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9909A -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9909A
KR20210129909A KR1020200048016A KR20200048016A KR20210129909A KR 20210129909 A KR20210129909 A KR 20210129909A KR 1020200048016 A KR1020200048016 A KR 1020200048016A KR 20200048016 A KR20200048016 A KR 20200048016A KR 20210129909 A KR20210129909 A KR 20210129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unit
user
brain
cognitive impai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639B1 (ko
Inventor
오도연
Original Assignee
뉴로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로엔(주) filed Critical 뉴로엔(주)
Priority to KR1020200048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639B1/ko
Priority to PCT/KR2021/004893 priority patent/WO2021215769A1/ko
Priority to US17/636,914 priority patent/US20220313994A1/en
Publication of KR20210129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5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ing a mental or cerebral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2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7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application of electrical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4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electro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syc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Neu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esthe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뇌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전극부; 상기 복수 개의 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전극부 및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부는, 상기 사용자의 뇌 중 좌측 전두엽(frontal lobe)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기 위한 제1 전극부; 상기 사용자의 뇌 중 우측 전두엽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기 위한 제2 전극부; 상기 사용자의 뇌 중 좌측 두정엽(parietal lobe)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기 위한 제3 전극부; 및 상기 사용자의 뇌 중 우측 두정엽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기 위한 제4 전극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배치되는 제5 전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헬멧과 같은 장비에 장착하여 경도인지장애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안전하게 뇌를 자극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PREVENTING HEALTH CARE SYSTEM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본 발명은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도인지장애를 예방하고, 나아가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도인지장애는, 정상적으로 노화현상이 일어나 인지능력이 감퇴하여 정상적인 상태와 치매의 상태 중간 단계를 의미한다. 즉, 동일한 연령대에 비해 인지 능력이 저하된 상태를 말하며, 일상생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치매와 차이가 있다. 즉, 경도인지장애는 치매로 진행할 수 있는 치매의 고위험군이다.
통상적으로 경도인지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 중 약 10% 내지 15%는 약 1년 정도 경과 후에 치매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고, 약 6년이 경과하는 경우에 약 80%가 치매로 진행된다.
이렇게 경도인지장애가 치매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약물, 뇌훈련 및 뇌자극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약물을 이용하는 방법은, 개발된 약물 중 검증이 완료된 의약품이 없고, 약물을 오남용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뇌훈련을 이용하는 방법은, 인지훈련, 행동요법 및 명상법 등과 같이, 끊임없는 훈련을 통해 새로운 시냅스(synapse)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뇌훈련을 이용하는 것은, 개선 효과가 약하고,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뇌자극을 이용하는 방법은, 뇌를 직접적으로 자극하는 방법으로, 침습 또는 비침습 방법이 이용되며, 뇌를 직접적으로 자극하거나 간접적으로 자극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이렇게 뇌를 물리적으로 자극하기 때문에 안전이 매우 중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5593호 (2014.11.2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8673호 (2017.05.16.) 미국 공개특허 제2006-0074411호 (2006.04.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경도인지장애를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뇌자극을 이용한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뇌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전극부; 상기 복수 개의 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전극부 및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부는, 상기 사용자의 뇌 중 좌측 전두엽(frontal lobe)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기 위한 제1 전극부; 상기 사용자의 뇌 중 우측 전두엽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기 위한 제2 전극부; 상기 사용자의 뇌 중 좌측 두정엽(parietal lobe)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기 위한 제3 전극부; 및 상기 사용자의 뇌 중 우측 두정엽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기 위한 제4 전극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배치되는 제5 전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심전도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전극부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전극부가 양전극 또는 음전극으로 구동되도록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5 전극부가 상기 제1 내지 제4 전극부와 다른 전극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헬멧과 같은 장비에 장착하여 경도인지장애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안전하게 뇌를 자극할 수 있다.
