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881A - 스페이서, 호흡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 Google Patents

스페이서, 호흡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881A
KR20210130881A KR1020200048723A KR20200048723A KR20210130881A KR 20210130881 A KR20210130881 A KR 20210130881A KR 1020200048723 A KR1020200048723 A KR 1020200048723A KR 20200048723 A KR20200048723 A KR 20200048723A KR 20210130881 A KR20210130881 A KR 20210130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pacer
filter layer
supports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철
박형선
단경식
리차드 채드 웹
이상영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to KR1020200048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0881A/ko
Priority to PCT/IB2021/053302 priority patent/WO2021214691A1/en
Publication of KR20210130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8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페이서, 호흡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에 체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필터 체결부; 및 상기 필터 체결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필터 체결부가 상기 필터에 체결되었을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필터의 내부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스페이서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페이서, 호흡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SPACER, RESPIRATION ASSIST DEVICE AND MASK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스페이서, 호흡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대한 발명이다.
최근 산업화에 따라 각종 대기 오염의 문제가 발생하면서 공기 중의 다양한 유해 물질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유해 물질에는 각종 매연이나 최근 심각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미세 먼지는 물론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꽃가루 및 각종 세균성 물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유해 물질이 인체의 호흡기로 침투하게 되면 각종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여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황사 현상처럼 대기에 질이 좋지 않을 때는 마스크의 착용이 필요하며, 미세먼지가 많은 장소에서 장시간 오염된 대기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사용자는 마스크를 착용하여 호흡기 질환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됨으로써, 대기 중의 병균이나 먼지 등이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특히, 마스크에 필터가 장착된 마스크는 사용자가 필터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가 장착된 마스크는 안면 커버부는 비통기성 재질로 제작되며, 사용자가 들숨을 쉬면 외부 공기는 필터를 통과하여 안면 커버부 내측으로 유입되어 사용자의 호흡을 보조할 수 있다.
종래의 필터가 장착된 마스크는 사용자가 공기를 흡입할 때, 외부의 공기가 필터를 통하여 유입되다 보니, 마스크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 이에, 필터와 마스크 사이에 공기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필터가 장착된 마스크에서 사용자의 호흡을 보조할 수 있는 호흡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필터에 체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필터 체결부; 및 상기 필터 체결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필터 체결부가 상기 필터에 체결되었을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필터의 내부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스페이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필터에 체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필터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스페이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의 내부에 삽입되는, 호흡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필터가 장착된 마스크에서 사용자의 호흡을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호흡 보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호흡 보조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안면 커버부에 호흡 보조 장치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4의 C-C'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결합', '유동'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결합, 유동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 보조 장치(100)를 포함하는 마스크(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대기 중의 오염물질, 병균 및 먼지 등이 사용자의 코와 입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1)는 마스크(1)를 착용한 사용자의 호흡을 보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스크(1)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쾌적하게 호흡(흡기)할 수 있다. 