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192A - 카드리더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드리더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192A
KR20210128192A KR1020200046088A KR20200046088A KR20210128192A KR 20210128192 A KR20210128192 A KR 20210128192A KR 1020200046088 A KR1020200046088 A KR 1020200046088A KR 20200046088 A KR20200046088 A KR 20200046088A KR 20210128192 A KR20210128192 A KR 20210128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uthentication
access
electronic key
contro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텍
Priority to KR1020200046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8192A/ko
Publication of KR20210128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출입통제 시스템에 부가하여 새로운 방식의 키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카드리더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증어댑터를 가지는 출입통제 시스템은 출입제한을 위해 출입문의 잠금/풀림을 제어하여 출입자의 진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상기 출입자의 제1전자키로부터 제1출입자정보를 획득하는 통제단말 및 상기 제1출입자정보를 이용하여 출입인증을 수행하는 통제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출입통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제단말과 별도로 설치되고, 상기 출입자의 제2전자키로부터 제2출입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출입자정보를 상기 통제단말이 인식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변환된 제2출입자정보를 상기 통제단말의 카드리더와의 통신에 전달하는 인증어댑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카드리더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Card reader type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을 출입통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출입통제 시스템에 부가하여 새로운 방식의 키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카드리더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 가정 출입문, 상점, 보안구역과 같이 출입 통제가 필요한 곳에는 금속 열쇠를 이용한 잠금장치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금속 열쇠를 이용하지 않는 장치들을 이용한 잠금장치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최근의 잠금장치 및 통제장치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결과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출입자의 신원, 출입 시기, 출입횟수와 같은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는 등의 기능이 부가되어 사용되고 있다. 때문에 이들은 단순히 출입문의 잠금 및 잠금 해제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적극적으로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활용되며, 이를 위해 목적 또는 출입 제한의 복잡성에 따라 다양한 인증장치를 인증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출입통제장치의 인증장치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전자 카드 키(RF Card Key)이다. 전자 카드 키의 경우 신용카드, 사원 카드와 같은 신분증,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복수의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고, 출입자의 수가 많은 경우 저렴하게 키를 생산할 수 있고, 통제장치의 구성을 위한 비용이 저렴한 장점으로 인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한국공개특허 10-2003-0015166호(2002년 10월 10일 출원)에는 양방향 무선출입통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공개특허에는 특정장소에서 다수개의 원격출입제어장치를 관리하는 중앙통제장치와 다수개의 출입문에 부착되어 출입권한이 있는 출입자의 비접촉식 카드, 지문, 홍채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를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하고 처리결과에 따라 출입문, 조명, 카메라, 출입문개폐장치를 구동하는 원격출입제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전자 카드 키를 이용한 출입통제장치는 전자 카드 키의 성능으로 인해 출입통제 단말에 카드를 가까이 가져가야 인식이 되었으며, 인식속도가 매우 느린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전자 카드 키를 이용하는 출입통제 장치의 경우 여러 명이 동시에 출입하는 경우 1인만 인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출입자를 모두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전자 카드 키의 경우 미리 입력되는 전자ID와 같이 데이터 크기가 작은 식별 데이터에 의해 출입자를 식별함과 아울러, 전자 ID의 암호화 효율이 낮아, 전자 카드 키의 복제가 쉬워 출입 통제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전자 카드 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상기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경우 새로운 시스템을 설치해야 하며, 이러한 시스템의 도입을 위한 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출입통제 시스템에 부가하여 새로운 방식의 키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카드리더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새로운 키의 적용시 원거리에서 출입자의 신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동작 속도가 빠르고, 고도의 암호화/복호화 방식의 적용이 가능한 카드리더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출입제한을 위해 출입문의 잠금/풀림을 제어하여 출입자의 진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상기 출입자의 제1전자키를 통신에 의해 카드리더로 인식하여 제1전자키로부터 제1출입자정보를 획득하는 통제단말 및 상기 제1출입자정보를 이용하여 출입인증을 수행하는 통제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출입통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제단말과 별도로 설치되고, 상기 통제단말의 카드리더에 인식되어 상기 카드리더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자의 제2전자키로부터 제2출입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출입자정보를 상기 통제단말이 인식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변환된 제2출입자정보를 상기 통제단말의 카드리더와의 통신에 의해 전달하는 인증어댑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증어댑터는 상기 제2전자키를 탐색하고, 탐색된 상기 제2전자키와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제2전자키로부터 상기 제2출입자정보를 수신하는 제1통신모듈; 상기 제1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제2출입자정보를 복호화하며, 상기 제2출입자정보를 상기 통제단말이 인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처리모듈; 상기 처리모듈로부터 전달되는 변환된 상기 제2출입자정보를 상기 통제단말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통제단말의 카드리더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제2통신모듈; 상기 제2출입자정보의 복호화를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모듈; 및 상기 제1통신모듈, 상기 처리모듈, 상기 제2통신모듈 및 상기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통신모듈은 상기 통제단말의 상기 카드리더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안테나를 구비한다.
