 또는 V자 단면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고, 밀판(12)은 비통전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동전이 남아있을 경우에만 한 쌍의 경사판 사이에서 전류가 통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groove 11 may be provided to form a U-shaped or V-shaped cross section through a pair of inclined plates or curved plates that ar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and made of metal, and the push plate 12 is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Therefore, only when there are coins left, current flows between the pair of swash plates.

이를 통해 투입부(10)는, 밀판(12)이 상단까지 이동하였음에도 그루브(11)에 동전 등이 잔류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밀판(12)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그루브(11)에 동전 등의 금속이 남아있다면, 그루브(11)를 구성하는 한 쌍의 경사판 사이에 전류가 전달될 수 있고, 동전의 잔류가 확인되면 투입 불량 등의 안내가 사용자에게 알림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input unit 10 may check whether coins, etc. remain in the groove 11 even though the push plate 12 has moved to the upper end. If metal, such as a coin, remains in the groove 11 despite the movement of the push plate 12 , a current may be transmitted between a pair of inclined plates constituting the groove 11 , and if the remaining coins are checked, input failure and the like may be notified to the user.

이와 같이 밀판(12)의 동작이 1회 이상 반복 이루어지면서, 사용자가 그루브(11)에 안착시킨 동전이 이하에서 설명하는 감별부(20)로 전달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ile the operation of the push plate 12 is repeated one or more times, the coin placed in the groove 11 by the user may be transferred to the discrimination unit 20 to be described below.

감별부(20)는, 투입된 동전을 감별한다. 감별부(20)는 그루브(11) 마다 마련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감별센서(21)를 구비할 수 있다. 감별센서(21)는 이미지 인식을 이용하는 지류에서와 달리, 동전을 구성하는 금속 조성을 토대로 동전의 감별을 구현할 수 있다.The discrimination unit 20 discriminates the put coin. A plurality of discrimination units 20 may be provided for each groove 11 , and a discrimination sensor 21 may be provided. Different from the branch using image recognition, the discrimination sensor 21 can implement the discrimination of coins based on the metal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coins.

일례로 동전을 구성하는 구리, 알루미늄, 주석 등의 비율이 동전마다 정해지게 되는데, 감별센서(21)는 동전을 이루는 조성물에 대한 파장을 감지하는 자기센서로 구성되어, 불량동전인지, 어떠한 동전인지를 구분해낼 수 있다.For example, the ratio of copper, aluminum, tin, etc. constituting the coin is determined for each coin, and the differential sensor 21 is composed of a magnetic sensor that detects the wavelength of the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coin, whether it is a bad coin or what kind of coin. can be distinguished.

이때 감별센서(21)의 식별속도에 따라, 밀판(12)의 이동 속도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동전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속도는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이므로 일정하겠으나, 감별센서(21)의 센싱값 처리 속도를 고려하여, 동전들의 투입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밀판(12)의 이동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speed of the discrimination sensor 21, the moving speed of the push plate 12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Of course, the speed at which coins are inserted through the inlet is constant because they are free fall due to gravity, but in consideration of the processing speed of the sensing value of the differential sensor 21, the moving speed of the push plate 12 is different to adjust the insertion interval of the coins. can

감별부(20)에 의해 감별된 동전은 이후 분류부(30)를 통해 분류될 수 있다. 즉 감별센서(21)에 의한 센싱값은 분류부(30)로 전달되어, 투입된 동전이 일시 저장부(40) 또는 반환부(32)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ins discriminated by the discriminating unit 20 may then be classified through the classifying unit 30 . That is, the value sensed by the discrimination sensor 21 is transmitted to the classification unit 30 , so that the inserted coin is transmitted to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or the return unit 32 .

감별센서(21)의 감별 방식 및 감별부(20)의 구조 등은 제한되지 않을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그루브(11)에 각각 할당되는 투입구마다 마련되거나, 또는 복수 개의 그루브(11)가 하나의 투입구에 대응되고 하나의 투입구에 감별부(20)가 통합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후자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그루브(11)에 위치한 밀판(12)의 이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투입구를 통해 낙하하는 동전이 겹치지 않게 해 감별이 원활하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The discrimination method of the discrimination sensor 21 and the structure of the discrimination unit 20 may not be limited, and each inlet allocated to the plurality of grooves 11 may be provided, or a plurality of grooves 11 may be provided as one inlet. Corresponding to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discrimination unit 20 is integrated into one inlet. However, in the latter case, the movement of the push plate 12 located in the different grooves 11 is sequentially made, so that coins falling through the inlet do not overlap, so that the discrimination can be smoothly implemented.

분류부(30)는, 감별부(20)에서 감별된 동전이 복수 개의 수납부(50)를 향해 서로 다른 경로로 전달되도록 분류한다. 분류부(30)는 수납부(50)와 감별부(20) 사이에 마련되며, 감별부(20) 하측에서 복수의 수납부(50)에 대응되도록 갈라져 있는 분류로(3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unit 30 classifies the coins differentiated by the discrimination unit 20 so that they are delivered in different paths toward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50 . The dividing unit 30 is provided between the receiving unit 50 and the discriminating unit 20, and may include a dividing path 31 divid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50 below the discriminating unit 20. have.

구체적으로 분류부(30)는 복수 개의 수납부(50)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일시 저장부(4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분류로(31)는 일시 저장부(40)에 각각 대응되는 형태로 분기되어 있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classification unit 30 may be disposed above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storage units 50 , and the classification path 31 corresponds to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 respectively. may be branched in the form.

분류로(31)는 감별부(20)를 통해 유입된 동전이 동전의 종류에 매칭되는 특정한 일시 저장부(40)로 전달되도록, 일시 저장부(40)마다 구비될 수 있으며, 동전이 자유낙하를 통해 이동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형태이거나 또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동전을 전달하는 벨트 등의 구성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분류로(31)가 도면에 나타난 것과 같이 슬라이드임을 가정해 설명한다.The sorting path 31 may be provided for each temporary storage unit 40 so that the coins introduced through the discrimination unit 20 are transferred to a specific temporary storage unit 40 matching the type of the coin, and the coins are allowed to fall freely. It may be in the form of a slide to move through, or in a configuration such as a belt for transferring coins by using a driving force.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classification furnace 31 is a slide as shown in the drawings.

분류로(31)의 입구는 감별부(20)의 하측을 향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분류로(31)의 출구는 일시 저장부(40)를 향해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그루브(11)가 복수 개로 구비되더라도 각 수납부(50)에는 하나의 분류로(31)가 할당될 수 있는 바, 분류로(31)의 입구는 복수 개의 감별부(20)들의 하측에 한꺼번에 연통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inlet of the fractionation passage 31 may be provided in an open shape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discrimination unit 20 , and the outlet of the fractionation passage 31 may be opened toward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 However, even if a plurality of grooves 11 are provided, one flow path 31 may be allocated to each receiving unit 50 , and the entrance of the dividing path 31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discrimination units 20 at once. It may be provided in a communication form.

분류부(30)는, 감별센서(21)의 센싱값을 통해 감별부(20)를 거친 동전이 각각 적절한 분류로(31)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분기기(diverter,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분기기는 감별부(20)의 하측과 분류로(31)들의 상측 사이에서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동전의 경로를 변환하는 모든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그 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The classification unit 30 may include a diverter (not shown) for transferring the coin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discrimination unit 20 to the appropriate classification path 31 through the sensing value of the discrimination sensor 21 . can The branching machine is a configuration provid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discrimination unit 20 and the upper side of the splitting paths 31 and may be provided in any structure that converts the path of the coin, so the structure is not limited.

