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391A -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391A
KR20210130391A KR1020200048518A KR20200048518A KR20210130391A KR 20210130391 A KR20210130391 A KR 20210130391A KR 1020200048518 A KR1020200048518 A KR 1020200048518A KR 20200048518 A KR20200048518 A KR 20200048518A KR 20210130391 A KR20210130391 A KR 20210130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toilet
bracket
fixing groo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0134B1 (ko
Inventor
김승현
Original Assignee
김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현 filed Critical 김승현
Priority to KR1020200048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134B1/ko
Publication of KR20210130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 시트의 체결구조 개선을 통해 양변기 규격에 따른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양변기에 장착되는 체결브라켓과, 양변기 커버에 장착되는 커버홀더가 구비되어 체결브라켓에 형성된 락킹구조에 의하여 슬라이드 방시으로 양변기와 양변기 커버가 조립 및 분해가 이루어지는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체결부 각각에는 체결단턱과 체결공을 형성하여 브라켓 양단의 플랜지부가 체결단턱에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 너트, 쐐기로 구성되는 체결수단으로 체결브라켓이 양변기에 조임 고정되도록 하고, 체결브라켓의 체결단턱의 상단 내벽에는 위치고정홈을 형성하면서 브라켓의 양측에는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형성하여 스토퍼가 위치고정홈에 끼워 삽입되어 정위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브라켓과 체결단턱이 요철구조로 서로 맞물리게 형성하여 이중으로 고정되어 체결브라켓이 설치된 상태에서 비틀림을 방지하고, 위치고정홈은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고정홈과 제2고정홈으로 분리 구성하여 브라켓의 조립위치를 가변하면서 양변기 규격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2고정홈의 폭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중형, 대형 또는 특대형의 양변기 시트로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toilet lid fastening structure}
본 발명은 원터치로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 시트의 체결구조 개선을 통해 양변기 규격에 따른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양변기 커버는 양변기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사람이 변기에 앉을 수 있게 걸터앉을 시트와,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덮을 수 있는 커버로 구성된다.
이러한 양변기 커버의 장착구조는 시트 후방에서 볼트를 넣고 변기 뒤쪽 아래에서는 너트를 대고 조임으로써 체결이 이루어지는데, 그 조립방법이 불편한 자세로 변기를 껴안듯이 작업을 해야 하므로 변기와의 체결이 번거롭고 청소 또는 커버 교체를 위해 너트를 분리시켜 해체하여야 하나 너트는 양변기의 상부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를 분리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8945호, 등록특허 제10-1910916호, 등록특허 제10-2039873호 등에서는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브라켓을 먼저 양변기에 조립한 후, 그 체결브라켓에 원터치 락킹구조에 의하여 양변기 커버를 밀어넣는 방식으로 원터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즉, 등록특허 제10-1910916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몸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체결브라켓(110)과, 변기커버에 결합되는 체결부(120), 상기 체결브라켓(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락커(130), 상기 체결부(120)의 걸림돌기(122)로부터 상기 락커(130)를 해정시키는 원터치 노리쇠(140), 상기 락커(130)가 상기 걸림돌기(122)에 걸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체결브라켓이 양변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양변기 커버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밀어서 완전히 끼우면 락킹이 이루어지고, 커버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체결브라켓에 있는 버튼을 눌러서 양변기 커버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체결브라켓(110)은 체결단턱(111a)과 체결공(111b)이 형성된 한쌍의 브라켓 체결부(111)에 브라켓(101)을 끼워 볼트 조립에 의하여 양변기에 고정함으로써 체결브라켓(110)이 조립되고, 양변기 크기에 따라 커버의 설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원터치 양변기 커버는 체결브라켓을 먼저 양변기에 조립한 후에 양변기 커버를 조립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닌 이상 일반 사람들이 체결브라켓을 먼저 설치할 때 그 설치위치를 특정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양변기 커버 