또한,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도록 조작할 수 있어,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자가 뇌자극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의 헬스 케어 프로그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의 헬스 케어 프로그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의 헬스 케어 프로그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의 헬스 케어 프로그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을 헬멧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의 헬스 케어 프로그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뇌에 전기적인 자극을 직접적으로 가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질환에 대해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다. 예컨대, 우울증, 경련성 질환, 통증, 기억력 향상, 운동학습능력 향상, 지적장애, 조현병, 중독질환 및 경도인지장애 등의 질환에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해당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100)은,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제4 전극부(117), 제5 전극부(119), 전원부(120), 측정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제1 전극부(111)는 사용자의 뇌 중 전두엽(frontal lobe)의 좌측 전두엽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부(111)는 전원부(120)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제1 전극부(111)에 포함된 전극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부(111)는 전류가 방출되는 양전극이나 전류가 들어오는 음전극 중 하나일 수 있다.
제2 전극부(113)는 사용자의 뇌 중 전두엽의 우측 전두엽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부(113)는 전원부(120)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제2 전극부(113)에 포함된 전극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부(113)는 전류가 방출되는 양전극이나 전류가 들어오는 음전극 중 하나일 수 있다.
제3 전극부(115)는 사용자의 뇌 중 두정엽(parietal lobe)의 좌측 두정엽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전극부(115)는 전원부(120)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제3 전극부(115)에 포함된 전극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때, 제3 전극부(115)는 전류가 방출되는 양전극이나 전류가 들어오는 음전극 중 하나일 수 있다.
제4 전극부(117)는 사용자의 뇌 중 두정엽의 우측 두정엽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전극부(117)는 전원부(120)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제4 전극부(117)에 포함된 전극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때, 제4 전극부(117)는 전류가 방출되는 양전극이나 전류가 들어오는 음전극 중 하나일 수 있다.
제5 전극부(119)는 사용자의 목 뒤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전극부(119)는 전원부(120)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제5 전극부(119)에 포함된 전극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때, 제5 전극부(119)는 전류가 방출되는 양전극이나 전류가 들어오는 음전극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제4 전극부(117) 및 제5 전극부(119)는 수분이 포함된 전극이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제4 전극부(117) 및 제5 전극부(119)는 필요에 따라 수분 없이 전류가 일정하게 전달될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제4 전극부(117) 및 제5 전극부(119)를 이용하여 전두엽 및 두정엽에 전기적인 자극을 주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제4 전극부(117) 및 제5 전극부(119)를 이용하여 뇌의 다른 부위에 전기적인 자극을 줄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원부(120)는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제4 전극부(117) 및 제5 전극부(119)에 전류가 흐르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원부(120)는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제4 전극부(117) 및 제5 전극부(119) 중 어느 하나가 양전극 또는 음전극이 되고 나머지들이 다른 종류의 전극이 되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부(120)는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및 제4 전극부(117)가 양전극이 되고, 제5 전극부(119)가 음전극이 되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및 제4 전극부(117)가 음전극이 되고, 제5 전극부(119)가 양전극이 되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 제3 전극부(115) 및 제4 전극부(117)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전극부(111) 및 제2 전극부(113)가 양전극이 되고, 제5 전극부(119)가 음전극이 되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렇게 전원부(120)에서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제4 전극부(117) 및 제5 전극부(119)에 공급하는 전원은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20)는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제4 전극부(117) 및 제5 전극부(119)에 공급하는 전원의 전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제4 전극부(117) 및 제5 전극부(119)에 흐르는 전류는 각 전극에 약 0.5mA일 수 있다.
전원부(120)는 상용전원을 통해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제4 전극부(117) 및 제5 전극부(119)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배터리일 수 있다. 전원부(120)가 배터리인 경우,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가 이용될 수 있다.
측정부(130)는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측정부(130)는 사용자의 귀의 뒤 부분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심전도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40)로 전송될 수 있다.
측정부(130)는 심전도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체정보를 수집하기 위함이며, 또한, 심전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제4 전극부(117) 및 제5 전극부(119)를 통해 가해진 전류가 인체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40)는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제4 전극부(117) 및 제5 전극부(119)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제4 전극부(117) 및 제5 전극부(119) 중 일부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또한, 각각이 양전극 또는 음전극으로 구동되도록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및 제4 전극부(117)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40)는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및 제4 전극부(117)에 흐르는 전류가 1mA 내지 2mA의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0.5mA 단위로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필요에 따라 모드에 따라 전류의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100)이 '기억력, 집중력을 동시에 개선'하고자 하는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기억력을 담당하는 전두엽과 집중력을 담당하는 두정엽을 동시에 자극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및 제4 전극부(117)가 양전극으로 구동하고, 제5 전극부(119)가 음전극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제어부(140)는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100)이 '기억력 개선'을 하고자 하는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기억력을 담당하는 전두엽을 자극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 전극부(111) 및 제2 전극부(113)가 양전극으로 구동하고, 제5 전극부(119)가 음전극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3 전극부(115) 및 제4 전극부(117)는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집중력 개선'을 하고자하는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집중력을 담당하는 두정엽을 자극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3 전극부(115) 및 제4 전극부(117)가 양전극으로 구동하고, 제5 전극부(119)가 음전극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부(111) 및 제2 전극부(113)는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불면증 모드'를 하고자하는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및 제4 전극부(117)가 음전극으로 구동하고, 제5 전극부(119)가 양전극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불면증 모드'는 뇌를 휴식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는 모드이다.
