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436A - 무선 통신에서의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에서의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436A
KR20210128436A KR1020217029407A KR20217029407A KR20210128436A KR 20210128436 A KR20210128436 A KR 20210128436A KR 1020217029407 A KR1020217029407 A KR 1020217029407A KR 20217029407 A KR20217029407 A KR 20217029407A KR 20210128436 A KR20210128436 A KR 20210128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k
coefficients
csi
indication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3744B1 (ko
Inventor
하오 우
용 리
구오젱 젱
자오후아 루
유 응곡 리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128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Parameters other than those covered in groups H04B7/0623 - H04B7/0634, e.g. channel matrix rank or transmit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78Special codebook structures directed to feedback optim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45Variable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58Feedback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네트워크 시그널링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몇몇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프리코딩 벡터들의 계수들을 압축하고 압축된 계수들의 서브세트를 보고함으로써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채널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 일부 실시예들은 많은 계층들 및 많은 주파수 도메인 유닛들로부터의 채널 상태 정보가 보고될 필요가 있는 무선 통신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에서의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본 문헌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들은 점점 더 연결되고 네트워크화된 사회로 세계를 움직이고 있다. 다가올 5세대(5G) 뉴 라디오(NR) 네트워크들에서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의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한 핵심 인에이블러는, 무선 노드들에서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및/또는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이 활용되는 대규모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및 빔형성 기술들이다. 이를 사용하여, 기지국들 및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그들 사이의 무선 통신 링크의 성능, 효율 및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들에서는 정확한 추정 및 보고 채널 상태 정보(CSI)가 중요하다. 그러나, 활용되는 주파수 대역 및 송신/수신 안테나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CSI를 보고하는 오버헤드가 증가하며, 이는 5G NR 라디오 네트워크들에서 많은 송신/수신 안테나들로부터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 및 큰 대역폭들이 주어질 때 특히 특히 문제가 된다.
본 문헌은 프리코딩 벡터(precoding vector)들의 계수들을 압축함으로써 프리코딩 행렬 표시자들과 같은 채널 상태 정보(CSI)를 보고할 때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보고는 다양한 기준에 기초하여 압축된 계수들의 서브세트만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하나의 대표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무선 통신의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공간 기본 벡터(spatial basis vector)들, 및 공간 기본 벡터 계수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공간 채널의 프리코딩 벡터는 공간 기본 벡터들과 공간 기본 벡터 계수들의 선형 조합에 의해 정의된다. 프리코딩 벡터는 무선 채널의 손상들을 완화시키기 위해 송신 데이터 스트림을 프리코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벡터이다. 이 방법은, 주파수 도메인(FD) 기본 벡터들과 FD 기본 벡터 계수들의 조합이 감소된 오버헤드로 공간 기본 벡터 계수들을 정의하도록 FD 유닛 기본 벡터들 및 FD 기본 벡터 계수들을 결정함으로써 공간 기본 벡터 계수들을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 다음,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다른 파라미터들 중에서도, 공간 기본 벡터들, FD 기본 벡터들 및 FD 기본 벡터 계수들에 기초하여 CSI(및 대응하는 CSI 피드백 보고)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양상에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프로세서는 전술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시적인 양상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개시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전술된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및 다른 양상들 및 이들의 구현들은 도면들, 설명들 및 청구항들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무선 통신에서의 기지국(BS) 및 사용자 장비(UE)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CSI를 결정하기 위해 프리코딩 벡터들의 계수들을 압축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대표적인 흐름을 도시한다.
도 3은 프리코딩 벡터들의 계수들을 압축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일부 제약들에 기초하여 프리코딩 벡터들의 계수들을 압축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장치의 일부분의 블록도 표현이다.
4세대 모바일 통신 기술(4G, the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롱텀 에볼루션(LTE, Long-Term Evolution), 및 NR(New Radio)로 또한 지칭되는 5세대 모바일 통신 기술(5G, the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MIMO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신호 송신들을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안테나들이 사용된다. 그러한 구현들은, 효율 및 신뢰성을 포함하는 송신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프리코딩 또는 빔형성과 같은 송신기 측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고성능 프리코딩 또는 빔형성을 달성하기 위해, 프리코딩 행렬 또는 빔형성 벡터가 무선 채널과 매칭하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송신기는 송신된 신호를 정확하게 프리코딩하거나 빔형성하기 위해 채널 상태 정보(CSI)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수신기 디바이스는 수신된 기준 신호들(예를 들어, CSI 기준 신호들(CSI-RS), 사운딩 기준 신호들(SRS) 등) 또는 파일럿들에 기초하여 CSI를 결정할 수 있고, 그 다음 CSI를 송신기에 다시 보고할 수 있다(예를 들어, UE는 CSI를 BS에 보고할 수 있다). 정확한 CSI 피드백은 고성능 MIMO 송신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고분해능 CSI의 피드백은 피드백 채널에서 요구되는 오버헤드의 관점에서 비용이 많이 든다. 이는 특히, 송신기가 다수의 서브대역들(주파수 세그먼트들) 또는 송신 계층들(공간 스트림들)에 걸쳐 CSI를 필요로 하는 경우이다. CSI 피드백의 성능-오버헤드 트레이드오프는 고분해능 CSI의 성능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메트릭이다.
MIMO 시스템들에서, 사용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UE))는 통상적으로, 다른 파라미터들 중에서도, 프리코딩 행렬 표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랭크 표시자(rank indicator, RI), 및 채널 품질 표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를 포함하는 CSI를 무선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에 보고한다. RI는 (채널 행렬의 랭크와 관련된) 계층들의 수를 나타내는 반면, PMI는 프리코딩 벡터를 나타낸다. 프리코딩 벡터는 각각의 계층을 프리코딩하기 위해 무선 노드에 의해 사용되며, 공간 기본 벡터들의 세트의 선형 조합으로서 표현된다. UE는 선택된 공간 기본 벡터들 및 선형 조합 내의 계수들의 진폭들 및 위상들을 양자화(예를 들어, 디지털 표현으로 변환)하고, 양자화된 값들을 기지국에 보고한다.
