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948A - 신체 건조기 - Google Patents

신체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948A
KR20210130948A KR1020200049096A KR20200049096A KR20210130948A KR 20210130948 A KR20210130948 A KR 20210130948A KR 1020200049096 A KR1020200049096 A KR 1020200049096A KR 20200049096 A KR20200049096 A KR 20200049096A KR 20210130948 A KR20210130948 A KR 20210130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dryer
user
blowe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건
김호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9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0948A/ko
Publication of KR20210130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7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8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후방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사용자의 발목 위에서부터 상부를 향해 해당 공기를 분사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신체의 최대한 높은 부위에 이르기까지 건조 공기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체 건조기{body dryer}
본 발명은 건조를 위한 공기를 제공하여 신체를 건조시키는 신체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나 목욕 후 젖은 상태의 신체는 수건으로 물기를 닦아 낸 후 드라이어나 선풍기 등을 이용하여 잔여 물기를 제거하거나 혹은, 자연 건조함으로써 잔여 물기를 제거한다.
그러나, 전술된 일반적인 방식은 수건 사용으로 인해 해당 수건의 세탁과 같은 후처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발바닥이나 발가락 사이 등은 수건으로 물기를 닦아내기 위해서는 허리를 숙여야 하는 등 물기를 닦기가 불편한 부위이기 때문에 충분히 물기를 닦아 내거나 혹은, 건조시키지 않고 양말이나 신발을 곧장 착용하는 경우가 잦았으며, 이로써 무좀균과 같은 세균 번식의 우려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선풍기를 이용하거나 혹은, 공개특허 제10-2015-0043888호(선행기술 1)의 신체 건조기를 이용하여 신체의 특정 부위로 건조 공기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부위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된 선풍기나 선행기술 1의 신체 건조기의 경우 특정 신체 부위(건조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국소 부위에 대한 건조 기술일 뿐 사용자의 신체를 일괄적으로 건조시키는 기능은 수행할 수 없고, 건조하고자 하는 부위를 항상 신체 건조기의 건조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에 일치시켜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상기 전술된 선행기술 1의 경우 하우징 내에서 유동되는 공기가 상면관통공을 통과하여 환형띠부재 내로 공급되는 양이 사실상 미미하기 때문에 사실상 신체 건조기로의 기능을 수행하기란 어려웠다.
이에 최근에는 등록특허 제10-09848030호(선행기술 2), 등록특허 제10-1749344호(선행기술 3) 등 다양한 형태의 신체 건조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신체 건조기는 사용자가 발판에 오르면 해당 사용자의 발이나 여타 신체를 향해 건조 공기(신체를 건조하기 위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수건을 사용하지 않고도 신체에 잔여하는 물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신체 건조기들은 발판의 바닥면으로부터 공기를 상향 분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발바닥 혹은, 발가락 부위만 건조 공기가 제공될 뿐 사용자의 다리 이상의 부위로는 건조 공기가 제공되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등록특허 제10-1985817호(선행기술 4)의 경우에서와 같이 건조 공기가 발 쪽이 아니라 다리를 향해 상향 분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를 건조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 기술의 경우는 사용자의 발바닥이나 발가락으로는 건조 공기가 제공되지 않았던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82774호(선행기술 5)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 전부가 수용되면서 신체의 전 부위에 고온의 공기를 분사하는 기술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체 건조기는 신체의 전 부위를 감싸도록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높이가 높을 수밖에 없어서 보관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5-0043888호 등록특허 제10-09848030호 등록특허 제10-1749344호 등록특허 제10-1985817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82774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높이는 낮게 구성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허리 이상 높이에 이르기까지 충분한 건조 공기의 공급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신체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송풍팬의 설치 위치와 신체로 건조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 방향이 서로 수직하게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건조 공기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여 최대한 많은 양의 건조 공기가 신체를 향해 분사될 수 있도록 한 신체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다리 윗 부분뿐 아니라 발 및 발가락으로도 건조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신체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체를 건조시키는 목적 뿐 아니라 신체의 다양한 상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신체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전방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사용자의 발목 위에서부터 상부를 향해 해당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신체를 건조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로써 신체의 최대한 높은 부위에 이르기까지 건조 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케이스가 상면이 개방된 몸체케이스 및 몸체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케이스커버로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로써 케이스 내에 송풍팬 어셈블리 등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케이스커버에 상부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커버의 상부토출구가 형성된 부위는 상기 상부토출구로 갈수록 점차 공기의 유동 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로써 상부토출구를 통과하는 건조 공기는 더욱 빠른 유속으로 토출되면서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이르기까지 충분히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몸체케이스의 후방 양 측으로 돌출단이 형성되고, 상부토출구는 상기 돌출단의 직상방에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의 전면 뿐 아니라 양 측으로도 건조 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두 돌출단에 연통공이 각각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로써 상기 상부토출구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상기 연통공을 통해 두 돌출단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면서 사용자의 발목 부위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상부토출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그릴이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로써 상부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직진성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더욱 높은 위치에까지 건조 공기가 송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상부토출구가 사용자의 발목 높이에 비해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발바닥측으로부터 공기를 분사하는 종래 구조에 비해 적어도 상부토출구의 높이 이상은 더욱 높게 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상부토출구가 사용자의 무릎 높이에 비해서는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과도한 기기 높이로 인한 휴대성이나 보관성의 곤란함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송풍팬 어셈블리가 몸체케이스의 전방측 벽면에 형성된 흡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후방측 벽면을 향해 상기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몸체케이스의 전면 양 측에 돌출되는 돌출단으로 공기가 원활히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몸체케이스 내에 설치프레임이 구비된다. 