일례로 분기기는 감별부(20)를 통해 낙하하는 동전을 각 분류로(31)로 전달하기 위해 동전을 밀어내거나 쳐내는 구조로 마련되거나, 또는 감별부(20)와 분류로(31)들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개폐되는 구조 등으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branching machine is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pushes or strikes coins in order to deliver coins falling through the discrimination unit 20 to each sorting path 31 , or between the discriminating unit 20 and the sorting path 31 . It may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is partially opened and closed.

분기기는 감별센서(21)의 센싱값에 따라 빠르게 작동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solenoid)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분기기는 감별센서(21)와 분기기 사이에서 동전이 낙하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센싱값에 대응되는 작동 간에 미세한 시간차를 둘 수 있다. 이는 감별센서(21)의 값이 분기기에 전달됨과 동시에 분기기가 작동하면, 분기기에 위치한 동전은 감별센서(21)에 감별된 동전보다 이전에 투입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The branching machine may use a solenoid so as to operate quickly according to the sensing value of the discrimination sensor 21 .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for the coin to fall between the differential sensor 21 and the branching machine, a minute time difference may be set between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sensed value. This is because, when the value of the differential sensor 21 is transmitted to the branch and the branch operates at the same time, the coin located in the branch may be inserted before the coin discriminated by the differential sensor 21 .

다만 이러한 시간차는 ms 단위로 세팅되는 미세한 값이며, 동전은 투입구로부터 분류로(31)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자유낙하가 멈추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투입 과정이 지연된 것처럼 인식하지는 않는다.However, this time difference is a minute value set in ms, and since the free fall does not stop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coin from the inlet to the classification furnace 31,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at the input process is delayed.

그루브(11)가 복수 개로 마련되고 감별부(20) 역시 그루브(11)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에도, 분류로(31)는 하나로 통합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분기기는 감별부(20)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분류로(31)에 2개의 분기기가 대응될 수 있다. Even when a plurality of grooves 11 ar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discrimination units 20 are also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grooves 11 , the dividing furnace 31 may be integrated into one. However, since the branching machine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discrimination unit 20 , two branching machines may correspond to one branching path 31 .

분기기들에 의해 하나의 분류로(31)의 입구로 동전이 전달될 때 동전들이 부딪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분기기들은 서로 동전의 분류가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In order not to collide with coins when the coins are delivered to the entrance of one sorting path 31 by the tapers, the tapers may be provided so that the sorting of coins does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다만 이하에서 설명 하겠으나, 복수 개의 그루브(11)는 서로 다른 종류의 동전을 투입하기 위한 용도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분기기들에 의해 하나의 분류로(31)로 동전이 투입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분류 시 동전들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as will be described below, the plurality of grooves 11 may be provided for inserting different types of coins. In this case, since a situation in which coins are put into one sorting furnace 31 by a plurality of branchers does not occur, collision between coins during sorting can be prevented.

분류부(30)는 수납부(50) 및 일시 저장부(40)에 각각 대응되는 분류로(31)로 동전을 전달할 수 있지만, 수납부(50)로 전달될 필요가 없는 동전(불량 동전, 동전이 아닌 매체 또는 그루브(11)에 재안착이 필요한 동전 등)에 대해서는 분류로(31)가 아닌, 반환부(32)로 전달할 수 있다.The sorting unit 30 can deliver coins to the sorting path 31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unit 50 and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respectively, but coins that do not need to be transferred to the receiving unit 50 (bad coins, For a medium other than a coin or a coin that needs to be re-seated in the groove 11 ), it can be delivered to the return unit 32 instead of the sorting furnace 31 .

반환부(32)는 프레임(70)을 기준으로 투입부(10)의 하방에 마련되며, 투입부(10)와 마찬가지로 프레임(70)의 전방에 위치해, 투입부(10)에 동전을 투입한 사용자가 바로 반환되는 동전을 수거해 가도록 할 수 있다.The return part 32 is provided below the input part 10 with respect to the frame 70, and is located in front of the frame 70 like the input part 10, and inserts a coin into the input part 10. You can have the user collect the coins that are returned right away.

반환부(32)는 별도의 도어(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도어를 손으로 열고 반환된 동전을 꺼낼 수 있으며, 반환 여부는 소리나 조명 등으로 사용자에게 안내될 수 있다.The return unit 32 is provided with a separate door (not shown), the user can open the door by hand and take out the returned coin, and whether the return is returned may be guided to the user by sound or lighting.

정상 동전인 경우에도 반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례로 한 쌍의 그루브(11)가 100원/500원 투입용 제1 그루브(11)와 10원/50원 투입용 제2 그루브(11)로 구비되어 있을 경우, 100원/500원 투입용 그루브(11)에 10원 등의 동전을 안착했을 때, 해당 동전이 반환될 수 있다.A return can be made even in the case of a normal coin. For example, a pair of grooves 11 is provided with a first groove 11 for inserting 100 won/500 won and a second groove 11 for inserting 10 won/50 won. In this case, when a coin such as 10 won is seated in the groove 11 for inserting 100 won/500 won, the coin may be returned.

이 경우 감별부(20)의 감별센서(21)는 각 그루브(11)에 할당된 동전들만을 감별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100원용 제1 그루브(11)에 10원이 투입되면 제1 그루브(11)에 대응되는 제1 감별부(20)의 감별센서(21)는 해당 동전을 반환대상인 것으로 센싱하고, 센싱값을 받은 분기기는 제1 감별부(20)로부터 전달된 10원 동전을 반환부(32)로 전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crimination sensor 21 of the discrimination unit 20 may be provided to discriminate only coins allocated to each groove 11, and when 10 won is put into the first groove 11 for 100 won, the first groove ( The discrimination sensor 21 of the first discrimination unit 20 corresponding to 11) senses the coin as a return target, and the branch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sensed value returns the 10-won coin delivered from the first discrimination unit 20 to the return unit. (32) can be passed.

또한 분기기와 관련하여, 제1 그루브(11)에 대응되는 분기기는 100원/500원/반환으로 분기하고, 제2 그루브(11)에 대응되는 분기기는 10원/50원/반환으로 분기하게 된다.Also, with respect to the branching machine, the branching machine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11 branches at 100 won/500 won/return, and the branching machin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oove 11 branches at 10 won/50 won/return. .

따라서 이와 같이 복수 개의 그루브(11)가 투입 가능한 동전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본 발명은 분기기에 의한 분기 가지수를 줄여 빠르고 정확한 분류 속도를 보장하면서 감별센서(21)의 제원을 낮추고 감별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Therefore, by differently setting coins into which the plurality of grooves 11 can be inserted,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number of branches by the branching machine to ensure a fast and accurate sorting speed, while lower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discrimination sensor 21 and increasing the identification accuracy. have.

이러한 분류부(30)를 통해 분류되는 동전들은, 반환부(32)로 전달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후술하는 일시 저장부(40)로 전달될 수 있다.Coins classifi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unit 30 may be transferred to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to be described later, except for the case where they are transferred to the return unit 32 .

일시 저장부(40)는, 분류부(30)와 수납부(50) 사이에 마련되어 수납부(50)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된다. 일시 저장부(40)는 감별부(20)의 감별센서(21)에 의하여 정상으로 판별된 동전에 대해, 수납부(50)로 전달되기 전에 일시 저장해두는 기능을 한다.A plurality of temporary storage units 40 are provided between the classification unit 30 and the storage unit 50 to correspond to the storage unit 50 .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functions to temporarily store the coins determined as normal by the discrimination sensor 21 of the discrimination unit 20 before being delivered to the storage unit 50 .

이는 감별부(20)에 의하여 정상으로 판별되더라도, 사용자가 입금 취소하는 경우 등에서 해당 동전들이 수납부(50)로 전달되지 않고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를 통해 사용자에게 반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ensure that the corresponding coins are returned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instead of being delivered to the receiving unit 50 when the user cancels the deposit, even if it is determined by the discrimination unit 20 as normal.