주파수-선택적 스케줄링을 허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다수의 서브-대역들이 CSI 보고 대역에 포함되는 경우, 각각의 서브-대역(또는 주파수 도메인 유닛을 표현하는 서브-대역의 서브세트)에 대해 양자화된 위상들 및 진폭들이 보고된다. 이러한 고분해능 CSI 피드백은 고성능 MIMO 송신을 발생시킨다. 다수의 주파수 도메인 유닛들(또는 서브-대역들)에서 또는 다수의 계층들에 걸쳐 CSI를 결정 또는 보고하기 위해, 오버헤드는 상당히 커서 피드백 채널에서 많은 양의 자원들을 소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고해상도 CSI는 UE의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더 큰 전력 소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다수의 서브대역들 및/또는 계층들에 대한 고해상도 CSI를 제공하고, 고성능 MIMO 또는 빔형성을 제공하지만, 감소된 CSI 보고 오버헤드를 갖는 CSI 보고 기술을 갖는 것이 유익하다.
본 문헌은, 개시된 기법들 및 실시예들의 범위를 소정의 섹션들로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용이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섹션 표제들 및 하위 표제들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이한 섹션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서로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문헌은 단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3GPP NR(New Radio)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 5G 프로토콜로부터의 예들을 사용하며, 개시된 기법들 및 실시예들은 3GPP 프로토콜들과는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다른 무선 시스템들에서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BS(120)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UE)(111, 112 및 113)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LTE, 5G 또는 NR(New Radio) 셀룰러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한다. 업링크 송신들(131, 132, 13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CSI 피드백 보고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모바일 컴퓨터, M2M(machine to machine) 디바이스,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도 2는 프리코딩 벡터들의 계수들을 압축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블록(210)에서,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UE)는 공간 채널에 대한 L개의 공간 기본 벡터들
Figure pct00001
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L개의 공간 기본 벡터들은 이산 푸리에 변환(DFT) 벡터들 또는 DFT 벡터들의 크로네커(Kronecker) 곱에 기초하여 형성될 수 있다.
블록(220)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복소 계수들
Figure pct00002
(즉, 크기 및 위상을 갖는 계수들)을 결정하며, 여기서 l=1,2,...,L은 공간 기본 벡터들의 수이고, s=1,2,...,S는 주파수 도메인(FD) 유닛들 또는 서브-대역들(즉, CSI가 보고될 주파수 세그먼트들)의 수이고, r=1,2,...,R은 랭크-R 공간 채널(즉, 랭크-R의 계층들)에 대한 계층 인덱스들이다. 공간 기본 벡터들과 복소 계수들 {a}의 조합(예를 들어, 선형 조합)이 모든 계층들 r∈{1,2,...,R} 및 모든 FD 유닛들 s∈{1,2,...,S}에 걸쳐 공간 채널에 대한 프리코딩 벡터를 결정하도록 복소 계수들
Figure pct00003
(간단히 {a}로서 기록됨)가 선택된다. UE는, 예를 들어, 알려진 진폭들 및 위상 오프셋들을 갖는 CSI-RS(CSI 기준 신호들)로부터, 무선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수신 기준 신호들 또는 파일럿들로부터 공간 기본 벡터들 및 공간 기본 벡터 계수들을 결정할 수 있다.
블록(230 및 240)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기지국에 CSI를 보고할 때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복소 계수들 {a}를 압축한다. 블록(230)에서, UE는 L에 걸쳐 그리고 랭크 R의 모든 계층들 r에 걸쳐 M개의 FD 기본 벡터들
Figure pct00004
를 결정하고, 블록(240)에서, UE는 L, M에 걸쳐 그리고 랭크 R의 모든 계층들 r에 걸쳐 복소 계수들
Figure pct00005
(단순히 {c}로서 기록됨)를 결정한다. UE는 FD 기본 벡터들 및 복소 계수들 {c}의 조합(예를 들어, 선형 조합)이 블록(220)의 복소 계수들 {a}를 결정하도록 FD 기본 벡터들 및 복소 계수들 {c}를 선택한다. 또한,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및 UE는 FD 기본 벡터들 및 복소 계수들 {c}를 보고하는 데 필요한 비트들의 수가 {c}를 보고하는 데 필요한 비트들의 수보다 더 낮은 것을 보장하고, 그에 따라, 압축 후에(예를 들어, M의 선택에 의해) CSI 피드백 보고에서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오버헤드를 더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블록(250)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공간 기본 벡터들, FD 기본 벡터들, 복소 계수들 {c}, 및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른 추가적인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CSI 피드백 보고를 생성한다. 즉, UE는 복소 계수들 {a}를 보고하기 보다는, 감소된 오버헤드로, FD 기본 벡터들과 함께 복소 계수들 {c}를 보고할 수 있다.
블록(260)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노드에(예를 들어,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또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에서 기지국에) CSI 피드백 보고들을 송신한다. 기지국은 다운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프리코딩 또는 빔형성하고 송신 파형들을 생성하는 것에 대한 결정들에 이러한 피드백 정보를 통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기지국일 수 있고, CSI 피드백 보고의 생성 및 송신을 배제할 수 있다.
도 3은 프리코딩 벡터들(예를 들어, MIMO 프리코딩 벡터들 또는 빔형성 가중치들)의 계수들을 압축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그러한 프리코딩 벡터들은, 예를 들어, 고성능 MIMO/빔형성 송신들을 지원하기 위해 UE들에 의해 기지국들에 전송되는 CSI 피드백 보고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1.0 프리코딩 벡터 계수들을 압축하고 각각의 계층에 대한 계수들의 서브세트를 보고하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예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UE들)은 프리코딩 행렬 표시자(PMI)의 형태로 무선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들)에 채널 상태 정보(CSI)를 다시 보고한다. PMI는 각각의 계층 r 및 주파수 도메인(FD) 유닛들에 걸친 공간 기본 벡터들의 선형 조합으로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개의 공간 기본 벡터들
Figure pct00006
에 대해, 프리코딩 벡터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07
수식 1
r은 계층 인덱스이고, s는 FD 단위 인덱스이고,
Figure pct00008
은 L개의 공간 기본 벡터들이고,
Figure pct00009
는 공간 기본 벡터들과의 선형 조합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프리코딩 벡터의 계수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L개의 공간 기본 벡터들은 이산 푸리에 변환(DFT) 벡터들 또는 DFT 벡터들의 크로네커 곱에 기초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계수들
Figure pct00010
는 크기 및 위상을 포함하는 복소 변수들이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양자화되고, 보고된 CSI 피드백의 일부로서 기지국에 보고된다. 계수들
Figure pct00011
가 상이한 주파수 도메인 유닛들 및/또는 계층들에 대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수의 FD 유닛들에 대해(예를 들어, 모든 이러한 FD 유닛들에 걸쳐 CSI가 보고되는 다수의 작은 서브대역들 또는 FD 유닛들로 분할되는 넓은 대역폭에 대해) 그리고 많은 수의 계층들에 대해(예를 들어, 전체 랭크 채널에 걸쳐 많은 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을 갖는 대규모 MIM 시스템들에 대해)
Figure pct00012
의 양자화된 진폭들 및 위상들을 보고할 때의 오버헤드는 특히 매우 클 수 있다.