이로써 송풍팬 어셈블리는 몸체케이스 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가 위치되는 공간과 그 후방측의 두 돌출단과 연통되는 공간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설치프레임의 양 측이 돌출단을 향해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로써 두 돌출단으로 건조 공기가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설치프레임의 양 측 끝단은 몸체케이스 내의 후방측 벽면에 비해 더욱 후방에 위치된다. 이로써 에어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양 측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는 돌출단 내의 외측벽면을 타고 원활히 흐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히터부가 더 구비된다. 이로써 고온의 공기로 신체가 건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몸체케이스 내에 에어가이드가 구비된다. 이로써 송풍팬 어셈블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두 돌출단으로 균일하게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몸체케이스 내의 후방측 벽면에는 후방토출구가 더 형성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발과 발가락으로도 건조 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두 돌출단 사이에 발판부가 구비되고, 이 발판부의 상면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의 유동홈 형성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발바닥으로도 건조 공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발판부가 몸체케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써 발판부가 개별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조작 디스플레이부가 더 구비된다. 이로써 각종 정보의 디스플레이 및 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해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케이스커버에 회로기판이 안착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로써 몸체케이스 내의 공간 활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사용자의 발목보다 높은 위치로부터 공기가 상향 토출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해당 높이만큼 더욱 높게 건조 공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특히 회음부 등에 대한 건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후방토출구가 추가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부토출구로 공기가 토출된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발 및 발가락에 건조 공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 후방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는 양 측의 상부토출구로 미처 토출되지 못하고 돌출단 내의 내측벽면을 타고 흐르면서 역류되는 공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상부토출구로 충분한 공기가 토출될 수 있으면서도 후방토출구로도 충분한 공기가 토출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설치프레임과 에어가이드의 구조에 대한 최적 설계를 통해 돌출단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과 상기 돌출단으로부터 역류되는 공기의 흐름이 직접 부딪히지 않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공기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공기가 신체(예컨대, 발바닥)에 가로막히지 않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최대한 높은 위치에까지 건조 공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후방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방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기의 컨트롤러에 의한 제어 계통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기의 몸체케이스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평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기의 몸체케이스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배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기에 의한 공기 유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기에 의한 공기 유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평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각 방향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이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전방은 사용자가 서 있는 위치에서 사용자가 바라보는 측으로써 도 5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볼 때 상측 방향이고, 후방은 사용자를 향하는 측으로써 도 5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볼 때 하측 방향이다. 또한, 양 측은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이 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기는 후방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사용자의 발목 위에서부터 상부를 향해 해당 공기를 분사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신체의 최대한 높은 부위에 이르기까지 건조 공기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종래에는 기기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되며, 특히 사용자가 밟고 있는 부위를 통해서는 공기가 상부로 송풍되지 못하여 사용자의 무릎 위쪽 부위에 이르기까지는 충분한 공기 송풍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기는 발목의 위쪽에서부터 공기를 상향 송풍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공기가 무릎 위쪽에 이르기까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목 아래 부위로도 사용자의 전방 및 측부로부터 건조 공기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발목 아래 부위에 대한 건조 역시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건조기는 크게 케이스(100)와, 송풍팬 어셈블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토출구(121)는 그 위치가 사용자의 발목 위치보다 더욱 높게 형성됨과 더불어 케이스(100)의 상면 둘레 부위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케이스(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신체 건조기의 외관 몸체를 형성하는 부위로써, 몸체케이스(110) 및 케이스커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케이스(110)는 일정한 높이의 양 측 벽면(111)과 전방측 벽면(112)과 후방측 벽면(113) 및 바닥면(119)을 가지는 내부가 빈 통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일정한 높이라 함은 사용자(통상의 성인 사용자를 기준으로 함)의 발목 이상의 높이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신체 건조기의 상면이 사용자의 발목 정도의 높이 혹은, 발목에 비해 더욱 높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몸체케이스(110)의 상면을 덮는 케이스커버(120)의 상부토출구(121)가 발목 높이 혹은, 그 이상의 높이에 위치된다. 이 때문에 발바닥측으로부터 공기를 분사하는 종래 구조에 비해 더욱 높게(바닥에서 상부토출구에 이르기까지의 높이만큼 더욱 높게) 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몸체케이스(110)의 높이는 과도하게 높지 않도록 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사용자의 무릎 높이에 비해서는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과도한 기기 높이로 인한 휴대성이나 보관성의 곤란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몸체케이스(110)의 상면은 개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개방된 상면을 통해 각종 구성 요소(예컨대, 송풍팬 어셈블리 및 히터부 등)를 몸체케이스(110) 내에 장착하거나 혹은, 분리를 통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케이스(110)의 전방측 벽면(112)에는 흡입구(114)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14)는 기기(신체 건조기) 외부의 공기가 몸체케이스(110) 내로 흡입되는 부위이다.
