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081A -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081A
KR20210130081A KR1020200104689A KR20200104689A KR20210130081A KR 20210130081 A KR20210130081 A KR 20210130081A KR 1020200104689 A KR1020200104689 A KR 1020200104689A KR 20200104689 A KR20200104689 A KR 20200104689A KR 20210130081 A KR20210130081 A KR 20210130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list
information
recommended
score
sound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6212B1 (ko
Inventor
김다예
김문주
장영호
Original Assignee
(주)드림어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어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드림어스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10130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기 제공된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추천 플레이리스트의 검색 요청신호를 획득하는 신호 획득 단계; 상기 검색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기준 음원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 단계; 상기 기준 음원 정보의 분석결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ecommended Playlists}
본 발명은 기준 플레이리스트를 기반으로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 이동통신망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사용자는 수많은 디지털 미디어가 보편화 되어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정보 검색 및 추천 방식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음악을 추천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음악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어도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악을 추천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의 음악 서비스에서는 다양한 취향과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수의 플레이리스트를 만들고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 관점에서 수천 개에서 수만 개에 이르는 음원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특히, 사용자가 기 생성한 기준 플레이리스트가 있을 경우, '유사하다'라는 개념이 사람마다 상황마다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에 따라 기준 플레이리스트와 유사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에, 사용자가 기 생성한 기준 플레이리스트와 유사한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기 제공된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전체 음원 리스트에서 매칭된 음원을 이용하여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기 제공된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추천 플레이리스트의 검색 요청신호를 획득하는 신호 획득 단계; 상기 검색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기준 음원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 단계; 상기 기준 음원 정보의 분석결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기 제공된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추천 플레이리스트의 검색 요청신호를 획득하는 신호 획득 단계; 상기 검색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기준 음원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 단계; 상기 기준 음원 정보의 분석결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공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준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여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함에 따라 유사도가 높은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개별 음원 전체 또는 일부를 이용하여 유사한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함에 따라 유사 정확도가 높으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을 위한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및 제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및 조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플레이리스트를 기반으로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기기로 구현된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의 플레이리스트 생성부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 음악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 및 사용자 단말기(20)를 포함한다. 도 1의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사용자 단말기(10)와 연동하여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기준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준 플레이리스트와 유사한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음악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전체 플레이리스트에서 데이터를 불러와 기준 플레이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하고, 기준 플레이리스트와 유사한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할 수 있다.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음악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와 연동하여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에 저장된 플레이리스트를 이용하여 음악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에서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여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에 기재하도록 한다.
음악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뜻하는 것으로,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악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는 음악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또는 정보(예: 플레이리스트, 음원 등)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 및 정보를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음악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는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와 별도의 데이터 저장장치인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 내의 음원 서비스 저장부(미도시)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20)는 프로세서(21), 디스플레이(24) 및 통신부(26)를 포함하고, 프로세서(21)에 의해 음악 서비스 어플(22)이 구동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음원을 청취하는 행위 또는 메뉴를 선택하는 행위에 의해 행동 이력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와 연동한다. 메모리는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메모리는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요구사항에 대한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크립트의 생성에 대한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는 사용자가 선택한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재생 정보(예: 음원의 이름, 음원의 재생 시간 등)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기준 플레이리스트와 유사한 추천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생성을 요청하기 위한 버튼(터치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26)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의해 기준 플레이리스트를 선택하거나, 추천 플레이리스트의 생성을 요청하기 위하여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을 위한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신호 획득부(210), 기준 플레이리스트 제공부(220),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0) 및 추천 플레이리스트 제공부(240)를 포함한다. 도 2의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신호 획득부(210)는 사용자 단말기(20)과 연동하여, 다양한 신호 및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신호 획득부(21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기준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획득한다. 여기서, 선택 신호는 기 저장된 전체 플레이리스트 중 사용자가 선택한 플레이리스트를 요청하는 신호를 의미하며, 선택한 플레이리스트(기준 플레이리스트)는 음악 제공 서비스를 통해 제공 가능한 플레이리스트, 소정의 추천 방식 또는 추천 로직을 통해 사용자에게 추천된 플레이리스트,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플레이리스트 등일 수 있다.