따라서, 일부 대표적인 실시예들에서,
Figure pct00013
의 양자화된 진폭들 및 위상들을 보고할 때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UE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수 압축 모듈(350)을 사용하여 계수들
Figure pct00014
를 압축한다. 즉, 각각의 계층 r에 대해, 모든 S개의 FD 유닛들(도 3의 블록(352))에 걸친 공간 기본 벡터 l(
Figure pct00015
)의 계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16
수식 2
여기서,
Figure pct00017
(도 3의 블록(354))는 M개의 길이-N3 FD 기본 벡터들이고, 블록(356)에서의
Figure pct00018
는 계수 압축 모듈(350)에 의한 압축 후의 빔 l 및 FD 기본 벡터 m에 대한 계수이다. 계수 압축 모듈(350)은 DFT 벡터들에 기초하여 FD 기본 벡터
Figure pct00019
를 생성할 수 있다.
압축 전에, 프리코더 FD 유닛 1(블록(310))은 공간 기본 벡터들
Figure pct00020
(블록(314)) 및 계수들
Figure pct00021
(블록(316))의 선형 조합으로서 제1 FD 유닛 및 계층 r에 대한 프리코딩 벡터
Figure pct00022
(출력(312))를 생성한다. 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23
수식 3
유사하게, 프리코더 FD 유닛 2(블록(320))은 공간 기본 벡터들
Figure pct00024
및 계수들
Figure pct00025
(블록(326))의 선형 조합으로서 제2 FD 유닛 및 계층 r에 대한 프리코딩 벡터
Figure pct00026
를 생성하고, 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27
수식 4
제S 프리코더 FD 유닛(블록(330))은 다음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은 프리코딩 벡터를 생성한다:
Figure pct00028
수식 5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는 계수들
Figure pct00029
를 보고하는 대신에 계수 압축 모듈(350)에 의해 생성된 FD 기본 벡터
Figure pct00030
(블록(354)) 및 FB 기본 벡터
Figure pct00031
의 계수들(블록(356))을 보고한다. 압축 전의 계수들
Figure pct00032
의 상관 때문에, M은 2L보다 더 작게 설정되어, 비압축된 계수들
Figure pct00033
를 송신할 때 오버헤드에 비해 FD 기본 벡터들
Figure pct00034
및 계수들
Figure pct00035
를 송신할 때 더 낮은 오버헤드를 초래할 수 있다. 압축으로부터의 이익은 M < S에 대해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L*M 계수들
Figure pct00036
를 보고할 때의 오버헤드는, 예를 들어, 각각의 계층에 대해, L*M개의 계수들의 K0 서브세트를 선택함으로써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즉, 넌-제로 계수(non-zero coefficient)들의 수는 K0보다 크지 않도록 제약되고(즉, 서브세트 내의 계수들의 수에 대한 상한은 K0임), UE는 L*M개의 계수들에서 K1개의 넌-제로 계수들의 위치 또는 포지션, 및 K1개의 계수들의 진폭들 및 위상들을 보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의 값은 N3 값들 및/또는 네트워크-구성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N3= S)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igure pct00037
이며, 여기서 p는 네트워크 구성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고, M은 p와 N3 값의 곱 이하의 최소 정수이다(ceiling 함수)(ceil(x) = x 이하의 최소 정수). 다른 실시예들에서, M은 UE에서 구성되거나 UE에 의해 유도된 다른 파라미터들에 의해 제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 또는 네트워크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L, M 및/또는 파라미터들에 의존하도록 K0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K0은
Figure pct00038
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β는 구성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할 수 있다.
2.0 CSI를 보고하기 위한 오버헤드를 제약하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예들
일부 실시예들에서, CSI는 2개의 부분들, 예를 들어 CSI 부분 1 및 CSI 부분 2로 분할될 수 있다. CSI 부분 1에서, UE는 다른 파라미터들 중에서도, 채널 품질 표시자(CQI), 랭크 표시자(RI), 및 다수의 계층들에 걸쳐(예를 들어, R개의 계층들에 걸쳐, 여기서 R은 랭크 값임) 넌-제로 계수들의 수(
Figure pct00039
)를 표시하는 값을 보고할 수 있다. 다수의 계층들에 걸친 넌-제로 계수들의 수의 표시의 비트 폭은 계층들의 최대 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계층들의 최대 수는 (코드북-기반 프리코딩의 경우) 코드북이 지원할 수 있는 최대 랭크, 네트워크 구성 파라미터, UE가 기지국에 보고하는 능력 값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CSI 부분 2에서, UE는 프리코딩 행렬 표시자(PMI)와 같은 다른 CSI 파라미터들을 보고한다. 보고된 PMI는 공간 기본 벡터들(예를 들어, 도 3의 벡터들(314))에 대한 표시자, FD 기본 벡터들(예를 들어, 벡터들(354))에 대한 표시자, 압축된 계수들(예를 들어, 계수들(356))의 진폭 및 위상에 대한 표시자, 및 L*M 계수들에서의 넌-제로 계수들의 위치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부분에서의 CSI 파라미터들은 공동으로(jointly) 채널 코딩되지만, 상이한 부분들은 독립적으로 채널-코딩된다. 추가적으로, CSI 부분 2의 페이로드(payload)는 CSI 부분 1의 값에 의존할 수 있어서, 네트워크는 CSI 송신을 위해 항상 최대 오버헤드를 예비할 필요가 없다. 즉, CSI 부분 1은 고정된 할당을 가질 수 있고, 항상 피드백될 필요가 있는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고, CSI 부분 2는 항상 피드백될 필요는 없는 또는 가변 크기(예를 들어, 가변 비트 폭)를 가질 수 있는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을 사용하여, CSI 부분 2가 가능한 최대 오버헤드를 활용하지 않을 때, 미사용 오버헤드가 할당으로부터 절약되어 더 높은 효율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UE이 능력 값에서 보고하는 계층들의 최대 수가 R1이고(즉, 최대 R1개의 계층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는 UE), 계층 당 보고할 계수들의 수가 K0으로 제약되는 경우, K0*R1개의 넌-제로 계수들을 보고하는 데 필요한 최소 비트들은
Figure pct00040
이다. 대안적으로, 계층들의 최대 수가 네트워크 구성 파라미터에 의해 (예를 들어, UE가 보고할 수 있는 RI 값들을 제한하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한되는 경우, K0*R2개의 넌-제로 계수들을 보고하기 위한 최소 비트들은
Figure pct00041
이다. 대안적으로, 사용 중인 코드북이 지원할 수 있는 RI 값들의 수가 R3인 경우, R3*K0개의 넌-제로 계수를 보고하기 위한 최소 비트들은
Figure pct00042
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가 수 또는 계층들(예를 들어, R1, R2, 또는 R3 중 2개 이상에 의해 제약되는 계층들의 수)에 대해 다수의 제약들을 가질 때, 넌-제로 계수들을 보고하기 위한 비트-폭은
Figure pct00043
로 설정될 수 있고, 여기서 R4는 {R1, R2, R3} 중 최소값이다.