상기 흡입구(114)는 상기 전방측 벽면(112)의 중앙측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입구(114)는 하나의 큰 구멍을 타공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다수의 통공을 타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구(114)가 상기 전방측 벽면(112)의 중앙측 부위에 다수의 통공을 타공하여 형성됨을 그 예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케이스(110)의 전방측 벽면(112)의 내면(몸체케이스 내측에 위치되는 면) 혹은, 외면(몸체케이스 외측에 위치되는 면) 중 상기 흡입구(114)가 형성되는 부위에는 공기필터(115)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방측 벽면(112)의 내면에 필터가이드(116)가 설치되고, 이 필터가이드(116)에 상기 공기필터(115)가 설치되면서 상기 흡입구(114)를 통해 흡입되는 흡입 공기로부터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도록 구성됨을 그 예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케이스(110)의 후방측 벽면에는 후방(사용자가 위치되는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단(117)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단(117)은 상기 몸체케이스(110) 내로 흡입된 공기를 후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러한 돌출단(117)은 상기 몸체케이스(110)의 후방측 벽면 중 양 측 둘레 부위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이 돌출단(117)의 내로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이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두 돌출단(117)은 서로 이격된 외측벽면(몸체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벽면)(117a) 및 내측벽면(두 돌출단 간의 대향측 벽면)(117b)을 각각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케이스(110) 내로 흡입되어 상기 각 돌출단(117)의 두 측벽면(117a,117b) 사이로 유도된 공기는 상기 몸체케이스(110)의 양 측 후방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3과 도 5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 상기 두 돌출단(117)의 두 측벽면(117a,117b)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공간이 협소해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단(117) 내를 따라 후방으로 유동되는 공기는 해당 돌출단(117)의 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협소한 공간에 모이면서 유속이 빨라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돌출단(117)의 두 측벽면(117a,117b)은 후방측 끝단만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공간이 협소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실시예로 도시된 도 9와 같다.
이와 함께, 상기 두 돌출단(117)을 이루는 내측벽면(117b)과 외측벽면(117a)은 서로 높이 차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각 돌출단(117)의 내측벽면(117b)이 외측벽면(117a)에 비해 낮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케이스커버(120)의 경사단(122)과 협력하여 해당 돌출단(117) 내를 유동하는 공기가 점차 유속이 빨라지면서 상부토출구(121)를 향해 토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두 돌출단(117)에는 두 돌출단(117) 사이의 내부 공간과 두 돌출단(117)의 외부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공(117c)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커버(120)의 상부토출구(121)를 통한 공기의 분사시 상기 두 상부토출구(121)의 사이의 압력과 두 돌출단(117) 사이에는 압력 차이가 발생된다. 이러한 압력 차이를 고려하여 상부토출구(121)를 통한 공기의 분사시 몸체케이스(110)의 양 측 외부에 위치된 공기가 상기 연통공(117c)을 통과하여 두 돌출단(117)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두 돌출단(117) 사이에 위치되는 사용자의 두 발(발목 아래 부위)이 건조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발을 건조한 공기는 상기 두 상부토출구(12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에 편승되어 함께 사용자의 신체를 향해 토출된다.
이때, 상기 연통공(117c)은 각 돌출단(117)의 바닥측 부위에 형성되며, 전후 길이가 상하 높이에 비해 더욱 긴 슬롯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두 돌출단(117) 사이의 최대한 낮은 위치에 외부 공기가 흡입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두 돌출단(117) 사이의 두 발에 이르기까지 충분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연통공(117c)은 두 돌출단(117) 사이로 갈수록 점차 유로가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케이스(110)의 바닥면은 두 돌출단(117)의 전방측 끝단에 이르기까지 연장 형성되며, 이로써 상기 몸체케이스(110)의 바닥면 일부가 상기 두 돌출단(117) 사이의 바닥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두 돌출단(117) 사이의 바닥에는 바닥면이 존재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두 돌출단(117) 사이의 이격 거리는 사용자의 두 발이 동시에 위치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두 돌출단(117) 사이에 사용자가 서 있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케이스(110) 내에는 에어가이드(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130)는 몸체케이스(110)를 이루는 전방측 벽면(112)의 흡입구(114)로부터 몸체케이스(110) 내로 흡입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에어가이드(130)는 상기 몸체케이스(110)의 후방측 벽면(113)과 후술될 송풍팬 어셈블리(200)의 공기 토출측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2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두 돌출단(117)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상기 에어가이드(130)의 전면은 송풍팬 어셈블리(200)와 대향되는 중앙측 부위로 갈수록 점차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로써 송풍팬 어셈블리(200)로부터 후방으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130)의 안내를 받아 상기 몸체케이스(110) 후방 양 측의 두 돌출단(117)으로 균일하게 분산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몸체케이스(110)의 후방측 벽면에는 후방토출구(118)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토출구(118)의 추가 형성을 통해 두 돌출단(117) 사이에 위치된 사용자의 발뿐 아니라 발가락 사이로도 건조 공기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에어가이드(130)는 상기 몸체케이스(100) 내의 후방측 벽면(113)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토출구(118)는 상기 몸체케이스(110) 내의 후방측 벽면 중 상기 에어가이드(130)의 후방측에 형성된다.