마스크(1)는 호흡 보조 장치(100), 안면 커버부(200) 및 필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호흡 보조 장치(100)는 마스크(1)를 착용한 사용자의 호흡을 보조할 수 있다. 이러한 호흡 보조 장치(100)는 필터(300)를 통과한 공기가 안면 커버부(200)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호흡 보조 장치(100)는 필터(300)를 통과한 공기를 안면 커버부(200)를 향해 유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호흡 보조 장치(100)는 안면 커버부(20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일측과, 필터(30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타측을 구비할 수 있다. 호흡 보조 장치(100)는 바디부(110), 스페이서(120) 및 팬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스페이서(120) 및 팬 유닛(13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10)는 안면 커버부(200)와 필터(300) 사이에서 안면 커버부(200)와 필터(300)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바디부(110)의 일측은 후술할 마스크 커넥터(111)를 통하여 안면 커버부(2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바디부(110)의 타측은 후술할 필터 체결부(124)를 통하여 필터(30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10)는 후술할 블레이드(132)의 회전 중심과 안면 커버부(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바디부(110)의 일측면에는 안면 커버부(20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마스크 커넥터(1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디부(110)는 마스크 커넥터(111)를 통하여 안면 커버부(200)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 커넥터(111)는 바디부(110)의 일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커넥터(111)에는 후술할 흡기 포트(230)의 포트 돌기(231)가 삽입될 수 있는 커넥터 홈(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홈(111a)에는 포트 돌기(231)가 삽입될 수 있으며, 커넥터 홈(111a)의 형상은 포트 돌기(231)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마스크 커넥터(111)와 흡기 포트(230)가 결합되었을 때, 팬 유닛(130)은 공기 통로(112)로부터 흡기 포트(230)와 마스크 커넥터(111)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호흡 보조 장치(100)를 안면 커버부(200)에 장착하기 위하여 바디부(110)를 안면 커버부(200)에 결합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포트 돌기(231)가 커넥터 홈(11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도록 바디부(110)를 흡기 포트(230)에 위치시킨다. 포트 돌기(231)가 커넥터 홈(111a)을 통과하도록 흡기 포트(230)를 바디부(110)의 내측 방향(예를 들어, 도 6의 좌측)으로 삽입한다. 이때, 바디부(110)를 안면 커버부(200)에 대하여 일 방향(예를 들어, 도 5의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포트 돌기(231)가 마스크 커넥터(111)의 내측에 지지될 수 있다. 이처럼, 포트 돌기(231)가 마스크 커넥터(111)에 의해 지지되면 호흡 보조 장치(100)는 안면 커버부(2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처럼, 마스크 커넥터(111)와 흡기 포트(230)가 결합되면, 마스크 커넥터(111)는 흡기 포트(230)와 연통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10)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마스크 커넥터(111) 및 흡기 포트(230)를 통하여 안면 커버부(200)의 내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호흡 보조 장치(100)를 안면 커버부(200)로부터 탈거하기 위하여 포트 돌기(231)가 커넥터 홈(11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도록 바디부(110)를 안면 커버부(200)에 대하여 타 방향(예를 들어, 도 5의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다. 이때, 포트 돌기(231)가 커넥터 홈(11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면 포트 돌기(231)가 커넥터 홈(111a)을 통과하여 바디부(110)의 외측 방향(예를 들어, 도 6의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바디부(110)를 이동시킨다. 또한, 포트 돌기(231)가 마스크 커넥터(111)로부터 분리되면 호흡 보조 장치(100)는 안면 커버부(200)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이처럼, 바디부(110)는 마스크 커넥터(111)가 흡기 포트(230)와 결합됨으로써 안면 커버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커넥터(111)에 흡기 포트(230)가 결합되었을 때, 마스크 커넥터(111)와 흡기 포트(230)는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110)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마스크 커넥터(111) 및 흡기 포트(230)를 통하여 안면 커버부(200)의 내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바디부(110)의 내측에는 필터(300)를 통과한 공기가 바디부(110)의 내측으로 유동하기 위한 공기 통로(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통로(112)는 바디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마스크 커넥터(111)와 연통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 통로(112)는 후술할 유입구(123)와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300)를 통과한 공기는 유입구(123)를 통하여 공기 통로(112)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통로(112)의 내측에는 팬 유닛(13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공기 통로(112)의 내측에 팬 유닛(130)이 배치됨으로써, 공기 통로(112)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팬 유닛(130)에 의해 바디부(110)의 내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통로(112)는 필터(300)과 대향하거나 마스크(1)를 착용한 사용자의 안면과 대향하도록 개구될 수 있다. 