신호 획득부(210)는 선택 신호를 기준 플레이리스트 제공부(220)로 전송하여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기준 플레이리스트가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되도록 한다.
한편, 신호 획득부(21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기 제공된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추천 플레이리스트의 검색 요청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요청신호는 기준 플레이리스트과 유사하거나 공통점을 가지는 새로운 플레이리스트(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추천받기 위하여 플레이리스트의 검색을 요청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신호 획득부(210)는 검색 요청신호를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0)로 전송하여 기준 플레이리스트와 유사한 추천 플레이리스트가 생성되도록 한다.
기준 플레이리스트 제공부(220)는 사용자 단말기(20)로 기준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기준 플레이리스트 제공부(22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기준 플레이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한다. 기준 플레이리스트 제공부(220)는 음악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에 기 저장된 전체 플레이리스트 중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기준 플레이리스트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한다.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0)는 추천 플레이리스트의 검색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기준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기준 플레이리스트과 유사한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0)는 기준 플레이리스트 분석부(232),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4) 및 추천 플레이리스트 정렬부(236)를 포함한다.
기준 플레이리스트 분석부(232)는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된 기준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기준 플레이리스트 분석부(232)는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플레이리스트 정보는 플레이리스트의 제목 정보, 태그 정보, 카테고리 정보, 인기도 정보, 최신성 정보 등의 리스트 속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준 플레이리스트 분석부(232)는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개별 음원 각각에 대한 기준 음원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기준 음원 정보는 개별 음원 각각에 대한 곡명 정보, 아티스트 정보, 태그 정보, 장르 정보, 스타일 정보, 인기도 정보, 최신성 정보, 발매년도 정보 등의 곡 속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4)는 플레이리스트 정보, 기준 음원 정보 등을 기반으로 기 저장된 전체 음원 리스트에서 기준 플레이리스트와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선정하여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한다.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4)는 기준 음원 정보의 분석결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한다.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4)는 기준 음원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조합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4)는 전체 음원 리스트에서 조합된 조합 속성정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선정하여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4)는 조합 속성정보 각각에 대한 서로 다른 복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4)는 기준 음원 정보에 포함된 개별 음원 각각에 대한 곡명 정보, 아티스트 정보, 태그 정보, 장르 정보, 스타일 정보, 인기도 정보, 최신성 정보 및 발매년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서로 조합하여 조합 속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4)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 각각에 대해 설정된 사용자 선호 스코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기준 스코어 이상의 사용자 선호 스코어가 설정된 속성정보를 서로 조합하여 생성된 조합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한다.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4)는 조합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후보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고, 복수의 후보 추천 플레이리스트 중 기준 플레이리스트와의 유사도에 따라 최종적으로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4)는 기준 플레이리스트의 개별 음원과 후보 추천 플레이리스트의 개별 음원을 비교하여 후보 추천 플레이리스트 각각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4)는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개별 음원 각각을 후보 추천 플레이리스트 각각에 포함된 모든 개별 음원과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음원 유사도를 산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음원 유사도를 이용하여 후보 추천 플레이리스트 각각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4)는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개별 음원 각각과 배열된 후보 추천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개별 음원 각각을 배열 순서에 따라 매칭시킨 후 매칭된 개별 음원을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음원 유사도를 산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음원 유사도를 이용하여 후보 추천 플레이리스트 각각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한다.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4)는 후보 추천 플레이리스트 각각에 대한 유사도를 기 설정된 유사기준 임계치와 비교하며, 유사도가 유사기준 임계치 이상인 경우 해당 후보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최종 추천 플레이리스트로 선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플레이리스트 분석부(232),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4)의 동작을 도 7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의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0)는 기준 플레이리스트 분석부(232),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4) 및 데이터 저장부(235)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천 플레이리스트 정렬부(23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 곡 원본 목록(700), 속성 선택 모듈(710), 곡 원본 목록 속성(720)은 기준 플레이리스트 분석부(232)의 동작을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또한, 곡 후보 선정 모듈(730), 속성 필터 모듈(740), 곡 유사 목록 생성 모듈(740)은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부(234)의 동작을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또한, 메타 데이터(760), 모델 데이터(770), 집계 데이터(780)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저장부(235)의 동작을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곡 원본 목록(700)은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입력되는 기준 플레이리스트의 원본 곡 목록(개별 음원 목록)을 의미한다.