즉, 상기 두 돌출단(117)을 유동한 후 상부토출구(121)를 통해 미처 토출되지 못하고 해당 돌출단(117)의 내측벽면(117b)을 타고 역으로 유동되면서 회수되는 건조 공기가 상기 후방토출구(118)를 통해 사용자의 발 및 발가락 부위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에어가이드(130)는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200)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상기 몸체케이스(110)에 형성된 돌출단(117) 내의 두 벽면(외측벽면 및 내측벽면)(117a,117b) 중 외측벽면(117a)을 향해 유동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즉,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200)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130)의 안내를 받아 상기 돌출단(117) 내의 외측벽면(117a)을 타고 흐르면서 상부토출구(121)로 토출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부토출구(121)로 미처 토출되지 못하고 내측벽면(117b)을 타고 후방토출구(118)가 위치된 부위로 역류되는 건조 공기는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200)로부터 토출된 공기와의 부딪힘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몸체케이스(110)의 두 돌출단(117) 사이에는 사용자가 올라 설 수 있는 발판부(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발판부(140)를 밟고 선 상태에서 신체를 건조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발판부(140)의 상면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의 유동홈(141) 형성되며, 이로써 각 유동홈(141)을 통해 제공되는 건조 공기로 인해 사용자의 발바닥에 대한 건조도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동홈(141)은 몸체케이스(110)의 후방측 벽면(113)에 형성된 후방토출구(118)를 통해 두 돌출단(117) 사이로 토출된 공기를 제공받아 유동된다.
물론, 두 돌출단(117)에 형성된 연통공(117c)을 통과한 공기 역시 상기 발판부(140)의 표면에 형성된 각 유동홈(141)을 따라 전후 유동되면서 사용자의 발바닥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발판부(140)는 몸체케이스(1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발판부(140)가 개별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케이스(110)의 바닥면(119)에는 장착홈(119a)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이에 대향되는 발판부(140)의 저면에는 상기 장착홈(119a)에 맞물리도록 이루어진 장착돌부(14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장착홈(119a)과 장착돌부(142) 간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발판부(140)가 몸체케이스(1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발판부(140)와 두 돌출단(117) 간의 대향면에 장착홈(119a) 및 장착돌부(142)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부(140)에는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거나 혹은, 인바디(inbody)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144)가 포함된다. 물론, 상기 발판부(140) 자체를 측정기기로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발판부(140)는 신체 건조기의 조작 디스플레이부(150)와 무선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측정부(144)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몸무게 혹은, 인바디 상태를 무선 통신으로 상기 조작 디스플레이부(15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조작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발판부(140) 및 조작 디스플레이부(150)에는 서로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모듈(143,153)이 각각 구비된다. 이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발판부(140)와 몸체케이스(110) 간의 접촉면에 접촉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발판부(140)를 몸체케이스(110)에 장착할 경우 상기 접촉단자를 통해 해당 발판부(140)의 측정부(144)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조작 디스플레이부(15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케이스(110)의 후방측 벽면(113)이나 두 돌출단(117) 간의 대향면 혹은, 발판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두 돌출단(117) 사이로 인체가 위치됨을 감지하는 인체 감지센서(16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체 감지센서(160)의 추가 제공을 통해 발판부(140)에 올라 선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정확히 확인하여 신체 건조기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인체 감지센서(160)는 근접 센서나 무게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인체 감지센서(160)를 제공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발판부(140)에 위치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적인 방법도 실시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조작 디스플레이부(150)의 컨트롤러(151)가 발판부(140)의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이 상황을 사용자가 발판부(140)에 올라 섰음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가 있다. 즉, 발판부(140)의 동작 여부로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알 수 있게 설정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커버(120)는 상기 몸체케이스(110)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 커버이다.
이러한 케이스커버(120)는 돌출단(117)을 포함하는 몸체케이스(110)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커버(120)의 상면 중 상기 돌출단(117)을 덮는 부위의 양 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부토출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토출구(121)는 상기 몸체케이스(110) 내로 흡입되어 두 돌출단(117)으로 유동되는 건조 공기를 상부로 토출하도록 형성된 토출구이다.