또한, 공기 통로(112)는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7과 함께 도 2 및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스페이서(120)는 바디부(110)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고, 필터(300)에 체결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120)가 필터(300)에 체결되었을 때, 스페이서(120)의 적어도 일부는 필터(300)의 내부에 삽입된다. 또한, 스페이서(120)는 제1 필터층(310) 및 제2 필터층(32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후술할 제1 필터층(310)과 제2 필터층(320)을 이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120)는 제2 필터층(320)을 관통하여 삽입되되 제1 필터층(310)을 지지함으로써, 제1 필터층(310) 및 제2 필터층(320)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20)는 후술할 필터(300) 내부의 공간을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호흡(흡기)에 의해 필터(300)를 통과하여 필터(300) 내부에 소정 시간 머무르는 공기는 호흡 보조 장치(100)를 통하여 안면 커버부(200)로 유동하게 된다. 마스크(1)가 스페이서(120)를 가지지 않는다면 필터(300) 내부의 공기가 호흡 보조 장치(100)로 배출됨으로써 제1 필터층(310)과 제2 필터층(320)은 서로 밀착될 수 있는데, 제1 필터층(310)과 제2 필터층(320)이 서로 밀착되면 사용자의 호흡이 방해될 수 있다. 그러나, 스페이서(120)가 제1 필터층(310) 및 제2 필터층(32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제1 필터층(310)과 제2 필터층(320)을 이격시킴으로써, 제1 필터층(310)과 제2 필터층(320)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300) 내부의 소정의 공간은 스페이서(120)에 의해 소멸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으며, 스페이서(120)는 제1 필터층(310)과 제2 필터층(320)의 밀착에 의해 사용자의 호흡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20)는 바디부(110)로부터 탈거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120)는 지지대(121), 연결부(122) 및 필터 체결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지지대(121)는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필터층(310)과 제2 필터층(320)이 서로 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필터층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121)는 필터 체결부(124)가 필터(300)에 체결되었을 때 적어도 일부가 필터(3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지지대(121)는 제2 필터층(320)을 관통하여 삽입되었을 때, 제1 필터층(310)을 지지함으로써 제1 필터층(310)과 제2 필터층(320)을 이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지지대(121)는 필터 체결부(124)로부터 필터(3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방향(예를 들어, 도 6의 좌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지지대(121)는 복수 개의 지지대(1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지지대(121)가 제공될 경우, 복수 개의 지지대(121)의 단부는 연결부(12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121)의 일측 단부는 필터 체결부(12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지지대(121)의 타측 단부는 연결부(122)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지지대(121)는 제1 지지대(121a) 및 제2 지지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대(121a) 및 제2 지지대(121b)는 팬 유닛(130)이 배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처럼, 팬 유닛(130)은 제1 지지대(121a) 및 제2 지지대(121b)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대(121a) 및 제2 지지대(121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대(121a) 및 제2 지지대(121b)는 각각 한 쌍이 더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지지대(121) 중 적어도 일부 사이는 팬 유닛(130)에 의해 차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지지대(121) 중 적어도 다른 일부 사이는 개구되어 후술할 유입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2)는 제1 필터층(310)과 제2 필터층(320)을 이격시킴으로써, 제1 필터층(310)과 제2 필터층(320)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 이상의 지지대(121)가 제2 필터층(320)을 관통하여 삽입되면, 연결부(122)는 제2 필터층(320)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필터층(310)과 제2 필터층(320)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00)는 스페이서(120)가 제2 필터층(320)을 관통하여 삽입될 때, 제1 필터층(310)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2)는 팬 유닛(130)의 일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22)는 필터 체결부(124)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대(121)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2)는 필터(100)의 내측면과 대향하도록 지지대(121)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22)는 필터(10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2)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부드러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120)가 필터(300) 내에 삽입되고, 필터(300)의 체결을 위해 필터(300)가 호흡 보조 장치(100)에 대하여 회전할 때, 지지대(121)의 단부와 필터(300)의 내면 사이의 마찰이 경감될 수 있다.
