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315A - 미세기포를 이용한 에멀젼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세기포를 이용한 에멀젼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315A
KR20210130315A KR1020200048158A KR20200048158A KR20210130315A KR 20210130315 A KR20210130315 A KR 20210130315A KR 1020200048158 A KR1020200048158 A KR 1020200048158A KR 20200048158 A KR20200048158 A KR 20200048158A KR 20210130315 A KR20210130315 A KR 20210130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emulsion
main pipe
pump
mi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6095B1 (ko
Inventor
홍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광이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광이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광이엔에프
Priority to KR1020200048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095B1/ko
Publication of KR20210130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3/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01F23/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by circulating the flow in guiding constructions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1Emulsifying
    • B01F23/411Emulsifying using electrical or magnetic fields, heat or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1Emulsifying
    • B01F23/414Emulsifying characterised by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mulsion
    • B01F23/4143Microemul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5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using flow mixing
    • B01F23/451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using flow mixing by injecting one liquid in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5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using flow mixing
    • B01F23/454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using flow mixing by injecting a mixture of liquid an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9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for mixing more than two compone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enerating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2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 B01F3/04248
    • B01F3/04503
    • B01F3/0815
    • B01F3/0865
    • B01F3/0876
    • B01F3/088
    • B01F5/0405
    • B01F5/0413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32Liquid carbonaceous fuels consisting of coal-oil suspensions or aqueous emulsions or oil emulsions
    • B01F2003/083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유체를 유입 받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메인 배관(Lm)으로서, 상기 메인 배관(Lm)을 통해서 이동되는 제1유체가 흐름 소통되도록 상기 메인 배관(Lm)에 복수의 구성요소들이 동작적으로 결합된 상기 메인 배관(Lm);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의 하나로서, 상기 메인 배관(Lm)에 제2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제1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및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의 하나로서, 상기 메인 배관(Lm)에서 제1유체와 제2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 수단(210);를 포함하는 에멀젼 제조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미세기포를 이용한 에멀젼 제조 시스템{Emulsion manufacturing system using ultrafine bubbles}
본 발명의 미세기포를 이용한 에멀젼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멀젼은 잘 혼합되지 않은(immiscible) 액체들(liquids)으로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액체가 다른 액체에 액적(droplet)의 형태로 고르게 분산된 용액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액적(droplet)의 직경은 대략 0.1 내지 100㎛ 정도 된다(도 1 참조).
예를 들면, 오일과 물을 혼합하여 에멀젼을 생산하는 기술이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0-0025896호(2010. 3. 10)(에멀젼 연료유) 제조 방법)(이하, '896 특허')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896호 특허는 물과 연료유의 혼합을 잘 이루어지게 하여 에멀젼 연료유의 유수분리를 방지하고 백화현황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상술한 에멀젼 제조 기술들을 포함하여 종래의 에멀젼 제조 기술들은 원재료를 혼합(희석)하는 과정에서 히팅장치와 교반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교반 및 마찰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수상성분과 오일 성분을 에멀젼하기 위하여 교반강도를 강하게 하기 위하여 특수한 형태의 고속회전체(호모제나이저)를 이용하는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계면활성제를 주입하여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에멀젼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에멀젼 반응기술을 모듈화하여 반응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에멀젼 제조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반응시간 단축, 장비의 컴팩트화를 통하여 운전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에멀젼 제조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멀젼 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에멀젼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제1유체를 유입 받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메인 배관(Lm)으로서, 상기 메인 배관(Lm)을 통해서 이동되는 제1유체가 흐름 소통되도록 상기 메인 배관(Lm)에 복수의 구성요소들이 동작적으로 결합된 상기 메인 배관(Lm);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의 하나로서, 상기 메인 배관(Lm)에 제2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제1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의 하나로서, 상기 메인 배관(Lm)에서 제1유체와 제2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 수단(210);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의 하나로서, 상기 메인 배관(Lm)에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인젝터(230); 및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의 하나로서, 상기 메인 배관(Lm)을 통해서 이동되는 유체들을 선회시키면서 이동시키기 위한 선회기(220); 를 포함하는 에멀젼 제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멀젼하기 위하여 소량의 용액(용질)을 마이크로 및 나노 크기의 미세버블로 공급함으로써 용매역할을 하는 용액과 접촉면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접촉 경계면을 강력한 자기력을 통하여 이온의 극성을 정렬시켜 두 물질이 잘 혼합되도록 한 후 강력한 선회력을 이용하여 에멀젼시키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이 최소화되고, 에멀젼 반응기술을 모듈화하여 반응효율이 극대화되며, 나아가 반응시간 의 단축, 장비의 컴팩트화가 달성됨으로써, 운전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비용이 최소화되게 된다.