특히, 상기 케이스커버(120)의 각 부위 중 상기 돌출단(117)을 덮는 부위에는 상기 상부토출구(121)가 위치된 부위로 갈수록 점차 공간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단(122)이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경사단(122)에 의해 상부토출구(121)로 갈수록 점차 유로가 좁아지게 형성됨으로써 해당 상부토출구(121)를 통과하는 건조 공기의 토출 압력을 높여 더욱 높은 위치에 이르기까지 건조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각 돌출단(117)의 내측벽면(117b)과 외측벽면(117a)은 서로 높이 차이를 갖도록 형성됨을 고려할 때 상기 케이스커버(120)의 경사단(122)은 상기 두 벽면(117a,117b)의 높이 차이를 고려한 경사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상부토출구(12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그릴(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그릴(121a)의 제공에 의해 상기 상부토출구(121)를 통과하면서 토출되는 건조 공기는 직진성을 가지면서 더욱 먼 위치에 이르기까지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토출구(121)는 사용자의 발목 높이에 비해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되면서도 사용자의 무릎 높이에 비해서는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전술된 설명에서와 같이 상부토출구(121)의 위치가 적어도 사용자의 발목 높이 혹은, 그 이상의 높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그 만큼 높은 위치에까지 건조 공기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과도한 기기 높이로 인한 휴대성이나 보관성의 곤란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커버(120)에는 조작 디스플레이부(150)(첨부된 도 4 참조)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조작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신체 건조기의 각 상태 및 각종 정보의 디스플레이와 해당 기기의 동작 제어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조작 디스플레이부(150)는 각종 구성요소의 동작 제어나 각종 신호의 처리를 위한 컨트롤러(151) 및 이 컨트롤러(151)가 실장됨과 더불어 각종 발광 LED 등이 실장되는 회로기판(도시는 생략됨)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후술될 송풍팬 어셈블리(200) 및 히터부(300)는 상기 컨트롤러(151)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15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200)의 팬모터(도시는 생략됨)에 대한 동작 속도 및 히터부(300)의 발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컨트롤러(151)는 인체 감지센서(160)가 감지한 신호를 토대로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200) 및 히터부(300)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조작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 및 정보는 인체의 건조 상태와, 바람세기, 사용자의 몸무게 그리고, 인바디 정보(BMI, 체지방, 골격근량, 체수분 등)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와 함께, 상기 조작 디스플레이부(150)에는 전원의 온오프를 위한 버튼(153)과, 모드 선택을 위한 버튼(154), 바람세기의 조절을 위한 버튼(155), 온도 조절을 위한 버튼(156) 중 적어도 어느 한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커버(120)의 상면에는 상부로 개방된 기판 안착홈(123)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조작 디스플레이부(150)의 회로기판(도시는 생략됨)는 상기 기판 안착홈(120)에 안착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기판 안착홈(123)의 개방된 상면은 보조커버(124)로 덮어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커버(124)에는 다수의 투광창이 형성됨과 더불어 각종 이미지가 프린팅될 수 있다.
즉, 상기 회로기판의 LED를 통해 발광된 정보가 상기 보조커버(124)의 각 이미지에 형성된 투광창으로 투광됨으로써 사용자가 각종 정보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조작 디스플레이부(150)는 전술된 수동 조작식 구조가 아니라 LCD모듈과 같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를 통해 각종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커버(120)의 전면이나 상면 혹은, 전면과 상면 사이의 모서리 부위에는 보습용 이오나이저(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습용 이오나이저(170)는 신체를 향해 분사되는 건조 공기에 미세한 수분 입자를 제공함으로써 신체가 과도하게 건조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커버(120)의 전면과 상면 간의 모서리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보습용 이오나이저(170)는 상기 케이스커버(120)의 모서리에 설치함으로써 상부토출구(121)를 통해 상승되는 건조 공기에 보습용 미세 입자들이 편승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신체 건조기의 송풍팬 어셈블리(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200)는 케이스(100) 내로 공기를 흡입한 후 송풍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송풍팬 어셈블리(200)는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팬 및 팬모터를 포함하는 조립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팬은 축류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200)는 상기 몸체케이스(110) 내의 후방측 벽면(113)과 전방측 벽면(112)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전방측 벽면(112)에 형성된 흡입구(114)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후방측 벽면(113)측에 위치된 에어가이드(130)를 향해 상기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케이스(110) 내에는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200)의 설치를 위한 설치프레임(18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200)는 상기 설치프레임(180)에 의해 상기 몸체케이스(110) 내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설치프레임(180)은 상기 몸체케이스(110) 내의 