위치가 튀어나오거나 들어가는 등 잘못 설치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정확한 설치를 위해서는 체결브라켓을 양변기에 가조립 한 이후에 양변기 커버를 끼워서 위치를 확인하고, 다시 분리하여 위치를 재설정한 이후에 조립하는 등 커버 설치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과정이 매우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되는 구조는 무소음 힌지가 적용되는 양변기 커버에 사용되는 것으로, 무소음 커버는 커버를 열고 닫을 때 댐퍼 방식에 의하여 커버의 개폐속도를 저감시켜 충격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커버를 열고 닫을 때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양변기 커버가 정위치에 설치되지 않을 경우 커버가 양변기 물통 등에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댐퍼 구조가 적용되기 때문에 커버를 열고 닫을 때 체결브라켓에 걸리는 하중이 높기 때문에 체결부위에서 유동이 발생할 우려가 높고, 반복적인 작동을 하면서 시간이 흐르다보면 브라켓 자체가 유동되면서 체결부위가 느슨해지고, 좌,우 비틀림이 발생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이 반복되면서 시트의 비틀림이 발생하며 체결부위가 헐거워지거나 체결압력에 의하여 체결부위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터치 방식의양변기 커버 체결구조에 있어서 양변기의 종류에 따라 양변기 시트의 설치위치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양변기 시트가 양변기에 고정된 상태에서 좌,우 비틀림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양변기에 장착되는 체결브라켓과, 양변기 커버에 장착되는 커버홀더가 구비되어 체결브라켓에 형성된 락킹구조에 의하여 슬라이드 방시으로 양변기와 양변기 커버가 조립 및 분해가 이루어지는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체결부 각각에는 체결단턱과 체결공을 형성하여 브라켓 양단의 플랜지부가 체결단턱에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 너트, 쐐기로 구성되는 체결수단으로 체결브라켓이 양변기에 조임 고정되도록 하고, 체결브라켓의 체결단턱의 상단 내벽에는 위치고정홈을 형성하면서 브라켓의 양측에는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형성하여 스토퍼가 위치고정홈에 끼워 삽입되어 정위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브라켓과 체결단턱이 요철구조로 서로 맞물리게 형성하여 이중으로 고정되어 체결브라켓이 설치된 상태에서 비틀림을 방지하고, 위치고정홈은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고정홈과 제2고정홈으로 분리 구성하여 브라켓의 조립위치를 가변하면서 양변기 규격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2고정홈의 폭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중형, 대형 또는 특대형의 양변기 시트로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에 의하면, 양변기 커버를 정위치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위치고정홈에 브라켓 양측의 스토퍼가 삽입되어 체결브라켓이 고정된 상태에서 좌,우 비틀림을 방지하고 양변기 시트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토퍼와 요철면이 이중으로 고정되므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장기각 사용시에도 쉽게 헐거워지지 않고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체결부위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양변기 시트가 정위치에 설치되므로 커버을 열고 닫을 때 부딪침이 없기 때문에 완벽한 무소음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중형, 대형은 물론, 특대형으로도 설치가 가능하고, 양변기의 고정홀의 간격에 오차가 발생하거나 규격이 미세하게 벗어난 양변기 등에도 세밀하게 조정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그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서 금형을 크게 변형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비 증가요인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소음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도
도 4는 도 2의 상세 조립 구조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체결브라켓과 커버홀더의 락킹구조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위치고정홈을 활용한 양변시 시트의 체결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위치고정홈을 활용한 브라켓의 미세 조정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브라켓 체결부에 표시부가 형성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변기(1)에 장착되는 체결브라켓(10)에 커버홀더(2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조립되어 양변기 커버(2)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브라켓(10)은 좌,우 양측으로 양변기와 조립하기 위한 한 쌍의 브라켓 체결부(12)가 형성되되, 양측의 브라켓 체결부(12)의 사이에는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작동하는 노리쇠 부재(14) 및 노리쇠 부재에 맞물려 장착되어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작동하는 한 쌍의 잠금봉(16)이 구비되어 노리쇠 부재(14)의 전,후방 왕복 작동에 의하여 잠금봉(16)이 연동하여 좌,우 양측의 