도 1은 에멀젼 용액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에멀젼 제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에멀젼 장치(200)의 예시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에멀젼 제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에멀젼 장치(200)의 예시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의 예시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인젝터(2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자화기(2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선회기(2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노즐(25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구성요소 A'라고 함)와 다른 구성요소('구성요소 B'라고 함)가 서로 '흐름 소통'되도록 연결(또는, '결합' 또는 '설치'라고도 함)된다는 것은, 액체 및/또는 기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구성요소 A'라고 함)가 다른 구성요소('구성요소 B'라고 함)보다 '상류'에 있다고 함은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가 모두 유체가 흐르는 구성요소(예를 들면, 배관)에 흐름 소통이 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그 배관에 흐르는 유체가 구성요소 A를 먼저 경유한 후에 구성요소 B로 이동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의 '하류'에 있다고 함은 배관에 흐르는 유체가 구성요소 B를 먼저 경유한 후에 구성요소 A로 이동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흐름 소통'이라고 함은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서로 연결, 결합, 또는 구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가 흐름 소통이 가능하다는 것은, 구성요소 A로부터 구성요소 B로 유체가 흐르거나, 구성요소 B로부터 구성요소 A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가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에멀젼 제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에멀젼 제조 시스템(이하, '제1 실시예'라고도 함)은 제1유체와 제2유체를 혼합하여 에멀젼을 생성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제1유체에 제2유체를 미세한 입자로 분산시킨 에멀젼을 생성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제1유체를 'A 솔루션'이라고 언급하고, 제1유체에 미세한 입자로 분산되는 제2유체를 'B 솔루션'이라고 언급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는, 기액 반응기(100), 에멀젼 장치(200), B 솔루션 저장조(300), 에멀젼 저장조(400), 고압 기체 저장조(500), 및 펌프(3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액 반응기(100)와 에멀젼 장치(200)는 유체가 흐름 소통하도록 배관들(L1, L4)에 의해서 서로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에멀젼 장치(200)는 에멀젼 저장조(400)와 유체가 흐름 소통되도록 배관(L5)에 의해 서로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에멀젼 장치(200)는 배관(L2)을 통해 펌프에 의해 B 솔루션을 제공받도록 펌프와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배관(L3)를 통해서 고압 기체 저장조(500)로부터 고압 기체를 제공받도록 고압 기체 저장조(500)와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도시 하지 않았지만, 구성요소들과 배관들의 상호 연결은 종래 알려진 장치나 기구들(예를 들면, 플런지나 커넥터)에 의해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배관들에는 배관들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유체의 흐름을 막거나 허용하거나 또는 유체의 양을 제어하는 동작)하기 위한 밸브들이 배관들에 동작적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에는, 배관들에 동작적으로 결합되는 밸브들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이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설치 현장에 맞도록 밸브들을 배관에 적절하게 결합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기액 반응기(100)는 A 솔루션을 저장하며, 에멀젼 장치(200)에 의해 과도기적으로 생성되는 에멀젼을 유입받아 저장할 수 있다. 기액 반응기(100)에 저장된 A 솔루션의 일부는 에멀젼 장치(200)로 공급되고, 에멀젼 장치(200)는 B 솔루션이 A 솔루션에 분산한 에멀젼(이하, 'A-B 에멀젼'이라고 함)을 생성하여 배출할 수 있다. 에멀젼 장치(200)에 의해 생성된 A-B 에멀젼은 기액 반응기(100)로 이동되거나 또는 에멀젼 저장조(400)로 이동될 수 있다.
A-B 에멀젼은 예를 들면 2가지 타입이 있을 수 있다. 첫번째는 Oil/Water 타입과 두번째는 Water/Oil 타입이다. 첫번째의 Oil/Water 타입은 물(Water)에 오일(Oil)이 분산된 것이고, 두번째의 Water/Oil은 오일(Oil)에 물(Water)이 분산된 것이다. 오일(Oil)은 예를 들면 황(S)이 포함된 오일, 벙크씨유, 콩기름, 화장품에 사용된 오일과 같은 것일 수 있다. 상술한 A-B 에멀젼의 타입과 오일의 종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 발명이 그러한 것에만 한정되지 않음을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이하,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액 반응기(100)에 저장된 유체가 전부 A-B 에멀젼으로 변환될때까지, 에멀젼 장치(200)에 의해 생성된 A-B 에멀젼은 기액 반응기(100)로 제공된다.
제1실시예에서, 기액 반응기(100)에 저장된 유체가 전부 A-B 에멀젼으로 변환될때까지, 밸브(V1)는 개방되어 있고 밸브(V2)는 폐쇄되도록 제어된다. 이들 밸브들의 개방 또는 폐쇄의 제어는 관리자 또는 제어장치(미 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기액 반응기(100)에 저장된 유체가 전부 또는 충분히 A-B 에멀젼으로 변환되면, 밸브(V1)는 폐쇄되고 밸브(V2)는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이후, A-B 에멀젼은 에멀젼 저장조(400)에 저장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압 기체 저장조(500)에 저장된 고압 가스는 배관(L3)을 통해서 에멀젼 장치(200)로 제공되고, B 솔루션 저장조(300)에 저장된 B 솔루션은 펌프에 의해 배관(L2)을 통해서 에멀젼 장치(200)로 제공된다. 여기서, 펌프는 일정한 양의 B 솔루션을 에멀젼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는 정량 펌프일 수 있다. 도 2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펌프(310)가 에멀젼 장치(200)와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구성이므로 이와 다르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펌프(310)가 에멀젼 장치(200)에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원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노즐(250), 정량 펌프와 같은 구성요소들이 일체의 장치로 구성된 예시적인 형태를 이해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에멀젼 장치(200)의 예시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는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가압 수단(210),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제1펌프(310)는 에멀젼 장치(200)와 별도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구성으로서, 제1펌프(310)가 에멀젼 장치(2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은 미세 기포를 생성하도록 서로 동작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후술하겠지만, 에멀젼 장치(200)에 포함된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가압 수단(210),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기액 분리기(280), 및/또는 노즐(250)은 미세 기포를 생성하도록 서로 동작적으로 결합 및 배치되어 있다. 한편, ‘미세 기포’라고 함은 기포의 직경이 수십 나노미터부터 수백 마이크로미터에 이르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력이 필요한 구성요소들(예를 들면, 펌프나 에멀젼 장치(200))에게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전원은 본 발명의 요지와는 무관하고 또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는 기술이라 본원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와는 무관하고 또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는 기술의 경우 특별한 언급이 없더라도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 것으로 이해하기 바란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는 유체를 유입받아서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가진 배관(이하, '메인 배관(Lm))과, 이러한 메인 배관(Lm)에 동작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배관(Lm)에 동작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가압 수단(210),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기액 분리기(280), 및/또는 노즐(250)일 수 있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메인 배관(Lm)에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면서 메인 배관(Lm)을 통해서 흐르도록, 메인 배관(Lm)에 동작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배관(Lm)은 제1유체를 유입받도록 구성되어 있고, 메인 배관(Lm)에 유입된 제1유체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가압 수단(210),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또는 노즐(250)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의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은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종종 '제1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이라고 언급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제1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은 메인 배관(Lm)에 제2유체를 주입할 수 있다. 