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085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085A
KR20210131085A KR1020200049454A KR20200049454A KR20210131085A KR 20210131085 A KR20210131085 A KR 20210131085A KR 1020200049454 A KR1020200049454 A KR 1020200049454A KR 20200049454 A KR20200049454 A KR 20200049454A KR 20210131085 A KR20210131085 A KR 20210131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ight
space
flow path
photo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7452B1 (ko
Inventor
심창수
양욱
Original Assignee
심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창수 filed Critical 심창수
Priority to KR1020200049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452B1/ko
Publication of KR20210131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광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광 토출구의 외측에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출구가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이동한 후 배출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광 토출구를 통해서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화 유닛은, 상기 공기 유로로 외부 공기를 강제 흡입시키는 팬 어셈블리;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며,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재의 광 조사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유브이 부재; 및 상기 공기 유로 상에 상기 유브이 부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표면에 광촉매 물질이 도포된 광촉매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장치는 광원을 구비하여 광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조명장치의 광원으로는 백열등, 형광등, 발광 다이오드(LED)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사람의 생활을 위한 필수적인 장치로서, 실내 및 실외, 각종 가전기기, 자동차 등 사람과 밀접한 공간 및 장치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조명장치는 단순 조명 목적에서 벗어나 인테리어 등의 목적으로 그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최근 조명장치는 기술발전 및 고객의 니즈에 맞춰 첨단화, 다기능화되고 있다. 일례로, 사물인터넷 기술 발전에 따라 조명장치에 각종 센서, 통신 모듈이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심해지는 대기오염 문제로 인해서 공기 정화기가 현시대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사람의 생활 공간과 밀접한 조명장치에 공기 정화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관련하여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125833호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유입된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 모듈과, 광촉매 필터를 구비하여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정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외부로 광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 모듈의 광의 일부를 광촉매 필터에 접촉시켜 촉매 반응에 의한 공기 정화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선행문헌의 조명 장치의 구조에 의하면 조명 모듈에서 생성되는 광이 외부로 조사됨에 따라, 인체에 유해하지만 살균력이 높은 단파장의 자외선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효과적인 살균 성능을 가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문헌의 조명 장치의 구조에 의하면 광촉매 필터가 조명 모듈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고르게 조사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광촉매 반응에 의한 공기 정화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125833호
본 발명은, 공기 정화 성능이 보다 향상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 정화를 위한 자외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광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광 토출구의 외측에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출구가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이동한 후 배출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광 토출구를 통해서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화 유닛은, 상기 공기 유로로 외부 공기를 강제 흡입시키는 팬 어셈블리;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며,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재의 광 조사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유브이 부재; 및 상기 공기 유로 상에 상기 유브이 부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표면에 광촉매 물질이 도포된 광촉매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브이 부재는 UV-C 파장의 자외선을 출력하는 광원을 구비하여, UV-C 파장의 자와선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부재와 유브이 부재는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길게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며, 흡입된 공기는 상기 광촉매 부재와 유브이 부재의 사이 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유브이 부재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광촉매 부재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광촉매 부재와 유브이 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광촉매 부재와 유브이 부재의 사이 공간을 대향하는 양측에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조명장치 구성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유브이 부재의 광이 상기 광 토출구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유브이 부재에 살균력이 높은 단파장의 자외선을 적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높은 살균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브이 부재와 발광부재가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외부 조명 기능과 살균 기능을 독립적으로 운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높은 살균 성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인체에 무해한 조명으로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상기 광촉매 부재는 표면에 광촉매 물질이 도포되고, 상기 광촉매 물질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자외선에 거의 반응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는 TiO2로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 광촉매 부재는 긴 수명을 가질 수 있으며, 안정적인 광촉매 반응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유브이 부재는 살균력이 우수하고 에너지가 높은 UV-C 파장의 자외선을 출력하는 광원을 구비하여 UV-C 파장의 자외선을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유브이 부재는 UV-C 자외선을 통해서 보다 효과적인 살균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촉매 부재의 광촉매 반응을 효과적으로 활성화시켜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살균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넷째, 상기 광촉매 부재와 유브이 부재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길게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어 사이 공간을 통해서 공기가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유브이 부재에서 출력되는 자외선이 상기 광촉매 부재에 고르게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생성된 라디칼 및 자외선이 효과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설균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유브이 부재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광촉매 부재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유브에 부재에서 출력되는 자외선이 상기 광촉매 부재를 향하여 보다 집중적으로 조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광촉매 반응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내부 구조가 도시된 조명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기준으로 