한편,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스페이서(120)에는 유입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300)를 통과한 공기는 유입구(123)를 통하여 스페이서(120) 내부로 유입되고, 스페이서(1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팬 유닛(130)을 거쳐 공기 통로(112)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123)는 필터(300)의 내측과 연통할 수 있으며, 공기 통로(112)와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유입구(123)를 통과한 공기는 필터 체결부(124)를 거쳐 공기 통로(112)의 내측에 배치된 팬 유닛(130)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으며, 팬 유닛(130)에 의해 바디부(100)의 내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123)는 복수 개의 지지대(121)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입구(123)는 복수 개의 지지대(121) 중 팬 유닛(130)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적어도 일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필터(300)를 통과하여 유입구(123)로 유동하는 공기는 팬 유닛(130)이 구동되지 않을 때도 유입구(123) 및 공기 통로(112)를 통과하여 바디부(110)의 내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유입구(123)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유입구(123)는 제1 유입구(123a) 및 제2 유입구(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스페이서(120)의 양측에 제1 유입구(123a) 및 제2 유입구(123b)가 형성됨으로써, 필터(300)를 통과한 공기는 스페이서(120)의 양측(예를 들어, 도 6의 상측 및 하측)에서 바디부(100)의 내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필터(300)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는 제1 유입구(123a)를 통하여 팬 유닛(130)으로 유동하며, 필터(300)를 통과한 공기의 다른 일부는 제2 유입구(123b)를 통하여 팬 유닛(130)으로 유동한다. 예를 들어, 제1 유입구(123a) 및 제2 유입구(123b)는 복수 개의 지지대(121)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스페이서(120)의 중심부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필터 체결부(124)는 필터(300)와 호흡 보조 장치(100)를 체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필터 체결부(124)는 필터(300)의 고정구(33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체결부(124)는 필터(300)의 고정구(330)와 결합됨으로써, 스페이서(120)와 필터(3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필터 체결부(124)의 일측은 바디부(110)에 지지될 수 있으며, 필터 체결부(124)의 타측은 복수 개의 지지대(121)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체결부(124)는 바디부(110)로부터 탈거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필터 체결부(124)가 바디부(110)로부터 탈거됨으로써, 스페이서(120)는 바디부(110)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필터 체결부(124)에 필터(30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바디부(110)를 흡기 포트(230)에 결합시켜 호흡 보조 장치(100), 안면 커버부(200) 및 필터(300)를 일체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필터 체결부(124)의 형상은 흡기 포트(230)의 형상과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300)를 안면 커버부(200)에 바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호흡 보조 장치(100) 없이 필터(300) 및 안면 커버부(200)를 일체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팬 유닛(130)은 필터(300)를 통과하여 유입구(123)로 유입된 공기를 바디부(100)의 내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 유닛(130)의 일부는 공기 통로(11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공기 통로(112)로 유입된 공기를 바디부(100)의 내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팬 유닛(130)은 마스크(1) 사용자의 안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필터(300) 내에서의 공기의 유동 방향과 팬 유닛(130)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은 수직일 수 있다. 또한, 팬 유닛(130)은 그 일부가 공기 통로(112)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팬 유닛(130)의 일부는 필터(300)에 삽입될 수 있으며, 필터(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팬 유닛(130)의 다른 일부는 필터(300)가 연장되는 방향(예를 들어, 도 6의 상하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필터(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팬 유닛(130)은 바디부(100) 및 스페이서(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팬 유닛(130)은 스페이서(1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팬 유닛(130)은 복수 개의 지지대(121), 및 연결부(12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팬 유닛(130)의 적어도 일부가 복수 개의 지지대(121) 및 연결부(122)로 둘러싸인 공간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팬 유닛(130)과 필터(300)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팬 유닛(130)은 필터(300)의 내부에 배치되어 필터(300)로부터 유입구(123)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300)의 간섭 없이 바디부(110)의 내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팬 유닛(130)이 구동되면, 팬 유닛(130)이 구동되지 않을 때 공기 통로(112)를 통하여 바디부(110)의 내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보다 더 많은 유량의 공기가 바디부(110)의 내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처럼, 팬 유닛(130)은 보다 많은 양의 공기를 안면 커버부(200)의 내측으로 유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호흡을 보조할 수 있다. 이러한 팬 유닛(130)은 팬 바디(131), 블레이드(132) 및 회전축(133)을 포함할 수 있다.
팬 바디(131)는 블레이드(132) 및 회전축(133)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팬 바디(131)는 스페이서(120) 및 공기 통로(11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지지대(121) 및 연결부(122)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팬 유닛(130)은 스페이서(120)의 복수 개의 지지대(121) 사이에 팬 바디(131)가 개재됨으로써 스페이서(1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팬 바디(131)의 일부는 복수 개의 지지대(121)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지지대(121) 중 적어도 일부 사이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팬 바디(131)는 블레이드(132)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마스크(1)의 내부를 향하도록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팬 바디(131)에 의해 공기는 안면 커버부(20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로 안내될 수 있다.