정량 펌프(310)는 B 솔루션 저장조(300)에 저장된 B 솔루션을 펌핑하여 제1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으로 제공하며, 제1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은 정량 펌프(310)로부터 제공받은 B 솔루션을 메인 배관(Lm)에 주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수단(210)은 메인 배관(Lm)에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동력원이다. 예를 들면, 가압 수단(210)은 기액 반응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메인 배관(Lm)으로 A 솔루션을 흡입할 수 있는 자흡 펌프(self-priming pump)일 수 있다. 메인 배관(Lm)의 입구로 기액 반응기(100)에 저장된 A 솔루션이 유입되도록, 메인 배관(Lm)의 입구와 기액 반응기(100)는 흐름 소통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 수단(210)과 기액 반응기(100) 사이에는 제1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이 위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이 가압 수단(210)의 상류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제1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에 의해 주입된 B 솔루션은 A 솔루션에 혼합되며, 제1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에 의해 혼합된 솔루션들은 가압 수단(210)의 내부에서 다시 강하게 혼합되어 메인 배관(Lm)의 하류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인젝터(230)는 메인 배관(Lm)에 기체를 주입하도록 메인 배관(Lm)에 동작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고압 기체 저장조(500)에 저장된 고압의 기체는 압력이 높으므로, 인젝터(230)를 통해서 메인 배관(Lm)으로 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젝터(230)는 가압 수단(210)의 하류에 위치되어 있고, 자화기(240), 선회기(220), 및 노즐(250)의 상류에 위치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고압 기체 저장조(500)에 저장되는 고압의 기체의 종류는, 예를 들면 공기, 질소, 및/또는 아르곤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공기, 질소, 및/또는 아르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들 외에 다른 종류의 기체도 사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자화기(240)는 메인 배관(Lm)을 통해서 이동되는 유체들에 자기 에너지를 가할 수 있다. 자화기(240)는 후술하겠지만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과 같이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생성수단을 포함하며, 그러한 자기장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을 메인 배관(Lm)을 통해서 이동되는 유체들이 통과하여 지나가도록 자화기(240)가 메인 배관(Lm)에 동작적으로 결합된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선회기(220)는 메인 배관(Lm)을 통해서 흐르는 유체들을 360도로 선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선회기(220)는 자화기(240)를 통해서 유출되는 유체들을 유입받아서 적어도 2회 이상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직진하면서 360도로 선회시킨 후에 메인 배관(Lm)으로 배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회기(220)는 메인 배관(Lm)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최대한 방해함이 없이 360도로 선회시켜서 배출하도록 메인 배관(Lm)에 동작적으로 결합된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기액 분리기(280)는 내부에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탱크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선회기(220)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는 기액 분리기(280)의 내부의 상부로 유입되어, 기액 분리기(280)의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떨어진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노즐(250)은 선회기(220)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를 유입받아서, 외부로 분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250)은, 메인 배관(Lm)의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도록 구성된 구조물을 포함하며, 메인 배관(Lm)을 통해서 이동되는 유체를 그 구조물에 충돌시킨 후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에멀젼 장치(20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 처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이렇게 하나의 모듈로 구성된 에멀젼 장치(200)는 커넥터들(C1, C2, C3, C4)에 의해 다른 구성요소들(예를 들면, 기액 반응기(100)와 흐름 소통되는 배관(L1), 정량 펌프와 흐름 소통되는 배관(L2), 고압 기체 저장조(500)와 흐름 소통되는 배관(L3), 배출 배관(L5))과 흐름 소통 가능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들(C1, C2, C3, C4)은 예를 들면, 플랜지나 나사와 같이 배관끼리 연결시키는 기능을 가진 것일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는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가압 수단(210),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의 순서대로 메인 배관(Lm)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이 최 상류에 위치되고, 노즐(250)이 가장 하류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정량 펌프가 에멀젼 장치(200)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정량 펌프가 최 상류에 위치되고, 정량 펌프의 하류에는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가압 수단(210),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이 순서대로 위치될 수 있다.
이처럼, 메인 배관(Lm)의 상류에서 B 솔루션을 A 솔루션에 주입하도록 함으로써, B 솔루션이 A 솔루션에 입자상으로 잘 분산되어 에멀젼이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A 솔루션에 B 솔루션이 주입된 상태로 가압 수단(210)으로 흡입되어, 가압 수단(210) 내부에서 A 솔루션과 B 솔루션의 격렬한 혼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에멀젼이 보다 완전하고도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게 된다.
제1실시예의 대안적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과 가압 수단(210)의 하류에 위치되는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및 기액 분리기(280)의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가압 수단(210), 인젝터(230), 선회기(220), 자회기,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 순서대로 위치되거나, 또는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가압 수단(210), 자화기(240), 인젝터(23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 순서대로 위치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인젝터(230), 가압 수단(210), 자회기,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 순서대로 위치되거나,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인젝터(230), 가압 수단(210), 선회기(220), 자화기(24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 순서대로 위치되거나,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인젝터(230), 자회기, 가압 수단(21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 순서대로 위치되거나,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인젝터(230), 선회기(220), 가압 수단(210), 자화기(24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 순서대로 위치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수단(210)이 최 상류에 위치되고, 가압 수단(210)의 하류에는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인젝터(230), 자회기,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 순서대로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 수단(210), 인젝터(230),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자회기,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 순서대로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가압 수단(210), 인젝터(230),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선회기(220), 자화기(24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 순서대로 위치될 수 있다