잠금봉이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지면서 커버홀더(20)의 진입 상태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가 이루어지면서 양변기(1)와 양변기 커버(2)를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브라켓(10)은 노리쇠 부재(14)와 잠금봉(16)을 수용하기 위한 노리쇠 수용홈과 잠금봉 수용홈이 구비되어 노리쇠 부재(14)는 노리쇠 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왕복 작동이 가능하도록 되고, 잠금봉(16)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잠금봉 수용홈(126)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 양측으로 벌어지거나 좁혀지도록 왕복 작동을 하면서 체결브라켓(10)과 커버홀더(20)의 체결상태를 락킹하거나 락킹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브라켓(10)과 커버홀더(20)의 조립부위는 레일 구조로 맞물리게 형성되어 슬라이드 끼움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으며, 체결브라켓(10)은 브라켓 체결부(12)에 레일(11)이 형성되고, 커버홀더(20)에도 레일끼움부(21)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끼워 슬라이드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일(11)은 체결브라켓(10)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견고한 고정을 위해서는 양변기 체결을 위한 브라켓 체결부(12)에 근접한 위치에서 레일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마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브라켓 체결부(12)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 레일(11)을 형성함으로써 체결브라켓(10)과 커버홀더(20)가 긴밀히 끼워지고, 체결브라켓(10)과 커버홀더(20)가 체결된 상태에서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체결부(12) 각각에는 체결단턱(12a)과 체결공(12b)이 형성되어 브라켓(30)이 안착되고, 그 브라켓(30)은 체결수단(40)에 의하여 양변기(1)에 조임 고정되어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브라켓 체결부(12)는 대략적인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틀로 구성되고, 틀의 내벽에는 좌,우 양측으로 체결단턱(12a)이 형성되되 체결단턱(12a)은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브라켓(30)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32)가 올려진 상태에서 브라켓(30)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 체결부(12)의 체결단턱(12a)의 상단 내벽에는 위치고정홈(13)을 마련하고, 상기 브라켓(30)의 양측에는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33)를 형성하면 스토퍼(33)를 이용하여 위치고정홈(13)에 끼워서 정위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고정홈(13)은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고정홈(13a) 및 제2고정홈(13b)으로 분리 구성되어 브라켓(30)의 조립위치를 가변하면서 양변기 규격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에 따른 설치 순서를 설명하면, 먼저 양변기(1) 상단의 고정홀이 형성된 부분에 체결브라켓(10)을 올려 두고, 브라켓(30)을 체결브라켓(10)의 브라켓 체결부(12)에 끼워서 브라켓(30)과 양변기의 고정홀의 설치위치가 일치되도록 한 후에 체결수단(40)을 조여서 고정함으로써 체결브라켓(10)이 양변기에 설치되는 것이고, 그 상태에서 양변기 커버(2)의 커버홀더(20)를 체결브라켓(10)에 끼워 양변기 커버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40)은 체결브라켓(10)에 브라켓(30) 만을 끼운 상태에서 볼트(42)만을 조임하여 상부에서 조립 또는 분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설치시 양변기의 상,하부측에서 동시에 잡고 조임할 필요가 없이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체결수단(40)이 브라켓(30)의 상부측에 삽입되는 볼트(42)와,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44) 및 볼트(42)와 너트(44)가 조임될 때 테두리 직경이 늘어나게 되는 쐐기(46)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따라서 체결브라켓(10)을 양면기(1)의 고정홀 상부에 올려둔 상태에서 브라켓(30)의 위치와 양변기의 고정홀의 위치를 일치 시킨 후 체결수단(40)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고정홈(13a)과 제2고정홈(13b)은 양변기의 규격에 따라 중형 또는 대형의 양변기의 설치위치에 알맞게 설정되도록 하면 사용자가 설치위치를 가조립한 이후에 다시 분해하고 재조립할 필요없이 중형, 또는 대형에 맞는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단턱(12a)의 상면과 브라켓(30)의 플랜지(32) 하면에는 서로 대응하게 요철면(12c,32c)이 형성되어 체결브라켓(10)과 브라켓(30)이 더욱 긴밀히 고정되고, 조립된 상태에서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위치고정홈(13)에 브라켓(30) 양측의 스토퍼(33)가 삽입되어 1차 고정된 상태에서 요철면이 서로 맞물리면서 요철면에 의하여 이중으로 고정되어 체결브라켓(10)과 브라켓(30)의 조임상태가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홈(13)은 제1,2고정홈(13a,13b)의 크기를 서로 달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제1고정홈(13a) 또는 제2고정홈(13b) 중의 어느 하나의 홈이 다른 하나의 