속성 선택 모듈(710)은 곡 원본 목록(700)에 대한 속성정보을 지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속성 선택 모듈(710)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의한 요청을 기반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속성을 사용하도록 하거나, 속성 선택 모듈(710)에서 자동으로 특정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속성들을 선정할 수도 있다.
곡 원본 목록 속성(720)은 속성 선택 모듈(710)에 의해 선정된 기준 플레이리스트의 기준 음원 정보로서,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속성정보를 의미한다. 곡 원본 목록 속성(720)에는 하나 이상의 속성값이 포함될 수 있으며, 속성 하나에 추천 플레이리스트가 하나 이상 생성될 수 있다.
곡 원본 목록 속성(720)은, 메타 데이터와 음원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곡 속성정보, 머신 러닝을 통해 정의된 곡의 특성정보, 청취 로그로 부터 집계한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 원본 목록 속성(720)은 개별 음원 각각에 대한 곡명 정보, 아티스트 정보, 태그 정보, 장르 정보 등의 메타데이터, 피아노 연주곡, 기타 연주곡, 음악의 빠르기 등의 음원 속성, 스타일 정보, 인기도 정보, 최신성 정보, 발매년도 정보 등의 음원 속성정보 등과 연결되는 다수의 속성들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곡 원본 목록 속성(720)은 두 개 이상의 속성들을 조합한 조합 속성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곡 원본 목록 속성(720)은 피아노 연주곡과 기타 연주곡 속성을 결합한 어쿠스틱 음원 속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힙합 장르를 직접 선택하여 힙합 장르에 해당하는 추천 플레이리스트가 생성되도록 하거나,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개별 음원 각각에 대한 여러 속성들 중 가장 많은 음원들에 해당되는 속성들을 곡 원본 목록 속성(720)에 포함시키거나, 랜덤으로 속성을 포함되도록 하여 추천 플레이리스트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곡 후보 선정 모듈(730)은 최종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후보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선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후보 추천 플레이리스트의 후보 음원은 다양한 소스로부터 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 후보 선정 모듈(730)은 음원 차트, 유사곡, 유사 아티스트,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도출된 같이 자주 청취되는 곡들, 사용자의 선호곡, 사용자가 많이 청취한 곡,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곡 등 특정 음원을 원본으로 하여 얻을 수 있는 모든 음원 목록들을 사용하여 후보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속성 필터 모듈(740)은 곡 후보 선정 모듈(730)의 결과로 나온 후보 추천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음원들을 필터링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속성 필터 모듈(740)은 기본적인 필터링 기준으로 곡 원본 목록 속성(700)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부(235)로부터 획득한 메타데이터, 모델, 집계 등의 데이터(760, 770, 780)를 추가로 사용하여 추가 필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속성 필터 모듈(740)은 후보 추천 플레이리스트에서 서비스 불가 상태인 음원을 제외하거나, 특정 사용자에게 추천하기 위한 모델의 점수가 너무 낮은 것은 제외하거나, 사용자가 특정 횟수 이하로 청취한 곡을 제외하는 등의 추가적인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곡 유사 목록 생성 모듈(750)은 속성 필터 모듈(740)의 결과로 나온 음원들을 곡 원본 목록(700)에 따라 분류하고, 각 분류된 목록에서 특정 기준에 따라 선정된 최종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곡 후보 선정 모듈(730), 속성 필터 모듈(740), 곡 유사 목록 생성 모듈(740)들은 단계를 나누어 구현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듈 각각의 동작을 통합하여 수행하는 하나의 모듈 또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추천 플레이리스트 정렬부(236)는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정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추천 플레이리스트 정렬부(236)는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 각각에 대한 제1 종합 선호도 스코어를 산출하고, 제1 종합 선호도 스코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정렬한다.