상기와 같은 모드 이외에도, 언어 능력, 시공간 능력, 감정조절 및 청각 능력을 개선하고자 하는 경우에 전두엽 및 두정엽 중 하나 이상을 자극하도록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및 제4 전극부(117) 중 하나 이상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심전도에 따라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제4 전극부(117) 및 제5 전극부(119)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심전도가 정상상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제4 전극부(117) 및 제5 전극부(119)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을 헬멧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100)은, 헬멧(200)에 적용할 수 있다. 즉, 헬멧(200)의 내면에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제4 전극부(117) 및 제5 전극부(119)를 각각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헬멧(200)을 착용하면,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제4 전극부(117) 및 제5 전극부(119)가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될 수 있으며, 제1 전극부(111), 제2 전극부(113), 제3 전극부(115), 제4 전극부(117) 및 제5 전극부(119)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를 통해 뇌에 전기적인 자극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전원부(120), 측정부(130) 및 제어부(140)도 함께 헬멧(2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헬멧(200)의 외측면에 사용자가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100)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100)을 이용하고자 할 때, 헬멧(200)을 착용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모드를 선택하면, 설정된 시간(예컨대, 1회에 약 20분) 동안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헬멧(200)에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을 이용하여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100)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고,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헬멧(200)에는 인터넷 등에 접속할 수 있는 외부 통신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심전도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병원 등에 해당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100)을 이용한 모드나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100)의 이용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으며, 제품에 대한 관리를 받을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헬멧(200)은 일례로 도시한 것이며, 헬멧(200)의 종류는 필요에 따라 다른 종류가 이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5 전극부(11, 113, 115, 117, 119)의 외부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메르캅토벤조씨아졸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메르캅토벤조씨아졸과 아미도알킬 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메르캅토벤조씨아졸과 아미도알킬 베타인은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메르캅토벤조씨아졸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5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 ~ 19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5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메르캅토벤조씨아졸 0.1 몰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헬멧(200) 내외부면에 살균기능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됨에 따라, 헬멧(200) 내외부면을 살균,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적인 작용을 한다.
한편,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코스터스 오일(Costus oil) 50중량%, 카시이 오일(Cassie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효과가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코스터스 오일(Costus oil)은 신경통, 근육통, 항울증, 스트레스 완화작용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카시이 오일(Cassie oil)은 해독 작용, 피부 질환 치료, 살균, 가려움증 완화, 머리를 맑게 하고, 긴장완화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헬멧(200) 내외부면에 코팅됨에 따라, 헬멧(200) 내외부면을 살균하는 우수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구성 성분 및 비율은 수치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구성 성분 및 비율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제1 내지 제5 전극부(11, 113, 115, 117, 119)를 헬멧(200) 내면에 부착시 접착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착향상제를 도포하고, 이러한 접착향상제는 물 53중량부와, 에틸 아크릴레이트 15중량부와, 부틸 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와, 토일트리아졸 3중량부와, 계면활성제 5중량부와, 첨가제 1중량부와, 과황산암모늄 2중량부와, 완충제 1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매인 물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3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전체 농도가 높아져 스프레이 작업이 어렵게 되며, 53 중량부 이상 첨가할 경우 농도가 묽어 스프레이 작업은 