홈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는 홈은 브라켓(30)의 스토퍼(33)가 삽입되어 유동되지 않는 폭으로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는 홈은 스토퍼(33)가 설정된 범위 내에서 양변기 시트의 설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양변기는 디자인과 크기에 따라서 양변기 커버가 달리 장착되어야 하는 것으로, 크게 중형, 대형, 특대형으로 구분되며, 중형은 고정홀의 위치로부터 양변기 시트의 선단까지의 전,후방 길이가 비교적 짧은 450mm이하로 이루어지고, 대형은 중형과 좌우 폭이 동일하면서 고정홀의 위치로부터 양변기 시트의 선단까지의 전,후방 길이가 450~470mm로 이루어지며, 특대형은 대형보다 길이가 5mm정도 길고 좌우폭이 20mm가량 넓게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고정홈(13a)과 제2고정홈(13b)이 형성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조립함으로써 중형, 대형, 특대형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고정홈(13a)에 브라켓(30)의 스토퍼(33)를 끼워 조립하면, 양변기 시트의 선단을 양변기의 물통 방향으로 물러난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중형크기에 해당하는 양변기 시트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홈(13b)에 브라켓(30)의 스토퍼(33)를 끼워 조립하면, 양변기 시트의 선단을 양변기 선단측으로 밀려난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대형 또는 특대형크기에 해당하는 양변기 시트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고정홈(13b)은 스토퍼(33)가 장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대형 또는 특대형크기에 해당하는 양변기 시트로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제2고정홈(13b)의 폭은 스토퍼(33)가 제2고정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2~6mm범위의 유동폭 내에서 왕복 움직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대형 또는 특대형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 체결부(12)에는 제1고정홈(13a)과 제2고정홈(13b)의 조립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표시부(12d)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2d)는 제1고정홈(13a)과 제2고정홈(13b)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게 브라켓 체결부(12)의 상면에 '중형, 대형' 으로 표기하거나, '中, 大'로 표기는 등 소비자가 식별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표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표시부(12d)는 인쇄나 스티커 등으로 부착하여 표개할 수 있으나, 더 바람직하게는 금형에 표시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체결브라켓(10)을 성형 제작할 때 양각 또는 음각으로 일체로 표기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1: 양변기
2: 양변기 커버
10: 체결브라켓
11: 레일
12: 브라켓 체결부 12a: 체결단턱 12b: 요철면 12d: 표시부
13: 위치고정홈 13a: 제1고정홈 13b: 제2고정홈
14: 노리쇠 부재
16: 잠금봉
20: 커버홀더
21: 레일부
30: 브라켓
32: 플랜지부 32c: 요철면
33: 스토퍼
40: 체결수단
42: 볼트
44: 너트
46: 쐐기

Claims (5)

  1. 양변기(1)에 장착되는 체결브라켓(10)과, 양변기 커버(2)에 장착되는 커버홀더(2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브라켓(10)은 좌,우 양측으로 양변기와 조립하기 위한 한 쌍의 브라켓 체결부(12)가 형성되되, 브라켓 체결부의 사이에는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작동하는 노리쇠 부재(14) 및 노리쇠 부재에 맞물려 장착되어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작동하는 한 쌍의 잠금봉(16)이 구비되어 노리쇠 부재(14)의 전,후방 왕복 작동에 의하여 커버홀더(20)가 체결브라켓(10)에 락킹 또는 락킹해제가 이루어지면서 양변기와 양변기 커버가 조립 및 분해가 이루어지는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체결부(12) 각각에는 체결단턱(12a)과 체결공(12b)이 형성되어 브라켓(30) 양단의 플랜지부(32)가 체결단턱(12a)에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42), 너트(44), 쐐기(46)로 구성되는 체결수단(40)에 의하여 양변기(1)에 조임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 체결부(12)의 체결단턱(12a)의 상단 내벽에는 위치고정홈(13)이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30)의 양측에는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33)가 형성되어 스토퍼(33)가 위치고정홈(13)에 끼워 삽입되어 정위치 조립이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고정홈(13)은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고정홈(13a) 및 제2고정홈(13b)으로 분리 구성되어 브라켓(30)의 조립위치를 가변하면서 양변기 규격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립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체결단턱(12a)의 상면과 브라켓(30)의 플랜지(32) 하면에는 서로 대응하게 요철면(12c,32c)이 형성되어 요철면이 서로 맞물리면서 위치고정홈(13)과 스토퍼(33)에 의하여 1차 고정된 상태에서 요철면에 의하여 이중으로 