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9510A -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9510A
KR20210129510A KR1020200047648A KR20200047648A KR20210129510A KR 20210129510 A KR20210129510 A KR 20210129510A KR 1020200047648 A KR1020200047648 A KR 1020200047648A KR 20200047648 A KR20200047648 A KR 20200047648A KR 20210129510 A KR20210129510 A KR 20210129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cutting oil
supply
pipe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3322B1 (ko
Inventor
이종한
Original Assignee
이종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한 filed Critical 이종한
Priority to KR1020200047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32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9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76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with a cutting liquid nozzle specially adaptable to different kinds of machin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84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specially adapted for being fitted to different kinds of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다수의 절삭공구를 통해 공작물을 가공하는 CNC 선반에서 절삭공구와 공작물 측으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것으로, 일단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절삭유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유입된 절삭유가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공급파이프와, 상기 절삭공구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절삭공구 측으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공급파이프의 배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절삭공구 측에 위치되는 다수의 공급호스와, 상기 공급파이프의 유입구 측으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호스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를 상기 절삭공구 측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하는 위치 설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위치 설정수단을 통해 절삭공구 및 공작물 측으로 절삭유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의 위치를 자유롭고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어 절삭공구의 교체로 인한 절삭공구의 길이 및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여 절삭유가 적합한 위치로 용이하게 분사 공급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공작물의 불량 발생률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급파이프의 배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작동이 제어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가공을 수행하지 않는 절삭공구 측의 공급호스로 불필요하게 절삭유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실제로 공작물을 가공하는 절삭공구 측에 형성되는 공급호스로만 절삭유가 집중 공급되게 함으로, 실제로 가공을 수행하는 절삭공구와 공작물 측으로 원활한 절삭유 공급을 통해 절삭공구와 공작물의 안정적인 냉각이 수행되어 공작물에 고온의 칩이 들러붙어 발생하는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여 공작물의 불량 발생률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급호스를 통해 분사되는 절삭유의 분사 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 공작물이나 절삭공구 표면에 들러붙는 칩을 용이하게 분리 이탈시켜 공작물이나 절삭공구에 칩이 들러붙는 현상을 원천봉쇄할 수 있어 절삭공구를 통한 안정적인 가공 및 완제품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Cutting oil supply equipment for CNC machine tool}
본 발명은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 설정수단을 통해 절삭공구 및 공작물 측으로 절삭유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의 위치를 자유롭고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어 절삭공구의 교체로 인한 절삭공구의 길이 및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여 절삭유가 적합한 위치로 용이하게 분사 공급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공작물의 불량 발생률을 저감시킬 수 있는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공작의 기초가 되는 절삭(切削, cutting)·연삭(硏削, grinding) 등으로 금속재료(이하 "공작물"이라 함)를 가공하여 필요한 모양을 만들어 내는 공작기계(工作機械, Machine tools)는, 공작물의 재질·종류 등 상당히 넓은 범위에 걸쳐 가공할 수 있는 범용(汎用) 공작기계와, 재료의 설치·가공속도·이송속도 등 모두가 한 종류로 변화시킬 수 없는 전용(專用) 공작기계로 크게 구분한다.
특히, 공작물 혹은 바이트(bite)·드릴빗(drillbit)·밀링커터(milling cutter) 등과 같은 각종 절삭공구(切削工具, cutting tools)를 회전시키거나 왕복시켜 절삭가공하게 되는바, 공작물이 회전하는 종류로는 선반(lathe)이 대표적이고, 절삭공구가 회전하는 종류로는 밀링머신(milling machine)·보링머신(boring machine)·드릴링머신(drilling machine)·연삭기(grinder) 등이 있다.
최근 들어서는, 기계부품의 가공공정이 소형 및 단품 가공방식에서 일체형 기계가공부품(one piece machined part) 형태로 전환됨에 따라, 이들을 제작하기 위한 전용기 개발과 더불어 점차 대형화·고속화·수치제어(numerical control; NC)화·무인화 추세에 있다. 즉, 현대산업의 생산체제는 기계제조공업에서 자동화 생산체제로 변화되었으며, 자동화 생산체제는 소품종 대량생산에서 소비자의 자기욕구와 취향에 맞는 제품을 싼값에 생산할 수 있는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다품종 소량생산에서는, 소비자의 수요에 탄력적인 생산공정이 이루어지면서 대부분의 제품이 유연 자동화시스템(flexible automation system; FAS)에 의해 제조되는데, 생산단위요소로는 컴퓨터 수치제어 선반(computer numerical control lath /이하 "CNC 선반"이라 함), 머시닝 센터(machining center), CAD/CAM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중앙제어컴퓨터가 각 생산단위의 기계를 조정하면서 각각의 생산단위들이 하나로 통합된다.