용이하나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53중량부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 아크릴레이트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로 첨가될 경우 유연성과 내수성이 저하되어 용매인 물과의 혼합이 용이하지 않으며, 15 중량부 이상 첨가할 경우 유연성과 내수성은 증대되나 전체 점도 상승의 요인이 되어 스프레이 작업이 어렵게 됨으로써 15 중량부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틸 아크릴레이트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접착성, 내수성, 광택성이 저하되어 제1 내지 제5 전극부(11, 113, 115, 117, 119)와 헬멧(200) 내면 간의 접착 향상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며,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상 첨가할 경우 내수성, 광택성, 접착성은 높아지게 되나, 전체 점도 상승의 요인이 되어 스프레이 작업이 어렵게 됨으로써 20 중량부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형, 비이온형을 같이 사용하며 물에 모노머를 분산시켜 균일하게 혼합하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통상의 물질을 사용한 것으로서,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용매인 물과 모노머 간의 친수성과 친유성이 저하되어 혼합 및 균질화가 어려우며,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이상 첨가될 경우 용매인 물과 모노머 간의 친수성과 친유성의 효과를 더 이상 기대할 수 없어 5 중량부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는 제품의 지속적인 물성 특성을 유지하게 도와주는 일반적인 안정제로서, 1 중량부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제인 과황산암모늄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모노머 간에 반응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아 양호한 물성을 얻기 어려우며,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 이상 첨가될 경우 과반응이 일어나게 되어 인해 오히려 물성 저하를 가져오는 요인이 됨으로써 2 중량부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제는 전체 물성과 점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단계가 완료되면 반응기의 온도를 72℃로 유지한 상태에서 약 90분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를 수행한 다음, 상온에서 냉각하는 냉각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5 전극부(11, 113, 115, 117, 119)와 헬멧(200) 내면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접착 향상제의 제조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5 전극부(11, 113, 115, 117, 119)와 헬멧(200) 내면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접착 향상제의 용매로 사용되는 물이 53중량부가 포함되어 있어 농도가 낮아 스프레이 방식으로 헬멧(200) 내면에 도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성분과 이에 대한 수치한정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의 시험결과,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현저한 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헬스 케어 시스템
111: 제1 전극부
113: 제2 전극부
115: 제3 전극부
117: 제4 전극부
119: 제5 전극부
120: 전원부
130: 측정부
140: 제어부
200: 헬멧

Claims (3)

  1. 사용자의 뇌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전극부;
    상기 복수 개의 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전극부 및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부는,
    상기 사용자의 뇌 중 좌측 전두엽(frontal lobe)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기 위한 제1 전극부;
    상기 사용자의 뇌 중 우측 전두엽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기 위한 제2 전극부;
    상기 사용자의 뇌 중 좌측 두정엽(parietal lobe)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기 위한 제3 전극부; 및
    상기 사용자의 뇌 중 우측 두정엽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기 위한 제4 전극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배치되는 제5 전극부를 더 포함하는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심전도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전극부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전극부가 양전극 또는 음전극으로 구동되도록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5 전극부가 상기 제1 내지 제4 전극부와 다른 전극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경도인지장애 예방 헬스 케어 시스템.
KR1020200048016A 2020-04-21 2020-04-21 뇌 자극 장치 KR102505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016A KR102505639B1 (ko) 2020-04-21 2020-04-21 뇌 자극 장치
PCT/KR2021/004893 WO2021215769A1 (ko) 2020-04-21 2021-04-19 비침습적 뇌자극 헬스케어 장치
US17/636,914 US20220313994A1 (en) 2020-04-21 2021-04-19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health car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016A KR102505639B1 (ko) 2020-04-21 2020-04-21 뇌 자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909A true KR20210129909A (ko) 2021-10-29
KR102505639B1 KR102505639B1 (ko) 2023-03-08

Family

ID=7823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016A KR102505639B1 (ko) 2020-04-21 2020-04-21 뇌 자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63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4411A1 (en) 2004-10-05 2006-04-06 Granite Advisory Services Biomedical dispersive electrode