공간을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200)가 위치되는 공간과 그 후방측의 두 돌출단(117)과 연통되는 공간을 서로 구획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설치프레임(180)이 몸체케이스(110) 내의 전후방측을 가로막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몸체케이스(110) 내의 공간은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200)가 위치되는 전방측 공간과 상기 두 돌출단(117)과 연통되는 후방측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설치프레임(180)은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200)의 후방측 끝단이 위치되는 중앙측 부위로부터 양 측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설치프레임(180)의 양 끝단은 에어가이드(130)에 비해 더욱 후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치프레임(180)의 양 끝단은 상기 몸체케이스(110)의 후방측 벽면(113)에 비해 더욱 후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설치프레임(180)의 구조는 에어가이드(130)에 부딪혀 양 측으로 분산 공급되는 공기가 돌출단(117) 내의 외측벽면(117a)을 타고 흐르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설치프레임(180)이 에어가이드(130)와 함께 제공됨으로써 상기 공기는 상기 돌출단(117) 내의 외측벽면(117a)을 타고 흐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케이스(110) 내의 후방측 벽면(113)과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200)의 공기 토출측 사이에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300)는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200)를 통과하여 에어가이드(130)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히터부(300)는 온도 제어가 가능한 전기 히터(시스 히터 혹은, 할로겐 히터 등)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히터부(300)는 열전소자로 구성될 수도 있고, 여타 다양한 방식의 온도 제어가 가능한 히터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온도 제어를 할 수 없는 단순한 형태의 히터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200) 및 히터부(300)는 조작 디스플레이부(150)에 구비되는 컨트롤러(151)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151)는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200)의 팬모터(도시는 생략됨)에 대한 동작 속도를 제어하고, 히터부(300)의 발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컨트롤러(151)는 사용자가 발판부(140)를 밟고 올라 설 경우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200) 및 히터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가 발판부(140)를 밟고 올라 서면 인체 감지센서(160)가 상기 인체의 인접(혹은, 발판부의 가압)을 감지한 후 그 신호를 컨트롤러(151)에 제공한다.
이와 함께, 상기 발판부(140)에서는 해당 사용자의 몸무게 혹은, 인바디 상태를 측정 한 후 이를 컨트롤러(151)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몸무게 혹은, 인바디 상태에 대한 정보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상기 컨트롤러(151)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151)는 상기 발판부(14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몸무게 혹은, 인바디 상태를 조작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51)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송풍팬 어셈블리(200) 및 히터부(300)를 제어하게 된다.
즉, 조작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컨트롤러(151)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송풍팬 어셈블리(200) 및 히터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낮은 온도의 공기가 강한 송풍력을 가지면서 제공되도록 조작 디스플레이부(150)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러(151)는 히터부(300)의 발열을 낮추거나 오프시킴과 더불어 송풍팬 어셈블리(200)의 팬모터(도시는 생략됨)는 최대 성능으로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200)가 동작되면 송풍팬(도시는 생략됨)의 공기 송풍력에 의해 몸체케이스(110)의 흡입구(114)로부터 외부 공기가 흡입된 후 해당 송풍팬 어셈블리(200)의 전방으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공기는 상기 흡입구(114)로 흡입될 때 공기필터(11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각종 이물질이 걸러지고, 계속해서 송풍팬 어셈블리(200)를 통과한 공기는 그 전방의 히터부(300)를 지나는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된다. 물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히터부(300)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라면 상기 공기의 온도 상승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이렇게 전방으로 토출된 공기는 에어가이드(130)에 부딪혀 양 측으로의 유동 분리가 이루어지며, 계속해서 해당 에어가이드(130) 및 그에 대향되게 위치된 설치프레임(180)의 사이를 따라 유동되면서 두 돌출단(117) 내로 제공된다.
특히, 상기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130)에 의해 양 측으로 분리됨과 더불어 상기 에어가이드(130)의 양 측에 위치된 설치프레임(180)의 안내를 받으면서 돌출단(117) 내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설치프레임(180)의 양 측 끝단이 에어가이드(130) 혹은, 몸체케이스(110)의 후방측 벽면(113)에 비해 돌출단(117) 내로 더욱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를 고려한다면 상기 설치프레임(180)의 안내를 받아 돌출단(117) 내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돌출단(117) 내의 외측벽면(117a)을 타고 원활히 흐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단(117) 내의 외측벽면(117a)을 타고 돌출단(117) 내의 전방으로 흐르는 공기는 해당 돌출단(117)의 전방측 끝단으로 갈수록 유로가 점차 좁아진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측으로 유동된다.