상기와 같은 CNC 선반은 다수의 절삭공구를 자유롭게 선택하면서 공작물을 가공하게 되는데, 이때 공작물과 절삭공구의 접촉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해 공작물과 절삭공구 측으로 절삭유를 연속 공급하면서 안정적인 공작물의 가공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CNC 선반은 다수의 절삭공구 측에 각각 배치되는 공급호스를 통해 절삭공구와 공작물 측으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다수의 절삭공구에 각각 형성되는 모든 공급호스에서 절삭유가 공급되는 특성상 실제로 가공을 수행하는 하나의 절삭공구를 제외한 나머지 절삭공구로 공급되는 절삭유는 불필요하게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결국 실제로 공작물을 가공하는 절삭공구 측으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호스 측으로 절삭유의 원활한 공급을 방해하게 되므로, 절삭공구와 공작물이 절삭유에 효과적으로 냉각되지 못해 가공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칩이 공작물로 들러붙는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공작물의 불량품이 높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CNC 선반의 절삭공구는 사용목적에 따라 빈번하게 교체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교체된 절삭공구의 길이나 위치가 이전의 절삭공구에 대비하여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절삭유를 공급하는 호스의 위치 및 각도의 조절이 요구되지만 호스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없어 호스의 위치 및 각도를 설정하는데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위치 설정수단을 통해 절삭공구 및 공작물 측으로 절삭유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의 위치를 자유롭고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어 절삭공구의 교체로 인한 절삭공구의 길이 및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여 절삭유가 적합한 위치로 용이하게 분사 공급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공작물의 불량 발생률을 저감시킬 수 있는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공급파이프의 배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작동이 제어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가공을 수행하지 않는 절삭공구 측의 공급호스로 불필요하게 절삭유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실제로 공작물을 가공하는 절삭공구 측에 형성되는 공급호스로만 절삭유가 집중 공급되게 함으로, 실제로 가공을 수행하는 절삭공구와 공작물 측으로 원활한 절삭유 공급을 통해 절삭공구와 공작물의 안정적인 냉각이 수행되어 공작물에 고온의 칩이 들러붙어 발생하는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여 공작물의 불량 발생률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급호스를 통해 분사되는 절삭유의 분사 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 공작물이나 절삭공구 표면에 들러붙는 칩을 용이하게 분리 이탈시켜 공작물이나 절삭공구에 칩이 들러붙는 현상을 원천봉쇄할 수 있어 절삭공구를 통한 안정적인 가공 및 완제품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는 다수의 절삭공구를 통해 공작물을 가공하는 CNC 선반에서 절삭공구와 공작물 측으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것으로, 일단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절삭유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유입된 절삭유가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공급파이프와, 상기 절삭공구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절삭공구 측으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공급파이프의 배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절삭공구 측에 위치되는 다수의 공급호스와, 상기 공급파이프의 유입구 측으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호스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를 상기 절삭공구 측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하는 위치 설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설정수단은 일단은 상기 공급호스의 타단과 연결되되, 원터치 클램프를 통해 상기 공급호스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되어 상기 공급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를 상기 분사노즐로 유통하는 설정파이프와, 내부에 상기 설정파이프가 관통 안치되는 설정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가 오므려지거나 팽창 복원될 수 있도록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설정부재와, 상기 설정부재에 체결되는 것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설정부재의 설정공이 오므려지면서 상기 설정공에 안치된 상기 설정파이프가 가압 고정되게 하며,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설정부재의 설정공이 팽창 복원되면서 상기 설정공에 안치된 상기 설정파이프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는 설정볼트와, 상기 설정파이프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분사노즐을 회동시켜 상기 분사노즐을 통한 절삭유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수단은 외주면에 등각 간격으로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는 유입공과, 상기 유입공과 이격되어 등각 간격으로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는 