블레이드(132)는 소정의 회전 경로를 따라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유입구(123)를 통하여 스페이서(120)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바디부(110)의 내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132)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회전축(133)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공기를 공기 통로(112)를 통과하도록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32)는 회전축(133)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팬 유닛(130)은 회전축(133)이 안면 커버부(20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 유닛(130)은 블레이드(132)의 회전축(133)이 공기 통로(112)의 외부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블레이드(132)의 회전 중심은 필터(300) 내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132)는 팬 바디(13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블레이드(132)는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132)가 회전하는 동안 각 블레이드(132)는 회전 경로 중 어느 일부에서 공기 통로(112)에 가까워지고 회전 경로 중 다른 일부에서 공기 통로(112)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처럼,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132)는 회전 경로 중 일부는 공기 통로(112)에 가까워지고 다른 일부는 공기 통로(112)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함으로써, 공기가 공기 통로(112)를 통과하도록 유동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132)가 복수 개로 제공될 경우 복수 개의 블레이드(132) 중 일부는 연결부(12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122)는 블레이드(132)가 필터(300)의 내면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132)는 회전 중심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블레이드(132)는 회전축(133)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32)는 회전 중심으로부터 회전 경로의 외측으로 휘어지며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132)는 회전 중심의 일측에서의 곡률 반경과 회전 중심의 타측에서의 곡률 반경이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블레이드(132)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132)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평면에 대하여 면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33)은 블레이드(132)를 지지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132)의 회전 중심을 따라 연장되는 축일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133)은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 방향은 도 3 및 도 7에서 회전축(133)이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회전축(133)은 유입구(123)를 통하여 스페이서(120)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 통로(112)의 내측으로 평균적으로 유동하는 방향(예를 들어, 도 6의 우측 방향)과 수직인 방향(예를 들어, 도 6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안면 커버부(200)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코와 입을 덮도록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안면 커버부(200)는 비투과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안면에 보다 용이하게 밀착되기 위하여 사용자의 안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안면 커버부(200)에는 사용자의 안면에 결합되기 위해 별도의 스트랩(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안면 커버부(200)는 접합 부재(210), 공기 유입부(220) 및 흡기 포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 부재(210)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코와 잎을 덮도록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접합 부재(210)는 대기중의 오염물질, 병균 및 먼지가 사용자의 호흡기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기 유입부(220)는 접합 부재(210)의 외부로부터 접합 부재(2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유입부(220)는 접합 부재(21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공기 유입부(220)는 안면 커버부(200)의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 표시하였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공기 유입부(220)는 안면 커버부(20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안면 커버부(200)의 중심선(C) 상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흡기 포트(230)는 호흡 보조 장치(100)가 안면 커버부(200)에 결합되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흡기 포트(230)는 공기 유입부(22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기 포트(230)에는 포트 돌기(2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포트 돌기(231)는 흡기 포트(23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 홈(111a)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포트 돌기(231)는 커넥터 홈(111a)을 통하여 마스크 커넥터(11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바디부(110)가 안면 커버부(200)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하면, 포트 돌기(231)는 마스크 커넥터(111)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포트 돌기(231)가 마스크 커넥터(111)에 지지됨으로써, 호흡 보조 장치(100)는 안면 커버부(200)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흡기 포트(230)는 필터(300)의 고정구(330)와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면 커버부(200)는 흡기 포트(230)가 고정구(330)와 맞물림으로써, 호흡 보조 장치(100) 없이 필터(300)와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필터(300)는 대기 중의 공기로부터 오염물질, 세균 및 먼지 등을 여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필터(300)는 사용자가 숨을 들이마시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켜 호흡 보조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필터(300)는 호흡 보조 장치(100)에 구비되는 스페이서(120)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300)는 제1 필터층(310), 제2 필터층(320) 및 고정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층(310) 및 제2 필터층(320) 중 어느 하나에는 스페이서(120)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터층(310)은 연결부(122)와 밀착될 수 있으며, 제2 필터층(320)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121)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필터층(310) 및 제2 필터층(320)은 스페이서(120)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페이서(120)가 제2 필터층(320)을 관통 삽입하여 제1 필터층(310)과 제2 필터층(32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제1 필터층(310)과 제2 필터층(320)이 서로 밀착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제1 필터층(310) 및 제2 필터층(320)의 가장자리는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필터층(310) 및 제2 필터층(320)은 연결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의 내측에 제1 필터층(310) 및 제2 필터층(320)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한 공기가 소정 시간 동안 머무를 수 있다.