일시 저장부(40)는 분류로(31)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되며, 하판(41), 둘레부(42), 동력 전달부(43)를 포함한다. 하판(41)은 분류부(30)의 하단 대비 상대 위치가 고정되며 분류부(30)로부터 전달되는 동전이 지지된다. 즉 하판(41)은 분류로(31)의 개방된 하단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하판(41)에는, 상방에 구비된 분류로(31)의 하단을 통해 동전이 전달될 수 있다.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is provided in plurality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viding path 31 , and includes a lower plate 41 , a perimeter portion 42 ,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43 . The lower plate 41 has a fixed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end of the classification unit 30 , and coins delivered from the classification unit 30 are supported. That is, the lower plate 41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open lower end of the fractionation furnace 31, and to any one lower plate 41, coins may be deliver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ractionation furnace 31 provided above. have.

다만 프레임(70)에서 하판(41)이 마련되는 부분은, 하판(41)의 양측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하판(41)의 일측은 수납부(50)로 연통되고, 하판(41)의 타측은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로 연통될 수 있다.However, a portion of the frame 70 in which the lower plate 41 is provided may be provided such that both sides of the lower plate 41 are open.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lower plate 41 may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unit 50 ,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41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

분류로(31)를 통해 전달된 동전은 하판(41) 상에 안착되어야 하므로, 둘레부(42)가 하판(41) 상측에 마련되어 하판(41)과 함께 바구니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즉 하판(41)과 둘레부(42)가 이루는 바구니가 분류로(31)에서 전달되는 동전을 수집하는 구성으로 기능할 수 있다.Since the coin delivered through the fractionation furnace 31 must be seated on the lower plate 41 , the perimeter 42 is provided on the lower plate 41 to implement a basket shape together with the lower plate 41 . That is, the basket formed by the lower plate 41 and the peripheral portion 42 may function as a configuration for collecting coins transferred from the classification furnace 31 .

둘레부(42)는 하판(41)의 상측에 맞닿도록 마련되어 동전이 하판(41)과 둘레부(42)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둘레부(42)는 프레임(7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둘레부(42)와 하판(41)은 요철 구조를 구비하여 둘레부(42)의 이동이 가이드되도록 할 수 있다.The peripheral portion 42 may be provided so as to abut against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41 to prevent coins from escaping between the lower plate 41 and the peripheral portion 42 . At this time, the peripheral portion 42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70, and the peripheral portion 42 and the lower plate 41 are provided with a concave-convex structur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peripheral portion 42 is guided. can

즉 둘레부(42)는 하판(41) 상에 마련되며 왕복 이동하여 하판(41)에 지지된 동전을 일방 또는 타방으로 밀어내어, 하판(41)에 지지되어 있던 동전을 수납부(50) 등으로 떨어 뜨릴 수 있다.That is, the peripheral part 42 is provided on the lower plate 41 and reciprocally moves to push the coins supported on the lower plate 41 to one side or the other, and the coins supported on the lower plate 41 are stored in the receiving part 50, etc. can be dropped to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프레임(70)에서 하판(41)의 양측은 개방되어 있을 수 있고, 일측은 수납부(50)의 입구와 연통되고 타측은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의 입구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분류부(30)를 통해 전달되어 하판(41)에 지지된 동전을, 둘레부(42)가 하판(41)의 일측으로 쓸어내면 동전은 수납부(50)로 투입될 수 있으며, 반면 둘레부(42)가 하판(41)의 타측으로 쓸어내면 동전은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로 투입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both sides of the lower plate 41 in the frame 70 may be open, and one side communicates with the entrance of the receiving unit 50 and the other side communicates with the entrance of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can Therefore, when the coin deliver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unit 30 and supported on the lower plate 41 is swept away by the peripheral portion 42 to one side of the lower plate 41 , the coin can be put into the receiving portion 50 , while the circumference When the unit 42 sweeps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41 , the coin may be put into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

물론 복수 개의 수납부(50)의 각 입구는 각 하판(41)들의 일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둘레부(42)에 의하여 밀려 떨어지는 동전들이 수납부(50)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전달 경로가 뒤바뀌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수납부(50)의 입구 높이는, 하판(41)의 높이에 인접하게 마련된다.Of course, each inlet of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50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each lower plate 41 , and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coins pushed down by the peripheral part 42 into the accommodating part 50 , the delivery path is You can make sure it doesn't change. That is, the height of the entrance of the accommodating part 5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height of the lower plate 41 .

또한 수납부(50)의 하방에 마련되는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와 관련하여, 하판(41)에서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까지 적어도 수납부(50)의 높이만큼 동전이 낙하하게 된다. 이때 동전의 전달 경로가 뒤바뀌지 않도록,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와 하판(41)의 타측 사이에는 각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들과 각 하판(41)의 일측 개구(411)를 상호 구분하기 위한 입금취소덕트(62)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provided below the receiving unit 50, the coin falls from the lower plate 41 to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at least as much as the height of the receiving unit 50. do. At this time, in order not to reverse the transfer path of the coin, between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41, each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and one opening 411 of each lower plate 41 are provided. A deposit cancellation duct 62 for mutual distinction may be provided.

동력 전달부(43)는, 둘레부(42)를 하판(41)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둘레부(42)는 하판(41)의 상측에 위치한 기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일측이나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동전을 떨어뜨린 이후에는 하판(41)의 상측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는 밀판(12)의 이동과 유사하며, 밀판(12)의 움직임과 연계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43 moves the peripheral portion 42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based on the lower plate 41 . At this time, the peripheral part 42 may maintain a basic stat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41 , and after dropping a coin while moving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it may return to the upper position of the lower plate 41 . This is similar to the movement of the push plate 12 , and may be associated with the movement of the push plate 12 .

동력 전달부(43)는 투입부(10)에서 설명한 구성과 유사할 수 있으므로, 투입부(10)에서 설명한 내용이 본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함을 알려둔다.Sinc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3 may be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input unit 10 ,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input unit 10 may also be applied to this configuration, and vice versa.

일시 저장부(40)의 동력 전달부(43)는, 둘레부(42)에 제공할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원(431)을 가지며, 구동원(431)의 구동력이 둘레부(42)에 전달될 수 있다. 구동원(431)과 둘레부(42) 사이에는, 구동원(431)에 연결되어 기어이를 갖는 구동기어(432)와, 둘레부(42)에 연결되어 구동기어(432) 등과 연결되는 벨트(434)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 랙 등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power transmitting unit 43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has a driving source 431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be provided to the peripheral portion 42 ,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source 431 may be transmitted to the peripheral portion 42 . have. Between the drive source 431 and the peripheral portion 42, the drive gear 432 is connected to the drive source 431 having gear teeth, and the belt 434 connected to the peripheral portion 42 and connected to the drive gear 432 and the like. may be used, and of course, a rack or the like may be used in addition to it.

더욱이 본 실시예의 동력 전달부(43)는, 외력을 둘레부(42)에 전달하기 위해 마련되는 수동 노브(433)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434)는 구동기어(432) 또는 수동 노브(433)와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수동 노브(433)의 조작에 의해 벨트(434)를 거쳐 둘레부(42)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mor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3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anual knob 433 provided to transmit an external force to the peripheral portion 42 . The belt 434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driving gear 432 or the manual knob 433 , so that the peripheral portion 42 can be moved through the belt 434 by manipulating the manual knob 433 .

일시 저장부(40)에 저장된 동전이 제대로 수납되지 않았거나, 의도적으로 일시 저장부(40)의 자동적인 작동을 제한하고 동전을 회수하여야 하는 경우나, 유지 보수를 위해 필요한 경우 등에서, 사용자는 수동 노브(433)를 조작하여 둘레부(42)를 하판(41)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coin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are not properly stored, or when it is necessary to intentionally limit the automatic opera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and collect the coins, or when necessary for maintenance, the user can manually By manipulating the knob 433 , the peripheral portion 42 may be mov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41 .