상기 제2전자키는, 상기 인증어댑터와 통신채널을 형성할 시에 상기 제2출입자정보에 인증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인증어댑터에 전달하고,
상기 인증어댑터의 상기 메모리모듈에는 상기 출입자의 인증을 위한 출입인증정보가 저장되며,상기 인증어댑터는 상기 제2출입자정보 또는 상기 제2출입자정보와 함께 전달되는 상기 인증정보와 상기 출입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출입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출입인증에 의해 정상 출입자로 판단된 상기 출입자의 제2출입자정보를 상기 통제단말에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증어댑터를 가지는 출입통제 시스템은 기존의 출입통제 시스템에 부가하여 새로운 방식의 키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증어댑터를 가지는 출입통제 시스템은 새로운 키의 적용시 원거리에서 출입자의 신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동작 속도가 빠르고, 고도의 암호화/복호화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통제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전자키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예시도.
도 3은 인증어댑터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통제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출입통제장치는 복수의 전자키(100)와 통제시스템(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통제시스템(200)은 통제단말(210), 통제컨트롤러(220) 및 인증어댑터(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통제장치는 기존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시스템에 인증어댑터(250)와, 인증어댑터(250)에 호환되는 전자키(100)를 부가하여, 기존에 설치된 출입통제 장치에 비해 강화된 보안성, 향상된 인증 처리속도 및 확장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출입통제장치는 기존에 사용되던 전자키(100)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새로운 전자키(100)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기존에 사용된 전자키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키(100)는 출입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출입자 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전자키(100)는 통제단말(210) 또는 인증어댑터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출입자의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에는 2가지의 전자키(100 : 101, 102)가 도시되어 있다. 제1전자키(101)는 기존에 설치되어 운영되던 출입통제시스템에서 사용되던 무선전자카드를 의미한다. 이 제1전자키(101)는 통제단말(210)의 카드리더(211)에 근접시키고, 제1전자키(101)와 통제단말(210)의 근접 무선통신에 의해 제1카드키(101)의 출입자정보가 통제단말(210)로 전달된다. 이 제1전자키(101)는 통상적으로 자체전원을 구비하지 않고, 통제단말(210)의 카드리더(211)로 부터의 유도 전류에 의해 동작하며, 이를 통해 저장된 출입자정보를 카드리더(211)로 전달하는 방식일 수 있으나, 이는 일례로써 제시된 것일뿐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2전자키(102)는 인증어댑터(25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저장된 출입자 정보를 인증어댑터에 전달하는 전자키(100)이다. 이 제2전자키(102)는 제1전자키(101)에 저장된 출입자정보에 비해 복작하거나 데이터 크기(또는 길이)가 큰 출입자 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또한, 제2전자키(102)는 인증어댑터(250)와의 통신시, 제1전자키(101)와 통제단말(210) 간에 사용되는 암복호화 알고리즘과 다른 암복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출입자정보를 전달하게 되며, 이때 사용되는 암복호화 알고리즘은 제1전자키(101)와 통제단말(210) 간의 암복호화 알고리즘에 비해 보안성이 높은 알고리즘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제2전자키(210)의 상세한 구성은 도2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2전자키(210)로부터의 출입자 정보는 인증어댑터(250)에 의해 통제단말(210)에 전달되고, 통제단말(210)을 통해 통제컨트롤러(220)에 전달되어 인증이 이루어지게 된다.