고정구(330)는 필터(300)와 호흡 보조 장치(100)를 체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구(330)가 호흡 보조 장치(100)의 필터 체결부(124)와 체결됨으로써, 필터(300)와 호흡 보조 장치(100)는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구(330)는 제2 필터층(32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고정구(330)의 형상은 바디부(110)의 마스크 커넥터(111)의 형상과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구(330)는 안면 커버부(200)의 포트 돌기(231)와 결합될 수 있으며, 호흡 보조 장치(100)없이 필터(300)는 안면 커버부(20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마스크(1) 및 호흡 보조 장치(10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먼저 필터(300)에 호흡 보조 장치(100)의 스페이서(120)를 관통하여 삽입시킨 후, 필터 체결부(124)와 고정구(330)를 체결시킴으로써, 호흡 보조 장치(100)를 필터(300)에 장착시킬 수 있다. 호흡 보조 장치(100)와 필터(300)가 결합되면, 안면 커버부(200)와 호흡 보조 장치(10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안면 커버부(200)의 흡기 포트(230)와 호흡 보조 장치(100)의 마스크 커넥터(111)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흡기 포트(230)의 포트 돌기(231)를 마스크 커넥터(111)의 커넥터 홈(111a)에 삽입시킨 후, 바디부(110)를 안면 커버부(200)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호흡 보조 장치(100)를 안면 커버부(20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안면 커버부(200)와 호흡 보조 장치(100)가 결합되면 마스크(1)를 착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마스크(1)를 착용했을 때, 호흡을 들이마시는 동안 외부의 공기는 필터(300)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 오염물질 및 세균 등이 걸러질 수 있다. 이러한 필터(300)를 통과하여 미세먼지 등이 걸러진 공기는 제1 유입구(123a) 및 제2 유입구(123b)를 통하여 공기 통로(112)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통로(112)로 유입된 공기는 팬 유닛(130)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팬 유닛(130)은 유입구(123)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바디부(110)의 내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바디부(110)의 내측으로 유동된 공기는 마스크 커넥터(111) 및 흡기 포트(230)를 거쳐서 안면 커버부(200)의 내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안면 커버부(200)의 내측으로 배출된 깨끗한 공기를 흡기 시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 보조 장치(100) 및 마스크(1)는 사용자가 호흡하는 동안 미세먼지, 오염물질 및 세균 등이 걸러진 깨끗한 공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흡 보조 장치(100) 내부의 팬 유닛(130)을 통하여 더 많은 유량의 공기를 안면 커버부(200)의 내측으로 유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호흡을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팬 유닛(130)이 작동하지 않을 때에도 공기를 원활하게 필터(300)로부터 안면 커버부(200)의 내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나열이다.
항목 1은 필터에 체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필터 체결부; 및 상기 필터 체결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필터 체결부가 상기 필터에 체결되었을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필터의 내부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스페이서다.
항목 2는 상기 필터는, 제1 필터층 및 상기 제1 필터층과 연결되는 제2 필터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대는, 상기 제2 필터층을 관통하여 삽입되되, 상기 제1 필터층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 필터층과 상기 제2 필터층을 서로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다.
항목 3은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대가 상기 제2 필터층을 관통하여 삽입될 때, 상기 제1 필터층에 밀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스페이서다.
항목 4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대는 복수 개의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필터 체결부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스페이서다.
항목 5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대는 복수 개의 지지대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지지대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필터 체결부로 유동하는, 스페이서다.
항목 6은 상기 유입구는 복수 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유입구는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스페이서다.
항목 7은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대는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팬 유닛이 배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는 서로 이격되는, 스페이서다.
항목 9는 상기 스페이서를 지지하기 위한 바디부를 더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이다.
항목 10은 상기 필터는, 제1 필터층 및 상기 제1 필터층과 연결되는 제2 필터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2 필터층을 관통하여 삽입되되, 상기 제1 필터층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 필터층과 상기 제2 필터층을 서로 이격시키는, 호흡 보조 장치다.