다만 프레임(70) 기준으로 수납부(50) 등은 인출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는데, 수납부(50)가 인출된 상태에서 수동 노브(433)를 조작해 둘레부(42)를 일측으로 움직이게 되면, 하판(41)에 지지되어 있던 동전은 수납부(50)로 전달되지 못하고 프레임(70) 바닥 등으로 떨어지게 될 우려가 있다.However,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receiving unit 50 and the like can be withdrawn based on the frame 70. When the receiving unit 50 is withdrawn and the manual knob 433 is operated to move the peripheral portion 42 to one side, Coins supported on the lower plate 41 may not be transferred to the receiving unit 50 and may fall to the bottom of the frame 70 or the like.

따라서 본 실시예는 프레임(70)에 대한 수납부(50)의 상태 등에 따라 수동 노브(433)에 의한 조작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조작 전환부(435)를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on by the manual knob 433 may be restric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eceiving unit 50 with respect to the frame 70 , and for this purpose, the operation switching unit 435 may be included.

더욱이 수동 노브(433)의 조작에 의한 둘레부(42)의 이동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고, 관리자에 의해 제한적으로 허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the movement of the peripheral portion 42 by the operation of the manual knob 433 may not be preferably performed by the user, and is preferably allowed limitedly by the administrator.

따라서 수동 노브(433)는 기본적으로 프레임(70)을 감싸는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덮여 접근이 불가한 상태에 놓여 있을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된다 하더라도 간단하게 조작할 수 없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Therefore, the manual knob 433 is basically covered by a housing (not shown) surrounding the frame 70 and may be placed in an inaccessible state, and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cannot be easily manipulated even if exposed to the outside. can

즉 수동 노브(433)는, 기본적으로 작동이 제한되도록 마련되며, 또한 수납부(50)가 프레임(70)에서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작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수동 노브(433)의 작동 제한/허용은 후술하는 조작 전환부(435)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먼저 수동 노브(433)가 기본적으로 작동이 제한되는 내용을 설명한다.That is, the manual knob 433 is basically provided to be limited in operation, and is also provided to be operated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accommodating part 50 is not drawn out from the frame 70 . The operation limitation/permission of the manual knob 433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switching unit 435 to be described later. First, the content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manual knob 433 is basically limited will be described.

조작 전환부(435)는, 구동기어(432)를 수동 노브(433)와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을 해제하여, 수동 노브(433)에 의한 둘레부(42)의 이동을 허용 또는 제한할 수 있다.The operation switching unit 435 may connect or disconnect the driving gear 432 with the manual knob 433 to allow or limit movement of the peripheral portion 42 by the manual knob 433 .

수동 노브(433)는, 조작 전환부(435)에 의해 구동기어(432)에 연결됨에 따라 벨트(434)에 간접 연결되어 둘레부(42)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조작 전환부(435)에 의해 구동기어(432)에서 분리되면서 벨트(434)에 연결되어 구동원(431)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둘레부(42)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는 후자의 방식을 채택한 것으로 설명하나, 전자의 방식도 얼마든지 적용 가능하다.The manual knob 433 is indirectly connected to the belt 434 as it is connected to the drive gear 432 by the operation switching unit 435 to move the peripheral portion 42, and vice versa, the operation switching unit 435 It is connected to the belt 434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driving gear 432 by the ,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movement of the peripheral portion 42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driving source (431).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dopting the latter method, but the former method is also applicable.

조작 전환부(435)는 기어 브라켓(4351), 레버(4352), 락킹 링크(4355)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브라켓(4351)은 구동기어(432)가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구동기어(432)의 축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기어 브라켓(4351)은 후술할 레버(4352) 등을 통해 둘레부(42)의 이동방향과 유사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어 브라켓(4351)의 구동기어(432)가 수동 노브(433)와 이격되거나 또는 구동기어(432)가 수동 노브(433)와 맞물릴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수동 노브(433)는 기어 브라켓(4351)이 아닌 프레임(70)에 구비될 수 있고, 기어 브라켓(4351)은 프레임(70) 기준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operation switching unit 435 may include a gear bracket 4351 , a lever 4352 , and a locking link 4355 . The gear bracket 4351 is a configuration on which the driving gear 432 is seated, and a shaft of the driving gear 432 may be provided. The gear bracket 4351 may move in a direction simi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42 through a lever 4352, et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driving gear 432 of the gear bracket 4351 is a manual knob 433. It may be spaced apart from or the driving gear 432 may be engaged with the manual knob 433 . Of course, for this purpose, the manual knob 433 may be provided on the frame 70 instead of the gear bracket 4351 , and the gear bracket 4351 is provided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frame 70 .

기어 브라켓(4351)은 구동원(431)에 연결된 구동기어(432)가 수동 노브(433)와 맞물린 상태를 기본 위치로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도 12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움직일 경우 수동 노브(433)와 이격되면서 수동 노브(433)의 회전력이 벨트(434)를 거쳐 둘레부(42)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The gear bracket 4351 may have a basic position in which the driving gear 432 connected to the driving source 431 is engaged with the manual knob 433, and when the user moves to the left based on FIG. 12, the manual knob 433 ) and spaced apar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anual knob 433 may be transmitted to the periphery 42 via the belt 434 .

기어 브라켓(4351)에 마련된 구동기어(432)가 수동 노브(433)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기어 브라켓(4351)에는 제한되지 않는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도 12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기어 브라켓(4351)에 작용할 수 있다.In order to keep the driving gear 432 provided in the gear bracket 4351 engaged with the manual knob 433, the gear bracket 4351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not shown), which is not limited, as shown in FIG. 12 . The force to move to the right may act on the gear bracket 4351.

레버(4352)는, 기어 브라켓(4351)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레버(4352)의 회전은 동전이 자유낙하하는 방향을 수직축으로 하는 회전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레버(4352)는 기어 브라켓(4351)의 수평 이동을 제한 또는 허용하도록 마련된다.The lever 4352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gear bracket 4351 . The rotation of the lever 4352 may be a rotation direction in which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in freely falls is a vertical axis. This lever 4352 is provided to limit or allow horizontal movement of the gear bracket 4351 .

일례로 레버(4352)는 도 13 등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걸쇠(435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걸쇠(4353)는 일시 저장부(40)를 수용하는 프레임(70)에 걸리도록 마련되며, 레버(4352)의 걸쇠(4353)가 걸리면 기어 브라켓(4351)은 구동기어(432)가 수동 노브(43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lever 4352 may include a clasp 4353 as shown in FIG. 13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clasp 4353 is provided to be caught on the frame 70 accommodating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and when the clasp 4353 of the lever 4352 is caught, the gear bracket 4351 is the driving gear 432 and the manual knob. A movement in a direction away from (433) may not be made.

레버(4352)는 기어 브라켓(4351)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본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외력이 없는 경우 레버(4352)는 걸쇠(4353)가 프레임(7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여, 기어 브라켓(4351)을 도 12 기준 좌측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The lever 4352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not shown) such as a spring to maintain a basic position limiting movement of the gear bracket 4351 . That is,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the lever 4352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latch 4353 is caught on the frame 70, and thus the gear bracket 4351 may be in a state in which it cannot move to the left in FIG. 12 .