3.0 큰 랭크들에 대해 CSI를 보고하기 위한 오버헤드를 제약하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예들
증가하는 계층들의 수 R에 따라 압축된 계수들
Figure pct00044
(예를 들어, 도 3의 블록(356))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예를 들어, 공간 채널의 랭크가 증가함에 따라), CSI 오버헤드가 마찬가지로 증가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공간 기본 벡터들(예를 들어, 벡터들(314))의 수, FD 기본 벡터들(예를 들어, 벡터들(354))의 수, 또는 L*M개의 계수들의 K0 서브세트 내의 계수들의 수는, 증가된 R에 따라 너무 많이 성장하지 않도록(또는 더 낮은 레이트로 증가하도록), 예를 들어, R이 클 때 R이 작은 경우와 동일하도록 제약될 수 있다.
랭크-R CSI 보고의 경우, 랭크 R이 랭크 값들의 후보 세트 S1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넌-제로 계수들을 보고하기 위한 비트 폭은, 후보 세트 S1 내의 랭크 값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한 모든 계층들에 걸쳐 보고될 수 있는 K0 서브세트 내의 계수들의 최대 수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S1의 랭크 Rmax가 모든 계층들에 걸쳐 K0-서브세트에서 최대 수의 계수들을 산출하면, 넌-제로 계수들을 보고하기 위한 비트 폭은
Figure pct00045
만큼 클 수 있다. 즉, 넌-제로 계수들을 보고하기 위한 비트 폭은
Figure pct00046
이고, 여기서 max({S1})는 K0-서브세트에서 최대 수의 계수들을 산출하는 S1에서의 랭크 (Rmax)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후보 세트 S1은 네트워크 구성 파라미터 및/또는 UE가 보고하는 능력 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랭크-R CSI 보고에 대한 모든 R 계층들의 공간 기본 벡터들의 총 수는 랭크-RO CSI 보고에 대한 모든 R0 계층들의 공간 기본 벡터들의 총 수 이하이도록 제약될 수 있고, 여기서 R > R0 ≥ 1이다. 추가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CSI 부분 1에서 넌-제로 계수들의 수를 보고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트 폭은 랭크가 R0일 때 각각의 계층 내의 공간 기본 벡터들의 수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 폭은
Figure pct00047
으로 제약될 수 있으며, 여기서 L*R0은 랭크가 R0일 때 각각의 계층 내의 공간 기본 벡터들의 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랭크-R CSI 보고에 대한 모든 R 계층들의 FD 기본 벡터들의 총 수는 랭크-RO CSI 보고에 대한 모든 R0 계층들의 FD 기본 벡터들의 총 수 이하이도록 제약될 수 있고, 여기서 R > R0 ≥ 1이다. 추가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CSI 부분 1에서 넌-제로 계수들의 수를 보고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트 폭은 랭크가 R0일 때 각각의 계층 내의 FD 기본 벡터들의 수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 폭은
Figure pct00048
으로 제약될 수 있으며, 여기서 L*R0은 랭크가 R0일 때 각각의 계층 내의 FD 기본 벡터들의 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든 R개의 계층들의 K0-서브세트 내의 계수들의 총 수는 랭크-RO CSI 보고에 대해 모든 R0 계층들의 K0-서브세트 내의 계수들의 총 수 이하이도록 제약될 수 있고, 여기서 R > R0 ≥ 1이다. 추가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CSI 부분 1에서 넌-제로 계수들의 수를 보고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트 폭은 랭크가 R0일 때 K0 값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 폭은
Figure pct00049
으로 제약될 수 있으며, 여기서 K0*R0은 랭크가 R0일 때 각각의 계층 내의 K0 값이다.
3.1 더 큰 랭크들에 대해, 계층 당 FD 기본 벡터들의 수 또는 계층 당 K0 값을, 더 낮은 랭크들에 대한 값들의 미리 결정된 분수(fraction)로 제약하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예들:
일부 실시예들에서, 랭크-R CSI 보고를 위한 각각의 계층에 대한 FD 기본 벡터들의 수는 랭크 R의 값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이하의 랭크들에 대해, 각각의 계층에 대한 FD 기본 벡터들의 수가 M0이면, 임의의 랭크 R>2에 대한 계층 당 FD 기본 벡터들의 수는
Figure pct00050
로 설정될 수 있다. 즉, M은
Figure pct00051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floor(x) = x 이하의 최대 정수).
일부 실시예들에서, FD 기본 벡터들의 총 수가 범위 내의 랭크들에 대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랭크들의 범위가 제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랭크-2에 대한 계층 당 FD 기본 벡터들의 수가 M0이면, 랭크-3 및 랭크-4에 대한 계층 당 FD 기본 벡터들의 수는
Figure pct00052
로 제약될 수 있다. 따라서, 랭크-4 CSI 보고는 랭크-2 CSI 보고와 동일한 총 수의 FD 기본 벡터들을 가질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K0 값은 랭크 값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이하의 랭크들에 대한 K0 값이 K01이면, 랭크-R(R>2)에 대한 K0 값은
Figure pct00053
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랭크들의 범위는, 특정된 더 낮은 랭크 K0 값과 동일한 계층 당 K0 값들의 분수를 갖도록 제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이하의 랭크들이 K01의 K0 값을 가지면, 랭크-3 및 랭크-4는
Figure pct00054
의 K0 값을 갖도록 제약될 수 있다.