절단된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 발광부재 및 정화 유닛이 동작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내부 구조가 도시된 조명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기준으로 절단된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1)는, 내부공간(11)이 형성되며 일면이 개구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개구면을 커버하는 투과부재(20),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며 상기 투과부재(20)를 통과해 외부로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광부재(30)는 LED 기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조명장치(1)는 상기 발광부재(30)로 공급되는 전원을 변환하는 컨버터(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장치(1)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장치(1)는 상기 정화 유닛(100)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장치(1)는 발광부재(30) 및 정화 유닛(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발광부재(3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1)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상기 발광부재(30)에서 발산되는 광이 외부로 발산 가능하도록 일측에 광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10)는 하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 토출구는 상기 본체(10)의 개구된 하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내부공간(11)의 둘레를 형성하며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케이스(15), 상기 케이스(15)의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16)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16)는 상기 케이스(15)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케이스(15)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는 공기의 정화를 위해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상기 내부공간(11)을 따라 이동한 후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내부공간(11)으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2),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12)와 공기 배출구(13)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0)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 후 이동하여 배출되는 상기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15)는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유입구(12)는 상기 케이스(15)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 중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13)는 상기 케이스(15)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 중 타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과부재(20)는 상기 케이스(15)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재(20)는 광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투명도를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폴리스틸렌, 폴리카보네이트, 아키를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재(20)는 도광판 또는 확산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부재(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소자가 구비된 LED 기판일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30)는 상기 LED 소자가 상기 투과부재(20)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본체(1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부재(30)는 내부공간(11)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LED소자가 구비된 하면이 상기 본체(10)의 하방 개구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버터(40)는 외부 전원 및 싱가 발광부재(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컨버터(4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컨버터(40)는 상기 내부공간(11)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유입구(12)와 공기 배출구(13)에는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망(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9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90)는 상기 발광부재(30), 정화 유닛(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 구성에 공급되는 전원을 on/off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의 출력을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90)는 외부의 입력신호에 의해서 상기 발광부재(30), 정화 유닛(1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컨트롤러(90)는 별도의 리모컨 또는 단말기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명령입력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30), 정화 유닛(100)을 on/off 시키거나, 발광부재(30)와 정화 유닛(100)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90)는 주위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30), 정화 유닛(1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컨트롤러(90)는 조도 센서, 공기오염 감지 센서 등의 센서를 구비하여, 주변의 밝기에 따라 발광부재(30)의 밝기를 제어하거나, 공기 오염 정도에 따라 정화 유닛(1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화 유닛(100)은, 외부의 공기가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1)을 통과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 흐름을 강제하는 팬 어셈블리(130), 상기 공기 유로상에 배치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150)는 상기 내부공간(11)에서 상기 공기 유입구(12)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그물망(70)에 접하거나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150)는 탈취, 미세먼지 분리 등의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다양한 종류의 필터로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150)는 활성탄 필터, 헤파 필터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필터(150)는 서로 다른 종류의 필터들이 결합된 다중필터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팬 어셈블리(130)는 외부 전원에 의해서 구동되도록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팬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130)는 상기 컨트롤러(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90)에 의해서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130)는 상기 내부공간(11)에 배치되어, 구동에 의해서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공기가 이동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강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팬 어셈블리(130)는 상기 공기 유입구(12)측에서 상기 공기 배출구(13)측으로 공기 이동을 강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팬 어셈블리(130)는 상기 공기 유입구(12)가 형성된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 어셈블리(130)는 상기 공기 배출구(13)가 형성된 상기 본체(10)의 타측면을 향하여 공기의 이동을 강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화 유닛(100)은, 자외선이 조사되면 광촉매 반응을 일으켜 살균 기능을 제공하는 광촉매 부재(110), 상기 광촉매 부재(110)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유브이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부재(110)와 유브이 부재(12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팬 어셈블리(130)와 상기 공기 배출구(13) 사이에서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브이 부재(120)는 자외선을 출력하는 유브이 광원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유브이 광원이 일면에 구비된 기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브이 부재(120)에 구비되는 유브이 광원은 UV-C 파장의 자외선을 출력하는 램프 또는 LED 소자일 수 있다. 즉, 상기 유브이 광원은 100~280 nm 파장의 자외선을 출력하는 램프 또는 LED 소자일 수 있다.