또한 레버(4352)는, 기어 브라켓(4351)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이면서, 기어 브라켓(4351)의 수평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즉 도 14 등에 나타난 것과 같이 레버(4352)의 일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손잡이(4354)가 구비되어, 이하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걸쇠(4353)가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4354)를 도 12 기준 좌측으로 밀어서 기어 브라켓(4351)이 좌측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ver 4352 may be configured to limi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gear bracket 4351 and to implemen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gear bracket 4351 . That is, as shown in FIG. 14 and the like, a handle 4354 protruding forwar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ver 4352, and in a state in which the latch 4353 is released by a method to be described below, the user can remove the handle 4354 in FIG. 12 . By pushing to the left of the reference, the gear bracket 4351 can be horizontally moved to the left.

이러한 레버(4352)는, 탄성력에 의해 걸쇠(4353)가 프레임(7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며,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 걸쇠(4353)가 도 14에서와 같이 프레임(70)에서 벗어나면서, 프레임(70) 기준 기어 브라켓(4351)의 수평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4354)를 이용하여 기어 브라켓(4351)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70) 내측에 위치한 기어 브라켓(4351)에 직접 접촉할 필요가 없다.The lever 4352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clasp 4353 is caught on the frame 70 by an elastic force, and when the clasp 4353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the clasp 4353 deviates from the frame 70 as shown in FIG. 14 , the frame (70) may be in a state that allows horizontal movement of the reference gear bracket (4351). At this time, since the user can implement the movement of the gear bracket 4351 using the handle 4354 , there is no need to directly contact the gear bracket 4351 located inside the frame 70 .

레버(4352)가 외력에 의하여 회전한 상태에서, 기어 브라켓(4351)이 도 12 기준 좌측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면, 기어 브라켓(4351) 상에 마련된 구동기어(432)는 수동 노브(433)와 연결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수동 노브(433)는 구동원(431)과 연결되지 않게 되므로, 구동원(431)이 수동 노브(433)의 회전을 저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동 노브(433)를 돌려서 벨트(434)를 통해 둘레부(42)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lever 4352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gear bracket 4351 moves horizontally to the left in FIG. 12 , the driving gear 432 provided on the gear bracket 4351 is connected to the manual knob 433 . can be released At this time, since the manual knob 433 is not connected to the driving source 431 , the driving source 431 does not block the rotation of the manual knob 433 . Accordingly, the user may turn the manual knob 433 to move the peripheral portion 4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belt 434 .

이하에서는 수동 노브(433)가 프레임(70)에 대한 수납부(50)의 상태에 따라 작동이 허용/제한되는 것을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operation of the manual knob 433 is permitted/restric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eceiving part 50 with respect to the frame 70 .

조작 전환부(435)는 락킹 링크(4355)를 포함할 수 있는데, 락킹 링크(4355)는 레버(4352)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버(4352)가 동전의 낙하 방향을 수직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걸쇠(4353)가 전방으로 움직여 프레임(70)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기어 브라켓(4351)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수동 노브(433)의 조작이 허용되는 위치로 변화할 수 있다.The operation switching unit 435 may include a locking link 4355 , the locking link 4355 may be provid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lever 4352 .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ver 4352 rotates with the falling direction of the coin as the vertical axis and the clasp 4353 moves forward to move away from the frame 70, the gear bracket 4351 can move, so the manual knob 433 can be changed to a position where manipulation of

그러나 본 실시예는 락킹 링크(4355)를 구비하여, 프레임(70)에서 수납부(50)가 인출된 상태에서 레버(4352)의 위와 같은 회전 자체를 차단함으로써, 걸쇠(4353)가 프레임(70)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However,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locking link 4355, by blocking the rotation itself as above of the lever 4352 in the state that the receiving part 50 is withdrawn from the frame 70, the latch 4353 is the frame 70 )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구체적으로 락킹 링크(4355)는, 일부분인 걸림편(4356)이 레버(4352)의 후방에 위치하여 레버(4352)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다만 락킹 링크(4355)가 상승할 경우 락킹 링크(4355)의 걸림편(4356)은 레버(4352) 대비 상방으로 어긋나면서 레버(4352)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cking link 4355 may be provid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locking piece 4356 is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lever 4352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lever 4352, but only when the locking link 4355 rises. The locking piece 4356 of the locking link 4355 may allow rotation of the lever 4352 while shifting upward relative to the lever 4352 .

이러한 락킹 링크(4355)는 복수 개의 수납부(50)를 수용하는 수납함(50a)이 프레임(70)에 수용될 때 수납함(50a)에 의해 밀려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즉 락킹 링크(4355)는 프레임(70)에 결합된 수납함(50a)과 맞닿아 수납함(50a)에 의해 상승 위치로 이동하게 되므로, 수납부(50)가 프레임(70) 내에 안착된 정상 상태에서 락킹 링크(4355)는 항상 상측 위치에 놓인다. 이를 위해 수납함(50a)에는 락킹 링크(4355)를 밀어 올리기 위한 락킹 해제편(51) 등이 마련될 수 있다.The locking link 4355 is pushed by the holder 50a when the holder 50a for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50 is accommodated in the frame 70 and rises upward. That is, since the locking link 435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lder 50a coupled to the frame 70 and moves to the elevated position by the holder 50a, in the normal state that the storage unit 50 is seated in the frame 70 . The locking link 4355 is always in the upper position. To this end, the locking release piece 51 for pushing up the locking link 4355 may be provided in the storage box 50a.

이와 같이 수납부(50)가 프레임(70) 내에 위치할 때 락킹 링크(4355)는 상측 위치에 놓이면서 락킹 링크(4355)의 걸림편(4356)이 레버(4352)와 어긋나게 되므로, 레버(4352)의 회전은 수납부(50)가 인출되지 않는 한 허용되는 상태를 유지한다.As such, when the accommodating part 50 is positioned in the frame 70, the locking link 4355 is placed in the upper position while the locking piece 4356 of the locking link 4355 is displaced from the lever 4352, so the lever 4352 The rota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50 is maintained as long as it is not withdrawn.

반면 수납함(50a)이 프레임(70)으로부터 인출된 경우, 락킹 링크(4355)는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게 되며, 락킹 링크(4355)의 걸림편(4356)은 레버(4352)와 전후 방향으로 겹치게 배치되면서 레버(4352)의 회전을 저지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orage box 50a is withdrawn from the frame 70, the locking link 4355 is lowered by the elastic force of an elastic member (not shown), and the locking piece 4356 of the locking link 4355 is a lever ( 4352) and the rotation of the lever 4352 is prevented while being overlapp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따라서 수납부(50)가 프레임(70)에서 인출된 비정상 상태에서, 레버(4352)는 락킹 링크(4355)로 인해 회전이 저지되므로 기어 브라켓(4351) 역시 수평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수동 노브(433)는 구동기어(432)를 통해 구동원(431)과 연결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력을 받더라도 구동원(431)에 의해 간섭되어 둘레부(42)의 강제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Accordingly, in an abnormal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part 50 is drawn out from the frame 70 , the lever 4352 is prevented from rotating due to the locking link 4355 , so that the gear bracket 4351 is also limited in horizontal movement. Therefore, since the manual knob 433 maintains a state connected to the driving source 431 through the driving gear 432, even if it receives an external force, it is interfered by the driving source 431 to prevent the forced movement of the peripheral portion 42. have.

참고로 위에서는 수납함(50a)이 프레임(70)에서 인출되는 경우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프레임(70)에서 일시 저장부(40)가 인출됨에 따라 수납함(50a)이 일시 저장부(40) 대비 상대적으로 위치 이동하는 경우에도, 수납함(50a)의 락킹 해제편(51)이 락킹 링크(4355)를 밀어올리지 못하게 되므로, 둘레부(42)의 강제 이동이 저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referenc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storage box 50a is withdrawn from the frame 70 has been described, but as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is withdrawn from the frame 70 , the storage box 50a is relative to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 Even when the position is moved to, since the unlocking piece 51 of the storage box 50a does not push up the locking link 4355, the forced movement of the perimeter 42 can be prevented, of course.