JP2011517962A (ja) * 2007-10-04 2011-06-23 ニューロニクス エルティーディー. 中枢神経系に関連する医学的状態の治療のための、および認知機能の向上のためのシステムならびに方法
KR20140080299A (ko) * 2012-12-20 2014-06-30 (주)와이브레인 머리 착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
KR20140080053A (ko) * 2012-12-20 2014-06-30 (주)와이브레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
KR101465593B1 (ko) 2014-09-03 2014-11-27 (주)와이브레인 경두개 직류 자극(tDCS) 장치
KR101566786B1 (ko) * 2015-06-23 2015-11-06 (주)와이브레인 전기 자극 및 생체 전위 측정 장치
KR20160046887A (ko) * 2013-08-27 2016-04-29 헤일로우 뉴로 아이엔씨. 전기 자극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738673B1 (ko) 2015-11-30 2017-05-22 한국건설 주식회사 스마트 케어 손목착용형 장구 및 손목착용형 장구를 이용한 건강케어 시스템
KR20180084700A (ko) * 2018-07-13 2018-07-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뇌 자극을 통한 기억 향상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4411A1 (en) 2004-10-05 2006-04-06 Granite Advisory Services Biomedical dispersive electrode
JP2011517962A (ja) * 2007-10-04 2011-06-23 ニューロニクス エルティーディー. 中枢神経系に関連する医学的状態の治療のための、および認知機能の向上のためのシステムならびに方法
KR20140080299A (ko) * 2012-12-20 2014-06-30 (주)와이브레인 머리 착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
KR20140080053A (ko) * 2012-12-20 2014-06-30 (주)와이브레인 경두개 전기 자극 시스템
KR20160046887A (ko) * 2013-08-27 2016-04-29 헤일로우 뉴로 아이엔씨. 전기 자극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465593B1 (ko) 2014-09-03 2014-11-27 (주)와이브레인 경두개 직류 자극(tDCS) 장치
KR101566786B1 (ko) * 2015-06-23 2015-11-06 (주)와이브레인 전기 자극 및 생체 전위 측정 장치
KR101738673B1 (ko) 2015-11-30 2017-05-22 한국건설 주식회사 스마트 케어 손목착용형 장구 및 손목착용형 장구를 이용한 건강케어 시스템
KR20180084700A (ko) * 2018-07-13 2018-07-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뇌 자극을 통한 기억 향상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639B1 (ko) 202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5148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transdermal electrical stimulation of nerves to modify or induce a cognitive state
US10293161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transdermal electrical stimulation of nerves to modify or induce a cognitive state
US9393430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 of a wearable transdermal neurostimulator to apply ensemble waveforms
AU2010303586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neuropsychiatric disorders
US10857355B2 (en) Therapeutically applicable multichannel direct current delivery device
US200600528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modifying and reporting treatment compliance
KR102050319B1 (ko) 실시간 뇌 활성도 변화에 따른 모니터링과 중추 및 말초 신경 복합자극을 통한 뇌신경 조절장치
JP2011517962A5 (ko)
JP2013524879A (ja) 脳の状態に変化がある患者の応答性検査
US104269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nervous system behavior using autonomic features
Abekawa et al. Disentangling the visual, motor and representational effects of vestibular input
KR102505639B1 (ko) 뇌 자극 장치
US20220313994A1 (en)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health care device
KR102552199B1 (ko) 피시술자의 긴장도를 완화시킬 수 있는 비침습적 뇌자극 헬스케어 시스템
KR102516618B1 (ko) 전극 밀착성 및 착용성이 향상된 비침습적 뇌자극 헬스케어 장치
US11944806B2 (en) Transcranial alternating current dynamic frequency stimulation method for anxiety, depression, and insomnia (ADI)
KR102604287B1 (ko) 미주신경 자극 장치의 제어 방법
US20240189590A1 (en) Transcranial alternating current dynamic frequency stimulation method for anxiety, depression, and insomnia (adi)
KR20230128638A (ko) 비침습적 자극 장치 및 방법
KR20230162516A (ko) 심박변이도를 통한 사용자 상태 및 자극 민감도를 반영한 미주신경에 대한 전기자극 인가 방법 및 미주신경 자극 장치
Henry Pathophysiology of chronic pain
TR2021014395A2 (tr) Bi̇r transkutanöz posteri̇or ti̇bi̇al si̇ni̇r sti̇mülasyon ci̇hazi ve ci̇hazin çalişma yöntemi̇
Sadala et al. Analgesic electrical currents associated with carboxytherapy in women with cellulit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owyer et al. MEG localization of the putative cortical generators of tinnitus
Robles-Camarillo et al. Waveform generator system to transcorneal stimulation based on a digital adaptive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