상기 유브이 부재(120)가 살균력이 매우 높은 UC-C 파장의 자외선을 출력하도록 제공됨에 따라,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가 효과적으로 살균될 수 있다.
상기 유브이 광원은 상기 유브이 부재(12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브이 부재(120)는 상기 내부공간(11)에서 상기 발광부재(3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브이 부재(120)는 외부로 자외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발광부재(30)와 다른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브이 부재(120)는 상방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유브이 부재(120)가 구비된 상면이 상기 커버(16)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브이 부재(120)는 상기 컨트롤러(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90)에 의해서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브이 부재(120)는 상기 컨버터(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컨버터(40)로부터 DC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정화 유닛(100)은 별도의 컨버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브이 부재(120)는 별도의 컨버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유브이 부재(120)와 상기 커버(16)의 사이에는 상기 광촉매 부재(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부재(110)와 유브이 부재(120)는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브이 부재(120)는 상기 커버(16)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광촉매 부재(110)는 상기 유브이 부재(120)는 상기 유브이 부재(12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부재(110)와 상기 유브이 부재(120)는 상하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광촉매 부재(110)와 상기 유브이 부재(120)의 사이 공간을 통해서 상기 공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부재(110)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부재(110)는 표면에 광촉매 물질이 도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광촉매 부재(110)는 판상의 베이스 부재에 광촉매 물질이 도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광촉매 물질이 도포된 구 형상의 고분자 또는 금속 베이스 부재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부재(110)에 적용되는 광촉매 물질은 TiO2, ZnO, CdS, ZrO2, SnO2, V2O3, WO3, SrTiO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TiO2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물질로 TiO2가 사용되는 경우,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자외선에 거의 반응하지 않는 TiO2의 특성에 따라, 상기 광촉매 부재(110)는 높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가지고 안정적인 광촉매 반응 성능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브이 부재(120)에서 상기 광촉매 부재(110)를 향하여 자외선이 조사되면, 상기 광촉매 부재(110)는 광촉매 반응을 일으킨다. 그리고, 광촉매 반응에 의해서 상기 광촉매 부재(110)와 상기 유브이 부재(120)의 사이 공간을 지나는 공기는 살균될 수 있다.
상세히, 광촉매 부재(110)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광촉매 부재(110)의 표면에 전자와 정공이 생기게 되고, 전자는 주위의 공기에 포함된 산소와 반응해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을 생성한다. 또한, 정공은 공기 속에 존재하고 있는 수분과반응하여 라디칼을 생성한다.
상기 라디칼은 강력한 유기물질들을 산화분해 할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나며, 살균, 소독작용, 표면활성화 작용, 난분해성 유기물질 산화분해, 탈취, 발암성 물질, NOx와 같은 공기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생성된 라디칼은 상기 유브이 부재(120)와 상기 광촉매 부재(110)의 사이 공간에 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유브이 부재(120)와 상기 광촉매 부재(110)의 사이 공간을 지나는 공기는 라디칼에 의해서 살균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브이 부재(120)에서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UV-C 파장의 자외선을 출력함에 따라, 광촉매 반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라디칼이 효과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브이 부재(120)와 광촉매 부재(110)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는 보다 효과적으로 살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상기 유브이 부재(12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광촉매 부재(110)를 향하여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상기 유브이 부재(120)와 광촉매 부재(110)의 사이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상방 및 양측방으로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상기 유브이 부재(12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상방 및 양측방으로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다수회 절곡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을 참고하여 볼 때,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상기 유브이 부재(120)의 좌우 길이에 대응하는 좌우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상기 유브이 부재(120)가 안착되는 안착부(210), 상기 안착부(210)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가이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10)는 상기 유브이 뷰재(120)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가이드부(220)는 상기 안착부(210)의 전단 및 후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유브이 부재(120)와 광촉매 부재(110)의 사이 공간을 전방 및 후방에서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광의 반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고 표면에 반사시트와 같은 필름이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알루미늄 등 광의 반사도가 높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광촉매 부재(120)는 보다 효율적인 라디칼 생성을 위해서 상기 유브이 부재(120)의 전후 폭 보다 더 큰 전후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부(220)는 상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쌍의 가이드부(220)는 상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한쌍의 가이드부(220)는 상기 광촉매 부재(120)에 자외선이 고르게 조사될 수 있도록 곡선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내부공간(11)은 공기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공간(11a), 제2 공간(11b), 제3 공간(11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볼 때, 상기 제1 공간(11a)은 상기 내부공간(11)의 좌측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11a)은 공기 유입 공간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상기 팬 어셈블리(130)는 상기 제1 공간(11a)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구(12)는 상기 제1 공간(11a)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3 공간(11c)은 상기 내부공간(11)의 우측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3 공간(11c)은 공기 배출 공간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90)는 상기 제3 공간(11c)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구(13)는 상기 제3 공간(11c)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11b)은 상기 내부공간(11)에서 상기 제1 공간(11a)과 제3 공간(11c)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공기가 살균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11b)은 살균 공간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상기 광촉매 부재(110)와 유브이 부재(120)는 상기 제2 공간(11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제1 공간(11a), 제2 공간(11b), 제3 공간(11c)에서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130)가 동작되면 상기 제1 공간(11a)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공기 유입구(12)를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 공간(11b)을 따라 이동하며 자외선 및 라디칼에 의해서 살균될 수 있다.