추천 플레이리스트 정렬부(236)는 정렬된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추천 플레이리스트 제공부(240)로 전달하여 정렬된 순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제공되도록 한다.
추천 플레이리스트 정렬부(236)는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해 수집된 행동 이력을 분석하여 선호 행동 스코어를 생성하고,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해 입력된 선호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선호 입력 스코어를 생성하고, 선호 행동 스코어를 이용하여 선호 예측 스코어를 생성한다.
추천 플레이리스트 정렬부(236)는 선호 행동 스코어, 선호 입력 스코어 및 선호 예측 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2 종합 선호도 스코어를 산출한다.
추천 플레이리스트 정렬부(236)는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 각각에 대한 제1 종합 선호도 스코어와 제2 종합 선호도 스코어를 비교하여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정렬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및 제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및 조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기(10)는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로부터 제공되는 음악 서비스를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화면(이하, 단말기 화면으로 기재)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추천 플레이리스트의 생성을 위한 조작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기 화면에는 기 제공된 기준 플레이리스트(320)가 출력되고, 기준 플레이리스트(320)를 기반으로 추천 플레이리스트의 생성을 요청하기 위한 터치 영역(310)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터치 영역(310)에 대한 입력(예: 터치)을 수행하면,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생성 요청신호를 획득하고, 기준 플레이리스트(320)과 유사한 추천 플레이리스트(330)를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 요청신호에는 단말기 화면에 출력되고 있는 기준 플레이리스트(32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기준 음원 정보의 분석결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조합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전체 음원 리스트에서 조합된 조합 속성정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선정하여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조합 속성정보 각각에 대한 서로 다른 복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340)를 생성한다.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복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340)를 정렬하고, 정렬된 복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340)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20)의 단말기 화면에는 기준 음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가 조합된 조합 속성정보 각각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340)가 출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선택 신호를 획득한다(S410).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기준 플레이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S420). 음악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에 기 저장된 전체 플레이리스트 중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기준 플레이리스트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할 수 있다.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추천 플레이리스트의 생성 요청신호를 획득한다(S430). 여기서, 생성 요청신호는 기준 플레이리스트과 유사하거나 공통점을 가지는 새로운 플레이리스트(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추천받기 위하여 플레이리스트의 생성을 요청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검색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기준 플레이리스트를 분석한다(S440).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플레이리스트 정보와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개별 음원 각각에 대한 기준 음원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플레이리스트 정보는 플레이리스트의 제목 정보, 태그 정보, 카테고리 정보, 인기도 정보, 최신성 정보 등의 리스트 속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준 음원 정보는 개별 음원 각각에 대한 곡명 정보, 아티스트 정보, 태그 정보, 장르 정보, 스타일 정보, 인기도 정보, 최신성 정보, 발매년도 정보 등의 곡 속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플레이리스트 정보, 기준 음원 정보 등을 기반으로 기 저장된 전체 음원 리스트에서 기준 플레이리스트와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선정하여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한다(S450).
구체적으로,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기준 음원 정보의 분석결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조합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전체 음원 리스트에서 조합된 조합 속성정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선정하여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조합 속성정보 각각에 대한 서로 다른 복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한다.
한편,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복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랜덤한 순서로 정렬하거나, 각각의 추천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유사도를 이용하여 소정의 순서도 정렬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기준 플레이리스트를 기반으로 생성된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한다(S460).