항목 11은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필터와 체결되기 위한 필터 체결부; 및 상기 필터 체결부로부터 상기 필터의 내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다.
항목 12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대는 복수 개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다.
항목 13는 상기 필터는, 제1 필터층 및 상기 제1 필터층과 연결되는 제2 필터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제2 필터층을 관통하여 삽입될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필터층에 밀착되는, 호흡 보조 장치다.
항목 14는 상기 필터는, 제1 필터층, 상기 제1 필터층과 연결되는 제2 필터층 및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필터 체결부가 상기 고정구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필터와 체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대는 상기 제1 필터층과 상기 제2 필터층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 필터층을 지지하는, 호흡 보조 장치다.
항목 15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대는 복수 개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지지대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상기 공기는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바디부의 내측으로 유동하는, 호흡 보조 장치다.
항목 16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 통로로 유동하는, 호흡 보조 장치다.
항목 17은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탈거 가능하게 구성되는, 호흡 보조 장치다.
항목 18은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바디부를 향하여 유동시키는 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대는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팬 유닛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기 위하여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개재되는, 호흡 보조 장치이다.
항목 19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안면 커버부;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에 체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필터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스페이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의 내부에 삽입되는, 마스크이다.
항목 20은 상기 안면 커버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를 지지하기 위한 바디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이다.
항목 21은 상기 안면 커버부는 흡기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 지지되고, 상기 흡기 포트에 결합될 수 있는 마스크 커넥터를 포함하는, 마스크이다.
항목 22는 상기 마스크 커넥터에 상기 흡기 포트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마스크 커넥터는 상기 흡기 포트와 연통 가능한, 마스크이다.
항목 23는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바디부의 내측으로 유입된 상기 공기는 상기 마스크 커넥터 및 상기 흡기 포트를 통하여 상기 안면 커버부의 내측으로 유동하는, 마스크이다.
항목 24는 상기 필터는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고정구와 체결되기 위한 필터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고정구가 상기 필터 체결부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스페이서와 결합되는, 마스크이다.
항목 25는 상기 안면 커버부는 상기 고정구와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흡기 포트를 포함하는, 마스크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마스크 100: 호흡 보조 장치
110: 바디부 111: 마스크 커넥터
111a: 커넥터 홈 112: 공기 통로
120: 스페이서 121: 지지대
121a: 제1 지지대 121b: 제2 지지대
122: 연결부 123: 유입구
123a: 제1 유입구 123b: 제2 유입구
124: 필터 체결부 130: 팬 유닛
131: 팬 바디부 132: 블레이드
133: 회전축 200: 안면 커버부
210: 접합 부재 220: 공기 유입부
230: 흡기 포트 231: 포트 돌기
300: 필터 310: 제1 필터층
320: 제2 필터층 330: 고정구

Claims (25)

  1. 필터에 체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필터 체결부; 및
    상기 필터 체결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필터 체결부가 상기 필터에 체결되었을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필터의 내부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제1 필터층 및 상기 제1 필터층과 연결되는 제2 필터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대는,
    상기 제2 필터층을 관통하여 삽입되되, 상기 제1 필터층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 필터층과 상기 제2 필터층을 서로 이격시키는,
    스페이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대가 상기 제2 필터층을 관통하여 삽입될 때, 상기 제1 필터층에 밀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스페이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대는 복수 개의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필터 체결부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스페이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대는 복수 개의 지지대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지지대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필터 체결부로 유동하는,
    스페이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복수 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유입구는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스페이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대는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팬 유닛이 배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는 서로 이격되는,
    스페이서.