그리고, 살균된 공기는 제3 공간(11c)을 지나 상기 공기 배출구(13)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트롤러(90)는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공간(11b)에서 상기 유브이 부재(120)와 상기 발광부재(30)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공간(11)은 상기 제2 공간(11b)의 하방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11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격 공간(11d)은 상기 발광부재(30) 및 유브이 부재(120)에 발생하는 열의 방출을 위한 공간으로서 방열 공간으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11d)에 상기 컨버터(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격 공간(11d)으로 공기가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제1 공간(11a)과 제2 공간(11b)에 걸쳐 형성되는 에어 가이드(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17)는 상기 이격 공간(11d)과 상기 제1 공간(11a)을 구획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팬 어셈블리(130)에 구동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 공간(11b)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17)는 상기 가이드부재(2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가이드(17)는 상기 내부공간(11)의 전후 폭에 대응하는 전후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간(11a) 바닥에서부터 상기 가이드부재(20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17)는 공기와 접촉하는 면이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접촉 하는 공기에 의한 소음 발생을 방지하고 공기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버터(40)는 상기 제3 공간(11c)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브이 부재(120)와 발광부재(30)의 사이 공간은 상하로 더 확장될 수 있으며, 공기 살균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컨버터(40)가 상기 제3 공간(11c)에 배치되더라도 상기 유브이 부재(120)와 발광부재(30)의 사이에 방열을 위해 상기 이격 공간(11d)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효율적인 공기 살균을 위해서 상기 에어 가이드(17)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1)의 전체적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 발광부재 및 정화 유닛이 동작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컨트롤러(90)에 의해서 상기 발광부재(30)가 켜지면 상기 발광부재(30)에서 광이 생성되며, 상기 발광부재(30)에서 생성된 광은 상기 투과부재(20)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30)에서 발생하는 열은 상기 유브이 부재(120)와의 이격 공간을 통해서 방열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90)에 의해서 상기 팬 어셈블리(130)가 동작되면 상기 공기 유입구(12)를 통해서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상기 제1 공간(11a)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공간(11a)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150)에 의해서 미세먼지 등 이물질이 제거됨으로써 1차적으로 정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공간(11a)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팬 어셈블리(130)에 의해서 이동이 강제되어 상기 제2 공간(11b)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유입된 공기는 상기 광촉매 부재(110)와 유브이 부재(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살균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 가이드(17)에 의해서 상기 발광부재(30)와 유브이 부재(120)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살균 공간으로 집중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90)에 의해서 상기 유브이 부재(120)가 켜지면 상기 광촉매 부재(110)에 자외선이 조사된다. 그리고, 상기 살균 공간에 라디칼이 생성되며, 상기 살균 공간을 통과하는 공기는 자외선 및 라디칼에 의해서 살균 됨으로써 2차적으로 정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정화된 공기는 상기 제3 공간(11c)으로 이동하여 상기 공기 배출구(13)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공간(11c)에 배치된 상기 컨트롤러(90)는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컨트롤러(90)와의 열교환에 의해서 온도가 상승하여 확산이 빨라지고, 외부 공기의 대류를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이 공기가 보다 효과적으로 정화되고 확산되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1: 조명장치
10: 본체
11: 내부공간
11a: 제1 공간
11b: 제2 공간
11c: 제3 공간
11d: 이격 공간
12: 공기 유입구
13: 공기 배출구
15: 케이스
16: 커버
17: 에어 가이드
20: 투과부재
30: 발광부재
40: 컨버터
70: 그물망
90: 컨트롤러
100: 정화 유닛
110: 광촉매 부재
120: 유브이 부재
130: 팬 어셈블리
150: 필터
200: 가이드부재
210: 안착부
220: 가이드부

Claims (4)