제1실시예와 후술하는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들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은 메인 배관(Lm)에 인 라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과 같은 구성요소들은 메인 배관(Lm)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본원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과 같은 구성요소들이 메인 배관(Lm)에 삽입되어 있는 예시적인 형태를 이해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에멀젼 제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에멀젼 제조 시스템(이하, '제2실시예'라고도 함)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실시예들(즉, 제1실시예와 제1실시예의 변형예들)을 개선한 실시예의 하나이다. 즉, 제2실시예와 제1실시예를 비교하면, 제2실시예는 B 솔루션을 에멀젼 장치(200)에 제공하기 위한 정량 펌프 2개와, 이러한 2개의 정량 펌프의 교번적 동작을 위한 밸브들(예를 들면, V4, V5, V6, V7)을 더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는, 기액 반응기(100), 에멀젼 장치(200), B 솔루션 저장조(300), 에멀젼 저장조(400), 고압 기체 저장조(500), 제1펌프(310), 및 제2펌프(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의 기액 반응기(100), 에멀젼 장치(200), 고압 기체 저장조(500), 및 에멀젼 저장조(400)와 밸브들(V1, V2, V3)의 각각의 구성과 동작은, 제1실시예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된 기액 반응기(100), 에멀젼 장치(200), 고압 기체 저장조(500), 및 에멀젼 저장조(400)와 밸브들의 것과 동일하므로, 제2실시예에서의 기액 반응기(100), 에멀젼 장치(200), 고압 기체 저장조(500), 및 에멀젼 저장조(400)와 밸브들(V1, V2, V3)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2실시예에서의 에멀젼 장치(200)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에멀젼 장치(200)와 구성이 동일하게 구현이 되거나, 또는 도 6에 개시된 에멀젼 장치(200)와 구성이 동일하게 구현이 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의 에멀젼 장치(200)가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에멀젼 장치(200)와 구성이 동일하게 구현이 되는 경우, 제2실시예에서의 에멀젼 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1실시예 및 제1실시예의 변형예들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한편, 제2실시예에서의 에멀젼 장치(200)가 도 6에 개시된 에멀젼 장치(200)와 구성이 동일하게 구현이 될 경우, 제2실시예에서의 에멀젼 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제, 제1실시예와 그 변형예들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펌프(310)와 제2펌프(320)는 B 솔루션 저장조(300)에 저장된 B 솔루션을 각각 정량 펌핑하여 에멀젼 장치(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제1펌프(310)와 제2펌프(320)는 서로 교번적으로 동작한다. 즉, 제1펌프(310)가 B 솔루션을 에멀젼 장치(200)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 제2펌프(320)는 동작하지 않는다. 반대로, 제2펌프(320)가 B 솔루션을 에멀젼 장치(200)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 제1펌프(310)는 동작하지 않는다. 제1펌프(310)와 제2펌프(320)에 대한 동작에 대한 제어는 당업자 또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당업자 또는 제어부(미도시)는 제1펌프(310) 또는 제2펌프(320) 중에서 어느 하나만(예를 들면, 제1펌프(310))을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현재 동작중인 펌프(예를 들면, 제1펌프(31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나머지 펌프(예를 들면, 제2펌프(3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조건은, 예를 들면, 현재 동작 중인 펌프(예를 들면, 제1펌프(310))가 고장 또는 고장의 징후가 있거나, 미리 정한 기간을 초과하는 것일 수 있음(혹사를 방지하기 위한 것임).
제2실시예에서, 제1펌프(310)와 제2펌프(320)가 서로 교번적으로 동작할 때, 밸브들(V4, V5, V6, V7)에 대한 온(ON)('배관에 유체가 흐르도록 개방된 상태') 또는 오프(OFF)('배관에 유체가 흐르지 못하도록 폐쇄된 상태') 제어도 같이 이루어진다. 밸브들(V4, V5, V6, V7)에 대한 온 또는 오프 제어는 당업자 또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밸브들(V4, V5, V6, V7)이 솔레노이드 타입으로 구현될 경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온 또는 오프 제어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제1펌프(310)만이 동작할 경우 제1펌프(310)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밸브들(V5, V7)만이 온 되고 밸브들(V4, V6)은 오프가 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2펌프(320)만이 동작할 경우 제2펌프(320)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밸브들(V4, V6)만이 온 되고 밸브들(V5, V7)은 오프가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에멀젼 장치(200)의 예시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에멀젼 장치(200)(이하,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실시예들(즉, 제1실시예와 제1실시예의 변형예들)에 사용될 수 있는 에멀젼 장치(200)(이하, (이하, '제1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를 개선한 실시예의 하나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와 제1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를 비교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는 2개의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270)과, 2개의 가압 수단(210-1, 210-2), 이러한 2개의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270) 및 2개의 가압 수단(210-1, 210-2)과의 교번적 동작을 위한 밸브들(예를 들면, V8, V9, V10, V11, V12, V13)을 더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는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M, S), 가압 수단들(M, S),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는 1개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정량 펌프들(310, 320)은 에멀젼 장치(200)와 별도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구성으로서, 정량 펌프들(310, 320)이 에멀젼 장치(2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는 유체를 유입받아서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가진 메인 배관(Lm)과, 이러한 메인 배관(Lm)에 동작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배관(Lm)에 동작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가압 수단들(210-1, 210-2),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또는 노즐(250)일 수 있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메인 배관(Lm)에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면서 메인 배관(Lm)을 통해서 흐르도록, 메인 배관(Lm)에 동작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인 배관(Lm)은 제1유체를 유입받도록 구성되어 있고, 메인 배관(Lm)에 유입된 제1유체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중의 하나, 가압 수단들(210-1, 210-2) 중의 하나,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또는 노즐(250)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2개의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은 각각 '제1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M)'(260)과 '제2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S)'(270)으로 언급하고, 2개의 가압 수단들(210-1, 210-2)은 각각 '제1 가압 수단(M)(210-1)과 '제2 가압 수단(S)'(210-2)으로 언급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는, 기액 반응기(100), 에멀젼 장치(200), B 솔루션 저장조(300), 에멀젼 저장조(400), 고압 기체 저장조(500), 제1펌프(310), 및 제2펌프(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의 기액 반응기(100), 에멀젼 장치(200), 고압 기체 저장조(500), 및 에멀젼 저장조(400)와 밸브들(V1, V2, V3)의 각각의 기능과 상호 동작은, 제1실시예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된 기액 반응기(100), 에멀젼 장치(200), 고압 기체 저장조(500), 및 에멀젼 저장조(400)와 밸브들의 것과 동일하므로, 제2실시예에서의 기액 반응기(100), 에멀젼 장치(200), 고압 기체 저장조(500), 및 에멀젼 저장조(400)와 밸브들(V1, V2, V3)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제, 제1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펌프(310)와 제2펌프(320)는 B 솔루션 저장조(300)에 저장된 B 솔루션을 각각 정량 펌핑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정량 펌프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제2실시예에서, 제1펌프(310)와 제2펌프(320)는 서로 교번적으로 동작한다. 