통제시스템(200)은 전자키(100)로부터의 출입자정보를 이용하여, 전자키(100)를 소지한 사용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출입통제시스템(200)은 제1전자키(101) 또는 인증어댑터(250)를 통해 출입자의 출입자정보를 획득하는 통제단말(210) 및 출입통제 정책, 출입자 및 출입 인증을 위한 출입자 정보가 저장되며,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통제컨트롤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1에는 생략되었지만, 출입통제시스템(200)은 통제단말(210), 통제컨트롤러(220) 외에, 출입문의 잠금/열림을 조절하는 잠금장치, 출입자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수집장치 및 기타 센서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안다.
통제단말(210)은 제1전자키(101) 또는 인증어댑터(25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이들로부터 출입자정보를 획득하여, 통제컨트롤러(22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통제단말(210)은 출입자가 제1 및 제2전자키(100)를 이용하기 편리한 위치, 예를들면, 출입문 주변의 벽면에 설치되고, 통제컨트롤러(220)와는 유/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제단말(2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리더(211) 외에도 키패드(212), 카메라(213), 스피커(214)를 가지는 장치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들 구성이 생략되거나, 이외의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통제단말(210)은 카드리더(211)와 같이 제1전자키(101) 또는 인증어댑터(250)와 통신을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통제단말(250)은 카드리더(211)에 접촉되는 제1전자키(101)로부터 카드리더(211)를 통해 직접 출입자정보를 획득하거나, 인증어댑터(25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카드리더(211)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1전자키(101)는 사용하지 못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통제단말(220)은 인증어댑터(250)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만을 이용하여 출입자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통제단말(220)은 작동되는 동안 카드리더(211)를 통해 약한 무선신호를 지속적으로 방출하게 되며, 이러한 무선신호에 반응하는 제1전자키(101) 또는 인증어댑터(250)의 신호발생시, 출입자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통제단말(210)은 제1전자키(101) 또는 인증어댑터(250)로부터 전달되는 출입자정보를 통제컨트롤러(220)에 전달하게 된다.
인증어댑터(250)는 제2전자키(102)로부터 출입자정보를 제공받아, 통제단말(21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인증어댑터(250)는 본체(251)와 안테나(2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251)는 제2전자키(102)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제2전자키(102)로부터 출입자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출입자정보를 미리 정해진 보안알고리즘에 따라 변환하여 통제단말(210)에 전달한다. 이때 안테나(252)는 인증어댑터(250)로부터 통제단말(210)로 출입자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로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인증어댑터(250)가 제2전자키(102)를 인지하면, 정해진 절차에 따라 제2전자키(102)의 출입자정보는 제1전자키(101)에 저장된 출입자 정보와는 다른 크기, 데이터구조, 적용되는 암복호화 알고리즘이 상이한 출입자정보이다. 인증어댑터(250)는 이러한 제2전자키(102)의 출입자정보(이하 에서는 제1전자키의 출입자정보는 '제1출입자정보', 제2전자키의 출입자정보는 '제2출입자정보'라 하기로 한다.)를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암복호화 및 변환하게 된다. 인증어댑터(250)에 의한 제2출입자정보의 변환은 통제단말(210)이 제2출입자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변환을 의미한다. 인증어댑터(250)는 제2출입자정보의 변환 후 안테나(252)를 통해 통제단말(210)의 카드인식을 위한 호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출력하고, 이후 절차에 따라 변환된 제2출입자정보를 통제단말(21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변환된 제2출입자정보는 인증어댑터(250)에 의해 제1출입자정보와 같은 크기,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가지도록 변환된 데이터이거나, 제1 및 제2 출입자정보와는 무관하게 통제단말(210)이 인식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서, 변환된 제2출입자정보를 미리 정해진 데이터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인증어댑터(250)에 의해 출입자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인증어댑터(250)에 대해서는 이후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제컨트롤러(220)는 미리 등록되어 저장되는 출입통제정책 및 인증을 위한 출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와 같은 제반 동작을 실행한다. 