3.2 네트워크 구성 파라미터들에 의해 주어진 최대 랭크에 기초하여 계층 당 공간 기본 벡터들의 수, 계층 당 FD 기본 벡터들의 수, 및 계층 당 K0 값을 제약하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예들:
일부 실시예들에서, 랭크-R CSI 보고의 경우, 각각의 계층에 대한 FD 기본 벡터들의 수는 네트워크 구성 파라미터에 의해 주어진 최대 랭크 값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이하의 랭크들에 대한 각각의 계층에 대한 FD 기본 벡터들의 수가 M0이면, 2보다 큰 랭크들에 대한 계층 당 FD 기본 벡터들의 수는
Figure pct00055
로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R_cfg는 네트워크 구성 파라미터에 의해 주어진 최대 랭크 값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랭크-R CSI 보고의 경우, 각각의 계층의 K0 값은 네트워크 구성 파라미터에 의해 주어진 최대 랭크 값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이하의 랭크들에 대한 각각의 계층에 대한 K0 값이 K01이면, 2보다 큰 랭크들에 대한 각각의 계층에 대한 K0 값은
Figure pct00056
로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R_cfg는 네트워크 구성 파라미터에 의해 주어진 최대 랭크 값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랭크-R CSI 보고의 경우, 각각의 계층에 대한 공간 기본 벡터들의 수는 네트워크 구성 파라미터에 의해 주어진 최대 랭크 값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이하의 랭크들에 대한 각각의 계층에 대한 공간 기본 벡터들의 수가 L0이면, 2보다 큰 랭크들에 대한 계층 당 공간 기본 벡터들의 수는
Figure pct00057
로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R_cfg는 네트워크 구성 파라미터에 의해 주어진 최대 랭크 값이다.
3.3 UE 능력에 기초하여 계층 당 공간 기본 벡터들의 수, 계층 당 FD 기본 벡터들의 수, 및 계층 당 K0 값을 제약하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예들:
일부 실시예들에서, 랭크-R CSI 보고의 경우, 각각의 계층에 대한 FD 기본 벡터들의 수는 UE가 지원할 수 있는 또는 UE가 능력 파라미터(즉, UE 능력 값)에서 보고하는 최대 랭크 값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2 이하의 랭크들에 대한 각각의 계층에 대한 FD 기본 벡터들의 수가 M0이면, 2보다 큰 랭크들에 대한 계층 당 FD 기본 벡터들의 수는
Figure pct00058
로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R_UE는 UE 능력 값에 의해 주어진 최대 랭크 값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랭크-R CSI 보고의 경우, 각각의 계층의 K0 값은 보고된 UE 능력 값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이하의 랭크들에 대한 각각의 계층에 대한 K0 값이 K01이면, 2보다 큰 랭크들에 대한 각각의 계층에 대한 K0 값은
Figure pct00059
로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R_UE는 UE 능력 값에 의해 주어진 최대 랭크 값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랭크-R CSI 보고의 경우, 각각의 계층에 대한 공간 기본 벡터들의 수는 보고된 UE 능력 값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이하의 랭크들에 대한 각각의 계층에 대한 공간 기본 벡터들의 수가 L0이면, 2보다 큰 랭크들에 대한 계층 당 공간 기본 벡터들의 수는
Figure pct00060
로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R_UE는 UE 능력 값에 의해 주어진 최대 랭크 값이다.
도 4는 프리코딩 벡터들의 계수들을 압축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블록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M은 2L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즉, 각각의 FD 유닛들(모든 S개의 FD 유닛들에 대한 총 S*2L개 계수들)에 대한 2L개의 계수들(예를 들어, 계수들(416, 426, 및 436)) 각각은 계수 압축 모듈(450)에 의해 (각각의 랭크에 대해) M*2L개의 계수들로 압축된다. 이러한 압축은 공간 기본 벡터 계수들(예를 들어, 계수들(452))을 FD 기본 벡터 계수들(예를 들어, 계수들(456)) 및 FD 기본 벡터들(예를 들어, 벡터들(454))의 선형 조합으로 분해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하기 항목들을 사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항목 1.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UE)는 제1의 복수의 L개의 기본 벡터들(예를 들어, 공간 기본 벡터들), 제2의 복수의 M개의 기본 벡터들(예를 들어, FD 기본 벡터들) 및 복수의 계수들(예를 들어, FD 기본 벡터들에 대한 계수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채널 상태 정보(CSI)를 생성하고, 제1의 복수의 기본 벡터들, 제2의 복수의 M개의 기본 벡터들 및 복수의 계수들은 프리코딩 벡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즉, 기본 벡터들 및 계수들은 채널에 관한 정보를 무선 노드, 예를 들어, 기지국에 제공하도록 선택되어, 무선 노드는 프리코딩 다운링크 데이터 스트림들 내에서 이러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코드 북에서 제공된 기본 벡터들의 세트로부터 기본 벡터들을 선택함으로써 제1의 복수의 기본 벡터들(예를 들어, 공간 기본 벡터들) 및/또는 제2의 복수의 기본 벡터들(예를 들어, FD 기본 벡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무선은 코드북 내의 미리 정의된 세트의 기본 벡터들로부터의 어느 기본 벡터들이 무선 채널을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본 벡터와 가장 근접하게 매칭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가 UE일 때, 이는 CSI에 기초하여 CSI 보고를 생성하고 CSI 보고에 기초하여 송신 파형을 생성하고, 이를 기지국에 (예를 들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또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서) 송신할 수 있다. 추가 세부 사항들은 위의 섹션 1.0에서 제공된다.
항목 2. 복수의 R개의 계층들 내의 각각의 계층 r에 대해, 복수의 계수들로부터 K0개 이하의 넌-제로 계수들을 갖는 서브세트를 선택하고, 제1의 복수의 기본 벡터들, 제2의 복수의 기본 벡터들, 및 복수의 R개의 계층들 내의 계층들 r 각각에 대한 넌-제로 계수들의 서브세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CSI를 생성한다. 추가 세부 사항들은 위의 섹션 1.0에서 제공된다.
항목 3. CSI의 제1 부분(또는 CSI 피드백 보고의 제1 부분)을 생성하고, 제1 부분은 예를 들어, 채널 품질 표시자(CQI), 랭크 표시자(RI), 및 R개의 계층들에 걸친 넌-제로 계수들의 수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R은 랭크 값임).
항목 4. CSI(또는 CSI 피드백 보고)의 제2 부분을 생성하고, 제2 부분은 예를 들어, 프리코딩 행렬 표시자(PMI)를 포함한다. 추가 세부 사항들은 위의 섹션 2.0에서 제공된다.