즉, 제1펌프(310)가 B 솔루션을 에멀젼 장치(200)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 제2펌프(320)는 동작하지 않는다. 반대로, 제2펌프(320)가 B 솔루션을 에멀젼 장치(200)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 제1펌프(310)는 동작하지 않는다. 제1펌프(310)와 제2펌프(320)에 대한 동작에 대한 제어는 당업자 또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당업자 또는 제어부(미도시)는 제1펌프(310) 또는 제2펌프(320) 중에서 어느 하나만(예를 들면, 제1펌프(310))을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현재 동작중인 펌프(예를 들면, 제1펌프(31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나머지 펌프(예를 들면, 제2펌프(3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조건은, 예를 들면, 현재 동작 중인 펌프(예를 들면, 제1펌프(310))가 고장 또는 고장의 징후가 있거나, 미리 정한 기간을 초과할 경우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제2실시예에서, 제1펌프(310)와 제2펌프(320)가 서로 교번적으로 동작할 때, 밸브들(V4, V5, V8, V9, V10, V11, V12, V13)에 대한 온(ON)('배관에 유체가 흐르도록 개방된 상태') 또는 오프(OFF)('배관에 유체가 흐르지 못하도록 폐쇄된 상태') 제어가 이루어진다. 밸브들(V4, V5, V8, V9, V10, V11, V12, V13)에 대한 온 또는 오프 제어는 당업자 또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밸브들(V4, V5, V8, V9, V10, V11, V12, V13)이 솔레노이드 타입으로 구현될 경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온 또는 오프 제어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제2실시예에서, 제1펌프(310)만이 동작할 경우 제1펌프(310)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밸브들(V5, V9)이 온 되고 밸브들(V4, V8)은 오프가 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2펌프(320)만이 동작할 경우 제2펌프(320)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밸브들(V4, V8)이 온 되고 밸브들(V5, V9)은 오프가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제2실시예에서, 밸브들(V8, V9)은 에멀젼 장치(200)에 포함되어 1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가 있지만, 밸브들(V8, V9) 뿐만 아니라 정량 펌프들(310, 320)도 에멀젼 장치(2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에서, 제1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M)(260)과 제2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S)(270)은 서로 교번적으로 동작한다. 제1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M)(260)과 제2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S)(270)이 서로 교번적으로 동작할 때, 밸브들(V8, V9, V10, V11, V12, V13)에 대한 온(ON)('배관에 유체가 흐르도록 개방된 상태') 또는 오프(OFF)('배관에 유체가 흐르지 못하도록 폐쇄된 상태') 제어가 이루어진다. 밸브들(V8, V9, V10, V11, V12, V13)에 대한 온 또는 오프 제어는 당업자 또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에를 들면, 밸브들(V8, V9, V10, V11, V12, V13)이 솔레노이드 타입으로 구현될 경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온 또는 오프 제어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에서,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정량 펌프들(310, 320), 및 가압 수단(210-1, 210-2)들은 동작적으로 서로 동기화되어 있다.
일 예를 들면, 제1펌프(310)와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M)(260)과 가압 수단(M)(210-2)은 서로 동작적으로 동기화되어 있고, 제2펌프(320)와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S)(270)과 가압 수단(210-1)(S)는 서로 동작적으로 동기화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밸브들(V4, V5, V8, V9, V10, V11, V12, V13) 중에서, 일부는 온 되고 일부는 오프가 된다. 즉, 제1펌프(310)와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M)(260)과 가압 수단(M)(210-2)이 동작할 경우, 밸브들(V5, V9, V11, V13)이 온 되고, 나머지 밸브들(V4, V8, V10, V12)은 오프가 된다. 한편, 제2펌프(320)와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S)(270)과 가압 수단(S)(210-1)가 동작할 경우, 밸브들(V4, V8, V10, V12)은 온이 되고, 나머지 밸브들(V5, V9, V11, V13)은 오프가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펌프(310)와 제2펌프(320)는 서로 교번적으로 동작한다. 즉, 제1펌프(310)가 B 솔루션을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M)(260)에게 제공하는 동안에, 제2펌프(320)와 가압 수단(S)(210-1)는 동작하지 않는다. 반대로, 제2펌프(320)가 B 솔루션을 펌핑하여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S)(270)에게 제공하는 동안에, 제1펌프(310)와 가압 수단(M)(210-2)은 동작하지 않는다. 제1펌프(310)와 제2펌프(320)에 대한 동작과 가압 수단들(210-1, 210-2)에 대한 제어는 당업자 또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펌프(310)와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S)(270)과 가압 수단(S)(210-1)가 서로 동작적으로 동기화되어 있고, 제2펌프(320)와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M)(260)과 가압 수단(M)(210-2)이 서로 동작적으로 동기화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밸브들(V4, V5, V8, V9, V10, V11, V12, V13) 중에서, 일부는 온 되고 일부는 오프가 된다. 즉, 제1펌프(310)와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S)(270)과 가압 펌프(S)가 동작할 경우, 밸브들(V5, V8, V10, V12)이 온 되고, 나머지 밸브들(V4, V9, V11, V13)은 오프가 된다. 그리고, 제2펌프(320)와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M)(260)과 가압 수단(M)(210-2)이 동작할 경우, 밸브들(V4, V9, V11, V13)은 온이 되고, 나머지 밸브들(V5, V8, V10, V12)은 오프가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펌프(310)와 제2펌프(320)는 서로 교번적으로 동작한다. 즉, 제1펌프(310)가 B 솔루션을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S)(270)에게 제공하는 동안에, 제2펌프(320)와 가압 수단(S)(210-1)은 동작하지 않는다. 반대로, 제2펌프(320)가 B 솔루션을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M)(260)에게 제공하는 동안에, 제1펌프(310)와 가압 수단(M)(210-2)은 동작하지 않는다. 제1펌프(310)와 제2펌프(320)에 대한 동작과 가압 수단들(210-1, 210-2)에 대한 제어는 당업자 또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는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가압 수단들(210-1, 210-2),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의 순서대로 메인 배관(Lm)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이 최 상류에 위치되고, 노즐(250)이 가장 하류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정량 펌프들(310, 320)이 에멀젼 장치(200)에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정량 펌프들(310, 320)이 최 상류에 위치되고, 정량 펌프들(310, 320)의 하류에는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가압 수단들(210-1, 210-2),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이 순서대로 위치될 수 있다.