  8. 필터에 체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필터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스페이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의 내부에 삽입되는,
    호흡 보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를 지지하기 위한 바디부를 더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제1 필터층 및 상기 제1 필터층과 연결되는 제2 필터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2 필터층을 관통하여 삽입되되, 상기 제1 필터층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 필터층과 상기 제2 필터층을 서로 이격시키는,
    호흡 보조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필터와 체결되기 위한 필터 체결부; 및
    상기 필터 체결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대는 복수 개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복수 개의 지지대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호흡 보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제1 필터층 및 상기 제1 필터층과 연결되는 제2 필터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제2 필터층을 관통하여 삽입될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필터층에 밀착되는,
    호흡 보조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제1 필터층, 상기 제1 필터층과 연결되는 제2 필터층 및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필터 체결부가 상기 고정구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필터와 체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대는 상기 제1 필터층과 상기 제2 필터층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 필터층을 지지하는,
    호흡 보조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대는 복수 개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지지대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바디부의 내측으로 유동하는,
    호흡 보조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 통로로 유동하는,
    호흡 보조 장치.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탈거 가능하게 구성되는,
    호흡 보조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바디부를 향하여 유동시키는 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대는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팬 유닛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기 위하여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개재되는,
    호흡 보조 장치.
  19.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 가능하게 제공되는 안면 커버부;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에 체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필터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스페이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필터의 내부에 삽입되는,
    마스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커버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를 지지하기 위한 바디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커버부는 흡기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 지지되고, 상기 흡기 포트에 결합될 수 있는 마스크 커넥터를 포함하는,
    마스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커넥터에 상기 흡기 포트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마스크 커넥터는 상기 흡기 포트와 연통 가능한,
    마스크.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바디부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마스크 커넥터 및 상기 흡기 포트를 통하여 상기 안면 커버부의 내측으로 유동할 수 있는,
    마스크.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고정구와 체결되기 위한 필터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고정구가 상기 필터 체결부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스페이서와 결합되는,
    마스크.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커버부는 상기 고정구와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흡기 포트를 포함하는,
    마스크.
KR1020200048723A 2020-04-22 2020-04-22 스페이서, 호흡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KR20210130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723A KR20210130881A (ko) 2020-04-22 2020-04-22 스페이서, 호흡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PCT/IB2021/053302 WO2021214691A1 (en) 2020-04-22 2021-04-21 Spacer, respiration assist device and mask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723A KR20210130881A (ko) 2020-04-22 2020-04-22 스페이서, 호흡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881A true KR20210130881A (ko) 2021-11-02

Family

ID=75674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723A KR20210130881A (ko) 2020-04-22 2020-04-22 스페이서, 호흡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30881A (ko)
WO (1) WO202121469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6058A (en) * 1988-05-17 1989-12-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ilter element
CN2455276Y (zh) * 2000-11-06 2001-10-24 玄欣实业股份有限公司 改进型防烟呛面罩
US8984753B2 (en) * 2010-05-20 2015-03-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filter cartridge having roll-based housing sidewall
WO2013056390A1 (en) * 2011-10-18 2013-04-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outhbit respiratot
US20180250537A1 (en) * 2017-03-03 2018-09-06 Waterford Mask Systems Inc. Facemask with Pleated Filter and Continuous Str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4691A1 (en)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466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KR101959664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CN113423474B (zh) 个人用空气净化器
TWI609711B (zh) 具有分流效果的呼吸罩
TWI755225B (zh) 口罩裝置
KR102471392B1 (ko) 기능성 마스크
KR102076430B1 (ko) 미세먼지 필터링 마스크
KR20190097802A (ko) 마스크
KR101944969B1 (ko) 콧구멍에 삽입되는 비강 마스크
KR102069369B1 (ko) 다기능 마스크
KR102210712B1 (ko) 필터 마스크
KR102428122B1 (ko) 휴대용 공기공급장치
KR20210130881A (ko) 스페이서, 호흡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KR102120473B1 (ko)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KR20120102255A (ko) 김서림 방지 테라피 마스크
KR20210130871A (ko) 호흡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TWM531291U (zh) 具有分流效果的呼吸罩
JP7418605B2 (ja) マスク
WO2021214694A1 (en) Mask
CN106924905A (zh) 可穿戴呼吸装置
TWM614198U (zh) 管狀過濾器及用於過濾受污染的環境空氣之系統
KR20210101551A (ko) 마스크
CN206777623U (zh) 手持式空气净化呼吸装置及包括其的主动送风口罩
KR102629895B1 (ko) 공기유동을 따른 편안한 호흡이 가능한 안면 마스크장치
KR102337725B1 (ko) 싸이클론을 활용한 음압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