항목 5. PMI는 제1의 복수의 L개의 기본 벡터들의 표시, 제2의 복수의 M개의 기본 벡터들의 표시, 복수의 계수들의 진폭 및 위상의 표시, 및 복수의 계수들의 넌-제로 계수들(예를 들어, R의 각각의 계층 r에서 L*M개의 복수의 계수들)의 위치들의 표시를 포함한다. 추가 세부 사항들은 위의 섹션 2.0에서 제공된다.
항목 6. CSI(또는 CSI 피드백 보고)의 제1 부분 내의 하나 이상의 CSI 파라미터가 공동으로 채널 코딩되고, 제2 부분 내의 하나 이상의 CSI 파라미터가 또한 공동으로 채널 코딩되고, 제1 부분은 제2 부분과 독립적으로 채널 코딩된다(즉, 각각의 부분에서의 CSI 파라미터들은 공동으로 채널 코딩되지만, 상이한 부분들은 독립적으로 채널-코딩된다). 추가 세부 사항들은 위의 섹션 2.0에서 제공된다.
항목 7. 랭크 R이 랭크 R0보다 클 때, 랭크 R에 대한 K0 값이 랭크 R0에 대한 K0 값 이하가 되도록 L, M 및 K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약한다(R > R0 ≥ 1). 추가 세부 사항들은 위의 섹션 2.0에서 제공된다.
항목 8. 랭크 R이 랭크 R0보다 클 때, 랭크 R에 대한 K0 값이 랭크 R0에 대한 K0 값의 미리 결정된 분수가 되도록 L, M 및 K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약하고, R0은 1 이상이다. 추가 세부 사항들은 위의 섹션 2.0에서 제공된다.
항목 9. R > R0 ≥ 1일 때, 모든 R개의 계층들의 서브세트 내의 계수들의 총 수는 랭크-R0 CSI 내의 모든 R0개의 계층들의 서브세트 내의 계수들의 총 수 이하이다. 넌-제로 계수들의 수의 표시의 비트 폭은 랭크가 R0일 때 L/M/K0값 뿐만 아니라 R0의 값에 의존한다. 그 결과, 넌-제로 계수들의 수의 표시는 최대 수의 계층들에 걸쳐 넌-제로 계수들의 수를 의미하지만, 이러한 표시의 비트 폭은 단지 더 작은 수의 랭크 값, 예를 들어 R0에 의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K0은 L 및 M의 값에 의존한다(예를 들어, K0= p*L*M).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KO은 L, M, 또는 K0(예를 들어, p)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파라미터들을 제약함으로써 제약될 수 있다. K0은 넌-제로 계수들의 수의 상한을 표현한다. 추가 세부 사항들은 위의 섹션들 2.0 및 3.0에서 제공된다.
항목 10. L, M, 및 K0 중 적어도 하나는 최대 허용된 수의 계층들에 기초하여 제약될 수 있고, 여기서 최대 허용되는 수의 계층들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구성 파라미터, 무선 디바이스의 능력, 프리코딩 벡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코드 북이 지원할 수 있는 최대 랭크 등에 기초한다. 추가 세부 사항들은 위의 섹션 3.0에서 제공된다.
항목 11. 무선 디바이스는 UE 또는 BS일 수 있다. 즉, 일부 실시예들에서, UE 또는 BS는 위의 항목들 중 임의의 항목에 따라 CSI를 생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UE는 CSI 보고를 생성하고 이를 무선 노드(예를 들어, BS)에 전송할 수 있다. BS가 UE로부터 CSI 피드백 보고를 수신할 때, CSI 피드백 보고는 위의 항목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생성되었을 것이다. 즉, BS는 제1의 복수의 L개의 기본 벡터들, 제2의 복수의 M개의 기본 벡터들 및 복수의 계수들을 수신한다. 추가적으로, CSI 피드백 보고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BS는 실제 벡터들을 수신하지 않고서, 단지 기본 벡터들 및 계수들이 무엇인지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예를 들어, BS는 대응하는 기본 벡터들에 관련된 코드북 인덱스의 표시를 수신하거나 또는 계수들의 수신된 표시를 사용하여 룩업 테이블로부터 실제 계수들을 검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BS는 CSI 보고의 제2 부분을 항상 수신할 필요는 없다(또는 제2 부분과 연관될 수 있는 비트들의 최대 수를 수신할 필요는 없다). 대신에, BS는 CSI 보고의 제1 부분에서 수신된 페이로드에 기초하여 제2 부분을 수신하기 위해 가변 수의 자원들을 할당하여 CSI를 보고하는 오버헤드를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BS는 다운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프리코딩하기 위한 프리코딩 벡터를 생성하고 프리코딩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송신 파형을 생성하기 위해 수신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그러나 사용할 필요는 없음).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UE) 또는 무선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는 위의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항목에서 인용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UE 또는 기지국은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할 수 있고,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위의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 인용된 방법을 구현하게 한다.
도 5는 본 개시된 기술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의 일부의 블록도 표현이다. 장치(505),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무선 디바이스(또는 UE)는 본 문헌에 제시된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 전자장치(51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505)는 안테나들(520 및 522)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신호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트랜시버 전자장치(515)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505)는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505)는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프로세서 전자장치(510)는 트랜시버 전자장치(515)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기술들, 모듈들 또는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는 장치(505)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본 명세서는 도면들과 함께 오직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도록 의도되며, 여기서 예시적은 예를 의미하고,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이상적인 또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또는"의 사용은,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및/또는"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들 중 일부는 방법들 또는 프로세스들의 일반적인 상황에서 설명되며, 이는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화된 환경들에서의 컴퓨터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와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콤팩트 디스크(CD)들,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착탈식 및 비-착탈식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비일시적 저장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은 특정한 작업들을 수행하거나 특정한 추상적 데이터 타입들을 구현하는 루틴들, 프로그램들, 객체들, 컴포넌트들, 데이터 구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들, 연관된 데이터 구조들 및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원에 개시된 방법들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의 예들을 표현한다. 이러한 실행가능 명령어들 또는 연관된 데이터 구조들의 특정 시퀀스는 이러한 단계들 또는 프로세스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대응하는 동작들의 예들을 표현한다.