배출공과, 내부에는 상기 유입공과 배출공과 연통되어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되는 절삭유를 상기 배출공으로 안내하는 내측 통로가 형성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 상에 형성되되, 상기 설정파이프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설정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를 상기 유입공 측으로 배출하며, 안쪽에는 설정링편 측으로 개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설정링편의 내부 공간과 함께 상기 조절볼트의 외측에 상기 설정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를 상기 설정링편 측으로 안내하는 외측 통로를 형성하는 환형의 고정링편과, 상기 조절볼트 상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린편 측으로 밀착 고정되되,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되어 상기 설정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를 상기 분사노즐로 안내 공급하며, 안쪽에는 상기 고정린편 측으로 개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링편의 내부 공간과 함께 상기 조절볼트의 외측에 외측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외측 통로 및 상기 내측 통로로 유통되어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 유통되는 절삭유를 상기 분사노즐로 안내하는 환형의 설정링편과, 상기 고정링편과 설정링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 통로로 유통되는 절삭유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환형의 오-링과, 상기 조절볼트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설정링편을 상기 고정링편 측으로 가압 고정하여 상기 설정링편과 함께 상기 설정링편에 결합되는 상기 분사노즐의 위치를 고정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파이프의 배출구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공급호스와 연결되는 것으로, CNC 선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상기 배출구의 개폐를 결정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컨트롤러는 공작물의 가공을 수행하는 절삭공구로 절삭유를 공급할 수 있는 상기 공급호스와 연결되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만을 개방하여 상기 공급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가 개방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하나의 상기 공급호스로만 유통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에 의하면, 위치 설정수단을 통해 절삭공구 및 공작물 측으로 절삭유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의 위치를 자유롭고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어 절삭공구의 교체로 인한 절삭공구의 길이 및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여 절삭유가 적합한 위치로 용이하게 분사 공급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공작물의 불량 발생률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급파이프의 배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작동이 제어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가공을 수행하지 않는 절삭공구 측의 공급호스로 불필요하게 절삭유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실제로 공작물을 가공하는 절삭공구 측에 형성되는 공급호스로만 절삭유가 집중 공급되게 함으로, 실제로 가공을 수행하는 절삭공구와 공작물 측으로 원활한 절삭유 공급을 통해 절삭공구와 공작물의 안정적인 냉각이 수행되어 공작물에 고온의 칩이 들러붙어 발생하는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여 공작물의 불량 발생률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급호스를 통해 분사되는 절삭유의 분사 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 공작물이나 절삭공구 표면에 들러붙는 칩을 용이하게 분리 이탈시켜 공작물이나 절삭공구에 칩이 들러붙는 현상을 원천봉쇄할 수 있어 절삭공구를 통한 안정적인 가공 및 완제품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100)는 다수의 절삭공구(1)를 통해 공작물을 가공하는 CNC 선반에서 절삭공구(1)와 공작물 측으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것으로, 일단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절삭유가 유입되는 유입구(2a)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유입된 절삭유가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구(2b)가 형성되는 공급파이프(2)와, 상기 절삭공구(1)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절삭공구(1) 측으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공급파이프(2)의 배출구(2b)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절삭공구(1) 측에 위치되는 다수의 공급호스(3)와, 상기 공급파이프(2)의 유입구(2a) 측으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펌프(4)를 포함하는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에 있어서,
분사노즐(10)과, 위치 설정수단(20)을 더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10)은 상기 공급호스(3)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호스(3)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를 상기 절삭공구(1) 측으로 분사하도록 한다.