이러한 일련의 작동에 대해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This series of operations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7 .

도 13의 경우 수납함(50a)과 일시 저장부(40) 간의 배치가 정상 상태(수납함(50a) 및 일시 저장부(40)가 프레임(70) 내에 모두 안착)에 놓여 있으며, 수납함(50a)의 락킹 해제편(51)이 락킹 링크(4355)를 밀어 올린 상태가 되어, 레버(4352)의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In the case of FIG. 13, the arrangement between the storage box 50a and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is in a normal state (the storage box 50a and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are both seated in the frame 70), the storage box 50a The unlocking piece 51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link 4355 is pushed up, and the lever 4352 may be rotated.

이때 사용자는 도 14에서와 같이 레버(4352)에서 손잡이(4354) 부분을 눌러서 레버(4352)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레버(4352)의 걸쇠(4353)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프레임(70)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At this time, the user rotates the lever 4352 by pressing a portion of the handle 4354 on the lever 4352 as shown in FIG. 14 . In this case, the latch 4353 of the lever 4352 is moved forward and away from the frame 70 .

이후 사용자는 도 1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레버(4352)의 손잡이(4354)를 이용하여, 기어 브라켓(4351)을 좌측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구동기어(432) 등은 수동 노브(433)와 연결이 해제되므로, 수동 노브(433)는 구동원(431)의 간섭을 극복하고 둘레부(42)의 조작을 구현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pushes the gear bracket 4351 to the left by using the handle 4354 of the lever 4352 as shown in FIG. 15 . Therefore, since the driving gear 432 and the like are disconnected from the manual knob 433 , the manual knob 433 can overcome the interference of the driving source 431 and implement the manipula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42 .

그런데 도 16, 17에서와 같이 일시 저장부(40)가 수납함(50a) 대비 전방으로 인출되어 있으면, 수납함(50a)의 락킹 해제편(51)이 락킹 링크(4355)를 밀어 올리지 못하게 되어, 락킹 링크(4355)는 탄성 하강해 걸림편(4356)이 레버(4352)의 회전을 저지하게 된다.However, as in FIGS. 16 and 17 , when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is withdrawn forward compared to the storage box 50a, the unlocking piece 51 of the storage box 50a cannot push up the locking link 4355, so that the locking The link 4355 is elastically descended so that the locking piece 4356 blocks the rotation of the lever 4352 .

따라서 이 경우 레버(4352)의 걸쇠(4353)가 프레임(7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기어 브라켓(4351)은 수평 이동이 불가하므로, 수동 노브(433)는 구동기어(432)와 맞물린 상태를 벗어나지 못한다. 따라서 이 경우 수동 노브(433)는, 구동기어(432)를 통해 구동원(431)과 연결됨에 따라, 외력을 가하더라도 둘레부(42)의 조작이 어려울 수 있다.Therefore, in this case, the latch 4353 of the lever 4352 is held in the frame 70, and the gear bracket 4351 cannot move horizontally, so the manual knob 433 is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432. can't get out of the state Therefore, in this case, as the manual knob 433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ource 431 through the driving gear 432 , it may be difficult to operate the peripheral portion 42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이와 같이 일시 저장부(40)의 조작 전환부(435)는, 수동 노브(433)에 의한 둘레부(42)의 이동을 허용/제한함으로써, 동전이 적절하게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As such, the operation switching unit 435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permits/limits the movement of the peripheral portion 42 by the manual knob 433, so that the coins are properly processed.

수납부(50)는, 동전을 수납한다. 수납부(50)는 본 발명이 처리하는 동전의 종류에 맞게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각 수납부(50)에는 일시 저장부(40)(하판(41) 및 둘레부(42))와 분류로(31)가 대응될 수 있으며, 특정 수납부(50)에 전달되어야 하는 동전은 어느 하나의 분류로(31) 및 어느 하나의 일시 저장부(40)를 거쳐 수납부(50)에 저장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50 accommodates a coin. The accommodating part 5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coin to be proces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 temporary storage unit 40 (lower plate 41 and periphery 42) and a dividing path 31 may correspond to each receiving unit 50, and which coins are to be delivered to a specific receiving unit 50? It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 through one classification path 31 and any one temporary storage unit 40 .

수납부(50)는 상방이 개방되어, 동전이 자유롭게 낙하에 의하여 투입되도록 할 수 있고, 수납부(50)의 내부는 동전의 낙하 시 충격/소음을 완화하게 위해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50 is open from above, so that coins can be freely put in by falling, and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50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to alleviate shock/noise when the coins fall.

수납부(50)의 개방된 상방은 입구로서, 일시 저장부(40)의 하판(41)과 어긋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수납부(50)의 입구는 하판(41)의 일측에 마련되며, 둘레부(42)가 하판(41)에 지지된 동전을 일방향으로 밀어내 수납부(50)의 입구로 떨어지게 할 수 있다.The open upper side of the receiving unit 50 is an inlet, and may be provided to deviate from the lower plate 41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 For example, the entrance of the receiving unit 5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41, and the peripheral portion 42 pushes the coin supported on the lower plate 41 in one direction to fall into the entrance of the receiving unit 50. have.

다만 하판(41)에서 밀려나는 동전이 수납부(50)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납부(50)의 입구와 하판(41)은 중첩되도록 마련되어, 동전이 빠져나가는 틈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coins pushed from the lower plate 41 from leaving the accommodating part 50, the entrance of the accommodating part 50 and the lower plate 41 are provided to overlap, so that a gap may not be formed through which the coins exit.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납부(50)의 입구는 하판(41)과 대등한 높이로 마련됨에 따라, 하판(41)에서 수납부(50)로 떨어지는 동전이 낙하 도중 경로가 의도치않게 변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lso, as described above, as the entrance of the receiving unit 50 is provided at a height equal to the lower plate 41, the path of coins falling from the lower plate 41 to the receiving unit 50 is unintentionally changed during the fall. can be restrained

다만 유지 보수를 위하여, 프레임(70) 기준으로 일시 저장부(40)나 수납부(50)가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도록 하기 위해, 수납부(50)의 상단과 하판(41)의 하단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구비된다.However, for maintenance,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unit 50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plate 41 are arranged so that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or the receiving unit 50 can be withdrawn based on the frame 70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수납부(50)에 수납된 동전들은, 감별부(20) 및 분류부(30)를 거쳐 분류가 완료된 것으로서, 각 수납부(50)마다 1종의 동전들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관리자는 프레임(70)으로부터 수납함(50a)을 인출하고 수납부(50)에 저장된 동전들을 꺼내 처리할 수 있으며, 수납부(50)는 수납함(50a)에서 각각 별도로 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oin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50 are classified through the discrimination unit 20 and the classification unit 30 , and one type of coins may be accommodated in each accommodating unit 50 . At this time, the manager may take out the storage box 50a from the frame 70 and take out the coins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 to process them, and the storage unit 50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y detached from the storage box 50a, respectively.

수납부(50)는 수납된 동전을 적절한 개수로 인출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수납부(50)는 하측으로 출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자 등에 의해 출금 신호가 제어부 등으로 입력되면, 각 수납부(50)는 사용자가 원하는 수량의 동전을 하측의 출구로 인출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unit 50 may have a structure for withdrawing the stored coins in an appropriate number. That is, the receiving unit 50 may have an outlet at the lower side, and when a withdrawal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by a user or the like, each receiving unit 50 may withdraw coins in the amount desired by the user through the lower outlet. .

이를 위해 수납부(50)에는 출금모듈(52)이 마련될 수 있다. 출금모듈(52)은 수납부(50) 내부에 저장된 동전을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후술하는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로 전달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 withdrawal module 52 may be provided in the receiving unit 50 . The withdrawal module 52 may transfer the coins stored in the receiving unit 50 to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signal.