도 4에서는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4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은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장치(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단말장치(또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 또는 매체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플레이리스트를 기반으로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기준 플레이리스트(510)의 기준 음원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510)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조합하여 조합된 조합 속성정보(520)를 생성한다.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조합 속성정보(520)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선정하여 복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530)를 생성한다. 여기서,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조합 속성정보 각각에 대한 서로 다른 복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530)를 생성한다.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복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530) 각각에 대한 종합 선호도 스코어를 산출하고, 산출된 종합 선호도 스코어를 기반으로 복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530)를 재정렬하여 재정렬된 추천 플레이리스트(540)를 생성한다.
이후,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재정렬된 추천 플레이리스트(540)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기준 플레이리스트와 유사한 추천 플레이리스트(550)를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기기로 구현된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기기로 구현된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를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타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든 형태의 컴퓨팅 기기일 수 있다.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610),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620) 및 통신 버스(66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610)는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으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61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6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으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620)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620)에 저장된 프로그램(1030)은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620)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기기들, 광학 디스크 저장 기기들, 플래시 메모리 기기들, 그 밖에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660)는 프로세서(610),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620)를 포함하여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미도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640) 및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6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640) 및 통신 인터페이스(650)는 통신 버스(660)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미도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640)를 통해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미도시)는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10)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기기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 12: 음악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20: 사용자 단말기
210: 신호 획득부 220: 기준 플레이리스트 제공부
230: 플레이리스트 생성부 240: 추천 플레이리스트 제공부

Claims (10)

  1.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는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기 제공된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추천 플레이리스트의 검색 요청신호를 획득하는 신호 획득 단계;
    상기 검색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기준 음원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 단계;
    상기 기준 음원 정보의 분석결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단계는,
    상기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플레이리스트 정보 및 상기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개별 음원 각각에 대한 기준 음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 플레이리스트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기준 음원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조합하는 단계;
    전체 음원 리스트에서 조합된 조합 속성정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합 속성정보 각각에 대한 상기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기준 음원 정보에 포함된 개별 음원 각각에 대한 곡명 정보, 아티스트 정보, 태그 정보, 장르 정보, 스타일 정보, 인기도 정보, 최신성 정보 및 발매년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서로 조합하여 상기 조합 속성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 각각에 대해 설정된 사용자 선호 스코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기준 스코어 이상의 사용자 선호 스코어가 설정된 속성정보를 서로 조합하여 생성된 상기 조합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 각각에 대한 제1 종합 선호도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종합 선호도 스코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정렬하는 정렬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공 단계는 정렬된 순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단계는,
    상기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해 수집된 행동 이력을 분석하여 선호 행동 스코어를 생성하고, 상기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해 입력된 선호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선호 입력 스코어를 생성하고, 상기 선호 행동 스코어를 이용하여 선호 예측 스코어를 생성하며, 상기 선호 행동 스코어, 상기 선호 입력 스코어 및 상기 선호 예측 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2 종합 선호도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종합 선호도 스코어와 상기 제2 종합 선호도 스코어를 비교하여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
  7.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기 제공된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추천 플레이리스트의 검색 요청신호를 획득하는 신호 획득 단계;
    상기 검색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기준 음원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 단계;
    상기 기준 음원 정보의 분석결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공 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단계는,
    상기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한 플레이리스트 정보 및 상기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개별 음원 각각에 대한 기준 음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기준 음원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조합하는 단계; 전체 음원 리스트에서 조합된 조합 속성정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합 속성정보 각각에 대한 상기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 각각에 대한 제1 종합 선호도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종합 선호도 스코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정렬하는 정렬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공 단계는 정렬된 순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단계는,
    상기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해 수집된 행동 이력을 분석하여 선호 행동 스코어를 생성하고, 상기 기준 플레이리스트에 대해 입력된 선호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선호 입력 스코어를 생성하고, 상기 선호 행동 스코어를 이용하여 선호 예측 스코어를 생성하며, 상기 선호 행동 스코어, 상기 선호 입력 스코어 및 상기 선호 예측 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2 종합 선호도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종합 선호도 스코어와 상기 제2 종합 선호도 스코어를 비교하여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플레이리스트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서비스 제공장치.