즉,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10)은 상기 공급호스(3)로부터 절삭유를 공급받아 상기 절삭공구(1) 측으로 정확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안내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설정수단(20)은 상기 분사노즐(10)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공급호스(3)의 타단과 연결되되, 원터치 클램프(21a)를 통해 상기 공급호스(3)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분사노즐(10)과 연결되어 상기 공급호스(3)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를 상기 분사노즐(10)로 유통하는 설정파이프(21)와, 내부에 상기 설정파이프(21)가 관통 안치되는 설정공(22a)이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가 오므려지거나 팽창 복원될 수 있도록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설정부재(22)와, 상기 설정부재(22)에 체결되는 것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설정부재(22)의 설정공(22a)이 오므려지면서 상기 설정공(22a)에 안치된 상기 설정파이프(21)가 가압 고정되게 하며,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설정부재(22)의 설정공(22a)이 팽창 복원되면서 상기 설정공(22a)에 안치된 상기 설정파이프(21)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는 설정볼트(23)와, 상기 설정파이프(21)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분사노즐(10)을 회동시켜 상기 분사노즐(10)을 통한 절삭유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수단(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절삭공구(1)의 교체나 변경 등의 이유로 인해 상기 분사노즐(10) 위치의 재설정이 요구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설정수단(20)의 설정볼트(23)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설정부재(22)의 설정공(22a)에 가압 결속된 상기 설정파이프(21)의 결속을 해제한 후, 상기 설정파이프(21)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설정파이프(21)와 함께 이송되는 상기 분사노즐(10)의 전후 위치를 설정한다.
동시에, 상기 설정파이프(21)를 상기 설정부재(22)에 대하여 상대회동시켜 상기 설정파이프(21)와 함께 회동하는 상기 분사노즐(10)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설정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10)의 위치를 더욱 정밀하게 설정하기 위해 상기 분사노즐(10)을 통한 절삭유의 분사 각도 조절이 요구되면 상기 각도 조절수단(24)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10)의 각도를 간편히 설정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런 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10)의 위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설정볼트(23)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설정부재(22)의 설정공(22a)에 상기 설정파이프(21)가 견고히 가압 고정되게 하여 위치가 설정된 상기 분사노즐(10)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위치 설정수단(20)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10)의 위치를 매우 간편하고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어 CNC 선반의 전체적인 사용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절삭공구(1)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분사노즐(10)의 위치를 적합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분사노즐(10)을 통해 공작물을 가공하는 상기 절삭공구(1)의 적합한 위치에 절삭유를 공급할 수 있어 공작물의 불량 발생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 조절수단(24)은 외주면에 등각 간격으로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는 유입공(241a)과, 상기 유입공(241a)과 이격되어 등각 간격으로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는 배출공(241b)과, 내부에는 상기 유입공(241a)과 배출공(241b)과 연통되어 상기 유입공(241a)으로 유입되는 절삭유를 상기 배출공(241b)으로 안내하는 내측 통로(a)가 형성되는 조절볼트(241)와, 상기 조절볼트(241) 상에 형성되되, 상기 설정파이프(21)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설정파이프(21)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를 상기 유입공(241a) 측으로 배출하며, 안쪽에는 설정링편(243) 측으로 개방되는 내부 공간(242a)이 형성되어 상기 설정링편(243)의 내부 공간(243a)과 함께 상기 조절볼트(241)의 외측에 상기 설정파이프(21)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를 상기 설정링편(243) 측으로 안내하는 외측 통로(b)를 형성하는 환형의 고정링편(242)과, 상기 조절볼트(241) 상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린편(242) 측으로 밀착 고정되되, 상기 분사노즐(10)과 연결되어 상기 설정파이프(21)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를 상기 분사노즐(10)로 안내 공급하며, 안쪽에는 상기 고정린편(242) 측으로 개방되는 내부 공간(243a)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링편(242)의 내부 공간(242a)과 함께 상기 조절볼트(241)의 외측에 외측 통로(b)를 형성하여 상기 외측 통로(b) 및 상기 내측 통로(a)로 유통되어 상기 배출공(241b)으로 배출 유통되는 절삭유를 상기 분사노즐(10)로 안내하는 환형의 설정링편(243)과, 상기 고정링편(242)과 설정링편(24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 