고정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홈(13)은 제1고정홈(13a) 또는 제2고정홈(13b) 중의 어느 하나의 홈이 다른 하나의 홈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되,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는 홈은 브라켓(30)의 스토퍼(33)가 삽입되어 유동되지 않는 폭으로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는 홈은 스토퍼(33)가 설정된 범위 내에서 양변기 시트의 설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홈(13)은 제2고정홈(13b)의 폭이 스토퍼(33)가 제2고정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2~6mm의 범위에서 왕복 움직임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홈(13)은 제1고정홈(13a)과 제2고정홈(13b)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게 브라켓 체결부(12)의 상면에는 양변기 크기에 따른 조립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양변기 크기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
KR1020200048518A 2020-04-22 2020-04-22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 KR102350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518A KR102350134B1 (ko) 2020-04-22 2020-04-22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518A KR102350134B1 (ko) 2020-04-22 2020-04-22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391A true KR20210130391A (ko) 2021-11-01
KR102350134B1 KR102350134B1 (ko) 2022-01-11

Family

ID=7851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518A KR102350134B1 (ko) 2020-04-22 2020-04-22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1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5091A1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및 원통형 배터리 셀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325B1 (ko) * 2022-07-11 2023-05-26 김낙준 양변기 커버 고정용 브라켓 고정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373Y1 (ko) * 2003-02-24 2003-07-22 권홍순 양변기의 좌판 조립용 체결장치
EP3284378A1 (en) * 2016-08-17 2018-02-21 Toto Ltd. Sanitary washing apparatus
KR101910916B1 (ko) * 2017-09-22 2018-10-24 (주)애플비세라믹 양변기 커버 원터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373Y1 (ko) * 2003-02-24 2003-07-22 권홍순 양변기의 좌판 조립용 체결장치
EP3284378A1 (en) * 2016-08-17 2018-02-21 Toto Ltd. Sanitary washing apparatus
KR101910916B1 (ko) * 2017-09-22 2018-10-24 (주)애플비세라믹 양변기 커버 원터치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5091A1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및 원통형 배터리 셀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134B1 (ko)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0391A (ko)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
US7814621B1 (en) Stay-closed hinge
US20110089801A1 (en) Integrated hinge assembly
JP3513611B2 (ja) 固定金具
US20030070362A1 (en) Casement window with improved tie bar guide and striker
US7264321B1 (en) Door mounting system for a storage unit
JPH11502699A (ja) スイッチ装置キャビネットのためのフレーム部材
US20220145679A1 (en) Hinge arrangement for a switch cabinet and a corresponding method
US20160208531A1 (en) Shower door assemblies
US20070040397A1 (en) Secure adjustable strike plate
US10487490B2 (en) Toilet installation method
US20080276418A1 (en) System for selectively locating a door within a frame
US7207637B2 (en) Coupling apparatus for a side panel and a face panel of drawers
CN112118771A (zh) 坐式家具支承装置
GB2546327A (en) Security cowl and fixing
US10288405B2 (en) Alignment gauge and method of use
EP1588002A1 (en) A lock assembly
KR20220043819A (ko) 조립성을 향상시킨 슬라이딩 도어
CN114293864A (zh) 铰链组件
AU2007216780A1 (en) Striker Plate
US7234740B2 (en) Striker assembly for a door lock
JP5334799B2 (ja) 平面ハンドル装置の取り付け部構造
CN217851995U (zh) 一种门板连接件
GB2296742A (en) Window hinge
JP4646817B2 (ja) カーテンレール用ブ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