이와 함께, 상기 케이스커버(120)는 상기 상부토출구(121)가 형성된 부위로 갈수록 점차 유로가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토출구(121)를 통과하는 공기는 케이스커버(120)의 상부토출구(121)로 갈수록 점차 빠른 유속을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토출구(121)에는 다수의 안내그릴(121a)이 형성됨을 고려한다면 상기 상부토출구(121)를 통과하는 공기는 외부로 확산됨이 최소화된 상태로 신체의 높이 방향(사용자의 키 방향)으로 분사되면서 사용자 신체를 건조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상부토출구(121)의 위치는 사용자의 발목에 비해 높게 위치되기 때문에 발판부(140)의 상면으로부터 해당 상부토출구(121)까지의 높이만큼 더욱 높이 건조 공기가 제공되며, 이로써 사용자의 회음부에 이르기까지 건조 공기가 충분히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상부토출구(121)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도중에는 보습용 이오나이저(170)를 통한 미세한 수분 입자가 제공되기 때문에 피부의 과도한 건조는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두 돌출단(117)에 위치된 두 상부토출구(121)를 통해 건조 공기가 토출될 때에는 상기 두 돌출단(117) 내의 외측벽면(117a)을 타고 흐르는 공기 중 상기 상부토출구(121)로 미처 토출되지 못한 공기는 해당 돌출단(117) 내의 내측벽면(117b)을 타고 역으로 흐른다.
이후, 상기 역류되는 공기는 몸체케이스(110)를 이루는 후방측 벽면(113)의 내면을 타고 흐르면서 해당 벽면에 형성된 후방토출구(118)를 통해 후방측 벽면(113)의 후방인 두 돌출단(117) 사이로 토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두 돌출단(117) 사이에 위치된 사용자의 발 및 발가락 부위 역시 건조 공기를 제공받아 물기가 제거된다.
특히, 상기 발판부(140)의 상면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유동홈(141)이 형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후방토출구(118)로부터 토출된 건조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유동홈(141)을 타고 흐르면서 해당 사용자의 발바닥에 대한 건조도 수행하게 된다.
이와 함께, 케이스커버(120)에 형성된 두 상부토출구(121)를 통해 건조 공기가 상향 토출될 때에는 해당 두 상부토출구(121) 사이의 압력이 급격히 변동(저하)된다.
이에 따라 해당 부위와 두 돌출단(117) 사이의 발판부(140)가 위치된 부위는 서로의 압력 차이가 발생되고, 이러한 압력 차이로 인해 두 돌출단(117)에 형성된 연통공(117c)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두 돌출단(117) 내로 강제 흡입된 후 상기 두 상부토출구(12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와 함께 상향 토출된다.
이로써 상기 두 돌출단(117) 사이에 위치된 사용자 발의 측부로도 공기가 송풍되면서 해당 발을 충분히 건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로 제공되는 공기량도 더욱 증가되어 해당 사용자의 신체를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작용에 의한 신체 건조가 완료되어 해당 사용자에 의한 동작 정지 요청 혹은, 타이머에 의한 자동 종료 제어가 발생되면 송풍팬 어셈블리(200) 및 히터부(300)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서 더 이상의 건조 공기 제공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결국,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사용자의 발목보다 높은 위치로부터 공기가 상향 토출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해당 높이만큼 더욱 높게 건조 공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특히 회음부 등에 대한 건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후방토출구(118)가 추가로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 및 발가락에 건조 공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후방토출구(118)로 토출되는 공기는 양 측의 상부토출구(121)로 미처 토출되지 못하고 돌출단(117) 내의 내측벽면(117b)을 타고 흐르면서 역류되는 공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상부토출구(121)로 충분한 공기가 토출될 수 있으면서도 후방토출구(118)로도 충분한 공기가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설치프레임(180)과 에어가이드(130)의 구조에 대한 최적 설계를 통해 돌출단(117)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과 상기 돌출단(117)으로부터 역류되는 공기의 흐름이 직접 부딪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공기 유동 및 충분히 높은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공기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 건조기는 공기가 신체(예컨대, 발바닥)에 가로막히지 않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최대한 높은 위치에까지 건조 공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00. 케이스 110. 몸체케이스
111. 양측 벽면 112. 전방측 벽면
113. 후방측 벽면 114. 흡입구
115. 공기필터 116. 필터가이드
117. 돌출단 117a. 외측벽면
117b. 내측벽면 117c. 연통공
118. 후방토출구 120. 케이스커버
121. 상부토출구 121a. 안내그릴
122. 경사단 123. 기판 안착홈
124. 보조커버 130. 에어가이드
140. 발판부 141. 유동홈
142. 장착돌부 143. 무선 통신모듈
144. 측정부 150. 조작디스플레이부
151. 컨트롤러 153. 전원버튼
154. 모드 선택버튼 155. 풍량 조절버튼
156. 온도 조절버튼 160. 인체감지센서
170. 보습용 이오나이저 180. 설치프레임
200. 송풍팬 어셈블리 300. 히터부

Claims (20)

  1. 외관 몸체를 형성하며, 전방측 벽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면의 양 측 둘레 부위에는 상부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면서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상부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송풍하는 송풍팬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통체로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전방측 벽면에는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며, 후방측 벽면의 양 측 둘레 부위에는 후방으로 각각 돌출되면서 내부를 따라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돌출단이 형성된 몸체케이스와,