통로(b)로 유통되는 절삭유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환형의 오-링(244)과, 상기 조절볼트(241)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설정링편(243)을 상기 고정링편(242) 측으로 가압 고정하여 상기 설정링편(243)과 함께 상기 설정링편(243)에 결합되는 상기 분사노즐(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조절너트(2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분사노즐(10)의 분사 각도 조절이 요구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 조절수단(24)의 조절볼트(241)에 체결된 상기 조절너트(245)를 풀어 상기 조절너트(245)를 통한 상기 설정링편(243)의 가압 결속을 해제한 후, 상기 설정링편(243)과 함께 상기 분사노즐(10)을 회동시키는 방식으로 간편히 상기 분사노즐(10)을 통한 절삭유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분사노즐(10)의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조절볼트(245)에 상기 조절너트(241)를 체결하여 상기 조절너트(245)를 통한 상기 설정링편(243)의 가압 결속으로 상기 설정링편(243)에 결합되는 상기 분사노즐(10)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하여 간편히 상기 분사노즐(10)의 분사 각도를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파이프(21)과 연결된 상기 고정링편(242)으로 공급된 절삭유는 상기 조절볼트(241)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통로(a)와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통로(b)를 통해 상기 설정링편(243)으로 공급되는 특성상, 상기 설정파이프(21)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가 상기 분사노즐(10)로 매우 원활하게 공급 분사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파이프(2)의 배출구(2b)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공급호스(3)와 연결되는 것으로, CNC 선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의 제어를 통해 상기 배출구(2b)의 개폐를 결정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5)는 공작물의 가공을 수행하는 절삭공구(1)로 절삭유를 공급할 수 있는 상기 공급호스(3)와 연결되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만을 개방하여 상기 공급파이프(2)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가 개방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를 통해 하나의 상기 공급호스(3)로만 유통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공작물의 가공을 수행하지 않는 공급호스(3) 측으로 불필요하게 절삭유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실제로 공작물을 가공하는 절삭공구(1) 측에 형성되는 공급호스(3) 측으로만 절삭유가 집중 공급되게 함으로, 실제로 가공을 수행하는 절삭공구(1) 및 공작물 측으로 절삭유가 원활하지 공급되지 못하여 발행하는 공작물의 불량 발생률을 대폭 절감하여 공작물의 안정적인 가공 생산을 유도할 수 있다.
더욱이, 실제로 가공을 수행하는 절삭공구(1) 측으로 하나의 상기 공급호스(3)만을 통해 절삭유가 공급되는 특성상, 상기 공급호스(3)를 통해 분사되는 절삭유의 분사 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공작물이나 절삭공구(1) 측에 들러붙는 칩의 용이한 분리 이탈을 유도하여 공작물이나 절삭공구(1)에 들러붙은 칩으로 인한 공작물의 불량 발생을 대폭 완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100)는 위치 설정수단(20)을 통해 절삭공구(1) 및 공작물 측으로 절삭유를 분사하는 상기 분사노즐(10)의 위치를 자유롭고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어 절삭공구(1)의 교체로 인한 절삭공구(1)의 길이 및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여 절삭유가 적합한 위치로 용이하게 분사 공급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공작물의 불량 발생률을 안정적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공급파이프(2)의 배출구(2b)에 각각 설치되어 컨트롤러(5)의 제어를 통해 작동이 제어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30)를 통해 가공을 수행하지 않는 절삭공구(1) 측의 공급호스(3)로 불필요하게 절삭유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실제로 공작물을 가공하는 절삭공구(1) 측에 형성되는 공급호스(3)로만 절삭유가 집중 공급되게 함으로, 실제로 가공을 수행하는 절삭공구(1)와 공작물 측으로 원활한 절삭유 공급을 통해 절삭공구(1)와 공작물의 안정적인 냉각이 수행되어 공작물에 고온의 칩이 들러붙어 발생하는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여 공작물의 불량 발생률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급호스(3)를 통해 분사되는 절삭유의 분사 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 공작물이나 절삭공구(1) 표면에 들러붙는 칩을 용이하게 분리 이탈시켜 공작물이나 절삭공구(1)에 칩이 들러붙는 현상을 원천봉쇄할 수 있어 절삭공구(1)를 통한 안정적인 가공 및 완제품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분사노즐의 위치를 적합하게 설정 사용한다.
먼저, CNC 선반에서 절삭공구(1)를 교체하여 교체된 절삭공구에 대하여 분사노즐(10)의 적합한 위치 설정이 요구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설정수단(20)을 통해 분사노즐(10)과 연결되는 설정파이프(21)의 결속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설정파이프(21)와 함께 분사노즐(10)을 전·후진 및 회동시켜 상기 분사노즐(10)의 적합한 위치를 설정한 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파이프(21)를 결속 고정하여 설정된 상기 분사노즐(10)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한다.