  1.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광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광 토출구의 외측에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출구가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이동한 후 배출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광 토출구를 통해서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화 유닛은,
    상기 공기 유로로 외부 공기를 강제 흡입시키는 팬 어셈블리;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며,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재의 광 조사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유브이 부재; 및
    상기 공기 유로 상에 상기 유브이 부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표면에 광촉매 물질이 도포된 광촉매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브이 부재는 UV-C 파장의 자외선을 출력하는 광원을 구비하여, UV-C 파장의 자외선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부재와 유브이 부재는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길게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며,
    흡입된 공기는 상기 광촉매 부재와 유브이 부재의 사이 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유브이 부재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광촉매 부재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광촉매 부재와 유브이 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광촉매 부재와 유브이 부재의 사이 공간을 대향하는 양측에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200049454A 2020-04-23 2020-04-23 조명장치 KR102387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454A KR102387452B1 (ko) 2020-04-23 2020-04-23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454A KR102387452B1 (ko) 2020-04-23 2020-04-23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085A true KR20210131085A (ko) 2021-11-02
KR102387452B1 KR102387452B1 (ko) 2022-04-14

Family

ID=78476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454A KR102387452B1 (ko) 2020-04-23 2020-04-23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4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7568A (ko) * 2011-12-14 2013-06-25 김남운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조명등 장치
KR20130125436A (ko) * 2012-05-09 2013-11-19 전자부품연구원 실내 공기 살균 기능을 겸비한 조명 장치, 그리고 실내 공기 살균 및 조광 방법
KR20180125833A (ko) 2017-05-16 2018-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정화용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7568A (ko) * 2011-12-14 2013-06-25 김남운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조명등 장치
KR20130125436A (ko) * 2012-05-09 2013-11-19 전자부품연구원 실내 공기 살균 기능을 겸비한 조명 장치, 그리고 실내 공기 살균 및 조광 방법
KR20180125833A (ko) 2017-05-16 2018-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정화용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452B1 (ko)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130B1 (ko) 실내 공기 살균 기능을 겸비한 조명 장치, 그리고 실내 공기 살균 및 조광 방법
KR101189477B1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KR100945599B1 (ko) 하이브리드 광반도체 살균 촉매 램프 및 이를 이용한 광촉매 정화 장치
US20100143205A1 (en) High intensity air purifier
CN103836430B (zh) 照明装置
KR10201475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210364178A1 (en) Air and surface disinfecting system
KR20230132746A (ko) 공기 정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80125833A (ko) 공기 정화용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US20230158199A1 (en) Integrated system for sanitization and emergency lighting of rooms
KR102076612B1 (ko) 센서등
KR20110086403A (ko) 공기정화 장치를 구비한 조명기구
KR102387452B1 (ko) 조명장치
KR20010090648A (ko)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청정 유니트 및 공기 청정 유니트를갖는 공기 청정 장치
JP3230454B2 (ja) 空気清浄装置
KR101409449B1 (ko) 공기정화용 가시광선 등기구
KR200314432Y1 (ko) 공기청정기를 갖는 조명기구
KR20120000178U (ko) 공기정화 장치를 구비한 조명기구
KR200305038Y1 (ko) 공기청정기를 갖는 조명기구
TWM467822U (zh) 一種主動式空氣淨化led照明裝置
KR200376078Y1 (ko) 광촉매 공기정화기
KR102292519B1 (ko) 공기청정을 겸비한 강제순환방식의 항살균조명장치
KR102483776B1 (ko) 모듈식 구조를 가진 공기 정화 장치
JP2022178490A (ja) 殺菌及びウイルス不活性化作用を有するled照明装置
KR102502143B1 (ko) 광촉매 반응을 활용한 공기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