이처럼, 메인 배관(Lm)의 상류에서 B 솔루션을 A 솔루션에 주입하도록 함으로써, B 솔루션이 A 솔루션에 입자상으로 잘 분산되어 에멀젼이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A 솔루션에 B 솔루션이 주입된 상태로 가압 수단(210-1 또는 210-2)으로 흡입되어, 가압 수단(210-1 또는 210-2)의 내부에서 A 솔루션과 B 솔루션의 격렬한 혼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에멀젼이 보다 완전하고도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의 대안적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과 가압 수단들(210-1, 210-2)의 하류에 위치되는 인젝터(230), 자화기(240), 기액 분리기(280) 및 선회기(220)의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가압 수단들(210-1, 210-2), 인젝터(230), 선회기(220), 자회기,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 순서대로 위치되거나, 또는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가압 수단들(210-1, 210-2), 자화기(240), 인젝터(23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 순서대로 위치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인젝터(230), 가압 수단들(210-1, 210-2), 자회기,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 순서대로 위치되거나,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인젝터(230), 가압 수단들(210-1, 210-2), 선회기(220), 자화기(24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 순서대로 위치되거나,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인젝터(230), 자화기(240), 인젝터(230), 선회기(220), 가압 수단들(210-1, 210-2),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 순서대로 위치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수단들(210-1, 210-2)이 최 상류에 위치되고, 가압 수단(210)의 하류에는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인젝터(230), 자회기,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 순서대로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 수단들(210-1, 210-2), 인젝터(230),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자회기,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 순서대로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가압 수단들(210-1, 210-2), 인젝터(230),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선회기(220), 자화기(24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 순서대로 위치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의 예시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본원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음영이나 색깔을 표시하였으며, 이러한 음영이나 색깔은 본원 발명의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는,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가압 수단들(210-1, 210-2),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을 포함한다.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는 구성요소들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 배치할 수 있는 플레이트(P)와 밸브(V14, V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요소들(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가압 수단들(210-1, 210-2),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은 플레이트(P) 위에 배치됨으로써, 1개의 모듈화된 장치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9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는 모듈화된 구성을 가지며, 이렇게 모듈화됨으로써, 이동, 설치, 및 관리할 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는 유체를 유입받아서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가진 메인 배관(Lm)과, 이러한 메인 배관(Lm)에 동작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구성요소들과 플레이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배관(Lm)에 동작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정량 펌프들(310, 320), 밸브들, 가압 수단들(210-1, 210-2),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일 수 있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메인 배관(Lm)에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면서 메인 배관(Lm)을 통해서 흐르도록, 메인 배관(Lm)에 동작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플레이트는, 메인 배관(Lm),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정량 펌프들(310, 320), 밸브들, 가압 수단들(210-1, 210-2),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또는 노즐(250)과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배관 및 배관에 동작적으로 결합된 구성요소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메인 배관(Lm)에 동작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또한,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제어될 수 있는 밸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에서의 메인 배관(Lm),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정량 펌프들(310 320), 밸브들, 가압 수단들(210-1, 210-2),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에 대한 동작 및 구성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과 도 1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후술할 실시예들을 참조하기 바란다.
일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에서의 메인 배관(Lm),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정량 펌프들(310, 320), 밸브들, 가압 수단들(210-1, 210-2),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에 대한 동작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와 동일 또는 거의 유사하므로,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에서의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및 노즐(250) 등의 각각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는, 도 1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실시예들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장치(200)를 설명하되, 상술한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메인 배관(Lm)에 동작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와, 메인 배관(Lm)의 일부 구간은 플레이트(P)와 접촉하여 위치된다. 여기서, 플레이트(P)는 강성을 가진 재질(예를 들면, 철판)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P)에 접촉하여 위치되는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정량 펌프들(310, 320), 가압 수단들(210-1, 210-2), 기액 분리기(280) 및 노즐(250) 일 수 있다. 플레이트(P)와 이격하여 메인 배관(Lm)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면, 인젝터(230), 자화기(240), 및 선회기(220)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배관(Lm)에 동작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메인 배관(Lm)에 인 라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 및 노즐(250)은 메인 배관(Lm)의 중간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메인 배관(Lm)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배관(Lm)에 동작적으로 결합된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상호 입체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이동, 설치, 및 관리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젝터(230), 자화기(240), 선회기(220)는 플레이트(P)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공간에 위치하되, 메인 배관(Lm)과 동작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은 메인 배관(Lm)에 삽입되어 메인 배관(Lm)으로부터 A 솔루션을 유입받을 수 있는 입구(262), B 솔루션을 유입받을 수 있는 B 솔루션 주입구(267), 메인 배관(Lm)으로 유체를 유출할 수 있는 출구(264), 및 바디부(26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61)의 내부에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공간(263)이 형성되어 있고, 입구(262)와 출구(264)는 각각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바디부(261)의 내부(263)와 동작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바디부(261)의 내부(263)는, 또한, B 솔루션을 유입 받을 수 있는 주입구(267)와 유체가 소통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바디부(261)의 내부 공간(263)은 입구(262)로부터 하류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되고, 바디부(261)의 중앙을 지난 소정의 위치부터는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바디부(261)의 내부 공간(263)의 직경은 입구(262)로부터 멀티홀(후술 하기로 함)(266)이 형성된 곳까지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되고, 멀티홀(266)이 형성된 곳으로부터 출구(264)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구성된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바디부(261)에는 B 솔루션 주입구(267)로 유입된 B 솔루션을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임시 저장부(265)가 형성되어 있다. 