여기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10)을 통한 절삭유의 분사 각도의 조절이 요구되면 각도 조절수단(24)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10)의 각도를 간편히 조절하는데, 이때 상기 각도 조절수단(24)을 통한 분사노즐(10)의 각도 조절은 상기 위치 설정수단(20)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10)의 위치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함께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 후,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삭공구(10)를 통해 공작물의 가공이 수행되면 컨트롤러(5)는 가공이 수행되는 상기 절삭공구(10) 측으로 절삭유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급호스(3)와 연결되는 솔레노이드 밸브(30)만을 개방하여 하나의 상기 공급호스(3)를 통해 가공을 수행하는 상기 절삭공구(1) 측으로 고압력의 절삭유가 원활하고 정밀하게 분사되게 하여 공작물의 안정적인 가공을 유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절삭공구 2. 공급파이프
2a. 유입구 2b. 배출구
3. 공급호스 4. 펌프
5. 컨트롤러
10. 분사노즐 20. 위치 설정수단
21. 설정파이프 22a. 설정공
23. 설정볼트 24. 각도 조절수단
241. 조절볼트 241a. 유입공
241b. 배출공 242. 고정링편
242a, 243a. 내부 공간 243. 설정링편
244. 오-링 245. 조절너트
a. 내측 통로 b. 외측 통로
30. 솔레노이드 밸브
100.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

Claims (4)

  1. 다수의 절삭공구(1)를 통해 공작물을 가공하는 CNC 선반에서 절삭공구(1)와 공작물 측으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것으로, 일단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절삭유가 유입되는 유입구(2a)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유입된 절삭유가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구(2b)가 형성되는 공급파이프(2)와, 상기 절삭공구(1)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절삭공구(1) 측으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공급파이프(2)의 배출구(2b)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절삭공구(1) 측에 위치되는 다수의 공급호스(3)와, 상기 공급파이프(2)의 유입구(2a) 측으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펌프(4)를 포함하는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호스(3)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호스(3)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를 상기 절삭공구(1) 측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10); 및
    상기 분사노즐(10)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하는 위치 설정수단(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수단(20)은,
    일단은 상기 공급호스(3)의 타단과 연결되되, 원터치 클램프(21a)를 통해 상기 공급호스(3)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분사노즐(10)과 연결되어 상기 공급호스(3)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를 상기 분사노즐(10)로 유통하는 설정파이프(21)와,
    내부에 상기 설정파이프(21)가 관통 안치되는 설정공(22a)이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가 오므려지거나 팽창 복원될 수 있도록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설정부재(22)와,
    상기 설정부재(22)에 체결되는 것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설정부재(22)의 설정공(22a)이 오므려지면서 상기 설정공(22a)에 안치된 상기 설정파이프(21)가 가압 고정되게 하며,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설정부재(22)의 설정공(22a)이 팽창 복원되면서 상기 설정공(22a)에 안치된 상기 설정파이프(21)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는 설정볼트(23)와,
    상기 설정파이프(21)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분사노즐(10)을 회동시켜 상기 분사노즐(10)을 통한 절삭유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수단(2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수단(24)은,
    외주면에 등각 간격으로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는 유입공(241a)과, 상기 유입공(241a)과 이격되어 등각 간격으로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는 배출공(241b)과, 내부에는 상기 유입공(241a)과 배출공(241b)과 연통되어 상기 유입공(241a)으로 유입되는 절삭유를 상기 배출공(241b)으로 안내하는 내측 통로(a)가 형성되는 조절볼트(241)와,
    상기 조절볼트(241) 상에 형성되되, 상기 설정파이프(21)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설정파이프(21)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를 상기 유입공(241a) 측으로 배출하며, 안쪽에는 설정링편(243) 측으로 개방되는 내부 공간(242a)이 형성되어 상기 설정링편(243)의 내부 공간(243a)과 함께 상기 조절볼트(241)의 외측에 상기 설정파이프(21)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를 상기 설정링편(243) 측으로 안내하는 외측 통로(b)를 형성하는 환형의 고정링편(242)과,
    상기 조절볼트(241) 상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린편(242) 측으로 밀착 고정되되, 상기 분사노즐(10)과 연결되어 상기 설정파이프(21)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를 상기 분사노즐(10)로 안내 공급하며, 안쪽에는 상기 고정린편(242) 측으로 개방되는 내부 공간(243a)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링편(242)의 내부 공간(242a)과 함께 상기 조절볼트(241)의 외측에 외측 통로(b)를 형성하여 상기 외측 통로(b) 및 상기 내측 통로(a)로 유통되어 상기 배출공(241b)으로 배출 유통되는 절삭유를 상기 분사노즐(10)로 안내하는 환형의 설정링편(243)과,