이러한 통제컨트롤러(220)는 통제단말(210)을 통해 제1출입자 정보 또는 변환된 제2출입자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인증을 위한 출입자정보와 비교하여 출입자의 출입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통제컨트롤러(220)는 인증결과에 따라 출입인증이 이루어진 출입자, 시간과 같은 로그정보를 기록 및 유지함과 아울러, 출입문 개폐장치의 제어등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전자키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예시도이고, 도 3은 인증어댑터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전자키(102)는 처리유닛(110), 무선통신모듈(120), 메모리(130), 배터리(140) 및 카드인증장치(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처리유닛(110)은 제2전자키(102)의 기능을 제어함과 아울러, 인증어댑터(250)와의 통신시 메모리(130)에 저장된 제2출입자정보를 무선통신모듈(120)을 통해 인증어댑터(250)에 제공한다. 특히, 처리유닛(110)은 제2전자키(102)에 지문인식장치, 키패드와 같은 장치가 카드인증장치(150)로 구현되는 경우,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들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하여 제2출입자정보의 출력을 위한 인증정보 또는 제2출입자정보와 함께 인증어댑터(250)로 전달될 인증정보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통신모듈(120)은 인증어댑터(250)와 통신을 수행하며, 제2출입자정보 또는 제2출입자정보와 인증정보를 인증어댑터(25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전자키(102)의 무선통신모듈(120)은 지그비,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고속 데이터 통신방식의 모듈이 사용되며, 배터리(14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이용한다. 이를 통해 무선통신모듈(120)은 제1전자키(101)와 달리 몇 미터 이상의 거리에서 인증어댑터(250)와 통신을 수행하며, 제1전자키(101)에 비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인증어대터(250)에 전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2전자키(102)는 인증어댑터(250)와 접촉하는 거리에 도달하지 않고도 인증어댑터(250)와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제2출입자정보를 인증어댑터(250)에 전달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정상적인 사용자는 출입문에 도달하는 인증어댑터(250)에 제2전자키(102)를 접촉하지 않고도 출입인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메모리(130)는 제2출입자정보 및 출입자정보의 암복호화를 위한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이 메모리(130)는 처리유닛(110)의 요청에 따라 제2출입자정보를 처리유닛(110)에 제공한다. 또한, 제2전자키(102)가 카드인증장치(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카드인증장치(150)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카드인증장치(15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드인증장치(150)가 키패드인 경우 메모리(130)에는 제2전자키(102)를 구동시키기 위한 비밀번호가 비교정보로 저장될 수 있으며, 카드인증장치(150)가 지문인식센서인 경우 카드인증장치(150)로 입력된 지문정보와 비교를 위한 원본지문정보가 비교정보로써 저장될 수 있다.
배터리(140)는 제2전자키(102)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며, 처리유닛(110)에 의해 충전 또는 방전이 제어된다.
카드인증장치(150)는 제2전자키(102)의 출입인증시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로 전자키(102)에 부가적으로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카드인증장치(150)는 제2전자키(102)의 정상 사용자의 여부에 따라 제2전자키(102)의 구동 또는 구동중지를 위한 인증장치 또는 출입자정보와 함께 인증어댑터(250)로 인증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증정보의 생성 또는 확인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카드인증장치(150)로는 키패드, 지문인식장치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이 가능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카드인증장치(150)가 반드시 제2전자키(102)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인증어댑터(250)는 처리모듈(254), 제1통신모듈(253), 제2통신모듈(255), 메모리모듈(257) 및 전원(25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처리모듈(254)은 제2전자키(102)로부터 제공되는 제2출입자정보 또는 제2출입자정보 및 이와 함께 제공되는 인증정보를 수신 및 변환하여 통제단말(2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처리모듈(254)은 제1통신모듈(253)에 의해 제2전자키(102)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2전자키(102)에 제2출입자정보를 요청하며, 미리 정해진 암호화 과정을 거쳐 전달되는 제2출입자정보를 복호화한다. 또한, 처리모듈(254)은 복호화 과정을 거친 제2출입자정보를 통제단말(210)에서 인식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제2통신모듈(255)을 통해 통제단말(210)에 전달한다. 여기서, 제2출입자정보와 함께 인증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처리모듈(254)은 제2출입자정보와 인증정보를 복호화하고, 통제단말(210)에 전달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통제단말(210)에 전달하게 된다.