임시 저장부(265)와 바디부(261)의 내부 공간(263)은 복수의 홀(이하, '멀티 홀')(266)에 의해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연통된다. 즉, 임시 저장부(265)에 저장된 B 솔루션은 멀티 홀(266)을 통해서 바디부(261)의 내부 공간(263)으로 주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멀티 홀(266)은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B 솔루션은 바디부(261)의 내부 공간(263)으로 360 방향으로 주입될 수 있다. 멀티 홀(266)의 직경은, 입구(262)와 출구(264)와 대비할때 매우 작다. 멀티 홀(266)을 통해서 바디부(261)의 내부 공간(263)으로 주입되는 B 솔루션은 입구(262)로 유입된 A 솔루션에 의해 미세하게 절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임시 저장부(265)는 멀티 홀(266)을 360 방향에서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외부로부터 B 솔루션을 주입받을 수 있는 주입구(267)와 및 주입구(267)로 유입된 B 솔루션을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임시 저장부(265)는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유로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주입구(267)로 주입되는 B 솔루션은 유로를 통해서 임시 저장부(265)로 이동되고, 임시 저장부(265)에서 임시 저장되던 B 솔루션은 압력 차이에 의해 자연스럽게 멀티홀(266)을 통해서 바디부(261)의 내부 공간(263)으로 주입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인젝터(2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인젝터(230)는 메인 배관(Lm)에 삽입되어 메인 배관(Lm)으로부터 유체를 유입받을 수 있는 입구(232), 메인 배관(Lm)으로 유체를 유출할 수 있는 출구(234), 고압의 기체를 주입 받을 수 있는 주입구(235), 및 바디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31)의 내부에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입구(232)와 출구(234)는 각각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바디부(231)의 내부와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바디부(231)의 내부는, 또한, 고압의 기체를 유입 받을 수 있는 주입구(235)와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인젝터(230)는 종종 벤츄리 인젝터(230)라 불리우는 널리 알려진 구성요소이므로 이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중요한 점은,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인젝터(230)의 위치가 중요하며, 특히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대적 위치가 중요하다. 인젝터(230)는 바람직하게는 기액 분리기(280)나 노즐(250) 보다는 상류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인젝터(230)는 선회기(220)나 자화기(240)의 상류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인젝터(230)는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의 하류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인젝터(230)는 가압수단들 보다는 상류 또는 하류 어느 곳에 위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자화기(2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자화기(240)는, 메인 배관(Lm)에 삽입되어 메인 배관(Lm)으로부터 유체를 유입받을 수 있는 입구(242), 메인 배관(Lm)으로 다시 유체를 배출할 수 있는 출구(244), 자기 에너지 발생수단(245), 및 자화기 바디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입구(242)와 출구(244)는 각각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바디부(241)의 내부(243)와 구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자화기 바디부(241)의 내부(243)는, 또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243)을 제공한다. 자기 에너지 발생수단(245)은 바디부(241)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에 자기 에너지를 가하기 위한 것이다. 자기 에너지 발생수단(245)은 예를 들면, 영구 자석 또는 전자기석과 같은 것일 수 있다. 자기 에너지 발생수단(245)은 자화기 바디부(24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자기 에너지 발생 수단(245)은 자화기 바디부(243)의 내부에 위치된 것이다.
자화기(240)는 바람직하게는 노즐(250) 보다는 상류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자화기(240)는 선회기(220)나 기액 분리기(280)의 상류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자화기(240)는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들(260, 270)의 하류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자화기(240)는 가압수단보다는 상류 또는 하류 어느 곳에 위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선회기(2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기(220)의 사시도, 도 18은 단면사시도, 그리고 도 19는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기(220)는 대략 원통 형상의 본체부(221)로 구성된다. 본체부(221)는 유체(A 솔루션과 B 솔루션이 혼합된 것임)를 공급받는 유입구(222) 및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2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본체부(221)는 원통형의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유입구(222)는 유체가 본체부(221)의 내부 공간으로 접선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유입구(222)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내부 공간에서 선회하면서 활발히 혼합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배출구(223)는 본체부(221)의 원통형 내부 공간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형성되며 배관(L3)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 본체부(221) 내에 유입구(222)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선회시키면서 배출구(223)측으로 안내하는 선회 유도부(224)가 형성되어 있다. 선회 유도부(224)는 본체부(221)의 원통형의 내부 공간의 직경보다 작으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각각 갖는 적어도 하나의 원통 형상의 안내벽체(24a, 24b)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안내벽체(24a, 24b)는 중심축과 동축으로 정렬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유입구(222)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선회운동을 하되 본체부(221)의 내측면과 제1 안내벽체(224a)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 제1 안내벽체(224a)의 내측면과 제2 안내벽체(224b)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 그리고 제2 안내벽체(224b)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순차적으로 흐르면서 이동한 후 배출구(223)를 통해 배관(L3)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체부(221) 내부에서 유체는 안내벽체(24a, 24b) 등의 내부 구조물에 의한 저항을 받지 않으면서도 선회하면서 배출구(223)까지 이송될 수 있으므로 펌프(210)에 걸리는 압력을 최소화시킨다.
한편 본체부(221)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의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각 안내벽체(24a, 24b)는 별도로 제작되어 본체부(221) 내부에 부착될 수 있지만, 예컨대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본체부(221)와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선회기(220)는, 유입받은 유체를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진행시키되, 제1방향과 제2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구성된다.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노즐(25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25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노즐(250)은 본체부(255)와 가압충돌부(260)를 포함한다. 본체부(255)는 양 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가 비어있는 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양 단부 중 일단부(이하, '유입단(253)')에 가압 충돌부(261)가 결합되어 있고, 양 단부 중 나머지 일단부(이하, '배출단(251)')는 유체를 배출하는 곳이다.
본체부(255)의 내부에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고 가압충돌부(260)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며, 이러한 공간은 유입단(253)에서 배출단(251)으로 일정 구간동안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압충돌부(260)는 본체부(255)의 유입단(253)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된다. 가압충돌부(260)와 본체부(255)는 긴밀하게 결합되며, 본 실시예에서 가압충돌부(260)의 외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돌기가 본체부(255)의 내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가압충돌부(260)는 가압부(263)와 충돌부(261)로 구성되며, 가압부(263)와 충돌부(261)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가압부(263)는 유체를 유입받고, 유입받은 유체의 압력을 높이는 구성을 가진다. 도 20과 도 21을 특히 참조하면, 가압부(263)는 내부에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 이러한 공간은 유입단(253)에서 배출단(251)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가압부(263)에서 충분히 가압된 유체는 충돌부(261)로 배출되도록, 가압충돌부(260)가 구성적으로 배치된다. 가압부(263)로부터 배출된 유체는 충볼부에 바로 충돌하도록, 가압부(263)와 충돌부(261)가 구성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충돌부(261)는 가압부(263)를 통해서 배출되는 유체가 바로 충돌하도록, 가압부(263)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충돌부(261)는 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원형 판일 수 있다. 판 형상의 충돌부(261)는, 판의 중심과 가압부(263)에서 유체가 유출되는 부분이 정렬되도록, 가압부(263)와 동작적으로 연결된다. 도 21과 도 22에 도시되어 있듯이, 충돌부(261)와 가압부(263)는 볼트와 같은 연결부(265)(265)에 의해 이격되어 연결될 수 있다.