    상기 고정링편(242)과 설정링편(24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 통로(b)로 유통되는 절삭유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환형의 오-링(244)과,
    상기 조절볼트(241)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설정링편(243)을 상기 고정링편(242) 측으로 가압 고정하여 상기 설정링편(243)과 함께 상기 설정링편(243)에 결합되는 상기 분사노즐(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조절너트(24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파이프(2)의 배출구(2b)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공급호스(3)와 연결되는 것으로, CNC 선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의 제어를 통해 상기 배출구(2b)의 개폐를 결정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컨트롤러(5)는 공작물의 가공을 수행하는 절삭공구(1)로 절삭유를 공급할 수 있는 상기 공급호스(3)와 연결되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만을 개방하여 상기 공급파이프(2)를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가 개방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0)를 통해 하나의 상기 공급호스(3)로만 유통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
KR1020200047648A 2020-04-20 2020-04-20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 KR102433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648A KR102433322B1 (ko) 2020-04-20 2020-04-20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648A KR102433322B1 (ko) 2020-04-20 2020-04-20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510A true KR20210129510A (ko) 2021-10-28
KR102433322B1 KR102433322B1 (ko) 2022-08-16

Family

ID=7823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648A KR102433322B1 (ko) 2020-04-20 2020-04-20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3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93729A (zh) * 2023-04-20 2023-07-07 西安朴复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阀门五金配件精加工用的车床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1U (ja) * 1992-06-15 1994-01-11 株式会社日研工作所 工作機械の冷却液供給装置
JPH0985576A (ja) * 1995-09-22 1997-03-31 Fuso Seiki Kk 切削液塗布装置および切削液塗布方法
US20100307301A1 (en) * 2009-06-03 2010-12-09 Zwara Kenneth A Configurable Tooling Blo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1U (ja) * 1992-06-15 1994-01-11 株式会社日研工作所 工作機械の冷却液供給装置
JPH0985576A (ja) * 1995-09-22 1997-03-31 Fuso Seiki Kk 切削液塗布装置および切削液塗布方法
US20100307301A1 (en) * 2009-06-03 2010-12-09 Zwara Kenneth A Configurable Tooling Blo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93729A (zh) * 2023-04-20 2023-07-07 西安朴复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阀门五金配件精加工用的车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322B1 (ko)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79371B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chining a workpiece
US733509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chining a coupling
US11583969B2 (en) Machine tool chip removal
US2008005101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chining a coupling
US11318581B2 (en) Abrasive fluid jet cutting systems, components and related methods for cutting sensitive materials
KR102433322B1 (ko)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
KR101781742B1 (ko) 분사노즐
DE602005002261T2 (de) Schleifmaschine und kühlmittelzufuhrverfahren dafür
US10610992B2 (en) Automated interchangeable coolant distributor
US20050029423A1 (en) Tool holder
KR102433318B1 (ko) Cnc 선반용 절삭유 공급장치
KR20110135160A (ko) 소재 가공용 절삭유 공급 자동 차단 노즐
JP3398655B2 (ja) 側フライス用冷却液供給装置
KR101307848B1 (ko) 절삭유 분사구조 내장형 홀더
KR20200041651A (ko) 공작기계용 쿨런트 노즐장치
KR0180969B1 (ko) 호닝 가공방법 및 호닝 가공장치
KR20160125267A (ko) 절삭유 공급조절 배출구를 갖는 바이트팁 고정부
KR100600024B1 (ko) 터렛에 적용되는 절삭유 유로변경을 위한 절삭유 어댑터
JPH0513491Y2 (ko)
KR20140063232A (ko) 고압 툴생크 세척기능을 구비한 자동 공구교환장치
KR20220125453A (ko) 공작기계의 공작물 지지장치
US8413680B2 (en) Fluid distribution apparatus
KR20040068529A (ko) 씨엔씨 선반의 절삭유 분사장치 및 그 분사방법
JP2005034954A (ja) 油穴付き切削工具および切削加工方法
KR20190087816A (ko) 공작기계 공구대의 유체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