제1통신모듈(253)은 제2전자키(102)를 탐색하고, 탐색된 제2전자키(102)와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제2출입자정보 또는 제2출입자정보와 인증정보를 제2전자키(102)로부터 수신한다. 이를 위해 제1통신모듈(253)은 제1전자키(101)에 비해 원거리 통신이 가능하며,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지그비와 같은 통신장치에 의해 구현된다.
제2통신모듈(255)은 통제단말(210)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처리모듈(254)에 의해 제공되는 변환된 제2출입자정보를 통제단말(21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제2통신모듈(255)은 통제단말(210)의 카드리더(211)에 부착되어 설치되어 안테나(252)를 구비한다. 이 제2통신모듈(255)은 처리모듈(254)로부터 변환된 제2출입자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통제단말(210)이 안테나(252)를 제1전자키(101)로 인식하도록 신호를 전달하고, 이에 반응한 통제단말(210)과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변환된 제2출입자정보를 통제단말(210)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제2통신모듈(255)의 안테나(252)는 제1전자키(101)를 사용하는 경우, 카드리더(211)가 제1전자키(101)를 인식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카드리더(211)의 인식부 테두리를 따라 루프 형태로 카드리더(211)의 케이스 표면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전자키(101)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경우 카드리더(211)의 인식부에 안테나(252)가 임의의 형태를 가지도록 부착되고, 카드리더(211)의 인식부와 안테나(252)는 전자파 차폐물에 의해 밀폐되어 외부로부터의 전자기 신호와 차단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항의 제1전자키(101)의 사용여부 및 보안성 강화의 필요에 따른 것으로,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모듈(257)은 인증어댑터(25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며, 특히, 제2출입자정보를 수신하여 복호화하기 위한 알고리즘 및, 복호화된 제2출입자정보를 통제단말(210)에서 인식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여기서, 메모리모듈(257)은 처리모듈(254)이 제2출입자정보를 이용하여 통제컨트롤러(220)에 비해 먼저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인증을 위한 출입자정보 또는 출입통제 정책이 저장될 수 있다.
전원모듈(259)은 인증어댑터(25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모듈(259)은 AC 상용전원 및 배터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병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증어댑터를 포함하는 출입통제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는 출입통제시스템에 인증어댑터를 부가함으로써, 확장성, 보안성 및 편리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출입증 즉, 제1전자키(101)를 계속 사용하면서, 다른 형태의 전자키(102)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보안성이 취약하고, 느린 인식속도 및 사용이 불편한 제1전자키(101)를 보다 편리하고, 보안성이 향상된 제2전자키(102)로 대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출입통제장치는 자체전력에 의해 동작하고, 제1전자키(101)에 비해 보안성이 강화된 제2출입자정보를 가지며, 원거리에서 인식가능한 제2전자키(102)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출입자가 카드리더에 전자키(100)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도 출입인증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인증어댑터(250)가 제2전자키(102)의 제2출입자정보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인증을 수행한 뒤, 인증이 이루어진 정보인 변환된 제2출입자정보를 이용하여 통제컨트롤러(220)에 의해 2차 인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출입 허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거나, 인증어댑터(250)에 의해 변환된 정보가 통제컨트롤러(220)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출입통제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전자키(102)에 별도의 인증장치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제2전자키(102)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며, 제2출입자정보와 인증정보를 인증어댑터(250) 또는 통제컨트롤러(220)에 의해 검증하도록 함으로써 제2전자키(102) 및 출입통제시스템 전체적인 보안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이러한 출입통제시스템은 기존의 시스템에 인증어댑터(250)를 부가하여 설치하고, 통제컨트롤러(220)의 출입통제정책 및 인증을 위한 데이터 일부만을 수정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큰 비용의 소모 및 오랜 설치 기간의 소요 없이 출입통제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전자키 101 : 제1전자키
102 : 제2전자키 110 : 처리유닛
120 : 무선통신모듈 130 : 메모리
140 : 배터리 150 : 카드인증장치
200 : 통제시스템 210 : 통제단말
220 : 통제컨트롤러 211 : 카드리더
212 : 키패드 213 : 카메라
214 : 스피커 250 : 인증어댑터
251 : 본체 252 : 안테나
253 : 제1통신모듈 254 : 처리모듈
255 : 제2통신모듈 257 : 메모리모듈
259 : 전원모듈

Claims (4)