이때 수납부(50)에서 출금모듈(52) 상부에 마련되어 동전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은 카세트(부호 도시하지 않음)로 지칭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rtion of the receiving unit 50 that is provided on the withdrawal module 52 and forms a space in which coins are stored may be referred to as a cassette (not shown).

수납부(50)에서 출금모듈(52)을 통해 방출되는 동전은 수납부(50) 하측에 구비된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를 통하여 출금 처리될 수 있으며, 수납부(50)에서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를 향한 출금모듈(52)의 동전 방출은, 기존에 널리 알려져 있는 동전 출금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Coins discharged from the receiving unit 50 through the withdrawal module 52 may be withdrawn through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unit 50 , and the user receiving the coins from the receiving unit 50 . The coin discharge of the withdrawal module 52 toward the temporary storage unit 60 may use a coin withdrawal method widely known in the art.

다만 수납부(50)에는 동전이 정렬되지 않고 자유낙하에 의해 수납될 수 있으므로, 수납부(50)는 출금을 위해 출구 위치에서 동전을 정렬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However, since coins are not arranged in the receiving unit 50 and can be accommodated by free fall, the receiving unit 50 may use a structure in which coins are arranged at the exit position for withdrawal.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는, 입금 취소 또는 출금한 동전을 일시 보관한다.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는 수납부(50)의 하측에 마련되며, 일시 저장부(40) 또는 수납부(50)로부터 동전을 전달받을 수 있다.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는 각 수납부(50)와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되면서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함(61)을 구비할 수 있다. The user receipt temporary storage unit 60 temporarily stores the coins that have been canceled or withdrawn.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is provided under the receiving unit 50 , and may receive coins from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or the receiving unit 50 .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boxes 61 to correspond to each receiving unit 50 .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의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함(61)은 수납부(50)와 유사하게 상방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어, 일시 저장부(40) 또는 수납부(50)로부터 동전이 자유 낙하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box 61 of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is provided with an open top similar to the receiving unit 50 , so that coins are free from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or the receiving unit 50 . It can be delivered by drop.

이때 수납부(50)와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는, 상방의 입구가 서로 어긋나게 마련되어 일시 저장부(40)를 향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수납부(50)와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는 개방된 상방이 일시 저장부(40)의 하판(41)의 일측 또는 타측에 마련되어 하판(41)과 어긋나게 배치되고, 둘레부(42)의 일방/타방 이동에 의해 하판(41)에 지지되어 있던 동전은 수납부(50) 또는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로 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ceiving unit 50 and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may have upper entrances shifted from each other and open toward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unit 50 and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have an open upper side provid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41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and are disposed to be displaced from the lower plate 41, and the periphery Coins supported on the lower plate 41 by the one-way / other movement of 42 may fall into the receiving unit 50 or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

다만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는 수납부(50)의 하방에 위치하므로, 동전이 하판(41)에서 밀려서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까지 떨어지는 동안 동전의 경로가 뒤바뀌지 않도록,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의 입구와 하판(41)의 타측 사이에서 동전의 경로를 구분하는 입금취소덕트(62)가 구비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때 입금취소덕트(62)는 적어도 수납부(5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며, 수납부(50)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is located below the receiving unit 50, the user receives the coin so that the path is not reversed while the coin is pushed from the lower plate 41 and falls to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As described above, a deposit cancellation duct 62 that separates the path of coins between the entranc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60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41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deposit cancellation duct 62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at least the height of the accommodating part 50 , and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50 .

따라서 일시 저장부(40)의 둘레부(42)는, 하판(41)에 지지된 동전을 일 방향으로 밀어내 수납부(50)로 떨어뜨리거나, 하판(41)에 지지된 동전을 타 방향으로 밀어내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로 떨어뜨릴 수 있다.Therefore, the peripheral portion 42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pushes the coins supported on the lower plate 41 in one direction to drop them into the receiving unit 50, or the coins supported on the lower plate 41 in the other direction. It can be pushed down to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

후자의 경우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를 프레임(70)으로부터 인출하여 동전을 취할 수 있다.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의 경우에는 별다른 잠금장치 없이 프레임(70)에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다만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가 인출된 상태에서 수납부(50)의 출구를 통한 수납부(50) 내부로의 접근은 제한되는 구조(지그재그 경로구조나 능동적 개폐 구조 등)가 적용될 수 있다.In the latter case, the user or the administrator may withdraw the user receipt temporary storage unit 60 from the frame 70 to take coins. In the case of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it may be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frame 70 without a special locking device. A structure (such as a zigzag path structure or an active opening/closing structure) in which access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unit 50 is restricted may be applied.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의 입구는, 하판(41)에 지지되었다가 둘레부(42)에 의해 밀려 떨어지는 동전을 받아내기 위하여 하판(41)의 타측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수납부(50)의 하측 출구와도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inlet of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41 in order to receive coins that are supported by the lower plate 41 and then pushed down by the perimeter 42 , It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exit of the payment (50).

이를 위해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의 입구는 하판(41)의 타측 개구(412) 및 수납부(50)의 하측 출구와 모두 연통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일부분이 수납부(50)의 입구와 어긋나면서 일시 저장부(40)를 향해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To this end, the inlet of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may have a size that communicates with both the other opening 412 of the lower plate 41 and the lower outlet of the receiving unit 50 , and a portion of the receiving unit 50 is It may be opened toward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while shifting from the entrance.

물론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의 입구는 하판(41)의 타측 개구(412)나 수납부(50)의 하측 출구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크기를 갖고,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가 프레임(70) 기준으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일시 저장부(40)를 통한 동전의 전달 및 수납부(50)를 통한 동전의 출금 시,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함(61)이 서로 다른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the entrance of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has a size that communicates with either the other opening 412 of the lower plate 41 or the lower exit of the receiving unit 50, and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is By being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ame 70, when transferring coins through the temporary storage unit 40 and withdrawing coins through the receiving unit 50,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box 61 is located at different positions It is also possible to place it in

또는 수납부(50)의 출구와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의 입구는 서로 어긋나게 마련되되, 수납부(50)와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60)의 입구 사이에서 프레임(70)이 동전을 가이드하도록 경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exit of the receiving unit 50 and the entrance of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are provid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and the frame 70 holds coins between the receiving unit 50 and the entrance of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60 . A path may be formed to guide.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동전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분류 및 수납하면서, 출금까지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동전 처리가 가능해, 수작업으로 동전을 분류하던 기존의 번거로움을 혁신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enables quick and accurate coin processing to be implemented while sorting and storing coins easily and conveniently, and can innovatively solve the existing hassle of manually classifying coins.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 외에도,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예와 공지기술의 조합에 의해 발생하는 실시예들을 모두 포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all embodiments generated by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or more of the above embodiments,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of the above embodiments and known techniques,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hat the transform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 동전 처리 장치 10: 투입부
11: 그루브 12: 밀판
121: 이동 브라켓 13: 동력 전달부
131: 구동원 132: 구동기어
133: 고무롤러 134: 벨트
14: 브라켓 가이드부 141: 위치 검지센서
20: 감별부 21: 감별센서
30: 분류부 31: 분류로
32: 반환부 40: 일시 저장부
41: 하판 411: 일측 개구
412: 타측 개구 42: 둘레부
43: 동력 전달부 431: 구동원
432: 구동기어 433: 수동 노브
434: 벨트 435: 조작 전환부
4351: 기어 브라켓 4352: 레버
4353: 걸쇠 4354: 손잡이
4355: 락킹 링크 4356: 걸림편
50: 수납부 50a: 수납함
51: 락킹 해제편 52: 출금모듈
60: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 61: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함
62: 입금취소덕트 70: 프레임
1: coin handling unit 10: input section
11: Groove 12: Mill plate
121: moving bracket 13: power transmission unit
131: drive source 132: drive gear
133: rubber roller 134: belt
14: bracket guide part 141: position detection sensor
20: discrimination unit 21: discrimination sensor
30: classification unit 31: classification furnace
32: return unit 40: temporary storage unit
41: lower plate 411: one side opening
412: other opening 42: peripheral portion
43: power transmission unit 431: drive source
432: drive gear 433: manual knob
434: belt 435: operation switching unit
4351: gear bracket 4352: lever
4353: clasp 4354: handle
4355: locking link 4356: jamming side
50: storage unit 50a: storage box
51: unlocking part 52: withdrawal module
60: user received temporary storage unit 61: user received temporary storage
62: deposit cancellation duct 70: frame