가압부(263)는 대략 원뿔형상을 가질수 있고, 입구와 출구를 가진다. 입구로 유입된 유체는 가압부(263)의 내부 공간(S)를 경유하여 출구로 유출된다. 출구의 직경은 입구의 직경보다 작으며, 가압부(263)의 내부 공간(S)은 입구로부터 출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진다.
가압부(263)의 입구로 유입된 유체는 가압되면서 출구쪽으로 이동되고, 유체는 출구에서 유출되는 순간 압력이 낮아지면서 충돌부(261)에 충돌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기액 반응기
200: 에멀젼 장치
210: 가압 수단
220: 선회기
230: 인젝터
240: 자화기
250: 노즐
260, 270: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
280: 기액 분리기
300, 310: B 솔루션 저장조
400: 에멀젼 저장조
500: 고압 기체 저장조
V1, V2, V3, V4, V5, V6, V7, V8, V9, V10, V11, V12, V13, V14, V15: 밸브
C1, C2, C3, C4, C5, C6: 커넥터

Claims (7)

  1. 에멀젼 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에멀젼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제1유체를 유입 받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메인 배관(Lm)으로서, 상기 메인 배관(Lm)을 통해서 이동되는 제1유체가 흐름 소통되도록 상기 메인 배관(Lm)에 복수의 구성요소들이 동작적으로 결합된 상기 메인 배관(Lm);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의 하나로서, 상기 메인 배관(Lm)에 제2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제1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의 하나로서, 상기 메인 배관(Lm)에서 제1유체와 제2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 수단(210);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의 하나로서, 상기 메인 배관(Lm)에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인젝터(230); 및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의 하나로서, 상기 메인 배관(Lm)을 통해서 이동되는 유체들을 선회시키면서 이동시키기 위한 선회기(220); 를 포함하는 에멀젼 제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의 어느 하나로서, 상기 메인 배관(Lm)을 통해서 이동되는 유체들에 자기 에너지를 가하기 위한 자화기(240);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에멀젼 제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의 어느 하나로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도록 구성된 구조물을 포함하는 노즐(250)로서, 상기 메인 배관(Lm)을 통해서 이동되는 유체들을 상기 구조물에 충돌시킨 후 분사하도록 구성된 상기 노즐(250);을 더 포함하는 것인, 에멀젼 제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관(Lm)을 통해서 이동되는 제1유체에 제2유체를 주입하도록 구성된 제2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을 더 포함하고,
    제1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과 제2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서, 제2 액상 유체가 제1 액상 유체에 주입되는 것인, 에멀젼 제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제1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의 위치와 제2 마이크로 플루이드 유닛(260)의 위치는 상기 가압 수단(210)의 위치보다 상류인 것인, 에멀젼 제조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210)의 위치는 상기 인젝터(230)의 위치보다 상류인 것인, 에멀젼 제조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기(240)의 위치는 상기 선회기(220)의 위치보다 상류인 것인, 에멀젼 제조 시스템.
KR1020200048158A 2020-04-21 2020-04-21 미세기포를 이용한 에멀젼 제조 시스템 KR102406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158A KR102406095B1 (ko) 2020-04-21 2020-04-21 미세기포를 이용한 에멀젼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158A KR102406095B1 (ko) 2020-04-21 2020-04-21 미세기포를 이용한 에멀젼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315A true KR20210130315A (ko) 2021-11-01
KR102406095B1 KR102406095B1 (ko) 2022-06-13

Family

ID=78519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158A KR102406095B1 (ko) 2020-04-21 2020-04-21 미세기포를 이용한 에멀젼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0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3969B2 (ja) * 2007-10-22 2010-09-01 株式会社Mgグローアップ エマルジョン燃料及びその製造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JP2011122035A (ja) * 2009-12-10 2011-06-23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エマルジョン燃料システム
KR20120041242A (ko) * 2009-08-04 2012-04-30 허큘레스 인코포레이티드 오일 및 물의 유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2012107170A (ja) * 2010-10-21 2012-06-07 Fukunishi Electrical Co Ltd エマルジョン燃料製造装置
JP2014105260A (ja) * 2012-11-27 2014-06-09 Fujisaki Kogyo:Kk 乳化燃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3969B2 (ja) * 2007-10-22 2010-09-01 株式会社Mgグローアップ エマルジョン燃料及びその製造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KR20120041242A (ko) * 2009-08-04 2012-04-30 허큘레스 인코포레이티드 오일 및 물의 유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2011122035A (ja) * 2009-12-10 2011-06-23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エマルジョン燃料システム
JP2012107170A (ja) * 2010-10-21 2012-06-07 Fukunishi Electrical Co Ltd エマルジョン燃料製造装置
JP2014105260A (ja) * 2012-11-27 2014-06-09 Fujisaki Kogyo:Kk 乳化燃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095B1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658B1 (ko) 에멀전 형성
KR101937133B1 (ko) 마이크로·나노 버블의 발생 방법, 발생 노즐 및 발생 장치
MXPA97003100A (es) Formacion de emulsiones
KR101073382B1 (ko) 원료의 고형화 방지 기능을 갖는 고압 균질화장치
US20090152381A1 (en) Air-bubble atomizing device
KR20210129973A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에멀젼 제조 시스템
JP2009082833A (ja) マイクロデバイスおよび流体混合方法
KR102313214B1 (ko) 코일형 노즐을 구비하는 초미세기포 발생시스템
KR102406095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에멀젼 제조 시스템
KR200453473Y1 (ko) 고압력 호모게나이저
JP2003245533A (ja) 超微細気泡発生装置
JP6075674B1 (ja) 流体混合装置
JPH1142431A (ja) 微粒化方法および装置
CN111760482B (zh) 混合装置
US11291963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ready-to-use solution from a concentrate
GB2488125A (en) Injection Apparatus
KR102446818B1 (ko) 용해장치
CN111511245B (zh) 瞬间乳化化妆品制备装置以及制备方法
CN100490987C (zh) 喷射分散器
JP3930036B1 (ja) 微粒化方法、微粒化装置及び微粒化システム
WO2014054646A1 (ja) 微粒子化装置
TW201325920A (zh) 電液動力噴墨系統及其混合流體之複合流道結構
JP2015529554A (ja) クロス−フロー式気泡発生装置およびその発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