    상기 돌출단을 포함하는 몸체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면의 각 부위 중 상기 돌출단을 덮는 부위의 양 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상부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돌출단에는 두 돌출단 사이의 내부 공간을 두 돌출단의 외부 공간에 연통하는 연통공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은 각 돌출단의 바닥측 부위에 전후 길이가 상하 높이에 비해 더욱 긴 슬롯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의 후방측 끝단 부위는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좌우 벽면이 서로 인접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커버의 각 부위 중 상기 돌출단을 덮는 부위는 상기 상부토출구가 위치된 부위로 갈수록 점차 공간이 협소해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토출구에는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그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토출구는 사용자의 발목 높이에 비해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되면서도 사용자의 무릎 높이에 비해서는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는 상기 몸체케이스 내의 후방측 벽면과 전방측 벽면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전방측 벽면에 형성된 흡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후방측 벽면을 향해 상기 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케이스 내에는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설치프레임이 더 구비되고,
    상기 설치프레임은 상기 몸체케이스 내의 공간을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가 위치되는 공간과 그 후방측의 두 돌출단와 연통되는 공간을 서로 구획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은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의 후방측 끝단이 위치되는 중앙측 부위로부터 양 측으로 갈수록 점차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의 양 끝단은 상기 몸체케이스 내의 후방측 벽면에 비해 더욱 후방에 위치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케이스 내의 후방측 벽면과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의 공기 토출측 사이에는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두 돌출단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에어가이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의 전면은 송풍팬 어셈블리와 대향되는 중앙측 부위로 갈수록 점차 돌출되도록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몸체케이스 내의 후방측 벽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케이스 내의 후방측 벽면 중 저부측 부위에는 두 돌출단 사이로 공기를 토출하는 후방토출구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기.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케이스에 형성된 두 돌출단 사이에는 사용자가 올라 설 수 있는 발판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의 상면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의 유동홈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두 돌출단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기.
  1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커버에는 각종 정보의 디스플레이 및 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해 조작하는 조작 디스플레이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커버의 상면에는 상부로 개방된 기판 안착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기판 안착홈에는 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회로기판이 안착 설치되며,
    상기 기판 안착홈의 개방된 상면은 보조커버로 덮어 폐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건조기.
KR1020200049096A 2020-04-23 2020-04-23 신체 건조기 KR20210130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096A KR20210130948A (ko) 2020-04-23 2020-04-23 신체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096A KR20210130948A (ko) 2020-04-23 2020-04-23 신체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948A true KR20210130948A (ko) 2021-11-02

Family

ID=7847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096A KR20210130948A (ko) 2020-04-23 2020-04-23 신체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094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774Y1 (ko) 2005-01-31 2005-04-22 김민성 신체 건조기
KR100984803B1 (ko) 2008-06-05 2010-10-04 주식회사 엘이디 에비뉴 크리스탈을 포함한 조명장치
KR20150043888A (ko) 2013-10-15 2015-04-23 신성델타테크 주식회사 인체 건조기
KR101749344B1 (ko) 2015-07-26 2017-06-22 구자천 고효율 신체 건조장치
KR101985817B1 (ko) 2018-08-30 2019-06-20 신성델타테크 주식회사 전후 에어플로를 가지는 바디 드라이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774Y1 (ko) 2005-01-31 2005-04-22 김민성 신체 건조기
KR100984803B1 (ko) 2008-06-05 2010-10-04 주식회사 엘이디 에비뉴 크리스탈을 포함한 조명장치
KR20150043888A (ko) 2013-10-15 2015-04-23 신성델타테크 주식회사 인체 건조기
KR101749344B1 (ko) 2015-07-26 2017-06-22 구자천 고효율 신체 건조장치
KR101985817B1 (ko) 2018-08-30 2019-06-20 신성델타테크 주식회사 전후 에어플로를 가지는 바디 드라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0948A (ko) 신체 건조기
EP3967195B1 (en) Drying apparatus
EP3960051A1 (en) Drying apparatus
CN114098490B (zh) 干燥装置及其控制方法
EP3960024A1 (en) Drying apparatus
EP3960050A1 (en) Drying apparatus
KR20220028825A (ko) 건조장치
KR102193169B1 (ko) 발가락 분리 구조의 발 건조기
TWI622374B (zh) Hand dryer
US20220061602A1 (en) Drying apparatus
KR100606951B1 (ko) 발건조기
KR20220028826A (ko) 건조장치
KR200487490Y1 (ko) 발 건조기
US20240180391A1 (en) Device for drying feet and/or footwear
KR20220064849A (ko) 신체 건조장치
KR102517450B1 (ko)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
JP6694202B2 (ja) 靴乾燥装置
JP6692106B2 (ja) 靴乾燥装置
JP4280143B2 (ja) ミストサウナ装置
KR20120060387A (ko) 발 건조기
KR20170029195A (ko) 발가락 분리 구조의 발 건조기
KR20180041378A (ko) 세면대 하부장 모듈
KR200271443Y1 (ko) 건조기
KR20220028831A (ko) 건조장치
KR20220028823A (ko) 건조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