KR1020200104689A 2020-04-21 2020-08-20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516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332 2020-04-21
KR20200048332 2020-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081A true KR20210130081A (ko) 2021-10-29
KR102516212B1 KR102516212B1 (ko) 2023-03-30

Family

ID=7823153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202A KR102386817B1 (ko) 2020-04-21 2020-06-03 사용자 선호 기반 음악 정렬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단말기
KR1020200104689A KR102516212B1 (ko) 2020-04-21 2020-08-20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0200104650A KR102516211B1 (ko) 2020-04-21 2020-08-20 추천 플레이리스트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202A KR102386817B1 (ko) 2020-04-21 2020-06-03 사용자 선호 기반 음악 정렬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단말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650A KR102516211B1 (ko) 2020-04-21 2020-08-20 추천 플레이리스트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868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831A1 (ko) *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버시스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사운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5271851B (zh) * 2022-07-04 2023-10-10 天翼爱音乐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彩铃推荐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2022A (ko) * 2006-12-27 2008-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악 특성 기반 유사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이용한 음악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33750A (ko) * 2007-10-01 2009-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플레이 리스트 추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3008B2 (ja) * 2002-10-09 2009-01-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操作支援方法及び操作支援プログラム
KR100771632B1 (ko) * 2006-01-17 2007-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탈 방송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30054535A (ko) * 2011-11-17 2013-05-27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콘텐츠 리스트를 추천하는 방법, 서버,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20160080716A (ko) * 2014-12-30 2016-07-0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컨텐츠 추천 및 생성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컨텐츠 매매 시스템, 및 컨텐츠 추천 및 생성 방법
KR101874441B1 (ko) * 2015-03-06 2018-07-04 김유식 음악제공방법 및 음악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2022A (ko) * 2006-12-27 2008-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악 특성 기반 유사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이용한 음악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33750A (ko) * 2007-10-01 2009-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플레이 리스트 추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069A (ko) 2021-10-29
KR102516211B1 (ko) 2023-03-30
KR20210130080A (ko) 2021-10-29
KR102516212B1 (ko) 2023-03-30
KR102386817B1 (ko)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5301B2 (en) Cross media recommendation
WO2018072071A1 (zh) 知识图谱构建系统及方法
US20220405324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usic recommendations based on combining song and user influencers with channel rule characterizations
Bonnin et al. Automated generation of music playlists: Survey and experiments
US8321456B2 (en) Generating metadata for association with a collection of content items
US20090158155A1 (en) Playlist generation, delivery and navigation
US20100250585A1 (en) Context based video finder
US20110093798A1 (en) Automated Content Detection, Analysis, Visual Synthesis and Repurposing
US9875245B2 (en) Content item recommendations based on content attribute sequence
US10885107B2 (en) Music recommend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10066168A (ko) 유사성 데이터에 기초한 재생목록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00217755A1 (en) Classifying a set of content items
KR20130059237A (ko) 음악의 감정 정보를 이용한 추천음악 검색 방법 및 장치
US11762901B2 (en) User consumption behavior analysis and composer interface
KR20090033750A (ko) 콘텐츠 플레이 리스트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2516212B1 (ko)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Wang et al. Towards time-varying music auto-tagging based on cal500 expansion
CN110309326A (zh) 基于多媒体文件的播放列表生成方法、装置和终端设备
Allik et al. Musiclynx: Exploring music through artist similarity graphs
JP4848874B2 (ja) 情報処理装置,再生装置,通信方法,再生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0129377A (ja) コンテンツ検索方法、装置、機器、および記憶媒体
KR101336846B1 (ko) 콘텐츠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검색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검색 시스템
US1196053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rganizing music tracks
US20180349372A1 (en) Media item recommendations based on social relationships
CN105630837B (zh) 一种媒体记录搜索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