  1. 출입제한을 위해 출입문의 잠금/풀림을 제어하여 출입자의 진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상기 출입자의 제1전자키를 통신에 의해 카드리더로 인식하여 제1전자키로부터 제1출입자정보를 획득하는 통제단말 및 상기 제1출입자정보를 이용하여 출입인증을 수행하는 통제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출입통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제단말과 별도로 설치되고, 상기 통제단말의 카드리더에 인식되어 상기 카드리더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자의 제2전자키로부터 제2출입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출입자정보를 상기 통제단말이 인식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변환된 제2출입자정보를 상기 통제단말의 카드리더와의 통신에 의해 전달하는 인증어댑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리더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어댑터는
    상기 제2전자키를 탐색하고, 탐색된 상기 제2전자키와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제2전자키로부터 상기 제2출입자정보를 수신하는 제1통신모듈;
    상기 제1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제2출입자정보를 복호화하며, 상기 제2출입자정보를 상기 통제단말이 인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처리모듈;
    상기 처리모듈로부터 전달되는 변환된 상기 제2출입자정보를 상기 통제단말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통제단말의 카드리더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제2통신모듈;
    상기 제2출입자정보의 복호화를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모듈; 및
    상기 제1통신모듈, 상기 처리모듈, 상기 제2통신모듈 및 상기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어댑터를 가지는 출입통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모듈은 상기 통제단말의 상기 카드리더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어댑터를 가지는 출입통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자키는, 상기 인증어댑터와 통신채널을 형성할 시에 상기 제2출입자정보에 인증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인증어댑터에 전달하고,
    상기 인증어댑터의 상기 메모리모듈에는 상기 출입자의 인증을 위한 출입인증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인증어댑터는 상기 제2출입자정보 또는 상기 제2출입자정보와 함께 전달되는 상기 인증정보와 상기 출입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출입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출입인증에 의해 정상 출입자로 판단된 상기 출입자의 제2출입자정보를 상기 통제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어댑터를 가지는 출입통제 시스템.
KR1020200046088A 2020-04-16 2020-04-16 카드리더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8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088A KR20210128192A (ko) 2020-04-16 2020-04-16 카드리더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088A KR20210128192A (ko) 2020-04-16 2020-04-16 카드리더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192A true KR20210128192A (ko) 2021-10-26

Family

ID=78268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088A KR20210128192A (ko) 2020-04-16 2020-04-16 카드리더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81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26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decision on a card
US7664961B2 (en) Wireless handheld device with local biometric authentication
US11330429B2 (en) Vehicle digital key shar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US8511552B2 (en) Card credential method and system
JP4727860B2 (ja) 無線操作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082214A1 (en) Method, system, and door lock device for controlling door lock
CN109155088A (zh) 动态密钥访问控制系统、方法和装置
US7065647B2 (en) Commun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9621702B2 (en) Control system cooperating with a mobile device
US9641510B2 (en) Control system operable by mobile devices
KR101465201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신분 인증 및 출입 통제 시스템과 그 방법
Govindraj et al. Smart door using biometric NFC band and OTP based methods
JP4624322B2 (ja) 端末認証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KR101265659B1 (ko) 인증어댑터를 가지는 출입통제시스템
KR101017588B1 (ko) 출입 통제 시스템
KR20210128192A (ko) 카드리더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108346B1 (ko) 시간제한 비밀번호를 이용한 도어락 잠금해제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KR101613476B1 (ko) 얼굴 인식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CN107070663B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现场认证方法和现场认证系统
JP2003253940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KR20060119796A (ko) 출력제어기능을 갖는 무선통신단말기
KR20130067852A (ko) 생체 인식을 이용한 원거리 개인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5905A (ko) 멀티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 방법
JP2008266907A (ja) バイオメトリクス認証を利用した無線鍵錠システム
KR20100070191A (ko) 디지털 도어락