개시된 실시예들 중 일부는 하드웨어 회로들,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사용하여 디바이스들 또는 모듈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회로 구현은,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의 일부로서 통합되는 이산적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개시된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은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및/또는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출원의 개시된 기능들과 연관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의 동작 요구들에 대해 최적화된 아키텍처를 갖는 특수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인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각각의 모듈 내의 다양한 컴포넌트들 또는 서브-컴포넌트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및/또는 모듈들 내의 컴포넌트들 사이의 접속성은, 인터넷, 유선, 또는 적절한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들을 통한 통신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당업계에 공지된 접속 방법들 및 매체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문헌은 많은 세부 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청구되거나 청구될 수 있는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오히려 특정 실시예들에 대해 특정된 특징들의 설명들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별개의 실시예들의 상황에서 본 문헌에 설명된 특정 특징들은 또한 조합하여 단일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부들은 또한 다수의 실시예에서 별개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특징들은 특정 조합들로 작용하는 것으로 앞서 설명되고 심지어 초기에 이와 같이 청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은 일부 경우들에서 조합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 또는 하위 조합의 변형으로 유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동작들이 특정 순서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들을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 순서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모든 예시된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오직 일부 구현들 및 예들만이 설명되고, 본 개시에 설명되고 예시된 것에 기초하여 다른 구현들, 향상들 및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31)

  1. 무선 통신의 방법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제1의 복수의 L개의 기본 벡터(basis vector)들, 제2의 복수의 M개의 기본 벡터들 및 복수의 계수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피드백 보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복수의 L개의 기본 벡터들, 상기 제2의 복수의 M개의 기본 벡터들 및 상기 복수의 계수들은 프리코딩 벡터(precoding vector)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L 및 M은 정수들인 것인, 무선 통신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R개의 계층들 내의 각각의 계층 r에 대해, 상기 복수의 계수들로부터 K0개 이하의 넌-제로 계수(non-zero coefficient)들을 갖는 서브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의 복수의 L개의 기본 벡터들, 상기 제2의 복수의 M개의 기본 벡터들, 및 상기 복수의 R개의 계층들 내의 각각의 계층 r에 대한 상기 넌-제로 계수들의 서브세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CSI 피드백 보고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 M, R, 및 K0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 구성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SI 피드백 보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CSI 피드백 보고의 제1 부분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제1 부분은 채널 품질 표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랭크 표시자(rank indicator, RI), 및 상기 R개의 계층들에 걸친 넌-제로 계수들의 수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R은 랭크 값임 - ; 및
    상기 CSI 피드백 보고의 제2 부분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CSI 피드백 보고의 제2 부분은 프리코딩 행렬 표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개의 계층들에 걸친 넌-제로 계수들의 수의 표시의 비트 폭이 계층들의 최대 수에 기초하는 것인,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MI는 상기 제1의 복수의 L개의 기본 벡터들의 표시, 상기 제2의 복수의 M개의 기본 벡터들의 표시, 상기 복수의 계수들의 진폭 및 위상의 표시, 및 상기 복수의 계수들의 넌-제로 계수들의 위치들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SI 피드백 보고의 제1 부분 내의 하나 이상의 CSI 파라미터가 공동으로(jointly) 채널 코딩되고, 상기 CSI 피드백 보고의 제2 부분 내의 하나 이상의 CSI 파라미터가 공동으로 채널 코딩되며, 상기 CSI 피드백 보고의 제1 부분은 상기 CSI 피드백 보고의 제2 부분과 독립적으로 채널 코딩되는 것인, 방법.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랭크 R이 랭크 R0보다 클 때, 상기 랭크 R에 대한 K0 값이 상기 랭크 R0에 대한 K0 값 이하가 되도록 상기 L, M 및 K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약(constrain)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R0은 1 이상인 것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R개의 계층들에 걸친 넌-제로 계수들의 수의 표시의 비트 폭이 상기 랭크 R0에 대해 상기 R0, L, M, 및 K0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는 것인,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랭크 R이 랭크 R0보다 클 때, 상기 랭크 R에 대한 K0 값이 상기 랭크 R0에 대한 K0 값의 미리 결정된 분수(fraction)가 되도록 상기 L, M 및 K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R0은 1 이상인 것인,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층들의 최대 수에 기초하여 L, M, 및 K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들의 최대 수는 네트워크 구성 파라미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능력, 및 상기 프리코딩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 코드 북이 지원할 수 있는 최대 랭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는 것인,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SI 피드백 보고를 무선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노드는 기지국(base station, BS)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6.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7. 무선 통신의 방법에 있어서,
    무선 노드에 의해, 채널 상태 정보(CSI) 피드백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SI 피드백 보고는, 제1의 복수의 L개의 기본 벡터들의 표시, 제2의 복수의 M개의 기본 벡터들의 표시, 및 복수의 계수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의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CSI 피드백 보고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CSI 피드백 보고의 제2 부분은 상기 CSI 피드백 보고의 제1 부분 내의 페이로드(payload)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것인,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CSI 피드백 보고의 제1 부분은 채널 품질 표시자(CQI), 랭크 표시자(RI), 및 상기 R개의 계층들에 걸친 넌-제로 계수들의 수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R은 랭크 값이며, 상기 제2 부분은 프리코딩 행렬 표시자(PMI)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CSI 피드백 보고의 제1 부분 내의 하나 이상의 CSI 파라미터가 공동으로 채널 코딩되고, 상기 CSI 피드백 보고의 제2 부분 내의 하나 이상의 CSI 파라미터가 공동으로 채널 코딩되며, 상기 CSI 피드백 보고의 제1 부분은 상기 CSI 피드백 보고의 제2 부분과 독립적으로 채널 코딩되는 것인, 방법.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수들의 표시는 복수의 R개의 계층들 내의 계층 r 각각에 대한 복수의 계수들로부터 선택된 K0개 이하의 넌-제로 계수들을 갖는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는 L, M, R 및 K0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인,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L, M 및 K0 중 적어도 하나는, 랭크 R이 랭크 R0보다 클 때, 상기 랭크 R에 대한 K0 값이 상기 랭크 R0에 대한 K0 값 이하가 되도록 제약되고, R0은 1 이상인 것인,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L, M 및 K0 중 적어도 하나는, 랭크 R이 랭크 R0보다 클 때, 상기 랭크 R에 대한 K0 값이 상기 랭크 R0에 대한 K0 값의 미리 결정된 분수가 되도록 제약되고, R0은 1 이상인 것인,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L, M, 및 K0 중 적어도 하나는 계층들의 최대 수에 기초하여 제약되는 것인,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들의 최대 수는 네트워크 구성 파라미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능력, 및 상기 프리코딩 벡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 코드 북이 지원할 수 있는 최대 랭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는 것인, 방법.