Claims (8)

동전이 투입되는 투입부;
투입된 동전을 감별하는 감별부;
동전을 수납하는 복수 개의 수납부;
상기 감별부에서 감별된 동전이 상기 복수 개의 수납부를 향해 서로 다른 경로로 전달되도록 분류하는 분류부; 및
상기 분류부와 상기 수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부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되는 일시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시 저장부는,
상기 분류부의 하단 대비 상대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분류부로부터 전달되는 동전이 지지되는 하판; 및
상기 하판 상에 마련되며 왕복 이동하여 상기 하판에 지지된 동전을 밀어내 상기 수납부로 떨어뜨리는 둘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처리 장치.
an input unit into which coins are inserted;
a discrimination unit for discriminating the input coins;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units for accommodating coins;
a classification unit for classifying the coins identified by the discrimination unit to be delivered in different paths toward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and
and a temporary storage unit provided between the classification unit and the accommodating unit and provided in plurality to correspond to the accommodating unit,
The temporary storage unit,
a lower plate having a fixed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end of the classifying unit and on which coins transferred from the classifying unit are supported; and
and a peripheral part provided on the lower plate and reciprocating to push the coins supported on the lower plate and drop them into the receiv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일시 저장부 또는 상기 수납부로부터 출금된 동전을 전달받는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를 더 포함하는 동전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in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temporary storage unit or a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provided under the storage unit to receive coins withdrawn from the storage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및 상기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는,
상방이 서로 어긋나게 마련되며 상기 일시 저장부를 향해 개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ceiving unit and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Coin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ide is provid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and is opened toward the temporary storage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및 상기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는, 상방이 상기 일시 저장부의 상기 하판의 일측 또는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하판과 어긋나게 배치되며,
상기 일시 저장부의 상기 둘레부는, 상기 하판에 지지된 동전을 일 방향으로 밀어내 상기 수납부로 떨어뜨리거나, 상기 하판에 지지된 동전을 타 방향으로 밀어내 상기 사용자 수취 일시 보관부로 떨어뜨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처리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receiving unit and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the upper side is provid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is disposed to be displaced from the lower plate,
The perimeter portion of the temporary storage unit, push the coin supported on the lower plate in one direction to drop it into the receiving unit, or push the coin supported on the lower plate in the other direction to drop it into the user receiving temporary storage unit. coin process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저장부는,
상기 둘레부에 제공할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원을 갖고,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둘레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having a driving source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be provided to the peripheral portion and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source to the peripheral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며 기어이를 갖는 구동기어;
외력을 상기 둘레부에 전달하기 위해 마련되는 수동 노브;
상기 둘레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 또는 상기 수동 노브와 맞물리는 랙;
상기 구동기어를 상기 수동 노브와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을 해제하여 상기 수동 노브에 의한 상기 둘레부의 이동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조작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 driving gear connected to the driving source and having gear teeth;
a manual knob provided to transmit an external force to the periphery;
a rack connected to the periphery and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or the manual knob;
and an operation switching unit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driving gear with the manual knob to allow or limit movement of the peripheral portion by the manual knob.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전환부는,
상기 구동기어가 안착되는 기어 브라켓; 및
상기 기어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일시 저장부를 수용하는 프레임에 걸쇠로 걸림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쇠가 걸린 상태를 유지하며,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걸쇠가 상기 프레임에서 벗어나 상기 프레임 기준 상기 기어 브라켓의 수평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가 되고,
상기 레버가 외력에 의해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기어 브라켓이 수평 이동하면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수동 노브와 연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operation switching unit,
a gear bracket on which the driving gear is seated; and
and a lever tha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gear bracket and is latched onto the frame accommodating the temporary storage unit,
The lever maintains the latched state by an elastic force, and when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the latch moves out of the frame and becomes a state allow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gear bracket based on the frame,
When the gear bracket moves horizontally while the lever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the driving gear is disconnected from the manual knob.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전환부는,
복수 개의 상기 수납부를 수용하는 수납함이 상기 프레임에 수용될 때 상기 수납함에 의해 상방으로 상승하는 락킹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 링크는,
상기 수납함이 상기 일시 저장부 대비 위치 이동하면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레버와 간섭됨에 따라 상기 레버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peration switch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link that rises upward by the receiving box when the receiving box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is accommodated in the frame,
The locking link is
When the storage box moves relative to the temporary storage unit, it descends by an elastic force and interferes with the lever, so that the lever is restricted from being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KR1020200050196A 2020-04-24 2020-04-24 Coin precessing appratus KR1023221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196A KR102322146B1 (en) 2020-04-24 2020-04-24 Coin precessing app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196A KR102322146B1 (en) 2020-04-24 2020-04-24 Coin precessing app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731A true KR20210131731A (en) 2021-11-03
KR102322146B1 KR102322146B1 (en) 2021-11-05

Family

ID=7850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196A KR102322146B1 (en) 2020-04-24 2020-04-24 Coin precessing app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14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755B1 (en) * 2003-09-04 2006-07-03 주식회사 네오테크 Apparatus for receipting coins
KR101011545B1 (en) * 2008-10-27 2011-01-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pparatus for depositing and dispensing a coin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including the apparatus
JP2014021951A (en) * 2012-07-24 2014-02-03 Oki Electric Ind Co Ltd Coin processor
JP2017151779A (en) * 2016-02-25 2017-08-3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Cash process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755B1 (en) * 2003-09-04 2006-07-03 주식회사 네오테크 Apparatus for receipting coins
KR101011545B1 (en) * 2008-10-27 2011-01-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pparatus for depositing and dispensing a coin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including the apparatus
JP2014021951A (en) * 2012-07-24 2014-02-03 Oki Electric Ind Co Ltd Coin processor
JP2017151779A (en) * 2016-02-25 2017-08-3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Cash proc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146B1 (en)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27125B (en) Coin access device
EP0348140A2 (en) Device for validating and accumulating bills and coins
KR102322146B1 (en) Coin precessing appratus
KR102324246B1 (en) Coin precessing appratus
JP3630556B2 (en) Coin processing equipment
JP6003196B2 (en) Coin processing equipment
JPS6359199B2 (en)
JP4311309B2 (en) Money processing apparatus,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nd coin processing apparatus
JP6757023B2 (en) Coin deposit / withdrawal device
JP3664948B2 (en) Coin handling machine
JP2001093019A (en) Circulation type currency processor
JP3258574B2 (en)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JP3288230B2 (en) Coin processing machine
JP3258573B2 (en)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JP3320989B2 (en)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JP6647805B2 (en) Valuable medium processing device, valuable medium processing system and valuable medium processing method
JP3333073B2 (en) Deposit coin holding device of coin depositing machine
JP3877938B2 (en) Coin handling machine
JP3288952B2 (en) Coin processing machine
JP3655141B2 (en) Coin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KR100377030B1 (en) Device for receiving and disbursing paper money
JPH07320115A (en) Paper money processor
JPH10310333A (en) Bill dispenser
JPH0512533A (en) Paper money processor
JPH10307940A (en) Coin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