  27.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개의 계층들에 걸친 상기 넌-제로 계수들의 수의 표시의 비트 폭이 상기 계층들의 최대 수에 의존하는 것인, 방법.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개의 계층들에 걸친 상기 넌-제로 계수들의 수의 표시의 비트 폭은 상기 랭크 R0에 대해 상기 R0, L, M, 및 K0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는 것인, 방법.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PMI는 상기 제1의 복수의 L개의 기본 벡터들의 표시, 상기 제2의 복수의 M개의 기본 벡터들의 표시, 상기 복수의 계수들의 진폭 및 위상의 표시, 및 상기 복수의 계수들의 넌-제로 계수들의 위치들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0. 제1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1.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제1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17029407A 2019-02-15 2019-02-15 무선 통신에서의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KR1026137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075146 WO2020164083A1 (en) 2019-02-15 2019-02-15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436A true KR20210128436A (ko) 2021-10-26
KR102613744B1 KR102613744B1 (ko) 2023-12-13

Family

ID=72045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407A KR102613744B1 (ko) 2019-02-15 2019-02-15 무선 통신에서의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09466B2 (ko)
EP (1) EP3925089A4 (ko)
JP (1) JP7337181B2 (ko)
KR (1) KR102613744B1 (ko)
CN (2) CN113491074A (ko)
CA (1) CA3130222C (ko)
WO (1) WO20201640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949146T3 (pl) * 2019-03-29 2024-03-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formacje o stanie kanału na podstawie prekodera wielowiązkowego
CN110535506A (zh) 2019-04-30 2019-1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传输信道状态的发送方法、接收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13812093A (zh) * 2019-05-07 2021-12-17 诺基亚技术有限公司 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
US20220271812A1 (en) * 2019-06-10 2022-08-25 Ntt Docomo, Inc.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220124537A1 (en) * 2020-10-20 2022-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si reporting based on a port selection codebook
US20220200666A1 (en) * 2020-12-17 2022-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gh-resolution codebook for distributed mimo transmission
WO2023065150A1 (en) * 2021-10-20 2023-04-27 Nokia Shanghai Bell Co., Ltd. Channel state based beamforming enhancement
CN115987466A (zh) * 2021-11-04 2023-04-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设备和存储介质
CN115883044A (zh) * 2021-11-04 2023-03-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设备和存储介质
WO2023137244A1 (en) * 2022-01-17 2023-07-20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WO2023141846A1 (en) * 2022-01-27 2023-08-0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recoding matrix indicator reporti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5760A (zh) 2010-03-16 2011-09-2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基站、终端及码本生成方法
US9825742B2 (en) * 2014-10-03 2017-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debook design and structure for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2574004B1 (ko) * 2015-01-19 2023-09-0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d-mimo 를 위한 csi 피드백 오버헤드 감축
CN106160926B (zh) * 2015-04-08 2019-12-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在多输入多输出系统中反馈信道状态信息的方法和装置
WO2017135987A1 (en) * 2016-02-03 2017-08-10 Intel Corporation Codebook with fine spatial granularity for csi reporting
US10009088B2 (en) * 2016-03-28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near combination PMI codebook based CSI reporting in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0396866B2 (en) * 2016-11-11 2019-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vanced CSI reporting in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0340989B2 (en) * 2016-12-09 2019-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debook for CSI reporting in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288987B (zh) 2017-01-07 2021-10-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发射分集的方法、终端和基站
US10256887B2 (en) * 2017-03-23 2019-04-09 Qualcomm Incorporated Differential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reporting for higher resolution CSI
US10560161B2 (en) * 2017-06-29 2020-02-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igh spatial resolution beam space CSI feedback
EP3480970B1 (en) * 2017-09-08 2021-05-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13708810B (zh) * 2018-12-17 2022-11-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设备
EP3672096A1 (en) * 2018-12-22 2020-06-24 Fraunhofer 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eedback repor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WO2020142974A1 (en) * 2019-01-10 2020-07-16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for type ii channel state informa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900136* *
3GPP R1-190075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25089A1 (en) 2021-12-22
US11909466B2 (en) 2024-02-20
CN114389662B (zh) 2023-08-01
CN113491074A (zh) 2021-10-08
CN114389662A (zh) 2022-04-22
CA3130222C (en) 2024-03-12
KR102613744B1 (ko) 2023-12-13
JP2022520651A (ja) 2022-03-31
EP3925089A4 (en) 2022-03-23
US20210376887A1 (en) 2021-12-02
CA3130222A1 (en) 2020-08-20
WO2020164083A1 (en) 2020-08-20
JP7337181B2 (ja)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3744B1 (ko) 무선 통신에서의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JP5143819B2 (ja) マルチユーザーを支援する多重アンテナシステムにおけるフィードバック情報の送受信方法及び送受信装置とこれらを含むフィードバックシステム
US9001907B2 (en) Multi-rank 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feedback in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
RU2630378C2 (ru) Способ обратной связи по указателю матрицы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кодирования, сторона приема и сторона передачи
RU2567852C2 (ru) Структура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кодера дл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кодирования mimo
CN101826951B (zh) 反馈信道状态信息的方法及装置
KR20210106548A (ko)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피드백 보고를 위한 방법 및 장치
RU2616156C1 (ru) Способ и терминал для передачи обратной связью информации о состоянии канала
EP29654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debook enhancement for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systems
WO2012041107A1 (zh) 信道状态信息反馈方法及终端
KR20120123497A (ko) 채널상태 정보 보고방법 및 그의 장치
JP5899043B2 (ja) コードブック適合方法、無線基地局装置及びユーザ装置
KR102054203B1 (ko) 다중 입력 및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피드백 방법 및 장치
WO2017167161A1 (zh) 一种实现信道状态信息反馈的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02468925B (zh) 预编码矩阵索引上报及预编码处理方法、系统和装置
WO2011160453A1 (zh) 信道状态信息的反馈方法
CN106685497A (zh) 码书限制信令的发送、信道信息的量化反馈方法及装置
CN101902263B (zh) 一种信道状态信息的反馈方法
JP6472886B2 (ja) プリコーディング情報取得方法、及び装置
RU2779138C1 (ru) Обратная связь по информации состояния канала в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WO2021220073A1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generating a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report including jointly encoded parameters from multiple layers
KR101359808B1 (ko) 다중 송수신 안테나 시스템에서 차분 코드-북 생성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송신 및 수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